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3 pp.455-476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3.455

3D digital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sk of Nuo, Jiangxi province, China

Huan Liu, Younhee Lee*
Ph. D. Candidate,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May 1, 2022 May 30, 2022 June 2, 2022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Jiangxi Nuo masks using 3D digital fashion design technology and suggest various ways to utilize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uo masks, a traditional Chinese artifact of intangible cultural significance. The researchers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gather information about Nuo culture and masks that could represent Jiangxi. Features of the mask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Jiangxi’s Nuo masks can be divided into those based on their origin and history, the user’s social status, and the notions of primitive beliefs of the chosen people, such as naturism and totemism. Second, Nuo masks’ splendid decorations convey meanings such as luck, the bixie, longevity, wealth, and peace in the family. Third, playfulness in mask-making is about dismantling the original form of the mask, re-creating it through application. Fourth, the masks express primitiveness mostly by conserving the wood’s original color or material. The initial masks carved to represent images of figures aptly deliver the primitive forms and images of Nuo culture. In this study, Nuo masks were developed and produced using the 3D digital technology CLO 3D by adopt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applying design methods such as asymmetricity, exaggeration, and mod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diverse as well as economical designs through the reduction of production.



중국 장시성 누오(儺) 가면의 특성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유 환,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박사수료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중국의 개혁 개방 40년 이후 중국의 문화 사업은 많은 발전을 가져왔으며, 중국의 문화유산에 새로운 에너지를 줄 수 있도록 잘 보존하고, 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동안 무형문화 유산의 보호에 관한 연구와 대안들은 많이 논의되어 왔으나, 구체적인 실천에 옮길 수 있는 방안이나 논의 도 또한 필요하며, 이에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전승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중국의 전통문화 누오(儺)는 중국에서 오래된 무술 (巫術) 활동으로, 역귀를 쫓고 재앙을 퇴피하기를 바 라는 옛사람들의 토템 신앙이며(Tao, 1987), 인간과 자연의 균형과 조화를 원했던 한 방법으로 오래된 한 족 민속 및 민간 종교의 일종이다. 누오는 수천 년 동 안 전승된 민족문화 재산으로 깊이 있는 중국의 전통 문화를 담고 있으며, 활동하는 형태(活態)를 가진 무 형문화유산이다. 누오 문화는 풍부하고 종류가 다양 하며, 주변 환경과 생활 방식 등의 차이에 따라 누오 가면의 특성이 다양하다. 누오 가면은 전통희극과 전 통무용의 공연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대표 적인 민족적 기호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의 발전과 문 화적 내용이 집약된 표현이다(Li, 2008). 특히 장시성 (江西省)은 중국 누오 문화의 중요한 발상지 중 하나 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누오 문화 가 성행하여 실물도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 중 하나이 다(Gu, 1996).

    본 연구는 중국 장시성의 대표적인 누오 희곡과 누 오 무용에 착용된 누오 복식과 가면을 연구 대상으로, 장시성 누오 가면의 형태적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 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3D 가상착의 패션디자인 전개를 통하여 전통문화의 다양한 개발 가능성을 보 여주고,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방향성과 전통 문화를 담은 새로운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 이 있다.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패션 디자인은 다양 한 개성의 추구와 다원화, 다양한 분야의 경계를 넘나 드는 발전 속에 있다. 이에 전통 무형문화유산인 장시 성 누오 가면의 시각 예술적 요소와 누오 가면 문화에 대한 깊은 문화적 함의를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활 용한 3D 가상착의 패션디자인의 전개는, 전통 문화 개발의 필요성과 디자인 방법론의 다양성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누오 문화와 누오 가면에 대해 고찰을 하였다. 누오 가 면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가 무형문화유산에 포 함된 장시성의 6개 지역의 누오 가면에 대한 조사와 사진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사진 자료는 중국 탈의 역사(Gu, 1996), Chinese Wu Nuo Civilization- Nuo ritual, Nuo customs, Nuo dance, Nuo opera(Lv, 2019), 중국무누오가면예술(Xue, 1996), 중국 누오희 가면예술(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Guizhou National Culture Palace & National Grand Theater, 2012), 민간가면(Wang, 2008), 중국누오문화(Wang & Lv, 2007), 중국의 탈놀이와 탈(Kim, 2008) 등을 참고 하였으며, 중국 누오 문화 역사와 누오 가면 등의 자 료를 조사 수집하였다. 또한 바이두(https://www.baidu. com), 구글(https:// www.google.cn), 중국 국가급무형 문화유산 (http://www.ihchina.cn), 장시성 무형문화유 산 연구보호센터(http://www.jxich.cn) 등의 사이트를 통하여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장시성 누오 가면 에 나타나는 비교적 뚜렷하고 보편적인 특성을 분류, 분석하였다.

    Ⅱ. Nuo Mask of Jiangxi Province

    1.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uo culture and Nuo mask in Jiangxi province

    장시성 무형문화유산연구보호센터(Chin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twork․Digital Museum of 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d.)에 의하면, 장시성의 국가 무형문화유산 관련 목록은 핑샹 샹둥 누오 가면(Nuo Mske in Xiangdong Pingxiang, 萍鄉湘 東儺面具), 덕안 반공희(Pangong Nuo in Dean, 德安潘 公戲), 만재 개구 누오(Nuo Dance in Wanzai, 萬載開 口儺), 무원 누오무(Nuo Dance in Wuyuan, 婺源儺舞), 러안 누오무(Nuo Dance in Lean, 樂安儺舞), 남풍도 누오(Nuo Dance in Nanfeng, 南豐跳儺)의 6개 항목으 로 중국의 국가지정 중요 무형문화재에 해당한다(Table 1). 지역별 누오 문화의 누오 가면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1) Nuo mask in Xiangdong Pingxiang

    장시성 핑샹(萍鄉) 누오 문화는 3,000여 년의 역사 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 누오 문화의 살아 있는 화석 (活化石)으로도 불린다(Zhou, Wang, & Nietzsches, 2013). 핑샹 지역은 장시 서부에 위치하며, 샹간(湘赣) 두 성의 경계에 있어 장시성에 개방된 서쪽의 문이다 (Chen, 2017). 이곳의 독특한 지리적 위치는 핑샹 누 오 가면의 강렬한 지역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장시성에는 오래된 가면이 많이 남아 있으며, 현존 하는 누오 가면은 기본적으로 모두 나무로 만들어진 것이다. 과거에는 장시성 핑샹의 동(铜) 소재의 가면 이 유행했었으나, 신령을 모독해서 자취를 감췄다고 전해지며, 모두 나무 조각으로 바뀌었다. 현재는 핑샹 한 도시에만 민간에서 7백여 개의 명칭의 가면을 보 존하고 있으며, 사용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모시(供 奉) 가면과 가무(舞耍)의 두 가지로 나뉜다. 모시 가면 은 신 단위에 받드는 물건으로 연출에 사용하지 않으 며, 보통 누오 가면보다 훨씬 두껍고 무겁고 크며, 얼 굴 유형의 가면에 속한다. 이 가면은 눈과 입에 모두 구멍을 뚫지 않는다(Fig. 1). 반대로 춤놀 가면은 상대 적으로 가볍다. 눈, 코와 입에 모두 구멍이 있어 통기 가 가능하여 연출과 사용에 잘 어울린다(Gu, 1996; Fig. 2).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twork &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Museum (n.d.a)의 핑샹 샹둥 누오 가면의 연구에 따르면 샹둥 의 가면 조각 기예는 중국에서 높은 위상을 자랑한다. 가면의 조각 기법은 당나라 조각 기법과 송나라 조각 기법으로 나뉘며, 송대의 조각 기법이 더 정교하다. 현존하는 샹동 누오 가면의 조각 기법은 주로 송대의 조각 기법으로, 청나라 시기 후난(湖南)에서 전래된 것이다. 가면의 색상은 채색, 단색, 원색으로 나눌 수 있으며, 채색 안료는 금색, 빨간색, 노란색, 검정색, 흰 색으로 주로 구성된다(Yu & Feng, 2006). 가면을 만 드는 기법은 복잡한데, 원료부터 완성품까지 10개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가면의 형식은 대부분 고대 유명인을 원형으로 하 며, 과장과 사실적인 기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며, 펜 대신에 칼을 사용하여 부조(relief) 기법, 원조(圆雕) 기법, 투조(openwork) 기법, 선과 무늬를 음각을 통해 표현하는 선각(线刻) 기법 등의 기법을 종합하여 신들 의 형상을 만들어낸다. 인물의 표정과 머리 장신구는 특정한 문화적 함의와 의미 지향뿐만 아니라, 지역적 풍격과 신비한 종교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He, 2019).

