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30 No.1 pp.50-65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2.30.1.50

Analysis of the wearing condition and consumer preference for skateboarding pants

Xiaoqing Ma, Jeongah Jang*
Doctoral’s Course,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jajang@pusan.ac.kr)
November 26, 2021 January 27, 2022 January 29, 2022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skateboarding pants. From the Chinese skateboard club SNS, 126 skateboarders in their 20s and 30s were chosen to participate in a survey. Data was gather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May 14 to May 28, 2021, and then analyzed using SPSS 23. The results concerning production were as follows: clothing sizes are generally divided into six stages: XS, S, M, L, XL, and 2XL. The silhouette is wide, and most pants have e-bands and normal hems. The pants are made from cotton-blend fabric, which is mostly moistureabsorbing and quick-drying. Baggy pants are preferred by skateboarders, with cotton being the most common fabric. The crotch, knees, and buttocks of pants are the least satisfying for skateboarders. When they skateboard, their ankles sustain the most injuries, followed by their knees and wrists. In the survey of consumers’ preferences for skateboarding pants, different styles were rated in the following order: straight pant silhouette, ribbed knit and string waistband design; full-rise waist height, string hemline design; and ankle-high pants length (fit), fabric and design. The hygroscopicity and ventilation of the fabric are crucial considerations when purchasing pants. In terms of color, chromatic and pastel colors are most popular. In addition, some people expect new fibers to be used and expect protective equipment and pants to be integrated.



스케이트보딩용 팬츠에 대한 착용실태 및 소비자 선호도 분석
- 중국 스케이트보더를 중심으로 -

마 효 청, 장 정 아*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국제올림픽위원회(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는 올림픽의 흥행을 위해 개 최국 내 인기 있는 종목과 젊은 세대의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종목을 추가하여 새롭고 파격적인 변 화를 시도하였으며, 이의 일환으로 2016년 8월 IOC 총회에서 스케이트보드와 야구, 서핑, 스포츠클라이 밍, 가라테 총 5개 종목이 2020 도쿄 올림픽 정식 종 목으로 채택되었다. 스케이트보드가 올림픽 정식 종 목으로 채택되자 중국에서는 2017년 전국체육대회에 CSP(China Skateboarding Power)리그를 개최하는 등 스케이트보드를 새로운 종목으로 도입하면서 스케이 트보드 운동은 중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 하였다.

    2020년 전 세계 스케이트보드 시장 규모는 1억 4,700만 달러였으며 중국은 이 중 25%에 해당하는 약 3,574만 달러(한화로 442억 원)의 시장 규모를 자 랑하고 있었다(Xherald, 2021). 스케이트보딩은 70년 대에 중국에 도입되었지만, 당시 상황에서 ‘반항아’라 는 꼬리표가 붙어 스케이트보더들은 은퇴하거나 트 레이너가 되었다. 이후 1980년대 초에서 2000년대 사 이에 출생한 이른바 MZ세대가 그 빈자리를 채우며, 현재 중국 스케이트보드 운동의 주류세대가 되었다 (Xu & Wang, 2021). 2020년 대중 운동 건강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출생한 세대들은 스포츠에 대한 시간 투자와 소비를 동시에 하는 것으 로 나타나 국가 신체 발달의 미래가 밝다고 평가하였 다(Decathlon, 2020).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케이트보 드 운동의 주류세대인 MZ세대를 중심으로 스케이트 보딩용 의류의 착용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 국가체육총국(General Administration of Sports of China)은 스케이트보드 운동을 발전시키기 위해 전국적으로 스케이트보드 선수를 선정하고, 국가대표 팀을 만들었다(Tian & Dai, 2020). 스케이트보드 운 동은 훈련 시 안전과 성적 향상을 위해 전문적인 스 포츠웨어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스포츠웨어 관련 문헌에서의 스케이트보딩복에 관한 내용고찰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중국 내 기존 스케이트보드에 관련된 브랜드에서 생산하고 있는 스케이트보딩 의 류는 일반 스포츠웨어와 큰 차이가 없으며 종류도 많 지 않아 전문 제품에 대한 개발 및 판매는 미미한 실 정이다(Cheuk, 2017). 스케이트보딩은 익스트림 스포 츠로 이 운동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 ‘New medical menace’로 언급(Albert, 1988)되는 등 신체에 상해를 끼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인기 있는 프로들의 영 상에는 아무런 보호용구 없이 기술을 선보이는 영상 이 많았는데, 이는 고도로 숙달된 프로들이 수십 번 반복해 가며 좋은 장면만을 촬영하면서, 부상위험을 낮출 수 있는 낙법 등의 기술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영상인 만큼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닌 동 작이므로 이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일부 초보자들은 신체에 상해를 입을 수도 있었다. 부상이 발생하면, 스케이트보더들의 일상적인 훈련의 연속성과 계획성 이 무너지기 때문에 선수의 기술 수준 유지와 향상에 방해되며, 선수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 다(Yu, 2019). 이처럼 운동 상해 탓에 선수들이 스케 이트보드를 포기할 수도 있었다. Tian and Dai(2020)Zhang(2012)의 연구에서는 스케이트보딩의 부상 요인으로 불충분한 준비운동, 낙법 미숙, 스케이트보 드 기술 숙련도, 심리적 요인 및 의류와 보호 장비를 언급하고 있으며, Keilani et al.(2010)의 연구에서는 스케이트보드 관련 부상의 패턴과 경험에 따른 부상 의 빈도와 심각도를 평가하여, 응답자의 총 97%가 적 어도 한 번 이상의 부상이 있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 다. 스케이트보딩은 하체 운동량이 많고 다리 행동반 경이 큰 운동일 뿐만 아니라 운동 시 부상에 대한 노 출이 있어 의류제품 개발 시 디자인뿐만 아니라 스케 이트보더들의 상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보호 기 능이 부가적으로 추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케이트보딩 시 착용하는 팬츠의 생산실태를 살펴본 후, 스케이트보딩용 팬츠 의 착용실태와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하여 향후 스케 이트보딩 팬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Ⅱ. Review of Literature

