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2 pp.226-242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2.226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ndustrial patterns of women’s jumper suits

Min-jung Kim†
Adjunct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haru1027@daum.net)
January 17, 2022 March 6, 2022 March 8, 2022

Abstract


For clothing items that combine the top with the bottom, such as a jumper suit, it is necessary to design original forms to develop clothes in various styles that can satisfy aesthetic and functional needs. Therefore, to determine the original forms of women’s jumper sui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atterns of women’s jumper suits being sold in the market comparatively and evaluate their fitness. For the study method, this researcher obtained five types of women’s jumper suits from local brands and compared the patterns’ measured sizes, then conducted exterior evaluation on the surplus according to five different movements and analyzed the values of distortion of clothing pressure compara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basic posture, brands A and C received favorable results, while in the other movements, brand B, which had the biggest surplus on the bottom, was evaluated favorably. In conclusion, in the patterns of women’s jumper suits, a bigger surplus is added to either the crotch length or crotch girth rather than the top length, and the top and the bottom tend to have a different surplus according to the design. In addition, based on the values of body surface lengths according to the range of move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additional surplus be added to the length.



여성 점퍼슈트의 산업패턴 비교 분석 연구
- 동작에 따른 여유분 비교를 중심으로 -

김 민 정†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겸임교수

초록


    I. Introduction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침체 속에서도 비대면과 원격을 키워드로 하는 산업 들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록다운(lockdown)이 올해의 키워드로 꼽힐 정도로 대면과 물리적 접촉을 기반으로 이루어졌던 일상생활이 멈춰지고, 비대면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Park, 2020).

    이러한 변화는 패션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 다. 국내 패션․의류시장 소비는 2020년 3월의 국내 소매판매액이 전년 동월대비 39.7% 감소하며, 2016 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율을 보였다. 4월 국내 패션․의류 소매판매액도 전년 동월대비 23.4% 감소 하였다. 반면, 경기침체 속에 홈웨어의 소매판매액은 증가추세이다(Kim, Lee, & Cha, 2020). 나를 꾸미기 위한 품목인 의류, 신발, 가방 등의 관심과 구입은 전 반적으로 위축되고 홈웨어 관련 품목의 구입이 증대 되고 있다. 즉,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반강제적 외 출자제와 장기화되고 있는 재택근무의 환경변화에 따 른 라이프 스타일은 의류를 구입할 때 중요한 선택 기 준이 되었다(Lim, 2021).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사회분위기 속에서 나타 난 새로운 패션키워드는 일(work)과 여가(leisure)라 는 상반된 단어의 합성어인 워크레저(work+leisure)이 다. COVID-19 시작과 함께 이슈가 되었던 ‘집콕’패션 의 발전된 개념으로, 편안한 캐주얼웨어가 오피스웨 어로 재해석되어 업무와 여가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패션이 되었다. 워크레저 패션에서도 재택근무로 인 한 화상회의가 일상화 되면서 하의보다 상의에 포인 트를 주는 키보드 위 패션(above keyboard dressing), 데스크 패션(desk fashion) 등이 인기를 얻고 있고, 적 당히 세련미를 갖춘 편안한 슈트 세트 또는 점프슈트, 캐주얼한 셔츠 등의 홈 오피스웨어는 워크웨어와 홈 웨어 간 경계를 허물며 주목받고 있다(Sim, 2020).