    2) Pangong Nuo in Dean

    덕안 반공희는 일명 ‘반태공유춘(潘太公游春)’으로 불리며, 가무, 희곡, 잡기(杂耍), 괴뢰(傀儡)와 가면이 한데 어우러진 공연예술이다. 당나라 말 송나라 초기 에 시작되어 1,400여 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장시 성 덕안현 우산(吴山), 애민(爱民)의 두 향진(乡镇)에 전해진다. 매년 설날인 정월 초하루에서 정월대보름 무렵에는 대형 제사 풍습과 문화오락 행사가 열린다. 봄에 제사를 지내고, 마을을 돌며 병역을 쫓고, 밤에 는 공연을 하며 평안을 축하한다(Wang, 2015).

    반태공이 유춘 제사를 진행하는데, 이러한 행사는 반태공이 지나간 지역은 귀신을 쫓아내고, 오곡이 풍 성하며, 행복하게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 문이다. 반태공유춘은 대희(对戏)의 형식으로 간단한 인형 공연을 하는데, 더욱 형상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 라 상징적인 색채를 띠고 있으며, 유희적 요소도 크게 나타난다. 밤에는 무대의 막을 열고 연극(开棚做戏)을 하며, 연기자가 머리에 누오 가면을 쓰고 말과 노래를 부르는 것도 모두 현지 민요 중의 일부이다. 악기는 징, 북, 피리의 세 가지뿐이다. 공연 도구로 인형과 가 면은 나무로 조각한 다양한 인물상을 갖추고, 페인트 로 화장한다(Fig. 3).

    낮과 밤의 공연은 엄격한 절차와 각종 의식을 갖추 고 있다. 인물 이야기도 있고, 무용, 노래, 읽기(念), 짓 기(做), 타기(打) 등 서커스와 같은 종합적인 공연도 있다. 현존하는 유일한 장두괴뢰(杖头傀儡, 나무막대 로 동작 조작)가 누오 무용와 누오 의례를 한 무대에 서 공연하는 누오 희극의 형식이다. 이는 송나라 괴뢰 의 유물이었으며, 문학적 극본이 온전할 뿐만 아니라, 원시적인 공연 형식을 간직하고 있다(Liu, 2007). 소 중한 괴뢰 조형과 고풍스러운 누오 가면은 문화적 가 치를 지니고 있다.

    3) Nuo dance in Wanzai

    만재 누오 희극(萬載開口儺)은 도깨비의 행동을 의 미하는 ‘뛸소(跳魈)’로, 장시성 만재현(万载县)의 지 역과 이웃 지역에 전해진다. 청도광판(清道光版) 만재 현지(万载县志)에 따르면 만재 누오는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기에 행해졌다고 한다. 현지 민간에서 귀신 을 쫓고 복을 빌며 평안을 비는 일종의 민속 행사이 다. 만재 누오 희극은 ‘개구 누오(开口傩)’와 ‘폐구 누오(闭口傩)’의 두 종류로 나뉘는데, 형식은 다르나 주신은 모두 ‘구양금갑 대장군(欧阳金甲大将军)’이다 (Fig. 4). 장시성의 대부분 누오 성행지구에서 누오 무 용 공연은 소리나 노래, 창이 없이 무용으로만 표현되 었으며, 만재에서는 이런 형식을 ‘폐구 누오’라고 부 른다. 원생적인 무용 형태를 표현하여 공연에 집중하 며, 누오의 공연자는 노래나 창을 하지 않는다. 반면 만재 ‘개구 누오’는 공연할 때 본 고장 사투리로 창을 주로 하며, 창과 액션, 퍼포먼스를 모두 갖추고 있는 것을 말하며 스토리도 있다. 음악의 반주를 제외하고 본 고장 사투리의 창은 현지인들의 심미적 정서와 더 욱 일치하여 대중들의 강렬한 공명을 불러일으킨다 (Huang, 2005).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twork &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Museum (n.d.c)의 연구에서는, 만재 ‘개구 누오’의 프로그램은 총 7개로 ‘개산(开山)’, ‘비도(比刀)’, ‘관왕하서(关王 下书)’, ‘관, 포대전(关, 鲍大战)’, ‘꼬마희판관(小鬼戏 判官)’, ‘토지(土地)’, ‘단장(团将)’ 순으로 진행된다고 나타난다. ‘개산’과 ‘비도’는 입을 열지 않으며, 다른 배역은 반드시 설창을 해야 한다. 프로그램들은 모두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인물도 처음부터 끝까지 연결되 어 있다. 배역은 생(生), 단(旦), 정(净), 추(丑)가 있고 직업은 전반적으로 중국 고대 희극의 배역을 참고하 였다(Deng, 2015).

    만재 개구 누오의 가면도 나무로 조각되었으며, 모 양이 각기 다르고 생동감도 있다. 만재 누오 가면은 주로 빨간색, 검은색, 흰색, 녹색, 4종 색채로 나뉜다. 빨간색 가면은 지위가 높고 위풍당당하고 엄숙한 신 들을 의미한다. 판관, 개산 등의 검은색 가면은 귀신 을 위협하는 배역으로 누오 가면의 무장(武将)이 위주 를 이룬다. 표정은 대부분 공포스러우며 튀어나온 눈 동자와 곧게 솟은 눈썹의 표현은 시각적으로 사람을 매우 놀라게 하는데, 이는 요괴를 제압할 수 있다고 믿는다.

    만재 개구 누오의 복식은 간결함을 추구하지만 장 식적이며 색채는 빨간색, 녹색 및 노란색과 같이 대비 되는 선명한 색으로 나타나며, 배역에 따라 복식 스타 일의 변화가 풍부하다. 흰색 가면은 부드럽고 착한 배 역을 의미하며, 사람의 자연적 형태와 가장 가깝고 관 상이 대체로 둥글고 선이 부드러워 친근하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대표적인 인물은 화관소(花关索) 포삼녀 (鲍三娘) 등이 있다(Deng, 2015; Fig. 5). 복식을 통해 서 배역의 지위, 감정, 행동의 차이가 나타나며, 두루 마기는 지위가 높은 배역이 많이 착용하고, 지위가 낮 은 배역은 짧은 셔츠를 착용한다(Zou, 2021; Fig. 6).

    4) Nuo dance in Wuyuan

    예로부터 오락과 종교로 합쳐진 나례는 무원의 ‘귀 무(鬼舞)’ 또는 ‘무귀(舞鬼)’라고도 불리며, 당나라 시 대에서 기원하여 명나라 초기에 성행하였다. 무원 누 오무(婺源儺舞)가 번성할 시기에는 전 지역에 널리 퍼 져 ‘삼십육나반(三十六儺班), 칠십이사자반(七十二狮 班)’으로 불렸다(Shang, 2009).

