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6 pp.738-754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6.738

Development of modern bag design using cultural content from Baekje

Seung Yeon Ha†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hsywings@kongju.ac.kr)
October 20, 2020 December 22, 2020 December 23, 2020

Abstract


As a cultural feature of, the relics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re suitable design content for applying with sophisticated production and delicate molding laser cutting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dern bag designs using relics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using laser-cutting techniques.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Baekje’s cultural content were explored. Second, the principle of laser-cutting techniques were explored, laser-cutting techniques applied to modern fashion and bag design were examined, and bag desig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ir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bag design, from which eight bag design were developed that combine modern popularity and functionality utilizing Baekje cultural content and using laser-cutting techniques to apply the textile design developed by researchers in 2013 (modified to match laser-cutting techniqu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bag were clutch, tote, shoulder, and mini. Gold, silver, brown, beige, and navy colors were arranged, based on black/white contrast. Cow, lambskin, washed snakeskin, mesh, and Saffiano leather were used. For the pattern-applying technique, this study showed that a new digital technique, which is laser-cutting techniques could be combined with contemporary bag designs. Moreover, a bag design was developed that has a modern sense and functionality as well as Korean formativeness, which is significant.



백제 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가방 디자인 개발
- 레이저커팅 기법을 중심으로-

하 승 연†
국립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우리나라는 5,000년의 역사와 함께 훌륭한 문화유산들을 많이 지니고 있다. 최근 한류의 열풍과 함께,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창출하기 위해서 세계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소재를 찾아 문화콘텐츠로 창출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백제 시대의 역 사는 화려하고 찬란한 예술적 문화를 지니고 있었음 에도 불구하고, 후대에 오면서 역사적 자료나 내용을 뒷받침해줄 유물이 많이 남아있지 않아 백제 문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백제 문화콘 텐츠로서 무령왕릉은 삼국시대 유물 중 유일하게 주 인공이 밝혀진 고분으로서, 백제의 역사를 다시 쓸 만 큼 중요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Shin & Park, 2012).

    Ha(2017)의 연구에 따르면, 백제 문화콘텐츠를 활 용한 제품은 다른 지역의 제품보다 고급스러운 이미 지를 지니는데, 그 이유는 왕족의 유물이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조형성이 섬세하고 장식적이다. 그러나 대 부분 문화재 재현품이거나 명함지갑, 열쇠고리, 문구 함 등 문구류나 생활소품에 집중되어 있고, 디자인과 아이템이 다양하지 못하다. 또한 디자인 면에서 유물 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거나 단독문양으로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문양이 동일하고 단조로운 느낌 이며 다양한 디자인 변형과 새로운 제작기법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된다고 피력하였다. ‘디자인 문화 상품 소비실태 및 소비자인식조사(Chungnam Information Culture Technology Industry Agency, 2007)’ 에 따르면,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 개발에 대한 질문의 응답자 중 절반 정도가 현대적이고 심플한 디 자인에 대한 구매의사에 대해 높게 답변하였다. 마케 팅 측면에서도 백제 문화콘텐츠에 대한 인지도는 여 타 조선 시대나 신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뒤떨어 져 있었다. Kim and Shin(2010)에 의하면, 백제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 개발은 대중성을 먼저 확보 하여 소비자들에게 백제 문화를 알리고 시장점유율을 끌어 올리는 것이 선행된 다음, 고급화된 시장으로 세 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국 제적 수준의 글로벌한 디자인 감각과 트렌드에 맞는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 다고 사료된다. 백제 문화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해서 는 우선적으로 다양하지 못한 디자인의 구성과 패션 성의 결여의 문제점이 파악됨에 따라, 백제 문화콘텐 츠를 새로운 제작기술 등을 이용하여 현대적으로 재 해석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21세기 기술 과 미디어의 발달은 패션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유명 디자이너들의 작품에 DTP(digital textile printer) 나 CAD(computer aided design) 기술이 다양하게 접 목되면서, 새로운 패션 컬렉션 연출이 가능하게 되었 다.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디지털 연 결성이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Schwab & Song, 2016).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가공 소재 디자인 으로는 레이저커팅 기법이 대표적인 사례로서, 인공 소재에 물리적 변형을 가하여 자연적인 형태와 질감 을 강조할 수 있다(Nam, 2017). 레이저커팅 기법은 디 지털 프린트, 자수 등과 함께 현대 하이패션에 사용되 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재와 색상, 질감을 어 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표현이 가 능하다.

    한편 현대 패션은 사람들의 감성이 젊어지면서 연 령에 관계없이 캐주얼한 스타일 연출과 코디네이션이 가능한 패션액세서리 상품군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패션액세서리 중에서도 가방은 실용적인 목적과 장식 적 기능을 함께 가지는 주요 아이템이다. An(2004)은 가방을 패션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동시에, 소비자의 기호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 색 상으로 변화를 줄 수 있어 스타일을 완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설명하였고, Lee and Lee(2008)는 가방이 의복 이상으로 착용자의 신분과 세련된 취향 을 판단하는 근거가 되며, 가방을 선호하는 마니아층 이 두터워져 가방 시장은 앞으로 더욱 가능성 있게 성 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가방 관련 선행연구는 대부분 가방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분석이나 브랜드 전략에 집중되어 있 는데, 특히 해외 명품 브랜드를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디자인 측면에서 접근한 사례로는, 한국 전통기법을 부각시킨 Byeon(2001), Choi(1998)의 연 구와 섬유공예기법을 활용한 Yoon(2002)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도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이라 는 측면에서는 가치가 있으나, 실용적인 면이 부족하 여 가방의 대중적 활용도가 낮은 점이 아쉽다. 가방은 패션액세서리 중에서도 실용성과 기능성이 전제되는 아이템이므로(Lee & Lee, 2008), 소비자 특성과 라이 프스타일에 적합한 디자인 개발이 중요하기 때문이 다. Kim(2009)은 패션 트렌드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 하면서 가방디자인이 변화하고 있으며, 가방 디자인 개발을 위해서는 패션 트렌드를 반영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디자인 기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하 였다. 특히 Kang(2006)의 연구에 따르면, 가방의 텍스 처는 가방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다른 제품과 차별화 를 꾀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라고 설명하였다.

