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6 pp.747-762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6.747

A research on the preferred design of nurse uniform in the general hospital in China and the development of nurse uniform

Xuanyi Jin, Sojung Lee*, Dong-Eun Kim**
Master,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Doctoral Course,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Fashion Industr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dekim@ewha.ac.kr)
June 29, 2021 December 17, 2021 December 20,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atisfaction levels with nurse uniforms at Taizhou General Hospital in China and to find areas for improvement in order to develop nurse uniforms with improved comfort, fit and convenience. To investigate satisfaction with nurse uniforms, a survey was conducted of 150 nurs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s, uniform conditions, feelings of satisfaction, fit, preferred designs, inconvenient aspects of the uniforms, and areas for improvement were analyzed. Eight materials of cotton/polyester blended fabrics were selected according to Chinese nurse uniform regulation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were tested along with the materials used in current nurse uniforms. Four new nurse uniforms with increased aesthetics, functionality, and comfor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Materials with excellent absorption, moisture permeability, and ventilation were used as main fabrics.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signs of nurses at Taizhou City General Hospital, China, 4 types of nurse uniforms designed, consisting of design 1 (shirt and pants), design 2 (shirt and pants), design 3 (dress), and design 4 (shirt and skirt). The new nurse uniforms offered better functionality with an improved fit at the armpits, waist, hips, and knees based on product measurements.



중국 종합병원 간호사복의 선호디자인 조사와 간호사복 개발 연구

김 헌이, 이 소정*, 김 동은**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박사과정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최근 의료 시장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병원 이미지는 병원과 환자의 교류 측면에 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에 여러 병원은 차 별화된 병원의 아이덴티티(hospital identity)를 구축하 는데 힘쓰고 있으며, 심미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간 호사복의 개발이 병원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연구되고 있다(An, 2006;S. H. Lee, 2012).

    간호사복은 간호사가 병원에서 근무를 수행하면서 입는 작업복으로 위생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 용하며, 간호사의 신분을 환자에게 인지시키는 기능 을 수행하기도 한다. 간호사의 이미지는 환자에게 중 요하게 작용된다. 간호사가 착용하는 유니폼은 전문 성과 연관되어 환자와의 신뢰성을 유지하는데 큰 역 할을 수행하며, 단정하고 활동성 있으면서 안정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Lee & Lee, 2016;Li, 2014). 전통 적인 간호사복은 원피스와 간호사 모자로 구성된다. 간호 업무에 따른 실용성 및 활동성 등에 대한 여러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오늘날 상의와 하의로 구성된 투피스 형의 간호사복이 출현하였다(Park, Ryou, & Bae, 2006). 간호사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에 따라 간호사복의 디자인은 색상, 형태, 무늬와 소재 등이 다양성 있게 개발되고 있다(“Nurse’s uniform”, n.d.). Li(2017)는 허베이성 중의병원의 간호사를 대상 으로 간호사복에 대한 의견과 필요를 파악하고, 중국 전통 문화를 가진 특색 있는 간호사복 스타일을 개발 하였다. Ni(2004)Jang(2004)은 중국 간호사복의 디 자인을 분석하고, 새로운 간호사복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의 타이저우시 종합병원을 대상 으로 간호사복의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타이저 우시 종합병원은 2000년 6월 개원하여 의료 서비스 를 제공하고 있으며, 2021년 10월까지 의사직 및 간 호사직 1,974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2020년 응급 환자 1,473,800명의 진료를 담당하였다. 또한 35개 임상전 문과가 있고, 11개 의기과가 설립되어 있는 종합병원 으로 최근 10년간 국가별 과제 4개, 성․부별 과제 27 개, 청․시별 연구 196개 사업을 진행하였다(Taizhou City General Hospital, China, n.d.). 이에 타이저우시 종합병원은 중국 간호사복의 착의실태 및 문제점 등 을 잘 파악할 수 있는 병원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중국 타이저우시 종합병원에서 착용하고 있는 간호사 복 디자인과 만족도를 조사한다. 둘째, 근무하는 간호 사들을 대상으로 간호사복의 착의실태 및 선호도를 파악한다. 셋째, 간호사복의 문제점 및 선호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성과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심미성과 병원의 상징성을 잘 전달할 수 있는 간호사 복을 개발하고자 한다.

