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중국 소수민족의 전통 복식은 소수민족의 물질문화와 정신문화의 발전 상황을 구현하여 민족 특유의 정신을 담고 있다. 소수민족 복식은 민족 문화의 자산으로서, 각 민족의 심리적 정감이 깃들어 있으며 심미, 정취, 가치, 취향, 성별 역할, 민족 역할, 직업 역할의 기능을 품고 있다. 중국 소수민족 복식 문화 자원은 수백 년 동안 전승된 재산으로, 내용이 풍부하고 종류가 다양하며 문화 자원으로 방대하고 복잡한 종류의 복식 문화 시 스템을 형성하였다(Qi & Shen, 2014).
이러한 중국 소수민족 복식의 복식 중에서 머리 장 식은 매우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나타난다. 소수민족 의 머리장식은 민족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지위를 나타내는 한편, 역사와 관습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중국 각 소수민족의 머리장식의 정 교하고 아름다운 외관의 조형은 역사적으로 탄생된 것으로, 주변 환경과 지형, 생산 생활 방식 등의 차이 에 따라 그 특성이 다양하다(Dai, 2004).
최근 중국 문화의 글로벌화와 함께 중국 문화에 대 한 관심이 높아지며 중국 소수민족 관련 연구들도 다 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주로 단 일 민족의 복식이나 장신구, 윈남성 소수민족 장신구 디자인 특성 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소수 민족의 전반적인 머리 장신구에 대한 조사 연구는 아 직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중국 소수민족 머리장식의 형태, 색채, 문양 등에 대 해 조사 분석하고, 패션 디자인 및 다양한 패션 장신 구 디자인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중국 각 성시별 대표적 민족 총 20개 소수민족 복식의 역사, 문화, 특성에 관련된 조사를 진행하였다. 중국의 55개 모든 소수민족은 중국 내에 서도 그 자료의 수집이 불가한 소수민족도 많은 상황 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성시별 지역을 북부와 동북부, 서북부, 서남부, 중남부, 동남부의 5개 지역으 로 구분하였다. 북부는 몽골족과 동북부의 만족, 조선 족, 오르촌족이, 서북부는 회족, 위구르족, 토족, 동향 족이 분포되어 있다. 서남부 지역은 장족, 이족, 백족, 하니족, 태족 등이 주로 분포하며, 중남부에는 토족, 동족, 묘족, 요족, 좡족, 리족이 분포되어 있다. 동남부 지역은 서족, 고산족, 조선족이 분포하나 분석 자료가 미약한 조선족을 제외한 20개의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자료를 조사하였다. 둘째, 중국 20개 소수민족 머리장 신구의 분석 자료는 중국과 한국에 발표된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 웹사이트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중국 소수민족에 관한 문헌, 중국 소수민족과 복식, 중국소 수민족복식(中国少数民族服饰), 중국 직숙 복식 전집: 제5권 소수민족 복식(中国织肃服饰全集第五卷少数民 族服饰), 26개 소수민족의 명절(26个少数民族的经典 节庆), 중국 소수민족 패션 수공예(中国少数民族服饰 手工艺), 중국소수민족복장도전(中国少数民族服饰图典) 의 문헌과 바이두닷컴(www.baidu.com), 회도닷컴(www. huitu.com.cn), 신랑닷컴(http-blog.sina.cn), 서호닷컴(www. sohu.com), 163닷컴(http-blog.163.com) 등의 웹사이트 에서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민족문화 박물관, 방직 박물관의 웹사이트 자료도 수집하였다.
셋째, 머리장신구의 종류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두 건형, 모자형, 머리띠형, 머리쓰개형로 한정하여 수집 하였으며, 복식 전체의 사진 자료에서 머리 장신구 부 분을 잘라서 정리하였다. 수집된 중국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History and distribution of Chinese minorities
중국은 세계 최대 인구 대국으로, 약 13억 4,000만 명 인구는 전 세계 약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총 56개 민족의 다민족 국가이기도 하다. 중국의 민족 인구 분포를 살펴보면, 한족은 주로 동부 지역에, 소 수민족은 주로 서부 지역에 있고, 한족은 주로 중원과 연해, 만족은 국경 지대에 거주하고 있다. 내몽골(内 蒙古) 지역에는 몽골족, 광시(广西) 지역의 장족, 티베 트(西藏) 지역의 티베트족, 영하(宁夏) 지역의 회족, 신강(新疆) 지역의 위구르족 등의 자치구에 소수민족 이 거주한다(Guo, 2014).
Guo(2013)의 연구에 언급된 중국 소수민족에 대한 분류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분류되었다. 1차 조 사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때부터 1954년까 지로 정부에서 현장조사를 통하여 직접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였으며, 몽고(蒙古), 회(回), 짱(藏), 만(满), 위구 르(维吾尔), 묘(苗), 이(彝), 장(壯), 포의(布依), 조선 (朝鲜), 동(侗), 요(瑤), 백(白), 합니(哈尼), 합살극(哈薩 克), 태(傣), 려(黎), 율속(傈僳), 와(佤), 납호(拉祜), 고 산(高山), 수(水), 동향(東鄕), 납서(納西), 경파(景颇), 가이극자(柯爾克孜), 토(土), 강(羌), 살납(撒拉), 석백 (錫伯), 탑길극(塔吉克), 오자별극(烏孜別克), 아나사 (俄羅斯), 악온극(鄂溫克), 악윤춘(鄂倫春), 보안(保安), 유고(裕固), 탑탑이(塔塔爾) 등 38개 소수민족을 인정 하였다.
2차 조사는 1954년부터 1964년에 전국 인구조사까 지로 1차 조사의 성과에 민족을 식별하는 분류 방식 으로 더 발전시켰다. 2차 단계에서는 첫 번째 전국 인 구 조사에 등기한 나머지 민족의 명칭(183개)을 연구 하여 새롭게 15개 소수민족을 확정하였다. 토가(土家), 여(畲), 달알이(達斡爾), 혁철(赫哲), 무노(仫佬), 포낭 (布朗), 올노(仡佬), 아창(阿昌), 보미(普米), 노(怒), 붕 용(崩龍)(후 덕앙으로 변경), 독용(獨龍), 경(京), 모난 (毛難)(후 모남으로 변경), 문파(門巴)이다. 당시 조사 중에 신고된 74개 민족은 각 53개 소수민족으로 병합 되었다.
