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5 pp.617-633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5.617

Effects of COVID-19 on fashion film

Young Uk Kim, Jin Joo Ma*
Master’s Student, Dept. of Fashion Design, Graduate School of Fashion, Hongik University, Korea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majinjoo@hongik.ac.kr)
July 27, 2021 September 9, 2021 September 12, 202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erging trends in fashion films and the impact of COVID-19 through analysis of Prada films produced before and after the initial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We selected 40 cases occurring prior to the pandemic, from June to December 2019, and 21 cases occurring since the outbreak, from June to December 2020. To identify relevant trends, we conduct a literature review and examine a range of case studies. First, travel restrictions and confronting activities currently inhibit production. Through our case study analysis, we identify nineteen cases in between before and after COVID-19. Secondly, Prada can be seen to mainly produce episodes and promotional films. Additionally, it develops content showcasing brand values in environmental, cultural, creative, and sport-related fields; intended audiences extend beyond the realm of fashion. Thirdly, a new film category began to develop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namely, narrative films utilizing virtual interactions. According to our analysis results, we expect film production that is increasingly facilitated by virtual communic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online platforms to continue even after the resolution of COVID-19. New film categories will emerge, and we predict that the gap between the number of cases before and after COVID-19 will narrow.



COVID-19가 패션 필름에 미친 영향
- 프라다의 COVID-19 전후 패션 필름 사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김 영 욱, 마 진 주*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패션디자인전공 석사과정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조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패션 브랜드는 제품과 브랜드 이미지가 가진 가치 를 담아 패션 필름을 제작하고 있다. 패션 필름은 아 날로그와 디지털이 결합된 영상을 표현 매체로 하며, 온라인을 통해 보여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창의적 으로 브랜드 스토리를 전개하며 시각적 경험과 예술 적 가치를 제공함에 선도적인 프라다도 패션 필름을 찾게 되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샤넬과 같은 명품 브 랜드들이 제작한 패션 필름은 상품 홍보 목적을 가지 고 있다. 또한 패션 필름은 브랜드의 정체성, 제품 표 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패션 필 름의 유형으로는 패션쇼를 대체하는 비디오, 캠페인, 광고, 아티스트와 콜라보레이션, 메이킹 등 표현 방식 과 범위가 다양하다.

    시대적 상황에 민감하게 변화가 나타나는 패션계에 2020년 초부터 세계적으로 확산된 COVID-19로 인해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던 패션 위크가 취소되고, 온라 인을 통한 디지털 패션쇼가 활성화되었다. COVID-19 라는 시대적 상황과 디지털 기술 발전이 함께 맞물려 패션 필름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글로벌 패션 브랜드인 프라다는 COVID-19 이전에도 패션 필름을 자주 제작했는데 COVID-19 이후에도 꾸준히 선보였기에 사례로 선택하게 되었다.

    프라다와 패션 필름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COVID- 19 발생 시점 전후 분석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상황이 다. 이에 본 연구는 COVID-19 이전과 이후에 꾸준히 선보인 프라다의 패션 필름 사례를 통해 COVID-19 가 프라다 패션 필름에 미친 영향과 변화하는 패션 필 름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목 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패션 필름의 개념을 정의 하고, 패션 필름의 유형과 특징을 정리한다. 그리고 COVID-19로 인한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를 온라인 매체로의 이동, 비대면 소통, 기술의 변화 측면에서 분석한다. 둘째, 프라다 유튜브 게시일을 기준으로 COVID-19가 없었던 2019년 6월부터 2019년 12월까 지 업로드된 패션 필름을 분석한다. 셋째, COVID-19 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그로 인해 방황하던 상반기 를 지나 변화에 적응한 2020년 6월부터 2020년 12월 까지의 동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전후 분석 내용 을 토대로 패션 필름의 달라진 부분을 통해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사례 선정 기준은 COVID-19가 미친 영향을 정확하 게 분석하기 위해 연도만 다르게 선정하고, 6월부터 12월까지 동일한 달로 지정했다. 따라서 COVID-19 이전에는 40개의 사례 수가 있고, COVID-19 이후에 는 21개의 사례 수가 있다.

    연구 방법은 개념과 학술적인 부분에서는 문헌연 구를 했으며, 프라다의 패션 필름은 사례 분석을 했 다. 문헌연구는 패션 필름과 관련한 학술지, 학위논문 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사례 분석은 프 라다 웹사이트(http://www.prada.com), 프라다 유튜브 (https://www.youtube.com)를 통해 패션 필름의 변화 를 분석했다. 패션 필름은 패션쇼 필름, 프로모션 필 름, 에피소드 필름, 내러티브 필름, 아트 필름까지 총 5개의 유형으로 나누고, 사례 수와 비율을 비교하며 내용을 분석했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Fashion film

    1) Concepts of fashion film

    패션 필름은 패션(fashion)과 필름(film)의 합성어 이다. 19세기 중반 이후 영화의 등장은 패션 필름이 나타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Kwon, 2016). 최초의 패션 필름은 ‘파리 패션 50년 1859~1900년(fifty years of Paris fashion 1859~1900)’이라는 작품으로 1910년 2월 런던에서 상영되었다(Cho & Yoo, 1997). 이로 인 해 고급 의상 디자이너의 최신 의상들이 다수에게 보 여지고, 더 많은 고객층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패션 필름은 제품 표현 외에도 브랜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또한 아날로그와 디 지털이 결합된 영상을 표현 매체로 한다. 패션 영상은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과 같은 정적인 그래픽을 넘은 이미지, 움직임, 텍스트, 사운드가 합해진 멀티미디어 로 동적, 시청각적, 공감각적인 창작물이다(Cho & Park, 2020). 또한 패션 이미지를 시각화시켜 그리거 나 배치한 창작물은 패션 그래픽이며, 시간과 움직임 의 요소가 더해지면 패션 영상의 개념이 성립된다고 했다(Cho & Park, 2020). 패션 필름과 패션 영상은 같 은 뜻으로 함께 사용되고 있고, ‘필름’이라는 용어는 영화(film)와 동의어로 사용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패 션 영상과 패션 필름을 같은 개념으로 통일해서 사용 하고자 한다.

    패션 필름은 영상 길이에 따라 숏폼(short-form), 롱 폼(long-form)으로 나눌 수 있다(Kim, 2021). 숏폼은 10분 이내로 영상 길이가 짧은 것을 지칭하며, 롱폼은 60분 이상의 길이가 긴 영상물이다. 길이감이 있는 디 지털 패션쇼 영상과 다르게 숏폼 패션 필름은 내러티 브 구성이 단순하고 짧은 시간 안에 메시지를 전달하 므로 브랜드의 핵심적인 정보 전달과 감각적 표현이 두드러진다(Kim, 2021). 독립적인 장르로서 패션 필 름은 제품 홍보 기능을 넘어 독특하고 감각적인 영상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브랜드 스 토리를 구성하며 생산하고 있다(Son & Kim, 2019). 이는 단순한 기록 수단이 아닌 예술적인 장르로 내러 티브, 움직이는 이미지, 사운드 등으로 구성된 작가의 의도가 드러나는 역동적 표현의 산물이다(Park, 2018). 또한 패션 필름은 범위와 표현 방식이 점차 다양해지 고 무한한 상상력과 기술력이 더해져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에서 보여지는 패션 필름은 물질적인 것과 비 물질적인 것이 결합한 가상공간이고, 디지털 영상에 서 나타나는 시각적 표현은 현실을 확장하며 조형적 이고 새로운 미의식의 확장으로 보여지고 있다(Kim & Kim, 2015). 이와 같이 패션 필름은 계속 발전하며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능뿐만 아니라, 예술의 한 분 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 Type and features of fashion film

