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5 pp.679-693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5.679

A study on social responsibility of beauty design

You Kyoung Park, Soon Jae Lee*
Ph. D. Candidate, Dept. of Cloth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Apparel Design, Konkuk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leesoon@konkuk.ac.kr)
August 30, 2021 October 17, 2021 October 19, 202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first to expand participation types in the field of beauty design by examining activities in the field, and second, to seek practical methods for addressing the important issue of social responsibility amid the current pandemic situation. Accordingly, social responsibility in design was examin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features of practice domains and design performance fields were examined comparative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practices take place in various sectors, with sensibility toward the environment being escalated to a new level in the cosmetics industry. In terms of cosmetics enterprise practices, collecting, recycling, manufacturing, and retail networking has been established to reuse up to 95% of waste resources. Furthermore, ethical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concerning product and service waste resources are recommended, resulting in the supply of eco-friendly products in a virtuous cycle. In terms of systematic policy, even component transformation (such as organic certification and excluding toxic substances) is being carried ou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such responsible activities in Korea; thus, systematic practice is needed. Designers take part in talent donation activities, and it was the sector they prefer the most.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n limitations such as venues equipped with cosmetics procedure equipment and public cosmetics sanitation and make systematic improvement, such that activities can be led with initiative from passive participation.



뷰티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박 유 경, 이 순 재*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박사수료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현대의 디자인은 편리성 추구나 이윤 창출을 넘어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전환 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안들이 디자인 여러 분야에 걸쳐 나 타나고 있다. 기업은 영리 목적 외에 윤리성을 중요시 하고 공유가치를 수행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디자이너 역시 공익적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기 위 해 생산과 유통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고 있고, 이러한 흐름은 뷰티 디자인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뷰티 디자인은 인간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을 통 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분야로 헤어, 메이크업, 피 부, 네일 분야 등이 있으며,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소 모되는 화장품에 관련된 디자인도 포함하고 있다. 현 재 외모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뷰티 디자인 분야는 꾸 준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의 화장품 산업은 단순히 이익 증대를 위한 경영을 넘어서 원료 생산 및 유통과 사용 후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환경 에 대한 감수성을 새로이 하고 있고, 경제적 가치 이 상의 사회적 가치를 위한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다. 소 비자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미용실 등에서는 폐 기되는 모발 등을 재생자원으로 활용하는 시도를 하 고 있으며, 디자이너들은 재능기부를 통해 인간 중심 에 가치를 둔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나 수행 방법 및 영역의 확대가 미흡하여 특정한 영역에서만 활발한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재능기부 활동이 화장품 기업과 미용 기업 의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Cho and Park(2012)Lee(2016) 등이 있고, 고객만족도 그리고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Kim and Lee(2012) 등이 있다. 또 우리나라 뷰티산업의 사 회적 책임경영 개선 방안 연구로 Jeung(2020)이 있고, 디자이너의 미용 재능기부 인식과 사회적 책임 활동 에 관한 연구로 Lee(2020)가 있으며, 모발 기부에 대 한 인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로는 Hong(2012) 이 있다. 그러나 재능기부 활동과 이를 통한 마케팅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책 임 수행 사례에 관한 연구들은 화장품 기업에 관한 연 구들이 있었는데, 이마저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미용 기업에 관한 사례들은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뷰티 디자인 분야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관한 사례들을 조 사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의 자료로 활용되 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타 디자인 분야에 비 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개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활동 사례와 현황을 통해 인식이 확산되기를 기대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 하고 효과적인 활동 방향과 관리를 위한 방안 및 영역 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사회적 가치 실현의 차원에서 필요한 사회적 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 회적 디자인에 대한 인식변화를 확인하고, 책임을 수 행하고 있는 분야의 사례들을 조사하여 시대적 변화 에 따라 추구되는 다양한 디자인 유형들과 실천적 사 례들을 연결한 표를 통해 타 디자인 분야의 영역을 살 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시대가 거듭할수록 광범위해 지는 뷰티 디자인의 범위를 시술에 필요한 제품을 생 산, 유통, 판매하는 기업을 화장품 기업으로 분류하 고, 시술 행위가 이루어지는 미용실을 미용 기업으로 정의하여 사회적 책임 활동의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조사에 필요한 자료 수집은 뷰티 디자인, 미용 산업, 화장품 기업, 사회적 책임, 미용 기업, 재능기부를 키 워드로 한 2000년도부터 현재까지의 문헌 자료 및 인 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또 기업에 속하 지 않은 개인 디자이너를 별도로 분류하여 디자이너 들의 수행 영역도 함께 살펴 사회적 가치 실현의 현황 을 파악하였다.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1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의 방법과 내용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디자인의 사 회적 책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념과 변화의 흐름을 살펴 현재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인식들을 알 아보고자 하였으며, 타 디자인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수행되고 있는 책임 활동들을 소재 측면, 생산․유 통․폐기 측면, 인간 중심적 측면으로 집약하여 사례 들을 고찰하고, 디자인 정의에 따른 유형별로 분류하 였다. 3장과 4장에서는 뷰티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영역을 화장품 기업과 미용 기업, 디자이너로 분 류하고, 뷰티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 실현 사례들을 살 펴 내용들을 정리하여 타 디자인 분야에서 나타나는 활동과 차이점을 표로 제시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에 있어 제한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활 동 유형의 확장과 참여를 위한 영역 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Ⅱ. Background

    1. Changes in awareness toward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

    산업혁명을 통해 대량생산과 부의 축적이 가능해 지면서 건축과 공예, 산업제품들을 위한 산업디자인 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후 사진과 인쇄 기술의 발 전과 인터넷 매체 발달로 광고를 위한 그래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이 발전하였다. 디자인은 산 업의 발달과 맞물려 소비확산을 위한 마케팅 전략과 연계하여 미적 외관과 기능을 끊임없이 변형하면서 새로운 제품으로 소비자들을 유혹하기 위한 역할로 변 화하였으며, 가속화된 소비와 생산은 디자인의 역할을 도구의 편리성 추구나 이윤 추구를 위한 수단으로 만 들었다. 무분별한 이익 창출을 위한 도구로서의 디자 인에 대한 각성이 1960년대 디자이너들 사이에서 일 어나게 되었고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을 필두로 무분별한 생산에 의한 환경 폐해의 문제 제기와 사회 적인 공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Park, 2017). 이후 조나 단 채프먼(Jonathan Chapman)의 무분별한 소비에 관 한 문제점 제시와 도로시 맥킨지(Dorothy McKinsey) 의 <그린 디자인>이 번역되면서 관심이 촉발되었고,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국내에서도 그린 디자인, 생 태 중심주의에 기반을 둔 에코디자인 등이 등장했다 (Chapman, 2005/2010). 또 로널드 메이스(Ronald L. Mace)에 의해 처음 주장된 유니버설 디자인, 알테르 문디(Alter Mundi)의 공정 무역, 이탈리아 건축가 Paolo Soleri에 의해 시작된 지속 가능한 디자인 등 사 회적 책임의 다양한 형태는 꾸준히 발전하고 이어지 고 있다(Kim, 2013).

