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3 pp.331-347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3.331

Fashion design applying to features of the Chinese minorities Naxi costume and seven star sheepskin cape

Sha Wang, Huan Liu*, Younhee Lee**
Maste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h. D. Candidate,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April 5, 2022 June 2, 2022 June 4,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environme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Naxi costumes of Chinese ethnic minor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including religious cultures and totem worship—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ashion design toward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the collection of materials and investigatation into the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Naxi costumes; in particular, the “seven-star” sheepskin cape, one of the Naxi people’s important ethnic costumes as demonstrated by the women’s clothing that has been designed in reflection of this traditional costu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xi costumes are found to have overall coherence and distinct locality when retained in the process of modernizing the traditional costume. The theme of this work is titled “By the Light of the Moon and the Stars,” which i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by the use of grey and dark red against a background of black, a color preferred by the Naxi people. Second, the Naxi people’s seven-star sheepskin cape is a symbol of women’s clothing with its characteristic patterns, shapes, and colors, and it is subject to creative modernization while retaining its unique ethnic characteristics. Third, the work expresses the contemporary stylishness of the costume while maintaining the customary decorative accessories from the Naxi people’s traditional culture.



중국 소수민족 나시(纳西)족 복식과 치싱양피 케이프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왕 사, 유 환*, 이 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교 휴먼테크융합전공 석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교 휴먼테크융합전공 박사수료
**한양대학교 의류학교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민족 복식은 서로 다른 역사와 문화의 발전과 자취 를 담은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중국의 소수민족 복식 은 각 민족의 전통문화와 미적 예술의 구체적인 표현 으로, 각 민족만의 문화와 지혜, 창의적 특성을 담고 있다. 중국 소수민족 나시(納西, Naxi)족은 긴 역사를 가진 민족 중 하나이다(Ma, 2013). 주변의 지리환경 과 자연기후의 영향으로 티베트(藏族), 이족(彝族), 백 족(白族), 한족(汉族) 등 민족과의 오랜 교류, 및 동파 교에 대한 믿음으로 나시족의 복식은 스타일, 색상, 문양 등의 면에서 민족적 특색과 예술양식을 형성했 으며, 지역에 따라 복식예술의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 (Fan, 2009). 다채롭고 독보적인 나시족의 복식 문화 는 사회 역사, 정치 경제, 문화생활과 민속 정취를 반 영하였으며 나시족 선민의 심미적 정취와 창조 에너 지를 구현하고 있다.

    나시족 복식의 치싱양피(七星羊皮, seven-star sheepskin) 케이프는 복식의 큰 특성으로, ‘별을 걸치고 달 을 지고 다닌다(披星戴月)’는 나시족의 인문생태환경 특유의 정신적 풍모를 품고 있으며(Chen, 2005), 중 요한 문화현상으로서 생존과 발전 과정에서 생활과 미적 욕구를 반영한 창조적 정신문화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지리적 환경, 기후 조건, 정치적 신앙, 도덕 윤리에 적응하며 끊임없이 개선되고 변화해온 나시 족의 치싱양피 케이프는, 민족 특유의 이미지 기호로 민족의식의 깊은 철학과 미학, 종교, 관습 등 나시족 의 심리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Ren & Shen, 2019). 이와 같은 소수민족의 전통적 문화 보존의 필요성과 함께 전통복식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민족 복식 에 대한 연구와 전통복식을 활용한 현대적 디자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나시족 복식의 역사적, 지 리적 환경, 종교문화 등의 배경과 복식의 특성을 조 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소수민족 전통 복식의 현 대화를 위한 패션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나시족 복식의 특성, 민족 문양 등을 현대적 패션 디 자인에 접목하여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패션디 자인을 전개하고 시대 변화에 순응하는 민족 복식의 전승과 발전을 위한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중국의 소수민족 나시족의 역사, 문화, 나시족의 복식 특성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고 나시족 복식의 디자인 특성을 조사한다. 둘째, 나시족 복식 가장 민족적 특색을 지닌 치싱양피 케이프의 특성을 조사한다. 셋째, 이러한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나시족 복식과 치싱양피 케이프의 특성을 활용한 현대적 패 션디자인을 전개한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중국 소 수민족 나시족의 문화와 복식문화에 대하여 중국의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조사 수집한다. 자 료조사를 위하여 웹사이트는 바이두(www.baidu.com), 구글(www.google.com), 중국민족복식박물관(www. biftmuseum.com) 등을 활용한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 으로 중국소수민족 나시족 복식의 디자인 특성을 정 리하고, 다지인을 전개하였다.

    Ⅱ. Chinese Minority Naxi Costume

    1. History and culture of the Naxi minority

    나시족은 중국 56개 민족 중, 윈남(云南) 특유 민족 중의 하나로 대부분 북서쪽의 리장(丽江)시에 거주하 며, 윈남 기타 현시와 쓰촨(四川) 염원(盐源), 염변(盐 边), 목리(木里), 티베트(西藏) 망캉현(芒康县)에도 소 수가 분포되어 있다. 윈난성 리장시에 거주하는 나시 족은 ‘나시(納西)’라고 칭하며, 윈난성 닝랑현(宁蒗 县) 융닝(永宁), 취이(翠依), 쓰촨성 염원현, 무리현(木 里县)의 야룽강(雅砻江) 유역과 루구호(泸沽湖)반에 거주하는 나시인들은 ‘나(纳)’ 또는 ‘나르(纳日)’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나시족은 거주하는 지역에 따라 나시, 나일, 나한의 몇 가지 호칭이 있으나, 나시족이 전체 인구의 6분의 5를 차지하므로 국무원의 비준을 받아 1954년 정식 정족을 나시(納西 Naxi)족이라 하 였다(Miao, 2000). ‘나(纳)’는 ‘흑(黑)’을 의미하며 ‘흑 (黑)’은 ‘크다(大)’의 의미를 가진다. 민족 언어 중 ‘흑 (黑)’은 그 의미가 확대되어 ‘크다(大)’가 되었고, ‘큰 강’을 ‘흑수(黑水)’라 불렀으며, 이에 ‘나시(納西)’는 ‘큰 민족’이라는 의미를 가진다(Jeong, 2001).

