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4 pp.572-584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4.572

A study of the redesign fashion of cultural sustainability

Ga Bin Gwak, Young Im Seo, Sejin Kim*
Master’s Student,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enior Human Ecology,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Assistant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enior Human Ecology,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sejinkim@changwon.ac.kr)
August 2, 2021 August 20, 2021 August 21, 2021

Abstract


The emergence of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has led to global discussions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using waste Hanbok, focusing on men's Hanbok with cultural values. The study utilizes literature research and fashion design development. From the literature study, reform was judged to be a higher concept encompassing reduction, recycling, and upcycling. Reduction is a design method through removal, and recycling design transforms from its original form into a completely different product. Upcycling design focuses on improvement and change in functionality. Accordingly, nine redesigns using men’s Hanbok were developed from which three were produced. Consequently, the reduction design demonstrated a small range of variation without changing the item, and cultural sustain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design that removed the components and recombined the Hanbok. Second, recycling redesign can be reconstituted into a different item. Third, upcycling enables various designs through module assembly, which prolongs the lifespan of the product and confirms its value as a raw material for waste Hanbo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alizing sustainable fashion and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for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ve fashion design planning.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리디자인 패션 연구
- 남성 한복을 이용한 여성복 개발 -

곽 가빈, 서 영임, 김 세진*
창원대학교 시니어 휴먼 에콜로지 협동과정 패션학 석사과정
*창원대학교 의류학과·시니어 휴먼 에콜로지 협동과정 대학원 조교수

초록


    I. Introduction

    2015년 유엔 개발정상회의에서 ‘우리 세계의 변형: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2030년 의제(Transforming our world: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가 채택되었다. 환경문 제는 글로벌 중심 과제로 격상하였고, 지속가능한 발 전에서 지구 전체적 차원과 지역적 차원의 상호관련성 을 위한 문화적 역할도 중요해지고 있다(Ryu, 2016). 인류세(anthropocene)에 환경에 대한 인식과 전 지구 적 공존을 위한 노력은 패션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현대의 패션 산업은 대량생산 및 빠른 유행의 패스트 패션으로 인한 의류 폐기물과 의류 생 산 과정 및 소비 이후에 발생하는 각종 환경오염의 문 제를 안고 있다. 이에 다양성과 개성을 중요시하는 수 준 높은 현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고 가치 있는 전 통문화를 지속하기 위한 지속가능성의 실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전통 복식은 사회․문화적 관습과 민족의식, 역사 를 포함하고 있는 문화유산이다. 한복은 한국인의 정 서와 의생활이 투영된 한국의 전통 복식으로서 문화 적 가치를 지닌다. 1990년대 후반 이래 한복 스타일이 지속되면서 2004년 ‘한(韓)브랜드’, 2005년 ‘한(韓)스 타일’ 지원 전략이 수립되는 등 전통 의상인 한복의 세계화와 한복의 아름다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Kim, Kim, & Moon, 2017). 이러한 국가 정책과 사회의 노력으로 한복 문화는 여러 콘텐츠로 소비되 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류의 영향 아 래 K뷰티, K팝에 대한 관심이 K패션으로 나타나면서 한복이 한국의 대표 문화 중 하나로 자리하고 있으며, 대내외적으로 국내 문화에 대한 인기와 자신감이 높 아지면서 한국적인 패션, 한복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 지고 있다(Yu, 2018). 이처럼 지속가능성의 시대에 한 복은 환경적, 문화적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효과를 얻 을 수 있는 원천을 제공한다.

    리디자인은 원형을 수정이나 재설계하여 다시 디 자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자인 방법으로서 리디자 인은 기획한 대로 원부자재 상태부터 소비하는 것이 아닌 부분적 변경이나 재해석에 의한 새로운 형태로 개발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독창적 결과물을 얻을 수 있고, 이미 사용하고 버려진 재료들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남성 한복은 여성과 비교하면 구성과 형태는 유사하지만, 면적에서 차이가 있어 소재 활용 도면에서 장점이 있다. 남성 한복의 조끼와 마고자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고급 실크 소재가 많이 사용되고, 손 자수 장식이 들어가는 고가의 의복이지만, 구매 후 거의 착용 되지 않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문화 적 지속가능성의 리디자인 연구에 적절하다.

    지속가능성과 한복에 관한 선행연구에는 일상복들 과 한복을 재활용하여 퓨전 한복을 디자인한 연구 (Ahn & Bae, 2016)와 저고리를 재활용하여 패션 문 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한 연구가 있으나(Kim, 2017), 한복 자체만을 이용하거나 소품 위주로 디자인 개발 이 이뤄졌다. 남성 한복은 소재의 측면에서도 여러 장 점이 있음에도 많은 선행연구는 여성 한복에 집중되 었고, 실물 제작까지 다루지는 못하였다. 또한 리디자 인 개념을 이용하여 패션디자인을 개발한 연구도 활 발히 이뤄졌으나(Ahn & Bae, 2016;Kim, 2017), 한복 을 이용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사회문화적으로 한복 착용 빈 도가 현격히 줄어들면서 착용되지 않고 방치되거나 버려지는 한복이 늘어나고 있지만, 한국의 전통문화 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상과 한복 의 평면 구성법이 소재의 활용에 효율적인 측면으로, 특히 남성 한복을 조명하여 소비되고 폐기된 한복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방법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는 한복의 문화적 지속 가능성의 측면을 고찰하고, 패션디자인 개발의 구체 적 실천 방안을 제공한 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지 속가능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한복을 정의한다. 둘째, 지속가능한 디자인 의 방법론으로 리디자인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한다. 셋째, 이를 토대로 남성 한복을 활용하여 새로운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작 방법을 밝힌다.

