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1 pp.66-87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1.66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fashion design

Minjae Han, Younhee Lee*
Ph. D.,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Major in Human-Tech Convergence,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doctoral dissertation.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December 7, 2021 January 25, 2022 January 27, 2022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experimental hanbok designs by accommodating the latest world fashion trends and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in order to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Korean fashion design. To do so, We analyze works by contemporary Korean fashion designers to investigate current developments in Korean fashion design and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within hanbok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most contemporary hanbok designs repeat stereotypes of traditional hanbok with minor modifications. So there arises a need to create new hanbok designs that are clearly distinct from traditional hanbok but also maintain its core features. To develop such designs, I apply the techniques of deconstruction fashion, which allow making experiments with form, composition, and materials use to realize new aesthetics. The use of CLO 3D fashion design software also proves to be very efficient for developing experimental designs. The study results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clothing and 3D fashion for hanbok, particularly as metaBUS, a cloud-based research synthesis platform, is rapidly gaining ground, an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re increasingly mixed in everyday life. This attempt at 3D design of hanbok is expected to trigger more creative experimentation in hanbok design.



한국적 패션 디자인 분석을 통한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
- 3D 가상착의를 기반으로 -

한 민 재, 이 연 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박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과거 아시아권에 제한되었던 한류 문화의 관심은 최근 한국의 기술, 음식, 음악, 드라마, 영화, 게임, 뷰티 등 여러 분야에서 인정을 받 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K팝 아이돌 이나 한국의 사극 영화, 드라마를 통해 출현하는 한 복 및 한국 전통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한복의 세계적인 위상은 최근 국내외로 유명한 K팝 스타가 공연 무대의상, 뮤직비디오, 일상복으로 한복을 입고 등장하면서 더욱 높아졌고, 넷플릭스 (Netflix) 드라마 등을 통해 한복에 대한 인식도 국내 외로 점차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해외 패션 브랜 드와 디자이너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올해 창립 100 주년을 맞은 구찌(Gucci)는 한국 전통 주택의 ‘가옥 (家屋)’에서 명칭을 착안한 ‘구찌 가옥(Gucci Gaok)’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하여 한국적 요소들을 가미한 영상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공개하였으며(Park, 2021), 영국디자이너 에드워드 크러칠리(Edward Crutchley) 는 2021년 S/S 서울패션위크 디지털 런웨이에서 한국 의 전통 모자인 갓을 서양복과 매치하여 선보였다(Seo, 2020).

    한국적 디자인을 발표해온 이영희, 진태옥, 이상봉, 차이킴 등의 디자이너들과 학술계 전문가들의 한복 현대화 및 세계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문 화체육관광부 주최 및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 복단체총연합회가 공동 주관했던 제17회 한복의 날 기념 ‘관(官) 행사’에서 반전 있는 한복 패션쇼를 기획 해 청바지, 헤드폰, 아이패드와도 어울리는 현대 한복 디자인으로 전통 한복에 대한 고정관념에 반전을 꾀 한 무대를 선보이기도 했다(JoongAng Sunday, 2013).

    이처럼 현대의 한복은 과거 전통의 원형에서 벗어 나 점차적으로 현대적인 트렌드와 부합한 한국적 패 션 디자인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젊은 세대들에게 한복은 큰 반향을 불 러일으키지 못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한복의 개선 점을 조사한 서경덕 교수팀에 따르면, 현대적인 디자 인과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는 퓨전 스타일 개발이 약 60%를 차지했으며(Kim, 2016), 만 14세 이상의 남녀 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패널나우’에서도 시 대 변화에 따른 한복 변화의 필요성에 69.6%가 긍정 적인 반응을 보였다(Jeon, 2018). 또한 Eum(2011)에 따르면, 한복을 활용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관한 국 내외 패션 전문가들은 전통적인 표현 방법에 얽매인 한국적 패션 디자인이 현대적이지 못하고 유행에 뒤 떨어져 있음을 지적하면서, 한국적 모티브 개발에 최 신 트렌드와 디자이너의 개성이 적용되어야 함을 강 조하였다.

    따라서 전통 한복은 전통대로 지켜나가면서, 현 시 대가 요구하는 변화된 한복 디자인 개발과 한복을 활 용한 현대적인 한국적 패션 디자인을 제시하여 한복 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긍정적인 인식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복 및 한국 전통을 활용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 개 발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유형 및 표현 방법들을 세 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기존 한복 디자인의 전통 적 질서 자체에서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디자인 방법 을 해체주의 예술 사조에서 찾고자 하였다. 현대적인 한복 개발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최근 트렌드에 부응 할 수 있도록 전통 미학의 범주 안에서 반복되는 한복 디자인의 한계점을 벗어나 한복을 기반으로 한 실험 적인 디자인을 시도하고, 다양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 의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최근 메 타버스의 개념이 주목되고 버추얼 인플루언서(virtual influencer)와 같은 가상 모델을 통한 브랜드 홍보, 많 은 패션 브랜드들의 가상 세계 입점, 각종 전시, 공연, 교육 등 현실과 혼합된 가상공간 및 인프라를 구축하 는 단계에서, 가상공간에서의 의상을 확대 발전시키 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3D 가상 착의를 통해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자료를 통해 시대 변화에 따른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개발 양상과 그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들을 살펴본다. 이는 현대 한국적 패션 브랜드 및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분석하 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학술지를 중심 으로 한국복식 디자인(‘한국복식’의 용어는 해당 연구 에서 한국 전통 복식인 한복뿐만 아니라, 한국적인 전 통을 모티브 요소로 활용한 복식의 의미를 모두 포함 한 용어로 사용함)에 관한 연구(Han, 2021;Han & Lee, 2020)를 바탕으로 한다. 다음으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이너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 한복 및 한국 전 통 요소를 활용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 개발의 현 황과 그 유형 및 표현 방법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현 재 한복 디자인 개발에 지적되는 부분과 앞으로의 한 복 및 한국 전통을 활용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개발 방향을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작품 분석 을 통해 정리한 한복 및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현 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들 의 세부적인 표현 방법과 선행연구(Han, 2021;Han & Yang, 2021)에서 조사한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방 법을 함께 활용하여 한국적 패션 디자인을 개발한다. 디자인 전개는 3D 디지털 클로딩 기법으로 CLO3D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5개의 작품을 제안 한다.

    Ⅱ. Background

    1.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A historical overview

    Kim의 연구(as cited in Suh & Kim, 2019)에 따르 면 한국적 패션 디자인은 현대의 시점에서 전통을 받 아들이고 현대적으로 재해석 및 재창조한 것이다. 한 국적 패션 디자인의 모티브로 활용되는 한국 전통 요 소들 중 한복의 조형적 독창성은 한국적인 패션 이미 지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많은 디자이너들에 의해 활 용되고 있으며(Geum, 1999),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은 한복 혹은 한복 구성 요소의 높은 활용도에 따라 한복 디자인의 변화와 발전의 개념 안에서 설명된다. 한복 을 모티브로 활용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은 한복의 전 통적인 디자인 특성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디자인 과 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거나 형성된 다양한 서구 복식 디자인의 특성까지 포함한다(Seomoon & Kim, 2019).

    한국 전통복식인 한복은 시대에 따라 지속적인 발 전과 변화를 겪어왔다(Park & Kahng, 1994). 개화기 이전에는 왕가 복식의 유행에 따라 혹은 기녀와 같은 특정 계층이 착용하는 복식 형태의 유행에 따라 계속 적으로 변화했으며, 개화기 이후 조선 정부가 서양 문 명을 받아들이면서 도입된 서양복식의 영향으로 한복 은 수천 년간 이어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한복을 벗 어나 그 형태와 장식이 실용적으로 간소화되는 형태 로 변화하였다(Hong, 1990;Kim, 2003). 광복과 6․ 25 전쟁, 1960년 이후 경제성장과 공업화, 도시화, 1980년대의 아시안 게임과 올림픽 개최 등에 따라 한 복은 계속적으로 시대 변화의 영향을 받았으며(Lee, 2019;Park, 2004), 최근에는 K팝 아이돌들이 공연 무 대의상, 일상복 등으로 한복을 입고 미디어에 노출되 면서, 생활 한복의 한계를 뛰어넘어 평상복과도 어울 리는 실용성을 강조한 모던 한복이 나타나고 있다 (Kim, 2020). 이와 같이 사회적 배경과 문화에 따라 한국복식 개발에 대한 인식 동향은 현재까지도 계속 적으로 변화해오고 있으며, 환경에 따라 새로운 한국 복식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왔다(Seomoon & Kim, 2019).