    이렇듯 현대 가방 디자인은 표면 텍스처의 다양성 을 재료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디자인의 부가가 치와 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소재개발 측면을 집중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백제 무령 왕릉의 유물은 정교한 제작기술과 섬세한 조형성으로 현대 가방 디자인의 소재개발 측변에서 활용될 여지 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백제 문화콘 텐츠의 현대적 활용을 위해,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 하여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아울러 새로운 디지털 기술로서 레이저커팅 기법을 활용하여 가죽의 텍스처와 문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백제 문 화콘텐츠가 지니는 섬세함과 조형성이 레이저커팅 기 법을 활용하기에 효과적인 콘텐츠임을 확인하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백제 문화콘텐츠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알아보고, 현대적으로 활용 가능한 백 제 문화콘텐츠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레이저커팅 기법의 원리와 레이저커팅 기법이 적용된 2010년 이 후의 패션 컬렉션 및 가방 디자인의 사례를 조사하였 다. 구글 사이트를 통해 ‘Laser-cutting technique’ 검 색 결과로 수집된 사진과 선행연구의 사진 자료를 포 함하여 패션디자인 85점과 가방디자인 65점을 수집 하고, 이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방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조사 하여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백제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고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대중성 과 기능성을 겸비한 현대 가방디자인 8점을 개발하였 다.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백제 문화콘텐츠는 2013년 연구자가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레이저 커팅 기법에 맞도록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Ⅱ. Background

    1. Baekje’s cultural contents

    1) Background of Baekje’s cultural contents

    4~5세기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는 고구려, 백제, 신 라, 가야가 있었다. 4~5세기의 동아시아는 사람과 물 자의 교류가 활발하였던 시기로, 고구려-전진․북위- 신라의 북방연합과 백제-동진․송․제-가야-왜의 남 방연합이 경쟁하는 가운데 동아시아 교역방의 중심에 백제가 있었다. 특히 백제는 서해와 남해로 이어지는 해안선이 길고 큰 강이 많아 해상활동에 유리하였다. 이를 통해 백제는 중국대륙, 일본열도 및 아시아의 여 러 나라와 활발하게 교류하였다(Seoul Museum of History & Seoul Baekje Museum, 2012). 백제는 한강 을 거점으로 한 초기의 한성시대(B.C.18~A.D.475), 금강의 웅진(충청남도 공주)을 중심으로 한 웅진시대 (475~538), 금강의 소부리(충청남도 부여)로 거점으 로 옮긴 사비시대(538~660)로 분류할 수 있다. 백제에 게 강은 교통수단일 뿐만 아니라 문화의 전파 통로였 다. 한반도에서 늘 좋은 강을 끼고 살았던 백제인들에 게 물은 융성을 기약하는 풍요로운 생명이었으며, 일 조량이 넉넉하고 비옥한 영토는 찬란한 문화를 꽃피 울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서 해안의 풍부한 어산물은 중요한 식량의 원천이었다. 뿐만 아니라 바닷길을 열러 중국과의 문화교류를 선 도하였기 때문에 고구려나 신라에 비해 문화를 일찍 발전시켰다. 백제에게 바닷길은 중국 남조의 선진문 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변의 여 러 나라와 깊은 연관을 맺으며 발전하게 되었다(Shin, 2005).

    백제 문화는 1972년 송산리 5~6호분의 배수로 공 사를 하던 중 무령왕릉이 발견되면서, 베일에 쌓였던 문화의 실체를 만천하에 드러나 보이게 되었다. 이를 통해 신라와 가야, 일본에 문화를 전파해준 백제 문화 의 우수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더욱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지석을 통해, 사람들은 이 무덤의 주인공이 백 제 제 25대 무령왕이라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백제 사 연구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고, 1970 년대 이후 본격적인 백제사 연구가 활성화가 된 주요 한 요인이 되었다(Jung, 2012). 처녀분으로 발굴된 무 령왕릉에서는 금으로 만든 관장식, 금 귀걸이, 용과 봉황이 장식된 둥근 고리 큰칼, 글씨가 새겨진 팔찌 등 수많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이들 가운데 17점이 국보로 지정될 만큼 정교한 제작기술과 조형성이 뛰 어나다고 평가받고 있다(Ha, 2013).

    2) The relics contents of KingMuryeong’s Tomb of Baekje

    백제 무령왕릉(Royal Tomb of King Muryeong)의 유물은 중앙집권에 성공한 왕의 무덤에서 출토된 유 물답게 섬세함과 세련미가 넘치면서도, 중국 남조 양 식과 일본산 재료 등으로 백제의 국제성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러한 무령왕릉 출토 유물은 무덤의 조성 연대를 통해 그 제작시기를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Kim & Shin, 2010). 특히 무령왕릉의 금속 장신구들 은 고구려, 신라 시대의 유물들보다 백제 특유의 문양 과 세공기술에 있어 부드럽고 화려한 곡선미를 지녀 (Shin & Park, 2012), 그 조형적 아름다움이 높이 평 가받고 있다.