    패션 필름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련한 Park(2018)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제작 목적 및 콘 텐츠 형식에 따라 패션 필름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 고자 한다. 그 유형으로는 패션쇼 필름(fashion show film), 프로모션 필름(promotion film), 에피소드 필름 (episode film), 내러티브 필름(narrative film), 아트 필 름(art film)이 있다. 첫째, 패션쇼 필름은 새로운 시즌 컬렉션 의상을 모델이 착용하고 런웨이를 워킹하는 쇼 형식이며, 판매촉진 수단으로 상품을 소개하는 영 상이다. 무대, 음악, 조명, 스타일링 등 다양한 연출로 시즌 컨셉과 옷이 다감각적으로 돋보이게 해준다. 과 거에는 쇼 형태가 오프라인으로 행해졌으나, 현재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을 통한 디지털 패션 쇼가 적극적으로 나타나는 추세이다. 온라인에서 행 해지는 패션쇼는 일반적인 규칙에서 벗어나 가상 패 션쇼를 비롯한 새로운 쇼의 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이 로 인해 오프라인에서는 구현하기 힘든 연출이 온라 인에서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기술력이 더해져 제작되 고 있다. 둘째, 프로모션 필름은 제품이나 서비스, 판 매, 캠페인, 이벤트를 위한 광고 영상으로 상업적 특 성이 짙게 나타난다. 제품 홍보와 판매 목적을 가졌으 나 직접적으로 광고의 의도를 드러내지 않는 등 감각 적인 비주얼을 연출해 시리즈의 형태로도 보여지고 있다. 셋째, 에피소드 필름은 인터뷰나 작업 현장의 비하인드 스토리, 지속 가능성과 같은 사회적 문제와 이슈를 보여주며, 제품과 브랜드의 가치관이 나타나 는 영상이다. 옷으로 비유하자면 완성된 옷과 같이 결 과를 다루기보다는 완성 이전의 제작 과정과 제작자 의 인터뷰가 중점이 되는 영상으로 다큐멘터리 필름 과 유사한 연출 방식을 지닌다. 넷째, 내러티브 필름 은 브랜드의 가치관을 담은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패 션 필름이다. 주로 내러티브를 예술적으로 표현해야 하는 영화 연출 방식과 같이 표현된다. 영화감독과도 협업해 제작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영화감독의 연출 방식이나 컨셉이 반영된 단편영화 형식이 필름 안에 비춰지게 된다. 제작 목적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스 토리 구성과 감각적인 이미지로 시선을 집중시키며, 장면마다 감독이 연출해 내는 색채와 고유 감성이 표 현되는 영상이다. 다섯째, 아트 필름은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제작되며, 형식에 구애받지 않 고 자유로우며 예술적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나타내는 영상이다.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브랜드 가 가진 미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2. Changes in fashion communication due to COVID-19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란 의사소통, 연락, 통신, 정보 전달 등의 행위로 브랜드를 전개함에 있어 서 고객과의 소통은 필수적인 부분이고 그 방식은 점 차 변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COVID-19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온라인 매체로의 이동, 비대면 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으로 변화하고 있 다. 그 요인으로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비롯해 시대 적 상황으로부터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1) Moving to online media

    패션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 과 COVID-19의 영향으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온라인 매체가 활성화되지 않았던 과거의 패션 브랜드는 시즌 컨셉과 브랜드 이미지를 소비자와 프레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 단으로 패션쇼, 프레젠테이션, 광고, 애드버토리얼 (advertorial), 쇼윈도 및 매장 구성, 카탈로그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방법들을 사용했다(Jang & Yang, 2010). 그러나 현재는 온라인으로 소통하며 평면적인 것을 넘어 움직임이 있는 동영상 형태로도 보여지고 있다. 고객은 온라인을 통한 커뮤니케이션과 패션 필름 보 는 것에 능숙하게 적응하고 있다. 이처럼 온라인을 통 한 브랜드의 소통은 커뮤니케이션 주요 방식이 되었 다. 럭셔리 브랜드를 비롯한 패션 브랜드에게 패션 필 름은 필수가 되었고, 광고, 패션쇼, 커뮤니케이션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COVID-19로 인해 다수가 모이는 대면이 어려워짐에 따라 온라인 매체로 패션쇼가 변화하면서 오프라인 패션쇼일 때 제한되었던 수용 인원이 무한대로 허용되고 있다. 또 한 온라인을 통해 패션 필름을 업로드하면 수많은 잠 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오프라인이라면 고정적으로 지출되었던 부분이 온라인 플랫폼 특성상 비용 부담이 없으며 영구적으 로 보관되고 아카이브가 형성된다. 오프라인에서 온 라인으로 매체가 변화하면서 대중은 브랜드와 관련된 정보를 직접 얻을 수 있는 능동성의 확장, 고객을 향 한 개방성, 친근감 증가와 같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의 수단 변화에 따라 매거진, TV와 같이 정보를 제공해 주던 매체들은 이전과는 차별화된 방 안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을 맞이하게 되었다.

    2) Communication of untact

    COVID-19로 인해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대면 활동이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비대면 소통 방식이 활 성화되고 있다. 비대면이란 서로 얼굴을 마주 보고 대 하지 않는 것으로 비접촉이라고도 한다. 신조어로는 언택트가 있는데, 콘택트(contact: 접촉하다)에서 부정 적 의미인 언(un-)을 합성한 것이다. 언택트는 서울대 학교 김난도 교수님 외 7명이 발간한 『트렌드 코리아 2018』에서 처음 등장했다(Kim et al., 2017).

    COVID-19 이전에도 비대면을 통한 패션 커뮤니케 이션, 홍보 활동은 있었지만, COVID-19의 영향으로 더욱 가속화되어 새로운 전환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Shim & Kim, 2021). 패션 브랜드는 기존 대면 방식 을 비대면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간을 초월해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유튜브, SNS와 같은 비대면 매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 사례로 디올은 디올 톡(Fig. 1)이라는 팟캐스트(podcast)를 사 용해 COVID-19 상황 속에서도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을 시도하며, 브랜드 헤리티지를 강조하고 있다(Shim & Kim, 2021). 이는 다양한 예술가들의 대담을 오디 오 서비스로 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판매 측면에서는 고객의 소비 흐름과 유통 판로가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마존, 쿠팡, 무신사 등의 온라인 판매 플랫폼은 각광받고 매출은 증가하고 있 는 점에서 패션 산업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유통 판로가 온라인으로 옮겨온 만큼 채팅으로 소비자와 소통하면서 상품을 소개하는 스트리밍 방송인 라이브 커머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국내의 예로는 네이버의 쇼핑라이브(Fig. 2), 카카오의 딜라이브(Fig. 3), 롯데 백화점의 100라이브(Fig. 4) 등이 대표적인 라이브 커 머스이다. 라이브 커머스의 특징은 쌍방향 소통이다. 생방송이 진행되는 동안 고객은 채팅을 통해 진행자, 다른 고객과 실시간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라이브 커머스는 소통과 쇼핑을 결합해 재미를 준다. 이처럼 온라인 유통 기반의 패션 기업들은 옴니 채널화, 디지털 마케팅의 연계, 라이브 방송과 같은 온라인 콘텐츠에 집중하며, 비대면 판매 전략을 통해 COVID-19의 위기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Choi & Lee, 2020).

    버버리는 2021년 런던 패션 위크에 참가하지 않고 리조트 컬렉션을 진행했는데, 직원들과 일부 모델들 이 상품 착용 후 집 앞에서 촬영한 사진을 선보였다 (Fig. 5). 이로 인해 고객에게 공감과 비대면 속 소통 의 장을 마련하는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왔다.

    비대면 플랫폼은 패션 브랜드와 고객을 이어주는 소통의 장으로 브랜드 차별화를 가져오는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앞으로도 비대면을 통한 패션 커뮤니 케이션의 전개는 계속될 것이다.

    3) Technological change

    기술의 발전은 패션 커뮤니케이션에도 영향을 미 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패션업 계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는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예로 들 수 있 다. 가상현실은 자신(객체)과 주변 환경이 현실이 아닌 가상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기술로 모든 게 가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이미지와 디지털 기기를 통해서 다차원적으로 시공간의 가상적 확장이 가능하다. 가상현실을 반영한 디지털 패션쇼는 시간 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브랜드의 아이디어를 반영 하여 영상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Wu et al., 2013). 3D 디지털 패션쇼는 3차원(3D) 디지털 의상 제작 시스템, 디지털 영상, 첨단 장치 등의 방식 이 접목되어 디지털 의상을 착용한 아바타가 가상공 간에서 워킹하는 형태의 새로운 패션쇼이다. 대표 사 례로는 Elle B Zhou 브랜드의 2021 S/S collection으 로 CLO 3D를 통해 제작되었으며, 영상 속 모든 것이 디지털로 구현된 형태이다(Fig. 6).

