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6 pp.787-80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6.787

Development of men’s jacket design applying nature’s folding characteristics

Hee Jung Kim, Youn Mee Lee*, Younhee Lee**
Mast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Associate Professor, Dept. of Knit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yiyhee@hanyang.ac.kr)
November 20, 2020 December 20, 2020 December 22, 202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riteria of folding techniqu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is will be realized by performing a case study on male fashion design and folding. It will propose diverse directions and data for male fashion design, by making men’s jackets using a folding technique. The concept and terms of folding were clarified through examination of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four pieces were created with motifs of the four seasons. Among the types of pleats expressed in the works, composition pleats include double ruffles, gathers, and draperies, while processed ones include box pleats, knife pleats, and accordion pleats. This study expresses continuity, fluidity, scalability, and ambiguity through the use of such pleats.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tinuous use of regular and repetitive pleats, a possibility of rich pleats was confirmed because they varied depending on the gap between the pleat and target material. Second, in liquid but irregular pleats, diverse moods were created by the pleat movement. The overlapping of repeated pleats expresses diverse spaces and shapes in a 3D extended silhouette. Third, in pleat classification, ambiguity was confirmed with the use of continuous accordion pleats in the printed gradation fabric. It is anticipated that more diverse and creative designs could be created using more extended techniques in future studies.



자연의 주름 특성을 활용한 남성 재킷 디자인

김 희정, 이 윤미*, 이 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한양여자대학교 니트디자인과 부교수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아름다움을 향한 인간의 욕구는 복식에 수없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다양한 트리밍과 액세서리, 주름, 봉제 방식 등은 중요한 장 식 요소로 지속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며, 발전의 과정 은 역사적인 특징으로 기억된다. 과거에서부터 현재 에 이르기까지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스타일 의 복식을 착용했으며, 그 복식들의 대표적인 장식기 법으로 주름이 있다. 주름은 편의성과 장식성의 목적 으로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시대부터 오랜 기간 사용 되어왔으며, 16세기에는 성별과 무관하게 과장되고 화려한 복식을 통해 심미성과 상징성이 표현되어 왔 다. 이러한 주름은 오랜 기간 동안 복식에 사용되며 시대의 흐름에 맞는 소재 및 형태로 다양하게 표현되 며 복식의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되었으며, 인체의 라 인과 움직임에 의해 다양한 선으로 구현되며 2차원에 서 3차원적인 공간성을 형성해 독창적인 입체감에 따 른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보여준다(Lee, 1994).

    과거 과장된 주름 장식을 사용했던 남성 복식에 는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장식성을 중요시하던 기존 복식과는 달리 점차 단정하고 실용성이 강조되는 정 적인 스타일이 대중화되었고, 남성들은 단조롭고 무 난함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동조하며 독창적 인 개성을 표현할 기회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최근 자신의 스타일을 자유롭게 표현하고자 하는 남성들 의 욕구가 생겨났고, 현대 남성 패션의 인식이 다시 금 변화하였다. 메트로섹슈얼로 표현되는 남성들의 복식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하기 위한 의복 쇼핑 과 감각적인 스타일링 연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의 주름 현상과 특성을 적 용한 남성 재킷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고자 하였다. 주로 여성복에 사용되며 현대 남성복에 적용이 많지 않았던 주름 디테일을 남성 재킷에 적용하여 남성 패 션의 다양한 디자인 방향과 자료를 제안하는데 본 연 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주름의 개념을 조사, 정리하였으며, 자연에 나타나는 주름 사진 자료를 수집하고, 그 특 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패션 분야에 나타난 주름 관 련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주름의 특성을 조사 분석 하였다. 다음으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름의 특 성과 기법을 활용한 남성 재킷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 였다.

    Ⅱ. Theoretical Review of Folding

    1. Concept of folding

    주름의 사전적 의미에는 구부리다, 접다, 덮다, 접 음 등이 있다. 주름은 접힌 면들의 반복적인 중첩구조 로 생긴 표면의 연속적인 선들을 의미한다. 선들은 모 양과 공간을 형성하며, 반복되는 연속적 선들은 시선 의 움직임을 통해 정서적 감정을 유발시킨다(Seo, Yoon, & Lee, 2015). 또한 이러한 주름은 인체의 라 인과 움직임에 의해 다양한 선으로 구현되며 2차원의 패턴에서 인체의 착장을 통하여 3차원적인 공간성을 형성해 입체감에 따른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보여준 다(Lee, 1994).

