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미디어 기술은 미디어 환경을 변화시키고 사회문화적 제도에 영향을 미친다 (Meyrowitz, 1985/2018;Ong, 1982/2018). 인간은 미디어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지 각하기 어렵더라도 인식과 경험에 미디어의 영향을 받는다(McLuhan, 1988/2001). 디지털 미디어 환경은 소통 형식과 인간의 사고, 감각, 의식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미디어의 기술적 진보는 앞선 기술에 근거하여 새로 운 기술을 위한 토대가 되고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하 면서 이전 미디어와 갈등과 혼합의 혼성성(hybridity) 의 과정을 겪는다(McLuhan, 2003/2011;Ong, 1982/ 2018). 즉,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은 이전의 미디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미디어와 관계하며 새로운 사회 문화적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Bolter & Grusin, 1999/2011).
패션쇼는 새로운 컬렉션과 브랜드 문화를 관객에 게 전달하기 위한 전통적 패션 미디어로서 오래전부 터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사 회적 거리두기가 촉발시킨 패션 커뮤니케이션의 디지 털 전환은 장소 특정적 패션쇼를 디지털 공간으로 이 동시키고, 디지털 패션위크는 이를 본격화하였다. 소 셜 미디어는 패션브랜드에서 제공하는 패션쇼를 소개 하고 공유하기 위한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으 며 이벤트 형식이 특징적인 전통적 패션미디어인 패 션쇼는 소셜 미디어와 상호관계하며 새로운 패션쇼로 서 의미되고 있다.
미디어를 바라보는 여러 시각 중 Bolter and Grusin (1999/2011)은 재매개(remediation)의 개념을 제시함 으로써 이전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과 역할을 설명하였 다. 재매개는 미디어의 변화가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 향을 파악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재매개의 개념 은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는 동영상 플랫폼의 소셜 미 디어가 패션쇼의 패션미디어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
디지털 미디어와 관계하는 패션쇼의 변화에 관한 선행연구는 표현 및 연출에 집중되거나 제작과 관련 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패션쇼 내에서 디지털 패션영 상은 의상, 무대 및 공간과 같은 물리적 환경을 극복 에 기여하고 있음을 밝힌 연구(Hong & Kim, 2014;Kim & Kim, 2013;Lee & Kim, 2011)와 이러한 패션 쇼를 하이브리드의 디지털 문화적 특성으로 분석한 연구(Cho, 2013)가 있었는데, 이들은 전통적 패션쇼 형식에 머물러 있었다. 한편, 소셜 미디어가 패션시스 템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도 있었다. Engholm and Hansen(2013)은 패션 블로그가 패션시 스템을 사용자 중심으로 바꾸고 있음을 주장하였고, Rocamora(2016)는 패션쇼의 소셜 미디어화를 언급하 면서 디지털 미디어가 패션산업과 패션 스타일의 표 현 및 라이프 스타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설명하 였다. 이들 연구는 미디어 생태학적 견지에서 패션 환 경의 변화를 거시적으로 파악하였으나,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본격화되고 있는 패션쇼의 변화를 구체적으 로 살피는 것은 향후 패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규명을 위한 후속연구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패션 프리젠테이션의 실무적 활용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 으로써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소셜 미디어가 나타 내는 패션쇼의 모습변화를 밝히고, 패션쇼의 소셜 미 디어화의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 법은 다음과 같다. 문헌 연구를 통해 미디어를 보는 관점으로 재매개의 개념을 고찰한 후, 이를 토대로 사 례분석을 실시한다. 분석은 디지털 패션위크가 시작 된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뉴욕, 런던, 밀란, 파리 등 4대 주요 패션위크를 통해 발표되고, 동영상 공유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YouTube)에 공개 된 패션쇼를 대상으로 한다. 선정된 80개의 패션쇼 영 상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패션쇼의 재매 개의 특성을 분석하고, 소셜 미디어의 패션쇼가 전통 적 패션쇼와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살펴 소셜 미디어 패션쇼의 특성과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II. Background