    왕의 금제 관식은 국보 제154호로, 전체적인 형태 는 불꽃이 타오르는 모양을 연상시키며, 내부에 사용 된 연꽃 문양과 인동당초 문양이 잘 어우러져 있는 것 이 특징이다(Fig. 1). 왕비의 금제관식은 국보 제155 호로, 전체적인 느낌과 이미지는 왕의 관장식과 동일 하지만 무늬의 구성이 약간 다르다. 비대칭적인 왕의 금제관식에 비해 좌우가 정연한 대칭을 이루어 정적 이고 단정한 느낌을 준다(Ha, 2013; Fig. 2). 왕의 금 귀걸이는 백제 귀걸이 중 가장 화려하고 세련된 의장 을 자랑한다. 특히 금 알갱이나 금선을 표면에 붙여 장식하는 누금세공 기법이 사용되어 웅진시기 백제의 뛰어난 금세공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Kim & Shin, 2010; Fig. 3).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팔찌의 백미는 왼 쪽 팔목 부근에서 발견된 은제 팔찌이다. 겉면에는 혀 를 내민 채 머리를 뒤로 돌린 2마리의 용이 꼬리에 꼬 리를 물듯이 연결되었는데, 비늘이나 발톱의 표현이 매우 사실적이다. 그 안에 경자년(520) 2월에 다리(多 利)가 왕비용으로 만들었으며, 230주(朱)라고 씌어 있 다. 다리는 팔찌를 만든 장인의 이름으로 추측되며, 주는 백제 도량형에 의한 무게 단위이다(Kwon, 2005; Fig. 4). 환두대도는 둥근 고리를 이루는 손잡이 장식 안에 하나의 용을 표현한 단룡문환두대도(單龍文環頭 大刀)이다. 주로 삼국시대 무덤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최고의 신분과 강력한 권력을 나타내는 위세품으로 사용되어졌다. 환두부는 외부 원과 용 모양을 동시에 주조 도금한 금동제이다. 용은 농경문화에서 가장 중 요한 비를 관장하는 신을 상징하며, 강력한 권력을 뒷 받침하는 상징물로 빈번하게 사용되었다(Kim & Shin, 2010; Fig. 5). 무령왕릉은 무덤 전체를 벽돌로 쌓아 만든 벽돌무덤으로, 무덤방뿐만 아니라 무덤의 입구 를 막을 때도 벽돌을 사용하였다. 무령왕릉을 축조할 때 주로 사용된 벽돌은 연꽃무늬 벽돌이며, 글자가 있 는 벽돌과 무늬가 없는 벽돌도 사용되었다. 연꽃무늬 벽돌은 벽체를 쌓는 위치에 따라 장측면 또는 단측면 에 무늬가 찍혀있다(Ha, 2013; Fig. 6).

    2. Laser-cutting techniques

    1)The examples of modern fashion design using laser-cutting techniques

    레이저커팅(laser-cutting)이란 레이저 광선의 에너 지를 이용하여 행하는 절단 방법을 말한다. 레이저 절 단은 0.1 내지 0.2mm 직경의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금 속, 유리, 천, 플라스틱 같은 재료를 고속으로 절단한 다. 절단 과정에서 공구와 가공물 간의 접촉이 없고, 재료에 대한 열 변형과 금속의 조직 변화가 매우 적고 절단 후에 후처리 공정이 불필요하다(Kim, 2004). 이 러한 레이저커팅의 가공 기법은 새김(engraving)과 절 단(cutting)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김 기법은 표면 을 파내어 문양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절단 기법은 소 재를 잘라내는 기법을 말한다(Kim, Kang, & Lee, 2013). 레이저커팅은 공예, 조각, 건축, 예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온 기법으로서, 장식적인 조형미가 두드러지며 북 아트나 설치미술, 패션디자인, 가구디 자인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다(Shin, 2016).

    이러한 레이저커팅 기법을 응용한 현대 패션을 살 펴보면, 면 분할이 강조된 크고 대담한 문양에서부터 작고 섬세한 문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패션 컬렉션에서는 선이 강조된 섬세한 레 이스 이미지의 레이저 커팅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Seo & Kim, 2015). 한편 Shin(2016)은 패션디자인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레이저커팅 기법의 장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피력하였다. 첫째, 시접처리가 쉽지 않은 벨벳이나 가죽, 실크소재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패션디자인에 다양한 문양의 활용이 가능하도 록 하여 시각적으로 풍부한 장식 효과를 적용할 수 있 다. 셋째, 손으로 할 수 없는 섬세하고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다.

    2010년대 이후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레이저커 팅 기법의 특징을 살펴보면, 의복의 형태나 외곽선에 다양성과 재미를 부여함을 알 수 있다. 색채 측면에서 의 레이저커팅은 원단의 문양을 오려냄으로써 피부나 안감이 보여지며 배색 효과나 음영의 효과를 강조할 수 있다. 레이저커팅 기법은 문양을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소재 면에서는 올이 풀리지 않는 원단을 사용해야 원하는 효과를 성공적으로 나 타낼 수 있다. 또한 레이저커팅 기법은 섬세한 문양 표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문양을 통해 의복에 공간감 이 형성되어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레이저 커팅 기법의 문양 종류는 레이스와 같이 선이 강조된 섬세한 문양, 도식화된 자연적 문양, 반복적이며 단순 한 기하학 문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Fig. 7>의 하이더 아커만(Haider Ackermann), <Fig. 8>의 발렌티노(Valentino), 그리고 <Fig. 9>의 자일스 (Giles)는 불규칙적이고 자유로운 형태의 문양을 섬세 하게 커팅하여 종이 조형을 보는 듯한 독특한 시각적 효과의 드레스를 선보였다. <Fig. 10>의 알렉산더 맥 퀸(Alexander McQueen)은 자연의 꽃에서 영감을 받은 듯한 문양을 레이저커팅 기법을 이용하여 도식적으로 표현하였고, <Fig. 11>의 톰 브라운(Thom Browne)은 기하학적 문양의 반복적인 패턴을 의상 전체에 적용 함으로써 시각적인 재미와 조형감을 주는 디자인을 선보였다. <Fig. 12>는 트리애즈포(Threeasfour)의 작 품으로, 식물의 줄기 문양을 확대하여 반복시킴으로 써 유기적인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Fig. 13>의 이 리나 샤바에바(Irina Shabayeva)는 나뭇잎 같은 형태 를 기하학적으로 단순화한 후 반복적으로 꼴라주시 킴으로써 모피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Fig. 14>는 에밀리오 푸치(Emilio Pucci)의 2015년 S/S 컬렉션 작품으로, 기하학적인 원형의 문양을 반 복함으로써 모던하면서도 여성스러운 패션디자인으 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레이저커팅 기법의 다양한 표 현은 현대 패션 액세서리에도 나타났다. <Fig. 15>는 펜디(Fendi)의 2019년 F/W 컬렉션 작품으로, 기하학 적인 마름모꼴 형태를 반복시켜 레이저커팅 함으로 써 가죽 소재의 투박함을 경쾌하고 입체감 있게 표현 하였다.

