•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5 pp.689-702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5.68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Korean folk painting

Hey Kyong Bang, Taemi Kim*
Expert Committee Member, Gyeonggi Daejin Technopark, Korea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Korea Polytechnics, Korea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RepublicofKoreaand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9S1A5B5A07106815).


Corresponding author (taemik@naver.com)
August 28, 2022 October 16, 2022 October 18, 2022

Abstract


Global fashion houses have recently incorporated traditional Korean motifs within their inspiration. This trend is an opportunity to showcase the color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by investing in the new design content. Products specifically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are lacking in brand awareness despite the success of Korean content.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s cultural products based on Korean folk painting that captures Korean people’s satirical sense of humor. Korean folk painting theories are analyzed, from which different types of folk paintings are classified based on research of bibliographies and online documents. Following classification, the results are dataized as different types of folk paintings and their meanings. Furthermore, images of folk paintings are categorized and scanned digitally. The digitized images of the folk paintings are processed through Adobe Photoshop CS for overall layout and Adobe Illustrator CS for detailed designs. Traditional categories of Korean folk paintings are used, including flowers and birds, letters, and study stationery. Using the main elements of the flower and birds category, designs with cultural products such as images of flowers, birds, animals, and fish are produced. The final designs are used to create fashion items that can easily be used for embellishment or self-presentation: a scarf and a necktie. The scarf and the necktie are not only merchandise; they also symbolize the story, humor, and hope that Korean folk paintings once symbolized.



민화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문화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 넥타이와 스카프를 중점으로 -

방 혜 경, 김 태 미*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전문위원
*한국폴리텍대학 패션디자인과 조교수

초록


    I. Introduction

    K-pop의 유행에 이어 K-beauty가 새로운 한류 콘텐츠로 떠오르며 한류의 영향력 은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근래 해외 유명 브 랜드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그 예로 2015년 샤넬은 색동을 주제로 크루즈 쇼를 진행한 바 있으며(Kim, 2015), 2017년에는 구찌 한국 매장에 화 조도 3폭 가리개가 한국적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디스플레이되었다(Shin, 2018). 프 랑스 브랜드 에르메스는 2019년 봄 신제품으로 ‘보자 기의 예술(L’artdu Bojagi)’이라는 이름의 스카프를 내놓았다(Lee, 2019). 또한 전통적 디자인 요소뿐 아 니라 한국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들도 발표되고 있다. 디자이너 라프 시몬스는 2018년 봄/여름 컬렉션에서 한글이 들어간 티셔츠를 발표하였으며, 런던의 디자 이너 브랜드 프린 바이 손튼 브레가치도 같은 시즌 컬 렉션에서 한국 해녀의 잠수복과 어망 부표 등의 소품 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발표하였다. 2019년 뤼이 뷔 통의 가을/겨울 남성 컬렉션에서는 태극기의 디자인 이 들어간 옷과 가방이 등장하였다(Lee, 2019). 이러 한 환경은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를 세계적인 트렌드 에 맞게 디자인하여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디자인 콘텐츠 발굴이 필요한 시기라 생각된다.

    한 나라의 문화는 국격이라 할 수 있고, 자국 문화 의 우수성을 상품화하여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 문화 상품은 역사적 근거나 이야기가 살아있는 전통 에서 그 원천을 찾아 현대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 하다 할 것이다.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중국, 일본, 태 국 등 나라들의 전통 이미지가 그동안 다양하게 소비 된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는 신선하고 새 로운 매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고부가가치의 다양한 상품 개발이 가능하리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민족의 삶 속에서 발생하 고 고유의 미의식과 특유의 풍자, 해학이 두드러지게 표현된 민화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 상품 중 패션 문화 상품으로, 장식성이 크고 디자인 콘셉트 나 가치관을 표현하기에 좋은 패션 소품 종류에 속하 는 넥타이와 스카프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민화 를 전통적 분류 방법에 따라 화조화, 문자화, 문방화 로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 중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콜로지풍의 디자인이 다양한 분 야에 나타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화조화를 중심으 로 민화에 표현된 사물들을 디자인 모티브별로 분리 하여 디자인하기로 한다. 또한 넥타이와 스카프 디자 인 개발 시 디자인 모티브들이 나타내는 상징성에 따 라 이야기가 있고 소망이 담겨 있는 상품을 개발하고 자 한다.