    현대는 사회적 디자인으로 불리며 디자이너로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할을 염두에 두고 디자인 과정 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공존을 목표로 하며 인간과 인 간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인간과 환경의 영역으로까 지 확대되었다(S. J. Kim, 2017;Y. S. Kim, 2017). 나 아가 환경뿐만 아니라, 노동, 인권 등의 인간 중심의 가치와 동물보호 및 사회 공유가치 등 포괄적 분야를 내포하며 발전하고 있고,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 의 식에 대한 신뢰가 기업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 고 있으며, 현실적인 요구가 되고 있는 것이다.

    뷰티 디자인 분야를 포함한 모든 기업은 환경에 대 한 책임 수행으로 생산과 유통, 폐기과정에서 발생하 는 오염 물질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공정한 노동 및 이익금의 일부를 환원하거나 공유하는 소비 자 중심 즉 인간 중심에 가치를 둔 디자인 등 환경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디자인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사회적 책임 활동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 면서 법적 규제도 제정되었는데, 2010년 사회적 책임 에 대한 국제표준 ISO26000이 국제표준화기구(ISO) 에서 제정되었으며, ISO26000에서는 환경과 인권, 노 동 관행, 조직 지배구조, 공정한 운영 관행, 소비자, 지 역사회 참여 및 사회 개발 등 7대 의제를 주요 이슈로 규정되기도 하였다(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20).

    2. Classific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는 사례들을 크게 소재 측면과 생산 및 유통, 폐기 과정의 측면, 인간중심의 가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 보고, 측면에서 나타나는 세부 영역과 디자인 유형을 선별하여 표로 제시하였다(Fig. 1).

    1) Material aspect

    소재의 친환경성을 높이는 측면으로 환경에 대 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소재를 의미하며, 동물보호 에 관련된 사례도 포함된다.

    첫째, 원료의 사례를 살펴보면 생분해가 가능한 소 재 개발이 대표적이다. ㈜에코 준 컴퍼니의 테이크아 웃 종이컵은 옥수수 원료를 사용하여 분해가 용이 하 도록 만들었다(Lee, 2013). 이러한 사례는 인테리어 업 체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스카엘(Eskayel)은 벽 지, 직물, 카펫 등을 화학섬유가 아닌 목재 펄프 섬유 로 만들고 있다(Eom & Jeong, 2018). 베르 테라(Ver Terra)는 친환경 일회용 식기를 생산하고 있는데, 원 료가 물과 야자수 낙엽으로만 이루어졌으며, 접착제나 도료도 사용하지 않아 사용 약 6주 후 자연적으로 분 해되도록 생산하고 있다(S. J. Kim, 2017;Y. S. Kim, 2017). 이 밖에 스텔라 매카트니(Stella McCartney)의 디자인은 동물의 모피와 털의 사용을 모든 컬렉션에서 배제하였으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많은 이들에게 에콜로지와 윤리적 트렌드를 확산시킨 중요한 사례가 되었다(Kim & Na, 2015). 또 파타고니아(Patagonia) 의 패딩류 제품은 동물보호를 위해 거위 털과 오리털 등의 충전재를 사용하지 않고, 동물과 인간이 공존해 가는 모델을 추구하고 있다(Eom & Jeong, 2018).

    둘째, 소재를 재배하는 과정에서부터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는 노력을 들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파타고 니아의 면 재배 과정에서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일반 적인 면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 재배 면만을 사용하고 있었다. 오가닉 소재를 사용한 컬렉션의 사례도 있는 데, 전 세계 유기농 면 연간 거래 순위에서 1위를 차 지하는 에일린 피셔(Eileen Fisher)는 친환경적 메시지 를 담은 플로랄 패턴의 유기농 면, 유기농 린넨 등을 소재로 한 가든 컬렉션 등을 선보이기도 하였다(Son, 2016).

    셋째, 폐기된 소재를 재활용하거나 쓰레기를 감소 시키는 기술개발도 있다. ㈜터치 포 굿은 산업 폐기물 로 분류되는 광고판, 현수막, 포스터 등을 재사용하여 가방, 파우치, 카드 지갑 등을 디자인하여 판매하고 있다. 패브릭 펜은 바느질 없이 수선이 가능한 패션 제품으로 3D 프린트를 이용하여 스캔한 뒤 동일한 소재와 컬러를 손상된 부분에 발사하여 의류의 활용 도를 높이고 쓰레기를 줄이는 등 소비 형태를 바꾸는 문화에도 기여한 사례라 할 수 있다. 폴 폴락(Paul Polak)의 버려진 자동차 부품을 이용한 IDE 세라믹 정수기는 세라믹 재질이 가진 여과 기능을 사용하여 폐자재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인 사례이다(S. J. Kim, 2017;Y. S. Kim, 2017).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 (Adidas)는 해변에 버려진 플라스틱을 수거하여 2016 년 조깅화와 축구 유니폼을 출시하였는데, 한 켤레를 만드는데 평균 11개의 플라스틱 병을 재활용하였으 며, 신발 갑피, 끈, 발목을 잡아주는 힐 카운터와 삭 라이너 등에 사용되었다(Kim, 2018). 또, 패션브랜드 한섬은 사과 껍질을 재활용해 만들어진 비건 가죽을 적용한 신발을 출시한 사례도 있다.

    2) Production-retail-disposal aspect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오염을 줄이고 폐기물을 최소화하여 생태계 환경을 고려한 사례들로 분류하였다.

