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9 No.1 pp.103-12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1.29.1.103

A study on shaman costume from the perspective of Siberian shamanism spiritual culture

Shuai Liu, Mi Jeong Kwon*
Ph. D. Candidate, Dept. of Clothing & Textile,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mjkwon@pusan.ac.kr)
January 18, 2021 February 17, 2021 February 18, 2021

Abstract


This study interprets Siberian shaman costumes from the perspective of Siberian shamanism’s spiritual culture by combin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Accord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anguage families, the Siberian people are classified into the Altai, Tungus, Ural, and Paleo-Siberian groups. Se Yin’s research classifies the spiritual culture of Siberian shamanism as cosmic, spiritual, and nature view. Eliade’s research has divided Siberian shaman costumes into form, headdress, and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study, shaman costume form and decoration reflect the Siberian three-tiered cosmic view, such that the shaman’s head, body and feet correspond to the upperworld, middleworld and underworld. In addition, animism, totemism and ancestral worship appear in the shamanism’s spiritual view. For example, the costume’s form shows the totem of each tribe, while the costume accessories reflect animal worship, plant worship and ancestral worship. Finally, shamanism’s nature view mainly manifests through three processes: personification, deification, and ethics. As an intermediary between man and the spirits, shaman use their clothing to reproduce the image of half man and half spirit. The shaman’s costumes are deified and considered to have divine power. For example, the animals represented on the costume help the shaman travel through space. Generally, good animals help a shaman enter the upperworld, while animals that help a shaman enter the underworld are considered evil. Also, the number of hanging accessories represents the shaman’s ability.



시베리아 샤머니즘 정신문화의 관점에서 본 샤먼복식 연구

유 수, 권 미 정*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박사수료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원시시대에 자연환경은 원주민들의 세계관의 형성에 영향을 끼쳐왔다(Pavlinskaya, 1997). 시베리아는 지형적으로 살펴보면 서부에서 동부로 서시베리아 평원, 동시베 리아 고원과 극동산지로 나타나며, 식생대는 북부에서 남부로 툰드라, 타이가와 스텝으로 구분된다(Institute of Russian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n.d.). 시베리아인은 다양한 자연환경에 적응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사회문화를 형성하였 다. 시베리아에 나타난 샤머니즘은 인류사회 최초의 이데올로기로, 원시시대와 자연을 상대로 한 투쟁의 산물이라 생각된다(Qu, 2008). 따라서 주변의 자연환 경과 인문사회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극 받아 형 성된 시베리아인이 인간의 내면적 의식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에 대한 연구 가 요구된다.

    샤머니즘은 ‘만물유영론’에 기초한 것으로 여겨진 다(Siikala, 1987). 즉, 영혼의 이원론적 개념은 샤머 니즘의 사상적 토대가 된다. 이에 의례(儀禮) 시 샤먼 의 영혼은 육체를 떠나고 하늘로 올라가거나 지하로 내려가는 것으로, 다른 차원의 공간을 왕복하는 것이 가능하였다(Yang, 2011). 이러한 외적으로 표현된 접 신 과정을 통해서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내적 정신 문화가 구체화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복식은 의례 및 제례(祭禮)와 같은 종교적이고 사회적인 의식에 없어서는 안 될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Shim, 1998). 이를 볼 때,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에 기반을 둔 시베리아 샤먼복식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

    샤먼복식은 샤머니즘의 종교적 이데올로기를 표현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Eliade, 1964/2003). 샤먼복식 을 착용함으로써 샤먼이 궁극적인 다중 토템 동물로 변형되는데, 이 초자연적인 표면은 샤먼을 신 자체의 유체존재론과 동형인 다중성의 내재적 공간으로 이 동시킨다(Wallis, 2013). 샤먼복식은 샤먼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이 주위의 속계(俗界)와는 다른 종교적인 소 우주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개 역할을 한다 (Eliade, 1964/2003). 따라서 샤먼복식의 형태나 장식 을 통해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며, 인간과 초자연적인 존재의 매개체로서의 샤먼은 샤먼복식의 상징을 통해 드러나기 때문에 샤먼복식에 관한 연구는 의미가 있 다고 볼 수 있다.

    샤먼복식의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샤먼복식의 형태와 종류에 따른 연구(Han, 2012;Kim, 2011;Lee, 2005;Park, 1995)와 샤먼복식의 특징과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Kim, 2008)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졌 으나, 시베리아 샤먼복식에 대한 연구는 복식의 형태 와 종류에 따른 연구(Lee, 2005;Park, 1995), 시베리 아 샤먼복식의 기호적 해석(Liu & Kwon, 2020)과 상 징적 의미(Lee, 1998)의 분석 외에는 연구된 바가 거 의 없다. 이렇듯 아직 샤머니즘 정신문화의 관점에서 본 샤먼복식에 관한 심층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시베리아 샤먼복식과 연관된 선행연구의 경우, 종류와 형태의 비교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어 정신문 화의 관점에서 본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연구는 미흡 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원시시대에 초자연적인 존재와 소 통한 수단으로서의 샤먼복식에 내재된 인간의 심리적 내면성에 주목하고,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 관점에서 본 샤먼복식의 연구에 관한 사례를 통해 분 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북아시아 샤머니즘의 정신문 화에 기반을 둔 Se(1998)의 연구로부터 우주관과 영 혼관, 자연관 3가지로 정리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를 참고하였다. 그리고 어족(語族)에 따라 알 타이어족, 퉁구스어족, 고아시아어족, 우랄어족까지 시베리아 각 민족을 4가지로 도출함으로써 이들의 대 표적인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형태, 모자, 장식의 3부 분(Eliade, 1964/2003)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에 나타 난 우주관, 영혼관, 자연관에 기반을 둔 시베리아 샤 먼복식의 형태, 모자, 장식을 이해할 수 있는 사고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Ⅱ. Method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 으며, 문헌연구는 국내외 시베리아 샤머니즘과 샤먼 복식의 관련된 단행본, 학술지, 신문기사 등을 중심으 로 조사하였다. 사례연구 대상의 공간적 범위는 시베 리아 전통 샤먼복식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 국립종교 역사박물관(www.gmir.ru/eng/), 러시아 국립역사박물 관(https://shm.ru/), 러시아 쿤스트카메라(Kunstkamera) 박물관(http://tour.kunstkamera.ru/) 3개 박물관, 시베 리아 알타이공화국, 하카스공화국, 투바공화국, 사하 공화국, 부랴티야공화국 5개 국립박물관과 이르쿠츠 크, 신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아무르스카야 4 개 대표적인 자치주 향토박물관(http://www.kkkm.ru/) 등 총 12개 박물관을 선정하였다. 사례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인류학자들이 시베리아 각 지역에 수집한 19 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샤먼복식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각 박물관에 수장(收藏)하고 있는 알타이어족의 샤먼복식(35벌), 퉁구스어족(40 벌), 우랄어족(20벌), 고아시아어족(22벌) 총 117벌을 수집하였다. 이 중 사례의 설명이 없거나 유형이 중복 되어 있는 81개를 제외한 36벌의 시베리아 샤먼복식 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조 사한 후, 복식을 형태, 모자, 장식 3가지로 분류하였으 며, 시베리아 샤먼복식에 관한 선행연구(Eliade, 1964/ 2003;Homberg, 1922;Park, 1995)와 사례연구를 통 해 시베리아 샤먼복식 유형을 새 형 샤먼복식, 사슴 형 샤먼복식, 곰 형 샤먼복식, 민속복식 형 샤먼복식 과 혼합 형 샤먼복식 5가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토템 동물을 흉내 내는 샤먼복식을 중심으로 한 내재 적인 정신문화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민속복식을 바탕으로 제작한 샤먼복식은 연구범위에서 제외하였 다. 또한, 소재와 기술의 한계로 인해 시베리아 샤먼 복식의 색채와 문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지 않거나, 시베리아 샤먼복식 구성에서 언급되지 않는 색상과 문양은 제외되었다.