3차 조사는 1965년부터 1982년 전국 인구 조사로 1965년에 시짱 낙유지역에 있는 낙파족(珞巴族)을 인 정하고, 1979년 운남 기낙산의 기낙족(基諾族)이 인정 되어 지금까지 중국 민족 대가족의 구성원은 56개로 확정되었다.
2. Characteristics of costume in Chinese minorities
중국 소수민족의 다양한 민족의상은 복잡하고 다 채로우며 풍부한 민족문화 정신이 내포되어 있다. 소 수민족은 북방 21개, 남방 34개로 나뉜다. 북방 민족 복식은 모피가운과 긴 바지가 주요 아이템으로, 겨울 에는 보편적으로 모피를 사용하여 다양한 부츠를 신 으며 자수와 액세서리가 적다. 주로 목축업, 사냥업의 활동이나 겨울철 추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남방 민 족 복식의 여성 복식은 기본적으로 짧은 상의와 스커 트가 위주이며, 남자는 와이드 팬츠에 검정색과 청색 위주의 상의를 착용한다. 자수 장식과 액세서리 등을 중시하며, 농산물 재배 시 무더운 날씨를 고려하여 머 리에 두건을 많이 쓰는 것이 특징이다(Song, Li, & Zang, 2007).
중국의 소수민족은 네이멍구(内蒙古), 신장(新疆), 닝샤(宁夏), 광시(广西), 티베트(西藏), 윈난(云南), 칭 하이(青海), 쓰촨(四川), 감숙(甘肃), 랴오닝(辽宁), 지 린(吉林), 후난(湖南), 후베이(湖北), 하이난(海南), 대 만(台湾) 등에 주로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성시 의 분포에 근거하여 각 성의 민족을 대표하는 머리 장 신구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윈난성은 전국 56 개 민족 중 25개 소수민족이 분포하고 있어 3개 대표 민족을 조사하였다. 중국 각 성시별 지역을 북부와 동 북부, 서북부, 서남부, 중남부, 동남부의 5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Table 1). 북부는 몽골족, 동북부 만족, 조선족, 오르춘족이 주로 분포하며, 서 북부는 회족, 위구르족, 토족, 동향족이 분포되어 있 다. 서남부 지역은 장족, 이족, 백족, 하니족, 태족 등 이 주로 분포하며, 중남부에는 토족, 동족, 묘족, 요족, 좡족, 리족이 거주하고 있다. 동남부 지역은 서족, 고 산족, 조선족이 분포하나 조선족은 분석 자료가 미약 하여 제외한 20개의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자료를 조 사하였다.
1) Characteristics of minorities costume in northern and northeast China
몽골족(蒙古族, Mongolian)은 중국 북방의 유목민 으로 주로 네이멍구 자치구에 거주하며 신장, 칭하이, 간쑤, 헤이룽장, 랴오닝, 지린 등에 분포하고 있다. 네 이멍 지역은 온대초원형 기후로 고도 1,000m에서 1,500m의 북방 초원에 위치하며 중국 문화의 발원지 이다(Dai, 2004). 몽골족 복식은 2008년 국가 무형문 화재로 등재되었으며(Liu, 2013), 몽골족은 북쪽의 초원 에서 말을 타고 활을 쏘는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 남녀 를 막론하고 모든 장포(长袍)를 즐겨 입는다(Fig. 1).
만주족(满族, Man)은 주로 중국의 동북 3성에 분포 하며, 랴오닝성에 가장 많이 거주한다. 또 네이멍구, 허베이, 산동, 신장 등, 성, 자치구와 베이징, 청두, 란 저우, 푸저우, 은천, 시안 등 대도시에는 모두 소수의 사람들이 흩어져 있다. 만주족 복식은 기마민족으로, 상의(上衣), 하고(下裤)로 분리되었던 유목민족의 전 형적인 복식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점차 한족과의 접 촉으로 장포 형식의 복식으로 변화하였고(Fig. 2), 표 면상으로 보이는 포(袍)가 만족을 대표하는 중요한 복 식 양식이 되었다(Park & Cho, 2001).
오르춘족(鄂伦春族, Oroqen)은 중국 원시사회 말기 부터 있었던 사회주의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 해방 초 기에도 사냥 생활을 했다. 1950년대까지 중국 정부는 오르춘족의 하산 생활을 권하였으며, 그들의 생산 생 활 방식을 비약적으로 변화시켰다(Wu, 2011). 오르춘 인들은 장기간의 유렵 생활 속에서 민족적인 특색이 있는 가죽의 복식 문화를 창조하였다. 겨울에는 가을 과 겨울 두 계절의 털이 길고 촘촘한 노루가죽으로 단 단하고 방한력이 강하며, 봄 여름 가을의 복식은 짧은 노루가죽을 사용한다(Yang, 2012; Fig. 3).
2) Characteristics of minorities costume in northwest China
회족(回族, Hui)은 중국에서 이슬람 문화와 함께 전 래된 민족이다. 회족은 곳곳에서 이슬람 문화의 보수 성향과 한 문화를 구현하고 있다. 회족의 복식은 소박 하고 우아한 풍격으로 중국 소수민족 중에서 독보적 인 품격을 세웠다. 회족의 복식은 이슬람교 교리에 따 라 매우 단순하고 검소하다(Wang, 2008; Fig. 4).
위구르족(维吾尔族, Uygur)의 복장은 헐렁하며, 무 늬가 비교적 많고 화려하다. 남성복은 간단한 편이며, 외투는 차판(裕袢)이라 부른다. 주로 검정색, 흰색, 파 란색, 회색, 등 각종 원색의 실크 원단으로 제작한다. 위구르족 남성들은 흑백의 효과를 중시하면서 거칠고 자유분방하다(Fig. 5). 위구르 여성들은 치마를 즐겨 입 고, 붉은색, 녹색, 황금색 등의 겉옷에 연한 색 속치마 를 입는다. 특히 전통적 소재인 ‘아틀라스 실크(艾得 来丝绸, Atlas)’ 원피스를 선호한다(Liu, 2003; Fig. 6).
토족(土族, Tu) 복식에서 검정색은 땅을 상징하며, 녹색은 푸른 새싹을 상징한다. 노란색은 보리더미를 상징하며, 흰색은 감로를 상징한다. 파란색은 푸른 하 늘을 상징하고, 오렌지색은 금을, 빨간색은 태양을 상 징한다. 꽃 소매의 긴 셔츠 위에는 검은색과 자홍색 또는 테두리를 두른 파란색 조끼를 착용하고, 허리에 는 흰 갈색이나 푸른색 옷감의 띠가 있으며 양 끝에는 꽃, 새, 벌레, 나비, 구름 자수나 금색 줄무늬가 있다 (Deng, 2015; Fig. 7).
