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3 pp.422-436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3.422

A study on the expression types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y images appeared in modern digital fashion

Junho Kang, Giyoung Kwon*
Ph. D.,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Center for Beautiful Agi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gykwon@knu.ac.kr)
May 3, 2021 June 21, 2021 June 22, 2021

Abstract


The fashion industry analyzes the value of its essence with ecological design and is expressed as an innovative sculpture using digital technology.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ecological images and digital technologies, categorizes types and derives their meanings through analysis of ecological images shown in modern digital fashion.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on ecological images and digital technolog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analyze the expression type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designs with ecological formability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related journals, books, and internet sites. The finding are as follows: The expression type was first identified as organic curved garment silhouettes of a non-material liquid with digital retouching. Second, ecological fashion design includes structural shape that applies the silhouette of an organism and patterning of the ecosystem. Third, ecosystems consist of interactions between components of an ecosystem that appear in the interactive type. Accordingly, the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in modern digital fashion are: first, digital fashion can encircle the inherent concepts of nature as organic collections of individuals; second, digital ecological images emphasize a sense of community with coexistence and harmony, playing a complementary role; and finally, the images express perceptual features by providing people with transcendent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nalyzes new formative features based on ecological systems in the digital fashion environment, establishes an aesthetic system through internal meanings, and enhances awareness of human-natural relationships.



현대 디지털 패션에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의 표현유형과 내적 의미

강 준 호, 권 기 영*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경북대학교 의류학과·장수생활과학연구소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오늘날 산업과 문화 전반에서 실용성과 기능성을 우선 가치로 강조하면서 디자인 분야는 자연이라는 근원적인 것에 대한 탐구를 다방면에서 진행하고 있 다. 특히 급속도로 발달한 첨단 디지털 기술이 생태학 에 접목되면서 단순한 형태적 진화와 기술의 결합이 아닌 태초의 자연으로부터 형성된 근원적 요소에 대 한 다각적 연구와 넓은 시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자연은 인간이 아름답다고 느끼는 대표적인 대상 물로서 미의 창조 활동에 무한한 소재를 제공하는 모 티브이다(Kim & Hyun, 2020). 또한 자연을 회복하고 생태체계를 복원시키고자 하는 사회적 현상은 자연과 자연 안에서 발견되는 유기체의 구조와 기능 및 환경 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생태학에(Kong, 2003) 대한 관심을 더욱 가속화시켰으며, 디자인 분야에서는 생 명체의 본질적 근원을 찾아 조형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들이 생겨나면서 생명체의 본질에 가치를 부여하 고, 생물학적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며 맥락적 환경 에 유연하게 반응하는 유기체적 디자인 개념이 요구 되었다(Ahn & Song, 2009). 유기체는 일정한 생활목 적에 따르는 생활기능을 가진 조직체인 동식물을 뜻 함과 동시에 부분이 일정한 목적에 따라 각 부분과 전 체가 필연적 관계를 가진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Sung, 2003), 유기체적 디자인은 생물학적 혹은 물리학적 자 연 현상의 형상성이 기능적 요소와 조화를 이루며 형 태화되거나, 비가시적이며 비물질적 요소가 유기체적 관계성을 가지며 조형 형태를 결정짓는 등 다양한 방 법으로 해석되어 나타난다(Song & Kim, 2015).

    이처럼 생태적 측면에서 유기체적 디자인은 자연 의 사물과 현상을 대상으로 형태와 특성을 관련시켜 조직해가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는 자연 형상 의 모방을 통한 감각적 형태 재현과 자연 내면을 인간 의 정신세계로 승화시키는 관념적 형태 표출로 나타 난다.

    현대 패션산업은 생태적 디자인의 트렌드를 반영 하여 테크놀로지가 접목된 첨단 기능성 소재 및 혁신 적 스마트웨어의 아이디어와 기술의 원천을 생태학적 특징에서 탐색하고, 심미적 측면에서도 정서적 안정 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조형미에 대한 탐 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생태적 이미지를 활용한 디지털 패션은 인간과 자연 전체의 공존과 조화, 인간 활동과 자연 생태의 유기적 관계 형성을 추구하고, 자 연 형상이 내포하고 있는 관념적 이미지를 물리적 환 경에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현실과 가상의 한계에서 벗어난 비정형적, 비구축적, 무정형적 표현 특성을 보여준다.

    현재까지 생태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디자인 연구 들은 생태학적 디자인을 고려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 구(Choi, 2004), 생태학 관점에서의 환경디자인 패러 다임 연구(Park, 2011) 등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친 환경적인 측면을 주로 강조하고 있으며,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바이오미미크리 건축 디자인 요소 연구 (Choi, 2014),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현대디 자인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Yun, 2012) 등과 같 이 생체모방의 관점에서 형태적 분석 등이 주로 이 루어졌을 뿐 자연과 환경, 생명체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두 아우른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본 패 션디자인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의 물리적 현상과 생명체, 그 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보이는 생태적 이미지 를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여 표현한 패션의 유형과 내 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패션 디자인에 기존과 차별 되는 새로운 조형미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목 표를 두었다. 생태적 이미지를 반영한 디지털 패션디 자인은 자연에 대한 근본적 미의 추구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며, 환경 문제의 인식 제고를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 한 디지털 환경에서 구현되는 생태적 디자인의 새로 운 형태와 내포되어 있는 감성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조형방법론으로서 역할하리라 기대할 수 있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생태 이미지와 디 지털 테크놀로지와 관련한 문헌조사를 하였으며, 디 지털 패션에서 보이는 생태적 이미지의 표현유형과 내적 의미 분석을 위해 생태학적 조형성이 보이는 디 자인을 관련저널 및 외국서적, 인터넷 패션 사이트 등 에서 사례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II. Theoretical Background

    1. Ecology images and digital technology

    생태란 생물이 자연계에서 생활하고 있는 모습 혹 은 생명체 간, 생명체와 환경 간의 상호관계와 상호의 존성(Kim, Lee, Lee, Jung, & Choi, 2016)을 뜻하며, 생태학은 우리 인간들의 삶을 존재하게 하는 자연과 그 안의 생물들과 인간을 연결해주는 학문으로 삶의 터전인 자연 자체의 존재에 대한 연구, 자연에서 살아 가는 생물들의 관계와 질서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생태학(ecology)이란 말을 처음 사용한 독일의 생물 학자 헥켈(Haeckel)이 개념을 정립한 이래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생태학이란 동물의 유기적 조직과 동물의 생활 장소와 동물과 다른 생물과 무생물, 유기 와 무기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이해된다(Han, Lee, & Kim, 2011).