    스케이트보딩(skateboarding)은 스케이트보드를 타 는 행위로 정의된다(Sinclair, 2001). 스케이트보딩의 시작은 서핑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서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파도가 없는 날에도 보드를 타고 싶어 고안 해 낸 스포츠로 1970년대부터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 서 젊은 세대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Yoo, Lee, & Choi, 2007).

    Choi and Lee(2007)에 의하면 스케이트보드는 가 늘고 긴 널빤지 앞뒤에 4개의 바퀴를 달고 달리는 놀 이기구로 정의하였으며, 스케이트보드의 구성은 몸 체를 이루는 널빤지인 덱(deck), 바퀴와 덱을 연결하 는 한 쌍의 트럭(truck), 바퀴의 역할을 하는 4개의 휠(wheel), 그리고 휠과 트럭을 연결해주는 베어링 (bearing)으로 구성된다(Fig. 1). 스케이트보드의 길이 는 28~33인치, 폭은 7.25~8.50인치이고 양쪽 끝이 궁형이며 deck은 직사각형 모양이다(Shred Shack, 2021).

    스케이트보드의 동작범위는 스케이트보딩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으며, 중국 스포츠 채널이 제작한 스케이트보드 기초 동작 수업(China Central Television 5, 2020)에 따르면 다음 그림과 같이 7가 지의 기술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 작을 살펴보면 발로 지면을 차서 스케이트보드를 앞 으로 나아가게 하는 트릭인 ‘push off’(Fig. 2), 몸을 앞으로 돌리는 ‘front side turn’(Fig. 3), 몸을 뒤로 돌 리는 ‘back side turn’(Fig. 4), 뒷발을 사용하여 몸은 회전하지 않고 스케이트보드만 180도 회전시키는 트 릭인 ‘shove-it’(Fig. 5), 덱을 밟아서 스케이트보드와 함께 점프하는 트릭인 ‘ollie’ (Fig. 6), ollie 동작 중 스케이트보드를 앞발로 차서 수직으로 회전시키는 트릭인 ‘kick flip’(Fig. 7), ollie 동작 중에 앞발의 뒤 꿈치로 스케이트보드를 걷어차면서 회전시키는 트릭 인 ‘heel flip’(Fig. 8)이 있다.

    스케이트보딩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케 이트보드 스포츠 발전에 관한 연구(Jia & Ren, 2021;Lu, 2018;Sang & Kang, 2018;Xiang & Hu, 2019), 스케이트보딩 부상에 관한 연구(Keays & Dumas, 2014;Lustenberger et al., 2010;Martínez Stenger, Parrilla, & Quiroga, 2021;Ou, Chen, & Yeh, 2021;Shuman & Meyers, 2015;Tian & Dai, 2020;Zhang, 2012;Zhang & Wang, 2019), 스케이트보딩 의류에 관한 연구(Chen, Li, Luo, Pu, & Cai, 2021;Shi, 2020) 등이 있다. 이처럼 스케이트보딩은 익스트림 스포츠 임에도 불구하고 스케이트보딩 전용 의복에 관한 연 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의 류 개발과 부상현황을 분리하여 연구하고 있다. 따라 서 스케이트보딩 시 당할 수 있는 부상까지 고려한 전문 의류 개발이 부족한 실태이며, 스케이트보더의 요구에 맞춘 전문화된 스케이트보딩용 의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Ⅲ. Methods