1. The perspective of the media and remediation
미디어(media)란 중간, 매개를 의미하며, 사람들 사 이의 정보와 감정 등을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을 말한다 (Denis, 2005/2008). 미디어의 용어에는 여러 의미가 혼재되어 있어 관련 연구도 다양한 시각에서 진행됐 다. Meyrowitz(1985/2018)는 미디어 연구의 경향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는데, 첫째는 미디어 안 에 담긴 내용에 집중한 연구로 미디어가 형성하는 담 론과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점, 둘째는 미디어의 ‘사용과 흥미’에 관한 것으로 사람들의 관심 을 유도하는 미디어의 형태에 주목한 관점, 셋째는 미 디어 환경이 정치, 경제, 사회 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한 것이다. 이는 미디어 생태학(media ecology)과 관계하는 것으로, 인간은 미디어와 상호관계 하므로, 미디어의 기술적 발전은 미디어에 의해 세상을 인식 하고 경험하는 인간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기술결정론과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으로 미디어를 바라본 재매개는 새로운 미디어가 이전 미디어와 관 계하는 미디어 논리이다. Bolter and Grusin(1999/ 2011)은 디지털 미디어의 출현으로 나타나는 미디어 및 문화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재매개의 개념을 제 시하였다. 재매개는 ‘re’와 ‘mediation’이 결합한 용어 로 매개의 매개뿐만 아니라, ‘remedi’의 ‘action’으로 보완적 의미를 내포한다(Kim, 2018). 기술의 발달로 등장한 새로운 미디어는 이전 미디어를 대체하는 것 이 아니라, 차용과 개선으로 새로운 감각적 경험을 제 공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문화적 의미를 획득하며 사 회, 경제, 문화적 영향을 미친다(Bolter & Grusin, 1999/2011).
재매개는 매체들 사이의 매개를 다시 매개하는 것으로 이전의 매체 형식이 새로운 미디어에 드러나 는 즉, ‘한 미디어를 다른 미디어에서 표상하는 것’을 말한다(Bolter & Grusin, 1999/2011). 다시 말하면, 이 전의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의 기술과 관계하며 실재 를 개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Jenkins (2008)가 제시한 트랜스미디어(transmedia)는 내용이 여러 미디어를 ‘가로질러(trans)’가며 나타내는 내용 과 미디어의 관계에 집중된 것이라면(Shin & Kim, 2010), 재매개는 새로운 매체가 이전의 매체를 어떻게 바꾸고 새로운 문화적 의미를 획득하고 있는지를 매 체 자체의 변화와 사회적 의미에 집중한다는 데 차이 가 있다.
재매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논리에 의해 설명되 는데, 수용자가 미디어를 인식하지 못하고 대상에 몰 입되는 투명성의 비매개(immediacy)와 미디어에 다중 적으로 표상되는 하이퍼매개(hypermediacy)이며, 이 두 논리를 중심으로 상호작용한다(Bolter & Grusin, 1999/2011). 이에 따르면 새로운 미디어는 이전 미디어 를 재현(represent), 개선(improvement), 개조(refashion), 흡수(absorption)의 네 가지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재 매개한다. 첫째, 재현의 재매개는 미디어의 투명성을 목적으로 하며,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회화나 사진의 정보는 디지털 전환으로 원전을 그대로 확인할 수 있 는 것처럼, 새로운 미디어는 이전 형식을 조명하거나 표상하며, 새로운 미디어가 드러나지 않는 투명성을 갖는다(Bolter & Grusin, 1999/2011). 둘째, 이전 미디 어가 지닌 단점은 새로운 미디어에 의한 개선으로 재 매개된다(Bolter & Grusin, 1999/2011). 예를 들어, 전 자책은 출판용 책의 모습과 구성을 차용하면서도 움직 이는 이미지의 삽입이나 검색 기능, 멀티텍스트와 음 악을 추가함으로써 인쇄용과 다른 기술적 개선으로 재 매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선에 의한 재매개의 논리 에 대해 반투명적(translucent)이다(Bolter & Grusin, 1999/2011). 셋째, 새로운 미디어는 미디어의 원천과 대상을 모두 드러내며, 기존 미디어 형식을 유지하는 개조로서 재매개한다(Bolter & Grusin, 1999/2011). 개조에 의한 재매개는 한 공간 안에 다양한 원천 미디 어가 일종의 콜라주처럼 다중적으로 재구성되어 매체 들 사이의 ‘공간적 불연속성(discontinuities)’을 지니 며 맥락적 차이를 나타낸다. 마지막은 새로운 미디어 가 이전 미디어를 온전히 흡수한 경우이다(Bolter & Grusin, 1999/2011), 컴퓨터 시뮬레이션 게임이 영화 를 재매개하고 있는 것처럼 기존 미디어에 의존하여 이전의 미디어를 드러내지 않거나 실제와 같이 보이 기 위해 영상 테크놀로지가 적용된 디지털 영화는 미 디어의 존재가 은폐된 투명성의 매개를 나타낸다.
