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4 pp.463-479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4.463

Types and features of Hanbok worn in the Korean parade in New York

Eunjin Lee, Jaehwi Han*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Doctoral Course,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water51@naver.com)
July 14, 2020 August 19, 2020 August 23, 2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anbok worn in lunar new year parade and Korean parade in New York over the past three yea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I first collected domestic news articles, overseas Korean news articles, and literature reviews about the history of the Korean parade in New York and the events of each year. Second, I conducted a case study on Hanbok worn in the six parades from 2017 to 2019 using photo data collected through direct surveys, ‘YouTube’ video footage and news article photos. Third, I interviewed people related to the New York parade about the route of buying and renting the Hanbok in the New York area. The types of Hanbok shown in the Korean parade in New York can be largely classified as ceremonial, performance, and daily costume. There were 65 ceremonial costumes in all, with men wearing Dallyeong (official’s robe) and Gorlyongpo (dragon robe) and women wearing Dangui (woman’s semi-formal jacket), Wonsam (woman’s ceremonial robe), and Hwarot (princess’s ceremonial robe). A number of performance costumes were also worn by the Chwitasu bands, Nongak ensembles and fan dancers. Finally, of the 210 daily Hanbok, most men wore Baji (pants) and Jeogori (jacket), and women wore Chima (skirts) and Jeogori. The parade attempts to showcase the beauty of Hanbok, but the costumes repeat year after year, which can feel monotonous to onlookers.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effectively utilize Hanbok in future Korean cultural events.



뉴욕 지역 한인 퍼레이드에 나타난 한복의 유형과 특징

이 은 진, 한 재 휘*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초록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 Introduction

    최근 코로나19(Covid-19) 사태와 맞물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 킹덤 (Kingdom)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흑립을 필두 로 한국 전통 관모와 한복에 관심을 가지는 외국인들 이 급증하고 있다. 또 방탄소년단(BTS)이나 블랙핑크 (Blackpink) 등 인기 가수들이 뮤직비디오에서 한복을 모티브로 한 의상을 착용하여 향후 한국 전통 복식에 대한 세계의 관심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해외에서 한복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과 인지도에는 여전히 아쉬운 점이 많은 실정이다. 이탈 리아 명품 브랜드 ‘불가리(Bvlgari)’는 2019년 ‘불가리 의 특별한 스토리와 꿈(Bvlgari, the story, the dream)’ 이라는 전시에서 한복을 기모노라고 표기한 바 있다 (Lee, 2019). 또 전 세계를 대상으로 국가별 전통 의 상, 파티복, 댄스복 등을 판매하고 있는 미국 의류 쇼 핑몰 ‘홀세일 댄스 드레스(Wholesale-dance-dress)’ 에서는 우리 한복을 “일본 기모노 전통 한복 유카타 (Japanese Kimono traditional Hanbok dress Yukata)” 라고 소개하여(Moon, 2019), 한복과 기모노를 혼동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뉴욕(New York)은 미국 최 대의 도시로, 문화의 중심지이자 ‘세계 인종의 전시 장’이라고 할 만큼 다양한 인종과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그 중에서도 뉴욕 퀸즈(Queens)의 플러싱 (Flushing)과 맨해튼(Manhattan) 32번가 지역은 미국 동부의 한인들이 밀집해 있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이 두 지역에서는 매년 설과 추석, 세계 한인의 날을 맞 아 ‘음력설 퍼레이드(lunar new year parade)’와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New York Korean parade)’등의 행 사를 성대하게 열어 뉴욕 한인들의 정치적인 역량과 한국 문화의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는 미동부 최대 규모의 한 인 축제로, 수많은 외국인들이 한복과 한국 문화를 직 접적으로 접하는 창구이다. 케이팝(K-pop)과 케이드 라마(K-drama) 등의 한류의 영향력과 인기로 한국 문 화에 대한 다른 민족의 관심이 더욱 높아진 상황에서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는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효과적인 장이 될 수 있다.

    플러싱은 뉴욕 한인 커뮤니티의 중심지로, 한국 문 화와 관련된 사회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 이다(Yim et al., 2012). Yim(2013)에 의하면 플러싱 에서 개최되는 ‘설 퍼레이드’와 청과상협회의 주최로 개최되는 ‘추석맞이 민속잔치’는 뉴욕과 뉴저지(New Jersey)의 교포들이 대거 참여하는 문화행사이다.

    이러한 미국 동부 한인들의 축제에서는 수많은 한 인들이 한복을 갖춰 입고 행사에 참여한다. 특히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두 퍼레이드에는 다양한 유형의 한복이 등장하여 세계인의 이목을 끌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3년간 플러싱의 ‘음력설 퍼 레이드’와 맨해튼의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에서 착용 된 한복의 유형과 특징,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수정, 보완할 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한복 과 한국이 주목받고 있는 시점에서, 지금까지 연구되 지 않은 세계의 다양한 인종과 민족에게 보여지는 뉴 욕의 한인 퍼레이드를 통하여 외국인들이 직접 접하 는 해외의 한복의 활용의 예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 악하고, 개선방안 등을 제안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향 후 해외의 여러 한국 문화행사에서 한복을 활용할 때 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해 외 다른 도시의 한복 착용 실태를 분석할 때 비교자료 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퍼레이드의 등장인물들이 입은 의복과 관모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유튜브(YouTube) 동 영상에 촬영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해외인 뉴욕에서 진행된 행사이며, 퍼레이드라는 행 사의 성격상 거리적․시간적 한계로 인하여 한복의 소재, 세부적인 착장방법, 한복의 개인 소유 여부 확 인 등에는 한계가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Ⅱ. Background

    1. Lunar new year parade

    플러싱의 음력설 퍼레이드는 매년 음력 1월 1일에 플러싱 다운타운(downtown)에서 뉴욕 퀸즈 한인회와 플러싱 중국상인 번영회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행사이 다. 매년 <Fig. 1>처럼 연도와 ‘LUNAR NEW YEAR’ 라는 문구가 적힌 플랜카드를 들고(Cho, 2017a), 유니 온 스트리트(Union street)와 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 구간을 따라 진행된다(Noh, 2015). 이 퍼레이 드는 한국과 중국이 매년 번갈아 선두에 서서 행진을 이끈다. 한국과 중국 양측은 행사가 시작되기 몇 달 전 부터 상호 협력을 다짐하며, 퍼레이드의 순서와 코스, 그랜드 마셜(grand marshal) 초청 등을 의논한다(The Korea Times, 2010).

    1980년에 플러싱에 한인상인번영회가 결성되었는 데, 1980년대 이후 플러싱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 이 크게 증가하면서 1982년에 중국계 상인번영회가 결 성되었다(Min, 2020). 이때 뉴욕에서 설날은 중국 설날 (Chinese new year)로 알려져 있었으며, 한국은 ‘lunar new year’s day parade’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중국은 ‘Chinese new year’s day parade’로 각각 사용하는 명 칭이 달랐다(The Korea Times, 2010). 한인 교사들과 학부모들은 미국인들에게 만연한 중국 설날이라는 인 식을 음력 설날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였다(Noh, 2013). 1990년 처음으로 한국과 중국이 함께 퍼레이드를 진 행하였으나, 명칭은 통일되지 않았다(Min, 2020). 1997 년 플러싱 한인회의 제안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설날 축제 명칭이 ‘Lunar new year’로 통일되었고 현재까 지 이어져오고 있다(Yim et al., 2015). 1990년대까지 중국 커뮤니티와 한인의 축제규모는 대등한 수준이었 으나, 2000년대부터 플러싱에 중국인들이 대거 유입되 면서 한인의 입지가 줄어들었다(Noh, 2014a). 한인사 회는 퍼레이드에서 수적으로 우세한 중국 행렬에 뒤처 지지 않도록 화려한 꽃차와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 는 등의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오고 있다(Noh, 2015).