    한복은 시대에 따라 한복 전통 원형을 부분적으로 유지 및 변형한 디자인, 전통 한복 원형 자체 혹은 부 분을 양복화한 디자인, 전통적인 한복의 구성요소를 양복에 대입한 디자인 등 다양한 디자인 표현 방식을 통해 변화해 왔으며(Nam, 1990), 이 디자인 표현 방법 들은 전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과 원형변형 디자인, 원형탈피 디자인의 세부적인 디자인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Han, 2021;Han & Lee, 2020).

    2.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은 선행연구(Han, 2021;Han & Lee, 2020)에서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복 식 디자인을 분류한 ‘전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과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 ‘전통 한복의 원형탈 피 디자인’, 그리고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 총 4가지로 정리되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분석 기준 으로 마련하였다.

    각 분석 기준의 내용을 요약하면 전통 한복의 원형 재현 디자인은 원형의 변형 없이 기본적인 전통 한복 의 앞판과 뒤판, 깃, 섶, 소매, 고름, 끈 등 각각의 패턴 을 나누는 구성선과 형태, 위치, 비율을 그대로 사용 한 디자인을 의미하며,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 은 전통 한복의 원형을 변형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 한 디자인으로, 형태적인 측면에서 기본적인 전통 한 복의 원형을 완전히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현대적 인 요소들과 결합하여 변형을 이룬 디자인을 의미한 다.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은 전통 한복의 형태 를 완전히 벗어난 디자인으로 한복의 아이템과 한복 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지만 이에 대한 설명 없이 작품의 결과만 봤을 때 전통 한복의 원형을 찾아보기 어려워 한복에서 디자인을 확장했다 고 보기에 다소 무리가 있는 작품들을 포함한다. 마지 막으로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은 한복을 작 품 개발의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지 않으면서, 한국의 전통 색채, 전통 소재, 전통 문양, 전통 장신구 등 한 국적인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요소들만을 활용한 패 션 작품들을 포함한다(Table 1).

    3. Design methods of deconstruction fashion

    해체주의는 기능성 및 실용성을 중시한 모더니즘 철학의 회의감으로 질서의 기초에 있는 것을 비판하 고, 불필요하고 과장된 외형을 강조한 예술 사조로 (Park, 2015), 패션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기존 질서 의 파괴, 탈형식, 다양성 공존 등의 디자인 방법을 통 해 혁신적인 디자인을 제시해 왔다. 최근에는 평범하 고 자연스러운 멋을 추구하는 놈코어(normcore) 스타 일에 진부함을 느낀 패션 디자이너들이 변화와 개성을 되찾기 위해 해체주의 패션에 관심이 커지면서 신-해 체주의 개념도 등장하였다(Kim & Ha, 2016). 패션에 서의 해체주의 개념은 오랫동안 지속된 질서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활용되는 철학으로, Han(2021)Han and Yang(2021)의 연구에서 조사하였던 해체주의 패 션의 표현 방법은 불완성’, ‘해체 및 재구성’, ‘재활 용’, ‘투명’, ‘낡음’, ‘평면화’, ‘과장’ 총 7가지로, 각 유 형의 표현 기법들을 요약하면 다음 <Table 2>와 같다.

    Ⅲ. Analysis of Korean Fashion Design Using Hanbok and Traditional Korean Elements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복 및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 는 각각의 조형적 특징을 알아보고, 그 표현 방법들을 정리하여 최근 한복 및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한국 적 패션 디자인 작품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범위는 2011년 S/S부터 2021년 S/S 컬렉션까지 구글 (https://www.google.com)과 네이버(https://www.nave r.com) 검색을 통해 나타나는 블로그 및 기사 등의 사 진 자료와 각 브랜드의 홈페이지, 인스타그램(https:// www.instagram.com), 유튜브(https://www.youtube.com) 를 통해 컬렉션 사진을 수집하였다. 분석 대상 작품은 기로에(33), 김혜순한복(46), 꼬마크(9), 다시곰(44), 단하주단(29), 리슬(84), 시지엔이(198), 여미다(22), 이세(9), 차이킴(160), 천의무봉(17), 한국의상백옥수 (69), 한복린(49), 혜온(23) 총 14개 브랜드에서 792점 을 수집하였다. 작품 및 스타일링에 대한 반복적인 사 진이나 한복 디자인의 전체적인 형태를 알아보기 힘 든 사진 자료들은 제외하였다.

    이와 같이 선정한 브랜드 및 디자이너들의 한복 및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서 나타나는 각각의 조형적 특징 경향을 앞장에서 제 시한 학술적으로 연구된 한국복식 디자인 경향의 조 사 결과들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은 80점, 전통 한복의 원형 변형 디자인은 562점,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 은 126점, 한복을 제외한 한국적 전통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은 24점으로, 원형변형 디자인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원형 탈피 디자인, 원형재현 디자인, 한국적 전통 요소 를 활용한 디자인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1. Re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hanbok

    전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은 전통 한복의 원형 을 재구성 없이 그대로 표현한 디자인으로, 현대 한국 적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전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은 기본적인 전통 한복의 상의를 구성하는 앞 길과 뒷길, 깃, 섶, 소매, 동정, 끝동, 곁마기 등과 전통 한복의 하의를 구성하는 허리 말기, 주름, 폭, 데님, 끈 등 전통적인 패턴을 나누는 구성선과 위치, 형태, 비 율을 그대로 유지하여 형태적인 변형은 하지 않으면 서 색상, 소재, 자수 등을 기존 전통 방식과 다르게 활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킴은 <Fig. 1>과 같이 전통 한복의 저고리와 치 마, 두루마기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전통 적으로 하얀색을 사용하는 치마허리 말기에 하늘색을 사용하고, 치마 원단은 전통 민화를 패턴화하여 활용 하였다. <Fig. 2>의 김혜순한복과 <Fig. 3>의 한복린은 전통 한복의 저고리 및 치마의 원형과 전통 소재를 그 대로 활용하였으나, 치마허리 말기 혹은 동정을 검정 색 원단으로 사용하여 해당 부분에 물들이지 않은 소 색이나 자연색을 사용했던 기존 전통 한복에 활용되 는 색상에 변화를 주었다. 한국의상백옥수는 전통 한 복의 저고리와 치마의 원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레 이스 소재를 활용하여 현대적인 느낌을 가미하였고 (Fig. 4), <Fig. 5>와 같이 전통 반비의 원형을 유지하 면서 동정을 색다른 원단과 색상을 활용하여 재미를 주었다. 차이킴은 전통 마고자, 저고리, 치마의 원형 은 유지하면서 마고자의 끝단에 지그재그 모양의 장 식 테이핑을 둘러 기존 전통 한복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였다(Fig. 6).

