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4 pp.608-63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4.608

Intellectual structure and research trends of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Yeong-Hyeon Choi, Mi-Hwa Choi*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Adjunct Professor, Dept. of Fashion Market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oonjong97@hanmail.net)
July 27, 2022 August 14, 2022 August 19,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itations and the research trends of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RJCC) using bibliometric and network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JCC has been cited by a greater number of journals and high-reputation journals today. The RJCC has been mentioned in global academic journals in various fields, and it has been noted the most in environmental science. Second, because of examini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RJCC over the past three years (2019–2021),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opics was evenly distributed in various subfields of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or. The RJCC principally deals with traditional clothing, ethics and sustainability, and technology, which means that the RJCC reflec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using the Wakita-Tsurumi algorithm, the subjects of ethical fashion and sustainability were derived from the subdivisions of the RJCC. This suggests that the RJCC is a journal specialized in ethical fashion and sustainability sectors such as environmental, animal, and labor ethics. This study outlined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cloth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RJCC’s influence chan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itations. In addition, it is academ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identifies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structure changes in the apparel science field by identifying changes in research keywords and significant research topics by sector.



<복식문화연구>의 지적구조와 연구동향
- 계량정보학적 양적 접근과 의미연결망의 질적 접근 -

최 영 현, 최 미 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초빙조교수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전공 겸임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학술지는 연구자의 성과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지 표로, 학술지의 질은 연구자들에게는 고용, 재고용, 승 진, 포상,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Bornmann, Marx, Gasparyan, & Kitas, 2012). 또한, 학회에게 학 술지의 질은 학회의 이미지 제고, 학회의 운영 및 규모 확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학술지 의 질은 인용빈도와 같은 양적 기준과 논문 주제의 다 양성과 같은 질적 기준이 복합적으로 더해져 평가된다. 인용빈도는 학술지의 품질과 영향력에 대한 대표적인 객관적 지표로 사용된다(Retzer & Jurasinski, 2009). 후 속 출판물에서 논문이 인용되는 빈도를 추적함으로써, 개인, 학술지, 학문영역의 상대적 영향을 확인하고 다 양한 연구 분야의 구조를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Garfield & Welljams-Dorof, 1992).

    특정 학문 분야에서 새로운 개념이 창조되어 그 개 념이 학자들 사이에 받아들여지는 과정은 보이지 않 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지적구조(intellectual structure) 혹은 연구 네트워크(research network)라고 한다(Chang, 2022). 학문영역의 지적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용 정보, 서지 정보, 웹링크 정보를 수집 하여, 통계적 분석이나 연결 관계(network) 분석과 같 은 정보학적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에 대한 파악은 학문영역 및 학술지의 질적 향상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작업이며, 이 를 통해 학문영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련 분야의 지식의 격차를 해결할 수 있다(Wang, Zhao, Mao, Zuo, & Du, 2017).

    텍스트 서지 정보는 제목, 초록, 키워드, 학술지와 같은 질적 정보를 제공하며,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의 주제나 연구방법에 대한 패턴 및 경향성 분석에 사용 한다(Seo, Choi, Oh, & Lee, 2019). 연구동향과 지적 구조의 변화를 도출하는 방식은 빅데이터 분석에서의 접근과 비슷하며, 불확실한 현상을 확인하거나 이전 에 발견하지 못했던 패턴을 새롭게 찾아낼 수 있다는 통찰을 제공한다는 특징을 가진다(Choi & Lee, 2020).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인용 정보 및 서지 정보 분석에 활용하여 특정 기간에 출판된 연구 활동의 현 황 및 연구주제의 영역분포와 변화 추이와 같은 학문 적 구조와 변화를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학문 분야에서 계량정보학적 인용 분석 및 관계 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Zhu & Park, 2019), 국내 의류학 분야에서도 이를 이용하여 학술 분야의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Lee and Lee(2019), Seo et al.(2019)의 연구에서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학술지에 게 재된 논문의 시기별, 영역별 연구주제와 지적구조 변 화를 확인하였으며, Seon, Kim, Lee, and Lee(2019)의 연구에서는 학술지 간의 인용-피인용 관계 분석을 통 해 학술지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Choi, Jeong, and Lee(2021)의 연구에서는 패션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시기별, 영역별 지적구조의 변화를, Dabas and Whang(2022)은 지속가능한 패션 소비에 대한 방법론 별, 변수별 연구동향을 살펴본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류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인 “복식문화연구(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RJCC)”의 인용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다. RJCC는 복식문화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로 1993년 4월 창간호부터 연 6회 발간되고 있다. 2021 년 12월 기준으로 총 1,563편(연평균 7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의류학 및 관련 학문 분야의 학술연구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패션의 사회적 책임, 포 스트 코로나 시대의 패션 산업, 뉴노멀 시대의 패션과 같은 시의적절한 주제의 학술대회, 세미나 등을 개최 함으로써, 의류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사회적 이슈와 새로운 연구동향을 이해하고,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복합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계량정보학적 분석이나 의미연결망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동향이나 지식구조 분석에 사용되 고 있으나, 양적․질적 분석을 융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량정보학적 측면 에서 의류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인 RJCC의 지적구조 (인용관계)를 알아보고, 정성적 측면에서 네트워크 분 석을 통해 RJCC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 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Seo et al., 2019;Seon et al., 2019)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RJCC의 지적구조 및 연구동향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의류 학 분야 학술지인 RJCC의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Background

    1. Bibliometrics

    계량정보학(bibliometrics)은 특정한 분야의 학술적 속성과 변화 등에 대해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인용지표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Zhu & Park, 2019). 명시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묵시적인 데이터 까지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과학적 지식정보, 웹의 구조정보 및 이용정보 등에서 얻어지는 각종 지 식 개체들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Chang, 2022). 이 학문의 목적은 논문과 단행본 등의 학술 문헌의 다양한 정보적 측면을 측정하고, 발 생되는 패턴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특정 분야의 지적 성격과 발전과정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Diodato, 1994;Pritchard, 1969). 이러한 계량정보학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출판 및 인용 횟수, 동시 인용 분석, 공통 어 분석, 과학적 매핑 등과 같은 내용을 분석하고 있 다(Thanuskodi, 2010).

    연구자들은 인용문을 통해 지적 근거를 들게 되며, 인용들을 통해 학문의 지적구조가 형성된다(Durisin, Calabretta, & Parmeggiani, 2010). 인용 패턴으로 나 타난 네트워크 구성원 간의 교류는 해당 분야의 지적 역사를 보여준다(Culnan, O’Reilly III, & Chatman, 1990). 즉, 인용은 문헌을 연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그 인용을 통해 다른 연구자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과 정에서 지적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Lee, 2016). 인용을 통한 아이디어의 순환은 각 학문 분야에서 지 식의 개발, 보급 및 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 한 순환 시스템에서 아이디어의 근본적인 경로를 추 적하는 학문의 지적구조는 참고문헌과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Hoffman & Holbrook, 1993).

    국내 학술지들은 인기도(영향력) 및 명성 기반 지 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보여, 학술지들이 국 제적인 명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 전략은 인용을 채택 해야 한다(Kim, Huh, & Chu, 2014). 따라서 학술지에 게재되는 논문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국제적 학술 지로 도약하기 위해 해외 연구자들의 학문적 관심, 요 구사항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 는 선행연구(Seon et al., 2019)를 바탕으로 RJCC의 계량정보학적 인용 분석을 통해 의류학 연구의 지적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고, RJCC의 연구들이 국제적 학술지로 확산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이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 Semantic network analysis

    특정 학문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는 학문의 지적구 조라고도 하며(Chang, 2022), 정보 속에 숨겨져 있는 특별한 유형의 패턴을 찾아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 록 가시적인 구조로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 네트워크 구조를 표현하는 단계는 원자료 추출, 분석단위 결정, 빈도 및 중심성 산출, 시각적 표현의 단계로 분석이 진행된다. 연구 네트워크의 분석 기법으로, 키워드 동 시 출현단어, 논문 동시 인용 분석, 저자 동시 인용 분 석 등이 있다(White & Griffith, 1981).