    2014년에는 ‘꽃차 디자인 공모전’을 열어 공모전에 선정된 다양한 꽃차 작품들을 선보였고, 중국과의 차 별화를 도모하였다(Seo, 2014). 또한 ‘독도사랑 나라 사랑’ 등의 글씨와 초대형 독도 사진, 태극기 등을 부 착한 독도수호 꽃차를 선보이기도 했으며(Min, 2014), <Fig. 2>처럼 한국관광공사 대표 캐릭터인 ‘초롱이’와 ‘초순이’가 등장하여 관람객들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Noh, 2014b). 2016년에는 뉴욕 퀸즈 한인회와 한국 일보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퀸즈 한인회가 주관하여 60여 개의 한인 단체와 1,200여 명의 한인들이 퍼레 이드에 참가하였다. 2018년에는 28개의 한인 기업과 단체가 6대의 꽃차 후원에 참여했으며, 2019년에는 퀸즈 한인회의 행렬에 한인뿐만 아니라, 타민족 청소 년들도 한복을 입고 등장하였다(The Korea Times, 2019).

    2. New York Korean parade

    뉴욕에서 매해 진행되는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는 미 동부 한인사회 최대의 축제이자, 미동부 최초의 한 인 가두 행렬이다(The Korea Times, 2018). 뉴욕 코리 안 퍼레이드는 1979년 추석을 맞이해 맨해튼 브로드 웨이 32가 광장에서 펼쳐졌던 농악 퍼레이드를 기점 으로 시작되었다(Chung, 2013). 1980년에는 뉴욕한인 회가 주최하고 뉴욕한국일보가 주관하는 ‘제1회 코리 안 퍼레이드’가 맨해튼 한복판에서 열려 한인 사회의 위상을 처음으로 미국 주류사회에 당당히 알리는 계 기가 되었다(Lee & Choi, 2019). 당시에 무형문화재 22호 송파산대놀이 보존자 허호용의 지도를 받은 예 술인, 학생들의 탈춤놀이를 비롯한 부채춤, 농악 등으 로 브로드웨이를 화려하게 수놓았다.

    이때 꽃차를 미국에 처음 선보이면서 세계 최초의 천측관측소인 첨성대 등의 형상으로 한국의 문화 수 준을 알리고자 하였다(Cho, 2017b). 당시 뉴욕 주지사 휴 캐리(Hugh Carey)는 한국의 개천절인 10월 3일을 기준으로 매년 10월 첫째 주 토요일을 ‘뉴욕 한국의 날(the Korean day of the state of New York)’로 선포했 다. 이 때 미국 언론과 한국 언론들은 이러한 한인 최초 의 퍼레이드를 대서특필하였다(Cho, 2017b).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는 대형 태극기와 성조기를 앞세우고, 뉴욕 시장을 대표로 하여 한인 사회에 기여 한 정치인들을 그랜드 마셜로 초청하여 뉴욕 심장부 미드타운 브로드웨이 아메리카 애비뉴(avenue of the Americas) 38~27가를 행진한다(The Korea Times, 2018). 매년 꽃차, 초대형 거북선 모형, 취타대, 조선시대 전 통 어가, 탈춤, 농악 행진 등과 500여 개의 한인단체, 수만 명의 행렬이 이러한 브로드웨이를 누빈다(The Korea Times, 2013). 현재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는 한 국일보의 주관으로 뉴욕거리의 9-10월의 연례행사가 되었다(The Korea Times, 2018).

    2007년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에서는 <Fig. 3>과 같 이 한국 정부의 예산 지원과 국방부 협조로 처음으로 육군 군악대의 취타대(吹打隊) 행진에 맞춰 세종대왕 어가행렬을 펼쳤다. 어가행렬은 조선시대 기본 의례서 인 ‘국조오례의’와 조선 후기 정조대 ‘반차도’를 바탕 으로 구성했다(Kong, 2009). 2008년 뉴욕 코리안 퍼레 이드에서는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뉴욕에 널리 알리 기 위해 거북선 모형을 특별 제작하였다(Lee, 2008). 퍼레이드에 이어 한국문화원에서 주최한 ‘한 스타일 (Han-style)’행사가 열려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전통의 맛과 멋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2019년 퍼레이드에서 는 <Fig. 4>와 같이 백제문화교류예술단 40여 명이 참 여하여 백제문화를 소재로 다양한 공연을 펼쳤다.