    2) The examples of modern bag design using laser-cutting techniques

    가방 디자인에 레이저커팅 기법이 적용된 사례로는 다음과 같다.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가죽을 사용 하여 가방 본체에 전체적으로 레이저커팅을 적용한 디 자인과 가방의 일부에만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디 자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원단의 전체에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된 가방은 레이저커팅에 의해 뚫려진 문 양 너머로 가방의 내부가 훤히 보이며, 이러한 기법을 주로 사용한 대표적인 브랜드는 알라이아(Alaia), 살 바토레 페라가모(Salvatore Ferragamo), 디오르(Dior), 케이트 스페이드(Kate Spade), 디케이앤와이(DKNY), 시몬느 로샤(Simone Rocha) 등이 있다. 가방의 형태 는 주로 토트나 손으로 들 수 있는 비교적 크기가 큰 가방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에, 가방의 일부에만 레이 저커팅 기법을 적용된 경우는 가방 내부가 보이지 않 고, 레이저커팅된 가죽 표면과 안감의 배색 대조가 디 자인의 특징으로 작용하였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토 리버치(Tory Burch), 멜버른(Melbourne), 빅토리아 시 크릿(Victoria's Secret) 등이 있으며, 클러치 형태나 어 깨끈이 달린 형태로 비교적 중간 이하 크기의 가방이 주를 이루었다.

    <Fig. 16>은 살바토레 페라가모(Salvatore Ferragamo) 의 2014년 F/W 제품으로, 이 외에도 가방의 전체적인 가죽 표면에 기하학적인 문양을 레이저커팅 기법으로 적용한 디자인이 많다. <Fig. 17>은 알라이아(Alaia)의 2020년 S/S 제품으로, 알라이아는 레이저커팅 기법을 활용한 가방 디자인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브랜 드로서, 매 시즌 새로운 형태와 문양의 디자인을 발표 하고 있다. <Fig. 18>은 케이트 스페이드(Kate Spade) 의 2019년 S/S 제품으로, 가죽 원단 전체를 레이저커 팅한 토트 형태의 가방이다. <Fig. 19>는 디오르(Dior) 의 2021 S/S 제품으로, 가방의 단면을 섬세한 문양으 로 레이저커팅한 토트 형태의 가방이다. 다음은 가방 의 일부에만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사례로, 토리 버치(Tory Burch)의 새들백(saddle bag)(Fig. 20)과 멜 버른(Melbourne)의 클러치(Fig. 21) 제품이다. 가방의 일부에만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경우는 가방의 앞면 또는 뚜껑(flap) 부분에 레이저커팅을 적용하여 안감과의 대조적인 배색 조화와 함께 가죽의 레이어 로 인해 발생하는 음영이 디자인적 특징으로 작용하 고 있다.

    3. The design elements for bag design

    Lee and Lee(2008)는 국내 소비자가 선호하는 해 외 유명 7개 브랜드를 선정하여, 가방 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형태, 색채, 재질, 무늬, 장식으로 구분하고, 형 태를 다시 단면형태, 바디구성, 바디사이즈, 손잡이의 길이로 세분하였다. 또한 색채는 단색과 배색으로 구 분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인 가방 디자인은 트렌드와 상관없이 사각형과 사다리꼴의 단면형태, 정사면체의 바디구성, 중간 바디사이즈, 짧거나 중간 길이의 핸 들, 대조 배색, 딱딱하거나 부드러운 재질, 무지 문양, 무기적 장식으로 분석되었다. Kim(2009)은 2000년대 이후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가방 디자인을 분석한 결 과, 가방의 구조를 내용물을 담는 본체, 들기 위한 손 잡이, 여밈을 위한 잠금장치, 공간 확보를 위한 바대 로 구분하고, 용도에 따라 캐주얼, 파티, 포멀, 아트, 유틸리티 가방으로 구분하였다. 크기에 따라 빅, 미디 움, 스몰로, 그리고 착용법 및 여밈방법에 따라 드는 형, 한쪽 어깨에 매는 형, 양쪽으로 매는 형, 쥐는 형, 차는 형 등으로 세분하였다. 그 외 가방의 디자인 요 소를 색채, 소재, 장식으로 규명하고, 색상을 색상, 배 색 수, 배색 유형으로 분류하고, 소재는 재질감, 소재, 패턴으로 세분하였다. 세부 장식은 지퍼, 플랩, 버클 및 잠금쇠, 조임단 등으로 구분하였다.

    Lee(2014)는 모든 연령층의 소비자들이 의상에 상 관없이 활용할 수 있는 블랙 색상과 관리가 쉬운 소가 죽을 선호한다고 분석하면서, 소가죽 다음으로 양가 죽과 패브릭을 선호한다고 설명하였다. 전반적으로 보통 크기의 가방을 선호하며, 40대의 연령대에서 화 려한 패턴의 디자인을 선호하는 반면에, 20대는 단순 한 민무늬 디자인을 선호한다고 분석하였다. 한편 Koo(2008)는 가방의 디자인 구성요소를 크기, 형태, 색상, 소재, 장식으로 설정하고, 손잡이가 없이 손에 들고 다니는 것을 클러치(clutch)형, 손잡이가 부착된 그립(grip)형, 겨드랑이에 끼고 다닐 수 있도록 끈이 부착된 언더암(underarm)형, 어깨에 맬 수 있는 긴 끈 이 부착된 것을 숄더(shoulder)형으로 가방의 형태를 분류하였다. 또한 가방 디자인에서 중요한 것은 형태 뿐 아니라 용도로서, 이브닝(evening)용과 데이타임 (daytime)용으로 나누고, 이브닝용은 크기가 작고 고 급스러운 소재로 장식성을 강조하는 반면에, 데이타 임용은 실용성이 강조된다고 설명하였다. 장식으로는 금속 체인, 장식 끈, 손잡이 등이 포함되며, 수납을 어 떻게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을 어디에 배치하는가가 가방 디자인을 결정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어깨끈 은 가방의 이미지를 좌우하며, 스티치 디자인도 부가 가치를 높이는 수단이라고 설명하였다.