    Ⅱ. Review of Literature

    1. Korean folk painting

    1) The concept of Korean folk painting

    민화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예전에, 실용을 목적으로 무명인이 그렸던 그림으로 산수, 화조 따위 의 정통 회화를 모방한 것으로 소박하고 파격적이며 익살스러운 것이 특징이다.’라고 국립국어원의 표준 국어대사전에서 정의하고 있다(“Minwha”, 2020).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일본의 미학자이 자 문예 운동가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 로, 야나기는 민화의 특징으로 작가의 ‘무명성’을 꼽 으며 1937년 민화의 정의를 ‘민중 속에서 태어나고, 민중을 위하여 그려지고, 민중에 의해서 구입되는 그 림을 민화라 하자.’라고 하였다(Jung, 2012). 민화의 개념은 학자들마다 각각 조금씩 다르게 정의하고 있 는데, 학자들이 정리하여 놓은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Cho(1972)는 서민, 도화서 화원을 비롯하여 다양한 계층과 신분들의 그림이라고 민화를 설명하였 으며 넓은 의미의 민화의 관점과 좁은 의미의 민화의 관점은 ‘민(民)’의 개념이 다른 데 있다고 보고, 한국 의 민화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화관에 끼워 맞출 수 없는 독특함이 있다고 말한다. Lee(1972)는 해학, 꿈, 믿음이 있고 따뜻하고 조용하며 소박한 멋을 지닌 한 국인들의 고상한 품위에 부합되는 도덕성이 민화 속 에 살아있으며 표현이 소박하고 기교가 없다는 게 특 징이라고 정의하였다. Kim(1976)은 우리 겨레의 미의 식과 정감이 가시적으로 표현된 그림이라고 민화를 설명하였다. Kim(1991)은 민속화와 같은 뜻으로 보통 은 이름 없는 화가 등이 일반 대중의 실용적, 신앙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작한 그림이라고 정의하 였다. Lim(1997)은 민중 계층에 의한 그림으로 고급 미술로서의 정통회화가 채워주지 못하고 있던 하부 계층의 욕구를 채워주는 소박한 회화 형태라고 설명 하였다.

    위와 같이 학자들의 민화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여 정의하자면, 민화는 가장 한국적인 그림으로 우리 민 족의 정서와 해학을 담고 있으며 그 내면에 민중의 삶 과 꿈이 담겨 있는 이야기가 있는 그림이다.

    민화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선사시대의 원시미술 과 맥락을 같이하며 민화의 역사는 새해를 맞이하는 세시풍속에서 기원한 것이다(Jung, 2012). 고구려의 사신도에는 동서남북 방위를 나타내고 우주의 질서를 지키는 네 가지 상징동물이 그려져 있는데, 이 중 호 랑이와 용은 조선 시대 민화에도 자주 등장한다. 사신 도의 네 마리 동물 형상은 오랜 세월 동안 내려오며 사람들에 의해 되풀이되어 그려지며 조선 시대의 민 화로 정착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민화는 조선 후 기에 자생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되풀이하여 모방되면서 서서히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Lim, 1997).

    한국의 민화는 전통 회화를 모방하는 데에서 출발 하여 민중의 삶의 양식을 통하여 정착된 그림으로, 사 실적인 묘사보다는 모사하기 쉬운 형태, 구도와 색채 등의 표현적 특성으로 변모되었다. Hong(2009)은 한 국민화의 형태상 특징을 반복성, 복합성, 추상성으로 요약하였다. 반복성에서 반복의 의미는 같은 형태로 반복되는 두 가지 이상이 형상을 거듭하여 표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복합성은 두 가지 이상의 양식이 합쳐 지는 것으로, 생략과 가감을 통한 대상의 자유로운 표 현을 추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풍부한 상상력을 전 개하였다. 끝으로 추상성은 까치호랑이에서 볼 수 있 듯이 비재현적인 형태로 호랑이가 전체 화면을 압도 하며 추상화되고 기하학적인 선, 명암을 배제한 뚜렷 한 색상의 대비, 형태의 왜곡과 단순미 등으로 나타 난다.

