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은 전통적인 수업과는 다른 학습 형태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제공된 지식을 학습자가 자기학습하며 교실 수업에서는 상호작용에 집중하여 학습 체화(體化)를 극대화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말한다(Seol, 2022). 플 립러닝은 능동적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교육으로, 국 내에서는 2015년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연 구되고 있다. 실습형 교육분야에도 시도되고 그 효과 성에 대해 연구되고 있는데(Park, 2020;Shin, 2018), 미용분야는 2017년 피부와 헤어분야에 플립러닝 연 구(Byun, 2017;Kim, 2017)를 시작으로 플립러닝 학 습동기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Kim & Jeon, 2019), 플립러닝 학습자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 의 관계 연구(Nam, 2021)가 진행되었다.
국내 플립러닝 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하고 현재 까지 다양한 분야의 관련 논문이 800건 이상 확인된 다. 그러나 미용분야는 기술력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 되는 교과가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교수자 중심으로 기술이 전수되는 전통적 방식의 교육형태가 우선시되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의 플립러닝 연구 는 다소 미온적이었다. 선행연구된 미용분야의 플립 러닝 효과연구는 전체 미용분야로 범주화하여 플립러 닝의 경험을 분석한 것으로, 미용분야도 그 세부 분야 에 따라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세부 분야 에 맞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미용분야 는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이용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각 분야별 적용부위 및 표현방식에 큰 차이를 보인다. 교수자 중심의 전통적 교육이 일반화된 미용 분야는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시대적 니즈를 반영 하여 세부 분야의 특성을 적용한 다양한 교육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Seol(2022)은 교육적 효과가 입증된 플립러닝을 미 용분야 중 네일미용 세부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수업 모형을 복식문화연구(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에 발표하였으며, 해당 모형은 교수 설계에서 널리 적용하고 있는 ADDIE 교수설계모형 과 Choi and Kim(2015)이 제시한 PARTNER 모형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특히 이론수업에 집중도가 약 한(Kim & Yu, 2020) 미용분야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이론 바탕의 실습교육(이하 ‘이론+실습’으로 표기함) 형태에 맞는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플립러닝 적용 을 위해 구체적인 네일미용 교과를 선정하여 수업운 영을 7단계로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Seol(2022)이 제시한 플립러닝 수업모형 을 이론+실습 형태의 네일미용 교과에 적용하고, 수 업경험 후 수업모형설계에 따른 운영 단계별 학습자 의 인식의 정도와 플립러닝 수업만족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용의 세부 분야인 네일 미용 교육에 플립러닝이 적용되었다는 점과 미용교육 형태 중 이론+실습 학습에 플립러닝을 적용한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교과목을 명시하여 플립러닝에 교과 적 특성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미용분야의 보다 구 체화된 플립러닝 사례연구로 의미가 있다.
II. Traditional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in Nail Beauty
1. Understanding the subject
‘네일컬러디자인1’ 교과는 이론+실습의 형태로 운 영되는 네일미용분야의 색채교육 교과로, 현장형 네 일디자인의 색채 연출능력을 기르는 ‘네일컬러디자인 2’와 연결된 네일디자인 역량강화 교과이다. ‘네일컬 러디자인1’은 네일디자인의 컬러교육을 위한 기본교 과로, 색과 색채의 차이를 알고 색의 지각, 색의 혼합, 색채 심리와 배색 등 색에 대한 기본적 이론을 학습하 여 색 전반에 관한 이해를 돕는다. ‘네일컬러디자인1’ 은 색채이미지 적용의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 색채이 론을 학습하고 색채실습을 경험하며, 색채를 활용하 여 네일디자인에 적용하는 단계적 학습을 진행한다. 색채이론은 색의 삼속성과 단색이미지, 배색, 조색과 톤, 색 감정을 학습하고 색채실습을 통해 색채이론을 경험하며 이론을 바탕으로 네일디자인을 색채계획하 고 이를 네일디자인에 적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Fig. 1). 또한 학습목표의 강화를 위해 주차별 학습이 연계되도록 구성하여 운영한다.
‘네일컬러디자인1’은 다음의 세 가지 세부 교육목 표를 갖는다. 첫째, 색채이론을 습득한다. 둘째, 색채 이론을 실습하여 체화(體化)한다. 셋째, 색채이론을 네일디자인에 적용한다.