    무원에는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누오 무 용은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았다. 누오 무용은 그 표 현은 예스럽고, 거칠며, 세련되고, 과장된 독특한 스 타일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연출 형식은 독무, 듀엣, 삼인무, 군무가 있다. 누오무용의 연출 시간은 보통 설날이며, 연출할 때 대부분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무대 유무에 관계없이 엄숙하고 활달하며 지역의 보 편적인 것이 특징이다. 신에게 제사를 지낸 동시에 사 람들을 즐겁게 할 수 있고, 누오의 기능성을 크게 강 조하였다. 무원 무귀는 원시적인 표현으로 귀신을 쫓 는 ‘집가’가 있고, 세속적인 누오무도 있으며, 장난과 곤봉의 대결을 표현한 ‘단봉’, ‘쌍봉’, ‘춤꾸러기’ 및 모방농경 시대의 사냥 형식의 ‘밭같이’, ‘새잡이’ 등이 있다. 무원 누오무의 복식은 명나라 하포에서 만든 화 의(花衣)를 사용하다가 각 지역 희극의 영향으로 일부 희극에서는 두루마기(Fig. 7 and 8)를 사용하였다. 무 원 누오무를 주관하는 주도자는 보통 설날에 순시를 시작하여 청명 이전에 끝난다. 누오무의 시작과 끝에 는 각각 독특한 의식이 있으며, 이런 의식과 규칙들은 대대로 전해진다(Huang, 2018).

    무원 누오 가면은 총 200여 개로 나무를 조각하여 만들었고, 신과 귀신의 얼굴이 모두 다르게 작업되어 있으며, 조각 기법은 일반적으로 투조 기법과 얕은 부 조형식의 바릴리프 기법을 서로 결합한 정교한 조각 공법으로, 빨간색, 검정색, 노란색, 흰색, 녹색 등 오방 색 위주로 색채가 선명하다(Zhang & Zhang, 2015). 가장 대표적인 누오 가면은 장경촌(長徑村)에 보존된 80대왕(八十大王)(Fig. 9)과 이사(李斯)(Fig. 10)이며, 특이한 점은 턱을 따라 눈방울이 위아래로 굴러가면 서 가면의 역동적인 기능이 추가됐다는 것이다.

    5) Nuo dance in Le’an

    러안 누오무(樂安儺舞)에는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 유랑촌(流坑村)의 놀음(玩喜)(Fig. 11), 나산촌(罗山村) 의 희두북(戏头鼓), 동호촌(东湖村)의 굴림누오신(滚 傩神) 중에서 굴누오신(滚傩神)의 역사가 가장 오래 되었다. 러안은 지리적으로 고대부터 교통이 막혀서 생산된 곡물이 외부로 팔리기 어려워지자, 농가의 곡 식을 돼지에게 먹이면서 생산된 돼지 껍질이 얇고 부 드러워 역대 왕실의 공물이 되었다. 여유 식량으로 양 계업도 매우 성행하였다. 청나라 시기에는 축산의 번 영을 위하여 닭부리 신과 돼지부리 신(Fig. 12)으로 누오를 믿었다. 역병이 있는 곳이라면 지역의 굴림누 오신에게 닭부리 신, 돼지부리 신 등을 쓰여 함께 귀 신과 역병을 물리친다(Zhou, 2014)고 믿는다.

    러안 누오무는 완전한 제사 의식과 공연 절차가 있 으며, 정월 초이틀부터 시작한다. 먼저 지정된 출연자 가 누오신을 청한 후 누오무를 추기 시작한다. 멀리서 누오 신을 청할 때는 보통 닭부리 신과 돼지부리 신만 을 연출한다. 이것은 러안 누오무의 특성을 가장 잘 갖춘 연출이며, 연출이 예스럽고 거칠고 강하고 부드 러운 느낌을 겸비하고 있다. 기본 동작으로 발톱, 발 돋움, 웅크려차기, 다리를 힘껏 차고 몸을 구부리기 등이 있는데 모두 특정한 귀신을 쫓는 의미가 있고 변 화가 번복되고, 원시적인 신비감이 나타난다. 닭부리, 돼지부리는 모두 장목(樟木)이나 버드나무로 조각하 여 제작한다. 닭의 부리를 세 부분으로 나누고, 윗부 분을 이마를 의미하는 ‘어즈(额子)’라고 부르며, 두 눈 위치에는 구멍을 파서 보기 편하고, 양쪽 귓바퀴를 끈 으로 ‘어즈’에 묶어 놓는다. 아랫부리는 두 개의 반원 형 나무 상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운데를 파서 통풍 이 용이하다. 돼지부리 가면와 닭부리 가면의 어즈는 같으며, ‘아랫부리’는 길쭉한 둥근 모양의 돼지 부리 모양에 가운데도 구멍을 뚫어 숨을 쉬게 한다(Shen, 2017). 전체 가면의 구조가 날렵하다.

    러안 누오무의 복식은 단순하다. 상의는 노란색 비 단 상의, 직령(直領), 대금(对襟), 매듭단추(盘扣), 소 매를 묶어주는 첨수(窄袖)로 구성된다(Shen, 2017)(Fig. 13). 누오무를 공연할 때에는 말총(马枪), 곤봉(棍杵), 관도(关刀), 활(弓箭), 남뱀(南蛇) 등의 도구를 들고 공 연한다. 나신의 조형적 동작과 퍼포먼스와 동물신 위 주의 누오 가면은 중국 누오 무용에서도 독창적인 한 파(派)를 형성했다(Zhou, 2014).

    6) Nuo dance in Nanfeng

    남풍 도누오(南豐跳儺)는 한나라 초기에 시작되어 명청(明淸) 시대에 성행하였다. 보통 설날 기간에 진 행되고, 나쁜 일을 쫓아내고 평안을 기원할 뿐 아니 라, 신과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기능도 있다. 원시적 인 문화 요소를 보존하면서도 새로운 시대정신을 구 현하였다. 주로 ‘도죽마(跳竹马)’, ‘누오공 누오퍼(儺 公儺婆) (Fig. 14)’, ‘도팔선(跳八仙)’이 있으며, 형식은 독무, 2인무, 3인무, 군무 등이 있다. 내용은 풍부하고 심오하여 누오의, 누오 춤, 누오 희극 등이 있다. 공연 할 때는 모두 가면을 쓰고 정월과 2월에 시골에서 춤 을 추며, 전염병을 내쫒고, 복을 기원하는 ‘도누오(跳 儺)’ 제사를 지낸다(Wang & Lv, 2007).

    남풍 도누오의 가면은 나쁜 귀신을 쫓아낸다는 신 (神)으로 구제신인, 민간속신, 석도신선, 전설적 영웅, 정괴령수, 세속인물 등의 약 180여 종을 갖추고 있다. 그중에는 고대시대 인류가 자연과 투쟁하고 사회와 싸우는 모습이 담겨 있고, 재해에 대한 항쟁을 표현하 는 선민의 근면성실 정신을 구현한 ‘개산’ 공연이 있 다. 또한 생명과 생산에 대한 농경사회의 관심을 반영 하고, 많은 농민들의 풍작에 기대를 걸고 표현하는 ‘누 오공 누오퍼(儺公儺婆)’라는 무대를 선보였다(Wang, 2013).

