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예술에서 주요 조형요소 중의 하나인 선은 오랫동안 사물의 형태를 전달해 주는 매개체로서 대상물을 재현하는 수단이 되어 왔으며, 20세기 들어와 새로운 예술사조의 출현과 사회적 역 동과 맞물려 드로잉이라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분류되 면서 그 범위가 확장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An, 2020).
자연물과 조형물에서 선을 발견할 수 있으며, 표면 을 장식하는 요소로서 선은 농담과 강약, 속도 등의 변화에 따라 사물의 윤곽을 나타내고 공간을 구분하 며, 때로는 덩어리를 암시한다. 이처럼 선은 시각적 형태를 규정짓는 기본 요소로서 작가의 의도에 따라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무한한 잠 재력과 가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관 점으로 정의하거나 단정할 수 없다(Jang, 1990).
선은 길이와 위치, 폭과 방향이 있으며, 수직선, 수 평선, 사선 등을 분할하거나 꺾는 행위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고, 평면 또는 3차원 공간에서 영역을 만들어 낸다. 선의 반복, 교차, 확산 등에 의해 형태가 형성되 며, 반복, 대칭, 균형, 조화 등의 조형 원리를 나타낸 다. 허버트 리드(Read, 1968/2006)는 선 자체가 자율 적인 운동을 표현하며, 나아가 선이 알맞게 유기적 형 태를 이루면 리듬이 생긴다고 하였다. 선은 방향의 변 화에 따라 대상의 형상을 간결하게 묘사하며, 점진적 으로 크기를 달리한 배열로서 점이의 시각적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선의 흐름은 시공간적 이동을 보여주 며, 이미지를 생성하는 근간이 된다. 선형미술은 선의 흐름을 가시화하는 최소한의 질료인 실을 이용하여 2 차원이나 3차원 구조를 조형하는 예술로서, 이것의 한 분야인 시모그래피(symmography)는 선을 2차원의 평면전개를 통해 조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일반적으 로 스트링 아트라고 부른다. 그림, 온라인 컴퓨터 프 로그래밍, 두꺼운 종이에 꿰매거나 나무에 박힌 못 주 위에 코드를 감거나 다양한 3D 미디어를 사용하여 만 들 수 있다(Kreischer, 1971). 시모그래피는 고정축의 배열과 전개방향에 따라 무수한 기하학적 패턴을 가 능하게 하며, 이러한 감각적이면서 아름다운 다양한 패턴은 현대 패션 디자인에도 다양하게 활용되어 나 타나고 있다. 트렌드헌터(Trendhunter)는 시모그래피 의 조형적 미를 극대화한 2009년 장 폴 골티에(Jean Paul Gautier)의 컬렉션을 통해 수학적 접근을 보이는 패션에 대해 소개하였다(Blaine, 2009).
인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각 시대의 사회와 문 화를 반영하는 의복에서 선은 매우 중요한 시각적 요 소로서 외양 전체를 지배하는 커다란 요인이다. 이제 까지 선을 다룬 선행연구로는 공간에서의 선의 조형 성 연구(An, 2020), 스트링(string)을 활용한 선의 시 각화 표현 연구(Jin, 2017), 실을 이용한 3차원적 선형 미술의 조형원리와 특성 연구(Youn, 2014), 선의 교차 와 방사의 조형미를 응용한 가구디자인연구(Oh, 2014) 등 조형예술 분야에서 선의 특성과 조형미를 다룬 연 구들이 대부분이며, 패션분야에서는 자수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한 선에 의한 조형적 표현 연구(Kim, 2000), 선과 공간지각을 응용한 조형작품 연구(Jang, 1990), 선을 응용한 현대 장신구에 대한 연구(Kim & Lee, 2017), 현대 패션에 나타난 스트링의 표현 특성 연구 (Lee & Kim, 2016) 등으로 일반적인 선의 특성을 활 용한 디자인 사례들에 대한 분석이 대부분으로서 스 트링 아트라고 불리우는 시모그래피에서 보여지는 선 의 예술적인 겹침과 배열을 중심으로 패션이라고 하 는 3차원적 인체 위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다 룬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적 예술성이 뛰어난 시모그래 피의 기하학적 조형성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표현유형과 미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시모그래피의 발달 과 특성 그리고 조형예술 분야에 나타난 시모그래피 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연구를 진행하였고, 시 모그래피의 조형성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의 분석을 위해 핀터레스트와 구글, 보그닷컴에서 스트링 아트와 시모그래피라는 검색어 를 입력하여 연계된 다양한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조 사대상 패션작품의 범위는 시모그래피의 조형적 미를 보이는 패션에 대한 수학적 접근을 소개한 기사를 근 거로 2009년 이후 발표된 작품 총 68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symmography