2. Changes of fashion shows and social media
패션쇼는 새로운 패션 컬렉션을 소개하거나 브랜 드 정체성을 전달하기 위해 쇼 형식의 이벤트이다. 패 션쇼는 판매 촉진과 소통을 위한 수단 중에서도 가장 생동감 있는 매체이다(Winters & Goodman, 1972). 의상 판매의 목적에서 시작된 패션쇼는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391년 파리 궁궐에서 실물 크기로 제 작된 패션인형(fashion doll)을 처음으로 14세기를 시 작으로 보거나(Cho, 2013), 1851년 Charles Frederic Worth가 자신의 오트 쿠튀르 패션하우스를 열고 실제 사람에게 옷을 입혀 선보인 것을 시초로 보는 견해도 있다(Jin & Im, 2011). 이후 패션쇼는 20세기 초 본격 적인 패션의 산업화가 진행되며, 패션 브랜드와 백화 점이 판촉 활동을 위해 실제 모델이 음악에 맞춰 워킹 을 하는 형태로 시작하였고, 의상에 어울리는 무대, 연출, 소품 등이 더해지기도 하였으며, 여러 브랜드가 한데 모여 자신의 컬렉션을 선보이며, 현대 패션위크 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Cho, 2013).
이처럼 소셜 미디어의 등장 이전의 패션쇼는 다른 장르의 쇼와 달리 시청각 효과를 극적 요소의 소통 수단이었으나(Lee, Lee, & Lee, 2019). 물리적 공간에 서 개최됐던 전통적 형태의 패션쇼는 디지털 미디어 에 의해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는 여 러 기능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시간과 물리적 공간 경 계가 모호한 탈영역과 쌍방향 상호작용이 가능한 네 트워크 등의 공간적 특성을 갖는다(Choi & Park, 2019). 디지털 미디어는 물리적 장소와 분리하기 어려 웠던 전통적 패션쇼를 디지털 공간 안에서 재매개하 고 디지털 영상 테크놀로지는 현실과 가상을 넘나들 며 관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디지털 미 디어의 속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소셜 미디어는 이전 이벤트 형식의 패션쇼 자체를 대상화하며, 정보 생산 자와 수용자 사이의 공간, 패션쇼의 표현과 소통하는 방법을 바꾸고 있다.
소셜 미디어는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기능과 미디 어 측면에서 콘텐츠 생산과 공유 기능의 결합으로 붙 여진 이름이다(Choi & Yang, 2009). 소셜 미디어는 연결성과 실시간성에 기반한 소통이 강화된 서비스 플랫폼(Lee, 2010)과 글, 사진, 동영상 오디오 형태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전송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개방된 플랫폼을 말한다(Safko & Brake, 2009). 소셜 미디어는 전달하 려는 내용의 정보, 정보 전달의 물리적 매체인 미디어 즉, 디바이스와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제공하는 인터 페이스(interface) 등으로 구성된다(Seol, 2009). 소셜 미디어는 플랫폼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정보와 사 용자,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접점 에 있으므로 내용 전달방식과 인터페이스에 따라 이 용자에게 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소셜 미디어는 이미 개최된 패션쇼를 기록하여 전 달하기도,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전 세계 이용자들과 실시간 즉각적으로 소통하기도 하며, 패션필름이나 패션 애니메이션 형식의 영상으로 대체되기도 하였 다. 이 같은 패션영상은 형식적 유사성으로 영화적 관 점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으나, 디지털 패션위크에서 선보인 디지털 패션쇼 혹은 프레젠테이션 방법은 전 통적 패션쇼 형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기하며 일 회적 이벤트에서 나아가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제공 하는 패션미디어로 변모하고 있다.