    주름은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와 발전을 이루었으며, 그 역사는 과거의 조각상과 그림 을 통해 추론된다. 고대 이집트에는 주름에 상징성을 부여했던 시기로 긴 천이 몸에 둘러짐으로 생기는 자 연스러운 주름이 보여 졌으며, 고대 그리스, 로마 시 대에는 남성들이 토가와 같은 한 장의 천을 몸에 둘러 감아 생기는 드레이퍼리에 의한 주름이 나타났다. 또 크레타 복식의 경우 재단과 재봉방식으로 러플이나 주름을 덧대는 입체적이고 화려한 기법이 사용되었음 을 알 수 있었다(Lee & Kim, 2006). 이와 같은 역사적 인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조각과 그림들을 통 해 주름이 굉장히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주름의 개념은 후기 구조주의의 철학가 고트프리 트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와 질 들뢰즈(Gille Deleuze)의 이론을 통해 설명된다. 17세기 독일의 철 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는 주 름을 물질의 유체성과 물체의 탄력성, 메커니즘으로 써 복원력을 통해 만들어지고 또 펼쳐진다고 주장하 며(Park, 2007), 주름의 개념을 “세계는 무한히 접힌 주름”으로 정의하였다(Kim, 2009). 라이프니츠는 주 름의 개념을 ‘접힘’ 개념의 포함으로 보았는데, 한 장 의 종이를 반으로 접으면, 접힌 면은 두개이지만 전체 적으로는 한 개의 구조로 되어있어 주름은 접힘의 개 념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러한 접힘은 연속과 불연속 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구조로 나타난다(Lee, 1999). 접힘의 구조에는 특이점이 존재하는데, 사물에 많은 수의 주름이 접혀 있을수록 더 많은 특이점을 가지게 된다. 그 예로 간단한 비행기를 접을 때와 복잡한 학 을 접을 경우, 학은 비행기보다 더 많이 접혀지므로 더 많은 특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특이점들은 관계 속에서 펼쳐질 수 있으며, 각각의 존재에 내부의 노력과 욕망, 영혼, 힘 등에 의해 다양하게 반응할 수 있다(Yang & Yang, 2007).

    질 들뢰즈(Gille Deleuze)는 개체내의 내재적 힘에 의해서 ‘잠재성-현실화-실재화’의 연속적 과정으로 ‘접힘-펼침-다시 접힘’의 지속되는 주름운동과 표현 이 일어나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잠재적으로 접혀있 던 주름은 시간의 흐름으로 운동하며 펼쳐지게 되고 내재적 원인에 따라 현실화되고 생성되는데, 여기서 이념적 질서는 에너지를 통해 물질화, 개체화된다 (Kweon & Lee, 2004). 들뢰즈는 이러한 과정을 ‘펼쳐 지는 운동’과 ‘안쪽으로 접는 운동’으로 설명하였다. 펼쳐지는 운동은 내적으로 접혀 있었던 강도를 외부 로 들어내는 것이며, 계속해서 스스로를 소멸해 가는 것이다. 또 안쪽으로 접는 운동은 깊이를 만들며 밀도 를 압축해 강도를 높이는 것인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주름들이 접혀서 겹쳐지고 서로 부딪치며 새로운 겹 주름을 생성하기도 한다. 들뢰즈가 생각한 시공간이 란 다양한 강도의 힘들이 충만한 곳이며, 물질의 운동 은 주름의 휘어짐 효과로서 이해된다(Jung, 2006)고 하였다. 이와 같은 들뢰즈의 주름 개념을 바탕으로 세 계는 빈틈없이 주름으로 꽉 차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2. Characteristic of natural folding

    본 연구는 자연의 주름을 활용한 주름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남성복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고자 하며, 이 에 자연에 나타나는 주름 현상의 자료를 수집하였으 며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자연에는 동물과 식물, 자연 현상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주름 현상이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생 명체들은 물질의 힘으로부터 지속적인 주름이 계속적 으로 작용하며, 자연적 주름들은 유기체의 움직임과 성장, 진화에 영향을 준다(Son, 2014). 작약 꽃(Fig. 1) 을 통해 자연적 주름의 성장과 진화를 설명할 수 있 다. 작약 꽃의 꽃잎은 접혀 있음을 통해 잠재성을 내 재하고 있으며 성장을 통해서 접혀져 있던 꽃잎이 펼 쳐지며 진화성을 보여준다. 리쿠알라 코다타(Licuala cordata, 부채 야자)는 스스로가 물질의 힘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자연적인 주름을 생성하며, 선인장도 기 하학적 연속적인 주름을 통해 안정감을 형성한다(Fig. 2 and 3). 산호초(coral reef)의 반복적인 주름으로 연 속성을 형성하고, 여러 겹의 중첩된 해초의 주름은 내 부와 외부의 움직임을 통해 유동성을 가진다(Fig. 4). 사막의 모래에 나타나는 주름 현상도 바람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곡선적인 주름으로 시간성과 진화적 유동성을 나타낸다(Fig. 5). 또한 바람과의 작 용으로 나타나는 파도의 움직임도 불규칙적 유동성의 주름의 현상을 다양하게 표현한다(Fig. 6). 용암표면 이 냉각 수축될 때 형성되는 육각기둥의 모양으로 나 타나 주름의 형상을 나타내는 주상절리 주름의 형태 도 연속적 확장성을 나타내고 있다(Fig. 7). 벌집의 형 태도 육각형으로 나타나는 주름의 특성을 가진다(Fig. 8). 이와 같이 자연에 나타난 주름의 현상들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자연에 나타나는 주름의 형태와 특성은 라이프니츠의 이론과 같이 무한히 접히는 현상으로 설명되기도 하며, 질 들뢰즈의 접힘-펼침-다시 접힘’ 의 지속되는 주름 운동과 같이 자연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자연에 나타나는 주름 현상 및 특성은 접혀 있던 면의 펼쳐짐에 따른 진화적 특성, 주름으로 접혀 져 있는 면의 잠재성, 시간의 흐름으로 변화하는 주름 의 시간성, 반복적인 면의 중첩된 주름을 통한 연속 성, 주변 환경과 적응하며 한쪽 방향으로 성장하는 방 향성과 운동성, 연속적인 주름의 형성을 통한 안정감 등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Characteristics of folding in fashion