    생태시스템(ecosystem)은 일정한 지역의 생물 공동 체와 이들의 생명유지의 근원이 되는 무기적(無機的) 환경의 상호의존관계를 유지하면서 균형과 조화를 이 루는 자연의 기능적 체계를 뜻하는 것으로 생물요인 과 비생물적 환경요인으로 구성된다. 생물요인은 동 식물 등을 의미하며, 비생물적 환경요인은 햇빛, 물, 공기, 온도 등 생물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서로 상 호작용하며 영향을 주고받는데, 생물의 탄생, 성장, 활동과정에서 배출된 부산물은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 시키고, 에너지원으로 재사용되며, 이는 자원과 에너 지를 순환적으로 재사용하는 생태시스템의 작동방식 에 포함된다.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는 자연의 힘을 이용하거나 또는 자연에 적응해서 지구상에 계속 존속하여 왔으 며, 인간 생활에 필요한 도구에는 유기체를 형성하는 내외부의 형태, 조직을 구성하는 구조의 질서, 환경에 반응하는 상호작용 등 다양한 생태적 이미지가 반영 되어 나타난다. 자연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과 자 연을 대상으로 한 추상적 개념을 조형요소로 새롭게 재해석하여 보여주는 예술장르인 바이오모픽 아트 (biomorphic art)는 유기적이며 가변적인 생물 형상의 본질만을 함유한 이미지를 표현한 것으로 예술창작과 생명생성 사이의 유사성을 담아낸다(Shin, 2019). 한 스 아르프(Jean Arp)의 작품 <Fig. 1>은 생물체의 유기 적 곡선 형태를 통해 생명의 내적 감각과 자율적 성장 단계를 표현하며, 자연의 모티브를 감성적인 측면과 연결시킨 추상적 휴머니즘을 가지고 있다.

    조형의 주요 원리인 조화는 자연의 유기적 질서에서 비롯된 유사(類似) 본능과 같은 감각으로(Shin, 2008), 역사적으로 인간은 아이디어 발상의 근원으로 자연의 생명체를 모방하여 새로운 도구를 고안하였고, 일상 생활에 활용하여 왔다. <Fig. 2>의 자전거 헬멧은 달팽 이의 조직과 표피를 모방한 디자인으로 충격 흡수 장 치와 공기 순환 시스템의 기능적 요소를 접목한 생태 적 디자인이다(Kapsali, 2016). 이처럼 생체모방은 디 자인 영역의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Yun, 2013).

    최근 발달된 디지털 환경에서 생태 미학적 접근을 통한 디자인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가지는 자연친화적 감성이 무의식적으로 표출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Park & Park, 2011). 디지털 기술은 생태계에서 볼 수 있는 자연의 질서와 형상, 생명체의 시스템 등을 조형적으로 새롭게 구현하여 건축물이나 여러 산업디 자인 등이 요구하는 기능성을 충족할 뿐만 아니라, 환 상적인 미를 나타내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아 날로그 세계를 구성하는 자연, 물질적인 인공물, 비물 질적인 문화적 창조물을 모두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Negroponte, 2014), 더 자연친 화적이고 환상적인 생태이미지를 표현한 사례들이 조 형예술을 비롯한 인간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보여지 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단순한 형태적 모방이 아닌 생태적 진화 과정과 시스템의 융합을 통해 새로 운 미학적, 기능적 형태로 발전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과학적, 철학적 관점에서 인간과 자연의 상호관계를 새로이 설정함으로써 생태적 개념이 재정 립되는 계기를 가져왔다.

    2. Ecology images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 design

    이미지는 어떤 사물이나 대상에 대하여 개인의 내 면에서 떠오르는 직관적 인상 혹은 표상을 뜻하는 것 으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근원이 된다. 디자인적 측면에서 자연은 인간에게 시각적 유희와 조형미를 제공하는 예술적 영감의 원천인 동시에, 자 연의 질서와 구조 시스템을 통해 기능적 아이디어를 주는 조형 도구로 역할을 한다. 또한 인간은 자연에 존재하는 여러 형상뿐만 아니라, 그 속에 내재된 상징 적인 표현과 기능을 함축적 예술로서 표출하였다. 인 간을 비롯한 자연의 생명체와 자연 현상과의 상호 연 관성을 고려하여 예술작품으로 창조하는 생태적 예술 은 생태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유기적이고 순환적인 고리로 연결된 관계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연 현상 의 상호 연관성, 변화와 변형의 순환성, 지속가능성, 재생 가능성 등에 가치를 부여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 전은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생동감 있게 자연의 현상 을 되살리고 조형적으로 재구조화한 미를 나타내는데 기여하는 방향으로 생태적 예술의 진화를 가져왔다. 그리하여 예술작품도 하나의 유기체처럼 외부환경에 반응하고, 자가 변형을 통해 비정형적 형태를 가지는 등 작가의 자유로운 발상이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현실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이처럼 디지털 환경에서 생태적 이미지는 인간의 예술의지와 자연의 논리가 융합되어 창조된 것으로 생태적 진화 과정과 같이 새 로운 조형미로 재탄생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태적 예술은 자기 생성적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다.

    <Fig. 3>의 돔 형태의 조형물은 아마존 본사 건물 중 하나로 벌집과 같은 구조적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건축물의 내부에서 서식하고 있는 4만여 종의 식물과 700여 종의 곤충을 위해 외부환경에 따라 온도와 습 도가 조절되는 첨단 자동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으 며(Lloyd, 2018), 이러한 도심 속의 생태계를 이루는 자연환경은 직원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한다. 생태 시 스템이 적용된 인공적 자연환경의 조성은 자연 발생 적 구조와 형태를 차용하여 생태계의 기능적 장점을 부여한 것으로, 현대 디자인 분야에 자연친화적 사고 를 통한 인간성 회복이라는 문화적, 감성적 치유의 역 할을 하는 긍정적 모티브로 이해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또한 복잡하고 미묘한 생태적 디자 인의 재현을 가능케 하는데, <Fig. 4>의 의자는 압축된 종이 재료를 3D 레이저 컷팅 기법을 활용하여 풍화현 상으로 인해 변모된 자연의 유기적 형태와 야생동물 의 패턴을 적용한 것으로(Kilic, 2013) 생태적 모티브 를 디자인에 이용한 사례를 보여준다. 이처럼 산업디 자인 분야에서 과학기술은 다양한 자연의 소재를 활 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자연의 구조적 형태를 분석하여 생태계가 가지는 유기적 질서를 패 턴화한 디자인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보여주는 <Fig. 5>의 디지털 캔버스는 관람객의 움직임에 따라 실제 폭포 의 파편이 튀기고, 꽃잎이 떨어지는 현상을 체험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Team Lab, 2016). 이러한 인터랙티브 형의 미디어 아트는 생태환 경과 자연기후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정하여, 유동 적인 환경 변화를 가상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함으로 써 인간과 자연의 쌍방향 소통을 추구하고, 이러한 자 연으로부터 태동한 시각적 조형물과 이미지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성을 회복하고, 심리적 안전의 욕구를 충 족시키는 매개체로 활용된다. 이와 같이 조형예술 분 야에 있어서 자연은 예술적 표현 수단으로 수없이 다 양하게 활용되어 왔으며, 시대적 상황과 배경의 변화 에 따라 자연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방식도 자연스럽게 변화해 갔다(Kim, 2012). 생태적 이미지 는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여 자연의 구조와 형태의 관 찰을 통해 유기적 질서를 모방하고,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표면 이미지를 새로운 해석을 통해 유연한 시각적 질서로 창조한다. 또한 디지털 기술과 결합된 생태적 디자인은 산업적 측면에서 형태와 기능을 향 상시킬 뿐만 아니라, 심미적 측면에서 미적 시각을 확 장하고, 간접적 체험을 제공하여 수용자들에게 자연 모티브의 감성 이미지를 제공하며, 인간의 삶과 정서 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효과적인 도구로 가치를 가진 다. 조형예술 분야에서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는 자연 의 유기적 질서를 모방한 유형, 자연의 근원형식을 패 턴화 시킨 유형, 생태시스템 기반의 인터랙티브 유형 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3. Digital technology and fashion

