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6 pp.858-874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6.858

Interpretation of Siberian shaman costume through Roland Barthes’s semiotics approach

Shuai Liu, Mi Jeong Kwon*
Ph. D. Candidate, Dept. of Clothing & Textile,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mjkwon@pusan.ac.kr)
October 30, 2020 December 6, 2020 December 7, 202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ethnic groups to which different types of shamans belong in Siberia from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lothing through Roland Barthes’s semiotic theory. The research method here is to analyze three types of shaman costume classified by Holmberg, which are bird-type, deer-type, and bear-typ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to investigate the analysis process of Roland Barthes’s semiotics theory. Roland Barthes’s approach to semiotics presents an analysis model that can explore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Siberian shaman costu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type, to be closer to the god of the upperworld, shamans transform themselves into birds by decorating their costumes with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birds such as feathers and wings. In the second type, the shamans’ costumes are made of deerskin, and the headdress is shown in the shape of antlers to make it easier to receive messages from the upperworld and run fast in the underworld. In the third type, the shaman’s costume is made of bearskin, the head is covered with bearskin, and the body is decorated with bear pendants. Through the power of the bear, the shaman is sent to the underworld to defeat evil gods and remove diseases. Shamans can show their particularity of being a demigod and non-binary gender through clothing. They use this to reflect their authority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god.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접근을 통한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해석

유 수, 권 미 정*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박사수료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원시인류가 당면한 세 가지 문제는 기아와 질병, 각종 불안정한 자연환경과 초자 연적 현상이다. 인간이 배고픔을 면하려면 풍년을 기원하여야 했고, 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악귀를 쫓아야 하며, 안전을 위해 선신(善神)의 보호를 기도해야 한 다. 그래서 제사와 악귀 쫓기(驱鬼)가 인류의 중심이 되었다. 만물유령론은 자연숭배라고도 하는데, 모든 만물에 영혼(靈魂)이 깃들어 있다는 것이다. 산, 물, 불, 대지, 하늘, 식물, 동물 등은 모두 영(靈)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토테미즘(totemism)은 씨족과 동물을 숭배하는 토템이 혈연으로 대물림되었다고 말 한다. 이에 따라, 토테미즘은 광범위한 자연숭배에서 인간의 영혼과 관련된 숭배로 범위가 축소되었다. 귀 신(鬼神)숭배는 귀신, 영웅의 영혼 및 인간의 현실생 활에 관여하는 모든 영혼을 가리킨다. 영혼에게는 선 악의 구분이 있는데, 선한 영혼은 보통 예의를 갖추어 제사를 지내지만, 악한 귀신은 쫓는 의식을 행한다 (Wang, 2009).

    샤머니즘은 토템숭배나 자연숭배 등의 초기 신앙 이 오랫동안 발전해온 형태로 수렵, 어획, 채집을 주 요 생활수단으로 삼는 시대에서 인류의 종교적 신념 을 발달시키는 특수한 단계로 발전되었다(Valery, n.d.). 샤머니즘의 사상은 활력이 넘치거나 활력이 넘 치는 주변 세계, 자연계(사람 포함)의 보편적인 연계 에 의한 것이 특징이며, 인간과 우주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정신적으로 영혼의 세계를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고 생각한다(Magidovich, 1999). 이러한 의식 중에 샤먼은 사람 또는 의인화된 동물로 나타나게 되며, 샤머니즘의 특징은 인간과 신(영혼) 사이에 중개인이 필요하다는 신념에 기초하여 나타난 세계관이다.

    샤먼은 하늘과 땅을 잇는 사람이다. 즉, 샤먼은 이 승과 저승 사이에 존재하며, 영혼과 우리 인간의 중계 자 역할을 하는 반신반인(半神半人)으로 불리어진다 (Lee, 2005). 샤먼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두 가지의 연구문제가 제기되었고, 이를 본 연구의 주 요한 연구문제로 다루었다. 첫 번째 문제는 샤먼의 유 형이고, 다른 하나는 엑스터시(ecstasy) 유형의 구분이 다(Yang, 2011). 이에 따라 샤먼은 사람들이 의식 환 경에 몰입하도록 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항상 복식을 통해 야생 동물을 흉내내고, 청각적으로는 귀신 가면 과 벨을 만들어 쓴다(Park, 2012). 이런 동물의 정신은 곰, 늑대, 순록, 산토끼, 각종 조류(특히 백조, 독수리, 부엉이, 까마귀 등)와 다른 형태로 많이 나타났다.

    시베리아 샤먼은 야생동물이나 조류의 정신적인 샤 머니즘의 침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Hultkrantz, 1973). 샤먼은 일상복을 입고 있을 때에는 접신(接神) 을 하지 않으며,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전문적인 샤 먼복식을 착용하는데, 샤먼복식의 디자인은 야생동 물이나 조류와 관련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별한 복식 이 따로 없을 경우에는 의식을 위한 모자나 허리띠 를 착용하거나, 무북(巫鼓), 지팡이 등의 도구가 전문 적인 샤먼복식을 대신하게 된다(Eliade, 1951/2003). Holmberg(1938)의 연구에 의한 샤먼복식은 새(鳥) 형, 사슴 형, 곰 형의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뉠 수 있 다. 샤먼복식은 사회와 종교사상의 집합체로, 이러한 정신과 사상이 외형적으로 드러나며, 샤먼의 정신과 사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세 가지 샤먼복식의 조형적인 요 소와 상징적인 의미를 통해 시베리아 사회와 종교사 상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시베리아 샤먼복식을 이해하기 위해 방법론적으로 기호학을 탐구하였다. Kim(2018) 의 연구에 의하면,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이미지는 언어처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기호로 작용될 수 있다. 프랑스 철학자인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는 의미작용을 분석한 기호학을 통해 영화, 의상, 식 품 등 의미작용을 하는 비언어적 문화 현상을 연구 범 위에 포함시켜 문화 전반에 심층적인 구조로 설명 (Han & Kang, 2014)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시베리 아 샤먼복식에 대한 이해를 위해 롤랑 바르트의 기호 학을 분석 틀로 선정하였다.