    Ⅲ. Methods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뉴욕의 음력설 퍼레이드와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에서 착용된 한복의 유형과 특 징을 파악하는 것으로, 논문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 다. 첫째,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뉴욕의 한인 퍼레이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 였다. 문헌 연구는 ‘동아일보’, ‘한겨레’, ‘연합뉴스’ 등의 국내 뉴스 기사들을 비롯하여 ‘미주한국일보’, ‘미주중앙일보’, ‘라디오코리아’, ‘재외동포신문’ 등의 해외 한인 뉴스 기사 등에서 뉴욕 한인 퍼레이드의 역 사와 연도별 행사 내용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외에 한인 커뮤니티의 홍보 자료, 해외의 한인문화와 코리아타운에 관한 선행연구, <코리아타운과 한국문 화>, <코리아타운과 축제> 등의 문헌을 바탕으로 뉴 욕의 한인 축제와 퍼레이드의 역사와 특징 등에 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둘째, 최근 3년간 즉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뉴욕 의 두 가지 한인 축제 퍼레이드에서 사람들이 착용한 한복의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대 상으로 설정한 연간 2회, 총 6번의 퍼레이드 중 2017 년 10월 맨해튼의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와 2018년 2월 플러싱의 ‘음력설 퍼레이드’는 현지를 직접 방문, 촬영하였다. 사례 조사는 2017년 뉴욕 코리안 퍼레이 드와 2018년 플러싱 음력설 퍼레이드에서 직접 촬영 한 사진과 동영상 공유 서비스 ‘유튜브(http://www.you tube.com)’의 연도별 퍼레이드 동영상 캡처 사진, 뉴 욕한인회, 뉴욕한국학교 등의 한인커뮤니티 및 뉴스 기사의 사진 등을 통해 퍼레이드 참가자의 한복 착용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다. 2020년 4월 15일을 기준으 로 유튜브에 업로드(upload)되어 있는 연도별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와 ‘음력설 퍼레이드’를 촬영한 동영 상에 등장하는 한복들을 모두 캡처하여 이미지를 분 석하였으며, 화질이 좋지 않아 정확한 착용의 확인이 어려운 경우는 제외하였다. 또한 퍼레이드의 특성상 중 앙에서 촬영되기 보다는 측면에서 촬영한 경우가 많 아, 해당 퍼레이드와 관련된 뉴스 기사의 사진, 커뮤니 티의 홍보용 사진 등도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셋째, 뉴욕의 한인 퍼레이드의 역사와 문화, 뉴욕 지역 퍼레이드 한복 착용 경로 등에 대해 미주한국일보, 미주중앙일보, 뉴욕한국문화원(Korean Culture Center New York), 뉴욕퀸즈한인회(Korean American Association of Queens New York), 뉴욕한인학부모협회(Korean American Parents Association of New York), 한복스 토리(Hanbok-story) 등의 관계자를 인터뷰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뉴욕 한인 퍼레이드에서 착용되고 있는 남녀 성인 한복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복식의 용도 에 따른 유형의 특징이 상이하므로, 각각 유형별로 나 누어 특징을 분석하였다. 뉴욕 한인 퍼레이드에서 나 타난 한복의 유형은 크게 의례복식, 공연복식, 일상복 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의례복식은 전통의례를 재현 하거나 상징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 착용하는 복식 이다. 연구대상 퍼레이드에는 한국 전통 혼례복식과 왕실복식이 나타났다. 연구대상 퍼레이드에 나타난 공연복식으로는 취타대의 행진이나 사물놀이패의 농 악 공연, 부채춤을 추는 무용가들의 복식 등이 있다. 따라서 공연복식은 취타대 복식, 농악 복식, 무용 복 식으로 세분하였다. 공연복식은 대부분 단체에 소속 된 사람들이 동일한 옷을 맞추어 입었고, 개인이 맡은 악기나 역할에 따라 복장이 달랐다. 퍼레이드에 나타 난 무용복식은 대부분 부채춤을 출 때 착용하는 복식 이었다. 그 외에 단체와 관련 없이 개인적으로 한복을 착용한 여성들이 부채를 장식으로 드는 경우가 일부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2인 이상의 인물이 같은 옷을 맞춰 입고 부채를 든 경우만을 무용 복식으로 분 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일상복식은 의례복식과 공연 복식을 제외한 치마․저고리, 바지․저고리의 일반적 인 한복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분석은 전신 모습이 모두 나타난 사진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분석대상은 총 312건으로, 최근 3년간 퍼레이드에서 착용한 복식을 수량화한 것은 <Table 1>과 같다. 복식의 유형에 따른 복식 종류와 관모 및 머리모양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여러 명이 단체 로 동일한 옷을 입은 공연복식의 경우 하나의 단체에 서 동일한 복식은 1건으로 수량화하였다.

    Ⅳ. Types and Features of Hanbok at the Korean Parade in New York

    1. Ceremonial attire

    1) Men’s ceremonial attire

    연구대상 퍼레이드에서는 남성의 의례복 착용은 총 15건이었다. 그 중 6건이 <Fig. 5>처럼 왕의 상복 (常服)에 해당하는 곤룡포에 익선관을 착용하였고, 9 건은 단령을 착용하였다. 단령을 착용한 9건 중 <Fig. 6>처럼 사모를 쓴 경우는 5건이나 사모에 양각이 있 는 경우는 단 2건이었고, 나머지 3건은 익선관, 1건은 상모를 단 전립을 착용하였다. 그런데, 연구대상 퍼레 이드에서 이들 남성과 짝을 이루는 여성이 <Fig. 6>과 <Fig. 7>처럼 대부분 전통 혼례복을 착용하였기 때문 에, 남성도 원칙적으로 전통 혼례복에 해당하는 사모 관대, 즉 사모를 쓰고 단령에 품대, 화를 착용해야 한 다. 그러나 실제 퍼레이드에서는 남성이 단령을 착용 한 사례 수와 곤룡포를 착용한 사례 수가 유사하게 나 타났다. 그밖에 왕의 곤룡포가 아닌 문무백관의 단령 에도 사모 대신 익선관을 쓴 사례가 많이 나타나며, 가 슴과 등에는 네모난 흉배를, 양 어깨에는 둥근 보를 혼 용하는 사례가 보여 이에 대한 수정․보완이 필요하다.

    한편, 퍼레이드에 사용된 곤룡포의 색상은 대한제 국 시기의 황제가 착용한 것으로 알려진 황색이 3건 으로 가장 많았고, 조선시대 왕의 일반적인 곤룡포 색 상인 붉은색은 1건, 외에도 흑색, 자주색도 각각 1건 이 나타났다. 곤룡포의 가장 보편적인 색상인 붉은색 의 빈도가 낮은 것은 여성의 혼례복이 주로 홍색으로 나타나, 여성과 남성이 대조되게 표현하기 위함일 것 으로 추정된다.

    2) Women’s ceremonial attire

    연구대상 퍼레이드에서는 여성의 의례복 착용은 총 50건이 나타났다. 그 중 당의는 34건, 활옷이 9건, 원삼은 7건이 나타났다. 조선시대 당의는 예복용 긴 저고리가 발전한 소례복이었으나, 현재는 저고리와 같이 일상용으로 입게 되었다. 따라서 활옷과 원삼에 비해 사례수가 많고, 퍼레이드에서는 당의와 스란치 마나 대란치마를 입고 족두리를 쓰거나 쪽머리를 하 였다. <Fig. 8>처럼 당의의 앞뒤에 보를 달고, 깃과 화 장, 끝동 등에는 금박 또는 은박으로 장식하고 스란치마 나 대란치마 또한 화려한 금박 장식을 통해 화려함을 강조한 유형이 많았다.

    활옷의 경우, 조선시대 유물에서는 붉은색만 존재하 였으나, 연구대상 퍼레이드에서는 <Fig. 6>, <Fig. 9>의 붉은색 활옷 외에도 <Fig. 7>처럼 녹색 등이 나타났다. 이는 조선시대 활옷 유물에 바탕을 둔 역사적 사실의 고증과 재현보다는 몸판의 화려한 색상과 자수를 통 해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원삼은 조선 후기 여성의 대표적인 예복으로 왕비 는 홍원삼, 비빈은 자적원삼, 공주와 옹주는 녹원삼 등 신분에 따라 다른 색상을 착용하였고, 대한제국의 황후는 황원삼을 입는 등, 시기에 따라서 다른 색상을 착용하였다. 연구대상 퍼레이드에는 <Fig. 7>의 왼쪽 과 중앙의 두 여성처럼 녹원삼, <Fig. 10>처럼 홍원삼 이 나타났다. 원삼 차림에는 관모는 족두리를 쓰거나 어여머리와 같은 가체를 하였으며, 머리장식 없이 평 소의 머리모양 그대로인 사례도 나타났다.

    혼례복은 우리 전통의례 중 가장 중요한 용도의 복 식 중 하나로, 혼례복을 착용한 인물은 퍼레이드 도입 부에서 화려하고 강렬한 색감으로 퍼레이드를 바라보 는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몰입하게 만드는 역 할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퍼레이드의 시작이나 각 단 체에서 선두로 행진하는 인물이 착용한 사례가 많았 다.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에서는 대표로 태극기와 성 조기를 들고 행진하는 여성들 대부분이 혼례복을 착 용하였고, 음력설 퍼레이드는 단체를 대표해서 행진 을 이끄는 역할의 인물들이 혼례복을 착용하였다.