    특히 점퍼슈트는 상의와 하의가 하나로 붙어 있는 스타일로 화상회의 재택근무가 늘며, 인기가 많아진 아이템으로 점퍼+팬츠, 재킷+팬츠, 셔츠+팬츠 등 스타 일이 다양하다. 입고 벗기가 다소 불편하지만 착장한 후에 활동성이 좋아 작업복 형태를 많이 선보였으나, 최근에는 홈 오피스웨어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 브랜드에서 제작되는 점퍼슈트는 별도 의 원형이 없으며, 기존에 사용하는 상의 원형과 하의 원형을 연결하여 패턴을 제도하는데, 상하가 붙어 있 음에 따른 여유분은 브랜드마다 주관적인 견해를 바 탕으로 제작하고 있다. 구성학 교재 중에서 점퍼슈트 원형을 다루는 교재는 Armstrong(1987/2011)의 여성 복 패턴메이킹과 Oh(2002)의 서양의복 구성에만 상 의원형과 하의원형이 연결된 패턴을 제시하고 있다. 인체는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의 전굴 형태와 뒤로 젖 히는 자세의 후신 형태에 따라 골격과 근육의 위치가 바뀌거나 변형되며, 여유분에 대한 수치범위가 달라 지는데(Nagazawa, 1996/1999), 교재에서는 활동성에 대한 추가 여유분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점퍼슈트의 동작에 따른 여유분을 분석하기 위한 참고문헌으로 여성복 재킷과 팬츠의 선행연구를 살펴 보면, Choi and Han(2007)은 중년여성의 양모소재 니 트 재킷패턴 연구는 체형과 소재의 특수성을 고려하 여 여유분을 제시하였으며 Lee, Park, and Suh(2003) 는 중년여성의 재킷을 의복압 분석에 따라 여유분을 비교분석하였다. Jeong, Park, and Uh(2015)는 여성재 킷의 착의평가에 따른 맞음새를 분석하여 여유분을 제시하였다. Choi, Suh, and Uh(2012)는 여성 배기팬 츠의 엉덩이 둘레 여유분과 밑위길이 여유분을 중심 으로 연구하였으며, Moon and Jeon(2011)은 패턴관 련 교재에 수록된 팬츠의 밑위관련항목에 대한 설계 요인을 분석하였다. Kim, Choi, and Kim(2017)은 외 관평가와 동작기능성 평가를 중심으로 시니어 여성의 팬츠 패턴을 분석하여 여유분을 제시하였고, Park (2013)은 팬츠원형 제도법에 따른 맞음새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와 같이, 여성 재킷과 팬츠는 꾸준히 연구 되고 있으나, 점퍼슈트의 원형 및 패턴에 관련된 선행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점퍼슈트 원형 개발을 위한 기 초연구로써 국내 브랜드에서 판매되고 있는 점퍼슈트 패턴을 수집하여 패턴치수를 분석하고 여유분을 중심 으로 착의평가를 통하여 점퍼슈트 패턴을 비교분석하 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Ⅱ. Methods

    1. Selecting the industrial patterns of jumper suits

    국내 브랜드 및 쇼핑몰의 점퍼슈트는 작업복 형태 로 전체적으로 여유분이 많은 스타일을 비롯하여 신 축성이 많은 소재로 제작된 타이트한 스타일 등 소재 와 디자인의 종류가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점퍼슈 트 원형 개발의 기초단계로 여유분을 비교하기 위하 여 신축성이 없는 소재의 오피스룩을 중심으로 선정 하였다. 상의와 하의가 붙어 있음에 따른 여유분을 중 심으로 비교하기 위함이므로 칼라, 앞여밈, 턱 등의 세부 디테일은 배제하고 패턴을 수집하였다. 점퍼슈 트 비교를 위한 패턴 선정은 한국패션브랜드연감 (2014-2015)에서 기재된 국내 여성복 브랜드 중에서 년 매출액이 20위권 안에 들어있는 브랜드 중 2곳의 패턴을 제공 받아 A-brand, B-brand로 표기하였으며, 온라인 여성복 쇼핑몰 순위사이트 http://www.girlshoppingmallrank. comhttp://www.shopping-moll. com에서 20~30대 여성 쇼핑몰 판매순위 30위권 안의 브랜드 3곳의 패턴을 제공 받아 C-brand, D-brand, E-brand로 표기하였다(Fig. 1). 제공받은 패턴의 사이 즈는 55(S)이며, 연구 비교항목인 외곽 라인과 턱, 다 트만 제외하고, 내부 디자인 선과 장식벨트는 삭제하 였다.

    2. The body modeling of subjects for virtual wearing

    가상착의는 ㈜클로버츄얼패션의 CLO 3D Virtual System 6.2 version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바디를 모델 링하였다. 피험자의 신체치수는 제7차 사이즈코리아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인체치수결과조사 보고서의 직접측정 데이터 자료 중 에서 20~29세 성인여성 668명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CLO 3D 아바타 편집메뉴에서 키, 둘레 항목, 높이항목, 너비항목 등을 비롯한 세부항목의 수 치를 대입하고, 인체비율에 맞춰 조정한 후에 나머지 항목의 치수는 아바타 표면 치수를 측정하였다(Table 1).