    나시족은 고대에 중국 서북 지역의 하황(河湟) 일 대에 거주하였던 고대 강인(羌人, Qiang people)의 일 파로서, 이족과 함께 남하하여 윈난성에 정착한 오만 (乌蛮) 집단의 후예라고 보인다. 진한(秦汉) 시대에 나시족의 직계조상 마사인(摩挲人, Mosuo people)이 대도하(大渡河)에서 금사강 상류에 이르는 광대한 지 역에서 활약하였으며, 당나라를 거쳐 남조국(南诏国) 이 육조국(六诏国)을 병합하기 전까지 중요한 군사세 력을 이루었다. 이후 당(唐), 토번(吐藩) 및 남조(南诏) 의 3대 정치군사세력 간에 다툼을 하면서 분쟁이 지 속되었다. 이후 송(宋) 왕조가 중원을 장악한 후 남조 는 대리(大理)의 단씨(段氏) 왕조로 대체되었고, 아울 러 시장 지역의 토번 왕조가 붕괴된 상황에서 송 왕 조도 서남부 지역에 대한 힘이 미치지 못하자 나시족 의 주요 세력이 다시 남하하여 리장을 기반으로 거주 하게 되었으며, 리장 지역은 나시족의 정치, 경제, 문 화의 중심이 되었다(Guo & He, 1999).

    나시족은 토착 종교로 동파교(东巴教)와 장전불교, 한전불교, 도교 등 다양한 종교를 숭배하며, 동파교가 가장 많다. 동파교는 1,000천여 년의 민족발전 과정 에서 한족, 티베트 및 백족(白族) 등의 문화를 광범위 하게 흡수하여 나시 문화를 만들어 냈으며, 나시족의 사회생활, 민족정신, 문화풍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다원적인 종교 신앙의 기초이다. ‘동파(东巴)’는 티베 트어(藏语)에서 유래하였으며, ‘큰 지혜’의 의미를 가 진다. 상형문자 동파문(东巴文, Tomba script)으로 기 록된 동파교 경전 ‘동파경’(Fig. 1)은 나시족 고대사 회의 백과전서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사회, 종교, 민 속, 철학, 천문, 의약, 문학 및 예술 등 거의 모든 분야 를 포괄한다(Bai, Sun, & Bai, 2014).

    산, 물, 바람, 불 등의 자연현상을 숭배하는 다신교 에서 동파는 나시족의 제사장을 의미하며, ‘지혜로운 자’라는 뜻으로 나시족 최고 지식인으로 동파문화의 주요 전승자였다. 이와 같이 동파교의 기원은 자연에 대한 숭배, 후경 토템 숭배, 조상 숭배, 신령 숭배를 거쳐 현존하는 유일한 다신 숭배 종교이다. 동파교의 사제인 동파가 추는 동파무(东巴舞)(Fig. 2)는 머리에 쓰고 있는 오불관(五幅冠)과 양손에 들고 휘두르는 방 울과 칼에서 주술적 이미지가 짙게 나타난다. 나시족 의 동파문에는 동파무의 춤사위와 일치하는 회화문자 들이 쉽게 발견된다(Shi, 2010).

    2. Characteristics of Naxi minority’s costume

    1)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xi minority’s costume

    나시족은 여러 지역에서 거주하며 지역적인 차단 으로 교류가 제한되었으며, 이에 다양한 외래문화의 영향을 받아 복식도 지역별로 크게 세 가지의 유형을 형성했다. 언어로 나시어는 동, 서 두 방언 구역으로 나뉘는데, ‘나시’(纳西, Naxi), ‘나한’(纳罕, Nahan) 지 역은 서부 방언 구역, ‘나르’(纳日, Nari) 지역은 동부 방언 구역에 속한다. ‘나시’ 지역과 ‘나한’ 지역은 복 식 착용에 큰 차이가 있어 단순히 방언으로 구분할 수 없고 지역별로 구분한다(Miao, 2000).

    (1) Characteristics of Naxi Regional costume

    나시 지역은 인구가 많고 분포가 비교적 넓다. 복식 문화에도 지역적인 차이가 있어 다옌진(大研镇, Dayan town), 타성(塔城, Tacheng), 바오산(宝山, Baoshan), 타이안(太安, Taian) 등으로 세분화한다.

    다옌진(大研镇)향은 리장댐의 중부에 위치하며 한 족, 회족(回族), 티베트 백족(白族), 이족(彝族), 리수 족(傈僳族), 푸미(普米)의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대 남방 실크로드 ‘차마고도(茶马古道)’의 중계역 이다. 1986년 중국 국무원은 리장고성을 ‘국가급 역 사문화고성’으로, 1997년에는 유네스코 리장고성으 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다옌진의 나시족 여 성들은 흰색 차이나 칼라의 면 셔츠를 입고, 그 위의 상의는 넓은 소매의 긴 저고리를 입는데, 파랑, 회색, 남색 등의 배색을 한다. 저고리 위에 자주, 남색 등의 코듀로이 소재의 상의를 착용한다. 하의는 검정 넓은 팬츠를 착용하고 겹쳐서 검정, 파랑, 백색의 주름치마 를 착용하는데 방한 기능뿐만 아니라 커버 기능을 한 다. 흑염소 소재의 치싱양피 케이프를 착용한다(Li, 2019; Fig. 3).