    2. Light transformation of Korean traditional hanbok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은 전통 한복의 원형을 변형하여 현대적으로 표현한 디자인으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 은 세부적으로 ‘전통 한복의 자체적 변형’,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결합’,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개별적 공존’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1) Modification within tradition

    전통 한복의 자체적 변형은 현대복식의 형태, 소재, 문양 등의 구성 요소들과의 결합을 배제하고, 전통 한 복을 구성하는 형태, 색상, 소재, 문양 등의 범위 안에 서 조형적 특징을 변형하는 유형을 의미한다. 그 예로 차이킴의 작품(Fig. 7)은 전통 한복의 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통 당의 앞판 기장의 전통 비율을 깨 고, 속치마를 모두 가리는 겉치마를 짧은 기장으로 변 형하여 속치마를 겉으로 드러나게 함으로써 전통 한 복의 원형을 변형하였다. 단하주단은 전통 한복 저고 리 원형에서 소매와 고름, 섶, 동정을 삭제하고, 전통 적으로 붙어있는 허리 말기와 치마를 따로 분리하여 제작하였으며, 허리 말기 부분의 생략을 통해 전통 속 옷인 가슴가리개를 겉으로 노출하였다(Fig. 8). 천의 무봉은 두루마기 앞판의 밑단을 계단식으로 재단하여 비대칭적인 구조를 강조하면서 기존 전통 한복 패턴 의 틀을 깬 작품을 선보였다(Fig. 9). 차이킴은 기존 전통 한복 고름의 위치와 전통 치마와 허리 말기의 비 율을 변경하고, 전체적인 전통 치마의 풍성함을 일부 분에 한정함으로써 전통 한복의 원형을 변형하였다 (Fig. 10). 김혜순한복은 저고리 고름의 너비를 얇게 변경하고, 치마의 끝자락을 기존 전통 한복과 다르게 드레이핑하여 전통 한복 원형에서 벗어난 새로운 실 루엣을 제시하였다(Fig. 11). 여미다의 작품(Fig. 12) 은 두루마기의 섶과 동정을 생략하고, 단속곳으로 보 이는 하의와 치마의 허리 말기를 연결하여 서로 다른 전통 한복의 각 구성 요소를 재구성함으로써 기존 한 복의 전통적인 형태를 변형하였다. 또한 전통 속옷으 로 입혀졌던 하의를 겉옷으로 노출함으로써 전통 착 장 방식에도 변화를 주었다.

    2) Fusion of Korean traditional hanbok and modern western fashion design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결합은 크게 전통 한 복을 바탕으로 현대 서양복식의 구성 요소를 대입하 는 유형과 현대 서양복식을 바탕으로 전통 한복의 구 성 요소를 대입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통 한복을 바탕으로 현대 서양복식의 구성 요소를 대입하는 유 형은 전통 한복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전통 한복의 형태적인 특징이 강하게 나타났다. 기로에는 전통 두 루마기의 원형을 바탕으로 고름 대신 현대 트렌치코 트에서 보이는 더블 단추를 달아 여밀 수 있도록 하였 고(Fig. 13), 혜온은 전통 두루마기에 서양의 타이트 소매와 스트랩트 커프스(strapped cuffs), 그리고 프릴 장식을 서양복식의 일부 구성 요소로 활용하였다(Fig. 14).

    현대 서양복식을 바탕으로 전통 한복의 구성 요소 를 대입하는 유형은 전통 한복을 바탕으로 현대 서양 복식의 구성 요소를 대입하는 유형과는 반대로 현대 서양복식의 형태적인 특징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세 는 점퍼(jumper)와 조거 팬츠(jogger pants)를 바탕으 로 점퍼의 칼라 부분을 전통 깃으로 대체하고, 여밈 부분을 지퍼 대신 끈으로 변경하여 제작하였다(Fig. 15). 다시곰은 봄버 재킷(bomber jacket)과 조거 팬츠 (jogger pants)를 바탕으로 칼라 부분을 색동을 입힌 전통 깃으로 대체하였다. 또한 왕의 복식에 부착되었 던 왕권을 상징하는 원형 형태의 보(補) 자수를 현대 적으로 디자인하여 상의에 붙이고, 조거 팬츠의 밑단 부분에는 대님 끈을 이어 한국적인 느낌을 주었다 (Fig. 16). 꼬마크는 정장 코트와 셔츠의 칼라 부분만 전통 깃을 활용하여 대입하였고(Fig. 17), 리슬은 <Fig. 18>과 같이 상의는 애슬레저(athleisure) 점퍼를 바탕 으로 왕의 전통 한복인 곤룡포의 보(補) 자수 문양을 프린팅하였고, 하의는 조거 팬츠를 바탕으로 밑단에 는 스트링을 전통 한복 바지의 대님처럼 활용하였다. 또한 허리에는 전통복식에 무릎을 가리는 용도로 착 용되었던 폐슬을 궁중에서 착용하던 대란치마의 봉황 문 금박이 찍힌 원단 일부와 현대적인 문양이 더해진 전통 문양 자수가 놓인 양단으로 재해석하여 포인트 를 주었다.

    3) Coexistence of Korean traditional hanbok and modern western fashion design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 형태의 개별적 공존은 앞서 제시한 ‘전통 한복과 서양복식의 결합’ 유형과 같이 전통 한복의 형태와 현대 서양복식의 형태가 한 아이템 안에 서로 적절히 녹아져 있는 것이 아닌 상의, 하의 혹 은 겉옷의 각 복식 유형이 뚜렷하여 그 형태가 서로 분리 되어 인지되는 유형이었다.

    리슬은 <Fig. 19>와 같이 상의는 전통 한복의 저고 리를, 하의는 현대복식인 청바지를 매치하였으며, 차 이킴은 <Fig. 20>과 같이 전통 당의와 치마 안에 롤업 (roll-up)한 현대 서양식 바지를 매치하였다. 또한 한 국의상백옥수의 작품(Fig. 21)은 상의와 하의는 현대 서양복식의 형태인 라운드 넥 조끼에 와이드 팬츠를 매치하였지만, 겉옷은 전통 답호를 걸쳐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개별적인 형태가 공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 Radical transformation of Korean traditional hanbok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은 전통 한복의 원형 을 완전히 벗어난 디자인으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 인에서 나타나는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은 전 통 한복의 원형을 찾아보기 어려운 아방가르드한 조 형적 형태나 일상복, 파티복 등의 현대 서양복식의 형 태로 나타났다. 다시곰은 민소매 저고리를 디자인 요 소로 활용하였는데(Darcygom, 2021a; Fig. 22), 그 요 소를 접목한 옷이 그 위에 덧입힌 의복에 가려져 디자 인의 의도를 모르고 봤을 때 살짝 겉으로 노출된 칼라 가 저고리의 깃인지, 서양복의 셔츠 칼라인지 두드러 지지 않아 서양복식이라는 착시를 일으킨다. 시지엔 이가 2020 FW 코카 디지털 패션위크에서 선보인 작 품(Fig. 23)들은 한복의 깃과 고름, 후수, 금박 등의 한 국 전통 요소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자인(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20)이며, 여미다의 작품 (Fig. 24)은 전통 속치마와 현대 트렌치코트를 모티브 로 현대적인 드레스를 제작한 디자인(Hanbok Wave, n.d.)이나, 디자이너의 설명 없이 작품만 보았을 때 전 통 한복의 원형은 드러나지 않는다. 차이킴은 한복의 날을 기념해 선보인 한복 패션쇼에서(Fig. 25), 김혜순 한복은 화예와 한복을 융합한 플라워 패션 페스티벌 쇼에서 한복을 모티브로 한 한국적 패션을 선보였으 나(Fig. 26), 작품의 원형이 현대 일상복 혹은 아방가 르드한 패턴의 조형이 두드러져 전통 한복의 원형에 서 완전히 탈피한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의상백옥수 작품(Fig. 27)은 전통 한복을 바탕으로 재해석한 한복 이브닝드레스(Baekoaksoo, 2014)로, 전통 한복 치마 원형의 특징인 허리 말기나 주름, 끈 등이 없고, 서양 의 이브닝드레스 패턴과 나비 모양의 리본이 강조되 어 디자이너의 작품 설명이 없이 볼 때, 전통 한복을 바탕으로 확장한 디자인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4. Utilization of other Korean traditions than hanbok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은 한복을 작품 개발 의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지 않으면서 한국의 전통 요소 를 모티브로 활용한 디자인을 의미하며, 이러한 디자인 은 한복을 모티브로 활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통 한복 의 원형탈피 디자인과 같이 한복의 원형을 찾아보기 어 려웠다. 따라서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작품에 대한 디 자이너의 설명이 중요했다.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서 나타나는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은 전 통 액세서리, 전통 미술, 전통 소품, 전통 소재 등을 활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곰은 <Fig. 28>과 같이 전통 노리개와 전통 민 화에 나타나는 호랑이를 모티브로 드레스를 제작하였 으며, <Fig. 29>에서는 전통 소재인 양단을 활용하여 점프수트를 제작하였다. 차이킴은 상여의 전통 부속 물인 꼭두를 모티브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을 선 보였다(Fig. 30).

