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3 pp.285-298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3.285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 of fashion products in a pandemic

Yeong-Hyeon Choi, Kyu-Hye Lee*
Ph. D. Candidate,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Professo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khlee@hanyang.ac.kr)

May 26, 2020 June 3, 2020 June 20, 202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fashion consumers’ awaren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ig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text min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user posts about fashion on Korean portal websites and social media during COVID-19. R 3.4.4, UCINET 6, and SPSS 25.0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researching the popular fashion-related topics during COVID-19, the prevention of infection and prophylaxis were significant concerns in the early stage (Jan 1 to Jan 31, 2020), and changed to online channels and online fashion platforms. Then, various topics and fashion keywords appeared with COVID-19-related keywords afterwards. Fashion-related subjects concerned prophylaxis, home life, digital and beauty products, online channels, and fashion consumption. In comparing fashion consumers’ awareness during COVID-19 with SARS and MERS, “face masks” was the common keyword for all three illnesses; yet, the prevention of infection was a major consumer concern in fashion-related subjects during COVD-19 only. As COVD-19 cases increased, the search volume for face masks, shoes, and home clothes also increased. Consumer awareness about face masks shifted from blocking yellow dust and micro-dust to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and short supply. Keywords related to performance turned out to be the major awareness as to shoes, and home clothes were repurposed with an expanded range of use.



팬데믹 상황에서의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 분석
- 코로나19 확산의 영향 -

최 영 현, 이 규 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박사수료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초록


    Hanyang University
    HY-201800000003181

    I. Introduction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2019년 12월 중국 특정 지역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자 2020년 3월 11일, 세계보건기구(WHO)는 1968년 홍콩독감, 2009년 신종플루에 이어 감염병 최고 등급인 팬데믹 을 선포했다(Prashad, 2020). 팬데믹(pandemic)은 세 계보건기구가 선포하는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으로,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를 일컫는다. 코로나19의 잠복기는 최대일 정도이며, 비말이나 접 촉을 통해 감염되고, 높은 전염성에 비해 치사율은 특 별히 높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자본주의는 코로나 19전과 후로 나뉠 것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D. S. Park, 2020), 코로나19는 전 산업부문에 걸쳐 큰 파 급력을 가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은 크게 감염환자가 GDP에 기여하지 못하게 되면서 생기는 질병으로 인 한 타격, 억제 정책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 심리적 타 격을 들 수 있다(Baldwin & di Mauro, 2020). 패션산 업에서는 물리적 이동이 제한되는 록다운(lockdown) 으로 인해 새 옷을 입고 나갈 이벤트가 없어지면서, 소비자들의 기대․소비 심리가 위축되었고, 패션제품 에 대한 수요가 필연적으로 낮아지게 되었다. 전 세계 적으로 패션기업과 유통업체들이 큰 타격을 입게 되 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패션기업 갭(GAP)이 다음 시즌 제품 주문 전량을 취소한다고 파격 발표하 였으며, 유명 백화점과 편집숍들이 잇달아 폐업하거 나 파산하였다(Santamarina, Bhattarai, & Uhrmacher, 2020). 패션업계의 큰 행사인 파리, 밀라노, 런던, 뉴 욕의 4대 패션위크 모두 취소되거나 연기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각 산업에서 지금까지 없었던 역 대급 경제하락이 이어질 것이라는 경제지표가 곳곳에 서 쏟아져 나오면서 국내의 패션기업들은 이를 극복 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국내 패션업계 에서도 성장보다는 생존에 초점을 맞추었고, 매출부 진 사업 정리, M&A, 조직슬림화 개편 등 영업 손실의 최소화를 위한 움직임을 보였다. 일부 패션기업은 영 업 손실 규모 축소와 자산 효율화를 위해 전체 매장 점포 중 비효율 점포를 정리하였고, 오프라인 매장을 아예 점진적으로 정리하고, 온라인 브랜드로 육성할 계획을 밝히기도 하였다(J. M. Lee, 2020). 오프라인 유 통업체에서는 판매전략에 있어서 매장에서 온라인 상 품을 관리하는 ‘off-online’ 판매전략을 수립하여, 최소 한의 매출 확보에 집중하기도 하였다(Ahn, 2020).