    Ⅱ. Methods

    1. Survey

    본 연구에서는 중국 타이저우시 종합병원에서 근무 하는 여성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사복의 착용 만족도 및 불편사항, 선호 맞음새와 선호 디자인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150부를 회수 하였으며, 모두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문항에 대해 기술 통계, 빈도분석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 Design development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복의 착용실태 및 불편사항, 선호 디자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네 가지 스타일의 간호사복 디자인을 제시 하였다. 구체적인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디자인에 따른 아이템은 디자인 1의 경우 긴 소매 셔츠와 팬츠, 디자인 2는 반소매 셔츠와 팬츠, 디자인 3은 원피스, 디자인 4는 셔츠와 스커트로 구성 된다.

    둘째, 간호사복의 색상에 대한 선호도는 색 계열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선 호도가 높은 색을 기반으로 선정하였다. 의료진과 환 자의 정서에 자극을 미칠 수 있는 선명하거나 어두운 고채도 및 저채도의 색상은 피하였으며, 팬톤(pantone) 에서 제시한 색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다.

    셋째, 소재는 중국의 간호사복에 대한 규정에 따라 면/폴리에스터 35/65 혼방직물을 사용하였다(National Textile Net, n.d.). 간호사는 간호사복을 오랜 시간 착 용하기 때문에 쾌적하고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통기 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간호 업무 시 많은 활동량을 고려해 간호사복 소재는 땀 혹은 노폐 물을 잘 배출할 수 있도록 흡수성과 투습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M. K. Lee,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8종의 면/폴리에스터 혼방직물을 선정하고, 간호사복 기능에 중요한 통기성, 투습성, 흡수성을 분석하여 최 종 소재로 선정하였다.

    넷째, 간호사복의 사이즈와 불편부위 및 불편사항 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기존 간호사복의 제품 사이즈를 조정하였다. 기존 간호사복은 셔츠와 팬츠 두 개의 아이템에 대해 제품 사이즈를 실측하였 으며, M 사이즈를 기준으로 하였다. 각 아이템별 제 품치수는 Lee and Steen(2010)를 참고하여 상의 13개, 하의 9개 부위에 대해 측정하였다(Table 1).

    Ⅲ. Results and Discussion

    1. Current nurse uniform

    타이저우시 종합병원의 간호사복은 반팔 소매의 셔츠와 스트레이트 팬츠로 구성되어 있다(Table 2). 간호사복의 셔츠 및 팬츠의 제품치수는 <Table 3>과 같다.

    2. Questionnaire results

    1) General information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4>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9.4세 로 나타났으며, 20세 이상 29세 이하 74명(49.3%), 30 세 이상 39세 이하 57명(38.0%), 40세 이상 49세 이하 9명(6.0%), 20세 미만이 8명(5.3%)으로 조사되었다. 연 구대상자의 평균 키는 160.8cm, 몸무게 55.3kg으로 나 타났다. 키는 155cm 이상 160cm 미만이 52명(34.7%) 으로 가장 많았고, 160cm 이상 165cm 미만이 49명 (32.7%)으로, 155cm 미만 25명(1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몸무게는 50kg 이상 60kg 미만이 67명 (44.7%)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40kg 이상 50kg 미만 50명(33.3%), 60kg 이상 30명(20.0%)으로 조사되었다. 간호사복의 사이즈는 현재 연구대상자가 착용하는 간호사복의 사이즈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 으며, 그 결과 L 사이즈 53명(35.3%), M 사이즈 52명 (34.7%), S 사이즈 25명(16.7%), XL 18명(12.0%)으로 M 사이즈와 L 사이즈의 착용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Fit satisfaction

