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3 pp.444-454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3.444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lass model for nail beauty education

Hyun Jin Seol†
Assistant Professor, Dept. of Beauty Arts, Beauty and Nail Arts, Jeonghwa Arts College, Korea
Corresponding author (snowbeme@gmail.com)
May 1, 2022 June 12, 2022 June 14, 2022

Abstract


Flipped learning research has been applied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since 2015 and the educational effects have been discussed in previous literature. In the beauty field, flipped learning research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specifically concerning nail beau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nail beauty education which should involve practical training based on theory. Such an approach is considered effec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with flipped learning applied as a research method.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Nail Color Design 1”, a common nail major elective subject at J college. The “Nail Color Design 1” course is a practice-oriented course in the form of theory and practical classes. Consequently, the flipped learning education model for nail beauty was designed by reflecting learners’ needs through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It was applied based on the education structure of the Pre-class, In-class, and Post-class of the PARTNER instructional learning model. This study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practical education model, and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as a practical model in which flipped learning is applied to nail beauty subjects and self-reflection is derived through project practice.



네일미용 교육을 위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수업모형 개발

설 현 진†
정화예술대학교 미용예술학부 뷰티네일전공 조교수

초록


    I. Introduction

    2016년 교육부는 전통적인 수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교실수업의 혁신 방법으 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도입하였다. 플립러닝은 역전(逆轉)학습, 거꾸로 교 실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전통적인 수업과는 다른 학습 형태로 정보기술을 활용하 여 수업에서 학습을 극대화하여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집중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말한다(“Flipped learning”, n.d.). 플립러닝은 교수자중심에서 학습자중심으로 지 식이 구성되며, 수동적 학습자가 아닌 능동적으로 사 전학습으로 지식을 탐색하는 수업의 혁신을 보여준 다. 전통수업은 교실 안에서 지식이 전달되고 이후 학 생들의 교실 밖에서 과제의 형태로 복습이 이루어졌 다. 그러나 플립러닝은 학생이 교실 밖에서 교수자가 제공하는 학습내용을 미리 숙지하고 교실 안에서 실 제적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을 숙지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플립러닝은 전통적 학습법에서 보 이는 교실 안과 교실 밖의 학습이 ‘뒤집힌(flipped)’ 방식으로 교실 밖에서 먼저 지식탐색이 수행되고 이 후 교실 안 적용 학습이 이루어진 학습법을 의미한다.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는 2015년부터 다양한 분야 에서 적용하고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다. 2022년 4월 기준으로 국회도서관에 ‘플립러닝’으로 관련 자료를 검색해 본 결과, 학위논문 233권, 연속간 행물과 학술기사 599종이 확인되었다. 플립러닝의 학 습대상은 초등학교(Lee & Ham, 2018), 중․고등학교 (S. Y. Park, 2020) 학생에서, 대학의 교양교과(Yoon, 2019) 사회복지교육(Gweon, 2018), 지역환경연구(Rhee, Lee, Han, & Choi, 2018), 언어학(Jang, Chung, & Choi, 2018)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에서 연구되고, 플 립러닝 방식이 창의성, 협업능력, 문제해결역량의 향 상을 이끈다는 결과(Rhee et al., 2018)를 보이고 있다. 이에 실기분야에서도 플립러닝의 모형이 개발되고 있 다(J. S. Park, 2020;Shin, 2018).

    2013년 처음 국내에 소개된 플립러닝의 연구는 Do and Kim(2019)의 분석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9년 까지 국내외 학술지 게재 기준으로 학문영역의 인문 학 30%, 자연과학 19%, 의약학 19% 공학 16%, 사회 과학 10%, 예체능 6%의 분포도를 보이고 있다. 6% 의 예체능 영역 중 미용분야는 매우 부족하며 네일미 용 세부분야의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용 분야가 헤어, 메이크업, 피부, 네일, 이용 등으로 세분 화되고 각 직무별 국가 자격증과 NCS가 개발되는 것 을 볼 때, 미용 세부 영역별 교육적 특징이 다르며 미 용분야 세부분야의 영역별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 이다. 미용분야의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는 2017년 이 후 진행되었으며 수업의 적용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 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헤어나 피부 중심의 교과 목의 특성을 구체화하여 적용한 것으로(Byun, 2017;Jeon, 2020;Kim, 2017;Nam, 2021;Suh, Nam, & Park, 2021) 메이크업과 네일미용, 이용 세부분야의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교육적 효과가 입증된 플립러닝을 선행 연구의 분석과 적용을 통하여, 네일미용 교육에 적용 하여 플립러닝 학습모형을 설계하고자 한다. 플립러 닝학습은 학습자중심의 교육으로 이론이 바탕이 되는 실기수업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사전학습을 통해 지식을 탐색하고 교실 안에서 상호작용으로 실제적 과제수행을 통해 지식체화 된다. 이론을 바탕으로 실 습훈련이 되어야 하는 네일미용 교육에 플립러닝은 효과적인 학습으로, 이론의 교실수업에 집중도가 약 한 학습자에게(Kim & Yu, 2020) 이론학습에 동기화 를 부여하고 실습으로 체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PARTNER 모형과 ADDIE 교수설계모형 중심 으로 모형을 계획하고, 이론이 필요한 실습형 네일미 용 교과를 선정하여 15주차의 교육과정의 흐름을 정 리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네일미용 교과에 플립러닝 을 적용하여 단순하게 행위만 모방하는 실기수업이 아닌 이론을 스스로 습득하고 상호작용과 실습을 통 해 강화하는 수업으로,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교수학 습모델을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II. Review of Literature