    2)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folk painting

    민화의 주제는 매우 다양하다. 이렇게 많은 민화의 주제들을 학자들마다 분류한 것을 보면 사상과 신앙, 용도와 기법, 재질, 주제, 소재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를 하였다. 민화 연구가 조자용은 20가지로 분류 하였으며 김호연의 분류에 따르면 36가지에 달한다 (Jung, 2012). 민화는 근본이 전통 회화이므로 전통적 인 분류 방식대로 소재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남아 있 는 민화의 상황을 반영하여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Table 1>은 민화를 유형별로 나누고 주 제별로 세분화한 것으로(Jung, 2012), 민화를 화조화, 인물화, 문자화, 산수화, 문방화, 누각화로 나누었다. 화조화가 포괄하는 자연의 범위는 매우 넓으며 이를 유형별로 나누면 다섯 가지가 된다. 꽃만 그리는 화훼 도, 새와 동물을 그린 영모도, 물고기를 비롯한 해물 을 그리면 어해도, 풀벌레와 야생화를 그리면 초충도, 과일이나 채소를 그리면 소과도다. 인물화 중에는 고 사인물화가 가장 많으며 풍속화, 종교화, 기록화가 있 다. 민화의 인물화는 단순한 감상용보다는 교훈을 얻 을 수 있는 인물화가 유행했다. 문자화란 한자가 갖고 있는 이미지와 스토리의 특성을 활용한 그림으로 길 상 문자도, 유교 문자도, 비백서로 나뉜다. 민화 산수 화로는 소상팔경도, 금강산도, 무이구곡도와 성도나 지도가 있다. 문방화는 서가와 책을 그린 그림과 문방 구를 그린 그림으로 나누어진다. 끝으로 누각화는 건 물 그림으로 민화로 제작된 누각화는 대부분 사당을 그린 그림이다.

    민화의 소재는 각각 상징성을 지니는데, 상징성에 따라 의미를 크게 벽사(辟邪), 기복(祈福), 교화(敎化) 의 대분류로 나누어 보면 다음 <Table 2>와 같다(Kim, 2012).

    본 연구에서는 화조화를 중심으로 민화에 표현된 사물의 상징성을 정리하여, 이야기가 있고 소망이 담 긴 패션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모티브를 선별,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Table 1>의 주제에서 나타나는 각 소재 중 연구에 활 용된 소재들이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정리한 것이 아래 <Table 3>이다. 호랑이는 벽사와 산신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용은 자손의 번영, 까치는 손님, 귀한 인 물, 운수대통, 행운을 상징한다. 물고기는 여유, 풍요, 출세, 입신양명을 의미하며 나비는 기쁨, 사랑, 부부 금슬, 부귀영화, 장수를 상징한다. 민화에서 가장 많 이 보이는 모란은 부귀영화, 번영, 국태민안, 태평성 대, 행복, 임금, 미인을 상징하며, 백합은 소원성취와 평안, 장수, 만복을 상징한다.

    2. Fashion cultural products

    문화 상품은 유형의 상품뿐 아니라 무형의 상품까 지 그 범위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재료의 종 류와 제작 방법이 다양하고 여러 가지 재료를 복합적 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정확한 기준을 세워 일률 적으로 문화 상품을 분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일반적으로 문화 상품을 산업별로 분류한 것을 살펴 보면 첨단문화산업, 문화관광산업, 지역축제 및 이벤 트 산업, 조형예술 산업, 생활문화 산업으로 분류되 며, 패션 문화 상품은 생활문화 산업으로 분류되어 있 다. 또한 문화관광부에서는 패션 관련 문화 상품을 섬 유공예 문화 상품으로 포함시킨 바 있다.

    패션 문화 상품 정의에 대한 선행 연구자들을 살펴 보면 Hong, Jang, Hyoun, and Kim(2001)은 국가 또는 지역의 문화적 요소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상품, Lee, Kim, and Lee(2005)는 한국 문화의 특성을 반영 한 상품으로서, 의류, 패션잡화, 관광기념품 티셔츠 또는 모자, 보석, 또는 액세서리, 한복 또는 생활한복, 그리고 섬유 공예품으로 정의하였다. Hyun and Bae (2007)는 자국의 전통문화나 이미지에 당시의 트렌드 가 반영된 직물을 이용한 상품, Cho(2007)는 전통적 요소와 한국의 현대적 이미지까지 포함하는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패션 상품이라 정의하였고, Jeong (2011)은 국가 및 지역이 지향하는 전통적, 문화적, 상 징적, 현대적, 독창적 요소가 결합된 패션 상품이라 정의하였다. Song(2012)은 패션 상품을 문화적 정체 성과 패션 상품으로서의 기능적 경제적 영역을 동시 에 구현한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정의하였다.

    선행 연구자들의 패션 문화 상품의 정의는 전통문 화의 요소나 이미지를 활용하여 트렌드가 반영된 문 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며, 패션 상품으로서의 기능과 경제적 영역을 동시에 구현한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패션 문화 상품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들은 생활한 복 또는 티셔츠 등과 같은 의류, 스카프, 넥타이, 손수 건, 가방, 지갑 등과 액세서리류이다. 다음 <Table 4> 는 패션 문화 상품을 품목별 종류를 분류한 것이다.