동향족(东乡族, Dongxiang)은 주요 거주지가 깐쑤 성(甘肃省) 동향족 자치현으로 그 외 흐어쩡(和政), 린 샤(宁夏), 란조우(兰州) 등의 현(省)과 시(市)에 분포하 고, 신장 위구르(新疆维吾尔)자치구, 냥샤(宁夏)후이 족 자치구에도 일부분 흩어져 거주하고 있다. 동향족 과 회족의 복식은 비슷하나, 그 특징 또한 매우 뚜렷 하다(Fig. 8). 동향족 부녀자들은 가짜소매(假袖)가 달 린 상의에 꽃무늬 치마를 입고, 남자는 넓은 두루마 기, 허리띠, 허리걸이 칼을 착용해 몽골족 남자와 비 슷한 옷차림을 하고 있다(Park & Cho, 2001).
3) Characteristics of minorities costume in southwest China
티베트 지역은 광활하여 자연환경의 차이가 매우 크다. 자연환경과 기후조건에 적응하기 위해서 각 지 역의 장족(藏族, Tibet)의 복식은 특징이 각기 다르다. 장포는 티베트족 사람들의 사시사철 중요한 복장이 며, 중국 다른 민족과 구별된다. 장포는 남녀노소가 입을 수 있고, 옷자락에 귀중한 모피와 비단옷을 얹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Fig. 9). 일상에서 착용하 는 장포는 수수한 색이 많으며 여성 장포의 가장자리 장식은 화려하고 아름답다. 유목민들의 장포는 가장 자리에 파란색, 녹색, 보라색, 오렌지색, 노란색, 베이지 색 등의 세로줄무늬로 오색 띠를 구성한다(Wei, 2016).
이족(彝族, Yi)은 따량산(大凉山)과 뀌조우성(貴州, 귀주) 서부 지역에 주로 거주한다. 남자 복식은 주로 상의와 긴 바지, 망토와 두건을 두르는 것이 기본 양 식이다. 어깨 위에 걸치는 큰 양모 망토나 상의는 크 고 두꺼우며 튼튼하여 겨울에는 추위를 막고, 비 오는 날에 피할 수 있으며, 야간에는 몸에 감아 이불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자수로 수놓은 큰 옷자락의 옷을 입고, 검정색 가방머리와 귀고리를 하고, 옷깃에는 은테가 있다. 소량산(小凉山)과 운남 의 이족이 치마를 즐겨 착용하나(Fig. 10), 다른 지역의 이족 여성들은 모두 바지를 입으며 바지에는 정교한 레이스가 수놓아져 있다(So & Kim, 2008; Fig. 11).
백족(白族, Bai)의 남녀는 보편적으로 흰색을 숭상 하며 즐겨 입는다. 대리 지역의 백족 남자들은 흰색이 나 파란색 휘감기는 바오터우(包头)를 착용한다. 다른 지역의 백족 남성들은 머리에 과피 모자를 쓰고, 크고 짧은 상의를 입는다. 백족 여성 복식은 색상과 광택이 밝고 아름답다. 대리 일대의 부녀자들은 흰 상의나 붉 은 어깨, 연한 하늘색 상의에 줄무늬가 있는 검은 조 끼를 입는다(Zhang, 2012; Fig. 12).
하니족(哈尼族, Hani)의 복식은 계단(梯)식 농경 생 산에 영향을 받았으며, 사회이념과 생활방식에 의해 복식의 양식이 결정되었다. 검은색의 숭상은 긴 이동 과정에서 형성된 역사의 무게와 심미적 요구, 사회역 사 문화의 발전 정도, 여성스러운 표현과 관계가 있 다. 계단식 농업의 주요 생산 방식에서 검정색은 고산 농경 생산자에게 보온, 내장, 내마모성 등의 분야에서 모두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오른쪽 저고리 를 입고, 은색으로 단추를 만들고, 바지를 입고, 그 위 에는 레이스 장식을 두른 조끼를 입고, 자수로 허리를 감싸고 있다. 무릎길이의 주름치마에 바지선에 꽃과 다리걸이를 하고 있다(Lu, 2011; Fig. 13).
태족(傣族, Dai)은 윈난성 서쌍판나(西双版纳), 덕 홍(德宏), 겅마(耿马), 맹련(孟连), 경곡(景谷), 신평(新 平), 원강(元江), 김평(金平) 등, 열대 지대와 온도가 비 교적 높은 댐지구(坝区)에 분포한다. 서쌍판나 태족 여성은 흰색과 붉은색의 코르셋을 착용한다. 발을 덮 을 정도로 긴 스커트를 입고, 은색 허리띠를 허리에 많이 매어 멋스러움을 더했다. 덕홍주 릴리(瑞丽) 등 지의 태족 여성의 복장은 치마 색상이 화려하고, 상의 가 비교적 짧으며, 아름답고 발랄해 보인다(Fig. 14). 망시(芒市)와 영강(盈江), 용천(陇川)과 양하(梁河) 일 대의 여성복은 상의와 소매가 좁은 짧은 셔츠를 입고, 아래에는 검정색 슬림한 스커트를 입고, 허리벨트를 한다. 보이(普洱) 일대의 태족 여성들은 하체에 검은 색 통치마를 입고, 대부분 파란색과 검은색 상의와 깃 이 넓은 의상을 착용한다(Zi, Wang, & Jiang, 2015).
4) Characteristics of minorities costume in south central China
토가족(土家族, Tujia) 여성은 일반적으로 만금(满 襟)과 대금(对襟)의 옷을 착용한다. 만금은 라운드 네 크라인이며 소매는 크고 짧다. 소매, 가슴, 옷깃은 컬 러풀한 천과 색실로 자수를 놓는다(Fig. 15). 만금은 왼쪽 여밈과 오른쪽 여밈 두 가지며, 단추는 천으로 만든다. 바짓가랑이가 넓고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 은 바지 위에 수를 놓는다(Lu, 2011).