    1. Flipped learning

    플립러닝은 기존의 수업방식을 뒤집는 것으로, 지 식을 획득하고 체화하는 학습과정에 교실 안 교육의 순서를 뒤집어 학습자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플립러닝의 시작은 미국 공과대학 교수인 베이커 (Baker)가 2000년 초 플로리다에서 열린 대학 교수-학 습 국제 콘퍼런스에서 소개한 ‘flipped classroom’에서 시작되었다. ‘Flip’이라는 단어 의미처럼 전통적 수업 방식을 뒤집어 운영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Flipped classroom’은 강의교육이 수업의 핵심이었던 학습방 법을 뒤집어 학생들의 자기학습을 수업의 핵심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즉, 강의 슬라이드를 웹 사이트에 공개하고 학생들이 선행학습하며, 선행된 학습을 통 해 수업 중 학습자의 자발적 질의응답이 늘어나는 등 의 학습참여가 높아지고 학생참여가 집중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면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21세기 교육혁명: 미래 교실을 찾아서’, ‘거꾸로 교 실’ 다큐멘터리가 KBS에서 방영되었으며 이어 2016 년 교육부는 전통적인 수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여러 가지의 교실수업의 혁신 방법 중 하나로 플립러 닝을 도입하게 된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에 대한 시도 는 급속하게 확산되고, 대학에서도 적극 활용하게 된 다(Shin, 2018).

    전통적인 교육에서 학습자들은 교실에서 교수자의 강의로 정보(지식)를 획득하는 데 치중하지만, 플립러 닝은 수업 전 온라인 강의를 통해 학습자 동기에 의 해 정보(지식)획득 후에 교실에서 교수와 학습자, 학 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체화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Fig. 1). 자기학습으로 진행된 수업 전 학습은 동기화를 이끌며 수업 중 제시 된 연계활동으로 적극적인 상호활동이 나타나게 된 다. 즉, 전통적으로 수업 중 이루어지는 교사의 강의 (lecture)를 수업 전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업 후 학 생들이 과제를 부여받아 집에서 하는 다양한 응용 학습(homework)을 학교에서 하는 방식(Bergmann & Sams, 2012)이다. 따라서 수업 전 이루어지는 선행학 습은 학습자의 동기화에 영향을 받으며 이에, 선행학 습의 동기화에서 시작되는 플립러닝은 학습대상자와 학습환경에 대한 분석과 함께 학습목표에 대한 정확 한 제시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 동기화하는 것이 중요 하다. 이를 통해 수업 전 제공된 온라인 강의를 학습 자의 환경과 자기학습 속도에 맞춰 개별학습을 진행 하게 되고, 미리 익힌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는 수업 중에는 자신의 수준을 확인하고 동료 또는 교수자의 도움을 통해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2. ADDIE design model

    ADDIE 교수설계모형은 교수설계에서 가장 널리 적용하고 있는 기초개념으로, 구성주의적 학습모형의 특징을 잘 드러내며 많은 교수설계자들을 통해 활용되 어 왔다(Bang, 2017). ADDIE 교수설계모형은 5단계 를 거쳐 구성되는데, 구성단계 요소로는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이다. 구성단계 요소는 조직적인 계획 으로 진행되고 순환적인 과정으로 단계별 내용을 확 인할 수 있다(Fig. 2). 또한, 단계별 내용점검이 가능 하므로 교육 내용이나 대상의 다양한 상황에서도 적 용할 수 있다. Bang(2017)은 ADDIE 교수모형이 문화 예술교육에서의 최적화된 교육모형으로 디자인․인 문 융합교육을 실현함에 적절하다 하였다.

    ADDIE 모형은 체계적(systematic), 체제적(systemic), 신뢰적(reliable), 순환적(iterative), 경험적(empirical) 특성으로, 교수설계 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기에 효 과적인 교육으로 교육의 목적과 취지에 따라 ADDIE 교수설계모형의 절차를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설계가 가능하다(Kang, 2013). 학습자의 동기화가 중요한 플 립러닝에 있어서,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학 습내용과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계함에 있어서 교육적 활용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PARTNER model

    PARTNER 모형은 공과대학의 교수학습모델로 개 발되었다. 2015년 설계된 플립러닝 모델로 교수학습 을 7단계로 구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플립러닝의 수 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구분을 Pre-class, In-class, Post-class의 용어로 명시하고 시간적 흐름에 따라 교 수학습의 각 단계별 구체적인 학습을 적용하였다. Preclass는 사전단계(preparation)와 사전학습평가(assessment) 가 제시되며, 사전단계는 학습자, 환경, 교과목 분석을 통한 요구분석을 하고 있다. 사전학습 평가는 온라인 퀴즈나 과제로 학습자의 이해를 점검한다. Inclass는 사전학습연계(relevance), 협력학습(team activity), 핵심요약강의(nub lecture), 평가(evaluation)로 구분하고, 사전학습연계에서는 사전학습의 수업이행 지 침을 제공한다. 협력학습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 용을 통해 지식체화가 진행된다. 핵심요약 강의는 수업 종료시점에 교육목표를 강화하는 과정이며 이어서 평 가(발표)가 진행된다. Post-class는 사후성찰(reflection) 을 이끌어 내어 개별학습을 성찰하는 단계이다(Choi & Kim, 2015).

