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2 pp.243-261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2.243

The effect of Instagram beauty influencers’ attributes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Min-Seo Cho, Mun-Young Kim*
Master, Dept. of Fashion Business, Keimyu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Marketing, Keimyu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munyoung@kmu.ac.kr)
June 3, 2021 April 21, 2022 April 22, 202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auty influencer attributes on Instagram and their impact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on influential difference between micro and mega influencer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sumer survey method with a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506 women in their 20s and 30s using Insta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ange of influencer attribute sub-factor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expertise, attractiveness, similarity, reliability, and intimacy. Second, the attributes highly impacted product attitude in the increasing order of attractiveness, similarity, reliability, and familiarity, with expertise hav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hir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product introduced by the beauty influenc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urchase intention. Fourth, it was show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influencer’s number of followers. Fifth, the number of followers of the beauty influencer had a partial impact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age and gender samples are narrow, but it is nevertheless meaningful to explore this topic in the absence of research on beauty influencers. It is believed that these findings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influencer marketing strategies on Instagram.



인스타그램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 민 서, 김 문 영*
계명대학교 패션비즈니스학과 석사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스마트 폰(smart phone)의 대중화는 현대인의 삶에 많은 부분의 변화를 가져왔 다. 그중에서도 소셜 플랫폼 서비스(social platform service)는 정보통신의 발달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체제로, 기업에 의해 주도되는 텔레비전이나 신문과 같은 매스 미디 어(mass media)의 일방적 정보 제공에서 벗어나 소비 자들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양방향 교류가 중심이 되 는 시대를 만들었다. DMC Media(2020)에 의하면 지 난 4월 글로벌 웹 인덱스(global web index)에서 전체 소셜 플랫폼 이용자 중 47%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 셜 플랫폼 이용 시간이 더 길어졌다는 조사를 통해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양한 소셜 플랫폼 중에서도 인스타그램(Instagram)의 영향 력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2020년 6월 기준 국내 인스타그램 월 활성 이용자 수는 1,149만 명으로 이는 전년 대비 국내 소셜 플랫폼 중 2순위가 상승한 수준 이었다(DMC Media, 2020). 마케팅 전문 회사 트랙 메이븐(Track Maven)의 조사에 의하면 인스타그램 내의 한 게시물 당 이용자 참여율은 팔로워(follower) 1,000명당 평균 29.67개이다. 인스타그램 다음으로 많 이 쓰이는 소셜 플랫폼인 페이스북(Facebook)이 평균 16.54개임을 비교해보면 매우 높은 참여 수치임을 알 수 있다(Barker, 2018). 인플루언서(influencer)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소 셜 플랫폼의 계정 운영자 중 영향력을 가지는 개인을 의미한다. 특히 인스타그램의 패션․뷰티 분야에서의 인플루언서의 중요성은 인플루언서 마케팅 기업 클레 어(Klear)의 보고서에 따라 살펴보면, 2017년 인스타 그램의 모든 스폰서 게시물 중 25%를 차지한 분야가 패션, 액세서리 산업이라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Jee, 2019).

    오늘날 인플루언서들은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페이 스북 등 다양한 소셜 플랫폼을 통해서 매스미디어에 서는 다룰 수 없었던 자유롭고 한정적이지 않은 소재 를 다룸으로써 소비자에게 피로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제품의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자연스 러운 제품의 정보 제공을 통한 홍보 마케팅을 전개하 고 있다(Cheil Worldwide, 2016). 최근 소비자들은 브 랜드가 제공하는 광고보다는 본인들이 지지하는 인플 루언서에 대한 신뢰가 더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들 이 사용하는 제품이나 홍보하는 브랜드에 대한 일방 적인 지지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 결과 많 은 패션 브랜드들은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문회사인 마 브랙(Mavrak)의 자료에 의하면, 미국의 대형 코스메 틱 브랜드 ‘에스티로더(Estee Lauder)’에서 2019년 2 분기 마케팅 예산의 75%를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사 용하고 있다고 밝혔다(Katz, 2019).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에 대해 소비자의 지지 정도를 가지고 추정한다. 즉, 인플루언 서가 가지고 있는 지지자의 규모가 그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지지자의 규모에 따라 광고비용이 달라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인플루언서 를 지지하는 팔로워의 규모에 따른 영향력에 대한 연 구는 최근 조금씩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연구 결과의 의미가 미미하고, 타당도 부분에서 미진한 경향이 있 다. 특히 현재 뷰티 산업이 패션 산업과 따로 분류되 어 방대하게 커진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인스타그램에 서 활동하는 뷰티 인플루언서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뷰티 인플루언서 의 속성(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친밀성, 유사성)에 대 해 파악하고, 그 속성이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인플 루언서의 지지자의 수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인플루언서의 영향력 규모를 측정하 는 기준으로 사용된 팔로워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 고자 한다.

    Ⅱ. Literature Review

    1. Instargram marketing

    인스타그램은 ‘인스턴트(Instant)’와 ‘텔레그램 (Telegram)’이 더해진 단어로 ‘세상의 순간들을 포착 하고 공유한다(Capturing and sharing the world’s moments)’라는 목표로 2010년 출시된 사진과 동영상 중심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Jee, 2019).

    소셜 플랫폼의 선호도를 조사한 인플루언서 플랫 폼 진(Zine)의 조사에 의하면, 전 세계 패션․뷰티 관 련 인플루언서 78%가 가장 선호하는 소셜 플랫폼이 인스타그램으로 나타났으며, 2위는 블로그(16%), 3위 유튜브(4%), 4위가 페이스북(2%)이었다(You, 2018).