    증강현실은 현실의 사물을 이미지나 배경으로 사 용하고, 3차원의 가상 이미지 또는 관련 정보를 덧붙 여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 혼합현실이라고 도 한다. 고객에게 정보 활동과 인지 활동을 확대시켜 주는 증강현실은 지각 대상에 대해 경험적 가치와 공 감각적 정보를 함께 받아들이게 해주는 특성을 가진 다(Lee & Lee, 2011). 대표 사례로 폴 스미스(Paul Smith) 신세계백화점 본점 매장은 3D로 구현되어 시 공간의 제약 없이 매장을 둘러볼 수 있으며, 주요 아 이템들을 직접 선택해 살펴볼 수 있다(Fig. 7). 그리고 각 제품마다 판매 링크를 첨부해 공식 온라인 몰에서 구입할 수 있도록 연계되어 있다. 디지털로 구현한 형 태지만 실제 매장과 동일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사용 해 실제로 매장을 거니는 듯한 몰입감을 준다. 가상현 실과 증강현실은 실재감의 효과가 커서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주는 동시에 쇼핑의 즐거움을 높여준다. 이 처럼 디지털 기술이 만들어 내는 가상현실과 증강현 실은 브랜드의 의도대로 표현이 가능하며, 가상 이미 지를 현실에서 구현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용이 하게 한다(Kang & Kwon, 2018).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 능력, 지각 능 력, 자연언어 이해 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 현한 기술이다. 대표 사례로 미국의 인공지능 패션 스 타일링 서비스 ‘스티치 픽스’가 있다(Fig. 8). 스티치 픽스는 AI와 스타일리스트의 협업으로 고객의 니즈 와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을 추천하는 고객 맞춤 서비 스이다.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단점을 보완한 큐레이 션 서비스가 스티치 픽스의 업무 방식이다(Kim & Kim, 2020). 스티치 픽스 진행 방식의 경우, 고객은 구매 예산과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답변을 입력한다. 인공지능이 입력된 양적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 탕으로 고객에게 어울릴 수 있는 아이템들을 추천한 다. 추천된 아이템들은 스타일리스트가 투입되어 질 적 문제 리뷰 후 최종 5개 아이템을 선정하고, 스타일 링 메시지와 함께 배송한다. 배송받은 고객은 마음에 드는 상품은 구매하고, 그렇지 않은 상품은 돌려보내 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가상현실, 증강 현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과 현실이 중첩 된 새로운 공간에서 새로운 미의식을 표출하고, 패션 분야의 미적 범주, 소비자 경험, 브랜드 플랫폼을 활 용한 구매 방식을 확장시키고 있다.

    Ⅲ. Case Study of Prada Fashion Films Before and After COVID-19

    프라다는 2005년 11월 19일 유튜브에 채널을 오픈 한 후, 2010년 1월 16일 ‘Prada book’ 영상을 시작으 로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업로드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COVID-19 발생으로 프라다를 비롯한 타 브랜드들은 패션 필름을 적극적 으로 제작하고 있다. 또한 패션 필름과 같은 비대면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COVID-19를 극복하고, 브랜드 가치를 전달하고 있다(Shim & Kim, 2021). 이 에 따라 본 장에서는 COVID-19 전과 후를 기준으로 프라다의 패션 필름 사례를 분석하여 COVID-19가 패션 필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 변화한 경향을 통 해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OVID-19 전 과 후의 기간을 동일하게 세워 적절한 사례 비교 기준 을 마련하고자 한다. 2019년 6월부터 2019년 12월까 지와 2020년 6월부터 2020년 12월까지로 선정하였 다. COVID-19가 2020년 3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2020년 상반기를 제외한 이 유는 급작스러운 COVID-19 확산에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는 시기를 보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2020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대응 방안을 실 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사례 분석 기간으로 선정 하였다. COVID-19 발생 이전인 2019년 6월부터 12 월까지 프라다 공식 유튜브에는 총 40개의 영상이, COVID-19 발생 이후인 2020년 6월부터 12월까지 총 21개 영상이 게시되었다. COVID-19 이전과 달리 이 후에는 영상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역시 COVID-19에 대응하기 위해 패션 시스템 내 다양한 측면에서의 방안 강구가 요구된 것이 원인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쇼 필름, 프로모션 필름, 에피소 드 필름, 내러티브 필름, 아트 필름까지 총 5가지 유형 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대표 영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1. Fashion films of Prada before COVID-19

    COVID-19 이전의 총 40개 영상에서는 에피소드 필름(23개, 57.5%)이 가장 많이 제작된 것으로 나타 났다. 다음으로는 프로모션 필름(14개, 35%), 패션쇼 필름(3개, 7.5%)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패션쇼 필름의 비중이 적은 이유는 COVID-19 이전에는 계 속해서 오프라인 패션쇼를 진행했기에 패션쇼 필름은 활발하게 업로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 Episode film

    총 23개의 사례 수를 가지는 에피소드 필름은 4가 지 카테고리 -‘프라다 모드 런던(Prada mode London)’, ‘리나일론(Re-Nylon)’, ‘지속 가능성 컨퍼런스’, ‘프라 다 SS20’-으로 나뉜다. 에피소드 필름에서는 문화, 환 경, 컬렉션 에피소드와 같이 다양한 소재로 필름을 구 성한다. 패션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범주에 관심 을 갖고 해결하고자 하는 프라다의 노력을 볼 수 있다.

    (1) Prada mode London

    ‘프라다 모드 런던’에 해당하는 영상은 7개로 에피 소드 필름 사례의 30%를 차지한다. 프라다 모드 런던 은 전 세계를 돌며 음악, 식사, 대화를 통해 현지만의 고유한 예술 문화를 경험하는 현대 문화 프로젝트이 다. ‘프라다 모드 소셜 클럽’을 통해 세계 도시의 중요 한 문화적 행사를 확장하는 것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필름에서는 런던의 창조적인 에너지를 통해 흑 인의 정체성과 문화에 대한 시각적 문화 표현을 탐구 하는 프로젝트 ‘블랙 이미지 코퍼레이션(black image corporation)’을 선보인다. 그리고 ‘더 비닐 팩토리(the vinyl factory)’와 ‘더 쇼룸(the showroom)’과의 콜라보 레이션을 통해 공연과 토크 라이브 프로그램인 ‘콜렉 티브 인티머시(collective intimacy)’를 선보이고, 흑인 으로서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Prada, n.d.a). 프라다 모드 런던 영상들 중에는 인터뷰, 인물과 48시 간, 라이브 공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 사례로 2019년 10월 5일에 업로드된 <Fig. 9> ‘48 hours at #PradamodeLondon with Noor Tagouri’ 필름을 들 수 있다. 언론인이자 활동가인 누어 타구리 (Noor Tagouri)는 48시간 동안 런던에서 마주친 문화 적 아이콘과 아티스트 티에스터 게이츠(Theaster Gates), 미술 큐레이터 엘비라 디앙가니 오세(Elvira Dyangani Ose)를 인터뷰하고 2박 3일간 진행된 전시와 행사를 비롯해 프라다 모드 런던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처럼 프라다 모드 런던을 통해 각 도시의 문화적 행사를 소 개하고, 패션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등에서도 나타나 는 프라다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주고 있다.