    Ⅱ. Literature Review

    1. Sustainability and fashion design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현대 기업들의 경영, 건축, 산업디자인,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무적 요 소이자 경쟁력 강화의 수단이 되었으며, 패션 분야에 서도 상생해 나가야 할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는 개념 이다. 지속가능성은 리처드 버크민스터 풀러(Richard Buckminster Fuller)와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과 같은 대안 디자이너들이 1950년 사회적 불평등과 환 경 파괴의 문제에 대해 디자이너들의 책임이 있다는 논의를 하며 처음 등장하였다(Kim, 2020). 이후 인류 전체의 장래를 위협하는 대중적인 빈곤, 인구 성장,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생태계 파괴로 인한 악영향, 경제 개발로 인한 환경오염과 자원 고갈의 문제 등으 로 인해 지구의 수용 능력이 한계에 다다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었다.

    1972년,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간 환 경에 대한 유엔회의(The Un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에서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이라는 용어가 최초로 사용되었고, 1987 년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위원회(WCED)’의 부룬 트란트 보고서(Brundtland report)에서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 이라 정의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을 공식화하였 다(Lee, 2020).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가치 규범이 용납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발전을 의미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social sustainability)’,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범위 내의 발전을 의미하는 ‘환경적 지속가능성(ecological sustainability)’, 경제적 가치 성장을 이룩하고자 경 영과 생산에 효율성을 더해 기업이 이윤을 남기고 질 적 성장을 거두는 것을 의미하는 ‘경제적 지속가능성 (economic sustainability)’ 등의 세 가지 차원에서 주 로 논의되었으나, 최근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보 존, 활용하여 문화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문화적 지속 가능성(cultural sustainability)’ 등의 여러 차원에서 인 간의 모든 활동을 포괄한 개념으로 넓은 차원의 범위 에서 다루어지기 시작했다(Kim, 2020).

    패션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은 급격한 산업화로 인 한 환경 파괴 문제가 떠오른 1960-70년대에 자연 친 화적 히피 문화와 천연섬유에 대한 인식 전환 등으로 점차 주목받기 시작했다(Yeon & Park, 2020). 이후, 패션 기업들은 제품이 생산되고 폐기되는 전 단계에 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환경적, 경제 적, 사회적 차원에서 실천 방법을 모색해 오고 있다 (Kim, 2020).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은 환 경친화적인 디자인 용어로 인간과 연관된 모든 분야 를 포함하는 통합적 관점(Du & Kim, 2021)으로 논의 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이란 상품이 기획 되고 생산되어 상품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회와 환 경에 미칠 영향과 책임을 염두에 두어 상품을 개발하 는 것을 말한다(Ahn & Kim, 2013). 이러한 지속가능 한 패션디자인은 환경적․윤리적 가치 실현적 도구로 서 패션의 생산과 디자인 방법 등 전 범위에 걸쳐 적 용되는 개념이다(Farley & Hill, 2015). 특히, 본 연구 에서는 이를 패션 업계가 지구와 사회에 미치는 악영 향을 줄이기 위해 생산부터 폐기, 유통의 모든 단계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디자인 방안이라 정의하고 자 한다.

    2. Hanbok as cultural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의 여러 차원 중 하나인 문화적 지속가 능성은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문화가 유지되도 록 노력하는 것을 의미하며, 문화가 앞으로의 미래에 창의적으로 창출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이다(Ma, 2020).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촉발된 1987년 부룬트란 트 보고서에서 문화는 주로 다뤄졌던 주제가 아니었 다. 이후, 경제개발에 따른 문화유산의 파괴 및 문화 정체성의 혼란과 같은 문화적 측면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Yu, 2016). 1980년대 말부터 지 속가능한 발전에서 문화 및 문화유산이 사회경제 발 전과 균형을 위한 필수요소로 받아들여지게 되었고 (Kim, Kim, & Ahn, 2014), 1996년 세계 유엔회의에 서 <문화와 발전>의 보고서와 1998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문화의 힘>의 유네스코 컨퍼런스에서 본격화되 었다(Kim, 2015). 이에 따르면 문화유산을 복원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는 것, 즉 문화는 보존 자 체에도 의미가 있지만,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나아 가 문화적 가치 제고에 효과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 지기 시작했다(Kim, Kim, & Ahn, 2014). 다시 말하 면,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그 자체로 하나의 지속가능 성의 차원을 형성하면서도,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과 상호 작용하며(Soini et al., 2015),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 인간과 사회변화로서의 발전은 문화 적 기반이나 변화 없이 지속될 수 없으므로(Yu, 2016), 지속가능한 개발에 있어 문화적 측면은 필수 불가결 하다. 의류 분야에서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한국 고유 의 전통문화를 반영한 패션디자인 개발이나 전통 복 식 문화의 보존 및 계승의 관점에서 다뤄질 수 있으 나, 본 연구에서는 전통 복식인 한복을 중심으로 살피 고자 한다.

