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현재 국내 미용 산업은 단순 헤어 관리를 하는 미 용실과 피부미용을 이야기하던 범주에서 점차 세분화 되고, 차별화된 고유영역으로 헤어 전문인과 피부 미 용, 메이크업, 네일 미용 전문인의 개념으로 점차 확 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의 뷰티산업 관 련 시장은 2018년 약 15조 8,300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1% 성장하며, 미국과 중국, 일본, 브라질, 독일, 영국, 프랑스, 인도에 이은 9위의 시장 규모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Shin, 2019). 뷰티산업 부분에서 세 분화되는 형태로 발전된 네일 아트 및 페디큐어 산업 은 최근 5년 새 연평균 20%씩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데, 뷰티산업에서 국내 네일아트 및 페디큐어 시장은 14조 원으로 추정되는 전체 화장품 시장의 5% 수준 인 7,000억 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다(Jeon, 2017). 이 러한 추세에 힘입어 최근 네일 미용에 대한 사회적 관 심이 급격하게 커지면서 네일 전문 미용 샵이 확대되 고 있으며, 그 결과는 초급 네일 미용사 채용 수요 증 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수요에 따른 역량 있는 네일 미용사의 양성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 인 교육 훈련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전문 직업 인으로의 자질을 교육하기 위한 다각도의 조사와 연 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우리나라의 직업교육에 대한 직무능력의 기준은 국 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으로 규정되고 있다. NCS는 1999년 국무조정실 자격 제도 규제개혁 과제의 일환으로 “능력 중심 사회를 위한 여건 조성”의 핵심 사업이었으며,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 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것이다. NCS의 목표는 직 업훈련의 분야에서 실무중심의 교육․훈련과정으로서 산업현장의 직무에 맞는 교육․훈련을 제공할 수 있 도록 역량을 정의하고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NCS의 직무별 분류에서 이․미용 서비스 분야의 세 분류를 살펴보면 “헤어 미용”, “피부 미용”, “메이 크업”, “네일 미용”, “이용”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중 네일 미용에 대한 NCS의 직무 정의를 살펴보면, ‘네 일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바탕으로 건강하고 아름다 운 네일을 유지, 보호하기 위해 네일 미용 기구와 제 품을 활용하여 자연 네일 관리, 인조 네일 관리, 네일 아트 기법 등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일이다’ 로 정의되고 있다(NCS, n.d.a). 그러나 현재의 네일 미 용 교육의 경우, 헤어․피부․메이크업․이용 미용 전문 분야에 비해 후발주자이며 교육시스템의 체계가 완전하게 구축되지 못하여, 이․미용 서비스 분야의 NCS 기반에 의한 세 분류 중 하나인 “네일 미용”의 세 분류 기준으로 교육체계가 활용되고 있다. 또한 현 재 교육현장에서 사용 중인 교육체계의 기준인 NCS 기반 모델의 네일 미용 직무교육 프로그램은 네일 미 용에 관련된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있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산업현장 의 빠른 소비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및 지식 의 전달이 약하고, 전문 네일 미용사의 역량에 대한 수준과 현장에서의 필요한 능력요구에 대한 교육 프 로그램의 반영도 충분하지 못하다는 평가가 네일 미 용교육의 한계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NCS 기반의 학 습모형은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사이에서도 만족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Ryu, You, & Li, 2020).
이에 본 연구는 네일 미용 분야의 실무전문인으로 종사하는 네일 전문가의 심층면접을 통해, 실무 현장 에서 필요한 네일 미용사의 필요직무역량에 대한 필 수역량과 기초역량의 필요 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보리치 요구도 분석(Borich Needs Analysis)을 통해 직무능력에서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적용한 네일 미 용 역량기반 교육과정 및 교과목 프로파일을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네일 미용 교육과정의 문 제점을 해결하고, 네일 미용사 개개인에게 필요한 핵 심역량을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변화하는 직무환 경에 따른 개인의 직무수행역량 향상과 네일 미용사 의 직무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의 표준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네일 미용 교육기관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 네일 미용 교육 개선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Ⅱ. Literature Review
1.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nail beauty industry
네일 미용 산업은 미용과 관련된 분야인 헤어와 메 이크업, 피부 관리, 손과 발 관리 등을 포괄하는 분야 의 관리 서비스와 관련 용품을 판매하는 산업이다.