    첫째, 생산과정에서 사례들을 살펴보면 생산 초기 단계부터 전 과정 순환을 고려하고 있다. 르위 반스 (Lew Barnes)가 디자인한 골판지 책상은 접착제 대신 끼워 넣기를 이용해 제작하였으며, 이스카엘은 제품 생산 시 사용되는 용수 재활용 시스템을 갖춰 인쇄되 고 남은 폐수는 재활용하고 있으며, 유기화합물을 사 용하지 않고 무독성의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폐기 시 생분해되도록 하였다. 또한 과잉 생산을 없애고, 폐기 물을 줄이기 위해 주문생산 방식으로만 생산되며, 매 출의 1%를 기부하고 있다(Eom & Jeong, 2018). 스마 트 기술을 접목하여 생산한 사례도 있는데, 파울리네 판 동어(Pauline van Dongen)가 디자인한 웨어러블 솔라 드레스는 태양 에너지를 활용하여 스마트 폰이 나 각종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 타미힐피 거(Tommy Hilfiger)의 FML 태양광 패널을 탑재한 스 마트 점퍼는 오염을 막기 위해 생산되었으며, 빈폴 아 웃 도어의 솔라 백(Solar bag)은 일상생활에서 패션 액세서리나 소재, 아이템에도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 어 환경을 보호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데 기여하고 있다(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8).

    둘째, 유통과정은 물류를 운송할 때 발생하는 연료 절감, 소음, 오염물질 배출감소, 혼잡비용 절감 등이 있다. 반 시게루(Ban Shigeru)의 사각형 심이 들어간 두루마리 화장지는 운반할 때 공간의 절약할 수 있어 서 비용 및 대기오염을 줄여준다(Hara, 2003/2007). 또 미국의 월마트(Walmart)는 트럭의 디젤형 보조 배 터리를 축전형 전기 발전기로 교체하여 연간 200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하였으며, 국내기업의 대한통운은 LNG용 화물자동차 엔진과 배기가스 절감 장치를 부 착 운영하고 있고, 적재함을 알루미늄으로 가볍게 제 작해 연료비를 절감하고 있다(Kim, 2011). 또한 현대 택배는 연료를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의 엔진으 로 연료 절감 및 배기가스로 인한 소음을 줄였으며, 시 설과 차량을 친환경 장비로 교체하였다(Won, 2011). 이처럼 환경 저해 요건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장치 를 활용한 사례도 있지만, 기존에 운송화물 트럭을 전 기자동차로 교체하는 사례도 있다. 온라인몰인 SSG 닷컴은 저온유통 시스템을 갖춘 전기 배송차를 도입 해 운영 중이며, 롯데슈퍼 역시 전기 자동차 배송을 통해 휘발유 소비를 감소시킨 사례도 찾아볼 수 있었 다(Choi, 2021).

    셋째,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려는 시도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디자이너 문 승지의 포 브라더스는 만들 때 버려지는 나무가 없도록 도면을 설계하고, CNC 컷팅 기술을 이용해 나무를 절단한 후 의자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Choi, 2020). 또, 이세이 미야케(Issey Miyake)는 A Piece of Cloth을 통해 원 단을 재단하고 봉제하는 과정이 생략되고, 최신 컴퓨 터 기술에 의해 실이 기계 안으로 들어가 곧바로 완성 된 제품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적용하여 소재로 인한 폐기물을 줄였다(Ha & Lee, 2012). 듀퐁사(Dupont)는 공장에서 발생되는 모든 유독성 폐기물의 35%, 발암 성 가스 물질을 90% 이상 줄이겠다는 약속과 함께 유 독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안전 부서를 설 치하여 경영시스템을 바꾸기도 하였다(Lee, 2009). 국 내에서는 정부가 제도적으로 1995년부터 유해 물질 이나 유독을 함유하고 있거나 재활용이 어려운 제품 및 폐기물의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징수하는 폐기 물 부담금 제도를 도입하기도 하였다(Seo, 2004).

    3) Human-based value aspect

    디자인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로 인간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거나 디자인 재능기부 등 에 대한 사례이다.

    첫째,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계층의 삶의 질을 향 상시키기 위한 사례가 있다. 필립스(Philips)는 재래식 아궁이에서 나오는 독성물질로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 는 인도의 아궁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출하라는 아궁 이를 개발하였다(Oh & Lee, 2012). 또, 스탠포드 대학 교(Stanford University)는 제3세계의 빈곤 가정에서 저 체온 증으로 인한 영유아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여진 통 안에 산소를 주입하여 적정한 온도를 맞추는 필터로 이루어진 저렴한 인큐 베이터를 개발하였다(Park, 2015). 공정무역과 관련한 사례들도 있는데, 네슬레(Nestle)는 1990년대 이후부 터 아동의 노동 문제가 촉발되었던 서아프리카와 남 미지역의 농장을 중심으로 영양과 물 그리고 인권과 농촌개발 및 환경 등 5개 분야를 중점으로 사회적 책 임을 실행하고 있다. 또, 소매 유통업체인 월마트의 중국법인은 중국 내 모든 공급자에게 환경 및 노동 기 준을 적용, 노동력을 착취하는 행위 등을 규제하는 사 례도 있다(Cho, 2010).

    둘째, 성별, 나이, 장애 및 언어 등으로 인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설계한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라 할 수 있 다. 현대자동차에서 선보인 소나타 Touchable music seat는 청각장애인에게 음악을 시트의 진동으로 느끼 게 한다(Kim, 2014). 또, 손이 없는 장애인을 위한 다 관절 인공손 아이-림 핸드(i-LIMB Hand)는 2개의 근 육 신호를 사용하여 실제 손처럼 쥐었다 폈다 할 수 있게 고안된 고도의 즉각적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 다(Index, 2005/2009).

    셋째, 디자인의 나눔, 기부사례는 정부와 기업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정부 차원에서 나눔, 기부사 례는 2008년 초에 한국디자인진흥원이 희망제작소와 공동으로 기획한 디자인 나눔 사업이 시초가 되어 활 성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Hong, 2013). 나눔 문화의 확산을 유도하고자 기획한 사업으로 경기도 안산시 고유지 포도 마을에 여름 일손 돕기 봉사 활동 및 지 역 특색을 살린 포도 CI 및 캐릭터를 디자인한 한국디 자인진흥원의 사례가 있다. 또, 서울디자인센터의 서 울 소재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환경개선 부문, 벽화 부 문으로 활동을 전개 하였다.