동족(侗族, Dong)은 남동과 북동으로 구별된다. 남 부 동족의 복장은 매우 정교한데, 여성들이 수를 잘 놓는다. 동금(同衾), 동포(同袍), 꽃 자수 등의 수공예 가 특징이다. 여자들은 옷깃이 없는 대금의(大襟衣)를 착용하며 옷깃과 소매에 정교한 자수를 두었는데, 봉 황새를 위주로 간간히 구름무늬, 화초무늬 등이 나타 난다. 상투에 링비녀와 은비녀를 하며, 용춤봉이 달린 은관, 여러 겹의 은색 목걸이와 귀걸이, 팔찌, 허리 펜 던트 등으로 장식한다(Fig. 16). 남성 복식은 파란색 천의 차이나 칼라 상의에 벨트를 한다. 바지를 입고, 다리를 묶고, 짚신을 신거나 맨발로 활동하며 옷자락 등에 자수가 있다(Shi, 1998).
묘족(苗族, Miao)은 주로 꾸이조우(贵州)와 후난샹 시(湖南湘西)지역에 거주한다. 묘족의 복식은 자수 문 양, 염색, 은장식의 특징이 있다. 전형적인 묘족 복식 에서 남성은 대금(对襟)이나 좌임의 짧은 상의와 긴 바지를 입고 넓은 허리띠를 착용한다. 여성들은 크고 짧은 상의를 입었으며, 길이가 다양한 주름치마는 발 등을 덮고 짧은 치마는 무릎길이 정도이다(Fig. 17). 치마의 앞은 은장식으로 장식한다(So & Kim, 2008).
요족(瑶族, Yao)은 주거와 의복의 특성이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민족의 전통적인 특징을 줄곧 유지하고 있다. 요족 여성은 자수를 잘 놓아서 옷섶과 소매 끝, 끝부분에 모두 정교한 무늬가 수놓아져 있다. 남자는 주로 머리를 기르고 붉은 천이나 푸른 천으로 머리를 싸매고, 옷깃이 없는 긴 소매를 입고, 옷 위에 흰 천을 걸치고, 바지를 착용한다(Jin & Lee, 2020; Fig. 18).
문산(文山) 지역의 장족(壮族, Zhuang) 여성의 복식 은 단정하고 점잖으며, 소박하고 대범하다. 색상은 기 본적으로 검은색과 파란색을 위주로 하며 흰색도 있 다.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검은 스카프를 쓰고, 짙은 남색의 짧은 옷깃을 감추고, 오른쪽 옷자락을 넣어서 착용했다. 남성들은 일반적으로 검은색 당의복을 착 용했다(Kong, 2011; Fig. 19).
리족(黎族, Li)의 선조들은 수피(樹皮, bark)를 이용 하여 옷, 이불, 모자 등을 만들었으며, ‘수피포’의 복식 으로 불렀다. 리족의 복식은 과거 대부분 직접 염색, 방직, 직조, 봉제 작업을 하였으며, 염료는 산에서 식 물을 채집하여 사용하거나 광물도 사용하였다. 리족 남성은 일반적으로 옷깃이 없는 상의와 바지를 입고, 두건에 꿩 깃털을 꽂는다. 여성들은 검은 라운드 상의 를 입고 여러 가지 장식물을 장식한다. 소매와 밑단은 꽃무늬로 장식하고 앞뒤로 작은 비즈로 컬러 패턴을 완성했다(Pan, 2010; Fig. 20).
5) Characteristics of minorities costume in southeast China
서족(畲族, She) 남성들은 검정색을 숭상하여 허리 길이의 대금(对襟) 상의에 바지를 입고, 검은 천의 신 발이 소매 부리와 바지단의 남색 장식단과 조화되어 멋스럽고 자연스러운 풍취가 넘친다. 서족 여성의 복 장은 대부분 직조한 모시로 제작되었으며, 짙은 남색 과 검은색이 많다. 여성들은 모두 작은 앞치마를 두르 는데, 허리에는 합수건대(合手巾带)라 부르는 꽃띠를 두르고 옷과 앞치마에도 여러 가지 꽃과 새와 짐승, 기하학 도안 등을 수놓아져 화려하다. 일부 지역의 서 족들은 검은 치마를 입고, 뾰족한 자수 신발을 신었다 (So & Kim, 2008; Fig. 21).
대만 고산족(高山族, Gaoshan)은 전통 의복의 색채 가 선명하고, 붉은색, 노란색, 검정색을 주로 사용한 다. 남자들은 허리치마, 투피스, 두루마기, 관모(冠毛) 등을 착용한다. 여자들은 짧은 치마, 앞치마, 무릎 바 지 등을 착용하고, 옷 외에도 장식물, 관, 팔장식, 발장 식 등과 꽃으로 화환을 만들어 춤을 추거나 차려입을 때 머리에 직접 쓰며 그 모습이 아름답다. 대만 고산 족의 장식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신분의 상징이다 (Baidu Encyclopedia, n.d.a; Fig. 22).
Ⅲ. Formal Characteristics of Headdress in Chinese Minorities
중국 소수민족 복식에서 머리 장식은 큰 특징으로 단순한 장식물만이 아니라, 복식미의 핵심이자 상징 물이다. 중국 소수민족의 머리 장신구 유형을 살펴보 면, Wang(2015)의 연구에서는 랩 스타일의 포두(包 头)와 모자, 머리띠형 머리장식으로 분류하였으며, Wang and So(2017)는 두건, 모자, 두파(頭帕) 및 기타 머리쓰개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선행연구 분류 기준으로 두건형, 모자형, 머리띠 형, 머리쓰개형으로 한정하여 문헌과 선행연구, 웹사 이트를 활용하여 20개 소수민족의 자료 총 1,126개를 수집되었다.