    3. Pri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Korean folk painting

    우리 민족의 정서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그림인 민 화를 이용한 선행연구들은, Oh(2009)는 ‘민화의 이미 지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화조도를 중심으 로’, Lee and Lee(2011)는 ‘한국 전통 화조도 문양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연구’, Song(2013)은 ‘조선 민화의 연화를 활용한 드레스용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연구’와 같이 민화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텍스 타일 패턴을 디자인한 연구가 있으며, Kwon(2012)의 ‘전통 민화를 활용한 벽지 디자인 패턴 개발 연구’는 민화를 활용하여 벽지 패턴을 디자인한 연구이다. Jeong(2014)의 ‘신사임당의 예술 작품을 활용한 스카 프 직물 디자인 개발 및 제작: 초충도를 중심으로’와 Jung(2019)의 ‘조선 시대 민화를 응용한 스카프 디자 인 개발: 화조화를 중심으로’는 민화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에 대한 연구이다. 민화를 문화 상품에 활용한 선행연구로는 Jeong(2004a), Jeong(2004b)의 ‘연꽃 문 양을 이용한 직물 디자인 개발 및 문화상품 제작(I), (II)’, Seo(2007)의 ‘문화정체성이 반영된 문화 상품에 관한 연구-민화를 이용한 한지지 함 디자인 중심으 로’, Hyun and Bae(2007)의 ‘패션 문화상품의 전통 문 양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와 Jang(2012)의 ‘조선시대 민화 <연화도>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 상품 개발’ 등이 있다.

    위와 같이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화조도를 중심으 로 한 연구에서도 한 가지 모티브만을 활용하여 패턴 과 문화 상품을 개발하거나 또는 민화의 기존 그림 전 체를 그대로 활용하여 스카프에 디지털 프린트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었다. 문화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에 서도 민화의 이미지를 직접 하나하나 그리거나 공예 기법으로 제작하는 연구만이 선행되었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화조도 중에서 작품에 표현된 빈도수가 많 고 상징성이 서로 어울려 이야기가 있는 디자인 개발 이 가능한 디자인 모티브를 선별, 디지털화하여 다양 한 디자인으로 변형 가능한 데이터베이스화하고자 한 다. 디지털화한 디자인 모티브들을 적용하여, 패션 문 화 상품 중 패션 액세서리에 속하며 장식성이 강하고 의류와 매치하기 좋아 선물용으로 적당한 넥타이와 스카프를 이야기가 있는 제품으로 디자인을 개발하고 자 한다.

    III. Research Method

    연구 방법으로는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검색 등을 통하여 민화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민화의 장르와 유형을 조사하고 각 유형에 나타나는 주제들을 분류 하였다. 또한 민화의 소재들이 나타내는 상징성에 대 하여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 개발을 하고 자 하는 패션 문화 상품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 구를 조사하였다.

    민화에 대한 이미지 자료들을 국내 출판 도서, 민 화 도록, 화보집 등을 통하여 수집한 후 이미지들을 유형별로 분류, 스캔하였으며 스캔한 이미지들은 화 조화를 중심으로 화훼도, 영모도 그리고 초충도로 분 류하고 민화에 표현된 디자인 모티브들을 분리하여 포토샵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보정 하였다. 분리 보정 한 민화의 디자인 모티브들은 민화의 의미별로 분류 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패션 문화 상품의 종류에 적합한 디자인을 다양하게 디지 털 시뮬레이션하여 시제품 제작 전 결과물에 대하여 모티브의 재배치와 색조 배합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민화에 관련된 각종 서적과 도록, 선행연구, 회화 그림,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하여 화조 화를 30점 수집하였고, 수집된 민화의 그림 이미지에 서 꽃, 동물, 조류, 물고기, 소과, 등의 모티브를 어도 비 포토샵(Adobe Photoshop)을 사용하여 개체를 분리 하고 색도를 정리하여 디자인화하였다. 분리된 모티 브들을 이용하여 패션 문화 상품 중 장식성이 크며 디 자인 콘셉트나 가치관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패션소품 종류인 스카프와 넥타이의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IV. Results and Discussion

    1. Creation and description of design work

    1) Necktie design

    넥타이는 남성 패션 액세서리의 하나이며 장식성 이 강한 품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넥타이는 남성들 이 자신들의 취향을 나타내거나 남성 패션에서 유행 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패션 소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민화의 호작도와 어변성룡도의 디 자인 요소를 적용하여 상징성과 이야기가 있는 넥타 이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1) Design I

    민화하면 까치호랑이가 떠오를 만큼 까치 호랑이 는 우리나라 민화를 대표하는 주제이다. 우리 민족은 호랑이를 좋아하고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단군신 화에도 등장할 만큼 우리민족과 깊은 관계가 있다. 우 리는 호랑이를 권위적인 면과 친근한 면의 양면으로 인식하는데 민화에서 표현된 이미지는 후자의 이미지 가 더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원래 까치호랑이의 상징은 벽사와 길상이다. 그래 서 우리 선조들은 정초가 되면 대문이나 집안 곳곳에 호랑이 그림을 붙였으며, 조선 시대에도 호랑이는 삼 재를 막아주는 동물로 여겼다. 호랑이는 액막이의 상 징이고 까치는 기쁨의 상징이었다.