    Ⅳ. Production of Works Using Hanbok and Deconstruction Techniques Based on 3D Digital Clothing

    1. Design purpose and intention

    본 연구는 한복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한복 디자인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전통 미 학의 범위 안에서 반복되어온 한복 디자인 방법을 탈 피하여 현대적 트렌드에 부응할 수 있는 한복 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한복과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한국적 패션 브랜 드와 디자이너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 나타난 특징은 원형변형 디자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는 점이었다. 이는 한복의 원형을 어느 정도 유지한 상태에서 디자인을 변형해야 한복을 모티브로 활용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이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라 사 료된다. 또한 원형변형 디자인의 전통 한복 변형의 정 도는 약한 것부터 강한 것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 으나 전통 한복의 원형, 소재, 문양은 전체적으로 크 게 변형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패턴의 길이나 너비의 수정, 혹은 일부 고름이나 깃을 삭제하는 정도에서 그 친 경우가 많이 나타나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이 전 통 미학의 범주 안에서 반복된다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형의 정도가 너무 미 미하거나, 한복을 재해석한 디자인이라고 알아보기 힘든 정도의 강한 변형은 하지 않고, 한복에서 변형을 시도했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는 원형변형 디자인의 범위 안에서 새로운 디자인 표현 방법으로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방법과 그 기법들을 접목하여 한국적 패 션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 분석 결과로 나타난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의 세부적인 유형인 전통 한 복의 자체적 변형,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결 합,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 형태의 개별적 공존 3가지의 유형 중 형태적인 부분에서의 디자인 변형은 ‘전통 한복의 자체적 변형’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는 ‘전통 한복의 자체적 변형’ 유형이 전통 한복 자체의 패턴 구성을 기반으로 형태 및 제작 방법 등의 전통적 질서에서 벗 어날 수 있는 방법을 뚜렷하게 보여줄 수 있고, 한복 고유의 패턴이 본 연구에서 활용하고자 할 해체주의 패션 디자인의 표현 방법과 결합하면서, 자체적으로 변형 및 개발될 수 있는 다양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이 결합된 유형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 고, 현재에도 꾸준히 증가 추세인 만큼 편리성을 가미 할 수 있는 서양복식의 요소들을 일부분으로 함께 활 용하였다.

    한국 전통 요소만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은 다른 유 형들에 비해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한 국 전통 요소도 한국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는 요소이 자 활용될 수 있는 범위가 넓어 한복과 함께 디자인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새롭고 다양한 한국적 패션 디 자인을 개발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의 작품 개발에서는 앞 서 설명한 디자인 방법들과 더불어 한국 전통 요소 중 하나인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의 사신도와 한국의 전 통 오방색을 추가적인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고자 하 였다. 작품은 총 5개로 구성하였으며, ‘CLO3D’ 프로 그램을 통해 디자인을 전개 및 구현하였다.

    2. Design methods

    작품 제작은 전통 한복 아이템인 저고리와 치마, 바지, 철릭, 도포, 그리고 궁중복식의 왕의 폐슬을 모 티브 요소로 활용하여 전통 한복의 개념적인 틀은 유 지하면서, 기존 한복의 형태와 구성, 전통적인 제작 방식 등을 해체하여 기존 한복 구성과 차별화된 해체 패션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전통의 틀에 의존한 디 자인의 질서를 깬 작품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해 체주의 패션의 표현 방법 중 불완성, 해체 및 재구성, 평면화의 기법을 대표적으로 활용하였고, 그 외 표현 방법으로는 투명과 과장을 활용하였다.

    디자인에 적용한 해체주의 패션 표현 방법의 구체 적인 표현 기법은 가봉 시침실의 흔적과 패턴의 기호 이미지들을 의상 겉면에 노출, 마감 처리의 생략, 봉 제되어야 할 부분을 미봉제하는 방법 등을 통해 불완 성의 이미지를 더하였다. ‘해체 및 재구성’의 표현 기 법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한복 제작 방식을 해체하여 시접을 구성선 밖으로 봉제함으로써 겉면과 안면이 바뀐 듯한 착시를 주거나 패턴의 봉제 위치 변경, 이 질적인 원단 및 부자재의 결합, 성별의 혼재 등을 적 극 활용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전통 한복의 평면적인 조형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한복의 평면 패턴 이 미지를 의복을 구성하는 일부분으로 ‘평면화’하여 표 현하는 등 한복을 구성하는 부분적인 구조를 디자인 의 새로운 형태로 차용하였다. 이 밖에, 반투명한 원 단 소재 활용을 통한 ‘투명’, 일부 한복 패턴의 길이와 크기를 작게 혹은 크게 하는 ‘과장’의 표현 기법을 한 복에 대입하여 전통 한복 패턴의 구성 및 비율을 탈피 한 새로운 한복의 조형적 특성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주재료는 해체주의적 조형 특성을 극대화하고 자 전통 한복 소재인 노방과 이와 대비되는 PU가죽, 네오프렌, 크로쉐(crochet) 핸드 니트 소재를 사용하 였다.

    한국 전통 요소 중 하나인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의 사신도와 한국의 전통 오방색을 디자인 요소로 함께 활용한 이유는 오방위를 수호하는 사신사상과 오방색 의 색채관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사신 사상은 중국 고대의 천문관과 오행사상에서 비롯된 것(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n.d.)으로 고 구려 고분벽화의 사신도는 동서남북과 중앙의 오방위 에서 우주의 질서를 수호하는 동물들을 그린 것이다 (Shin, 2017; Fig. 31~35). 이는 각 동물마다 음양오행 의 동양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우주와 인간의 질서를 상징하는 오방색을 표상하여, 동쪽을 수호하는 청룡 은 청색을, 서쪽을 수호하는 백호는 백색을, 남쪽을 수호하는 주작은 적색을, 북쪽을 수호하는 현무는 흑 색을, 그리고 중앙을 수호하는 황룡은 황색을 상징한 다. 이에 각 수호 동물이 상징하는 색을 주조색으로, 그리고 그 색을 잘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주변 색, 혹은 대비 색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보조색으로 구성하고, 패턴은 벽화에서 상징하는 수호 동물들을 직접 디자 인하고 패턴화하여 제작하였다. 각 수호 동물의 패턴 문양은 강서대묘 사신도와 구글(https://www.google. com) 사이트에서 용과 호랑이, 새, 거북이와 뱀을 키 워드로 검색된 이미지들을 참고하여 직접 문양을 제 작하였다. 디자인의 기획 내용을 정리하면 <Table 3> 과 같다.