    Ⅱ. Methods

    샤먼복식에 관한 선행연구(Lee, 1997;Yang & Kim, 1993;You, 1997)를 살펴보면 한반도 무복(무속 의상)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Kim, Jo, and Kim(2003), Park(2015)의 연구에서는 몽골의 샤먼복식을 고찰하 였다. 또한 Han(2012)의 연구에는 중국, 동남아 지역 에 나타난 샤먼복식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 구 목적은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을 활용하여 시베리 아 샤먼복식에 대한 해석을 체계적으로 시도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제적인 연구문제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 따른 시베리아 샤 먼복식을 유형별로 나누어 고찰한다. 둘째, 롤랑 바르 트의 기호학을 살펴본다. 셋째,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에 의한 샤먼복식을 적용하여 본 연구의 분석 틀을 도 출한다. 넷째, 본 연구의 분석 틀을 바탕으로 샤먼복 식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시베리아 샤 먼복식과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의 이론을 고찰해봄 으로써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분석 틀을 제시하고, 샤먼복식을 분석하여 시베리아 각 지역의 사회 문화적인 의미의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과 연구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사용하였다. 연 구방법으로는 시베리아 샤머니즘, 샤먼복식과 바르트 의 기호학이 전개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국 내외 발행된 단행본, 석·박사 학위 논문, 학술지 및 신문기사 등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를 위해 국립 종교 역사박물관(History of Religion Museum(St. Petersburg)), 이르쿠츠크 지역 연구박물관(The Irkutsk’s Museum of Regional Studies), 피터대왕의 인류학 및 민족학 박물관(Peter the Great’s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Kunstkamera)), Virtual Collection of Asian Masterpieces [VCAM] 등 박물관에 전시한 샤먼복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으 로 수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새 형, 사슴 형, 곰 형, 일상복식 형으로 4가지 샤먼복식을 요약하였다. 그 러나 샤먼복식에 관한 선행연구(Eliade, 1951/2003;Holmberg, 1922;Lee, 2005;Park, 1995)와 결합하여 본 연구는 허리띠와 모자로 장식된 일상복식을 바탕 으로 만든 샤먼복식은 연구범위에서 제외하였다. 따 라서 본 연구는 새 형, 사슴 형, 곰 형의 3가지 시베리 아 샤먼복식의 유형을 바탕으로 박물관에 전시된 각 샤먼복식을 2벌씩 선정하여 총 6벌을 통해 샤먼복식 을 설명하였고, 바르트의 기호학의 접근을 통해 시베 리아 샤먼복식의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샤먼복식의 분석 틀을 기반으로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새 형 3벌, 사슴 형 3벌, 곰 형 2벌로 총 8벌의 샤먼복식 앞면과 뒷면 총 16장의 사진을 중심으로 한 샤먼복식을 예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유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샤먼복식에 표현된 명시적 의미 와 암시적 의미를 통해 시베리아의 사회 문화적 의미 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Ⅲ. Theoretical Research

    1. Types of Siberian shaman costumes

    샤먼복식은 전체적인 형태나 소재, 장신구, 색상 등 과 같은 세부적인 측면에서 시베리아 전역의 상징적 인 매개체로 인식될 수 있었다(Hoppál & Skirecki, 1994). Holmberg(1922)는 ‘새 형’, ‘사슴 형’, ‘곰 형’ 세 가지 샤먼복식의 종류가 구별될 수 있다고 진술하 면서 주요 유형을 요약하였다. 그에 따르면 모든 종류 의 샤먼복식이 실제적이거나 상상된 모든 동물을 나 타내는 것으로써 샤먼의 조력자로 간주되었는데, 샤 먼의 힘과 능력을 통해 그 복식을 입은 샤먼에게 초자 연적인 힘을 주었다. 샤먼은 복식을 입음으로써 새처 럼 하늘에 날거나, 사슴처럼 뛰거나, 곰처럼 포효하는 것을 많이 모방한다. 이 모든 사상은 샤머니즘의 자연 숭배적인 뿌리로부터 설명된다(Alekseev & Hoppál, 1984). 샤먼복식의 조형에 나타난 상징성도 샤먼이 운 용하고 있는 특정 우주 영역을 즉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곰은 지하세계, 새는 천상세계, 순록이나 사 슴은 천상세계와 지하세계 두 개의 영역이나 심지어 이 두 영역 사이에 있는 세상과 연결되어 있었다 (Basilov & Balzer, 1990).

    1) Bird-type of Siberian shaman costume

    시베리아 샤머니즘 교리에서는 동물 가죽이나 새 털로 만든 샤머니즘 제복과 유사한 재료가 널리 알려 져 있다. 특히 시베리아 남부 지역에 거주한 알타이 인, 하카스(Khakas) 인, 토팔라르(Tofalar) 인, 몽골 인, 부랴트 인 등 민족은 대부분 새 형 샤먼복식을 제 작하였다. Prokofeva(1971)의 연구에 의하면 샤머니즘 에 나타난 동물 이미지를 오래된 것으로 강조하였고, 특히 새의 상징적 의미는 더욱 오래되었다. 샤먼은 인 간과 천상세계의 조정자로 간주돼, 하늘과 태양에 가 까운 새로 변신한 것을 실현하였다. 시베리아 원주민 들이 천상세계의 개념을 발전시켰을 때 새의 그림이 복식에 붙었다. 새로 변신한 샤먼은 사람들이 두려워 하는 올빼미나 독수리를 선호했으며, 샤먼복식은 항 상 어깨, 등, 머리에 올빼미나 독수리의 깃털로 장식 한다. 알타이 인의 샤먼복식의 뒷면은 새 모습을 표현 하기 위해 어깨에 깃털로 장식하였다. 텔루츠(Teleuts) 의 일부 샤먼들 중에는 모자가 갈색 올빼미 가죽으로 만들어져 있고, 깃털은 그대로 장식품으로 남겨져 있 으며 새의 머리도 간혹 남아 있다. 샤머니즘 모자는 새의 상징적 의미도 뚜렷하다. 알타이 샤먼 제사장의 머리장식은 쿠시 페루크(Kush peruk: 새 모자)라고 불 린다(Potapov, 1991). 20세기 초에 보통 모자 꼭대기 에 깃털 한 묶음만 꿰맸으며, 샤먼에게 비슷한 새의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텔루츠 사람은 과거에 항상 조개껍데기를 같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새로 변신할 수 있는 샤먼복식을 만들기 위해 올빼미 나 독수리의 날개와 함께, 때로는 머리까지도 사용하 였다. 하카스 사람 중 일부 샤먼은 중절모의 앞부분에 장식했다. 머리를 하나 꿰맸고, 그 꼭대기에 부엉이의 꼬리를 하나 꿰맸다. 뿐만 아니라 독수리, 부엉이, 까 마귀는 모든 샤머니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샤 먼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Deer-type of Siberian shaman costume

