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4 pp.529-547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4.529

A study of the bata de cola in Flamenco dresses

Hye-Won Park, Sookhee Kwon*
Master, Dept. of Fashion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sookhee@jejunu.ac.kr)
March 26, 2022 July 20, 2022 July 22,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cept, form, and structure of the bata de cola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history of the costume and a study of the suitability of its functional elements during performance of ‘Caña Flamenco’. Traditionally, Flamenco dance dresses were made by Spanish women from the lower classes, and the ‘upward flow’ of the dresses represented the women’s individuality and unique style. The bata de cola, which appeared later, was an evolution of the Flamenco dress that was influenced by costume styles and silhouettes of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and it was made famous by Flamenco dancers. For practical costume production, a Flamenco artist who had performed in Spain and Korea was proposed as a study participant.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tepwise wearing evaluation method whereby the Flamenco artist wore prototype dresses and evaluated whether they were practical for the required dance movements or not. A final bata de cola pattern was derived after the experiment was repeated five times based on the feedback of the Flamenco artist,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Using stepwise clothing evaluation of the prototype, a costume that enabled the Flamenco artist to implement optimal movements was successfully produced.



플라멩코 드레스 바따 데 꼴라의 연구

박 혜 원, 권 숙 희*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석사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스페인의 안달루시아(Andalusia) 지역에서 발생한 플라멩코(Flamenco)는 2010년 유네스코에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민족 예술이다. 플라멩코는 나뭇가지를 의미하는 빨로(palo)라는 형식에 의해 구분되며, 플라멩코 무용수들은 바따 데 꼴라 (bata de cola)라는 아름다운 플라멩코 드레스를 무대의상으로 착용하고 공연을 한 다. 관객들은 공연 장면을 시각적인 이미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무용수가 동작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착용하는 무대의상이 매우 중요하다.

    플라운스 장식의 붉은색 플라멩코 드레스를 입고 춤을 추는 무용수는 스페인을 대표하는 문화적 이미 지로 유형화되어 있으며 관련된 수많은 문화예술의 콘텐츠가 존재하고 있다. 바따 데 꼴라는 플라멩코 드 레스의 한 형태로, 안달루시아를 대표하는 민속복이며 앞뒤가 언밸런스한 스커트의 헴라인이 특징이다. 스 커트의 트레인인 꼴라(cola)가 바닥에 끌릴 정도로 매 우 길고 화려한 플라운스 장식으로 의상이 매우 무거 우며, 무용수가 입고 춤을 추더라도 전문적인 바따 데 꼴라를 다룰 수 있는 춤 기술이 있어야 하기에 매우 까다로운 의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의상의 이해도와 함께 제작에 있어 세심한 기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 다. 따라서 이국정취의 민속의상이라는 특수성 때문 에 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의 국내 제작은 플라멩코 무용수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결국에는 의상의 수 입에 의존하게 된다. 더욱이 한국 여성의 체형을 고려 하지 않은 스페인 현지에서의 제작은 국내에서 다시 보정 단계를 거쳐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바따 데 꼴라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고 보는 바이다. 이에 의상 제작에 앞서 플라멩코 드레스의 사전 조사를 하였다.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RISS에서 조사해 본 결과, 플라멩코의 이미지를 모티 브로 한 디자인 연구(Han, 2017)와 스페인의 민속복 에 관한 연구(Bae, 2018;Lee, 1996;Lee, 2021)가 있 었으며 스페인 출신 디자이너 크리스토발 발렌시아의 스페인 취향을 분석한 연구(Kim, 2014;Kim & Park, 2014;Lee, 2016)가 있었다. 이렇듯 플라멩코 드레스 바따 데 꼴라(bata de cola)는 스페인 플라멩코의 대표 적인 민속복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제작 문제와 더불어 연구사례가 매우 미흡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복식사적으로 플라멩코 드레스의 발전과 정을 통해 바따 데 꼴라의 구조와 특징을 이해하였다. 또한 플라멩코 무용수가 춤을 출 때 요구되는 의상의 기능적 요소들을 착의 평가를 통하여 발견하고, 댄스 의상으로서의 동작 적합성에 관련하여 발생하는 문제 점들을 보완해가며 그것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Ⅱ. Review of Literature

    1. The history of Flamenco dress, bata de cola

    플라멩코는 무용수의 열정적인 춤사위와 함께 화 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무대의상이 특징이다. 춤을 추 는 무용수는 플라멩코가 가진 독특한 이미지로 유형 화(stereotype)되어 있다. 플라멩코가 발생한 안달루시 아 지역은 지리적인 특징으로 이민족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아온 곳이며, 복식에 있어서 주변 유럽국가들 과는 다른 독특함이 있다. 스페인에서 플라멩코 드레 스를 ‘뜨라헤 데 플라멩카(traje de Flamenca)’라고 하 며 매년 4월 세비야(the Seville fair) 축제에서 여성들 이 입거나 플라멩코 무용수들이 무대의상으로 입는 다. 플라멩코 드레스는 스커트의 트레인처럼 꼴라 (cola)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꼴 라가 있는 것이 바따 데 꼴라(bata de cola)이다. 플라 멩코 드레스의 기원에 관하여 정설은 없으나 대체적 으로 안달루시아 지역의 민속복에 히따노(gitano)의 개 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19세기 세비야의 박 람회(the April fair of the cattle)에서 옥양목(calico)으 로 지어진 독특한 차림새의 히따노 즉, 집시(gypsy) 출신의 상인 여성들이 입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Martínez Moreno, 1999). 세비야 축제는 본래 가축 매 매의 시장으로 시작되어 세비야의 전통과 관습이 보 존된 공식적인 축제 행사로 발전되었다(Mesa García, 2019). 20세기 초에 민족지학(ethnography)적인 현상 으로 민속복이 문화유산으로서의 중요성과 국가의 주 요 부가가치로 인식되고, 1929년 플라멩코 드레스가 안달루시아의 공식적인 민속의상(Martínez Moreno, 1999)이 되면서 축제는 관광객 유입을 위한 새로운 수단이 되었다(Vega, 2006). 스페인의 독재정권 (Francoist Spain 1939~1975)에서는 특정한 플라멩코 와 플라멩코 드레스를 입은 여성의 이미지를 ‘내셔널 플라멩코이즘(national-Flamencoism)’이라고 하여 외 교 수단으로 이용하였으며(Goldbach, 2014), 여성들 이 플라멩코 드레스를 입고 축제에서 성적인 매력을 드러내도록 장려하였다(Martínez Moreno, 1999). 플 라멩코 드레스의 자잘한 플라운스 장식과 독특한 형 태는 주변국의 복식과 차별되는 개성을 가지고 있는 데, 이는 국가 간 의복의 구성과 형태도 비슷했던 유 럽 스타일과 구분되는 것으로 스페인인들의 개성과 안달루시아의 지방색이 복식 스타일에 반영된 것이 다. 의상의 화려한 플라운스 장식은 귀족 여성의 의상 을 재단하고 남은 옷감 조각들을 다양한 주름 장식으 로 만들어 의상에 장식하던 것으로, 후대에 갈수록 더 욱 화려하고 기교적인 방법으로 발전하였다. 18세기 하위계층들에 의한 ‘마히스모(majismo)’라는 문화현 상은 스페인 비주류들의 개성이 의복 스타일에 반영 된 것으로 매우 인기를 끌었다. 나중에는 귀족들이 그 들의 스타일을 모방하기까지 하였는데 이것은 복식의 ‘상향류(upward flow)’라고 할 수 있으며(Bae, 2018), 이후의 플라멩코 드레스의 등장과 상징적인 주름 장 식은 이러한 문화현상의 연장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Fig. 1>은 1930년대의 세비야 축제에서 플라멩코 드 레스를 입은 여성들을 촬영한 사진으로 도트 무늬와 자잘한 플라운스 장식이 돋보이며, 여성들은 어깨에 만 똔(mantón)을 걸쳤다. 안달루시아식 만똔은 18세기 필 리핀 마닐라(Manila)에서 유래된 것으로 실크 소재에 화려한 자수가 특징이며 테두리 끝에 프린지 장식이 달리면서 안달루시아의 민속복이 되었다(Fernández, 1999).