    본 연구에 사용된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은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에서 대상이 사 람이 아닌 메시지에 적용한 방법으로(Mitchell, 1969;Wasserman & Faust, 1994), 텍스트 내 단어들의 사용 빈도와 관계에서 나타난 강조성, 규칙성을 찾아 연결 망의 특징을 도출하는 방법이다(Park & Leydesdorff, 2004). 비정형의 텍스트 데이터를 가공하여 구조화된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고(Kim & Lee, 2019), 단어의 출현 빈도나 동시출현관계, 중심성 등을 토대로 맥락 을 해석하고 있다(Choi & Lee, 2021).

    중심성(centrality)은 네트워크 내에서 노드가 나타 내는 중심적 위치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문서의 맥락 속 각 키워드가 차지하는 영향력을 의미하며, 연결중 심성(degree centrality)은 노드의 연결 정도를 기반으 로 영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Freeman, 1978). 매 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은 직접 연결되지 않 은 노드들을 통제 또는 중개하는 정도로, 매개중심성 이 높을 경우, 네트워크 내 의사소통의 흐름에 영향 을 줄 여지가 많기 때문에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나 통제력이 큰 노드로 해석된다(Abbasi, Hossain, & Leydesdorff, 2012).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은 네트워크 내에서 한 노드가 다른 노드들과 얼마나 가까이에 위치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높은 근접 중심성을 가지는 노드는 네트워크 내에서 협상과 조 정 역할을 수행한다(Kwahk, 2014). 주로 국가나 사람 간의 네트워크 분석에서 많이 사용한다(Ge et al., 2016). 아이젠벡터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은 한 노드에 연결된 노드의 영향력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한 개념으로(Kwahk, 2014), 영향력 높은 소수의 노드와의 연결이 다수의 일반 노드에 연결된 것보다 영향력이 더 크다고 해석하고 있다(Choi & Lee, 2019).

    네트워크의 군집화 분석은 노드들의 연결이 인접 해있거나 동일 경로를 갖는 노드들을 그룹화하여 분 석하는 기법으로(Kim, Choi, & Lee, 2021), 집단성을 분석하는 데 어려운 개별 노드들의 연결 관계를 파악 하는 데 사용한다(Wakita & Tsurumi, 2007). Clauset- Newman-Moore, Girvan-Newman, Wakita-Tsurumi 알고리즘이 대표적이며, 군집화 알고리즘은 전체 네 트워크에서 세부 주제에 대해 범주 추출이 가능하다 는 점에서 연구동향 분석 및 담론 분석에 활용되고 있 다(Choi, Jeong et al., 2021).

    학문의 지적구조 및 연구동향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Dahesh, Tabarsa, Zandieh, & Hamidizadeh, 2020;Lee & Chun, 2021), 논문에 제시되는 중심 키워 드의 사용빈도, 동시출현 단어들로 주요 키워드(node) 의 연결(link) 및 네트워크의 구조(structure)를 분석에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Seo et al., 2019)를 바탕으로 RJCC에 게재된 학술논문에서 서지 정보를 추출하여 의미연결망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RJCC의 학문적 구조와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Ⅲ. Methods

    1. Research questions

    본 연구는 계량정보학적 측면에서 RJCC의 지적구 조를 분석하고, 정성적 측면에서 RJCC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 하였다.

    • 연구문제 1. RJCC의 지적구조를 파악한다.

      • 1-1. 2020년 기준 RJCC의 학술적 영향력 에 대해 알아본다.

      • 1-2. 2020년 기준 RJCC의 학술적 인용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RJCC의 연구동향을 파악한다.

      • 2-1. 2019~2021년 RJCC의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 2-2. 2019~2021년 RJCC의 연구영역별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2.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본 연구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에서 제공하는 학술정보를 활용하였다. KCI는 한국연구재단이 관리하는 국내에서 발행된 학 술지 인용데이터 베이스로, 학술지, 논문 정보 및 참 고문헌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논문 간 이용관계에 대 한 정보를 제공한다. KCI 시스템은 국내 학술지 및 게재논문에 대한 각종 학술정보 제공, 연구자원 관리 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자료와 인용빈도를 통해 해당 학술지의 영향력을 산출할 수 있으며, 특정 주제 분야 에서 학술지의 질적인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KCI, n.d.).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CI 인용데이터를 활용하여 RJCC에서 많이 인용한(citing) 학술지와 RJCC가 많이 인용된(citied) 학술지를 분석 하였다.

    KCI에서는 학술적 영향력 지표로, 기준 연도에 대 한 KCI IF(2년, 3년, 4년, 5년), 중심성지수(3년), 자기 인용 제외 KCI IF(2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RJCC의 학술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KCI (http://www.kci.go.kr)에서 제공하는 인용지수 2020년 을 기준으로 5년간, 3년간 학술지 인용 지표를 이용하 였다. 또한, RJCC를 인용한 해외 학술지를 알아보기 위해 Seon et al.(2019)의 연구에서 분석한 구글 학술 검색(https://scholar.google.co.kr)을 사용하여 최근 3 년간 발행된 논문들 중에서 해외 학술지에 인용된 사 례를 조사하였다.

    RJCC에 나타난 의류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보다 구 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KCI를 통해 RJCC에서 최근 3년간 게재된 논문 총 166편(2019년 50편, 2020년 58 편, 2021년 58편)을 수집하였으며, 논문의 영문 제목, 영문 키워드, 영문 초록을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최근 여러 동향 연구에서 전체 맥락을 고려한 분석을 위하 여 논문의 제목, 키워드, 초록까지 정보 요소로 수집 하여 활용하고 있으며(Dabas & Whang, 2022), 빅데 이터를 활용한 생활과학 분야의 논문들은 시간에 따 른 경향 비교에 약 3년이라는 단위 기간을 자주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 Lee, 2019;Han, 2021;Kim et al., 2021). 본 연구에서는 관련 분야 선행연구 를 바탕으로 최근 3년을 분석 단위로 설정하였다.

    Python 3.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숫자, 조사, 어미 와 같은 불용어(stopwords)를 제거하고, 유의어와 동 의어는 단일 단어로 일원화하였다. 이후, 동시출현 관 계를 기반으로 행렬이 같은 비방향 매트릭스를 구축 하고, 단어 간 중심성(centrality), 연결 관계(edge), 군 집(clustering)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주제 변화에 대한 확인적 분석으로서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QAP 상관관 계 분석은 두 네트워크 간의 관련성을 검정하는 대표 적 기법으로, 퍼뮤테이션 검정의 개념을 이용하여 통 계적 유의성을 검정하는 방법이다(Krackhardt, 1987). 본 논문의 맥락에서 살펴보면, RJCC에 특정 주제어 들이 동시에 출현할 확률이 독립된 관계를 가정하였 을 때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인지를 검정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용 관계 분석과 의미연결망 분 석은 NodeXL 1.0.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Ⅳ. Results

    1.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1) Academic influence of RJCC (as of 2020)