1) The development of symmography
시모그래피는 일련의 수학적 체계에 의해 선이 대 칭적, 순차적으로 회전하며 구성된 기하학적 패턴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흔히 못과 실을 활용한 스트링 아 트를 일컫는다(Youn, 2014). 시모그래피는 종이에 구 멍을 내거나 가장자리를 톱니처럼 다듬거나 나무판에 못 등을 박은 후 일정한 수열에 따라 실을 걸어 정교 한 무늬를 완성하는 공예양식으로 망치질된 못 사이 에 색깔이 있는 끈, 양모, 철사 또는 실을 짜서 기하학 적 패턴을 만드는 것이다. 시모그래피는 삼각형, 사각 형, 원과 같은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테두리에 일정 한 간격으로 고정축을 배열하고 선을 전개하는데, 적 용하는 수열의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기하학적 패턴 의 형태는 무수히 많다.
실과 못을 사용하여 각도를 만드는 이 유기적인 아 이디어는 19세기 영국의 수학자였던 메리 에베레스 트 불(Mary Everest Boole)이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 르치기 위해 고민하다 만들어진 것에서 유래하였다 (Choi, 2018). <Fig. 1>에서 보듯이 그녀는 직선으로 곡선을 형성하는 커브 스티칭을 활용하여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쳤으며, 1909년에 대수학의 철학과 재미 (Philosophy & fun of algebra)라는 책을 출판했다. 그 녀가 가르치는 방법에 사용된 곡선은 베지어 곡선으 로 알려졌다(Innes, 2004).
4개의 점만으로 2도 곡선을 설명하는 베지어 곡선은 프랑스의 수학자 파울 드 카스텔조(Paul de Castejau) 가 만든 알고리즘에서 영감을 받은 동료 수학자 피에 르 베지어(Pierre Bézier)가 개발한 것으로 원래의 의 도가 엄격하게 수학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Pierre Bézier, 2020). 러 시아 출생의 조각가 나움 가보(Naum Gabo)는 이전까 지 조각 예술에서 잘 사용하지 않던 투명한 플라스틱, 나일론, 유리, 금속판 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한 여러 추상조각 작품을 발표했는데, <Fig. 2>의 작품은 투명 합성수지에 나일론 실을 활용하여 수학적 체계에 의 한 선의 리듬을 구현하였다.
스트링 아트는 ‘Curved stitch design’이라고 불리 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그은 직선이 만드는 곡면을 디 자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복잡한 규칙 과 디자인이 필요한 ‘스트링 아트’뿐만 아니라, 사물 을 단순화시킨 후 그 형태를 실로 엮어 만드는 사례들 도 많아졌다. 미국 예술가 존 아이힝어(John Eichinger) 는 <Fig. 3>의 기하학적인 스트링 디자인을 만든 후 ‘원 안의 원’을 의미하는 힌두 단어 ‘만다라’를 따서 ‘끈 만다라’라고 불렀다(Ross, n.d.). 스트링 아트는 1960년대 후반 키트와 책을 통해 장식 공예로 대중화 되었다(Blanken, 2018). 1971년 루이 크레이셔(Lois Kreischer)는 시모그래피(symmography)라는 스트링 아트 북을 출판하였고, 1970년대에는 스트링 아트 키 트가 대중들에게 최고의 인기를 끌었다(Ross, n.d.). 이후로도 스트링 아트는 호기심과 예술을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흥미롭게 발전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많 은 아티스트들은 독특한 스트링 아트 기법을 다양하 게 개발하고 있다.
그리스의 아티스트인 페트로스 브렐리스(Petros Vrellis)는 <Fig. 4>에서와 같이 사진과 동일한 예술작 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컴퓨터를 사용한 스트링 아트 형식을 소개했다(String art, 2020). 이것은 스페인 화 가 엘 그레코(El Greco)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 한 초상화로서 수천 미터의 검은 실을 사용하여 표현 한 작품이다. 이처럼 시모그래피의 형식은 기술의 발 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달되어 왔다.