    전통 한복은 한국 고유의 의식, 예부터 전해오는 행 위, 기술, 관습, 형태 등의 정신이 깃든 것으로(Kim, 2000), 단순한 의복의 개념을 넘어 실생활과 밀접한 우리의 전통문화이다. 한편, 지난 세기말부터 세계 각 국의 문화는 문화교류 차원을 넘어 문화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거듭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 다(Yoon, 2019).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 는 K컬처의 영향력은 한복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패 션스타일의 하나로 장르화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최 근 K팝 아티스트들과 영화에서 한복을 재해석한 스타 일들이 착용되면서 전 세계의 새로운 세대들로부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데, 한복에 대한 시각이 과거 에는 보존되어야 할 대상으로서 인식되었다면, 최근 에는 계속해서 발전되고 있는 한국의 전통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하나의 패션 장르로서 인식되고 있다는 데 차이가 있다. 이처럼 문화 환경적 변화는 한복을 이용한 패션디자인 개발이 한복 문화를 지속시키고, 발전 즉,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이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며, 우리의 미적 가 치를 드높임으로써 사회적 측면의 국가 이미지 향상 을 도모할 것이다.

    유네스코에 의하면 최근 문화 산업은 글로벌 경제 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의 유엔개발 의제를 다루면서 ‘문화는 지속가능한 발 전의 원동력이자 조력자’라는 보고서를 통해 문화가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점을 명확하게 규정하였다(In, 2017). 이는 문화 없이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불가능하 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복을 이용하여 디자 인을 개발하는 것은 경제적․환경적 지속가능성과 더 불어 시대적 요구와 환경에 따라 변화되면서 세대로 이어지는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현시대와 어우러지도 록 발전시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3. Concept and types of redesign

    1) Concept of redesign

    리디자인(redesign)은 ‘리사이클링(recycling)’과 ‘디자인(design)’의 합성어로 ‘리(re-)’라는 접두사가 붙 어 ‘재설계’, ‘다시 디자인하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 고, 원형을 의도와 용도에 맞춰 적절하게 재설계하여 개선․개량하는 것을 뜻한다(Cho, 2019;Jung, 2015;Syn, 2011).

    리디자인의 용어는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에 의해 시작되었다. 당시 1960년대 이탈리 아는 경제 성장으로 인해 각종 사회문제가 발생하면 서 신세대들이 권위적인 기성세대에 대한 반기를 일으 켰다. 젊은 디자이너들은 합리주의적 모더니즘 디자 인과 기능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예술적 감수성의 디자인 이념을 관철시키고자 급진적 디자인(radical design), 반 디자인(anti design) 운동을 전개하였다 (Shin, 2017). 그중 1976년 알레산드로 멘디니는 ‘이 시대에 새로운 것을 창조해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고 주장하며, 리디자인(redesign)의 개념을 제시했다 (Shin, 2017). 멘디니는 기성 디자인의 진부함으로부 터 탈피하고자 기존의 디자인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여 다른 디자인으로 재탄생시키 는 것을 리디자인이라 명명했다(Park, 2016). 당시 리 디자인은 장기간 사용된 디자인을 경쟁상품의 출현과 소비자의 변화 추이, 시대 감각을 고려하여 변형을 주 거나 개량하는 것을 뜻했다(Cho, 2011).

    이후, 자본과 생산이 우선시되는 패러다임의 일반 화로 환경이 오염되고 지구 생태계의 위기의식이 발 생하며, 지구를 지키고자 하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국 제 사회 규모에서 대책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리디자 인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천 방안으로 주목받으며 그 의미가 변모하였다(Jung, 2015). 최근 리디자인은 폐기 단계의 제품을 재활용하여 자원의 절약과 폐기 물의 감소를 실천하고, 생산과 소비의 측면에서 사회 적 책임을 모색하는 디자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Cho, 2011).

    패션 분야에서도 리디자인은 자원 보호를 효율적 으로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친환경적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다. 리디자인에 대해 Du and Kim(2021)은 인간과 환경이 함께 어우러져 새로운 가 치 기준을 적용하여 자원을 절약하고 버려지는 폐기 물을 줄이는 것으로 정의하였고, Kim and Yoon(2013) 은 자원을 활용하여 창조적 디자인 감각으로 변형시 킴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라 하며, 이 러한 리디자인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친환경적 의식변 화와 윤리적 패션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해 보면, 리디자인이란 기존의 제품을 변형하거나 지구 생태적 차원에서 기존의 자 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디자인으로 고안해내는 것으로 서 현시대 사람들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는 디자인 방 법론을 의미한다.