    (1) Citation index analysis

    2016~2020년 RJCC의 학술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대분류 자연과학, 중분류 생활과학 부분의 학술 지 중 의류학 관련 학술지들과 비교하였다. 주요 학 술지는 복식문화연구를 비롯하여, 한국의류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JKSCT), 한국의류산업학회지(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FTRJ), 복식(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KSC), 패션비즈니스 (Journal of Fashion Business, JFB)가 있다. KCI에서 제공하는 학술지 인용지수 2020년을 기준으로 5년간 영향력 지수, 3년간 중심성지수와 2017년 기준 인용 지수(Seon et al., 2019) 결과는 <Table 1>과 같다. KCI IF(KCI Impact Factor)는 영향력 지수로서, 특정기간 동안 한 학술지에 게재된 한 편의 논문을 다른 논문에 서 인용된 평균횟수로 동일 분야 학술지의 상대적 중 요성을 비교 평가하는 지표이다(KCI, n.d.). RJCC의 2020년 기준 5년간 KCI IF는 .660, 2017년 기준 5년 간 KCI IF는 .570으로 이전보다 2020년 기준 영향력 지수가 증가하였으며, RJCC의 자기 인용 제외 KCI IF도 2020년 기준 .560, 2017년 기준 .440으로 이전보 다 2020년 기준 자기 인용을 제외한 KCI IF값도 증 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생활과학 분야의 의류학 영역의 주요 학술지와 비교했을 때 중상위권 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 비해 2020년 기준의 RJCC가 동일 분야 학술지와의 인용관계가 비교적 다 양하고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F가 피인용 횟수라는 한 가지 요인을 고려하는 반 면, 중심성지수(SJR)는 피인용 횟수 외에 학술지를 인 용하는 학술지의 수와 명성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상의 유기적 인용관계를 고려한다(KCI, n.d.). IF를 기 준으로 하는 경우, 해당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 많은 인용을 받으면 되지만, 중심성지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학술지와 명성도가 높은 학술지 로부터, 인용을 많이 받아야 한다는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KCI, n.d.). 2017년 기준(Seon et al., 2019) RJCC의 3년간 중심성지수는 .780으로 나타났 으며, 2020년 기준 중심성지수는 이전보다 높은 .858 로 나타났다. 중심성지수 또한 의류학 영역의 주요 학 술지 중에서는 중위권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Fig. 1>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RJCC의 KCI IF, 중심성지수, 자기인용 제외 KCI IF의 추이를 비교한 것이다. 전반적으로 2016년도에 비해 2020년 도에 모든 항목에서 RJCC의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특히, 중심성지수는 2016년 .710에서 2020년 .850으 로 5년 사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RJCC 가 이전보다 많은 학술지, 명성도가 높은 학술지로부 터 인용되고 있으며, 동종 및 이종 학술지들 사이에서 RJCC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2>는 생활과학 분야 의류학 영역의 주요 학술지 들의 5년간(2016~2020년) KCI IF 변화이다. 5년 전후 를 비교했을 때, 거의 비슷한 수준의 KCI IF를 유지하 는 학회지들도 있는 반면, RJCC는 2020년 들어 영향 력 점수가 더욱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2) Citation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rea

    동일 분야 학회와의 상대적 비교에서 중심성지수 가 크게 향상된 2020년을 기준으로 KCI에서 제공하 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술지 간 인용관계를 분석하 였다. <Fig. 3>은 학술지 간의 인용(citing)과 피인용 (citied) 관계를 방향성 네트워크를 통해 시각화한 것 이다. 연결선의 굵기는 인용 또는 피인용 정도를, 노 드와 연결선은 동종 학문 영역을 의미한다. 2020년을 기준으로 RJCC가 많이 인용한 학술지 분야는 생활과 학(37.5%), 의상(25%), 디자인(12.5%), 경제(12.5%) 순으로 나타났으며, RJCC를 많이 인용한 학술지 분 야는 생활과학(35%), 의상(20%), 체육(15%), 디자인 (10%), 미용(10%) 순으로 나타났다. RJCC는 자연과 학-생활과학 분야 내 의류학 관련 학술지와의 상호 인 용빈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RJCC가 학제 간 융복합 연구를 비롯하여, 체육, 의상, 예술, 미 용, 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의 학술지에서 영향력을 가 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Academic citation relationship of RJCC (as of 2020)

    (1) Citing journals subject category of RJCC

    KCI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RJCC에서 인용한 학술지 분야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영향력 점수가 향상된 2020년 데이터와 10년 전 데이터인 2010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Table 2). 2010년 RJCC가 인용한 학술지 분야는 RJCC와 동일 한 생활과학 분야를 주로 인용하고 있으며, 교육, 디 자인, 미용, 의상, 경영, 심리, 무역, 신문방송, 예술과 같은 다른 분야의 학술지 인용도 빈번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생활과학 분야를 제외하고 상위 20위권 내 학 술지 분포를 살펴보면, 교육학과 경영학 분야의 학술 지가 높은 분포를 보였다. 특히, RJCC의 게재 논문 중 에서도 패션 마케팅, 의상 심리, 교육 과정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2020년 RJCC가 인용한 학술지 분야 또한 2010년 과 같이 동일 분야인 생활과학 분야의 학술지를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그러나 생활과학 분야 인용은 2010 년도에는 66.7%, 2020년도에는 33.9%로 10년 사이에 동일 분야 인용이 감소하였다. 생활과학 분야를 제외 하고 마케팅 및 심리 분야의 인용이 2010년(9.6%)보 다 2020년(1.9%)에 감소한 반면, 의상, 예술, 디자인 분 야의 학술지 인용은 2010년(4.5%)보다 2020년(19.2%) 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 분야의 학술지 인용 도 2010년에는 상위 20위 내에 나타나지 않았으나, 2020년에는 2.5%로 경영, 경제, 심리 분야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10년에 비해 2020년도에 RJCC가 디자인 분야에서 특히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2009년과 2017년을 비교 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2010년과 2020년도 학술 지 인용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2009년과 2017년에 는 생활과학 분야와 의상 분야를 주로 인용하였으며, 심리과학, 예술, 경제학, 공학 등 타 분야의 인용이 빈 번하였으며, 경영학 분야의 학술지들이 20위권에 분 포되었다(Seon et al., 2019). 2010년과 2020년에도 이 전 연구 결과와 같이 생활과학 분야를 주로 인용하고 있으며, 경영학, 공학 분야의 학술지들이 꾸준히 연구 되고 있는 것을 시사하며, 공학 분야와 같은 기술 융 합연구를 통해 학문적 다양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ig. 4>는 최근 3년간(2018~2020) RJCC에서 주로 인용한 학문 분야에 대한 연결망이다. RJCC가 최근 인용한 논문들은 주로 동일 분야인 생활과학 분야가 가장 많았고, 유사 분야인 의상, 디자인, 미용 분야가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다양한 유사 분야의 인용으로 학문적 깊이와 연구 의 품질을 간접적으로 확보한다고 한 Seon et al. (2019)의 연구 결과 같이, 다양한 유사 분야의 인용은 연구의 질적 향상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동일 분야의 인용은 2018년 40.1%, 2019년 32.7%, 2020년 33.9%로, 시간이 지날수록 전반적으 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2018년과 2019년에는 신문방송, 경제, 경영, 학제 간 연구, 무역 분야의 논문들을 인용하였으며, 2020년에는 과학기 술, 컴퓨터과학 분야까지 영역을 확장하여 인용이 이 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RJCC의 논문들이 의류학 분 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면서도, 타 영역과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문적 수용을 보이고 있다고 해 석할 수 있다.