    기업의 사례들을 보면 현대카드의 옥수수 전분과 제주지역 폐석재 등을 이용한 100% 친환경 소재로 이정표를 만들어 환경과 교감할 수 있도록 디자인 재 능기부를 한 사례가 있다(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2013). 또, ㈜카카오는 학교에 다닐 수 없 었던 할머니들의 한글학교를 지원해주는 교육 기부를 하였다. 이 밖에 대학 산학 프로젝트 사례도 있었는데 영세 규모의 사회적 기업의 홍보와 로고 제작, 제품 패키지 디자인, 유니폼, 각종 서식류, 포장 디자인 및 매장의 실내외 디자인, 제품 네이밍까지도 지원해주 는 등 해당 기업의 통합적인 마스터 디자인 플랜을 기 부하고 있다.

    Ⅲ. Social Participation by Beauty Design

    뷰티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다각적 모 색은 뷰티 디자인의 가치를 더욱 확고하게 하고 있으 며, 이에 따른 수행 영역 확장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뷰티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 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던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의 사회적 책임 활동 사례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앞 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술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 유 통, 판매하는 기업을 화장품 기업으로 분류하여 살펴 보았다. 또, 시술 행위가 이루어지는 미용실을 미용 기업으로 정의하여 조사하였고, 기업에 속하지 않은 개인 디자이너를 별도로 분류하여 디자이너들의 수행 영역도 함께 살펴보았으며, 영역별로 실천 사례들의 활동 내용들을 요약하고 정리하여 영역 확장에 도움 이 되고자 하였다(Fig. 2).

    1. Cosmetics enterprises

    화장품 기업의 사회적 실천에 관한 사례들에서는 친환경 소재 및 제품개발, 생산과정에서의 폐기물 감 소와 재활용을 위한 활동,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배 기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 등 다양하게 실천되 고 있었다.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거나 개발한 사례들로는 (주) 피지 아이엔디는 국내 최초로 친환경 피혁, 섬유, 염 모제 등에 사용하는 오배자와 감 등 6가지 천연염료 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식물성 천연염료 생산 라인을 구축하였다. 이 염모제는 무 PPD 타입이자 무 암모니 아로 자극 없이 염색이 가능하며 또한 원료를 추출한 후 찌꺼기를 건조해 농경지 비료로 활용하고, 생산라 인의 세척수를 처리하기 위한 폐수 처리장을 설치했 다(Yoon, 2011). 중외제약에서는 아몬드, 올리브오일, 오징어 먹물을 원료로 하고 지하 암반수를 원수로 사 용하며,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실크 단백질을 사용하 여 수소 이온 농도를 중성(6.5~6.9)으로 유지, 자극을 최소화한 염색약 개발 사례도 있다(Lee, 2008).

    미용기기에 사용된 친환경 소재의 경우로는 이지 엘 마스크가 있었는데, 덴마크의 친환경 섬유 크바드 라트 원단과 신소재 Room-it 원단으로 제작되었다 (Kim, 2021). 또, 원료 자체를 유기농으로 사용하는 사례도 있었는데, 비유전자변형과 같은 환경친화적인 원료와 재질을 사용하고 포장재로 사용하는 것으로 95% 이상의 유기농 재료 사용, 파라벤 무 함유, 동물 보호를 위한 화장품 안전성 테스트를 하지 않은 제품 등 친환경적 원료로 만든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다. 아 직까지 국내외에서 100%의 유기농 제품 개발은 이루 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고 환경 보호를 실천하거나 아토피나 알러지 등이 있는 소비자들은 천연 유기농 소재를 가지고 직접 화장품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하 모 셀은 천연 계면 활성제를 함유해 두피와 모발에 자 극을 줄이고, 환경 손상을 감소시켜주는 무실리콘 헤 어클리닉 제품을 개발하였다. 또, 한국화학연구원 환 경자원연구팀은 나노 촉매 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제 조공정에 무독성 용매를 사용해 환경친화적 펌 용제 를 개발하였다(Cho, 2004). 사용을 편리하게 하여 시 술 과정을 줄임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는 사례로는 액 체 형 염모제에 유해 성분으로 분류돼 있는 PPD나 암 모니아도 첨가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여주는 중외제 약의 제품도 있다(Shin, 2009).

    재활용의 사례에서는 버려지는 머리카락을 이용한 기술개발이 많았다. 생활 쓰레기로 버려지는 머리카 락을 활용한 생체 기반 습도 정밀 측정 기술(Kim, 2019)이 개발되었으며, 식물용 아미노산 비료를 생산 준비 중이기도 하다(17 Victory Cooperative, 2018). 아모레퍼시픽, 올리브영 등은 포장재를 기존 PVC 비 닐 소재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크라프트지로 교체하여 고객 편의를 높이는 동시에 플라스틱 절감을 통한 환 경 보호도 실천 중이다(Park, 2020).

    폐기의 사례로는 화장품 용기 및 포장재로 인해 발 생하는 폐기물을 생산과정에서부터 감소시키는 노력 들이 많았다. 아모레 퍼시픽은 2009년 친환경 종이를 사용한 포장 상자를 사용하여 폐기 시 발생하는 온실 가스의 배출량을 제품에 표기하는 탄소 성적표지 인 증 절차를 시행하였다. 또,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리 필 스테이션을 운영 중이며, 매장에 샴푸와 바디 워시 제품의 내용물을 원하는 만큼 소분해 판매하는 사례 도 있었다. 이 외에도 여러 기업에서 제품 용기를 재 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거나 불필요한 제품과 패키지 를 제거하여 폐기 발생물을 최소화하는데 노력하고 있었다.

    유통과정에서는 지역물류센터를 한곳에 통합해 맞 춤형 생산으로 재고 물류를 줄이고, 유통과정을 최소 화함으로써 배기가스 및 온실가스 등을 줄이는 사례 들이 있었다.

    이 밖에도 환경을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인간 중 심의 가치를 실천하고 있는 사례들도 있었는데, 공정 무역, 재능기부 활동 등이 있었다.

    공정무역에 관한 사례를 살펴보면 더 바디 샵의 제 3세계 오지의 원주민들과의 공정한 가격 정책을 통해 지역 생산자들의 경제력을 키우기 위한 커뮤니티 프 로그램이 있었다. 또, 사회적 기업이자 코스메틱 브랜 드인 그루 테라피는 개발 도상국가의 여성 생산자들 이 자연 농법으로 재배한 친환경 원료를 정당하게 거 래하여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고, 공동체의 지속가능 한 삶을 지원하고 있다(Lara, 2020). 프랑스 업체인 떼 흐 독(Terre doc)은 원료공급원인 개발도상국의 발전 과 참여 구성원들의 인권 존중을 위해 공정 거래의 원 칙을 철저하게 지키며 생산되고 있다.