    넥타이 디자인 I은 신재현의 까치호랑이 그림에서 (Jung, 2011) 호랑이와 까치를 디자인 모티브로 취해 넥타이를 디자인하였다. 다음 <Table 5>는 디자인 전 개 과정을 보여준다.

    호랑이와 까치를 인화의 특성 중 하나인 추상성이 잘 표현되도록 모티브화하여 반복적으로 배치, 직물 도안을 완성하였고, 100% 실크 트윌에 디지털 텍스타 일 프린팅(DTP)하여 실물을 제작하였다. 다음 <Fig. 1>은 실물 제작된 넥타이 사진이다. 이 디자인은 호랑 이의 모티브를 민화의 특성을 잘 표현해 줄 수 있도록 해학적이고 추상적으로 표현하여 민화 까치호랑이가 상징하는 벽사와 길상의 의미가 그대로 전달되도록 넥타이 전면에 반복성 있게 디자인하였으므로, 연말 연시 선물용으로 나쁜 기운을 막아주고 좋은 일이 많 이 생기라는 의미라는 스토리텔링으로 마케팅을 하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2) Design II

    어변성룡도(魚變成龍圖)는 잉어가 용으로 변한다는 고사를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약리도(躍鯉圖), 어도 용문도(魚跳龍門圖), 등용문도(登龍門圖)라고도 부른 다. 잉어가 용으로 변한다는 고사는 360마리의 잉어 가 황하를 거슬러 올라 산시성 하진에 있는 용문에 다 다를 때쯤이면 새끼를 낳아 3,600여 마리가 되고, 그 가운데 가장 용맹하고 신령스러움을 갖춘 한 마리 잉 어만이 용문을 통과하여 용이 된다는 것으로 중국의 약리도는 매우 현실적이고 설명적이다.

    그런데 조선 시대 민화에서는 잉어가 용문으로 들 어가는 모습이 아니라 태양이나 여의주를 품으려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용문으로 들어가야 용이 된 다는 현실적 발상이 해를 품어야 용이 된다는 우주적 인 발상으로 재해석되었다.

    넥타이 디자인 II는 19세기에 그려진 용호도에서 (Jung, 2011) 용을 연구자가 직접 그린 약리도에서 잉 어의 모티브를 추출, 색상대비가 뚜렷한 민화의 특성 을 살려 그래픽화하여 넥타이 디자인을 하였다. 잉어 에 비해 용의 모티브를 약간 크게 디자인하여 잉어가 변하여 용이 되는 어변성룡의 그림 이미지가 잘 전달 되도록 직물 도안을 완성하였다. 직물 도안은 100% 실크 트윌에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TP)하여 실물 을 제작하였다. 다음 <Fig. 2>는 실제 제작된 넥타이의 작품 사진이다. 어변성룡도의 민화적 의미가 합격과 출세를 상징하고 용은 자손의 번영을 물고기는 풍요, 출세와 입신양명을 상징하므로, 시험을 앞두고 있는 수험생이나 취업을 준비 중인 준비생들에게 응원의 의미를 담은 선물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 래 <Table 6>은 넥타이 디자인 II의 전개 과정을 보여 준다.

    2) Scarf design

    스카프는 장식과 보온, 보호의 역할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크기와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넥타이와 함 께 패션 문화 상품의 종류 중 대표적인 품목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세계 유명 패션 브랜드들은 매 시즌 자사의 디자인 콘셉트나 가치관 등을 나타내 는 스카프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수년 전부터 세계적인 스카프 브랜드들은 에콜로 지풍의 디자인을 연속적으로 내놓고 있다. 에콜로지 풍 디자인을 살펴보면, 섬세한 꽃문양이 주를 이루며 동물이나 나비 문양과 조화를 이루기도 하고 식물 모 티브를 도형화하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민화의 화훼도와 화접도 등을 활용하여 스카프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1) Design I

    우리나라 미술뿐 아니라 민화에서도 가장 많이 만 나는 꽃이 모란이다. 궁궐, 사찰, 민가에도 모란의 이 미지는 도처에 나타난다. 기쁨과 슬픔, 어느 한 정서 에 한정되지 않는 꽃이 모란이다.