2. Traditional learning in the nail beauty field
네일미용에서 이론+실습의 전통적인 교과의 운영 은 <Fig. 2>와 같다. 교수자가 이론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범작업을 제공하고 학습자는 실습한다. 네일미용의 경우 교수자의 시범작업에서 작업물의 크 기가 매우 작아 학습자가 직접 볼 수 있는 공간적 거 리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학습품질 관리를 위해 학습 자를 팀으로 구성하여 순차적으로 시범작업을 시행해 야 한다. 팀은 교과 수강인원과 수업시간, 시범작업의 시간을 반영하여 2팀 또는 3팀으로 구성된다. 수업 초 반에는 이론수업이 공통 진행되며 수업 중반에 팀별 로 교수자의 시범작업을 숙지하게 된다. 시범작업 후 학습자는 개별실습을 진행하게 되며 이 경우 팀별 시 간 차를 두고 진행된다. 1팀의 시범작업 동안 2팀은 실습 준비 및 전 주의 실습을 복습하고 시범작업 참관 순서를 기다리게 된다. 1팀의 시범작업 학습 후 개별 훈련이 시작되면 2팀은 교수자의 시범작업을 학습하 게 된다. 시범작업의 시간이 길어지게 될 경우 학습자 관리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회차 당 시범작업 시간을 축소하거나 2회로 나눠서 팀이 순차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하게 된다. 모든 팀의 시범작업 종료 후 학습자 중심으로 개별실 습이 진행되며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나 게 되며 실습을 통해 학습체화의 시간을 갖게 된다. 그러나 시범작업의 시간이 길어지면 상호작용의 시간 은 축소하게 되며 주차별 강의계획에 따라 남은 실습 은 과제로 제공된다.
3. Flipped learning in the nail beauty field
<Fig. 3>은 Seol(2022)의 이론+실습 형태의 플립러 닝 수업모형을 pre-class, in-class, post-class의 수업구 조의 형태로 적용한 수업모델이다.
Pre-class는 사전단계(preparation)와 사전학습평가 (assessment)로, 사전단계에서는 이론강의와 작업시 범을 동영상 콘텐츠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에 제공하여 학습자 중심의 자기학습이 가능 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사전학습평가단계에서 학습 점 검을 위한 퀴즈를 훈련도구로 구성한다. 또한 Preclass 이전에 LMS에 워크시트를 업로드하여 학습자 가 학습의 방향을 인지하여 학습동기를 향상시킨다. 워크시트는 Pre-class 이론학습의 교재로 활용되며 Inclass에서는 협력학습(team activity)의 결과물로 자기 체화에 몰입감을 제공하며, 평가(evaluation) 단계에 서는 결과물 평가에 활용된다. In-class는 사전학습연 계(relevance), 협력학습(team activity), 핵심요약강의 (nub lecture), 평가(evaluation)로 구성되고 수업 운영 시 학습 단계별 배분 비율을 적절하게 적용하여 협력 학습의 집중력을 높이도록 구성하였다. 교수자와 학 습자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협력학습 단계의 시간 적 확보와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호명 출석을 대신하 여 명찰을 배포하여 출석을 확인하며 협력학습 중에 는 사전단계에서 학습자가 자기학습한 시범작업 영상 의 기억을 상기시키기 위해 소리를 제거하여 영상으 로만 배경화면에 제공한다. In-class의 정리단계인 핵 심요약강의(nub lecture)와 평가(evaluation) 과정에서 는 8주, 15주의 프로젝트 작업의 제시를 통해 Postclass에 사후성찰(reflection)의 동기를 부여한다.