    3. Descriptions of design works: The guardian of light

    디자인 1은 재킷과 스커트로 구성하였다. 상의는 여자 한복 저고리와 동쪽을 수호하는 청룡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였고, 하의는 조복(朝服) 또는 제복(祭 服) 착용 시 함께 입던 폐슬의 형태를 모티브로 스커 트를 제작하였다.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기법으로 마 감 처리의 생략, 구성선의 시침실을 의복 표면에 노 출, 재킷의 소매 끝과 몸판, 스커트의 옆 솔기를 미봉 제하는 것을 통해 불완성을 표현하였다. 또한, 전통 한복의 평면 재단 기법에 해체주의 패션의 평면화 기 법을 더하여 새로운 조형적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 다. 재단한 평면 상태의 여자 한복 저고리 패턴의 위 치와 봉제의 위치를 변경하여 기존 저고리 패턴의 제 작 방식을 해체 및 재구성하고, 입체적 형태로의 변형 을 최소화하면서 인체에 그대로 대입하는 시도를 하 였다. 작품에 사용한 주재료로 전통 한복 소재인 노방 의 투명성을 활용하여 인체를 가리는 기존 의복의 용 도를 해체하고, 이와 함께 가죽, 네오프렌, 핸드 니트 를 재구성하여 해체적 느낌을 표현하였다. 제시한 디 자인의 특성상 착장 시에도 평면적인 상태를 잘 유지 할 수 있도록 올이 굵은 니트 원사를 활용하여 짧은뜨 기와 긴뜨기의 크로쉐 니팅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다 양한 색상 및 재질감의 여러 원단을 패치워크 형식으 로 재단하여 청룡 문양의 패턴을 몸판에 고정하고, 다 양한 니트 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장식을 더하였 다(Fig. 36).

    디자인 2는 재킷과 스커트로 구성하였으며, 상의는 여자 한복 저고리와 서쪽을 수호하는 백호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였고, 하의는 치마와 궁중 복식에 착용 되는 폐슬의 패턴을 해체하여 서로 다른 각 패턴의 일 부분을 결합하여 재구성하였다. 재킷의 깃 뒤판에는 길이와 너비를 과장한 하나의 깃을 더 달아 해체주의 패션의 과장을 표현하였고, 깃 끝에 가죽 원단과 버클 을 달아 여밀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전통 한복의 깃 모양을 벗어나 새로운 형태로 변형하는 시도를 하 였다. 또한, 평면적 패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체에 입히는 시도와 함께, 평면 패턴 제작 상태의 소매 패 턴을 덧댐으로써 평면화를 강조하였다. 앞의 작품과 같은 기법으로 해체주의 패션의 투명과 불완성을 표 현하였으며, 스커트는 기존 전통 치마의 여밈 끈을 삭 제하고 지퍼를 통해 여밀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마감 처리를 생략한 원단의 같은 색상으로 다양한 재질 및 굵기의 실을 밑단 부분에 고정함으로써 불완성의 표 현을 강조하였다. 작품에 사용한 주재료는 앞의 작품 과 같으며, 몸판에 꾸민 장식의 제작 방법 역시 앞의 작품에서 활용한 방법과 같다(Fig. 37).

    디자인 3은 재킷과 팬츠로 구성하였다. 상의는 남 자 한복 저고리를 바탕으로 여성 재킷을, 하의는 남자 한복 바지를 바탕으로 여성 바지를 제작하여 남성성 과 여성성이 결합된 해체주의적 패션을 표현하였다. 해체주의 패션의 불완성과 해체 및 재구성, 평면화의 표현 기법과 함께 깃 부분의 안감과 겉감의 시접을 겉 으로 노출한 상태에서 구성선을 봉제하여 기존 전통 한복 제작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을 시 도하였으며, 여밈의 방식도 리본을 묶는 방식이 아닌 이질적인 가죽 원단의 띠를 버클을 이용하여 고정함 으로써 전통 한복의 착장 방식을 해체하였다. 또한, 전통 노방 원단과의 이질적인 원단 결합과 해체주의 패션의 평면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형태 안정성을 유 지할 수 있는 네오프렌 원단을 사용하여 상의를 제작 하였다. 재킷의 소매는 일반적인 치수보다 길게 제작 하여 해체주의 패션의 과장을 표현하였다. 하의는 남 자 한복 바지의 허리끈과 데님, 사폭을 제외하고 마루 폭 중심선에 트임을 주어 형태를 변형하였으며, 옆 솔 기에 지퍼를 달아 여밀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에 사 용한 주재료는 앞의 작품과 같으며, 바지 겉면에 표현 한 장식은 중앙을 수호하는 황룡을 모티브로 앞의 작 품에서 활용한 방법과 같다(Fig. 38).

    디자인 4는 원피스로 구성하였으며, 전통 도포와 철릭, 폐슬, 그리고 남쪽을 수호하는 주작을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해체주의 패션의 불완성, 해체 및 재구 성, 평면화, 과장의 방법은 앞 작품에서 제시한 것과 같으며, 하나의 아이템 안에 서로 다른 여러 전통 한 복의 아이템을 디자인 요소로 결합하여 기존 전통 한 복의 원형을 탈피한 새로운 조형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가장 바탕이 되는 패턴으로는 원피스 형태의 트임 이 없는 철릭을 모티브로 허리선의 구성선과 주름을 삭제하여 재구성하였으며, 그 위에 철릭의 허리띠를 두르는 대신 폐슬에 주름을 잡아 허리에 둘렀을 때 양 옆 솔기를 덮게 함으로써 삭제한 허리선의 구성선과 주름을 기존 전통 철릭과는 다른 해체적 형태로 표현 하였다. 또한, 원피스의 뒤판에는 도포를 모티브로 제 작한 평면 패턴에 가죽과 버클을 연결하여 어깨에 고 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면화를 강조하였고, 다양 한 니트 실의 재료와 주작 패턴의 장식을 더하여 새의 날개 느낌을 강조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작품에 사용한 주재료와 장식 제작 방법은 앞의 작품과 같다 (Fig. 39).

    디자인 5의 원피스는 전통 철릭과 남자 한복 저고 리, 북쪽을 수호하는 현무를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의 도적인 마감 처리의 생략, 봉제의 생략, 제거하지 않 은 시침실을 통해 불완성을 표현하였고, 해체 및 재구 성의 표현 기법으로 의복 표면에 노출한 패턴의 기호 와 시접, 기존 패턴의 위치와 봉제의 위치 변경, 이질 적인 원단과 부자재의 결합, 성별의 혼재와 함께 전통 철릭의 일부 패턴을 삭제한 부분에 남자 한복의 앞판 과 소매를 대입하여 한 아이템 안에 여러 전통 한복의 패턴이 혼재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해체적 형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철릭의 리본이나 끈, 매듭단추 등의 여밈 방식이 아닌 가죽 원단과 버클을 통해 여밀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구성선 혹은 띠를 활 용하여 허리 부분을 모두 감싸는 기본 구조에서 일부 패턴을 허리띠의 바깥으로 배치하여 전통적인 형태의 변형을 더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앞 작품에서 활용한 것과 같이 전통 한복의 평면 재단 기법에 해체주의 패 션의 평면화 기법을 적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해체적 디자인을 찾고자 하였다. 작품에 사용한 주재료와 장 식 제작 방법은 앞의 작품과 동일하다(Fig. 40).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한복을 기반으로 한 현대적 한국 패션 디자인 연구를 목적으로, 한국복식 디자인 연구의 현 황 및 한복을 활용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개발 방향을 알아보는 한편,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기법들 을 한국적 요소와 결합하여 한복을 기반으로 한 독창 적인 패션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한국적 패션 디자 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복 및 한 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분 석 결과에 대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복 및 한국 전통 요소를 활용한 한국적 패 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 분석 결과, 대부 분 한복을 모티브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 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한복 및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대 한 관심과 변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한 복을 중심으로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의 개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 한 복의 원형, 소재, 문양은 전체적으로 크게 변형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패턴의 길이나 너비의 수정, 혹은 일 부 고름이나 깃을 삭제하는 정도에서 그친 경우가 많 이 나타나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이 전통 미학의 범 주 안에서 반복된다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 서 전통 한복의 원형재현 디자인을 시도하더라도 다 양하고 현대적인 소재나 문양, 장식 요소들의 범위를 좀 더 확장하고 개발하거나 전통 한복의 원형을 변형 하는 디자인을 하더라도 비중이 적은 일부 패턴의 삭 제와 같은 너무 미미한 변형이 아닌 형태와 소재, 문 양, 장식 요소 등의 전반적인 변화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전통 한복의 원형탈피 디자인은 변형의 정도 가 너무 강하여 디자이너의 리뷰가 없이 보는 이로 하 여금 그 작품이 한복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게 할 수 있다. 이는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서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원인으로 보이며, 한복이라는 인식을 할 수 있는 선에서 현대적으로 변형을 시도한 디자인이 시 대적 변화에 따른 한복, 혹은 한복을 모티브로 활용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이라 할 수 있었다. 활용된 한국 전 통 요소들은 대부분 한복과 함께 모티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한복을 제외하고 한국 전통 요소만을 활 용한 디자인은 일부 디자이너의 작품에만 한정되었다.