    본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주름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름과 관련 된 선행연구를 조사하 였다. Jin(2013)은 들뢰즈의 주름사유를 통하여 현대 주름디자인의 내적 의미를 차이에 의한 다양성과 본 질개념의 부정에 의한 탈중심성, 경계소멸에 의한 상 호관계성의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이 내적 의미와 연 계하여 현대패션에 표현된 주름의 조형적 특성을 도 출하였고, 크게 4가지로 입체성, 연속성, 유동성, 잠재 성으로 분류하였다. 입체성이란 상호관계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의복의 다층적인 공간이 형성되고 접힘 과 펼침을 통한 주름의 높낮이를 통해 볼륨감이 형성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연속성이란 접힘과 펼침으로 표현된 주름은 형태가 파괴되고 가변적이며 변화가 가능한 공간을 형성해 이 공간을 넘어서는 것은 연속 성을 지니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유동성이란 주름의 변화하는 성질은 순간마다 독특한 특성을 나 타내며, 창작자의 움직임에 의해 우연적인 요소와 결 합하는 유동적인 형태라고 하였다. 잠재성이란 특정 모습으로 현실화되지 않았지만 주름이 접혀있는 면의 실제화로 접힘과 펼침을 통해 다양한 표현의 재현이 가능한 것이라고 하였다.

    Yoon(2006)의 연구에서는 개더 장식에 나타난 유 형들을 기반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장 식성, 관능성, 역사성, 율동성 4가지로 분류하였다. 장 식성은 장식, 액세서리 같은 복식의 미묘한 부분의 변 화를 패션으로 특정 짖는 것이며, 디테일 선의 변화로 장식요소의 미적 표현을 극대화하고 시각적인 흥미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관능성은 성적 매력의 표출을 위 해 신체의 노출 및 장식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여성복 의 경우 세련미와 정교함을 갖춘 디자인으로 다양하 게 변화되었다. 역사성은 역사라는 패션의 외형적 디 자인을 차용해 의복의 내적 가치로 표현하는 것으로 의복에서 역사의 의미는 그 시대적 양식과 내적, 문화 적 배경 모두를 아우르는 것이다. 율동성은 조직화된 운동의 느낌으로 방향성을 가지고 규칙적, 불규칙적 리듬감의 반복에 근거를 둔다고 설명하였으며, 각각 의 표현 기법에 장식성은 디테일 선 및 트리밍의 특이 한 변화, 다양한 재질의 사용을 포함한다. 관능성에는 노출과 간접노출(비치는 소재 사용)을, 역사성은 역사 주의적 복식의 모방을 사용했으며, 율동성은 입체적 주름의 반복적인 사용, 규칙적이고 불규칙적인 주름 을 사용하였다.

    Kim and Geum(2012)의 연구에서는 주름의 조형성 을 과정의 연속과 율동감, 공간의 확장, 왜곡된 과장, 개성의 은폐 4가지로 분류하였다. 과정의 연속과 율 동감은 드레이프 의복에서 많이 보여지는 것이며, 주 름의 반복성으로 형성된 리듬감, 인체의 창작과정과 움직임을 통한 율동미로 서술하였다. 또 공간의 확장 은 주름이 접혀진 의복 공간의 재설정으로 활동을 편 하게 하는 기능성을 위한 것이며, 왜곡된 과장은 주름 으로 인체의 특정 부위를 과장하여 남성의 신분과 권 위를 나타내는 상징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과장된 인 체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을 심미성이라고 하였 다. 개성의 은폐는 사각형의 원단을 몸에 감쌀 때 형 성되는 주름을 이용해 실루엣의 확대 및 축소로 관능 미를 도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각각의 표현 기법에 서 과정의 연속과 율동감은 선의 반복을 사용했으며, 공간의 확장은 주름 깊이에 따른 공간의 확장으로 표 현하였다.