Ⅲ. Research Method
1. Survey target and application
본 플립러닝 사례는 J대학의 ‘네일컬러디자인1’ 교 과의 수강생 70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에서 6월까 지 한 학기 동안 진행되었다. 수업은 15주로 구성되었 으며 1주는 플립러닝 동기화 학습으로, 8, 15주는 앞 서 진행된 플립러닝의 자기성찰을 위한 프로젝트 운 영으로 학습체화의 확인과 성적평가를 위한 과정으로 진행되었다(Fig. 1). 이 외 나머지 주차는 모두 플립러 닝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운영되었다. 15주의 수업 후 플립러닝 수업경험에 대한 인식을 설문하였으며 5단 계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 전 연구대상에게 연구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자료의 연구동의를 받았으며, 연구자의 자발적 참여 의사가 없는 경우 설문에 참여하지 않아도 됨을 안내 하였다. 총 수강생 70명 중 결석자 3명을 제외하고 67 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은 구글 드라이브를 통해 수업현장에서 URL 공유의 방식으로 개인 모바 일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학습자와 설문자의 관계 를 고려하여 학습자 유추가 가능한 인구통계학적 특 성은 문항에서 제외하였으며, 대면형 현장설문 진행 을 통해 설문의 내용이 어렵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경 우 질문하도록 하여 설문 문항의 이해와 응답의 정확 도를 높였다.
2. Questionnaire composition
설문은 수업 운영단계와 수업목표 달성, 플립러닝 인식에 대한 설문으로 구분하여 총 2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수업운영 단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확 인하고자 Pre-class의 사전단계(preparation)에서 워크 시트, 동영상 콘텐츠 관련 총 6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사전학습평가(assessment)에서 1문항을 구성하였다. In-class는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는데 사전학습연계 (relevance), 핵심요약강의(nub lecture), 평가(evaluation) 를 단계별 1문항씩 구성하였고, 핵심단계인 협력 학습(team activity)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Seol(2022) 이 제안한 명찰 출석확인과 워크시트 활용, 시범작업 영상제공에 대해 설문을 각 1문항씩 구성하였다. 마 지막으로 Post-class 사후성찰(reflection) 1문항을 구 성하여 총 15개의 문항으로 운영설계에 대한 인식실 태를 설문 조사하였다(Fig. 4).
둘째, 플립러닝을 통한 이론+실습의 네일미용 수업 을 통해 교과 수업목표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자, ‘네일컬러디자인1’ 교과의 세 가지 세부목표에 따 라 자기평가 설문으로 구성하였다. 이론학습을 통한 지식습득 1문항, 실습경험을 통한 지식체화 1문항, 지 식활용을 통한 네일디자인적용 2문항, 총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Fig. 5).
셋째,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Keller(1987)와 Dongguk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2017)이 개발하고 Shin(2018)이 수정한 척도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플립러닝 에 관련한 학습특성 관련 3문항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26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1) 설문문항의 신 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검토하였으며, 2) 조사대상자의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실태 관련 빈 도분석 및 평균분석과 3) 조사대상자의 학습특성에 따른 플립러닝 인식실태에 대한 차이분석을 위해 독 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문항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Table 1>과 같이 Cronbach 알파계수를 검토하 였다. 검토결과 설문문항의 3가지 구분별로 Cronbach 알파가 .878에서 .949 수준으로 나타나 보편적인 기준 치인 .60을 상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설 문 문항의 신뢰도는 충족되었다고 볼 수 있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Characteristics of flipped learning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의 플립러닝에 관련 한 학습특성은 3문항으로, 플립러닝의 경험여부와 사 전단계의 동영상 콘텐츠 학습횟수와 시기에 대한 설 문을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의 22.4%(15명)는 플립 러닝의 경험이 있었으며 77.6%(52명)는 플립러닝을 처음 경험한 학습자였다. 동영상 콘텐츠는 64.2%(43 명)가 1회 학습하고 35.5%(24명)는 2~3회 학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사전학습해야 하는 동영 상 콘텐츠를 수업 중이나 수업 후에 학습하는 학생의 비율이 13.5%(9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대상자의 기존 플립러닝 경험 여부에 따라 동 영상 콘텐츠의 학습 성실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2>에 따르면 사전 영상학습 평균 수행횟수 가 2~3번인 비율에 있어 기존 플립러닝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14% 정도 높았으 며 사전 영상학습의 수행시점이 수업 전인 비율도 기 존 플립러닝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8.7%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경험이 많아 질수록 플립러닝에서 중요한 부분인 사전 영상학습에 대한 성실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1) Perception of operation design
본 연구에 적용된 플립러닝은 Seol(2022)의 수업모 형에 따라 운영되었으며 Pre-class, In-class, Post-class 의 단계에 따라 학습자가 경험한 수업운영에 대한 인 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Seol(2022)의 수업모형은 Preclass의 운영설계에 있어서 디자인분야의 학습자가 이론교육에서 약한 집중도를 갖고 있음(Kim & Yu, 2020)을 고려하여 이론교육의 집중력 향상을 위해 워 크시트를 제작하여 제공하였으며, 영상시간의 시간 비중을 고려하여 운영하였다. 따라서 Pre-class의 사 전단계는 3시수의 수업에 1시수로 이론과 시범작업이 합쳐진 동영상 25분과 퀴즈 25분, 총 50분으로 계획 되었다.