    타성(塔城)향은 리장 서북부에 위치하며 산간지역 과 계곡의 지형으로 산간지역이 다수를 차지한다. 타 성 나시족 여성복식은 검정색의 패딩형 겉옷과 코듀 로이 상의와 자주색의 상의에 실크 벨트를 착용하고, 하의는 검정색 주름치마 또는 흰색 삼베 주름치마를 착용하며, 치맛자락에는 빨간색, 검정색의 무늬 장식 이 있다. 치싱양피 케이프는 리장 나시족과 동일하다. 추울 때는 간단한 가공으로 제작된 흰색 양 케이프 한 벌을 걸치고, 팔다리와 꼬리가 남아 끈을 앞다리 에 고정한다(Li, 2019; Fig. 4).

    바오산(宝山)향은 리장현 동북부에 위치한다. 바오 산 나시족의 전통복식은 머리장식 외에 기본적으로 리장 일대의 나시족과 동일하다. 부녀자들은 큰 저고 리를 입고 밖에는 조끼형 상의를 입고, 허리에는 주 름을 두르고, 등에는 치싱양피 케이프를 걸친다(Fig. 5). 기혼여성은 검은 두건을 쓰고, 오색 실크로 수놓 은 얇은 레이스를 겹쳐 쓴다(Li, 2003).

    타이안(太安)향은 리장 현성 남서부에 위치한 산간 지대로 기후가 건조하고 춥다. 타이안의 나시족 복식 은 기본적으로 다옌진 향과 같지만 선명한 색상을 선 호한다. 고한산간 지대에 위치해 있어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남녀 모두 일반적인 양피 케이프보다 크고 티 베트인의 수공예 모직물 붉은 푸칸젠(氆氇)이 있는 것을 즐겨 입는다. 양피 케이프에는 치싱 원반은 없 고, 끈이 짧으며 앞부분의 띠가 없다(Wang, 1998; Fig. 6).

    (2) Characteristics of Nahan regional costume

    삼댐(三坝, Sanba) 지역의 나시족은 자칭 ‘나한’이 며, 삼댐은 나시족의 동파교와 동파문자의 발원지이 다. 삼댐형은 동그란 은패, 케이프칼라의 장삼(长衫), 주름스커트, 흰색양피(白山羊皮) 케이프를 착용한다 (Fig. 7). 삼댐 지역의 여성 전통복식으로 상의는 흰 삼베나 검은 융포로 칼라를 만들고 좌우 트임이 있는 종아리까지 내려오는 긴 셔츠를 착용하는데 가장자 리를 따라 빨강, 초록, 노란색이 배색되어 있다. 하의 는 흰색 주름 스커트를 착용하고 스커트 허리에는 검 고 붉은 가느다란 레이스가 있다. 여자들은 수십 개의 은반을 연결하여 만든 머리 장식을 한다(Guo, 2013).

    (3) Characteristics of Nari regional costume

    윈난성 융닝(永宁, Yongning)향은 ‘나르(纳日)’ 사 람들의 집거지로 대표 지역이다. 융닝형 복식은 단삼 (短衫)에 주름 스커트를 착용하고 머리 장식을 한다. 나르 사람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네크라인과 옷의 끝 자락에 금테두리나 은테두리의 장식을 한다. 젊은 여 성은 안쪽에 흰색 셔츠를 입고 겉에는 선명한 빨간색 상의를 착용한다. 하의는 빨간색의 레이스의 흰색 플 리츠 롱스커트에 허리에는 넓이의 칼라 허리띠를 두 르고, 머리는 검은 털실로 엮으며, 구슬로 장식된 원 형 머리 장식을 한다(Fig. 8). 노년 여성들은 자홍색, 검정색 융포 또는 면모 천으로 꿰매어 만든 은색의 가장자리가 박힌 금테 의복을 입고 청색에 붉은 고운 레이스가 있는 긴 주름 스커트에 빨간색 허리띠를 두 른다(Fig. 9).

    2) Color

    나시족 복식의 색채는 거주하는 지역․기후 환경 이 복식의 색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자연 환경과 생활조건의 영향으로 검정색, 파란색, 흰색으 로 많이 편중되어 있다. 나시족이 역사적으로 거주했 던 지역은 추운 고산 협곡, 설산, 삼림 초원의 자연환 경으로, 고원의 추운 기후는 나시인들이 심리적으로 따뜻한 느낌과 흡열성, 내장성 기능이 있는 검정색, 짙은 파란색을 민족 복식의 주조색으로 삼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검정색, 파란색, 녹색은 숲, 바다, 푸 른 하늘, 고원을 의미하는 자연 환경의 색상으로, 나 시족 복식의 색상에 자연에 대한 이해와 심리적 감수 성이 녹아 있으며 생태환경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Bai, 2001).

    또한 나시족의 복식 색상은 민족의 생산 노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나시족은 생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농경생활로 유목이동의 전환을 겪었다. 초기 나 시 선민들이 축산 생산에 종사해 왔으며 주로 야크를 길들였다. 소박한 심미적 관념에서 그들은 유용한 것 을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블랙야크 소가죽과 양 피에 대한 수요로 나시족은 검정색을 민족 숭배의 색 채로 삼았는데, 이는 나시족의 ‘흑(黑)’을 의미하는 검정색의 독특한 미적 함의를 부여한다. Li(2003)는 나시 유목민족이 지닌 단단하고 강하며 거칠고 호탕 한 성격의 특징은 검정색 복식을 통해 잘 해석된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색채 숭배는 지리적․기후와 그 형성에 기초한 생산노동의 직접적인 영향과 지역성, 민족성의 요소 등,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을 존중하 며, 자연에 녹아드는 생태 관념을 복식 색채에 매우 직관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나시족 복식의 색채는 티베트 종교가 나시족 지역에 전래되었기 때문에 검정, 빨강, 흰색의 색상도 인접한 나시족에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으로 티베트 와 인접한 중디안 삼댐향에는 검정색, 흰색, 빨간색이 나타난다. 티베트에서 멀리 떨어진 리장에는 검정색 을 중심으로 청색, 파란색, 빨간색 등 다양한 색채를 가지고 있다. 융닝향의 용색도 풍부한 편인데 검정색, 흰색, 청색, 파랑색, 빨간색, 초록색 등이 나타난다 (Bai, 2001; Table 1).