    간호사복의 맞음새와 불편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M. K. Lee(2012)의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업무 시 발 생할 수 있는 불편사항 및 부위별 맞음새 만족도에 대 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불편사항에 대한 평가 척도는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편사항 이 큰 것을 의미한다(1점: 전혀 그렇지 않다, 2점: 그 렇지 않다, 3점: 보통, 4점: 그렇다, 5점: 매우 그렇다). <Table 5>는 간호업무 시 간호사복의 불편사항에 대 한 결과이다. ‘팔을 위로 올릴 때 소매부분이 당겨서 불편하다.’ 3.05점, ‘쪼그려 앉는 동작을 할 때 바지의 무릎, 엉덩이, 허리 부분이 불편하다.’ 2.98점,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 뒤쪽의 등 (허리) 부분이 보일까 신경 쓰인다.’ 2.76점, ‘쪼그려 앉는 동작을 할 때 엉덩이 (허리) 부위가 보일까 신경 쓰인다.’ 2.74점, ‘동작 시 가슴부위의 단추 사이가 벌어져 속옷이 보일까 신경 쓰인다.’ 2.62점, ‘상체를 앞으로 숙일 때 속옷이 보일 까 신경 쓰인다.’ 2.28점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반 적으로 큰 불편함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팔을 위로 올릴 때 소매부분이 당겨서 불편하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38.0%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 (27.4%)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쪼그려 앉는 동작을 할 때 무릎, 엉덩이, 허리부위가 불편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50명(33.3%)으로 불편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 람(43명, 28.7%)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의복 설계 시 소매부위와 하의의 허리, 엉덩이와 무릎 부위에 대한 사이즈를 고려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복의 부위별 맞음새 만족도는 해당 부위에 대해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1점: 매우 작 다, 2점: 작다, 3점: 적절하다, 4점: 크다, 5점: 매우 크 다), 점수가 3점에 가까울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 미한다. 셔츠와 팬츠 두 아이템에 대해 맞음새가 적절 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전 반적으로 현재 착용하는 간호사복의 큰 불편함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그럼에도 몇몇 부위에 대해서 작거나 크다고 응답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 다. 셔츠의 경우, 목둘레가 매우 작다고 응답한 사람 이 5명(3.3%), 조금 작다고 응답한 사람이 49명 (32.7%)으로 조사된 반면 조금 크다고 응답한 사람은 3명(2.0%)으로 나타났다. 또한 겨드랑이부위가 다소 크다고 응답한 사람이 3명(2.0%)으로 나타난 반면, 조 금 작다고 응답한 사람이 32명(21.3%), 소매길이가 짧다고 응답한 사람이 29명(19.4%)으로 조사되어 해 당 부위의 사이즈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팬 츠는 허리둘레(8.7%)와 엉덩이둘레(9.3%)가 다른 부 위에 비해 다소 작다고 응답된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 는 업무 시 맞음새 및 불편사항의 결과와 밀접한 관련 이 있는 부위로 세부적인 치수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3) Design preference

    <Table 7>은 간호사복의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디자인 항목은 실루엣, 상의 길이, 여밈형태 및 위치, 칼라, 허리벨트 타입, 소매 종류와 길이, 팬츠 종류와 길이, 스커트 종류와 길이, 드레스 종류, 텍스타일 패턴과 색상으로 구성하였다.

    선호하는 실루엣에 대한 결과, 프린센스 라인의 선 호도가 68명(45.3%)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기본라인 35명(23.3%), H라인 24명(16.0%), A라인 23명(15.3%)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의 길이의 경우 엉덩이선 아래에 응답한 사람이 69명(46.0%)으로 가 장 많았으며, 엉덩이선 48명(32.0%), 허리선과 엉덩이 선 사이 31명(20.7%)으로 나타났다. 칼라형태는 테일 러드 칼라의 선호도가 28.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셔츠 칼라 20.0%, 스탠드칼라 18.0%, 윙 칼라 9.3% 등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상의 여밈형태 및 위치에 대한 조사결과, 단 추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옆 속단추, 앞 단 추가 각각 18.0%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퍼는 위치에 따라 옆여밈 5.3%, 앞여밈 2.7%로 조 사되었다. 소매는 긴 길이(78.0%)의 세트인 슬리브 (38.0%)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선호하는 하의 디자인에 관한 문항의 조사결과, 가 장 선호하는 허리벨트 형태는 벨트+고무밴드(59.3%) 로 나타났으며, 팬츠는 스트레이트 라인(73.3%)의 발 목까지 오는 길이(94.0%)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 였다. 스커트는 A라인(30.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플레어(23.3%), 큐롯(17.3%)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길이의 경우 미디(종아리 중간까지의 길이)가 4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내추 럴(무릎길이)이 37.3%, 미니(허벅지 중간까지의 길이) 가 18.7%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의 길이가 긴 것의 선 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간호업무의 특성이 고려된 것으로 사료된다.

