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2 pp.262-28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2.262

Characteristics of organic design in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Dana Kim, Younhee Lee*
Mast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February 25, 2022 April 8, 2022 April 10,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ganic forms, expressions, and characteristics of Alexander McQueen’s fashion design and to present various materials for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is organic design style. The criteria for organic design expressions and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 organic design characteristics of Alexander McQueen’s fashion were then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e’s forms are used as objects in Alexander McQueen’s fashions to represent organic characteristics. Second, abstra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organic forms means creating an abstract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being represented. Abstracting organic forms occurs by partially modify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human body to show characteristics or by visualizing these characteristics within the surface of the natural object. Third, continu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organisms is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ion of the gradual growth of organisms; this re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the internal elements of natural objects affect their external forms. Fourth, the structure of using natural materials, as well as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s shown in the designs through use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and materials that use natural elements. Fifth, symbolism through subjective thinking implies that the element of nature that an object expresses is the element that appears in nature; this includes created organisms along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ese characteristics are best demonstrated in fashion designs that express themselves through creativity.



알렉산더 맥퀸 컬렉션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특성

김 다 나,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자연은 무한한 범위에서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존재로 그 영향력이 이어져 오 고 있다. 자연을 바탕으로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은 과 거 예술운동으로부터 시대에 따라 다양한 해석으로 보여져왔고, 유기적 표현특성을 따라 다양한 분야에 서 각각 다른 형태들로 나타났다. 자연은 모든 것의 근원이며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무한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자연 속에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이용하여 의복에서는 인간의 의도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발전 하여 보여져왔다. 자연으로부터 만들어진 환경 속에 서 인간은 자신들의 생활에 맞추어 욕구를 만족시키 기 위하여 끊임없이 창작하였고, 창작물의 바탕에는 자연과의 밀접한 관계가 유지하고 있다(Jung, 2015).

    인간은 자연의 유기체의 형태에서 모티브를 가져 오지만 그대로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석을 통해 창의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이것은 유기적 디자인의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유기적인 표현은 시대의 흐름 에 맞추어 계속해서 변화해가고 발전해나가는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다. 유기적 디자인은 단순한 기능성만 을 추구하지 않고 그와 더불어 자연과의 조화를 중요 하게 생각하는 디자인이다.

    건축 및 제품분야에서는 다양한 유기적 디자인이 나타났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패 션에서 나타난 유기적 표현에 대한 연구는 일부 진행 되었지만, 유기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유기적 디자인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축분야에서는 한 시대의 관점에서 건 축에서의 유기적 표현원리를 연구하였으며(Kim & Woo, 1999), 실내 공간에서의 유기적 표현 방법을 분 석한 연구(Lee, 2011)도 있다. 제품분야에서는 자연의 조형적인 현상을 바탕으로 디자인 발전의 방향을 제 시하였으며(Kang, 2008), 디자이너의 작품 분석을 통 해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특성을 연구하였다(Hwang & Byun, 2017). 또한, 유기적 표현을 통한 현대 디자 인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도 살펴볼 수 있다 (Yoon, 2012).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은 동․식물을 포함한 유기적 특성을 활용한 주제의 컬렉션과 디자 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으며, 디자인의 창의성은 기술적 예술성과 함께 패션쇼에서 극적인 강렬함으로 표현되었다(Wilcox, 2015). 그는 자연계와 조화를 이 루며 사는 인간의 환상을 끌어낸 원시주의라는 주제 와 민족적 특성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등의 주제로 컬렉션을 전개하였으며, 자연적 요소를 시대와 관련 지어 디자인에 표현하며 자연물을 기반으로 비현실적 인 것과 현실세계를 넘나드는 창조적인 디자인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유 기적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해온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 작품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방법 및 특 성을 분석하고, 패션 산업과 디자인에 자연을 모티브 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유기적 특성을 활용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구체적 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를 통하여 유기적 개념과 유기적 디자인에 대한 의미 및 전개과정을 알아본다. 둘째, 건축과 제품 디자인분 야 및 패션에서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방법 및 특성을 분류하 여 연구 기준의 틀로 구성한다. 셋째, 선행연구를 통 해 구성한 연구 기준틀을 통하여 알렉산더 맥퀸의 패 션 컬렉션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표현특성을 분석 한다.

    알렉산더 맥퀸의 유기적 디자인 분석을 위하여 문 헌과 컬렉션의 리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자료 는 전문 패션 정보 사이트인 ‘보그 코리아’와 ‘US Vogue’의 자료, 인터넷 사진자료 및 서적을 활용하였 다. 범위는 알렉산더 맥퀸이 생전 직접 디자인을 진행 하였던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31개 시즌 컬렉션 을 범위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시각적으로 나타 난 유기적 디자인 사례를 기준으로 하였다.

    Ⅱ. Organic Design

    1. Concept and development of organic design

    1) Concept and definition of ‘organic’

    ‘유기적’ 단어는 사전적 개념으로 ‘생물체와 같이 전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에 떼어낼 수 없는’이라 정리된다(“Organic”, n.d.). 이처럼 ‘유기적’은 자연으로부터 파생된 실존하는 물 체를 바탕으로 유래된 것으로, 자연은 모든 것의 시작 점이자 전체를 구성하는 완전체라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유기적 단어의 배경은 철학 사상 중 하나인 유물론 에서 거론되었으며, 사물들은 자연과 서로 간 밀집하 게 연관되어 있다(Kim & Woo, 1999). 또한, 생태학 적 입장에서 개별적인 존재는 서로 끊을 수 없는 밀접 한 관계로서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 이것은 한 존 재의 변화가 다른 존재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영 향을 미치며 그로 인하여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으로, ‘유기적’은 하나의 측면으로 정의되는 작은 의미가 아 닌 전체를 구성하는 의미로 보는 광범위한 범위를 가 지며, 이 속에는 인간 또한 포함되는 것으로 결국 모 든 것은 하나로 이어진다는 존재들로 볼 수 있다.

    과거 양식에 대한 향수이자 기하학적인 모더니즘 에서 자유로움이 더해진 것으로 보는 유기적 디자인 은, 과거 건축 및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 작했다(Song, 2011). 이는 건축에 기원을 두어 루이스 설리반(Louis Sullivan)의 사상을 바탕으로 프랭크 로 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가 구체화시켰다고 보고 있다(Lee, 2001). 건축에서의 유기적 개념은 많 은 이들이 단편적인 묘사를 함으로써 본질이 왜곡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건축에서의 유기체에 대한 해석 은 근대 전후를 기준으로 하여 기능성 추구의 유무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이다. 유기적 건축은 과거에서부 터 진행되어온 것으로, 근대 이후의 표현은 사물의 모 방에만 치우치지 않고 새로운 개혁이 더해져 과거의 모방적 표현방법에서 유기적 기능주의로 발전되었다 (Lee, 2015). 친환경적 관점으로 보는 건축에서의 유 기적 디자인은 형태와 기능 등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 며(Han & Kim, 2004), 이는 유기적 개념의 바탕인 부 분과 전체의 통일성에서 전개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은 자연 속의 유기체로부터 영감을 받고 서 로 의존하는 상호보완적인 모습을 취하며, 자연으로 부터 미의 형태를 찾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순한 모 방의 형태가 아닌 기능적인 면이 더해진 형태가 새롭 게 나타났다. 건축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기적 건축은 ‘생명력을 갖고 있는 생물의 활용을 통한 디자인’과 ‘요소가 모여 전체가 되는 것’으로 유기적 디자인에 대한 공통된 해석으로 말하고 있다(Moon, 2006). 유 기적 디자인은 생명체에서 보이는 곡선을 이용한 형 태로, 동․식물뿐만아니라 자연에 포함되는 인간의 형상 또한 모티브로 차용하여 곡선을 디자인에 활용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근대를 대표하는 유기적 건축의 디자이너로 프랭 크 로이드 라이트, 안토니오 가우디(Antonio Gaudi), 알바 알토(Alva Aalto), 휴고 헤링(Hugo Haring) 등으 로 설명하고 있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건축은 유 기체의 각 기관들은 상호연관성을 지니고 전체의 형 상을 구성하며, 공간들 간의 상호관계는 유동성과 연 속성을 지닌 공간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그의 대 표 작품 낙수장(Falling Water)은 자연에 예속되는 디 자인으로 내부와 외부에서의 통일성을 보여주었으 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보여주는 예로 볼 수 있다 (Park, 2003; Fig. 1). 가우디는 달팽이의 나선형이나 뼈 그리고 꽃잎 등 유기체의 형상을 은유적으로 표현 하여 건축에 구현한 것을 들 수 있다(Fig. 2).