    (2) Re-Nylon

    에피소드 필름 중 ‘리나일론’에 해당하는 영상은 6 개로 26%를 차지한다. 리나일론은 변화하는 시대와 세계를 반영해 에코닐(ECONYL®)이라는 새로운 재 생 나일론으로 제작한 프라다 가방을 소개하는 프로 젝트이다. 리나일론은 지속 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지속 가능한 균형에 관한 인식을 제고하고 있다. 전 세계를 넘나들며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과 그 물, 버려진 직물 등 낭비되는 유해한 물질을 재생하는 과정이 필름에 기록되어 있다. 프라다는 스토리텔링 파트너인 내셔널 지오그래픽과 함께 프로젝트에 숨겨 진 최첨단 제작 과정을 알리기 위해 ‘왓 위 캐리(what we carry)’라는 단편 영상을 5부작 시리즈로 제작했 다. 각 에피소드에서는 배우, 모델 등의 프라다 리포 터와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탐험가가 등장하며, 리나 일론을 소개하고, 지역 전문가를 인터뷰하는 등 아프 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에서의 프로 젝트 진행 상황을 담았다.

    대표 사례로 네 번째 에피소드에는 중국 배우이자 프라다 리포터인 위대훈(Wei Daxun)과 내셔널 지오 그래픽 탐험가이자 사진 기자인 한나 레예스 모랄레 스(Hannah Reyes Morales)가 등장한다. 이들은 섬유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의류 공장 파라윈(Parawin)을 방문해 관계자와 인터뷰하며, 친환경 섬유에 대한 인 식을 제고하고 있다(Fig. 10). 프라다 리나일론은 기존 의류 생산의 관습에 전면적으로 대항하며, 네 번째 에 피소드를 통해 패션 산업에서 고심하는 폐기물 문제 가 무한대로 재생 가능한 리나일론을 통해 해소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Sustainability conference

    전체 에피소드 필름 중 ‘지속 가능성 컨퍼런스’에 관련한 영상은 5개로 22%를 차지한다. 프라다 그룹은 예일대학교와 폴리티시니코 디 밀라노 대학교 경영대 학원과 협력하여 2017년부터 현대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중요한 변화에 대해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다. 2019년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 형성’은 지속 가능성 을 주제로 한 세 번째 대화로 기업, 기관, 학계 지도자 들이 자유와 평등, 정의를 장려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도덕적 의무를 되새기며, 기업과 사회 내 사회 적 지속 가능성의 의미를 탐구했다. 필름에서는 인터 뷰와 컨퍼런스 진행 장면을 담고 있다.

    대표 사례로 2019년 11월 21일에 업로드된 ‘Amanda Gorman_video journey shaping 2019’ 필름을 들 수 있다(Fig. 11). 시인이자 운동가인 아만다 고먼(Amanda Gorman)이 프라다 그룹이 주최한 2019년 ‘지속 가능 한 미래 사회 조성’ 회의 참석과 연설 관련 장면을 담 았다. 그녀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이유는 이런 대화가 해결책 이 되기 때문이라며 필름을 마무리한다.

    앞서 리나일론 시리즈와 같이 프라다는 지속 가능 성에 대한 브랜드가 가진 관심을 대중에게 전달하며, 모두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문제임을 보여준다. 그 리고 개인이 실천하는 사소한 행동도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4) Prada SS20

    ‘프라다 SS20’에 해당하는 영상은 5개로 에피소드 필름 중 22%를 차지한다. 프라다 SS20 관련 영상들 은 백스테이지의 모습과 모델, 패션 디렉터, 배우의 여정을 따라가는 인터뷰 영상, 애프터 파티로 구성되 어 있다. 백스테이지 모습을 담은 필름에서는 쇼 준 비 중인 모델과 메이크업 아티스트 팻 맥그라스(Pat McGrath)와 헤어 디자이너 귀도 팔라우(Guido Palau) 의 인터뷰를 담고 있다. 여정을 따라가는 필름에서는 미국 배우 데인 드한(Dane DeHan)과 Tank Magazine 의 패션 디렉터 캐롤라인 이사(Caroline Issa)의 여정 을 촬영했다. 그리고 쇼에 모델로 서는 아노크 아이 (Anok Yai)의 여정도 촬영했다.

    대표 사례로 2019년 6월 7일 업로드된 ‘Prada spring/ summer 2020 menswear after party’는 상하이에서 열 린 패션쇼가 끝난 저녁에 있었던 애프터 파티 영상이 다(Fig. 12). 이중성, 공유된 정체성과 반영에 관한 주 제로 진행되며 오디오 및 비주얼 공연 프로그램이 이 루어졌다. 필름에서는 UVA의 빛의 파노라마, 음악, 춤, 사운드, 예술품의 설치물로 채워진 독특하고 몰입 감 있는 공간에서 파티를 즐기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음향은 디제이 크렉 리차드(Craig Richards)가 큐레이 팅한 것으로, 뮤직 아티스트 벤 UFO(Ben UFO)와 함 께 특별 제작된 클럽 공간에서 DJ 공연을 하며 파티 를 마무리한다.

    2) Promotion film

    프로모션 필름은 총 14개의 사례로 35%를 차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모션 필름은 ‘Prada resort 2020’, ‘#PRADAFORADIDAS limited edition’, ‘Willow Smith launches #PradaLineaRossa fall/winter 2019’, ‘Prada fall/winter 2019 advertising campaign’ 까지 총 4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프로모션 필름에서 는 프라다 아이템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광고성과 함께 스토리를 전개하고, 색다른 촬영 기법이 더해져 시각적 즐거움을 준다.

    (1) Prada resort 2020

    ‘프라다 리조트 2020’에 해당하는 영상은 10개로 프로모션 필름의 72%를 차지한다. 프라다 리조트 2020 캠페인은 패션 광고 개념에 대해 정적이고 거리 감 있는 이미지가 아니라 꽃다발을 감싸는 종이 속 인 물의 말을 통해 생동감 있는 견해를 담았다. 런던, 밀 라노, 모스크바, 뉴욕, 파리, 상하이, 도쿄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의 꽃집에서 꽃다발을 감싸는 연출로 제작 되었다. 캠페인을 촬영한 사진작가 드류 비커스(Drew Vickers)와 게이조 키타지마(Keizo Kitajima)는 부드 러운 인간의 감정을 부각시키며, 이분법적이고 강력 한 인간성을 묘사했다(Fig. 13).

    (2) #PRADAFORADIDAS limited edition

    ‘프라다 포 아디다스 리미티드 에디션’은 단일 영 상으로, 슈퍼스타 스니커즈와 아디다스의 짐 백 및 프 라다의 볼링 백을 반영한 새로운 디자인의 프라다 포 아디다스 볼링 백을 선보인다. 이를 통해 프라다와 아 디다스의 협업과 공통된 헤리티지를 표현하고 있다. 세대를 거듭해온 클래식에 대한 경의의 표현으로 700 개 한정판의 고유 시리얼 넘버가 새겨지며, 이 과정은 필름에서도 보여주고 있다. 메이킹 필름을 연상하게 하는 연출로 제품, 제작 공간, 제작자의 손이 사이즈 대비를 이루어 재미있게 연출하고 있다(Fig. 14).

    (3) Willow Smith launches #PradaLineaRossa fall/ winter 2019

    단일 영상인 ‘Willow Smith launches #PradaLinea Rossa fall/winter 2019’는 1990년대 스포츠 웨어에 기 반을 두고 심플한 라인, 새로운 제조 기법을 가진다. 영상에서는 역동적인 그래픽, 인물의 독백, 런던 튜브 의 센트럴 라인 스테이션을 거니는 인물의 모습을 보 여준다. 언더그라운드와 오버그라운드, 각각 다른 삶 과 경험을 아우를 수 있는 리네아 로사의 정신을 탐구 하고자, 뮤지션 겸 아티스트인 윌로우 스미스(Willow Smith)와 협업했다. 필름 속 윌로우 스미스는 리네아 로사 아이템을 착용하고 독백을 하며 런던 튜브의 센 트럴 라인 스테이션에서 라이브 공연을 한다(Fig. 15). 이러한 연출을 통해 리네아 로사 컬렉션이 가진 기술 적인 면과 일상에서 활용 가능한 스타일이 조합된 이 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4) Prada fall/winter 2019 advertising campaign

    전체 프로모션 필름 중 ‘프라다 가을/겨울 2019 광 고 캠페인’에 관련해서는 2개로 14%를 차지한다. 이 에 관련해 ‘365, Prada fall/winter 2019 advertising campaign - anatomy of romance’와 ‘Code Human, Prada fall/winter 2019 advertising campaign’ 영상이 있다.