Kim(2015)은 미용이란 신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행위로, 신체를 대상으로 헤어․피부 관 리․메이크업․손, 발톱 관리․체형관리․이미지 메 이킹 등을 시행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Lee and Lee (2015)는 인간을 더욱 아름답게 하여 스스로의 가치 를 높이고 자긍심을 고양해 자기만의 고유함을 드러 나게 하는 것이라고, 미용의 다양한 정의를 들고 있 다. 특히 네일(nail)은 손톱(fingernail)과 발톱(toenail) 을 의미하며, 네일 미용은 매니큐어, 페디큐어, 인조 네일, 왁싱, 그리고 네일 아트 등을 포함한다.
네일 미용을 포함한 미용 관련 분야는 미를 향한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꾸 준히 성장하고 있는 미용서비스업은 문화, 예술적, 의 료, 보건과 같은 과학적 측면이 융합되어 새로운 수요 를 창출할 수 있는 부가가치 산업이며, 고용창출효과 가 큰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발표 내용을 보면 15세 이상 취 업자는 10년간 190만 명 증가할 것이나, 인구 증가 둔 화 등으로 증가폭은 점차 축소될 전망이다. 하지만 그 중 산업별 서비스업 중심의 취업자 증가(1,790,000명) 가 지속된다. 이․미용 및 서비스 종사자의 취업자 수를 보면 2011년 270명, 2016년 303명, 2021년 321 명, 2026년 337명으로, 평균 9%의 취업자 수의 증감 을 확인할 수 있었다(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위와 같이 국내 미용 서비스 산업이 질 적으로 향상됨으로써 전문적 미용인 양성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Analy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the nail practitioners
미용 교육은 인간의 외모를 과학적, 예술적, 기초 의학적, 보건학적, 사회학적 측면의 이론을 기초로 하 여 인간을 아름답게 창조할 수 있도록 지식, 인성기술 을 겸비한 전문기술인을 양성하는 교육이며, 단순한 기술 전달이 아니라 이론적 지식을 정립하고 체계적 인 기술을 습득하여 미용 분야의 전문 직업인을 양성 하는 것으로 교육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Han, 1997;Kim, 2010;Lee, 2013). 이와 같은 미용 교육에 대하 여 Kwon(2011)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과사전을 인 용하여, ‘현대는 직업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필요로 하 는 시대로서, 미용은 인간 과학과 예술에 바탕을 둔 하이테크 분야로 과학적 기초 위에 미용 기술의 다양 한 응용 분야를 습득하게 하여 미용 예술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미적 능력을 갖춘 전문기술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고 했다.
2014년 11월 16일 첫 시행된 미용사(네일) 국가기 술자격제도는, 현장의 직무와 산업 현장의 전문화, 세 분화되는 기술을 반영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적용하였다. 미용 산업의 미용사(일반), 미용 사(피부), 미용사(네일), 미용사(메이크업), 미용사(이 용) 중에서 국가기술자격시험으로 1997년부터 가장 먼저 시행되었던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시험제도 는 기존의 검정형 국가기술자격을 2016년 7월부터 NCS 기반 중심으로 자격제도를 개편하여 국가기술자 격으로 운영되고 있다(Q-net, n.d.). 이․미용의 NCS 분류체계는 헤어 미용, 피부 미용, 메이크업, 네일 미 용, 이용 등의 5개 세분류에서 좀 더 구체적이고 전문 적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중 NCS 네 일 미용은 최초 1차 2014년도에 개발되었고, 2016년 2차를 걸쳐 2017년 3차 개발․개선되어 2020년 현재 유지되고 있다(NCS, n.d.b;Seol, 2017). NCS 네일 미 용의 능력 단위별 단위요소를 살펴보면, 2017년도 변 경 전에는 42개의 능력단위들로 구성되었던 것이 2020 년 현재에는 38개로 축소 변경되어 운영되고 있다.