    플라멩코 드레스는 1990년대에 들어 바디 부분이 매우 타이트해지면서 실루엣의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 였다. 이것은 무대에서 몸매를 돋보이게 입었던 플라 멩코 무용수들의 의상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 다. <Fig. 2>의 플라멩코 드레스는 허벅지 부근까지 매 우 타이트하며 스커트의 플레어 시작점이 무릎 근처 로 많이 내려가 있다. 지금의 세비야 축제에서 가장 많 이 보이는 실루엣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몸에 꼭 맞기 때문에 드레스를 입은 여성들은 좁은 보폭으로 걷게 된다. 여기에 스커트의 뒷부분을 꼬리처럼 길게 늘어 뜨리면 바따 데 꼴라가 된다. 바따 데 꼴라는 주로 플 라멩코 무용수들이 무대의상으로 착용하고 있으며 의 상의 외관은 19세기 버슬스타일과 20세기 초반의 S- 커브 스타일(S-curve style)에서 나타나는 실루엣의 유 사성이 있다. 19세기는 공연 형태의 플라멩코가 융성 했던 시기로 무대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Vega, 2006), 무대에서 아름답게 보여야 했던 무용수들은 당대의 유행하는 패션 스타일을 적절히 반영하여 개성 있고 아름다운 바따 데 꼴라를 무대의상으로 입었던 것으 로 생각된다. <Fig. 3>은 19세기에 그려진 풍속화로, 무용수는 커다란 플라운스 장식이 된 의상을 입고 프 린지가 달린 붉은색 만똔을 X자로 두르고 있다. 그림 의 의상은 스커트 트레인의 중간을 듬성듬성 묶어서 늘어뜨린 후기의 버슬스타일이다. 스커트 앞부분의 커다란 플라운스와 만똔은 안달루시아 풍과 버슬스타 일의 조화로 보인다. <Fig. 4>의 무용수가 입은 1920 년대의 바따 데 꼴라는 소매와 스커트에 자잘한 플라 운스가 달려 있으며 스커트 안에는 페티코트와 같은 언더스커트를 겹쳐 입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스커트 의 길이는 지금의 바따 데 꼴라와 비교해보면 매우 짧 은 편이다. <Fig. 5>의 커다란 도트 무늬와 커다란 플 라운스 장식은 가장 많이 알려진 바따 데 꼴라의 디자 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바디는 매우 타이트하지만 엉 덩이에서 허벅지까지 스커트 부분은 무용수의 하체 동 작 범위를 고려한 여유를 가진다. 무용수의 몸매가 드 러나는 실루엣은 무대의상으로서의 미적 요소를 위한 고려이며, 무용수의 신체적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형 태로 발전한 결과로 생각된다. <Fig. 6>은 2002년 아 르마니(Giorgio Armani)에서 남성 플라멩코 무용수를 위해 제작한 매우 긴 길이의 바따 데 꼴라로, 현대적 인 구성의 플라멩코 공연에서 착용되었다. 이 의상을 계기로 남성 플라멩코 무용수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무대에서 바따 데 꼴라를 입고 공연을 하게 되었다. 플라멩코 드레스는 그 독특함으로 디자이너들에게 많 은 영감을 주었는데, 1961년 스페인 출신 디자이너 발 렌시아가(Cristobal Balenciaga)는 플라멩코를 주제로 하여 감각적인 이브닝 드레스를 디자인하였다. <Fig. 7>은 바따 데 꼴라의 언밸런스한 헴라인과 커다란 플 라운스, 트레인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것이 다. <Fig. 8>은 현재 플라멩코 무용수들이 가장 많이 입고 춤을 추는 가장 일반적인 바따 데 꼴라의 디자인 으로, 춤을 추면서 불편할 수 있는 장식들이 많이 단 순해졌으나 스커트에는 여전히 화려한 플라운스가 자 잘하게 달려 있다.

    결과적으로 플라멩코 드레스는 안달루시아 지역에 서 하위계층 여성들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다양한 문 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시대별 패션 스타일을 적절하 게 반영하여 여성의 관능적인 매력을 강조하는 디자 인으로 발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2. Caña Flamenco dance

    까냐 플라멩코(Caña Flamenco)는 솔레아레스 (Soleares) 계열의 빨로(palo)이며 주로 플라멩코 춤을 위한 음악으로 쓰인다(Lee, 2017). 플라멩코 춤은 바 일레(baile)라고 하며, 플라멩코 무용수(Flamenco artist) 가 사빠도(zapado)라는 5cm 안팎의 굽이 있는 구두를 신고 춤을 춘다. 12박자를 기본으로 하고 춤을 출 때 현란하고 기술적인 발동작을 구사하기 때문에 기본적 으로 하체의 고관절(coxa) 사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발동작을 사빠떼아토(zapateado)라고 하며, 무용수는 발 스텝의 두드림을 악기처럼 활용하여 엇박자의 테 크닉을 구사한다.

    <Table 1>은 연구참여자가 제시한 까냐 플라멩코 춤동작으로, 3박자의 스텝과 함께 상체의 우아한 팔 동작을 하는 마르까헤 꼰 빠쎄오(marcaje con paseo), 몸을 굽혀 좌우 방향으로 다리로 스커트를 밖으로 차 는 운 뽀꼬(un poco), 꼴라 스커트를 높게 위로 올라 차면서 회전하는 부엘따(vuelta)이다.