    소비자들 또한 인스타그램을 통한 제품 및 서비스 의 구매를 활발히 이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인스타그 램 아시아태평양 지역 선임 컨슈머 리서치 담당자 짐 스콰이어스(Jim Squires)는 인스타그램 내 특정 기업 및 브랜드 계정을 1개 이상 팔로우하는 이용자가 전체 이용자의 80%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였다(I. K. Kim, 2019). 뿐만 아니라 인스타그램 코리아에서 2019년 5 월, 만 13~64세 국내 이용자 2,000명을 조사한 결과 35%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실제로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85% 는 인스타그램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탐색해 본 경험이 있었으며, 63%는 인스타그램 계정에 연계된 브랜드의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방문해 본 경험 이 있었다고 하였다(S. J. Park, 2019). 오늘날 이와 같 은 인스타그램의 활성화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도구로의 인스타그램과 그것을 운용하는 인플 루언서의 영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2. Effectiveness of influencer marketing

    인플루언서는 소셜 플랫폼상에서 영향력과 파급력 이 높은 개인을 지칭하며, 소셜 플랫폼을 통해 제품에 대한 후기 및 평가를 직접 게재하여 소통하는 형식으 로 그들을 추종하는 지지자인 팔로워들에게 친밀감과 신뢰감을 중심으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한다(Yoo, 2018). 이들은 유명 연예인들과는 달 리 그들의 지극히 개인적인 사생활적인 부분까지 팔 로워들에게 게시물을 통해 공유하고 개인적인 의견을 피력하는 방식으로 소통하여 공인이나 연예인들보다 친밀하며 믿을만하다는 감정을 가지게 만드는 특징을 갖는다(H. Y. Park, 2019).

    소셜 플랫폼 상에서는 인플루언서를 추종하는 팔 로워의 규모를 기준으로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분류 하며, 팔로워에 따라 인플루언서의 마케팅적 능력을 평가하기도 한다(Lim, 2020). 2017년 KOTRA의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규모에 따른 소셜 인플루언서는 인 스타그램 팔로워 규모에 따라 5백 명 이하의 팔로워 를 보유한 ‘나노(nano) 인플루언서’, 5백 명에서 1만 명 사이의 팔로워를 보유한 ‘마이크로(micro) 인플루 언서’, 1만 명에서 100만 명 정도의 팔로워를 보유한 ‘매크로(macro) 인플루언서’, 100만 명 이상의 팔로워 를 보유한 ‘메가(mega) 인플루언서’로 구분할 수 있으 며, 이들은 1인 미디어를 운영하며 소셜 플랫폼 상에 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인플루언서는 소셜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과 프로모션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주 목을 받기 시작했다(Jang, 2020).

    중국의 경우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를 왕홍이라고 하는데, 중국 소비시장에서 의 왕홍 영향력은 시장점유를 위해 필연적으로 활용 해야 하는 마케팅 수단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중국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성공사례로 유명한 중국의 유명 왕홍인 뤄지쓰웨이는 2014년 춘절에 월병 4만 개를 판매하였는데, 이는 중국 스타벅스 전체 매장의 월병 판매량보다 많은 수치였다고 한다(You, 2017). 또한 미국의 경우 셀프 치아 미백 제품을 판매하는 하 이스마일(Hi-smile)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미국의 유명 인플루언서 카일리 제너(Kylie Jenner)에게 제품을 협 찬해준 결과, 단 한 개의 게시물로 1,600,000개의 좋 아요와 253,567개의 댓글을 받으며 창업 1년 6개월 만에 천만 달러 매출을 기록했다(Yoni, 2020). 이렇듯 인플루언서는 이용자 간 소통이 중심인 소셜 플랫폼 속에서 수많은 팔로워를 보유하면서 정보의 확산뿐만 아니라 여론형성을 주도하기도 해 그들에 대한 소비 시장에서 전략적 마케팅도구로의 관심이 계속 증가하 고 있다(Lee, Cha, & Yang, 2011).

    인플루언서를 신뢰하고 따르는 경향은 인스타그램 이용률이 높은 20대와 30대에서 높게 나타난다(H. W. Park, 2020). 인스타그램의 20대와 30대에서 높은 신 뢰도를 유지하는 이유를 찾기 위하여 글로벌 광고 플 랫폼 기업 크리테오(Criteo)는 밀레니얼 세대인 20대 와 3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그들의 쇼핑 특성을 발견하였다. 20대와 30대의 경우 온라인 쇼핑 시 가장 편하게 느끼는 것은 첫째가 이미지를 통 한 검색(68%)으로 응답하였고, 두 번째가 광고 내 구 매하기 버튼을 통한 쇼핑(57%)이라고 응답하였다고 한다(H. K. Kim, 2019). 이 조사 결과는 밀레니얼 세 대에 이미지 중심의 소셜 플랫폼의 중요성이 강조된 것으로 인스타그램 마케팅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 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3. Characteristics of beauty influencer