2) The characteristics of symmography
시모그래피는 선의 성질을 활용한 예술로서 선은 색상, 재질, 배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며, 이 미지를 달리한다. 시모그래피에 사용되는 스트링의 색채 배합은 소밀, 원근, 크기 등의 착시를 만들어내 며, 다양한 재질의 특성은 시각적으로 무한한 표현력 을 나타낸다(Jin, 2017).
선은 점과 점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선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점의 선택은 선의 길이, 위치, 각도 등 주요 요소를 결정한다. 점을 무작위로 선택하 며 이동된 선은 불규칙하고 난잡하게 보일 수 있으며, 시각적 평형감을 잃어버릴 수 있다. 선의 배열은 평형 이동, 회전, 교차, 중첩, 집중, 방사 등의 방식이 있으 며, 규칙 배열과 불규칙 배열 두 가지 구성이 있다. 선 이 등거리 간격으로 균등하게 중복 배열되면 형태가 안정적이고 방향감이 약해진다. 그리고 선끼리 교차 하게 되면 수학적이고 논리학적인 격자가 생길 수 있 는데, 수직 교차는 가장 안정적이다. 사선은 수직선과 수평선에 비해 방향성이 강하며, 불안정성이라는 특 징이 있다. 특히 사선의 각도 변화가 많아지면 무질서 하고 난잡한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사선은 규칙성이 있어야 하며, 불규칙 구성이라고 할지라도 규칙성이 있을 때 균형미를 가질 수 있다.
시모그래피의 선은 점과 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므 로 선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점의 위치 선택이 중요하 다. 선택한 점의 위치에 따라 선의 길이와 각도, 위치 등이 달라지고, 이것이 선의 성격과 이미지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점을 무작위로 이동하며 형성된 선은 산만하고 혼란한 느낌을 주며, 불규칙적인 사선은 균 형미와 조화를 잃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는 점의 선택과정에서 규칙성이 필요하다. 도형 위 의 윤곽선을 따라 점을 균등하게 분포시키고, 규칙에 따라 점과 점을 연결함으로써 선은 규칙성을 띠게 된 다. 이때 선의 간격과 회전 각도, 크기에 따라 분포되 는 선은 집중과 분산효과를 가진다. 선의 이동은 면을 형성하며, 면이 이동하면서 3차원의 입체적인 형태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선의 중첩과 분산이 이 루어지며, 이로 인해 나타나는 시각적 이미지는 선 사 이의 빈 여백까지 전체의 일부분으로 지각하게 함으 로써 일종의 착시 효과를 준다.
시모그래피에서 반복되는 선은 각도의 변화를 통 해 동적인 흐름과 시각적인 에너지를 보여준다. 이 중 선의 반복에 의해 나타난 공간은 시작도 끝도 없는 열 린 공간으로서 단순히 확장된 공간으로 제한되는 것 이 아닌 계속적인 확장을 보여준다(Yeo, 2005). 이때 시모그래피의 배경이 되는 재질과 사용되는 스트링의 재질의 차이는 독특한 공간감을 만들어내며 시각적 대비 효과를 나타낸다.