    Ⅲ. Method & Procedure

    1. Interview survey of participant

    1) A research participant

    연구참여자를 플라멩코 전문가로 한정하였기 때문 에 제안의 방법으로 제주에서 활동하는 플라멩코 무용 수 1인을 선정하였으며, 윤리적 고려를 위해 제주대학 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연구승인(JJNU-IRB-2021-033) 을 받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2) Content of interview

    본 연구는 의상 제작에 있어서 연구참여자의 주관 적 체감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면담을 요청하였다. 면 담의 내용은 플라멩코 드레스와 바따 데 꼴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작 적합성과 관련하여 춤동작에 영향 을 줄 수 있는 부분을 사용자의 관점에서 이해하면서 그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기록하였다. 면담 일 시와 장소는 2021년 6월 8일 화요일 연구참여자의 댄 스 스튜디오로 면담 시간은 30분이었다.

    3) Method of interview analysis

    면담자료 분석은 연구참여자의 체감을 중심으로 의상의 동작 적합성을 고려하여, 그가 반복적으로 중 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선별하고 정리하였다.

    2. Analysis of Flamenco dress

    1) Analysis of Flamenco artist’s costumes

    연구참여자가 소장한 실물 플라멩코 드레스 세 벌 을 분석하였다. 세비야에서 구매한 Costume 1, 바르 셀로나에서 맞춤 구매한 Costume 2, 말라가에서 맞춤 구매한 Costume 3이며, 분석항목은 의상의 구조에서 허리선 위치, 스커트 플레어 시작점, 스커트 앞과 뒤 의 길이, 헴라인 둘레 길이, 스커트 내부의 박스 플리 츠의 봉제 위치, 의상의 무게이다.

    2) Analysis of Flamenco commercial patterns

    (1) Analysis of commercial pattern 1

    상업패턴 1(vestidos la bata de cola)의 도식화에서 의상의 형태, 패턴 전개에서 패턴의 항목과 꼴라 스커 트의 제도 방법을 분석하였다.

    (2) Analysis of commercial pattern 2

    상업패턴 2(bata de cola Iris)는 온라인에서 판매하 고 있는 실물 패턴으로 연구참여자의 사이즈에 부합하 는 사이즈 10을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패턴의 구조 와 도식화, 스커트의 앞과 뒤의 길이, 엉덩이둘레, 엉 덩이길이, 스커트의 플레어 시작점, 헴라인 길이이다.

    3. Prototyping

    1) Participant’s body size

    본 연구에서는 실제 플라멩코 공연에서 착용할 수 있는 시제품을 제작해야 했기 때문에 연구참여자의 신체 치수가 필요했다. <Table 2>는 연구참여자의 치 수를 줄자로 측정한 내용이다.

    2) Method of dance motion evaluation

    실제 공연상황과 같은 환경을 조성하고 연구참여 자는 까냐 음악에 맞춰 플라멩코 춤을 추는 방법이다. 춤의 움직임이 매우 동적이고 유기적으로 흐르기 때 문에 동작을 세분화하여 평가 점수화에 어려움이 있 었다. 따라서 연구참여자가 제시한 춤동작에 집중하 면서 그것의 실행 가능성 유무로 평가하였다. 동작이 실패하면 의상의 문제로 간주하고 문제점을 수정하여 다음 단계의 착의 평가로 이어나갔다. 예비 착의 실험 두 번과 시제품별 세 번의 착의 평가를 하였으며 마르 까헤 꼰 빠쎄오, 운 뽀꼬, 부엘따의 순서로 동작 평가 를 하였다. 춤동작은 12분의 까냐 플라멩코의 음악에 맞춰 반복되었다.

    3) Pre-prototyping experiment

    (1) The clothing evaluation of commercial pattern 1

    <Fig. 9>는 앞의 상업패턴 1(vestidos la bata de cola)을 연구참여자의 치수로 수정하여 제도한 것으 로 타원형의 스커트 패턴을 4개로 분할하여 토르소 패턴과 스커트 패턴의 시작 지점에 맞춘 것이다. 허리 와 엉덩이까지 매우 타이트한 실루엣으로 A 패턴의 스커트 A´의 앞길이는 80cm이고 D 패턴의 스커트 D´의 뒷길이는 160cm로 스커트 앞길이의 두 배이다. 스커트 A´의 플레어 시작점은 허리선 아래의 34cm 지점이다. A´의 스커트 헴라인 길이는 74.8cm, B´는 74.7cm, C´는 107.6cm, D´는 107.7cm이다. 실험복을 홑겹의 머슬린으로 제작하고 착의 평가를 하였다.

    (2) The clothing evaluation of commercial pattern 2

    <Fig. 10>은 상업패턴 2(bata de cola Iris)의 사이즈 10을 연구참여자의 치수에 맞게 수정한 것이다. 어깨 에서 시작하는 프린세스 라인(Jeon & Kwon, 2004)으 로 정리하였으며, 패턴 A의 스커트 앞길이는 허리 앞 점(anterior waist)에서 헴라인까지 105cm이며 패턴 D의 스커트 뒷길이는 허리 뒤 점(posterior waist)에 서 헴라인까지 200cm로 제도하였다. 스커트의 플레 어 시작점은 허리선에서 35cm 지점이며 엉덩이 부분 을 타이트하게 제도하였다. 패턴 A의 헴라인 길이는 16cm, 패턴 B는 42.5cm, 패턴 C는 83.5cm, 패턴 D는 85cm이다. 홑겹의 머슬린으로 실험복을 제작하고 착 의 평가를 하였다.

    4) Three prototyping process

    (1) Prototype 1 and clothing evaluation

    <Fig. 11>은 두 번의 예비 착의 실험의 내용을 바탕 으로 제도한 시제품 1의 패턴이다. 진동에서 시작하 는 프린세스 라인(Jeon & Kwon, 2004)으로 정리하 고, 패턴 A의 스커트 앞길이는 허리 앞 점에서 헴라인 까지 105cm이며 스커트 뒷길이는 허리 뒤 점에서 헴 라인까지 200cm이다. 스커트의 플레어 시작점은 엉 덩이돌출점 레벨인 24cm이며 패턴 A의 헴라인 길이 는 15.6cm이고 패턴 B는 50.0cm, 패턴 C는 89.7cm, 패턴 D는 96.2cm이다.

    의상의 소재는 <Table 3>의 면과 리넨이 합사된 것 으로 약간의 빳빳함과 두께가 있으며 연구참여자의 착 용감을 고려하여 홑겹으로 제작하였다. 내부에는 얇으 면서 강도가 있는 폴리에스터의 튤(tule) 소재로 박스 플리츠를 만들어 스커트 내부의 허리 앞 점에서 아래 로 50cm 지점 내부에 플리츠를 봉제하고 헴라인의 모 양 유지를 위하여 끝을 두껍게 파이핑하였다. <Table 4>는 시제품 1의 제작과 착의 평가의 내용이다.