    선호하는 원피스 드레스 형태에 관한 조사결과, A 라인 드레스가 86명(57.3%)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시스드레스 46명(30.7%), 시프트 드레스 18명(12.0%)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텍스타일 패턴에 대한 응답은 병원 로고 가 66명(4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 로는 무늬 없음 35명(23.3%), 꽃무늬 34명(22.7%)으 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색상 항목에서 흰색 73명 (48.7%), 흰색+파란색계열 51명(34.0%), 흰색+베이지 색계열 10명(6.7%), 흰색+파스텔계열 9명(6.0%), 흰 색+붉은색계열 4명(2.7%), 흰색+노란색계열 2명(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라 높은 응답 률을 보인 요소들을 종합하여 보면 상의는 프린세스 라인의 엉덩이선 아래까지 오는 길이로 여밈형태가 단추이고, 테일러드 칼라와 긴 세트인 슬리브의 형태 로 구성된다. 하의의 경우, 일자 벨트와 고무밴드가 혼합된 허리벨트를 갖는 발목까지 오는 길이의 스트 레이트 팬츠 또는 A라인의 미디스커트로 구성된다. 또한 A라인 원피스 드레스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맞음새와 불편사항이 개선된 간호사복을 개 발하였다.

    3. Nurse uniform design development

    1) Design planning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스타일의 간호사복을 개발 하였다. 각 디자인별 아이템은 디자인 1의 경우 긴 소 매 셔츠와 팬츠, 디자인 2는 반소매 셔츠와 팬츠, 디자 인 3은 원피스, 디자인 4는 셔츠와 스커트로 구성된다.

    셔츠와 팬츠로 구성된 디자인 1과 디자인 2는 계절 을 고려하여 셔츠의 소매 길이를 각각 긴소매와 반소 매로 구성하였다. 셔츠는 칼라, 길이, 여밈형태 및 위 치 등에 대한 선호도 조사결과와 불편사항 및 맞음새 결과를 반영하여 테일러드 칼라의 세트인 소매와 단 추의 앞여밈 및 옆 여밈 등의 형태로 디자인을 개선하 였다. 하의는 디자인선호도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스 트레이트라인의 긴 바지 및 A라인의 미디스커트로 설 계하였다.

    간호사복의 색상은 색채 선호도 조사 결과를 참고 하여 환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하면서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흰색 및 파스텔톤을 주색상으로 사용하였다. 텍스타일 패턴의 경우, 병원로고에 대한 선호도가 높 게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 패턴 개발은 진행하지 않고, 도식화에서 왼쪽 소매 상단부위에 병 원 로고를 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 사복에는 병원로고 다음으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민무늬, 꽃무늬 등이 사용되었다.

    2) Material

    간호사복의 소재는 중국의 간호사복 규정에 따라 면/폴리에스터 혼방직물로 선정하였다. 디자인 선호 도 조사결과에 따라 선정된 색상 및 텍스타일 패턴의 원단을 8종 선택하였으며, 간호사복에 요구되는 소재 의 특성이 우수한 원단을 선정하기 위해 현재 타이저 우시에서 착용하고 있는 간호사복의 소재와 함께 의 류소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물리적 특성 및 기능성 에 대해 객관적인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Table 8>은 기존 간호사복의 소재와 최종적으로 선정된 소재에 대한 물리적 특성으로 혼용률, 두께, 질량, 밀도, 통기 성, 투습성, 흡수성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존 간호사복의 소재 특성을 분석한 결과, 흡수성 (3.75cm, 5.50cm) 및 투습성(835g/(m2․24h))에 비해 통기성(3.70cm3/cm2/s)이 우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 났다. 반면 소재 1은 기존 간호사복의 소재에 비해 착 용 시 쾌적성과 직접적인 관련 있는 통기성(11.30cm3/ cm2/s), 흡수성(8.00cm, 6.75cm)과 투습성(929g/(m2․ 24h)이 기존 간호사복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재 1을 주요 원단으로 선정하 였으며, 디자인 1과 디자인 4에 사용하였다. 실제 병 원에서 사용하는 간호사복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재 1의 원단의 특성을 가진 원단으로 원단의 색과 무늬 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본 연구 에서는 원단의 색을 디자인에 반영하기 위하여 추가 적으로 다른 소재도 사용하여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3) Size specifications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의 업무 수행 시 불편사항 및 맞음새에 대한 설문결과를 참고하여 타이저우시 종합병원의 기존 간호사복의 제품 실측치를 기준으로 세부치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간호사복을 제 작하였다. 제품은 M 사이즈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 며, 간호사복의 세부치수는 <Table 9>와 같다.