    2. Performance costume

    1) Chwitasu costume

    취타수는 군중에서 타악기와 관악기를 연주하던 군 사로(Song, 1995), <Fig. 11>은 2017 뉴욕 코리안 퍼레 이드에 나타난 취타대이다.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에 서는 매년 20~30인의 남부뉴저지통합한국학교 학생 들이 황색 바지 또는 황색 행전을 하고 황색 포에 황 색 전복을 덧입은 후 허리에는 푸른색의 띠를 두르고 호수가 달린 황색 립을 쓴 대취타대로 행진한다. 이러 한 취타대는 인원이 많고 색상이 강렬하여 퍼레이드에 서 외국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에서 대취타의 취타대장은 <Fig. 12>처럼 길은 황색이고 소매는 홍색인 동다리 위 에 검은 전복을 덧입고 양어깨와 가슴에는 용보를 달 고 화(靴)를 신었다. 이러한 차림은 취타대를 이끄는 취타대장을 구분하고, 용맹한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차림은 취타대가 아 닌 <Fig. 13>의 철종 어진에 표현된 융복(戎服)과 유사 하다. 철종은 융복으로 길은 황갈색, 소매는 홍색인 동다리의 양어깨에 용무늬의 보를 달고, 가슴에 용무 늬의 보가 달린 검은 전복을 덧입고 허리에는 수를 놓 은 광대와 남색 전대를 둘렀으며, 공작깃털과 해오라기 모양의 입식, 옥장식을 단 전립을 쓰고 등채를 들었다.

    퍼레이드에서 중요한 부분인 취타대가 본 논문의 연구대상 기간인 3년 동안 매년 동일한 복식을 그대 로 착용하여 향후 등장인물의 차림에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대취타대의 복식에 참고할 만 한 구체적인 차림을 볼 수 있는 자료로는 1785년 황 해도 안릉의 신임 현감으로 부임하는 광경을 담은 행 렬도인 ‘안릉신영도(安陵新迎圖)’, 1848년 대왕대비 순 원왕후의 회갑을 기념하여 열린 진찬행사를 기록한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屏)’, 1902년 고종의 기로소 (耆老所) 입소를 기념하여 거행한 진연례를 그린 ‘임 인진연도병(壬寅進宴圖屏)’, 김홍도의 작품으로 알려 진 19세기의 평생도 ‘관찰사 부임’, 19세기의 것으로 알려진 ‘평양도’ 등이 있다.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의 취타대 차림인 <Fig. 11> 은 ‘임인진연도병’ 속의 인물의 복식과 가장 유사하다. ‘임인진연도병’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취고수들은 <Fig. 14>처럼 흰색 바지에 흰색 행전을 두르고 황색의 포 를 입었으며, 남색의 전대를 하고 꽃이 달린 초립을 써(Kim, 2010), 바지와 행전의 색상, 초립의 장식 등 일부에서만 차이가 있다.

    또, ‘안릉신영도’에서 북, 호적, 나팔 등을 연주하는 악대는 <Fig. 15>처럼 남색 협수와 황색 전복을 입고 흑색 전대를 두르고 홍색 상모를 단 전립을 썼으며 짚 신을 신었다(Kim, 2010). 뿐만 아니라 김홍도의 작품 으로 알려진 19세기의 평생도 ‘관찰사 부임’ <Fig. 16> 에서는 흑색 협수 위에 황색 또는 홍색 전복을 입었으 며 허리에 흑색 전대를 둘렀다. 그밖에 19세기의 것으 로 알려진 평양도 <Fig. 17>에서는 앞장서 가는 취고 수 4명은 홍색의 포를 입고 흑립을 쓰기도 하였다. 이 러한 자료들을 참고하면 향후 취타대 등장인물들의 차림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다.

    2) Nongak ensembles costume

    농악대는 편성된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복식을 착용 한다(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NFMK], 2017). 농악대 중 악기 연주자들의 복식은 크게 바지․저고 리, 쾌자나 조끼 등의 덧옷, 그 위에 두르는 삼색띠, 쓰 개와 상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Chu, 2013). Chu(2004) 에 의하면 농악대의 기본 복식인 바지․저고리, 고깔 은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던 복식이 그대로 정착한 것 으로, 농악대는 지역에 관계없이 흰색의 바지․저고 리를 기본 복식으로 착용한다(NFMK, 2017). 한국의 전통 농악 복식의 경우, 지역에 따라 덧옷의 색상, 삼 색띠의 색상 조합과 매는 방법, 고깔의 형태 등이 다 르다(Chu, 2004).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의 농악대는 흰색의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색상의 쾌자나 반비 를 입고, 그 위에 삼색띠를 둘렀다. 뉴욕 코리안 퍼레 이드의 농악대 또한 쾌자의 색상, 띠의 색상, 고깔의 형태 등이 다양하였다. <Fig. 18>처럼 푸른색 조끼에 분홍색 띠를 두른 사례, 검은색 조끼 위에 삼색띠를 두른 사례 등이 있다. 그러나 이는 지역의 차이가 아 니라 각각의 단체를 구분하기 위함이며, 다양한 색상 의 덧옷을 통해 관객의 이목을 끄는 효과를 얻는다.

    농악대도 취타대처럼 퍼레이드에서 중요한 부분임 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의 연구대상 기간인 3년 동안 매년 동일한 복식을 착용하여 향후 등장인물의 차림 에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는 현재 지역 만의 독특한 특징이 나타나는 농악을 보존 및 계승해 오고 있다. <Fig. 19>는 2003년 국내의 이리농악의 공 연 모습으로, 흰색 저고리․바지에 보라색이나 검은 색 반비를 입었다. 가슴 위로 노란색과 붉은색을 둘러 묶어 허리 뒤로 늘어뜨렸으며, 흰색 수술을 머리에 묶 었다. 이 외에도 고산농악, 광명농악, 남원농악 등 각 지역별로 다양한 농악복식이 존재한다. 향후 한인 퍼 레이드에서도 단체마다 여러 지역의 농악대 복장을 보여주는 방안 등을 통해 복식을 다양화 할 수 있을 것이다.

    3) Dance costume

    설날 퍼레이드와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에서 무용 복식으로는 부채춤 복식이 나타났다. Chun(2013)Huh(2007)에 따르면 초기 부채춤 의상은 <Fig. 20>처 럼 맞깃 형태의 긴 저고리를 착용하여 직선적인 실루 엣이 나타났다(Chun, 2013;Huh, 2007). 그런데 1950 년대 말 해외 공연에서 우리나라의 부채춤이 중국과 차이가 없어 보인다는 반응으로 인해 부채춤 의상으 로 당의를 도입하였다(Huh, 2007). 1960년대 이후에 는 치마와 당의를 입고, 머리에는 화관을 쓰고 모란무 늬의 부채를 든 차림이 부채춤의 대표적인 복식으로 자리 잡아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Huh, 2007).