III. Methods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미디어를 바라보는 관 점으로 재매개의 개념을 토대로 소셜 미디어에 나타 난 패션쇼를 사례분석을 하였다. 분석대상은 디지털 패션위크가 시작된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동안 파리, 밀란, 런던, 뉴욕 등 4대 주요 패션위크에 서 공개된 2020년 FW와 2021년 SS의 두 시즌의 패션 쇼 및 프레젠테이션 영상 중 유튜브 플랫폼에서 다시 보기가 가능한 패션쇼 영상으로 선정하였다. 소셜 미 디어 플랫폼 유튜브는 정보를 동영상 형태로 패션쇼 의 역동성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미디어로서 디지 털 패션위크에서 패션쇼 대부분을 유튜브를 이용하여 소개하고 있어서 유튜브로 한정하였다. 또한, 유튜브 는 검색엔진으로도 구글 다음으로 전 세계 두 번째로 규모가 큰 플랫폼이 되고 있고(Global Reach, 2020), 소셜 미디어로서도 월간 이용자 수도 인터넷 인구의 약 1/3에 해당하는 약 20억 명으로 영향력이 크다 (Openads, 2020).
자료수집과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 어졌다. 먼저, 디지털 패션위크에서 공개된 패션쇼 영 상 총 266개를 수집한 다음, II장에서 도출한 재매개 유형과 패션쇼의 구성요소에 따라 연구자가 분석대상 을 반복 시청하고 패션쇼의 요소의 특징과 재매개 방 식을 키워드로 기록하여, 그 결과를 Bolter and Grusin 이 제시한 재매개 방식에 따라 1차로 분류하였다. 패 션쇼의 구성요소는 패션쇼 관련 선행연구에서 정의된 요소들(Choi & Shin, 2008;Everett, Swanson, & Blanco, 2018;Shin, 2005;Yun & Lee, 2001) 중 매체 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요소를 중심에 두고 유사 의미를 기준으로 정리하여 주제를 제외한 의상, 장소, 관객, 모델, 무대, 음향 등으로 정의되었다. 1차 분석 결과, 소셜 미디어의 재현적 재매개(108건), 개선의 재매개(84건), 개조의 재매개(38건), 흡수의 재매개 (36건)로 도출되었다. 이 중, 각 유형별로 재매개 방식 이 가장 잘 드러난 20개씩 추출하여 재매개 개념을 이 해하고, 패션 분야에서 실무 경력 10년 이상인 전문가 3명에 의해 최종 검증받았다. Creswell(2007/2010)의 질적 연구에 적합한 사례의 수를 20개 이상으로 정의 한 것을 근거하여, 사례분석 대상의 수를 유형별 20개 씩 총 80개를 2차 선정하고, 재현, 개선, 개조, 흡수 등의 방식에 따라 재매개의 속성을 분석한 결과,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패션쇼는 서사적 재구성에 의한 패 션쇼의 재현, 미디어의 개선에 의한 패션쇼 공간의 확 장, 미디어 개조에 의한 패션쇼의 탈맥락과 평면성, 미디어 흡수에 의한 패션쇼의 장르 전이와 지각 전환 의 특성이 확인되었다(Table 1).
IV. Results and Discussion
1. Representation of fashion shows through narrative reconstruction
소셜 미디어는 기록과 서사적 재구성으로 전통적 미디어 형식을 재현하였다. 판매 촉진과 대중들과의 직접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목적에서 일회적 이벤트 의 방식으로 열렸던 패션쇼는 영상 콘텐츠 형식으로 재매개되었다. 재현적 패션쇼는 서사적 흐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모델과 의상이나 무대를 그대로 나타 냈고, 패션쇼가 진행되는 시간과 내용의 흐름에 따라 편집하여 재구성되었다. 재목적화(repurposing)는 미 디어가 이전 미디어와 관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미 디어에 맞게 전환되는 재매개 현상을 말한다(Bolter & Grusin, 1999/2011). 재현적 재매개의 패션쇼는 소 셜 미디어 즉, 패션쇼가 열렸던 상황을 영상 형식으로 새로운 미디어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고, 이전의 패션 쇼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한 비매개이며, 특정 장소와 시간에 열렸던 이벤트 자체를 조명하는 영상 콘텐츠 로 재목적화 되었다.