    Choi and Kim(2015)이 제시한 PARTNER 모형은 이론, 실습, 이론+실습의 3가지 수업 형태별 모듈로 구분하여 모듈별 적용 단계를 제안한다. 이론수업은 사전단계, 사전학습평가, 사전학습연계, 협력학습, 핵 심요약강의로 제안하였고, 실습수업은 사전단계에서 학습자료를 제공 후 협력학습 결과를 평가하고 사후 성찰 단계의 제안을 하였다. 이론+실습수업은 두 가 지를 모두 감안하여 사전단계, 사전학습평가, 사전학 습연계, 협력학습 중심으로 시행하고 핵심요약강의 평가, 사후성찰은 필요에 따라 선택하도록 제시하였 다(Fig. 3).

    본 연구는 플립러닝 모델인 PARTNER 모형의 이 론+실습의 형태 모듈을 바탕으로 ADDIE 교수설계모 형으로 교육설계를 하고자 한다. 이론과 실습의 지식 체화에 효과적인 결과를 제시한 플립러닝 PARTNER 모형의 이론+실습 모듈을 바탕으로 이론+실습 교육 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네일미용 교육의 플립러닝 교 육모형 개발에 기초를 세우고, 문화예술교육에 최적 화된 ADDIE 교수설계모형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중심의 플립러닝 교육모델 구성의 검토와 실질적인 플립러닝 교육운영 에서 보여지는 단계적 내용점검을 통해 학습모형을 강화하고자 한다.

    Ⅲ. Research Method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학습모형을 제시한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네일미용에 플립러닝 수업모형을 설계하여 보고자 한다. 디자인 분야의 학생은 타 전공 학생들과 비교하여 이론수업의 집중도가 비교적 약하 여(Kim & Yu, 2020), 이론이 필요한 실습수업에서 이 론강의 과정에서 수업의 집중도나 흥미도가 떨어져 학습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Choi,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효과적 네일미용 교육적용을 목적 으로 교수학습모델을 설계하며, 이론과 실기의 연계 가 필요한 네일미용 교과를 선택하여 교육모형을 제 시하고자 한다.

    연구에 적용되는 대상 교과는 J대학 네일전공 공통 선택 전공교과목 중 매주 일정한 이론강의 비율이 반 영되는 이론+실기 수업형태의 ‘네일컬러디자인1’ 교 과를 선정하였다. ‘네일컬러디자인1’ 교과는 색채적 용의 실습교육에 필요한 네일미용 분야의 바탕이 되 는 교과목으로, 색채이론교육이 바탕이 되어 실습이 진행된다. 이와 연결된 ‘네일컬러디자인2’ 교과는 다 음 학기에 진행되는 교과목으로, ‘네일컬러디자인1’ 의 네일디자인 적용 색채교육으로 학습체화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형 네일디자인의 연출능력을 기르는 교 과이다.

    본 연구는 네일미용의 이론+실습 교과를 플립러 닝에 적용하기 위하여 플립러닝의 개념을 고찰하고 ADDIE 수업모형 설계를 바탕으로 모형개발을 검토 하였다. 또한 PARTNER 교수학습 모형으로 수업모 형을 세부설계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기준에 맞 춰 개발하고자 한다. 첫째, Pre-class, In-class, Postclass로 구분한다. 둘째, ADDIE 교수설계 모형으로 분석 설계한다. 셋째, PARTNER 교수학습 모형을 적 용하여 세부학습을 구성한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플립러닝 교수학습을 위해 Pre-class, In-class, Postclass의 수업구조를 바탕으로 ADDIE 교수설계모형과 PARTNER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하여 네일미용 수업 을 설계하였다(Fig. 4). 이론+실습 형태의 구성된 ‘네 일컬러디자인1’ 교과를 대상으로 적용한다. 본 설계 의 기본 방향과 구성은 아래와 같다. 첫째, 이론강의 에 집중, 반복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둘째, 시 범작업을 영상으로 제공하여 공평한 실습교육을 제공 한다. 셋째, 실습경험과 학습연계를 통해 지식을 일체 화한다. 넷째, 실습 결과물의 공유와 평가를 통해 성 찰의 경험을 제공한다. 다섯째, 프로젝트 작업으로 사 후활동으로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자기성찰 경험을 제공한다.