    셋째, 현대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전통 한복의 원형변형 디자인은 세부적으로 전통 한복의 자체적 변형,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결합, 전 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 형태의 개별적 공존으로 크 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었으며, 전통 한복의 자체적 변 형 유형을 제외하고는 전통 한복과 함께 디자인 요소 로 활용되는 의복으로 현대 서양복식이 주로 활용되 었다. 전통 한복과 현대 서양복식의 결합 유형은 다른 나머지 유형들에 비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이는 현대 서양복식이 전통 한복과 이질적인 요소로 인지되어 전통 한복의 원형을 탈피할 수 있는 방법으 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인 동시에, 현대 서 양복식의 형태를 평소 많이 착용하는 현시대에서 전 통 한복이 서양복식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일상복으 로도 자연스럽게 입을 수 있도록 시도하려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 및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디 자인 전개는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유형별 표현 방법 과 함께 한복을 모티브로 활용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자 하였으며, 해체주의 패션의 표현 방법을 통해 전개 하였다. 3D 가상착의 디자인 전개에 대한 결과 및 결 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적 측면에서, ‘불완성’과 ‘해체 및 재구 성’, ‘평면화’의 표현 방법은 작품 디자인 개발의 주요 표현 방법으로, 그 외 ‘과장’을 일부 표현 방법으로 적 용하였으며, 패턴 기호와 시침실 등의 겉면 노출, 미 봉제, 마감 처리의 생략, 전통 한복 몸판의 진동 부분 에 소매의 배래 부분 연결, 시접의 노출, 전통 한복 재 단 기법인 평면 재단 상태를 인체에 그대로 대입함으 로써 새로운 평면적 조형으로 구현, 일부 패턴의 길이 및 크기 과장 등의 기법들을 통해 기존 전통 한복의 고정된 실루엣을 벗어나 현시대가 보여주는 낯설음의 표현 안에서 신-해체주의 패션이 지향하는 새로운 해 체적 조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평면 패턴과 입 체적 구성의 재조합 방법을 통해 한복의 근본적인 평 면적 매력과 함께 평면 패턴이 해체주의의 표현 방법 으로 봉제됨으로써 나타나는 복합적인 실루엣은 새로운 해체적 형태를 더 강조할 수 있게 하였다. 또 한 과장된 장식 형태의 표현과 같은 대담한 변형을 통해 깃, 고름, 자수 등 전통 한복의 장식적 요소에 대한 고정 된 관념을 벗어나 한복 조형의 이면에 숨겨져 있던 새로 운 표현을 창조할 수 있었다.

    둘째, 구성적인 측면에서, ‘해체 및 재구성’의 표현 방법은 조복(朝服) 또는 제복(祭服) 착용 시 함께 입던 폐슬의 패턴과 평상시에도 착용하는 치마나 저고리 등 다른 여러 한복 아이템 패턴의 동시 결합, 남자 한 복과 여자 한복의 결합, 전통 한복에 서양의 여밈 구 성 방식 대입 등의 표현 기법을 통해 이질적인 패턴 구성의 낯선 이미지와 예상치 못한 새로운 실루엣을 구현할 수 있었다.

    셋째, 소재 활용의 측면에서, 전통 한복의 소재와 이질적인 느낌의 핸드 니트, 가죽, 네오프렌 소재를 함께 활용하여 다양한 재질과 이질적 원단 및 부자재 의 조화에서 오는 흥미로운 결과를 구현할 수 있었다. 전통 깨끼 바느질을 활용하여 마감 처리한 노방 원단 과 마감 처리를 생략한 네오프렌 원단, 그리고 마감 처리가 필요 없는 핸드 니트 원단을 혼용하거나, 마감 처리를 생략한 원단의 색상으로 여러 재질과 굵기의 실을 밑단에 장식하여 마감 처리가 안된 느낌을 강조 함으로써 ‘불완성’을 표현하였다. 또한 전통 한복 소 재에 지퍼, 버클 등 서양의 부자재를 결합하거나 일반 니트 원사부터 다양한 재질과 굵기의 니트 실을 결합 하여 장식수로 연결함으로써 전통 한복 재료에 한정 되던 기존의 디자인 방식을 넘어서 ‘해체 및 재구성’ 의 표현 방법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었다.

    넷째, 실험적인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3D 디지털 소프트웨어의 활용은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원단의 종류, 무게, 두께에 따른 착장 시 실루엣은 3D 가상 착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실물과의 유사성 재현과 디자인 수정 작업에 있어서 유용하였으며, 3D 프로그램의 툴을 통 해 다양한 시도를 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았던 새 로운 디자인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획한 디자인들은 한복 디자인의 정 체성을 유지하면서, 의도적으로 기존 한복의 의복 구 성, 제작 순서 및 방법에서 탈피함으로써 한복 디자인 의 고착화된 시대적 및 경험적 구성과 조형적 표현의 한계를 넘어선 가변적이고 이질적인 특징들을 구현 함과 함께 다양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접근법을 제 시할 수 있었다. 이는 전통 한복이 다양한 효과와 낯 선 이미지를 추구하는 새로운 패션 스타일로 재창조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현시대의 새로운 관점 과 맥락에서 기존에 활용되지 않았던 조형성과 미의 식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현대 한복의 새로운 미의식 구현과 다양한 한국적 패션 디자인 방법을 시도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메타버스의 개념이 주 목되고 현실과 혼합된 가상공간 및 인프라를 구축하 는 현 단계에서,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3D 디지털 소 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가상공간에 서의 한국적 디자인을 확대 발전시키고자 했음에 의 의가 있다.

    Figure

    RJCC-30-1-66_F1.gif

    2018 kkokdu fashion show, Tchai Kim Reprinted from Tchai Kim. (n.d.a). http://www.tchai kim.co.kr

    RJCC-30-1-66_F2.gif

    2018 F/W Hera Seoul fashion week, Kimhyesoon Reprinted from Jeong. (2018). http://newstown. co.kr

    RJCC-30-1-66_F3.gif

    Australia Melbourne ‘Korea week festival 2016’ hanbok fashion show, Hanboklynn Reprinted from Callon by lynn. (n.d.). http://callon bylynn.com

    RJCC-30-1-66_F4.gif

    2019 Seoul 365 fashion show, Baekoaksoo Reprinted from AnycallTube. (2019). http://youtube.com

    RJCC-30-1-66_F5.gif

    2019 Seoul 365 fashion show, Baekoaksoo Reprinted from AnycallTube. (2019). http://youtube. com

    RJCC-30-1-66_F6.gif

    2015 Jeju natural cosmetics fair, Tchai Kim Reprinted from Tchai Kim. (n.d.b). http://www.tchai kim.co.kr

    RJCC-30-1-66_F7.gif

    2019 10 Colabxglo fashion show, Tchai Kim Reprinted from Tchai Kim. (n.d.c). http://tchaikim.co.kr