    1. Production condition of skateboarding pants

    연구제품인 스케이트보딩 팬츠의 생산실태 조사는 2021년 8월 1~3일에 이루어졌으며, 조사한 브랜드 의 제품은 스포츠 브랜드 중 스케이트보딩 의류를 생산하고 있는 Nike SB 9벌, Adidas 2벌, Vans 3벌과 스케이트보드 브랜드인 HUF 10벌, Stussy 18벌, Thrasher 1벌로 총 6개 브랜드의 43벌을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스케이트보딩 팬츠의 사이즈, 실루엣, 디 자인(허리밴드 및 밑단 디자인), 소재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SPSS 23.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2. Wearing condition & consumer preference

    소비자 설문지 조사는 2021년 5월 14~28일에 이루 어졌으며, 조사대상은 중국 내 스케이트보드 클럽에 가입 중인 인원의 80% 이상을 구성하고 있는 20~30 대 스케이트보더 126명을 대상으로 스케이트보딩용 팬츠의 착용실태 및 디자인 선호도에 대해 SNS를 통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문항은 선행연구 Jun(2020)Jung(2016)의 설문지를 토대로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연령, 성별, 경력) 3문항, 스케 이트보딩 시 착용하는 팬츠에 대한 착용실태(팬츠 종 류, 팬츠의 주요 구성소재, 팬츠에 대한 부위별 만족 도) 3문항, 스케이트보딩시 부상현황(부상경험, 부상 부위, 치료기간) 3문항, 디자인 선호도(실루엣, 팬츠 길이, 허리밴드 위치, 허리 디자인, 밑단 디자인, 색 상, 소재의 기능) 7문항, 구매 시 고려사항 1문항, 스 케이트보딩용 팬츠에 대한 이해도 1문항, 팬츠개발의 필요성 1문항, 그 외 추가기능에 대해 자유롭게 기입 한 항목 1문항으로 총 20개 문항을 <Table 1>과 같이 구성하였으며, 연구 분석은 SPSS 23.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과 차이검증, 다중응답 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Production condition for skateboarding pants

    1) Size system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의 브랜드별 사이즈의 표기 는 <Table 2>와 같다. 사이즈 전개는 대부분 브랜드에 서는 6단계의 사이즈를 전개하고 있는 반면, Thrasher 에서는 단일 사이즈로 S 사이즈의 제품만 생산되고 있었다. 표기 방법으로는 S, M, L 등과 같은 문자 표 기와 28, 30, 32 등의 숫자 표기가 있었으며, Nike SB, HUF와 Stussy는 문자 표기와 숫자 표기 두 방법 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사이즈 표기에 있어 허리밴드에 신축성이 없는 유형의 제품은 주로 숫자 표기를 사용하고 있었고, 신축성이 있는 허리밴 드 유형의 제품은 문자 표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2) Silhouette & design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의 실루엣을 살펴본 결과 는 <Table 3>과 같다. 길이 면에서 롱 팬츠의 비율이 79.1%, 쇼트팬츠의 비율이 20.9%로 대부분 롱 팬츠로 생산되고 있었으며, 실루엣은 와이드 팬츠형(37.2%), 스트레이트 팬츠형(23.3%), 쇼트 팬츠형(20.9%), 배 기핏 팬츠형(18.6%)의 순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었다.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의 허리밴드 디자인은 신축성 있는 고무밴드(39.5%), 일반밴드(27.9%), 고무밴드+ 끈조절밴드(18.6%), 고무밴드+벨트조절밴드(14.0%) 순으로 생산되고 있었으며,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의 밑단 디자인은 일반형태(52.9%), 고무줄형태(26.5%), 스트링형태(11.7%), 끈조절형태(8.9%) 순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었다(Table 4).

    3) Fabric & fabric functionality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에 사용된 섬유 혼용 유형 의 조사결과는 <Table 5>와 같다. 의류에 따라 섬유의 혼용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1가지 사용’, ‘2가지 혼 용사용’, ‘3가지 혼용사용’으로 나누었다. ‘1가지 사 용’ 유형에서는 면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2가지 혼 용사용’ 유형에서는 면+폴리에스터의 비율이 높았으 며, ‘3가지 혼용사용’ 유형에서는 면+폴리에스터+스 판덱스로 구성되어, 총 43벌의 스케이트보딩 팬츠에 서 면섬유가 주된 섬유로 사용되었다.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의 소재에 부여된 기능성에 대해 다중응답 분석결과 <Table 6>과 같이 나타났으며, 기능성이 표 시되지 않은 6벌을 제외하고 분석해 보면 흡습․속건 (40.5%)의 기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에 내 구성(37.8%)과 신축성(24.3%)의 비율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2. Wearing condition for skateboarding pants