    디자이너 개인 또는 사회적 기업과 연계하여 수행 되는 다양한 기부, 나눔, 봉사 형태의 사례들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하이모는 2000년부터 탈모를 겪는 소아암 환아들에게 무료 가발 제작을 지원한 러브 헤 어 캠페인(Kim, 2015)을 하였으며, 아름다운 재단이 운영하는 희망가게는 저 소득층 한 부모 가정이 미용 실을 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마이크로크레디트 교육사업을 추진하였다. 아모레퍼시픽의 메이크업 유 어 라이프는 암 치료 과정으로 피부의 변화, 탈모 등 급작스러운 외모의 변화로 고통받는 여성 암 환자들 에게 메이크업, 피부 관리, 헤어 연출법 등의 노하우 전수와 심적 고통을 덜어주고, 긍정적 태도를 촉구하 는 캠페인으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다양한 활동을 하 고 있다.

    2. Beauty enterprises

    미용 기업에서는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네트 워크를 구축하고, 수질오염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 및 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시도와 천연제품을 사용하 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프랑스미용사협회에서는 소 각이나 매립되는 머리카락으로 나일론 스타킹을 채워 부두의 오일 등 해양 오염에 활용하고 있다. 머리카락 무게의 약 8배까지 오염물질을 흡착하게 할 수 있고, 세척 후 10회까지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1978년 도 아모 코 오염 사태와 일본 화물선 침몰 때 유출된 기름 제거에도 사용되었고, 해안가뿐만 아니라 강, 호 수, 도랑 등의 오염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현재 대형 해양 오염에 사용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 중인 친환경 적 사례이다(Insight Research Institute, 2020).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우, 1,000곳이 넘는 미용실에 서 나오는 폐자재의 최대 95%를 전용할 수 있도록 수 집, 재활용, 제조 및 유통업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생성된 폐기물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인식하고 참여를 권장하고 있었다. 친 환경 활동의 재정적 수익을 사용하여 지역 고용을 창 출하는 등 지역 사회에 환원하고 있었으며, 현재 이 프로그램은 미용 업계에서 시작되어 피부 클리닉 및 애완동물 미용실을 위한 폐기물 솔루션을 만들고 있 었으며, 참여하는 살롱에게는 친환경 제품을 공급하 여 선순환구조를 구축하였다. 구체적 실천 사례들을 살펴보면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염색이나 펌을 할 때 사용하는 호일을 수거 하여 세척한 후 재활용 업체에 판매하고 있었으며, 플 라스틱류와 종이, 시술용 장갑 등 재사용이 가능한 일 회용 위생용품을 분리하여 친환경 제품을 만드는 업 체에 보내고 있었고, 수질의 오염원을 제거하거나 줄 이기 위한 실천으로는 화학 물질이 묻은 용수를 화학 재활용 공장으로 보내 중화시킨 후 재활 용수로 바꾸 는 활동을 하고 있었다(Sustainable Salons, 2021).

    영국에서는 시술 과정에서부터 폐기물이 발생하는 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들을 하고 있었는데, 플 라스틱 대신 유리 용기를 사용하거나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리필 서비스 등을 실천하고 있었 고 물 낭비를 줄이기 위해 물이 흐르는 배수관 앞부분 에 에코 헤드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 생분해 성 일회용 타월을 사용하고,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탄 소 배출량을 상쇄하기 위해 재생 가능 에너지원의 에 너지를 100% 사용하고 있었다(New hope for danes, 2018). 이 밖에도 유럽, 독일, 일본 등에서 유기농 인 증을 받거나 자체적인 캠페인성 인증 마크를 부착하 고, 좀 더 구체적으로 기존 염모제의 대표적인 독성 물질인 PPD 성분을 배제하는 등의 성분 적인 변화까 지 시도하고 있었다(Kim, 2009).

    우리나라에서도 폐기물을 수거하는 실천들을 하고 있었는데, 헤어드라이기, 아이론 등 재활용 인식이 낮 은 소형 폐가전을 공동 수거해 서울시 SR 센터 녹색 소비자 연대 등 재활용 센터에 전달하고 있었다(Ham, 2015). 또한 폐 머리카락을 수거하여 타 산업 분야와 협업을 통해 단열성 페인트(Korean Patent No. 10- 0056795, 2006)를 개발하고, 사람의 모발을 알칼리 성 환경에서 가수 분해하여 얻은 유기질 비료 개발 (Korean Patent No. 10-1043568, 2011)등 기술 개발을 통한 재활용에도 기여하고 있었다. 수질 보호를 위한 활동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효모나 김치에 들어 있 는 유산균을 비롯해 누룩 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등 80여 가지 유용성 미생물들을 섞어서 만든 비누를 사 용하여 펌제와 염색제의 냄새를 없애고, 몸에 해로운 작용도 줄이는 활동을 하고 있었는데 환경운동 단체 와 연계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Korea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 2008), 물을 전혀 사용 하지 않는 우주 인식 건식 샴푸를 사용하여, 세발시 나오는 각종 오염 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하 고 있었다(Editor in chief, 2009).

    3. Beauty designer

    개인 디자이너의 활동으로는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우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이웃과 장애를 앓고 있는 이웃 등을 위한 기술 재능기부,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 는 교육 재능기부가 있었으며, 미용 기업에 종사하는 디자이너들이 하나의 단체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었다 (Sustainable Salons, 2021). 우리나라는 디자이너들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분야이자 선호하는 분야가 재능기부 활동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이너 개인 또는 사회기관 및 사회적 기업과 연계하여 수행되고 있었 다. 기업과 연계하여 무료 가발 제작을 지원하거나 투 병 중에 외모 변화로 겪는 심리적 안정을 위한 시술 등의 기술 재능기부, 저 소득층이나 한 부모 가정 및 다문화 가정 등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교육 재능 기부가 있었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0). 또, 타투를 활용하여 화상 상처를 감춰 심리적 안정감과 자존감을 일부 회복시켜 주거나 치매 환자 에게 전화번호를 새겨주고 비만 또는 출산으로 튼 살 을 옅게 해주기도 하며, 백반증으로 위축된 환자에게 마음까지 치료해주는 사례도 있었다(Min, 2014).