    표준수치로 모델링된 아바타와 함께 움직임에 따 른 의복압 수치비교와 외관평가를 위하여 선행연구 (Kim, Uh, & Hong, 2015)를 바탕으로 5가지 동작을 선정하였다. 아바타 포즈는 기본자세, 보통걸음 걷기, 계단 오르기, 의자에 앉기, 허리90도 굽히기 자세를 X-Ray 관절점 보기 기능을 활용하여 변경하였다. 변 경된 포즈는 별도로 저장하여 각각의 실험복에 적용 하였다.

    3. Designing clothes for a test using a virtual wearing system

    국내 패션업체에서 .dxf 패턴파일을 제공 받아 주 머니와 장식 디테일을 삭제하고, 3D 가상착의 시스템 을 활용하여 착장시켰다. 소재의 물성은 업체에서 사 용하는 원단과 유사한 면 소재로 CLO 3D물성 중에 서 Cotton_Gabardine을 사용하였으며, 세부물성은 혼 용율 100% cotton, 무게 192.424g/m2, 두께 0.38mm이 다. 각 연구의상에 선정한 소재의 물성을 동일하게 적 용시켜 시뮬레이션하였다.

    4. Comparing the patterns of jumper suits and evaluating clothes wearing

    1) Comparing the actually measured sizes of the patterns

    점퍼슈트의 브랜드별 패턴 실측치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의부위는 길이항목 11개, 너비항목 3개, 둘 레항목 11개로 총 25항목으로 측정하였으며, 하의부 위는 길이항목 8개, 너비항목 4개, 둘레항목 13개로 총 25항목으로 측정하였다. 허리부위는 밴드가 들어 간 위치가 다르므로 패턴 치수와 밴드완성 수치를 대 입한 허리둘레 치수를 함께 표기하였다.

    2) Conducting exterior evaluation on the surplus according to the movements

    점퍼슈트의 여유분에 대한 외관평가는 기본 착장, 투시도(50%) 및 의복압의 색분포도를 함께 제시하여 평가하였다. 외관평가는 기본자세, 보통걸음 걷기, 계 단 오르기, 의자에 앉기, 허리90도 굽히기의 5가지 동 작에 따라 별로도 평가하였으며, 상․하의 둘레항목 의 여유분 및 압박정도, 등길이부위와 밑위부위의 여 유분 및 압박정도에 대하여 5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 다. CLO 3D프로그램 사용가능한 석사이상의 의류학 전공자 및 실무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여유분에 대 한 항목은 매우 여유 없음(1점), 보통(4점), 매우 여유 있음(7점)으로 압박정도에 대한 항목은 압박정도가 매우 높음(1점), 보통(4점), 압박정도가 매우 낮음(7 점)의 범위까지 7점 Likert척도로 평가하였다.

    3) Comparing the distortion of cloth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movements

    아바타의 5가지 동작에 따른 의복압 변형률 비교를 위하여 의복압 변형률의 색상 범위는 0~500gf/cm2로 설정하였다. 범위에 따른 색상은 수치가 0에 가까울 수록 청색으로 여유분이 많음을 나타내며, 수치가 500에 가까울수록 적색으로 여유분이 부족함을 나타 낸다. 500 이상의 수치는 압력의 강도가 높아짐을 의 미한다. 어깨부위, 가슴부위, 위팔부위, 팔꿈치부위, 허리부위, 엉덩이부위, 밑위부위, 넙다리부위, 무릎부 위에 대하여 좌표상 동일한 지점을 5회 반복 측정하 여 분석하였다. 의자에 앉기, 허리90도 굽히기 자세는 가슴부위의 의복압 대신 의복압이 높은 견갑골부위를 측정하였다.