    (2) Citied journals subject category of RJCC

    RJCC 논문을 인용한 학술지의 학술 분야를 알아보 기 위해 학술지의 발행 연도와 인용 연도(발행 다음 연 도)를 바탕으로 KCI에서 제공하는 인용 지표인 2010~ 2011년과 2019~2020년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Table 3), 동일 분야인 생활과학 분야에서 주로 RJCC를 인 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위 20권 이내의 생활과학 분야의 학술지에서 RJCC를 인용한 비율은 2010~ 2011년 46.9%, 2019~2020년 54.2%로 나타나, 10년 전보다 동일 분야에서 더 많은 인용이 이루어지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RJCC의 논문이 생활과학-의 류학 영역에서 이전보다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10~2011년 RJCC의 게재논문들은 유사 분야인 의상 분야에서도 많이 인용되었으며, 타 분야로는 디 자인, 미용 및 피부과학, 사회과학, 경영, 학제 간 연 구, 식품과학, 체육, 국제지역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서 인용되었다. 특히, 디자인과 미용 및 피부과학 분 야에서 RJCC를 인용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RJCC가 패션 디자인, 의복 설계, 외모관리, 뷰티 행동, 메이크업 등과 같이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게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2019~2020년 RJCC의 게재논문들은 생활과학 분 야를 포함하여, 디자인, 학제 간 연구, 체육, 교육, 경 영, 미용, 사회학 분야에서 주로 인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2010~2011년에는 생활과학 분야 다음으 로 디자인과 미용 분야의 인용 비율이 높았으나, 2019~2020년에는 디자인과 학제 간 연구 비율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체공학적 의복 설계, 패턴 개발, 패션사회 트렌드 분석,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 등과 같은 융복합적 연구의 게재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08~2009년과 2016-2017년을 비교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2010~2011년과 2019~2020 년 RJCC를 인용한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2008~ 2009년에는 동일 학문 분야인 생활과학 분야와 의상 분야 연구에 주로 인용되었으며, 타 학문 분야 중 디 자인, 미용, 체육, 관광학 분야에서 인용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16~2017년에도 생활과학 분야와 의상 분야에서 주로 인용되었으며, 타 학문 분야는 감성과 학, 예술, 경영 등 인문사회 과학 분야, 이공계 분야로 이전보다 다양한 학술 분야 연구에 인용되었다(Seon et al., 2019). 이와 같이 2010~2011년과 2019~2020년 에는 2008~2009년/2016~2017년에서 많이 인용된 의 상 분야보다 생활과학 분야 학술지에서 주로 RJCC를 인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 학문 분 야에서는 디자인 및 미용 관련 분야가 꾸준히 인용되 고 있으며, 학제 간 연구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 을 알 수 있다. 2008~2009년/2016~2017년에서는 관 광학 분야 인용비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2010~2011년 /2019~2020년에는 교육 관련 분야에서 인용이 이루어 지고 있었다. 이는 전문성과 시의성을 갖는 연구 주제 의 연구가 게재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질적 수준이 높 은 논문들이 RJCC에 게재됨으로써, 각 학계에 영향력 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근 3년간(2017~2018, 2018~2019, 2019~2020) RJCC를 주로 인용한 학문 분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 기 위해 시각화하였다(Fig. 5). 최근 3년간 RJCC를 인 용한(citied) 분야는 RJCC가 인용한(citing) 분야와 같 이, 동일 분야인 생활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 되었다. 즉, 동일 분야인 생활과학 분야에서 RJCC가 인용된 비율은 2017~2018년 53.2%, 2018~2019년 44.7%, 2019~2020년 54.2%로 나타났다. KCI IF와 중 심성지수 결과와 같이(Table 1), RJCC가 동일 분야인 의류학 영역 내에서도 중심적인 학술적 위치를 가지 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RJCC는 생활과학, 의상 분야 외에도 과학기 술, 컴퓨터과학, 예술, 체육, 감성과학, 사회학, 사회과 학, 관광, 무역, 섬유공학, 산업공학, 경영, 신문방송 학, 교육, 미용, 학제 간 연구 등과 같은 다양한 타 학 문 분야에서 인용되었다. 이는 RJCC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영향력이 의류학을 비롯한 실용 학문 분야에 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3) Cited cases of RJCC

    국내 학술지가 글로벌 저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해외 학자들의 피인용이 요구된다. 그러나 해외 학술 지와 국내 학술지에 대한 인용-피인용 관련 데이터의 제공 시스템이 미비하여 정량적으로 정확한 측정은 어려우나, 구글 학술검색(Google Scholar)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선행연구(Seon et al., 2019)에서 조사한 기간(2014~2018년) 이후인 2019년부터 2021년 3년간 게재된 해외 학술 논문(full text, peer reviewed) 중에 서 RJCC의 연구가 인용된 사례를 조사하였다(Table 4). 또한, 2014~2018년 사이에 게재된 사례는 Seon et al.(2019)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교하고자 한다. 2014~2018년 사이에 게재된 피인용 사례는 8편, 2019~ 2021년 사이에 게재된 피인용 사례는 10편으로, 이전 보다 피인용 사례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RJCC 를 인용한 국제 학술지 분야를 살펴보면, 2014~2018 년과 2019년~2021년 모두 의류학 연구 분야 중 소비 자 행동, 비즈니스 및 유통 관련 학술지에 인용되고 있었다. 반면, 2019년~2021년에는 정보과학, 수학 교 육, 예술, 환경과학, 사회과학, 의료 정보학 등 이전보 다 다양한 분야에서 인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JCC를 가장 많이 인용한 국제 학술지는 환경 과학 분야의 학술지인 ‘Sustainability’로 나타났으며, RJCC 에 게재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지속가능 소비, 윤 리적 기업 및 마케팅에 대한 사례 연구에서 비롯된 것 으로 볼 수 있었다. 이는 시의적으로 중요한 ESG 경 영과 관련된 주제를 RJCC의 연구들이 선행하여 다룬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유통 서비스 로봇(Jeong & Ha, 2020), 헬스케어 의류(Han, 2019), 온라인 쇼핑 (Ha, 2019),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개인 보호 장비 (Park, 2019)에 대한 정보 기술 분야의 연구를 게재함 으로써, 다양한 공학 분야의 논문에 피인용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제적인 학술지에서 RJCC에 게재된 연구들이 어 떠한 용도로 피인용되었는지 살펴본 결과, 2014~2018 년(배경지식 6건, 서론 1건, 측정도구 1건)과 2019~ 2021년(서론 5건, 배경지식 3건, 결론 2건)의 경우 대 부분이 서론과 배경지식으로 피인용되었다. 즉, 연구 에 대한 필요성과 타당성 등을 근거로 제시하는 것으 로 파악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사례연구들이 게재 시 점부터 피인용까지 걸리는 시간을 알아본 결과, 2014~ 2018년에는 평균 3년 정도 소요되었으며, 2019~2021 년에는 평균적으로 1.5년이 소요되어 이전보다 피인 용 기간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RJCC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시의성 및 연구의 품질 향상과도 연관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Research trends of RJCC

    1) Research trends of RJCC (2019-2021)