    모란은 행복을 가져다주는 꽃이며 길상화(吉相花) 를 대표하는 꽃이다. 모란은 꽃 중의 왕으로서 부귀를 상징한다. 또한 모란은 임금을 상징하며 절세미인을 상징하기도 한다. 왕의 권위와 더불어 부귀를 상징하 는 모란은 궁중의 그림이나 문양 소재로 많이 쓰였을 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사랑을 듬뿍 받았다. 왕실의 가 례, 책례와 민간의 혼례 때와 아울러 제례나 상례와 같은 때에도 널리 사용했다. 모란은 삶과 죽음을 모두 축복하는 상징이었던 것이다.

    스카프 디자인에 같이 사용한 백합은 순수한 우리 말로 나리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흰 백합은 순결과 희생 그리고 순수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민화에 서는 ‘소원성취’와 ‘평안’, ‘장수’, ‘만복’을 상징한다.

    나비는 원래 현실과 꿈을 이어주는 매개체이다. 장자에 나오는 ‘나비의 꿈’이 바로 그것이다. 민화 의 화접도에 등장하는 나비 그림은 남녀의 사랑 이야 기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꽃은 아름다운 여인에 비 유되고 나비는 그 꽃을 사모하는 남정네로 비유되었 다. 민화에서 나타나는 나비의 상징은 기쁨, 사랑, 부 부 금실, 부귀영화, 장수로 표현된다.

    스카프 I은 신명연의 백합(Lee, 2005)과 연구자의 화접도에서 각각 백합, 모란과 나비의 이미지를 모티 브로 사용하고 그래픽화하여 디자인하였다. 디자인된 스카프는 2021년 Panton color, S/S의 색 중 메리골드 (marigold)와 세루리안(cerulean) 두 가지로 완성하였 다. 다음 <Table 7>은 스카프 디자인 I의 전개 과정을 보여준다. 모란, 백합과 나비를 다양한 모티브가 하나 의 화면에 나타나는 민화의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도 록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민화의 상징성을 잘 표현하 면서도 현대적으로 해석한 에콜로지풍으로 디자인하 였다. 모란, 백합, 나비가 공통적으로 상징하는 것이 부귀영화와 장수를 의미하므로 이 스카프는 어른들께 선물하면 좋은 상품으로 개발하였다. 디자인 모티브 의 위치는 대각선으로 배치하여 정사각형 스카프를 대각선으로 접어 사용하는 경우 디자인 요소가 잘 보 일 수 있도록 하였다. 100% 실크 트윌에 두 가지 색 상으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TP)하여 실물을 제 작하였다. 다음 <Fig. 3>은 실물 제작된 스카프 작품의 사진이다.

    (2) Design II

    스카프 디자인 II는 조선 시대 나비 그림으로 유명 한 남계우의 꽃과 나비 작품을 이용하였다(Jung, 2017). 디자인 모티브는 민화의 화풍을 그대로 살려 사용하고 모티브를 반복과 복합을 통하여 스카프 디 자인의 배치만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다음 <Table 8>은 스카프 디자인 II의 전개 과정을 보여준다. 민화 에서 꽃에 날아드는 나비 그림이 나타내는 상징은 부 부의 금실을 의미하는데, 스카프의 디자인 II는 꽃을 원으로 배치하고 그 주변에 나비들이 날아다니도록 디자인하여 나비는 꽃을 사모하는 남정네를 상징하는 민화의 상징을 잘 나타내며, 에콜로지풍이면서 부부 의 금실과 사랑이 표현되도록 작업하였다. 이 스카프 는 꽃과 나비의 상징성인 부부의 금실과 사랑을 의미 하며 결혼기념일용 선물이나 신혼부부에게 선물하기 알맞은 제품으로 개발하였다. 100% 실크 트윌에 두 가지 색상으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TP)하여 실 물을 제작하였다. 다음 <Fig. 4>는 실물 제작된 스카프 작품의 사진이다.

    V.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민화에 나타나는 디자인 모티브를 사용하여 패션 소품인 넥타이와 스카프 디자인을 개 발하였다. 단순한 상품이 아닌 재미와 이야기가 있는 넥타이와 스카프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민화에서 나 타나는 소재들의 상징성을 분류하여 그중 귀신을 쫓 고 액운을 막아주는 벽사, 기복과 장수를 기원하는 기 복의 의미를 갖는 소재들을 중심으로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였다.