    1)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중국 내 스케이트보드 클럽에 가입 중인 20~30대 스케이트보더를 126명 대상으로 착용실태 및 소비자 선호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특성은 <Table 7>과 같다. 응답자들의 63.5%가 남성, 36.5% 가 여성으로 남성 비율이 1.7배 높게 조사되었다. 연 령대는 20대가 30대보다 많았으며, 경력별 분포를 살 펴보면, ‘6개월~1년 미만’이 30.2%로 가장 많았고, ‘1~3년 미만’(27.8%), ‘3년 이상’(25.3%), ‘6개월 이 하’(16.7%) 순으로 나타났다.

    2) Survey results of wearing condition for skateboarding pants

    스케이트보딩 시 착용하는 팬츠에 대한 성별, 연령 대별, 경력별 차이검증 결과는 <Table 8>과 같다. 126 명 응답자 중 39.7%가 배기팬츠를 착용하였으며, 스 트레이트팬츠 29.4%, 와이드팬츠 27.8%, 기타 3.1% 의 순으로 많이 착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로 보면, 스트레이트팬츠 착용빈도가 남성이 여성에 비 해 높았으며, 연령대에서는 20대에서 스트레이트팬츠 의 착용빈도에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로 살펴보면 6 개월~1년 이내인 초보 경력자들은 배기핏 팬츠, 3년 이상인 경력자들은 스트레이트 팬츠의 착용빈도가 기대빈도보다 높게 관측되었다.

    착용하는 팬츠 제품의 소재 중 주된 구성 섬유의 종류를 살펴보면 면섬유의 비율이 67.5%로 가장 높 았으며, 폴리에스터(15.9%), 테릴렌(12.7%), 나일론 (3.9%)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면섬유가 흡 습성이 우수한 천연섬유로써 동작에 따른 내구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사료된다(Table 9).

    <Table 10>은 스케이트보딩 시 착용하는 팬츠의 부 위별 만족도 조사 결과이다. 전체적으로 팬츠 착용 시 샅부위 여유에 대한 만족도가 15.1%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무릎 여유 29.3%, 엉덩이 여유 36.5%, 허벅지 여유 85.7%의 만족도로 평가되었다. 배기핏 팬츠와 와이드 팬츠는 비교적 여유량이 많은 팬츠로 샅부위 여유량이 많다고 평가한 응답자의 비율이 높 았으며, 스트레이트 팬츠의 샅부위 여유량은 비교적 작다고 평가한 응답자의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배기 핏 팬츠와 와이드 팬츠의 경우 샅부위의 여유가 많아 스케이트보딩에 적합한 제품이라 생각하였으나, 실제 스케이트보더들은 샅부위의 많은 여유를 가진 배기 핏 팬츠와 와이드 팬츠에 대한 샅부위 여유량 만족도 설문에 비교적 낮게 평가함으로써, 스케이트보딩 팬 츠 설계 시 샅부위 여유량 설정에 있어 지나치게 많 은 여유량은 동작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3) Skateboarding injury status

    설문조사 결과 126명 응답자는 모두 스케이트보드 를 타다가 다친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다. ‘귀하께서 는 부상으로 인해 스케이트보드를 타지 못한 적이 있 었습니까?’ 항목에서는 단 1명만 다친 후 쉬지 않고 스케이트보드 계속 탔고, 나머지 125명 응답자가 모 두 운동을 잠시 중단하였으며, 대부분 운동을 중단한 후 치료기간을 7일 이내 가졌다고 응답하였다(Table 11).

    부상 부위에 대한 다중응답 설문결과는 <Table 12> 와 같다. 발목부상의 경험에 대해 응답자의 92.9%가 ‘부상의 경험이 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무릎부상 (68.3%), 손목부상(42.9%)의 비율도 비교적 높게 나 타났다. 특히 무릎부상과 손목부상은 경력에 따라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이 6개월 미만인 스케이트 보더들의 무릎부상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는 것으로 분석되어 경험이 적은 초보자가 예상보다 무릎 부상이 적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경력이 6개 월 미만의 스케이트보더들의 팔꿈치와 무릎 부상이 경력 6개월 이상의 스케이트보더들보다 적게 나타나 는 것으로 분석되어, 경험이 적은 초보자들은 팔꿈치 와 무릎보호대를 착용함으로써 부상을 줄일 수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4) Consumer preference for skateboarding pants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을 위해 먼저, ‘스케이트보 딩 팬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 문항에 대해 ‘있다’의 응답률 48.4%, ‘없다’의 응답률 51.6%로 나 타났으며,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의 필요성을 물은 문항에 대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응답자는 67.5%, ‘관심 없다’ 21.4%, ‘필요 없다’ 11.1%의 순으로 나타 나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의 필요성과 기대감이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스케이트보딩 팬츠를 개발하기 위한 실루엣 선호도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스트레이트 팬츠형 실루 엣을 선호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73.0%로 가장 높았 으며, 다음으로 와이드 팬츠형 13.5%, 배기핏 팬츠형 4.8%의 순으로 나타났다. 앞서 스케이트보딩 팬츠의 착용실태 결과에서 스케이트보딩 시 배기팬츠(39.7%) 의 착용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선호도에 있어서는 스 트레이트 팬츠(73.0%)의 선호비율이 높게 나타나 착 용과 선호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스케이 트보딩을 처음 시작할 때에는 대부분 여유량이 많은 배기팬츠를 구입하지만, 숙련될수록 배기핏 팬츠형보 다는 적당한 여유를 가지는 스트레이트 팬츠형을 선 호하는 결과로 나타난 차이라 생각된다.