    (1) Word frequency analysis

    2019~2021년 3년간 RJCC에 출판된 166편의 논 문에서 제목, 키워드, 초록 정보를 수집하여, 출현 빈도 기준 상위 100개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빈도가 20 이상인 키워드의 빈도 및 TF-IDF(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를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5). RJCC는 생활과학 분야의 의류학 영역 의 학술지로, ‘패션’, ‘의류’, ‘의복’과 같은 키워드는 거의 모든 논문에 포함되며, ‘연구’, ‘결과’, ‘분석’, ‘조사’와 같은 키워드가 많은 논문에서 필수적으로 포 함되는 키워드이다. ‘패션’을 비롯한 일상적 키워드는 거의 모든 키워드와 동시출현함으로써 연결중심성값 이 .90 이상으로, 전체 키워드의 90% 이상과 연결을 가진다. 이러한 키워드는 해석에 있어 유의미한 통찰 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상적 단어를 불용어 처리하여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최근 3년간 RJCC에 게재된 논문에서 상위 빈도 및 TF-IDF값을 가진 키워드는 ‘디자인’, ‘브랜드’, ‘소비 자’, ‘특성’, ‘구매’, ‘이미지’, ‘문화’, ‘표현’, ‘스타일’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상위 키워드가 대부분 디자 인과 마케팅 분야와 관련이 있으며, 또한 ‘전통’과 ‘한 복’이 높은 빈도와 TF-IDF값을 가진 키워드로 나타 나, 최근 전통복식과 관련된 연구도 활발하게 수행하 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RJCC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 분석결과, 패션디자인, 의상심리 및 소비자, 패션유통머천다이징, 미학/복식사, 의복구 성, 의류소재, 전통복식 등 전체적으로 학술지 세부 분야에 부합하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다. 또한, 2016~2018년 RJCC에 게재된 논 문의 키워드 분석은 Seo et al.(2019)의 결과를 토대로 비교하였다. 2016~2018년 3년간 게재 논문에 사용된 상위 키워드로는 ‘패션’, ‘디자인’, ‘브랜드’, ‘소비자’, ‘구매’ 등으로 나타나, 2019~2021년 키워드에서 ‘패 션’을 제외하고 분석한 점을 감안하면 상위 키워드와 의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RJCC에 게재 되는 연구의 주제 범위가 일관성이 있어 학술지 정체 성을 잘 드러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주제적 측면에서 ‘지속가능’, ‘환경’, ‘업사이 클’, ‘윤리’, ‘에코’가 주요 키워드로 나타나 ESG 경영 과 같은 윤리적이고 시의적인 주제의 연구들과 ‘기 술’, ‘디지털’, ‘트렌드’, ‘이커머스’, ‘3D’, ‘가상’, ‘스 마트’도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RJCC에 게재된 많은 논문들이 사회적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 하고, 패션과 기술을 융합한 타 영역과의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문적 수용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 주제어를 알아보기 위해, 2019~2021년에 공 통적으로 나타난 상위 빈도 주제어를 네트워크로 시 각화하였다(Fig. 6). 2019~2021년에 공통적으로 나타 난 키워드는 ‘브랜드’, ‘소비자’, ‘구매’, ‘마켓’, ‘온라 인’, ‘유통’, ‘만족’, ‘이커머스’, ‘디자인’, ‘스타일’, ‘한복’, ‘디지털’, ‘현대’, ‘문화’, ‘컬렉션’, ‘지속가능’, ‘윤리’, ‘환경’, ‘소재’, ‘평가’, ‘원단’, ‘패턴’ 등으로 나타났다. 즉, RJCC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연구 유형 은 소비자 행동과 유통, 한국 전통복식, 지속가능 패 션, 패션 컬렉션으로 볼 수 있다.

    (2) Semantic network analysis

    RJCC의 주제적 경향성을 확인적으로 분석하기 위 해, 빈도 기준 상위 100개 키워드를 도출하고 연결중 심성 .20 이상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 을 진행하였다. 주요 키워드의 연결중심성(Cd), 매개 중심성(Cb), 근접중심성(Cc), 아이겐벡터중심성(Ce) 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의 키워드가 연결중심성이 높 을수록 매개중심성(β=.86***), 근접중심성(.98***), 아 이겐벡터중심성(.99***)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특성, 가치, 표현과 같은 논문의 분석방법 및 요소 를 제외하고 연결중심성을 살펴보면, ‘소비자’, ‘브랜 드’, ‘리테일’, ‘문화’, ‘온라인’, ‘전통’, ‘환경’, ‘트렌 드’, ‘기술’ 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최 근 RJCC에 게재된 논문들은 소비 및 문화 트렌드, 온 라인 채널 및 유통, 전통 복식, 환경 문제, 기술 및 서 비스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것을 재 확인할 수 있었다. 연결중심성 대비 아이겐벡터가 높 은 키워드로는 ‘업사이클’, ‘협업’, ‘명품’, ‘제로웨이 스트’, ‘윤리’, ‘팬데믹’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키워 드는 시의적 특성을 가졌으며, RJCC에 게재된 논문 들이 최근 사회적, 문화적 이슈들을 발 빠르게 반영하 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Wakita-Tsurum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군집 분석한 결과,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Fig. 7). A그룹은 ‘디자인’, ‘표현’, ‘컬러’, ‘소재’, ‘컬렉션’, ‘플리츠’, ‘전통’, ‘한복’과 같은 키워드가 포함되어 ‘디자인/소 재’ 분야 관련 주제어로 이루어졌으며, B그룹은 ‘소비 자’, ‘자기이미지’, ‘자기효능감’, ‘자기일치성’, ‘구 매’, ‘인식’, ‘태도’, ‘경험’의 키워드로 구성되어 ‘마케 팅/심리’ 분야 관련 그룹으로 파악되었다. C그룹은 ‘브랜드’, ‘사례’, ‘전략’,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뷰티’, ‘럭셔리’, ‘팬데믹’ 등과 같은 키워드가 포함되 어 ‘패션 산업’ 관련 그룹으로 파악되었으며, D그룹은 ‘패턴’, ‘가상’, ‘평가’, ‘허리’, ‘3D’, ‘일러스트’, ‘학 생’, ‘교육’과 같은 키워드가 포함되어 ‘의복구성/교 육’과 관련된 그룹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E그 룹은 ‘지속가능’, ‘업사이클’, ‘의식’, ‘화장품’, ‘메이 크업’, ‘뷰티/정책’ 관련 그룹으로 파악되었다. A그룹 과 B그룹의 합이 전체 노드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RJCC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주제는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는 표현 기법 개발 및 분 석에 대한 연구, 한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연구로 파악되었다. 의상심리 및 소비자 또는 패션유통머천다이징 분야에서는 윤리적 패션 행 동에 대한 연구, 온라인 패션유통 환경에 대한 연구로 파악되었다. 전반적으로 2019~2021년 RJCC에 게재 된 논문들은 전통복식인 한복, 현재 화두가 되는 윤리 경영, 기술 기반의 유통 환경 등의 분야가 주로 다루 어졌다. 이는 RJCC가 과거, 현재, 미래를 모두 반영한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게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RJCC에 게재된 학술지의 연구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해, RJCC의 2019년, 2020년, 2021년의 연구 주제어 네트워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단어 45개를 바탕으 로 QAP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Table 7). 공통 단어 45개의 공출현빈도를 바탕으로 행렬을 서로 동 일하도록 재배치하였으며, 5,000번의 퍼뮤테이션 검 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주제어의 Pearson 상 관계수가 p<.001 수준에서 r=.38~.46 사이로 나타남 에 따라,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낮 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RJCC에 게 재된 학술지의 연구주제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2)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rea in RJCC (2019-2021)

    RJCC의 세부 전문영역은 투고 사이트에서 구분하 는 9가지 전문영역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복식문화”라는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 기 위해 3년간 게재된 166개 연구를 ‘글로벌 복식문 화’, ‘국내 복식문화’, ‘마케팅 산업/교육’, ‘의복구성/ 소재’ 4개의 전문영역으로 분류하였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RJCC에 게재된 연구의 학문적 특성을 살 펴보기 위해 각각의 전문 영역별로 Wakita-Tsurumi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군집화하였다.

    (1) Global costume and culture sector

    글로벌 복식문화 영역의 주요 군집을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Fig. 8). A그룹은 ‘트렌드(Cd=.64)’, ‘소재’, ‘전통’, ‘현대’, ‘패턴’, ‘색채’, ‘민족’, ‘원단’, ‘소수’, ‘뷰티’, ‘위구르’, ‘이캇’, ‘아틀라스’, ‘자수’, ‘히피’, ‘초현실주의’, ‘치파오’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었다. B 그룹은 ‘브랜드(Cd=.63)’, ‘환경’, ‘소비자’, ‘지속가 능’, ‘온라인’, ‘마켓’, ‘전략’, ‘관여’, ‘명품’, ‘구매’, ‘가격’, ‘태도’, ‘업사이클’, ‘액티비즘’, ‘패션민주주 의’, ‘NTF’, ‘큐레이션’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었다. C 그룹은 ‘미학(Cd=.35)’, ‘예술’, ‘에콜로지’, ‘시모그래 피’, ‘풍자’, ‘알렉산더맥퀸’, ‘초현실’, ‘프린지’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었다. D그룹은 ‘문화(Cd=.72)’, ‘소 재’, ‘지역’,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웨딩’, ‘머 리장신구’, ‘시베리아’, ‘샤먼’ 등이 있다. E그룹은 ‘서 비스(Cd=.27)’, ‘반응’, ‘행동’이 포함되었으며, F그룹 은 ‘팬데믹(Cd=.16)’, ‘코로나19’, ‘마스크’가 포함되었 다. RJCC의 글로벌 복식문화 영역에서는 주로 동아 시아 전통 복식, 중국 소수 민족과 하위문화 패션, 다 양한 국가의 지역적․문화적 복식, 패션 트렌드에서 나타난 디자인의 조형요소 분석 및 개발, 윤리적 패션 과 지속가능성, 사회트렌드 및 신기술, 소비자 행동 및 유통, 패션 미학에 대한 내용의 주제를 다루고 있 다. 특히 D그룹에 속해 있는 ‘문화’는 가장 높은 연결 중심성을 보여 글로벌 복식문화 영역에서 다양한 나 라의 지역적․문화적 복식과 관련된 연구주제들과 가 장 빈번하게 연결된 핵심어로 볼 수 있다. 이는 RJCC 학술지의 정체성에 있어 세계적․문화적 다양성이 가 장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2) Domestic costume and culture sector