    시베리아 소속민족의 신화에서 우주의 모든 부분은 생물과 연결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땅은 미록(麋鹿: 사슴)이나 암사슴으로 여겨진다. 에번키 족의 전설에 서 천국 같은 미록이 사람들의 햇빛을 훔쳐갔다고 한 다. 영웅인 사냥꾼 마니(Mani)는 햇빛을 돌려주기 위 해 미록을 따라 하늘로 올라갔다. 미록은 가끔 지하세 계와 연결된 불행을 초래하는 악신으로 알려져 있는 흑샤먼의 몸을 만들기도 한다. 그래서 미록은 우주의 모든 부분을 상징하기 때문에 샤먼들은 복식을 제작 할 때 사슴뿔을 그대로 쓰거나 철로 만든 뿔을 이용한 다. 철로 만든 사슴뿔로 장신된 크라운은 에번키 인, 부랴트 인, 돌간 인 등 시베리아 원주인의 샤머니즘이 의례적으로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라운은 하나의 테로서, 일반적으로 교차하여 구부러진 두 개 의 아크와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머리 위쪽에는 철꼬 챙이의 교점(交點)에 철의 단조(鍛造)로 만든 사슴뿔 이 뻗어 있다. 기독교의 영향에 받은 에번키 인의 종 교적 신념에서 혼합주의의 표시이다(Polič, 2019). 셀 쿠프(Selkup) 샤먼의 크라운에는 수컷과 사슴뿔의 두 상까지 보인다. 가죽으로 만든 크라운에 비해 에번키 인의 샤먼복식의 철로 제작한 머리 장식은 더 늦게 나 타났다. 사슴가죽으로 만든 샤먼복식의 뒷면에는 사 슴뿔 이미지로 의미를 알 수 없는 가죽 끈이 엮여 있 다. 또한 러시아 벨과 호랑이 벨은 대부분의 복식에 매 우 많이 발견되는 물건이다. 그들의 소리는 종종 놀라 울 정도로 시끄러워서 악령을 쫓아버렸다. 예니세이 의 샤먼들은 그들의 복식에 달린 사슴뿔이 사슴과의 관계를 나타낸다고 설명하는데, 의식에서 사슴의 영향 력을 끼친다. 즉, 샤먼은 지하세계에서 영혼이 여행할 때 사슴처럼 빨리 달렸다(Lommel, 1967).

    3) Bear-type of Siberian shaman costume

    조상으로 숭배되는 동물 중 특히 곰의 위상은 신성 함이나 반신성에서 기인하며, 힘이 강해 이름을 붙일 수 없어 신성 또는 반신성이라고 한다. 곰과 곰의 후 손도 인간과 곰 사이의 금기로 확인됐다. 고대에 투바 인은 호오라라(Khoorlar)와 아자라르(Azarlar)의 천체 부족이 곰 모양의 위대한 샤먼을 지구로 보냈다고 생 각한다. 그 이후로 곰 형의 샤먼은 지구에 살았다. 천 상의 샤먼들만 이 곰의 영혼을 소환할 수 있는 뛰어난 능력을 부여받았다(Eliade, 1951/2003). 또한 지하세 계와 연관된 곰일 수도 있기 때문에 셀쿠프(Selkup), 돌간(Dolgan), 야쿠트(Yakut)와 같은 부족들은 전체 복식을 곰을 상징하여 디자인하였다. 고대 장례식에 서는 아무런 희생이 없이 진행되다가 샤머니즘의 강 신무(降神巫)로 이어져 세상을 향한 무의(巫儀)로 불 렸다. 이에 비해 샤머니즘이 대표적인 강신무는 지하 세계를 지향하는 무의라고 불리며, 피 비린내 나는 제 사를 지냈다. 천상세계에 올라갈 때는 사슴 가죽으로 만든 카프탄(caftan)을 착용하고, 지하세계에 대해서 는 곰 가죽으로 만든 카프탄을 입었다. 샤먼은 사냥꾼 이 정화하는 의식을 고대 수렵의식 ‘운기를 확보함’ 과 연결시키는데, 샤먼의 강령무는 주로 인간과 동물 의 영혼의 운명을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Hoppál, 2013). 19세기 핀란드 학자인 마티아스 카스트렌(M. A. Kastren)에 따르면 샤머니즘은 샤머니즘 짐승의 머 리에 묻은 피부를 입고 뿔과 함께 벗겨내기도 하였다. 다른 동물을 묘사한 머리 장식도 같은 방식으로 제작 됐다. 에번키 인의 곰 형 샤먼복식은 곰 가죽으로 제 작되고, 로브루가(Rovduga: 사슴 가죽으로 만든 장 신구)와 의인화된 동물의 금속장신구가 복식에 붙였 다. 청동거울은 주로 복식뒷면에서 발견되었는데, 보 통 태양, 달, 지하세계의 입구를 상징한다. 태양과 달 은 샤먼의 우주 지식, 다른 세계와 행성의 영향력을 상징한다. 어떤 부족들은 토리(Toli: 샤먼복식의 청동 거울)라고 불리는 특별한 종류의 청동거울을 사용하 였다. 토리는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니라, 위대한 샤먼 의 몸에서 태어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들은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었고, 샤먼은 각 토리에게 영을 지킬 수 있었다.

    다른 세계를 여행하고자 하는 샤먼은 영혼의 허락 을 받아야만 복식을 제작할 수 있다. 샤먼복식의 완 전한 세트에는 머리 장식품(모자, 크라운, 붕대), 가 면, 망토, 앞치마, 바지, 신발이 포함되어 있다. 샤먼 복식의 디테일은 저마다의 상징과 의미를 지니고 있 으며, 하나의 목적에 봉사하고 있다. 의식에서 샤머니 즘은 보통 신화적인 생물, 반조반수(半鳥半獸)가 된다 (Diakonova & Putilov, 1981). 시베리아 원주민들이 천상세계의 개념을 발전시키면서 복식에 새의 이미지 가 붙게 된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지하세계와 연관된 복식은 곰의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베리아 샤먼복식들에서 발견되는 다른 상징들은 7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즉, 프린지, 리본과 로브 루가, 깃털과 날개, 뼈와 해골 대신 쇠사슬, 뿔과 사슴 뿔, 인간과 동물의 이미지, 종과 다른 작은 옷걸이들이 다(Table 1).

    2. Roland Barthes semiotics

    기호 이론의 핵심은 기호 제작과 해석이라는 이 영 원한 과정 속에 포함된 요소들을 정의하고, 우리로 하 여금 문화적 활동의 여러 영역 속에 퍼져있는 그 과정 을 파악하도록 도와주는 개념적 도구를 개발하는 것 이다(Bryson, 1983/1995). 롤랑 바르트의 ‘기호론 요 강’은 언어학을 뛰어넘는 논리적이며 구조화된 기호 론적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Toussaint, 1978/ 1989). 한 사회를 지배하는 편견 또는 이데올로기가 일상생활 속에 교묘하게 스며들어 있음을 비판한 ‘신 화학’도 이러한 구조 언어학에서 파생한 방법이다.