    두 퍼레이드에서 모두 부채춤의 복식으로는 <Fig. 21> 처럼 당의와 치마를 입고 족두리를 썼다. 대부분 붉은 치마에 연두색, 노란색, 푸른색 등 다양한 색상의 당 의를 입고, 당의의 앞․뒷길에 화려한 자수를 더하였 다. 자수에 스팽글, 비즈 등의 화려한 장식을 더하기 도 하였다. 또 당의의 안고름의 길이를 바깥 고름보다 길고 넓게 하거나 길과 치마의 색상의 보색을 사용하 여 장식미를 더하였다. 그밖에 <Fig. 22>처럼 크리스 탈, 비즈, 진주 등 현대화된 화려한 장식을 붙인 족두 리를 착용하였다. 두 퍼레이드의 무용복식은 뉴욕 현 지의 국악원, 무용단, 민속무용학원 등에서 공연용 차 림인 경우가 많아 대체로 과장되게 화려하여 짧은 시 간에 이목을 끄는 장점이 있다. 향후에는 우리 전통의 단아함과 우아함, 현대화된 모던함 등을 보여줄 수 있 는 다채로운 콘셉트의 공연복식이 필요할 것이다.

    3. Daily Hanbok

    1) Men’s daily Hanbok

    퍼레이드에 나타난 남성의 한복 차림은 저고리와 바지를 기본으로 착용하고, 그 위에 여러 덧옷을 겹쳐 입은 형태가 주로 나타났다. 전체 41건 중 저고리 위 에 배자를 착용한 경우는 12건이 나타났으며, <Fig. 23> 처럼 답호를 덧입은 경우와 <Fig. 24>처럼 마고자를 덧입은 경우가 각각 5건 나타났다. 바지, 저고리 차림 에는 대부분 관모를 쓰지 않았지만, 2017년도에는 익 선관, 정자관, 흑립을 착용한 경우가 나타났다. 그 외 에 포만 입거나 또는 <Fig. 25>처럼 포에 전복을 덧입 은 경우는 13건 나타났다. 포는 대부분 연령대가 높은 남성이 착용한 경우가 많고 이 연령층은 흑립과 같이 관모를 갖추어 착용하였으며, 복건, 익선관을 착용한 경우도 있었다. 그밖에 방한을 위해 <Fig. 26>처럼 한 복 차림에 서양복 외투를 덧입거나 하의만 한복 바지 를 입고 상의는 서양복을 입는 경우, 청바지에 상의를 마고자를 혼용하여 입은 경우도 나타났다.

    연구대상인 두 퍼레이드에서 남성의 일상용 한복 의 착용 사례는 성인 여성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 이 처럼 일상용 한복에서 성별의 차이가 큰 것은 퍼레이 드에 참여한 한인들이 평소에 소유하고 있는 한복을 착용한 경우가 많은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주 중앙일보, 미주 한국일보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 면, 퍼레이드의 주관은 신문사이나, 퍼레이드의 의상 은 주관사에서 관여하지 않고 참여하는 단체나 개인 이 각자 소유한 의상은 착용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는 현지 한복업체의 무료 대여에 의한 것이었다. 또한 플 러싱의 한복업체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뉴욕에서 한복의 착용은 웨딩촬영, 피로연, 혼주 등 결혼식용이 70%, 돌잔치가 20%, 팔순잔치, 기타 행사, 파티, 직장 이나 종교 등의 한국 관련 문화행사 등이 10% 정도로 구성되며, 구매나 대여 모두 주로 성인 여성 한복 중 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여성은 한복을 맞추더라도 남자는 대여를 하거나 양복을 입는 사례가 많다.

    이처럼 뉴욕의 두 한인 퍼레이드에서 일상용 남성 한복의 착용 사례가 적게 나타난 것은 2012년 캐나다 토론토 한인 부부 100쌍의 한복 소유 현황을 조사한 Kim(2012)의 연구의 결과와도 유사하다. Kim(2012) 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 한인 사회에서도 여자가 남 자에 비해 한복을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 났으며, 이는 대부분이 결혼 예복용으로 구매한 것이 었다.

    2) Women’s daily Hanbok

    퍼레이드에서 성인 여성의 일상용 한복 착용 사례 는 142건이었다. 여성의 일상용 한복은 대부분 치마․ 저고리 중심이었다. 배자와 두루마기를 착용한 경우 가 적지만 8건 나타났고, 색동저고리를 입은 경우도 7건 나타났다. 한복을 착용한 여성들은 비녀와 같은 전통 장신구를 사용하진 않았지만, 머리를 곱게 빗어 넘겨 뒤에서 고정시킨 쪽머리와 유사한 올림머리를 하였다. 여성은 동일한 한복을 맞춰 입은 경우를 제외 하고는 <Fig. 27>처럼 노란 계열 저고리에 붉은 계열 치마를 착용하거나, 연한 분홍빛 저고리에 분홍색 치 마를 착용한 경우의 빈도수가 3년 모두 가장 높게 나 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유사하다(Jung & Lee, 2018).

    퍼레이드에서 착용되는 한복의 형태를 보면 주로 치마․저고리 중에는 무늬가 없는 단색의 저고리에 깃이나 고름, 곁마기의 색으로 포인트를 주거나, 치마 에 자수나 무늬가 있는 원단을 사용한 소박한 스타일 이 나타난다. 일부는 <Fig. 8>이나 <Fig. 28>처럼 금박 이나 은박의 스란치마 위에 금․은박이 보이도록 길 이가 조금 짧은 옷감을 겹쳐 만든 치마를 착용하거나 <Fig. 29>처럼 말기가 화려한 치마를 착용하였다. 이 러한 형태의 금․은박 치마는 2014~2015년 국내에서 유행하였던 치마의 한 형태이다. 플러싱의 한복업체 관계자 인터뷰에 따르면 일부의 한복은 현지에서 만 들어지기도 하지만, 한국의 서울 광장시장과 청담동, 남대문시장, 대구 서문시장 등의 협력업체의 카탈로 그를 보고 한복 원단을 구매하고 바느질까지 한국 내 업체에 의뢰하여 완제품 한복을 항공우편으로 뉴욕 매장으로 받아 판매되는 경우도 많다. 이를 통해 한국 내 한복의 트렌드가 뉴욕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그 외 빈도수는 8건으로 적지만 무릎길이로 변형된 한복치마를 착용하거나 원피스형의 생활한복을 착용 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복치마에 블라우스나 셔츠를 입거나 당의나 저고리에 청바지를 착용하는 등 한복 과 서양복을 혼용하는 사례도 8건 나타났다.

    Ⅴ. Problem of Hanbok at the Korean Parade in New York

    1. Repeated reuse of the same Hanbok

    한인 퍼레이드에는 매년 참여하는 단체와 협력업 체가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한복을 재사용하는 사례 가 나타났다. 그 예로 한인 학생들이 선보이는 취타대 공연의 경우, 동일한 학교에서 매년 진행하다보니 <Fig. 11>의 의상을 매번 착용한다. 또 <Fig. 30>은 ‘뉴욕 코 리안 퍼레이드’에 등장하는 태극기를 들고 행진하는 여성들이다. 태극기를 든 치마․저고리 차림의 여성 들은 퍼레이드에서 중요한 역할인데, 이 때 착용한 흰 색 치마․저고리는 연구대상 3년의 퍼레이드에 모두 등장한다. 뿐만 아니라 <Fig. 31>처럼 2012년의 코리 안 퍼레이드에도 동일한 한복을 착용하였다. 향후 이 와 같이 중요한 역할에 동일한 한복이 매년 반복적으 로 사용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2. The lack of Hanbok items

    음력설 퍼레이드는 겨울에 개최되기 때문에 퍼레 이드 참가자들이 보온을 위하여 한복과 함께 서양복 외투를 착용한 사례가 나타났다. 2019년 음력설 퍼레 이드의 한 참가자는 <Fig. 29>처럼 겨울임에도 불구하 고 치마말기가 비치는 얇은 저고리를 착용하기도 하 였다. 반면, 겨울의 계절감을 살릴 수 있는 배자나 두 루마기와 같은 전통 의복의 착용은 매우 적었다. 또한 대부분이 한복 차림에 서양식 장갑이나 목도리 같은 방한용품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음력설 퍼레 이드’는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와 차별화하여 우리 전통 한복에서 누비, 털배자, 갖저고리, 방한모, 토수 등 겨울의 계절감을 살릴 수 있는 전통 장식기법과 겉 옷, 방한모, 장신구 등의 요소를 다채롭게 활용할 필 요가 있다.