    남풍 도누오 가면은 주로 장나무로 만든 것이 많 으며, 전통적으로 여백을 뚫어 문양을 만드는 투조 (openwork) 기법, 선 무늬를 음각을 통해 표현하는 선 각(线刻) 기법, 얕게 만드는 부조가 바릴리프 기법 등 의 기법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가면은 양식별로 제 사용과 공연용으로 나뉜다. 선민 초기의 신을 숭배하 는 의식과 신앙인의 종교적 의도와 민간 나단(儺壇)은 종파 조직을 만들었으며, 이에 남풍 누오 가면의 조형 은 통일되지 않고 예술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 러나 기본적으로 현지의 약속된 양식에 따라 이목구비 의 위치와 크기, 선을 중요하게 여긴다. 가면에 담긴 토템 신앙의 상징적 의미는 ‘악에는 악, 축에는 축으 로(以恶驱邪,以丑制丑)’가 원시 종교 관념이다(Wang, 2013). 역귀(恶鬼)를 쫓아낸다는 신(神)이 만든 종규 (钟馗) 가면(Fig. 15)은 중국 고대 신화에서 ‘구마대 신’으로 불리며, 모양은 추하고 성질은 난폭하며, ‘악 에는 악’으로 행하는 대표 인물이다.

    가면의 색상은 오방정색을 주된 색조로 하되, 역할 에 따라 다른 연기를 할 수 있으며, 보색의 넓은 눈썹, 삼각형 코(Fig. 15), 검은색 혹은 흰색의 수염 등은 시 각적으로 선명하고 강렬한 인상을 준다. 의상은 석우 촌의 붉은 꽃 저고리로 대표되는데, 남풍 누오무의 의 상은 대부분 붉은색을 택하며, 사람들은 붉은색이 사 악한 것을 피할 수 있고, 열정과 행운을 상징한다고 믿는다. 남풍 도누오의 나(儺) 의식에는 월(钺), 누오 새(儺崽), 도끼(斧头), 끌(凿), 지팡이, 접선(纸扇) 등의 다양한 소도구들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Chen, 2020).

    장시성 누오 문화와 가면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누오 문화의 의미는 신을 믿고 복과 평안을 기원하는 데서 기원한다. 가면의 재료는 주로 장시성 사람들이 자급자족으로 심은 장수(樟树)의 천연 소재 를 채색하여 만들었으며, 가면의 재료는 모두 나무로 제작되었다. 가면은 사용 기능에 따라 크게 모시(供 奉) 가면과 공연 가면의 두 가지로 나뉜다. 덕안 반공 희는 인형 같은 모시(供奉) 가면이 주요 형태이다. 그 밖의 5개 지역은 모시(供奉) 가면과 공연 가면의 두 가지가 있다(Gu, 1996). 가면의 형태는 조형에 따라 장군 신으로 신장(神将)형 가면, 동물 모습의 신으로 만든 신수(神兽)형 가면, 인수합일(人兽合一)형의 세 가지로 나타난다. 핑샹 샹둥, 만재 개구 누오와 남풍 도누오의 누오 가면은 신장(神将)형 가면이 위주이며, 신수(神兽)형 누오 가면이 있다. 핑샹 샹둥 누오 가면 은 전통적인 특성이 강하고, 남풍 도누오의 누오 가면 중 신수(神兽)형 가면은 장식 문양이 더 다양하다. 무 원 누오무의 누오 가면은 인수합일(人兽合一)형 가면 이 주를 이루고, 대표적인 가면의 특이한 점은 눈망울 도 턱을 따라 위아래로 구르고, 독특한 조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러안 누오무의 누오 가면은 신수(神 兽)형 가면이 위주고, 대표적인 ‘돼지부리신명’, ‘닭부 리신명’ 가면도 독창적인 특성이다(Xue, 1996).

    가면의 색채는 주로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검정 색, 흰색의 오방색으로 구성하며, 흰색, 초록색, 주황 색 등 다양하고 선명한 색상으로도 나타난다. 또한 단 색, 원색으로 만든 가면도 있다. 가면의 조각 기법은 부조(relief) 기법, 원조(圆雕) 기법, 투조(openwork) 기법, 선각(线刻) 기법, 바릴리프 기법을 사용했으며, 나타난 문양들은 자연, 동물, 기하 문양으로 정리 할 수 있다.

    구조에 따른 장시성 누오 가면을 분류하면, 일상생 활에서 볼 수 있는 얼굴 전체의 가면은 일반 가면, 눈 과 입과 귀가 분리된 분리형 가면, 턱이 매달려 있고 눈을 움직일 수 있게 만든 가면은 동안조악(動眼吊齶) 가면 등으로 나눈다.

    2. Characteristics of Nuo mask in Jiangxi province

    국가 무형문화유산에 포함된 장시성의 6개 지역 누 오 가면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해서 여섯 지역의 사진 을 수집하여 정리하였으며, 핑샹 향둥 지역 53개, 덕 안 지역 19개, 만재 지역 19개, 무원 지역 40개, 러안 지역 25개, 남풍 지역 36개의 총 199장의 사진을 수집 하여 분류하고, 장시성 누오 가면의 비교적 뚜렷하고 보편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류를 위하여 의류학 전문가 집단 5인의 설문과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장 시성의 조형적 특징은 상징성, 유희성, 장식성, 원시 성으로 분류되었다.

    1) Symbolism

    강서성 누오 가면에 가장 많이 나타난 특성인 상징 성은, 신앙 및 기원의 상징, 신분의 상징, 원시 종교 관념의 상징과 역사의 상징으로 나누어 설명된다. 누 오 가면의 탄생은 인간의 자연 인식과 사고 확대의 산 물이다. 가면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여건과 관념적 형 태는 자연숭배, 토템숭배, 주술신앙의 단계를 거쳤다. 또한 수년간의 발전을 통해 인물의 성격뿐만 아니라, 누오 문화의 역사와 발전의 상징이며, 장식품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분적 지위의 상징, 원시 선민의 자 연숭배, 토템숭배, 무술신앙 등도 담고 있다.

    (1) Symbol of origin and history

    인류가 문명사회에 진입하기 이전까지 중국은 초 기의 수렵 생활에서 농경과 목축의 출현에 이르기까 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사람들은 자연에 대한 이해에 한계가 있었으며, 사람들의 관념 속에는 자연의 사물 과 현상은 신비로운 미지의 힘이 있어서 사람들의 운 명과 생활을 지배하고 변화시킬 수 있었다고 믿었다. 사람들은 이러한 자연현상을 인지하고 해석할 수 없 을 때 이를 신의 힘을 의지하고 숭배하게 된다(Guo, 2018). 만물은 영이 있다는 관념 아래, 무성한 생장 능 력을 가진 식물과 생존 능력을 가진 동물이 사람들의 신앙 대상이 되었다. 상령에서는 ‘천명현조, 강이생 상’ 등 모두 사람들이 자연계 생물에 대한 숭배를 구 현하였다.

    장시성 남풍 지역의 ‘은교(殷郊)’(Fig. 16), 러안 지 역의 ‘돼지부리신명’, ‘닭부리신명’(Fig. 17)과 같은 가면의 캐릭터가 나타난 것도 바로 이러한 사상의 산 물이다. 덕안 판공희는 중국 누오희 중 유일하게 노래 와 춤, 곡예, 잡기, 꼭두각시와 가면(Fig. 18)이 일체된 공연예술이며, 간단한 인형극 연출에 현지 최초의 민 요 창법의 연출 형식을 더해 인류 생존 발전사를 나타 내는 역사의 축소판을 보존하였다(Wang, 2015). 이러 한 종합적인 연기 기법은 사람들의 농경 생활을 풍부 하게 할 뿐만 아니라, 누오 문화 공연에도 새로운 색 을 불어넣었다.