    Barthes(1957/1995)에 의해서는 랑그(Langue)와 빠 롤(Parole)의 이분개념과 더불어 기표, 기의, 지시물에 관한 이론 전부를 소쉬르에게서 빌려 왔다. 그는 명시 적 의미와 암시적 의미라는 개념들을 루이 옐름슬레 브(Louis Hjelmslev)로부터 차용해, 그것을 완벽하게 만들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르트는 옐름 슬레브의 ‘표현’과 ‘내용’에 대신 새로운 기표와 기의 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즉, ‘암시적 기의’를 설명하 기 위해서 소쉬르의 기표와 기의를 재사용하였다. 구 상적인 이미지인 사잔, 영화, 연속만화 등에서 아날로 지에 앞에 나타난 약호들은 명시적 의미의 약호들이 다. 유추 이후에 나타난 약호들은 암시적 의미의 약호 들이다. 그것들은 최초의 약호들의 선결작용을 전제 로 삼으며, 아날로지를 중복시킨다. 바르트는 이처럼 명시적 의미와 암시적 의미라는 이분개념에 대하여 진보적인 재평가를 하였다(Toussaint, 1978/1989). 바 꿔 말해, 전통적으로 소쉬르의 기호학에 따르면 기호 는 기표와 기의의 상호작용으로 성립한다고 보았다. 바르트는 ‘2차적 의미작용단계’를 추가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호의 의미가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 시한 것이다. 명시적 의미는 1차적 의미작용에서 획득 된다. 이렇게 성립된 기호(기표-명시적 의미)는 곧바 로 또 다른 기표가 되어 이차적인 의미작용을 거친다. 이때 획득되는 의미가 바로 암시적 의미다. 명시적 의 미와 암시적 의미가 합쳐져 새로운 의미체로 나타나 게 되는데, 바르트는 이러한 의미작용을 ‘신화(myth)’ 라고 하였다. 바르트에 따르면 신화란 ‘사람들이 당 연하다고 믿게끔 만드는 짜여진 이야기’이라 정의하 였다(Table 2). 이러한 신화가 사람들로부터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기호학 과정을 거친다고 보았고, 이를 다음과 같이 도식으로 설명하였다(Toussaint, 1978/ 1989).

    Mono(2018)의 연구에 따른 바르트의 기호학 접근 을 통해 잡지 사진을 대상으로 해석하였다. 명시적 의 미는 기호의 표면적 의미이며, 막연한 형태로 수용자 에게 습득되어 일반적인 느낌 차원에서 가능성으로만 존재한다. <Fig. 1>에서는 일차적으로 프랑스 국기에 경례하는 흑인 병사를 의미한다. 우리 눈에 보이는 물 질로서의 잡지 표시 사진은 시니피앙이고, 프랑스 국 기에 경례하는 흑인 병사라는 의미는 시니피에이다. 때는 알제리 전쟁으로 프랑스의 국론이 삼하게 분열 되었던 1950년대이다. 이 사진은 알제리 출신의 북아 프리카 흑인까지 포함하여 모든 프랑스 국민이 삼색 기아래에서 국가에 경의를 포현하는, 애국심과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결과, 이 사진은 프랑스 의 제국주의를 의미하는 것이다(Park, 2013). 따라서 시베리아 샤먼복식은 그 자체로서 종교적인 히에로파 니(Hierophany: 거룩한 것의 드러남, 곧 성현)와 코스 모그래피(Cosmography: 우주형 상지)를 이룬다. 샤먼 복식은 거룩한 것의 존재를 드러날 뿐만 아니라, 우주 적 상징과 형이상학적 과정을 계시하기도 한다 (Eliade, 1951/2003). 샤먼복식은 샤먼신화나 그 기술 은 물론이고, 깊게 연구하면 샤먼체계의 정체까지 드 러나게 한다.

    Ⅳ. A Study Model of Shaman Costume Approaching Roland Barthes Semiotics

    한 시대의 사회 문화적 기호로 대표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복식이다. 이는 복식이 전달하는 스타일이 단 순화 된 양식이나 유행의 개념에 그치지 않고 일종의 소통의 기호로서 작용하며, 하나의 미디어로 기능하 기 때문이다. 샤먼복식은 샤먼교의 상징적 의미를 반 영한 기호세계로 전승되고 있다. 바르트의 기호학에 의한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해석이란, 샤먼이 스스로 비밀스럽게 만든 기호를 수용자가 은밀하게 혼자 힘 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샤먼을 둘러싼 지적, 심 리적, 사회 문화적 약호, 그리고 수용자의 정신이 밝 다는 것을 의미한다. 샤먼과 부족사회의 사람은 여러 약호들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베리아 소속민족의 정신문화 를 반영할 수 있는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종류와 형태 를 통해 각 소속민족의 복식기호세계를 해석하고자 한다. 바르트 기호학에 나타난 1차 의미작용, 2차 의 미작용과 신화를 바탕으로 명시적 의미와 암시적 의 미를 설명하고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자인 샤먼의 복 식기호와 시베리아 각 소속민족의 복식 기호세계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기호학적 분석 틀 선정이 중 요하다. 이를 위해 패션의 관련에서의 기호학적 분석 연구(Kim, 2018;Lee & Jeon, 2018;Lee & Lee, 2020;Lee & Yim, 2015;Oh, 2016;Park, 2018;Park & Lee, 2017;Yim, 2014)를 고찰하고, 시베리아 샤먼복식을 바르트가 분석한 사진, 영화, 광고 등과 같이 텍스트 가 포함된 하나의 이미지로 간주해 분석 틀을 결정하 였다. 본 연구는 바르트의 기호학이론을 기반으로 시 베리아 샤먼복식을 이해하기 위한 틀을 만들었다. 먼 저, 1차 의미작용의 분석 틀은 샤먼복식을 감상함으로 써 알 수 있는 조형적 특징으로 수용자가 샤먼복식의 지식에 관계없이 알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정보를 정하였고, 그 외의 시베리아 각 소속민족의 자연적 환 경과 문화적 배경의 추가적인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자료를 2차 의미작용의 분석틀로 분류하여 이를 기초 로 샤먼복식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특히 객관 적인 1차 의미작용에는 샤먼복식의 원료(아이템)가 기표로 설명하여 전체 완성된 스타일링을 기의로 제 시하였다. 주관적인 2차 의미작용은 복식의 형태, 소 재, 장신구, 모자 등에 나타난 상징적 특징을 설명하 여 이에 숨겨 있는 의식을 암시적 의미로 제시하였다 (Table 3).