    5. Data analysis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량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항목별 패턴간의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 를 사용하여 평균값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III. Results and Discussion

    1.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patterns’ actually measured sizes

    점퍼슈트 5종의 패턴 실측치수를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의부위를 살펴보면(Fig. 2; Table 2), 길이항목에서 뒷목점 기준의 상의길이는 39~40.5cm 에 분포하고 있으며, 평균은 39.88cm이고, 표준편차 는 0.73cm로 차이가 미비하였다. 하지만 진동깊이의 경우, 20~23cm의 범위에 평균은 21.3cm이고, 표준편 차는 1.27cm로 상의길이에 비하여 차이를 보였다. 또 한, 앞․뒤 암홀둘레의 평균은 42.3~49cm의 범위에 평균은 45.3cm로 나타났다. 앞처짐분의 길이를 비교 하기 위하여 앞판의 진동선 아래 길이를 측정하여 비 교한 결과, A-brand와 E-brand는 3cm 이상의 앞처짐 분이 있는 반면, 나머지 브랜드는 1cm 미만의 수치로 나타났다. 앞․뒤판의 옆목점을 기준으로 진동선까지 를 측정한 결과, A-brand는 2cm, D-brand는 1.1cm, C-brand는 0.9cm로 뒤판이 길었으며, B-brand와 Ebrand는 앞․뒤판이 동일한 길이로 나타났다. 둘레항 목에서의 가슴둘레는 87~95.2cm에 분포하고 있으며, 평균은 91.06cm이고, 표준편차는 3.42cm의 차이를 보였다. 앞 가슴둘레1/2과 뒤 가슴둘레1/2의 차이는 A-brand가 1.3cm로 가장 컸으며, D-brand, C-brand, E-brand, B-brand 순으로 나타났다. 허리둘레는 73.8~ 79cm에 분포하고 있으며, 평균은 77.48cm이고 표준 편차는 2.11cm의 차이를 보였다. 소매부위는 D-brand 의 경우, 소매산이 17cm로 가장 높고, 소매통이 31.3cm 로 좁은 편이었으며, E-brand의 경우, 소매산이 13.6cm 로 가장 낮고 소매통이 37.7cm로 가장 길었다.

    하의부위를 살펴보면(Fig. 3; Table 3), 길이항목에 서 벨트를 포함한 바지길이는 93.2~104.8cm에 분포 하고 있으며, 평균은 100.08cm이고, 표준편차는 4.32cm 로 나타났다. 밑위길이는 C-brand가 34.5cm, B-brand 가 34.4cm로 길었고, 다음으로 A-brand, E-brand, Dbrand 순으로 나타났다. 엉덩이길이와 밑위길이를 살 펴보면, 패턴 제도에서 힙선을 기준으로 위에서 길이 의 여유분을 추가한 B-brand, C-brand와 아래에서 길 이의 여유분을 추가한 A-brand, D-brand로 분류된다. 또한, B-brand, C-brand는 앞판에 턱이 추가된 디자인 으로 밑위길이가 길게 제도된 것으로 보인다. 둘레항 목에서의 엉덩이둘레는 95.6~101.6cm에 분포하고 있 으며, 평균은 98.06cm이고, 표준편차는 2.59cm의 차 이를 보였다. 앞뒤차를 살펴보면, A-brand는 동일하고, B-brand는 턱의 영향으로 앞이 크며, 나머지는 뒤가 큰 수치를 보였다. 앞중심선의 기울기는 0.5~1.3cm로 차이가 미비하였지만, 뒤중심선의 기울기는 1~4.4cm 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밑위둘레는 69.5~82.9cm에 분포하고 있으며, 평균은 74.18cm이 고, 표준편차는 5.36cm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5종의 패턴 치수를 비교한 결과, 가슴둘레 는 D-brand > C-brand > A-brand > B-brand > E-brand 순으로 여유분이 많았으며, 엉덩이둘레는 C-brand > B-brand > E-brand > A-brand > D-brand 순으로 여유 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퍼슈트의 특성상, 전 굴․후신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뒤중심선 기울기는 D-brand > B-brand > A-brand > C-brand > E-brand 순 으로 기울기 값이 크며, 밑위둘레는 B-brand > C-brand > A-brand > D-brand > E-brand 순으로 길게 나타났 다. 연구패턴의 중합도는 <Fig. 4>와 같다.