    스케이트보딩 팬츠의 허리위치와 팬츠길이에 대한 선호도 조사결과는 <Table 14>와 같다. 풀라이즈 높 이의 허리 위치에 대한 선호가 59.5%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미드라이즈 34.1%, 로우라이즈 6.4%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팬츠 길이에 대한 선호도로 ‘발목 높이의 팬츠길이’에 대한 선호 비율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케이트보딩 팬츠의 허리 밴드 디자인과 밑단 디 자인에 대한 선호도는 <Table 15>와 같다. 허리 밴드 디자인과 밑단 디자인 항목은 생산실태조사 결과로 분류된 항목에 일부 유형의 스포츠 팬츠에 사용되는 디자인을 추가하여 좀 더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소비 자 선호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니트밴드+끈허리’ 디자인이 26.9%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일반밴 드 허리’ 디자인 21.4%, ‘고무밴드 허리’ 디자인 19.1%, ‘고무밴드+끈허리’ 디자인 15.9%, ‘일반밴드+ 고무밴드+끈허리’ 디자인 10.3%, ‘일반밴드+끈허리’ 디자인 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니트밴 드+끈허리’ 디자인이 가장 많이 선호되었으나, 남성 과 여성의 허리밴드 디자인 선호에 대한 차이검증 결 과, 남성은 ‘일반밴드 허리’, 여성은 ‘니트밴드+끈허 리’ 디자인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밑단 디자인의 선호결과는 ‘스트링형태’ 디자인이 29.4%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일반형태’(26.2%) 와 ‘밴드형태’(19.0%)의 선호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 났다. 남성과 여성의 밑단 디자인 선호에 대한 차이 검증 결과, 남성은 ‘일반형태’, 여성은 ‘스트링형태’를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스케이 트보딩 팬츠가 남성 위주로 디자인되었기 때문일 것 으로 사료되며, 여성 스케이트보더들을 지향하는 디 자인 선호를 살펴볼 수 있었다.