    넥타이 디자인은 까치호랑이도, 용호도와 약리도를 활용하여 모티브를 완성하고 그 모티브들을 배치하여 직물 도안을 완성하였으며, 실크 트윌에 디지털 텍스 타일 프린팅(DTP)하여 두 가지 디자인으로 실물을 제 작하였다. 넥타이 디자인 I은 민화의 까치호랑이도에 서 까치와 호랑이를 민화의 특성 중 하나인 추상성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모티브화하여 디자인하였다. 우 리 민족은 신앙의 대상으로 삼을 만큼 호랑이를 좋아 하는데, 호랑이는 액막이의 상징이고 까치는 기쁨의 상징이었다. 이렇듯 까치호랑이가 벽사와 길상의 의 미가 있으므로 해학적으로 표현된 호랑이와 까치를 반복적으로 디자인하여, 민화 까치호랑이도를 연초에 집 문 앞에 붙였던 풍습처럼 연말연시 나쁜 기운을 막 고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길 바란다는 스토리텔링으로 마케팅하기 적합한 작품이다.

    넥타이 디자인 II는 약리도에서 잉어와 용호도에서 용을 모티브화하여 디자인하였다. 잉어가 용문으로 들어가 용이 된다는 고사를 담고 있는 어변성룡도가 합격과 출세를 상징하므로, 용의 모티브를 넥타이 중 앙에 배치하여 민화의 특성 중 상징성이 잘 표현되도 록 하였고 어변성룡도를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넥타이 로 시험을 앞둔 수험생이나 사회초년생들에게 응원의 의미를 담은 선물용으로 적합한 디자인이다.

    스카프 디자인은 세계적인 유행인 에콜로지풍의 디자인에 알맞은 우리나라 화훼도와 화접도 등을 활 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스카프 디자인 I은 우리 나라 미술과 민화에 가장 많이 보이는 모란꽃을 디자 인에 활용하였는데, 모란은 행복을 가져다주는 꽃이 며 길상화를 대표하는 꽃으로 부귀를 상징한다. 디자 인에 활용된 자료는 신명연의 백합 그림과 연구자의 화접도에서 각각 백합, 모란과 나비를 모티브화하여 디자인하였다. 백합은 소원성취, 평안, 장수, 만복을 상징하며 나비는 기쁨, 사랑, 부부 금실, 부귀영화, 장 수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스카프 디자인 I은 모란과 백합과 나비를 우리나라 민화가 보여주는 특성처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부귀영화와 장수를 의미하는 스 토리텔링으로 어른들에게 선물하기 적합한 디자인으 로 개발하였다. 실크 트윌에 두 가지 색상으로 DTP하 여 실물을 제작하였다.

    스카프 디자인 II는 남계우의 꽃과 나비라는 작품 을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작품은 꽃을 원형으로 배치하고 주변에 나비가 날아들도록 디자인하여, 꽃 에 날아드는 나비가 미화에서는 부부의 금실과 사랑 을 상징하므로 민화의 상징성을 잘 살려 젊은 부부들 에게 선물하기에 알맞은 디자인으로 개발하였다. 이 작품도 실크 트윌에 DTP하여 실물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 패션 문화 상품과 달리 우 리 민화의 소재들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을 통하여 우 리만의 이야기가 있는 패션 문화 상품을 디자인하였 다. 물론 경쟁력이 있는 패션 문화 상품이 되기 위해 서는 다양한 마케팅과 브랜드의 이미지메이킹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되나, 이번 연구 결과로 민화의 유형별 의미의 분류와 민화에 나타나는 구성 요소의 종류별 정리, 데이터베이스화가 이루어져 민화를 활용한 다 양한 연구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창작된 현대 민화들은 다시 디지털화하여 데이 터베이스로 축적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순 순환 과정은 우리나라 전통 예술혼이 담겨 있는 민화 의 디자인 요소들을 활용하여, 보다 다양하고 손쉽게 상품화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품의 디 자인과 종류에 따라 디지털상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변형 가능하므로 상품의 유행 주기가 짧고 다품종 소 량화되는 현대의 추이에 알맞게 디자인의 개발이 가 능할 것이다.

    또한 패션 문화 상품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문화 상 품 등 다양한 상품군에서 우리 전통 예술이 현대적으 로 해석된 상품들이 세계 시장에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닌 전통문화 상품으로 개발되어, 우리나라 고유의 브랜드들이 개발되고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패션 문화 상품뿐 아니라 가구 디자 인, 인테리어 디자인 등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 확장 적용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Figure

    RJCC-30-5-689_F1.gif

    Necktie design I

    RJCC-30-5-689_F2.gif

    Necktie design II

    RJCC-30-5-689_F3.gif

    Scarf design I

    RJCC-30-5-689_F4.gif

    Scarf design II

    Table

    The genres and subjects of Korean folk painting

    The classification by symbolism of Korean folk painting

    Symbolic meaning of material represented in Korean folk painting

    The kinds by item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process of design I expansion