    제품 디자인에서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은 자연 속 에서 질서를 찾아볼 수 있었고, 자연과 인간을 소재로 응용하여 모방을 해왔다. 유기체의 형태를 재현하고 자연과의 결합을 추구하기 위하여 소재로 사용한다. 단순한 자연물에 대한 모방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작 품과 환경의 유기적 통일성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표 현되었다. 이는 자연에서의 유추를 통해서 인간이 필 요로 하는 것에 대한 해결 방법을 디자인을 통해 보여 주며(Kang, 2008), 친인간적인 디자인으로 자연과 인 간 사이의 질서와 조화를 추구한다(Han & Kim, 2004). 메르세데즈 벤츠(Mercedes-Benz)에서 2005년에 출시 한 바이오닉 카(bionic car) 디자인은 유체저항을 최소 한으로 하는 생물체의 외형을 모티브로 삼아 디자인 에 적용시켰으며, 환경에 적응된 생체 모델로서 유기 체의 형태뿐만 아니라 그 형태가 가지는 기능을 디자 인에 적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Fig. 3). 알바 알토는 필란드의 풍경과 호수의 모습에서 모티브를 찾아 유 기적 특성의 화병 모습으로 재해석하였다(Fig. 4). 아 르네 야콥센(Arne Jacobsen)은 유기적 곡선을 주로 활 용하였으며, 계란 의자는 자연물의 형태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Yoon, 2012; Fig. 5). 의자 디자인의 사례 에서도 모방을 통해 그 안에서 찾을 수 있는 기능은 인간의 생활 속 기능과도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Origin and development of organic design

    유기적 디자인은 건축에 기원을 두며 19세기 말 루 이스 설리반(Louis Sullivan)에 의해 근본적 사상이 시 작되고,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가 계승받아 구체화하 고 본격적으로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1930년 경 유기적인 형태가 처음 제시되었고, 이는 기하학적 모더니즘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대안으로 알려 졌다. 유기적 디자인은 추상표현주의와 스칸디나비아 의 자연환경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자유 곡선을 전체 혹은 부분에 적용한 것이다(Song, 2011).

    유기적 디자인 전개를 살펴보면, 근대이전 예술사 조 미술공예운동으로부터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점차 변화되어 왔다. 19세기에 는 기계 생산이 시작되면서 대량 생산과 소비로 전개 되었다. 산업혁명에 대한 반동으로 영국에서 시작된 미술공예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은 1850년 도부터 1910년대까지로 기계의 폐해에 대한 거부감 으로 인해 시작되었다. 존 러스킨(John Ruskin)과 윌 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가 주역으로, 단순한 형 태와 선형을 사용하여 형태, 기능, 장식을 일체화시키 는 특징을 갖고 있다. 윌리엄 모리스는 일상과 예술은 함께 공존한다고 주장하며 제작자와 제품 역시 유기 적인 통합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러스킨 은 이 운동의 성격을 의미하는 내용으로 자연 존중과 불완전성을 의미하는 형태의 추구 등을 포함하며, 불 완전성이란 모든 생명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유한한 생명의 표상으로 보는 것이라 설명했다(Park, 2014).

    1890년대 후반 유럽 전역에서 출현한 아르누보(Art Nouveau)는 새로운 국제양식의 등장을 알렸다. 아르 누보는 자연의 형태와 민속적 토속주의에서 영감을 받아 자연에서의 모습을 직접 모티브로 취하여 양식 화를 시도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과거를 돌아보기보 단 미래를 내다보며 설계하는 양식이다. 아르누보에 서 볼 수 있는 자유로운 곡선의 사용 및 새로운 재료 사용의 요소들은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특성과 공통적 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유기적 디자인은 아르누보의 양식을 계승받았다고 설명한다(Kim & Lee, 2014). 따 라서 아르누보는 자연주의 성향을 띠는 양식에서 기 하학적인 디자인을 거쳐 1930년대 이후 유기적인 곡 선의 형태로 발전되었다.

    이와 같이 유기적 디자인은 자연물의 형태 및 구조 를 활용하여 관계성을 표현하고 이것은 주변 환경과 의 관련성 또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기적 디자인은 근대 이전부터 다양한 양식에서 개 념의 변화가 이어져왔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디자이 너의 작품 활동을 통하여 의미를 확립시켜온 것이다.

    2.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expressing organic design in contemporary design

    1) Architecture field

    건축에서의 디자인은 모든 부분이 정확한 과정으 로 이루어지는 기계와 같은 집합이 아닌 여러 가지가 얽혀 있는 유기체처럼 형태들이 합쳐지는 것으로 본 다(Jung, 2011). 이것은 단순한 형태의 융합이 아닌 유 기체와 같이 각 기능을 갖고 있는 형태들이 모여 또 다른 하나의 형태가 완성되는 것으로, 유기적 디자인 특성 중 한 가지로 볼 수 있다.

    Kim and Woo(1999)는 건축에서의 유기적 표현특 성을 자연에 완전히 예속됨을 의미하는 ‘자연주의’와, 외부자연 및 인공적 자연으로 내․외부공간의 유기적 연대를 형성하는 ‘신-자연주의’, 자연 유기체의 모습 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사실주의’, 디자이너 및 설 계자의 개념으로 유기체의 모습을 적용하는 ‘추상주 의’, 한 지역의 기후 및 재료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지역주의’ 그리고 기능에서 생겨나는 불규칙한 평면 의 형태를 나타내는 ‘기능주의’로 6가지의 특성으로 설명하였다.

    Hwang(2005)은 근대시대 건축물의 유기적 특성으 로 인간의 신체 및 자연 유기체의 직접적인 유추에 의 한 건물들의 형태를 의미하는 자연형태의 유추와, 자 연의 내적요소가 외적 구조를 결정하는 자연의 성장 및 변이의 유추,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자 연환경과의 유기적 통일이라고 설명하였다. 이와 더 불어 현대 유기적 건축의 표현에 관해 유기체 형태의 이해와 변형으로의 구성, 디자이너의 개인적 특성을 가지고 자연에 대한 즉각적 반응을 사용하는 부분과 전체적인 것이 주어진 상황에 맞게 이해되어야하는 것과 더불어, 시간과 관련된 점들이 건축과의 연관점 으로 맺어짐의 내용을 신표현주의, 즉흥주의, 맥락주 의, 메타볼리즘의 네 가지 키워드로 분류하여 설명하 였다. Lee(2011)는 실내 공간에서의 유기적 표현 방법 으로 인간의 오감과 같은 감각기관을 자극하면 표현 으로 나타나는 ‘감성적 표현의 유기’, 재료의 성질을 통해 표현하는 ‘재료의 물성을 통한 유기’, 자연물의 형태를 표현하는 ‘자연물의 형태적 유기’와 기하학적 인 곡선이나 동선 등으로 나타내는 ‘비선형 곡선의 표 현 유기’ 그리고 동적 균형을 이루는 곡선 및 곡면으 로 이루어지는 ‘자유 곡선과 곡면에 의한 표현 유기’ 등의 다섯 가지로 방법을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건축 분야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선행 연구를 정리하면, 첫째, 동․식물의 형태를 직접적으 로 표현하거나 추상적 형태로 건축물에 묘사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자연스러운 표현을 사용하여 유기체 의 외형에서 나타나는 자유로운 곡선 및 형태를 자연 에 사실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작가가 표현하 고자 하는 모습을 추상적인 형태로 모방한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기체의 모습이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에 나타났다. 이것은 유기체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표현한 것이다. 내부 의 구조가 외부의 형태를 구성한다는 개념을 바탕으 로 한 디자인 원리를 찾을 수 있다. 셋째, 건축물과 공 간과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 부환경과 건축물의 조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주변 환 경의 요소를 파악하여 디자인에 반영하는 것이다. 또 한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소재를 활용하여 유기 적 건축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2) Product design field

    자연은 정해진 틀에 박히지 않고 불규칙적이며 비 정형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며 그것 안에서 볼 수 있는 질서로 유기적인 디자인의 형태가 구성된다. 자연의 유기적 특성을 적용한다는 것은 단순한 모방의 의미 가 아닌 인공적인 것으로서의 표현을 위한 접근이 필 요한 것을 의미한다(Lee, 2009).