    2) Types of redesign

    리디자인은 리제너레이션(regeneration), 리플레이 스(replace), 리유즈(reuse), 리사이클링(recycling), 업 사이클링(upcycling), 리폼(reform), 리듀스(reduce) 등 의 용어와 혼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연구자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정의되며,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그 의미가 서로 중첩되기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선 행연구 결과를 유사 의미로 분류하여 리디자인의 유 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패션 분야에서 리디자인을 다 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Du and Kim(2021)은 리폼, 리듀스, 리유즈 등으로 구분하였고, Shin(2017)은 여 기에 자원의 재사용을 통해 디자인하는 방법으로 리 사이클링의 개념을, Syn(2011)은 대체나 교체에 의한 재디자인으로서 리플레이스를, Park(2014)은 디자인 재생의 의미를 갖는 리제너레이션의 개념을 더하였 다. 리디자인은 최종 결과물의 형태 변화 여부에 의해 재구분될 수 있다(Cho, 2019).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 구에서 살핀 패션 분야에서 언급된 리디자인의 하위 개념을 형태의 보존과 변형에 따라 크게 두 가지 관점 으로 구분하여 <Table 1>과 같이 도출하였다.

    리디자인의 첫 번째 유형은 형태가 보존되면서 재 디자인하는 형태 보존의 방법으로, 리유즈, 리플레이 스, 리제너레이션 등이 있다. 형태 보존의 리디자인은 제품에 변형을 주지 않고 재사용하거나 고효율의 제 품 제작 과정을 추구하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거나 수명이 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방식 이다. 형태 보존의 리디자인 유형은 1차 디자인 이후 형태가 바뀌지 않고 보존되면서도 지속가능성을 실현 할 수 있는 디자인이다. 형태 보존의 리디자인 유형은 제품 개발 단계에서 애초에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발 이 이루어진 경우와 이미 사용된 제품을 변형 없이 그 대로 재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둘째는, 형태 변형에 의한 리디자인 방법이다. 원래 제품이 소비 후 버려지거나 재고로 남은 폐기 단계의 제품을 2차 디자인 과정을 통해 형태를 변형하여 새 로운 제품으로 탄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형태 변형 에 의한 리디자인에는 리듀스, 리사이클링, 업사이클 링, 리폼 등의 세부 유형이 있다. 형태 변형에 의한 리 디자인의 첫 번째 유형은 리듀스의 리디자인이다. 리 듀스 디자인은 디자인 요소를 제거 혹은 축소에 의한 디자인 방법으로, 디자인을 통해 생태적 효율성을 지 키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다. 리듀스 디자인이란 근 본적인 자원 고갈과 파괴를 막지 못하지만, 자원 사용 기간을 연장시키고 파괴 범위와 속도를 줄이고 늦출 수 있다는 관점으로 디자이너가 제품을 단순화하거나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디자인 방안을 제시한다. 리듀 스 디자인을 감량화와 감소화되는 제품의 생산, 소비, 폐기 과정에서 소모되는 자원을 절약하고, 기술 개발 을 통해 생산성을 재검토함으로써 최소한의 자원과 에너지 사용으로 고부가가치를 만들어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념의 디자인 방법이다(Kang & Lee, 2018). 형태 변형에 의한 리디자인의 두 번째 유 형은 리사이클링의 리디자인이다. 리사이클링 디자인 이란 미국 환경 보호국(EPA)에서 정의한 재활용은 폐 재료를 재가공, 재처리하거나 공정과정에 재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수집, 분리, 가공의 일련의 행동체계이며, 이것에 의해 제품이나 다른 재료들이 재생되거나 원재 료를 사용하기 위해 재가공되는 것을 의미한다(Won, Jin, & Kim, 2014). 리사이클링 디자인은 자원을 재활 용한 디자인으로 사용된 재료에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형을 가하여 완전히 다른 제품으로 탈바꿈시키는 디자인 방법이다. 리듀스 디자인은 해체 후에도 기능 을 유지한 채 제거를 통해 작은 범위의 변형을 준다면 리사이클링은 기능에 제한을 두지 않고 변형하여 상 대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다. 세 번째 유형은 업사이클링의 리디자인이다. 업사이클링 디자인은 사전적 의미로 ‘새 활용’을 말한다(Kang & Lee, 2018). 즉, 단어 그대로 기존 가치에 새로운 가치 를 더한 새로운 활용을 뜻하며(Kang & Lee, 2018), 자원이 가진 가치의 하락 없이 자원을 유연하고 사용 가능한 형태로 되돌리는 영속적으로 반복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업사이클링은 폐재료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닌 버려진 원재료에 대한 리디자인을 통해 제 품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리사이클링 개념과 다르다(Qiao, 2020). 마지막으로 리폼 디자인 은 ‘개조(reform)’라는 단어의 의미 그대로 형태 변형 리디자인 유형인 리듀스 디자인, 리사이클링 디자인,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모두 포괄한 상위 개념이라 볼 수 있다.