    이외 예술작품도 있는데 자신의 빠진 머리카락을 수백, 수천 개를 동여맨 후 투명 에폭시를 수차례 덧 바르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한 디자인을 선보인 함연 주 작가의 우연이라는 작품과 드레스가 있다. 또한 푸 르바 마이클스(Purva Michaels)는 코로나19로 인한 자가 격리 기간 동안 매일 보는 자신의 머리카락을 주 인공으로 독특한 일러스트를 만들기도 한 사례도 있 다(Berit, 2020).

    Ⅳ. Features of Beauty Design Cases

    뷰티 디자인 분야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활동들은 확장되고 있으며, 꾸준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타 디자인 분야에서 나타나는 활동 에 따른 디자인 분류들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곧 뷰티 디자인 분야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영역의 확장 이 필요함을 말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장에서 는 뷰티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서 나타나는 내 용들을 정리하고, 타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활동 내용 과의 차이점을 표로 제시하여(Table 1) 향후 뷰티 디 자인 분야의 사회적 책임 활동 현황을 파악하고 수행 영역의 확장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첫째, 뷰티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례는 화 장품 기업의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친환경 소재 개발 및 탄소배출 감소를 위한 방안들을 확대하 여 환경경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Korea Cosmetic Association(2021)의 조사에 따르면 K-뷰티 열풍을 이 끈 성공 요인은 인삼과 당귀 등의 한방 성분과 알로 에․달팽이 점액질․제주 용암 등 천연 성분을 제품 에 적용하는 연구를 통해 천연 유래 원료의 비중을 높 이는 노력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성공 요인과 맞물려 화장품 기업에서는 천연 소재의 개발 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포장 재와 용기 개발을 통해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빗물 또 는 폐수의 재활용을 통한 용수 사용량 절감과 수질 및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을 관리하는 노력을 하고 있었 다. 친환경 매장 구현으로는 고효율 LED 조명 설치, 친환경 인테리어 자재 활용, 친환경 쇼핑백 및 소모품 사용, 환경마크 인증 제품 출시, 화장품 공병의 재활 용을 위해 공병 수거 캠페인, 플라스틱 용기를 줄이기 위한 리필 스테이션 등 폐기물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일상 속 그린라이프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 양한 환경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의 실천들은 대기업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중소기업의 사례들은 찾아볼 수 없었고, 제품의 성분 에 기준치를 적용하는 등의 법적 규제가 있었으나, 활 동에 따른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또 활동 범위와 실천 방법들을 꾸준히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도 확대 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 기업에서의 사회적 실천 방안에 대한 고민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프랑스, 호주 등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폐 머리카락을 해양 오염을 줄이는데 활용하고 있으며, 강, 호수, 도랑 등 사용영역의 확대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호 주에서는 지속가능한 미용실을 위하여 일회용 폐기물 을 대부분 회수하고 재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다각도 로 모색하고 있으며, 화학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 질의 오염원을 제거하거나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 었다. 영국의 미용실에서는 물과 전기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미용실 운영 방법으로 환경친화적 인 서비스 제공 방법 등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 며, 시술 과정에서부터 발생하는 오염원 감소를 위한 시도들을 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독일, 일본 등에서는 제품의 원재료가 유 기농일 경우 마크를 부착하게 하거나 화학성분의 재료 를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회용품 에 대한 재활용을 위한 노력들은 찾아볼 수 없었으나 소형 폐가전을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들이 실행되고 있었으며, 비료, 단열성 페인트 등의 기술 개발에 필요 한 폐 머리카락 재활용에도 기여하고 있었다. 수질 보 호를 위한 활동은 천연 재료로 만든 비누를 사용하거 나 물을 아끼기 위한 건식 샴푸를 사용하는 노력을 하 고 있었다. 그러나 화장품 기업에 비해 활동 범위 및 방법들이 제한되어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는 미용 기 업이 가진 생활 밀착형 형태의 특성으로 사람에게 직 접 시술한 제품들의 사용 및 보관에 관한 규정들이 마 련되어 있지 않았고, 펌제와 염색제 등 화학성분의 제 품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용기와 내용물의 분리에 관한 실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디자이너의 활동으로는 재능기부 활동을 주 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거 나 장애나 투병 중에 있는 이웃들을 위한 기술 재능기 부와 교육 재능기부가 있었다.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 우에는 미용 기업에 종사하는 디자이너들이 하나의 단 체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는 디자이너 개인 또는 활동을 주관하는 곳이 종교단체, 사회복지 기관 및 시설, 청소년단체, 보건 의료 건강 관련 기관 등이 디자이너들과 연계하여 이루어지고 있었고, 디 자이너가 주체적으로 활동하는 곳은 나타나지 않았다.

    Ⅴ. Conclusion

    현대 사회에서 디자인 분야는 이윤 추구를 너머 인 간중심의 관점으로 상호 간의 존중에 목표를 두는 변 화를 필요로 한다. 뷰티 디자인 또한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사회공헌 활 동들이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 있다. 특히 화장품 기업 의 사회적 책임 수행 활동은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고, 디자이너들의 활동으로는 기술을 통한 재능기부 형태의 활동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 었으나, 미용 기업에서의 활동 사례를 찾는데 어려움 이 있었다. 뷰티 디자인은 생활 밀착형 디자인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과 소비 집단의 가치체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책 임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변화는 1960년대에 시작되어 이윤과 욕구를 넘어 환경에 대한 새로운 접 근과 해결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 에서 1980년대 들어서면서 기업이 사회구성원의 역 할을 자각하고 환경, 소비자, 근로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자발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 는 기업이 속해 있는 지역사회와 문화 등에서 사회와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한 노력들을 하였 으며, 2000년대에는 규범적 체계를 위한 국제 표준화 기구로 만들어 환경과 사람 그리고 사회를 위한 노력 과 지속가능한 디자인들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따른 사회적 책임에 대한 활동 영역과 방법 들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었고, 실천 형태도 수동적 형태에서 능동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었으며, 나아 가 법적 규제로도 제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 천 영역에 따른 디자인 유형은 인간중심 측면을 제외 한 모든 영역이 그린디자인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이는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는 디자인을 추 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뷰티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사례에서 는 2000년대 이후를 기점으로 K-beauty가 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국내 화장품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 한 인식도 확대되었다. 소재 개발부터 소비자에 이르 기까지의 전 과정과 사용 후 폐기물을 재활용하거나 최소화하는 노력과 함께 가치 소비를 위한 캠페인도 진행되고 있었다. 이 밖에도 원료 및 제품을 생산하는 제3세계 생산자들과의 공정무역을 하고 있었으며, 기 업의 이윤 일부를 소외계층의 경제력 향상을 위해 지 원하거나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재단을 운영하기도 하 며, 기업과 교육단체가 연계한 재능기부 행사 등의 활 동도 나타났다. 미용 기업은 화장품 산업과 더불어 K-beauty를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면서 함께 성장하 였으나, 국내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활동들은 찾아보 기 힘들었으며, 시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처리 와 재활용 및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탄소배출을 감소 시키기 위한 친환경적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디자이너들의 참여로는 재능기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가장 선호하는 활동 영역으로도 나타났으나, 시술을 위해 설비가 갖춰진 장소와 미용 공중위생에 관한 제약을 극복하는 연구과제가 남아있 다. 또한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미용 기업과 디자이너 들의 활동이 수동적 참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주 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개선이 필요할 것으 로 사료된다.