    국내 복식문화 영역의 주요 군집을 살펴보면(Fig. 9), A그룹은 ‘마켓(Cd=.67)’, ‘소비’, ‘전략’, ‘행동’, ‘경험’, ‘외모’, ‘유통’, ‘업사이클’, ‘에코’, ‘지속가능’, ‘화장품’, ‘윤리’, ‘크로스채널’, ‘3D’, ‘제로웨이스트’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었다. B그룹은 ‘문화(Cd=.64)’, ‘현대’, ‘전통’, ‘색채’, ‘한복’, ‘역사’, ‘퓨전’, ‘패턴’, ‘웨딩’, ‘의식’, ‘저고리’, ‘무용’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 었으며, 이는 RJCC의 아이덴티티인 복식문화적 연구 이다. C그룹은 ‘네트워크(Cd=.50)’, ‘기술’, ‘캐릭터’, ‘디지털’, ‘미디어’, ‘컬렉션’, ‘가상’, ‘협업’, ‘뎀나바 잘리아’, ‘발렌시아가’, ‘페르소나’ 등의 키워드가 포 함되었다. D그룹은 ‘소비자(Cd=.71)’, ‘온라인’, ‘구 매’, ‘태도’,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BMI’ 등의 키 워드가 포함되었다. RJCC의 국내 복식문화 영역에서 는 주로 윤리적 패션과 지속가능성, 외모관리, 신 유 통채널에 대한 소비자 행동, 아시아 전통 및 현대사회 의 복식 문화, 디지털 기술, 패션 커뮤니케이션, 외모 관리를 비롯한 소비자 행동, 문화적 사상, 사회 트렌 드에 대한 내용의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다. 특히 B그룹에 속해 있는 ‘문화’는 국내 복식문화 영역에서 ‘소비자’, ‘마켓’ 다음으로 높은 연결중심성 을 보인 키워드로, 국내의 다양한 문화 트렌드 및 사 회적 이슈가 되는 연구주제를 반영하여 활발하게 수 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RJCC의 학문적 정체성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양한 문화를 수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3) Marketing industry and education sector

    마케팅 산업 및 교육 영역의 주요 군집을 살펴보면 (Fig. 10), A그룹은 ‘소비자(Cd=.88)’, ‘브랜드’, ‘전 략’, ‘만족’, ‘편의성’, ‘민감성’, ‘이커머스’, ‘자기일치 성’, ‘머천다이징’, ‘SPA’, ‘의식’, ‘성격’ 등의 키워드 가 포함되었다. B그룹은 ‘교육(Cd=.52)’, ‘환경’, ‘프로 그램’, ‘지속가능’, ‘인터넷’, ‘트렌드’, ‘직업’, ‘윤리’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었으며, C그룹은 ‘구매(Cd= .71)’, ‘경험’, ‘쇼퍼’, ‘서비스’, ‘모바일’, ‘소비’, ‘충성 도’, ‘옴니채널’, ‘SNS’ 등이 포함되었다. D그룹은 ‘기 술(Cd=.62)’, ‘태도’, ‘인식’, ‘대학’, ‘전통’, ‘조형성’, ‘LMS’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었다. E그룹은 ‘온라인 (Cd=.67)’, ‘유통’, ‘학생’, ‘매장’, ‘커리큘럼’, ‘PBL’과 같은 키워드가 포함되어, 패션 유통 및 대학 교과과정 에 대한 연구로 볼 수 있다. F그룹은 ‘가치(Cd=.53)’, ‘가격’, ‘세일’, ‘고객’이 포함됨에 따라 소비자 행동 분야로 볼 수 있다. 그 밖에 ‘IoT’, ‘ICT’, ‘로봇’, ‘헬스 케어’와 같은 키워드가 나타남에 따라, 기술융합과 관 련된 내용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JCC 의 마케팅 산업 및 교육 영역에서는 주로 일반 의상심 리 및 소비자 행동, 패션 유통, 교과 시스템 및 현황 분석, 윤리적 패션과 지속가능성, 디자인 조형성 분 석, 기술융합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는 각 그 룹별 ‘소비자’, ‘구매’, ‘온라인’, ‘기술’ 등이 높은 연 결중심성을 보여 RJCC의 마케팅 산업 및 교육 영역 의 주요 특성이 반영된 연구동향으로 볼 수 있다.

    (4) Clothing construction and textiles sector

    의복 구성 및 소재 영역의 주요 군집을 살펴보면 (Fig. 11), A그룹은 ‘수트(Cd=.54)’, ‘3D’, ‘허리’, ‘엉 덩이’, ‘외모’, ‘사이즈’, ‘핏’, ‘재킷’, ‘토르소’, ‘노년’, ‘CLO’, ‘암홀’, ‘주름’ 등의 키워드가 포함되었다. B그 룹은 ‘소재(Cd=.53)’, ‘트렌드’, ‘지속가능’, ‘에코’, ‘표 현’, ‘기술’, ‘데님’, ‘디지털’, ‘업사이클’, ‘자카드’, ‘니트웨어’, ‘프랙탈’, ‘타탄체크’ 등의 키워드가 포함 되었다. C그룹은 ‘평가(Cd=.41)’, ‘라이프스타일’, ‘스 포츠’, ‘경험’, ‘선호’, ‘모듈’, ‘만족’ 등의 키워드가 포 함되었으며, D그룹은 ‘활동성(Cd=.25)’, ‘BMI’, ‘특 수’, ‘기능’, ‘보호’, ‘PPE’, ‘소방’, ‘유니버셜’ 등의 키 워드가 포함되었다. E그룹은 ‘표면(Cd=.34)’, ‘원단’, ‘색채’, ‘염색’, ‘울’, ‘소목’, ‘황벽’, ‘인디고’ 등의 키 워드가 포함되었다. 이 외에도 ‘아웃도어’, ‘햅틱’, ‘세 탁’과 같은 키워드가 등장함에 따라, 다양한 실용적 주제의 연구들이 수행된 것을 알 수 있다. RJCC의 의 복 구성 및 소재 영역에서는 주로 일반 의복 패턴 설 계, 디지털 패션 디자인, 패션 소재를 활용한 디자인, 지속가능 디자인, 사용자를 위한 특수 의복 설계, 천 연 염색을 주제로 한 논문들이 발행되었음을 알 수 있 다. 또한 소재영역은 소재과학 분야보다는 복식문화 와 관련된 연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Ⅴ. Conclusion