South London Mail Center에서 열렸던 Christopher Kane F/W 2020/2021 시즌의 패션쇼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12분 37초짜리 영상으로 재구성되었다(Fig. 1). 현장에서 개최되었던 패션쇼는 패션쇼의 모든 요소를 그대로 담아 나타냈고, 유튜브 플랫폼은 영상을 통해 실황을 중계하듯이 기록되는 한편, 같은 의상을 다른 각도로 반복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미디 어의 개입은 패션쇼의 전체 흐름을 방해하기보다 자 연스럽게 전통적 미디어로서 패션쇼의 극적 형태를 강조한 것이다. Thom Browne F/W 2020/2021 시즌의 패션쇼는 21분 11초 영상으로 재구성되었다(Fig. 2). Thom Browne의 패션쇼를 구성하는 관객, 모델, 의상 은 패션쇼 영상을 구성하는 요소로 재현되었고, 화면 프레임 내에서 의상 일부분은 확대되거나 시선의 위 치를 바꿔가며 나타냈다. 즉, 소셜 미디어에서 전통적 형식의 패션쇼는 동영상 콘텐츠 형식으로 재매개되었 고, 패션쇼의 요소들은 영상 내에서 그대로 재현되었 다. 소셜 미디어의 패션쇼 영상은 패션쇼 실황을 담고 있기에 패션쇼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드러내면서 디지털 미디어 자체는 은폐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소 셜 미디어 패션쇼는 서사적 구성에 따라 각 요소들이 강조와 약화를 반복하며 영상 콘텐츠로 재구성되었 다. 이용자들은 영상 콘텐츠를 통해 소셜 미디어 영상 을 관찰하기 보다는 패션쇼 실황을 관람하는 것과 같 이 느끼게 되는데, 이는 미디어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 는 비매개의 재매개이다. 재현적 패션쇼의 투명적 비 매개는 전통적 패션쇼의 모습을 강화하는 동시에 소 셜 미디어의 개방성을 통해 보다 많은 관객들이 패션 쇼를 열람할 수 있는 관객의 확대를 이끌어 내는 역할 을 한다.
2. Expansion of the spatiality of fashion shows through media improvement
소셜 미디어는 전통적 패션쇼가 지닌 기능을 개선 하여 이전 미디어를 재매개하였는데, 특히 무대와 장 소는 다양한 장소의 혼합에 의한 장소의 확장을 나타 냈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장소는 고정된 것이 아 니라 재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Meyrowitz, 1985/2018). 지리적 공간과 사회적 의미가 결합한 물리적 장소의 특정성은 소셜 미디어 내에서 약화된다(Hur, 2019). 정해진 기간 동안 단일의 물리적 장소에서 열렸던 패 션쇼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되거나, 여 러 장소를 하나의 무대로 융합시켜 장소를 확장했다.
Balmain S/S 2021시즌의 패션쇼는 전 세계 이용자 들에게 패션쇼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였다. <Fig. 3>은 재현적 패션쇼와 같이 전통적 미디어 형식 을 취하고 있지만, 영상 내 관객의 일부는 다른 장소 에서 모니터를 통해 참여하였고 관객 즉, 영상 콘텐츠 의 프레임 밖에 있는 다양한 공간의 이용자들은 자국 언어로 의견을 플랫폼 내에서 실시간으로 소통하였 다. 소셜 미디어 패션쇼의 장소는 패션쇼의 무대가 위 치한 파리와 패션쇼 내에 모니터로 참여한 관객이 위 치한 여러 장소, 그리고 소셜 미디어 패션쇼를 구성하 는 이용자나 관객의 다양한 지리, 문화적 장소가 공존 하는 장소의 확장성을 보였다. 한편, 전통적 패션쇼를 개선한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무관중으로 미리 제작 되어 유튜브 내에서 공유되었는데, 이때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새로운 패션쇼의 공간이 된다. Erdem S/S 2021과 Balenciaga S/S 2021시즌의 패션쇼는 런던 외 곽에 있는 Epping 숲속의 길과 도시의 밤거리와 같은 실제 장소를 무대로 선보였다. Balenciaga 패션쇼의 경우(Fig. 4), 파리의 차도, 강변, 골목길과 같이 여러 장소를 무대로 컬렉션을 나타냈는데, 프레임 밖의 관 객과 다양한 장소를 배경으로 한 무대의 혼합에 의한 패션쇼 장소의 확장이다.