<Table 3>의 Pre-class와 In-class의 학습동기화를 위해 제작한 워크시트의 Pre-class 효과성에 대한 설문 결과, 워크시트의 LMS를 통한 사전제공이 매우 긍정 적(50.7%, 34명), 긍정적(32.0%, 22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워크시트가 이론의 자기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는지에 대한 설문결과, 매우 도움된다(52.2%, 35 명), 도움된다(22.4%, 15명)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Pre-class의 사전단계에 제공된 25분의 동영 상 콘텐츠 중 12분 이내의 이론강의 분량에 대한 만족 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론 영상길이가 매우 적당하 다(47.8%, 32명), 적당하다(31.8%, 21명)로 79.6%가 영상으로 제공된 이론강의 시간분량에 만족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론강의는 ppt(Microsoft Power Point) 로 구성하였고 이론영상에 설명과 함께 디지털 판서 가 제공되었을 때 이론학습에 효과적인가를 설문하였 으며 설문결과는 매우 효과적이다(55.2%, 37명), 효과 적이다(31.3%, 21명)로 86.5%가 이론학습 시 디지털 판서가 함께 제공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25분 중 시범작업 영상이 15분 내외로 제공되는 것이 적정한가를 설문하였으며, 매우 적당하다(43.3%, 29 명), 적당하다(29.9%, 20명)로 73.2%가 시범작업 영 상분량을 적당한 분량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시범작업 영상이 실습에 도움되는가에 대해서는 매우 도움된다(49.3%, 33명), 도움된다(29.9%, 20명) 로 79.2%가 영상으로 제공되는 시범수업이 실습에 효 과가 있는 것으로 답하였다. In-class에서 자기학습의 내용을 교수자가 정리하는 사전학습연계의 단계가 실 습진행에 도움되는가에 대한 설문에, 82.1%가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으며 매우 도움된다(47.8%, 32명)로 네 일미용 학습자에게 사전학습연계는 플립러닝에서 긍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In-class의 협력학습에 대한 설문은 3문항으로, 실 습경험의 세부적인 운영도구에 대한 인식실태에 대해 설문하였다. 첫째, 실습시간 확보를 위해 출석확인용 명찰을 배부하는 것이 실습시간 확보에 도움이 되는 지 설문하였으며, 매우 도움된다(37.7%, 25명), 도움 된다(28.4%, 19명)로 총 65.7%(44명)가 도움이 된다 고 답하였다. 둘째, 워크시트 활용이 실습수업에 도움 이 되었는가에 대해 매우 도움된다(55.2%, 37명), 도 움된다 (25.4%, 17명)로 총 80.6%가 워크시트의 필요 성과 활용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re-class 사전학습에 제공했던 시범작업 영상을 소리 가 통제된 상태로 제공하여 자기학습의 기억상기를 도왔는데, 이러한 영상재생이 협력학습의 실습경험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설문에 매우 도움된다(50,7%, 34명), 도움된다(32.8%, 22명)로 총 83.5%가 도움된 다고 답하였다. 플립러닝의 핵심단계인 협력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설계된 운영요소가 모두 긍정적인 효 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협력학습 후 핵 심요약강의단계가 지식체화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핵심요약강의는 매우 도움된다(41.8%, 28명), 도움된 다(40.3%, 27명)로 인식하였다. In-class의 평가단계 는 실습경험을 통한 수업 결과물을 전시평가하는 과 정으로 학습체화에 도움이 되는지 설문하였고, 이에 매우 도움된다(49.3%, 33명), 도움된다(26.9%, 18명) 로 총 76.2%가 평가과정을 학습체화를 위한 필요과정 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st-class의 사후성찰에 대한 설문으로 In-class의 평가와 연계하여 네일디자인 프로젝트 작업을 구상 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설문하였고, 매우 도움된다 (46.3%, 31), 도움된다(31.3%, 21명)로 평가의 과정이 사후성찰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워크시트 결과물이 복습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설문에, 매우 도움된다(53.7%, 36명), 도움된다(26.9%, 18명)로 총 80.6%가 워크시트를 실습경험의 기억도 구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설문을 통해 Seol (2022)의 플립러닝 수업모형 설계가 학습자에게 효과 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Attainment of training objectives
‘네일컬러디자인1’ 교과는 색채이론을 색채실습 경 험을 통해 지식체화하고 네일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 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플립러닝을 통한 이론+실습 형태의 네일미용 교육이 교과목표에 도달 하는지를 학습자의 자기평가 설문으로 확인하였다.