    디지털 기술은 DTP와 3D 프린팅을 통한 디자인, 가상패션디자인과 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디지털 하이테크가 의상과 결합된 인터랙티브 패션, 디지털 패션쇼와 디지털 패션 매거진, 그리고 패션 필름, 가 상피팅룸 등 기존의 패션이 활용되는 범주를 넘어서 는 첨단 기술 분야까지 다양한 형태로 현재 패션산업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다(J. H. Park, 2017).

    3D 프린팅 기술은 디지털 그래픽 작업을 통해 제 품을 디자인하여 디자이너의 의도대로 이미지를 구체 화할 수 있도록 하며(Yang, 2013), 신소재의 활용으로 패션제품의 구조와 기능을 강화하고, 친환경 소재를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등 기 존의 디자인 한계를 벗어나 조형예술로서의 가치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의 변이과정을 형상화한 <Fig. 6>의 코르셋은 옥수수 녹말에서 추출한 필라멘 트를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통해 적측 가공 기술로 구현한 것이다(Irenebrination, 2020). 이는 디지털 기 술이 생태의 구조적 형태를 관찰 모방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패션디자인 발상 영역의 확장을 가져온 사 례를 나타낸다. 가상패션 디자인은 제작과정을 단축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며, 디지털 기술을 접 목한 인터랙티브 디자인은 패션을 매개체로 새로운 소통의 경험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수한 목적 이나 용도를 위한 기기가 부착된 패션 아이템은 착용 자의 움직임, 외부로부터의 반응, 타인과의 소통 등을 데이터화하여 새로운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패션이 라는 개념을 확대한다(Lee, 2011). 생체 인식기술은 착장자 또는 관찰자의 행동에 따른 의복 형태의 자가 변형을 가능케 하며, 디지털 패션쇼는 미디어를 통한 공간 확장을 통해 수용주체를 다각화하고 현대 패션 의 미학적 감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은 패션쇼의 무대 장치, 패션 매장의 가상 피팅룸, 패션매거진, 패션필름 등에 활용 되면서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고, 가상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현실적 요소를 멀티 감각으 로 지각 가능하게 하며, 비주얼 디스플레이 측면에서 도 차별화된 연출로 시각적 흥미를 전달한다. 오늘날 디지털 패션은 오감을 활용한 멀티 감각의 제공으로 수용자와의 상호소통을 지향하고 있으며, 생태적 이 미지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친화적 조형 예 술로 표출함으로써 표현영역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패션은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공동체로서 인식된다.

    Ⅲ. Expression Types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y Images in Modern Digital Fashion

    1. Expression types of ecology images in modern digital fashion

    조형예술 분야에서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의 유형 을 근거로 현대 디지털 패션에서 보여지는 생태적 이 미지의 유형을 자연의 유기적 질서를 모방한 유형, 자 연의 근원형식을 패턴화시킨 유형, 생태시스템 기반 의 인터랙티브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1) Type that mimics the organic order of nature

    인간은 조화롭고 이상적인 삶의 영위를 위해 자연 의 근원적 형태와 의미를 이해하는 노력을 지속적으 로 해왔다. 디자인적 측면에서 자연은 자유로운 변화 와 비정형적인 형태를 가지지만, 그 속에 내재된 유기 적인 질서와 법칙의 해석을 통해 다양한 조형미로 표 현되어 왔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자연의 근본으로부터 영 감을 받은 모티브에 대한 조형적 해석과 그에 따른 유 기적 질서를 표현가능하게 하고, 자연이 지닌 구조적, 형태적, 기능적 측면을 패션디자인으로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미적 기술 시스템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생태적 측면에서 자연 모방 디자인은 생태계의 다 양한 전략을 차용하는 디자인 접근방식으로서, 인류 삶의 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연과의 공존을 모색 하는 혁신적인 디자인 방법론으로 글로벌 디자인 마 켓에서 새로운 역할을 할 수 있다(Nam, 2013). 자연 의 유기적인 생명력을 형상화하여 패션디자인에 반영 하는 프로세스는 생태시스템의 효율과 미적 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하는 친환경적인 행위로서, 이를 통해 인간의 신체 및 심리적 안정감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 켜주며, 환경적인 측면에서 자연과의 상호 소통을 가 능하게 한다(Kang, 2021).

    <Fig. 7>은 우유의 액체 방울이 인체와 바닥 표면에 충돌하면서 생기는 유기적인 곡선의 형태를 순간 촬 영 기법과 그래픽 리터치를 통해 재현하였다. 액체와 표면의 충돌에 의해 생성되는 코로나 스플래시(corona splash)는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에서 분자의 응집력이 관성력에 의해 나타나는 자연 현상 (Na, 2021)으로서 인위적으로 구현하기 힘든 자연발 생적 곡선의 실루엣은 비물질의 소재가 패션에 활용 된 사례를 보여준다. 기체의 흐름을 보여주는 <Fig. 8> 은 바람의 유기적인 형태를 의상 실루엣에 적용하면 서 색다른 조형미를 표출한다. 바람의 모티브를 활용 한 디자인은 관념에서 벗어난 비정형적 실루엣으로 나타나며, 라텍스 소재에 프린트된 생태적 이미지의 문양은 디지털 그래픽 이미지를 통해 브랜드 콘셉트 를 강하게 전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Asylvm, n.d.). 건축가 자하 하이드(Zaha Hadid)의 프로젝트인 <Fig. 9>의 의상은 시간의 흐름과 자연의 풍화현상으로 변모 하는 생태적 이미지를 디지털 가상공간에서 3D 모델 의 비율 구성 요소들을 매개 변수화하여 형태를 생성 하는 파라메트릭(parametric) 모델링(S. Y. Park, 2017) 과 3D 레이저 컷팅 기법을 활용하여 텍스처에 입체적 인 고저차를 띠는 곡률형태의 문양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때 생기는 음영효과는 관찰자의 시선에 따라 다양 한 조형미를 표출한다. <Fig. 10>은 그래픽 기술을 활 용하여 드레스와 파도의 물결이 하나의 개체로 융화 된 형상을 보여주며, 디지털 아티팩트(Digital Artifacts) 에서 선보인 <Fig. 11>은 케이블에 매달린 모델이 왁 스에 담겨진 후 흘러내린 상태가 굳어져 만들어진 의 상을 그래픽 리터치로 표현한 것이다(Design Indaba, 2013). 이들 두 드레스 사례에서 보이듯이 자연 현상 에서 발생한 조형성을 디지털 기술을 통해 구현한 것 은 기존의 패션디자인에서 불가능했던 자연의 형태와 색채를 표현하는 방법의 가능성 확대를 나타낸다(Lee, Kim, & Choi, 2013). 이처럼 디자이너들은 자연의 비 정형적 형태 속에 내재된 질서에 대한 탐구와 미적 해 석을 통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생태적 이미지를 새 로운 실루엣 형태와 색채, 소재, 표현방법 등을 활용 하여 독특한 조형적 특징을 보이는 작품들을 발표하 였다.