    1. Analysis

    플립러닝의 효과적 적용을 위해 환경을 분석하는 단계로 학습자분석과 교육환경, ‘네일컬러디자인1’ 교 과의 교육목표를 분석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1) Learner analysis

    대상 학습자는 대학 1학년으로 네일미용을 전공한 다. 네일디자인에 관심높으며 네일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에 관심이 높다. 색채 관련 이론교육은 체계 화되지 않은 학습자이나, 배색을 네일디자인에 적용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 색채학습동기가 높다. MZ 세대로 모바일 및 컴퓨터 사용에 능숙하며 COVID- 19로 온라인 학습의 경험이 있다.

    2) Class goal analysis

    ‘네일컬러디자인1’ 교과는 색과 색채의 차이를 이 해하고 색의 지각, 색의 혼합, 색채 심리와 배색 등, 색에 대한 기본적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색상 전반에 관한 이해를 돕고 네일컬러링을 위한 색채이미지 적 용의 실습과 이론을 익힌다. 이를 위해 색채이론과 색 채 활용 실습, 그리고 네일디자인에 색감정을 적용하 여 네일 전공자가 색채를 활용하여 네일 직무역량을 강화함에 목적이 있다.

    3) Environment analysis

    ‘네일컬러디자인1’ 교과는 네일전공의 공통선택교 과로, 학습자 개인의 관심과는 상관없이 필수적으로 수강하는 전공교과이다. 수업은 3학점 3시수 교과로 총 15주로 진행된다. J대학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로 비대면 수업과 온라인교육을 진행하 며, 2020학년도부터 파놉토(panopto) 동영상 플랫폼 을 활용하여 교수자의 영상 콘텐츠를 관리한다. 캠퍼 스 내 wi-fi 제공으로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온 라인 영상 및 학습이 용이하다.

    2. Design

    교수학습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로 주차별 학습내 용에 따른 Pre-class, In-class, Post-class를 설계한다.

    1) Teaching & learning design

    ‘네일컬러디자인1’ 교과는 수업목표에 따라 세 가 지의 세부목표를 갖고 주차별 세부설계를 진행하였 다. 주차별 세부목표는 첫째, 색채이론을 이해한다. 둘째, 색채이론을 실습을 통해 경험한다. 셋째, 색채 이론과 실습을 바탕으로 습득한 경험을 네일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다. 주차 세부설계에 따라 적절한 수업분 량의 조정과 운영방법을 선택을 통해 학습자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고려하였으며, 교과 학습목표에 따라 수업목표를 구분하였고, 이론과 실습의 수업분량을 고려하여 다회차 또는 일 회차 수업으로 설계하였다 (Fig. 5). 학습목표의 강화를 위해 주차별 학습을 연계 교육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1) 1st class design

    1주차는 플립러닝의 효과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학습 자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 주차로, 교과의 목표를 확인하고 네일전공자로서 색채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한다. 플립러닝으로 운영되는 교과의 특성을 안 내하고 LMS로 운영되는 Pre-class의 활용방법을 자세 히 안내한다. In-class에 사용될 실습 재료 준비에 대 한 안내로 2주차부터 지체 없는 수업운영이 되도록 안내한다. 이로써 플립러닝의 교육적 효과를 상승시 킬 수 있는 동기부여의 시간으로 운영한다.

    (2) 2nd to 8th class design

    2주차는 본격적인 플립러닝이 진행되는 주차이다. 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 3, 4주차는 색의 구성 요소인 삼속성에 대해 이론으로 색채 이해의 기본이 되는 이론을 체계화하며, 이론을 실습과 연계하여 네 일전공자가 사용하는 색재료를 반영하여 실습경험을 제공한다. 5주차는 삼속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네일팁에 색채이론을 적용하는 수업으로 색채경험을 네일디자인에 적용한다. 이로써, 이론과 네일실무의 색채 연계성을 강화한다. 6주차는 기본색을 중심으로 단색이미지를 이해하고 연계하여 네일디자인 활용을 실습한다. 학습자별 적용한 단색이미지의 다양한 해 석을 공유하여 창조적 성찰을 도출한다. 7주차는 기 본색을 바탕으로 배색에 대해 이해하고 배색의 이미 지를 네일디자인에 적용한다. 단색이미지와 연계하여 배색이 주는 이미지의 차이를 경험한다. 8주는 프로 젝트 작업으로 2~4주의 학습한 색채실습 경험을 바탕 으로 5~7주의 네일디자인 적용의 실습경험의 성찰을 통해 수정보완한 네일디자인작업을 동료학습자와 공 유하여 네일디자인의 다양한 해석을 공유한다.