2. Formative arts area applying symmography
기하학적 변주를 보여주는 시모그래피는 스트링의 특성을 기반으로 다원적 소재와 결합하여 시각적 효 과를 낼 수 있으며, 공간디자인, 설치미술, 산업디자 인 등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1) Space design
확장된 공간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선’은 효율적인 구성요소이다. 선의 반복적 표현에 의한 시각적인 운 동성은 공간에 가변적 이미지를 부여함으로써 공간감 을 느끼게 한다. 또한 연속적으로 반복된 선에 의해 구성된 공간은 보는 이의 시선을 이동하게 함으로써 리듬감과 시각적인 효과를 수반한다(An, 2020). 선을 활용한 건축물이나 실내디자인은 3차원적 공간의 설 치 형태를 지니게 되고, 이들 사이 공간으로 들어온 사람들은 유동적인 선들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체험 할 수 있다. 건축물에서 선은 공간을 화면분할함으로 써 도시 경관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에게는 건축물 의 성격을 암시하는 주요 요소가 된다. 수평, 수직, 사 선, 곡선 등 다양의 선의 형태와 성격은 건축물의 이 미지를 결정하는데, 특히 시모그래피에서 보이는 선 의 반복과 교차는 시각적 율동미과 더불어 건축물의 미학적 기능적 요구를 충족한다.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시모그래피의 구조미를 잘 보여주는 <Fig. 5>의 마가렛 헌트힐 브릿지(Magaret Hunt Hill Bridge)는 스페인의 유명한 건축가 산티아 고 칼라트라바(Santiago Calatrava)가 건축한 것으로 1,870피트 거리를 구조적으로 지탱하는 400피트 높이 의 곡선형 스틸파이프의 아치를 가로지르는 케이블 선의 배열과 교차는 현대 건축의 랜드마크 역할을 한 다(Designboom, n.d.).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위해 건설 중인 <Fig. 6>의 중국의 San Shan 브릿지는 올림픽 경기의 다섯 개의 링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 한 DNA 모양의 현수교로서 아치를 가로지르는 선의 점진적 배열과 규칙성은 시모그래피의 구성 양식에서 차용한 것으로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조형성을 나타낸 다. 프랑스 라코스테에 설치한 <Fig. 7>의 윈드쉐이프 (windshape)는 바람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일 종의 파빌리온 형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강력하면서 도 탄력적인 구조의 네트워크는 구부러진 파이프에 시모그래피에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스트링을 꿰매어 안정성있는 구조로 만든 것 이다. 스트링을 긴장감있게 배치함으로써 구조적 무 결성과 바람에서 원하는 범위의 움직임을 달성했다 (Archdaily, 2008). 오모테산도에 위치한 <Fig. 8>의 나이키(Nike) 매장은 천정에서 바닥을 향해 스트링을 여러 각도에서 배열하고 겹치는 과정에서 나이키 운 동화를 공간에 디스플레이하였는데, 운동화에 접목된 플라이 와이어기술은 현수교의 와이어에서 영감을 받 은 것으로(Jung, 2014), 시모그래피에서 보이는 예술 적 형태를 매장 연출에 차용함으로써 제품 컨셉을 개 성적으로 표현하였다.
2) Installation art
예술가들은 확장된 공간의 효율적인 표현 방법으 로 ‘선’이라는 구성요소를 통해 공간의 크기를 자각할 수 있는 공간감을 나타낸다. 3차원의 선형 미술은 공 간의 크기나 구조 혹은 선의 물리적 속성에 따라 형태 와 표현의 범위가 거의 무한하다. 공간에서의 선의 조 형성은 중첩, 반복, 교차 등의 표현 방법에 따라 역동 적인 리듬을 나타내기도 하고, 관람자의 시선을 분산 시키기도 하며, 선의 위치와 배열형태를 변화시킴으 로써 다양한 공간을 창출한다. 설치미술작품에서 반 복된 선의 표현은 공간 사이에서 일정하게 간격과 거 리를 두고 맞물릴 수 있고, 반복된 같은 형식이 구성 되면서 시선이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리듬과 시각적인 효과를 수반하기도 한다(An, 2020).
시모그래피의 제작 기법을 차용하여 만든 알주드 루타(Aljoud Lootah)의 <Fig. 9>는 수세기 동안 지역 어부들이 사용했던 그물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으로서 규칙적 배열에서 나타나는 율동미와 리듬감이 표현되 어 있다. <Fig. 10>의 아이네스 에스나(Ines Esna)의 작품 ‘프리즘(Prism)’은 스트링을 방사, 발산하는 효 과를 이용하여 고체 빛을 창작한 것으로 시멘트 재질 의 배경 공간에 배열된 다채로운 색상의 실들이 강한 시각적 자극을 주고 있다. 시모그래피의 실 배열 형태 를 변형한 이 작품은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며, 작 품 위의 천정에서 조사되는 빛은 프리즘에 의하여 분 광된 빛처럼 벽에 비추는 역할을 한다(Jin, 2017). 이 처럼 같은 형태나 색채를 규칙적으로 반복하는 것은 시선을 유도하여 리듬감과 하모니를 형성하며 때로 는 공간감을 연출한다. 나이키 세바스(Nike Savvas)의 <Fig. 11>은 시모그래피의 수학적 기원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으로 특정한 기하학적 공식을 활용하여 컬 러풀한 울의 기하학적 패턴을 입체적인 목재 구조에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눈부신 아름다움을 나타내었다 (Taggart, 2018).