디지털 미디어는 패션쇼의 전통적 미디어 형식을 반영하면서도 패션쇼 무대의 장소와 관객의 장소, 패 션쇼의 무대 내에서도 장소를 혼합하며 무대가 지닌 장소적 단일성을 개선하였다. 이전 패션쇼는 모델과 의상, 무대, 관객 등의 모든 요소가 한 장소에서 결합 되어 단일의 이벤트가 형성되고 소통이 이뤄지었지 만,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무대의 여러 지리적 배경과 미디어 전송 방식의 개선으로 공유되는 관객의 장소 가 혼합된 장소의 확장을 나타냈다.
3. Decontextualized and flattened spatial discontinuity of fashion shows through media refashion
소셜 미디어는 전통적 패션쇼의 형식과 다른 미디 어와의 결합에 의한 개조의 재매개를 나타냈다.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물리적 환경에서 양립하기 어려운 것을 디지털 영상효과로 구현하였는데, 이때 새로운 미디어의 개입이 두드러지는 한편, 전통적 패션쇼 양 식도 공존한다. 미디어의 개선이 전통적 미디어의 형 태를 유지하며 새로운 미디어의 기능이 적용되어 재 조직되더라도 미디어에 나타나는 요소들의 속성을 바 꾸지 않는 데 반해, 미디어의 개조는 미디어를 구성하 는 원천과 대상 모두를 드러내고 부각시킨다는 점에 서 차이가 있다(Bolter & Grusin, 1999/2011). 미디어 개선에 의한 패션쇼는 디지털 미디어의 기능이 더해 지더라도 원천적으로 패션쇼를 구성하는 즉, 무대 위 에서 의상과 모델 그리고 관객에 의해 형성되는 전통 적 모습은 유지된다. 그러나 미디어의 개조로 패션쇼 는 이러한 극적 형태를 보이는 전통적 패션쇼의 형식 을 와해시킨다. 이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패 션쇼의 요소 간의 공간이 불연속적인 탈맥락성과 표 면적 시각 효과가 강조되는 평면성을 나타낸다.
Gucci S/S 2021시즌의 Epilogue 패션쇼는 12시간 동안 로마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었다(Fig. 5). 스트 리밍된 영상은 준비와 컬렉션을 선보이는 과정 전체 가 담겼는데, 로마의 Palazzo Sacchetti를 배경에 두고 윈도우 프레임 안에서 포즈한 모델의 모습과 오브제 이미지를 병치시켜 패션쇼를 구성하였다. 패션쇼는 로마의 실시간 현장과 윈도우 프레임으로 나타낸 정 지된 모델의 이미지를 한 화면에 배치하였다. 실시간 으로 전송되는 전경과 콜라주처럼 배치된 윈도우는 점 진적으로 모습을 드러냈고, 실시간 로마의 장소와 대 비되는 가상 이미지는 인위적으로 배치되었다. Gucci S/S 2021시즌의 Epilogue 패션쇼의 무대는 물리적 공 간에서 구성되는 전통적 패션쇼의 무대와 달리 시간 과 공간이 다른 이미지의 원천을 이용하여서 한 무대 및 공간 안에서 재배치된 탈맥락화를 보여준다. 개조 에 의한 패션쇼는 전통적 패션쇼의 무대를 디지털 공 간으로 창조하고 실시간으로 다양한 장소의 관객과 공유되었는데, 이러한 탈맥락적으로 구성된 패션쇼의 요소들은 윈도우 프레임을 통해 미디어의 개입을 드 러냈다. 이는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만 존재하는 전통 적 패션쇼의 요소와 공간을 개조한 패션쇼의 재매개 이다.