    Ⅲ. Theoretical Background

    시베리아는 지형적으로 서부에서 동부로 서시베리 아(저지), 동시베리아(고원), 극동(산악) 지대 3개 지역 으로 나누어졌으며, 시베리아의 식생대는 북에서 남으 로 툰드라, 타이가, 스텝으로 나누어진다(Hou, 1987). 어족에 따른 시베리아 민족들은 남부의 알타이어족, 중동부의 퉁구스 어족, 북부의 고아시아어족, 서부의 우랄어족 4가지로 분류되어진다(Kim, 1995). 본 절에 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 관점에서 본 시베리 아 샤먼복식을 이해하기 위해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 신문화와 시베리아 샤먼복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1. The spiritual culture of Siberian shamanism

    샤머니즘은 토템주의와 애니미즘 등 초기신앙이 장기적으로 발달해 주변 사회와 문화 환경으로 연결 되는 종교 실천의 한 형태이다(Han, 2012). 샤머니즘 의 정신문화에서의 우주관, 영혼관, 자연관은 상호보 완적인 유기체이며, 세 가지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완전한 우주론 개념체계가 형성되었다. 이 3가지 샤 머니즘의 관념은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이며, 전체 시베리아 샤머니즘 시스템의 개념을 바탕으로 실행되었다(Se, 1998).

    1) Cosmic view

    우주는 자연 자체의 일부로 서로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살아있는 주체들이 이루는 광대한 공동체이 다. 부족사회에서는 기능적 우주론의 실용적인 측면 과 동기 부여를 현상적 측면에서 모두 의도적으로 강 조하고자 한다(Se, 1998). 샤머니즘에서 하늘과 지상 (地上)을 연결해주는 모티브로는 나무, 산과 강 등이 많이 등장하였다. 이는 세상의 한가운데에 우뚝 솟아 서 천상세계, 현실세계와 지하세계를 이어준다(Moon, 2019). 샤머니즘에 나타난 우주관은 주로 우주구조에 대해 논의해 왔다.

    알타이어족의 문화 중에서의 텡그리즘(Tengrism)은 우주를 천상세계, 지구세계 및 지하세계로 분류하여 왔다. 따라서 텡그리의 아들 울겐(Ülgen)은 선신이 사 는 땅보다 더 밝은 천상세계를 지배하였으며, 반대로 또 다른 아들인 예리크(Erlik)는 악신이 사는 어두운 지하세계를 지배하였다. 이 3층 영역 사이의 유일한 연결은 세계의 중심에 있는 우주목(木)이다(Edelbay, 2012). 샤머니즘에서 우주론적 개념은 지구와 하늘을 연결하는 거대한 나무를 우주목이라고 불렸다. 때로 는 우주산(山)으로 대체되거나 관련된 단어로 불리기 도 하였다. 샤먼이 산을 오르는 것은 항상 세계의 중 심으로 가는 길을 의미하였다(Fournet, 2020). 우주구 조는 수직적인 3층 세계를 연결한 우주목으로 나타났 으며, 일부 에벤키인은 수평적으로 우주강(江)을 통해 3층 세계를 연결하는 것으로 보인다. 에벤키 샤먼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이 있다고 믿었다. 샤먼이 있는 지역은 중간세계가 인식되고, 상류는 천상세계, 하류 는 지하세계로 분류되었다. 그러므로 샤먼은 엑스터 시 상태에서 배를 타고 3층 세계 간에 왕복하였다(He, 1992). 에벤키 샤먼은 텐트로 우주를 세 부분으로 나 누기도 하였다. 즉, 우주구조는 지구의 중부에 위치해 인간의 생존환경, 서쪽의 긴 복도는 천상세계, 동쪽의 긴 복도는 지하세계이다(Kharitonova, 2004).

    북극과 아북극 지역에서 계절적 변화가 매우 강하 게 느껴지기 때문에 이 지역에 거주하는 우랄어족의 사람들의 삶과 경제 및 문화는 태양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특히 시베리아 우랄어족의 네네츠인과 응가나 산인은 다른 지역의 민족과 비슷한 3층 세계를 가진 우주관을 드러냈는데, 이 지역의 우주관에 나타난 천 상세계, 중간세계, 지하세계 3층 세계는 우주목, 우주 강, 우주산과 같은 우주기둥을 통해 연결되지 않고, 태양기둥으로 연결되었다(Pentikäinen, 2010). 따라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우주관에 나타난 3층 세계가 각 지역의 지리적 환경에 의한 다른 형식의 우주기둥으 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천상세계, 중간세계와 지하세계를 연결한 우주기둥 의 개념은 여러 곳에서 입증되어 있고, 희생과 최상 존재가 포함되었다. 우주기둥은 북극과 사모예드의 원시인 거주지의 특징적인 요소다. 그리고 시베리아 사람들은 희생과 기도가 기둥 아래에서 행해진다. 그 것은 천상의 최고 존재로 가는 길을 열어주기 때문이 다(Eliade, 1964/2003). 시베리아 민족들은 애니미즘 적인 신념체계를 지지하며, 사물과 동식물에 존재하 는 것으로 믿어지는 영혼을 숭배하였다. 샤먼은 정신 세계의 정교한 우주론을 가지고 있고, 인간과 신을 잇 는 역할이라 생각된다(Diószegy & Hoppál, 2020).

    2) Spiritual view

    Eliade(1964/2003)의 연구에 의한 ‘엑스터시’는 샤 머니즘을 이해하는 데 핵심 역할이다. 샤머니즘에서 의 엑스터시 현상을 갖게 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형 태로 구분될 수 있었다. 하나는 샤먼 자신의 영혼이 신 체 밖으로 나가서, 하늘이나 지하세계 또는 여러 지역 을 여행하며 신령과 접촉되는 이른바 ‘탈혼접신형’이 며, 또 하나는 신령이 샤먼 몸으로 강신되어져 엑스터 시가 생성되는 이른바 ‘강신접신형’이다(Yang, 2011). 샤머니즘의 우주관에 의한 샤먼은 엑스터시 상태에서 영혼의 흐름에는 천상세계로 올라가거나 지하세계로 내려가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샤머니즘의 영혼관은 주로 만물에 대한 영적인 만물유령론 관념이 고양된 것으로, 애니미즘, 토테미즘 및 조상숭배가 가장 두드 러졌다(Wang, 2020).

    애니미즘이란 동물 또는 식물, 혹은 무기물에도 인 류의 영혼과 비교하여 우월하지도 열등하지도 않은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하고, 그에 의해 생물을 갖는다 고 믿는 사상이다(Jung, 2011). 샤머니즘에 나타난 애 니미즘은 자연물에 깃들여져 있는 초자연적 존재이 다. 정령은 세상 모든 것에 깃들며, 눈에 보이지 않는 의인화된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상세 계의 정령과 지하세계의 정령이 있는데, 전자는 신의 존재에 가까운 것인데 비하여 후자는 상급 정령을 보 좌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History of Hallym, 2007).

    토템이라는 명칭은 북아메리카 인디언으로부터 토 탐(Totam)의 형식으로 이어받아 사용하였으며, 인류 학자들은 토테미즘 안에서 인류 발달의 필연적이며 도처에서 거쳐야 했던 국면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 다(Freud, 1956/2009). 원시사회에서의 사람들은 수렵 을 통해 의식을 해결해 주는 원천으로서 인간과 밀접 한 공리관계를 형성하였다. 사람들은 단순히 동물에 의지하여 생존하거나 발전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동 물을 사랑하고 나아가 동물을 찬미하였으며 동물 및 수렵노동에 대해 미감을 갖게 되었다(Yoo, 1988). 시 베리아 민족 간의 토템을 살펴보면, 남부 초원에는 독 수리로 나타났으며, 타이가와 북부 지역은 곰, 사슴으 로 나타났다.

    Hoppál(2007)의 연구에 의한 조상정신은 평생 수 호신으로 샤먼을 동반하였으며, 조상숭배는 부족이 숭배한 토템 동물과 부족의 조상 간의 어떤 관계가 있 다고 생각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시베리아인은 조상 이 토템 동물은 결혼을 통해 부족을 번식하였으며, 조 상의 영혼은 샤먼의 꿈을 통해 샤먼이 해야할 일을 보 여주었다고 밝혔다(Hoppál, 2007). 특히 고아시아어 족에서 샤머니즘의 존재는 적극적인 조상숭배와 결합 되었다. 또한, 고아시아어족의 샤먼의 힘은 일반적으 로 조상이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전통적인 사회 적 행동을 재확인하는 데 기반을 두고 있으며, 여전히 조상의 영을 처벌한다고 여겨져 있다(Peoples, Duda, & Marlowe, 2016).