    Kang(2006)은 가방의 소재를 천연가죽, 인조가죽, 원단, 합성수지, 기타로 구분하였다. 가방에는 소가죽 을 비롯하여 송아지가죽, 어린 양가죽, 골이 선명한 악어가죽, 가오리가죽 등 다양한 동물의 가죽이나 코 팅한 원단, 광택 있는 에나멜, 인조가죽, 스웨이드, 비 닐, 모피, 메탈 메쉬(metal mesh) 등의 여러 가죽 소재 가 사용되며, 특히 가방의 텍스처는 가방의 부가가치 를 높이고 다른 제품과의 차별화를 꾀하는 중요한 디 자인 요소라고 강조하였다. 색상은 의상과의 매치가 중요하며, 블랙과 브라운 등 어두운 계열이 주를 이루 며 금속성 장식이 포인트 색상으로 이용된다고 설명 하였다. 장식으로는 구금, 지퍼, 채움기구, 연결고리, 징, 끈 등이 있으며, 세부 장식의 품질은 가방의 가치 를 높이고 다른 제품과 차별화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고 설명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의 가방 디자인 구성요소를 종 합한 결과, 공통적으로 형태, 색채, 소재, 문양, 장식으 로 분류할 수 있었다.

    Ⅲ. Methods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가방 디 자인의 구성요소인 형태, 색채, 소재, 문양, 장식을 디 자인 개발의 기준으로 반영하였다. 첫째, 형태는 가방 의 가장 기본적인 종류로서 토트와 숄더, 그리고 클러 치, 미니를 중심으로 기획하여 대중적인 디자인을 목 표로 하였다.

    둘째, 색상은 White와 Black의 대비를 주조색으로 하고, Beige, Navy, Brown을 보조색으로, 그리고 Gold, Silver를 부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현대적인 감각을 강조하였다.

    셋째, 소재는 소가죽, 양가죽을 중심으로 한 천연가 죽과 워싱 뱀피, 사피아노 가죽을 사용하였다. 특히 소재는 가죽의 본연 그대로를 이용한 대부분의 민무 늬 가죽 가방과 차별화를 강조할 수 있는 부분으로, 백제 문화콘텐츠를 레이저커팅 기법을 이용하여 적용 함으로써 현대적이면서 글로벌 감각이 있는 가방 디 자인 개발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넷째, 2013년에 연구자가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을 레이저커팅 기법에 맞게 재구성하여 이용하였다. 레이저커팅 기법의 장점인 세밀하고 정교한 표현이 가능한 점을 활용하여 가방 디자인의 현대적인 다양 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특히 화려하고 섬세한 표현 이 풍부한 백제 문화콘텐츠가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 다고 판단하여 백제 제 25대 무령왕릉 출토 유물을 가 방 디자인의 문양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2013년에 연 구자가 개발한 백제 문화콘텐츠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정교함을 표현하면서도 단순화하여 레이저커팅 기법 에 알맞도록 재구성하였다(Table 1). 문양의 구체적인 모티브는 백제 제 25대 무령왕릉의 출토 유물 중, 왕 비의 금관장식(Gold diadem ornament of queen), 왕의 금귀걸이(Gold earing of king), 왕의 검으로 출토된 환두대도의 손잡이(Sword with a round pommel of king), 무령왕릉 축조에 사용된 연꽃무늬 벽돌(Bricks with lotus-flower)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레이저커팅 기법을 활용한 가방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로서, 가방의 일부분에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 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다섯째, 세부 장식은 금속 지퍼, 금속 연결고리, 금 속 손잡이와 가죽 손잡이, 그리고 탈부착할 수 있는 어 깨끈과 참 장식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가방디자 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구성요소를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IV. Results and Discussion

    작품 Ⅰ은 기존 클러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휴대 감이 편리하도록, 가방 본체의 밑면에 손고리를 부착 하여 가방을 붙잡을 수 있는 클러치로 제작하였다. 가 방의 크기는 A4 서류가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이다. 색 상은 흑백의 대비로 세련되고 현대적인 이미지를 의 도하였고, 소재는 워싱 뱀피로 표면이 코팅된 소가죽 을 사용하였다. 화이트 색상의 소가죽에 레이저커팅 기법을 이용하여 백제 무령왕릉 유물 중 왕비 관장식 문양을 새겨 잘라내고 블랙 가죽과 배색 처리함으로 써 커팅효과를 강조하였다. 가방의 측면은 다시 화이 트 색상의 소가죽으로 연결하여 색채대비와 입체감을 주었다. 잠금장치로는 골드 지퍼를 이용하여 물건수 납이 편리하도록 제작하였다.

    작품 Ⅱ는 작품 Ⅰ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서, 가방 본체 밑면에 손고리를 부착하여 가방을 편리하게 붙 잡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색상도 흑백의 대비로 구성 하였다. 가방 본체의 소재는 작품 Ⅰ과 동일한 워싱뱀 피로 표면이 코팅된 화이트 색상의 소가죽을 사용하 였고, 레이저커팅 문양은 블랙의 양가죽을 사용하였 다. 가방의 측면은 다시 블랙 색상의 양가죽을 덧대어 서 명암대비를 이용한 입체감을 주었다. 백제 무령왕 릉 유물의 환두대도 손잡이 부분을 단순화한 문양을 레이저커팅으로 반복 배열하여 가방 몸판에 부착하였 다. 잠금장치는 골드 지퍼를 이용하여 물건수납이 편 리하도록 하였다.