소셜 미디어는 적극적인 디지털 효과를 통해 다양 한 소스를 활용하여 패션쇼의 공간 역시 개조하였다. 사용된 원천의 차이가 유발하는 미디어의 부조화는 패션쇼의 표현을 다채롭게 하고, 패션쇼 공간을 평면 화시키며 표면적 시각 효과를 강조하였다. Collina Strada S/S 2021시즌의 패션쇼는 실사와 디지털 애니 메이션과의 혼합으로 화려한 시각적 효과를 보여주었 다(Fig. 6). Collina Strada S/S 2021시즌의 패션쇼는 가상공간에 모델을 배치하고 모델 위에 같은 모델을 중첩해 크기의 부조화를 나타냈는데, 이는 모델과 무 대의 인위성은 자연적 시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원근 감을 무시하고 모델과 의상의 시각적 그래픽을 강조 함으로써 디지털 미디어의 개입을 재확인시킨다. 전 통적 패션쇼가 무대의 공간감을 이용하여 멀리서부터 걸어 나오는 모델을 통해 의상을 등장시키는 것에 반 해, 개조된 방식의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모델의 퍼포 먼스가 강조되고 원근법이 무시되는 표면 연출의 시 각적 극대화로서 평면성을 나타냈다. 이와 유사하게 Nehera S/S 2021시즌의 패션쇼는 실제 여러 장소에서 촬영된 모델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각 장면 사이에 삽 입된 영상은 오래된 필름이 영사된 것과 같은 흑백의 이미지와 정지된 모습을 순차적으로 위치를 이동시켜 모델의 움직임을 나타냈는데, 이와 같은 콜라주와 이 차원적으로 표현된 시각적 효과는 인위적 미디어의 개입에 의한 탈맥락성과 평면성을 나타냈다.
4. Genre transition and perception shift of fashion shows through media absorption
전이란 각 개체가 다른 개체로 이동하는 것으로, 연결성을 갖고 변화하는 중간 이상의 요소를 매개시 키는 과정을 의미한다(Jang, 2013). 전이 공간은 이질 적 요소들의 급격한 변화의 이질감을 완화하고 조절 과 완충의 기능을 하며(Bae, 2017), 경험의 폭을 넓혀 준다(Lee & Hur, 2014). 미디어의 개조와 달리 재매 개의 비매개성은 미디어를 드러내지 않으므로 관찰자 가 대상을 실재로 인지하게끔 한다(Bolter & Grusin, 1999/2011).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이전 패션쇼의 미 디어를 영화, 무용, 다큐멘터리와 같은 다른 미디어 형식으로 흡수하여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내어 다양한 미디어와의 융합이 이뤄지는 영역 전이를 나타냈다. Marine Serre S/S 2021시즌의 패션필름은 영화 미디 어로 흡수된 패션쇼이다. 등장인물의 모습과 그 움직 임은 영화의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동시에 의상 연출 을 도우며(Fig. 7), 등장인물이 된 모델은 워킹하는 패 션쇼의 전형적 모습이 아닌 퍼포먼스와 연기와 의상 의 다양한 앵글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전통적 패션쇼 가 다른 장르로 전이되고 구성하는 요소들의 대체에 의한 재매개이다. 이렇듯 영화 매체로 흡수된 패션쇼 즉, 패션영상은 전통적 패션쇼의 흔적을 지우고 마치 영화처럼 의상을 나타낸 새로운 미디어로의 흡수이 며, 패션 이벤트와 영화 영역을 중첩시켜 서로 다른 장르의 경계에 위치하며 영역의 지각전환을 이끈다. 이와 유사하게 Maison Margiela S/S 2021시즌의 패션 쇼는 컬렉션과 영상 제작과정에 대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John Galliano의 설명과 패션필름으로 연출되 었고, 패션영상은 실시간으로 전송되었다(Fig. 8). 인 터뷰, 룩북, 탱고 퍼포먼스, 숏 필름 매체가 융합된 Maison Margiela 패션쇼에서 컬렉션 의상은 패션쇼 내 여러 미디어를 관통하며 등장하였다. 잘 짜인 컬렉 션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과 같은 Maison Margiela 패 션쇼는 미리 제작된 패션필름과 디렉터가 제품을 설 명하는 장면을 교차시켰고, 여러 장르의 혼합으로 나 타냈다. 전통적 패션쇼의 무대와 장소, 모델의 움직임 등은 소셜 미디어에 의해 공연장, 무용수의 퍼포먼스 등으로 흡수에 의한 영역 전이를 나타냈다. 한편, 디 지털 영상기술은 가상의 대상을 실제와 같이 나타내 며, 현실을 재매개하기도 하였다. 가상공간에서 가상 의 모델과 의상으로 패션쇼를 선보인 Accidental Cutting S/S 2021과 GCDS S/S 2021시즌의 패션쇼는 그래픽 효과가 실사와 같이 표현되며 전통적 패션쇼 의 형식을 취하면서 디지털 애니메이션으로 전환된 미디어 투명성이 나타난 패션쇼의 재매개이며 패션쇼 와 애니메이션의 영역전이다.