    시베리아 샤머니즘에 나타난 영혼관은 인간의 영 혼이 몸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엑스터시 생태에서 샤먼의 영혼 활동은 자연세계에 존재한 초 자연적인 정신의 도움을 통해 천상세계나 지하세계에 여행으로 도달된다. 즉, 영혼이 몸 안에 있을 때는 정 적인 상태지만, 바깥에 있을 때는 수직적이거나 평행 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e, 1998).

    3) Natural view

    Tucker and Grim(1993/2003)의 연구에 따르면, 서 구 신학은 두 가지 동기가 있다고 주장해 왔다. 첫째 는 영적 동기다. 인간 존재의 목적은 자연의 초월에, 혹은 근대에는 자연의 인간화에 있다고 여기는 것이 다. 둘째는 생태학적 동기인데, 자연의 은총에 감사하 고 자연은 인간에게 유용한지에 관한 여부와 별도로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면서, 인간의 목적은 자 연과 공동체를 이루는 데 있다고 여긴다(Tucker & Grim, 1993/2003). 영적인 동기에서 암시되는 인간 중 심주의의 만물유령론은 샤머니즘의 기본적인 이론으 로 자연물과 자연현상을 기반으로 한 자연신 체계와 살아있는 동물신과 식물신(植物神)을 포함하는 생물학 적 영적 체계로 등장하였다. 자연생태학 동기에서의 샤머니즘의 자연관은 신격화되고 의인화된 이데올로 기적인 체계이며, 샤머니즘의 자연관에는 순수한 객 관적 직관이 없다(Kang, 2018). 즉, 이것은 자연이 샤 머니즘적 관점에서 객관성을 잃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셀 수 없이 많은 자연과 자연현상 가운데는 사람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람과 직접적인 관계가 연 결될 수 있는 자연의 힘만이 신으로 나타날 수 있다.

    원시인은 애니미즘에 의한 샤머니즘이 자연에 영 성(靈性)을 부여함으로써 본래의 자연 속성을 초월하 여 신격화되고 의인화된 정신체계가 된 것을 숭배하 였다(Qu, 2008). 만물유령론을 기반으로 시베리아 샤 먼들은 나무, 강, 산에서 자연의 신과 자연현상을 숭 배함으로써 정령주의와 샤머니즘을 실천하였다(Benz & Bauer, 2015). 인간이 발전함에 따라 시베리아의 샤 먼은 자연계 중에서 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동물 을 숭배하였다. 따라서 시베리아에 나타난 동물숭배 는 동물이 있는 공간의 관점에서 보면 천상세계와 지 하세계로 분류되었으며, 동물과의 친밀감에 의한 수 호신과 보조령으로 분류되었다(Benz & Bauer, 2015).

    인간사회와 관련이 없다면 자연사물은 결코 예배 의 대상으로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Se, 1998). 사람에 게 유익한 자연물이나 현상, 사람에게 해로운 헛된 힘 이나 자연현상은 사람에게 예배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샤머니즘의 자연숭배는 명확한 윤리적 토대와 도덕적 논리를 가지고 있다(Se, 1998). 샤머니즘은 주 로 신격화(산은 신, 나무는 신 등), 의인화(별은 노인, 달은 소녀 등), 윤리화(자연물에는 선과 악의 감정이 있음) 등으로 자연세계에 특정한 종교적이고 문화적 인 의미를 부여한다(Se, 1998). 따라서 시베리아 샤머 니즘의 자연관은 자연이 어떻게 생겨나고 사물이 되 는가의 본질과 기원에 관한 것이며, 샤머니즘은 원시 인들이 외부의 자연환경을 잘못된 인식에서부터 생겨 난 종교 사상이다.

    샤먼은 사람과 영혼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했으며, 다른 목적으로는 동물이나 조상의 영혼 형태로 우주 에 날아다녔다. 이뿐만 아니라 시베리아에서 샤먼은 병을 치료하기, 분실물 찾기, 미래를 예측하기, 조산 (助產), 또는 죽은 자의 영혼과 함께 지하세계에 동행 하기도 한다(“Evenki”, n.d.). 다른 사람들은 신격화된 샤먼의 복식, 가면, 북 등을 사용할 수 없었다. 샤먼복 식에 달린 펜던트와 기타 이미지는 샤먼이 세계 사이 에서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의인화 또는 신격화 되어 있다. 따라서 샤먼복식의 전체적인 구성과 세부 적인 배치는 샤먼이 수행하는 의식을 강화할 뿐만 아 니라, 인간, 자연 및 초자연적인 존재의 사이에 조화 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A study on Siberian shaman costume

    시베리아 소수민족들은 언어학적으로 알타이어족, 퉁구스어족, 우랄어족, 고아시아어족으로 총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각 민족의 지리적 환경의 차이에 따르 면 특별한 샤먼복식문화로 나타났다. 본 절에는 이론 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통해 시베리아의 샤머니즘 을 지역적으로 4가지로 분류되었다. 즉, 남부 초원(草 原)의 알타이어족 샤먼, 중동부의 퉁구스어족 샤먼, 서부 평원의 우랄어족 샤먼, 북부 원주인의 고아시아 어족 샤먼이다. 샤먼복식은 새 형, 사슴 형, 곰 형, 민 속복식 형과 혼합 형 총 5가지로 나타났다. 지리적 위 치에 의해서는 샤먼복식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인 형 태, 모자, 장식 3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하고자 한다.

    1) Form

    인간은 현존하는 자연환경에서 제공되는 자원을 이용해 그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독특한 삶의 방 식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생활방식이 세대로 전해 내 려오며 그 종족의 문화가 형성된다. 복식의 형태와 착 용 방식은 오랫동안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생활양식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이에 따른 시베리아 각 소수민족이 입는 샤먼복식의 형태는 자연환경으로부터 얻을 수 있 는 자원과 그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따라 결 정되었다(Jin, 2006). 시베리아 각 소수민족은 이 세 가 지 요인에 따라 각기 독특한 샤먼복식을 발전시켰다.

    시베리아 샤머니즘에 나타난 새 형 샤먼복식은 알 타이어족에서 퍼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샤먼들은 머리와 몸에 새의 깃털이나 날개를 꽂음으로써 기호 화한 깃털 그림을 그리므로 주술적인 비행능력을 얻게 되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Eliade, 1964/2003). <Fig. 1>의 샤먼복식은 독수리나 올빼미의 깃털과 날개가 머리장식, 어깨, 뒷면에 달려 있음을 통해 새의 모습 을 복식 형태로 재현한다. 또한, 무의를 칠 때 샤먼복 식에 장식한 리본을 흔들어 새의 깃털을 표현하였다. 퉁구스인의 원시종교는 주로 동물숭배를 위주로 하고 있었다. 특히 퉁구스인중 에벤키인은 수렵의 성공을 기원하기 위해 샤먼이 사슴을 흉내냈다. 샤먼은 사슴 이 날개가 있고 천상세계로 올라갈 수 있다고 믿었다. 뿐만 아니라 샤먼은 사슴뿔을 통해 천상세계로부터의 정보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샤먼들은 사슴가 죽으로 제작된 샤먼복식, 사슴뿔이 달린 크라운과 사 슴발을 재현한 부츠를 착용하였다(Fig. 2). 타이가와 북극 지역에 살아있는 사람들은 곰을 숭배해 왔다. 사 람들은 곰의 강력한 힘을 통해 지하세계로 내려갈 수 있으며, 귀신과 신통하고 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었 다. 따라서 곰 형 샤먼은 곰가죽으로 제작된 곰 형 복 식을 착용하여 복식과 머리에 곰가죽을 덮고, 샤먼의 손과 발을 곰의 사지로 장식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3). 서부평원에 살아있는 우랄어족의 샤먼은 퉁구스 샤머니즘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셀쿠프인의 샤먼복식은 퉁구스 샤먼의 사슴뿔이 달린 크라운과 금속으로 만든 곰발이 혼합되어 나타났다(Fig. 4). 북 부 고아시아어족의 샤먼들은 주로 ‘가정 형’을 나타냈 다. 특별히 제작한 샤먼복식보다는 유카기르인은 일 상복식을 바탕으로 사슴가죽으로 만든 로브루가가 달 린 허리띠를 사용하여 샤먼의 정체성을 강조하였다 (Fig. 5).