    2) Patterned type of nature’s source form

    자연 생명체의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분자 생물학 적 형태는 디자인적 측면에서 아름다운 균형미를 가 진 근원적 조형성을 내포하고 있다. 예술의 형상에 자 연의 전체가 들어 있다면, 이는 철학적 측면에서 근본 을 의미하는 독일어 ‘Urform’으로 표기되는 근원형식 이라고 할 수 있다(“Urform”, n.d.). 즉, 예술작품이 보 여주는 것은 자연의 핵심이고 기본형태이며, 그 형태 가 자연이 가진 원래 모습이라면, 형식은 예술이 그려 내는 모습이다(Moon, 2018).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생태적 이미지의 패션디자 인은 자연의 질서와 현상 그리고 생명체가 지닌 유기 적 형태를 조형적으로 창조하는 과정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자연과 유사한 형태의 복잡한 질서를 분석하고 재창조한다(Choi, 2011). <Fig. 12>의 드레 스는 버섯을 구성하고 있는 균사체 형태의 디테일을 문양과 실루엣에 적용하여 구조적 형태미를 나타낸 것이다.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 조각 들을 수거하여 의복의 소재로 삼았으며, 3D 프린팅 기법을 통해 숲의 나무들이 균사체로서 거대 네트워 크를 형성․협력하는 우드 와이드 웹(wood wide web) 을 표현하였다(Persson, 2021). 이는 자연을 새로운 시 각에서 바라봄으로써 패션과 과학, 자연과 기술의 조 화와 상호작용이라는 복합적 해석을 통해 독창적이고 환상적인 조형의 미를 구현한 것이다. 그래픽 디자이 너 리즈베스 안토니(Lisbeth Antonie)와 협업한 KTZ 컬렉션 <Fig. 13>은 마치 돌의 단면에서 볼 수 있는 듯한 마블링의 색 조화와 비정형적인 실루엣으로 기 존의 의상 형태를 파괴한 전위적인 조형미를 나타낸 다. 또한 모델의 동작에 의한 부조적 표면의 반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모하는 자연의 순리와 질서를 패션 디자인으로 표현한 것으로 기존 소재로는 표현 불가능한 자연의 초현실주의적인 분위기를 나타낸다. 동물의 골격에 기초한 <Fig. 14>의 의상은 나비의 섬 세함과 여러 겹으로 구성된 형태를 재해석하고, 빛을 반사하는 금속 소재를 다층의 레이어드로 조형화하여 표현하였으며, 디지털 그래픽을 활용한 리터치 기법 으로 시각적 메시지를 강화하였다.

    <Fig. 15>는 컴퓨터를 이용해 운동이나 구조 등을 설계하는 기술인 키네매틱스(kinematics) 시스템(W. J. Lee, 2012)을 적용한 것으로, 4D 프린팅으로 제작된 드레스는 신체의 위치와 움직임까지 감안하여 소재의 강도, 위생, 유연성, 패턴을 결정하는 등 수천 가지의 연동 요소로 구성된 디자인이다(Rhine Capital, 2015). 이는 자연의 미시구조에서 보이는 패턴들을 반복되는 유닛으로 표현한 것으로 기존과 다른 새로운 텍스타 일 표현형식을 보여준다. 3D 프린팅을 보완한 키네매 틱스의 4D 프린팅은 인체 스캔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 의 움직임에 따른 변화양상을 파악하여 내․외곽의 속성정보와 공간 이미지를 고려한 유연한 소재로 디 지털 의상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Fig. 16> 의 의상은 인체의 곡선에 따라 입체적인 프레임을 구 조화하고, 꽃을 형성하는 개개의 세포를 옵티컬적으 로 표현하였다. 드레스에 표현된 3차원의 신체라인과 꽃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적 선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자연스럽게 중첩된 조형미로 나타난다. 이처럼 자연 을 모티브로 한 패션디자인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 여 생태계의 보이지 않는 이면의 모습과 질서를 시각 적으로 구현하며, 기술적 진보를 통해 기존의 재료로 불가능한 표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미적 범주를 확 장하고 있다.

    3) Ecosystem based interactive type

    생태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기능성과 효율성은 산 업분야에 다양한 아이디어와 영감을 주는 근원으로서 생태학적 현상을 기술을 통해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생태시스템은 최소의 규칙으로 구성 요소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체계를 가지고 지속적인 진화를 하며, 자기조직화의 특징적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때 자기조직성은 자연의 복잡성을 창조하여 개체간의 행 동과 피드백의 순환형태로 서로의 행동을 변화시켜 스스로 증식한다(Cho, 2019).

    <Fig. 17>은 생태를 구성하는 조직을 수학적인 원 리로 분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그림인 보로노이 (voronoi) 다어어그램(J. R. Lee, 2012)을 활용하여 LED 광원으로 표현하면서 발생되는 빛의 잔상을 유 기적 형태로 나타낸 작품이다. 두 겹의 층으로 구성되 어 있는 드레스의 내부에는 착장자의 감정을 포착하 여 외부로 컬러를 투영하는 생체인식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감성적 인터랙티브를 반영한다(Weir, 2007). 발광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은 광원의 형태와 구성에 따라 다양한 컬러와 조직의 패턴화가 가능하고, 의복 외부공간까지 확장된 실루엣은 고정된 미의식의 변화 를 가져왔다.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동물의 골격을 조형화한 <Fig. 18>의 드레스는 착장자의 개인 공간을 보호하기 위해 생체 신호를 읽는 인텔 에디슨 칩(Intel edison chip)이 장착되어 있으며, 호흡 센서에서 수집 한 데이터에 따라 반응하여 동작한다. 스파이더 드레 스는 착장자의 호흡 분석을 통해 위협적 상황을 인지 하는 순간 어깨의 뼈 형상이 외부로 뻗는 방어적 행동 이 작동하며(Praet, 2015), 이는 거미의 영역보호 본능 을 패션의 조형미로 나타낸 것이다.