    반면,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non-contact) 소비가 확산되면서 온라인 기반의 패션유통업체들은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코로나19의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을 장려하면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유입된 신규 고객 수와 앱 다운로드 횟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무신사 애 플리케이션의 경우, 다운로드 수가 전년 대비 23% 상승하였으며, 이어서 에이블리와 지그재그도 각각 18%, 15% 가량 상승하였다(NHN ACE, 2020). 또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위기가 절정이었던 지난 2월 한 달간 대형 패션기업들의 온라인 쇼핑몰이 매출이 전 년 대비 평균 150% 이상 올랐으며, 온라인 패션플랫 폼 기업들의 매출도 전년 대비 130%~200%가량 증가 했다(E. Y. Kim, 2020). 온라인 유통채널 기반의 패션 기업들은 옴니채널화 추진, 디지털 마케팅과의 연계, 라이브 쇼핑과 같은 온라인 콘텐츠에 집중하는 비대 면 판매 전략을 통해 코로나19의 위기 속에서도 지속 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중세 유럽의 흑사병의 결과로 인해 부르주아가 생 기고, 르네상스가 태동하는 계기가 되어 산업혁명이 발생했듯이, 전염병은 새로운 변화의 국면을 맞이하 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Editorial Department, 2020).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자들의 소비 흐름이 변화하기 시작하였으며, 패션기업들의 유통 판로가 바뀌고 있 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오프라인 패션기업들 은 매출하락이 있었으나(E. Y. Kim, 2020), 이와 반대 로 온라인 패션플랫폼 기업들의 매출이 신장되었다는 점은 패션산업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를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를 중심으로, 감염병의 발생에 따라 패션에서 나타나는 소비자들의 주요 관 심 주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감염병 발생 기간에 주목받는 패션제품과 이에 대한 소비자 인식 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코로나19 상황 속 패션 관련 주요 토픽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둘 째, 사스(SARS), 메르스(MERS), 코로나19(COVID-19) 상황 속 패션 소비자들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셋째, 코로나 전후 주요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을 비교하고자 한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은 패션 산업의 매출과 소비자들의 패션 소비에 큰 영향을 미 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감염병과 패션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염 병과 패션 소비에 대한 접근을 통해 의류학 연구에 다 양성을 더하고, 코로나19 시대에 패션 소비자의 인식 과 소비행동 분석을 통해 패션기업의 전략방향 수립 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Ⅱ. Theoretical Background

    1. Change of fashion industry in COVID-19 situation

    코로나19로 인해 외출을 자제하는 소비자가 증가 하면서, 필수 소비재가 아닌 패션제품의 소비가 급격 히 줄어들게 되었다. 코로나19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패션업계는 임원 임금 삭감과 같은 비상 경영 체제의 도입, 필터 교체형 마스크를 제작, 온라인 몰을 통한 판매, 당일배송 서비스 시스템 등 다양한 자구책을 마 련하였다(Y. E. Kim, 2020).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소비가 확산하면서 패션기업의 온라인 플랫폼 진출이 증가하였는데,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에 MCM, 폴로 랄프로렌, 톰보이, 쥬시꾸띄르, 덱케 등과 같은 명품과 패션 대기업 브랜드의 입점이 증가한 것 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E. Y. Kim, 2020).

    패션 소비 트렌드에도 변화가 나타났는데, 코로나 19로 인해 외부 활동보다는 집이나 근처 마트, 공원 등 집 가까운 곳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면서 홈웨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2020년 3월을 기 준으로 남녀 패션 카테고리의 판매량을 파악한 결과, 여성은 레깅스, 트레이닝 팬츠, 카디건, 루즈핏 티셔 츠의 판매가 증가하였고, 남성은 트레이닝복 세트, 캐 주얼 팬츠, 반팔 티셔츠 등의 품목의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Song, 2020). 일상복에서도 잘 차 려입은 포멀룩보다 신경 쓰지 않은 듯 스타일리시한 패션이 각광 받고 있다. 하이힐 대신 스니커즈와 운동 화를 신고, 불편한 셋업 수트보다는 원피스나 캐주얼 룩에 재킷을 매치하는 스타일링이 인기를 끌었다(G. H. Kim, 2020).

    코로나19로 인해, 패션쇼의 형식도 변화하였다. 전 통적인 패션하우스들의 패션쇼가 디지털 영상을 통한 비대면 패션쇼로 진행되었다. 2020년 Fall/Winter 패 션위크에서 조르지오 아르마니는 온라인을 통해 무관 중 패션쇼를 생중계했으며, 샤넬도 브랜드 역사상 최 초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중국 상 하이 패션위크는 모든 행사를 디지털로 진행하였으 며, 티몰과 협업해 런웨이를 통한 패션쇼와 제품을 상 세하게 보여주는 디지털 쇼룸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Yoo, 2020).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행사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면서, 직접 패션쇼장에 가지 않아도 전 세 계 누구나 동시간대에 디자이너 패션쇼를 즐길 수 있 게 되어, 결과적으로 패션쇼의 주체가 확대되는 계기 가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텍스트마이닝은 대규모의 텍스트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와 지식을 추출하는 정보 기술로, 대용량의 데이 터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정보를 키워드 수준 이 아니라, 문맥 수준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프로세스 이다(Fan, Wallace, Rich, & Zhang, 2006). 웹과 소셜 미디어 게시글, 논문, 신문이나 잡지기사, 이메일 등 실생활에서 만들어지는 대부분의 자료가 분석 대상이 될 수 있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은 소셜 네트워크 분 석의 원리를 적용한 텍스트 분석방법으로, 특정 이슈 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단어들이 사용되어 의제를 구 성하는지 그 구조와 관계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Kim, 2017). 최근 이를 활용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 서 이루어지고 있으며(Chong, Kim, Lee, & Kim, 2019), 의류학 분야에서도 주로 소비자 인식이나 연관 이슈 를 알아보는데 활용되고 있다.