    2) Headdress

    샤먼의 힘은 모자에 집중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샤 먼복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모자는 하늘과 우주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에 도움 이 된다. 모자가 우주의 상징이고, 십자가로 교차한 점이 우주의 중심을 상징한다면, 샤먼은 그가 의식을 시작할 수 있는 곳에서 세계의 중심에 서 있다고 생각 한다(Hoppál, 2007). 이 힘을 중심으로 샤먼이 세계와 우주 사이의 중개자가 된다. 머리장식이 중요한 또 다 른 이유는 인간의 영혼이 정수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그래서 접신(接神)과정을 통해 서는 무아지경(無我之境)의 상태에 빠진 샤먼이 보호 되어야 한다(Hoppál, 2007).

    샤먼의 머리장식은 보호하는 동물의 영혼을 다양 하게 반영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경우 가장 명확한 장 식은 새일 것이다. 그러나 머리장식은 종종 새 깃털과 함께 사슴뿔로도 장식되었다. 시베리아 전역에 거주한 에벤키인과 트랜스바이칼 호소 지역의 부랴트인 사이 에서도 샤먼의 머리장식이 사슴뿔로 장식되어 있다. 일부 샤먼의 머리장식 앞면은 양식화된 사슴뿔, 미니 어처 세이버, 심지어 곰 발톱으로 장식되었다. 이러한 장식은 샤먼이 적대적인 세력과 싸울 무기로 사용되었 다. 이러한 요소는 샤먼이 엑스터시 상태에서 그의 동 물 정신을 가장했거나 심지어 그의 동물 정신이 되었 다는 이해를 뒷받침한다(Anuchin, 2013; Prokofy’eva, 1971).

    본 연구는 실증적 조사를 통해 샤먼복식의 모자를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즉, 곰 형, 민속복식 형, 사 슴 형, 새 형, 혼합 형이다. 먼저 곰 형의 모자는 주로 머리에 곰가죽을 덮었다. <Fig. 6>에 보여준 나나이인 의 곰 형 샤먼모자는 곰가죽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민 속복식 형은 샤먼이 특정적인 모자를 제작하지 않고 주로 민속복식에 나타난 모자를 사용하였다. 에번스인 은 사슴가죽으로 만든 모자에 로브루가가 달림으로써 샤머니즘 무의 시 착용하였다(Fig. 7). 그러므로 이 부 분은 새 형과 사슴 형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 리고 우랄어족 샤먼모자는 에벤키인 사슴 형과 일상복 식에 사용한 것을 혼합한 이미지로 나타났다(Fig. 8).

    시베리아 알타이어족의 샤먼모자는 깃털, 프린지 등을 통해 ‘새’로 재현되었으며, 샤먼이 ‘새’로 변모시 키는 능력을 언급하였다. 예를 들어 새의 눈은 진주로 표시되었으며, 때로는 완전한 올빼미 가죽이 머리 장 식으로 착용되었다. 독수리나 올빼미는 뛰어난 시력 을 가진 매우 조용한 야행성 새라고 여겨진다. 시베리 아 알타이어족은 독수리 또는 올빼미의 깃털로 장식 된 머리장식을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Fig. 9). 샤먼은 얼굴이 덮이고 어두운 환경에서 무의를 치기 때문에 독수리와 올빼미처럼 시력이 뛰어난 동물을 사용하였 다(Jähnichen, 2017). 새는 하늘의 주인이라는 것도 빛 의 상징과 관련이 된 것이다. 또한, 깃털 같은 머리장 식은 샤먼의 머리를 빛의 고리처럼 감싸고 있는데, 이 는 복식 전체의 상징적인 의미에서 샤먼과 천상세계 이기 때문이다(Hoppál, 2007).

    전형적인 금속 부착물은 복식의 몸통에 부착된 금 속 뿔을 포함하거나, 더 일반적으로 머리 장식에 부착 되기도 하였다(Fig. 10). 18세기의 이미지에서 이들은 때때로 실제 뿔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인다. 다른 머리 장식은 뿔 모양의 가죽, 깃털, 모피로 장식되어 있으 며, 뿔 모티프를 반영하는 것처럼 보인다. 여전히 다 른 사람들은 뿔을 완전히 생략한다. 예니세이강 근처 의 샤먼들은 샤먼복식에 있는 뿔이 지하세계에서 빠 르게 달릴 수 있도록 돕는 사슴을 의미한다고 설명하 였다(Lommel, 1967). 처음에는 실제 사슴뿔이 사용되 어 사슴과 샤먼의 유사성을 직접적으로 나타냈으며, 나중에는 철로 만든 뿔이 이를 대체하였다. 샤먼복식 의 가장 중요한 속성은 샤먼의 힘과 힘의 상징인 머리 장식과 작은 금속 뿔이었다(Mykhailova, 2016).

    3) Ornament

    외관상으로는 자수, 펜던트, 프린지, 벨과 같이 샤 먼복식에 부착된 장식이 매우 다양하였다. 그러나 이 다양성은 재료 및 형태와 더 관련이 있었다. 선행연구 (Eliade, 1964/2003;Lee, 2005;Park, 1995)를 고찰하 여 샤먼복식의 장식은 크게 시각적 장식과 청각적 장 식 두 가지로 나뉜다. 토템 동물의 소리를 재현하기 위해 샤먼복식은 방울, 벨, 금속 장식 등으로 장식하 였다. 이 수많은 작은 금속 장식들은 무엇보다도 샤먼 의 엑스터시에는 악신을 쫓아낼 수 있는 소리를 냈다 (Gisa, 2017). 이에 따른 시각적이고 상징적인 장식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새 이미지를 구성하는 장식이다. 복식의 모든 부분에 부착된 프린지는 대개 깃털을 상징하며, 드물게는 동물의 모피를 상징한다. 가장 오래된 스타 일은 가죽으로 만든 복식 가장자리의 프린지 절단이 었다. 그리고 알타이인은 머리에 붙인 깃털과 등에 달 린 날개를 통해 새로 변신할 수 있다고 믿는다. 새와 동물의 골격과 신체 부위 이미지는 새 이미지와 동일 한 그룹에 속한다. 따라서 샤먼의 가슴에서는 자수로 새의 해골의 이미지를 묘사한다. 부랴트인은 철로 만 든 새의 해골(骸骨) 이미지를 나타냈다. Prokof’eva (1971)는 새 이미지가 가장 오래된 이미지라고 밝히 었는데, 나중에 새 이미지 위에 사슴이나 곰과 같은 새로운 동물의 이미지가 겹쳐졌다.

    두 번째 장식 유형은 동물과 인간 이미지로 표현되 었다. 즉, 샤먼이 변신한 동물의 영혼, 샤먼의 조수(助 手)인 동물의 영혼과 수호신을 상징한 이미지이다. 이 런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복식 뒷면의 철로 만든 양단 에 사슴뿔을 부착하는 것으로 그려졌다. 그들은 금속 조각으로 만들어졌으나, 양털로 채워진 인형, 동물과 새의 전체 가죽, 때로는 동물의 머리, 발, 이빨 및 꼬 리 등으로 부착되기도 했다. 샤먼이 변신한 동물의 영 혼 이미지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것은 사슴 이미지 였다. 샤먼의 보조령 중에는 천상세계와 관련된 독수 리, 까마귀, 학(鶴), 오리, 백조, 사슴과 이와 반대인, 지하세계와 관련된 잠조(潛鳥), 곰, 늑대, 뱀 등이 있 었다. 세 번째 장식 그룹은 태양, 달, 지구, 별, 지하세 계의 입구와 같은 천체 및 우주 상징으로 표현되었다. 일반적으로 샤먼복식의 청동거울, 구리거울, 원형 철 판과 굴렁쇠는 이러한 모든 상징을 묘사하였다. 샤먼 들은 지하세계로 내려가는 길을 비출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자기 보호를 위해 이 거울을 착용하였기 때문에 금속 거울의 존재는 매우 중요하였다. 샤먼을 공격하 는 영들은 샤먼을 볼 수 없도록 그 속에 반영되어 있 다. 네 번째 장식 그룹에는 활(弓)과 화살(箭頭), 창 (牄), 칼, 도끼(斧頭)와 삽(鏟)과 같은 공작물, 배와 같 은 교통수단이나 수렵도구, 그리고 사슬과 밧줄로 의 미하는 것과 같은 샤먼의 무기에 대한 소형의 금속 이 미지가 포함되었다. 연구결과는 <Table 1>과 같다.