NCS에서는 네일 미용의 직무명이 ‘네일 미용’이 며, 직무 정의는 ‘네일 미용은 네일에 관한 이론과 기 술을 바탕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네일을 유지, 보호 하기 위해 네일 미용 기구와 제품을 활용하여 자연 네일 관리, 인조 네일 관리, 네일 아트 기법 등의 서 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일이다’라고 명기되어 있 다(NCS, n.d.a). 네일 미용분야의 직무특징은 고객의 손․손톱․발․발톱의 건강 등의 미용 관리와 관련 된 업무를 담당하고, 고객의 건강 상태와 미용 관리 부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손․손톱․발․발톱의 미용 관리에 대한 세부적 계획을 하는 것이다. NCS 기반의 직무능력은 크게 네일 미용의 영업관리로 5개 능력 단위, 디자인 자료 수집 등 기획 관련 2개 능력, 예술성 기술을 강조한 아트 단위 능력 7개, 미용 교육 이론에 관한 3개 능력 단위와 네일 미용의 기술적 능 력을 적용한 21개의 능력 단위로, 총 38개의 이론 및 기술 능력 단위를 제시하고 있다. NCS의 직무능력은 초보 네일 미용사의 실기를 위한 기술 중심의 교육에 치중된 형태로, 직무의 분석을 네일 관리 기술에 초점 이 맞추어 수립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네일 미용을 전문으로 교육하는 국내 교육기관의 현황을 살펴보면, 학과 차원의 네일 전공을 개설한 교 육기관은 대구의 전문대학 1곳이 있으며, 대부분은 일반 미용 전문학과 과목의 형태로 개설되어 있으며, 대부분 미용의 부가적인 전공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국 2․4년제의 미용학과 개설현황 및 빈도를 분석한 결과, 4년제는 전국적으로 미용학과가 분포되 었으며, 2년제는 서울․경기 26곳, 경상도 23곳, 전라 도 19곳, 충청도 10곳, 강원 3곳, 제주 2곳의 미용 대 학 개설로, 서울․경기권에 집중 개설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국의 2년제 미용학과 개설 수 가 4년제 대학 개설 수에 비해 2배에 달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미용 관련 교육과정이 2년제 전문대학 에서 더 많이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Research trends on nail beauty curriculum
Park(2016)은 2년제 대학 미용 관련 학과의 교육과 정 개설 현황 고찰과, 이를 근거한 NCS 기반 피부 미 용 전공 교과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을 시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NCS를 기반으로 한 교육 과정이 기존의 교육과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상호 보완의 관점으로 장점들을 통합하여 융합으로서의 조 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Oh(2015)는 NCS를 기 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반응평가 연구로, NCS 기반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향상, 전반적인 교육과정 만족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NCS 교육과정의 긍정적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으나, NCS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NCS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현장 실용성을 높 일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 되는 능력과 학교의 학습을 연계하여 학문의 현장실 용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하였다. Jang(2018)은 해양관 제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NCS는 실 무중심의 교육․훈련과정으로서 산업현장의 직무에 맞는 교육․훈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역량을 정의하 고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으나, NCS 직무능력 교육 과정은 현재 관제사의 역량수준에 대한 평가와 교육 필요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으로, 역량 기반으로 교육 필요도를 반영한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Ryu(2013)는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 학 미용학과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네일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전공교 육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네일 산업종사자들을 대상 으로부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Boo(2015) 는 네일 미용, 메이크업 산업체의 인력 요구의 분석을 위한 NCS 직무능력과 국가시술자격증 연구에서, 고 객과의 소통을 현장에서 가장 우선적인 직무능력이라 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위의 선행 연구들의 공통 적 목적은 학습자의 능동적이면서 합리적인 학습효과 를 성취하기 위한 각 분야별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이 최종적 목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네일 미용분 야에서는 실무 종사자의 의견을 수립하여, 현재 운영 되고 있는 네일 미용 교육과정을 분리하여 전문화․ 세분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데 어느 정도는 공통점을 찾을 수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네일 전공자들의 요 구에 맞게 수업환경을 개선하고, 교과를 편성하여 네 일 교육과정을 현장 요구에 맞는 교육을 함으로써, 재 학생의 만족도를 높일 뿐 아니라, 현장에서의 실용성 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네일 미용 교육과정의 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는 Choi(2017), Han(2012), Lee (2013), Ryu(2013), Yoo(2018) 등이 있으며, NCS 기 반 네일 미용 교육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 차이 (Ryu et al., 2020)를 알아본 경우도 있으나, 네일 미용 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연구한 논문은 미비한 실정 이라고 할 수 있다.
Ⅲ. Methods
1. Research question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네일 미용사의 직무 능력의 필 요역량을 기반으로, 현장에서의 교육 필요 요구를 반 영한 교육과정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NCS 과정의 네일 미용역량모델과 학습모듈을 참고하여, 초급 네일 미용사의 현장 업무 능력의 필요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네일미용사의 직무역량 분석을 통해 네 일 미용사의 핵심 역량모델을 도출한다.
-
연구문제 2. 초급 네일 미용사의 역량기반 교육과 정의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의 프로파 일을 개발한다.
2.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본 연구의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1단계: 핵심역량 도출을 위한 전문가 인터뷰 및 보리치 요구도 조사
연구문제 1의 네일 미용사의 핵심역량모델 도출을 위해, 기존 NCS 네일 미용 직무능력 표준에 관한 현 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분석과 수정 보완 의견을 조사하였다.