    기존 간호사복의 불편사항 및 맞음새에 대한 조사 결과, 목부위, 겨드랑이부위, 허리부위, 엉덩이부위가 작고, 소매길이와 팬츠길이가 짧으며, 특히 팔을 올릴 때와 쪼그려 앉는 동작을 수행하였을 때 겨드랑이부 위, 허리부위, 엉덩이부위, 무릎부위가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전반적으로 각 부위의 불편함과 활 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간호사복에 비해 크게 조 정하였다. 셔츠는 목너비 부위를 1cm 넓게 수정하였 으며, 허리둘레는 총 2cm 늘렸으며, 허리 양쪽 옆에 부분 벨트에 있는 2개의 단추로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추어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반소 매는 팔을 올렸을 때 겨드랑이부위의 노출을 감소시 키기 위해 길이를 3.5cm 길게 수정하였다. 팬츠는 인 심길이를 3cm 길게 조정하였으며, 허리둘레는 업무 시 활동성을 높이기 위해 고무밴드의 길이를 조정하 여 최종적으로 늘어난 허리둘레를 4cm 크게 수정하 였다. 또한 엉덩이부위는 특히 쪼그려 앉는 동작을 수 행할 때의 불편사항을 개선하고 활동성을 높이기 위 해 둘레를 4cm 크게 조정하였다. 스커트 길이는 업무 시 편리성을 고려하여 간호사들이 선호하는 미디 길 이로 제작하였다. 셔츠와 바지의 다른 부위는 M 사이 즈인 기존 간호사복의 치수를 사용하였다.

    4) Design description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호사복은 다음과 같다. 디자 인 1은 긴소매 셔츠와 바지로 구성되어 있다(Table 10). 셔츠는 단추로 옆에서 여미는 형태의 디자인으로 설계하고, 여밈의 끝단은 바인딩으로 처리하였다. 세 부적으로 프린세스라인, 셔츠 칼라, 고무밴드가 혼합 된 형태의 허리밴드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되었다. 셔 츠 허리 부위는 기존 간호사복 디자인을 참고하여 허 리 양쪽에 부분 벨트를 추가하였으며, 2개의 단추가 있다. 단추로 허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간호사 의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자주 사용하는 펜을 걸 수 있 다. 셔츠에는 총 3개의 포켓을 적용하였으며, 가슴부 위의 포켓은 명찰 등을 장착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양쪽 허리에 위치한 포켓은 업무 시 상체 의 굽힘에 따라 포켓에 내장된 물건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안쪽에 작은 포켓을 추가한 이중포켓 구조로 설계하였다. 하의는 고무밴드가 혼합된 허리벨트를 갖는 스트레이트 팬츠로 양쪽 측면에 포켓을 디자인 하였다.

    디자인 2는 반소매 셔츠와 바지로 구성하였다 (Table 11). 셔츠는 앞중심에서 단추로 여미도록 디자 인하였으며, 세부적으로 테일러드 칼라, 디자인 1과 동일한 허리 양쪽의 부분 벨트 디자인 요소가 적용되 었다. 포켓은 양쪽 허리에 위치하며, 디자인 1의 셔츠 와 동일하게 안쪽에 작은 포켓을 추가한 이중포켓 구 조로 설계하였다. 또한 팬츠는 디자인 1과 동일한 형 태인 고무밴드가 혼합된 허리벨트를 갖는 스트레이트 팬츠로 양 쪽 측면에 포켓을 보유하고 있으며, 앉는 동작을 수행할 때 포켓에 내장된 물건이 밖으로 빠지 지 않도록 포켓의 깊이를 조정하였다.

    <Table 12>는 디자인 3에 대한 결과이다. A라인의 원피스로 가장 선호도가 높은 옆에서 속단추로 여미 는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원피스 앞쪽 상단부위에는 심미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름을 추가하였다. 또한 어 깨와 연결된 소매산 부위 및 소매 부리에는 개더를 넣 었다. 원피스의 칼라 모양은 비대칭의 플랫칼라로 디 자인하였으며, 허리부분에는 디자인 1 및 디자인 2와 같이 허리 양쪽에 부분 벨트 및 단추를 적용하여 착용 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 였다.