    Ko(2007)는 주름의 조형성을 활용한 디자인 연구 에서 플리츠의 조형성을 연속성, 움직임, 이중성과 양 면성, 형태감 입체감 부피감 4가지로 분류하였다. 연 속성은 선의 결합으로 생기는 것이며, 기본적으로 연 속적이고 반복적인 형태가 특징이다. 또 반복성은 시 각적인 방향성 효과 및 정서적 감정의 유발을 의미하 며, 움직임은 평면에서 2차원적 주름이 신체의 움직 임으로 생기는 잠재적인 주름으로 3차원적 조형물로 인식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중성과 양면성은 서로 상 반되는 의미로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인 것으로 육체- 정신, 주관-객관, 자연-문화와 같은 상호 의존적인 관 계를 의미한다고 하였으며, 형태감, 입체감, 부피감은 주름의 높음과 낮음으로 생긴 것으로 높낮이는 계층 적 조형의 변화와 음영으로 다양한 표현이 된다고 서 술하였다. 각각의 표현 기법에서 연속성은 선의 결합 으로 보았으며, 움직임은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3차 원적 변화, 이중성과 양면성은 주름의 동적임과 정적 임, 깊이감, 접힘과 펼침을 포함했으며, 형태감, 입체 감, 부피감은 주름의 층 형성으로 표현된다고 하였다.

    Yang and Yang(2007)의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주름 종류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1990년대 이후의 주름의 조형적 특성을 확장성, 탈구조성, 유동 성, 불규칙성으로 분류하였다. 확장성은 크기의 시각 적 의미, 넓이나 높이, 볼륨의 공간적 의미와 기능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주름에서는 과장, 과시 를 위해 의복의 볼륨을 과장, 비가시적 내부공간의 가 시화로 시각적 확장, 2차원적 의복 표면에 입체감을 부여하고, 표면적 확대, 다층적 구조를 형성한 공간적 확장으로 서술하였으며, 유동성은 주름의 특이점을 포함한 개념으로 연속-불연속을 동시에 나타내며 뫼 비우스의 띠와 같이 안-밖에 다양성의 공간을 창조하 기에 유동적인 특성을 보인다. 탈구조성은 2차원에서 3차원으로 확장되는 주름의 반영구적 기계주름의 탄 성으로 기존 복식의 구성요소를 해체, 단순화시킨 것 으로 이것은 폴딩으로 새로운 레이어를 만들어 기존 조각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의복 구성조각을 하나로 통합시켜 탈구조성의 특성이 들어난다고 하였다. 불 규칙성은 카오스 상태의 주름은 자유롭게 접속, 결합, 해체 가능한 개방된 구조를 상기시키고 창조적 원동 력으로 작용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패션분야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패션 분야에 나타나는 주름의 특성은 연구자마다 다양하게 도출되었으며, 대표적 특성으로 정리하면 연속성, 유 동성, 잠재성, 양면성, 확장성, 불규칙성 등으로 나타 남을 알 수 있다(Table 1).

    4. Folding technique for clothing

    주름은 접는 방식과 재단 방식, 가공 방식, 봉제 방 식 등을 이용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주름의 대표 적인 기법에는 턱(tuck), 스모킹(smocking), 개더(gather), 셔링(shirring), 프릴(frill), 플라운스(flounce), 플 리츠(pleats), 크링클(crinkle), 드레이프(drape)가 있다.

    턱(tuck)은 옷의 넓이 및 길이를 축소시키거나 모 양을 내는 장식적인 요소로 사용된다. 일정한 간격으 로 박음질해 주름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다트의 역 할이 가능하다(Cho, 1995). 스모킹(smocking)은 플리 츠 잡은 원단의 사이를 자수실로 넣어가며 다양한 무늬로 여미거나 꿰매는 장식적인 주름 기법을 의미 한다(Fashion Professional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FPDCC], 2001). 스티치선이 보이는 스모 킹은 주름진 원단의 표면을 정돈하고 구부려 장식적 인 실로 디자인 하는 것이며, 스티치선이 보이지 않는 방식은 원단과 원단 사이에 자수실을 일정한 규칙으 로 엮는 것으로 접힌 면의 움직임을 디자인으로 활용 하는 것이다.

    개더(gather)란 원단 가장자리에 스티치 한 실을 잡아당겨 주름을 만드는 기법이다. 개더를 잡는 방법 에는 손바느질, 재봉틀, 자동기계, 고무줄, 채널 등이 있으며, 원단이 당겨지면서 생기는 주름으로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Wolff, 2001/2011). 셔링 (shirring)이란 원단에 두 줄 이상의 스티치를 적당한 간격으로 놓은 뒤, 실을 잡아당김으로 생기는 부드럽 고 구불거리는 형태의 주름을 의미한다. 프릴(frill)은 폭이 좁은 천의 한쪽 부분에 개더로 주름을 잡은 다음 절개나 깃둘레, 커프스 등에 덧붙여 잔물결이 지는 주 름장식을 말한다(Cho, 1995). 프릴의 크기가 확대된 것을 러플(ruffle)이라고도 한다. 러플은 원단의 한쪽 가장자리에 개더나 플리츠 주름을 잡은 다음 봉제하 여 다른 한쪽이 너풀거리는 형태이며, 프릴보다 주름 이 큰 것이 특징이다(FPDCC, 2001). 플라운스(flounce) 는 주름이 점차 플레어지며 구불거리는 것으로 프릴 과 비슷하지만 폭이 약간 넓으며, 칼라와 커프스, 드 레스, 스커트의 도련 등에 사용된다(FPDCC, 2001). 플리츠(pleats)는 눌러 접은 형태의 주름으로 장식적 적인 효과와 입체적인 효과를 가진다(Choi, 2013).