    뷰티 인플루언서는 소셜 플랫폼에서 메이크업 분야 와 관련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고, 본인이 사용한 화 장품이나 판매할 화장품에 대해 콘텐츠를 직접 제작 하고 연출하는 한 개인을 지칭한다(M. T. Lee, 2020). 이들은 뷰티 관련 콘텐츠를 기획, 촬영, 편집 제작하 여 소셜 플랫폼에 게재함으로써 뷰티 정보를 제공하 는 1인 크리에이터라고 할 수 있다. 뷰티 인플루언서 의 콘텐츠는 대표적으로 화장품에 대한 경험을 바탕 으로 제품에 대한 리뷰(review), 화장법에 대한 소개 등 자신만의 노하우를 제공하는 튜토리얼(tutorial), 여 러 가지 제품을 보여주고 설명하는 하울(haul)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이는 팔로워들에게 브랜드 행동 전환을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전환점이 된다(Kim, 2018). 아 모레퍼시픽의 홈에스테틱 화장품 브랜드 ‘홀리추얼’ 의 신제품 발매는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이 아닌, 인 기 인플루언서와의 협업을 통한 공구마켓으로 진행했 다. 뿐만 아니라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이 커지자 기업 에서는 직접 뷰티 인플루언서를 양성하기 시작했다. 애경산업의 ‘AK 러버 뷰티클럽’, 아모레퍼시픽의 화 장품 브랜드 에뛰드 하우스의 ‘뷰티즌 클럽’, LG생활 건강의 ‘내추럴 뷰티크리에이터’ 등 많은 뷰티 관련 브랜드에서 뷰티 인플루언서를 직접 양성하는 사업을 진행하였다(Bae, 2020).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은 광고효과에 영향을 주 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에 대한 선행연구로 브랜드 이 미지와 소비자 구매행동 등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이 이 루어져 왔다. 앞선 선행연구에서 인플루언서 속성을 광고모델 속성으로 적용한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 서도 광고모델의 속성을 뷰티 인플루언서 속성에 적 용하였다. 그 중 공신력 모델과 매력성 모델 2가지로 분류하는 Ohanian(1991)Dholakia and Sternthal (1977)의 분류가 가장 일반적이며 많은 선행연구에서 인용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새로운 유형의 광고모 델인 뷰티 인플루언서 역시 공신력모델과 매력성 모 델 이 두 가지 속성을 모두 아우른다고 볼 수 있으며,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행동 영향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뷰티 인플루언서와 유사한 유형 인 패션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신뢰성, 유사성, 매력 성은 패션정보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것 이 지속사용의도와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다는 Jee(2019)의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신력모델의 구성요소인 신뢰성과 전문성, 매력성모델의 구성요소인 매력성, 친밀성, 유 사성의 평가 속성이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정된 변수에 대한 선 행연구의 검토 및 가설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1) Reliability

    Seo(2020)는 신뢰성(진실성)을 “인스타그램 뷰티 인플루언서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솔직하고 정직 하게 진실된 이야기를 했을 것이라는 수용자의 믿음” 으로 정의하였다. Jee(2019)의 연구에서는 인스타그 램 패션 인플루언서의 신뢰성이 소비자의 정보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Yoo(2018) 는 뷰티 인플루언서의 신뢰성은 소비자의 제품 구매 의도에 있어 다른 속성(전문성, 매력성) 중 가장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뷰티 인플루언 서에 대한 신뢰성 역시 소비자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 여 뷰티 인플루언서의 신뢰성이 소비자의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H1-1: 뷰티 인플루언서의 신뢰성은 뷰티 인플루언 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 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Expertise

    뷰티 인플루언서의 전문성은 뷰티 콘텐츠 이용자 가 뷰티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를 시청하고 뷰티 인플 루언서가 제시하는 정보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내 포되어 있는지에 대한 인지 정도를 말한다(M. T. Lee, 2020). Y. J. Park(2020)은 소비자가 뷰티 인플루언서 의 제품평가를 믿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인식하면, 뷰티제품평가요인의 전문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Yoo (2018)는 뷰티 인플루언서의 전문성은 소비자의 제품 구매의도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반면 Park(2018)에 의하면 전문성요인이 인플루언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여 뷰티 인플루언서의 전 문성이 소비자의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H1-2: 뷰티 인플루언서의 전문성은 뷰티 인플루언 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 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Attractiveness

    Seo(2020)는 매력성을 “인스타그램 뷰티 인플루언 서의 언어적․비언어적인 행동을 통해 수용자가 긍정 적으로 느끼는 호감의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Oh(2019) 는 인플루언서와 팔로워 간의 관계유지는 신뢰성보다 매력성이 더 높은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Park(2018) 은 소비자들이 인플루언서 자체의 외모적 매력성이 매 우 중요한 요인이라 평가하였다. You(2005)는 소비자 가 유명연예인과 전문 모델에 대한 호감이 높을수록 광고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호감은 모델 의 육체적 매력성이나 호감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뷰티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여 뷰 티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이 소비자의 제품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H1-3: 뷰티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은 뷰티 인플루언 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 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Familiarity

    선행연구에서 광고모델의 친숙성은 소비자가 모델 을 좋아하거나 매력적으로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정적 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가정하였다(M. T. Lee, 2020). 또한 친근한 모델은 거부감이 적기 때 문에 소비자들을 설득하기 쉽고 소비자들은 친근한 광고모델과 지속해서 관계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Kim, 2008). You(2005)의 연구에서도 응답자가 광고 모델과 친밀성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브랜드 태도의 호의성이 높아지며, 제품에 대한 설득력이 높아진다 하였다. 이에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여 뷰티 인플루언 서의 친숙성이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한다.