    <Table 13>은 디자인 4에 대한 결과이다. 반소매 셔 츠 및 스커트로 구성하였으며, 셔츠는 프린세스라인 의 실루엣이며, 옆 속단추로 여밈을 디자인하였다. 셔 츠 몸판의 앞쪽 상단부위에 주름을 추가하였으며, 소 매산 부위는 개더를 넣어 디자인하였다. 칼라 모양은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라 스탠드칼라로 구성하였다. 허리부분에는 더 다양한 신체사이즈를 커버할 수 있 도록 허리 양쪽에 부분 벨트와 단추를 추가한 구조를 사용하였다. 앞선 셔츠와 동일하게 허리에 위치한 사 이드 포켓은 이중구조로 설계되었으며, 디자인 1의 긴소매 셔츠와 교차하여 코디가 가능할 수 있도록 동 일한 소재를 사용하였다. 스커트는 A라인의 미디 길 이로 설계하였다. 맞음새와 간호업무 시의 동작적합 성을 개선하기 위해 허리부위에 팬츠 디자인과 유사 하게 고무밴드를 추가하였으며, 사이즈의 조절이 가 능하도록 단추를 장착하였다. 또한 스커트 앞판 왼쪽 상단에 포켓을 추가하였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중국 타이저우시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 상으로 간호사복의 착의실태와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 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불편사항 및 맞음새를 개선 하여 활동성과 심미성이 향상된 간호사복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문항은 일반적 특성, 착용하고 있는 간호사복의 불편사항, 맞음새 만족도 와 선호하는 디자인 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조사결과를 참고하여 4개 스타일의 간호사복을 디자 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설문에 응답한 타이저우시 종합병원의 간 호사의 평균 나이 29.4세, 키 160.8cm, 몸무게 55.3kg 으로 조사되었다. 간호사복은 반소매 셔츠와 스트레 이트 팬츠로 구성되며, 주로 착용하는 간호사복의 사 이즈는 M과 L 사이즈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M 사이즈를 기반으로 새로운 간호사복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재 착용 중인 간호사복에 대해 간호업무 시 동작에 따른 불편사항 및 부위별 맞음새에 대한 조 사한 결과, 비교적 대다수 간호사가 큰 불편함이 없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팔을 위로 올릴 때 소매 부위와 쪼그려 앉는 동작을 할 때 팬츠의 무릎, 엉덩 이, 허리 부위가 불편하다고 응답한 빈도가 불편하지 않다고 응답한 빈도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부위 별 간호사복의 맞음새는 목둘레, 겨드랑이부위, 허리 둘레와 엉덩이둘레가 조금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매길이가 다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동작적 합성 및 맞음새를 개선하기 위해 소매부위와 팬츠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부위의 사이즈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기존 간호사복의 M 사이즈 의 제품 치수를 기준으로 목너비, 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를 크게 조정하고, 소매길이를 길게 수정한 제품 치수를 제시하였다.

    셋째, 간호사복의 디자인 선호도는 상의 및 하의와 원피스 드레스의 실루엣, 길이, 여밈형태와 방식 등의 세부 요소와 사용되는 원단의 색상 및 텍스타일 디자 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의의 경우 선호하 는 디자인 요소는 프린세스라인, 엉덩이선 또는 엉덩 이선 아래의 길이, 테일러드 칼라 또는 셔츠 칼라, 옆 에서 속단추로 여미는 형태 또는 앞에서 단추로 여미 는 형태, 긴 소매 길이와 세트인슬리브가 높은 빈도를 나타났다. 하의의 경우 일자 벨트와 고무밴드가 혼합 된 허리벨트, 스트레이트 팬츠 또는 미디길이의 A라 인 스커트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원피스 드레 스는 A라인 드레스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선호하는 원단의 색상은 흰색이었으며, 흰색과 파 스텔톤의 푸른계열 또는 붉은계열의 색상과의 조합에 대해서도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의 경우, 병원의 상징성 및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병원 로고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민무늬 와 꽃무늬에 대한 선호도도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국은 간호사복에 사용되는 소재에 대해 면/ 폴리에스터 35/65 혼방직물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면/폴리에스터 혼방직물을 기반으로 소재를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간호사복에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소재의 통기성, 흡수성, 투습성 을 평가하였다. 기존 간호사복 소재의 물성평가 결과 를 기준으로 메인 원단을 선택하였으며, 색상에 대한 선호도 조사결과에 따라 배색 원단을 선정하였다. 원 단의 색상은 환자에게 안정감과 신뢰감을 주기 위해 파스텔톤의 색상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팬톤에 서 제시하는 색 값에 따라 원단을 선정하였으며, 원단 물성시험 결과에 따라 소재 1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 였다.