    3) Pattern

    나시족은 자연을 사랑하는 민족으로 강한 생태 관 념을 가지고 있으며, 생활 속의 다양한 자연물은 모 두 복식 문양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차나무꽃(茶花), 국화(菊花), 나무, 태양, 땅, 푸른 하늘, 풀밭, 꿀벌, 나 비, 개미, 인물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 상은 모두 나시족 복식 문양의 주요 영감의 원천이 며, 종교의식의 기호이다. 특히 나시족 복식의 대표적 액세서리인 양피의 어깨에 걸친 개구리 눈매는, 매 우 신비로운 색채의 분위기와 함께 나시족의 근면하 고 소박한 민족적 성격을 보여주는 문양이다(Zhang, 2015).

    나시족 복식의 구상 문양으로는 주로 봉황 문양, 휴머노이드 문양, 그리고 다양한 색상의 레이스 문양 등이 있으며, 추상 문양의 경우 띠 문양, 체크 문양, 변형 만자 주름 등이 포함된다. 구상과 추상 문양은 따로 또는 교차하여 나타나며, 스트라이프형이나 교 차식으로 나타난다.

    4) Headdress

    나시족의 머리 장식물은 뚜렷한 민족적 특색과 예 술양식을 형성했으며 지역의 변화에 따라 복식예술 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리장 지역의 머리에는 검거나 남색 거즈 모자(纱帕), 해방(解放) 모자를 쓰는데(Fig. 10), 이 두 모자는 유부녀들이 많이 착용하고 각양각 색의 팔찌, 반지, 귀걸이 등을 착용한다. 삼댐 지역의 여자들은 수십 개의 은반을 연결하여 만든 머리 장식 을 머리 위에 착용하고, 은반의 크기에 따라 한쪽 어 깨까지 연장하기도 한다. 결혼 후에는 붉은 천으로 머리를 감고, 은장식을 착용한다(Fig. 11). 융닝 지역 의 머리는 검은 털실이나 실을 엮은 장식으로 연화, 구슬 꼬챙이의 동그란 머리 장식으로 머리를 땋고 땋 은 머리를 왼쪽 어깨에서 늘어뜨린다.

    3. Seven-star sheepskin cape

    나시족 복식에 나타난 종교 문화와 토템은 어느 지 계를 막론하고 양피 케이프의 소중함이 나타난다(Fan, 2009). 지리적 환경과 기후의 영향으로 검정색과 남 색과, 백색이 많다. 특히 나시족 여성의 치싱양피(七 星羊皮, seven-star sheepskin) 케이프는 뚜렷한 민족 특색을 가진 예술 양식이다(Zheng, 2020). 나시 언어 로는 멍에 양피라고도 하며, 여성들은 액세서리 케이 프를 한 벌씩을 가지고 있는 나시족만의 전통 복식의 특성이다.

    치싱양피 케이프의 어깨 위에 달려 있는 원반은 해 와 달을 상징하고, 케이프의 아래에 있는 작은 원반 7 개는 일곱 개의 별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12). 나시 여성들에게 ‘어깨에 달을 걸치고 칠성(七星) 별을 짊 어진다’라는 상징적 표현의 의미로(Li & Chen, 2009),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열심히 일하는 나시 여성들의 근면함을 의미한다. 신화에서도 근면하고 용감한 것 을 상징하는데, 무한한 빛과 따뜻함을 상징함과 동시 에 나시족의 아름다운 삶을 기원하며, 나시 부녀자들 의 근면한 자질을 칭송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He, 1992).

    Chen(2005), Fan(2009), Li(2003), Li(2019), Yang and Xie(2010)의 연구를 바탕으로 치싱양피 케이프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싱양피 케이프 는 추위에 강하고 보온성이 뛰어난 양피를 사용한다. 날씨가 추울 때 양털의 한 면이 안쪽에 입으면 보온 효과가 있고, 더울 때에는 껍질을 몸에 감아 열을 식 힌다. 힘들거나 지칠 때 케이프을 방석으로 사용하면 습한 추위를 막을 수 있고 육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 한 양피의 두툼하고 마모에 강한 특성은 무거운 물건 을 짊어져야 할 때 실용적이다. 나시족은 무거운 물 건을 메기도 하고, 케이프는 매트로서 등받이를 보호 할 수 있는 실용적 특성이 있다. 둘째, 치싱양피 케이 프는 형태, 색채, 소재에서 나시족의 심미적 관념을 그대로 드러낸다. 케이프는 추위를 막아줄 뿐만 아니 라, 도깨비를 몰아내는 토템도 가지고 있다. 양피 케 이프만 걸치는 풍습도 있지만, 남색 모자를 쓰는 모 습도 나타난다. 셋째, 치싱양피 케이프는 지리적 환경 과 주변 문화에 따라 색상과 디자인이 구분된다. 나 시족은 지계마다 다른 특징이 있어 케이프의 외형과 크기, 재질을 통해 지계를 판별할 수 있다. 섬세한 작 업의 같은 크기의 원반 일곱 개가 달려 있다면 ‘나시’ 지계이며, 양피 케이프를 걸치고 자홍색 양모 케이프 를 두른 것이 있다면 리장 지계의 타이안향이다. 백 색 양피 케이프를 걸치고 양의 모양이 밖으로 드러난 다면 리장 지계의 타성 지역이며, 또한 백색 양피 재 질의 케이프를 걸치고 있다면 ‘나한’ 지계이다. 색상 이 통일되지 않고 질감이 다르면 융닝의 ‘나르’ 지계 에 속한다.