    크링클(crinkle)의 사전적 의미는 ‘주름을 잡다’, ‘오 그라들다’라는 뜻으로, 오그라든 줄무늬를 나타낸 얇 은 코튼 천을 의미하며 오리엔탈 스타일의 패션 표현 에 사용된다(FPDCC, 2001). 합성섬유의 열가소성을 이용해 고온의 열로 주름을 고정시키며 일정한 규칙 없이 마구잡이로 잡은 표면의 불규칙한 주름 장식 기 법이다. 드레이프(drape)는 느슨한 주름으로 가린다는 뜻으로 자연스럽고 부드러우며 일정한 형식을 가지지 않은 부정형의 주름을 의미하며, 원단을 자연스럽게 주름 잡아 바느질로 고정하는 바느질 기법이다(Shin, 2003). 주름 기법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Ⅲ. Work Development

    1. Production intent

    본 연구에서는 자연의 주름 형태를 활용한 남성복 재킷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한다. 작품의 주제는 자연 현상에서 발생하는 주름에서 영감을 받아 ‘춘하추동 (春夏秋冬)’으로, 시간의 흐름에서 오는 4계절을 테마 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계절은 뚜렷한 변화를 가지며, 그 변화에는 다양한 향기와 온도, 자연 현상 등이 있 다. 본 연구의 디자인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자연적 특 징들을 재킷 디자인의 모티프로 사용하였다.

    첫 번째 춘(春)의 디자인은 봄의 따스함과 설레임 을 꽃에 나타나는 연속성으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스웨이드 소재의 붉은 아이보리 컬러를 사용하였다. 재킷의 기장은 힙 선을 덮는 정도로 편안함을 강조하 였다. 두 번째 하(夏)의 작품은 바다의 파도에 나타나 는 연속성 유연성 확장성 등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깊은 바다를 표현하는 네이비 컬러를 사용해 시원함 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재는 스웨이드와 망사, 레이 스를 사용하였으며, 실루엣은 롱 재킷으로 양쪽 허리 선 아래의 트임으로 편안함과 멋스러움을 강조하였 다. 세 번째 추(秋)의 디자인은 유동성과 모호성 등의 표현을 가을의 분위기와 함께 주름을 활용하였으며, 하늘거리는 쉬폰과 스웨이드 소재에 버건디 컬러를 주요 컬러로 사용해 붉게 물드는 가을의 낙엽을 표현 하였다. 재킷의 기장은 힙(hip) 선을 덮는 정도이며, 허리선 아래 부분에 플리츠 주름을 넣어줌으로 활동 의 편안함과 장식성을 표현하였다. 마지막 동(冬)의 디자인은 겨울 차가운 얼음 층의 주름 이미지에 표현 된 연속성, 유동성 등의 특성을 활용하여 전개하였다. 편안함을 의미하는 모직물과 모피를 사용하였으며, 그레이 계열의 망사를 사용해 빙하의 주름 느낌을 표 현하였다. 실루엣은 트렌치 재킷으로 오버사이즈의 기장이 발목을 덮는 루즈한 핏의 디자인으로 전개하 였다.

    4벌의 의상에 표현된 주름기법은 더블 러플(double ruffle), 개더(gather), 드레이퍼리(drapery), 박스 플리 츠(box pleats), 나이프 플리츠(knife pleats), 아코디언 플리츠(accordion pleats) 기법을 사용하였다. 전체적 인 분위기는 4계절과 연관된 주름의 실루엣과 색상을 사용해 계절감을 가지도록 했으며, 4벌의 작품에 소 재를 최소화하여 통일감을 주면서도 다양한 효과를 연출하고자 하였다. 작품 제작 구성표는 <Table 3>과 같으며, 각 디자인별 모티프, 주름 특성, 주름 기법, 이 미지맵, 색상, 소재, 스타일화를 통해 작품의 전반적 인 전개 방향을 정리하였다.