    Ⅳ. Understanding of Siberian Shaman Costume from the Perspective of Siberian Shamanism's Spiritual Culture

    본 연구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에 기반 한 샤먼복식의 형태, 모자, 장식을 기초함으로써 시베 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 관점에서 본 시베리아 샤 먼복식을 우주관과 샤먼복식, 영혼관과 샤먼복식, 자 연관과 샤먼복식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1. Cosmic view and shaman costume

    시베리아 사람의 우주관은 천상세계, 지구세계 및 지하세계의 3층 우주구조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천상 세계, 지구세계와 지하세계는 인간의 머리, 몸, 발을 대조한다. 샤먼은 복식으로 3층 우주관을 표현하며, 시베리아 샤먼복식은 형태, 장식으로 샤먼복식의 3층 우주관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시베리아 샤먼복식 에서 나타난 우주관을 살펴보기 위해 가장 전형적인 3가지 유형인 새 모양, 사슴 모양, 곰 모양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형태를 살펴보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상세계와 소통하기 위해 샤먼은 새의 원형으로 샤먼복식을 구조하여 새처럼 비행능력 을 갖게 된 상징적 의미를 덧붙여 기호적으로 재현하 였다. 일반적으로 새 형 샤먼복식은 머리장식과 어깨 등에 깃털로 장식되고, 복식 뒷면에 올빼미의 날개가 달렸다. 알타이 샤먼은 새로 변신할 때 포승(布繩)을 장식하여 에벤키 샤먼처럼 프린지가 달림으로써 새의 깃털을 재현하였다(Kevser, 2018). 샤먼복식에 달린 프린지를 통해서는 새의 깃털을 모방하였다. 시베리 아 샤먼은 독수리와 올빼미를 숭배하기 때문에 이들 을 통해 샤먼의 영혼을 천상세계로 올라갈 수 있었다. 둘째, 사슴가죽으로 만든 사슴 형 샤먼복식은 사슴의 힘이 그것을 입은 사람에게 전달되도록 준비되었다. 뿐만 아니라 샤먼의 머리장식은 천상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통로인 사슴뿔이 달린 금속 크라운으로 구성 되었다. 그리고 샤먼은 샤먼복식의 소매와 뒷면에 사 슴뿔을 달아 놓기도 한다. 이런 외재적인 재현을 통해 사슴으로 변신할 수 있다. 셋째, 곰가죽으로 제작된 샤먼복식은 샤먼이 지하세계에 내려가는 동안 사용 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서부의 케트 샤먼은 샤먼복식 의 신발에 금속장식을 붙여서 곰 발을 재현하였다. Janhunen(2003)에 의한 샤먼은 항상 곰 형 샤먼복식 을 입어 언제나 동물을 희생적으로 죽이는 과정을 수 반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샤먼이 지하세계로 향하 지 않는 샤머니즘 의식 중에 사용하였다.

    샤먼복식의 장식을 살펴보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쿠프 샤먼과 토팔라르 샤먼은 샤먼복식 뒷면 에 나타난 사다리 모양을 재현함으로써 천상세계로 올라갈 수 있는 통로를 의미하였다. 야쿠트 샤먼복식 뒷면에 금속 장식은 3층으로 나누어서 우주관에 나타 난 천상세계, 중간세계, 지하세계와 맞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야쿠트 샤먼복식에 나타난 굴렁쇠는 샤 먼이 엑스터시 상태에서 천상세계, 중간세계 및 지하 세계에 영혼 여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름이라 생각 되었다. 에벤키 샤먼복식의 앞치마는 3개 금속 장식으 로 3층 세계의 우주관이 표현되었으며, 일부 앞치마 의 윗부분은 천상세계와 관련된 백조로 장식되고, 아 랫부분에는 지하세계와 연결된 물새가 장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베리아 샤먼복식에 표현된 시베리아 샤머 니즘의 우주관에 관한 연구결과는 <Table 2>와 같다.

    2. Spiritual view and shaman costume

    시베리아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만물유영론’을 믿 었다. 다른 세계로 영혼 여행할 수 있는 샤먼의 능력 은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샤머니 즘 이데올로기의 기초는 영혼의 이원론적 개념으로 드러난다(Siikala, 1987). 샤먼은 엑스터시 상태에서 드럼을 치고 춤을 추면서 신을 만났을 때 본 것을 이 야기하였다. 따라서 샤먼은 체력이 소진되고 피로로 붕괴됨으로써, 엑스터시 상태에서 악령과 싸우는 영 혼의 세계로 들어간다. 이것이 성공하면 샤먼은 악령 을 쫓아내고 환자의 혼백(魂魄)을 되찾을 수 있었다 (Winkelman, 2002). 앞에 설명한 듯이 시베리아 샤먼 이 영혼 여행할 때 영혼이 크게 둘로 분류할 수 있으 니, 그 하나는 샤먼복식의 형태로 재현된 토템 동물로 알려진 수호신이며, 또 하나는 복식에 달린 장식이 상 징하는 보조령이다.

    수호신은 샤먼이 엑스터시 상태에서 다른 세계로 올라갈 때 동행하지만 어떤 여행이든 요청할 수도 있 었다. 샤먼은 부족사회를 위해 영적 인도를 받도록 천 상세계로 영혼 여행을 하였다. 샤머니즘에서 인간은 몸과 정신으로 구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시베리아 샤머니즘에는 새, 사슴, 곰 3가지 수호신을 나타냈다. 정신이 수호신의 도움을 통해 우주에서 흐른다. 다시 말해, 인간의 몸은 수호신과 보조령이 일할 수 있는 명확한 통로가 된다. 즉, 일하는 것은 샤먼이 아니라 영혼이었다. 따라서 인간과 영적 정신의 유대감을 형 성하고 정기적으로 천상세계에 방문함으로써, 인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식과 에너지를 받기 시작한다.

    보조령은 보통 조류(鳥類)와 포유동물이지만 제한 적으로 파충류나 어류, 신화적 생물도 가능하다. 샤먼 이 엑스터시 상태에 천상세계나 지하세계로 들어가는 길에 동행하도록 보조령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것은 그들과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강하게 유지하고, 그 들을 돌보는 데 도움이 되었다(Criss, n.d.). 따라서 샤 먼의 보조령은 천상세계나 지하세계에 의해서 2가지 로 나타났다. 샤먼복식에 나타난 새와 관련된 이미지 는 천상세계와 연결한다. 부랴트인의 신화에서 백조 는 인간과 결혼해서 후손을 낳았다. 백조는 하늘에 들 어가서 소식을 전달할 수 있었다. 말은 샤머니즘에서 와 신화에서 완전히 다른 위치를 차지한다. 주로 영혼 의 운반자와 묘장(埋葬)의 매개체인 말은 다양한 상황 에서 샤먼이 엑스터시 상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 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말은 샤먼이 천상세계에 도 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베리아인은 사슴이 날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사슴을 사 용하여 천상세계와 연결하였다.

    생어와 같은 물 안에 살아있는 것은 샤먼이 지하세 계로 내려갈 때 도움을 줄 수 있었다. 그리고 아비새 (Loon)는 공기에서 물로 잠수하는 능력으로 인해 샤 먼의 도우미로 간주되었다. 샤먼들은 아비속의 정신 을 사용함으로써, 지하세계에서는 사람의 멀어진 영 혼을 찾아 회복하였다. 다시 말해, 샤먼은 엑스터시 상 태에 몰입하고 영혼 여행을 통해 잃어버린 영혼을 찾 아 사람에게 돌려주어 병을 고칠 수 있었다. 샤먼의 힘 은 사람의 몸에 서식하는 악령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 로 생각되는 질병, 특히 열에 가장 유용하다고 믿어진 다. 샤먼은 병의 정령을 먹거나, 뱀이나 도마뱀의 형 태로 된 보조령을 갖는 데 능숙해져서 그들을 완전히 파괴하기 위해 불쾌한 정령을 먹었다(Balzer, 1987). 또한, 개구리는 또한 물의 수호자로서 동화 속 영웅들 을 바른길로 가도록 도와줄 수도 있었다. 동시에, 그 것은 부정적인 마법의 힘과 연결되어 있어서, 다른 세 계인 죽은 자의 거주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었다. 개구리는 샤먼 정신의 연합에 들어 가 중간세계의 평화를 수호하였다. 그 이미지는 일반 적으로 지구의 상징으로 복식에 부착되었다. 연구결 과는 <Table 3>과 같다.