    Kim(2018)의 연구에서는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인 ‘프로젝트 앤’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An and Park(2019)의 연 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 기법인 CONCOR 분석을 통 해 소셜미디어에서 나타난 구찌의 패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변화에 따른 디자인 연관 이슈를 비교하였다. Choi and Lee(2019)의 연구에서는 패션과 뷰티 소비 에서 나타난 비거니즘에 대한 소비자 인식변화를 의 미 네트워크 분석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은 인터넷에 산재된 대용량의 소비자 게시글을 통해, 특정 현상에 대한 사람들의 인 식을 파악하기에 용이한 기법이다. 이를 이용하여, Choi and Lee(2020)의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들의 일본 패션제품 불매운동에 대해, 보이콧의 대상이 되 는 일본 패션브랜드와 함께 나타난 소비자 인식과 보 이콧의 대상이 되는 국내 및 해외 패션브랜드와 함께 나타난 소비자 인식을 비교하였으며, 불매운동 내에 서 나타나는 하위 주제를 분석하였다.

    코로나19와 관련하여, Oh and Jeon(2020)은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주요 이슈를 분석하였 는데, 중국과 관련된 키워드에서 대구, 신천지 키워드 로 중심 내용이 변화하고, 지역사회 2차 감염 관련 키 워드로 확산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슈의 변 화가 관찰되었는데,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전에는 중 국, 일본, 교민, 크루즈 등의 이슈가 부각되었으나, 확 산 이후에는 개인 보건 위생과 손, 물 등에 대한 키워 드가 주요 이슈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Ⅲ. Research Method

    1. Data collection

    코로나19 상황에서 패션에 대한 이슈를 다룬 인터 넷 뉴스와 칼럼, 블로그와 카페 게시글, 소셜미디어 게시글이 연구의 분석대상이며, 수집채널은 국내 포 털사이트로는 네이버와 다음, 소셜미디어로는 트위터 로 한정하였다. 수집기간은 중국이 세계보건기구(WHO) 에 중국 특정 지역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 환자 가 발생하고 있다고 정식으로 통보한 2019년 12월 31 일 이후부터 2020년 5월 30일까지로 한정하였다.

    전염병 전후의 패션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하 여, 코로나19 이전의 국내 전염병인 중증급성호흡기 증후군(SARS)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발생기 간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 내에 패션이 주제로 포함된 게시글을 수집하였다. 모두 코로나19의 수집채널과 동일한 채널에서 수집하였으며, 수집기간은 국내 첫 환자 발생을 기준으로 종식 선언이 이루어진 기간으 로 한정하였다. SARS는 2003년 4월 29일부터 2003 년 7월 7일까지, MERS는 2015년 5월 20일부터 2015 년 12월 23일까지 지속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 상황이 주요 패션 품목의 인식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병관리본부(www.cdc.go.kr) 를 통해 보도된 월별 확진자 추이를 분석 대상으로 하 였으며, 네이버 데이터 랩(Naver Data Lab.)에서 해당 키워드 검색 건수를 수집하였다.

    2. Measurement and research process

    데이터 수집은 R 3.4.4를 활용하였고, 네트워크 중 심성 분석과 시각화에는 Ucinet 6을 사용하였다. 수집 된 데이터는 분석에 불필요한 한 글자 단어, 문법적 오류, 조사와 어미의 삭제, 문장부호 제거, 특수기호 제거, 숫자 제거, 공백 제거 등과 같은 전처리를 통해 분석에 활용된다. 분석 품사는 명사로 한정하여 추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출된 전체 단어에 대한 출 현 빈도와 TF-IDF 값을 구하고, 단어와 단어가 행렬 구조를 갖는 매트릭스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매트릭스 데이터를 통해 의미 네트워크 분 석을 진행하게 되며, 중심성 측정을 통해 특정 단어의 위치와 영향력, 중요도를 파악한다. 본 연구에서는 코 로나19와 패션이 동시에 출현한 데이터에서 공출현빈 도를 기준으로 상위 200단어로 한정하여 중심성 분석 에 사용하였다. 중심성 지표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는 데, 이는 한 단어에 연결된 다른 단어들의 합으로 중 심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Kwahk, 2014).

    네트워크에서 나타난 주요 토픽을 분석하기 위해 CONCOR(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 분석 을 사용하였는데, 어떤 두 액터가 동일한 다른 액터들 과 동일한 연결관계를 가지면 두 액터들은 구조적으 로 등위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원리를 적용한 네트워 크 분석 기법이다(Lorrain & White, 1971). 구조적 등 위성의 측정은 다른 액터와의 연결관계 패턴의 유사 성 정도로 평가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상관계수를 통 해 측정하였다. 분석은 원자료가 되는 이진 매트릭스 로부터 각 행과 열에 대한 상관관계 값을 반복 계산하 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구조적으로 등위적인 행 위자 집단을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코로나19 확산이 패션 관련 키워드 검색량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요 키워드로 나타난 패 션 품목의 검색량과 월별 확진자 추이를 수집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변수 간 회귀분석 을 진행하였다.