    뷰티 디자인은 다가올 미래에 AI로 인해 사라지는 직업군 중에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직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에서 뷰티 디자인은 사회적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그만큼 인간이 공존하고 있는 사회 환 경과 가치에 대해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 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부족하였던 뷰티 디자인 분야 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활동들을 조사하는데 있으며, 수행에 요구되는 인식확장을 통한 실행 영역 및 구체 적 방법과 방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있다. 제한점으로는 뷰티 디자인 영역을 분류하는데 있어 체계가 부족하여 미용 기업을 미용실로 국한하 여 조사하였다는 점과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인터넷 자료와 기업과 기관의 홈페이지 정보를 사용하였다는 것에 있으며, 이마저도 국내의 활동에 대한 자료가 부 족하여 국외의 사례 자료를 인터넷 자료에 의존하였 다는 점에 있다. 향후 뷰티 디자인 영역 및 유형의 재 정립이 요구되며, 뷰티 디자인 분야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가 제시한 사례들에 서 영역별 실천방안의 부족을 인식하고,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회적 책임에 대 한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나아가 후속 연구에 조금이나 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Figure

    RJCC-29-5-679_F1.gif

    Domains and classifica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

    RJCC-29-5-679_F2.gif

    Value realization domains and contents of beauty design

    Table

    Differences in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between beauty design and other designs