    Ⅴ. Interpretation of Siberian Shaman Costume through Roland Barthes Semiotics Approach

    본 절에서 하버의 세 가지로 분류된 시베리아 샤먼 복식을 대상으로 각 유형에 따른 시베리아 샤먼복식 의 조형적 특징과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바르트 기호학에 접근을 통한 샤먼복식의 연구모 형에 따른 가장 전형적인 새 형, 사슴 형, 곰 형 샤먼 복식(Eliade, 1951/2003)의 조형적 특징과 상징적 의 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1. Interpretation of bird-type shaman costume

    새와 다른 조력자들은 소리와 분노로 가득 찬 강렬 한 참여와 동시에 무섭고 매혹적이며 상징적 코드의 샤먼의례를 통해 개인 또는 부족의 사회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소환되었다. 그러나 동물이나 조류정신 보 조자의 소리는 그다지 효과적으로 모방되지 않았다. 이에 따른 야쿠트, 에번스(Evens), 에번키(Evenki), 유 카기르(Yukaghir) 인이 복식을 가득 채운 철제 장식품 은 깃털, 새의 뼈, 그리고 각종 조수의 정신이 깃든 완 전한 새모양을 상징한다(Balzer, 1996). 샤먼들은 복식 자체의 구조를 되도록 새모양과 비슷하게 꾸미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알타이어족의 샤먼들은 샤먼복식을 되도록 올빼미, 독수리와 비슷하게 꾸민 다(Holmberg, 1938). 샤먼은 반드시 목적과 배경을 보 고 결정해야 한다. 정신을 환자의 침대 곁으로 가져가 는 것 외에, 때때로 샤먼은 반드시 우주의 천상세계 혹은 지하세계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완전한 샤먼 복식은 새의 피부를 의미하며, 샤먼복식은 샤먼의 도 움으로 한 마리 새가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조류정신 의 도움으로, 샤먼은 곤란한 다층우주공간에서 기어 올라서 잃어버린 영혼을 잡거나 질병의 영을 찾을 때 독수리의 가시적 시력과 지구력을 이용하는 샤머니즘 의 특성을 이용한다. 연구결과는 <Table 4>와 같다.

    Buryat 샤먼복식은 염소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깃 과 밑단을 따라 데님 조개가 장식되어 있다. 어깨, 등, 소매에 뱀을 상징하는 프린지 외에 펜던트, 동물 이미 지, 벨을 구비하였다. 또, 어깨에는 까마귀 날개가 붙 어 있었다. 붉은 천으로 만든 머리 장식은 깃털이 장 식되었다. Buryat 샤먼복식 모자 뒷면에는 소꼬리 콩 껍데기가 수놓아진 붉은 천 조각이 걸려 있다. 신발은 검은 천으로 만든 부츠로 데님 조개껍데기를 수직으로 장식한다. 부랴트 샤먼복식의 많은 부분(프린지, 날개, 머리 장식)새의 깃털을 상징하며, 주요 정신인 샤먼의 수호신를 상징한다(Tyurgen, 2018). Khakas 샤먼복식 헤드드레스의 사용된 재료가 직물, 독수리 깃털, 조개 껍질로 장식된 새 발톱, 금속장신구, 조개껍질, 깃털과 조개껍질로 장식된 모자는 원추형으로 빨간색 천으로 수놓은 것이다. 뒷면 칼라의 하단에 3개의 구리 벨과 독수리 날개가 붙어 있다. 또한 모자와 망토의 가장자 리에 달여 있는 리본도 나타났다(Kevser, 2018). Tofalar 샤먼복식의 앞면 가슴갑옷은 아플리케와 자수 로 장식돼 있어 새의 뼈계통을 상징하며, 직물과 순록 깃털을 사용한다. 러시아 학자인 Prokofeva는 모두 새 의 뼈를 묘사한 것이라고 밝혔다. 날개는 팔뚝에, 척 추, 갈비뼈, 골반과 어깨 블레이드 뼈는 뒷면에 그려 져 있다. 또한 여러 줄이 묶여 있는 것은 새의 깃털을 상징하였다(Chang, 2018;Kevser, 2018).

    2. Interpretation of deer-type shaman costume

    초기에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주로 나타난 이미지 는 새의 이미지였다. 부족의 발전에 따라, 광대한 시 베리아 명토에서는 지리적 환경이 큰 차이를 나타난 다. 샤머니즘의 발전과 기능의 분리를 다르게 가져와 동물의 형상을 발생시키는 원소가 중요한 의미에 중 첩되기 시작하다. 이런 상황에서 새의 깃털을 본뜬 것 처럼 그 위에 사슴뿔 모양이 나타나 사슴이 지목됐다. 시베리아 인들은 사슴이 천상세계와 관련을 인식하였 다(Diószegi & Hoppál, 1978). 사슴뿔은 우주와의 연 계를 상징하며, 촉각처럼 머리 위에서 우주로 뻗는다. 우주나무처럼 사슴뿔의 가지가 천상세계로 뻗어나가 천상세계의 신령이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Daan, 2009). 사슴은 샤먼의 조수라고 부르는데, 다른 의인화된 동물들의 모습의 이미지도 제시하였 다. 사슴가죽으로 만든 샤먼복식은 순록의 힘이 입었 던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다. 머리장식은 종종 사슴뿔 이 달린 금속모자로 구성되며, 사슴뿔 또한 복식에 걸 려 있는 물체의 디자인에 크게 반영된다(Diószegi & Reguly, 1968). 복식에는 사슴의 털이나 가죽이 붙어 있었는데, 이는 사슴의 몸통과 샤먼들이 그것을 날 수 있는 능력을 되찾는다는 사실을 가리킨다(Jacobson, 1993).

    Evenki 샤먼복식은 사슴가죽으로 만든 에번키 인 의 샤먼복식이다. 샤먼을 보호하기 위해 외투에는 금 속으로 만든 구슬과 방울이 부착되어 있고, 그 위에는 토리(청동거울)가 많이 걸려 있다. 복식의 앞부분에 청동거울을 단 3층은 3층 우주관을 나타낸다. 또한 샤먼크라운에는 세 번째 눈을 상징하는 토리, 리본, 방울과 순록의 정신을 상징하는 쇠 사슴뿔을 걸려 있 다. 외투의 밖에 진주로 장식된 ‘딜캅툰(Dilkaptun)’이 라는 칼라 망토가 덮여 있다. 이 망토는 적의 영혼으 로부터 등을 보호하는 동시에, 샤먼이 새로 변신될 때 날개를 의미한다(Mantrik, 2015). VCAM에 소장된 Evenki 샤먼복식은 코트, 앞치마, 부츠, 가면, 모자, 액 세서리를 표현한다. 대략의 금속장신구가 복식의 몸 체에 고정되어 있고, 팔과 어깨에는 사슴뿔 모양의 철 장식이 한 줄씩 놓여 있다. VCAM에 소장된 샤먼복식 에 들어가는 물량이 많다는 것은 각종 의전에 필요한 물품이 복식하나에 달려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식 의 뒷면과 소매의 구역을 마법의 요소로 장식한 이 요 소들은 샤먼의 부름력을 제공하며, 그의 탈속함을 알 렸다. Yakut 샤먼복식의 앞치마에 나타난 십자무늬는 명백히 인간의 갈비뼈를 상징한다. 또한 청동 펜던트 인 곰은 샤먼의 조수다. 백조는 천상세계를 구현한 것 으로 샤먼의 영혼을 돕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복식 뒷면에는 가죽으로 줄을 땋아 사슴뿔 모양으로 마무 리하였다. 방울도 붙어 있고 샤먼 영혼의 탄생과 성장 을 상징할 수 있는 우주나무를 상징한다. 복식뒷면에 는 100여 개의 원뿔형 펜던트가 장식돼 있다. 복식소 매에 달려 있는 철판은 사람의 뼈를 상징한다. 연구결 과는 <Table 5>와 같다.