    • H1-4: 뷰티 인플루언서의 친숙성은 뷰티 인플루언 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 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5) Similarity

    정보수용자가 정보원에 대해 자신과 비슷하다고 인식하게 되면, 동질감을 느껴 정보원에 대해 심리적 인 매력을 느끼고 설득 메시지를 잘 받아들이는 경향 이 있다(S. M. Lee, 2020). 이는 You(2005)의 연구에 서 응답자가 광고모델과의 유사성이 높다고 생각할수 록 광고되는 제품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며, 제품이 설득력을 가진다고 나타났다. 또한 Jee(2019)의 연구 에서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패션 인플루언서가 자신과 유사하다고 느낄 때 패션 인플루언서를 매력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하였다. 따라서 뷰티 인플루언서에 게 유사성을 강하게 느낄수록 소비자는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다음 의 가설을 설정하여 뷰티 인플루언서의 유사성이 제 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 H1-5: 뷰티 인플루언서의 유사성은 뷰티 인플루언 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 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Attitude toward the product and intention to purchase

    제품태도는 어떤 제품의 중요한 속성에 대한 개인 의 중요한 신념과 이러한 신념의 선호와 비선호로 정 의된다(Fishbein & Ajzen, 1974;M. T. Lee, 2020). Zhao(2017)는 특정 제품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적 느 낌을 제품태도라고 하였다. 인플루언서를 통해 노출 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는 구매 행동을 결정하는 선 행지표로 생각할 수 있으며, 구매의도를 파악함으로 써 실제 구매행동을 예측해 볼 수 있다(I. H. Kim, 2019). Jeong(2019)의 연구에서는 천연화장품의 인스 타그램 마케팅은 고객의 제품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그 제품태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도 높아진 다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 는 제품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다음 의 가설을 설정하여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 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H2: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품에 대한 소 비자의 제품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해당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5. Differences in influencer’s impact on the number of followers

    인플루언서의 지지도를 증명하는 정기 구독자 규 모, 즉 팔로워의 수는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가늠하 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미국 인플루언서 마케팅 회사 미디어킥스(Mediakix)에 의하면 2020년 많은 브 랜드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 예산을 늘리고 있으며, 그중 17%가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예산의 50% 이상 을 지출할 것이라 하였다. 또한 글로벌 마케팅 시장에 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사용되는 예산은 2016년 25 억 달러에서 2017년 44억 달러, 2018년 63억 달러, 2019년 62억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 100억 달러를 지출할 것이라 밝혔다(Mediakix, 2018). 인플 루언서가 계속해서 영향력을 키워나가는 데에는 그들 을 팔로우하는 이용자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에서 팔로워가 많은 인플루언서를 통해 자사의 광고물을 게재하고자 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영향력은 더 많이 확 대되고, 팔로워를 늘리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 는 시점에서 인플루언서의 팔로워에 따른 홍보 효과, 즉 제품의 태도 및 구매의도의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 보는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로서의 영향력을 갖기 시작하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5백 명 이상~1만 명 이하)’와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알려진 ‘메가 인플루언서(1백 만 명 이상)’의 영향력에 대하여, 인플루언서가 제공 하는 정보에 대한 제품의 속성 평가 및 제품태도에 대 한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 3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H3: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품에 대한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 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는 인플루언서의 팔로 워가 많을수록 영향력이 더 클 것이다.

    Ⅲ. Methods

    1. Research questions

    본 연구에서는 뷰티 인플루언서의 규모에 따라 속 성 간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뷰티 인 플루언서의 속성(신뢰성, 전문성, 매력성, 친밀성, 유 사성)에 대해 파악하고, 그것이 소비자의 제품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품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 연구문제 1: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뷰티 인플 루언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의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본다.

    • 연구문제 2: 제품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와 메가 뷰 티 인플루언서의 속성 및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본다.

    2. Research methods

    본 연구는 설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대 상자는 인스타그램을 주로 사용하며, 뷰티 관련 콘텐 츠에 관심이 많고 구매율이 높은 성별 및 연령이 20~ 30대 초반 여성이라는 닐슨코리아(2016)의 자료를 참 고하여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를 인스타그램을 사용 하는 20~30대 여성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구글 설문지(Goolge Survey)’를 이 용해 제작, 배포하였으며, 2020년 10월 21일부터 11 월 6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수집하였다. 마이크로 뷰 티 인플루언서,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 각 설문지를 따 로 제작하여 설문지 링크를 따로 생성하였다. 이를 응 답자에게 무작위로 배포하였고, 한 응답자당 한 설문 지에만 응답하여야 하기 때문에 한 응답자가 두 설문 지에 응답할 수 없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응답자 에게도 공지하였다. 따라서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 서 256부,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 256부, 총 512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 응답 6부를 제외한 506부 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극물설정은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 서와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의 사진 자극물은 동일하 게 설정하되, 팔로워와 그에 상응하도록 게시물의 좋 아요 수, 댓글 수, 동영상 조회 수에 차이를 두고 제작 되었으며,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는 다수의 메이 크업 관련 제품 협찬과 협업 진행을 하고 있는 일반인 ‘레이나제이(@reinajaay)’의 계정 속 게시물 수치를,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는 유명 뷰티 크리에이터 ‘이사 배(@risabae_art)’의 계정 속 게시물 수치를 차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시된 자극물의 구성은 <Table 1>과 같 다. 즉, 인플루언서 계정의 이미지와 사진 게시물 등 정보는 동일하게 제시하고, 팔로워의 수와 게시물의 좋아요 수와 댓글의 수를 조정한 자극물을 설정하여 소비자가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의 게시물에서 팔로 워의 규모에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Subscription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3.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연구를 위해 설문조사에 참가한 응답자의 인구통 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 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전체 설문 응 답자들의 연령은 20대가 79.6%로 가장 높았으며, 대 학교 재학 및 졸업 비율이 65.4%로 가장 높았다. 직업 은 학생 181명(35.8%), 회사원 151명(29.9%), 전문직 90명(17.8%), 기타 44명(8.8%), 자영업 40명(7.9%) 순 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170 명(33.6%), 200~300만 원 미만이 157명(31.0%), 100~ 200만 원 미만이 90명(17.8%), 300~400만 원 미만이 38명(7.5%), 없음이 27명(5.3%), 400만 원 이상이 24 명(4.7%)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뷰티 관련 지출 금액 은 10만 원 미만이 303명(59.9%)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로 10~30만 원 미만이 144명(28.5%), 30~50 만 원 미만이 41명(8.1%), 50~70만 원 미만이 14명 (2.8%), 70만 원 이상이 4명(0.8%)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및 이용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 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마이크로와 메가 두 집단 전체 설문 응답자들의 인스타그램 하루 이용 시 간은 1시간 이상~2시간 미만이 154명(30.4%), 30분 이상~1시간 미만이 136명(26.9%), 30분 미만이 111 명(21.9%), 2시간 이상~3시간 미만이 64명(12.6%), 3 시간 이상이 41명(8.1%)으로 나타났다. 인스타그램 총 이용기간은 1년 이상이 444명(87.7%)으로 큰 수치 를 나타내었으며, 1년 미만이 62명(12.3%)으로 나타 났다. 인스타그램 이용목적은 복수응답을 허용했으 며, 응답 결과는 전체 응답자 중 해당 문항 응답자의 비율을 제시하였다. 자기표현을 위해 인스타그램을 이 용하는 응답자가 338명(66.8%)으로 가장 높았으며, 정 보 및 지식 탐색이 313명(61.9%), 실시간 소통 및 공감 이 245명(48.4%), 기분전환 및 여가가 242명(47.8%), 쇼핑이 148명(29.2%), 인맥관리 141명(27.9%), 유행 성이 109명(21.5%), 경제활동이 46명(9.1%) 순으로 나타났다.