    ‘365, Prada fall/winter 2019 advertising campaign - anatomy of romance’는 역동적인 사운드와 함께 남 녀 모델이 잡고 있는 손을 클로즈업해 필름을 시작하 며 빠른 화면 전환과 다각도의 장면들을 보여준다. 또 한 실내 콘크리트 공간에 피어 있는 식물의 연출로 대 비되는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대표 사례로 ‘Code Human, Prada fall/winter 2019 advertising campaign’은 슈퍼 미디어 시대에서 도상 학, 우상화, 팬덤, 예찬이 갖는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의 아티스트 차오 페이(Cao Fei)와 ‘코드 휴먼 (Code Human)’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코드 휴 먼은 디자인, 건축, 영화, 미술 영역을 넘나드는 캠페 인이다. 본 필름에서는 중국의 아이돌 차이쉬쿤(Cai Xu Kun)이 등장해 프라다의 컬렉션을 선보였다. 차이 쉬쿤을 문화적 현상으로 지정하고, 미래의 후 인류시 대(post-Anthropocene)에 등장시켰다. 차이쉬쿤을 하 나의 샘플처럼 진열실에 전시하고 관람객의 호기심 가득한 시선을 맞이하는 스토리로 가지고 있다. 또한 차이쉬쿤은 인류 박물관에 방문한 관람객 역할도 하 며, 박물관에서 자신과 똑같이 생긴 표본과 마주하는 상황이 연출되어 있다(Fig. 16). 코드 휴먼은 시즌 컬 렉션을 보여주는 동시에 중국의 아이돌, 아티스트와 의 협업으로 프라다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의 다 차례 필름 촬영을 통해 그 문화가 가진 영향력을 전달하고 있다.

    3) Fashion show film

    패션쇼 필름은 총 3개의 사례로 7.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쇼 필름은 ‘Prada spring/ summer 2020 menswear show’, ‘Prada spring/summer 2020 women’s fashion show – 360°’, ‘Prada spring/ summer 2020 womenswear show’가 있다. 각 필름에 서는 남성복, 여성복 패션쇼를 보여주며, 360°로 쇼장 전체를 둘러볼 수 있다.

    대표 사례로 ‘Prada spring/summer 2020 womenswear show’에서 미우치아 프라다는 컬렉션 출발점으로 “옷 보다 사람이 더 중요해야 한다”라는 점과 나아가 “옷 보다 개인 스타일이 더 중요하다”라고 했다. 70년대 를 연상시키는 컨셉으로 테일러드 재킷과 슈트, 랩스 커트, 기하학과 식물 패턴, 가죽, 과감한 크기의 조개 껍질 액세서리, 다양한 색감 등의 옷과 아이템을 통해 복고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Fig. 17). 쇼장은 기하 학적 패턴의 세라믹 타일로 컬러풀하게 연출되었다. 촬영 기법은 워킹하는 모델을 정면, 측면, 뒷면, 윗면 에서 보여주고, 쇼장 전체를 와이드샷으로 보여준다. 이때 화면 전환은 빠르게 움직이며, 별도의 퍼포먼스 나 과장된 표현 없이 워킹하는 모델과 대조되는 모습 을 보인다.

    2. Prada fashion film after COVID-19

    COVID-19 이후의 총 21개 필름에서는 프로모션 필름(7개, 33%), 내러티브 필름(7개, 33%), 에피소드 필름(6개, 29%), 패션쇼 필름(1개, 5%) 순으로 나타 났다. 이를 통해 프로모션 필름과 내러티브 필름이 동 일한 비중으로 주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는 에피소드 필름이 많았으며, 패션쇼 필름은 1개로 COVID-19 이전과 같이 적은 사례 수로 나타났다. COVID-19 이후의 필름에서는 디지털 패션쇼가 생겨 났는데 이는 프라다뿐만 아니라, 구찌, 생 로랑, 모스 키노, 톰 브라운 등 다른 패션 브랜드에서도 나타난 현상이다. 이로 인해 누구나 쇼를 볼 수 있는 개방성 이 나타났다. 또한 쇼를 보여주는 것에서 끝이 아닌 디자이너와 고객이 주고받는 대담이 이어짐을 통해 COVID-19의 시대적 상황에 한계를 넘고 디지털 패 션쇼 속에서 새로운 방법을 전개하고 있다.

    1) Promotion film

    프로모션 필름은 총 7개의 사례로 3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모션 필름은 ‘Prada 2020 campaign’, ‘Prada Linea Rossa’까지 총 2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프로모션 필름에서는 각 분야에서 영향력 을 드러내는 아티스트와 협업해 제작한 필름과 온라 인 경매, 캠페인, 리네아 로사, 아메리카 컵 등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있다.

    (1) Prada 2020 campaign

    전체 프로모션 필름 중 ‘Prada 2020 campaign’에 해당하는 영상은 ‘Prada fall/winter 2020 women’s and men’s advertising campaign - tools of memory’, ‘Prada holiday 2020 campaign - a stranger calls’, ‘Prada womenswear pre-fall 2020 advertising campaign - painted in Prada’가 있다. ‘Prada fall/winter 2020 women’s and men’s advertising campaign - tools of memory’는 소더비(Sotheby’s)와 협업하여 진행한 온 라인 경매에 관련한 필름이다. 경매 품목은 프라다 2020 가을/겨울 남성 및 여성 쇼에서 선보였던 의상, 사진, 초대장, 런웨이 세트에서 가져온 아이템으로 구 성되어 있다. 필름에서는 음악과 함께 카탈로그 페이 지를 통해 경매 제품을 보여준다.

    대표 사례로 2020년 6월 23일에 업로드된 ‘Prada womenswear pre-fall 2020 advertising campaign - painted in Prada’는 친밀함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반 영했다. 이 캠페인은 디지털과 손으로 채색하는 수작 업이 결합되어 있다. 필름 속 모델은 일러스트 형식으 로 그려진 흰 착장을 하고 있다. 모델은 페인터가 되 어 페인트 통을 자신에게 붓고 옷은 녹색과 분홍색의 실제 옷 형태로 변한다. 이를 통해 컬렉션의 생생한 컬러가 다채롭게 추상화되면서 단순함의 매력을 강조 한다(Fig. 18). 본 필름은 기술과 컬러가 주는 기쁨을 통해 프라다의 색으로 칠해지는 기분 좋은 상상이라 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Prada, n.d.b).

    (2) Prada Linea Rossa

    전체 프로모션 필름 중 ‘Prada Linea Rossa’에 해당 하는 영상은 5개로 62.5%를 차지한다. 이에 해당하 는 필름으로는 ‘Prada Linea Rossa eyewear spring/ summer 2020’, ‘Prada Linea Rossa spring/summer 2020 campaign’, ‘Prada Linea Rossa fall/winter 2020 campaign, Adidas for Prada A+P Luna Rossa 21’, ‘36th America’s Cup’이 있다. ‘Prada Linea Rossa eyewear spring/summer 2020’은 프라다 컵 우승자인 루나 로사 프라다 피렐리 팀과 협업한 프라다 리네아 로사 아이웨어 캠페인 필름이다. ‘Prada Linea Rossa spring/summer 2020 campaign’은 통일성이 없는 유니 폼에서 영감을 얻은 컬렉션으로 모델의 손가락 제스 처를 통해 하이퍼 기술 코드를 보여준다. ‘Adidas for Prada A+P Luna Rossa 21, 36th America’s Cup’은 루 나 로사 프라다 피렐리 팀을 위해 아디다스와 프라다 가 협업한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의 스니커즈를 보여주 는 필름이다. ‘36th America’s Cup’은 세계 최고 요트 경기로 제36회 경기를 보여주고 있다.

    대표 사례로 ‘Prada Linea Rossa fall/winter 2020 campaign’은 산악스키복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으 로 도시 생활을 위한 룩을 제안한다. 중국의 여배우이 자 댄서 진천(Jin Chen), 한국의 가수이자 프로듀서 박찬열, 미국의 배우이자 활동가 야라 샤히디(Yara Shahidi), 영국계 미국인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 거스 켄워시(Gus Kenworthy)와 같이 문화적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들과 함께 했다. 본 필름에서는 각기 다른 사진작가가 촬영한 이들의 모습과 다방면에 걸친 커 리어를 통해 특별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Fig. 19).