    <Fig. 19>는 맥박에 의해 의복의 입체적 주름이 인 체의 장기처럼 동작하는 드레스로서 디지털 기술을 활 용하여 생태시스템을 모방한 인터랙티브 디자인이 다. 의복에 적용 가능한 유연성을 가진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소재와 착용자의 내․외부 환경정 보를 수집하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 화를 물리적 상태로 바꿔주는 액추에이터(actuator) 기술로 원단을 동작시킨다(Irenebrination, 2019). 이처 럼 디지털 환경에서 생태적 인터랙티브 디자인은 패 션과 기술을 결합하여 혁신적이고 쌍방향적인 의류 를 창조하려는 시도로서 인간과 개체가 상호관계 속 에서 얽히면서 유동적 형태로 변모하는 조형성을 보 여준다.

    동물의 피부는 온도와 습도 또는 두려움, 불안, 위 험의 심리적 상황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내․외부 자 극에 반응하여 팽창하고 수축하며 모양을 바꾸는 끊 임없이 변화하는 요소이다. 피부의 움직임을 알려주 는 형상기억합금(SMA) 액추에이터 기술을 사용한 <Fig. 20>은 근육 메모리 시스템 형태로 조립된 작동 체계를 통해 관찰자의 시선에 따라 표면이 움직이는 의복으로서, 신체적 특징을 재현한 것이다(Material District, 2016). 생태적 이미지를 활용한 의복은 피부 자체의 유연한 동작을 모방하여 외부의 자극에 따라 반응하여 환경에 적응하도록 설계되었고, 디지털 기 술을 통해 생태적 시스템을 의복에 재현함으로써 인 간의 능력을 확장시킨 비정형적 조형미를 나타낸다. 증강현실 기법을 활용한 <Fig. 21>의 티셔츠는 세계자 연기금(WWF)에서 야생동물 보호 캠페인의 일환으로 판매하는 의류 상품으로 착장자가 매장에 설치된 매 직 미러(magic mirror)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는 순 간 붉은 액체가 뿜어져 나오게 된다. 이는 생태계의 파괴와 무분별한 사냥으로 멸종되어가는 야생동물의 죽음을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의식의 전환과 행위의 영향을 가상적 연출로 표현한다.

    <Fig. 22>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생태적 이미지 의 표현기법과 패션유형을 정리한 것이다.

    2. The internal meanings of ecology images in modern digital fashion

    1) Homage to natural beauty with digital ecology

    자연의 미를 탐구하는 것은 자연이 가진 총체적인 질서를 표현하기 위해 유기체의 형태적 차용 즉, 자연 의 유기적 요소를 모방하고 은유함으로써 형태를 재 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다 넓은 맥락에서 성장과 변이와 같이 유기체를 형성하는 법칙성을 적 용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유기적 접근을 통해 기술과 미학의 조화를 가진다는데 의의가 있다(Jeon, 2005). 자연의 생태적 이미지는 패션디자인의 모티브로 활발 히 활용되어 조형적 형태로 표출되고 있으며, 이는 자 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오마주로 이해될 수 있다. 오마 주는 선구자에 대한 존경, 경의의 표현을 뜻하는 것으 로(Han, 2011), 디자이너들은 패턴에 대한 아이디어 또는 콘셉트에 대한 영감을 얻기 위해 오랜 침식의 과 정을 거친 암석이나 화석 등을 조사하고, 답사를 하거 나 동식물에서 영감을 얻어 독창적인 그래픽 아이콘 을 완성하고, 자연의 미를 보여주는 다양한 컬렉션을 발표한다(Kim, 2020).

    <Fig. 7>과 <Fig. 10>은 자연의 조형미를 관념화하 여 시각화한 사례로서 가상의 비물질적 이미지를 현 실에서 표출한 것이다. 또한 디지털 패션에서 생태적 이미지의 활용은 <Fig. 8>과 <Fig. 13>에서 보듯이 실 루엣, 문양, 컬러 등의 조형요소에 자연 형상을 직접 적으로 차용함으로써 조화에 대한 색다른 아이디어를 제공하거나, <Fig. 15>, <Fig. 16>과 같이 자연의 구조 적 형태를 재현함으로써 심미성과 기능성을 부여하기 도 한다. 이는 자연이 가진 형태와 구조를 미학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미적 감각을 제안하는 것으로 이 해할 수 있다(Kim, 2005). 디자이너들은 자연에 대한 탐구를 통해 자연의 형상을 사실적으로 구현하거나, 추상적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실제의 자연 형상을 가 상적 이미지로 표현하며, 이 때 생태적 이미지는 창조 적 영감을 주는 모티브로서 디지털 기술에 의해 가상 과 이미지가 중첩된 색다른 시각 이미지로 표현된다. 이처럼 패션산업에서 디지털 패러다임은 자연의 모든 표면적 현상과 내재된 개념을 개체들의 유기적인 집 합체로 오마주할 수 있으며, 통합된 형태는 생태적 조 형미를 재현하여 시각적 편안함과 익숙함을 제공하 고, 자연에 대한 새로운 미적 시각을 부여한다는 점에 서 의미를 가진다.

    2) Realization of relationships as a community organism

    기술발전에 따른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은 산업 분 야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예술분야에서는 조형성 을 확대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물질적 삶 의 추구로 사회 환경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 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시점에 패션산업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자연친화적 디자인을 통해 인 간과 자연의 관계성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유기체와 환경을 아우르는 생태계의 균형과 조화를 중시하는 생태적인 관점은 친환경적인 세계를 만들기 위해 새 로운 테크놀로지를 실용화하고, 이에 따라 나타난 기 술혁신성은 기능성과 감성을 융합하여 자연과 현실을 활기 있게 통합하여 현대적인 감각으로 나타낸다(Park & Lee, 2013).

    디지털 기술은 자연의 외형뿐 아니라, 내면을 구성 하고 있는 조직을 관찰할 수 있게 하고, 가상 환경에 서 분석된 생태적 이미지가 인체의 곡선에 따라 입체 적인 프레임으로 구조화되면서 인간과 자연은 자연스 럽게 의복을 비롯하여 사진, 영상 등의 패션매체에 중 첩된다. 자연환경과 생명체, 그리고 의복이 하나의 프 레임에 어우러진 디지털 이미지는 심미적 표현을 확 장하고, <Fig. 19>, <Fig. 20>과 같이 환경에 따라 변모 하는 의상은 상호간의 존재감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디지털 패션에서 생태적 이미지의 활용은 인 간 활동과 자연 생태계의 유기적 관계 형성 및 공존과 조화를 통한 공동체 의식과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하 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최근 소재, 가공, 생산 과 정에서 야기되는 환경오염과 노동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지속가능성과 친환경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해결책으로 디지털 가상 패션이 대안으로 대두되기도 한다. 식물과 미세플라스틱을 소 재로 한 <Fig. 12>와 <Fig. 15>는 친환경적 패션산업을 지향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Fig. 9>와 같 이 가상 환경의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일련의 공 정에서 발생되는 환경과 관련된 문제점을 방지하고, 접근 불가한 자연 환경의 모습을 담거나 생태적 이미 지를 활용한 디지털 콜라주 표현형식을 통해 유기적 공동체로서의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을 제시한다.