    (2) Symbol of status

    핑샹 샹둥은 장시성에서 보존하고 있는 고대 누오 가면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가면의 대다수는 역사적 인물이나 신화적 인물들을 조각한 것이다. 조각가들은 서로 다른 시기의 신분을 표현할 때 인물의 시대적 배 경에 따라 누오 가면을 형상화한 조형물에 모자와 갓 등 머리 장식물을 넣어 신의 등급을 표시하였다(He, 2019). 예를 들면 북송의 명신 포공(包公), 삼국시대의 제갈량(诸葛亮), 신화 속 인물 양제(杨戬), 옥황상제가 각 집의 부뚜막을 관리하는 조왕(灶王)으로 표현된 이 들의 머리 장식은 모두 신분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Fig. 19).

    (3) Symbol of primitive religions and beliefs

    만재 누오 문화는 원나라 시기에 통치자에게 버려져 시골로 유랑하던 누오 문화의 의례이다(Deng, 2015). 당시 불교와 도가(道家)의 사상이 성행하자 만재 누오 무는 이 두 가지 종교적 색채를 더했다. 불교가 한나 라에서 당나라로 전래된 절정기의 만재 누오 가면과 종교 문화는 불교와 도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무원에서는 누오 제사, 누오 무용, 누오 공연에 사 용한 누오 가면은 신비한 원시종교적 관념과 민속적 의미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만재의 누오 가면은 사대 천군(四大天降)(Fig. 20)이 머리를 가지런히 하고 도사 의 인형을 앉혔으며, 인형의 반좌 자세도 불교의 밀종 요가(密宗瑜伽)가 처음 시작되었던 자세이다. 불교를 따라 만재가 전해지면서 원시종교를 상징하는 요소들 이 만재 누오 가면에 새로운 색채와 요소를 불어넣었 다. 이들 요소는 사람들의 태평성대와 풍요롭고 아름 다운 비전에 대한 염원이기도 하며, 무원 누오 가면의 관음(观音) 가면(Fig. 21)은 도교 설화에 나오는 신명 이기도 하며, 이는 백성들의 신령에 대한 숭배를 나타 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Shang, 2009).

    2) Decorativeness

    누오 가면의 장식 도안은 동물형, 식물형, 기타 형 태로 나타난다. 동물형은 수각(兽角), 용문양, 화미(火 眉), 송곳니(獠牙), 물고기, 박쥐 등이 있다. 식물형은 나비, 화초 등이 있으며, 기타 형태는 문자, 태양무늬, 기하 문양, 산악 문양 등이 있다. 이러한 장식 도안은 의미에 따라 행운, 벽사, 장수, 부귀, 가정의 평안 등의 의미가 있다(Yu & Feng, 2006).

    수각(兽角)은 짐승의 뿔을 의미하며, 장시성의 누 오 가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형 중의 하나다. 예를 들어 핑샹 레이신(雷神) 가면(Fig. 22), 난풍지역의 토 행손(土行孙) 가면(Fig. 23), 무원지역의 우마왕(牛魔 王) 가면(Fig. 24), 들소, 수컷 영양 같은 맹수들은 뿔 을 주요 전투 도구로 하는 등 전투력이 뛰어나고, 뿔 은 동물 전투의 이기이기 때문에 적을 물리치고 스스 로를 방어할 수 있다. 중국 고대 신화 속 상고신수 중 뿔이 있는 이미지도 적지 않다. 예를 들면 기린, 청룡 같은 신수들이 있으며, 그래서 짐승의 뿔은 중요한 장식적 조형언어의 하나로 여겨진다(Guo, 2018).

    용문양은 중국의 대표적인 동물 문양으로, 옥기, 도 자기, 복식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용 토템은 국태 민안, 성세태평을 뜻하기 때문이다. 용 구슬은 용의 원신이 있는 것으로, 전통 문양의 디자인에서 두 마리 의 용과 구슬이 서로 다투는 장식 문양을 통해 생활에 대한 아름다움의 추구를 의미한다(Wang, 2013). 핑샹 샹둥의 은 장군(殷将军) 가면과 대장군(大将军)의 누 오 가면에서 볼 수 있다(Fig. 25 and 26).

    튀어나온 이빨의 송곳니는 비교적 뚜렷한 장식 형 상이다. 이는 맹수가 사냥감을 잡는 주요 도구이다. 이것은 먹잇감으로 말하자면, 날카로운 송곳니는 멧 돼지, 호랑이, 사자처럼 겁을 주는 힘이 있다. 짐승의 뿔처럼 고대에서는 흉악한 귀신들의 모습을 표현하며 오늘날의 모습은 흉악하고 무서우며 분노와 공격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는 남풍지구 누오 가면 캐릭터 중 개척자(开路先锋) 가면(Fig. 27)과 무원지역 대왕(大 王) 가면(Fig. 28)에서 드러난다. 그 중에서도 팔십대 왕 가면의 두 송곳니는 아래로부터 위로 자라나서 위 엄 있고 강직하며 또한 어수록한 느낌도 지닌다. 개척 자의 두 송곳니는 위에서 아래로 쑥 튀어나와 가면이 용맹하고 사나우며 거친 장식성을 가진다.

    가면의 식물형 장식 문양은 양옆에 화초, 나비 등 농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들을 덧대어 아름다운 삶에 대한 향수와 가정의 편안함에 대한 갈망을 실감 나게 표현한다. 동시에 자연에 대한 경외와 숭배도 읽 을 수 있다(Yu & Feng, 2006).

    기타 형식 중 문자형, 예를 들면 러안 누오무의 돼 지 부리와 닭부리 가면의 이마 사이에 ‘우점이(雨渐 耳)’라는 글씨는 ‘자미휘(紫薇讳)’(Fig. 29)로, 그 의미 는 도가에서 진택에서 음화를 물리치는 작용을 한다. 도가의 부적 같은 것은 그 자체로는 아무런 ‘법력(法 力)’도 없는 물건이지만 주사로 부적을 쓰면 무궁무진 의 힘을 발휘한다. 이런 문자형의 장식 문양은 역시 민간 예술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법이다(Shen, 2017). 또한 무원과 남풍의 일부 가면의 경우(Fig. 30 and 31) 가면을 형상화하면서 기하학적 도형에 점선면을 덧씌 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문양의 구조를 보면 수렴상 과 산란상 등이 있다. 이 장식문양들은 민간 특색이 풍부하며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열망과 갈망 을 표현한 동시에 가면의 형태를 더욱 강하게 꾸민다 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Playfulness

    유희란 ‘즐겁게 놀며 장난함’의 의미(“Playful”, n.d.) 로 나라마다 언어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생산 활 동이 아닌 인간이 즐거움을 위해 행하는 놀이의 활동 이다. 덕안 판공희(德安潘公戏)는 인형을 손에 쥐는 독특한 퍼포먼스를 통해 누오 희극 공연의 재미를 더 했다. 러안 지역의 돼지부리 가면(Fig. 32)과 닭부리 가면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마 부분에 두 눈을 구멍 내어 관람이 편리하다. 끈으로 이마와 귀 양쪽을 연결하고, 입 부분을 반원형 나무 두 개 또는 긴 원형 나무 두 개를 합쳐서 가운데를 비벼서, 통풍 이 편리하여 연출 시 더 생동감 있고 유연하게 연출한 다(Shen, 2017).

    또한 창의적 의식을 가진 유희적 가면은 강서 무원 누오무의 승상 이사(李斯丞相) 가면(Fig. 33)으로, 아 래턱과 귀가 공연 중 운동할 수 있고, 관절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머리에는 관상을 쓰고, 귀 에는 세 개의 화염이 있으며, 두 귀는 따로 조각해 설 치했다. 춤을 추면 두 귀는 함께 움직이며 턱도 가동 적으로 따로 장치한 것이다. 또한 턱의 활동은 눈의 움직임과 관련되며, 두 개의 안구는 하나의 철사로 꿰 어진 유리구슬이다. 뒤쪽에는 각각 실과 턱이 연결되 어 있고, 출연자의 턱이 벌어지면, 가면의 턱도 개폐되 어 있어 눈알이 동시에 움직이는 모습이 생생하다. 고 정적이고 단일하며 딱딱하던 가면이 움직이는 공연이 되어 재미난 공연 공간이 더욱 넓어졌다(Fang, 2009).