    2) Narrative film

    내러티브 필름은 총 7개의 사례로 3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러티브 필름은 ‘Prada multiple views spring/summer 2021’과 ‘Prada holiday 2020 campaign’까지 2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각각의 사례 는 패션쇼 필름과 프로모션 필름의 성향을 가지지만 필름 구성과 스토리에 영화적인 형식을 차용해 제작 했기에 내러티브 필름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사례 에서는 아티스트와 협업을 통해 다양한 관점으로 해 석되는 프라다를 볼 수 있다.

    (1) Prada multiple views spring/summer 2021

    전체 내러티브 필름 중 ‘Prada multiple views spring/summer 2021’에 해당하는 영상은 6개로 86% 를 차지한다. 이에 해당하는 필름으로는 ‘Prada multiple views spring/summer 2021 - the show that never happened’, ‘Chapter 1 - Prada multiple view spring/summer 2021’, ‘Chapter 2 - Prada multiple view spring/summer 2021’, ‘Chapter 3 - Prada multiple view spring/summer 2021’, ‘Chapter 4 - Prada multiple view spring/summer 2021’, ‘Chapter 5 - Prada multiple view spring/summer 2021’이 있다. ‘프라다 멀티플 뷰 봄/여름 2021’은 ‘결코 일어나지 않은 쇼’라는 주제로 5명의 아티스트가 5개의 다른 영 상을 제작하며, 남성과 여성에 대한 그들만의 독특한 해석을 표현했다.

    ‘Prada multiple views spring/summer 2021 - the show that never happened’에서는 챕터 1-5를 통합하 여 보여준다. 챕터 1은 포토그래퍼 윌리 반데페르 (Willy Vanderperre)와 협업했다. 필름 속 한 공간에 모여 있는 모델들은 불규칙한 움직임을 반복하며 불안 정한 분위기를 보여준다. 의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흑 백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 장면은 모델들이 앞을 향 해 규칙적으로 움직이며 종료된다. 챕터 2는 포토그래 퍼 유르겐 텔러(Juergen Teller)와 협업했다. 필름의 배 경은 기계실로 촬영한 사진들과 소리를 담고 있다. 영 상 안에 또 다른 영상과 사진이 얹어져 있다. 마지막 장면은 경쾌한 피아노 소리로 종료된다. 챕터 3는 포 토그래퍼 조아나 피오트로프스카(Joanna Piotrowska) 와 협업했다. 손가락 스냅에서 나오는 소리와 리듬에 따라 모델들은 정적인 행동을 취한다. 필름은 흑백으 로 구성되었으며, 모델이 커튼 뒤로 숨으며 종료된다. 챕터 4는 비주얼 아티스트 마틴 심스(Martine Syms) 와 협업했다. 극장 좌석 공간에 있는 모델들의 기이하 고 반복적인 움직임, 스크린 또는 화면에 보이는 모습 을 보여준다. 모델 얼굴을 클로즈업하며 종료된다. 챕 터 5는 영화감독 터렌스 낸시(Terence Nance)와 협업 했다. 시간과 속도의 관점이 담긴 이 필름은 시곗바늘 소리와 고요한 물방울 소리를 들려주고 모델들의 정 적이고 동적인 움직임을 교차하여 보여준다. 필름의 끝은 무언가 주시하는 모델의 모습을 보여주며 종료 된다. 이처럼 5명의 아티스트를 통해 해석된 5개의 챕 터는 그들의 관점으로 포착한 영화를 제안하고 다양 하게 해석되는 프라다를 보여준다(Fig. 20).

    (2) Prada holiday 2020 campaign

    전체 내러티브 필름 중 ‘Prada holiday 2020 campaign’ 에 해당하는 영상은 1개로 14%를 차지한다. 이 에 해당하는 필름은 ‘Prada holiday 2020 campaign - a stranger calls’가 있다(Fig. 21). 포토그래퍼 스티븐 마이젤(Steven Meisel)이 촬영한 본 필름은 캠페인 영 상이지만 영화적인 맥락과 풀어야 할 미스터리의 내 러티브 형식을 갖추었기에 내러티브 필름으로 포함시 켰다.

    베스트셀러 작가 캔디스 카티 윌리엄스(Candice Carthy Williams)가 프라다를 위해 쓴 원작 단편 소설 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방인이 전화한다’라는 제목 으로 스토리를 구성하며, 장면의 시작과 음악이 흐르 고 내레이션과 타자 소리를 동반한 텍스트를 통해 전 개된다. 프라다의 액세서리, 주얼리, 가죽 제품과 함 께 인물들을 둘러싼 다각도의 앵글을 보여준다.

    3) Episode film

    에피소드 필름은 총 6개의 사례로 2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피소드 필름은 ‘Prada making of’ 와 ‘America’s Cup’, ‘Prada VR sailing Luna Rossa’ 까지 3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에피소드 필름에서는 상품 제작 과정, 아메리카 컵의 역사, VR 체험 등을 통해 프라다의 스토리를 볼 수 있다.

    (1) Prada making of

    전체 에피소드 필름 중 ‘Prada making of’에 해당 하는 영상은 3개로 50%를 차지한다. 이에 해당하는 필름으로는 ‘A simple thread - Prada making of’, ‘Making of Panier - Prada making of’, ‘Making of tie-dye - Prada making of’가 있다. 각 필름에서는 자 수, 가방, 타이다이의 작업 과정을 담고 있다.

    대표 사례로 ‘A simple thread - Prada making of’ 는 음악과 함께 자수 도안 작업부터 자수가 놓이는 과정, 완성된 상품의 모습을 클로즈업해서 보여준다 (Fig. 22). 화면 가운데에서부터 다른 화면이 나타나 는 아이리스(iris) 장면 전환 기법을 사용해 과정들을 간단하게 담고 있다.

    (2) America’s Cup

    전체 에피소드 필름 중 ‘America’s Cup’에 해당하 는 영상은 2개로 34%를 차지한다. 이에 해당하는 필 름으로는 ‘America’s Cup history’, ‘America’s Cup technicalities’가 있다. ‘America’s Cup history’에서는 내레이션과 함께 그동안의 활동을 통한 아메리카 컵 의 역사를 볼 수 있다.

    ‘America’s Cup technicalities’에서는 아메리카 컵 경기에서 고성능으로 탁월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요 트 AC75에 대해 다룬다. 내레이션과 인터뷰 형식을 통해 요트의 기술적인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 다(Fig. 23).

    (3) Prada VR sailing Luna Rossa

    전체 에피소드 필름 중 ‘Prada VR sailing Luna Rossa’에 해당하는 영상은 1개로 16%를 차지한다. 본 필름은 VR을 활용해 실제 요트를 타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필름 좌측 상단에 있는 상하좌우 조절 버튼 을 통해 원하는 위치를 볼 수 있고, VR 헤드셋을 착 용해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Fig. 24).

    4) Fashion show film

    패션쇼 필름은 총 1개의 사례로 5%를 차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에 해당하는 필름으로는 ‘Prada spring/summer 2021 womenswear show’가 있다(Fig. 25). 본 필름은 미우치아 프라다와 라프 시몬스가 협 업한 첫 컬렉션이며 COVID-19로 인해 디지털 패션 쇼로 진행되었다. 쇼장은 노란색으로 둘러싸인 실내 공간에 수십 대의 모니터와 카메라가 샹들리에 형식 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출을 통해 기술이라는 맥락에서 영향받은 패션을 보여준다. 쇼 음악은 일렉 트로닉 뮤지션 리치 호틴(Richi Hawtin)이 프라다 쇼 를 위해 작곡한 곡으로 절제되고 차분한 곡조로 의상 에 몰입도를 더해준다. 필름은 35분 22초로 13분 정 도는 쇼를 보여주고 남은 시간은 미우치아 프라다와 라프 시몬스의 대화가 이루어지는데, 스크린에 띄워 진 질문에 답변을 하며 영상을 마무리한다.