    스케이트보딩 팬츠의 색상에 대한 다중응답 선호 결과는 <Table 16>과 같다. 무채색계열의 선호비율 이 74.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파스텔계열 (66.7%)과 보라계열(31.7%)의 선호비율도 높게 나타 나, 남성은 무채색계열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여성은 파스텔계열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스케이트보딩 팬츠의 소재가 지니는 기능에 대한 다중응답 선호결과는 <Table 17>과 같다. 전체적으 로 보면, 가장 선호하는 소재기능으로 흡습성과 통기 성이 각 73.8%로 나타났으며, 그 뒤로 신축성 51.6%, 내구성 42.9%, 경량성 27.8%, 촉감 17.5%, 방추성 7.9%, 세탁편리 0.8%의 순으로 나타났다. 앞서 착용 실태의 결과에서 스케이트보딩 팬츠의 주 섬유로 면 을 착용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높았으므로, 면의 일반 적 특성인 흡습성, 통기성을 기본으로 하여, 추가로 내구성, 신축성 등 복합적인 기능성 소재의 혼합사용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케이트보딩 팬츠에 대한 선호도 이외에, 팬츠 구매 시 고려하는 부분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는 <Table 18>과 같다. 팬츠 선택기준으로 78.6%의 응답자가 ‘사이즈’를 가장 중요한 구매기준으로 응답 하였으며, 기능성 소재(68.3%), 디자인(54.8%), 가격 (53.2%), 재봉품질(26.2%), 색상(7.1%), 브랜드(0.8%) 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은 사이즈, 기능성 소재, 가격 순으로 구매기준을 응답하였으며, 여성은 사이즈, 기능성 소재, 디자인 순으로 구매기준 을 응답하였다.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 시 추가기능에 대한 요구 사항을 조사한 결과 <Table 19>와 같다. 응답자는 추가적인 보호용구 착용에 대해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보호용구 일체화’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스케이 트보딩 시 팬츠 원단은 땀을 흡수하고 빠르게 건조할 수 있도록 흡습․속건 기능을 가진 소재를 선호하였 다. 또한 여성 스케이트보더들의 요구사항으로, 시중 에서 생산되고 있는 스케이트보딩 팬츠는 대부분 남 성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여성 스케이트보더들이 구입해 착용할 경우 팬츠의 밑위길이가 적합하지 않 아 불편하므로 여성의 체형과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성이 추가된 여성용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이상의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의 선호도와 요구 도를 반영하여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의 디자인 시 안을 <Fig. 9>에 나타내었다. 디자인 시안은 선호도 조사결과에 따라 각 항목에서 선호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디자인하였으며, 전체 실루엣은 스트레이트 형(73.0%), 허리 위치는 풀라이즈(59.5%), 밴드 부분 은 니트 밴드+끈허리(26.9%) 유형, 밑단 부분은 스트 링(29.4%) 형태, 팬츠 길이는 발목 높이(81.7%), 색상 은 무채색 계열(74.6%)로 구성하였다. 소재 선정에 있어서는 생산실태와 착용실태조사에서 흡습성과 통 기성이 우수한 면섬유의 생산비율 및 착용비율이 가 장 높았던 결과를 반영하여 면섬유를 팬츠의 주된 섬 유로 사용하며, 그 외 소비자 선호도 조사결과에서 요 구도가 높게 나타난 신축성과 내구성, 쾌적성 및 통기 성의 기능을 가진 소재를 추가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스케이트보딩 팬츠를 개발하기 위한 기 초연구로써, 중국 내 온라인 사이트에서 스포츠 브 랜드 중 스케이트보딩 의류를 생산하고 있는 Nike SB, Adidas, Vans와 스케이트보드 브랜드인 HUF, Thrasher, Stussy 3개를 포함한 총 6개 브랜드에서 생 산한 스케이트보딩 팬츠 43벌의 사이즈 체계, 실루엣, 디자인(허리밴드 디자인, 밑단 디자인), 소재 등의 생 산실태를 조사하였으며, SNS를 통해 모집한 중국 내 스케이트보더 클럽의 20~30대 126명을 대상으로 스 케이트보딩 시 착용하는 팬츠의 착용실태 및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의 생산실태 조사결 과, 스케이트보딩 제품은 주로 남성 위주로 생산되고 있었으며, 대부분 팬츠 사이즈 체계는 6개로 구성되 었으며, 문자표기(XS, S, M, L, XL, 2XL)와 숫자표기 (28, 30, 32, 34, 36, 38)로 전개되고 있었다. 가장 많 이 생산되고 있는 스케이트보딩 팬츠 제품은 ‘와이드 팬츠형’ 실루엣, ‘고무밴드’ 허리 디자인, ‘일반형태’ 밑단 디자인이었으며, 팬츠 제품에 사용되는 주된 섬 유로는 면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기능으로 흡습․속 건성, 내구성, 신축성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케이트보딩용 팬츠의 착용실태 조사결과, 스케이트보딩 시 가장 많이 착용하는 팬츠 실루엣은 배기핏 팬츠형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 살펴보면, 남 성은 스트레이트 팬츠형의 착용빈도가 높았고, 여성 은 배기핏 팬츠형의 착용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 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에서 스트레이트 팬츠형, 30 대에 배기핏 팬츠형의 착용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별로 보면 경험이 많은 경력자들이 스트레이트 팬츠형을 더 많이 착용하는 것은 알 수 있었다. 착용 하는 팬츠 제품의 주된 섬유로는 면의 비율이 67.5%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케이트보딩 시 착용하는 팬츠의 부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샅부위 여유, 무릎 여유, 엉덩이 여유 순으로 만족도가 낮게 평가되어 향후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 시 부위별 여유량을 고 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스케이트보딩 시 부상현 황에 대한 응답결과로 발목, 무릎, 손목 부위의 부상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 6개월 미만의 스케이 트보더들의 팔꿈치와 무릎 부상 비율이 경력 6개월 이상의 스케이트보더들보다 적게 나타나, 경험이 적 은 초보자들은 팔꿈치와 무릎보호대를 착용함으로써 부상을 줄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의 필요성을 묻는 문항에 ‘필 요하다’로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67.5%로 높게 나타 나,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의 필요성과 기대감이 있 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스케이트보딩 팬츠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 사결과, ‘스트레이트 팬츠형 실루엣’, ‘풀라이즈’ 높이 의 허리위치, ‘발목 높이’의 팬츠 길이, ‘니트밴드+끈 허리’ 허리 디자인, ‘스트링형태’의 팬츠 밑단 디자인 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선호하는 색상으로 무채색계열, 파스텔계열의 선호비율이 높게 나타났으 며, 소재 선택 시 흡습성과 통기성에 대한 선호비율 이 높게 나타났다. 스케이트보딩 팬츠에 대한 선호도 이외에, 팬츠 구매 시 선택 기준으로 사이즈, 소재기 능, 디자인, 가격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케이트보딩 팬츠 개발 시 추가기능에 대 한 요구사항으로 복합적인 기능성 소재 사용, 보호용 구 일체화, 여성의 체형과 특성을 고려한 스케이트보 딩 팬츠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본 연구는 스케이트보드 클럽 내 남성 비율이 높아 남녀 성비 차가 있음을 제한점으로 밝히며, 향후 더 많은 여성 스케이트보더를 대상으로 후속 연구가 필 요하며, 본 연구의 스케이트보딩 팬츠에 대한 생산실 태, 착용실태 및 소비자 선호도 결과를 활용하여 스 케이트보더들에 적합한 맞음새와 기능성이 추가된 스케이트보딩 팬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Figure