    RJCC는 국내 의류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로서, 해 를 거듭할수록 시의적이고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게 재함으로써 학술지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RJCC의 인용관계 분석을 통해 학술지의 영 향력을 살펴보고,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연구동향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RJCC의 학술적 영향력을 알아보 기 위해 KCI에서 제공하는 학술지 인용지수를 살펴 본 결과, RJCC의 KCI IF 및 중심성지수는 2020년을 기점으로 이전보다 더 많은 학술지, 높은 명성을 가진 학술지들로부터 인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생활과학 분야 의류학 영역의 주요 학술지들의 5년간 KCI IF 변화를 비교했을 때, 거의 비슷한 수준의 KCI IF를 유지하는 학회지들도 있지만 RJCC는 2020년 들 어 영향력 점수가 더욱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디자인 및 공학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해 학문적 다양 성을 높이고 있음과 동시에, 생활과학 영역에서 이전 보다 높은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어 다양한 영역의 학 술지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 라서 RJCC에서는 생활과학 영역 학술지에서 영향력 을 인정받고 있어 향후 연구의 품질향상과 더불어, 학 문적 다양성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JCC에서 인용한 학술지 분야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과 2020년 데이터 및 2009년과 2017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2010년과 2020년에는 2009년과 2017년보다 생활과학 분야를 주로 인용하 고 있으며, 특히 게재 논문 중 패션 마케팅, 의상 심 리, 교육 과정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생활과학 분야 인용은 2010년도에 비 해 2020년도에 동일 분야 인용이 감소하였다. 이는 2020년도에 RJCC가 디자인 분야 연구 활동과 기술 융합연구를 통해 학문적 다양성을 높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JCC가 인용된 학술지 분야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 해 2010~2011년과 2019~2020년 데이터 및 2008~ 2009년과 2016~2017년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먼 저, 2010~2011년과 2019~2020년도에는 생활과학 분 야에서 주로 인용되었으며, 2010~2011년보다 2019~ 2020년도에 생활과학-의류학 영역에서 더 많은 인용 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2010~2011년에는 생활 과학 분야 다음으로 디자인, 미용 분야 순으로 비율이 높았지만 2019~2020년도에는 디자인, 학제 간 연구 순으로 다양한 논문 게재와 융복합적 연구의 게재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10~2011년/2019~ 2020년에는 2008~2009년/2016~2017년보다 교육 관 련 분야의 인용이 되고 있었다. 즉, 이전보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인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생 활과학-의류학 영역에서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다양 한 분야에까지 확산될 수 있도록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연구 주제의 폭을 넓히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JCC가 해외 학술논문에 피인용 사례를 확인한 결 과, 다양한 영역의 글로벌 학술지에 인용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환경 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RJCC에 게재된 업사이클링 패션 디자인, 지속가능 소비, 윤리적 기업 및 마케팅에 대 한 연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연구의 품질 향상과 글로벌 확산에 더욱 경주한다면 국제저 명지에서의 인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최근 3년간(2019~2021) RJCC에 출판된 논문들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의류학의 세부 분야에 골고루 분 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나타난 주제로, 패 션디자인 분야에서는 표현 기법 개발 및 분석에 대한 연구, 한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 지속가능 패션디자인 연구이며, 의상심리 및 소비자 또는 패션유통머천다 이징 분야에서는 윤리적 패션 행동에 대한 연구, 온라 인 패션유통 환경에 대한 연구로 나타났다. RJCC에 게재된 논문들이 주로 다루는 분야가 전통복식, 현재 화두가 되고 있는 윤리적 책임, 기술 기반의 유통 환 경으로 나타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를 모두 반영 한 주제를 적절히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JCC에 게재된(2019~2021) 연구를 학문적 정체성 을 반영하고자 ‘글로벌 복식문화’, ‘국내 복식문화’, ‘마케팅 산업/교육’, ‘의복구성/소재’의 4개의 전문 영 역별로 분류하여 특성을 살펴본 결과, 글로벌 복식문 화 영역에서는 지역적․문화적 복식과 관련된 연구주 제가 빈번하게 나타나 글로벌 복식문화 영역의 특성 이 잘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국내 복식문화 영역에 서는 국내의 다양한 문화 트렌드 및 사회적 이슈가 되 는 연구주제가 나타나 RJCC의 국내 복식문화 영역의 특성이 잘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케팅 산업/교 육 영역은 의상심리 및 소비자 행동, 패션 유통, 교과 시스템 및 현황 분석 등, 마케팅 산업 및 교육 영역의 주요 특성이 반영된 연구동향으로 볼 수 있다. 의복구 성/소재 영역에서는 의복 패턴 설계, 디지털 패션 디자 인, 패션 소재를 활용한 디자인 등 소재를 활용한 패 턴 및 디자인 연구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화’ 는 다양한 연구주제들과 연결된 핵심어로, 학술지 특 성이 주제범위에 부합하는 키워드로서 학술지의 정체 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술대 회, 컨퍼런스 등에서 교류된 연구 아이디어가 학술지 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근 이슈가 반영된 주제 및 사 회 문화현상과 관련된 학술대회, 분과세미나 등을 개 최하여 연구자들이 연구동향을 이해하고, “복식문화” 라는 학술지의 특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 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모든 영역에서 윤리 적 패션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는 복식문화학회가 지속가능성, 사회적 책임,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커넥션, 복식과 문화의 맥락과 같은 주 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시의적, 문화적, 윤리적 주 제의 학술활동을 장려한 데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류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로서 RJCC가 보다 다양 한 분야의 학술지들에 인용된다면, 학술지의 영향력 상승과 함께 해당 학문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RJCC의 영향력 변화 및 인용 관계 분석을 통해, 의류학 분야 학술지의 현 주소와 나아가 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 주제어 변화, 영역별 주요 연구 주제를 확인함으로써 의류학 분야 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변화를 규명하였다는 데 학 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생활과학 분야의 RJCC 에 한정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모든 의류학 분야의 동향이라고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3년이 라는 기간으로 한정하였다는 점도 한계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시계열적 연 구를 통해 보다 거시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 이다.

    Figure

    RJCC-30-4-608_F1.gif

    Changes in influence of RJCC

    RJCC-30-4-608_F2.gif

    Changes in influence of life science journals

    RJCC-30-4-608_F3.gif

    2020 RJCC’s citation relationship

    RJCC-30-4-608_F4.gif

    2018-2020 RJCC citing journals network

    RJCC-30-4-608_F5.gif

    2018-2020 RJCC citied journals network

    RJCC-30-4-608_F6.gif

    Common keyword network by frequency (2019-2021)

    RJCC-30-4-608_F7.gif

    2019-2021 RJCC subject clustering using Wakita-Tsurumi algorithm

    RJCC-30-4-608_F8.gif

    Global costume and culture sector

    RJCC-30-4-608_F9.gif

    Domestic costume and culture sector

    RJCC-30-4-608_F10.gif

    Marketing industry and education sector

    RJCC-30-4-608_F11.gif

    Clothing construction and textiles sector

    Table

    Comparison of KCI journals citation index over the last 5 years (as of 2020)

    Changes in the citing journal of RJCC in 10 years

    Changes in the citing journal of RJCC in 10 years

    Information of international journals which RJCC articles were cited

    Top 60 research keywords of frequency (2019-2021)