    3. Trends in changing fashion films before and after COVID-19

    기존의 에피소드 필름, 프로모션 필름, 패션쇼 필름 에 더해져 COVID-19 이후에는 내러티브 필름이 추 가되었는데 이는 COVID-19라는 상황 속 대면 행사 가 어려워짐에 따라 비대면을 활용한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Fig. 26 and 27). 또한 오프라인 패 션쇼를 진행하지 못하는 상황에 있어 부족한 점을 내 러티브 필름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에피소드 필름의 경우, 프라다 모드 런던, 리나일론, 지속 가능성 컨퍼런스와 같이 지속적으로 진행했던 프 로젝트도 COVID-19 이후에는 해외 방문과 대면이 어 려워짐에 따라 제작되지 못했다. 또한 COVID-19 이 후에는 오프라인 쇼가 불가해 쇼에 참석하는 인물의 여정, 백스테이지, 애프터 파티 등의 부수적으로 따라 오던 에피소드들이 필름으로 제작되지 못했다. 이와 같은 사유들로 인해 연도만 다르고 동일한 달로 기간 을 선정했음에도 영상 사례 수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 었다.

    프로모션 필름의 경우, COVID-19 이전에는 35%, 이후에는 33%로 비슷한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패션쇼 필름의 경우, COVID-19 이전의 프라다 S/S 2020 여성복 쇼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으나 COVID- 19 이후에 진행된 프라다 S/S 2021 여성복 쇼는 온라 인을 통해 비대면으로 진행되었다. COVID-19 이후에 진행된 쇼는 미우치아 프라다와 라프 시몬스가 공동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선보인 패션쇼로 화제를 모았 었다. 쇼장은 노란색과 검은색으로 연출해 심플하며 화면으로 보는 디지털 패션쇼임에도 시각적인 부담감 이 없었다. 쇼가 끝난 후 미우치아 프라다와 라프 시 몬스는 스크린에 띄워진 팬들의 질문에 답변하는 시 간을 가졌다. COVID-19로 대면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도 소통의 끈을 놓지 않고, 비대면이라는 방식을 활용 해 고객과 소통을 이어감을 볼 수 있다. 또한 프라다 는 웹사이트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주기적으로 브랜 드 소식과 패션 필름을 공유하는 등 온라인을 적극적 으로 활용하고 있다.

    아트 필름의 경우,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하반기 기 간이 아닌 상반기 기간에 제작되었으므로 아트 필름 유형이 나타나지 않았다.

    VR 테크놀로지 활용의 경우, 프라다는 필름 유형 에 구애받지 않고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사용하고 있 다. COVID-19 이전의 ‘Prada spring/summer 2020 women’s fashion show - 360°’는 360°로 VR을 활용 해 쇼장 내부를 다각적으로 볼 수 있다. COVID-19 이 후의 ‘Prada VR sailing Luna Rossa’는 루나 로사 요 트 체험을 담은 필름으로 요트를 타기 전부터 후까지 모든 과정을 VR로 경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리만 족을 느낄 수 있으며 프라다의 제품을 착용한 인물과 제품이 가진 활동성의 장점도 볼 수 있다. COVID-19 이전에는 패션쇼 필름에 VR을 사용했는데, COVID- 19 이후에는 에피소드 필름으로 VR 활용 범위를 확 장했다. 이처럼 프라다는 다분야의 필름에 VR을 활용 하고 고객의 참여도를 높이며 간접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COVID-19가 패션 필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라다의 패션 필름을 사례로 선정하 였다. COVID-19 이전에는 40개의 사례 수가 있고, COVID-19 이후에는 21개의 사례 수가 있다. 19개의 사례 수 차이가 나타나는데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이유로는 COVID-19 이전에는 전 세계를 돌며 프로 젝트를 진행했었는데, COVID-19 이후에는 해외 방문 과 대면 활동에 제한이 생겨 주기적으로 진행되던 프 로젝트를 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COVID-19 전 후 필름 사례 수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사례 수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COVID-19 전후 프라다 패션 필름에는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있었다. 프라 다는 패션 필름 유형 중 에피소드 필름과 프로모션 필 름을 위주로 제작하고 있다. 또한 필름을 구성하는 소 재로 패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환경, 문화, 예술, 스포츠 등 다분야와 관련해 브랜드의 가치관을 나타 내는 필름을 제작하고 있다.

    프라다는 COVID-19 이전과 달리 이후에는 내러티 브 필름을 제작해 비대면을 활용한 대안을 보여주었 다. 5가지의 챕터로 필름을 제작하고 각 챕터마다 서 로 다른 아티스트와 협업하며 그들의 견해를 통해 프 라다의 다양한 아이덴티티를 보여주었다.

    COVID-19 이후 비대면으로 진행한 프라다 S/S 2021 여성복 쇼는 온라인을 통해 디지털 패션쇼로 진 행되었다. 쇼가 끝난 후 대담이 추가되었는데, 미우치 아 프라다와 라프 시몬스는 스크린에 띄워진 질문에 답변하며 비대면 소통을 했다. 이처럼 쇼의 환경은 대 면에서 비대면으로 바뀌었으나, 그 속에서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프라다와 고객 간의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분석 결과로 미루어 볼 때 COVID-19가 종료된 후 에도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 지 활용, 패션 필름의 제작은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패션 필름의 유형은 점차 추가되며 COVID-19 전과 후의 필름 사례 비중은 좁혀질 것으로 사료된다. COVID-19 이후 비대면으로 진행된 쇼는 그 과정에 있던 에피소드가 필름으로 제작되지 못했다. 그러나 대면 여부와 쇼를 보는 환경만 달라졌을 뿐 에피소드 는 여전히 존재하기에 이와 관련해 비대면 쇼를 준비 하는 백스테이지, 비대면 쇼를 보는 각자의 장소를 담 은 모습 등 COVID-19 이후에도 에피소드 필름 제작 은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예측한다.

    연예인, 인플루언서, 스포츠 선수 등의 저명한 인물 이 프라다 아이템을 착용하고 필름에서 보여주는 경 우는 대부분이지만 실질적으로 상품을 구매하고 착용 하는 고객의 리뷰와 관련된 필름 유형은 존재하지 않 는다. 상품 구매에 있어서 리뷰가 구매 확정에 큰 영 향을 주는 만큼 고객 참여형 리뷰와 관련한 필름 유형 이 추가되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로 인해 프라 다와 실제 고객이 더욱 가까워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기간들 외에도 타 기간들의 필 름 유형에 사용된 테크놀로지가 있기에 선정한 기간 에서 도출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한정적이었다. 프라 다는 에피소드 필름, 패션쇼 필름 외에도 타 유형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발하게 사용하기에 후속 연구 에서는 범위를 넓혀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관련한 연 구가 이루어져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가 프 라다의 COVID-19 전후 패션 필름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시대적 상황 속 패션 필름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 고, 학계 및 패션 산업계에 패션 필름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선행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Figure

    RJCC-29-5-617_F1.gif

    Dior talks Reprinted from Dior. (n.d.). https://www.dior.com

    RJCC-29-5-617_F2.gif

    NAVER’s shopping live Reprinted from NAVER. (2021). https://shopping live.naver.com

    RJCC-29-5-617_F3.gif

    Kakao’s deal live Reprinted from Kakao. (2021). https://pcms.kakao.com

    RJCC-29-5-617_F4.gif

    Lotte department store’s 100 Live Reprinted from Lotte department store. (2021). https://mall.sauc elive.net

    RJCC-29-5-617_F5.gif

    Burberry Reprinted from Courtesy of Burberry. (2020). http://www.vogue.co .kr

    RJCC-29-5-617_F6.gif

    Elle B Zhou 2021 S/S collection Reprinted from Elle B Zhou. (n.d.). https://www.ellebmambet.com

    RJCC-29-5-617_F7.gif

    Matterport Reprinted from Paul Smith. (n.d.). https://my.matterport.com

    RJCC-29-5-617_F8.gif

    Stitch Fix Reprinted from Stitch Fix. (n.d.). https://www.stitchfix.com

    RJCC-29-5-617_F9.gif

    48 hours at #PradamodeLondon with Noor Tagouri Reprinted from Prada. (2019a).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0.gif