    제품 디자인에서의 유기적 디자인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Han and Kim(2004)은 유기적 개념 의 형식적 차용과 내용적 차용, 유기체와 외부와의 관 계성의 차용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Kang(2008)은 유기적 디자인의 근본을 자연으로 말 하며, 자연물의 생존 및 진화에 순응하는 자연의 질서 및 디자인의 원리와 발전하는 사회에 따라 필요를 충 족시키기 위한 디자인의 표현인 유기적 사고의 개념 화를 표현원리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Lee(2009)는 자연에서 보여지는 원리 및 특성을 정 리하여 자연형태 표현의 유형을 공간과 자연의 친근 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재료 사용을 ‘소재적 측면’으로 보았고, 유기체의 현상, 형태를 나타내는 방법인 ‘재현적 측면’ 그리고 디자이너의 경험 및 상 상으로 자연 형태가 추상적으로 표현되는 ‘상징적 측 면’으로 나누었다. 이와 더불어 유기적 특성 중 형태 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자연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표 현 혹은 유추하는 ‘직유적 표현’과 디자이너의 의도에 의해 만들어진 것에서 감상자가 특성을 찾아내는 ‘은 유적 표현’ 그리고 공간 및 시간성 등의 개념을 포함 해 추상적인 것을 밖으로 나타내는 ‘추상적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Yoon(2012)은 디자인 형태의 기원을 자 연 유기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제안하며, 유기적 디 자인의 특성은 자연 형태에 대한 직접적인 모방으로 생체 모방이 자연에 포함된 디자인적 요소를 통해 인 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 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나머지 한 가지로는 디자이 너의 주관성에 의해 표현되는 유기성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유기체의 상호작용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와 같이 각자 분리된 것이 아닌 결국 하나, 즉 전체 로 이어진다는 유기적 개념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Song and Kim(2015)은 유기체적 조형의 특성으로 설명하는데 내부 연결성을 의미하는 ‘전체성’, 단순한 비례관계를 나타내지 않는 계의 ‘비선형성’, 공간 사 이에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비분리적 공시’, 무형의 존 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비물질성’, 유기체의 대표 특성이자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유동성’ 및 ‘진 화성’과 곡선에 의한 ‘역동성’ 그리고 내․외부적 연 결과 그에 대한 관계를 설명하는 ‘결합성’으로 나누었 다. Hwang and Byun(2017)은 유기적 디자인의 조형 적 특성을 자연물의 형태를 사실화하여 표현하는 것 과 자연물을 관찰하여 모방하는 추상적인 표현, 유기 체에서 나타나는 불규칙적이고 자유로운 곡선의 활용 및 소재를 활용한 형태 표현을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제품 분야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면, 첫째, 자연물의 구조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 기체의 형태를 모티브로 삼아 시각적으로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부분적으로 구조 및 형태를 활용하여 형상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 다. 둘째, 유기체의 곡선과 불규칙적인 모습을 활용한 다. 곡선에서 보여지는 미적인 형태를 작품에 표현하 는 것으로 대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불규칙적 형 태를 구조적인 형태로 나타내었다. 셋째,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주변 재료를 활용하여 형태를 표현한다. 이것 은 주변 환경과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이다. 자연 소재 를 사용하여 자연과 일체화되는 유기적인 조화를 설 명하고자 한다.

    3) Express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organic design in fashion

    자연은 모든 것의 시작점이며 전체를 구성한다는 이론 속에서 인간은 그 속에 포함되고 인간을 통하여 필요와 욕구에 맞추어 다양한 디자인을 발전시켜왔 다. 패션 분야에서는 유기적 디자인 연구가 아직 미흡 한 상황이지만, 유기적 디자인과 관련한 키워드로 나 타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 and Yoo(2009)는 유 기적 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가구 디자인 분야에서 최 초로 형성된 유기적 모더니즘의 표현 특성에 관하여 논하였으며 표현사례에 있어 건축, 제품 그리고 순수 예술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패션에서 나타나는 유기 적 모더니즘의 특성은 유기체의 형태에서 모티브를 삼아 양식화한 ‘곡선미’와 모더니즘의 양식이 초현실 주의로 변형되어 적용 가능한 ‘초현실적 상징성’이다. 또한 유기적 디자인에서 발전한 유기적 모더니즘은, 곡선에서 3차원적으로 전개된 것은 패션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고 보았으며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3차원 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새로운 실루엣을 창조 가능 하다는 측면이다. 유기체의 동적인 움직임과 관련한 ‘가변적 기능성’이 패션에서는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가 변성으로 보며 설명한다.

    Park and Lee(2013)는 패션에서 주로 언급되었던 유기적 디자인의 개념으로 사용된 ‘자연주의’와 디지 털의 융합으로 등장한 ‘신자연주의’에 관하여 설명하 였으며, 건축 및 제품디자인 분야에서 나타난 특성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자연물의 형태 표현을 패션에서는 섬세한 주름 구조 등으로 설명하였다. 자연과 미래의 공존을 실행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의 기능성과 패션 의 결합 또한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환경문제에 기 반을 두어 일어나는 것들에 대해 설명하는 디자인을 통한 윤리적 조화와, 21세기의 흐름인 글로벌 시대에 맞추어 여러 나라의 양식들이 혼합되고 창조되어 새 로운 것이 탄생하는 글로벌 로컬 디자인으로 신자연 주의 표현특성을 설명하였다.

    Yim(2016)은 패션과 건축은 역사적으로 서로 많은 영향을 받으며 유사성이 존재함을 언급하며 건축적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연구하며, 유기적 기하학과 공학적으로 설명되는 의복설계 그리고 독립 적 공간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후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유기적인 작품을 표현했던 이사벨 톨리도의 작품을 통해 유동성과 환원주의적 구조를 가지고 오 리가미 구성을 보이는 유기적 기하학의 특성을 설명 하였다.

    패션 디자인 분야에서는 건축과 제품디자인과는 달리 두 분야에서 주로 언급되는 유기적 디자인의 개 념을 바탕으로 발전된 유기적 기하학 혹은 유기적 모 더니즘의 방향으로 연구된 특성들로 나타났다.

    3.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organic design expression

    건축과 제품디자인 및 패션에서의 선행연구를 통 하여 유기적 표현 특성 및 방법을 종합적으로 정리하 면,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유기체 형태를 통한 모방과 유기체의 성장변화 및 변이에 따른 형태 모방, 자연의 주변 환경과의 관계 및 형태에 따른 유기적인 통일성 을 추구가 공통적인 키워드와 원리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정리된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 특성은 자연물의 형태적 재현, 유기체 형태 응용 을 통한 추상적 표현, 유기체의 형성과정 표현, 자연 소재와 지역적 특성을 활용한 유기성 표현, 주관적 사 고를 통한 유기성 표현의 5가지의 특성으로 접근하여 분류하였으며,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유기체는 생명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며 진화되고 형성되며, 그러한 과정에는 질서가 존재하고 디자인에 응용되어왔다. 이 안에서의 질서란 유기체의 시간의 흐름을 통한 성장과, 유기체의 내부적 요소가 외부적 인 외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각각의 개별적인 요소가 아닌 결국은 부 분이 하나로 이어지는 내용이며, 이 특성은 그 속에서 유기적인 통합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고 본다.