    한편, 관모부터 옷차림을 모두 갖추었으나, 신발은 운동화나 샌들을 신는 등 전통신발까지 갖추어 착용 한 사례가 매우 드물었다. 우리 전통신발은 긴 구간을 걸어야 하는 퍼레이드에는 신기 불편하여 참가자들이 한복 차림에 서양식 신발을 신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국내에서 전통요소를 활용한 새로운 신발들을 선보이 고 있으므로 향후 한국 전통신발의 아름다움을 담고 있으면서도 퍼레이드에 불편하지 않도록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3. Errors in how to wearing Hanbok

    착장상태 면에서는 남성은 왕의 곤룡포가 아닌 문 무백관의 단령, 저고리, 바지, 배자 차림에도 익선관 을 쓰는 등 복식에 관계없이 익선관을 착용하는 오류 가 나타났다. 또한 단령의 몸판에는 네모난 흉배를, 양 어깨에는 둥근 보를 혼용하였고, 곤룡포의 색상도 자주색, 검정색 등의 색을 사용하는 사례가 보여 이에 대한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여성은 붉은색 활옷 외에도 분홍색, 녹색 등의 활 옷이 등장하였고, 치마가 서양식의 A형 실루엣이 나 타나기도 한다. 또, 속치마를 생략하여 치마가 일자로 처지거나 치마 안에 입은 청바지나 레깅스 등이 노출 되는 사례도 보인다. 또 <Fig. 28>과 <Fig. 29>처럼 치 마말기의 끈을 길이와 폭을 늘리고 허리선을 강조하 여 등 뒤에서 서양식의 리본 형태로 묶었다. 이러한 오류는 한복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훼손할 수 있으 므로 향후 한복의 전통적인 착장방식의 정확한 반영 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Ⅵ. Conclusion

    최근 한류 문화의 인기에 힘입어 한복에 대한 세계 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국제도시 뉴욕에서 펼쳐지는 한인 퍼레이드에 나타난 한복의 유형과 특징,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수정, 보완할 점을 고찰하였다. 이 결과는 향후 해외 의 한국 문화행사에서 한복을 활용할 때에 참고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연간 2회씩 총 6회의 한인 퍼레이드에서 나타난 한복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인 퍼레이드에서 활용되는 한 복의 유형은 크게 의례복식, 공연복식, 일상복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의례복식으로 남성은 왕의 상복인 곤룡포에 익선관을 주로 착용하였으며, 여성은 활옷, 원삼과 같 은 혼례복, 당의와 같은 소례복이 나타났다. 의례복식 은 퍼레이드의 주요인물이나 단체를 대표하는 인물이 착용하였으며, 남녀가 짝을 이루어 구성되었다. 본 연 구대상인 3년 모두 여성의 혼례복인 활옷․원삼과 왕 의 집무복인 곤룡포가 세트로 등장하는 오류가 나타 났다. 이처럼 여성이 혼례복을 착용한 경우에는 남성 도 사모관대의 차림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또한 향후 왕과 왕비의 대례복인 면복과 적의 등도 활용하여 한 국의 전통 예복 문화를 다채롭게 소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연복식으로는 취타대 복식, 농악대 복식, 부채춤 복식 등이 나타났다. 뉴욕 코리안 퍼레이드는 취타대로 시작되면서 관람객의 시선을 압도하였다. 그러나 취타대의 복식은 매년 동일하게 반복된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에는 같은 취타대라 할지라도 ‘안릉신영도’, ‘무신진찬도병’, ‘임인진연도 병’, ‘관찰사 부임’, ‘평양도’ 등을 참고하여 복식의 구 성에 변화를 준다면 매해 새로운 공연을 보여줄 수 있 을 것이다. 농악은 한인단체들이 서로 단결하고 축제 의 흥을 돋우는 장치로 활용되고 있는 농악의 복식은 대부분 유사하지만, 반비의 색, 어깨와 가슴에 두르는 띠의 색상 및 두르는 모양, 고깔의 유무 등에서 차이 가 보였다. 국내 전통 농악복식은 지역에 따라 고유한 특성이 나타나므로, 향후 각 단체들이 지역별 복식의 차이를 활용한다면 새로운 농악대 복식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부채춤 복식은 당의와 치마, 족두리 차 림에 자수와 스팽글로 화려하게 장식하여 퍼레이드에 서 이목을 끄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매년 퍼레이드에 서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므로 향후 단아함, 우아 함, 모던함 등을 표현하는 새로운 콘셉트의 공연복식 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일상용 한복은 남성이 41건, 여성이 142건으 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3~4배 이상 많이 등장하였는 데, 그 구성은 남성의 경우 바지․저고리에 마고자, 전복, 포, 두루마기 등을 덧입었고, 여성은 대부분 치 마․저고리 차림으로 단순하였다. 일상용 한복은 한국 한복의 트렌드가 많이 반영되기도 하지만, 예복이나 공연복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인 소장품을 착용한 사 례가 많아, 한복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이 왜곡되지 않 도록 향후 갖추어 입는 전통속옷이나 신발, 착장법 등 을 총괄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뉴욕 한인 퍼레이드에서 등장하는 한복 중 일 부만이 뉴욕 한국문화원 등 단체의 소장품이고, 축제 에 참여하는 기업이나 단체들은 의상구입비용 등의 문제로 개인에게 의상 준비를 맡기면서 개인이 소장 하고 있는 한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매년 유사한 한복이 반복적으로 등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근 한국의 음악, 영상, 음식, 복식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한인 퍼레이드 는 우리 전통 복식에 대한 관심을 갖는 외국인들에게 한복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채로운 아름 다움을 소개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특히 지역적인 특성과 파급력을 고려하면, 뉴욕에서 개최 되는 퍼레이드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에 있어서 그 어느 행사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향후 뉴욕 한인 퍼레이드 등의 행사에서 고증과 재현뿐만 아니라 최근 국내에서 현대적 감성에 맞게 개발, 활용 되고 있는 다채로운 우리 전통복식 문화를 소개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Figure

    RJCC-28-4-463_F1.gif

    2017 lunar new year parade Reprinted from Cho. (2017a). http://koreatimes.com

    RJCC-28-4-463_F2.gif

    2014 lunar new year parade Reprinted from Noh. (2014b). http://news.joins.com

    RJCC-28-4-463_F3.gif

    2007 New York Korean parade Reprinted from Ryu. (2007). http://www.dongponews.net

    RJCC-28-4-463_F4.gif

    2019 New York Korean parade Reprinted from Yoo. (2019). http://www.cctoday.co.kr

    RJCC-28-4-463_F5.gif

    Gorlyonpo, Ik-seon-gwan Captured by author from ActionKid. (2018). http://www.youtube.com

    RJCC-28-4-463_F6.gif

    (Woman) Hwarot, Jokduri (Man) Dallyeong, Samogwandae Adapted from Korean School of New York. (n.d.). http://www.koreanschoolny.com

    RJCC-28-4-463_F7.gif

    Korean ceremonial attire Adapted from Noh & Park. (2017). http://www.okja.org

    RJCC-28-4-463_F8.gif

    Dang-ui, chi-ma Reprinted from Hanbok-story. (2017). http://hanboknyc.com

    RJCC-28-4-463_F9.gif

    Hwarot Adapted from Korean School of Southern New Jersey. (2017a). http://www.facebook.com

    RJCC-28-4-463_F10.gif

    Wonsam Adapted from Korean School of Southern New Jersey. (2017a). http://www.facebook.com

    RJCC-28-4-463_F11.gif

    Chwitasu Photographed by the author. (October 7, 2017).