    1) Form and composition

    치싱양피 케이프는 윗부분은 넓고 아래는 좁으며 끝부분은 뾰족한 모양을 형성하는데, 그 모양은 엎드 려 있는 개구리 모양과 같다. 위쪽은 넓은 직사각 형 태에 검정색 모직 재질로 두툼하고 소박하며, 아래쪽 접합 부분은 반원형으로 양피 재질로 감촉이 매끄럽 고, 두 개의 긴 댕기형 끈이 있으며 끝부분이 삼각형 이다. 양피는 위아래를 둥글게 자른다. 위쪽에는 너비 6cm의 검은 가장자리가 꿰매져 있고, 아래는 일곱 개 의 컬러 원반과 중심에 각각 두 개의 흰색 양피 댕기 를 드리우는데 북두칠성을 의미한다(Fig. 13). 양피 케 이프 위쪽에 두 개의 큰 원이 해와 달을 나타내고, 아 래의 일곱 개의 작은 원 북두칠성은 ‘별을 걸치고 달 을 짊어지다’라는 근면함을 상징하는 의미이다(Quan, 2004).

    양피 케이프 끝에는 두 개의 흰색 긴 띠가 달려 있 는데, 걸칠 때 어깨에서 걸치고 가슴에서 교차하여 다시 등허리까지 매어 준다. 날이 추울 때는 털이 안 쪽을 향하고, 더운 날과 흐리고 비가 오는 날에는 털 이 바깥쪽으로 한다. 양피 케이프는 장식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몸을 따뜻하게 하여 일할 때 어깨나 등 을 다치지 않도록 하는 기능적 의미를 가진 나시족 여성 복식의 중요한 부분이다. 양피 케이프는 더운 계절에 걸칠 때는 열에 양모가 바깥을 향하고, 양피 는 안쪽으로 향하고, 추울 때는 반대로 사용하며, 케 이프 아래는 두 겹의 양피로 두껍고, 추위를 따뜻하 게 하는 역할도 한다. 멜빵은 산길이 험한 산간지방 에서 편리하게 물건을 싸서 휴대하는 양피 케이프의 기능을 한다. 등 뒤에 작은 물건이나 휴대품을 가지 고 다닐 수 있고, 등 뒤에 있는 끈도 사용할 수 있으 며, 밤길에 벽사의 역할을 한다(Mu, 2012).

    지역에 따라 나시 지역은 주로 흑염소 가죽으로 제 작하며, 나한 지역은 백 염소 양피 케이프을 많이 사 용하는데, 지역적으로 고도가 높고 온도가 낮아 양피 가 온몸을 덮을 수 있도록 제작한다. 섬세한 가공 없 이 양피를 보존하는 기본형으로 방한을 위주로 한다.

    2) Color

    나시 지역 양피 케이프의 안감은 일반적으로 검정 색이나 짙은 남색 등 비교적 짙은 색채의 두꺼운 원 단을 사용하는데, 케이프의 전체적인 색상은 검정색 과 흰색으로, 위쪽 끝은 검정색으로 절제되지 않고 아랫부분은 백색으로 대조를 이루며 나시족의 흑백 숭상 종교적 신념을 그대로 반영한다.

    지역에 따라 양치기가 다르고 가공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각 지계마다 양피의 색도 다르다. 리장의 치 싱양피 케이프는 검정색 양피이다. 타성의 경우 흰색 양피가 사용되었는데, 타성은 티베트 지역과 연결되 어 있어서 색채는 티베트들이 흰색을 숭상하는 영향 을 받았다. 태안은 빨간색이 있는 검은 양피 케이프 를 한 장으로 꿰맸다. 삼댐의 양피 케이프는 흰색 양 피을 통째로 쓰고, 융닝에서는 검정색이나 백색 양피 를 사용하는데, 삼댐과 융닝 지역 모두 티베트 지역 과 연결되어 티베트의 백색 문화를 숭상하는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Ling, 2005).

    북두칠성 의미의 컬러 원반은 주로 빨간색 계열, 청색 계열, 녹색 계열과 검정색을 중심으로 전형적인 지역적인 특색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멜빵도 순백 색으로 되어 있으며, 멜빵의 무늬는 보통과 양모의 색이 가까워 순수하며 또한 강하고 명도가 매우 밝은 색채로 나타난다(Table 2).

    3) Materials and patterns

    나시 지역의 양피 케이프는 검정색, 흰색 양이나 염소 가죽을 엄선하여 제작한다. 나시족은 추위를 견 디기 위하여 양피를 사용하는 산지 유목 부족이었으 며, 양피 케이프는 복을 기원하는 의미와 순산의 평 안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양은 다산과 순산율 이 높은 동물로, 양피 케이프는 이러한 양의 속성을 나시족 여성들에게 기원하여 종족의 번성을 기원하 고 보호해주기를 바라는 토템의 의미를 가진다.

    나시족 치싱양피 케이프의 대표적 문양은 수놓은 허리띠 문양이나 등 뒤에 북두칠성의 의미를 지닌 7개 의 컬러 자수 원반 문양이다. 색상에 따라, 자수 기법 에 따라, 다른 문양을 수놓는 동시에 작은 원반 전체 를 하나의 문양으로 볼 수 있다. 나시족은 북두칠성 을 상서롭고 아름다운 기호로 여기는 종교의식이 강 하고, 특히 양피 케이프를 어깨를 걸치고 있는 개구 리눈 주름은 매우 신비로운 색채의 기운을 가지고 있 어 나시족의 토템 신앙과 문화의 전승을 나타낸다 (Zhang, 2015).

    자연을 숭상하고 원래의 생태를 숭상하는 나시족 에게 생활 속의 다양한 자연물은 복식 문양의 오브제 대상이 되었다. 문양은 구상문양과 추상문양으로도 나뉘는데, 양피 케이프 허리띠에 구상문양은 차꽃, 국 화, 나무, 태양, 벌, 개미와 인물 등 생활의 흔한 대상 이며, 추상문양은 박박문양, 띠문양, 굴곡주름과 변체 만자주름 등, 가슴에 띠 끝자락을 매면 꽃무늬, 화초 주름, 변형만자주름 등이 있다.