    III. Methods

    리디자인을 위한 연구 대상은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던 마고자, 조끼, 바지, 두루마기 등의 성인 남성 한 복을 선정하였다. 선정 이유는 남성 한복의 경우, 대부 분 예복 목적으로 구매되는데, 고가의 고급소재가 많 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여성 한복에 비해 활용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방치되거나 버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 한복에도 고급소재가 사용되기 는 하나, 치마의 경우 물리력에 약하고 얇은 소재가 사 용되며, 저고리 길이가 짧은 반면, 남성 한복은 품과 길 이가 넉넉하고, 그 기본구성에는 여성 한복에는 없는 조끼 마고자가 포함되어 소재의 활용도에서 장점이 있 다. 이에 본 연구는 남성 한복을 형태 변형의 리디자 인 방법을 이용하여 현대 여성복으로 디자인하였다.

    리디자인을 위해 사용할 남성 한복은 2021년 5월 부터 6월 동안 일반 가정집에 방치된 폐한복과 한복 업체의 재고와 중고 제품을 수거하여 마련하였고, 두 루마기(2), 저고리(1), 마고자(2), 바지(2) 등 4가지 복 종의 총 7점을 수집하였다.

    디자인 개발에서 소재와 컬러는 폐한복을 사용하 므로 의도 하에 수집되기 어렵기에 기획 시 고려되지 않았다. 지속가능성의 리디자인을 위한 아이템은 재 킷, 블라우스, 원피스 드레스, 스커트 등의 현대 여성 복으로 선정하였는데, 한정된 재료로 디자인을 개발 해야 하므로 소재의 면적 활용에 있어 상대적으로 효 율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대상으로 앞서 정의된 형태 변형의 리디자인의 유형인 리듀스, 리사이클링, 업사 이클링 등의 방법으로 남성용 폐한복을 이용하여 여 성복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Ⅳ. Men's Hanbok Redesign for Sustainability

    1. Redesign by reduce

    남성 한복을 이용한 리듀스에 의한 리디자인 <Table 2>는 원래 제품 일부분의 제거를 통해 새로운 제품으 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남성 마고자, 저고리, 두루마기의 총 3개의 상의 및 겉옷이 사용되 었고, 소매, 깃, 섶, 고름 등 요소를 제거하여 리디자인 하였다. 제작은 해체-디자인 개발-패턴 제작-재단-재 봉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리듀스 디자인 1은 마고자의 자수 장식을 살린 여 성용 재킷 디자인이다. 수거된 마고자는 진한 남색의 당초문이 직조된 실크 소재로 파스텔 컬러의 자수가 몸판과 소매 끝자락에 새겨져 있다. 마고자의 자수를 살리기 위해 허리 다트를 주지 않고 절개선을 최소화 시킨 간결한 여성 재킷을 디자인하였다. 남성 한복 마 고자의 섶을 제거하고, 중심선에서 여며지는 디자인 적 변화를 주었다. 또한 소매를 포함하여 전체 형태를 입체 패턴으로 설계 및 재조합했다. 이는 제거를 통해 디자인적 변형만을 가미한 것으로 각 패널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소매는 소매의 기 능을, 기존의 몸판은 몸판의 기능을 한다. 리듀스 디 자인 2는 남성 저고리를 활용한 여성용 조끼 디자인 이다. 남성 저고리는 화사한 파스텔 핑크 컬러의 작은 화문과 운문이 직조된 화섬단 소재로 약간의 광택감 이 있다. 남성 저고리의 화사한 컬러감과 문양을 고려 하여 여성 상의 조끼로 디자인했다. 남성 저고리에서 소매와 깃을 제거한 다음, 한복의 섶과 고름의 기능을 유지하되, 고름의 폭과 길이를 좁고 짧게 변형하고 섶 을 앞길 중심에 섶을 이어 연결해 길이와 너비에 디자 인적 변형을 주었다. 앞길의 좌우 도련에 길이의 차를 두어 도련을 리듬감 있게 디자인하여 재조합함으로써 전통 한복의 요소를 반영한 디자인을 하였다. 또한 여 성복에 걸맞게 가슴의 입체감을 고려한 다트를 추가 하여 핏의 변화를 주었다. 리듀스 디자인 3은 두루마 기를 활용한 여성용 롱 재킷 디자인으로 기존 두루마 기 소재의 도톰한 두께감, 긴 길이감을 고려하여 가을 에 걸칠 수 있는 외투로 디자인하였다. 남성 두루마기 에서 섶과 무, 고름을 제거한 후, 소매를 입체화하고 깃을 직선 목판깃으로 변형시켜 디자인했다. 또한 움 직일 때, 불편하지 않도록 양 옆선에 트임을 주었다.