    3. Natural view and shaman costume

    샤머니즘의 자연관은 인식론적 시각에서 볼 때 생 산력 수준과 인간의 지적 수준이 낮은 원시사회에서 인류가 많은 자연 현상에 대해 과학적 해석을 하지 못 하고 자연을 굴종하고 숭배하는 것은 샤머니즘 같은 원시종교가 만들어낸 근원이다(Bao, 2016).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자연관은 의인화되고 신격화된 시스템이 라 생각된다. 원시시대의 시베리아 사람들은 객관적 자연세계와 인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현 상을 신의 영향이라고 여겼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사 람들에게 유익하거나 해로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샤머니즘의 자연관에는 특정한 윤리적 토 대와 논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베리아 샤머니즘 의 자연관은 주로 자연에 특정한 종교적, 문화적 의미 를 부여하기 위해 인격화, 신격화 및 윤리화 3가지로 정리되었다.

    시베리아인은 자신에게 유리한 자연물을 영적인 물건으로 보았기 때문에 샤먼복식을 제작했고, 신복 을 착용한 샤먼은 제의에서 신령과 소통할 수 있었다. 샤먼복식은 샤머니즘에서 신격화됨으로써 초자연적 인 힘을 지닌 것이다. 샤먼복식을 살펴보면, 위쪽은 사슴, 말, 새, 깃털, 날개 등을 부착하여 천상세계와 소 통한 반면, 샤먼복식 아래쪽은 뱀, 곰, 개구리, 늑대 등 을 부착하여 지하세계와 연결했다. 시베리아 샤먼복 식에 장식된 동물 조각상은 무의 시 시베리아 샤먼의 보조령의 역할을 하였다. 이는 수령이 많을수록 샤먼 의 등급이 높아지고, 샤먼의 능력도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샤먼복식에서 장식에 나타난 인간의 얼굴은 그들 이 숭배하는 산(山)신, 천(天)신, 조상의 이미지다. 시 베리아 각 민족은 샤머니즘의 표현과 상징으로 샤먼 복식에 다양한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원시인이 숭 배하는 각종 신을 의인화했고, 생명과 영성을 부여함 으로써 원시인이 자연에 항쟁할 수 있는 용기와 믿음 을 키웠다(Wang & Tian, 2013). Hume(1957)의 연구 에 의하면 종교가 신비한 힘에 대한 인간의 숭배와 자 신의 운명에 대한 걱정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하며, 미지의 두려움 때문에 사람들은 항상 신비한 힘을 자 신에게 알려주는 인간에게 특질을 부여하는 것이다.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자연관에 나타난 윤리화는 샤 머니즘의 핵심으로 한 윤리적인 체계다(Chen, 2005). Kang(2003)의 연구에 의한 도덕의 기본 잣대가 어느 정도는 작동한다는 점을 샤먼복식의 생산과정에 대한 전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베리아 각 민족의 샤먼 복식을 고찰해 봄으로써 윤리적인 선악으로 나누어서 다른 차원 공간으로 들어가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 였다. 그러나 샤먼복식은 각 민족의 자연환경과 사회 문화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각종 수호신이나 보조령 의 선악에 대한 정의는 혼란스럽고 통일된 기준이 없 었다. 샤머니즘 자연관의 윤리화 종국적 의미는 고요 함의 좋은 삶을 장려하는 기풍이라고 제안될 수 있다.

    시베리아 각 민족의 샤먼복식은 다르지만, 샤먼 신 앙체계의 기본적인 원칙에 따라 공통적으로 상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 관 점에서 본 샤먼복식의 형태와, 모자와 장식에 의해 획 득한 상징적 의미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초월 할 수 있는 도구로 변형시키는 조건이 된다.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 관점에서 본 시베리아 샤먼복식 의 이해는 <Table 4>와 같다.

    Ⅴ. Conclusion

    시베리아 샤먼복식은 그 자체로서 샤머니즘적인 우주관, 영혼관, 자연관을 이룬다. 샤먼복식은 많은 시베리아인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모두 우주의 법칙 에 대한 부족의 지식을 상징해왔다. 사람들은 의식에 서 분명하게 표현된 부족의 신념체계를 보면서 안전 과 신뢰감을 느꼈으며, 샤먼복식은 시베리아 사람들 의 우주관을 반영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또 한, 시베리아 샤먼들은 토템의 모습을 재현한 샤먼복 식을 착용함으로써 하늘과 지하에서 왕복하는 영혼 여행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간과 신령을 잇는 매개자가 될 수 있다. 이를 볼 때, 시베리아 샤먼 복식은 의상을 통해 시베리아 부족 정신문화를 이해 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해 볼 만한 충분한 가치를 갖 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베리아 샤머니즘 정신문 화의 관점에서 시베리아 샤먼복식을 이해하고자 하였 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우주관은 우주기둥을 통해 천상세계(하늘), 중간세계(지상), 지하세계(지하) 를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주기둥은 수직적으로 우주산과 우주목으로 연결되고, 수평적으로 우주강으 로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베리아 샤먼복식은 형 태와 장식을 통해 기호적으로 샤머니즘의 우주관을 재현하였다. 샤먼은 샤먼복식의 형태가 새로 변신함 으로써 천상세계에 올라갔으며, 곰으로 변신함으로써 지하세계에 내려갈 수 있게 되었다. 샤먼복식으로 통 해 사슴으로 변신된 샤먼은 천상세계와 지하세계 모 두에 접근할 수 있었다. 샤먼은 샤먼복식 뒷면에 달린 3층 금속장식이나 앞치마에 달린 동물 조각상을 통해 샤먼의 3층 우주관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시베리아 샤먼은 복식을 통해 ‘토템-되기’가 단순히 동물을 흉 내 내는 외재적인 모방이 아닌 우주에 관한 상상의 묘 사까지도 반영해 주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별한 샤먼복식의 착용은 샤머니즘의 무의 (巫儀)를 정신세계를 사실화 시키는 구현물 역할을 하 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영혼관은 애니미즘을 기초한 토테미즘과 조상숭배로 나타났다. 시베리아 샤먼은 엑스터시 상태에서 영혼이 몸을 떠나 수호신 과 보조령의 도움을 받아 하늘로 올라가거나 지하로 내려갈 수 있는 것으로 초자연적 존재와 정신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역할이다. 알타이어족의 샤먼들은 새의 비행능력을 취득하기 위해 새 형 샤먼복식에 깃 털과 날개를 장식하여 프린지와 리본이 많이 단 것으 로 보인다. 퉁구스어족의 샤먼들은 사슴의 달리기 능 력을 획득하기 위해, 사슴가죽을 기반으로 만든 사슴 형 샤먼복식에 사슴장식과 사슴뿔로 장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 가족으로 제작된 곰 형 샤먼복식은 머리 장식에 곰가죽으로 덮고, 곰 형 장식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샤먼복식에 달린 동물의 조각상은 샤먼 의 보조령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샤먼은 천상세계로 올라갈 때 새, 사슴, 말, 호랑이, 백조 등의 도움을 받은 것에 반해, 지하세계로 내려갈 때 뱀, 어, 개구리 등과 같은 파충류와 물하(水下)의 동물의 정신 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자연관은 의인화, 신격 화와 윤리화 3가지로 나타났다.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자연관에는 자연이 객관성을 잃고, 사람에게 도움이 되거나 해로운 자연현상이나 힘과 같은 인간과 직접 적 이해(利害)관계를 가진 자연이 신으로 나타나 숭배 되었다. 이에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자연관에는 어느 정도 윤리적 토대와 도덕적 논리가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베리아 샤먼은 신격화된 샤먼복식을 착용함으로써 속계를 넘어 영계와 접촉할 자격을 갖 추며, 자신이 인간과 신을 잇는 역할의 정당성을 강조 하였다. 또한 샤먼은 착용의 복식형태에 표현된 수호 신과 장식에 표현된 보조령이 의인화됨으로써 초자연 적인 존재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었다. 시베리아 샤 먼복식에 얼마나 많이 장식되어 있느냐는 샤먼 능력 의 강약(強弱)을 나타낸다. 그리고 샤먼은 사람에게 유익한 영혼을 소통하면 선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반 면, 사람에게 해로운 영혼을 교류하면 악신을 통해 이 루어졌다. 이런 3가지 방식으로 시베리아 샤머니즘은 자연계에 종교적 의미와 문화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정신문화 관점을 통해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조형적 특징과 함께 사회 변천을 통해 일어난 시베리아인의 사고방식의 변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을 샤먼복식에 적용하여 구사하 려 했던 인간 내면의 정신세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였다. 샤먼복식은 현대패션에서 신비주의로 해석되어 왔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샤먼복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대패션으로의 응용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그러나 광대한 시베리아에서 같은 민 족의 다른 부족 간의 샤먼복식에는 차이점을 인식할 수 없는 점 또한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음을 것이다. 따라서 시베리아 민족의 다양한 다른 부족 간 의 샤먼복식에 대한 깊은 분석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 는 바이다.