    2. The results of exterior evaluation on the surplus according to the movements

    한국인 20~29세 성인여성의 신체치수 평균치로 모 델링한 CLO 3D 시스템의 아바타에 브랜드별 점퍼슈 트를 착장하여 5가지 동작평가(Fig. 5)에 따른 항목별 외관평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동작평가에 따른 전체 58개 평가항목 중에서 보통 걸음 걷기의 허리부위, 팔꿈치부위와 계단 오르기의 허리부위, 의자에 앉기의 허리부위, 위팔부위, 팔꿈치 부위 마지막으로 허리 90도 굽히기의 등길이부위, 암 홀부위의 당김 정도에 대한 8항목을 제외한 50개 항 목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기본자세의 여유분에 대한 평가결과, 가슴둘레는 C-brand(4.15)가 가장 적당하다고 평가되었고, E-brand, D-brand 순으로 여유분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엉덩이둘레는 A-brand(4.05)가 적당하다고 평가되었 고, B-brand, C-brand, E-brand가 여유분이 많은 것으 로 평가되었다. 그 외의 항목에서도 B-brand, C-brand, E-brand가 여유분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팔 부위는 E-brand만 여유분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등길이의 경우, A-brand(3.90)와 C-brand(4.15)로 가장 적당하다고 평가되었고, B-brand(4.80), E-brand(4.95) 의 여유분이 가장 많으며 D-brand(3.60)의 여유분은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통걸음 걷기의 압박정도 에 대한 평가결과에서 가슴둘레는 E-brand, D-brand 의 압박정도가 작고, 엉덩이둘레는 A-brand(4.45), Bbrand( 4.60), C-brand(4.50)의 압박정도가 작다고 평가 되었다. 밑위부위 압박정도 또한, 엉덩이둘레 압박정 도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계단 오르기의 압박정 도에 대한 평가결과, 엉덩이, 허벅지, 무릎, 밑위부위 의 결과가 낮게 평가되었다. B-brand를 제외한 나머지 브랜드는 모두 압박정도가 높게 평가되었고 특히, Dbrand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의자에 앉기의 압 박정도에 대한 평가결과는 엉덩이, 허벅지, 무릎, 밑위 부위와 위팔, 팔꿈치부위의 결과가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허리90도 굽히기의 압박정도에 대한 평 가결과,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길이, 암 홀부위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D-brand는 3.0 이하의 점수로 압박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상의부위는 D-brand의 전체적 여유분 이 많고, C-brand와 A-brand가 다음으로 여유분이 있 으며, B-brand가 여유분이 가장 작게 평가되었다. Ebrand는 가슴둘레 패턴치수는 87cm로 가장 작으나, 앞 여임이 없고 허리에 겹쳐진 상태로 봉제된 형태이 므로 움직임에 따라 벌어짐으로써 여유분이 많게 평 가된 것으로 보인다. 하의부위는 B-brand의 전체적 여 유분이 많고 C-brand와 A-brand가 다음으로 여유분이 있으며, D-brand가 여유분이 가장 작게 평가되었다. 특히, 밑위부위는 턱 디테일 있는 B-brand와 C-brand 가 압박정도가 작고, D-brand, E-brand의 압박정도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평가동작에 있어서 허리90도 굽히기의 등길이, 암홀부위, 밑위부위 항목 은 인체의 전굴 형태에 따른 등길이의 영향으로 압박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상․하 의가 붙어있는 아이템 제도 시, 동작에 따른 인체치수 의 편차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3.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distortion of cloth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movements

    5가지 동작에 따른 의복압을 비교하기 위하여 어깨 부위, 가슴부위, 위팔부위, 팔꿈치 부위, 허리부위, 엉 덩이부위, 밑위부위, 넙다리부위, 무릎부위, 견갑골부 위의 좌표상 동일한 지점을 5회 반복 측정하여 분석 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우선, 45개 평가항목 중에서 31개 항목에서 유의차 가 나타났다. 기본자세의 위팔부위, 팔꿈치부위, 무릎 부위와 모든 동작의 어깨부위 등에서 유의차가 나타 나지 않았다. 또한, 전체적으로 수치가 높은 허리 90 도 굽히기의 엉덩이부위, 밑위부위, 넙다리부위에서 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허리90도 굽히기 자세 의 경우, 등부위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른 당김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며,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사 료된다.