    작품 Ⅲ은 손잡이를 이용하여 들 수 있는 토트형 가방이며, 14인치 노트북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이다. 전체 색상은 화이트이고, 손잡이를 블랙으로 강조하 였다. 소재는 이미 직조된 메쉬 가죽을 가방 본체에 사용하여 표면 장식성을 높였고, 메쉬 가죽의 시접처 리를 위해 가방의 가장자리는 일반 소가죽으로 마감 하였다. 광택 처리된 실버 가죽에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하였고, 문양의 모티브는 왕의 환두대도 문양을 작품 Ⅱ보다 크게 만들어 배열하였다. 토트 형태로, 지퍼 여밈이 없이 열려 있으며, 가장자리 마감에 사용 한 동일한 가죽으로 끈을 제작하고 탈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레 이저커팅 기법을 이용한 동일한 문양으로 참 장식을 제작하고, 참장식 또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다른 가방 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손잡이는 가방 본체 와의 통일감을 위해 동일한 가죽으로 만들었다.

    작품 Ⅳ는 작품 Ⅲ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금속 손잡이가 있는 토트형 가방이다. 가방 본체의 브라운 색상과 손잡이 및 문양에 골드 색상을 배색하여 고급 스러움을 강조하였다. 소재는 작품 Ⅲ과 동일하게 가 방 본체에 직조된 메쉬 가죽을 사용하고, 메쉬 가죽의 시접처리를 위해 동일한 색상의 소가죽으로 가방의 가장자리를 마감하였다. 레이저커팅 문양은 광택 처 리된 골드 색상의 가죽을 이용하였다. 문양의 모티브 는 작품 Ⅳ와 동일한 방식으로 왕비의 관장식을 레이 저커팅 하였다. 어깨끈과 별도의 잠금장식이 없고, 곡 선적인 형태의 금속 손잡이가 각진 직선적인 가방 형 태와 대조를 이룬다.

    작품 Ⅴ는 작품 Ⅳ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토트 형 가방이다. 색상은 흑백 대비로, 가방의 몸판에는 블랙을, 문양에는 화이트 색상을 이용하였다. 가방 본 체는 워싱 뱀피 코팅된 소가죽으로 제작하고, 레이저 커팅 문양 부분에는 양가죽을 이용하였다. 문양의 모 티브는 왕의 환두대도의 손잡이를 작품 Ⅲ과 동일하 게 배열하였다. 가방의 끈이나 별도의 잠금장식이 없 으며, 유선적인 실버 색상의 금속 손잡이가 각진 가방 형태와 대조를 이룬다. 레이저커팅 처리된 동일한 문 양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참 장식을 제작하여 장식하 였다.

    작품 Ⅵ는 숄더 형태의 토트 가방으로, 어깨에 맬 수도 있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들 수도 있도록 제작하 였다. 베이지와 블랙 색상이 대비되도록 구성하였고, 소재로는 가방의 밑면과 튼튼한 형태 유지를 위해 사 피아노(Saffiano) 가죽을 사용하였다. 사피아노 가죽 은 프라다(Prada) 브랜드가 특허를 가지고 있는 가죽 으로, 소가죽의 부드러운 부분을 선택하여 그 위에 빗 살무늬 또는 철망무늬 스탬프로 패턴을 넣은 후 다시 광택을 낸 가죽을 말한다. 문양은 레이저커팅 기법으 로 적용할 수 있도록 무령왕릉의 연꽃무늬 벽돌의 모 티브를 단순화하여 재구성하였다. 동일한 사피아노 가죽으로 손잡이를 만들고, 탈부착 할 수 있는 어깨끈 을 제작하여 다용도로 연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 다. 왕비의 금관장식 문양을 레이저커팅 기법으로 처 리한 참 장식도 탈부착이 가능하다.

    작품 Ⅶ은 작품 Ⅵ와 동일한 숄더 형태의 토트 가 방으로, 색상은 베이지와 네이비로 구성하였다. 소재 와 문양도 작품 Ⅵ와 동일하도록, 사피아노 가죽과 무 령왕릉의 연꽃무늬 벽돌의 문양을 이용하였다. 가방 본체와 동일한 사피아노 가죽으로 손잡이를 만들고, 탈부착 할 수 있는 어깨끈을 제작하여 다용도로 연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왕비의 금관장식 문양으로 레이 저커팅한 참 장식을 함께 제작하여 연출하였다.

    작품 Ⅷ은 정사각형의 미니 가방으로 가볍게 손으 로 들 수 있는 형태이다. 블랙과 베이지 색상의 배색 이며, 사피아노 가죽으로 제작하였다. 문양은 무령왕 릉 유물 중 왕의 금귀걸이를 확대하여 단순화한 문양 에 레이저커팅 기법을 활용하였다. 가방 본체와 동일 한 가죽으로 손잡이를 제작하고, 왕비의 금관장식 문 양으로 레이저커팅한 참 장식을 달아 연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작품사진과 함께 정리하면 <Table 3>과 같다.