    4) Primitiveness

    장시성은 중국에서 고대 누오 가면이 가장 많이 보 존된 곳으로, 누오 가면의 조각에 캐릭터 성격의 특성 이 표현된다. 특히 핑샹 지역과 난풍의 누오 가면은 역사가 유구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나무 본래의 색깔 만 사용함으로써 풍격 있고 소박한 가면으로 나타났 다(Fig. 34, 35, and 36). 지위를 대표하는 갓 등처럼 초기 인물의 이미지에 따라 조각된 가면은 당시의 문 화와 문명의 융합을 통해 고풍스럽고 원초적인 이미 지를 표현한다.

    이와 같은 누오 가면의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2> 와 같다.

    III. Development of Digital Fashion Design

    1. Intention to produce a work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은 중국 전통 누오 문화와 누 오 가면의 요소와 특성을 현대적 패션 디자인과 융합 하고, 이를 3차원 디지털 클로딩 기술 CLO 3D 소프 트웨어를 활용하여 여성복 패션디자인으로 전개 제작 하였다. 디자인 전개를 위해 장시성 누오 문화와 누오 가면에 관한 조사를 통해 누오 문화와 누오 가면의 역 사와 조형적 특징, 조각기법 등의 외적 특징과 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분석을 바탕으로 누오 가면의 도형 패턴, 색채, 가면의 독특한 조형적 미학을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디자인의 전개 는 누오 가면의 얼굴 전체를 적절히 변형하여 다양한 원단과 소재를 교차하여 사용하였으며, 수공예 작업 의 매듭, 후크 공예 등을 사용하여 패턴의 혁신적 표 현으로 본 연구의 3D 디지털 패션 디자인 제작을 완 료하였다. 전통적 장시성 누오 가면과 현대적인 패션 디자인을 모색하는 시도로 기본 소재를 재해석하고, 새로운 소재를 결합하고 사용하여 새로운 소재와 원 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작품의 테마명은 ‘NONO’로, 누오의 비슷 한 발음에서 영감을 얻었다. 디자인 컨셉은 전통 문화 와 현대를 연결하고, 고전미와 현대미 결합시키는 데 있다. ‘NO(儺)’는 현대의 디자인 언어와 미적 감각이 조화를 이루면서 트렌드를 결합하여 누오 가면의 풍 부한 깊이와 문화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면의 조각 기법을 접목하여 다양한 소재의 결합하여 표현 하였다. 독창적 작업을 위하여 수작업으로 패턴을 직 접 그렸으며, 다양한 니트와 장신구의 조화와 가면의 특색 있는 요소를 살려, 패션 디자인에 새로운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의상 표현에도 패치워크 기법 을 이용하여 작품제작을 시도하였으며, 색상은 아이 보리색을 주조색으로 유사한 색을 활용하여 색채의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작품의 소재는 면, 가죽, 각종 재활용 원사, 스와치 원단 등으로 리듬감을 더하였다. 누오 가면을 해체하 여 재구성하고, 패치워크 기법을 사용하여 면분할로 재구성함으로써, 형태의 결합, 변형, 왜곡, 대칭, 비대 칭, 채움 등의 기법의 활용으로 누오 가면을 입체적인 시각적 이미지를 현대적인 패션 디자인으로 표현하고 자 하였다. 아이템은 가면 패턴의 디테일 표현을 부각 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심플하고 세련된 원피스, 점프 수트 베스트 등으로 스타일링하였다. 주 원단은 착용 감이 좋고 실루엣의 느낌이 잘 나타날 수 있는 면, 마 소재와 니트 원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짜여진 문 양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니트 소재와 메인 원단과 결 합이 자연스럽고 소박하고 순수한 아름다움을 표현고 자 하였다(Table 3).

    2. Development of digital fashion design

    디자인 1은 지역적인 특색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 장시성 누오 가면의 몰딩을 추출하여 패션 디자인으 로 응용였다. 모던한 코트의 디자인과 결합하여 원단 을 재구성하였으며, 비대칭적인 요소를 응용하여 여 성스럽고 도시적인 매력을 표현하였다. 현대적인 형 태와 전통적인 누오 가면의 원형 표현 방법을 혼합하 였으며, 누오 가면 문양의 입체화 부각으로 전통적인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더했다. 누오 가 면의 수염 등을 액세서리로 염감을 받아서, 코트 디자 인에 원단을 스트라이프의 분위기로 만들어주는 효과 가 본 코트 디자인의 포인트이다. 또한 서로 다른 원 단을 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스티치의 장식 효과로 길고 불륨있는 코트의 장식 형태에 새로운 표현을 더 하였다. 소매 부분은 가면의 토템주의 상징성으로, 간 단한 라인으로 가면의 문양을 그려 사람들이 코로나 를 퇴치하는 것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드러냈다. 누오 가면과 외투를 결합하는 것도 현재 유행에 부합하였 다(Fig. 37).

    디자인 2는 분리가 가능한 니트 점프 수트와 쉬폰 스커트의 두 가지 아이템으로 구성되었다. 가면의 분 해와 재조합을 통해 유희적 요소를 추출하고, 가면을 의상에 전체적,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의상이 한층 더 중첩적으로 입체적인 표현력을 갖추도록 하였다. 전 통적인 가면 패턴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한 디자 인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니트 점프 수트는 허리에 히든 지퍼가 있어 위아래로 열어서 착용할 수 있어 의 상의 실용성을 높였으며, 더불어 탈부착이 가능한 소 매와 서로 다른 원단의 짜임새와 다양한 부자재 장식 으로 제작되어 더욱 풍성함을 느낄 수 있다. 투명 원 피스를 매치해 스커트 밑단의 컷팅과 패턴에 맞게 컷 팅하여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추상성을 살리면서 디자 인 형태를 더욱 유희적으로 표현하였다. 팔의 디자인 을 만들 때는 원단을 스트라이프로 만들어주는 효과 는 옷의 포인트로 삼았다. 스커트 밑단이 변형된 가면 을 따라 잘려진 모습 또한 디자인의 유희적 특성을 더 했다(Fig. 38).

    디자인 3은 누오 가면의 장식성 요소 중 동물형의 수각, 용 문양, 화미와 나비 문양을 원피스 디자인에 적용하여 풍부하게 디자인하였다. 길상, 장수, 부귀, 가정의 평화 등 의미를 가지고 있는 장식을 통해 사람 들에게 행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전하고자 하였다. 원 단을 스트라이프 형태로 잘라서 가면의 문양에 맞추 어 옷에 부착하여 봉제하고, 패턴은 수작업 자수 등으 로 디자인 전체의 창의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상 의 옆면 부분의 슬릿과 플리츠 슬리브와 뒷면의 비대 칭 라인으로 장식적인 효과를 주었다(Fig. 39).