    3) Expression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as a tool for expanding human capacity

    눈부시게 발전한 디지털 환경은 인간의 정신적, 신 체적, 감각적 커뮤니케이션을 확장시켜 자연에 대한 이해와 감성을 높이고, 친밀감을 부여(Park, 2016)하 는 등 인류의 생활과 감성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고 도의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의상은 인간에게 생태적 변화에 따른 초월적 경험을 선사하는데, 환경과 패션 이 함께 변모하는 시각적 요소를 통해 수용자는 자연 에 대한 감성적 자각이 가능하다. 예로 <Fig. 11>에서 보이는 중력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된 자연 그대 로의 형태는 단순한 패션의 개념에서 벗어나 철학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예술 행위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Fig. 17>, <Fig. 18>과 같이 외부환경에 의해 변모하 는 생태적 이미지를 접목한 디지털 패션은 수용자에 게 가상의 자연 환경을 조성하고, 다감각적인 체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패 션 콘셉트의 이해를 도모하는 등 공감대 형성에 기여 함으로써 차별적인 마케팅 전략이 된다. 이처럼 디지 털 기술은 가상의 자연 환경을 연출하고 조정함으로 써 인간 능력의 확장도구로 역할을 하는데, 증강현실 기술을 접목한 <Fig. 21>의 패션 사례는 생태계가 가 지고 있는 이슈들을 감각적인 체험을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는 패션이라는 매개체를 활용하 여 인간의 지각에 호소한 것으로 지각적 조형성이라 는 가치를 패션에 부여한다. <Fig. 23>은 현대 디지털 패션에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의 표현유형과 내적 의 미 간의 관련성을 정리한 것이다.

    Ⅳ. Conclusion

    최근 발달된 디지털 기술은 자연의 질서와 형상, 생태시스템 등을 활용한 조형미의 구현으로 다양한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기능적 요구를 충족하고, 새로운 미적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자연의 모티브를 활용한 조형예술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비물질의 표현과 세 밀한 형태를 구현하며, 생태 시스템을 근거로 한 상상 의 디자인을 현실에서 재현한다. 이는 자연의 근원형 식으로부터 비롯된 조형미를 표현한 것으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생태적 이미지의 디자인은 현대 산업 의 심미적, 기능적 한계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며, 인 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을 회복하는데 기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적 이미지와 디지털 기술에 대해 고찰하고, 조형예술 분야에서 보여지는 생태적 이미 지를 분석한 후, 현대 디지털 패션에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의 표현유형을 범주화하고 내적 의미를 도출하 였다.

    현대 디지털 패션에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의 표현 유형은 자연의 유기적 질서를 모방한 유형, 자연의 근 원형식을 패턴화한 유형, 생태시스템 기반의 인터랙 티브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비물질체인 액체의 유기적인 곡선 형태를 디지털 리터치를 통해 표현한 의복이나 자연 현상을 3D 레이저 커팅으로 유기적 곡 률형태로 표현한 패션 등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자연 의 유기적 질서와 형태를 모방한 유형으로서 자연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이들 디자인들은 기존의 자연의 형상과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을 확대하며, 독특한 조 형미를 보여준다. 둘째, 생태계에서 볼 수 있는 유기 체의 미세한 구조와 형상들을 모티브화하여 의복의 문양과 구조적인 실루엣에 적용하고, 3D 프린팅과 그 래픽 프로그램으로 자연의 질서와 현상에서 보이는 조형적 형태들을 패턴화한 유형은 다양한 신소재와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생태적 이미지를 표현한 것으로 이들 디지털화 된 패션 텍스타일은 기존 소재로는 표 현할 수 없는 극사실주의적인 자연이미지를 표현가능 하게 함으로써 패션소재와 표현의 범주를 확장한다. 셋째, 생태계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 간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생태 시스템은 생체 인식 센서를 통해 착장 자에 의해 색이 변하거나 움직임에 따라 골격과 근육 이 자가 변형되는 인터랙티브 유형의 패션으로 나타 났으며, 이러한 유동적인 형태의 디자인은 다채로운 시각적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인간과 자연 그리고 패 션 간의 유기적인 관계 정립을 보여준다.

    조형요소의 측면에서 현대 디지털 패션에 나타난 생태적 이미지는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조형미를 직접 적으로 적용한 비정형적인 실루엣 또는 신체라인을 따른 유기적인 곡선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발광을 통해 실루엣의 외부 확장을 가져오거나, 생태적 이미 지를 재현한 모티브를 중첩함으로써 경계가 모호한 실루엣의 특징을 나타낸 의상들은 자연의 유동적인 가변성을 표현한다. 자연 현상을 적용한 의상은 시간 의 흐름과 중력에 의해 나타난 자연발생적 표면의 재 질과 문양으로 표현되고, 생태적 이미지의 관찰과 분 석을 통해 마이크로 이미지를 조형적 관점에서 시각 적으로 구조화한 패턴들이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재현된 문양으로 표현되었다. 디지털 기술은 액체와 같은 비물질성 소재를 의복에 적용시켜 표출할 수 있 게 하며, 식물과 미세플라스틱 등 자연친화적 소재의 가공 및 활용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한 의식 제고뿐 아니라,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소재의 한계를 넘어 독창적인 형태와 텍스타일을 구현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이처럼 생태적 이미지를 표현한 디지털 패 션은 비물질적 소재의 활용과 비정형적인 조화의 문 양 표현, 그리고 비구조적 실루엣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미적 표현방식의 구축으로 기존의 소재 와 패션이 표현해 왔던 범주를 확장하며,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형태 표현에 의한 상호작용성은 자연에 대 한 감응과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로 발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현대 디지털 패션에 나타난 생태적 이미 지는 디지털 에콜로지를 통한 자연의 미에 대한 오마 주, 공동체적 유기체로서 관계성 인식, 인간능력의 확 장도구로서 지각과 경험 표현이라는 내적 의미를 나 타낸다. 첫째, 패션산업에서 디지털 패러다임은 자연 의 표면적 현상과 내재된 개념을 개체들의 유기적인 집합체로 오마주할 수 있으며, 통합된 형태는 생태적 조형미를 재현하여 시각적 편안함과 익숙함을 제공하 고, 자연에 대한 새로운 미적 시각을 부여한다는 점에 서 의미를 가진다. 둘째, 자연환경과 생명체, 의복이 한 프레임에 어우러진 디지털 이미지는 생태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기술적으로 접목한 것으로, 이는 심미적 표현을 확장하는 범주에서 더 나아가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 형성 및 공존과 조화를 통한 공동체 의식과 심리 적 안정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생태 적 이미지를 활용한 디지털 패션은 시공간을 초월한 경험을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연 감성의 자극을 제공하고, 증강현실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패 션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통해 생태계와 관련한 문제 해결을 위한 공감대 형성에 기여함으로써 지각적 조 형성을 표현한다는 내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생태적 디자인의 혁신적 인 조형미는 생명체의 근원인 자연을 주된 표현 모티 브로 함으로써 패션에 본질적 미의 가치를 부여하고, 감성적 이미지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급속도로 변화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패 션 환경에서 생태적 이미지를 활용한 표현유형 분석 과 생태적 관점에서의 내적 의미 해석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을 인식하고,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 서 자연의 조형미에 대한 체계 수립 및 패션디자인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Figure