    양피 케이프의 띠는 흰 천의 문양에 따라 직접 손 으로 평수의 자수를 놓았다(Fig. 14). 띠 장식의 스타 일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는 수자도 띠로, 문양에는 수자 도형이 있고, 나시족 노년 여성들이 착용하는 데 많이 쓰이고 있는데, 그 의미는 노인이 백세 장명 하고, 연세가 복이 있기를 바란다는 의미를 지닌다. 둘째, 금붕어 등용대도 띠로, 금붕어와 용대의 모양을 수놓는 경향이 있어 비교적 전통적이며 복과 행운이 끊이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셋째, 희(喜) 자 띠는 나시 여성이 시집갈 때 갖춰야 할 댕기로, 나시 족의 전통적인 혼수이며, 양피 댕기에도 길한 여의를 나타내기 위해 종종 ‘희’ 자를 수놓는다(Wan & Jiang, 2004).

    Ⅲ. Production of Work

    1. Intention to produce work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복식의 현대화 방향성을 위해 나시족 전통복식의 특성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패션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하여 나시족 복식의 디자인 특성을 도 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나시족 복식과 치싱양피 케이프를 주요 모티프로 패션 디자인을 전개, 개발하 였다. 나시족 여성복식은 흑백숭배 기반의 색채를 바 탕으로, 근면한 여성들이 일하기 편안한 복장으로 주 로 루즈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나시족 복식의 특성인 치싱양피 케이프는 기능성과 장식성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문양과 모양, 색상은 민족적 특성을 표현하면서 현대적 디자인 컨셉과 새로운 모티에 적 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본 연구 작품의 주제는 피 성대월(披星戴月)의 의미를 담아 ‘By the Light of the Moon and the Stars’로 하였으며, 케이프에 달린 원반 자수 디테일은 별과 달이 만나 따뜻하고 아름다운 삶 을 기대한다는 것을 상징한다. 이와 같은 나시복 복 식의 특성과 치싱양피 케이프의 특성을 바탕으로 여 성복 디자인으로 4벌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전개는 나시족의 흑색숭배를 바탕으로 나시 족 여성들의 성숙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색채는 검 정색과 회색, 자주색을 주조색으로 활용하였다. 자연 환경의 영향으로 검정색을 많이 사용하는 복식의 특 성을 바탕으로 나시족 복식의 전통과 현대적인 디자 인을 혼합한 여성복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Table 3). 검정색과 회색 자주색 등의 주조색에 칠성을 의미하 는 원반의 자수는 노랑, 빨강 등 밝은 색채로 의상과 대비되는 효과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자수 기법을 결합하여 새로운 문양을 디자인으로 패턴화하 여 표현하였다. 원반 문양 디자인에는 <Fig. 15>와 같 이 자수 기법을 활용되었다.

    2. Production and explanation of works

    작품 1은 나시족 복식의 기본 착용 습관과 방법을 바탕으로 여러 지역에 나타나는 겉옷 상의 형태의 장 삼, 단삼을 활용한 하프코트의 디자인과, 하의는 긴 주름 스커트로 전개하였다. 코트의 깃 부분을 확장하 여 코트의 길이보다 길게 디자인하였다. 코트는 추상 적인 양피 케이프 양식으로, 케이프 두 개에 흰색 띠 를 어깨에 걸치고 가슴에서 교차하여 다시 뒤쪽 허리 에 교차 모양으로 매는 디자인으로 적용하였다. 양피 케이프는 현대화된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코트 뒷면 을 장식하고 원반은 수공예 자수로 완성하였다. 검정 색을 숭상하는 나시족 복식에 해와 달을 상징하는 빨 간색 원반 형태를 활용하여 율동감 있고 활기 있는 디자인으로 전개하고자 하였다(Fig. 16).

    작품 2는 좌우 나시족 기본 복식형태와 같이 편안 하고 루즈한 비대칭형 코트와 풍성한 팬츠 스커트 디 자인으로, 편안하고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전개하고 하였다. 비대칭 케이프형으로 치싱양피 케이프를 변 형한 디자인은 양피 케이프의 보온성과 장식성을 표 현하고자 하였으며, 소매의 주름과 불규칙한 디자인 으로 풍성함을 더하였다. 케이프에 걸친 동그라미 북 두칠성 문양은 선명한 색감으로 크기가 다른 여러 원 반을 조합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더하고자 하였 다. 팬츠는 스커트 느낌으로 풍성하고 넓은 스타일로 만들었고 허리에 주름을 많이 잡아 자연스럽고 편안 한 디자인이다. 전체 의상은 검정과 진한 회색의 의 상에 밝은 원반의 문양으로 선명하고 따뜻한 컬러가 돋보이도록 하였다. 원반의 도안은 다양한 계열의 컬 러로 자수로 완성했다(Fig. 17).

    작품 3은 기본 하프 코트와 상의 팬츠 아이템으로 캐주얼하고 편안하게 디자인하였다. 코트의 칼라를 코트 길이보다 길게 하여 시각적 효과를 주고자 하였 다. 본 작품에서는 검정색을 주조색으로, 코트의 등 뒤쪽 장식으로 나시족 전통 치싱양피 케이프의 원형 디자인을 그대로 활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나시족의 역사적 전통적 요소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현대 화된 요소와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치싱양피 케이프 의 상징적 기호인 달과 태양을 상징하는 큰 동그라미 패턴과 일곱 개의 북두칠성 동그라미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너웨어 상의에는 달과 태양을 상징하는 원 반 문양 자수를 수놓아 나시족 여성들의 근면함을 표 현하고자 하였다. 코트의 칼라와 소맷부리에 흰색의 스티치로 검정색의 대비 효과를 주었다(Fig. 18).