    RJCC-30-1-50_F1.gif

    Skateboard parts Reprinted from SkatePro. (n.d.). https://www.skatepro.com

    RJCC-30-1-50_F2.gif

    Push off Reprinted from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a). https://www.yo utube.com

    RJCC-30-1-50_F3.gif

    Front side turn Reprinted from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b). https://www.yo utube.com

    RJCC-30-1-50_F4.gif

    Back side turn Reprinted from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c). https://www.yo utube.com

    RJCC-30-1-50_F5.gif

    Shove-it Reprinted from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d). https://www.you tube.com

    RJCC-30-1-50_F6.gif

    Ollie Reprinted from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e). https://www.yo utube.com

    RJCC-30-1-50_F7.gif

    Kick flip Reprinted from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f). https://www.you tube.com

    RJCC-30-1-50_F8.gif

    Heel flip Reprinted from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g). https://www.yo utube.com

    RJCC-30-1-50_F9.gif

    Draft proposal of skateboarding pants within respondent’s needs

    Table

    Questionnaire configuration

    Skateboarding pants size system chart by brands (Unit: inch)

    The silhouette of the skateboarding pants & pants length

    Waistband and hemline design for skateboarding pants

    Main components of fabric fiber

    Fabric functionality for skateboarding pants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ypes of pants to wear for skateboarding

    Main components of fabric fibers of skateboarding pants

    Satisfaction of each part of the ease for pants worn during skateboarding

    Treatment period for injury by skateboarding experience

    Injured part by experience in skateboarding

    Preference for the silhouette of skateboarding pants

    Preference for the details of skateboarding pants

    Design preference for waist band & hem line of skateboarding pants

    Preference for the color of skateboarding pants

    Preference for fabric functionality

    Purchase considerations for skateboarding pants n(%)