    20~30대 여성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인스타그램 이용목적 두 번째 비율이 61.9%로 정보 및 지식 탐색 인 것을 미루어보아, 뷰티 인플루언서의 정보 제공이 소비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그 정보 제공의 여 부 및 질적 측면에 따라서 소비자 태도가 달라질 수도 있음이 예측되었다. 또한 세 번째 비율이 48.4%로 실 시간 소통 및 공감인 것을 보았을 때, 뷰티 인플루언 서와 이용자 간의 친밀성이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 부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이 예측되었다. 인스타그램의 광고 시청의 경험은 492명으로 97.2% 이며, 광고를 통해 쇼핑을 한 경험은 73.3%로 매우 높 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메가와 마이크로 뷰티 인 플루언서에 대한 응답자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소셜 플랫폼으로써의 인스타그램의 마케 팅 도구로의 유용성을 이야기한다고 볼 수 있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Analyze investigating factors for variables

    1) Factor analysis of beauty influencer properties

    뷰티 인플루언서 속성의 타당도 및 신뢰도 측정을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뷰티 인플루언 서 속성 항목에 대한 타당도 검증 및 신뢰도 측정 결 과는 <Table 4>와 같다. 뷰티 인플루언서 속성 항목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요인부하량 기준 값이 .50보다 작은 문항 5개를 제외하여, 총 17문항 5가지 요인으로 묶여졌다. 각 요인은 설명력이 큰 순서대로 전문성, 매력성, 유사성, 신뢰성, 친밀성으로 나열하였다. 5가 지 요인의 총 설명력은 73.98%로, 설명력 기준 60% 보다 높은 수치로 충분한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각 요 인별 고유치, 분산, 크론바 알파 값을 확인해보면 전 문성 고유치 2.76%, 분산 16.23%, 크론바 알파 .726, 매력성 고유치 27.1%, 분산 15.99%, 크론바 알파 .732, 유사성 고유치 2.34%, 분산 14.11%, 크론바 알 파 .726, 신뢰성 고유치 2.34%, 분산 14.08%, 크론바 알파 .695, 친밀성 고유치 2.30%, 분산 13.57%, 크론 바 알파 .691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 요인부하량은 .748에서 .867까지 분포하며, 기준 값인 .50보다 높게 나타나 내용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신뢰도 확인 결과 가장 낮은 요인의 크론바 알파 값이 .691로 기준치인 .60보다 높아 신뢰도 또한 확인되었다.

    2) Factors analysis for attitude toward product introduced by the influencer

    제품태도의 요인분석결과 단일요인으로 각 문항의 요인 부하량은 .80 이상이며, 누적 분산은 75.23으로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제품태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s α값은 .83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 내고 있다. 요인분석 결과는 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3) Factors analysis for purchase intention