    각 동작 중에서 의복압 수치가 높게 나타난 부위를 살펴보면, 보통걸음 걷기에서 밑위부위의 압력수치 가 370.24~1,749.39gf/cm2 범위에 분포하고 있으며, 계단 오르기에서 밑위부위의 압력수치가 664.52~ 1,543.23gf/cm2 범위에 분포하고 있다. 의자 앉기는 엉덩이부위압력의 압력수치가 874.32~1,613.94gf/cm2, 밑위부위의 압력수치 1,610.05~2,039.24gf/cm² 범위 에 분포하고 있으며, 허리90도 굽히기는 견갑골부위 의 압력수치가 919.47~1,407.18gf/cm, 위팔부위의 압 력수치 850.99~1,634.0gf/cm², 허리부위의 압력수치 162.82~1,206.79gf/cm²범위에 분포하고 있다.

    허리를 기준으로 상의부위는 A-brand, B-brand, Cbrand의 압력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E-brand는 패 턴 치수는 작지만 앞여밈이 없어 벌어지는 형태이므 로 압력수치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하의부위 는 D-bran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B-brand, C-brand 는 턱이 추가되어 둘레부위의 여유분에 의해 압력수 치가 낮게 측정된 것으로 보이며, E-brand는 둘레 패 턴수치는 높으나 등길이, 밑위길이의 패턴수치가 낮 아 D- brand 다음으로 A-brand와 함께 압력수치가 높 게 나타났다. 동작에 따라서 밑위부위의 압력수치와 견갑골부위에 대한 편차가 높은 것으로 보아, 점퍼슈 트 제작 시, 동작에 따른 등길이와 밑위둘레의 추가여 유분을 고려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A-brand는 패턴 수치는 전반적으 로 평균에 가까운 수치이며, 동작평가 및 의복압 평가 는 기본자세 및 보통걸음 걷기 항목 등 동작이 작은 항목은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동작이 큰 항목에서는 등길이, 엉덩이, 밑위, 허벅지 부위에서 당김 및 의복 압의 수치가 높았다. B-brand와 C-brand는 가슴둘레 를 제외한 밑위길이,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의 패턴 수치가 유사하며, 팬츠에 턱이 추가된 디자인이다. 기 본자세에서 여유분이 전체적으로 많게 평가되었으나, 동작이 큰 항목에서 둘레항목은 여유가 있는 반면, 밑 위둘레의 여유분이 부족한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허 벅지 부위의 당김 및 압력강도는 작게 나타났다. Dbrand는 상의부위는 더블 여임으로 인하여 동작에 따 른 여유분이 형성되어 당김 및 압력강도는 작지만, 하 의는 타이트한 스타일로 모든 동작평가에서 당김 및 압력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E-brand는 패턴수치가 평 균 이하로 앞여밈이 없고 한 장 소매로 소매통이 넓으 며, 하의는 허벅지 아래의 여유분이 많은 스타일이다. 하지만 등길이, 엉덩이둘레, 밑위길이 등의 패턴 치수 가 평균이하로 동작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신축성이 없는 소재의 점퍼슈트는 동작에 따른 제 약이 많으므로 기존의 재킷, 팬츠의 여유분보다 추가 여유분이 필요하다. 연구의상 5가지를 종합해 본 결 과, 싱글보다는 더블 여임이 효과적으로 보이며, 패턴 제도 시, 등길이 여유분은 0~1cm로 최소한의 여유분 으로 허리라인을 올려 다리길이를 길어 보이는 효과 를 주며, 가슴둘레는 6~8cm의 여유분을 제안한다. 엉 덩이둘레의 여유분은 기본팬츠와 동일하게 4~5cm로 주며, 턱을 활용하여 여유분을 추가하는 것을 제안한 다. 또한 동작평가에서 모든 점퍼슈트의 밑위둘레항 목의 여유분이 낮게 나타났으므로 밑위길이를 2~3cm 추가하여 동작에 따른 등길이 및 밑위둘레항목의 여 유범위 추가를 제안한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국내 여성복브랜드 5군데의 점퍼슈트를 제공 받아 여유분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3D 착의시스템을 활용하여 20대 여성 표준수치로 아 바타를 모델링하였다. 다음으로 동작에 따른 여유분 평가를 위하여 5가지 동작의 아바타 포즈를 제작하였 다. 제공받은 패턴은 패턴의 실측치수 비교와 함께 3D 착의시스템에서 동일한 물성으로 5종의 점퍼슈트 를 각각 제작하여 동작에 따른 여유분 외관평가와 동 작에 따른 의복압 변형률 수치를 비교분석하였다. 연 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턴의 실측치수를 비교한 결과, 등길이는 39~40.5cm범위의 수치로 편차가 크지 않은 반면, 밑 위둘레는 69.5~82.9cm범위의 수치로 편차가 크게 나 타났다. 벨트길이를 포함한 밑위둘레 수치는 B-brand 가 82.9cm로 가장 크고, C-brand > A-brand > D-brand > E-brand 순이다. 점퍼슈트 제도 시, 전굴 또는 후신 형태의 신체치수 변화에 따른 여유분은 상의 길이부 위보다 밑위길이 또는 밑위둘레에서 추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슴둘레 수치는 D-brand가 95.2cm로 가장 크고 E-brand가 87cm로 가장 작았으며, D-brand > C-brand > A-brand > B-brand > E-brand 순으로 나타 났다. 엉덩이둘레 수치는 C-brand가 101.6cm로 가장 크고 D-brand가 92.6cm로 가장 작았으며, C-brand > B-brand > E-brand > A-brand > D-brand 순으로 나타 났다. 상의와 하의의 여유분은 동일하게 적용하지 않 으며, 디자인에 따라 별도의 여유분을 추가하는 것으 로 보인다. 특히, 상의보다 하의의 경우 엉덩이 여유 분을 고려하여 턱과 같은 디테일이 추가된 것으로 사 료된다.