이처럼 시모그래피에서 보여지는 선은 실제로 움 직이는 율동성은 없지만, 착시에 의해 선이 이동하는 듯한 시각적인 효과를 주고, 작가의 내면세계를 대변 하는 하나의 결과물로 창조된다(An, 2020).
3) Industrial design
시모그래피의 조형성을 활용한 다양한 시각디자인, 제품디자인 등은 주로 선의 규칙과 배열, 반복에서 보 이는 독특한 율동감이나 볼륨감과 같은 시각적 효과 를 표현한다. 선은 점의 움직임에 의한 방향성과 역동 성, 패턴이나 명암을 만드는 특성, 그리고 다양한 표 현성과 무한성을 가지며(Lee, 2010), 이를 통해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 내에서 특유의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스웨덴의 구강 전문 브랜드 테페(Tepe)의 광고 <Fig. 12>는 치실 제품의 긴 길이를 강조하기 위해 치아 사 이를 치실로 감아 시모그래피로 표현한 것이다. 여기 서 선이 가지는 방향의 규칙성과 선의 교차에서 보이 는 미는 간결한 시각언어로서의 이미지 표현을 보여 주며, 이는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를 쉽고, 단순하게 시 지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정확한 메시 지의 전달에 유용한 표현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Lee, 2010). <Fig. 13>의 줄리 랜섬(Julie Lansom)이 디자인 한 스푸트니크(sputnik) 램프는 수제 나무로 된 기하학 적 형태의 틀에 다양한 색상의 면사를 반복 배열한 시 모그래피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오브제의 재료와 고정 핀의 위치, 그리고 실의 색상과 배치열에 따라 기하학 적 패턴은 다양하게 형성된다. 시모그래피에서 보이는 선의 조형성을 입체적으로 적용한 제품 사례로 가구 를 들 수 있는데, 제시카 카네베일(Jessica Carnevale) 이 디자인한 <Fig. 14>의 의자는 철제 프레임의 구멍 에 일정한 규칙으로 로프를 통과시켜 시모그래피의 감각적인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 여러 조형예술분야에서 보이는 시모그래피를 살펴보면, 선의 배열에 따른 다양한 율동미와 선의 겹 침의 밀도차에 따른 변화에서 오는 선의 집중과 분산 등의 효과는 입체적인 면을 만들고, 동시에 색채의 변 화가 화면에 공간감을 가져오고 있음을 보여준다(Jin, 2017). <Fig. 15>는 조형예술 분야에서 활용된 시모그 래피의 표현기법과 유형을 정리한 것이다.
Ⅲ.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Fashion Applying the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1. The expression types of modern fashion applying the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조형예술 분야에서 활용된 시모그래피의 유형을 범주화한 것을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서 보여지는 시 모그래피의 표현유형을 2차원적 그래픽 패턴형, 부조 적 표면형, 3차원적 공간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 2-Dimensional graphic pattern type
시모그래피에서 1차원의 선은 반복과 배열을 통해 2차원으로 확장된다. 선이 배열되는 방향과 선이 모 이고 흩어지는 집적의 차이는 변화와 율동을 만들어 내며, 미적인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선의 아름 다움은 현대 패션에서 2차원의 그래픽 패턴형으로 텍 스타일 디자인의 다양성을 표현하고 있다. <Fig. 16> 의 아뜰리에 베르사체(Atelier Versace)의 디자인은 선 의 집중과 교차 배열을 통해 옵티컬적인 패턴을 형성 함으로써 시각적인 율동미를 느끼게 한다. 알베르타 페레티(Alberta Ferretti)의 <Fig. 17>의 드레스는 흑백 의 다양한 각도의 사선에서 느껴지는 운동감과 율동 미가 회전의 효과를 가진다. <Fig. 18>의 드리스 반 노 튼(Dries Van Noten)의 드레스는 다양한 경사 각도를 지닌 선을 직물에 프린트한 사례로서 선의 집중과 분 산에서 오는 경쾌한 율동미가 시선을 끈다.