    자연물의 형태적 재현은 유기체의 형상을 직접 혹 은 간접적인 방법에서 사실적으로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과 자연은 서로 상호의존적인 관 계로, 인간은 자연을 상대로 영감을 받고 다양한 방면 에서 모방을 통해 자신만의 감각을 표현해왔다. 디자 이너의 자연모방을 자연에 실존하는 것에 대한 직접 모방과 자연의 동적임과 같은 움직임에 대한 환상적 모방으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다(Lee & Park, 1993). 또한 자연의 문헌해석 혹은 성질이나 법칙에 대한 해 석을 통한 모방적인 반응으로 표현되는 것으로도 전 해진다(Kim & Woo, 1999). 유형성을 갖고 있는 생명 체의 형상을 그대로 표현하거나 동․식물의 형태를 그대로 장식적인 디테일로 사용하는 것이 이에 해당 한다. 보는 사람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한 형태의 대상 을 알아보기 쉬우며 나타내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유기체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적 표현으로, 자연으 로부터 형상을 찾아 모방하는 것에는 직접적인 모습 으로 표현하는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전체적인 구조 를 시각화하되 기능을 고려하여 추상적 혹은 은유적 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형태에서 변화 를 주는 것이다. 자연물의 형태와 구조적인 면을 중점 으로 변형할 경우, 변형 속에서 명확한 특징을 잘 찾 아 표현해나가야 한다(Lee, 2009). 유기체의 일부분을 들여옴으로써 부분을 형상화하거나 기하학적인 모습 으로 형태화할 수 있는 것이다. 표현 요소로는 단순화 혹은 비대칭성을 예로 들 수 있다(Hwang & Byun, 2017). 따라서 추상적 표현의 특성으로는 자연물의 형 태를 모방하되 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일부의 변형을 통한 유기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조나 형태적으로서 유기적인 특성을 표현하고, 그와 이어 지는 전체적인 부분에서 자유로운 자연의 이미지를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자연 소재와 지역적 특성을 활용한 유기성 표현은 디자이너의 작품과 자연과의 조화를 고려한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며,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재료들을 활용 하여 형태를 표현한다. 또한, 소재에 대한 새로운 접 근으로 볼 수 있으며 유기적 디자인으로서 소재활용에 있어서 재해석이 이루어 질 수 있다(Hwang & Byun, 2017). 자연 요소와의 조합은 주변 환경에서 볼 수 있 는 재료 혹은 자연물의 활용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 적․종교적 특성을 표현하는 것도 포함한다. 유기적 건축가들은 건축물의 용도 및 기능과 더불어 세워지 는 지역의 전통을 고려하고 그것이 표현되어야 한다 고 주장했다(Hwang, 2005). 자연요소의 조합은 단순 한 재료 사용과 더불어 한 지역에서의 전통성을 알 수 있는 문화와 종교의 특성 또한 이에 포함되는 것이다.

    주관적 사고를 통한 유기성 표현은 디자이너의 주 관적 사고의 개념 안에서 디자이너의 감성 및 개인적 인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물체를 보 는 시선 또한 다르게 느껴지는 것으로 설명되며 유기 적 디자인의 특성으로 분류한다. 작가의 주관적인 상 상력이 더해진 것으로 인간의 창조욕구가 실현된 것 뿐만 아니라 디자인과정에서 인간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형태적으로 유기적인 특성을 보이는 것보다 자연에서 모티브를 얻어 추상적인 디 자인 방향으로 전개된다. 디자이너의 주관적 사고를 통한 표현은 형태가 뚜렷하게 보이는 유형체의 활용 과 함께 무형체로도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Ⅲ. Analysis of Organic Design Characteristics in Alexander McQueen’s Fashion Design

    알렉산더 맥퀸은 자연적 요소를 주로 적용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동․식물의 사용과 함께 빅 토리아 시대에서 많은 영감을 받아 디자인 요소로 활 용하며, 모피, 깃털, 산호, 뿔, 나비 등의 자연물을 그 의 창작물의 지속적인 특징으로 컬렉션에 사용해왔 다. 맥퀸은 19세기와 20세기에 나타난 낭만주의자들 과 같이 인간의 심연과 같은 내면의 깊은 곳을 비현실 적인 것들의 재구성을 통해 아름답게 표현해낸다는 것이다(Kim, 2012). 맥퀸이 자신의 작품에서 동․식 물을 사용하는 것은 단순한 참조적인 영감이라기보다 는 빅토리아 시대와 관련한 상상력의 작용에 부응하 는 것으로 본다. 그는 자연물들을 형태적으로 모방에 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마치 프랑켄슈타인과 같은 동물들의 서로 다른 부분들을 연결시켜 새로운 동물을 만들어내는 작품을 보여주었 다(Fennetaux, 2018).

    본 연구에서는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 디자인에 나 타난 유기적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그의 살 아생전 작품 활동 기간인 1995년도 Summer 시즌 컬 렉션부터 그의 마지막 행보인 2010년 Fall 시즌 컬렉 션까지 15년간의 컬렉션 총 31개 시즌을 분석 범위로, 컬렉션의 리뷰 자료를 바탕으로 유기적 디자인 사례 를 수집하였다. 31개 시즌 총 1,864개의 컬렉션 사진 사례 중 유기적 특성을 나타낸 디자인은 702개로 수 집되었으며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표현 방법 및 특성의 분류 기준을 통해 분석한 결과, 알렉산더 맥퀸의 유기적 디 자인 특성은 자연의 형태와 구조를 활용한 형태의 재 현, 유기체의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성, 유기체의 성 장과정 표현을 통한 연속성, 자연 소재와 지역․문화 적 특성을 활용한 구조적 특성, 주관적 사고를 통한 상징적 표현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자연의 형태와 구조를 활용한 형태의 재현은 유기체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표현하여 직접 적으로 나타내는 특성과 자연체의 형태와 구조를 형 상화한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유기체의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성은 시간의 흐름에 관련하여 나타 나는 유기체의 형성과정을 표현하였으며, 형태로써 나타내는 기능 및 물체가 가지는 성질 등을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기체의 성장과정 표현을 통한 연속성에서는 생성과정 혹은 진화과정에 있어 보이는 모습을 디자인에 담아 재해 석하는 디자인으로 표현되었다. 넷째, 자연 소재와 지 역․문화적 특성을 활용한 구조적 특성으로는 주변에 서 볼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여 하나의 디자인 요소로 서 사용하며 자연 요소와의 혼합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연 소재를 활용하여 소재의 형태 뿐만 아니라 가지고 있는 특성을 표현하며, 주변 자연 환경에서 나타나는 특정 지역성 혹은 지역에서 나타 나는 문화적 특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섯째, 주관 적 사고를 통한 상징성의 표현은 디자인을 함에 있어 추상적인 면이 많이 부각되고 부가적으로 기하학적인 모습으로, 유기적인 측면이 보여지고 디자이너의 상 상력과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해석되는 자연 형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알렉산더 맥퀸의 유기적 디자인 표현 특성은 상호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다.

    1. Reproduction of a form us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nature

    자연은 알렉산더 맥퀸에게 지속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Wilcox, 2015).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 나 타난 형태적 재현은 인간의 몸체 및 내부기관을 포함 한 다양한 유기체들을 모티브로 하였다. 직접적으로 인용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물체의 구조 혹은 모 양새를 의복의 바탕 혹은 외형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모습을 변형하 거나 이상화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를 묘사하고자 하 는 것으로 사실주의적인 경향을 보여준다.