    Ⅳ. Result

    1. Fashion-related topic changes in COVID-19

    1) Trend of monthly topic

    2020년 1월부터 5월까지 코로나19와 패션이 동시 에 출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기간에서 빈도수 기 준 상위 30개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Table 1). 모든 시기에서 ‘마스크’ 키워드는 압도적으로 높은 빈 도로 출현하여,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가장 중요한 안 전용품이자 패션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1월에 수집된 주요 키워드는 ‘마스크’, ‘예방’, ‘확 산’, ‘두려움’, ‘손’, ‘취소’, ‘세니타이저’, ‘증상’, ‘품귀 현상’, ‘손씻기’, ‘기침’, ‘정보’, ‘질병관리본부’ 등으 로 나타났다. 상위 30개의 단어 중, 전체의 46.6%(14 개)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방지 및 예방적 차원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 나19가 창궐하고 이로 인해 패션에 대한 소비자 인식 이 패션제품 그 자체보다는 코로나에 대한 우려와 함 께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월에 수집된 주요 키워드는 ‘영상’, ‘브이로그’, ‘온라인’, ‘인스타그램’, ‘무신사’, ‘온라인쇼핑’, ‘재택 근무’와 같이 온라인 채널 및 플랫폼과 관련된 주제어 가 전체 중 23.3%(7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2월은 중국 정부의 2019년 12월 31일 코로나19에 대한 발표 이후로, 이미 국내 확산이 가속화된 시점이다. 온라인 을 통한 언택트 업무처리와 온라인 등교가 활성화된 시기이고, 자연스럽게 패션과 관련해서도 이러한 흐 름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3월에는 직전 1월과 2월에 비해, 전체의 53.3%(16 개)에 해당하는 키워드가 패션제품, 패션행사, 패션모 델, 뷰티제품 등 패션과 관련된 주제어로 나타났다. 다양한 제품 및 뷰티 브랜드명이 출현하였는데, 코로 나19로 인해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서 내부 습기와 마찰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사람들이 늘 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뷰티제품을 신중히 탐색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Son, 2020). 또한, 패션과 관련된 주제로 ‘밀라노패션위크’, ‘나오미 캠 벨’, ‘동대문패션타운’, ‘완전무장’, ‘블랙’ 등의 키워드 가 출현하였는데, 패션모델 나오미캠벨의 경우, 공항 패션으로 방호복을 입으면서 주목을 받았으며, 동대 문패션타운에서는 코로나19의 확산방지를 위해 야간 현장상담소를 운영하면서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월에는 집에서 업무나 교육을 받는 시간이 길어지 면서, ‘영상’, ‘온라인’, ‘브이로그’, ‘집콕’, ‘온라인 쇼핑’, ‘인스타그램’, ‘홈웨어’, ‘방송’, ‘집콕패션’, ‘파자마’, ‘집콕족’, ‘페이스북’, ‘언박싱’, ‘재택근무’와 같이 집 안 생활과 관련된 주제의 키워드가 전체의 46.6%(14개) 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집 안에 콕 박혀 있는다’는 뜻으로 ‘집콕 / 집콕패션 / 집콕족’이라는 신조어가 출 현하였고, 이로 인해 집 안에서 편하게 입을 수 있는 홈웨어나 파자마가 중요한 주제로 언급되었다.

    5월에는 ‘마스크’, ‘영상’, ‘브이로그’, ‘거리두기’, ‘손’ 등 코로나19의 예방과 관련된 키워드와 함께 ‘한 혜진’, ‘디지털’, ‘디지털패션쇼’, ‘뷰티’, ‘몸매’, ‘여 행’, ‘휴일’ 등 다양한 주제의 키워드가 출현하였다. 한혜진의 디지털 패션쇼와 관련된 내용이 패션에서의 주요 주제로 나타났다. 특히, 5월은 근로자의 날, 석가 탄신일, 어린이날, 대통령 선거 등 공휴일이 있어 근 거리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생기면서, 패션에 있어 서도 이러한 키워드가 주요 주제로 언급되었다.

    코로나19 상황 속 패션에 대한 주요 키워드 추이를 살펴보면, 초기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에는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방지 및 예방적 차원 이 주요 이슈가 되었다가 점차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온라인 채널 및 플랫폼으로 그 주제가 변 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월부터는 코로나19 관련 키워드와 함께 패션 디지털 패션쇼, 유통채널, 일반적인 패션 관련 키워드들이 다시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품’ 키워드는 시기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상위 키워드로 출현하였다. 명품에 대한 관심이 코로나19 와 같은 전염병과 상관없이 패션 소비자의 관심사라 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명품 브랜드의 마스크 생산과 관련하여 출현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실제로,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 구찌, 프라다도 의류 공장의 일부를 마스크 생산라인으로 바꾸어 생산과 기부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S. A. Lee, 2020).