두건형은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휘감는 ‘바오터우 (包头)’라고 부르며, 넓은 원단이나 띠 형태를 머리 위 에 휘감아 착용하며 크기와 형식이 각기 다르게 형성 한다. 각 민족의 전통, 종교, 신앙 등 역사적인 요인과 관련이 있다. 모자는 다양한 형식과 장식을 활용하여 풍부한 형태를 보여 주며 명칭도 다양하다. 머리띠형 은 머리에 두르는 형식으로 머리 전체를 덮지 않고 반 달 모양이나 띠 형식으로 장식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형태적 특 성을 중국 소수민족 중 다양한 머리 장신구 문화를 가 진 요족의 머리 장신구에 대해 연구한 Zhang(2007)의 연구를 바탕으로 보탑식(宝塔式), 수평식(平顶式), 원 통식(圆筒式), 방관식(方冠式), 첨정식(尖顶式), 범선식 (帆船式), 원반식(圆盘式)의 형식에 두대식(头带式), 두 개식(头盖式)을 추가하여 9가지의 형태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 중 가장 많이 나타난 형태는 수평식으로(30.1%) 소수민족들의 머리 장식에 전반 적으로 골고루 나타나는 형태이다. 머리에 두르는 두 건 형태와 수건식 쓰개 형태를 포함하는 형태를 포함 하여 많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많이 나 타난 형태 유형은 원통형으로(20.9%) 기본적인 모자 형의 형태로 많이 착용하고 있다. 보탑식 형태도 소수 민족 고유의 형태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장식하여 모 자 형태로 착용하고 있으며, 방관식 머리 장신구도 사 각형 형태의 과장형 형태로 장식하여 소수민족의 특 성을 드러내고 있다(Table 2).
중국 각 지역의 소수민족들의 머리 장신구 형태를 살펴보면, 소수민족별로 각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 다. 수평식은 두건형, 머리쓰개형, 머리띠형을 포함하 고 있어 민족별로 많이 나타나며 리족, 장족, 이족, 고 산족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원통식은 기본 둥근 모자 형태를 가지고 있는 형식으로 백족, 위구르족, 토가족 등에서 착용되고 있으며 주로 남성들의 모자 형태에 나타난다. 보탑식은 둥근 형태위에 장식을 쌓 아올린 형태로 동족, 묘족, 서족 등의 소수민족들이 착용하는 형태이다. 방관식은 종이나 빳빳한 소재로 형태를 만들어 그 위에 원단이나 실 등의 다양한 장신 구를 덮어 제작되는 형태로 만족의 여성들과 토족의 머리 장신구에 보여진다. 두대식은 모자나 두건 등의 형식은 없지만 다양한 장식으로 제작하여 머리에 씌 우는 형식으로 몽골족과 좡족의 머리 장신구에서 많 이 볼 수 있는 형태이다. 두개식은 무슬림 여성들이 착용하는 머리쓰개 형식으로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은 회족, 위구르족, 동향족 여성들의 머리쓰개 장식이다. 원반식은 커다란 둥근 접시 모양의 형태로 태족의 머 리장신구가 특징적이며 토족의 머리 장신구에서 많이 보이고 있다. 첨정식은 원뿔 형태의 모자 장식으로 태 족 여성들이 주로 착용하고 있다, 범선식은 나무나 대 나무로 머리 위에 기둥을 쌓아 올리고 그 위에 천이나 실 등 다양한 장식들로 장식하는 형태로 소수민족 머 리장신구 중 가장 과장된 형태를 나타내며, 요족 여성 들의 머리 장식에 주로 나타난다.
소수민족의 머리 장신구는 남성, 여성 모두 착용하 고 있으며, 남성들은 주로 두건형과 모자형으로 나타 나 여성형보다는 단순한 머리 장식을 착용하고 있으 나 소수민족별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수집자 료 중 225개(20%)가 남성용 모자 장식이었으며, 사냥 을 주로하는 오르촌족 남성들의 보탑식 모자, 무슬림 종교 민족의 회족, 위구르족, 동향족의 사각원통형 모 자, 토족 남성들의 원반형와 두건형 등이 나타났다.
1. Horizontal type
중국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수평식 형태는 주로 두건형과 머리띠형, 머리쓰개 형태를 포함하는 머리 장신구로 소수민족들에게 골고루 착용하고 있는 형태로 가장 많이 나타난 머리 장신구 형태이다. 리족, 이족, 좡족, 고산족 소수민족들이 착용하는 걸로 나타났다.
두건형의 수평식 머리 장신구는 이족의 남성 여성 모두의 머리 장식으로 나타났다. 두건형은 머리를 머 리 위로 묶고 푸른색, 또는 소수민족들이 선호하는 색 의 수건이나 띠 형태로 머리를 감는다. 젊은 여성들은 검은 천으로 바탕을 두르고, 그 위에 채색 무늬를 수 놓았거나 수건의 위아래에 은포로 장식을 한다, 이러 한 장식은 여성들이 솜씨를 뽐내는 기회가 되기도 한 다(Fig. 23).
리족도 남, 여성 모두 두건형을 활용하며 순색 또 는 자수로 장식된 검은 스카프를, 좁은 폭의 천으로 휘감으며, 귀 한쪽에 빨간색이나 녹색 실로 장식하기 도 했다(Fig. 24). 요족 남성이 착용한 수평식 머리 장 식은 자수 끈으로 모자형을 만들고, 정면에 자수 테이 프를 교차시켜 네모난 모양의 자수로 그 위를 덮는다. 자수 수건의 좌우와 뒷부분에 채색 실과 오색 구슬을 매달고 있다(Fig. 25). 요족 여성들은 10cm의 좁은 벨 트형 테이프 천으로 여러번 감아서 특유의 두건형과 머리띠형을 혼합한 형태를 보여준다(Fig. 26). 장족도 10~20cm 너비의 천으로 머리를 감다. 천 조각은 주로 짙은 남색으로, 위에 도안이 수놓아져 있으며(Fig. 27), 토가족은 머리 위로 2-3미터 테이프형 끈으로 휘 감았다. 토가족의 미혼여성들은 결혼 전에 두건형이 나 바오터우는 머리 장식은 쓰면 안 된다(Fig. 28). 백 족의 젊은 여성들은 흰색이나 다양한 색상의 원단으 로 머리전체를 감싸고 그 위에 땋은 머리로 고정한다. 머리를 감싼 원단에 여러 색의 털실 공으로 장식한다 (Fig. 29).
소수민족들은 과장된 머리 장식으로 비연식(飞檐 式)이나 인자식(人字式)으로 불리는 장식을 활용하기 도 하는데, 묘족은 상투에 직접 소뿔 모양의 은괴 한 쌍을 꽂아 머리장식을 하기도 하고(Fig. 30), 길이 3장, 폭 이 큰 청색 천를 두건형으로 둘러 동그라미 모양을 만들고, 좌우 귀에서 인자형을 묶는다(Zhou, 2011). 이러한 형태는 인자형 머리 장식이라고도 한다(Fig. 31).