2) Relief surface type
시모그래피에서 스트링의 반복적인 교차와 배열을 통해 면을 채워나가듯이 패션디자인에서 일정한 방향 성과 규칙성을 갖고, 선을 연결하여 평면을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다. <Fig. 19>의 장 폴 골티에의 컬렉션은 드레스의 테일러드 스타일의 네크라인을 시모그래피 기법을 활용하여 장식한 것으로 일련의 스터드를 칼 라의 가장자리에 부착하여 스트링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함으로써 직선을 활용한 곡선적인 표현을 가능케 하였다. 선의 겹침에 따른 두께의 변화 그리고 집중과 확산은 부조적인 표면을 만들어내며, 수학적 인 배열이 생성하는 율동미를 나타낸다. <Fig. 20>은 비대칭적인 커트로 드러난 허리 라인에 시모그래피 기법으로 스트링을 배열하여 장식한 장 폴 골티에의 디자인이다. 삼각형을 기본 도형으로 스트링이 연결 될 점을 규칙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선의 궤적을 나타 내었으며, 스트링이 교차, 회전, 집중, 발산하는 형태 를 띠면서 신체 노출 부위를 선의 기하학적인 조형미 를 통해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장 폴 골티 에의 <Fig. 21>의 디자인은 드레스의 네크라인에 일정 한 간격으로 스트링을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하여 건 축적인 조형미를 부조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른 선의 겹침은 집중과 분산이 나타내는 기 하학적인 미를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3) 3-Dimensional space type
선은 재질과 형태에 따라 공간을 채우는 입체적 조 형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입체적 선은 평면보다 입체 를 인지하는 것에 더욱 민감한 인간의 시감각을 자극 하고,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연출한다.
아이리스 반 헤르펜(Iris van Herpen)의 <Fig. 22>의 디자인은 골드빛의 메탈 와이어를 방사형으로 규칙적 으로 배열하여 3차원적 공간감을 표현한 것으로 공간 적 환상을 연출한다. 그녀가 발표한 <Fig. 23>의 컬렉 션에서 보이는 목에 걸친 거대한 악세서리 형태의 메 탈 장식은 와이어를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하여 웨 이브를 표현한 것으로 3차원적인 공간에서 율동미와 리듬감을 나타내었다.
네델란드 출신의 디자이너 뷘데 리엔스트라(Winde Rienstra)가 암스테르담 패션 위크 랩(Amsterdam Fashion Week Lab)에서 발표한 <Fig. 24>의 구조적이 고 수공예적인 디자인은 시모그래피에서 차용한 것으 로 스트링의 교차와 중첩을 통해 3차원적인 입체적 공간감을 표현하였으며, 의복과 사물의 경계를 보여 준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작품이다.
2.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fashion adopting the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1) Repeatable rhythmicity
시모그래피를 응용한 패션디자인에서 보여지는 반 복된 선의 표현은 시선을 이동하여 공간을 구성하며, 이 때 리듬과 시각적인 효과를 수반한다(An, 2020). 즉, 선의 반복과 순환, 변화로 인해 시각적인 힘의 강 약을 형성하며, 이로부터 경쾌한 율동감을 나타낸다. 율동은 반복, 방사, 점이, 대칭과 같은 시각적 운동의 관념으로서 통일성을 전제로 한 동적 변화를 의미하 며, 반복되는 아름다움에 일정한 질서를 부여하며 흥 미를 느끼게 한다(Kim, 2000).
<Fig. 25>의 아뜰리에 베르사체의 컬렉션은 다양한 색상의 브레이드를 교차하거나 겹침으로써 선이 형성 하는 기하학적인 패턴을 리듬감있게 나타내었고, 발 망(Balmain)의 <Fig. 26>의 컬렉션 또한 스트링을 위 빙하여 조형적인 패턴을 율동감있게 표현하였다. 아 이리스 반 헤르펜의 <Fig. 27>의 컬렉션은 일정한 규 칙에 따라 선들이 좌우대칭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연결되고 조합되면서 특정한 방향성과 기하학적인 형 태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선들의 반복적인 중첩과 교 차는 시각적인 율동감을 나타낸다.