    Ⅴ. Conclusion

    현대 패션은 새로운 기술과 미디어의 발달로, 많은 디자이너들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패션 컬렉션을 발표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제품 디자인에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한편 사람들의 감성이 젊어지 고, 연령에 관계없이 캐주얼한 스타일 연출과 코디네 이션을 선호하면서 패션액세서리 상품군의 수요가 증 가하였다. 특히 가방은 실용적인 목적과 장식적 기능 을 함께 가지는 주요 아이템으로, 여성 패션의 필수품 이자 스타일을 완성해주는 패션 액세서리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교한 제작기술과 섬세함이 뛰어 난 백제 문화콘텐츠를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디자인 요소로 판단하고, 새로운 디지털 기술 로서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가방 디자인을 개발 하였다. 레이저커팅 기법을 활용한 현대 패션과 가방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고, 백제 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을 위해 소재개발 측면에서 집중한 가방디자인 개발하기 위해, 무령왕릉 유물을 이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 문화콘텐츠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알아보고, 구체적인 백제 문화 콘텐츠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레이저커팅 기법의 원리와 레이저커팅 기법이 적용된 현대 패션 및 가방 디자인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에 나타난 가방의 디자 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 방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조사하여 디자인 개발을 위 한 기준을 설정하고, 백제 문화콘텐츠를 활용하고 레 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하여 대중성과 기능성을 겸비한 현대 가방디자인 8점을 개발하였다. 레이저커팅 기법 을 적용한 백제 문화콘텐츠는 2013년 연구자가 개발 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레이저커팅 기법에 맞도록 변 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방의 형태는 클러치, 토 트, 숄더, 미니로 구성하였고, 색상은 흑백 대비를 중 심으로 White와 Black을 주조색으로 사용하고, Brown, Beige, Navy를 보조색으로, Gold와 Silver를 강조색으 로 사용하였다. 소재는 소가죽을 중심으로 양가죽, 워 싱 뱀피 가죽, 메쉬가죽, 사피아노 가죽을 이용하였 다.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문양은 연구자가 2013 년에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재구성하여 이용하였 는데, 이 텍스타일 디자인은 백제 제25대 무령왕릉의 유물을 모티브로 하였다. 레이저커팅 기법으로 문양 을 적용한 방식은 앞면 또는 뒷면 등 가방의 일부분에 문양을 적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현대 패션에서는 레이저커팅 기법이 다양하게 활 용되고 상업적인 디자인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가방 을 포함한 패션 액세서리의 제작과정에서는 아직까지 디지털 기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지 못하다. 가방의 소 재나 텍스처의 변화가 적은 현실 속에서, 새로운 디지 털 기술로서 레이저커팅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다양 한 가죽의 텍스처와 문양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아울러 백제 문화콘텐츠가 레이스와 같이 곡선이 강조된 섬세한 문양과 직선이 강조된 도식화된 문양, 그리고 단순하 고 반복적인 기하형태의 문양으로 변형이 되어 레이 저커팅 기법을 이용하여 현대적으로 활용하기에 효과 적인 콘텐츠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자가 레이저커팅 기 법에 대한 경험이 다양하지 못하여 가방의 일부분에 만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한 점이 아쉽다. 향후 연구 에서는 레이저커팅 기법을 가방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식을 좀 더 다양하게 연구하여 가방의 원단 전체에 레이저커팅 기법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문양 에 있어서도 백제 문화콘텐츠 외에 레이저커팅 기법 에 적합한 현대적이고 기하학적인 문양 모티브를 지 속적으로 개발하여, 가방 디자인에 레이저커팅 기법 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Figure

    RJCC-28-6-738_F1.gif

    Gold diadem ornament of king Reprinted from Gongju National Museum. (2011). p.25

    RJCC-28-6-738_F2.gif

    Gold diadem ornament of queen Reprinted from Gongju National Museum. (2011). p.43

    RJCC-28-6-738_F3.gif

    Gold earing of king Reprinted from Gongju National Museum. (2011). pp.26-27

    RJCC-28-6-738_F4.gif

    Silver bracelets with inscription Reprinted from Gongju National Museum. (2011). p.57

    RJCC-28-6-738_F5.gif

    Sword with round pommel of king Reprinted from Gongju National Museum. (2011). p.36

    RJCC-28-6-738_F6.gif

    Bricks with lotus-flower design Reprinted from Gongju National Museum. (2011). p.106.

    RJCC-28-6-738_F7.gif

    Haider Ackermann 2010 FW Reprinted from Elle. (2012). https://www.elle.com

    RJCC-28-6-738_F8.gif

    Valentino 2015 S/S Reprinted from Marta. (2015). https://toofashion4u.weebly. com

    RJCC-28-6-738_F9.gif

    Giles 2013 S/S Reprinted from Violeta Purple. (2012). https://violetapurple.com

    RJCC-28-6-738_F10.gif

    Alexander McQueen 2012 F/W Reprinted from Vogue Magazine. (2012). https://www.pinterest.co.kr

    RJCC-28-6-738_F11.gif

    Thom Browne 2013 S/S Reprinted from Valerie Goodwin Art. (n.d.). https://www.pinterest.co.kr

    RJCC-28-6-738_F12.gif

    Threeasfour 2012 S/S Reprinted from Singer. (2012). https://www.vogue.com

    RJCC-28-6-738_F13.gif

    Irina Shabayeva 2011 F/W Reprinted from Kallom. (2011). https://www.redcarpet-fashiona wards.com

    RJCC-28-6-738_F14.gif

    Emilio Pucci 2015 S/S Reprinted from Pursefixation. (2015). https://pursefixation.com

    RJCC-28-6-738_F15.gif

    Fendi 2019 F/W Reprinted from Vogue Germany. (2020). https://www.pinterest.co.kr

    RJCC-28-6-738_F16.gif

    Salvatore Ferragamo 2014 F/W Reprinted from Megs Mahoney Dusil. (2014). https://www.purseblog.com

    RJCC-28-6-738_F17.gif

    Alaia 2020 S/S Reprinted from Alaia. (2020). https://www.maison-alaia.com

    RJCC-28-6-738_F18.gif

    Kate spade 2019 S/S Reprinted from Amanda Mull. (2018). https://www.purseblog.com

    RJCC-28-6-738_F19.gif

    Dior 2021 S/S Reprinted from Spotted Fashion. (2020). https://www.spottedfashion.com

    RJCC-28-6-738_F20.gif

    Tory Burch Reprinted from Magical Holidays. (n.d.). https://www.magicalholidays.com

    RJCC-28-6-738_F21.gif

    Melbourne Reprinted from Melbourn Laser Cutter. (n.d.). https://melbournelasercutter. com.au