    (2) Prototype 2 and clothing evaluation

    시제품 1의 착의 실험을 바탕으로 시제품 2의 패턴 을 제도하였다. <Fig. 12>의 시제품 2의 패턴은 진동 에서 시작하는 프린세스 라인(Jeon & Kwon, 2004)으 로, 패턴 A의 스커트 앞길이는 허리 앞 점에서 헴라인 끝까지 105cm이고 D의 스커트 뒷길이는 허리 뒤 점 에서 헴라인까지 300cm이다. 스커트의 플레어 시작 점은 엉덩이돌출점 레벨의 24cm보다 3cm 아래 지점 에서 시작하여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헴라인까지 제도 하였다. 패턴 A의 스커트 헴라인 길이는 15.6cm, 패턴 B는 50.0cm, 패턴 C는 89.7cm, 패턴 D는 172.5cm이다.

    시제품 2의 소재는 <Table 5>에서 10수의 광목에 갈 염색을 한 것으로, 연구참여자의 취향을 반영하였 고 다소 빳빳하고 강도가 있는 것이다. 스커트 내부의 소재는 빨간색 폴리에스터 소재의 튤이며 플리츠를 만들어 허리 앞 점에서 아래로 50cm 지점에서 헴라인 까지 차례로 봉제하고, 연구참여자의 착용감을 고려 하여 홑겹으로 제작하였으며, 헴라인 끝을 두껍게 파 이핑하였다. 제작과정에서 연구참여자의 허리에 의상 이 꼭 맞도록 안감의 솔기에 너비가 6mm인 플라스틱 본(plastic bone)을 삽입하였다. 헴라인에는 너비 10cm 의 그물형 폴리에스터 크리놀린을 박음질하고 끝을 두껍게 파이핑하였다. <Table 6>은 시제품 2의 착의 평가와 제작 과정의 내용이다.

    (3) Prototype 3 and clothing evaluation

    시제품 2의 결과를 반영하여 시제품 3의 패턴을 제 도하였다. <Fig. 13>은 진동에서 시작하는 프린세스 라인(Jeon & Kwon, 2004)으로, 패턴 A의 스커트 앞 길이는 허리 앞 점에서 헴라인까지 108cm이고 패턴 D에서 스커트 뒷길이는 허리 뒤 점에서 헴라인까지 220cm로 제도하였다. 연구참여자가 꼴라를 머리 위 로 드는 꼴라 동작(cola position)으로 무릎 뒤 오금이 살짝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허리 뒤 점에서 헴라 인까지 220cm이다. 스커트의 플레어 시작점은 엉덩 이돌출점 레벨의 24cm로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헴라 인까지 연장하였다. 패턴 A의 스커트 헴라인 길이는 15.6cm이고 패턴 B는 48.9cm, 패턴 C는 90.3cm, 패 턴 D는 106.8cm이다.

    시제품 3의 겉 의상 소재는 광택이 있는 폴리에 스터로 적당한 두께와 빳빳함이 있다. 내부 의상의 언더 스커트와 플리츠 소재는 동일하며 빳빳한 폴리 에스터 튤이다(Table 7). 의상을 겉과 안으로 각각 제 작하였으며 내부의 언더 스커트를 두 겹으로 재단하 고, 플리츠의 주름을 풍성하게 잡아 촘촘하게 봉제하 여 부피감 있게 제작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두 의상을 겹쳐 입고 착의 평가를 하였다. <Table 8>은 단계적인 시제품 3의 착의 평가와 제작 과정의 내용이다.

    Ⅳ. Results & Discussion

    1. Results of interview

    연구참여자가 의상의 동작 적합성에 관련하여 중 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Table 9>의 네 가지 사항 으로, 적절한 스커트의 길이, 적합한 소재, 의상의 무 게, 꼴라 스커트의 동그란 헴라인이었다.

    이 항목들은 단계적인 시제품들의 제작과정에서 고 려된 요인들에 상응하여 유의미한 결과로 도출되었다.

    2. Results of the analysis of Flamenco dresses

    1) Analysis resul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snal costumes

    연구참여자의 소장 의상 세 벌의 분석 결과이다. <Table 10>에서 의상들의 치수는 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의 단면길이를 재고 2배를 한 것이다. Costume 1 은 허리둘레 75.2cm, 엉덩이둘레 104.8cm, 엉덩이 길 이 36cm, 스커트의 앞 중심 길이 58.2cm, 스커트의 뒤 중심 길이 58.2cm이다. <Fig. 14>는 Costume 1로 무 릎 위 12cm에서 스커트의 플레어가 시작되고 티어드 스커트의 형태로 바디가 매우 타이트한 실루엣이다. 의상은 두 겹으로 빳빳한 면 소재의 언더 스커트가 내 부에 봉제되어 있고 무게는 3.2kg이다. <Fig. 15>의 Costume 2는 허리둘레 76.6cm, 엉덩이둘레 107.3cm, 엉덩이 길이 25cm, 스커트의 앞 중심 길이 104cm, 뒤 중심 길이 195cm이다. 스커트 형태의 바따 데 꼴라로 허리선에서 엉덩이돌출점 레벨의 25cm까지 타이트하 고 그 아래부터 헴라인까지 플레어진다. 소재는 두껍 고 소프트한 홑겹의 폴리에스터로 추정되며 의상의 무게는 3.7kg이다. 스커트 겉의 플라운스는 폭 13cm 로, 스커트의 앞부분은 4단, 스커트의 뒷부분은 7단으 로 봉제되어 있다. 내부에는 플리츠가 앞쪽은 4단, 뒤쪽은 5단으로 봉제되어 있다.

    <Fig. 16>의 Costume 3은 허리둘레 75cm, 엉덩이 둘레 105.2cm, 엉덩이 길이 27cm, 스커트의 앞 중심 길이 101cm, 스커트의 뒤 중심 길이 190cm이다. 허리 선이 매우 높은 스커트 형태의 바따 데 꼴라이며, 소 재는 홑겹으로 두껍고 신축성이 없는 단단한 폴리에 스터로 추정되며 무게는 5.3kg이다. 스커트 겉에 플라 운스는 폭 10cm로 스커트 앞부분에 8단으로 봉제되 어 있고 뒷부분은 15단으로 봉제되어 있다. 스커트 겉 의 플라운스 사이에 검은 망사재질의 러플이 봉제되 어 있다. 의상의 내부에는 박스 플리츠가 14단으로 봉 제되어 있다(Fig. 16).