    (3) 9th to 15th class design

    9주는 2, 3, 4주의 색의 3요소를 바탕으로 삼속성의 등간격 색변화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통한 네일디자인 의 배색을 경험하고, 네일재료를 활용한 실습을 네일 재료의 조색과 색디자인에 대한 학습을 한다. 10, 11, 12주는 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 3, 4주의 삼속 성의 변화와, 6주차의 단색이미지스케일의 이해를 바 탕으로 색채이미지와 톤의 관계를 경험하게 하고 네 일디자인에 이미지의 색채적용의 중요성을 학습한다. 13, 14주는 7주와 9주의 학습된 배색을 바탕으로 색 의 지각과 색감정을 학습하고 네일디자인에 적용한 다. 15주는 색채학습을 통합한 프로젝트 작업으로, 네 일디자인의 이미지를 표출하기 위한 색 이미지를 바 탕으로 한 배색, 톤, 색감정을 적용하여 네일디자인을 작업하고 완성된 작업물을 동료학습자와 공유하여 네일디자인의 다양한 해석을 공유한다.

    2) Operational design

    강의설계를 운영하기 위한 설계모델은 <Fig. 6>과 같다. Pre-class는 색채에 대한 지식획득을 바탕으로 지식체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사전단계(preparation)와 사전학습평가(assessment)를 반영하여 기초를 설계한 다. 자기학습을 위한 Pre-class를 위해 이론강의와 작 업시범을 영상으로 구성하고, 자기학습의 이해를 점검 하도록 관련 내용으로 퀴즈를 구성한다. 또한, In-class 에 실습경험이 즉각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주차의 이론자료와 실습 결과물을 정리할 워크시트를 제시하 여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자료에 몰입감을 강화한다. 학습자가 In-class에 대해 심리적 준비를 하도록 영상 마무리에 실습을 위한 재료에 대한 안내하고 Pre- class에 참고한 워크시트를 준비해 오도록 명시하여 학습기대를 강화한다.

    In-class는 PARTNER 교수 학습모형의 사전학습연 계(relevance), 협력학습(team activity), 핵심요약강의 (nub lecture), 평가(evaluation)를 반영하여 설계한다. 본 연구대상 수업은 이론+실습 형태의 교과로 In-class 는 실습이 학습자중심의 핵심수업으로 설계되며 사전 학습의 수업내용을 이행하기 위한 워크시트의 지참을 확인하고 이론수업 참여의 흔적과 실습을 위한 재료 준비 상황을 확인한다. 이후 협력학습(team activity) 으로 운영하며 학습동료와 교수자 상호작용으로 실습 경험을 지식체화의 시수를 충분하게 제공한다. In-class 의 종료시점에 핵심요약강의(nub lecture)를 통해 본 실습의 교육목표를 명시하여 이론과 실습의 연계성 을 강화하고, 학습자별 작업한 워크시트 작업물을 수 합 전시하여 작업결과물을 개별 평가(evaluation)한다. Post-class는 In-class의 워크시트 작업물을 동료학습 자와 공유하도록 하여 성찰하고, 전체 평가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작업결과물을 수정, 보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자기성찰에 적극성을 제공하 기 위해 Kim and Yu(2020)의 디자인교육 플립러닝 모형을 반영하여 8주와 15주의 프로젝트 작업을 연 계한다.

    3. Development

    강의설계와 운영설계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를 개 발하는 단계로 Pre-class와 In-class 흐름에 따라 주차 별 주제와 수업운영 활동별 전략을 위한 동영상 콘텐 츠와 퀴즈, 워크시트 도구(Fig. 6)를 개발한다.

    1) Video contents

    플립러닝에 있어서 동영상 콘텐츠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에 큰 영향을 주는 Pre-class의 핵심 매체로, 학습 자의 동기화와 집중력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동영상 콘텐츠는 이론강의와 시범작업 영상으로 구분 하였다. 주차별 제시된 콘텐츠 영상은 이론강의와 시 범작업을 연계하여 구성하였으며 파놉토(panopto) 동 영상 플랫폼을 활용하여 강의를 녹화한다. 시범작업 영상은 이론강의와 연계하여 구성․제작하기 위해 후 시녹음을 하였으며 이론강의 녹화 중 관련 시범작업 영상을 구성하여 일관된 흐름으로 영상을 제공한다.

    (1) Lecture

    이론강의를 위한 수업자료는 Power Point를 활용 하여 구성한다. 이론강의 시간은 전체 동영상 콘텐츠 는 1시수 분량 기준인 25분의 1/2 수준 이하로 12분 이내 분량을 준비한다. 집약적 지식전달을 위해 필요 한 교과내용을 중심으로 흥미롭고 명료하게 자료를 정리하고, 학생들의 집중도를 위해 1분당 1~2장을 준 비하여 주당 20장 이상의 속도감 높은 시각자료를 준 비한다. 이론강의 영상녹화 시 실시간 강의의 효과를 추가하고자 Wacom Intuos CTL-4100WL을 활용하여 추가적 시각적 설명(Fig. 7)을 제공한다.

    (2) Demonstration

    교수자가 시범작업을 영상으로 구성한다(Fig. 8). 시범작업 영상은 이론강의와 동일하게 전체 영상 콘 텐츠 1시수 분량 기준인 25분의 1/2 수준 이하, 12분 이내로 편집한다. Pre-class에서 제공된 시범영상은 In-class 실습중심의 협력학습의 시수를 확보하며 동 일한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시범 영상은 색채실 습과 네일디자인 색채적용 영상으로 구분되며 주차 세부계획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촬영은 색의 구현을 위하여 룩스패드 22H 조명을 설치하고 거치 대를 설치하여 Galaxy Note10 내장 카메라로 촬영환 경을 구성한다. 촬영된 시범영상은 Movavi Video Editor 15 Business 프로그램으로 편집하였으며 해상 도 1,280×720, 비율을 16:9로, MP4로 출력하여 모바 일 또는 컴퓨터 구현에 적절하도록 한다. 중요도에 따 라 영상속도는 조절하고 영상촬영 시 녹음은 배제하 였다.