2) Geometric self-similarity
작은 조각이 전체 형태와 유사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특징을 기하학적 자기유사성이라고 한다(Cho, 2020). 특정 구조의 일부가 전체구조와 비슷한 모양으 로 되어 있고 그런 패턴이 연속적으로 되풀이될 때 프 랙탈(fractal) 구조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선형구조(단 순계)에서 자기 유사성을 띠고 있는 비선형구조(복잡 계)의 상태로 이행된다(Cho, 2020).
시모그래피에서 보이는 유사한 형태의 반복은 대 칭성과 관련되는데, 대칭은 점, 선, 면 또는 도형이 기 준이 되는 점이나 직선 또는 평면을 사이에 두고, 서 로 같은 거리에 맞서는 것을 의미하며, 미적 형식 원 리의 일종으로 미술에서는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 의 조화가 이루어진 형식을 말하기도 한다. 선을 규칙 적인 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회전 또는 반사에 의한 대칭성을 얻을 수 있으며, 단순한 규칙의 시모그래피 를 특정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더 복잡한 형상으로 만듦으로써 자기유사성을 나타내며, 간결한 디자인에 미적 흥미를 부여한다(Wade, 2006/2010).
<Fig. 28>의 이킹 인(Yiqing Yin)의 작품은 직선과 곡선의 다양한 변주를 통해 자연의 유기적인 아름다 움을 기하학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바디스를 장식한 교차된 선의 형태는 허리를 축으로 상하 확대변환 대 칭성을 보여준다. 확대변환 대칭성은 중심점으로부터 밖으로 방사되는 선들을 가지고, 형태를 확대 또는 축 소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 변화를 통한 반 복은 원래의 모티브와 유사한 형태로 인해 자기유사 성을 나타낸다. 아이리스 반 헤르펜의 “Voltage” 쇼에 서 발표된 <Fig. 29>의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제작된 메쉬 드레스는 복잡한 질감을 아주 정밀하게 표현하 였다. 특히 가슴을 장식하고 있는 섬세한 선의 교차는 확대 변환되어 드레스의 표면에 조형적 미를 나타내 는데, 복잡한 매개 변수로 생성된 기하학적 구조는 다 양한 굵기의 선들을 유기적인 방식으로 배열하고 중 첩함으로써 기하학적인 자기유사성을 환상적으로 나 타낸다. 세르칸 쿠라(Serkan Cura)의 컬렉션 <Fig. 30> 은 바디스의 볼륨에 따라 길이에 변화를 준 우드 재질 의 가느다란 둥근 바를 평행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 열함으로써 반복과 대칭을 통한 자기유사적 특징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3) Optical illusional spatiality
시모그래피에서 선의 반복을 통해 형성되는 빈 여 백은 전체 구조의 일부로 파악되고, 이는 연속적인 대 상으로 지각하게 함으로써 공간성을 갖게 된다(Kwon, 2012). 즉, 선의 굵고 가늘음, 길고 짧은 수의 증감, 간 격의 변화를 보이는 선의 반복을 통해 형성되는 빈 공 간은 전체 구조의 부분으로 지각됨으로써 착시적 공 간성을 표현한다(Chung, Eom, & Ryoo, 2011).
<Fig. 31>의 아이리스 반 헤르펜의 디자인은 3D 프 린팅으로 제작된 컬렉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다 양한 각도로 배열된 사선들의 겹침과 접합이 만들어 내는 빈 공간은 선의 조형미를 더욱 부각하고, 3차 원적인 착시적 공간성을 나타낸다. 그녀는 또한 <Fig. 32>의 작품에서 메탈와이어를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 하여 구조적인 조형미를 나타내고 있다. 방사상으로 배열된 선들의 밀집과 분산은 인체에 기하학적인 형 태미를 느끼게 하며, 선이 뻗어나간 공간까지 의복의 일부가 되면서 착시적 공간감을 느끼게 한다. 뷘데 리 엔스트라의 작품 <Fig. 33>은 스트링으로 장식한 3차 원적인 구조물이 특징적이다. 일정한 규칙에 의한 선 의 배열과 겹침은 신체와 의복 간에 착시적인 새로운 공간을 만들며, 건축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Fig. 34>는 시모그래피의 조형성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 인의 표현유형과 기법 그리고 미적 특성을 정리한 것 이다.