    알렉산더 맥퀸은 형태의 효율적인 묘사를 위해 자 연물의 구조를 이용하여 실루엣상에서 형태를 유추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으며, 사실적인 묘사를 위하여 자수와 페인팅 등의 수공예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을 추구했다. 그의 패션에서는 동물의 생김 모양새를 그 대로 직물에 프린트하여 인체의 굴곡에 따라 보여지 는 모습으로 사실감을 더해주며, 식물을 이용하여 자 연적인 주제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한 동물의 가죽 을 디지털 이미지로 패턴화하여 묘사하고자 하는 생 물을 특징적으로 표현하였다(Wilson, 2015).

    알렉산더 맥퀸의 디자인에는 인간의 외형을 직물 에 프린트하여 흐르는 굴곡에 따라 사실적으로 묘사 하기도 하였는데, 생명체를 가진 유기체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그 안에는 인간 또한 포함된다는 개념과 일 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의 모습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디자이너가 보여주고자 하는 내용을 보다 확실하게 전 달하여 청중들이 디자인 요소에 이해하기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인체의 형체가 보여지는 디자 인을 선보였던 알렉산더 맥퀸은 주로 여성의 몸을 이 용하여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였고, 단순한 외적 표현 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표현하고자하는 의미를 담아내 었다. 목재를 사용하여 의복을 만들었으며, 단단한 소 재를 이용하여 여성의 가슴과 몸의 굴곡이 그대로 드 러나는 유연하고 사실적인 드레스로 표현하였다.

    내부적인 요소가 외형으로 드러나는 것은 기능적 인 요소가 형태를 결정한다는 유기적 디자인의 의미 로 볼 수 있다.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도 개별적인 요소가 전체로 이루어진다는 유기적 특성을 반영하여 이와 같은 예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인체의 형태 와 구조를 결정하는 뼈대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기존의 패션디자인에서 나타나는 구조에서 벗어나 탈 구조적인 모습을 보이며 직접적인 묘사 방법으로 표 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알렉산더 맥퀸의 컬렉션 사진 자료 중 자연물을 통 하여 형태적 재현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대표적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앤티크한 느낌의 레이 스가 층층히 달린 드레스와 가젤 뿔의 형태에 레이스 를 뒤집어쓴 헤드피스(Fig. 6)와 직접 페인팅하여 사 실적으로 나비를 묘사한 나비 부케의 모자(Fig. 7), 박 제한 실물 새와 깃털 이미지를 이용한 헤드피스와 스 커트 디자인(Fig. 8) 등으로 유기적 패션 디자인의 디 자인 요소로 활용되었다. 또한 쿠튀르 수준의 정교함 을 엿볼 수 있는 2007년의 컬렉션에서는 실제 꽃을 활용하여 드레스 전체를 장식하여(Fig. 9) 테마에 대 한 이해도를 높였으며 이것은 유기체의 모습을 형태 그대로 모방하여 극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여진 다. 유기체의 형상을 평면구성을 통하여 의복에 직접 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식물과 동물의 형태를 전사하 여 그 모습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기도 하였으며, 인간 의 모습 또한 같은 방식으로 묘사되었다(Fig. 10). 인 체를 활용하거나 인간에게서 형태적 영감을 받아 컬 렉션에서 자주 선보였던 맥퀸은 인체의 굴곡이 드러 나는 상의로 인간의 몸에 대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 다. 내부적인 기능과 구조가 보이는 작품의 제목과 같 이, 척추를 활용한 코르셋(spine corset) <Fig. 11>은 형태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을 잘 나타내는 사례로 나 타났다.

    2. Abstraction through application of organic form

    유기체 형태의 응용을 통한 추상성은,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성질이나 형태를 자연의 형상 속에 서 추상적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대상에 대한 특징을 명확하게 찾아 그에 대하여 유추하여 표현할 수 있어 야 한다. 따라서 자연물의 부분을 응용하기도 하며 구 조에서 나오는 곡선 등을 기하학적인 모습으로 활용 하기도 한다.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 나타난 추상적 표현은 인 체의 구조적인 모습을 부분적으로 변형하여 코르셋의 형태로서 특징을 나타내거나, 자연계에 대한 산업화 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자연물 의 표면을 특징으로 하여 질감 표현에 집중하였다. 동․식물을 포함하여 파충류의 표면에 나타나는 패턴 을 디지털 프린팅하여 추상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인체의 곡선을 따르는 실루엣과 함께 약간의 변형을 통한 실루엣을, 이와 같은 유기적 표현특성을 연상시 키게 하는 디자인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 다. 동․식물의 외형을 시각화한 것 이외로 내부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에서 영감을 얻어 동식물의 구 조를 추상적으로 표현하거나, 생물체의 구조를 부분 적으로 인용하여 상징적으로 묘사하기도 하였다.

    알렉산더 맥퀸은 대중들이 세부 디테일을 충분히 점검할 수 있을 만큼 명료함을 강조하면서 동물의 깃털 등을 이용하여 추상적인 패턴으로 적용시켰다 (Mower, 2008). 이와 더불어 생물체의 성질 및 상태 등을 느낄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생물에 대한 표현을 극대화시키며 실루엣을 완성시켰 다. 또한 동․식물의 형태를 은유적인 그림자 형태로 나타내어 크기의 변화를 주며 점진적으로 모습을 나 타내는 방법으로 요소를 표현하였다. 맥퀸은 자연물 이 가지는 생물의 특성을 유추하여 표현하거나 동․ 식물의 패턴을 이용해 추상적인 실루엣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간의 과장된 실루엣으로 형태를 표현하거나 부분에 대한 변형을 통해 디자인 방향성 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유기체의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적 표현의 디자인 을 살펴보면, 나무의 주제로 나무를 입은 듯한 느낌이 연상되는 나무 질감의 묘사로 표현하였으며(Fig. 12) 파충류의 구조를 추상적인 구조(Fig. 13)로 디자인하 였다. 환경을 주제로 한 컬렉션에서 그는 누에고치의 표면의 느낌과 동물의 뼈대를 디지털 패턴화하여 의 복 전체를 구성하였으며, 재킷의 아래 부분은 마치 곤 충의 날개가 접힌 듯한 형태로 곡선을 이용하여 표현 하였다(Fig. 14). 2008년에 선보인 드레스는 드레이프 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쉬폰 소재를 이용하였고, 깃털 로 장식되는 명료함을 강조하고자 하였으며(Mower, 2008), 새의 깃털을 형상화한 것과 어우러져 새의 추 상적인 모습이 표현되었다(Fig. 15). 맥퀸은 새를 자연 적 모티브로 주로 사용하였으며 디자인 요소와 더불 어 형태적인 측면에서도 추상적으로 유기체를 표현하 여 곡선의 활용으로 곤충의 구조와 형태에 대하여 은 유적으로 표현하였다(Fig. 16). 또한 식물의 표현으로 나무의 뿌리의 형태를 추상적인 곡선 모양으로 자수 를 이용하여 의복에 적용하였다(Fig. 17).

    3. Continuity through expression of the growth process of organisms

    유기체의 성장과정은 모든 생물이 시간의 흐름을 통해 성장하고 변화하는 성장과정을 뜻한다. 이에 대 한 재해석이란 시간성을 갖는 개념들을 기반으로 디 자인에 적용하여 재구성하는 것이다. 유기체의 성장 과정 표현을 통한 연속성은 자연물의 내부적인 요소 가 외부적인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을 바탕으 로 디자인된다. 재해석은 형태와 구조에 있어 형성되 는 모양새에서 기하학적인 패턴 등으로 나타나며 유 기적 패션 디자인의 특성으로 기존의 디자인적 형태가 아닌 디자이너의 의도와 함께 감각적으로 보여진다.

    연속성은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자연물의 시간성과 관련하여 말 그대로 성장과정 즉 변화하는 과정을 정지된 형태로 서 시각화하여 디자인하는 것이다. 외형적으로 나타 나는 변화뿐만 아니라 내부적인 요소가 밖으로 드러 나면서 형태화하여 표현되는 것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모든 생물이 자라나는 것에는 아주 기본적인 요소가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념을 바탕으로 세 포 분열과 같은 작은 요소들이 디자인을 구성하며 기 하학적인 무늬 혹은 형태로 함께 표현되었다. 물체가 가지는 성질과 특성에 따라 자라나는 모양새가 다른 것처럼, 질서 속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디자인의 개념 으로 잡아 유기적 패션 디자인으로 전개되었다.