    2) Quiz

    Pre-class의 자기학습을 통한 지식획득의 확인을 위한 장치로, 수업된 내용의 숙지를 스스로 판단하는 과정은 필요하다. PARTNER 모형의 사전학습평가 (assessment)를 위한 과정으로 Pre-class의 사전학습평 가는 토론, 과제, 퀴즈, 시험 등 다양하게 선택이 가능 하며, In-class 전에 교수자 확인이 가능해야 한다. 따 라서 해당 수업내용 중 반드시 숙지해야 할 교육목표 와 관련된 것을 연계하여 사전학습평가를 제시한다. 본 연구자는 지식 획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기점검 의 방법으로 퀴즈를 선택하였으며, 학습자가 퀴즈에 참여한 후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도록 구성한다. 퀴즈 의 형식은 객관식 단일선택과, 객관식 복수선택, 객관 식 ○Χ, 주관식 단답형과 복수형으로 구분하여 운영 한다. 퀴즈는 동영상 콘텐츠와 연계하여 주차별 1개의 동영상 콘텐츠와 1개의 퀴즈를 연계하여 개발한다.

    3) Worksheet

    Pre-class의 이론수강 시 학습자의 자기학습 집중도 를 강화할 수 있도록 수업도구를 제공한다. Pre-class 의 콘텐츠 영상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컴퓨터 혹은 모바일 등을 통해 학습이 가능하여, 교재 의 선정보다 학습내용을 언제든 확인할 수 있는 교수 자가 개발한 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주차별 주제에 맞 는 워크시트를 개발하였다. Pre-class의 콘텐츠 영상 학습 시 학습내용을 구성하고, In- class 실습 시 활용 양식을 구성하여(Fig. 9) In-class의 실습기대를 높이 고, In-class 협력학습 후 워크시트 전시를 통한 핵심 요약강의, 평가를 통해 Post-class의 매개체 역할을 한 다. 워크시트는 1주 동기화수업과 8, 15주의 프로젝트 작업을 제외하고 매주 제공되며 학교 LMS에 업로드 하여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4. Implementation

    수업실행 단계는 설계하고 개발한 수업모형을 프 로토타입(prototype)하는 단계이다.

    1) Reinforce motivation

    플립러닝 실행을 위해 학습자의 교과 수업목표의 동기화에 집중하였으며, 교과의 목표와 교과교육과 네일직무의 연계성을 강조하며 플립러닝 운영방식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LMS를 안내하고, Pre-class의 사전단계와 사전학습평가의 단계와 워크시트의 활용 방법을 안내한다. 1주차의 수업은 학습자의 동기화 강화를 위해 중요한 차시로, 대면과 비대면 온라인 자 료를 구성하여 준비한다. 학습자와 교수자의 공감 강 화를 위해 대면수업을 기본으로 운영하며 추가적으로 비대면 자료를 제작한다. 비대면 자료는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1시수당 25분씩 총 3시수 75분의 동영상 콘 텐츠를 제작하여 LMS에 업로드한다.

    2) Step ratio segmentation

    플립러닝은 학습자중심의 교육모델로, 수업실행을 위한 7단계의 세부학습 시간 배분이 중요하다. 따라 서 Pre-class, In-class, Post-class의 명확한 실행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지식체화가 일어나는 In-class의 수 업운영에 대한 시간배분을 고려한다(Fig. 10).

    In-class를 위한 이동시간과 학교 수업운영의 시스 템을 고려하여 1교시는 Pre-class로 운영하고 2, 3교시 의 In-class로 구성하며 Post-class 성찰을 통한 자기학 습의 동기를 부여한다. In-class의 사전학습연계, 협력 학습, 핵심요약강의, 평가의 세부운영 실행은 학습자 의 협력학습에서 보이는 상호실습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한다. 그중 플립러닝의 지식체화를 위해 중요한 학습단계인 협력학습의 수업시간 배분은 전체 학습시 간의 80% 전, 후로 배분하여, 학습자가 작업과 평가 를 위한 결과물 제작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1) Pre-class implementation

    본 연구의 실행을 위해 세부강의계획을 LMS에 공 개하고, 주차별 동영상 콘텐츠와 퀴즈, 워크시트를 In-class 전에 LMS에 업로드하여 학습자가 Pre-class 운영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Pre-class 로그 기록 점검과 퀴즈참여의 확인으로 학 습자들의 Pre-class가 잘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고 Inclass 수업활동을 진행한다. Pre-class 콘텐츠는 In-class 전, 후로 2주 동안 LMS 온라인 접속하고 제시된 기간 동안 제한 없이 학습이 가능하게 설정하여, Pre-class 자기학습과 함께 In-class, Post-class에도 Pre-class 콘 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2) In-class implementation