V. Conclusion
비대면 환경으로 물리적 관계보다 디지털 미디어 를 통한 지각과 경험이 익숙해지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는 영상 소비문화를 주도하며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패션 분야에서도 유튜브 는 패션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매체로 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패션위크로 전환되기 시작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발표된 패션쇼와 디지털 패션위 크에서 패션쇼의 플랫폼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 는 유튜브와 패션영상을 주목하였다.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전통적 패션쇼의 변화를 미디어의 논리인 재 매개의 관점에서 그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소 셜 미디어 패션쇼를 재매개의 방식인 재현, 개선, 개 조, 흡수에 따라 사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재현적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공식적인 장소에서 실제 개최된 패션쇼의 모습을 서사적으로 재구성되었 고, 패션쇼를 이벤트의 실황을 담은 영상 콘텐츠로의 재목적화와 재현이 나타났다. 둘째, 소셜 미디어의 개 선된 기능은 관객의 장소와 패션쇼의 장소를 분리했 고 패션쇼의 장소를 물리적 장소를 넘어 초월적 공간 으로 확장했다. 전통적인 극적 형태의 한정된 패션쇼 공간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물리적 장소가 혼 합된 새로운 소통 공간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단일 미디어와 일회적 이벤트로서 전통적 패션쇼의 형식을 와해시키고 여러 미디어를 융합시킴으로써 요소 간의 탈맥락성과 표면적 효과가 강조된 시각 중심적 평면화를 나타냈다. 디지털 미디 어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전통적 패션쇼의 형태와 방 식을 따르지 않고 다양한 이미지의 원천이 혼합되고 스크린의 평면적 공간에서 패션쇼를 나타냈다. 넷째, 소셜 미디어 패션쇼는 무용, 연극, 필름과 같은 다른 장르 및 미디어로 흡수되면서 각 영역 간의 이질성을 약화하고 다른 미디어로의 자연스러운 전이를 통해 지각의 전환을 나타냈다.
소셜 미디어는 전통적 패션미디어인 패션쇼의 형 식과 관람 방식에 영향을 주며, 패션쇼의 향유하는 방 식을 전환했다. 소셜 미디어의 패션쇼는 전통적 패션 쇼의 시각적 경험과 장소의 한계를 개선하고 패션 프 레젠테이션 방법을 다양화시켜, 패션쇼와 컬렉션을 보고 전달하는 방식을 바꾸었다. 소셜 미디어에 의해 패션쇼는 디지털과 물리적 공간을 혼합하고, 표현과 전달의 창의적 시도로 새로움과 감각적 자극을 요구 하는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패션 경험과 볼거리를 제 공하였다. 또한, 소셜 미디어는 일회적 장소에서 선택 된 사람들에게 선보였던 패션쇼를 즉각적이고도 여러 사회문화적 공간의 대중들에게 공개한다. 이는 패션 쇼가 대중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이끌 기회를 얻게 되 고,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실재와 가상이 혼재하고 브 랜드가 창조해낸 세계라 할지라도 이용자가 패션쇼 과정에 참여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친숙함과 진정성 을 끌어내는 역할의 미디어로서 의미 된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유튜브에 한정되 었고, 최근의 두 개 시즌의 패션쇼를 분석하는 데 그 쳤으나 분석범위를 넓힌다면 소셜 미디어 패션쇼의 더 다양한 표현방식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 다. 또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등장한 소셜 미 디어 패션쇼의 매체적 속성을 파악하는 데 집중하였 으나 소셜 미디어가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 지하고 있고 새로운 미디어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이 있으므로 소셜 미디어 패션쇼의 변화와 이용자의 경 험과의 관계를 살피는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