    3. Analysis result of commercial patterns

    1) Analysis result of commercial pattern 1

    <Fig. 18>과 <Fig. 19>는 스페인의 패턴 교육학원 (Cómo Cubrir Un Cuerpo)의 바따 데 꼴라의 도식화 와 패턴 전개이다. <Fig. 18>의 도식화는 의상의 실루 엣이 Costume 1과 유사하지만 스커트의 뒤의 꼴라가 길게 늘어져 있으며 바디 부분이 매우 타이트하다. <Fig. 19>는 도식화의 패턴 전개이며, A는 바디 부분 의 패턴으로 무릎 근처가 좁아지며 타이트한 모양이 다. B는 360도 폭의 플레어 스커트이며 뒤의 꼴라가 길다. 스커트 패턴을 제도할 때 스커트의 시작 지점인 원의 중심 둘레는 원둘레 공식 2πr으로 반지름 길이 를 구하고 2를 곱한 후 원의 둘레를 구한다. 이 원둘 레 길이는 A의 패턴들의 아랫변 합과 같아야 한다. 스 커트의 꼴라를 제도할 때는 스커트 뒤 중심선의 스커 트 끝점에서 스커트의 원의 반지름 길이만큼 연장하 고, 아웃 라인을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제도한다. C는 의상의 안감이며 D는 스커트 부분으로 B의 내부에 봉제되는 박스플리츠 패턴이다. E는 스커트 겉에 봉 제되는 플라운스의 장식이고 H는 네크라인의 주름 장 식 패턴이며 G는 소매의 주름장식이다.

    2) Analysis result of commercial pattern 2

    <Fig. 20> 및 <Fig. 21>은 플라멩코 드레스 메이킹 (Flamenco-dressmaking)의 바따 데 꼴라 아이리스 (bata de cola iris)의 도식화와 사이즈 10의 패턴, 플라 운스 배치도이다. <Fig. 20>의 도식화에서 스커트의 앞뒤가 언밸런스하고 허리선이 매우 높다. 허리선이 높은 이유는 스커트가 무거워서 허리밴드를 넓고 두 껍게 하여 몸에 고정하기 위함이다. <Fig. 21>은 실물 패턴 각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고 제도한 것으로, 스커 트의 앞 중심 길이는 105cm이며 스커트의 뒤 중심 길 이는 200cm이다. 허리에서 엉덩이돌출점을 지나 허 벅지 윗부분까지 타이트하다. 스커트 플레어 시작은 대략 엉덩이돌출점 레벨에서 그 아래로 35cm 지점이 며, 헴라인까지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뒤의 꼴라 패턴 에서 플레어가 많이 퍼진다. <Fig. 22>는 스커트의 플 라운스의 배치이며 플라운스 간의 봉제 간격은 17cm 이다. 겉과 안의 한쪽을 먼저 봉제하고 겉과 안의 주 름 장식이 서로 겹치지 않게 2cm 간격 차이를 둔다. 파란색은 겉의 플라운스 배치선이고 빨간색은 안의 플리츠 배치선이다. 스커트 겉의 앞부분의 플라운스 는 4단이고 뒷부분은 7단이다. 스커트 내부는 앞은 2 단, 뒤는 4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4. Results of clothing evaluation

    1) Result of pre-prototype evaluations

    (1) Result of pre-prototype 1 evaluation

    상업패턴 1을 연구참여자의 치수로 수정하고 한 번 의 착의 평가를 하였다. 착의 평가 결과 마르까헤 꼰 빠쎄오(Fig. 23)는 할 수 있었으나 엉덩이 부분이 매 우 타이트해서 운 뽀꼬(Fig. 24)는 할 수 없었다. 스커 트의 앞 길이가 길어서 연구참여자의 발에 밟혔지만 스커트 뒤의 꼴라는 짧다고 평가되었다. 연구참여자 가 부엘따를 하기 위해 다리들기를 하였으나 실패하 였으며 729.6cm의 헴라인 둘레 길이는 춤동작을 함에 있어 부적절할 정도로 넓게 퍼지면서 펄럭거렸기 때 문에 하체의 동작 범위가 넓은 고난도의 동작을 요구 하는 플라멩코의 의상으로 부적절하다고 평가되었다.

    (2) Result of pre-prototype 2 evaluation

    상업패턴 2를 연구참여자의 치수로 수정하고 한 번 의 착의 평가를 하였다. 연구참여자가 운 뽀꼬(Fig. 25)를 했을 때 엉덩이 쪽의 당김을 느꼈으나 춤동작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리를 뒤로 들어 부엘따를 했 을 때는 실험복의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의 당김으로 동작의 불편함을 느꼈다(Fig. 26). 착의 칠험 결과, 엉 덩이 부분이 타이트해서 춤을 추기에 어려움이 있었 기 때문에 하체의 동작 범위가 넓은 고난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까냐 플라멩코의 의상으로 부적절하다고 평 가되었다. 그리고 스커트를 다루면서 춤을 추기에 그 길이가 짧다고 하였다. 따라서 시제품 제작을 위한 패 턴의 제도에서는 엉덩이돌출점 레벨의 플레어 시작점 과 스커트의 길이에 대한 고려를 반영하고 무대의상 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2) Result of prototype evaluation

    (1) Result of prototype 1 evaluation

    1차 착의 평가에서 운 뽀꼬를 했을 때 가볍게 스커 트가 좌우로 튕기고, <Fig. 27>과 같이 부엘따를 했을 때는 스커트가 아주 가볍게 위로 떠올랐다. 1차 착의 평가 결과 의상의 스커트 부분이 가벼워 꼴라의 반동 을 이용하는 부엘따의 움직임이 적절하지 않았다. 2 차 착의 평가에서 운 뽀꼬를 했을 때 겉의 플라운스 장식의 무게로 스커트의 볼륨이 없어지고 헴라인은 찌그러졌으며, 연구참여자의 다리에 꼴라가 다리에 감기면서 스커트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그 리고 <Fig. 28>과 같이 부엘따를 했을 때 스커트가 위 로 잘 뜨지 못하고 헴라인이 무겁게 찌그러지면서 아 래로 둔탁하게 떨어졌으며, 플라운스가 더해지면서 연구참여자는 상대적으로 스커트의 길이가 짧다고 느 꼈다. 2차 착의 평가 결과 스커트가 힘이 없고 무거워 지면서 의상의 허리 부분이 아래로 당겨지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에 춤동작에 집중할 수 없었으므로 허리 의 보강과 보정이 필요했다(Fig. 29). 3차 착의 평가에 서 허리의 보강으로 연구참여자는 춤동작에 더욱 집 중할 수 있었으나 여전히 스커트에 힘이 없어서 운 뽀 꼬 동작 이후 부엘따(Fig. 30)를 하고 스커트를 잡고 다루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스커트 소재 의 경직성이 제기되었고 200cm의 꼴라는 연구참여자 의 신장 170cm의 기준으로 부엘따를 할 때 다소 짧은 길이로 평가되었다.