    Top 60 degree centrality words of RJCC

    QAP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year

    Reference

    1. Abbasi, A. , Hossain, L. , & Leydesdorff, L. (2012). Betweenness centrality as a driver of preferential attachment in the evolution of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Journal of Informetrics, 6(3), 403-412.
    2. Ahn, S.-k. (2020a). Measuring ‘consumer smartness’ for the fashion consumption environm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1), 45-61.
    3. Ahn, S.-k. (2020b). Smart consumers: A new segment for sustainable digital retailing in Korea. Sustainability, 12(18), 7682.
    4. Arumsari, A. , Sachari, A. , & Kusmara, A. R. (2019).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values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 Bali.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3), 264-273.
    5. Bornmann, L. , Marx, W. , Gasparyan, A. Y. , & Kitas, G. D. (2012). Diversity, value and limitations of the journal impact factor and alternative metrics. Rheumatology International, 32(7), 1861-1867.
    6. Chang, K. (2022). Microplastic research network analysis based on informetrics bigdat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Seoul, Korea.
    7. Choi, Y.-H. , Jeong, J. , & Lee, K.-H. (2021).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fash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3), 319-329.
    8. Choi, Y.-H. , Kim, S. E. , & Lee, K.-H. (2021). Faux fur trade networks using macroscopic data: A social network approach. Sustainability, 13(3), 1427.
    9. Choi, Y.-H. , & Lee, K.-H. (2019). Diffusion of veganism in fashion and beauty -A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6), 75-94.
    10. Choi, Y.-H. , & Lee, K.-H. (2020). Informatics analysis of consumer reviews for 「Frozen 2」 fashion collaboration products -Semantic networks and sentiment analysi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2), 265-284.
    11. Choi, Y.-H. , & Lee, K.-H. (2021).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 of one-mile wear and home wear: The impact of Covid-19 outbreak.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5(2), 110-126.
    12. Culnan, M. J. , O’Reilly III, C. A. , & Chatman, J. A. (1990). Intellectual structure of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972-1984: A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1(6), 453-458.
    13. Dabas, C. S. , & Whang, C. (2022). A systematic review of drives of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25 Years of research evolution.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13(2), 151-167.
    14. Dahesh, M. B. , Tabarsa, G. , Zandieh, M. , & Hamidizadeh, M. (2020). Review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innovation systems approach: A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ology in Society, 63, 101399.
    15. Diodato, V. (1994). Dictionary of bibliometrics. New York: Haworth Press.
    16. Durisin, B. , Calabretta, G. , & Parmeggiani, V. (2010).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product innovation research: A bibliometric study of th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984-2004.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7(3), 437-451.
    17. Freeman, L. C. (1978).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18. Garfield, E. , & Welljams-Dorof, A. (1992). Citation data: Their use as quantitative indicators for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olicymaking. Science and Public Policy, 19(5), 321- 327.
    19. Ge, J. , Wang, X. , Guan, Q. , Li, W. , Zhu, H. , & Yao, M. (2016). World rare earths trade network: Patterns, relations and role characteristics. Resources Policy, 50, 119-130.
    20. Ha, Y. (2019). Does need for touch matter in the context of apparel online shopping? Compensatory role of online aesthetic and instrumental cu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1), 46-56.
    21. Han, H. (2019). Influencing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for smart healthcare clothing by gender and age -Focused on TAM, clothing attributes, health-lifestyle, and fashion innovativenes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6), 615-631.
    22. Han, K.-H. (2021). A study on leggings perception change with big data analysis: Based on Covid- 19.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9(3), 51-65.
    23. Hani, S. I. M. B. (2021).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educational platform blackboard in managing education processes at the university of hail a field study from the faculty members’ point of view. Turkish Journal of Computer and Mathematics Education, 12(11), 3574-3581.
    24. Hoffman, D. L. , & Holbrook, M. B. (1993).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consumer research: A bibliometric study of author cocitations in the first 15 years of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4), 505-517.
    25. Jeong, S. W. , & Ha, S. (2020). Consumer acceptance of retail service robo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4), 409-419.
    26. Ju, N. , Lee, H.-J. , & Lee, K.-H. (2019). Changes in athleisure wear trade networks -A social network approach-.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3), 251-263.
    27. Kim, D. J. , & Lee, S. H. (2019). A study of consumer perception on fashion show using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3), 85-100.
    28. Kim, J. , Choi, Y.-H. , & Lee, K.-H. (2021). Media agenda on visual impairment: A comparison of mass media and social media. The Korean Jour- nal of Visual Impairment, 37(4), 67-92.
    29. Kim, J. A. , Huh, S. , & Chu, M. S. (2014). Correlation among the citation indices of Korean scientific journals listed in international databases. Science Editing, 1(1), 27-36.
    30. Kim, S. , Jang, S. , Choi, W. , Youn, C. , & Lee, Y. (2021). Contactless service encounters among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The effects of millennials and gen Z characteristics on technology self-efficacy and preference for contactless service. Journal of Research in Interactive Marketing, 16(1), 82-100.
    31. Korea Citation Index. (n.d.). KCI citation index explanation. Retrieved May 1, 2022, from https:// www.kci.go.kr/kciportal/po/citationindex/explanation.kci
    32. Krackhardt, D. (1987). QAP partialling as a test of spuriousness. Social Networks, 9(2), 171-186.
    33. Kwahk, K. Y. (2014).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Chungram.
    34. Lee, K.-H. , Kim, J.-Y. , & Seo, H.-J. (2019). College student adoption of smart learning management system -Implementing Blackboard lear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5), 512-523.
    35. Lee, K. Y. (2016). Analysis on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Focused on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6. Lee, M. Y. , & Lee, J. (2019).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in fashion marketing and design are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3), 51-66.
    37. Lee, S. , & Chun, J. (2021). Network analysis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ddiction research in social sciences: Based on the KCI articles published in 2019.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10), 21-37.
    38. Lim, C. M. (2019). Perceived values, price fairnes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luxury fashion brands -A comparison of luxury, luxury-bargain, and non-luxury consume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1), 20-32.
    39. Løkke‐Andersen, C. B. , Wang, Q. J. , & Giacalone, D. (2021). User experience design approaches for accommodating high “need for touch” consumers in ecommerce. Journal of Sensory Studies, 37(2), e12727.
    40. Mitchell, J. C. (Ed.). (1969). Social networks in urban situations: Analyses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Central African towns.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1. Park, H. W. , &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42. Park, J. (2019). The adverse impact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n firefighters’ cognitive function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1), 1-10.
    43. Parush, A. , Wacht, O. , Gomes, R. , & Frenkel, A. (2020). Human factor considerations in us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the COVID-19 pandemic context: Binational survey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2(6), e19947.
    44. Pritchard, A. (1969). Statistical bibliography or bibliometrics. Journal of Documentation, 25(4), 348- 349.
    45. Qasem, Z. (2021). The effect of positive TRI traits on centennials adoption of try-on technology in the context of E-fashion retai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56, 102254.
    46. Retzer, V. , & Jurasinski, G. (2009). Towards objectivity in research evaluation using bibliometric indicators: A protocol for incorporating complexity. Basic and Applied Ecology, 10(5), 393-400.
    47. Seo, H.-J. , Choi, Y.-H. , Oh, S.-T. , & Lee, K.-H. (2019). Keyword networks in RJCC research –A co-word analysis and cluter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3), 193-205.
    48. Seon, J.-H. , Kim, S. E. , Lee, H.-J. , & Lee, K.-H. (2019). Evolution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clothing and textiles literature -A bibliometric study of RJCC-.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4), 299-309.
    49. Shin, H. K. (2020). A case study on value creation of fashion brands using content collaboration targeting MZ gener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6), 830-844.
    50. Tenaya, A. A. N. A. M. K. (2021). Hegemoni fashion barat pada busana bangsawan di Bali utara (1800-1940). Mudra Jurnal Seni Budaya, 36(2), 245-253.
    51. Thanuskodi, S. (2010). Journal of Social Sciences: A bibliometric study. Journal of Social Sciences, 24(2), 77-80.
    52. Wakita, K. , & Tsurumi, T. (2007). Finding community structure in mega-scale social networks. Algorithms, 2(1), 1-9.
    53. Wang, L. , Zhao, L. , Mao, G. , Zuo, J. , & Du, H. (2017). Way to accomplish low carbon development transformation: A bibliometric analysis during 1995–2014.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68(1), 57-69.
    54. Wasserman, S. ,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White, H. D. , & Griffith, B. C. (1981). Author cocitation: A literature measure of intellectual stru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32(3), 163-171.
    56. Wibisono, A. B. , & Fachira, I. (2021). Factors influencing online impulsive buying behavior in Indonesia. MIMBAR: Jurnal Sosial dan Pembangunan, 37(1), 127-137.
    57. Woo, H. , & Kim, S. (2021). An expansion of the brand and message framing effects on smart health-care clothing.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31(4), 622-636.
    58. Zhu, Y.-P. , & Park, H.-W. (2019). Evaluating blockchain research trend using bibliometrics-base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tgence, 17(6), 219-227.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