    리듀스의 리디자인으로 개발된 세 디자인 중, 리듀 스 디자인 1을 실물로 제작하였다. 실물 제작은 마고 자를 해체하여 몸판 길의 앞, 뒤와 소매, 안감의 기능 을 그대로 유지하되, 사이즈에 맞춰 재단하였다. 여밈 은 섶을 제거하고 중심에서 여며지도록 하였으며, 마 고자의 단추를 그대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입체 패 턴으로 기능성은 살리면서 기존의 자수 장식과 한국 적 모티브가 새겨진 마고자 단추를 재이용함으로써 전통 복식의 장식적 요소를 반영하면서도 현대적 디 자인으로 재디자인된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나타냈다. 리듀스 디자인은 제거의 방법을 이용하므로 아이템의 급격한 혹은 다양한 변화가 이뤄지지 않았으나, 새로 운 장식을 더하고 착장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즉, 리듀스 디자 인은 기존의 기능은 변하지 않지만, 어느 요소를 제거 함으로써 달라지는 디자인의 변화를 보여준다.

    2. Redesign by recycling

    리사이클링에 의한 리디자인 <Table 3>은 기존의 의복을 해체 및 변형하여 기존의 형태와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의상을 개발하는 것으로, 남성 한복 바지의 마 루폭과 사폭이 이용되었는데, 원형 바지의 배래를 이 용하므로 리디자인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패널이 적용 되었다.

    리사이클링 디자인1은 남성 한복 바지를 활용한 원 피스 디자인이다. 남성 한복 바지는 저고리와 같은 파 스텔 핑크 컬러의 화섬단 소재이다. 남성 한복 바지의 컬러감과 광택감을 고려하여 여성 원피스를 디자인하 였다. 먼저, 리사이클링 디자인 1은 바지의 사폭을 이 용해 원피스 길을 재단하였고, 모자라는 길이는 절개 하여 마루폭에서 재단하여 연결해 부드러운 형태미를 주었다. 바지를 재이용하는 원재료의 특성상 앞중심 에도 이음 절개선이 들어가며 뒷 중심 무릎 아래에서 슬릿을 주어 보폭의 여유량을 주었다. 리사이클링 디 자인 2는 남성 한복 바지를 활용한 로브 디자인이다. 남성 한복 바지의 마루폭과 사폭 분량을 최대한 활용 가능하도록 패턴을 본 떠 로브로 디자인했다. 우선, 마루폭을 이용하여 앞, 뒷길을 적용하고, 사폭에서 소 매 분량을 확보하여 최대한 한복의 직선 재단을 살리 는 디자인을 하였으며, 앞여밈을 좁은 끈으로 앞중심 에서 여밀 수 있도록 하였다. 리사이클링 디자인 3은 페플럼 민소매 블라우스이다. 남성 한복 바지의 중간 두께감과 컬러감을 고려하여 허리 절개선에 프릴이 들어간 페플럼 디자인을 했다. 바지의 사폭에서 앞, 뒷길을 적용하고, 마루폭에서 페플럼 분량을 확보하 여 디자인하였다. 앞중심을 여밈을 넓게 주어 한복 섶 의 여밈 형태를 그대로 반영하였고, 허리선에 두 개의 단추로 여미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사이클링 디자인 1을 실물로 제작 하였다. 남성 바지의 사폭에서 원피스의 몸판 분량을 확보하되, 길이의 한계는 가로 절개선 디자인을 통해 분량을 확보하였다.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길이와 폭 차이로 인하여 원피스의 앞, 뒤 구성 옆선의 위치가 다르게 디자인되었으며, 슬림한 디자인으로 뒷길 무 릎 아래로 트임을 주어 보폭 시 불편함을 해결하였고, 뒷 중심에 숨은 지퍼로 여밈을 하였다. 완성된 결과, 의복 요소의 위치에 큰 변화가 없었던 리듀스의 리디 자인에 반해, 리사이클링의 경우 남성 하의가 해체되 어 상의로 혹은, 다리 부분이 소매나 스커트 부분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상대적 으로 다채로운 디자인이 가능하며 깃, 고름 등의 한복 디테일을 인위적으로 추가하여 이전과는 다른 조합의 독창적인 한국만의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는 점에 서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측면을 띈다.