① 현장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한다.
조사의 방법과 절차는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NCS 기반의 핵심역량 도출 을 위한 조사 분석을 통해, 기존 NCS 직무능력의 수 정 보완을 진행하였다. 현장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는 2020년 5월 2일부터 5월 31일까지, 11명의 8년 이상 경력을 가진 현장 전문가의 NCS 네일 미용 직무 능력 38개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직무능력 단위의 체계화 를 위해 네일 미용 전문가를 대상으로 현 대학의 교육 과정 및 NCS 직무능력 표준에 대한 사전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심층 면접 참여 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면접 참가자들 은 성별 구분으로 남성 2명과 여성 9명으로, 연령대는 30대가 4명, 40대가 5명, 50대가 2명이었다. 현직의 여부는 법인대표 5명, 개인사업자 원장 5명, 고용된 실장 1명 등이다. 경력은 최소 8년 이상 최대 26년의 실무 경력을 갖고 있었으며, 평균 18년 이상이었다. 면 접 대상자 중 전문대 졸업 1명, 대학교 졸업 5명, 대학 원 졸업 이상 5명으로 진행되었다. 심층 면접의 주요 질문은 실무자의 채용과정, 채용 시 요구되는 업무 능 력, 기대 요건 등 초보 실무자에게 요구되는 업무 능 력에 대한 질의와 자유 응답을 녹취하여 진행하였다.
② 핵심역량에 대한 보리치 요구도 조사
NCS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한 역량모델을 기준으 로, 보리치 요구도 분석(Borich Needs Analysis)을 실 시하였다. 보리치 요구도 분석은 일반적으로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조직에 서 요구하는 역량요구 수준과 조직구성원의 현재 역 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기법이다(Borich, 1980). 이 기법은 교육요구도(education requirement: ER)에 대하여 각 수준의 단순한 차이만을 분석․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두 수준의 차이와 조직의 역량 요구수준 이 동시에 반영되어 조직의 역량 요구수준과 조직구 성원의 현재 역량 차이에 대한 상호관계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리치 요구도 분석은 현재 역량 수준과 조직의 역량 요구수준 차이에 의한 선별 적 교육의 필요성과 조직에 필요한 역량의 요구수준 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 해당 역량과 관련된 교육 과정의 필요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는 데 합당한 모델 로 사용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모델화한 것이 보리치 요구도 함수이며, <Table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Jung, 2018).
보리치 요구 함수식에서 대상자들이 생각하는 조 직의 역량요구 수준을 RL(requirement level)이라 하 고, 초급 네일 미용사의 현재 역량수준을 PL(present level)이라고 하고, 응답한 네일 미용 전문가가 생각하 는 두 수준 차이의 합을 Σ(RL–PL)로 표현한다. 이는 응답자가 판단한 두 수준의 차이를 의미한다. 보편적 으로 보리치 요구도 함수를 통해 분석된 교육요구도 (ER)는 분석과 파악의 편이성을 위해 교육요구도에 상대적 우선순위 R(Rank of education requirement)을 부여한다. 보리치 요구도 함수에서 조직의 역량 요구 수준에 대한 인식이 높고, 또는 조직구성원들의 현재 역량 수준에 대한 인식이 낮을수록 해당 역량에 대한 교육 필요성의 상대적 우선순위가 높아지게 되는 경 향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역량에 대한 보 리치 요구도 조사를 위하여, 네일 미용의 경력이 2년 이상인 실무자 154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5일~ 10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참여 한 실무자 154명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요구도 조사의 설문조사에 참여한 현장 실무자 154명의 기본정보는, 네일 미용 관련 경력이 최소 2년 이상자로서 남자 15명과 여성 139명이며, 연령별로는 20대가 34명, 30대는 45명, 40대는 58명, 50대는 17명 이며, 해당 설문지의 직위는 대표 30명, 원장 49명, 실 장 25명, 2년 이상의 네일 실무자는 50명이다. 경력은 최소 2년~5년 미만 응답 수는 31명, 5년~10년 미만 46명, 10년~20년 미만은 54명, 20년~30년 미만은 23 명이었다. 학력은 고졸 27명, 전문대졸은 43명, 대졸 은 48명, 대학원 이상의 학력자는 36명이었다.