    RJCC-28-4-463_F12.gif

    A captain of Chwitasu Photographed by the author. (October 7, 2017).

    RJCC-28-4-463_F13.gif

    Portraits of King Chol-jong Reprinted from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https://www.gogung.go.kr

    RJCC-28-4-463_F14.gif

    Im-in-jin-yeon-do-byeong Adapted from Google Art&Culture. (n.d.). https://artsandculture.google. com

    RJCC-28-4-463_F15.gif

    An-ryung-shin-young-do Adapted from National Museum of Korea. (n.d.). http://www.museum.go.kr

    RJCC-28-4-463_F16.gif

    Pyeong-saen-do Adapted from Seo. (2002). p.159.

    RJCC-28-4-463_F17.gif

    Pyong-yang-do Adapted from Seo. (2002). p.179.

    RJCC-28-4-463_F18.gif

    Nongak ensembles costume Captured by author from ActionKid. (2018). http://www.youtube.com

    RJCC-28-4-463_F19.gif

    Erie Nongak Performance in 2003 Reprinted from Chu. (2004). p.82.

    RJCC-28-4-463_F20.gif

    Early fan dance costume Reprinted from Choi. (n.d.). http://www.arko.or.kr

    RJCC-28-4-463_F21.gif

    Fan dance costume Captured by author from ActionKid. (2018). http://www.youtube.com

    RJCC-28-4-463_F22.gif

    Jok-du-ri Photographed by the author. (February 17, 2018).

    RJCC-28-4-463_F23.gif

    Da-po Captured by author from ActionKid. (2018). http://www.youtu be.com

    RJCC-28-4-463_F24.gif

    Ba-ji, Ma-go-ja Adapted from Korean School of Southern New Jersey. (2017b). http://www.fac ebook.com

    RJCC-28-4-463_F25.gif

    Po, Jeun-bok, Sa-mo Photographed by the author. (February 17, 2018).

    RJCC-28-4-463_F26.gif

    Mix-match Photographed by the author. (February 17, 2018).

    RJCC-28-4-463_F27.gif

    Jeo-go-ri, Chi-ma Captured by author from ActionKid. (2018). http://www.youtube.com

    RJCC-28-4-463_F28.gif

    Chi-ma Photographed by the author. (February 17, 2018).

    RJCC-28-4-463_F29.gif

    See-through Jeo-go-ri Photographed by the author. (February 17, 2018).