    둘째, 5가지 동작에 따른 여유분 외관평가 결과, 기 본자세에서 상의부위는 C-brand와 A-brand가 좋은 평 가를 받았고, B-brand는 여유분이 부족하며, D-brand, E-brand는 여유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E-brand 는 패턴치수가 가장 작음에도 여유분 평가 수치가 높 게 나타난 이유는 앞여밈 부속이 별도로 없어 움직임 에 따라 벌어짐으로써 여유분이 많게 평가되었다. 하 의부위는 A-brand가 좋은 평가를 받았고, D-brand는 여유분이 부족하며, C-brand, B-brand는 여유분이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E-brand는 둘레항목은 여유분이 많으나, 밑위부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여유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동작에 있어서 상의는 A-brand, B-brand의 압박의 정도가 높아져 2.60~3.85 의 평가를 받았다. 하의도 A-brand의 점수가 낮게 평 가되었으며, B-brand가 좋은 점수를 받았다.

    셋째, 5가지 동작에 따른 의복압 변형률 수치를 비 교한 결과, 보통걸음 걷기는 밑위부위의 의복압이 형 성되며, 계단 오르기는 밑위부위와 허벅지부위에서 의복압 수치가 높아졌다. 의자에 앉기는 등길이부위 에서 허리부위, 엉덩이부위, 허벅지부위, 무릎부위까 지 영향을 미치며, 허리 90도 굽히기는 어깨부위, 등 길이부위, 밑위부위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 다. 특히, 동작에 따라서 밑위부위와 견갑골부위에 대 한 압력수치의 편차가 높은 것을 감안하여 점퍼슈트 제작 시, 동작에 따른 등길이과 밑위둘레의 추가여유 분을 고려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29세 성인여성 표준체형의 점퍼슈트 패턴 설계 시 부위에 따른 여유분량을 비교분석하고 제시함으로써 패턴 설계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점 퍼슈트와 같이 상․하의가 연결된 아이템은 별도로 길이방향에 대한 추가 여유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 다. 허리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동작에 따라 유동성이 있으므로, 상의보다는 하의에 길이항목인 밑위길이를 2~3cm 추가함으로써 다리가 길어 보이는 착시효과뿐만 아니라, 전굴 형태의 동작에서 등과 밑 위부위가 당기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 다. 또한, 더블 여밈이나 턱이 추가됨으로써 실루엣을 키우지 않고 숨은 여유분을 만드는 것을 제안한다. 또 한, 점퍼슈트의 원형 개발을 위해서는 동작범위에 따 른 신체표면 길이에 대한 수치를 바탕으로 여유분이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동 작범위에 따른 신체 치수변화에 대한 데이터 연구와 함께 점퍼슈트의 원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Figure