    Table

    The process of pattern deformation for laser-cutting techniques

    Bag design components of research results

    Research results and photographs

    Reference

    1. Alaia. (2020). Alaia tote bag. Retrieved December20, 2020, from https://www.maison-alaia.com/us/tote-bag_cod45531416ko.html
    2. Amanda Mull. (2018, September 11). Check out Kate Spade’s first bag collection from the brand’s new creative director. Purseblog. Retrieved December 20, 2020, from https://www.purseblog.com/fashionweek/check-out-kate-spades-first-bag-collection-from-the-brands-new-creative-director/
    3. An, H. J. (2004). A study of jackets and blouse with bag attached -Focused on female college students between 18 and 24 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 Byeon, H. W. (2001). A study on bag design with the technique of mother ofpearl and lacqu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Choi, J. B. (1998). Bag design emphasizing formative aesthetic values -On the basis of patch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 Chungnam Information Culture Technology Industry Agency. (2007). 백제무령왕릉출토유물문양을이용한문화상품브랜드개발결과발표보고서 [Report on the presentation of cultural productsand brand development using the relics of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Baekje]. Cheonan: Author.
    7. Elle. (2012, January 14). Haider Ackermann 2010 F/W.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www.elle.com/runway/fall-2010-rtw/g19695/haider-ackermann-427322/?slide=29
    8. Gongju National Museum. (2011). Gongju National Museum permanent collection. Gongju: Author.
    9. Ha, S. Y. (2013). Textile design development using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as a cultural conte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3), 376-393.
    10. Ha, S. Y. (2017). Bag design development as a fashion cultural product -Focused on historic and cultural contents of Baekj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6), 60-78.
    11. Jung, J. Y. (2012). A study of King Muryeong’s applications in cultural business. Baekje Culture, 1(46), 343-367.
    12. Kallom, C. (2011, February 11). Irina Shabayeva 2011 F/W. RCFA.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www.redcarpet-fashionawards.com/2011/02/11/irina-shabayeva-fall-2011/
    13. Kang, J. C. (2006). A study on the global brand strategy of the Korean bag companies –Focused on the comparative case study with overseas advanced compan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nkuk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D. Y. , & Shin, J. C. (2010). Designs to commercially utilize cultural archetype: Based on patterns found on the relics from King Muryeong of Baekje’s mausoleu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2), 202-214.
    15. Kim, J. D. (2004). 산업용레이저응용 [Industrial laser application]. Incheon: Inha University Press.
    16. Kim, J. I. , Kang, H. S. , & Lee, J. Y. (2013). Development of interior goods using apricot flower patterns -Focused on laser cutting technique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8, 59-72.
    17. Kim, J. Y. (2009). Bag design appeared in fashion collections after 200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5(3), 79-92.
    18. Koo, I. S. (2008). A study on the wearing pattern and design preference of handbag for career wome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4), 1-14.
    19. Kwon, O. Y. (2005). The Tomb of King Muryeong: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Paju: Dolbagae.
    20. Lee, A. Y. (2014). Study of consumer preference for luxury brand handbag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W. J. , & Lee, K. H. (2008). Design properties of bags of famous overseas brands in fashion coll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0), 1487-1496.
    22. Magical Holidays. (n.d.). Tory Burch laser cut pink leather convertible mini crossbody. Magicalholidays. Retrieved December 20, 2020, from https://www.magicalholidays.com/collections/handbags/products/tory-burch-laser-cut-pink-leather-convertible-mini-crossbody
    23. Marta. (2015, June 4). Valentino summer collection 2015. Fashion & Makeup.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toofashion4u.weebly.com/blog/valentino-summer-collection-2015
    24. Megs Mahoney Dusil. (2014, December 4). Gift guide 2014: The ultimate handbag gift guide. Purseblog. Retrieved December 20, 2020, from https://www.purseblog.com/gift-guides/gift-guide-2014-ultimate-handbag-gift-guide/34/
    25. Melbourn Laser Cutter. (n.d.). Laser cut pouches. Retrieved December 10, 2020, from https://melbournelasercutter.com.au/laser-cut-pouches-fashion-accessories-and-outfit-ideas/
    26. Nam, Y. J. (2017). The types and values of the future fashion design focused on fashion exhibitions. Journal of Basic Design and Art, 18(5), 157-169.
    27. Pursefixation. (2015, March 12). Fashion trend SS15 fixation: Laser cut.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pursefixation.com/2015/03/12/fashiontrend-ss15-fixation-laser-cut/
    28. Schwab, K. , & Song, K. J. (Eds.)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Megastudybooks.
    29. Seo, J. Y. , & Kim, J. H. (2015).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Crochet lace of combined traditional Korean painting of flower and bird pattern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3(3), 67-74.
    30. Seoul Museum of History & Seoul Baekje Museum. (2012). Seoul Baekje museum. Seoul: Seoul Baekje Museum.
    31. Shin, J. Y. (2016). Study on the scarf design using laser cutting technique. Journal of Basic Design and Art, 17(3), 257-265.
    32. Shin, K. S. (2005). The cultural heritage of Baekje. Seoul: Jooryushung.
    33. Shin, M. Y. , & Park, S. C. (2012).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ornaments in the Three Kingdom Period.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0(11), 603-312.
    34. Singer, M. (2012, February 15). Threeasfour fall 2012 Ready-to-wear. Vogue.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2-ready-to-wear/threeasfour
    35. Spotted Fashion. (2020, July 24). Dior cruise 2021 runway bag collection. Retrieved December 20, 2020, from https://www.spottedfashion.com/2020/07/24/dior-cruise-2021-runway-bag-collection/
    36. Valerie Goodwin Art. (n.d.). Thom Browne 2013 S/S [Pinterest].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220324606745828159/
    37. Violeta Purple. (2012, September 18). Giles S/S 2013.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violetapurple.com/2012/09/18/giles-ss-2013/
    38. Vogue Germany. (2020, October). Fendi 2019 F/W [Pinterest].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243616661080738554/
    39. Vogue Magazine. (2012, Fall). Alexander McQueen 2012 F/W [Pinterest]. Retrieved December 8, 2020, from https://www.pinterest.co.kr/pin/196117758744418751/
    40. Yoon, S. I. (2002). A study of fashion accessary based on fiber craftsmenship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