    RJCC-30-1-66_F8.gif

    2020 S/S Vancouver fashion week, Danha Reprinted from Go2stream. (2019). http://youtube.com

    RJCC-30-1-66_F9.gif

    2013 Korean hanbok day, Cheonuimubong Reprinted from Cheonuimubong hanbok. (n.d.). http://daehanbok. modoo.at

    RJCC-30-1-66_F10.gif

    2016 Hera Seoul fashion week finale gala show, Tchai Kim Reprinted from Tchai Kim. (n.d.d). http://blog.naver. com

    RJCC-30-1-66_F11.gif

    2018 F/W Hera Seoul fashion week, Kimhyesoon Reprinted from Jeong. (2018). http://newstown. co.kr

    RJCC-30-1-66_F12.gif

    2016 hanbok design project, Yeomida Reprinted from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7a). http://youtube.com

    RJCC-30-1-66_F13.gif

    2011 hanbok festival fashion show, Guiroe Reprinted from Guiroe. (2018). http://instagram. com

    RJCC-30-1-66_F14.gif

    2017 hanbok design project, Hyeon Reprinted from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7b). https://youtube.com

    RJCC-30-1-66_F15.gif

    2019 SS Newyork fashion week, Iise Reprinted from Yu. (2019). http://content.v. daum.net

    RJCC-30-1-66_F16.gif

    2019 FW collection Reprinted from Darcygom. (2019). http://instagram. com

    RJCC-30-1-66_F17.gif

    2015 Korean hanbok day, Ccomaque Reprinted from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5). http://blog.naver. com

    RJCC-30-1-66_F18.gif

    2020 Seoul fashion show, Leesle Reprinted from Leesle. (2020). http://leesle.com

    RJCC-30-1-66_F19.gif

    2020 hanbok digital runway, Leesle Reprinted from Hanbok Advancement Center. (2021). http://hanbokwave. com

    RJCC-30-1-66_F20.gif

    2019 10 Colabxglo fashion show, Tchai Kim Reprinted from Tchai Kim. (n.d.e). http://tchaikim. co.kr

    RJCC-30-1-66_F21.gif

    2019 Seoul 365 fashion show, Baekoaksoo Reprinted from AnycallTube. (2019). http://youtube. com

    RJCC-30-1-66_F22.gif

    2021 SS collection, Darcygom Reprinted from Darcygom. (2021a). http://instagram. com

    RJCC-30-1-66_F23.gif

    2020 FW KOCCA digital fashion week, C-Zann E Reprinted from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20). http://tv.naver.com

    RJCC-30-1-66_F24.gif

    2020 hanbok digital runway, Yeomida Reprinted from Hanbok Wave. (n.d.). http://hanbokwave. com

    RJCC-30-1-66_F25.gif

    2013 Korean hanbok day, Tchai Kim Reprinted from Tchai Kim. (n.d.f). http://tchaikim. co.kr

    RJCC-30-1-66_F26.gif

    2017 flower fashion festival imagination, Kimhyesoon Reprinted from Ranirani. (2017). http://blog.naver. com

    RJCC-30-1-66_F27.gif

    2013 Charity international fashion fair, Baekoaksoo Reprinted from Baekoaksoo. (2014). http://youtube.com

    RJCC-30-1-66_F28.gif

    2021 SS collection, Darcygom Reprinted from Darcygom. (2021b). http://instagram. com

    RJCC-30-1-66_F29.gif

    2021 SS collection, Darcygom Reprinted from Darcygom. (2021c). http://instagram. com

    RJCC-30-1-66_F30.gif

    2018 kkokdu fashion show, Tchai Kim Reprinted from Tchai Kim. (n.d.a). http://www.tchai kim.co.kr

    RJCC-30-1-66_F31.gif

    Cheongryongdo of Gangseodaemyo Reprinted from “Gangseodaemyo”. (n.d.a). http://www. ko.wikipedia.org

    RJCC-30-1-66_F32.gif

    Baekhodo of Gangseodaemyo Reprinted from “Gangseodaemyo”. (n.d.b). http://www. ko.wikipedia.org

    RJCC-30-1-66_F33.gif

    Hwangryongdo of Gangseodaemyo Reprinted from “Hwangryong”. (2021). http://www. namu.wiki

    RJCC-30-1-66_F34.gif

    Jujakdo of Gangseodaemyo Reprinted from “Gangseodaemyo”. (n.d.c). http://www. ko.wikipedia.org

    RJCC-30-1-66_F35.gif

    Hyeonmudo of Gangseodaemyo Reprinted from “Gangseodaemyo”. (n.d.d). http://www.ko. wikipedia.org

    RJCC-30-1-66_F36.gif

    Final output of design 1

    RJCC-30-1-66_F37.gif

    Final output of design 2

    RJCC-30-1-66_F38.gif

    Final output of design 3

    RJCC-30-1-66_F39.gif

    Final output of design 4

    RJCC-30-1-66_F40.gif

    Final output of design 5

    Tabl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Main features of deconstruction fashion