    알렉산더 맥퀸은 유기체의 성장과정 속에서 시간 의 흐름을 알아볼 수 있는 기능적인 측면을 시각화하 여 사용하였다. 또한 모든 생명체의 구성이자 생명력 을 의미하기도 하는 세포 혹은 결정체와 같은 것들을 요소로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가는 모습이 나 불규칙적인 규칙들을 내보이며 유기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성장과정 즉, 변화과정 은 동․식물에서만 보여지는 것이 아닌 자연에 존재 하는 모든 것들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환경 안에서 도 적용되었다. 꽃잎의 층을 설명하거나 식물이 성장 하는 듯한 형태와 자연환경의 깊이를 표현하는 명암 의 차이와 인간의 피부와 피부 그 사이에서의 내용을 전개했던 디자인에서도 이와 같은 표현 특성이 나타 났다(Fig. 18).

    유기체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적 표현에 관한 알렉 산더 맥퀸의 컬렉션에서 나타난 대표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환경을 주제로 했던 2009년 컬 렉션에서 나무의 나이테 무늬를 활용하여 의복 전체 를 구성했다. 이는 식물에서의 변화과정에 속하는 나 이테의 문양을 디지털 프린트로 나타냈다고 볼 수 있 다(Fig. 19). 1999년 컬렉션에서는 스노우볼 안의 모 습을 테마로 진행하여 눈송이 결정의 모습을 기하학 적 무늬로 설명하거나, 크리스털의 각기 다른 크기들 로 구성된 조끼형태로 눈의 결정체들의 형성과정 등 을 설명하였다고 볼 수 있다(Fig. 20). 맥퀸은 드레스 자체를 마치 꽃처럼 활용하여 꽃잎을 층층이 엮어 하 나의 꽃으로 생성되어 가는 듯하게 디자인을 전개하 였고(Fig. 21), 자연의 역학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매 력을 느꼈던 맥퀸은 날아가는 새들의 깃털에서 영감 을 받아 깃털을 활용하여 날개 속 깃털들의 층 형성을 재해석하였다(Fig. 22). 2001년 컬렉션에서 플라스틱 조각과 깃털의 조화가 돋보이는 드레스를 인간의 피 부와 피부 사이 흐르는 혈액이 구성되는 형상을 재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Fig. 23).

    4. Structure that utilizes natural materials and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자연 및 지역․문화적 요소 활용을 통한 구조성은 자연 요소를 활용한 표현 및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것 을 사용하여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활용하는 것과 주 변 환경이 포함되는 개념이다. 지역 및 문화적 특성 또한 유기성을 표현할 수 있는 원리로 포함되는 것으 로, 패션에서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특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건축과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작품이 자연의 일부분이 되는 형식으로 배치하여 자연에 예속되는 새로운 영역으로서 자리 매김되는 것이었다면, 맥퀸 의 패션을 통해 알아본 결과 패션에서는 자연적 소재 의 활용 측면을 통해 디자인이 자연에 예속되는 것으 로 자연성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24).

    자연의 역학에 관심이 많았으며 자연의 아름다움 을 표현하는 데 노력했던 알렉산더 맥퀸은 특히 자연 적 요소의 활용에 있어 컬렉션과 밀접한 관계가 있 다. 그는 디자인 요소로서 주로 조개, 깃털, 뿔, 나무, 동물의 가죽 등을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Wilcox, 2011). 또한 소재의 활용에 있어 장식적인 트리밍으로 사용하거나 가공을 거쳐 표현하려 하는 주제를 담고자 하였다. 혹은 장식의 의미로 사용하기 위하여 추상적인 형태로 재료를 통해 재해석했다. 물 질적 표현 방법은 유기주의적인 의미를 내재하여 생 물과 인간에게 보다 더 밀접하게 관련되고 융합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보다 유기적인 이미지로서의 시 각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 나타난 자연 요소를 이 용한 유기성은 소재 측면과 더불어 지역 및 문화적 특 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및 문화적 특성 이란, 지역에서 나타나는 문화적인 측면이나 전통적 인 요소를 고려하여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모티브 소 재로 삼아 표현해내는 것이다. 지역에서 나타나는 공 간적 이미지가 패션에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하여 고 정된 관념을 벗어나 새로운 시각적인 요소로 전개되 었으며, 시대와 시대의 혼합 혹은 동․서양의 융합 등 을 지역 혹은 민족의 특징 속에서 찾아내어 그의 창의 성으로 풀어내었다.

    맥퀸의 작품에서 나타난 자연 요소를 활용한 유기 성 표현에 대한 대표적 디자인 사례로, 1996년에 선보 인 컬렉션에서는 동물의 깃털을 코트의 칼라와 소매 부분의 장식적인 트리밍으로 사용하였고, 새의 깃털 을 헤드피스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Fig. 25). 장식적인 용도로서 활용을 하기도 하지만 의복 전체의 재료로 활용하며 자연물을 주제로 하는 컬렉 션의 느낌을 성공적으로 살려내었다. 2001년 선보인 컬렉션은 자연물의 활용과 정신병원 두 개의 테마를 담고 있으며 그는 홍합 조개를 재료로 활용하고 층층 이 엮어 이브닝드레스의 실루엣으로 나타내었다(Fig. 26). 맥퀸은 소재를 활용하여 테마에 대한 표현도를 높이기도 하였는데, 1999년 선보인 스노우 볼의 테마 컬렉션에서 퍼를 이용한 코트로 눈송이에 대한 느낌 을 잘 살렸다고 볼 수 있다(Fig. 27).

    맥퀸은 자연 소재를 주로 활용하여 컬렉션에서 선 보였으나 주변 환경 즉, 특정 지역의 특성에 관련된 것을 이용하여 디자인에 전개하기도 하였다. 이국주 의는 광범위하여 지역성을 띠는 실루엣이나 재료를 활용하기도 하고, 민족적 특성을 나타내는 장식을 이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28). 이러한 지역적 특성 을 활용한 디자인에서는 지역의 혼합, 시대의 혼합에 대한 디자인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5. Symbolic expression through subjective thinking

    자연 요소는 형태가 보이는 동․식물을 포함하여 빛, 바람, 소리, 파도 등 자연 안에 속하는 것이지만, 고정된 형태로서 존재하는 것들이 아닌 환경적 요소 또한 이에 포함된다. 디자이너의 주관적 사고에 의한 상상력으로 출현한 창조적 생명체 또한 속하며 패션 에서의 유기적 디자인 특성으로 디자인에 표현된다. 디자이너의 상상력과 경험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로 자연 형태는 창의적인 방향으로 제시될 수 있다.

    알렉산더 맥퀸의 창의성은 디자인의 예술성과 패 션쇼를 통하여 나타났는데, 그의 창의력과 상상력은 의복의 물리적 제약을 뛰어 넘는 디자인으로 선보였 다(Wilcox, 2015). 맥퀸은 자유로운 창의성으로 인체 의 굴곡을 드러내며, 함축적인 의미를 담은 디자인을 나타내거나 다채로운 색채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도 한 다. 곡선적인 느낌의 주름 사용은 유기적인 표현을 유 지하면서도 자신만의 스토리로 유기적 패션 디자인을 전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식물의 서로 다른 부분 들의 조합으로 새로운 형태를 창조해내거나, 그의 상 상력을 이용하여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내어 그것을 작품으로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그것은 때로 기괴하 게 보여지거나 형태적으로 기하학적으로 나타내어 그 것으로부터 느껴지는 아름다움을 표현해냈다.