2) 2단계: 초급 네일 미용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의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과정 개발
연구문제 2의 초급 네일 미용사의 역량기반 교육과 정의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조사된 핵심역 량의 요구도를 기준으로 초급 미용사의 핵심역량을 위한 체계도의 구성과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개발로 진행되었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Occupational competence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nail beauty curriculum
1) In-depth interview results of field experts on nail beauty job analysis
네일 미용사의 직무능력 분석을 위한 현장 실무자 심층인터뷰는, 연구자가 특정 목적에 따라 주관적으 로 표본을 추출하는 판단 표집의 방법을 활용하여, 네 일 미용 샵 실무자 및 네일 미용 관련 대상으로 실무 경력이 8년 이상인 11명을 최종 심층면담 대상자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일 미용 샵 실무자 및 네일 미용 관련 NCS 교육 경력 및 지도 경험이 많은 네일 미용 샵 실무자를 대 상으로 진행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신입직 원 채용 과정은 친구나 학교 소개, 인맥 중 구인광고 에 의한 채용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정확한 이력 서 정보를 통한 면접을 네일 샵 원장님들이 가장 선호 하였다. 이력서에서 제일 중요하게 확인하는 부분은 국가자격증 취득 및 실무 현장 경험이었다. 신입 직원 의 기술에 대한 기대치는 11명 현장 실무자 모두 없다 고 응답하였다. 이는 현재 진행되는 네일 미용 교육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부분으로, 대학 및 전문학교 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무자의 요구가 현실과 다르다 는 것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다.
신입 직원의 채용을 통한 현장 네일 미용 관리자의 기대 매출은, 1개월~3개월의 직원에게는 월 0~100만 원 정도, 4개월~6개월 직원에게는 월 100~200만 원, 7개월~9개월의 직원에게는 월 200~300만 원 정도의 매출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3개월 에 대한 매출 기대는 없으며, 이 시기에 업체 중심의 새로운 교육을 시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직원 신 규 채용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네일 기술, 네일 시술 능력과 인성, 언어 능력 소통으로 답변하였으며, 11명 의 심층면담자 모두 인성과 소통의 능력을 가장 중요 한 요소로 손꼽았다. 샵 운영 방침은 직원들끼리의 화 합과 소통, 고객과의 관계를 같이 할 수 있는 것 등 직업 기초능력들을 제시하였다. 이에 미용 대학 교육 과정에 꼭 배웠으면 하는 내용으로는 인성, 고객응대 방법, 친절한 목소리 톤 등, 사람과의 관계, 네일 미용 산업의 현황, 실무 종사자를 통한 취업 교육, 네일 실 무 교육 등이 있었다.
네일 샵 취업 시 가장 중요한 네일 직무에 대한 응 답은 기술 중심의 업무 능력으로, 네일 기초지식 이론 을 바탕으로 쉐입, 표면 정리, 니퍼 케어, 칼라바르기 등 기본 손․발 관리이며, 추후 경력자가 되면서 네일 아트 디자인을 기대하였다. 숙련도의 향상은 반복적 인 네일 시술로 네일 시술 시간 단축과 상대방의 고객 만족으로 이어진다는 응답이 있었다. 기타 손․발 교 정 및 특수 기기를 사용한 기술을 초보자에게 요구하 지 않으나, 네일 샵에서 시술되는 속눈썹, 왁싱 등 고 객 수가 증가하는 부분으로 오히려 네일 미용 초보자 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거라 조언을 하였다.
이와 같은 현장 실무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기존 NCS 직무능력 38개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의견을 반 영하여, NCS 표준 직무 능력 38개를 네일 미용 현장 실무자의 의견을 반영한 21개의 직무능력으로 축약하 였으며, 인터뷰 결과에 의해 현재 실무에서 필요성이 강조된 ‘속눈썹’ 및 ‘왁싱’에 관한 2개의 직무를 추가 하여, 23개의 핵심역량으로 수정, 보완된 네일 미용사 의 NCS 기반의 직무능력 역량을 정리하였다.
2) An analysis of Borich needs for nail beauty job competence
네일 미용 실무자 11인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NCS 직무영역의 핵심역량의 모델을 확인하였고, 현장에서 필요성이 강조되어 수정 보완된 NCS 기반의 네일 미 용사의 핵심역량모델에 대하여 전문 네일 미용사 154 명을 대상으로 보리치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여 각 부 분별 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네일 미용사의 직무에 관련된 핵심역량에 대한 보리치 요구도 분석 결과는 NCS의 역량 기반으로 수정 보완된 직무역량 23개를 직무 군별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조직 에서 요구되는 역량 수준과 현재 교육의 수준의 차이 를 분석하여 교육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는 <Table 2>와 같다.