    2. Production and description of works

    디자인 1은 춘하추동의 계절 중 춘(春)의 이미지로, 따스한 봄을 상징하는 꽃을 회상하며 접혀진 꽃잎을 주름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따스한 봄으로 넘어오 는 설레임과 따뜻한 분위기의 연출을 위해 소재로는 스웨이드를 사용하였으며, 컬러는 핑크빛이 살짝 가 미된 아이보리의 사용으로 그 효과를 강조하였다. 실 루엣은 스탠딩 칼라(standing collar) 재킷으로 네크라 인과 소매, 몸에 두르는 띠 부분에 주름 디테일을 사 용했으며, 주름은 재킷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전체 적인 통일감을 형성하였다. 꽃잎의 느낌을 연출하기 위해 목 부분은 박스 플리츠 기법을 사용했으며, 몸과 소매에 사용되는 주름은 길게 자른 원단의 가운데 부 분에 맞주름을 잡아 고정함으로 양쪽 끝이 주름지는 더블 러플 기법을 사용하였다(Fig. 9). 접은 주름의 폭 은 4cm로 통일하였으며, 주름의 중심에 연결하는 띠 의 폭을 다르게 사용하여 3가지 디자인의 주름을 연 출하였다. 특징으로는 재킷의 소매부분에 주름장식을 부착하기 위하여 싸개 스냅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였다. 소매 부분의 주름장식을 왼쪽과 오른쪽에 상․하 비대칭으로 부착시키고, 한쪽만 끈을 길게 연 결시켜 단조로울 수 있는 주름 장식에 포인트를 주었 다. 몸에 자유롭게 두르는 주름장식의 경우 주름의 양 쪽 끝에 끈을 연장해주어 주름을 몸에 걸치거나 감아 서 묶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하였다. 주머니는 가 운데 부분을 안쪽으로 1개의 박스 플리츠를 접어주어 포인트를 주었다. 재킷의 여밈 부분을 싸개 스냅으로 달아주어 앞부분에 깔끔함을 더하였고, 그로 인해 주 름장식이 돋보이고 집중되도록 하였다. 꽃잎을 표현 하기 위해 사용한 더블 러플 기법은 일정하게 반복되 는 주름의 중첩을 통해 전체적인 방향성과 연속성을 형성한다.

    디자인 2는 춘하추동의 하(夏)의 이미지로, 시원하 고 상쾌한 바다의 물결을 주름으로 표현하고자 하였 다. 상쾌하고 청량한 분위기의 연출을 위해 깊은 바다 의 푸른 네이비 컬러를 메인으로 사용했으며, 소매 부 분에 검정색을 포인트로 주었다. 소재는 스웨이드와 레이스, 망사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실루엣은 칼라 가 없는 롱 재킷으로 허리선 아래 부분에 트임을 주어 활동성을 높임과 동시에 트임 사이로 보이는 팬츠 주 머니에 손을 넣는 연출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주 름 장식은 어깨를 중심으로 감싸며 앞판과 뒤판을 연 결하였다. 앞쪽에 주름장식은 파도의 일렁임을 표현 하기 위해 개더 기법을 사용하였고, 가벼운 소재의 레 이스와 망사에 활용함으로 그 효과를 강조하였다. 가 벼운 망사와 몸판의 스웨이드 소재의 이질감을 없애 기 위해 몸판과 주름 사이에 스웨이드 소재의 나이프 플리츠 주름을 넣어 주었다(Fig. 10). 주름이 들어가는 부분에 재킷과 같은 소재로 기본 틀을 만들어 주름을 고정하였고, 스냅을 활용해 주름과 재킷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소매 부분은 검정색의 커다 란 커프스와 주름 모양의 장식용 은색 단추를 부착해 밋밋할 수 있는 재킷에 포인트를 주었다. 나이프 플리 츠 주름은 한쪽 방향으로 규칙적이게 접혀지며 연속 성을 가지며, 물결을 표현한 개더에 의한 주름은 계속 적으로 우연적인 요소와 결합하고 변화하며 유동성을 형성하고, 이러한 주름들은 여러 겹으로 포개지며 입 체적인 공간을 형성해 확장성을 가진다. 등판의 소라 를 표현한 장식은 사각형의 망사를 두 겹으로 말아서 고정시킴으로 입체적인 소라 모양을 완성하였으며, 각각의 망사들이 모여 확장성을 나타낸다.

    디자인 3은 춘하추동의 계절 중 추(秋)에 해당하며, 가을의 낙엽을 모티프로 활용해 주름을 표현하였다. 붉게 물드는 가을의 컬러를 표현하고자 버건디 컬러 를 메인으로 사용했으며, 레드와 브라운을 포인트 컬 러로 활용하였다. 소재로는 스웨이드와 쉬폰을 사용 하였고 두 소재의 이질감을 없애기 위해 비슷한 계열 의 색상을 활용하였다. 전체적인 실루엣은 테일러드 재킷(tailored jacket)으로 단조로울 수 있는 재킷에 주 름 디테일로 포인트를 주었다(Fig. 11). 재킷의 허리선 아래 주름은 낙엽의 결을 표현하고자 몸판과 같은 소 재의 스웨이드로 나이프 플리츠 주름을 접어주었다. 어깨에 부착된 아코디언 주름은 그라데이션 날염 원 단으로 버건디 계열의 원단을 사용하여 가을의 분위 기를 표현하였으며, 쉬폰 소재의 하늘거림을 통해 가 을의 아련한 분위기를 더한다. 어깨와 부착되는 아코 디언 주름 사이에 싸개 스냅을 활용해 주름의 탈부착 이 가능하게 했으며, 주름이 달리지 않는 왼쪽 가슴에 웰트 포켓에 아코디언 주름으로 만든 주름 장식을 넣 어줌으로 지루할 수 있는 재킷에 포인트를 주었다. 두 가지의 나이프 플리츠와 아코디언 플리츠 주름은 일 정한 규칙을 가지며 반복적인 접힘을 통해 연속성을 내재한다. 그라데이션 날염 원단에 연속성을 가지는 아코디언 플리츠 주름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주름의 구분에 모호성을 표현하였다.