    2) Types of major fashion topics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패션 관련 주제어를 공출현 빈도 기준 상위 50개 단어로 한정하여 구조적 등위성 분석(CONCOR)을 진행한 결과, 크게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Fig. 1). 4집단은 각각 코로나19의 예방적 차원과 관련된 주제, 홈 라이프와 관련된 주 제, 디지털과 뷰티제품에 관련된 주제, 온라인 채널과 패션 소비와 관련된 주제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예방적 차원과 관련하여 ‘마스크’, ‘확산’, ‘손’, ‘얼굴’, ‘예방’ 등의 키워드가 나타났으며, 홈 라 이프와 관련하여 ‘홈웨어’, ‘집콕’, ‘집’, ‘재택근무’, ‘자가격리’와 같은 키워드가 나타났다. 디지털 시스템과 뷰티제품과 관련하여 ‘온라인’, ‘디지털’, ‘방송’, ‘영화’, ‘뷰티’, ‘화장품’과 같은 키워드가 나타났으며, 온라인 채널 및 패션 소비와 관련하여 ‘온라인 쇼핑몰’, ‘인스 타그램’, ‘브이로그’, ‘무신사’, ‘롯데백화점’, ‘신발’, ‘가방’ 등의 키워드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적인 개별 주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Table 2> 와 같이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마스크’ 키 워드가 코로나19와 패션과 관련하여 출현한 다른 키 워드들과 가장 많은 연결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 났다. ‘마스크(.47)’는 개별 중심성 항목에서도 가장 높은 값을 가진 키워드로, 코로나19의 감염방지에 도 움이 되는 마스크가 패션 관련 주제에서도 독보적으 로 중요한 키워드로 나타났다. 마스크 다음으로 각 중 심성 항목에서 높은 값을 보인 ‘확산(.44)’, ‘브랜드 (.42)’, ‘예방(.36)’, ‘외출(.32)’이 모두 ‘마스크’와 연 결을 보여, 코로나19 상황에서 패션과 관련되어 사람 들에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주제는 감염 예방으로서 마스크 착용에 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

    디지털 영상과 홈웨어에 대한 관심 증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해, 학생들의 등교가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되었고, 재택근무를 하는 회사들이 늘 어났으며, 각종 행사는 온라인으로 대체되었다. 이로 인해 패션과 관련해서도 ‘영상(.31)’, ‘디지털(.21)’, ‘집콕(.18)’, ‘브이로그(.15)’, ‘재택근무(.12)’와 같은 키워드가 출현하였다. 코로나19의 확산방지를 위해 집에 머무르며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보편화되자, ‘홈웨어(.11)’가 상위 키워드로 출현하였다. 이 외에도 유사하게 ‘집콕패션’과 ‘파자마’가 상위 200개 내의 키워드로 나타나 주요 주제어로 확인되었다. 쇼핑 채 널에 있어서도 오프라인 채널보다 온라인 채널로 관 심이 쏠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온라인쇼핑몰 (.28)’, ‘온라인(.37)’, ‘무신사(.10)’와 같은 키워드가 ‘오프라인(.19)’, ‘백화점(.08)’과 같은 키워드보다 더 높은 연결중심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2. Comparison with fashion consumer perception in SARS and MERS situations

    코로나19 이전에도 국내 감염병으로 중증급성호흡 기증후군(SARS)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이 있었 다. 사스는 2003년도에, 메르스는 2015년도에, 코로나 19는 2019년도에 발생하였으며, 모두 비말을 통해 코 로나바이러스가 전파되면서 감염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감염자 1명이 조치가 없었을 때 감염시키게 되 는 평균적인 인원수인 재생산 지수(basic reproductive number)가 코로나19는 1.5~3.5로, 1 이하인 사스와 메 르스에 비해 높다(E. D. Park, 2020). 코로나19는 이전 의 사스나 메르스보다 강력한 전염력을 가지고 있다.

    전염병이 유행하던 시기에 패션과 관련된 소비자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스, 메르스, 코로나19의 국내 발생기간 동안 패션과 관련된 주제로 나타난 주 요 소비자 인식 키워드를 비교․분석하였다. 각 시기 별로 TF-IDF 값을 기준으로 상위 주요 패션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TF-IDF(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는 문서들 군에 속해진 문서들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특정 단어가 속한 문서들의 수에 따라 단어 의 중요도를 판별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단순 빈도가 아닌 중요도 순으로 주요 단어를 해석할 수 있다.

    세 종류의 감염병 모두 비말을 통해 감염되기 때문 에 발생기간 동안 모두 공통 패션 키워드로 ‘마스크’ 가 주요 키워드로 출현하였다(Table 3). 사스 발생기 간 동안 나타난 주요 패션 키워드는 사스와 관련된 ‘홍콩’, ‘중국’, ‘사스패션’ 외에는 특별히 감염병과 관 련된 키워드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휴나 5월 행사 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요 주제어로 나타났다. 메르스 발생기간에는 ‘두려움’, ‘확산’과 같은 감염병 관련 키 워드와 함께 ‘공항패션’, ‘유커’, ‘할인’, ‘면세점’, ‘선 글라스’와 같은 해외여행과 여행객 관련 키워드가 주 제어로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19는 ‘확산’, ‘취소’, ‘예방’, ‘필터’ 등 감염에 대한 예방적 차원과 관련된 다수의 키워드가 패션과 관련된 내용에서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직 전 전염병인 사스와 메르스와 비교했을 때, 코로나19 발생기간에 패션 관련 주제에서 전염병과 관련된 키 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보다 많이 언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코로나19는 사스, 메르스보다 큰 전 파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감 이 더 크고, 이러한 현상이 패션 관련 주제에서도 반 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스나 메르스 때와는 다르게,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규제와 비대면 활동을 권장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패션에서도 ‘온라인’, ‘영상’, ‘브이로그’, ‘무신사’, ‘디지털’과 같 은 새로운 키워드들이 주요 주제로 등장했다.