    Figure

    RJCC-29-1-103_F1.gif

    Buryat shaman’s costume Reprinted from Kevser. (2018). p.150.

    RJCC-29-1-103_F2.gif

    Evenki shaman’s costume Reprinted from Google Arts & Culture. (n.d.). www.artsandculture. google.com

    RJCC-29-1-103_F3.gif

    Evenki shaman costume Reprinted from Mazin. (1984). www.museum.ethnic art.ru

    RJCC-29-1-103_F4.gif

    Selkup shaman’s costume Reprinted from Anawalt. (2014). p.54.

    RJCC-29-1-103_F5.gif

    Yukaghir shaman’s costume Reprinted from Chernyavskaya. (2004). pp.23-24.

    RJCC-29-1-103_F6.gif

    Nanai shaman headdress Reprinted from Crushevil. (2013). www.mishymashy.tu mblr.com

    RJCC-29-1-103_F7.gif

    Evens shaman headdress Reprinted from Bystrinsky Ethnographic Museum. (n.d.). http://nord-costume.b logspot.com

    RJCC-29-1-103_F8.gif

    Enets shaman headdress Reprinted from Kunstkamera Museum. (n.d.a). www.kunstkamera.ru

    RJCC-29-1-103_F9.gif

    Khakas shaman headdress Reprinted from Mannermaa & Kirkinen. (2020). p.25.

    RJCC-29-1-103_F10.gif

    Evenki shaman headdress Reprinted from Kunstkamera Museum. (n.d.b). www.kunstkamera.ru

    Table

    Siberian shaman costume decoration

    Siberia shaman costume and spaceships

    Siberia shaman costume and spirits

    Understanding of Siberian shaman costume from the perspective of Siberian shamanism’s spiritual culture