    알렉산더 맥퀸은 눈(eye)을 주제로 했던 2000년 컬 렉션에서, 인간의 눈을 모티브로 삼아 전체적인 컬렉 션 테마에 디자인 요소로서 활용하였다. 그는 인체의 곡선을 따라 실루엣을 만들며 눈의 모양을 떠올리는 디자인으로 재구성하였다(Fig. 29). 또한 그는 바다에 서 벌어지는 내용으로 열대우림의 느낌을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재해석하여 선보였으며, 열대우림의 모습을 다양한 색채와 패턴을 통해 묘사하며 열대우림 속 존 재하는 새의 형상을 의복을 통해 창의적으로 표현하 였다(Fig. 30). 알렉산더 맥퀸의 창의성은 생애 마지막 컬렉션이었던 2010년 컬렉션에서 잘 나타났다. 인간 화된 해파리의 재현, 심해 해양생물의 인간화 혹은 인 간과 해양생명체의 융합을 주제로 하여 새로운 유기 체를 만들었으며, 나방 혹은 뱀의 패턴으로 디지털 영 상화하여 그것을 작품으로 표현해냈다(Wilson, 2015). 생명체의 무늬를 패턴으로 활용하였고 구조적인 디자 인과 곡선으로 해양유기체에 대하여 표현했다. 또한 심해 바다의 흐름 또한 색채와 흐르는 듯한 곡선의 느 낌으로 재해석하며 패션계뿐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 도 많은 주목을 받았던 아르마딜로 슈즈는 뱀가죽으 로 제작되었다. 비늘로 덮힌 듯한 드레스를 형태적으 로 그의 상상력이 더해져 유기적인 디자인으로 나타 났다(Fig. 31).

    이와 같이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 디자인에는 자연 의 영향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Wilcox, 2015), 유기적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Ⅳ.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자연주의 트렌드가 다시 주목되면서 현대 패션에서 나타나는 알렉산더 맥퀸의 유기적 패션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유기적 개념과 유기적 디자인의 의미를 살펴보고, 유기적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과 건축,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나타난 유기적 디 자인 표현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기준을 삼고, 알렉산 더 맥퀸의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총 31개의 컬렉션 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기적 디자인은 과거 예술사조로부터 계승되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추구하는 의미에 따라 변화되어 전개되었다. 산업혁명에 대한 반감으로 일어난 미술 공예운동은 단순한 형태와 선형을 사용하여 형태, 기 능, 장식을 일체화시키는 특징으로 자연 형태의 활용 을 기반으로 전개되었으며, 이 운동에서 계승된 아르 누보도 자연물의 활용을 바탕으로 유기적인 형상을 담대하게 표현하여 양식화하였다. 이러한 예술사조들 의 영향으로 진전된 유기적 스타일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영향을 받아 개별 요소와 작품은 기능과 하 나로 연결된다. 또한 전체와의 조화를 나타내는 것으 로 보는 전체성을 추구하며 유기적 디자인에 대한 개 념으로 자리 잡았다.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 작품에서 나타나는 유기적 디자인 특성은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맥퀸의 패션에서 나타난 특성 중 자연의 형태와 구조를 활용한 형태적 특성은 동․식 물 및 무형체를 오브제로서 사용하여 유기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속에는 인간 또한 모티브의 대상으 로 속하며 직접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를 추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물체의 구조 혹은 모양새를 의복의 바 탕 혹은 외형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성으로 설 명할 수 있다.

    둘째, 유기체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성은, 나타내고 자 하는 대상을 추상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체의 구조적인 모습을 부분적으로 변형하여 특징을 나타내거나, 자연물의 표면을 특징으로 삼아 시각화 하여 설명한다. 맥퀸은 자연물이 가지는 생물의 특성 을 유추하여 표현하거나 동․식물의 패턴을 이용해 추상적인 실루엣을 디자인에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 었다.

    셋째, 유기체의 형성과정 표현을 통한 연속성은 유 기체의 점진적 성장에 따른 표현특성으로, 자연물의 내부적인 요소가 외부적인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 을 바탕으로 디자인이 재해석된 것이다. 세포 분열과 같은 요소들로 기하학적인 무늬 혹은 형태 등을 이루 는 것을 말한다. 물체가 가지는 성질과 특성에 따라 자라나는 모양새가 다른 것처럼 그 질서 속에서 나타 나는 특징을 유기적 패션으로 전개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연소재와 지역․문화적 특성을 활용한 구 조성의 표현특성은, 자연요소를 활용한 표현 및 재료 의 물리적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소재의 활용 측면을 통해 디자인이 자연에 예속되는 것으로 자연성을 표현한 것이다. 맥 퀸의 패션 디자인에는 자연요소 활용과 더불어 지역 및 문화적 특성을 적용하여 전통적인 요소를 고려한 디자인으로 새로운 모티브의 소재로 삼아 표현한 것 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주관적 사고를 통한 상징성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이 자연에서 나타나는 요소인 것으로 환경 적 요소와 더불어 창조적 생명체도 속한다. 창의성을 바탕으로 표현하는 패션 디자인에서 이러한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났다. 자연적 요소의 활용은 맥퀸의 패 션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동․식물의 부분 조합으로 새로운 형태를 창조해내거나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등 창의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는 인체의 활 용과 자연요소의 소재적 활용 및 창조적인 형태 추구 를 통하여 상징적인 디자인 표현 등 유기적 디자인 요 소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 구를 바탕으로 향후 패션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기적 디자인이 다양한 방향과 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 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gure

    RJCC-30-2-262_F1.gif

    Falling water Reprinted from Organic Architecture. (2017). http://www.independent.co m.mt

    RJCC-30-2-262_F2.gif

    Antonio Gaudi, Casa Battlo Reprinted from Mako. (n.d.). https://www.researchgate.n et

    RJCC-30-2-262_F3.gif

    Mercedes-Benz, bionic car Reprinted from “Bioniccar 11”. (n.d.). https://en.wikipedia.org

    RJCC-30-2-262_F4.gif

    Alvar Aalto, savoy vase Reprinted from Koepe. (2022). https://www.britannica.com

    RJCC-30-2-262_F5.gif

    Egg chair. Arne Jacobsen for Fritz Hansen. 1958 Reprinted from Modernity Stockholm. (n.d.). http://www.modernity.se

    RJCC-30-2-262_F6.gif

    Alexander McQueen F/W 2006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Korea. (n.d.a). https://runway.vog ue.co.kr

    RJCC-30-2-262_F7.gif

    Alexander McQueen S/S 200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Korea. (n.d.b). https://runway.vo gue.co.kr

    RJCC-30-2-262_F8.gif

    Alexander McQueen spring 2001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a).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9.gif

    Alexander McQueen spring 2007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b). https://www.vogue .com

    RJCC-30-2-262_F10.gif

    Alexander McQueen fall 1996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c).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11.gif

    Alexander McQueen spring 199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d). https://www.vogue. com

    RJCC-30-2-262_F12.gif

    Alexander McQueen fall 200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e).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13.gif

    Alexander McQueen S/S 200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Korea. (n.d.b). https://runway.v ogue.co.kr

    RJCC-30-2-262_F14.gif

    Alexander McQueen S/S 2009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Korea. (n.d.c). https://runway.vo gue.co.kr

    RJCC-30-2-262_F15.gif

    Alexander McQueen S/S 200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Korea. (n.d.b). https://runway.vogu e.co.kr

    RJCC-30-2-262_F16.gif

    Alexander McQueen fall 2008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e).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17.gif

    Alexander McQueen spring 2003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f).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18.gif

    Alexander McQueen spring 1996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g).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19.gif

    Alexander McQueen S/S 2009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Korea. (n.d.c). https://runway.vo gue.co.kr

    RJCC-30-2-262_F20.gif

    Alexander McQueen fall 1999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h).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21.gif

    Alexander McQueen spring 2007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b).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22.gif

    Alexander McQueen fall 2006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Korea. n.d.a). https://runway.vo gue.co.kr

    RJCC-30-2-262_F23.gif

    Alexander McQueen S/S 2001 Reprinted from Bolton. (2011). p.105.