    3. Redesign by upcycling

    업사이클링 디자인은 기능의 향상 및 기능의 변화 에 중점을 둔 리디자인 방안으로 다른 디자인 방법과 달리 무한 제품 생애 주기를 띈다. 본 연구에서 업사 이클링에 의한 리디자인을 위해 직사각형 형태의 모 듈(module)을 개발하고, 모듈의 재조합 및 조립에 따 른 형태의 다변성을 실현시키고자 하였다(Table 4). 모듈의 형태는 소재를 최대한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두 었다. 해체와 재조립으로 인한 순환으로 제품의 생명 을 연장시키는 디자인 의도에 맞추어 조립 시 디자인 의 가변성을 높이기 위하여 모듈의 형태는 동일한 크 기와 모양으로 디자인하였다.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위해 남성 한복의 두루마기가 사용되었는데, 사용된 두루마기는 어두운 초록색에 검은색 연화문이 직조된 실크 소재이다. 두루마기를 해체하여 28*56(cm) 사이 즈의 모듈 8개를 제작하였고, 두 개의 고름은 원형 그 대로 모듈로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모듈 간의 결합은 단추와 조각보의 상침기법을 사용하였다. 단추 연결 은 모듈의 가장자리에 중세사 굵기의 매듭사를 단추 지름 +0.3mm 간격으로 징근 후 단추 구멍 역할을 하 게 하였고, 직경 15mm 단추는 디자인 결합에 따라 필 요 위치에 부착하도록 하였다. 이 모듈 8개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세 가지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업사이클링 디자인 1은 한복의 T자형 실루엣을 적 용한 여성용 로브형 재킷이다. 앞, 뒤 각 2장씩의 모듈 이 몸판으로 사용되고, 좌우에 모듈을 앞, 뒤로 연결 하여 소매로 디자인하였으며, 앞중심 오픈형으로 연 결하였다. 업사이클링 디자인 2는 4개의 모듈을 결합 한 여성용 조끼 디자인으로 고름을 허리띠로 활용하 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셔츠와 레이어드 스타일 링을 할 수 있다. 모듈의 결합은 단추를 이용하여 조 립하였으며, 허리띠로 사용한 고름은 상침바느질로 길이를 이어주었다. 업사이클링 디자인 3은 8개의 모 듈을 결합한 스커트 디자인이다. 이 디자인의 경우, 허리 트임 위치에 따라 스커트 실루엣이 좌우 대칭과 비대칭으로 자유롭게 조립하여 표현이 가능하다. 허 리 사이즈는 모듈 결합 시에 단추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허리에는 고름으로 전통 치마의 말기를 응 용한 허리단을 상침으로 연결하였다.

    업사이클링의 리디자인에는 남성용 두루마기가 이 용되었고, 모듈을 개발하여 다양한 조합을 통해 무한 제품 생애 주기가 실현 가능한 여성용 의상 스타일을 제시하였다. 이때 활용된 두루마기는 소재 자체에 연 화당초문 문양이 새겨져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요소를 반영하였다. 제작 과정에서 남성 한복의 경우 넓은 평 면 재단으로 이루어져 새로운 패션디자인을 위한 소 재 활용에 있어 장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한복에 사용된 소재와 장식에는 전통 무늬가 반영 되어, 새로운 디자인 개발에 이용했을 경우 전통 고유 의 요소가 자연스럽게 적용될 수 있다.

    V. Conclusion

    산업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한편, 전통문화에 대한 관 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복을 이용한 리디자인은 환경 적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고 경 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원천을 제공한다. 본 연구 는 현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고 가치 있는 전통문 화를 지속하기 위한 실천 방안으로 한복의 리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 결과 패션 분야의 리디자인 개념 이 형태 변형 유무에 따라 분류되었다. 형태 변형 유 형으로는 리폼이 리듀스, 리사이클링, 업사이클링의 상위 개념으로 도출되었으며, 형태 보존 리디자인 유 형으로는 리유즈, 리플레이스, 리제너레이션이 도출 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리디자인의 방법을 리듀스의 리디자인, 리사이클링의 디자인, 업 사이클링의 리디자인 등 3가지 형태로 도출되었다.

    둘째, 이를 토대로 남성 한복을 이용하여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9개의 현대 여성복을 디자인하 였고, 그 중 재킷, 원피스, 조립식 모듈 등 3가지 아이 템을 제작하였다(Table 5). 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마고자를 리듀스의 리디자인 방법으로 여 성용 재킷을 제작하였다. 섶은 제거되었지만, 한복의 구성 디테일 중 자수와 마고자 단추를 디자인에 적용 하여 문화적 지속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결과를 통해 리듀스는 아이템의 변화 없이 작은 범위에서 변형이 나타나도록 구성요소 제거를 통한 리디자인이 가능하 며, 한복적 구성요소를 재조합하여 문화적 지속가능 성도 확인되었다. 둘째, 남성 바지를 이용하여 리사이 클링 디자인 방법으로 여성 원피스를 제작하였다. 연 구 결과, 리사이클링은 원본과 완전히 다른 아이템으 로 변화시켜 디자인될 수 있으면서도 한복적 구성 요 소의 적용이 다른 리디자인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용 이해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개발에 유리 하였다. 셋째, 업사이클링의 리디자인을 위해 모듈을 조립한 모듈디자인을 활용하여 여성복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결과는 모듈의 조립으로 제품수명 연장과 사 용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하게 디자인 및 아이템을 변 경시킬 수 있는 리디자인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 결과 는 폐한복의 원자재로서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복 은 평면 제작되어 입체 패턴인 서양복에 비해 2차 디 자인 시에 면적 활용에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복 하의와 겉옷의 풍성한 실루엣 또한 면적 확보 면 에서 이점을 가지므로 한복의 소재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의 원자재로서 가치를 지닌다. 또한, 버려진 한복 이 본래 지니고 있었던 소재의 패턴이나 자수와 같은 디테일, 그리고 한복 고유의 구성요소들이 리디자인 후에도 자연스럽게 유지되어 전통 복식의 요소를 반 영하면서 현대 소비자의 요구를 맞출 수 있는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패션디자인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리디자인은 의류 제품의 소비 후에 야기되는 환경적 문제뿐만 아니라 문화적 지속가능성 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 디자인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수의 폐한복을 대상으로 하였 으나, 한복 업체에서 대량으로 보유한 재고를 활용한 다면, 업체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지속가능의 실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속가능한 패션을 실현하 고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의 지 속성 및 창의적 패션디자인 기획에 실무적 방안을 제 시한 데 의미가 있다.