    The process of design II expansion

    The process of design I expansion

    The process of design II expansion

    Reference

    1. Cho, J. Y. (1972). The flavor to Korean folk painting. Seoul: Britanica.
    2. Cho, Y. (2007). Foreign visitors’ attitude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 Hong, H. S. , Jang, A. R. , Hyoun, J. E. , & Kim, H. M. (2001). Tourism market segmentation in Cheju island based on fashion image of clothing souvenir and characteristics of sub-seg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2), 303-314.
    4. Hong, S. H. (2009). A study on the expressivity and formative consciousness of Korean folk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5. Hyun, S. H. , & Bae, S. J. (2007).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patter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8), 1251- 1261.
    6. Jang, H. J. (2012).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Minhwa of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lotus flower pain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5), 59-72.
    7. Jeong, J. S. (2004a).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and the manufacture of cultural merchandise by using lotus flower patterns (I) -For researching lotus pattern materials and examples of cultural merchandis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6(2), 135-143.
    8. Jeong, J. S. (2004b).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and the manufacture of cultural merchandise by using lotus flower patterns (Ⅱ).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6(4), 421-426.
    9. Jeong, J. S. (2014). Development of scarf textile design and the scarf-making by using art works of SHIN SA-IM-DANG -Focusing on grass and insect paint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8), 84-94.
    10. Jeong, J. Y. (2011).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goods using Baekje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buyer’s charateris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11. Jung, B. M. (2011). 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 [A rebellion of unknown painters, Minhwa]. Seoul: Dahal Media.
    12. Jung, B. M. (2012).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 적인 [Minwha, the most popular and Korean]. Paju: Dolbegae.
    13. Jung, B. M. (2017). 민화는 민화다 [Folk painting is folk painting]. Seoul: Dahal Media.
    14. Jung, S. H. (2019). The study on development of scarf design by applying the folk painting in Chosun dynasty. Journal of Fashion Design, 19(1), 129-146.
    15. Kim, C. S. (1991). 한국민화논고 [Korean folk painting paper]. Seoul: Yekung Industrial Co.
    16. Kim, H. Y. (1976). 한국의 민화 [Korean folk paintings]. Seoul: Youlhwadang.
    17. Kim, K. H. (2012).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cultural products using traditional paintings -Focused on the storytelling and appling character development of the folk pain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3), 33-46.
    18. Kim, Y. J. (2015, May 15). 샤넬, 한국을 담다! 서울 에서 열린 2015/16 샤넬 크루즈 컬렉션 [Chanel to capture Korea! 2015/16 Chanel cruise collection in Seoul]. Koreancontent. Retrieved December 4, 2020, from https://koreancontent.kr/2390
    19. Kwon, M. K.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wallpaper design pattern through folk-painting.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5(2), 11-22.
    20. Lee, D. E. (2019, February 13). 에르메스 보자기, 뤼 이뷔통 태극기 코트...한국에 빠진 명품 [Hermes Bojagi, Louis Vuitton Taeguekgi coat... Korean wave in luxury brands]. JoongAng Ilbo. Retrieved December 4, 2020, fr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365260
    21. Lee, D. J. (1972). 한국회화소사 [A short history of Korean painting]. Seoul: Seomoondang.
    22. Lee, J. H. , Kim, M. J. , & Lee, J. M. (2005).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high-value-added cultural fashion produc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7), 968-977.
    23. Lee, W. B. (2005). 한국미의 재발견–회화 [Rediscovery of Korean beauty-painting]. Seoul: SolBook Centre.
    24. Lee, Y. S. , & Lee, J. E. (2011). A study of textile designs with traditional Korean painting of flower and bird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1), 113-123.
    25. Lim, D. B. (1997). 민화란 무엇인가 [What is folk painting]. Seoul: Seomoondang.
    26. Minwha. (2020). In STDICT. Korean. Retrieved November 3, 2020, from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Minwha
    27. Oh, R. K. (2009). A study of textile design using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 -With the focus the flowers and bi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8. Seo, Y. J. (2007). A study on culture products with the reflection on cultural identity -Focusing on the design on Korean paper carton using the folk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9. Shin, H. K. (2018, October 13).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 [The most Korean thing is the most global thing] [Blog Post]. The One Who Draws Minhwa. Retrieved December 4, 2020, from https://blog.naver.com/ilmale_k/221376228941
    30. Song, H. Y. (2013). A study on textile pattern design for women’s dress using the lotus of Joseon folk paint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 199-207.
    31. Song, M. J. (2012). A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goods design web contents applying Gaya rel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