교육목표 달성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평가 관련 인 식실태는 <Table 4>와 같다. 컬러디자인 수업을 통해 색채이론 지식이 향상되었는지를 확인하였으며, 매우 향상되었다(49.3%, 33명), 향상되었다(40.3%, 27명) 로 총 89.6%의 학습자가 영상을 통한 이론학습에 의 해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답하였다. 색채이론의 실습경 험으로 자기체화를 경험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설 문결과 매우 도움된다(52.2%, 35명), 도움된다(32.8%, 22명)로 85%가 긍정적 응답을 하였다. 색채의 네일디 자인 적용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색채이론을 네일디 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문과 네일디자인 컬러적용능력이 향상되었는지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 였으며, 색채이론의 네일디자인에 적용이 매우 가능 하다(49.3%, 35명), 가능하다(37.3%, 25명)로 86.6% 의 학습자가 색채이론의 네일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 고 자기평가를 하였으며, 네일디자인 컬러적용능력이 향상되었는가에 대한 설문에 매우 향상되었다(53.7%, 36명), 향상되었다(37.3%, 25명)로 91%의 학습자가 컬러적용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변함에 따라, 대부분 의 학습자가 플립러닝 교과목표에 도달한 것으로 분 석되었다.
3)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설문은 Pre-class의 자기학습에 관한 설문 1문항, In-class의 협 력학습의 상호작용 설문 1문항, 플립러닝 만족도에 관 한 설문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Table 5>와 같다.
Pre-class의 사전단계의 동영상 콘텐츠의 자기학습 에 대한 설문으로 In-class 전 사전학습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콘텐츠를 현장수업 전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 인지를 설문하였으며, 전체 대상자의 77.6%의 학습자 가 동영상 콘텐츠의 사전학습이 In-class에 효과적 영 향을 준다고 응답하였다. In-class의 협력학습 시 교수 자와 학습자 사이에 상호작용이 향상되었는가에 대한 설문에 전체 대상자의 85.1%가 상호작용이 향상되는 것으로 답하였다. 플립러닝의 교육 만족에 대한 인식 설문은 이론과 실습으로 나눠 진행하였는데, 플립러 닝이 이론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한 비율은 64.1% 로 확인되었으며 플립러닝이 실습 수행에 효과적인가 에 대한 설문은 전체 대상자의 77.6%가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립러닝이 이론+실습 형 태의 교육에 효과적인가에 대한 인식은 총 82%로 확 인되었으며, 추후 플립러닝 형태로 운영되는 실습교 과목이 개설되면 수강하고 싶은지를 설문한 결과 전 체 대상자의 77.7%가 플립러닝에 긍정적인 학습경험 을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Analysis of differences in flipped learning perception according to learning characteristics
플립러닝 관련 학습특성에 따라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실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 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 자의 플립러닝 관련 학습특성은 첫째, 기존 플립러닝 경험여부, 둘째, 사전 영상학습의 평균 수행횟수, 셋 째, 사전 영상학습의 수행시점의 3가지 특성으로 설 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1)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previous flipped learning experience
<Table 6>에 나타난 독립표본 t-검정의 결과를 분석 해보면 조사대상자의 기존 플립러닝 경험 여부에 따 라 플립러닝 관련 인식실태의 평균값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경우는 ‘플립러닝이 이론바탕으 로 실습이 병행되는 형태의 교육에 효과적이다’로, 기 존 플립러닝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경험이 없는 응답 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05).