    디자인 4는 니트 원피스와 조끼로 구성되었다. 가 면에 사용되는 나무 목재의 색과 같은 니트 소재를 사 용하여, 가면의 토템과 가면의 조각 기법을 조합하여 표현하였다. 조끼의 문양은 누오 가면의 장식 문양을 추출하고, 변형 개발한 문양을 원단에 DTP(Digital Textile Printing)로 작업하여 조끼의 앞판과 뒤판에 사용하였다. 가면을 조각하는 기술과 부조 (浮雕) 등 을 근거하여 눈 부분을 재구성하였다. 눈은 입체적인 느낌을 강조하고자 솜을 넣어 제작하며, 조끼가 사용 하는 서로 다른 원단을 연결하여 율동미를 부여했다. 인조 모피를 더한 소매 토시와 발 토시의 장식을 통해 전체적인 디자인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과장적 조 형미도 부여하였다(Fig. 40).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현대적 디자인 언어라 할 수 있는 중국 의 무형문화유산 중 장시성 누오 문화와 누오 가면을 조사․분석하고 누오 가면의 독특하고 과장된 문양 또는 누오 가면의 조각 방법 등의 특성을 바탕으로 CLO 3D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3D 디지털 패션 디 자인으로 전개하였다.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장시성 대표적인 누오 문화와 가면을 수집 하였으며, 의류학 전문 집단의 설문 과정을 통하여 누 오 가면의 특성을 분류․분석하였다. 장시성 누오 가 면의 특성은 상징성, 장식성, 유희성, 원시성으로 나 타났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시성 누오 가면의 상징적 특성은 기원 및 역사의 상징, 신분의 상징, 원시 종교 관념의 상징 등 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가면은 장식품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분적 지위의 상징, 원시 선민의 자연숭배, 토템숭배, 무술신앙 등을 담고 있다. 누오 가면 문양 은 장시성의 상징적 기능을 매우 중시한다. 특히 덕안 반공희는 유일한 노래와 춤, 곡예, 잡기, 꼭두각시와 현지 최초의 상태인 민요창법의 일체된 역사의 상징 적인 축소판이다.

    둘째, 장식성은 행운, 벽사, 장수, 부귀, 가정의 평 안 등의 의미를 지닌다. 동물형으로(兽角), 용 문양, 화미(火眉), 송곳니(獠牙), 물고기, 박쥐 등이 있고, 아 름다운 삶에 대한 향수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식물형 장식 문양과 특수문자 등으로 표현된 장식 문양으로 나눌 수 있다. 가면을 형상화하면서 기하학적 도형에 점, 선, 면을 덧씌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문양의 구 조를 가진다. 이 장식 문양들은 민간의 특성이 풍부하 며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열망과 갈망을 표현 함과 동시에 가면의 형태를 더욱 강하게 꾸미는 의미 를 담고 있다.

    셋째, 유희성은 가면의 원형의 형태를 변형하고 분 해하여 활용하거나, 인형을 손에 쥐는 독특한 퍼포먼 스도 있으며, 설정을 통해 눈과 입을 움직일 수 있는 기능적인 유희 가면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이 누 오 가면을 해제․응용하여 재창조하거나, 원래 형태 안에 다른 요소들을 추가해서 유희적 표현도 많이 나 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장시성 누오 가면의 원시성은 대부분 나무 본래의 색깔만 사용함으로써, 초기 인물의 이미지에 따라 각인된 가면은 당시의 문화와 문명에 의해 원시 적인 형태 이미지를 잘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 특징을 활용하여 CLO의 방법으로 전 개한 작품 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오 가면 의 조각 기술 및 문양 등 방면에서 현대적인 디자인에 사용되는 특징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원단을 재건하고 디자인하였다. 둘째, 원단 선택에는 니트 원단과 가죽 등의 결합을 선택하고, 동시에 가면에서 복고적인 조 형 문양을 추출했으며, 수제, 자수 등 다양한 방식으 로 패션 문화의 예술적 부가가치를 높였다. 셋째, 누 오 가면에서 추출한 문양을 변형 혹은 부분적으로 확 대하여 사용함으로써 해체 및 재구성 등을 개념으로 하여 디자인의 모던한 조형성을 강화하고 있다. 누오 가면의 비대칭, 과장, 변형 등 디자인 기법에 따라 3D 디지털 기술로 작품을 전개함으로써 낭비를 줄일 뿐 아니라, 현대 패션트렌드의 다양성에 더 많은 가능성 을 제공한다.

    지리적 환경의 영향과 경제 수준의 제약으로 장시 성 누오 가면의 특색 있는 수공예는 점차 사라지고 있 는 실정이다. 누오 가면 문화에 대한 연구는 중국 전 통문화에 대한 전승과 보호가 될 뿐만 아니라, 현대 패션 디자인에도 풍부한 디자인 언어를 제공할 수 있 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3D 디지털 패션 디자인 전 개를 통하여 디지털 패션산업과의 결합을 통한 본 연 구는 무형문화유산 전통 누오 가면을 현대 적으로 재 해석하여 현대 사회에서 기능적 연장과 문화 전파를 위한 적극적인 촉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전통 문화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기대한다.

    Figure

    RJCC-30-3-455_F1.gif

    Pingxiang Nuo team will “Nuo God” mask on the shoulder parade Reprinted from Lv. (2019). p.150.

    RJCC-30-3-455_F2.gif

    General Zhou Reprinted from Xue. (1996). p.184.

    RJCC-30-3-455_F3.gif

    Pangong Nuo in Dean Reprinted from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twork &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Museum. (n.d.b). http://www.jxich.cn

    RJCC-30-3-455_F4.gif

    General Ouyang-Jinjia Reprinted from Lv. (2019). p.149.

    RJCC-30-3-455_F5.gif

    Guan Suo with painted face, Bao Sanniang Reprinted from Lv. (2019). p.193.

    RJCC-30-3-455_F6.gif

    Nuo Dance in Wanzai and robes Reprinted from Deng. (2015). p.23.

    RJCC-30-3-455_F7.gif

    Nuo dance in Wuyuan eneral Ouyang-Jinjia Reprinted from Wang & Lv. (2007). p.275.

    RJCC-30-3-455_F8.gif

    Nuo mask in Wuyuan Reprinted from Lv. (2019). p.152.

    RJCC-30-3-455_F9.gif

    Eighty kings Reprinted from Lv. (2019). p.159.

    RJCC-30-3-455_F10.gif

    Prime Minister Li Si Reprinted from Lv. (2019). p.153.

    RJCC-30-3-455_F11.gif

    Wan Xi (玩喜) Reprinted from Zhou. (2014). p.18.

    RJCC-30-3-455_F12.gif

    Pig snout Reprinted from Xue. (1996). p.196.

    RJCC-30-3-455_F13.gif

    Nuo dance and apparel in Le’an Reprinted from Zhou. (2014). p.40.

    RJCC-30-3-455_F14.gif

    Nuo dance in Nanfeng Reprinted from Lv. (2019). p.161.

    RJCC-30-3-455_F15.gif

    K’uei Hsing and Thunder God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Guizhou National Culture Palace & National Grand Theater. (2012). p.86.

    RJCC-30-3-455_F16.gif

    Yinjiao Nuo mask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Guizhou National Culture Palace & National Grand Theater. (2012). p.96.

    RJCC-30-3-455_F17.gif

    Chicken beak, pig snout Reprinted from Xue. (1996). pp.84-85.

    RJCC-30-3-455_F18.gif

    Pangong Nuo in Dean Reprinted from Jiangxi Wenlvyun. (2019). http://www.jxwlyun.cn

    RJCC-30-3-455_F19.gif

    Bao Gong, Zhuge Liang, Yang Jian, Stove King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Guizhou National Culture Palace & National Grand Theater. (2012). pp.140, 135, 137, 141.

    RJCC-30-3-455_F20.gif

    The bour heaven Reprinted from Xue. (1996). p.92.

    RJCC-30-3-455_F21.gif

    Guanyin mask Reprinted from Wang. (2008). p.78.

    RJCC-30-3-455_F22.gif

    Thunder God Reprinted from Xue. (1996). p.183.

    RJCC-30-3-455_F23.gif

    Tu Xingsun Reprinted from Kim. (2008). p.52.