    RJCC-29-3-422_F1.gif

    Sculpture to be lost in the forest Reprinted from Tate. (2021). https://www.tate.or g.uk/art

    RJCC-29-3-422_F2.gif

    Scaly foot snail Reprinted from Kapsali. (2016). pp.112-113.

    RJCC-29-3-422_F3.gif

    The spheres in the new amazon headquarters Reprinted from NBBJ. (2018). https://www.arch daily.com

    RJCC-29-3-422_F4.gif

    Slice paper chair Reprinted from Kilic. (2013). http://www.kojewe l.com

    RJCC-29-3-422_F5.gif

    Digital canvas Reprinted from Team Lab. (2016). https://www.team lab.art/ko

    RJCC-29-3-422_F6.gif

    Reptilian post iconic corset Reprinted from Irenebrination. (2020). https://www.irenebri nation.com

    RJCC-29-3-422_F7.gif

    Dressed in milk Reprinted from Miragliotta. (2013). https://www.joesdail y.com

    RJCC-29-3-422_F8.gif

    Hussein Chalayan 2009 S/S Reprinted from Vogue. (n.d.a). https://www.vogue .co.uk

    RJCC-29-3-422_F9.gif

    Parametric haute contour Reprinted from MAC. (2012). http://www.makso ud-architects.com

    RJCC-29-3-422_F10.gif

    Ethereal photo illustrations Reprinted from Vizerskaya. (2015). http://www.hifruct ose.com

    RJCC-29-3-422_F11.gif

    Cyborg couture Reprinted from Openshaw. (2014). http://t.barthess.nl/d igitalartifacts.html

    RJCC-29-3-422_F12.gif

    Iris van Herpen 2021 S/S couture Reprinted from Vogue. (n.d.b). https://www.vogue .com

    RJCC-29-3-422_F13.gif

    KTZ 2013 S/S Reprinted from Vogue. (n.d.c). https://www.creads .com

    RJCC-29-3-422_F14.gif

    Miriam de Waard Reprinted from The New Gen. (2012). http://www.dutchde signgraduates.nl

    RJCC-29-3-422_F15.gif

    Kinematics 4D printed dress Reprinted from Rhine Capital. (2015). http://www.rhinec apital.com

    RJCC-29-3-422_F16.gif

    Christopher Kane resort 2014 Reprinted from Vogue. (n.d.d). https://www.vogue .com

    RJCC-29-3-422_F17.gif

    Bubelle dress Reprinted from Philips. (2011). https://www.novat e.ru/blogs

    RJCC-29-3-422_F18.gif

    Spider dress Reprinted from Praet. (2015). https://www.abitare .it

    RJCC-29-3-422_F19.gif

    Autonimous dress Reprinted from Dezzen. (2019). https://www.dez een.com

    RJCC-29-3-422_F20.gif

    Interactive garment Reprinted from Material District. (2016). https://www.mat erialdistrict.com

    RJCC-29-3-422_F21.gif

    WWF tigher Reprinted from Grisha. (2010). https://www.yout ube.com

    RJCC-29-3-422_F22.gif

    The expression of ecological image to fashion types in modern digital fashion with digital technology

    RJCC-29-3-422_F23.g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types and internal meanings of ecological images in modern digital fashion