2. Cylinder type
원통형은 둥근 모자 형태를 기본으로 다양하게 변 형시킨 형태들의 머리 장신구로, 원통형 역시 기본 모 자형으로 다양하게 소수민족들에게 나타나고 있다. 백족의 모자 형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위구르 족 남성들의 둥근 사각 모자와 토가족에게 많이 착용 되고 있었다.
이족의 여성들은 원통형 머리장신구로 계관모라고 도 불리는 특유의 모자를 착용한다. 수탉이 악마를 제 압한다는 전설과 관련이 있으며 수탉모(公鸡帽)라고 도 불린다. 모자 위에 작은 크기의 은포 장식이 있어 별과 달을 표현하는 의미로 장식된다(Dai, 2004; Fig. 32). 또한 채색 비단으로 된 둥근 모자형에 은장식과 태슬을 장식한 모자를 착용하기도 한다.
원통 형태는 화려한 은장식의 은모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묘족은 화려한 복장에 은모를 착용하며 은색 장식과 다양한 모양의 동물, 조류, 나비, 은방울로 구 성되어 있다(Li, 2016; Fig. 33) 토가족도 머리 장식 중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머리장신구가 은모이며 구구모(箍箍帽)라고도 부르다. 모자 앞에는 은장식이 있고 양족에 용과 봉황의 형태들을 넣어 장식했다. 또 한 토가족도 은모 외에도 원통 모양으로 채색 무늬를 수놓아 은 장신구를 장식한 모자를 착용하기도 한다 (Fig. 34).
요족은 다양한 머리장신구를 착용하는데 원통식 모자는 유동나무 껍질로 원통 모양으로 만든 후에, 수 직으로 황록색 줄무늬를 칠하고, 다시 기름을 바른 후 오색 구슬로 장식한다. 귀쪽 뒤로 리본을 맨다(Jin & Lee, 2020; Fig. 35). 고산족 여성 노인은 원통형 모자 에 깃털, 동물의 뼈 등으로 다양하게 장식된 모자를 착용한다(Fig. 36). 하니족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 의 둥근 모자를 쓰고 대부분 모자챙은 은포, 은괴, 비 즈로 장식하며 자수와 태슬로도 화려하게 마무리한다 (Fig. 37).
오르촌족은 모전모라 불리는 털모자를 착용하는데, 그 가공이 정교하고 아름답다. 여자들은 보통 모자챙 과 모자의 안쪽에 고급 모피를 씌운다. 털 겉면은 수 를 놓아 아름답게 장식하고, 모자챙에도 색 수를 달고 머리 뒤쪽까지 장식되어 있다. 모자의 챙은 날씨의 온 도에 따라 뒤집어지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Yang, 2012; Fig. 38).
중국 소수민족 중, 회족, 위구르족, 동향족은 이슬 람 문화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형태의 모자를 착용한 다. 회족 남성들은 일반적으로 백모라고 불리는 흰색 의 둥근 모자를 쓰고, 머리 위에 있는 전량을 덮는다 (Wang, 2014; Fig. 39). 위구르족 남성들은 자수가 있 는 작은 모자를 쓰고 있는데, 삼각형 네 개로 구성되 었으며, 각선 네 개로 돌출되어 입체감이 있어 접을 수 있다(Abulikemu, 2014; Fig. 40). 동향 족 남성들은 흰색과 검정색의 호모(号帽)를 즐겨 착용한다(Xiao, 2009). 몽골족 남성은 아래는 좁고 위가 넓은 모자를 주고 착용한다(Fig. 41).
3. Pagoda type
보탑식은 둥근 형태 위에 장식을 쌓아 올린 형태 로, 머리 장식은 높이가 높고 위로 탑의 형태로 제작 된 형태가 주를 이룬다. 실크와 오색 구슬 등으로 장 식하며, 동족, 묘족, 서족 등의 소수민족들이 착용한다. 묘족의 보탑식 머리 장식은 비연식 은각(银角)에서 발전한 것으로, 은장식 표면에 이룡희주(二龙戏珠) 도 안이 있고, 은장식 상단에는 날고 싶은 은빛 잠자리나 은빛 나비가 장식되어 있다(Li, 2016; Fig. 42). 동족은 보탑식 머리 장식을 많이 착용하는 소수민족으로 대 부분 은장식으로 되어져 있다. 은으로 된 머리장식 틀 에 꽃이나 새 모양의 은비녀를 많이 꽂아 높게 올려 장식한다(Dai, 2004; Fig. 43).
요족의 보탑식 머리 장식은 높이가 1척이나 되며, 다양한 색의 수건을 10개로 접고, 실크와 오색 구슬로 장식한다(Zhang, 2007; Fig. 44). 서족의 머리 장식은 대나무 뿌리로 만들어졌으며, 청색 무명으로 진주와 은박으로 싸여 있었다. 머리 장식 정면에는 삼각형으 로 3-4개의 은괴가 박혀 있고, 양쪽에 각각 20cm 정도 의 진주 사슬이 달려 있으며, 각 사슬 끝에는 은박 테 가 달려 있다(Fig. 45). 몽골족의 구구식(固姑冠) 보탑 형 머리 장식은 높고 얇은 호리병 모양으로, 자작나무 껍질로 만들어진다. 다양한 꽃 패턴의 원단으로 자작 나무의 틀을 감싸고, 구슬이나 깃털로 장식된다(Dai, 2004; Fig. 46).
4. Square crown type
방관식은 나무나 빳빳한 소재로 형태를 만들어 그 위에 원단이나 끈 등의 다양한 장신구를 덮어 제작되 는 형태로 만족의 여성들과 토족들의 머리 장신구에 서 보여진다. 만족의 방관식 머리 장식은 흑단, 융, 면 사로 ‘두반(头板)’이라고 하는 ‘不’자형 판을 만들고, 머리 위에 상투 틀어 두반의 정 중앙에 채색 비단 꽃을 달아 고정시켜 장식하는 머리 장신구이다(Fig. 47). 토 족은 가죽으로 장신구의 뼈대를 만들어 딱딱한 종이와 금속장식을 붙이고, 가장자리에 구슬로 장식한다(Fig. 48). 요족의 방관식 머리 장식은 긴 박스 형태로 정사각 형의 천을 잘라서 압착하여 겹쳐 박스 형태를 만드는 데 최소 80층 이상이라고 한다(Zhang, 2007; Fig. 49).