    3. Effect of COVID-19’s spread on fashion product interest

    1) Interest in COVID-19 patient trends and major fashion items

    코로나19 상황에서 나타난 주요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연결중심성(Cd) 기준 상위 키워드로 나타난 패 션 아이템은 ‘마스크(.47)’, ‘모자(.21)’, ‘가방(.16)’, ‘신발(.16)’, ‘홈웨어(.11)’로 확인되었고, 이들 키워드 의 네이버 검색량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질병관 리본부의 코로나19 확진 환자 추이를 독립변수로 설 정하였다. 코로나 확산에 따른 주요 패션제품 키워드 의 검색량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Table 4>와 같이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진자 수의 증가는 전체 항목 중, 모자 와 가방을 제외한 마스크(β=.73, p<.001), 신발(β=.29, p<.001), 홈웨어(β=.28, p<.01) 항목의 키워드 검색량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 수가 마스크 검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는데, 이를 통해 확진자 수가 증가할 때마다, 감 염 방지를 위해 마스크 구매에 대한 탐색이 더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스크는 네이버 키워드 검색량 확인 결과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하기 시작한 2020년 2월 20일 이후를 기점으로, 검색량이 대폭 증 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발 키워드의 검색량 또한 p<.001의 수준에서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확진자 수가 증 가하면서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사람들이 몰리는 곳 대신 산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아웃도어 브랜 드의 등산복 제품과 운동화의 판매량이 증가하게 되 었다는 보도와 맥락을 같이 한다(H. J. Lee, 2020). LF 몰의 매출 증가율 상위 5개 부문에서도 신발은 언더 웨어 다음으로 상위 2위의 매출 증가율로 확인되어 이 같은 결과를 뒷받침해준다(Heo, 2020). 홈웨어의 검색량 또한 p<.01의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확진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면 업무나 등교가 늦춰지고, 바깥 활동을 자제하고 집에 머무르는 시간 이 길어지면서 편하게 입을 수 있는 홈웨어가 소비자 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Perception of major fashion products before and after COVID-19

    마스크, 신발, 홈웨어에 대한 코로나 전후 인식을 비교한 결과, <Table 5>와 같이 나타났다. 코로나19의 발생 전에는 ‘미세먼지’, ‘피부’, ‘황사’, ‘차단’, ‘공기 청정’과 같이 황사와 미세먼지 차단 기능이 주요 소비 자 인식이었다면,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는 ‘취약계 층’, ‘약국’, ‘공적마스크’, ‘마스크5부제’, ‘재사용’, ‘기부’ 등 사회제도 차원의 키워드가 마스크에 대한 주요 인식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작’, ‘구매’, ‘KF94’, ‘품절’과 같이 마스크 품귀현상에 관련된 키워드가 주 요 소비자 인식으로 나타났다.

    신발은 코로나19 발생 전에는 ‘옷’, ‘명품’, ‘운동 화’, ‘사이즈’, ‘가격’, ‘브랜드’ 등 구매 전 탐색과 관 련된 키워드가 주요 인식으로 나타난 반면,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는 ‘쿠션’, ‘충격흡수’, ‘보행’, ‘편안함’과 같이 성능과 관련된 키워드가 주요 인식으로 나타났 다. 이는 인파가 몰리는 공간에서 벗어나 산을 찾는 사람이 늘게 되면서(H. J. Lee, 2020), 신발에 있어도 보행 시 편안함이 주된 고려사항으로 인식되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또한, ‘슬리퍼’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에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는데, 집에서 편안하게 활동 하게 되면서 신발 카테고리 안에서도 슬리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홈웨어는 코로나19 발생 전과 후 모두 소비자 인식 에서 ‘잠옷’이라는 인식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코로나19 이전에는 ‘원단’, ‘가격’, ‘세트’, ‘홈패션’, ‘사이즈’, ‘편안함’ 등 잠옷으로의 기능의 주 요 인식으로 나타난 반면, 코로나19 이후에는 ‘트레이 닝’, ‘집콕’, ‘라운지웨어’, ‘레깅스’, ‘일상복’, ‘외출 복’, ‘애슬레저’와 같이 잠옷 외에도 운동복, 일상복, 외출복과 같이 다양한 상황적 키워드가 주요 소비자 인식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Ⅴ. Conclusion