    작품 4는 나시족 전통 치싱양피 케이프의 멜빵 끈 을 모티프로 코트와 상의, 스커트의 아이템으로 디자 인하였다. 매듭을 짓는 리본의 스타일링으로 코트 허 리에 자연스럽게 드리워지게 하였으며, 스커트는 풍 성한 롱스커트로 제작하여 편안하면서도 여성스러움 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코트에는 칼라 대신에 치싱양 피 케이프를 응용한 케이프 형식으로, 뒤의 깃은 앞 의 깃과 같은 길이로 제작되어 뒤에서 보면 심플한 케이프처럼 등받이에 걸치고 있는 듯한 일상적 디자 인으로 전개하였다. 나시족의 색채는 검정색이 주를 이루지만 청색, 파란색, 빨간색, 흰색 등을 사용하기 도 한다. 본 작품에서는 코트의 주조색으로 자주색으 로 활용하여 원반 문양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 였다(Fig. 19).

    Ⅳ. Conclusion

    전통문화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통복식에 대한 연구와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나시족 복식 발전의 역사적, 지리적 환경 과 종교문화, 토템숭배 등의 나시족 복식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소수민족 전통 복식의 현대화를 위한 패션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중국의 소수민 족 나시족의 역사, 문화, 나시족의 복식 특성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고, 나시족 복식의 디자인 특성과 독특 한 민족적 특성을 지닌 치싱양피 케이프의 내적 의미 와 디자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 소수민족 나시족의 복식과 치싱양피의 특성을 활용한 여성복을 디자인 하였다. 나시족 복식의 전통 요소를 융합하여 현대적 감각을 더한 패션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였으며, 연구 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시족의 복식은 뚜렷한 지역성과 독특한 복 식 문화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통복식은 그 내적 의미와 함께 현대화하기에 좋은 영감의 원천이며, 본 연구 작품의 주제는 ‘별을 걸치 고 달을 지나다(披星戴月)’로, 나시족이 숭상하는 검 정색을 바탕으로 회색 진한 빨간색과 빨간 원반의 배 색을 활용하여 현대적 패션디자인으로의 전개에 적 절하였다.

    둘째, 나시족 복식의 치싱양피 케이프는 여성복식 의 주요 상징으로, 양피 케이프의 문양과 모양, 색상 은 전통적인 민족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이는 현대적 인 디자인 개념으로 민족적 특색을 드러냄과 동시에 창의적 디자인 전개가 가능하였다. 케이프의 원반 모 양은 수공예 자수로 완성하였으며, 전통적인 수공예 적 자수와 함께 고유의 모양 보존이 가능한 민족적 특 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선명한 컬러 매치로 의상과 대비를 이루며 전체적인 디자인이 단조롭지 않게 강 렬한 비주얼을 가질 수 있도록 디자인이 가능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작품은 나시족의 복식과 나시족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기존의 전통적 양식과 장식을 유지하며 다양한 스타일의 전개가 가능함을 확인하 였으며, 현대적인 스타일리시함을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나시족 전통 복식과 치싱양피 케이프를 활용하여 소수민족의 전통 복식의 발전에 대한 관심 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향후 이 와 같은 전통문화의 현대화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 로 이어지길 기대하며 시대의 흐름에 맞춰 나시족의 전통 문화를 간직한 연구와 현대적인 복식이 지속적 으로 개발되길 기대한다.

    Figure

    RJCC-30-3-331_F1.gif

    Dongba symbols Reprinted from Deng. (2017). https://www.sohu.com/

    RJCC-30-3-331_F2.gif

    Dongba dance Reprinted from Lijiang Snow Mountain Town. (2018). https://www.douban.com

    RJCC-30-3-331_F3.gif

    Dayanzhen-style women’s clothing Reprinted from Our ethnic primary school. (2015). http://yuwen.chazidi an.com/

    RJCC-30-3-331_F4.gif

    Tacheng-style women’s clothing Reprinted from “Naxi customs”. (n.d.). https://baike.sogou.c om

    RJCC-30-3-331_F5.gif

    Baoshan-style women’s clothing Reprinted from Lijiang Civilization net. (2016). http://ynlj.wenming.cn

    RJCC-30-3-331_F6.gif

    Taian-style women’s clothing Reprinted from Lijiang hotline. (2017). https://m.sohu.com

    RJCC-30-3-331_F7.gif

    Sanba-style women’s clothing & headdress Reprinted from Ethnic customs. (2013). http://blog.sina.com.cn

    RJCC-30-3-331_F8.gif

    Yongning-style women’s clothing Reprinted from Historical records are not compiled. (2019). https://baijiahao.baidu.com

    RJCC-30-3-331_F9.gif

    Yongning old-age women’s clothing Reprinted from National Geographic Chinese Website. (2017). https://www.sohu.com

    RJCC-30-3-331_F10.gif

    Lijiang women’s headdress Reprinted from Overview of Naxi costumes. (2014). http://painting.quanxi.cc

    RJCC-30-3-331_F11.gif

    Sanba women’s headdress Reprinted from Clothing of Naxi nationality. (2019). https://www.meipian.cn/

    RJCC-30-3-331_F12.gif

    Naxi seven-star woolen sheepskin shawl Reprinted from National Costume Museum of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n.d.). http://www.biftmuseum.com

    RJCC-30-3-331_F13.gif

    Seven-star sheepskin cape of Naxi women Reprinted from Overview of Naxi costumes. (2014). http://painting.quanxi.cc

    RJCC-30-3-331_F14.gif

    Seven-star sheepskin cape of Naxi women Photographed by the author. (June 12, 2019).