네일 미용 실무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조직에서 요 구되는 역량과 현재의 역량 수준의 기대 차이가 많이 나타나는 부분은 네일 홍보 마케팅 그룹과 고객서비 스의 부분으로 요구도(ER)의 지수가 8.89로 조직의 요구와 현실 간의 차이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필요 요구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았다. 반면에 네일 아 트와 같은 기술 중심의 역량은 요구도에서 요구도의 중위값인 12순위보다 하위 수준으로, 현재 교육의 수 준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설 문조사 결과의 보리치 요구도 1위부터 10위의 역량을 살펴보면, 네일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직무 영역의 ‘네 일 미용 고객서비스’가 1순위, ‘네일 홍보 마케팅’이 4순위로 나타났다. 네일 기초관리 영역에서의 요구도 순위는 ‘네일 기본관리’가 2순위, ‘네일 화장물 적용 전 처리’ 6순위, ‘네일 위생 서비스’가 7순위, ‘네일 보 수’가 9순위로, 가장 많은 교육 요구가 있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특수 네일 관리 영역은 ‘네일 드릴’이 3순 위, ‘속눈썹’이 8순위로 실무전문가 심층 인터뷰에서 요구되어 적용한 직무 능력이 모두 10순위 안으로 나 타나, 현장에서의 업무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기존의 업무 영역에서 중요도가 높게 판단되어 NCS 역량이나 기존 학교의 교육과정에 많이 포함되 어 있는 네일 아트 부분은 보리치 요구도 결과, 10위 안에 ‘네일 폴리쉬 아트’ 한 역량만 포함되어, 현장 실 무자의 교육 요구에서는 네일 아트 부분의 중요도가 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기존 교육이 네일 아트 중심의 디자인이나 컬러링 등 아트적 요소보다는 고 객 관리나 특수 기술 부분의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음 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실무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확인하였던 고객 서비스 업무와 특수 기술업무의 중요도를 확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다만 요구도의 순위가 낮은 역량들의 경우에도 불필 요한 역량으로 판단하기보다는 현재 교육과정에서 충 분히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현재 수준과 필요 수준의 차이를 보는 부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 2를 위한 요구도의 수준에 따른 적절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네일 미용의 역량분류는 교육과정 에 반영하기 위해 교육과정 체계도 수립 시 기초교육 과정과 심화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초급 네일 미용 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기 초교육과정은 기초적 역량을 교육하는 과정으로 정하 고, 심화교육과정은 기초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심화 된 직무를 달성할 수 있는 필수역량을 교육하는 과정 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기초역량과 필수역량 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네일 미용 관련 키 워드 중심으로 세부 역량들을 모듈화한 후, 다시 주제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룹핑하여 교육과정 및 교과목 프로파일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2. Development of a curriculum based on nail beauty competence
1) Ability classification of nail beauty
NCS의 네일 미용 직무능력 23개 역량의 보리치 요 구도 분석 결과, 요구도의 중위값인 12순위를 기준으 로 요구역량과 기초역량으로 구분하여 교육과정에 적 용하였다. 중위값의 순위는 요구도의 평균인 4.15 보 다 낮은 요구도를 기록하고 있다. 요구역량은 교육요 구도가 중위값 이상인 역량으로서 교육기간 동안 심 화교육 등을 통해 많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초역량은 교육요구 도가 중위값 이하인 역량으로서 현재 수준에서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적인 교육역량으로 본 연 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교육으로 간주하여,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영역별 역량 구분에 대하 여 현장 전문가의 필요요구도가 높은 필요 역량과 현 재 수준에서 필요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초 역 량으로 구분하여 정리한 표는 다음 <Table 3>과 같다.
NCS 기반의 네일 미용사의 직무역량을 영역과 직 무의 요구도에 따라 분류하면 4개의 직무영역에 23개 세부 하위역량으로, 직무능력의 교육요구도의 역량 구 분을 위한 능력별 구분으로 필수역량과 기초역량으로 구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네일 기초 관리 영역은 11개의 세부 하위 역량으로 ‘네일 미용 위생 서비스’ 외 4개 필수 역량과 ‘네일 화장물 제거’ 외 5개로 구분하였다. 두 번째 네일 아트 영역은, 6개 의 하위 역량으로 ‘네일 폴리시 아트’를 제외하고는 모두 기초 역량으로 분류하였다. 제 3의 영역으로 네 일 특수관리는, 4개의 하위 역량으로 ‘네일 미용 특수 관리’를 제외하고 모두 필수 역량으로 분류되었다. 특 히 현장 실무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새로 보완된 ‘왁싱’과 ‘속눈썹’은 필수 역량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4번째 네일 소통 마케팅 영역의 두 개 하위역량은 모 두 필수역량으로 구분되었다.