    코로나19는 패션기업들에게 매출 하락으로 인한 경영난을 안겨주었고, 외형 축소와 인력 감원 등의 결 과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패션업계 의 유통채널 모색과 패션 소비자의 소비 방식을 변화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대기업 패션브랜드나 전통적 인 명품브랜드, 신진 디자이너의 브랜드 할 것 없이 온라인 패션 플랫폼으로 진입하게 되었고, 온라인을 기반으로 성장한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의 매출이 증 가하였으며, 소비자들에게는 신규 브랜드를 발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또한, 초청받지 않아 도 전 세계 누구나 유명 패션하우스의 패션쇼를 즐길 수 있는 색다른 디지털 경험을 제공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패션산업에 서의 변화의 한 부분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패션 소비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코로나19 상황 속 패션 관련 주요 토픽을 알아본 결과, 초기에는 감염 방지 및 예방적 차원이 주요 이슈가 되었다가, 집에 머무르 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온라인 채널 및 플랫폼으로 그 주제가 변화하였고, 이후부터는 코로나19 관련 키워 드와 함께 패션 디지털 패션쇼, 유통채널, 일반적인 패션 관련 키워드 등 다양한 주제로 변화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상황에서의 패션 관련 주제는 크게 코로나19의 예방적 차원, 홈 라이프, 디지털과 뷰티제품, 온라인 채널과 패션 소비와 관련된 영역으 로 나타났다.

    직전 전염병인 사스(SARS)와 메르스(MERS), 코로 나19(COVID-19) 발생기간 중 패션 소비자들의 인식 을 비교한 결과, 모두 마스크가 공통 키워드로 나타났 다. 그러나 사스와 메르스 발생기간에는 특별히 패션 과 관련된 주제에서 전염병에 대한 내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코로나19는 발생기간에는 패션과 관련된 주제에서도 감염에 대한 예방적 차원이 소비자 인식 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람 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감과 감염에 대 한 우려가 직전 전염병이 사스와 메르스보다 더 크고, 이러한 소비자 인식이 패션에서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 전후 주요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비교하고자 코로나 확진자수와 마스크, 가방, 모자, 신발, 홈웨어 품목의 검색량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록 마스크, 신발, 홈웨 어의 검색량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스크는 코로나19의 발생 전에는 황사와 미세먼지 차단 기능 이 주요 소비자 인식으로 나타났다면,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는 사회제도적 차원의 키워드와 품귀현상이 주 요 인식으로 나타났다. 신발은 인파가 몰리는 공간에 서 벗어나 산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는 성능과 관련된 키워드가 주요 인식으 로 나타났다. 홈웨어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잠옷 외 에도 운동복, 일상복, 외출복과 같이 소비자 인식에서 활용 범위가 확장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과거에서도 그랬듯 인류는 전쟁과 전염병을 이겨 낼 때마다 새로운 변화의 국면을 맞이하였다. 코로나 19와 같은 세계적인 전염병, 팬데믹의 확산은 사회 전 반의 패러다임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의 사회는 이미 ‘뉴노멀 2.0 사회’, ‘포스트 코로나 시 대’라고 불리며, 코로나19를 겪으며 사회 전반에 걸친 나타난 변화들이 향후 우리 사회를 주도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Editorial Department, 2020). 본 연구 의 연구 결과와 사례 고찰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 대에서 패션에 나타날 변화를 전망하면 다음과 같다. 패션 유통채널은 온라인 패션 플랫폼 주도로 변화할 것이며, 언택트 소비의 일상화에 따라 패션 소비자의 소비 패턴이 주말과 같은 특정 요일에 오프라인 매장 으로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요일 구분이 없는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에 익숙하지 않던 기성세대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향상될 것이며, 건강 및 위생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기능성 홈웨어나 스포츠웨어에 대한 소비가 지속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현상이 패션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기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텍스트마 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19 상 황에 나타나는 패션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 았다. 본 연구를 통해, 패션기업이나 의류학 연구자들 이 팬테믹과 같은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패션기업과 패션 소비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하 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ure

    RJCC-28-3-285_F1.gif

    CONCOR analysis of COVID-19 and fashion

    RJCC-28-3-285_F2.gif

    Fashion key word network in COVID-19

    Table

    COVID-19 and fashion-related co-occurrent words by month (January to May)

    COVID-19 and fashion-related co-occurrent words by centrality

    Comparison of fashion-related co-occurrent words by SARS, MERS and COVID-19 by TF-IDF

    Effect of the number of COVID-19 confirmed cases on fashion product item online search