    구매의도의 요인분석결과 단일요인으로 각 문항의 요인 부하량은 .87 이상이며, 누적 분산은 77.63으로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구매의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s α값은 .85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고 있다. 구매의도의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2. Influence of beauty influencer’s attributes on product attitude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 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F= 49.209(p<.001)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수정된 R2=.330으로 3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전문성요인은 유의확률 .05보다 큰 값을 나타내어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력성요인 β=.041 (p<.001), 유사성요인 β=.032(p<.001), 신뢰성요인 β =.035(p<.001), 친밀성요인 β=.023(p<.001)으로 각 네 가지 요인은 소비자의 제품태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인플루언서의 속성 중 친숙성, 유사성, 호감성이 콘텐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쳤으며, 그 중 매력성과 맥락을 같이하는 호감성과 유 사성 속성이 1, 2위 순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M. T. Lee(2020)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전문성은 영향 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와도 일치하였으나, 신뢰성 속성 역시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 는 본 연구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들은 전문적인 뷰티 관련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만이 뷰티 인플 루언서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닌, 누구나 뷰티 인플루 언서가 될 수 있는 인스타그램의 오픈된 구조 특징을 잘 알고 있기에 더 이상 뷰티 인플루언서에게 전문성 을 요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소비자들이 굳 이 뷰티 인플루언서를 통해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지 않아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수많 은 뷰티 정보를 쉽게 선택하고 획득할 수 있어, 인스 타그램 뷰티 인플루언서의 전문성요인은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에 있어 더 이상 유의한 속성으로 작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3. Effect of product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의 제품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 결과, F=660.521(p<.001)로 본 회귀 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수정된 R2=.566으로 56.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품태도는 β=.893(p< .001)으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제품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는 M. T. Lee(2020)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 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뷰티 인플루언서가 뷰티 제 품을 소개하는 정보원으로서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긍정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뷰 티 인플루언서가 제품에 대한 소개를 긍정적으로 하 여야 하며, 그로 인해 소비자의 제품태도 역시 긍정적 으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위 결과를 종합한 연구모형 검증결과는 <Fig. 1>과 같다.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은 전문성을 제외한 매 력성, 유사성, 신뢰성, 친밀성이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매력성과 유사성 이 제품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 자의 제품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 다. 따라서 가설 H1-1, H1-3, H1-4, H1-5, H2는 지지 되었으며, 가설 H1-2는 기각되었다. 이는 소비자가 인 플루언서에 기대하는 부분이 전문적인 정보보다는 매 력적이고, 자신과 유사한 친밀감이 더 중요한 요소임 을 알 수 있었다. 이는 Y. J. Park(2020)Yoo(2018) 의 연구와는 배치된 결과이나 Park(2018)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로 전문성이 제품태도에 영향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4. Validate the difference by size of beauty influencer’s followers

    인플루언서의 팔로워의 차이에 따른 인플루언서의 속성평가가 제품의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와 메가 인플루언서 의 속성에 따른 제품 태도의 영향력과 제품의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집단별 속성이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ffects of micro beauty influencer properties on product attitude

    팔로워 5백 명에서 1만 명인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 언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태도에 영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분석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 결과, F= 26.929(p<.001)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 다. 수정된 R2=.353으로 35.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전문성요인은 유의확률 .05보다 큰 값을 나타내어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력성요인 β=.044 (p<.001), 유사성요인 β=.029(p<.001), 신뢰성요인 β =.029(p<.001), 친밀성요인 β=.028(p<.001)로 소비자 의 제품태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 체 조사결과의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력성, 유사성, 신뢰성, 친밀성 순으 로 높은 영향을 미쳤는데 비해,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 언서는 친밀성이 신뢰성보다 높은 순위에 있음이 확 인되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마이크로 뷰티 인플 루언서에게 더욱 친밀성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2) Effect of attitude toward product on purchase intention on products introduced by micro beauty influencer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제품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 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Table 10> 과 같다. 분석 결과, F=440.151(p<.001)로 본 회귀모 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수정된 R2=.637로 63.7% 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품태도는 β=.979(p<.001)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는 팔로워 수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제품 홍보원으로써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그것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도 충분한 영 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Effects of mega beauty influencer properties on product attitude

    팔로워 수가 1백만 명 이상인 메가 뷰티 인플루언 서의 속성이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분석 결과, F=21.996(p<.001)으로 본 회 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수정된 R2=.308로 30.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전문성요인과 친밀성요 인은 유의확률 .05보다 큰 값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력성요인은 β=.037(p<.001), 유사성요인 β=.034(p<.001), 신뢰성요인 β=.043(p< .001)으로 소비자의 제품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고 있었다. 따라서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요 인, 유사성요인, 신뢰성요인은 제품태도에 정(+)의 영 향을 미치며, 전문성요인과 친밀성요인은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친밀성요인이 마이크 로 뷰티 인플루언서의 결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과 달리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에게는 유의하지 않 은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들은 팔로워가 많은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를 본인이 쉽게 다가갈 수 없는 연예 인이나 유명인사와 유사한 수준으로 어렵게 느낀다고 생각할 수 있다.

    4) Effect of product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products introduced by mega beauty influencer

    메가 인플루언서가 소개한 제품에 대한 제품태도 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분석 결과, F=243.375(p<.001)로 본 회귀 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R2=.494로 49.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품태도는 β=.802(p<.001)로 구 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연예인 이나 전문모델, 유명 인플루언서가 소비자의 제품 선 택과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선행연구 와 맥락을 같이하는 결론으로 볼 수 있다.