    Prada Re-Nylon - episode 4 - what we carry Reprinted from Prada. (2019b).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1.gif

    Amanda Gorman_video journey shaping 2019 Reprinted from Prada. (2019c).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2.gif

    Prada spring/summer 2020 menswear after party Reprinted from Prada. (2019d).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3.gif

    Prada resort 2020 - #PradaSeditiousSimplicity – instruction Reprinted from Prada. (2019e).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4.gif

    #PRADAFORADIDAS limited edition Reprinted from Prada. (2019f).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5.gif

    Willow Smith launches #PradaLineaRossa fall/winter 2019 Reprinted from Prada. (2019g).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6.gif

    Code human, Prada fall/winter 2019 advertising campaign Reprinted from Prada. (2019h).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7.gif

    Prada spring/summer 2020 womenswear show Reprinted from Prada. (2019i).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8.gif

    Prada womenswear pre-fall 2020 advertising campaign - painted in Prada Reprinted from Prada. (2020a).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19.gif

    Prada Linea Rossa fall/winter 2020 campaign Reprinted from Prada. (2020b).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20.gif

    Prada multiple views spring/summer 2021 - the show that never happened Reprinted from Prada. (2020c).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21.gif

    Prada holiday 2020 campaign - ‘a stranger calls’ Reprinted from Prada. (2020d).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22.gif

    A simple thread - Prada making of Reprinted from Prada. (2020e).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23.gif

    America’s Cup technicalities Reprinted from Prada. (2020f).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24.gif

    Prada VR sailing Luna Rossa Reprinted from Prada. (2020g).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25.gif

    Prada spring/summer 2021 womenswear show Reprinted from Prada. (2020h). https://www.youtube.com

    RJCC-29-5-617_F26.gif

    Fashion film before COVID-19

    RJCC-29-5-617_F27.gif

    Fashion film after COVID-19

    Table

    Reference

    1. Cho, E. Y. , & Yoo, T. S. (1997). Analysis of mass fashion on the basis of movie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1, 189-202.
    2. Cho, Y. S. , & Park, S. H. (2020). A study on social issues in fashion film. Journal of Fashion Design, 20(2), 1-19.
    3. Choi, Y. H. , & Lee, K. H. (2020).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 of fashion products in a pandemic -Effects of COVID-19 spead-.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3), 285-298.
    4. Courtesy of Burberry. (2020, July 24). 직원들이 집 앞에서 찍은 버버리 ‘Resort 2021’ [Burberry that the staff filmed in front of house ‘Resort 2021’]. Vogue.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www.vogue.co.kr/2020/07/24/직원들이-집-앞에서-찍은-버버리-resort-2021/?utm_source=naver&utm_medium=partnership
    5. Dior. (n.d.). Dior talks.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www.dior.com/ko_kr/여성-패션/diortalks
    6. Elle B Zhou. (n.d.). Elle B Zhou 2021 S/S collection. Elle B Mambet.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www.ellebmambet.com
    7. Jang, R. Y. , & Yang, S. H. (2010). 21 Century video image fashion communication -Focusing on Prada fashion anim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6), 1318-1330.
    8. Kakao. (2021). Kakao’s deal live.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pcms.kakao.com/pcms/documents/e06dbebc-026a-49b6-9c2d-c1fc3f83e468?area=slap
    9. Kang, J. H. , & Kwon, G. Y. (2018). A study on the pataphor in fashion communicatio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9(4), 1-12.
    10. Kim, H. J. , & Kim, Y. S. (2015). Virtuality in digital fashion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2), 233-246.
    11. Kim, M. H. , & Kim, S. H. (2020). A study on the convergence content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fashion styling service ‘Stitch Fix’.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8(1), 13-24.
    12. Kim, N. D. , Jeon, M. Y. , Lee, H. E. , Lee, J. Y. , Kim, S. Y. , Choi, J. H. , ... Seo, Y. H. (2017). 트렌드 코리아2018 [Trend Korea 2018]. Seoul: Miraebook.
    13. Kim, S. J. (202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of short-form fashion vide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5(1), 200-216.
    14. Kwon, J. A. (2016). Categor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fil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J. H. , & Lee, E. H. (2011). Augmented reality as an emotional communication media on fashion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2, 7-20.
    16. Lotte department store. (2021). Lotte department store’s 100 live.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mall.saucelive.net/broadcast/24878?serviceId=lotteon-ellotte-premium
    17. Matterport. (n.d.). Paul Smith.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my.matterport.com/show/?m=1wuQAWo8fxc
    18. NAVER. (2021). NAVER’s shopping live.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shoppinglive.naver.com/lives/132628
    19. Park, B. Y. (2018). Brand identity represented in fashion fil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 Prada. (2019a). 48 hours at #PradamodeLondon with Noor Tagouri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vKmK2mYPjSc
    21. Prada. (2019b). Prada Re-Nylon - episode 4 – What we carry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S2UqlCE-unw&t=37s
    22. Prada. (2019c). Amanda Gorman_video journey shaping 2019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vm92polVvb0
    23. Prada. (2019d). Prada spring/summer 2020 menswear after party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UR-kxjZ_6Qc
    24. Prada. (2019e). Prada resort 2020 -#PradaSeditious Simplicity- instruction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f2HaiZ-286o
    25. Prada. (2019f). #PRADAFORADIDAS limited edition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HATDQCLUJ2s
    26. Prada. (2019g). Willow Smith launches #PradaLinea Rossa fall/winter 2019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dOD36B-dyq0
    27. Prada. (2019h). Code human, Prada fall/winter 2019 advertising campaign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gyyEjka2fdc
    28. Prada. (2019i). Prada spring/summer 2020 womenswear show [YouTube Channel]. Retrieved March 29,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ovkSh5EtuEs&t=262s
    29. Prada. (2020a). Prada womenswear pre-fall 2020 advertising campaign -Painted in Prada [You- Tube Channel]. Retrieved April 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KJjOhDFgT4M
    30. Prada. (2020b). Prada Linea Rossa fall/winter 2020 campaign [YouTube Channel]. Retrieved April 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c7jRV2IKa6o
    31. Prada. (2020c). Prada multiple views spring/summer 2021 -The show that never happened [YouTube Channel]. Retrieved April 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ghbvuaK_aSc
    32. Prada. (2020d). Prada holiday 2020 campaign -‘A stranger calls’ [YouTube Channel]. Retrieved April 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E9KzQbmj3Yg
    33. Prada. (2020e). A simple thread -Prada making of [YouTube Channel]. Retrieved April 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S2K1bllV8D8
    34. Prada. (2020f). America’s Cup technicalities [You- Tube Channel]. Retrieved April 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H98nH-dvNUE&t=9s
    35. Prada. (2020g). Prada VR sailing Luna Rossa [You- Tube Channel]. Retrieved April 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kq59RnZKRcs
    36. Prada. (2020h). Prada spring/summer 2021 womenswear show [YouTube Channel]. Retrieved April 1,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RCQxPSNzU2Q&t=239s
    37. Prada. (n.d.a). Prada mode London. Retrieved April 15, 2021, from https://www.prada.com/kr/ko/pradasphere/special-projects/2019/prada-mode-london.html
    38. Prada. (n.d.b). 2020 pre-fall womenswear. Retrieved September 5, 2021, from https://www.prada.com/kr/ko/pradasphere/campaigns/2020/pre-fall-woman.html
    39. Shim, E. H. , & Kim, J. Y. (2021). A study on untact fashion communication of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Centered on the post-COVID-19 pandemic-. Journal of Fashion Design, 21(1), 143-156.
    40. Son, Y. K. , & Kim, M. Y.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story in Prada fashion film -Focused on 365 film-.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4), 39-55.
    41. Stitch Fix. (n.d.). Stitch Fix. Retrieved March 15, 2021, from https://www.stitchfix.com/women
    42. Wu, S. H. , Kang, Y. K. , Ko, Y. A. , Kim, A. N. , Kim, N. E. , & Ko, H. S. (2013).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and the production of 3D digital fashion show.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1), 64-80.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