    Reference

    1. Anawalt, P. R. (2014). Shamanic regalia in the Far North. London: Thames & Hudson.
    2. Anokhin, A. V. (2013). Материалы по шаманству у алтайцев [Materials on shamanism among the Altaians]. Moscow: Ripol Classic.
    3. Balzer, M. M. (1987). Behind shamanism: Changing voices of Siberian Khanty cosmology and politics. Social Science & Medicine, 24(12), 1085-1093.
    4. Bao, G. Q. (2016). 蒙古族薩滿教的歷史文化根源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oots of Mongolian sha- manism]. Journal of Beifang University of Nationalities, 5(2016), 24-27.
    5. Batashev, M. S. , & Makarov, N. P. (2018). Culture genesis of the peoples of the north of the Yenisei. Interaction of cultures. Journal of Siberian Federal University. Humanities & Social Sciences, 11(1), 4-18.
    6. Benz, M. , & Bauer, J. (2015). On scorpions, birds and snakes—evidence for shamanism in northern Mesopotamia during the early Holocene. Journal of Ritual Studies, 29(2), 1-23.
    7. Bradshaw Foundation [@BradshawFND]. (n.d.). Shaman costume’s three-tiered ornament [Twitter]. Retrieved February 17, 2021, from https://twitter.com/BradshawFND/status/727800003998175232/photo/1
    8. Bystrinsky Ethnographic Museum. (n.d.). Evens shaman headdress. Retrieved January 2, 2021, from http://nord-costume.blogspot.com/search/label/%D1%8D%D0%B2%D0%B5%D0%BD%D1%8B
    9. Chen, C. (2005). The modern value of religious ethics -A survey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ethics. Expanding Horizon, 2(2005), 60-62.
    10. Chernyavskaya. (2004). Shaman costumes. Irkutsk: Irkutsk Regional Museum of Local Lore.
    11. Criss, I. (n.d.). The concept of shamanic journeying. Retrieved November 1, 2020, from https://liberatedlifecoaching.com/Article/TheConceptOfShamanicJourneying
    12. Crushevil. (2013, May 22). Nanai shaman costume. Retrieved October 14, 2020, from https://mishymashy.tumblr.com/post/51097766564
    13. Dawn Edmundson. (n.d.). Shaman costume’s apron [Pinterest]. Retrieved October 17, 2020,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388787380306475715/
    14. Defenders. (n.d.). Owl. Retrieved December 14, 2020, from http://guardians.lenta.ru/shaman/
    15. Diószegi, V. , & Hoppál, M. (Eds.) (2020). Shamanism in Siberia (Vol. 1). Alexandria: Library of Alexandria.
    16. Edelbay, S. (2012). Traditional Kazakh culture and Islam.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Science, 3(11), 122-134.
    17. Eliade, M. (2003). Shamanism: Archaic techniques of ecstasy (Y. K. Lee, Trans.).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64)
    18. Ethnography Museum. (n.d.). Deer type shaman costume. Retrieved February 17, 2021, from https://ethnomuseum.ru/en/collections1/the-collectionsof-the-peoples-of-siberia-and-far-east-culture/
    19. Evenki. (n.d.). In Arcticphoto. Retrieved November 12, 2020, from https://www.arcticphoto.com/polar-info/polar-info24.htm
    20. Fournet, A. (2020). Shamanism in Indo-European mythologies. Archaeoastronomy and Ancient Technologies, 8(1), 12-29.
    21. Freud, S. (2009). Totem und tabu (Y. K. Kim, Trans.). Moscow: Ripol Classic. (Original work published 1956)
    22. Gisa, J. (2017). SIMP*5 is volume V of studia instrumentorum musicae popularis (New Series) [SIMP*5 is volume V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democratic studio]. Urban district: Monsenstein und Vannerdat.
    23. Google Arts & Culture. (n.d.). Evenk shaman costume.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evenk-shaman-ritual-costume/5wF1kyvBClnfBw
    24. Han, S. J. (2012). A study on the shaman’s costum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0(2), 1-11.
    25. He, X. L. (1992). 中國自然界與自然崇拜 [Chinese nature and nature worship]. Shanghai: Shanghai Sanlian Bookstore Co.,Ltd.
    26. History of Hallym. (2007). 토속신앙 - 애니미즘, 샤 머니즘, 토테미즘 [Indigenous beliefs-animism, shamanism, totemism]. Retrieved January 16,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60447&cid=47331&categoryId=47331
    27. Holmberg, H. U. (1922). The shaman costume and its significance. Retrieved October 2, 2020, from https://archive.org/details/TheShamanCostumeAndItsSignificance
    28. Hoppál, M. (2007). Shamans and traditions. Budapest: Akadémiai Kiadó.
    29. Hou. Y. C. (1987). 西伯利亞民族簡史 [A brief history of the Siberian nation]. Ha’erbin: Siberian Institute of Heilongjiang Academy of Social Sciences.
    30. Hume, D. (1957). The natural history of religion.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1. Institute of Russian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n.d.). 러시아 연방 개관 [Overview of the Russian federation]. Retrieved January 1, 2021, from http://hk.rus.or.kr/database/database_01_02.asp
    32. Jähnichen, G. (2017). Programme of the 21 symposium of the ICTM study group on musical instruments. Sarajevo: Music Academy.
    33. Janhunen, J. (2003). Tracing the bear myth in Northeast Asia. Acta Slavica Iaponica, 2003(20), 1-24.
    34. Jin. (2006). 복식형태와 사회환경 [Fashion and social environment] [Blog Post]. Retrieved October 19, 2020, fr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yderay&logNo=150006307753&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35. Jung, D. H. (2011). Animism characters in animation and the Japanese view of god - Focusing on Miyajaki Hayao`s works-.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32, 207-216.
    36. Kang, J. S. (2018). Shamanism from ecological viewpoint. Literature and Religion, 23(1), 1-18.
    37. Kang, J. W. (2003). Shaman costume, Yakutian cultural change and Russian colonial governance. Russian Studies, 13(1), 329-354.
    38. Kevser, G. (2018). Kutsal saman elbiseleri (Turkish). Turkey: Ötüken Nesriyat.
    39. Khakass National Museum. (n.d.). Feathers and wings. Retrieved January 2, 2021, from https://hnkm.ru/khakasia/traditsionnaya-kultura/shamanizm
    40. Kharitonova, L. M. (2004). Shaman’s costumes. Irkutsk: The Collection of Irkutsk Regional Study Museum.
    41. Kim, B. H. (1995). 알타이어족 [Altaic language]. Encyclopedia of Korean National Culture. Retrieved January 15, 2021, fr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147
    42. Kim, E. J. (2008). Study about shaman's costume of Sitgim-gut characteristics -Focusing on Ho’nam area-. The Society of Namdo, 17(2008), 115-133.
    43. Kim, E. J. (2011). A study on the type of shaman’s costume in Honam district: Centering on the field survey of years 2006~2010.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4), 1-9.
    44. Kunstkamera Museum. (n.d.a). Enets shaman headdress. Retrieved January 2, 2021, from http://collection.kunstkamera.ru/en/entity/OBJECT/14341?page=2ðnos=3507177&index=61
    45. Kunstkamera Museum. (n.d.b). Evenki shaman headdress. Retrieved January 2, 2021, from http://collection.kunstkamera.ru/en/entity/OBJECT/15217?page=3ðnos=3111&index=122
    46. Kunstkamera Museum. (n.d.c). Pendant with horse heads. Retrieved January 2, 2021, from http://collection.kunstkamera.ru/en/entity/OBJECT/17069?page=6ðnos=3111&index=271
    47. Kunstkamera Museum. (n.d.d). Bird. Retrieved January 2, 2021, from http://collection.kunstkamera.ru/en/entity/OBJECT/200914
    48. Lee, J. Y. (1998). A study on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Siberia and Central Asia shaman’s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6, 167-181.
    49. Lee, J. Y. (2005). A study of comparing shamans’ costumes of the central region of Korea with those of Siberia and Central As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7(4), 387- 393.
    50. Liu, S. , & Kwon, M. J. (2020). Interpretation of Siberian shaman costume through Roland Barthes’s semiotics approach.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8(6), 858-874.
    51. Lommel, A. (1967). The world of the early hunters. London: Evelyn, Adams & Mackay.
    52. Mannermaa, K. , & Kirkinen, T. (2020). Tracing the materiality of feathers in stone age North-Eastern Europe. Current Swedish Archaeology, 28(2), 23- 46.
    53. Mazin, A. I. (1984). Caftan of the Evenki shaman costume. Temryuk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Museum. Retrieved January 5, 2021, from http://www.museum.ethnicart.ru/page37.html
    54. Moon, I. S. (2019). The study of shamanistic cultures through the deers in Japan. Journal of Japanology, 48(2019), 189-220.
    55. Mykhailova, N. (2016). Shaman-Hunter-Deer. Retrieved February 17, 2021, from https://www.academia.edu/33362345/Shaman_Hunter_Deer
    56. Nicholas, B. W. (2014, December). Spirit of the Blacksmith. Sacred Hoop Magazine, 2014(86), 44-49.
    57. Nicholas, B. W. (2015, December). Shaman’s snakes from Siberia. Sacred Hoop Magazine, 2015(88), 42-43.
    58. Novosibirsk Museum. (n.d.). Deer, frog, fish, swan. Retrieved January 16, 2021, from https://ngkm.bm.digital/collection/1071138423646491021/shamanskie-podveski
    59. Park, K. J. (1995). A study on Siberian shamanism and the shaman’s costu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60. Pavlinskaya, L. R. (1997). Некоторые дополнения к изучению шаманского костюма народов Сиби ри [Some additions to the study of the shamanic costume of the peoples of Siberia]. Moscow: Russian Academy of Sciences,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61. Pentikäinen, J. (2010). The shamanic drum as cognitive map. Oral Literature Notebooks [Online], 67-68.
    62. Peoples, H. C. , Duda, P. , & Marlowe, F. W. (2016). Hunter-gatherers and the origins of religion. Human Nature, 27(3), 261-282.
    63. Prokof’eva, E. D. (1971). Shamanske kostiumy narodov Sibirii [Shamanistic costumes of the peoples of Siberia]. SMAE, 32, 5-100.
    64. Qu, X. Y. (2008). 老北京民風習俗—老北京的信仰與 吉神 [Old Beijing folkways and customs—the beliefs and good fortune in old Beijing]. Beijing: Yanshan Publishing House.
    65. Se, Y. (1998). 東北亞的薩满教: 韩中日俄蒙满满教比 較研究 [Shamanism in Northeast Asia: A comparative study of Mongolian shamanism in Korea, China, Japan and Russia]. Beijing: China Social Sciences Press.
    66. Shim, Y, S. (1998). 문화인류학에서 찾아온 복식의 정신문화 [The mental culture of clothing from cultural anthropology]. Seoul: Gyomoon.
    67. Siikala, A. L. (1987). Shamanism: Siberian and inner Asian shamanism. Encyclopedia. Retrieved October 27, 2020, from www.encyclopedia.com/environment/encyclopedias-almanacs-transcripts-andmaps/shamanism-siberian-and-inner-asian-shamanism
    68. Tazov District Local Studies Museum. (n.d.). Twohead loon. Wolf. Retrieved December 27, 2020, from https://yasavey.ru/vystavki/virtualnaya-vystavka-shamanskie-atributy/
    69. Tucker, M. E. , & Grim, J. A. (2003). Ecology and religion (K. B. Yoo, Trans.). Washington, DC: Island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70. Tumblr. (n.d.). Fringe on sleeves. Retrieved October 17, 2020, from https://64.media.tumblr.com/tumblr_mbcz9jbflm1r4kizgo1_1280.jpg
    71. Tyurgen, K. (2018, December 2). Костюм бурятского шамана [Buryat shaman costume]. Retrieved July 19, 2020, from https://vk.com/@tyrgenkamkostum-buryatskogo-shamana
    72. Wallis, R. J. (2013). Exorcizing ‘spirits’: Approaching ‘shamans’ and rock art animically. In G. Harvey (Ed.), The handbook of contemporary Animism (pp. 307-324). Boston: Brill Academic Publishers.
    73. Wang, S. L. (2020, August 10). 長白山文化溯源—薩 滿面具艺术 [Tracing the origin of changbai mountain culture-shaman mask art]. Changchun Daily. Retrieved January 16, 2021, from http://epaper.1news.cc/ccrb/pc/paper/c/202008/10/content_1814133.html
    74. Wang, S. L. , & Tian, J. X. (2013). 薩滿文化與中華文 明(一) [Shaman culture and Chinese civilization (1)]. Folk Art and Literature, (1), 25-40.
    75. Winkelman, M. (2002). Shamanism and cognitive evolution. Cambridge Archaeological Journal, 12(1), 71-101.
    76. Yang, J. S. (2011).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들, 샤먼 - 샤머니즘의 본질과 내세관 그리고 샤먼 유산들- [Shaman, people who connect heaven and earth -The essence of shamanism, inner customs and shaman heritages-]. Seoul: National Folk Museum.
    77. Yoo, H. J. (1988). 미학 에세이 [Aesthetics essay]. Seoul: Chungnyuns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