    위 결과를 종합한 H3의 뷰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품에 대한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는 인플루언서의 팔로워가 많을수록 영향력이 더 클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위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전문성요인은 뷰티 인플 루언서의 규모와 관계없이 제품태도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친밀성요인은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에게는 제품태도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소비자가 메가 인플루언서 보다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에게 친근감을 더욱 느껴 광고효과에도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갓브렉 트(Gottbrecht, 2017)의 보고서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 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미미한 차이이지만, 본 회귀 분석을 통한 결과로 규모 별 속성 간 차이를 비교해보 았다. 뷰티 인플루언서의 규모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매력성은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의 수치가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유사성과 신뢰성은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의 수치가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 보다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에게 매력을 더 느끼 지만, 본인과의 일치 및 신뢰 정도 수준은 팔로워 수 가 더 많은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에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품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에게 더 높은 수치로 나타 났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브랜드 명성이 높을수록 소 비자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불러 일으킨다는 Kim(2011)의 연구와는 다른 결론이다. 하 지만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를 동일한 개체로 보 기 어렵다는 점에서 비교에 한계가 있으며, 앞으로의 후속연구가 계속해서 이어진다면 좀 더 확실한 검증 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Ⅴ. Conclusion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인스타그램 뷰티 인플루언서 속성평가의 요인분 석결과 하위요인으로 전문성, 매력성, 유사성, 신뢰성, 친밀성 5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 스타그램 뷰티 인플루언서 속성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해 본 결과, 매력성, 신뢰성, 유사성, 친밀성 순으로 제품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다르게 전문성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인스타그램 뷰티 인플루언서를 통해 소비자가 얻고자 하는 요소 가 전문적 정보보다는 매력적인 요수와 믿을 수 있고, 자신과 유사하거나 친밀한 정도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스타그램 뷰티 인플 루언서를 통해 제공받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넷째,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와 메가 인플루 언서의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의 영향력의 차이를 알 아본 결과, 친밀성에서 두 집단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전문성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지 않 은 결과로 나타났고,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에서는 친 밀성이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나, 메가 뷰티 인 플루언서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팔로워수가 많은 인플루언서가 홍보 효과가 큰 것으로 파악되어 기업의 마케팅활동에 있 어 인플루언서의 팔로워 수가 많을수록 마케팅 효과 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결론지어졌던 선 행연구들에 의해 인플루언서 선정의 주요 기준이 되 었던 것에 비하여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의 중요 도가 높아질 수 있는 연구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고자 제품에 대한 탐색을 할 때, 뷰티 인플루언 서의 전문적인 능력보다는 해당 뷰티 인플루언서가 얼 마나 매력적인지와 본인이 얼마나 그와 유사한 취향 및 가치관 등을 가졌는지, 친밀하게 느껴지는지, 믿을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품에 태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구매의도에도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을 미루어보아, 소비자 본인이 선호하 는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품에 대한 구매에 대한 고려를 긍정적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인스타그램 마케팅을 진행하고 자 할 때, 팔로워 수와 좋아요 수 같은 수치적인 부분 에 중점을 둘 것이 아니라 콘텐츠의 질적 측면을 향상 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1인 미디 어의 발달로 다양한 콘텐츠가 방대하게 생산되고 있 는 현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더 이상 전문적인 콘텐츠 만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셋째, 뷰티 제품 선 택 시 주변인의 의견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뷰티 인플루언서가 소개하는 제품에는 관심을 가지며 해당 제품에 대한 제품태도에 긍정적이면 구매의도에 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20~30대 여성의 구매행동 유발에는 뷰티 인플루언서의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본 연구는 20~30대 여성 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설문에 응답한 20대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 때문에 표본이 고르게 분포되 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비확률 표집이 아닌, 확 률 표집으로 설문을 진행한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수 집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인스타그램을 주로 사용하며, 뷰티 관련 콘텐츠에 관심이 많고 구매율이 높은 성별 및 연령이 20~30대 초반 여성이라는 고증 된 자료에 따라 설문을 실시하여 남성 표본을 수집하 지 못한 점이다. 현재 남성을 타킷으로 한 뷰티 시장 이 커지고 있어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된다 면 남성 뷰티 시장에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 략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구대상을 인물 콘텐츠 중심의 뷰티 인플루언서에 국한하여 인과모형 을 검증을 하였기에, 모든 분야의 뷰티 인플루언서에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뷰티 인플루언서의 유형에는 인물 콘텐츠 중심, 제품 콘텐 츠 중심, 발색력 콘텐츠 중심 등 다양한 유형의 뷰티 인플루언서들이 존재하며, 그 유형별 속성 차이가 존 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뷰티 인플루언 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마케팅 시사점에서 매 우 의미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팔로워 수가 뷰 티 인플루언서의 속성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고, 초상권 및 저작권으로 인해 제 한적인 방법으로 연구자 본인의 사진으로 자극물을 임의로 제작하여 실제 상황을 제한적으로 반영할 수 밖에 없었던 점이다. 메가 뷰티 인플루언서의 경우 누 구든 알 수 있는 유명인인데 그 부분이 결여되어 있 고, 마이크로 뷰티 인플루언서의 영향력 핵심은 소통 을 기반으로한 친밀성인데 이러한 부분들이 결여되었 다. 따라서 실제 뷰티 인플루언서를 자극물로 사용하 거나, 소비자가 직접 뷰티 인플루언서와의 소통을 할 수 있는 참여형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다른 결과가 나 올 수도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Figure

    RJCC-30-2-243_F1.gif

    Research model verification result

    Table

    Stimulus presented for the surve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Usage behavior and experience of Instagram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f characteristics of beauty influencer

    Factors analysis for attitude toward product introduced by the influencer

    Factors analysis for purchase intention

    Influence of beauty influencer’s attributes on attitude toward product

    Effect of product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Effects of micro beauty influencer properties on product attitude

    Effect of product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products introduced by micro beauty influencer

    Effects of mega beauty influencer properties on product attitude

    Effect of product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products introduced by mega beauty influencer