    학습체화의 시간의 확보를 위해 직접 학습 이외 활 동은 최대한 제안한다. 출석은 수업 전 명찰을 배부하 고 협력학습의 상호실습과 평가 시 학습자의 출석을 점검한다. In-class는 워크시트 확인을 통한 사전학습 연계를 안내로 시작되며 협력학습 시간을 명시하여 수준별 학습자 간의 실습시간을 평균화하였다. 이 과 정을 통해 학습자 간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 학습동료 및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학습체화를 경험 한다. Pre-class에 제공된 작업시범 영상을 음소거 상 태로 제시하여, 획득된 지식을 재생하여 실습경험에 반영하도록 한다. 마무리에 워크시트작업물을 전시하 고 핵심요약강의와 평가를 연계하여 진행한다. 학습 목표 제시와 이론과 실습의 연계성을 정리하고 학습 결과물에 대한 우수사례를 전시작업물로 제시하여 학 습자의 자기성찰을 제공한다. 개별 평가는 8주와 15 주 네일디자인 프로젝트 작업으로 진행됨을 안내하 여, 네일작업물의 수정보완의 시간을 제공하고 자기훈 련(self-traning)을 통해 사후성찰을 이끌어 낸다.

    5. Evaluation

    ADDIE 교수설계 모형에서 수업평가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반응을 살피고 형성평가의 과정으로 교육모 형의 평가지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ARTNER 모형에 따라 네일미용의 이론+실습 교과의 플립러닝 적용설계를 제시하고, 운영을 위해 구성한 수업모형 이 적절한지를 검토하였다. 네일미용 교과운영을 위한 수업설계의 적절성을 평가를 위해 전문가집단을 구성 하였다. 전문가집단은 플립러닝을 경험을 한 교수자 1 인, 네일미용 교수자 2인, 교육설계 전문가 1인으로 구성하여, 학습목표의 구성과 주차별 교육의 계획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립러닝 세부 운영계획에 실행 가 능성 확인을 위해, Pre-class의 사전단계(preparation) 와 사전학습평가(assessment)를 위한 LMS 활용 여부 를 대학 내 학사관계자를 통해 검토하였다.

    네일미용 플립러닝 학습모형은 기본 틀을 잘 구성 하였으며, 학사운영의 기준을 준수하였음을 확인하였 다. 대상 교과가 네일미용 전공의 1학년 공통선택 교 과로 구성됨에 있어서, 1주차의 동기부여와 플립러닝 의 운영방법 학습을 대면과 비대면으로 구성한 것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학습자별 집중도의 차 이를 보이는 이론수업을 Pre-class로 구성하여 동료학 습자의 비언어적 부정적인 환경요인을 제거하여 자기 학습을 강화하는 구성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교 수자의 작업시범을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합리적이 라는 평가를 받았다. 전통적 교육의 네일미용 작업시 범은 가시적 범위가 작아 다수의 학습자가 동시에 학 습할 수 없는 환경이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학습 자를 소그룹을 구분하여 반복적으로 작업시범이 이루 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 작용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플립러닝은 사전단계 에 시범작업 영상을 제공하여 협력학습에서 상호작용 을 높이게 된다. 이 부분이 네일미용 플립러닝의 모 델로서 높은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모 형설계 연구의 한계로 학생들의 학습만족과 학업성 취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또한, PARTNER 모형의 이론+실습수업은 이론수업과 실습 수업에 선택적으로 적용했던 7단계의 과정을 모두 반 영할 수 있으나 시수가 부족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교 과내용에 맞게 선택적으로 운영하도록 제시하였는데, 본 설계에는 모든 과정을 반영하여 학습자 수준에 따 른 단계별 분량의 조율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운영을 통한 학습자 평가를 분석하여 수업운영에 검토․반영하고자 한다.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네일미용의 플립러닝의 체제적 교수학 습모형을 현장수업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플 립러닝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었으나 예체능분야 는 연구가 미비하며 특히 네일미용에 적용하여 진행 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네일미용 전공자의 학습적 특성을 반영하여 ADDIE 수업모형 설계로 플 립러닝의 PARTNER 모형을 구성하여 네일미용 이론 +학습 플립러닝의 수업모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네 일미용 분야의 이론+실습교과에서 플립러닝 수업이 적용됨으로써 보여지는 긍정적 교육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Pre-class의 동영상 콘텐츠를 LMS에 제공 함으로써 학습자의 상황과 수준에 맞춰 이론의 지식 획득이 이루어지며, 둘째 워크시트를 통해 In-class의 실습내용을 파악하여 학습동기화를 강화할 수 있다. 셋째, Pre-class의 작업시범 영상을 통해 학습자에게 동등하고 정확한 기술을 전달할 수 있다. 넷째, Preclass 자기학습으로 In-class에서 충분한 협력학습의 시간을 제공하므로 동료 및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지식체화할 수 있다. 넷째, 핵심요약강의를 통해 실습 과 이론의 연계를 강화하여 네일실무에 이론적 지식 을 적용하며, 이론과 실기를 합일화할 수 있다. 다섯 째, 실습결과물의 평가를 통해 작업물의 개선을 확인 하고 성찰한다. 여섯째, 프로젝트 작업을 통해 스스로 문제해결력을 키우고 이로써, Post-class의 자기성찰 까지 기대된다.