    완성된 바따 데 꼴라의 무게는 2.8kg으로, 앞의 시 제품 1의 2.8kg과 동일했으며 연구참여자의 체감상 플라멩코 춤을 추면서 다루기에는 스커트가 가벼워서 플라멩코 음악에 맞춰 꼴라를 띄웠다가 착지시키면서 3박자를 맞추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2) Result of prototype 2 evaluation

    1차 착의 평가에서 운 뽀꼬를 하였으나 300cm의 꼴라가 아래로 늘어지면서 연구참여자의 다리를 감았 다. 이후 <Fig. 31>의 다리를 뒤로 들어 꼴라를 차면서 회전하는 부엘따를 실패하였다. 감긴 꼴라를 풀고 재 빨리 다음 동작으로 연결할 때도 어려움이 있었다. 겉 에 플라운스 장식을 하고 다음 착의 평가를 하였다. 2차 착의 평가에서는 스커트 겉에 플라운스의 무게로 <Fig. 32>의 운 뽀꼬 동작이 어려웠고 부엘따는 실패 하였다. 이후 다리에 감긴 꼴라를 재빨리 풀고 다음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할 때 꼴라가 연구참여자의 다리에 감겨 춤동작에 방해가 되었다. 따라서 300cm 의 꼴라는 까냐 플라멩코 춤을 추는 데 매우 방해가 되는 길이였으며, 꼴라의 길이 50cm를 줄여 250cm로 보정하였다. 3차 착의 평가에서 <Fig. 33>과 같이 부 엘따 동작을 할 수 있었고, 다리에 감긴 꼴라를 재빨 리 풀고 원하는 지점에 멈추게 할 수 있었다. 착의평 가 결과 <Fig. 34>의 허리 솔기의 보닝(boning)으로 의 상이 몸에 고정되어 좀 더 안정적으로 춤동작에 집중 할 수 있고 실루엣도 좋아졌으나, 여전히 스커트의 경 직성과 스커트의 볼륨감에 대한 제기로 좀 더 빳빳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여러 겹으로 겹쳐 빳빳하게 제작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완성된 바따 데 꼴라의 무게는 대략 2.8kg으로 앞 의 시제품 1과 같은 무게였으며 연구참여자가 춤을 추면서 다루기에는 가벼운 무게로 평가되었다.

    (3) Result of prototype 3 evaluation

    바따 데 꼴라는 동작 적합성을 고려하여 홑겹 제작 이 이상적이나, 시제품 1과 시제품 2와 같이 의상의 부피가 큰 경우 연구참여자가 춤동작을 행함에 있어 불편함이 발생하고 의상의 실루엣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볼륨이 큰 드레스 내부의 페티코트에 착안하여 겉과 안의 두 겹으로 의상으로 제작하였다. 1차 착의 평가에서 부엘따를 했을 때 <Fig. 35>에서처 럼 오버 스커트와 언더 스커트가 서로 분리되어 펄럭 거렸기 때문에 춤동작의 집중이 매우 어려웠다. 따라 서 스커트 겉과 안의 헴라인과 허리 부분을 각각 봉제 하여 합쳤다. 2차 착의 평가에서 연구참여자는 운 뽀 꼬를 했을 때 내부의 플리츠 주름들이 한쪽으로 뭉치 면서 동작에 많은 불편함을 느꼈으며 <Fig. 36>에서처 럼 부엘따는 실패했다. 결과적으로 오버 스커트와 언 더 스커트를 최대한 밀착시켜 단단하게 만들어야 했 다. 밑의 헴라인만 합쳤을 때 두 겹의 스커트와 내부 의 풍성한 플리츠가 서로 겉돌며 일부분 뭉쳤기 때문 에 다리 동작에 많은 방해가 된 것이다. 스커트의 개 선 이후 3차 착의 평가에서 운 뽀꼬를 했을 때 헴라인 은 곡선을 그리며 위로 툭 하고 올라갔다가 바로 내려 왔다. <Fig. 37>의 꼴라를 차며 도는 부엘따에서 꼴라 는 동그란 모양으로 연구참여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위로 올라가면서 춤의 3박자에 맞춰 아래로 뚝 떨어 졌다. 이후 다리에 감긴 스커트를 재빨리 풀어 다음 동작으로 연결하면서 연구참여자가 원하는 지점에 꼴 라가 올 수 있었다. <Fig. 38>과 같이 헴라인 근처에 플라운스를 겹으로 더 봉제하여 무게를 실어주었기 때문에 연구참여자가 부엘따를 했을 때 꼴라가 더욱 동그란 모양이 될 수 있었다.

    완성된 바따 데 꼴라의 무게는 3.4kg으로 연구참여 자는 12분간 음악에 맞춰 세 가지 평가 동작을 반복적 으로 모두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까냐 플라멩코 춤에 적합한 의상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3) Comparative evaluation of patterns

    <Fig. 39>는 상업패턴 1(pre-prototype 1), 상업패턴 2(pre-prototype 2), 시제품 1의 패턴(prototype 1), 시 제품 2의 패턴(prototype 2), 시제품 3의 패턴(prototype 3)의 중합도이다. 중합도에서 도출된 시제품 3의 패턴 을 굵은 선으로 제도하였기 때문에, 다른 4가지 패턴 들의 스커트 길이와 폭, 헴라인 길이, 허리와 엉덩이 여유량의 차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스커 트 패턴들은 7개의 고어드(gored)가 합쳐진 플레어 스 커트이며 뒤의 꼴라가 긴 타원형이다. 상업패턴 1과 상업패턴 2는 시제품 패턴들과 비교했을 때 엉덩이둘 레 여유량의 차이를 보이며, 특히 상업패턴 1은 엉덩 이돌출점 레벨의 24cm에서 플레어 폭의 차이가 가장 크다. 시제품 1, 2, 3은 엉덩이돌출점 레벨의 24cm의 동일한 플레어 시작점으로 스커트의 앞 길이와 스커 트 뒷길이 즉, 꼴라 길이의 차이가 있다. 스커트의 앞 길이는 상업패턴 1은 114cm, 상업패턴 2는 105cm, 시 제품 1의 패턴은 105cm, 시제품 2의 패턴은 105cm, 시제품 3의 패턴은 108cm로, 연구참여자의 허리높이 101cm에 구두 높이 5cm와 움직임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길이는 108cm였다. 꼴라 길이는 허리뒤점에 서 헴라인까지 상업패턴 1은 160cm, 상업패턴 2는 200cm, 시제품 1의 패턴은 200cm, 시제품 2의 패턴은 300cm, 시제품 3의 패턴은 220cm로, 가장 적절한 길 이는 시제품 3의 220cm였다. 헴라인 둘레 길이는 패 턴의 헴라인 둘레를 총합한 것으로 <Table 11>에서 상업패턴 1은 729.6cm, 상업패턴 2는 454.0cm, 시제 품 1의 패턴은 503.0cm, 시제품 2의 패턴은 655.6cm, 시제품 3의 패턴은 523.4cm이다. 헴라인 둘레의 평균 길이는 5개의 헴라인의 합을 5로 나눈 573.12cm로 –값은 평균 길이보다 짧은 길이이고 +값은 긴 길이이 다. 시제품별 헴라인 전체 길이에 평균 헴라인 길이 를 뺀 차는 상업패턴 1은 156.48cm, 상업패턴 2는 –119.12cm, 시제품 1은 –70.12cm, 시제품 2는 82.48cm, 시제품 3은 –49.72cm였다. 헴라인의 평균 길이와 차이가 가장 큰 것은 상업패턴 1과 상업패턴 2의 패턴으로 상업패턴 1은 연구참여자가 춤동작을 할 때 스커트가 매우 펄럭거려서 춤동작에 방해를 받 았고 상업패턴 2는 착의 평가에서 춤동작을 하기에 스커트가 짧다고 하였다. 헴라인의 평균 길이에 가장 근사한 시제품 3이 가장 적절한 헴라인 길이였다.