    Reference

    1. Bae, J. Y. (2020, January 8). 연예인 안 부러운 ‘인플 루언서’…뷰티업계 유통채널 지각변동 [‘Influencer’ that who like a celebrity…Changes in percep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in beauty indistry]. News1. Retrieved August 27, 2020, from https://www.news1.kr/articles/?3811099
    2. Barker, S. (2018, April 14). A comprehensive guide to Instagram influencer marketing. ART+marketing. Retrieved August 17, 2020, from https://artplusmarketing.com/a-comprehensive-guide-to-instagram-influencer-marketing-1a9e88d99110
    3. Cheil Worldwide. (2016, August 8). 디지털 생태계가 키운 ‘빅마우스’ [‘Big mouse’ fostered by the digital ecosystem]. Retrieved December 4, 2020, from https://www.adic.or.kr/news/show.do?ukey=465128&oid=@121639%7C1%7C4
    4. Dholakia, R. , & Sternthal, B. (1977). Highly credible sources: Persuasive facilitators or persuasive liabilit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4), 223-232.
    5. DMC Media. (2020, August 20). 2020 소셜미디어 현 황 및 전망 [2020 Social media status and outlook]. Retrieved November 23, 2020, from https://www.trendmonitor.co.kr/tmweb/trend/etcTrend/detail.do?bIdx=726&code=&trendType=dmc&prevMonth=&currentPage=1
    6. Fishbien, M. , & Ajzen, I. (1974). Attitudes towards objects as predictors of single and multiple behavioral criteria. Psychological Review, 81(1), 59-74.
    7. Gottbrecht, L. (2017, May 2). Why micro-influencers solve these 4 ratings & reviews challenges. Mavrak. Retrieved August 24, 2020, from http://www.mavrck.co/why-micro-influencers-solve-these-4-ratings-reviews-challenges
    8. Jang, H. S. (2020). Research on consumer perceptions of 3D virtual influenc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9. Jee, H. R. (2019). Effects of Instagram fashion influencers’ characteristics and types on information acceptance, continued use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10. Jeong, M. S. (2019). The effect of You-tuber and Instagram on product attitude and intention to buy and experience marketing of cosme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1. Katz, A. (2019, October 27). Estée Lauder spends 75% of marketing budget on influencers, PopSugar launches ITC brand marketplace #SubjectToChange. Mavrak. Retrieved August 20, 2020, from https://www.mavrck.co/influencer-marketing-trends-estee-lauder-influencer-marketing-budget/
    12. Kim, C. G. (2008). The effects of entertainment star model o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Gyeonggi, Korea.
    13. Kim, H. K. (2019, January 21). 인스타 사진 누르자 쇼핑몰로…SNS의 변신 [Instagram photo to connect to shopping mall…SNS transformation].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1/43646/
    14. Kim, I. H. (2019). The effect of digital fashion influencer content usage motive on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sharing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I. K. (2019, May 7). “한국 이용자, ‘인스타’로 소통․검색․쇼핑한다” [“Korean users, search, and shop through ‘Instagram’”]. Bloter. Retrieved August 20, 2020, from http://www.bloter.net/archives/339221
    16. Kim, M. H. (2011). The effects of the brand reputation and the social support message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message sided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17. Kim, Y. S. (2018). The impact of beauty influencer information on cosmetic brand switching and continual us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M. T. (202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eauty influencer toward consumer attitude and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S. M. (2020).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brand imag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W. T. , Cha, M. Y. , & Yang, H. R. (2011). Network properties of social media influentials: Focusing on the Korean Twitter community.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48(2), 44- 79.
    21. Lim, H. A. (2020). The communication effect of network structure by influencer type: Social capital theory perspec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22. Mediakix. (2018, April 5). 15 influencer marketing trends in 2020. Retrieved October 1, 2020, from https://mediakix.com/influencer-marketing-resources/influencer-marketing-trends/
    23. Oh, J. Y.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Instagram usage motivation on influencer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Focusing on DISC behavioral patterns and generational patterns as control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4. Ohanian, R. (1991).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persons’ perceived image on consumer intention to purchas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1(1), 46-54.
    25. Park, H. W. (2020, February 2). 신뢰하는 사람에게 정보 얻는 밀레니얼 세대 [Millennials who get information from people they trust]. Sedaily. Retrieved October 3, 2020, from https://signal.sedaily.com/NewsView/1YYRMMG884/GG0701
    26. Park, H. Y. (2019). Effects of Instagram post hashtag and photo type on consumers’ cognitive respon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7. Park, J. H. (2018). The effect of influencer’s quality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8. Park, S. J. (2019, May 7). “인스타그램 통해 구매 경 험” 이용자 35% 답변 [35% Users of “purchase experience through Instagram responded]. The Korea Herald. Retrieved August 20, 2020, from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90507000376
    29. Park, Y. J. (2020). Effect of the influencer’s beauty product evaluation contents on purchase intentions: Focus on product evaluation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0. Seo, H. G. (2020).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urchase intention, Instagram beauty influencer credibility, information acceptance, and product prefer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31. Yoni. (2020, January 15).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성공 으로 이끌어 줄 3가지 해외 성공사례들 [3 success stories that will lead influencer marketing success]. Fraturing. Retrieved August 8, 2020, from https://featuring.co/ja/blog/3-influencer-marketing-success/
    32. Yoo, S. A.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how the image of social influencers at beauty products on the corporate image and the intention of purchasing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3. You, J. B. (2018, February 2). 패션․뷰티 소셜 미디 어 선호도, 인스타그램 80% 압도적 1위 그 이유 는? [80% of Instagram prefers fashion and beauty social media, and why is it over whelmingly ranked #1?]. Fashion N. Retrieved November 15, 2020, from https://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04&number=23422
    34. You, J. S. (2017, January 23). 논리사유, 콘텐츠 왕홍 의 미래를 상징하다 [Logical reason, symbolizing the future of content Wanghong]. Brunch. Retrieved October 8, 2020, from https://brunch.co.kr/@yoojs8512/63
    35. You, S. Y.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effect and the attractiveness of advertising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36. Zhao, F.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country image and product attitude on the purchase of Korean products: Moderating effects of ethnocentricism and animo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eo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