    3. Interpretation of bear-type shaman costume

    샤먼의 힘은 수호신의 힘에 달려 있다. 가장 강력한 샤먼은 대형 동물로서 거대한 황소, 말, 독수리, 무스 또는 곰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곰은 낮과 밤에 활발하 기 때문에 인류 선조들에게 이것은 태양과의 관계가 있다(Znamenski & Diószegi, 2003). 즉, 힘과의 관계 를 상징하였다. Anuchin(1914)의 연구에 의한 곰 발바 닥의 상징적 의미는 다른 세상으로 가는 고난을 극복 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곰의 뼈가 필요하다 는 것이라고 기록하였다. 또한 지하세계와 관련된 곰 은 발바닥을 통해 샤먼에도 지하세계로 보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알타이 인에는 곰에 대한 애착은 곰을 순수의 상징으로 보는 일반적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Diakonova & Putilov, 1981). 연구결과는 <Table 6> 과 같다.

    Nanai 샤먼복식은 곰의 머리로 가죽을 씌우고 곰으 로 가장하였다. 또한 허리띠를 매고 가슴에 정신의 상 징한 토리인 3층 청동거울이 달려 있다. 이것은 에번 키 인에게 빌려와서 3층 청동거울은 3층 우주관을 의 미하였다. 즉, 우주는 천상세계, 지구세계, 지하세계로 구조되었다. 머리장식에 제 3번째 눈을 상징한 청동거 울이 붙인다. Nanai 샤먼복식에 보여준 샤먼복식의 뒷 면은 태양을 상징한 청동거울을 달려 있다. Evenki 곰 형 샤먼복식은 곰 가죽으로 만들었다. 복식의 소매 밑 부분에 두 개의 구부러진 끈이 있고, 소매에는 또 두 개의 끈이 달려 있고, 각각 두 개의 직사각형을 꿰맸 다. Evenki 곰 형 샤먼복식에 뼈는 판 형태로 만들어 졌다. 샤머니즘의 조수 영혼을 나타내는 펜던트는 동 물을 의인화한 인물로 대표된다. 청둥오리는 오른쪽 아래에 있다. 백조의 위치는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어 져 있다. 아래에는 백조 한 마리가 있고 팔 아래 왼쪽 소매 끈에 양구가 있으며, 가죽만 있는 곰의 머리도 걸려 있다(Mazin, 1984).

    Ⅵ. Conclusion

    모든 사람들은 그들이 사는 시간과 문화와는 관계 없이 항상 특별한 장소에서 꾸미는 것을 선호한다. 특 수한 목적이 있는 복식은 어떤 방면이나 정서 혹은 자 신의 일부분에 중점을 둔다. 샤먼은 대부분 부족의 보 통적인 일원이지만, 의식을 거행할 때 그는 더 이상 보통 사람의 역할이 아니라, 샤먼처럼 연기해야 한다 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광대한 시베리아 지역의 특성으로 민족별 지리적 환경과 문화적 환경의 차이성이 매우 크다. 샤머니즘 역시 다른 신앙의 영향을 받으면서 샤먼복식의 다양 성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하버가 크게 3 가지로 분류한 새 형, 사슴 형, 곰 형의 시베리아 샤먼복식을 바탕으로, 바르트의 기호학을 통해 샤먼복식의 명시 적 의미, 암시적 의미, 사회 문화적 의미를 해석하였 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명시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시베리아 샤먼복식의 유형은 새 형, 사슴 형, 곰 형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인화된 형태는 샤먼이 자 연적인 인체의 범위를 초월한다. 시베리아 사람들은 사슴과 새처럼 날 수 있는 날개가 있다고 여겼으며, 이에 따라 깃털, 날개와 프린지 등을 이용해 장식한 새 형와 사슴 형의 샤먼복식은 천상세계와 관련되어 있다. 반면에, 곰은 낮과 밤에 상관없이 활동하기 때 문에 태양과 관련되어 있으며 힘을 상징한다. 이를 통 해 시베리아 곰 형의 샤먼복식은 악령을 원래 존재하 고 있던 지하세계로 보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머리장식을 살펴보면 명상의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안대(眼帶)와 두건(頭巾)을 많이 사용하는데, 눈을 감 으면 보이지 않는 세상은 많은 에너지를 방출해 다른 감각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시베리아에서 샤먼의 프 린지, 리본과 크라운(관)으로 만든 머리장식이나 안대 는 복식의 중요한 부분으로 샤먼의 여행길이 올바른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돕는다. 이것이 시베리아의 일 부분 지역에서는 복식요소 중 유일하게 여전히 사용 되고 있는 부분이다. 샤먼복식은 의례 시 샤먼을 보호 한다. 시베리안 샤먼의 영혼이 신체를 벗어나 정신세 계로 들어가면서 그의 몸은 약한 상태로 빠져들었다. 따라서 샤먼복식에는 항상 철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특수한 형태의 장식으로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사악한 영혼으로부터 샤먼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샤먼복식에 장식된 동물 펜 던트, 뱀을 상징한 천으로 만든 포승, 청동거울 등은 샤먼의 조수로 인정되었다. 샤먼복식의 하반신에 나 타난 사슬과 포승은 아무 기능도 하지 않았고, 흔들거 리는 사슬은 치료식 도중 질병을 일으키는 정신을 분 산시켰고, 샤먼은 이것을 이용해 지하세계로 샤먼의 몸이 기어갔다.