이와 같은 직무역량들은 필요 요소에 따라 단계별 교육과정에 편입되어, 상호 보완적인 필수역량과 기 초역량이 혼용된 상태로 가장 효율성을 갖출 수 있도 록 교육과정의 프로파일로 정리될 수 있다.
2) Development of a curriculum map and educational contents
네일 미용사의 NCS 직무역량과 현장 전문가의 심 층인터뷰를 바탕으로 선정된 필수요소와 기초 요소의 보리치 요구도 분석 결과를 반영한, 세부적인 역량기 반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프로파일을 개발하였다. 교 육과정의 개발 방향은 직무영역에 따라 세부역량을, 하나의 역량을 하나의 과정으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역량을 두 개의 과정으로 구성하는 방법, 두 개의 역 량을 하나의 과정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 서는 위의 세 가지 방법을 혼용하여 역량을 모듈화하 고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초교육과정은 네일 미용사의 기초역량을 반영하 여 네일 미용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내용을 교육하는 과정이며, 심화교육과정은 필수역량을 반영 하여 네일 미용업무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심화 교육이 필요한 과정을 말한다. 또한 복합적인 역량의 다양한 활용에 대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통해 네일 미용사의 핵심역 량 및 초급 네일 미용사 교육과정 체계도를 최종 개발 하였다. 네일 미용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은 핵 심역량, 하위역량, 세부역량을 혼용 대입하였다. 예를 들어, 핵심역량인 네일 기본 관리에서 자연 네일 보강 과 팁 위드 응용 하위역량을 혼합, 네일랩 화장품 보 강하기, 아크릴 화장물 보강하기, 젤 화장물 보강하 기, 팁 위드 파우더 적용하기, 팁 위드 랩 적용하기, 팁 위드 아크릴 적용하기, 팁 위드 젤을 혼합 적용하 여 팁 위드 네일 실무, 스페셜 네일 케어, 리페어 테크 닉의 새로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역량기 반 교육과정은 네일 미용사의 역량수준의 변화 및 새 롭게 도입되는 제도와 같은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유 연하게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으며, 신규 교육과정 추가에도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네일 미용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 예시는 <Fig. 1>과 같은 과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네일 미용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각 영역별 필 요역량과 요구도를 감안하여 상호 필요 요소를 반영 한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앞서 추출된 역 량모델의 세부역량을 학습모듈의 형태로 재구성하고, 역량에 따른 교과목의 도출은 능력 단위와 교과목에 대하여 1:1 매칭을 기본으로 하되, 필요역량을 추가 편성하였다. 교육요구도에 상대적 우선순위대로 나열 하였고, 네일 소통 마케팅 핵심역량은 교과목 도출에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서, 교과목을 서비스 커뮤니케 이션, 글로벌 매너와 에티켓 두 가지 교과목을 도출하 였다. 그 외 네일 기본관리 핵심역량의 네일 기초케 어, 젤 살롱 네일, 공중 보건학, 피부과학, 리페어 테크 닉, 팁 위드 네일 실무, 아크릴릭 실무, 스페셜 네일 케어, 젤리쉬 디자인으로 핵심역량의 45%를 차지하 였으며, 네일아트의 핵심역량으로는 네일 샵 운영 실 무, 네일 색채학, 네일 일러스트, 네일 입체 예술로 교 과목을 구성, 네일 특수 관리 핵심역량으로 드릴 테크 닉, 특수 관리 왁싱, 속눈썹 교육과정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교과목은 <Table 4>로 정리하였다.
개발된 20개의 교과목을 활용하여 기술 역량 강화 및 실무 중심 교육이 적합한 이론적 지식을 정립하고, 체계적인 기술을 습득하여 미용 분야의 실무 중심의 네일 미용 역량 전문 직업인을 양성할 수 있도록, 2년 제 전문대학의 강의시수, 실습시수 등을 고려하여 졸 업 학점 80학점의 이론과 실습의 구성 비율을 실습 중심으로 조정하여, 이론은 35.7%, 실습은 64.3%의 실기능력 중심의 역량기반 네일 미용 교육과정표를 <Table 5>와 같이 개발하였다.