    Figure

    Table

    Types of redesign

    Redesign by reduce

    Redesign by recycling

    Redesign by upcycling

    Redesign result

    Reference

    1. Ahn, I. S. , & Bae, S. H. (2016). A proposition of fusion Hanbok by redesigning. Illustration Forum, 17(47), 61-70.
    2. Ahn, I. S. , & Kim, H. K. (2013). Development of sustainable fashion product -Through recycled traditional clothing, Hanbok-. Illustration Forum, 14(37), 155-164.
    3. Cho, E.-J. (2011). Consideration on ‘redesign’ in fashion industry through case studie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3), 105-116.
    4. Cho, Y. H. (2019). A study on redesign educational methodology through product reverse engineering.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58, 285- 297.
    5. Du, Y. Y. , & Kim, M. H. (2021). A study on the convergence re-design for sustainable fashion.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9(1), 103-113.
    6. Farley, J. , & Hill, C. (2015). Sustainable fashion: Past, present and future. London: Bloomsbury Academic.
    7. In, B. T. (2017, March 13). 문화의 4개 키워드 지속 성, 포용성, 형평성, 다양성 [The four keywords of culture are sustainability, inclusiveness, equity, and diversity]. Daejonilbo. Retrieved August 1, 2021, from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255506
    8. Jung, K. H. (2015). A case study on re-design of furniture products.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41, 67-80.
    9. Kang, H.-M. , & Lee, Y.-M.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knit fashion desig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6(2), 108-115.
    10. Kim, E.-J. (2017). Development of design for sustainable fashion culture products using old Hanb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0(4), 123-136.
    11. Kim, G. B. , Kim, J. H. , & Ahn, J. H. (Eds.). (2014). 유네스코 문화유산 개도국 협력 세미나 지속가 능한 문화유산 ODA의 방향과 전략 [UNESCO cultural heritage cooperation strategy seminar in developing countries: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cultural heritage ODA] (Report No.: CL/2014/Dl/l). Seoul: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12. Kim, H. I. (2015). A cultural dimension of sustainability -Focusing on cultural policy and arts management in Germany-. Cross-Cultural Studies, 41, 141-161.
    13. Kim, M. (2000). 한복(韓服) [Hanbok].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August 1, 2021,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95%9C%EB%B3%B5&ridx=1&tot=31
    14. Kim, S. , & Yoon, S. (2013). Fashion design development and type analysis of redesign using clothing detail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5(1), 191-206.
    15. Kim, S. H. , Kim, Y. S. , & Moon, J. H. (2017). The implementation plan for facilitating K-fashion wave with a focus on Korean fashion design. Journal of Culture Industry Studies, 17(4), 169- 179.
    16. Kim, S. L. (2020). A study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using the Korea traditional patchwork ‘Chogakbo’ technique: Focusing on environment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7. Lee, S. (2020). Development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applying the concept of modular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8. Ma, J. J. (2020, December). 블랙핑크의 한복 [Blackpink’s Hanbok]. Brunch. Retrieved August 1, 2021, from https://brunch.co.kr/@majinjoo/16
    19. Park, J.-Y. (2014). Upcycling redesign development in appar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20. Park, S.-J. (2016). A study on Alessandro Mendini’s re-design philosophy -Focus on the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Proceedings of the 2016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8, 168-171.
    21. Qiao, S. (2020). A study on the re-design for upcycling of fashion product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2. Ryu, J. H. (2016).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9(3), 202-209.
    23. Shin, J.-Y. (2017). A study on Alessandro Mendini’ re-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4. Soini, K. , Battaglini, E. , Birkeland, I. , Duxbury, N. , Fairclough, G. , Horlings, L. , & Dessein, J. (2015). Culture in, for and as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s from the COST action IS1007 investigating cultural substantiality. Jyväskylä Finland: University of Jyväskylä.
    25. Syn, H. (2011). A study on redesign for upcycling in fashion industry.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2(3), 259-270.
    26. Won, Y.-J. , Jin, B.-R. , & Kim, D.-Y. (2014). A study of recycle design in the aspect of sustainability -Focusing on furniture design. Proceedings of the 2014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40-143.
    27. Yeon, J. H. , & Park, J. (2020). A study on sustainable fashion design: Using the design method of RE;CODE. Journal of Fashion Design, 20(3), 107-125.
    28. Yoon, Y.-N. (2019). Analysis of policies and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Hanbok culture on K-5.0.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3), 159-171.
    29. Yu, J. E. (2016). Situations and challenges of ODA for sustainability of Asian cultural heritag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9(3), 270-285.
    30. Yu, M. J. (2018, November 7). 한복 모티브 패션 브 랜드 ‘通했다’ [Hanbok motif fashion brand ‘Through it’]. Apparelnews. Retrieved August 1, 2021, from http://m.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173520&cat=CAT100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