    Additional requirements for skateboarding pants

    Reference

    1. Albert, F. C. (1988). The ultimate skateboard book. Philadelphia: Running Press.
    2. Chen, S. Y. , Li, B. J. , Luo, J. K. , Pu, Y. X. , & Cai, Q. Y. (2021). 滑板运动服功能性设计 [The functional design of skateboard sportswear]. Liaoning Tussah Silk, 3, 23-24.
    3. Cheuk, E. (2017). 在滑板上找到快乐 滑板教父 Rodney Mullen 的坚持 [Find happiness on skateboards at the insistence of skateboard godfather Rodney Mullen]. China Bicycle, 10, 124-126.
    4. China Central Television 5. (Producer). (2020). Get fit, get moving [Sports channel series]. Beijing: China Central Television.
    5. Choi, K. W. , & Lee, Y. S. (2007). A study of integrated brand development for skateboard package design. Proceedings of the 2007 Spr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5, 80-81.
    6. Decathlon. (2020, December 8). 2020 public sport health report. China International Import Expo. Retrieved January 6, 2022, from https://www.ciie.org/zbh/bqgffb/20201208/24869.html
    7. Jia, L. , & Ren, P. F. (2021). On the development of skateboarding in China after entering the Olympic games. Bulletin of Sport Science & Technology, 29(3), 117-119.
    8. Jun, M. H. (2020). Development of dance sports practice wear for middle-aged women utilizing cool-touch fib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9. Jung, H. K. (2016). The development of bicycle wear for new senior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0. Keays, G. , & Dumas, A. (2014). Longboard and skateboard injuries. Injury, 45(8), 1215-1219.
    11. Keilani, M. , Krall, C. , Lipowec, L. , Posch, M. , Komanadj, T. S. , & Crevenna, R. (2010). Skateboarding injuries in Vienna: Location, frequency, and severity. PM & R, 2(7), 619-624.
    12. Lu, T. X. (2018). An experimental research on influence brought by skateboarding exercise on balanc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Qufu Normal University (Natural Science), 44(1), 117- 121.
    13. Lustenberger, T. , Talving, P. , Barmparas, G. , Schnüriger, B. , Lam, L. , Inaba, K. , & Demetriades, D. (2010). Skateboard-related injuries: Not to be taken lightly. A national trauma databank analysis. The Journal of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69(4), 924-927.
    14. Martínez Stenger, R. A. , Parrilla, L. V. , & Quiroga, F. (2021). Proposal for evaluation and registration of sports injuries in skateboarding. Professional skateboarding injury prevention survey. The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61(8), 1125-1131.
    15.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a). Skateboarding tricks [YouTube Channel].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PJck6Od5l3k&list=PL_czcYUl5gWfrK7VlhkkUVqxzLxKt8UwB
    16.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b). Skateboarding tricks [YouTube Channel].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x19ibDPYyoE
    17.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c). Skateboarding tricks [YouTube Channel].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O2C5MbUni98
    18.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d). Skateboarding tricks [YouTube Channel].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4ml_SPhwc4c
    19.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e). Skateboarding tricks [YouTube Channel].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2jbM5HKCYU0&t=5s
    20.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f). Skateboarding tricks [YouTube Channel].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qixx8fGNyYQ&t=1s
    21. Nollie Skateboarding Korea. (2014g). Skateboarding tricks [YouTube Channel].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N4SpBG8zaCo
    22. Ou, Y. K. , Chen, Z. W. , & Yeh, C. N. (2021). Postural control and functional ankle stability in professional and amateur skateboarders. Healthcare, 9(8), 1009.
    23. Sang, Y. P. , & Kang, M. W. (2018). SWOT analysis of skateboarding in China and its development strategy. Bulletin of Sport Science & Technology, 5, 120-122.
    24. Shi, R. (2020). Research on modeling design of skateboard pants based on struc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Wuhan Textile University, Wuhan, China.
    25. Shred Shack. (2021). Longboard vs skateboard vs cruiser (comparison) [You Tube Channel]. Retrieved March 13,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twt1_Y2vz-o
    26. Shuman, K. M. , & Meyers, M. C. (2015). Skateboarding injuries: An updated review. The Physician and Sportsmedicine, 43(3), 317-323.
    27. Sinclair, J. (2001). Collins Cobuild English dictionary for advanced learners (3rd ed.). England: Harper Collins Publishers.
    28. SkatePro. (n.d.). Skateboard parts.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skatepro.com/en-us/a535.htm
    29. Tian, Y. , & Dai, J. S. (2020). 基于奥运战略的中国滑 板队训练现状分析与研究 — 国家滑板南京(龙江) 训练基地为例 [Based on the olympic strategy, the current situation of training of Chinese skateboard team analysis and research -The national skateboard Nanjing (Longjiang) training base as an example]. Science & Technology of Stationery & Sporting Goods, 11, 181-183.
    30. Xherald. (2021, October 18). Skateboard market size, status and business growth 2021 to 2027. Digital Journal. Retrieved January 7, 2022, from https://www.digitaljournal.com/pr/skateboard-market-size-status-and-business-growth-2021-to-2027
    31. Xiang, W. , & Hu, H. T. (2019). Prospect of skateboarding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sports industry. Physical Education Review, 38(9), 66-67.
    32. Xu, B. Y. , & Wang, Z. C. (2021, October 20). 滑手 领路人“飞跃”北京地标,如今致力于培育下一代 [Skateboarders of the first generation, now committed to raising the next]. The Beijing News. Retrieved January 5, 2022, from https://www.bjnews.com.cn/detail/163472261414591.html
    33. Yoo, B. C. , Lee, K. S. , & Choi, J. H.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kateboard by TRIZ. Society for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12(3), 200-208.
    34. Yu, B. (2019). A research of sports injuries on skateboard particip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won, Korea.
    35. Zhang, B. H. , & Wang, C. T. (2019, May). 青少年滑 板运动爱好者运动损伤特征研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injury for junior skateboarders]. Leisure, 5. Retrieved December 25, 2021, from http://oversea.cnki.net/kcms/detail/detail.aspx?DBCode=CJFD&DBName=CJFDLASN2019&fileName=XIUX201905062
    36. Zhang, Q. (2012). 新疆高校滑板爱好者运动损伤的调 查与分析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ports injuries of skateboarders in Xinjiang universities]. Sports World (Scholarly), 6, 21-22.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