    디자인 4는 춘하추동의 계절 중 동(冬)에 해당하며, 마지막 계절의 얼어붙은 차가움 속의 편안함을 표현 하고자 하였다. 차가움이란 얇은 망사로 표현한 빙하 를 의미하며, 편안함이란 모직물과 퍼의 사용으로 오 는 따뜻함과 포근함을 의미한다. 차분한 겨울의 분위 기를 표현하기 위해 회색을 메인 컬러로 사용했으며, 흰색부터 어두운 회색 사이의 컬러를 포인트로 사용 하였다(Fig. 12). 소재는 망사와 모직물, 퍼를 사용하 였고, 세 가지의 이질적인 조합은 회색계열을 전체적 으로 사용해 통일감을 주었다. 실루엣은 오버사이즈 의 트렌치 재킷으로 위에서 밑으로 갈수록 플레어지 며 드레이퍼리 주름이 형성된다. 앞판과 뒤판에 들어 가는 주름의 경우, 사용하는 기법은 같지만 망사의 면 적과 주름이 접혀지는 분량에 따라 전부 다른 느낌을 표현하며, 이것은 불규칙한 형태로 생성되는 빙하의 특성과 일치한다. 디자인 4의 특징은 올 풀림이 없는 모직물을 활용해 시접 없이 원단을 재단한 것으로 원 단 겉면에 바로 봉제하여 착용 시에 스티치 선이 보이 고 시접에 의한 투박함이 없는 것이다. 칼라와 후드를 같이 달아주는 디테일은 다양한 스타일의 연출이 가 능하며, 빙하를 표현한 주름의 규칙적인 가로배열을 없애기 위해 직사각형의 아웃포켓을 선에 구애받지 않도록 자유롭게 위치시켰다. 빙하를 표현한 주름은 반복적인 면의 중첩을 통해 일정한 방향성과 연속성 을 가지며, 드레이퍼리에 의한 주름은 움직임에 의해 다양한 공간감을 형성하여 유동성을 가진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자연의 주름 특성을 활용한 남성 재킷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기 위하여 자연 형태의 주름 특 성을 조사하고 주름의 특성을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 해 도출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주름의 개념을 조사 정리하고, 주름 기법 및 특성을 조사 정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조 사한 자연에 나타난 주름의 특성은 접혀있던 면의 펼 쳐짐에 따른 진화적 특성, 주름으로 접혀져 있는 면의 잠재성, 시간의 흐름으로 변화하는 주름의 시간성, 반 복적인 면의 중첩된 주름을 통한 연속성, 주변 환경과 적응하며 한쪽 방향으로 성장하는 방향성과 운동성, 연속적인 주름의 형성을 통한 안정감 등으로 나타남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패션 디자인에 주로 나타나는 주름은 연속성, 유동성, 역사성, 확장성, 불규칙성 등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한 남성 재킷 작품의 주제는 ‘춘하추동(春夏秋冬)’으로 시간의 흐름 에서 오는 4계절의 자연적 특징을 모티프로 4벌의 작 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에 표현된 주름은 더블 러플, 개더, 드레이퍼리, 박스 플리츠, 나이프 플리츠, 아코 디언 플리츠를 사용하였다. 주름 작업을 통해 연속성, 유동성, 확장성, 모호성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작품 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의 주름을 소재로 진행한 남성복 재킷 디자인은 남성복 디자인에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적용 할 수 있었으며 남성복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사할 수 있었다. 들째, 주름의 특성으로 연속성을 가진 규칙적 이고 반복적인 주름의 활용은 사용하는 소재와 접는 주름의 간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모습으로 풍부 한 주름 표현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 동성을 가진 비정형적인 주름의 활용은 움직임에 의 해 다양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였고, 반복적인 주 름의 중첩으로 입체적이고 확장되어진 풍성한 실루엣 으로 다양한 공간감과 형태미를 표현할 수 있는 잠재 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그라데이션 날염 원단에 연속 성을 가지는 아코디언 플리츠 주름을 함께 사용함으 로써, 주름의 구분에서 나타나는 모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주제의 남성복의 디자인 전 개가 필요하며 진행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확장된 표현 방식을 통해 다양 하고 창의적인 남성복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발전해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Figure

    RJCC-28-6-787_F1.gif

    Peony Reprinted from Namuwiki. (2020). https://namu.wiki

    RJCC-28-6-787_F2.gif

    Licuala cordata Reprinted from Photoplusbyritasim. (2012). https://photoplusbyritasim. wordpress.com

    RJCC-28-6-787_F3.gif

    Cactaceae Reprinted from Plants country. (2016). https://blog.naver.com

    RJCC-28-6-787_F4.gif

    Coral reef Reprinted from Beachwood Design. (2017). https://www.beachwood. com

    RJCC-28-6-787_F5.gif

    Desert Reprinted from Boissoneault. (2017). https://www. smithsonianmag.com

    RJCC-28-6-787_F6.gif

    Wave Reprinted from CSIRO. (2014). https://blog.csiro.au/

    RJCC-28-6-787_F7.gif

    Columnar jointing in the Alcantara Gorge Reprinted from Wikipedia. (n.d.a). https://en.wikipedia.org