    RJCC-30-3-331_F15.gif

    Disk embroidery using seven star sheepskin cape accessories

    RJCC-30-3-331_F16.gif

    Design 1, seven star sheepskin-attached coat, top, skirt

    RJCC-30-3-331_F17.gif

    Design 2, seven star sheepskin-attached coat and skirt

    RJCC-30-3-331_F18.gif

    Design 3, half coat & pants, modified seven star sheepskin cape

    RJCC-30-3-331_F19.gif

    Design 4, half coat & skirt, chiseled seven star sheepskin cape

    Table

    Characteristics of Naxi ethnic dressing by region

    Characteristics of Naxi sheepskin cape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plan

    Reference

    1. Bai, G. S. (2001). Color and Naxi folklore. Beijing: Social Sciences Literature Publishing House.
    2. Bai, G. S. , Sun, S. L. , & Bai, X. (2014). Into the Chinese minority series -Naxi nationality. Shenyang: Liaoning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3. Chen, Y. (2005). Decode the culture of Naxi nationality -Female sheepskin cape-. Journal of Zhejiang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3, 14-17.
    4. Clothing of Naxi nationality. (2019, September 27). Naxi nationality.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s://www.meipian.cn/2evjqnly
    5. Deng, Z. Y. (2017, November 15). Dongba symbols. The study of Dongba symbols needs to be divided into different regions. Chinese Social Sciences Today. Retrieved November 25, 2021, from https://www.sohu.com/a/204538428_488717
    6. Ethnic customs. (2013, January 12). Diqing Naxi costume.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blog.sina.com.cn/s/blog_623873600101h55p.html
    7. Fan, X. H. (2009). Preliminary study on dress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inzu University of China, Beijing, China.
    8. Guo, D. L. (2013). Grand view of Naxi culture. Kunming: Yunnan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9. Guo, D. L. , & He, W. Z. (1999). History of the Naxi nationality. Sichuan: Sichuan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10. He, X. L. (1992). Chinese totem culture. Beijing: China Social Sciences Publishing House.
    11. Historical records are not compiled. (2019, January 10). China’s last matriarchal society, why the mysterious marriage system of the Mosuo people is more likely to give birth to true love.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baijiahao.baidu.com/s?id=1622266711095911286&wfr=spider&for=pc
    12. Jeong, E. S. (2001). The Naxizu clothing have influenced on the Dong-ba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Li, B. , & Chen, C. Y. (2009). A perspective on the Naxi ethnic Qinxing shawl’s connotations. Journal of Naning Polytechnic, 1(14), 12-14.
    14. Li, K. (2019). Research on the inheritance and innovative design of the Naxi traditional shawl Yo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henyang Aeropspace University, Shenyang, China.
    15. Li, L. (2003).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totem of Naxi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Beijing, China.
    16. Lijiang Civilization net. (2016, February 22). Naxi people in Lijiang.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ynlj.wenming.cn/ljtushuo/201602/t20160222_2347982.html
    17. Lijiang hotline. (2017, July 17). Colorful Yunnan game loaded drunk beautiful Jiang Yunchang.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s://m.sohu.com/sa/157886453_684601?_f=m-article_12_feeds_12&strategyid=00014
    18. Lijiang Snow Mountain Town. (2018, May 17). Millennium dongba dance through time and space. Retrieved November 25, 2021, from https://www.douban.com/note/669877488/?type=collect&_i=8304346xPIQODG,8305644xPIQODG
    19. Ling, L. (2005). The origin and symbol of the Tibetans advocating white. Journal of Kangding Nationality Teachers College, 14(5), 5-9.
    20. Ma, N. (2013). A study on Naxi’s ancient educational though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inzu University of China, Beijing, China.
    21. Miao, L. Y. (2000). Chinese clothing classics. Shanghai: Shanghai Culture Publishing House.
    22. Mu, S. H. (2012). Naxi nationality in China. Yinchuan: Ningxia People’s Publishing House.
    23. National Costume Museum of Beijing Institute of Fashion. (n.d.). Ethnic costume Naxi accessories Naxi seven-star wool sheepskin shawl. Retrieved November 25, 2021, from http://www.biftmuseum.com/collection/info?sid=629&colCatSid=6#atHere
    24. National Geographic Chinese Website. (2017, October 23). The last matriarchal tribe in the world.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s://www.sohu.com/a/199941433_713623
    25. Naxi customs. (n.d.). In Baidu Encyclopedia.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s://baike.baidu.com/item/纳西族服饰/3498405?fromtitle=纳西服饰&fromid=15441303
    26. Our ethnic primary school. (2015, December 13). Naxi people.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yuwen.chazidian.com/xiangxi-82274/
    27. Overview of Naxi costumes. (2014, December 10). Introduction to ethnic costumes. Retrieved December 13, 2021, from http://painting.quanxi.cc/minjian/fushi/20101030/27408.html
    28. Quan, X. N. (2004). Unique Naxi costume culture. Art Studies: Journal of Art College of Harbin Normal University, (2), 27.
    29. Ren, X. F. , & Shen, L. (2019). Application of Naxi sheepskin shawl in modren fashion design. Journal of Wuhan Textile University, 5(32), 40-45.
    30. Shi, Q. Q. (2010). Naxi women’s costume. Shandong Textile Economy, 166, 71-72.
    31. Wan, Z. , & Jiang, H. (2004). Naxizu costume and adornment -Integrating beauty and utility-. Sichuan Textile Technology, (2), 59-61.
    32. Wang, Y. (1998). General history of Chinese. Shanghai: Shanghai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33. Yang, N. N. , & Xie, F. (2010). On the women’s fashion of the Naxi ethnic group: A perspective of ecological aesthetics. Journal of Nanning Polytechic, 5(15), 11-14.
    34. Zhang, P. P. (2015). Aesthetic features of Naxi costume patterns. Times Literary, (12), 314-315.
    35. Zheng, S. (2020). A plan to transmit the landscape of the Naxi-Dongba cultural heritage in China: Lijiang Oksusze as an exam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Jeonju,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