    최종적으로 업무 시 불편사항 및 맞음새를 개선하 기 위해 목너비,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소매길이 등 의 세부 치수가 조정된 4개 디자인(디자인1: 긴소매 셔츠와 스트레이트 팬츠, 디자인 2: 반소매 셔츠와 스 트레이트 팬츠, 디자인 3: 원피스, 디자인 4: 반소매 셔츠와 미디길이 스커트)의 간호사복을 제시하였다. 간호사복의 세부 디자인 요소는 디자인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침상정리, 환자이송 등의 간호 업무 시 활동성과 타이저우시 병원의 아이덴티티 및 간호사복의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개선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타이저우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병 원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 을 높이기 위해 활동성과 심미성을 고려한 간호사복 을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기존 간호사복의 착의실 태를 파악하고, 불편사항 및 맞음새를 개선하기 위해 제품치수를 조정하여 활동성과 맞음새를 개선한 간호 사복을 제안하였으나, 단순한 사이즈 수정으로 고안 되어 구성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럼에도 착의실태와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기반으로 해당 병 원의 간호사복을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하여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다만 실질적으로 병원로고를 활용한 원 단개발은 진행하지 못하고 왼쪽 소매에 해당병원의 로고가 디자인되었다. 보다 이상적인 간호사복의 개 발을 위해서는 병원의 상징성을 나타내면서 간호사복 에 요구되는 소재의 특성을 만족하는 소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Table

    Measurement item definition

    Current nurse uniform

    Size spec of the current uniform (Unit: cm)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Discomfort due to nurse uniforms during work

    Satisfaction with the fit of the current nurse uniform

    Preferred design

    Material testing results

    Size comparison of the new and current uniforms (Unit: cm)

    Design 1 description

    Design 2 description

    Design 3 description

    Design 4 description

    Reference

    1. An, C. H. (2006).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of nurses in the senior- specialized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 Jang, R. N. (2004). Research on design innovation of medical professional wear in China. Unpublished master’s thesis, Tianjin Polytechnic University, Tianjin, China.
    3. Lee, J. I. , & Steen, C. M. (2010). Technical source book for designer. New York: Fairchild Books.
    4. Lee, M. K. (2012). Development of nurses uniforms to improve nursing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5. Lee, M. K. , & Lee, J. R. (2016). Development of the nurse uniform to improve nursing service –Focused on the summer uniform in the general wa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6), 32-45.
    6. Lee, S. H. (2012).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of medical staff uniform and patient gown for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7. Li, X. Y. (2017). Medical clothing design and resear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ebe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ebei, China.
    8. Li, Y. H. (2014). About the importance of team image in high-quality nursing service. Chinese Journal of Trauma and Disability Medicine, 22(14), 228- 229.
    9. National Textile Net. (n.d.). The demands of a doctor’s uniform and nurse’s uniform fabric. Retrieved July 8, 2021, from https://www.tnc.com.cn/info/c-042002-d-3627644.html
    10. Ni, Y. J. (2004).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design of medical clothing in Chin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hua University, Shanghai, China.
    11. Nurse’s uniform. (n.d.). In Baidu Encyclopedia. Retrieved May 18, 2021, from https://baike.baidu.com/item/护士服/8666975
    12. Park, H. W. , Ryou, E. J. , & Bae, H. S. (2006). A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design of dementia patient’s clothes in domest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6), 45-57.
    13. Taizhou City General Hospital, China. (n.d.). Hospital overview: Hospital information. Retrieved May 22, 2021, from http://www.tzzxyy.com/yygk/yyjj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