이족의 방관식 머리장식은 대판모(大盘帽)라고 불 리운다. 대오리로 원반을 만들고 검은 천으로 꿰매어 아래쪽 작은 입구를 머리에 씌운다. 이런 대판모(大盘 帽)는 헤이이(黑彝)만 쓴다(Baidu Encyclopedia, n.d.b; Fig. 50). 묘족은 커다랗고 긴 모자 형태 위에 짙은 남 색 천으로 머리를 감싸기도 하는데, 전체적으로 수평 형과 같은 두건 형태를 높게 쌓아올린 형태이다. 머리 장식의 맨 위에 은장식으로 장식하기도 하며 다양한 장식을 활용한다(Zhou, 2011; Fig. 51).
5. Head belt type
두대식의 머리장식은 머리띠 형식의 장신구로 머 리 아래쪽으로 화려한 구슬 장신구들로 제작된다. 몽 골에서 어얼둬쓰(鄂尔多斯)는 머리띠라 불리우며, 몽 골족 여성들과 장족이 주로 착용하는 형태이다. 동향 족 오르촌족의 머리 장신구에서도 과장되지 않는 형 태로 착용되고 있다.
어얼둬쓰 여성 머리장식은 몽골족 여성들 사이에 서 럭셔리한 스타일로 꾸며졌다. 궁중머리 장식의 전 통적인 양식이 그대로 전해지고 있으며, 머리 장식의 구성은 머리봉과 헤어커버로 되어 있고, 왼쪽 오른쪽 에 각각 1개, 헤어봉이 달려 있다. 머리밴드는 몽골어 로 “아일포치”라 부르며, 검은 융단을 밑바탕으로 감 싼 두 가닥의 머리 부분부터 은장식, 은장신구에 붉은 산호와 구슬을 두 가닥으로 엮었다. 머리꼭지 양쪽에 흩어져 있는 구슬 ‘액식’은 은구슬, 산호, 송석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산호를 박은 펀칭 원형 실버 장식을 한다(Lu, 2016; Fig. 52).
장족도 과장된 헤어네트(辫套)라 불리는 두대식 형 태의 머리 장신구를 착용한다. 헤어네트는 대부분 너 비가 넓고 길어 그 장식이 매우 화려하다. 여성들은 장식을 쌍쌍이 가슴에 달거나 뒤에 달고, 앞과 뒤에서 모두 쓰고 있다. 치리엔산(祁连山) 동쪽 끝에 사는 장 족 여인의 머리채는 가죽과 검은 천으로 만든 것으로, 그 위에 조개껍질, 산호, 은화로 장식하고 있다. 옥수 (玉树) 지역의 장족 여성들은 머리를 길게 땋아 뒤로 늘어뜨리고, ‘랍박(蜡珀)’이라는 밀랍(米蜡)과 산호로 만든 머리 장식으로 하여 매우 화려한 모습을 보여준 다(Wei, 2016; Fig. 53).
6. Head cover type
두개식 머리 장식은 이슬람 문화 여성들의 복식에 서 영향을 받은 머리 장식으로 머플러나 보자기 형태 의 머리쓰개 형식이다. 중국 소수민족 중에서 회족, 위구르족, 동향족이 무슬림 여성들의 복식 영향을 받 아 착용하고 있다.
회족의 젊은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녹색의 두개를 착용하고, 미혼의 여성들은 머리 장식에 자수 테두리 와 도안을 수놓는다. 중, 노년 여성은 푸른색이나 검 은 두개를 착용한다(Fig. 54). 동향족 여성들도 일반적 으로 두개를 쓰고 얼굴만 드러낸다. 두개는 녹색, 검 정색, 흰색의 세 가지 색깔로 나누어져 있다. 소녀와 신혼여성은 녹색 비단과 녹색 공단의 두개를 쓰고, 중 년 여성은 검은 두개를 쓰며 노년 여성은 흰색 두 개 를 착용한다(Fig. 55). 동향족과 회족 여성들은 흰색의 둥근 모자를 쓰고 두개 장식을 하기도 하며, 두개는 안쪽은 머리 전체를 감싸고 바깥쪽은 머리에서부터 어깨를 덮는 형식이다(Wang, 2014).
위구르족의 여성들의 두개 장식은 종류가 많은데, 꽃무늬가 많고 비교적 화려하며 술 장식을 활용하기 도 한다. 재료는 실과 비단을 많이 사용한다. 두개 장 식은 머리 위에 덮은 후, 귀 뒤쪽 머리끝에서 눌러준 다. 종교적 이유 외에 신 지역에 바람이 많기 때문에 모 래바람을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흰색이 나 짙은 색의 무늬가 없는 두건을 착용한다(Magepati, 2017; Fig. 56).
7. Disk type
원반식은 비행접시식(飞碟式)(Zhang, 2007)으로 분 류되기도 하며, 본 연구에서는 원반형으로 분류하였 다. 태족의 모자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가장 자리가 올라간 들뜬 접시 모양이 특징이다. 모자 중간 에 봉긋한 형태가 특징이며, 앞쪽으로 비스듬히 쓴다 (Liu, 2013; Fig. 57). 하니족의 원반식 머리 장식도 태 족과 비슷한 형태로 먼저 흰 부파를 쓰고, 머리 위에 원반 모양의 모자를 쓰고, 모자 좌우에 리본를 사용하 여 장식한다(Fig. 58).
요족의 원반형 머리 장식은 머리띠를 원반 모양으 로 돌려서 위로 넓어지게 만들어 채색 구슬로 장식하 고, 한쪽에는 채색 리본을 장식한다(Fig. 59). 토족들 의 원반형 머리 장신구 모자는 솥뚜껑과 같아서 솥뚜 껑모자(锅盔帽)라고 부른다. 보통 검은색 양모 펠트로 되어 있으며 모자 가장자리에 채색 견직물과 여러 가 지 줄무늬가 있다. 중년 여성의 모자 가장자리의 색은 비교적 밝고, 노인의 모자 가장자리의 옷감 색깔은 일 반적으로 진하다. 모자 가장자리를 위로 젖혀 올린다 (Deng, 2015; Fig. 60).