2)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paration experiences
<Table 7>에 나타난 독립표본 t-검정의 결과를 분석 해보면, 조사대상자의 사전 영상학습의 평균 수행횟수 에 따라 상기 표에 기재된 모든 플립러닝 관련 인식실 태의 평균값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플 립러닝의 사전수업단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사전영상학습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학생일수록 플 립러닝 학습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네일디자 인 능력도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플립러닝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전영상학습의 수행여 부를 점검 및 통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할 것이다.
3)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ing of preparation
<Table 8>에 나타난 독립표본 t-검정의 결과를 분석 해보면, 조사대상자의 사전 영상학습의 수행시점에 따라 플립러닝 관련 인식실태의 평균값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경우는 다음의 2가지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플립러닝이 실습수행에 효 과적인가에 대하여 사전 영상학습을 수업 전에 수행 하는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유의미하 게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p<.05), 둘째, 플립러닝 형 태의 교과목에 대한 수강욕구에 있어서 사전 영상학 습을 수업 전에 수행하는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 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수강욕구를 보였다(p<.05).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Seol(2022)이 발표한 네일미용 교육을 위한 플립러닝 수업모형 설계연구의 연계논문으로, ‘네일컬러디자인1’ 교과에 플립러닝 수업모형을 적용 한 사례를 통해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들의 인식실태 를 분석하였다. 네일미용분야의 이론+학습 형태의 수 업모형이 운영되었을 때 학습자의 운영단계별 인식실 태를 확인하였으며, 이론+실습 형태의 실습교육을 플 립러닝으로 적용하였을 때 교과의 교육목표에 도달하 는지를 학습자의 자기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플립러닝을 경험한 학습자의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실 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수업 전 플립러닝에 대한 경험유무에 따 라 사전단계의 동영상 콘텐츠의 학습의 시기와 학습 횟수를 빈도분석한 결과, 플립러닝 경험이 있는 학습 자가 In-class 전에 2번 이상 학습하는 비율이 높은 것 으로 확인되었다.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경험이 많을 수록 플립러닝의 핵심이 되는 사전학습에 성실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업모형에 따른 운영단계별 학습자의 경험 에 대한 인식실태를 빈도분석한 결과, Pre-class, Inclass, Post-class의 수업운영에 긍정적인 인식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In-class에 활용될 워크 시트를 Pre-class 이전에 제공하므로 수업에 동기가 높아지는 긍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전단 계의 이론영상 수업 시 디지털 판서를 반영하였을 때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class 에서 협력학습에서 워크시트는 집중력을 높이고 시범 작업 영상을 배경화면으로 재생하는 것에 긍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워크시트 결과물의 평가는 Postclass의 자기성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이러한 학습자의 인식을 통해 Seol(2022)의 네 일미용 수업모형이 안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으며 수업을 통해 개발된 워크시트 등의 수업도구가 효과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플립러닝 관련 학습특성에 따른 플립러닝 만 족의 인식실태를 t-검정한 결과, 이전에 플립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학습자가 플립러닝이 이론바탕으로 실습 이 병행되는 형태의 교육을 효과적이라고 인식한다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In-class 전 사전 단계의 자기학습을 완료한 학습자의 경우 사전 자기학 습으로 플립러닝이 실습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플립러닝 학습형태에 대한 만족도와 플립러닝 교 과에 대한 수강욕구가 높다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전단계의 자기학습을 평균 2회 이 상 수행한 학습자의 경우, 수업운영에 있어 협력학습 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수업 후 자기성찰에 대한 인 식이 높았으며 교과의 수업목표 달성에 대한 자기평가 와 플립러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모든 설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론이 바탕이 되는 네일미용 실기교과 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플립러닝의 수업모형을 적용하였으며, 학습자의 인식실태를 설문과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플립러닝 수업모형의 운영단 계별 효과를 확인하고 플립러닝 경험 학습자의 만족 도 와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 가 있다. 본 연구는 이론+실습 형태의 네일미용교과 중 디자인적 특징을 갖는 네일컬러디자인 교과에 국 한되어 있어, 네일미용교육에 적용한 플립러닝의 효 과를 일반화하고 확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플 립러닝 통제집단과의 인식실태 비교분석이 수행되지 않은 연구의 한계가 있다. 대학수업은 대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 어가고 있다. 보다 다양한 특성이 있는 미용 세부 분 야의 교과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플립러닝 교육효 과의 일반화와 확장을 위한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