    Table

    Reference

    1. Ahn, S. M., & Song, J. H. (2009). A study on generative design system through ecological concept application. Journal of Digital Design, 9(4), 279- 288.
    2. Asylvm. (n.d.). Hussein Chalayan inertia. Asylumsfx. Retrieved April 10, 2021, from https://asylumsfx. com/work/hussein-chalayan-inertia
    3. Cho, M. J. (2019). A study on development of biomorphic fashion design interface by knowledgebased engineer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 Choi, C. B. (2011). A study on analysis of organic design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natural for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5. Choi, K. Y. (2004). A study on space design reflecting ecological design: The design for the Chungmuro 4(sa)ga culture complex.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Choi, S. K. (2014). Research of biomimicry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based on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7. Design Indaba. (2013, September 26). Future couture.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s://www.desig nindaba.com/articles/creative-work/future-couture
    8. Dezzen. (2019, October 28). Autonomous dress. Retrieved April 3, 2021, from https://www.dezeen. com/2019/10/28/flowing-water-standing-time-ying -gao-chameleon-autonomous-dress-fashion/
    9. Grisha, S. (2010, September 24). WWF tigher [You- Tube Channel]. Retrieved April 26, 2021,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0ZO4mkTbaj0 &t=26s
    10. Han, S. B., Lee, M. Y., & Kim, K. O. (2011). 문화인 류학 [Cultural anthropology]. Seoul: Snupress. Retrieved March 1, 2021, from https://terms.naver. com/entry.naver?docId=2169229&cid=50852&cat egoryId=50852
    11. Han, S. S. (2011). The study of hommage technique and the examples creat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2. Irenebrination. (2019, November 7). The autonomous behaviour of clothes.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s://www.irenebrination.com/irenebrinatio n_notes_on_a/2019/11/ying-gao-flowing-water-sta nding-time.html
    13. Irenebrination. (2020, November 13). Reptilian post iconic corset. Retrieved April 11, 2021, from https://www.irenebrination.com/irenebrination_not es_on_a/2020/1
    14. Jeon, Y. M. (2005). A study on non-linear space design through digital med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ang, J. H. (2021). The space planning of fashion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biomimicry design in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6. Kapsali, V. (2016). Biomimetics for designers. London: Thames & Hudson.
    17. Kilic, G. (2013, October 13). Slice paper chiar [Blog Post]. Retrieved March 1, 2021, from https://my magicalattic.blogspot.com/2013/10/mathias-bengts son-slice-paper-chair.html
    18. Kim, C. K., Lee, S. Y., Lee, Y. J., Jung, J. J., & Choi, U. Y. (2016). 상담학사전 [Counseling dictionary]. Seoul: Hakjisa. Retrieved March 11,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 docId=5674079&cid=62841&categoryId=62841
    19. Kim, H. M. (2012). A natural image fashion design study based on digital photography: Focus on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V. (2020, March 17). An homage to the power and beauty of nature [Blog Post]. Retrieved April 15, 2021, from https://m.blog.naver.com/design press2016/221858472548
    21. Kim, Y. K. (2005). A study of organic fashion design according to change in to change in the paradigm of the digital 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Y. O., & Hyun, K. H. (2020). A study of engraving pattern design applying nature’s formativeness. Journal of Art and Design, 23(1), 283- 298.
    23. Kong, B. H. (2003). A study on the CO-EXPO design of convergence environment constru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4. Lee, H. J. (2011). The study on interactive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5. Lee, J. R. (2012).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geometrical shapes of voronoi dia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K. H., Kim, S. B., & Choi, J. H. (2013). Development of digital naturalism in fashion design using lenticular motion graphic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8, 17-26.
    27. Lee, W. J. (2012). 이우주 의학사전 [Lee Woo Choo’s medical dictionary]. Paju: Koonja. Retrieved June 13,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 ver?docId=3496787&cid=60408&categoryId=585 29
    28. Lloyd, S. A. (2018, January 30). Inside the amazon spheres: The plants, the architecture, and a transforming city. Retrieved June 12, 2021, from https://seattle.curbed.com/2018/1/30/16947838/am azon-spheres-seattle-architecture-photos
    29. MAC. (2012). Parametric haute contour. Retrieved March 22, 2021, from http://maksoud-architects. com/en/Project212/Haute-Contour—Parametric- Fashion-Research-2012
    30. Material District. (2016, June 22). Interactive garment.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s://material district.com/article/interactive-garment-responds-g aze/#moved
    31. Miragliotta, J. (2013, October 12). Dressed in milk. Joe’s Daily. Retrieved April 17, 2021, from https://joesdaily.com/photography/models-dressed -in-milk-and-water
    32. Moon, G. H. (2018, June 12). A review of the hidden order of self-quarantine. Munhwa Ilbo. Retrieved March 18, 2021, from http://www.munhwa.com/ news/view.html?no=2018061201033012000001
    33. Na, M. H. (2021, April 1). 액체끼리 충돌하면 왕관 모양이 된다? [If liquids collide, they become crowns?] [Blog Post]. Ministry of Science and ICT. Retrieved April 28, 2021, from https://blog. naver.com/with_msip/222294755697
    34. Nam, M. K.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biomimicry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9(4), 255-268.
    35. NBBJ. (2018). The spheres in the new amazon headquarters. Retrieved March 19, 2021, from https:// www.archdaily.com/920029/amazon-spheres-nbbj
    36. Negroponte, N. (2014). Being digital (U. I. Baek, Trans.). Seoul: Communication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Retrieved February 22, 2021,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 cId=1526266&cid=42171&categoryId=42176
    37. Openshaw, J. (2014). Cyborg couture. Digital Artifacts. Retrieved April 14, 2021, from http://t.barthess. nl/digitalartifacts.html
    38. Park, E. H. (2016). Make-up design for the images of neo-naturalism’s characteris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39. Park, J. H. (2017). A study on digital fashion flatform prototype design -Focusing on the 3D digital technology b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Korea.
    40. Park, K. R., & Lee, Y. H. (2013).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in contemporary women’s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5), 613-628.
    41. Park, M. H. (2011). Environmental design paradigm research from ecological viewpoint. Journal of Digital Design, 11(1), 367-376.
    42. Park, M. H., & Park, M. H. (2011). Smart environmental design strategy research -Focusing on 4 strategic keyword (HIER), healing, interaction, ecological aesthetics and retro. Journal of Digital Design, 11(4), 347-356.
    43. Park, S. Y. (2017). A study of the components and process of knowledge-based modeling of biomorphic clothing sculptures applied with parametric methodolog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4. Persson, L. B. (2021, January 26). The best looks from Iris van Herpen haute couture spring/summer 2021. Retrieved April 10, 2021, from https://vo gue.sg/iris-van-herpen-haute-couture-ss21/
    45. Philips. (2011). Bubelle dress. Novate. Retrieved April 5, 2021, from https://novate.ru/blogs/031214/289 46/
    46. Praet, K. (2015, March 3). The intersection of style and software: Meet Anouk Wipprecht’s 3D-printed spider dress. Materialise.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s://www.materialise.com/en/blog/materia lise-3dprints-anouk-wipprecht-spider-dress
    47. Rhine Capital. (2015, February 26). Kinematics 4D printed dress.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www.rhinecapital.com/kinematics-4d-printe d-dress-nervous-system/
    48. Shin, D. I. (2019). A study on expression of feminine unconsciousness via biomorphic motif.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9. Shin, W. S. (2008). A study on the product design methods in the age of digital med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50. Song, S. M., & Kim, H. S. (2015). A research on expressional characteristic elements of organic design morph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1(3), 393-405.
    51. Sung, S. B. (2003). A study on the design of metal furniture which applied organic form: Centering around the mirror which applied cloud for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2. Tate. (2021). Sculpture to be lost in the forest. Retrieved April 11, 2021, from https://www.tate.org. uk/art/artworks/arp-sculpture-to-be-lost-in-the-fore st-t04854
    53. Team Lab. (2016). Digital canvas. Retrieved March 22, 2021, from https://www.teamlab.art/ko/ew/as m_flowers_and_people/artsciencemuseum/
    54. The New Gen. (2012, December 4). Miriam de Waard. Introduction the new fashion generation [Blog Post].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thenewgen.blogspot.com/2012/12/miriam-de-waard-n etherlands.html
    55. Urform. (n.d.). In Langenscheidt. Retrieved April 11, 2021, from https://en.langenscheidt.com/germanenglish/ urform
    56. Vizerskaya, E. (2015, April 15). Ethereal photo illustrations. Retrieved April 14, 2021, from http:// hifructose.com/2015/04/15/ethereal-photo-illustrat ions-by-elena-vizerskaya
    57. Vogue. (n.d.a). Hussein Chalayan 2009 S/S.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s://asylumsfx.com/work /hussein-chalayan-inertia
    58. Vogue. (n.d.b). Iris van Herpen 2021 S/S couture. Retrieved March 22, 2021, from https://www.vog ue.com/fashion-shows/spring-2021-couture/iris-va n-herpen
    59. Vogue. (n.d.c). KTZ 2013 S/S. Retrieved April 2, 2021, from https://www.creads.com/blog/book-fre elance/lisbeth-antoine
    60. Vogue. (n.d.d). Christopher Kane resort 2014. Retrieved April 14, 2021, from https://www.vogue.com /fashion-shows/resort-2014/christopher-kane
    61. Weir, J. (2007, November 2). Bubelle emotion sensing dress. Retrieved June 11, 2021, from https://crun chwear.com/bubelle-emotion-sensing-dress/
    62. Yang, J. W. (2013).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adapting three-dimensional digital printing techn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3. Yun, M. H. (2012).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design using organic forms of n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8(3), 284-296.
    64. Yun, M. H. (2013). A study on the conception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esign using biomimic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19(2), 322-333.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