본 교육과정은 선정된 교과목의 중요도 및 난이도 에 따라 학년별, 학기별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또 한 교과목의 운영은 역량의 특성에 따라 이론과 실기 를 시간적으로 배분하였다. 학기별로 핵심역량의 반 영 비율을 살펴보면 1학년 1학기와 2학기에서는 네일 기본관리 관련 교과목이 3개(60%), 네일 소통 마케팅 교과목이 1개(20%), 네일아트 교과목 1개(20%)로 구 성되었다. 2학년 1학기에서는 네일 기본관리 관련 교 과목이 3개(60%), 네일 특수관리 관련 교과목이 1개 (20%), 네일아트 교과목 1개(20%)로 구성되었다. 2학 년 2학기에서는 네일 미용사의 현장 운영 능력을 우 선하는 실무적 특성을 나타내는 교과목이 우선적으로 배치되었다.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기존 네일 미용사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 한 교육과정의 개발 연구로, 기존 NCS 기반 직무역량 을 분석하고, 네일 미용 전문가의 심층면접을 통한 네 일 미용 직무의 사전 역량모델을 확인하고, 보리치 요 구도 분석을 통해 네일 미용의 현실적인 직무역량의 현장 수요에 기반한 역량모델을 도출․반영하여, 네 일 미용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일 미용의 실무현장 수요 조사를 통해서 현재 국내 미용 산업은 단순 헤어샵과 피부미용을 이 야기하던 범주에서 점차 세분화되고, 차별화된 고유 영역으로 헤어 전문인과 피부 미용, 메이크업, 네일 미용 전문인의 개념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 세이다. 최근 5년 새 네일아트․페디큐어 산업의 빠 른 성장에 힘입어 네일 미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 격하게 커지면서, 시장수요에 따른 역량 있는 네일 미 용사의 양성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훈련 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전문 직업인으로의 자질을 위한 다각도의 능력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네일 샵 원장 및 네일 미용 전문가 등 현장 전문가의 네일 미용의 직무능력의 요구는 직원 및 고 객 상호 간의 화합과 소통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네 일 미용 관련 교육기관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하 는 교육과정에 인성, 고객응대 방법, 친절한 목소리 톤 등과 같이, 실기 능력 이외의 마케팅적 요소가 포 함되는 대인관계 소통 능력의 교육과정 개발이 요구 된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이는 선행연구를 통해 살 펴본 Boo(2015)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네일 미 용사의 경우 고객을 상대하는 업무의 중요도가 높다 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네일 샵 취업 시 반영되는 가장 중요한 직무 능력은 네일 기초 지식 이론과 쉐입, 표면정리, 니퍼 케어, 칼라바르기 등 기초케어에 관련된 사항이었으 며, 그 다음으로 네일 아트 디자인이었고, 특별한 기 술에 관련된 역량은 초보 네일 미용사들에게 그다지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네일 샵 경영자들 은 초급 네일 미용사들에게는 네일 시술 시간 단축과 고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단순 서비스 등을 가장 중요 한 역량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재 네일 미용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 기 위해 국가능력표준으로 구성되어 있는 NCS 기반 네일 미용의 능력단위 요소들을 현장 전문가의 인터 뷰를 통해 검증한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NCS 기 반의 네일 미용 학습 필요 수준으로 직무능력의 필요 능력 단위를 삭제 또는 개편을 통하여 23개로 축소 개 편할 필요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NCS 기 반의 학습에서의 문제점 및 보완의 필요성을 역설한 Oh(2015), Park(2016)의 연구에서와 동일한 관점으 로, 본 연구에서도 현장 실무자의 의견이 반영된 NCS 의 직무능력 단위를 수정 보완하였다.
다섯째, NCS 기반으로 한 사전역량 모델을 기반으 로 한 보리치 요구도 조사를 통해, 역량 모델의 요구 도 분석을 통해 구축한 직무능력 단위 23개를 바탕으 로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체계를 수립하 였으며, 그에 따른 20개의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도출 된 교과목을 바탕으로 직무역량의 교육요구도 평균을 기준으로 필수역량과 기초역량으로 구분하였고, 기초 역량을 교육하는 기초교육과정과 필수역량을 교육하 는 심화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초급 네일 미용사의 교육과정 체계도와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네일 미용 교육과 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네일 미용사 개개인에게 필 요한 핵심역량을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변화하는 직무환경에 따른 개인의 직무수행역량 향상과 네일 미용사의 직무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의 표준이 될 수 있다. 또한 네일 미용 교육 개선과 바람직한 네 일 미용 교육과정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연 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