    RJCC-28-4-463_F30.gif

    2019 New York Korean parade Captured by author from Gee O. (2019). http://www.youtube.com

    RJCC-28-4-463_F31.gif

    2012 New York Korean parade Reprinted from The Korea Times Special Reporting Team. (2012). http://www.koreatimes.com

    Table

    The cases of wearing Hanbok on the Korean parade in New York

    Reference

    1. ActionKid. (2018). 2018 Korean day parade in Manhattan, NYC (뉴욕 코리언 퍼레이드): Full parade [YouTube Channel]. Retrieved July 1, 2020, from http://www.youtube.com/watch?v=9A4Ewv7ZTvQ
    2. Cho, J. W. (2017a, February 6). ‘화합과 희망’ 인종․ 세대 초월 축제 한마당 [‘Harmony, hope’, race and transcendence festival Hanmadang]. The Korea Times, Retrieved April 8, 2020, from http://sf.koreatimes.com/article/20170206/1038613
    3. Cho, J. W. (2017b, June 9). 창간50주년 특집/ 세계의 중심서 한인 자긍심 드높인 ‘축제의 장’ [The 50th anniversary special/ festival of Korean self-esteem at the heart of the world]. The Korea Times, Retrieved April 8, 2020, from http://www.koreatimes.com/article/1060064
    4. Choi, H. R. (n.d.). 구술로 만나는 한국 예술사 1 [Korean art history by verbal]. Webzine Arko,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www.arko.or.kr/home2005/bodo/sub/forest.jsp?idx=1769&pidx=1365
    5. Chu, E. H. (2004). A study on Korean Nongak costu 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6. Chu, E. H. (2013). The Nongak’s common costume and Geumsan Nongak’s. The Asian Music Research Institute, 35, 215-238.
    7. Chun, H. J. (2013). A study on Kim Baik Bong’s dance clothes shown in her fan dance and crown dance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 Chung, E. J. (2013). 뉴욕코리안퍼레이드 [New York Korean parade].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June 5, 2020, from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89%B4%EC%9A%95%EC%BD%94%EB%A6%AC%EC%95%88%ED%8D%BC%EB%A0%88%EC%9D%B4%EB%93%9C&ridx=0&tot=62
    9. Gee, O. (2019). Korean parade in NYC Oct 5, 2019 DSCN6363 [YouTube Channel]. Retrieved July 3, 2020, from http://www.youtube.com/watch?v=xsUUIL8ix5I
    10. Google Art&Culture. (n.d.). 임인진연도병 [Im-in-jinyeon- do-byeong].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artsandculture.google.com/asset/_/nQHH7GuYPZiGZA
    11. Hanbok-story. (2017.) 2017 설 퍼레이드 참여 [Participate in 2017 lunar new year parade]. Retrieved July 1, 2020, from http://hanboknyc.com/V3/2017/05/09/2017-%ec%84%a4-%ed%8d%bc%eb%a0%88%ec%9d%b4%eb%93%9c-%ec%b0%b8%ec%97%ac/
    12. Huh, J. Y. (2007).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the Korean new d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Jung, S. E. , & Lee, S. Y. (2018). A study on the color features of female Hanbok in modern time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3), 23-36.
    14. Kim, E. J. (2012). A study of the current condition of Korean immigrants’ Hanbok in Toronto, Canad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5(3), 23-35.
    15. Kim, M. J. (2010). A study on the costume of ‘Chwigosu’ in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3), 137-152.
    16. Kong, J. S. (2009, September 26). 뉴요커 사로잡은 ‘세종대왕 어가행렬’ [King Sejong’s parade captured the New Yorker]. The Dongailbo,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071008/8497379/1
    17. Korean School of New York. (n.d.). Gallery. Retrieved June 23, 2020, from http://www.koreanschoolny.com/gallery
    18. Korean School of Southern New Jersey. (2017a, October 7). 20171007 Korean parade.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scontent-gmp1-1.xx.fbcdn.net/v/t31.0-8/22384207_1713088168703659_6800622187689559397_o.jpg?_nc_cat=110&_nc_sid=e007fa&_nc_ohc=sCCikBDmf58AX_huIdO&_nc_ht=scontent-gmp1-1.xx&oh=a872d74f3d8885444e8aca82082764df&oe=5F67069F
    19. Korean School of Southern New Jersey. (2017b, October 7). 20171007 Korean parade.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scontent-gmp1-1.xx.fbcdn.net/v/t31.0-8/22424241_1713088302036979_8202664938796013300_o.jpg?_nc_cat=110&_nc_sid=e007fa&_nc_ohc=6gmMqGbR1Q8AX_akEL-&_nc_ht=scontent-gmp1-1.xx&oh=b02c29ac53d7bafd70383e828d951854&oe=5F671162
    20. Lee, J. M. (2019, July 30). 정우영 아나운서 “이탈리아 명품 불가리, 한복을 ‘기모노’로 표기” [Announcer Jung Woo-young said “Italian luxury brand, Bulgari presented Hanbok is labeled as ‘kimono’”]. The Chosun-Ilbo, Retrieved July 5, 2020, from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30/2019073000376.html
    21. Lee, J. S. , & Choi, E. H. (2019, January 2). 근면 성 실함으로 급속한 경제성장 한인 위상 높여 [Rapid economic growth of Korean people due to raise the status]. The Korea Times, Retrieved June 28, 2020, from http://dc.koreatimes.com/article/20181231/1222938
    22. Lee, J. Y. (2008, October 10). 뉴욕코리안퍼레이드… 한인회 등 약 200여 단체 참가 [New York Korean parade... About 200 Korean organizations, including the Korean association, will participate in the event]. Dongponews,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www.dongp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082
    23. Min, B. Y. (2020, January 17). 한․중 함께 즐기는 전통문화축제 한마당 [Korean-Chinese traditional culture festival Hanmadang]. The Korea Times, Retrieved April 2, 2020, from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200117/1291064
    24. Min, J. Y. (2014, February 9). 뉴욕 설퍼레이드 한인 사회 독도침탈 경고.. “일본, 한미중 세친구 잃었 다” [New York lunar New Year parade, Korean society’s warning against Dokdo pillage.. “Japan losing best friends-Korea, US & China”]. The News roh,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www.newsroh.com/bbs/board.php?bo_table=m0604&wr_id=3276&page=
    25. Moon, J. Y. (2019, September 17). 한복을 기모노로 소개한 미국 쇼핑몰 바로 잡은 한국 대학생 [Korean student fix correctly in the US shopping mall introducing Hanbok as a Kimono]. YTN Plus, Retrieved July 5, 2020, from http://www.ytn.co.kr/_ln/0103_201909171515070377
    26.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7).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of basic necessities clothing. Seoul: Author.
    27. National Museum of Korea. (n.d.). 안릉신영도 [Anryung- shin-young-do]. Retrieved July 20, 2020, from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497
    28.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d.) 철종어진 [Portraits of king Chol-jong]. Retrieved July 1, 2020, from https://www.gogung.go.kr/searchView.do?pageIndex=1&cultureSeq=635LJE&searchRelicDiv4=&searchGubun=ALL1&searchText=%EC%B2%A0%EC%A2%85%EC%96%B4%EC%A7%84
    29. Noh, C. H. (2013, January 29). 뉴욕설날퍼레이드 사 상 최대규모 될 듯 [It’s going to be the biggest New York lunar new year parade ever]. Newsis,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10550235
    30. Noh, C. H. (2014a, January 24). 뉴욕 한인사회, 사상 최대 설날 퍼레이드 펼친다 [Korean society of New York will hold its biggest new year day parade ever]. Newsis,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13717378
    31. Noh, C. H. (2014b, February 9). 뉴욕 설날퍼레이드 한인사회 최대규모 개최…초롱이와 초순이 [Korean society held the largest lunar new year parade in New York... Chorongi and Chosooni]. Newsis,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news.joins.com/article/13843461
    32. Noh, C. H. (2015, February 6). 뉴욕 설날퍼레이드 한인사회 선두선다 [Korean society leads in New York lunar new year parade]. Newsis,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s://newsis.com/view/?id=NISX20150206_0013462242
    33. Noh, C. H. , & Park. Z. (Photographer). (2017, October 9). 꽃차 전통무용 맨해튼 수놓아 [Flower car and traditional dance embroidered Manhattan]. The News roh, Retrieved June 10, 2020, from http://www.okja.org/photo/72670
    34. Ryu, S. H. (2007. October 11). ‘뉴욕의 가을 하늘에 한국 혼이 울려 퍼졌다’ [‘The Korean spirit rang out in the autumn sky of New York’]. Dongponews,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www.dongp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225
    35. Seo, I. H. (2002). Joseon dynasty genre paintings of music. Seoul: Minsokwon.
    36. Seo, S. J. (2014, January 22). “설 퍼레이드 2000명 참가 기대” [“Looking forward to 2000 people of participation lunar new year parade”]. The Korea Daily,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2279290
    37. Song, B. S. (1995). 취타수 [Chwitasu]. I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June 15, 2020, from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B7%A8%ED%83%80%EC%88%98&ridx=0&tot=12792
    38. The Korea Times. (2010, May 10). 뉴욕한인 125년 (79) 플러싱 한-중 합동 ‘설날 퍼레이드’ [The Korean American in 125 (79) flushing Korea & China ‘lunar new year parade’].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hawaii.koreatimes.com/article/20100510/592991
    39. The Korea Times. (2013, October 7). 다민족 대행 진… 글로벌 인파 열광 [Multiracial marches...world crowd frenzy].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seattle.koreatimes.com/article/20131007/817607
    40. The Korea Times. (2018, August 23). 미동부 한인사회 최대 축제의 한마당 2018 코리안 퍼레이드 [2018 New York Korean parade, the largest festival i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Retrieved April 2, 2020, from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180823/1198634
    41. The Korea Times. (2019. February 11). 우리설 대잔 치 이모저모 [Our new year’s festival]. Retrieved April 2, 2020, from http://ny.koreatimes.com/article/20190211/1230489
    42. The Korea Times Special Reporting Team. (2012, October 8). 코리안 ‘열정과 저력’ 감동 대행진 [Korean ‘passion and potential’ impressive parade]. The Korea Times, Retrieved July 28, 2020, from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121009/755917
    43. Yim, Y. S. (2013). Korea town and Korean wave, Korea cultural center. Journal of History and Culture, 48(48), 255-294.
    44. Yim, Y. S. , Joo, D. W. , Park, J. S. , Kim, B. B. R. , Ko, J. J. , Hashimoto, M. , . . . & Hong, J. W. (2015). Koreatowns and Korean festivals. Seongnam: Bookorea.
    45. Yim, Y. S. , Kim, J. Y. , Min, B. G. , Joo, D. W. , Ko, J. J. , Son, M. K. , . . . & Choi, K. J. (2012). Koreatown and Korea culture. Seongnam: Bookorea.
    46. Yoo, K. J. (2019. October 22). 뉴욕 맨해튼 사로잡은 ‘백제문화’ [The captured Baekje culture in Manhattan, New York]. Chungcheong Today, Retrieved April 1, 2020, from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0749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