    RJCC-30-2-226_F1.gif

    The patterns of women’s jumper suits

    RJCC-30-2-226_F2.gif

    The areas of the top measured precisely

    RJCC-30-2-226_F3.gif

    The areas of the bottom measured precisely

    RJCC-30-2-226_F4.gif

    Overlapping pattern silhouette

    RJCC-30-2-226_F5.gif

    Simul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perspective, the image of clothing pressure (front, side, back)

    Table

    Avatar’s body size (Unit: cm)

    Comparing the sizes of the bottoms in jumper suits by areas (Unit: cm)

    Comparing the sizes of the top in jumper suits by areas (Unit: cm)

    Exterior evaluation on the surplus according to the movements (n=20)

    Comparing the distortion of cloth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movements (Unit: gf/cm2)

    Reference

    1. Armstrong, H. J. (2011). Patten making for fashion design (J. S. Kim, Y. S. Kim, S. H. Ryu, S. A. Kwon, & Y. J. Nam, Trans.). Seoul: Ye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7)
    2. Choi, E. J. , Suh, M, A. , & Uh, M. K. (2012). Image differences based on changes in hip circumference and crotch length in baggy pants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6), 912-922.
    3. Choi, J. H. , & Han, J. Y. (2007). A study on the wool knitted jacket pattern development suited for a middle-aged woman’s body shap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2), 299-310.
    4. Jeong, J. C. , Park, S. K. , & Uh, M. K. (2015). A study on pattern development to improve the fitness of women’s slim-fit tailored jackets -Focused on the somatotypes of Korean women in their 3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4), 569-580.
    5. Kim, H. S. , Choi, C. S. , & Kim, J. M.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nts patterns for senior wome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8(3), 68-84.
    6. Kim, K. A. , Uh, M. K. , & Hong, E. H. (2015). Utilization of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program proposed for the evaluation of movement fitness -Focusing on the men’s jean pant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7(4), 55-66.
    7. Kim, S. K. , Lee, H. J. , & Cha, Y. J. (2020, June).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재 산업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impact of COVID-19 on consumer goods industry]. Samjong KPMG. Retrieved December 29, 2021, from https://assets.kpmg/content/dam/kpmg/kr/pdf/2020/kr-covid-19-consumermarkets-20200618.pdf
    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The 7th size Korea. Size Korea. Retrieved August 10, 2021, from https://sizekorea.kr/page/report/1
    9. Lee, Y. S. , Park, E. J. , & Suh, C. Y. (2003). Comparative evaluation of jacket for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clothing pressur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5), 485-495.
    10. Lim, J. Y. (2021, February 26). 이번 달 뭐 입지? ‘집 콕 패션’ 그대로 출근합니다 [What should I wear this month? I go to work in Jipkok fashion the clothes I wear at home]. Dong-A Ilbo. Retrieved December 29, 2021, from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10225/105608734/1
    11. Moon, J. H. , & Jeon, E. K. (2011). An analysis on the design factors for pants pattern -Focused on crotch reg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3), 382-389.
    12. Nagazawa, S. (1999). 의복과 체형 [Clothing and body shape] (M. H. Na, & J. S. Kim, Trans.). Seoul: Ye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13. Oh, S. H. (2002). 서양의복구성 [Western clothing composition]. Seoul: Yehaksa.
    14. Park, W. M. (2013). A comparative study on patternmaking method and general fit of women’s pants sloper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12, 81-92.
    15. Park, Y. J. (2020, December 28). 코로나 위기속 비대 면 사회, 슬기로운 ‘집콕’생활, 이커머스로의 소 비축 이동 등 [Untact society in the crisis of COVID-19, wise life for ‘Jipkok (staying at home all day long)’, the axis of consumption moved to e-commerce]. Fashion Journal. Retrieved December 30, 2021, from http://okfashion.co.kr/detail.php?number=55717&thread=81r14r01
    16. Sim, S. D. (2020, December 4). 언택트 시대에도, 패 션은 포기못해…김대리의 ‘멋택트’ [Fashion can not be given up even in the untact era...Kim Dae-ri’s ‘smartness tact’]. Maeil Business. Retrieved December 29, 2021, from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12/125006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