    Top 20 key words before and after COVID-19 by TF-IDF

    Reference

    1. Ahn, S. H. (2020, May 1). New EnC, 혁신경영 통했다 [New EnC succeeded in innovative management]. Fashion Biz, 397, 28-29.
    2. An, H. , & Park, M. (2019). Comparison of design related issues with the replacement of fashion creative director: Focused on an analysis of social media posts on Gucci collec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1(3), 277-287.
    3. Baldwin, R. , & di Mauro, B. W. (2020). Mitigating the COVID economic crisis: Act fast and do whatever it takes. Washington: CEPR Press.
    4. Choi, Y. H. , & Lee, K. H. (2019). Diffusion of veganism in fashion and beauty: A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6), 75-94.
    5. Choi, Y. H. , & Lee, K. H. (2020). Korean consumers’ political consumption of Japanese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4(2), 295-309.
    6. Chong, J. S. , Kim, D. , Lee, H. J. , & Kim, J. W.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tre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text mining technique: Focused on open source software projects on Github.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5(1), 1-19.
    7. Editorial Department. (2020).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경영 환경 변화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fter Corona19 pandemics]. Brain, 81, 18-24.
    8. Fan, W. , Wallace, L. , Rich, S. , & Zhang, Z. (2006). Tapping the power of text min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9), 76-82.
    9. Heo, Y. H. (2020, May 15). 패션기업, 코로나와 언택 트에 자사 ‘온라인몰’ 활짝 웃었다 [Fashion comp any Corona and Untact had a big smile on their ‘Online Mall’]. Fashionn, Retrieved May 20, 202 0, from https://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04&number=33119
    10. Kim, B. J. (2017). Analysis of parent newspaper articles using text mining. Korean Journal of Parents and Guardians, 4(2), 113-146.
    11. Kim, E. Y. (2020, May 20). 백화점 대신 무신사로... 유명 패션 기업 입점 활발 [Instead of department stores, Musinsa... It’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fashion companies]. Chosum Biz, Retrieved May 20, 2020 from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0/2020052003241.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12. Kim, G. H. (2020, May 19). 코로나가 바꾼 패션... 편 하지만 격식있는 ‘매니시 페미닌룩’ [The fashion that Corona changed... Comfortable and novel ‘Mannish feminine look’]. Fashionn, Retrieved May 20, 2020, from https://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06&number=33157
    13. Kim, J. S. (2018).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ashion streaming service using text mining analysis: Focused on PROJECT ANNE. Journal of Fashion Design, 18(1), 107-118.
    14. Kim, Y. E. (2020, April) ‘의류 당일배송·마스크에 안 묻는 화장품’… 패션․뷰티업계의 코로나19 타개법 [‘Clothing delivered on the same day·maskproof cosmetics’… How to break through Corona 19 in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y]. Hankyung, Retrieved May 26, 2020 from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nkey=2020033001270000411&mode=sub_view
    15. Kwahk, K. Y. (2014).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Crbooks.
    16. Lee, H. J. (2020, May 21). ‘코로나19 피해 山으로’... ‘등산복’ 판매 늘며 특수 누리는 아웃도어업계 [‘Go to the mountains to avoid Corona19’... Booming outdoor industry with increasing sales of‘hiking clothes’]. Greened, Retrieved May 24, 2020, from http://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252414
    17. Lee, J. M. (2020, May 1). 지금이 기회! 파이팅 패션 코리아 [Now is the time! Fighting fashion Korea]. Fashion Biz, 397, 17-18.
    18. Lee, S. A. (2020, April 1). 루이비통표 세정제, 프라다, 구찌 마스크... 코로나가 바꾼 명품 [Louis Vuitton cleaner, Prada and Gucci masks... Corona19 changed luxury]. JobsN, Retrieved May 22, 2020 from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880201&memberNo=27908841&vType=VERTICAL
    19. Lorrain, F. , & White, H. C. (1971). Structural equivalence of individuals in social network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Sociology, 1(1), 49-80.
    20. NHN ACE. (2020, May 19). 코로나19로 무엇이 변 했을까 [What changed with Corona 19]. Retrieved June 3, 2020, from https://www.acecounter.com/www2/education/trendReportDetail.amz?src=image&kw=00880B&rno=197
    21. Oh, M. , & Jeon, J.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셜 빅데이터 기반 주요 이슈 분석 [COVID-19 analysis of major issues based on social big data]. Issue & Focus, 376, 1-12. Retrieved May 26, 2020, from http://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4480
    22. Park, D. S. (2020, April 13). What does COVID-19 show about the great Korean? [코로나19가 보여 준 한국인의 위대한 참모습은?]. World Korean News, Retrieved June 5, 2020, from http://www.worldkorean.net/news/articleView.html?idxno=36794
    23. Park, E. D. (2020, April 9). 기다리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사스․메르스 때와 다르다 [The COVID- 19 vaccine are waiting... It’s different from SARS and MERS]. Medipana, Retrieved May 20, 2020, from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55354&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24. Prashad, V. (2020, April 29). What prevented WHO from declaring Covid-19 a pandemic until 11 March?. Big News Network, Retrieved May 14, 2020, from https://www.bignewsnetwork.com/news/264873242/what-prevented-who-from-declaring-covid-19-apandemic-until-11-march
    25. Santamarina, D. , Bhattarai, A. , & Uhrmacher, K. (2020, May 8). The iconic brands that could disappear because of coronavirus.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May 20, 2020, from https://www.washingtonpost.com/business/2020/04/29/which-iconic-brands-could-disappear-because-coronavirus/?arc404=true
    26. Son, J. E. (2020, May 25). 마스크 속 ‘피부 트러블’ 관리법은? [How do you manage skin trouble in a mask?]. Sisaon, Retrieved May 26, 2020, from http://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3313
    27. Song, E. C. (2020, May 19). 코로나19 이후 우리 의 식주 어떻게 변할까? [How will our food, clothing, and shelter change after Corona19?]. Sisa Journal, Retrieved May 20, 2020, from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068
    28. Yoo, J. B. (2020, May 20). 코로나가 바꾼 뉴노멀! 하반기 패션위크 무관중 패션쇼 바람! [The New Normal that Corona switched!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fashion weeks trend is no-spectators!]. Fashionn, Retrieved June 5, 2020, from https://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04&number=33175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