    샤먼복식의 암시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샤먼복식 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권력의 상징으로서의 기능이 었을 것이다. 복식의 형태, 모자, 장신구 등은 복식에 꿰매거나 부착되어 있으며, 어떤 것은 단지 상징에 불 과하지만, 다른 것들은 실제의 동력 물체들이다. 영혼 들은 이러한 물건들을 통해 샤먼에게 권력을 부여하 였고, 그 복식을 입은 샤먼이 의식 동안 이러한 영혼 으로부터 직접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샤먼의 또 다른 기능은 변장이었다. 때로는 의식 중에 샤먼을 불러 부정적이거나 파괴적인 영혼들을 다루게 하곤 했고, 환자를 치유하는 것은 그것을 일으킨 영혼 에 의해 신체적·정신적 타격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 다. 강력한 복식을 입음으로써 샤먼은 영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었고, 의식 이후 샤먼이 복식을 벗음으로써 영혼이 샤먼의 신분을 알아볼 수 없게 하 는 기능을 하였다. 또한, 샤먼복식은 명상하는 동안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무아지경(無我之 境) 상태 동안 항상 같은 복식을 입었고, 야쿠트 인의 복식은 30 파운드나 되는 철로 된 무게와 그것의 종소 리와 옷걸이의 특별한 소리에 의해 만들어진 분위기 로 그 상태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가 되 었다.

    샤먼복식의 사회 문화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샤먼 은 복식을 통해 “나는 남자가 아니다, 나는 여자가 아 니다, 나는 인간이다”라는 메시지를 전하였다. 시베리 아 샤먼복식은 모든 사람이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성 별과 나이, 지위가 본질적으로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표현하였다. 샤먼이 되려면 사람은 모든 인간 경험의 총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은 남자와 여자 둘 다 되어야 하였다. 트랜스젠더 샤먼들은 매우 강하고 특 별한 힘을 가지고 있으며, 독특하고 중요한 책임을 지 고 있다고 여겨졌지만, 그들의 샤먼복식은 정상적 샤 먼복식과 마찬가지로 앤드로지너스(androgynous) 룩 을 보인다. 또한 시베리아 사람들은 사슴이 새와 같이 날개가 있고, 천상세계로 날아가 소통할 수 있다고 믿 으며, 선신을 통해 풍년을 기원하고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반면, 곰의 힘으로는 샤먼을 지하세계로 데려와 악신을 물리치고 고통을 없앨 수 있다고 믿는다. 이를 통해 샤머니즘에서의 자연숭배는 일정한 윤리적 기반 과 도덕적 논리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다른 한 편, 샤먼복식은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샤먼복식 은 모두 우주의 법칙에 대한 부족의 지식을 상징하였 다. 의식에서 분명하게 표현된 부족의 신념 체계를 보 는 것은 안전과 신뢰감을 제공했으며, 샤먼복식은 사 람들의 우주관을 반영하는 거울 역할을 하였다.

    샤먼복식의 외재적인 표현을 통해 기호학이론의 틀을 기반으로 그 시대의 외부적인 환경과 내부적인 사회 문화적 의미를 깊이 이해한다는 점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 틀을 사용하면 현대 패션에서 디자이너가 급격한 사회 문화적 변화 속에서 다양한 패션을 통해 인간의 내재 된 이데올로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한다.

    샤먼복식에 관한 국내의 연구는 대부분 한반도 샤 먼복식에 집중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는 아시아, 아메 리카, 유럽의 지리적인 고리가 된 시베리아 지역의 샤 먼복식을 연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 구에서는 바르트의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시베리아 샤먼복식을 대상으로 복식을 해석한 틀을 도출하였 고, 이에 따른 시베리아 샤먼복식에 나타난 명시적 의 미, 암시적 의미와 사회 문화적 의미를 설명함으로써 패션 분석에 유의미한 연구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Figure

    RJCC-28-6-858_F1.gif

    Cover of Paris Match commented on by Barthes in Mythologies Reprinted from Mono. (2018). www.brunch.co.kr.