8. Ogival type
첨정식은 원뿔 형태의 머리장식 모자형으로 태족 의 머리 장식 모자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태족의 대 나무로 만든 첨정식 모자는 지름이 약 40cm이며, 모자 가장자리에 붉은색이나 다양한 색을 칠하여 장식한다 (Liu, 2013). 첨정식 모자를 앞쪽으로 쓰고 머리 뒤쪽 에 다양한 장신구로 장식하여 아름답게 표현한다(Fig. 61). 묘족의 검은 첨정식 모자는 받침 머리와 뾰쪽한 원뿔 형태의 모자 두 부분으로 나뉜다. 진한 남색 천 으로 머리를 뾰족하게 감은 다음 채색 도안이 수놓아 진 머리띠를 착용하고 꼭대기에 붉은 실로 장식하다 (Zhou, 2011; Fig. 62). 요족의 첨정식 모자는 머리 위 에 올리는 수건형 패드와 뾰족한 수건으로 장식된다. 패드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위에 채색 실로 색채가 풍 부한 금색 줄무늬 테두리를 수놓다. 착용할 때는 먼저 수건을 쓰고 패드을 올린다(Zhang, 2017; Fig. 63).
몽골족의 남성들은 화려한 옷차림에 원통형 모자 에 원뿔 형태를 합친 형태의 첨정식 모자로, 머리 장 식 주변은 은으로 장식한다. 윗부분은 리본으로 장식 한다(Fig. 64). 만족의 뾰족한 모자는 일반적으로 청조 관원이 착용한다. 여름 모자(凉帽)라고 부르며, 나팔 모양으로 덩굴, 대나무 등으로 만들다. 꼭대기에 붉은 술 장식이 있다(Fig. 65).
9. Sailboat type
범선식은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에서 볼 수 있는 형 태 중 가장 과장형 형태이다. 요족 머리 장식에 주로 활용되며 기혼 여성들이 착용하는 삼각형의 고깔모자 이다. 돼지기름과 비즈왁스로 머리카락을 높이 올려 묶 고 천으로 싸서 푸른색의 수놓은 수건을 덮는다(Zhang, 2007). 지역에 따라 흰 천으로 덮기도 하며 오색 리본 으로 장식하기도 한다. 요족의 머리장식 중 인자형으 로도 분류되는 형태들도 나타난다. 수놓은 천으로 머 리를 감으면 사다리꼴이 된다. 다시 세 가지의 인자 모양 대나무로 지탱하고, 윗면이 우뚝 솟아 있으며, 그 위에는 반짝이는 실과 장식들이 달려 있다(Fig. 66). 이족의 범선식 모자는 모양이 불분명한 큰 형태 로, 겉모양은 윗부분이 크고 아랫 부분이 작다. 내부 는 대나무로 짜고 겉은 검은 천으로 덮여 있다(Fig. 67).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복식의 중요한 구성 부분 인 머리 장신구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 하여 그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장신 구 디자인의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국 의 소수민족은 각 민족별로 다양한 머리 장식을 가지 고 있으며, 소수민족 복식미의 핵심이자 상징물로 특 유의 독특한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중국과 한국의 문헌 자료 및 선행연 구를 통하여 소수민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 며, 문헌 및 웹사이트를 활용하여 분석 자료를 수집하 였다. 자료 수집 범위는 중국 각 성시의 소수민족 중 총 20개의 대표적 소수민족으로, 중국 각 성시별 지역 을 북부와 동북부, 서북부, 서남부, 중남부, 동남부의 5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정리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 집은 머리 장신구는 선행연구 분류 기준으로 두건형, 모자형, 머리쓰개형, 머리띠형으로 한정하였으며 20 개 소수민족의 사진 자료 총 1,126개가 수집되었다.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의 형태적 특성은 수평식(平顶 式), 원통식(圆筒式), 보탑식(宝塔式), 방관식(方冠式), 첨정식(尖顶式), 범선식(帆船式), 원반식(圆盘式)의 형 식에 두대식(头带式)과 두개식(头盖式)을 추가하여 9 가지의 형태적 특성으로 분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평식 형태는 주로 두건형과 머리띠형, 머리 쓰개 형태를 포함하는 머리 장신구로 소수민족들에게 골고루 착용하고 있는 형태로 가장 많이 나타난 머리 장신구 형태이다. 리족, 이족, 좡족, 고산족 소수민족 들이 착용한다. 둘째, 원통식은 둥근 모자 형태를 기 본으로 다양하게 변형시킨 형태들의 머리 장신구로, 원통형 역시 기본 모자형이라 다양하게 소수민족들에 게 나타나고 있었다. 백족의 모자 형태에서 많이 보여 지며 위구르족 남성들의 둥근 사각 모자와 토가족에 서도 착용되고 있었다. 셋째, 보탑식은 주로 둥근 형 태 위에 장식을 쌓아 올린 형태로 높이가 높고 위로 탑의 형태로 제작된 형태가 주를 이룬다. 실크와 오색 구슬 등으로 장식하며, 동족, 묘족, 서족 등의 소수민 족들이 착용한다. 넷째, 방관식은 나무나 빳빳한 소재 로 형태를 만들어 그 위에 원단이나 끈 등의 다양한 장신구를 덮어 제작되는 형태로 만족의 여성들의 머 리 장신구와 토족들의 머리 장신구에서 과장된 형태 로 나타난다. 다섯째, 두대식의 머리장식은 머리띠 형 식의 장신구로 머리 아래쪽으로 화려한 구슬 장신구 들로 제작된다. 몽골족 여성들과 좡족 복식의 머리 장 식에 나타나는 형태이다. 동향족 오르촌족에도 과장 되지 않는 형태로 착용되고 있다. 여섯째, 두개식 머 리 장식은 이슬람 문화 여성들의 복식에서 영향을 받 은 머리 장식으로 머플러나 보자기 형태를 머리에 쓰 는 형식이다. 중국 소수민족 중에서 회족, 위구르족, 동향족이 무슬림 여성들의 복식 영향을 받아 착용하 고 있다. 일곱째, 원반식은 태족의 모자 형태에서 두 드러지게 나타나며, 다음으로 첨정식도 원뿔 형태의 머리장식 모자형으로 태족의 머리 장식 모자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범선식은 소수민족 머리 장신구에서 볼 수 있는 형태 중 가장 과장형 형태로 요족 머리 장식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중국 소수민족 장신구는 자연환경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기후 지리 등 자연조건은 사람들의 생활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머리에 장신구를 형 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 민족 특유의 독특하 고 상징적인 장식 문화의 머리 장신구를 착용하고 있 다. 이러한 소수민족 장신구 문화에 대한 다양한 표현 방법, 상징적 의미 등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보존, 동 시에 현대적 활용 방안이 꾸준히 연구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