Ⅳ. Conclusion
선은 시각적 형태를 규정짓는 기본 요소로서 자유 로운 형태 변형이 가능하고 표현의 한계가 없다. 시모 그래피는 이러한 선의 배열과 규칙에 변화를 주어 조 형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감각적이면서 아름다운 다양 한 패턴이 지닌 조형성으로 인해 공간디자인, 설치미 술, 산업디자인 등 여러 조형예술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며, 표현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 시모그래피 의 조형성을 활용한 공간디자인은 용도에 따른 건축 물의 기능적 요구를 충족하면서도 미학적으로 뛰어난 형태미를 표현하고 있으며, 설치미술 작품에서 시모 그래피는 예술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내면세계를 대변 하는 하나의 결과물로 창조되어 리듬과 시각적인 효 과를 수반하며, 환상적 공간미학을 연출한다. 산업디 자인 분야에서는 선의 배열과 반복에서 보이는 독특 한 율동감이나 볼륨감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통해 컨 셉을 시지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의도 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제품의 조형성과 기능적 요구 를 함께 충족하고 있다.
시모그래피의 기하학적 조형성을 활용한 현대 패 션디자인의 표현유형은 2차원적 그래픽 패턴형, 부조 적 표면형, 3차원적 공간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 째로 2차원의 그래픽 패턴형은 시모그래피에서 보이 는 선의 반복적 배열과 교차, 방사 등이 옵티컬적인 패턴을 형성하며, 텍스타일 디자인에 개성과 시각적 흥미를 부여하고 있다.
둘째, 부조적 표면형은 의복디자인에 다양한 재질 과 굵기를 지닌 스트링을 연결하여 평면을 다채롭게 표현함으로써 선의 겹침에 따른 두께의 변화 그리고 집중과 확산을 통한 부조적인 표면을 만들어 시각적 으로 아름답게 나타낸다. 특히 신체 노출 부위를 선의 기하학적인 조형미를 통해 채움으로써 조형미를 극대 화하였다.
셋째, 3차원적 공간형은 선을 공간을 채우는 입체 적 조형요소로 활용한 것으로 선적인 요소를 공간에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의복의 경계를 확장하며 환상적 공간미를 연출한다.
다음으로 시모그래피를 활용한 패션디자인의 미적 조형성은 반복적 율동성, 기하학적 자기유사성, 착시 적 공간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스트링을 배열, 겹침, 교차 또는 위빙하는 등 같은 형식을 반복적으로 구성하면서 형성된 조형적 패턴은 시선을 이동시키며 시각적인 운동성을 나타내 고, 이러한 시각적인 힘의 강약은 패션에 경쾌한 율동 감이라는 특성을 부여한다.
둘째, 시모그래피에서 선의 교차와 배열에 변화를 주며 반복한 것은 전체적인 조화와 통일감을 부여하는 데 효과적인 기법으로 기하학적 자기유사성을 나타낸 다. 이는 일관된 시모그래피 기법의 활용에서 오는 단 조로움에 흥미로운 변화를 주는 속성으로 3차원적인 의복 실루엣과 표면에 조형적 아름다움을 부여한다.
셋째, 착시적 공간성은 선의 반복을 통해 형성되는 빈 여백이 전체 의복 구조의 일부로 인식되고, 이는 연 속적인 대상으로 지각하게 함으로써 공간성을 띤다는 것이다. 이 때 선이 이루는 형태 사이의 빈 공간은 의복 에 사용된 선의 조형미를 더욱 부각하며 의복의 볼륨을 시각적으로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시모그래피의 조형성을 응용한 현대 패 션은 디자이너의 컨셉과 상상력에 따라 선을 나타내 는 디자인 요소의 굵기와 재질, 그리고 색상 등을 다 양하게 표현하며, 이를 통해 의복의 실루엣과 패턴 등 에 기하학적인 조형미를 부여하고 있다. 특히 시모그 래피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선의 배열과 규칙에 따른 조형미는 입체적인 인체를 조형하는 패션에 독특하고 창의적인 컨셉과 감각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며, 디자 인의 영역을 무한히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불규칙적인 형태의 시모그래피를 제외 하고, 규칙적인 시모그래피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의 유형 분석에 주안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제 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는 불규칙한 시모그 래피를 포함한 다양한 선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표현 기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패션 디자인의 시각적인 차별성과 효과를 높이는 제작기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일조할 것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