    RJCC-30-2-262_F24.gif

    Alexander McQueen fall 2000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2015a).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25.gif

    Alexander McQueen spring 1996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c). https://www.vog ue.com

    RJCC-30-2-262_F26.gif

    Alexander McQueen S/S 2001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a). https://www.vog ue.com

    RJCC-30-2-262_F27.gif

    Alexander McQueen fall 1999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h). https://www.vogu e.com

    RJCC-30-2-262_F28.gif

    Alexander McQueen fall 2000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2015a). https://www.vogue.com

    RJCC-30-2-262_F29.gif

    Alexander McQueen spring 2000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2015b). https://www.vogue.com

    RJCC-30-2-262_F30.gif

    Alexander McQueen spring 2003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n.d.i). https://www.vogue.com

    RJCC-30-2-262_F31.gif

    Alexander McQueen S/S 2010 ready to wear Reprinted from Vogue Korea. (n.d.d). https://runway.vogue.co.kr

    Table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expression of organic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Alexander McQueen’s organic design

    Reference

    1. Bioniccar 11. (n.d.). In Wikimedia Commons. Retrieved February 25, 2022, from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ioniccar_11.jpg
    2. Bolton, A. (2011). Alexander McQueen savage beauty.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3. Fennetaux, A. (2018). Birds of a feather: Alexander Mcqueen’s Victorian bestiary. Proceeding of the Comforting Creatures / 57e Congrès de la SAES: (Re)Construction(s), 88 Automne.
    4. Han, H. S. , & Kim, M. D. (2004). A study on the organic design in Karim Rashid’s work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3(2), 56-63.
    5. Hwang, K. C. , & Byun, S. T. (2017).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expression in product design -Focusing on example designs by Ross Loveglove.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0, 487-498.
    6. Hwang, T. J. (2005). A study on the organic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Journal of Science & Culture, 2(3), 103-117.
    7. Jung, E. C. (2015).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organic design and design features of Ross Loveglo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4), 621-631.
    8. Jung, I. Y. (2011). The organic expressio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digital architecture: Focused on the Jaha Hadid architec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9. Kang, B. (2008). A study of organic form applied in design.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1(1), 1-8.
    10. Kim, G. S. , & Lee, S. I. (2014). Focused on those organic furniture designs -Since the 20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5(3), 188-197.
    11. Kim, J.-Y. , & Woo, K.-D. (1999). A study on the organic expression principles of the 20C. Architectur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8, 51-58.
    12. Kim, Y. (2012). A study on romantic characteristics seen through Alexander McQueen’s fashion brand.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0(4), 193-202.
    13. Kim, Y. , & Yoo, Y. (2009). A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odernism design i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10), 98-110.
    14. King, I. (2010, June 4). Hugo Häring - Gut Garkau. Flick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flickr.com/photos/isaiahj/4706405817
    15. Koepe, H. F. (2022, January 30). Alvar Aalto finnish architect.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Alvar-Aalto
    16. Lee, J. K. (2015). Understanding of modern architecture. Daegu: Keimyung University Press.
    17. Lee, K. T. , & Park, D. Y. (1993). A study on five types of design principles in organic architec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4(4), 11-21.
    18. Lee, O. S. (2009).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esign application for inducing an organic characteristic of nature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furniture types expressing-.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0(4), 388-403.
    19. Lee, Y. H. (2001). An analytical study on the contexts of organic design.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2(1), 23-31.
    20. Lee, Y. S.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its of organic expression appearing interior space by artist: Focused on the works by Zaha Hadid, Karim Rashid, Fabio Novembre and Nox.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Korea.
    21. Mako, V. (n.d.). Antonio Gaudi, ceiling in the main salon, Casa Battlo, Barcelona, 1904-06.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Antonio-Gaudi-Ceiling-in-the-Main-Salon-Casa-Battlo-Barcelona-1904-06_fig3_301296879
    22. Modernity Stockholm. (n.d.). Armchair and foot stool, Egg chair. Designed by Arne Jacobsen for Fritz Hansen Denmark. 1958.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modernity.se/arm-chairand-foot-stool-egg-chair-designed-by-arne-jacobsen-for-fritz-hansen-2/
    23. Moon, E.-M. (2006). The characteristics of Frank Lloyd Wright’s furniture design focused on organic integratio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5(4), 115-122.
    24. Mower, S. (2008, February 28). Alexander McQueen spring 2008 ready-to-wear review. Vogue.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08-ready-to-wear/alexander-mcqueen#review
    25. Organic. (n.d.). In 표준국어대사전 [Standard Korean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8ee4bacb1944807aa416cbf45e82dba
    26. Organic Architecture. (2017, June 27). Fallingwate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independent.com.mt/articles/2017-06-27/local-news/FIRST-Organic-Architecture-6736175387
    27. Park, K. , & Lee, Y. (2013).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5), 613-628.
    28. Park, S. J. (2003). A study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organic design concept in modern design. Journal of Design & Arts, 5, 1-20.
    29. Park, Y. S. (2014). 현대 디자인의 역사 [History of modern design]. Paju: Idam Books.
    30. Song, J. H. (2011). Design study. Seoul: Vizandbiz.
    31. Song, S. M. , & Kim, H. S. (2015). A research on expressionalcharacteristic elements of organic design morphology -Focused on heterogeneous contex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3), 393-405.
    32. Vogue. (2015a, October 3). Runway, Alexander McQueen fall 2000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00-ready-to-wear/alexander-mcqueen
    33. Vogue. (2015b, October 3). Runway, Alexander McQueen spring 2000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00-ready-to-wear/alexander-mcqueen
    34. Vogue. (n.d.a). Runway, Alexander McQueen spring 2001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01-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24
    35. Vogue. (n.d.b). Runway, Alexander McQueen spring 2007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07-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46
    36. Vogue. (n.d.c). Runway, Alexander McQueen fall 1996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1996-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31
    37. Vogue. (n.d.d). Runway, Alexander McQueen spring 1998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1998-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71
    38. Vogue. (n.d.e). Runway, Alexander McQueen fall 2008,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08-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6
    39. Vogue. (n.d.f). Runway, Alexander McQueen spring 2003,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03-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32
    40. Vogue. (n.d.g). Runway, Alexander McQueen spring 1996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1996-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68
    41. Vogue. (n.d.h). Runway, Alexander McQueen fall 1999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1999-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54
    42. Vogue. (n.d.i). Runway, Alexander McQueen spring 2003,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20, 2021,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03-ready-to-wear/alexander-mcqueen/slideshow/collection#43
    43. Vogue Korea. (n.d.a). Alexander McQueen fall/winter 2006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runway.vogue.co.kr/2008/10/15/ready-to-wear-2006-fw-alexander-mcqueen/#0
    44. Vogue Korea. (n.d.b). Alexander McQueen spring/ summer 2008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runway.vogue.co.kr/2008/10/15/ready-to-wear-2008-ss-alexander-mcqueen/#0
    45. Vogue Korea. (n.d.c). Alexander McQueen spring/ summer 2009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runway.vogue.co.kr/2009/06/08/ready-to-wear-2009-ss-alexander-mcqueen/#0
    46. Vogue Korea. (n.d.d). Alexander McQueen spring/ summer 2010 ready to wear. Retrieved December 15, 2021, from https://runway.vogue.co.kr/2009/10/16/ready-to-wear-2010-ss-alexander-mcqueen/#0
    47. Wilcox, C. (2015). Alexander McQueen. London: Victoria and Albert Museaum.
    48. Willson, B. (2015, March 7). Fierce, feathered and fragile: How Alexander McQueen made fashion an art. The guardian. Retrieved November 10, 2021, from https://www.theguardian.com/books/2015/mar/07/fierce-feathered-fragile-alexander-mcqueen-life
    49. Yim, E. H. (2016). Organic geometry in Isabel Toledo’s collection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8(4), 63- 75.
    50. Yoon, M. H. (2012).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design using organic forms of n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3), 284-296.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