    RJCC-30-3-455_F24.gif

    Bull Demon King Reprinted from Lv. (2019). p.138.

    RJCC-30-3-455_F25.gif

    Xiangdong Pingxiang Heavenly General Yin Reprinted from Xue. (1996). p.187.

    RJCC-30-3-455_F26.gif

    Xiangdong Pingxiang- Great General Reprinted from Xue. (1996). p.189.

    RJCC-30-3-455_F27.gif

    Title unknown Reprinted from Xue. (1996). p.191.

    RJCC-30-3-455_F28.gif

    Eighty kings Reprinted from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Guizhou National Culture Palace & National Grand Theater. (2012). p.76.

    RJCC-30-3-455_F29.gif

    Trailbreaker Reprinted from Wang. (2008). p.77.

    RJCC-30-3-455_F30.gif

    Nuo mask in Wuyuan Reprinted from Wang. (2008). p.79.

    RJCC-30-3-455_F31.gif

    Nuo mask in Nanfeng-Zhou Cang Reprinted from Lv. (2019). p.148.

    RJCC-30-3-455_F32.gif

    Pig snout Reprinted from Shen. (2017). p.24.

    RJCC-30-3-455_F33.gif

    Prime Minister Li Si Reprinted from Xue. (1996). p.197.

    RJCC-30-3-455_F34.gif

    Title unknown Reprinted from Xue. (1996). p.185.

    RJCC-30-3-455_F35.gif

    Title unknown Reprinted from Xue. (1996). p.204.

    RJCC-30-3-455_F36.gif

    Lei Gong Reprinted from Wang. (2008). p.76.

    RJCC-30-3-455_F37.gif

    3D digital clothing Design 1

    RJCC-30-3-455_F38.gif

    3D digital clothing Design 2

    RJCC-30-3-455_F39.gif

    Digital closing Design 3

    RJCC-30-3-455_F40.gif

    Digital closing Design 4

    Tabl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in Jiangxi provinc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Nuo mask in Jiangxi province

    The intent of fashion design using Nuo mask

    Reference

    1. Chen, L. (2020). Research on dance form and cultural inheritance in Nuo ceremony in Shiyou villageg, Jiangxi province, Chin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2. Chen, S. Y. (2017). On the puppe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an Gong opera in De’an. The Public Art and Literature Magazine, (21), 132.
    3. Chin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twork · Digital Museum of Chin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d.). Nuo.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www.ihchina.cn/search_result/keyword/%E5%82%A9
    4. Deng, B. (2015). The study on practical design of Nuo mask art -For example of WanZai’s Nuo masks souveni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nchang University, Nanchang, China.
    5. Fang, L. (2009). On mask culture from Nuo dance masks in Wuyuan, Jiangxi province. The Public Art and Literature Magazine, 23, 247.
    6. Gu, P. G. (1996). 中国面具史 [The history of Chinese masks]. Guiyang: Guizhou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7. Guo, K. (2018). The research about the design of Gan Nuo mask cultural creativity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ingdezhen Ceramic Institute, Jiangxi, China.
    8. He, L. (2019). Nuo mask of Pingxiang Xiangdong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un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unan, China.
    9. Huang, Q. (2005). Research on Wanzai Nuo dance mus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Jiangxi Normal University, Jiangxi, China.
    10. Huang, W. J. (2018). Research on protective tourism development of “Nuo dance” in Wuyuan, Jiangxi province. Modern Business Trade Industry, 39(13), 25-26.
    11.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twork &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Museum. (n.d.a). Pingxiang Xiangdong Nuo mask.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www.jxich.cn/itemInfo.html?ppn=%E9%A6%96%E9%A1%B5&pn=%E5%90%8D%E5%BD%95%E5%BB%BA%E8%AE%BE&n=%E4%BB%A3%E8%A1%A8%E6%80%A7%E9%A1%B9%E7%9B%AE&num=1&id=491
    12.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twork &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Museum. (n.d.b). De’an Pan Gong play.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www.jxich.cn/itemInfo.html?ppn=首页&pn=名录建设&n=代表性项目&num=1&id=473
    13.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etwork & Jiangxi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Museum. (n.d.c). Nuo dance in Wanzai.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www.jxich.cn/itemInfo.html?ppn=%E9%A6%96%E9%A1%B5&pn=%E5%90%8D%E5%BD%95%E5%BB%BA%E8%AE%BE&n=%E4%BB%A3%E8%A1%A8%E6%80%A7%E9%A1%B9%E7%9B%AE&num=1&id=474
    14. Jiangxi Wenlvyun. (2019, January 16). Pangong Nuo in Dean.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www.jxwlyun.cn/szfy_show.html?id=118
    15. Kim, H. J. (2008). 중국의 탈놀이와 탈 [Mask play and mask in China]. Seoul: Myung Mun Dang.
    16. Li, H. P. (2008). Chinese Nuo mask and its cultural conno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Lanzhou University, Gansu, China.
    17. Liu, L. L. (2007). A study on puppet drama in Song dynas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pital Normal University, Beijing, China.
    18. Lv, G. Q. (2019). 中华巫傩文明-傩仪、傩俗、傩舞、傩 戏 [Chinese Wu Nuo civilization-Nuo ritual, Nuo customs, Nuo dance, Nuo opera]. Hefei: Hefei University of Technology Press.
    19. Playful. (n.d.). In Naver dictionary. Retrieved November 20, 2021, from https://ko.dict.naver.com/#/search?range=all&query=%EC%9C%A0%ED%9D%AC
    20. Shang, N. (2009). Clan sacrifice: A study on Nuo culture of Wuyuan ghost d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Jiangxi Normal University, Jiangxi, China.
    21. Shen, H. Y. (2017). Cultural confidence modeling ex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inese National Academy of Arts, Beijing, China.
    22. Tao, L. F. (1987). Discussion on Nuo culture. Journal of Guizhou Minzu University: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s, (2), 7-14.
    23. The Cultural Palace of Nationalities, Guizhou National Culture Palace & National Grand Theater. (2012). 中国傩戏面具艺术 [The mask art of Chinese Nuo opera]. Beijing: Academy Publishing House.
    24. Wang, F. (2015). On the puppe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an Gong opera in De’an. Divineland, (12), 10.
    25. Wang, H. Y. (2013). The study of artistic characteristics of Jiangxi Nuo dance coustu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chow University, Jiangsu, China.
    26. Wang, K. S. (2008). 民间面具[The folk mask]. Beijing: China’s Light Industry Publishing House.
    27. Wang, Z. Q. , & Lv, G. Q. (2007). 中国傩文化 [Chinese Nuo culture]. Shantou: Shantou University Publishing House.
    28. Xue, R. L. (1996). 中国巫傩面具艺术 [The art of Chinese ritual masks]. Nanchang, Jiangxi: Jiangxi Fine Arts Publishing House.
    29. Yu, D. L. , & Feng, L. (2006). Research on the shape of Pingxiang and Nanfeng Nuo mask in Jiangxi province. Art & Design, (12), 117.
    30. Zhang, L. J. , & Zhang, L. (2015). Artistic characteristics of Nuo mask in Wuyuan and its cultural and artistic reproduction. Journal of Guangxi Norm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32(4), 29-31.
    31. Zhou, W. S. (2014). On the religious ceremony and cultural connotation of God Nuo Le An. Journal of New Films and Dramas, 3, 59-61.
    32. Zhou, X. , Wang, L. , & Nietzsches, M. (2013). On the modern values of Pingxiang Nuo culture. Journal of Pingxiang College, 1, 74-77.
    33. Zou, Z. (2021). On the modeling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anzai Nuo dance. The Artists, (1), 86-8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