    5. Discussion

    단계적인 착의 평가를 통하여 바따 데 꼴라의 동작 적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첫째, 까냐 플라멩코 춤은 춤을 출 때 하체의 고관 절(coxa)을 사용하기 때문에 엉덩이돌출점에서 플레 어가 시작되어야 하체의 춤동작에 불편함이 없을 것 으로 논의되었다. 부엘따를 했을 때 엉덩이 부분의 당 김이 덜하고 회전 동작에 어려움 없었기 때문이다. 둘 째, 의상의 스커트 부분이 힘 있고 빳빳해야 연구참여 자가 꼴라를 이용하는 춤동작을 잘 해낼 수 있었다. 소재의 경직성과 관련하여 다리 동작의 적합성을 고 려한다면 홑겹의 의상이 이상적이나, 소재의 두께와 경직성의 조건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원단을 몇 겹으 로 겹쳐 봉제하여 빳빳하게 만드는 방법이 고려되었 다. 셋째, 스커트 길이는 꼴라를 머리 위로 들어 올리 는 꼴라 포즈를 취함으로써 무릎 뒤 오금이 보이는 정 도를 적절한 길이로 판단하였다. 넷째, 회전동작 부엘 따를 할 때 꼴라가 위로 잘 올려 쳐지려면 스커트에 적절한 무게가 있어야 했다. 특히 헴라인 근처가 더 무거워야 부엘따를 했을 때 모양이 더욱 동그랗게 될 수 있었다. 그리고 무게감이 있어야 연구참여자가 원 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며 춤을 출 수 있었다. 의상의 상의에 장식이 없고 매우 타이트하기 때문에 이 부분 은 의상의 전체 무게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의상의 무게 측정은 연구참여자가 의상 을 입고 저울에 올라가 총 무게를 잰 후 자신의 체중 을 빼는 방법으로 하였다.

    무게 측정 결과 <Table 12>와 같이 연구참여자의 Costume 1은 2.8kg, Costume 2는 3.7kg, Costume 3은 5.3kg이며 시제품 1은 2.8kg, 시제품 2는 2.8kg, 시제 품 3은 3.4kg이었다. 시제품 1, 2의 무게와 시제품 3의 무게 차이는 0.6kg 정도이나, 시제품 3의 스커트와 헴 라인의 개선으로 체감상 더욱 차이를 느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연구참여자가 공연 의상으로 가 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5kg의 Costume 3보다 1.6kg이 가벼웠기 때문에 연속 공연으로 누적되는 피로도 감 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출된 연구 결과들은 연구참여자의 면담에서 중요하다고 판 단한 내용들과 상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Ⅴ. Conclusion & Consideration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역의 대표적 인 민속복 바따 데 꼴라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종합적 으로 연구하였다. 플라멩코 무용수를 적극적으로 참 여시켜 사용자의 체감을 중심으로 한 착의 평가를 하 였으며 단계적인 시제품 1, 2, 3의 제작과정에서 발생 하는 문제점을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플 라멩코 춤동작에 적합한 바따 데 꼴라의 패턴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바따 데 꼴라를 제작하면서 동작 적합 성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할 수 있었 다. 첫째, 고관절에 인접한 엉덩이돌출점의 스커트 플 레어 시작점. 둘째, 의상의 경직성. 셋째, 적절한 꼴라 스커트의 길이. 넷째, 스커트의 무게였다. 이상으로 플라멩코 무용수와 서로 소통하면서 진행된 연구 과 정과 도출된 내용들은 바따 데 꼴라에 대한 기초 자료 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연구에 참여한 플라멩코 무용수의 체감은 주관적이고 모든 플라멩코 무용수들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며 실험 대상자에 따 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에, 도출 결과를 확대 해 석하는 것에 신중을 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 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의 대상을 넓히고 실 험 범위를 좁혀 진행할 계획이다.

    Figure

    RJCC-30-4-529_F1.gif

    La Feria de Abril de Sevilla en el siglo XX: la década de los años 30 Adapted from Abcdesevilla. (2021). https://sevilla.abc.es

    RJCC-30-4-529_F2.gif

    Registradoras en la Feria de Abril de Sevilla Adapted from Notarios y Registradores. (2017). https://www.notariosyregistr adores.com

    RJCC-30-4-529_F3.gif

    Bailando Adapted from Museo Carmen Thyssen Málaga. (1993). www.carmenthyssenmalaga. org

    RJCC-30-4-529_F4.gif

    A bata de cola Adapted from Samel. (2013). https://flamencoymoda.blogs pot.com

    RJCC-30-4-529_F5.gif

    Pilar López - Caña 1952 Adapted from Retablo Andaluz. (2018). https://www.youtube.com

    RJCC-30-4-529_F6.gif

    La bata de coda di Armani per Joaquin Cortés Adapted from Ferraris, G. (2014). https://gabosutorino.blogspot .com

    RJCC-30-4-529_F7.gif

    Flamenco style evening dress Adapted from Fabrickated. (2017). https://fabrickated.com

    RJCC-30-4-529_F8.gif

    Emotions by Maria Juncal Adapted from Dance from Spain. (n.d.). http://dancefromspain.feced. org

    RJCC-30-4-529_F9.gif

    Pattern of pre-prototype 1

    RJCC-30-4-529_F10.gif

    Pattern of pre-prototype 2

    RJCC-30-4-529_F11.gif

    Pattern of prototype 1

    RJCC-30-4-529_F12.gif

    Pattern of prototype 2

    RJCC-30-4-529_F13.gif

    Pattern of prototype 3

    RJCC-30-4-529_F14.gif

    Costume 1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clothing photo. (June 8, 2021).

    RJCC-30-4-529_F15.gif

    Costume 2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ne 8, 2021).

    RJCC-30-4-529_F16.gif

    Costume 3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ly 10, 2021).

    RJCC-30-4-529_F17.gif

    Box pleats inside skirt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ly 10, 2021).

    RJCC-30-4-529_F18.gif

    Vestidos la bata de cola Adapted from Cómo cubrir un cuerpo. (n.d.a). https://www.comocubriruncuerpo.org

    RJCC-30-4-529_F19.gif

    Pattern of vestidos la bata de cola Adapted from Cómo cubrir un cuerpo. (n.d.b). https://www.comocubriruncuerpo.org

    RJCC-30-4-529_F20.gif

    Bata de cola pattern Iris Adapted from Flamenco-dressmaking. (n.d.). https://www.flamencodressmaki ng.com

    RJCC-30-4-529_F21.gif

    Pattern of bata de cola Iris

    RJCC-30-4-529_F22.gif

    Flounce positions

    RJCC-30-4-529_F23.gif

    Pre-prototype 1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ne 15, 2021).