    Table

    Types of shaman costume

    Roland Barthes’s semiotics

    A study model of shaman costume approaching Roland Barthes semiotics

    Interpretation of bird-type shaman costume

    Interpretation of deer-type shaman costume

    Interpretation of bear-type shaman costume

    Reference

    1. Alekseev, N. A. (1984). Helping spirits of the Siberian Turks. In M. Hoppal (Ed.), Shamanism in Eurasia (pp. 268-279). Göttingen: Herodot.
    2. Anuchin, V. I. (1914). Очерк шаманства у енисейских остяков [Essay on shamanism among the Yenisei Ostyaks]. Retrieved September 4, 2020, from http://lib.kunstkamera.ru/rubrikator/08/08_03/mae_eas_vol_2-2
    3. Balzer, M. (1996). Flights of the sacred: Symbolism and theory in Siberian shamanism. American Anthropologist, 98(2), 305-318.
    4. Barthes, R. (1995). Mythologies (H. Jeong, Trans.). Seoul: History of Contemporary Aesthetics. (Original work published 1957)
    5. Basilov, V. N. (1990). Chosen by the spirits. In M. M. Balzer (Ed.), Shamanism: Soviet studies of traditional religion in Siberia and Central Asia (pp. 3-48). New York: M. E. Sharpe.
    6. Bryson, N. (1995). Vision and painting: The logic of the gaze (H. Y. Kim, Trans.). Seoul: Visual and Language. (Original work published in 1983)
    7. Chang, Y. S. (2018). The hairstyle and beard of Scythians -Focused on the Scythians of the northern region of the Black Se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6(4), 563-582.
    8. Chernyavskaya, O. (2004). Shaman costumes. Irkutsk: Irkutsk Regional Museum of Local Lore.
    9. Crushevil. (2013, May 22). Nanai shaman costume. Retrieved October 14, 2020, from https://mishymashy.tumblr.com/post/51097766564
    10. Daan, V. K. (2009, October 30). Shaman costumes. Retrieved October 28, 2020, from https://www.oocities.org/rainforest/vines/8366/shaman_costume.html
    11. Diakonova, V. P. (1981). Items for the healing function of the shamans of Tuva and Altai. In B. N. Putilov (Ed.), Material culture and mytholony Reports of the Museum of Archeology and Ethnography (pp. 138-153). Leningrad: Nauka.
    12. Diószegi, V. , & Hoppál, M. (Eds.) (1978). Shamanism in Siberia (Vol. 1). Alexandria: Library of Alexandria.
    13. Diószegi, V. , & Reguly, A. (1968). Popular beliefs and folklore tradition in Siberia (Vol. 57). Bloomington: Walter De Gruyter Inc.
    14. Eliade, M. (2003). Shamanism: Archaic techniques of ecstasy (K. Y. Lee, Tran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in 1951)
    15. Google Art & Culture. (n.d). Evenk shaman ritual costume. Retrieved October 20, 2020, from https: //artsandculture.google.com/asset/evenk-shaman-ritual-costume/5wF1kyvBClnfBw
    16. Han, J. M. , & Kang, H. S. (2014). Analysis on the myth of milk package design using Roland Barthes’s semiotic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44), 91-100.
    17. Han, S. J. (2012). A study on the shaman’s costum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0(2), 1-11.
    18. Holmberg, H. U. (1922). The shaman costume and its significance. Retrieved October 2, 2020, from https://archive.org/details/TheShamanCostumeAndItsSignificance
    19. Holmberg, H. U. (1938). Die religiösen Vorstellungen der altaischen Völker [The religious ideas of the Altai peoples]. German: FF Communications.
    20. Hoppál, M. (2013). Shamans and symbols: Prehistory of semiotics in rock art. Budapest: International Society for Shamanistic Research.
    21. Hoppál, M. , & Skirecki, H. (1994). Schamanen und schamanismus [Shamans and shamanism]. Frankfurt: Augsburg Pattloch.
    22. Hultkrantz, Å. (1973). A definition of shamanism. Temenos-Nordic Journal of Comparative Religion, 9, 25-37.
    23. Jacobson, E. (1993). The deer goddess of ancient Siberia. New York: Brill.
    24. Kevser, G. (2018). Kutsal şaman elbiseleri [Holy shaman clothes]. Turkey: Ötüken Nesriyat.
    25. Khakasia Museum. (n.d.). Избранники духов [Chosen spirits]. Retrieved October 19, 2020, from https://hnkm.ru/khakasia/traditsionnaya-kultura/shamanizm
    26. Kim, H. E. (2018).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logan fashion utilising Roland Barthes’ semiotics -Focused on slogan fashion in 2017 S/S, F/W Collections-.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18(1), 19-36.
    27. Kim, M. Y. , Jo, U. H. , & Kim, G. S. (2003). A study on Mongol shaman costume. Mongolian Studies, 15, 205-230.
    28. Lee, C. H. , & Lee, J. H. (2020). The beauty of imperfection -A study of Junk art in Viktor & Rolf’s haute couture using Greimas’ semiotic square, from Spring 2015 to Spring 2020-.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20(3), 147- 166.
    29. Lee, J. Y. (1997). A study on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shaman`s costume (Ⅰ) –Centering around 「Jae-Soo Kut」 in the cent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2(1997), 213-224.
    30. Lee, J. Y. (2005). A study of comparing shamans costumes of the central region of Korea with those of Siberia and central asia.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7(4), 387-393.
    31. Lee, M. J. , & Jeon, H. Y. (2018). A study of prestige fashion brands’ visual identities on visual semiotic analysis of cosmetic products’ packaging –Focused on Yves Saint Laurent and Giorgio Armani-.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4, 64-75.
    32. Lee, Y. , & Yim, E. (2015). Representation of women in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of fashion photography structuralized by male gaz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6), 1038- 1050.
    33. Lommel, A. (1967). The world of the early hunters. London: Evelyn, Adams & Mackay.
    34. Magidovich, V. I. (1999). Арктика - мой дом [The Arctic is my home]. Moscow: Northern expanses.
    35. Mantrik. (2015, June 2). A female shaman’s coat, with garuda connections. Nicholas Breeze Wood. Retrieved October 15, 2020, from https://khyung.com/2015/06/02/a-female-shamans-coat-with-garuda-connections/
    36. Mazin, A. I. (1984). Традиционные верования и обр яды эвенков-орочонов: Конец XIX-начало XX в [Traditional beliefs and rituals of the orochon Evenks: Late 19th early 20th centuries]. Novosibirsk: Nauka.
    37. Mono. (2018). 번외 ‘롤랑 바르트’는 누구인가 –신화 론- [Who is the extra ‘Roland Barthes -Mythology]. Brunch. Retrieved October 27, 2020, from https://brunch.co.kr/@jmswsb123/83
    38. National Folk Museum. (2006). Altai shamanism. Seoul: Hakyoun culture.
    39. Oh, J. G. (2016). Visual identities and semiotic bricolage -Focus on fashion looks of Gabrielle chanel-. Semiotic Inquiry, 48, 85-102.
    40. Park, C. J. (2012). 이것은애플이아니다 [This is not apple]. Seoul: Guiparang.
    41. Park, G. J. (1995). A study on siberian shamanism and the shaman’s costu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2. Park, H. W. (2018). Women’s fashion and signs of the modern city expressed on paintings by the impressionist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2(4), 76-92.
    43. Park, H. Y. , & Lee, J. H. (2017). A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in contemporary fashion subculture using the greimas semiotic squ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8), 80-99.
    44. Park, J. J. (2013). 마이클잭슨에서데리다까지 [From Michael Jackson to Derrida]. Seoul: Guiparang.
    45. Park, S. H. (2015). Northeast Asia’s archeological materials and shaman’s drum -Based on rock art sites of Western inner Mongolia-. Studies In Korean Music, 57, 55-72.
    46. Polič, N. Z. (2019). Šamanizem ljudstev Sibirije [Shamanism of the peoples of Siberia]. Ljubljana: Slovene Ethnographic Museum.
    47. Potapov, L. P. (1991). Алтайский шаманизм [Altai shamanism]. Leningrad: The Science Leningrad Separation.
    48. Prokofeva, E. D. (1971). Shamanskie kostiumy narodov Sibiri [Shaman costumes of the peoples of Siberia]. Leningrad: Nauka, Leningradskoe Otdelenie.
    49. Toussaint, B. (1989). luest-ce gue la semiologie? (H. R. Yoon, Trans.). Seoul: Chungha. (Original work published in 1978)
    50. Tyurgen, K. (2018, December 2). Костюм бурятског о шамана [Buryat shaman costume]. Retrieved July 19, 2020, from https://vk.com/@tyrgenkamkostum-buryatskogo-shamana
    51. Valery, V. (n.d). ВЕРОВАНИЯ ЯКУТОВ [Beliefs of the Yakuts]. Retrieved June 29, 2020, from https://www.yakutskhistory.net/верования-якутов/
    52. VCAM. (n.d). Shaman’s costume. Retrieved October 7, 2020, from http://masterpieces.asemus.museum/masterpiece/detail.nhn?objectId=11628
    53. Wang, S. H. (2009). 戏剧人类学 [Dramatic anthropology]. Beijing: Beijing Book.
    54. Yang, J. S. (2011). 하늘과땅을잇는사람들, 샤먼 -샤머니즘의본질과내세관그리고샤먼유산들- [Shaman, people who connect heaven and earth -The essence of shamanism, inner customs and shaman heritages-]. Seoul: National Folk Museum.
    55. Yang, M. K. , & Kim, J. G. (1993). A study on the clothes of shamanistic ritual (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20), 83-91.
    56. Yim, E. H. (2014). Externalization of corset in contemporary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1), 1-15.
    57. You, H. S. (1997). A study on the Korean shaman’s costume -Focusing on shaman`s costume in Seoul G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2, 101-116.
    58. Znamenski, A. A. (2003). Recording shamanism in old Russia. In V. Diószegi, & M. Hoppál (Eds.), Shamanism in Siberia (pp. 43-130). Dordrecht: Springer.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