    Reference

    1. Berit. (2020, June 30). 머리카락으로 만든 일러스트, 푸르바 마이클스 [An illustration made out of hair, Purva Michaels] [Blog Post]. Berit’s Atelier.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blog.naver.com/retspe/222017275336
    2. Chapman, J. (2010). Clean design, good design (S. Y. Bang, Trans.). Paju: Sigong Art.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3. Cho, H. I. , & Park, B. Y. (2012). Beau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Beauty Art Society, 6(4), 57-68.
    4. Cho, K. H. (2004, September 24). [연구실 탐방] 화학 연구원 환경자원연구팀 [[Research lab exploration] Environmental resource research team at the Korea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igital Times.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0081531
    5. Cho, S. Y. (2006). Korean Patent No. 10-0056795. Seoul: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6. Cho, W. C. (2010, February 28). 중국 월마트 환경, 노동, 파수꾼 되나 [China Walmart, environment, labor watchman]. Kyunghyang Newspaper.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www.khan.co.kr/world/china/article/201002281758415
    7. Choi, S. S. (2021, February 14). 라벨 없애고 배송은 전기차로, 유통가에 부는 친환경 바람 [Remove the label and ship by electric car, a green wind blowing on distribution price] Daily Korea.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daily.hankooki.com/lpage/industry/202102/dh20210214073011148000.htm
    8. Choi, Y. J. (2020, July 17). 문승지 디자이너가 전하 는 해양오염에 대한 메시지 [A message from designer Moon Seung Ji about marine pollution]. Daily Korea.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www.jungle.co.kr/magazine/201839
    9. Editor in chief. (2009, August 14). 지하철에서 친환 경 미용실을 만나다 [Meet an eco-friendly hair salon on the subway]. BeautySu.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beautysu.com/?p=2671
    10. Eom, K. H. , & Jeong, B. R. (2018). Effects of sustainable textile design products on consumer purchas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4(2), 379-388.
    11. Ha, S. Y. , & Lee, Y. H. (2012).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design expressed in Issue Miyake’s fashion. Korean Dressing Society, 62(3), 57-72.
    12. Ham, B. G. (2015, June 9). 헤어드라이어 등 소형가 전 재활용에도 기업이 나섰다 [Companies have also started recycling small home appliances such as hair-dryers]. Etnews.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www.etnews.com/20150609000193?m=1
    13. Hara, K. (2007). Design of design (B. G. Min, Trans.). Paju: Ahngraphics.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14. Hong, C. M. (2012). Study on awareness and activation way of hair don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15. Hong, S. W. (2013). Case analysis of & revitalization plan for social role of design through talent donation.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6(4), 255-264.
    16. Index. (2009). Design to improve life (I. S. Yoon, Trans.). Seoul: Designflux.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17. Insight Research Institute. (2020, September 24). 버 려지는 미용실 머리카락, 귀중한 사업 아이템 [Hair from the hair salon that is being thrown away, valuable business item] [Blog Post].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blog.naver.com/jis1465/222098269761
    18. Jeung, G. C. (2020). A study on the CSR management approaches of beauty industry in Korea.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4(2), 59-76.
    19. Kim, D. H. (2015, December 16). 기업들의 착한 재 능기부…프로보노(Pro Bono) ‘눈길’ [Companies’ good talent donations…Pro Bono ‘catch eyes’]. Newsis.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s://newsis.com/view/?id=NISX20151215_0010479392
    20. Kim, H. H. (2009, May 6). 미용업계에 부는 진짜 에 코 바람 [The real ecological wind in the beauty industry]. Buautynury.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www.beautynury.com/news/view/37629/cat/10/page/33165
    21. Kim, H. J. , & Lee, J. M. (2012). The analysis of cosmetics brand cause marketing characteristics by type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6(4), 275-283.
    22. Kim, H. J. , & Na, H. S. (2015). A case study on the sustainable fashion design. Journal of Fashion Design, 15(3), 53-68.
    23. Kim, J. H. (2021, February 9). 시지바이오 ‘이지엘 마스크’ 출시… LED 미용기기 3종 포트폴리오 구축 [CGBio’s ‘EGL mask’ is released... Building a portfolio of three LED beauty devices]. MTN.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21020913200987812
    24. Kim, M. Y. (2014). Approach case design for achieve the social values. Smart Media Journal, 3(1), 46-51.
    25. Kim, S. H. (2018, April 20). ‘해양쓰레기로 만든 운 동화?’…아디다스,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 활용 러 닝화 출시 [‘Sneakers made of marine waste?’… Adidas launches running shoes using marine plastic waste]. Herald Economy.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80420000032&ACE_SEARCH=1
    26. Kim, S. J. (2017). Creating shared value (CSV) design case study for BOP market.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6(2), 45-56.
    27. Kim, S. K. (2013). 착한디자인 [Good design]. Paju: Ahngraphics.
    28. Kim, Y. H. (2011). A study on green logistics evaluation framework of logistics of companies -Focusing on large logistics companie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cheon University, Incheon, Korea.
    29. Kim, Y. J. (2019, May 2). 머리카락으로 습도 잰 다...KAIST, 생체 기반 습도 정밀 측정기술 개발 [Humidity measurement with hair...KAIST develops biological-based humidity precision measurement technology]. Etnews.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www.etnews.com/20190502000391
    30. Kim, Y. S. (2017). Design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 case study on Hong-ik University school of design & media.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0(2), 26-32.
    31. Korea Cosmetic Association. (2021). 사회적․경제적 가치 [Social and economic values].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s://kcia.or.kr/home/industry/industry02_01.php
    32. Korea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 (2008). 친환경 미용실 [Eco-friendly beauty room].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kfem.or.kr/?p=7887
    33.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2013, September 12). KIDP 디자인 재능기부 전달식 개최 [KIDP design talent donation delivery ceremony will be held].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kidp.or.kr/index.html?menuno=1019&bbsno=11068&boardno=622&ztag=rO0ABXQAMzxjYWxsIHR5cGU9ImJvYXJkIiBubz0iNjIyIiBza2luPSJraWRwX2JicyI%2BPC9jYWxsPg%3D%3D&siteno=16&act=view
    34. Lara. (2020, February 25). 치우리버터 공정무역 화장 품으로 착한 소비하기 [Chewy butter fair trade cosmetics for good consumption] [Blog Post].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s://lara.tistory.com/2495
    35. Lee, C. S. (2020). The effect of hair designer’s recognition of hair crafts an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reliability and work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36. Lee, E. K. (2016). The influence of the beauty companies’ brand image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37. Lee, J. E. (2008, April 24). 친환경 원료 사용 염색약 나와 [Dye using eco-friendly raw materials]. Sports Khan. Retrieved July 12, 2021, from http://sports.khan.co.kr/bizlife/sk_index.html?art_id=200804251957186&sec_id=561801
    38. Lee, J. H. (2009). A study on consumer’s attitude to green marke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39. Lee, K. H. (2013, April 19). 에코 준 컴퍼니 이준서 대표와의 에코 수다 [Eco chatting with Junseo Lee, CEO of Eco Jun Company]. (2013, February 20). Social Solidarity Bank.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www.bss.or.kr/load.asp?subPage=340.view&idx=584
    40. Min, J. (2014, December 20). 재능기부 사례 [Talent donation cases] [Blog Post].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blog.naver.com/minjae9037/220214426476
    41.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8, September 4). 기술도 패션이다! 스마트 의류의 모든 것 [Technology is fashion! Everything about smart clothing] [Blog Post].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blog.naver.com/with_msip/221352131289
    42.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0). 2020 자 원봉사활동 실태조사 및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개 정 연구 [2020 Survey on volunteer activities and revision of the framework act on volunteer activities]. Seoul: Author.
    43. New hope for danes. (2018, October 21). 최고의 지 속 가능한 미용실 – 영국의 에코 살롱 [The best sustainable hair salon -Eco salon in england].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newhopefordanes.org/page-1908/page-1916-2/
    44. Oh, I. K. , & Lee, D. B. (2012). Classification and case studies of design business model for BOP (Bottom of pyramid)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4), 326- 335.
    45. Park, D. H. , Oh, S. O. , & Kim, J. D. (2011). Korean Patent No.10-1043568. Seoul: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46. Park, H. C. (2017). A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design through talent donation.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11(1), 41-52.
    47. Park, J. B. (2015). A study of the social design for sustainable community.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8(4), 165-173.
    48. Park, M. S. (2020, June 5). ‘스마트 영수증’ㆍ즉시 배 송 ‘오늘 드림’ 포장재 교체 등 환경 보호 기여 인정받아 [In recognition of contribution to environmental protection such as replacement of ‘smart receipt’ and ‘today’s dream’ packaging materials, etc]. Etoday.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s://www.etoday.co.kr/news/view/1902825
    49. Seo, D. S. (2004).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50. Shin, B. S. (2009, May 25). 무스 타입 친환경 염색약 출시 [Must-type eco-dye launch]. Asia Economy.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52514340327751
    51. Son, M. J. (2016, April 6). 지구를 지키는 패션...시작 은 섬유다 [Fashion protects the earth, It starts with fiber]. Herald Economy.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www.koteri.re.kr/board/content.asp?board_id=koteri_fnews&ref=3592&step=1Sustainable
    52. Sustainable Salons. (2021). Our impact.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s://sustainablesalons.org/our-impact/
    53.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20). Social responsibility, SR.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word_seq=056114-3
    54. Won, D. H.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green logistics & implications for Korean geometry company in the low carbon business 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55. Yoon, S. M. (2011, October 15). 피지아이엔 디, 친 환경 천연염료공장 완공 돌풍 예고 [PGIND is expected to complete eco-friendly natural dye plant]. Fashion Journal.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okfashion.co.kr/detail.php?number=20579&thread=81r19
    56. 17 Victory Cooperative. (2018, February 8). Information on the integrated announcement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 project in 2021. SMTECH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Retrieved July 10, 2021, from https://www.smtech.go.kr/front/ifg/pa/partinfo02_detail.do?bitmSeq=141325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