    본 연구는 네일미용 교육에서 운영되었던 전통적 인 실습형태의 교수학습모형을 벗어나, 네일미용 교 과에 플립러닝을 적용하고자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전문가집단을 통해 평가받은 점에서 의의를 찾 을 수 있다. 이론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자 간 의 비언어적 영향을 분리하고 교수자가 제공하는 작 업시범을 모든 학생에게 균일하게 제공함으로써 학습 자가 개인성향 및 학습태도와 상관없이 동일한 수업 을 제공받으며 학교 LMS에 업로드된 영상콘텐츠를 통해 반복적으로 개별학습을 할 수 있는 공평한 환경 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목표 동기화로 자기학습을 통한 지식획득에 집중할 수 있으며, 교수 자는 강의와 작업시범 중심의 전통학습의 지식전달자 역할에서 협력학습을 통한 조력자로서 학습자에게 집 중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또한 프로젝트 작업으 로 색채실습 경험을 네일디자인에 적용하는 과제로 연계하여, Post-class의 자기성찰까지 도출하는 수업 모형 설계로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네일미용 플립러닝 모형의 설계연구로, 모형 운영에 따른 효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에 한계 가 있다. 이에 추가적 연계연구를 통해, 설계된 학습 모형의 운영 결과를 통해 학습성과 달성도와 수업운 영별 학습만족도를 분석하여 플립러닝 평가에 반영하 고 그 결과를 환류하고자 한다.

    Figure

    RJCC-30-3-444_F1.gif

    Flipped learning model

    RJCC-30-3-444_F2.gif

    ADDIE design model

    RJCC-30-3-444_F3.gif

    Theory & practice teaching module of PARTNER model

    RJCC-30-3-444_F4.gif

    Flipped learning class design for nail beauty education

    RJCC-30-3-444_F5.gif

    Desig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onjunction each class

    RJCC-30-3-444_F6.gif

    Operational design and class development of flip learning

    RJCC-30-3-444_F7.gif

    Notes on screen theory lecture

    RJCC-30-3-444_F8.gif

    Color experience and applied nail design demo video

    RJCC-30-3-444_F9.gif

    Class theory and practice forms worksheet

    RJCC-30-3-444_F10.gif

    Composition of the ratio of detailed class stages for class execution

    Table

    Reference

    1. Bang, K. R. (2017). A proposal for a fusion-type design education model in the arts & culture education: Centered on the design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ADDIE instruction design.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54), 133-142.
    2. Bergmann, J. ,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3. Byun, S. E. (2017). How the class of skin care and cosmetology with flipped learning affects class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4. Choi, J. , & Kim, E. (2015). Developing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flipped learning for institutes of technology and a case of operation of a subject.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2), 77-88.
    5. Choi, J. H. (2013). The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on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5), 833-841.
    6. Do, H. M. , & Kim, M. J. (2019). Analysis of the types of In-class learning activity of flipped classroom by the area of college major field.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4), 1061-1085.
    7. Flipped learning. (n.d.). In Wikipedia. Retrieved April 2, 2022,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97%AD%EC%A7%84%ED%96%89_%EC%88%98%EC%97%85
    8. Gweon, H. S. (2018). A study on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social welfar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20 (3), 39-72.
    9. Jang, S. W. , Chung, K. W. , & Choi, H. G. (2018). A review on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 in environmental geography. Korean Journal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udies, 37(1), 149-168.
    10. Jeon, H. J. (2020). The influence of the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learning presence of flipped learning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cosmetology 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2), 185-200.
    11. Kang, S. Y. (2013). The programs development for reinforcing creative research competence university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H. A. , & Yu, Y. S. (2020).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model in design education: Based on its effects in clas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1(1), 113-125.
    13. Kim, J. R. (2017). A stud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flip-learning-based hair beauty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8(4), 239-251.
    14. Lee, M. H. , & Ham, S. B. (201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convergence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2), 213-222.
    15. Nam, H. J. (2021).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liplearning classes and continuing participation of beauty-related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16. Park, J. S. (2020). Development and strategy of a undergraduate general dance education course applying ‘flipped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Dance, 78(3), 123-143.
    17. Park, S. Y. (2020). Utilizing YouTube in secondary art education flip learning: Focusing on art appreci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18. Rhee, H. J. , Lee, M. H. , Han, J. Y. , & Choi, Y. W. (2018).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3), 89-110.
    19. Shin, H. W. (2018).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hand sewing clas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4), 127-139.
    20. Suh, Y. J. , Nam, H. J. , & Park, E. J. (2021).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cademic attitude on the academic achivement and continuo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2(2), 225-236.
    21. Yoon, E. G.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using SNS in college English educatio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6(2), 49-71.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