    Characteristics and design methods for deconstruction fashion works

    Reference

    1. AnycallTube. (2019, July 20). 독립문 패션쇼-백옥수 디자이너 [2019 Seoul 365 fashion show, Baekoaksoo]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enJpqqzrj7I&t=812s
    2. Baekoaksoo. (2014). [한국의상백옥수] 2013 세계패 션페어 CIFF [Charity international fashion fair 2013, Baekoaksoo]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WUoXW60fnLw
    3. Callon by lynn. (n.d.). 호주멜버른 ‘Korea week festival 2016’ 한복패션쇼 [Australia Melbourne ‘Korea week festival 2016’ hanbok fashion show]. Retrieved December 1, 2021, from http://callonbylynn.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398
    4. Cheonuimubong hanbok. (n.d.). 한복의 날 패션쇼2013 [Korean hanbok day fashion show 2013]. Retrieved February 10, 2021, from https://daehanbok.modoo.at/?link=85fsx8n7
    5. Darcygom [@darcygom]. (2019, March 30). Darcygom 19 FW collection ‘quirky nerdy like no tomorrow’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BvnHBRxnq5o/
    6. Darcygom [@darcygom]. (2021a, January 8). Darcygom 21 SS collection ‘ambiguous Darcygom jungle’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CJxg295HyIl/
    7. Darcygom [@darcygom]. (2021b, January 8). Darcygom 21 SS collection ‘ambiguous Darcygom jungle’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CJyU9OVHAFQ/
    8. Darcygom [@darcygom]. (2021c, January 8). Darcygom 21 SS collection ‘ambiguous Darcygom jungle’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CJySsuCHdE3/
    9. Eum, J. (2011). A study on Korean fashion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national im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0. Gangseodaemyo. (n.d.a). In Wikipedia. Retrieved May 9, 2021,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84%9C%EB%8C%80%EB%AC%98
    11. Gangseodaemyo. (n.d.b). In Wikipedia. Retrieved May 9, 2021,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84%9C%EB%8C%80%EB%AC%98
    12. Gangseodaemyo. (n.d.c). In Wikipedia. Retrieved May 9, 2021,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84%9C%EB%8C%80%EB%AC%98
    13. Gangseodaemyo. (n.d.d). In Wikipedia. Retrieved May 9, 2021,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C%84%9C%EB%8C%80%EB%AC%98
    14. Geum, K. S. (1999).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the traditional costume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3, 69-81.
    15. Go2stream. (2019). Vancouver fashion week 2020 S/S day 6.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1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joJqyVrYMVk
    16. Guiroe [@guiroe_yeoback]. (2018, November 7). 2011 hanbok festival fashion show, Guiroe [Instagram Photograph]. Retrieved March 14, 2021, from https://www.instagram.com/p/Bp2DKtqAVme/
    17. Han, M. (2021).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using hanbok based on 3D digital clothing technolo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8. Han, M. , & Lee, Y. (2020). Research trend of Korean costume design: Focusing 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and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5), 677-691.
    19. Han, M. , & Yang, E. K. (2021). Development of hanbok design using deconstruction fashion features: Focused on the creation of 3D digital fashion design work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9(1), 65-86.
    20.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5, December 30). 트렌디한 한복의 일상화를 꿈꾸는 조정분 신한복 디자이너를 만나다 [Meet designer Cho Jeongbun, who dreams of popularizing trendy hanbok for daily wear] [Blog Post]. Retrieved March 12, 2021, fr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anbok_kr&logNo=220582628876
    21.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7a). 2016 한복개 발프로젝트 종합영상 [2016 hanbok design project video]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12,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9lIPS7m5PDY
    22.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7b). 2017 한복개 발프로젝트 패션쇼 [2017 hanbok design project fashion show]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E__NLl69e_Y
    23. Hanbok Advancement Center. (2021). [한복웨이브 _Hanbok Wave] 2020 한류연계협업콘텐츠기획 개발지원사업 전통(한복)분야 디자이너 인터뷰_ 리슬 Leesle [2020 connect, accompany to make synergy and transformation traditional (hanbok) designer interview_Leesle]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LDYhlS6pHR8
    24. Hanbok Wave. (n.d.). 2020 hanbok digital runway, Yeomida.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hanbokwave.com/product/%ED%8A%B8%EB%A0%8C%EC%B9%98%EB%93%9C%EB%A0%88%EC%8A%A4/77/category/47/display/1
    25. Hong, N. Y. (1990). A study on the movement of improving hanbok -Focused on women’s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5, 141-148.
    26. Hwangryong. (2021, November 12). In Namu Wiki. Retrieved December 1, 2021, from https://namu.wiki/w/%ED%99%A9%EB%A3%A1
    27. Jeon, S. Y. (2018, October 14). 퓨전으로 물든 한국 의 전통문화…“현대화․세계화” vs “정체성 훼 손” [Traditional Korean culture colored with fusion...“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vs “damaged identity”]. Today News. Retrieved November 25, 2020, from http://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622
    28. Jeong, M. H. (2018, March 20). 2018 F/W 헤라 서울 패션위크, 김혜순 디자이너 한복 컬렉션 [2018 F/W Hera Seoul fashion week, Kimhyesoons’ hanbok collection]. Newstown. Retrieved February 10, 2021, from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882
    29. JoongAng Sunday. (2013, October 26). 벨벳 두루마 기 데님 저고리 … 원피스로도 변신 [Velvet durumagi and denim jeogori … into a dress]. The JoongAng. Retrieved November 25, 2020,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12968035
    30. Kim, H. S. (2003). A study concerning modem procedure of Korean women’s fashion design formed from traditional design elements.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3(1), 87-103.
    31. Kim, S. E. , & Ha, J. S. (2016). A study on aesthetic values of neo-deconstructive fashion -Focused on Vetments, Marque'Almeida, Jacquem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6(4), 129-150.
    32. Kim, S. H. (2020, January 25). 한복이야? 평상복이 야? ‘모던 한복’ 뜬다 [Hanbok? or casual clothes? ‘Modern hanbok’ gains popularity]. YTN. Retrieved February 17, 2021, from https://www.ytn.co.kr/_ln/0106_202001250407008311
    33. Kim, Y. W. (2016, February 5). 명절 때 한복 입는 젊은이들 10명 중 1.5명 [1.5 out of 10 young people wearing hanbok during holidays]. Edaily. Retrieved November 25, 2020, fr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918806612547568&mediaCodeNo=257
    34.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20, August 27). [KDFW] 코카 디지털 패션위크 - C-Zann E 시지 엔이 [KOCCA digital fashion week - C-Zann E]. Retrieved March 20, 2021, from https://tv.naver.com/v/15404677/list/630271
    35. Lee, S.-R. (2019). Changes in Korean women’s traditional clothes appeared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Around the 1960s and 1970s-. Asian Comparative Folklore, 69, 203-229.
    36. Leesle. (2020, October 28). Leesle 2020 Seoul fashion show.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leesle.com/article/%EB%A3%A9%EB%B6%81/15/33785/
    37. Nam, Y. S. (1990). A study o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clothes in modern Korean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4, 99-117.
    38.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n.d.). 강서대묘 사신도 [Four guardians of Gangseodaemyo]. Retrieved June 8, 2021, from http://contents.nahf.or.kr/goguryeo/gangseo/html/Gangseo-Daemyo-4deities.html
    39. Park, C. B. , & Kahng, H. W. (1994). The chang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ornments in Korea -From 1920 to 199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2, 23-43.
    40. Park, H. Y. (2021, May 20). 구찌, 이태원에 ‘구찌 가 옥’ 오픈 [Gucci opens ‘Gucci Gaok’ at Itaewon]. APN. Retrieved June 20, 2021, from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cat=CAT11E&idx=190375
    41. Park, S. J. (2015). A study on the form of architecture and fashion in deconstructivism.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2, 164-175.
    42. Park, Y. S. (2004). 생활한복 디자인 [Design of casual hanbok]. Seooul: Neul Pum.
    43. Ranirani. (2017, April 27). 김혜순 한복디자이너 한 복쇼 / fffim2017 [2017 flower fashion festival imagination, Kimhyesoon] [Blog Post]. Retrieved February 10, 2021, fr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narawh&logNo=220993736555
    44. Seo, J. M. (2020, November 5). “강렬한 매력” 한국 갓에 빠져 패션쇼에 올린 영국 디자이너 [British designer who “fell in love” with the Korean gat and staged it on a fashion show]. The JoongAng. Retrieved November 6, 2020,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23912861?cloc=joongang-section-moredigitalfirst
    45. Seomoon, Y. J. , & Kim, Y. I. (2019).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tyle fashion design and the changing trends as society and culture change over ti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7), 1-17.
    46. Shin, W.-S. (2017). Trompe-I`oeil nail art using sasindo (the painting of four guardian Gods) as a motif. The Eastern Art, 36, 158-182.
    47. Suh, S. , & Kim, H. (2019). Analysis of Korean fashion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simulacr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5), 19-30.
    48. Tchai Kim. (n.d.a). 2018 차이킴의 꼭두 패션쇼_차이 킴X차이김영진_온양민속박물관 40주년 기념 [2018 Tchai Kim’s kkokdu fashion show_Tchai KimX_Tchai Kim Youngjin_in commemoration of the 40th anniversary of Onyang Folk Museum]. Retrieved March 10, 2021, from http://tchaikim.co.kr/product/detail_collectionlist.html?product_no=746&cate_no=44&display_group=1
    49. Tchai Kim. (n.d.b). 2015 Jeju natural cosmetics fair. Retrieved March 10, 2021, from http://tchaikim.co.kr/product/2015-jeju-natural-cosmetics-fair/301/
    50. Tchai Kim. (n.d.c). 2019_10 Colabxglo fashion show. Retrieved March 10, 2021, from http://tchaikim.co.kr/product/detail_collectionlist.html?product_no=1153 &cate_no=52&display_group=1
    51. Tchai Kim. (n.d.d). 2016 Hera Seoul fashion week finale gala show. Retrieved March 10, 2021, from http://m.tchaikim.co.kr/product/20165-%ED%96%89%EB%B3%B5%EC%9D%B4-%EA%B0%80%EB%93%9D%ED%95%9C-%EC%A7%91-design-house/463/display/1/
    52. Tchai Kim. (n.d.e). 2019_10 Colabxglo fashion show. Retrieved March 10, 2021, from http://tchaikim.co.kr/product/detail_collectionlist.html?product_no=1153&cate_no=52&display_group=1
    53. Tchai Kim. (n.d.f). 2013 한복의 날 “나비날다” [2013 Korean hanbok day “The butterfly flies”]. Retrieved March 10, 2021, from http://tchaikim.co.kr/product/detail_collectionlist.html?product_no=291&cate_no=44&display_group=1
    54. Yu, J. B. (2019, November 8). 교포2세 형제 디자이 너, 한국적인 스트리트 패션 글로벌 호평 [Korean second-generation designer brothers, global applause for street fashion]. Fashion n. Retrieved February 10, 2021, from https://content.v.daum.net/v/5dc4019fbcd34944b2b89702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