    RJCC-30-4-529_F24.gif

    Un poco by pre-prototype 1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ne 15, 2021).

    RJCC-30-4-529_F25.gif

    Pre-prototype 2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ne 22, 2021).

    RJCC-30-4-529_F26.gif

    Vuelta by pre-prototype 2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ne 22, 2021).

    RJCC-30-4-529_F27.gif

    Prototype 1 of the 1st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ne 29, 2021).

    RJCC-30-4-529_F28.gif

    Prototype 1 of the 2nd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ly 6, 2021).

    RJCC-30-4-529_F29.gif

    Reformation of waist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ly 9, 2021).

    RJCC-30-4-529_F30.gif

    Prototype 1 of the 3rd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ly 13, 2021).

    RJCC-30-4-529_F31.gif

    Prototype 2 of the 1st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August 9, 2021).

    RJCC-30-4-529_F32.gif

    Prototype 2 of the 2nd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August 23, 2021).

    RJCC-30-4-529_F33.gif

    Prototype 2 of the 3rd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September 7, 2021).

    RJCC-30-4-529_F34.gif

    Boning Photographed by the author. (August 26, 2021).

    RJCC-30-4-529_F35.gif

    Prototype 3 of the 1st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October 12, 2021).

    RJCC-30-4-529_F36.gif

    Prototype 3 of the 2nd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October 19, 2021).

    RJCC-30-4-529_F37.gif

    Prototype 3 of the 3rd evaluation Photographed by the author. (October 26, 2021).

    RJCC-30-4-529_F38.gif

    Sewing of flounces near the hemline Photographed by the author. (October 22, 2021).

    RJCC-30-4-529_F39.gif

    Comparison of patterns

    Table

    Caña Flamenco basic dance moves

    Body size of a participant (unit: cm)

    Material of prototypes

    Stepwise clothing evaluation process for prototype 1

    Material of prototypes

    Stepwise clothing evaluation process for prototype 2

    Material of prototypes

    Stepwise clothing evaluation process for prototype 3

    Interview with a participant about the bata de cola

    Flamenco dress size of a participant

    Hemline length (unit: cm)

    Weight comparison of bata de cola (unit: kg)

    Reference

    1. Abcdesevilla. (2021, April 17). La Feria de Abril de Sevilla en el siglo XX: la década de los años 30. Retrieved July 1, 2022, from https://sevilla.abc.es/sevilla/feria-abril/sevi-feria-abril-sevilla-siglo-402231738323-20210417090936_galeria.html
    2. Bae, S. J. (2018). A study on the upward flow of the Majo and Maja costumes in 18th century Spain, observed in the paintings of Francisco de Goy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1), 74-87.
    3. Cómo cubrir un cuerpo. (n.d.a). Vestidos Flamencos la bata de cola. Retrieved July 19, 2022, from https://www.comocubriruncuerpo.org/wp-content/uploads/2014/01/140101_-vestidos-flamencos-Labata-de-cola-_paula.jpg
    4. Cómo cubrir un cuerpo. (n.d.b). Pattern of vestidos la bata de cola. Retrieved July 19, 2022, from https://www.comocubriruncuerpo.org/wp-content/uploads/2014/01/140101_-vestidos-flamencos-La-bata-de-cola-_19.jpg
    5. Dance from Spain. (n.d.). Emotions by Maria Juncal. Retrieved July 18, 2022, from http://dancefromspain.feced.org/en/emotions-by-maria-juncal-2/
    6. Fabrickated. (2017, July 25). Flamenco style evening dress. Retrieved July 19, 2022, from https://fabrickated.com/2017/07/25/balenciaga-part-two
    7. Fernández, A. S. (1999). El mantón de Manila: de Filipinas a los museos [The Manila shawl: From the Philippines to museums]. Pátina, 9, 136-141.
    8. Ferraris, G. (2014, March 28). La bata de coda di Armani per Joaquin Cortés [Blog Post]. Gabo su Torino. Retrieved July 18, 2022, from https://gabosutorino.blogspot.com/2014/03/alta-moda-alla-venaria.html
    9. Flamencodressmaking. (n.d.). Bata de cola pattern iris. Retrieved May 22, 2022, from https://www.flamencodressmaking.com/product/bata-de-cola-pattern-iris/
    10. Goldbach, T. (2014). Fascism, Flamenco, and ballet Español: Nacionalflamenquismo.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USA.
    11. Han, S. I. (2017). A study on jewelry design inspired by Flamenco.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2. Jeon, E. K. , & Kwon, S. H. (2004). 패턴 제작의 원리 [Principles of pattern making]. Seoul: Gyomunsa.
    13. Kim, K. S. (2014). The study of Spanish taste in Cristobal Balenciag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K. S. , & Park, J. H. (2014). Taste of Spain in designs by Cristobal Balenciaga. Journal of Fashion Design, 14(2), 1-19.
    15. Lee, C. Y. (1996). The influence of Spain folk costumes on contemporary fashion (after World War II).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6. Lee, G. H. (2021). Spain folk costumes represented in the ballet ‘Don quixo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7. Lee, J. H. (2016). Cristobal Balenciaga apparel pattern research: ‘1950s~1960s looks 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J. M. (2017). A comparative cultural study on Salpuri-dance and Flamenco: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nd emotional similar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ty, Seoul, Korea.
    19. Martínez Moreno, R. M. (1999). El traje de Flamenca: Una aproximación etnológica [The Flamenco dress: An ethnological approach]. Narria, 85, 37-46.
    20. Mesa García, M. (2019). Expediente de candidatura para declarar la “Feria de Abril de Sevilla” bien de interés cultural [Application file to declare the “April Fair in Seville” of cultural inter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Lleida, Lleida, Spain.
    21. Museo Carmen Thyssen Málaga. (1993). Bailando. Retrieved January 25, 2022, from https://www.carmenthyssenmalaga.org/obra/bailando
    22. Notarios y Registradores. (2017, March 6). Registradoras en la Feria de Abril de Sevilla. Retrieved January 25, 2022, from https://www.notariosyregistradores.com/web/participa/noticias/registradoras-en-la-feria-de-abril-de-sevilla
    23. Retablo Andaluz. (2018). Pilar López - Caña 1952 [YouTube Channel]. Retrieved July 18, 2022, https://www.youtube.com/watch?v=nVFQajZ6HoE
    24. Samel, R. (2013, September 28). A bata de cola [Blog Post]. Flamenco y Moda. Retrieved July 19, 2022, from https://flamencoymoda.blogspot.com/2013/09/a-bata-de-cola.html
    25. Vega, J. B. (2006). Los cafés cantantes de Madrid: (1846-1936)[The cafés cantantes of Madrid: (1846-1936)]. Madrid España: Ediciones Guillermo Blázquez.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