    RJCC-28-6-787_F8.gif

    Honeycomb Reprinted from Wikipedia. (n.d.b). https://en.wikipedia.org/

    RJCC-28-6-787_F9.gif

    Design 1, spring image jacket using folding

    RJCC-28-6-787_F10.gif

    Design 2, summer image long jacket using folding

    RJCC-28-6-787_F11.gif

    Design 3, fall image jacket using folding

    RJCC-28-6-787_F12.gif

    Design 4, winter image coat-type jacket using folding

    Table

    Classification of folding characteristics in prior study

    Folding techniqu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works using natural folding

    Reference

    1. Beachwood Design. (2017, February 14). Seasons of change. Retrieved December 12, 2020, from https://www.beachwood.com.au/wp-content/gallery/seasons-of-change/screen-shot-2017-02-14-at-2-25-11-pm.png
    2. Boissoneault, L. (2017, March 24). What really turned the Sahara desert from a green oasis into a wasteland? Smithsonian. Retrieved December 12, 2020, from https://www.smithsonianmag.com/science-nature/what-really-turned-sahara-desert-green-oasis-wasteland-180962668/
    3. Cho, K. H. (1995). Fashion dictionary. Seoul: KyungchoonPublishing.
    4. Choi, S. Y. (2013).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applying Paris haute-couture pleat techniques: Based on a collaboration with Atelier Logn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4), 105-121.
    5. CSIRO. (2014, July 24). Harnessing the power of waves. Retrieved December 12, 2020, from https: //blog.csiro.au/harnessing-the-power-of-waves/
    6. Fashion Professional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2001). Fashion professional dictionary. Seoul: Korean Dictionary Publishing House.
    7. Jin, K. O. (2013).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olding design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ased on Giles Deleuze`s fold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3), 1-17.
    8. Jung, I. H. (2006).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non-representation. Seoul: Acanet.
    9. Kim, J. K. , & Geum, K. S. (2012).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s in the pleat of western costume before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men’s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2), 26-39.
    10. Kim, S. H. (2009). Research on the emotional design of desig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d concept -Focusing on urban open spa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Ko, K. N. (2007). A design study applied by formatiiveness of plea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2. Kweon, T.-I. , & Lee, D.-E. (2004). A study on searching for a new meaning of “folding in architecture” with the perspective of “multiplicity” -In particular reference to the comparative study of Peter Eisenman, Greg Lynn, and Daniel Libeskin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0), 195-206.
    13. Lee, H. Y. , & Kim, K. H. (2006). Analysis and production of fashion design that applies the pleat decoration. Journal of Korea Traditional Costume, 9(3), 123-135.
    14. Lee, J. W. (1999). L'individu, la force, le pli: La philosophie naturelle de Leibniz. Epoch and Philosophy, 10(2), 252-276.
    15. Lee, Y. K. (1994).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applied by the formativeness of the pla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6. Namuwiki. (2020, December 7). Peony. Retrieved December 12, 2020, from https://namu.wiki/w/%EC%9E%91%EC%95%BD?from=%EC%9E%91%EC%95%BD%EA%BD%83
    17. Park, H. N. (2007). Rethinking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with Gilles Deleuze's fold theory: Focused on Frank O. Gehry, Rem Koolhaas, and Peter Eisen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8. Photoplusbyritasim. (2012, Jun 30). Licuala cordata: Heart-shaped fan palm. Retrieved December 12, 2020, from https://photoplusbyritasim.wordpress.com/2012/07/02/licuala-cordata-heart-shaped-fanpalm-4-2/
    19. Plants Country. (2016, May 10). Retrieved December 12, 2020, from https://blog.naver.com/mryangflower/220706158837
    20. Seo, M. H. , Yoon, J. A. , & Lee, Y. H. (2015). Issey Miyake fashion’s fold characteristics through fold architectur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5), 861-875.
    21. Shin, H. S. (2003). 현대 패션 용어사전 [Dictionary of fashion terms]. Paju: Gyomoon Publishing.
    22. Son, K. A. (2014). A study on jewelry design using the formation of fol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3. Wikipedia. (n.d.a). Columnar jointing. Retrieved December 12, 2020, from https://en.wikipedia.org/wiki/Columnar_jointing
    24. Wikipedia. (n.d.b). Honeycomb. Retrieved December 12, 2020, from https://en.wikipedia.org/wiki/Honeycomb
    25. Wolff, C. (2001). The art of manipulating fabric (K. H. Yang, Trans.). Seoul: Ecolivres.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26. Yang, H. Y. , & Yang, S. H. (2007).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leat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Focusing on the thought of G. W. Leifniz and G. Deleuz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1), 130-146.
    27. Yoon, J. A. (2006).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ather decorations in the contemporary fashion-Focusing on the collections after 2001.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8(1), 155-16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