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No.5 pp.655-670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3.21.5.655

전통 요소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 조선조 말기 영왕가 왕실 복식에 나타난 문양과 색채를 중심으로 -

염 미 선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Textile design development using of traditional elements - Focused on patterns and colors of King Young royal family costu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Misun Yum
Dept. of Clothing, Sungshin University, Korea
Received 31 July 2013, revised 24 October 2013, accepted 25 October 201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atterns ofroyal famil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as well as the overall characteristicsof the color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olor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stumes of King Young royalfamil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is the last costume of Joseon Dynasty and classified 129 relics underpreservation for the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colors using the digital data in the picture brochure as theprevious studies did and presented the color palette. Based on this, a variety of textile designs that are developedby using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colors could be applied to the modern fashion designs. For Patterns used incostumes of King Young royal families, the five pattern categories include animals, plants, letters, and geometricpatterns and the final category of other types. The features of color in the costume were v tone of Y color andlt and p tones of Y colo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xtile designs which reflects conversion of pastand modern cultures and cultural identity by applying th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empirical study and theses developed 8 textile designs could be applied to the various modesrn fashion designs.

 

04_염미선(칼라44,53,54).pdf8.78MB

I. Introduction

 현대사회는 과학 기술과 다양한 매스컴의 발달로 범세계화가 가속화 되고 있으며, 무한 경쟁의 시대로 돌입하고 있다. 또한 세계는 시간과 공간의 움직임에 의한 이민의 역사로 다양한 배경의 다문화 사회 속에서 문화적 혼종성을 체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래사회는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각 나라만의 자국의 전통에 근거한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무한경쟁 시대에 문화 산업에 있어서도 독자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의 한국적 디자인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을 활용한 한국적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Kim, 2010; Kim, 2010; Kim & Gan, 2009; Kim, 2005; Park, 2006; Park & Na, 2002; Park, 2010; Lee & Choi, 2007; Lee, 2009; Lee & Lee, 2011; Jin, 2009) 주로 음향오행에 기초를 둔 복식이나 장신구의 색채나 문양 등의 요소를 바탕으로 현대에 적용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시대의 민족성을 대표하는 전통복식에 나타난 문양과 색채의 구체적인 분석 및 적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자국의 이미지를 구별하여 주는 중요한 요소로서, 인간 생활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성과 사회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조선조 말기 왕실복식에 나타난 문양과 색채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의 문양과 색채를 재구성하여 현대 패션디자인에 적용이 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위해 조선시대 영왕가 복식에 나타난 한국 전통문양을 중심으로 그 특징과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색채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특징을 규명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가시적인 색채와 문양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해 조선조 말기 왕실복식을 중심으로 제한하였으며, 현존하는 복식 유물이 많지 않으며 여러 유물이 흩어져 있는 반면, 궁중의 의례복식과 평상복 및 수식품이 일괄적으로 갖추어져 있다는 이유에서 조선왕조 최후의 복식이라 할 수 있는 영왕가의 복식유물 129점을 분류,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유물자료는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여 조선 왕실복식에 사용된 문양과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채분석 방법은 수집된 유물의 사진자료를 Photoshop(CS3) 프로그램의 아이드로퍼 툴(Eyedropper Tool)을 이용하여 <Table 1>의 방법으로 색들을 팔레트 형태로 총 888개의 색을 추출하고, 사진자료와의 시감비색을 통해 색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JPEG file 형태로 저장하여 Munsell Conversion(Version 12.0)을 사용하여 H V/C값으로 전환하여 먼셀 색체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색채 특성 분석을 위한 기준 범위는 결과에 나타난 색값을 토대로 먼셀 색체계 10색상환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색조 특성은 P.C.C.S 색체계 색조 분류에 의거하여 12색조로 분석하였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사용하는 도록사진 디지털 이미지 자료의 색을 분석한 결과는 10색상과 12색조 영역에서 분석할 경우 미세한 오차의 범위가 모두 포함되며(Kim et al., 2006),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이나 박물관 도록사진의 디지털 자료의 정확도가 높아졌다. 이렇게 분석된 값을 토대로 대표색을 추출하여 팔레트로 제시하였으며, 복식에 사용된 전통 문양에서 응용할 문양을 선정하고 제시된 색채 팔레트를 가지고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결과물은 Photoshop CS3와 Illustrator CS3를 이용하여 완성된 텍스타일 디자인이 의상으로 제작되었을 때의 착장 효과를 맵핑하여 제시하였다.

<Table 1> Color sampling and analysis

II. Background

1. Definition of pattern

 여러 선행 연구에 따른 문양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다. 문양은 모티브(motif)와 패턴(pattern)의 개념으로 장식의 기능으로서 2차원상의 바탕위에 얹힌 새롭게 추가되어 생성된 조형 요소이다(Ryu, 2010). 또한 조형미술에서의 문양은 미적 표현의 3요소인 형체(形體), 색조(色調), 문양(文樣) 중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모든 물체의 겉에 나타내는 장식무늬를 말하며, 의식주에 쓰이는 옷감이나 기물, 도구등을 비롯한 공예, 조각, 건축 등의 조형미술에 장식적으로 나타낸 여러 가지 무늬의 형태를 문양(文樣, 紋樣), 문채(文彩), 또는 무늬라 하고 있다(EKC, 2007). 미국의 심리학자 미켈(Mickel, W. J.)에 따르면, 인간만이 지닌 의미 있는 상징적인 사고의 표현물이라 하였으며(EKC, 재인용, 2007), 문양은 문화적 약속의 하나로서 그 시대에 있었던 여러 가지 사건과 생활관습, 종교관을 읽고 이해할 수 있으며, 문자, 건축, 회화, 조형미술처럼 시각에 호소하는 고정된 징표들의 상징체계이며(Lim, 1998), 문양의 개념은 분야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데, ‘자연적 현상에 의하여 이루어진 무늬나 기하학적으로 또는 추상적으로 형성된 무늬가 연속되어 구성되었을 때 그 단위를 말한다(Kang, 1996). 또한 문양은 미적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이나 선,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한 것으로, 사용 주체의 민족과 그 민족이 처한 역사적 배경에 따라 고유한 형태를 나타내기도 한다(Oh, 2010).

 이러한 문양은 분류의 기준이 다르다. 맥짐세이(McJimsey, H. T.)는 모티브 표현법에 따라 자연적, 기하하적, 양식적, 추상적으로 구분하였으며(McJimsey, 1973), 문양의 형태성과 상징성을 규명하기 위해 동물문양. 식물문양, 기하학적문양으로 나누어 분류하거나(Kim & Gan, 2009), 사용빈도가 높은 문양을 중심으로 식물문양, 동물문양, 기하학문양, 자연문양, 기타 문양 등 6가지의 분류를 사용하였다(Kim, 2008). 표현대상에 따라 자연문, 동물문, 식물문, 인공물문, 기하문, 복합문, 기타문의 7가지로 분류하기도 한다(Jang, 199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문양의 개념과 모티브의 대상, 표현, 배열법에 의한 문양 분류기준을 토대로 문양을 ‘점․선․면․색의 구성과 배열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모티브의 단위 개념으로 접근하여 장식적 기능을 지닌 2차원상의 바탕위에 추가 생성된 무늬와 직물(織物)과 편물(編物)에서 보여지는 표시나 기호를 비롯한 그림과 문자로 보았다. 문양의 분류기준은 모티브의 대상에 따라 동물문양, 식물문양, 문자문양, 기하학 문양, 기타문양으로 분류하였다.

2. Symbolic meanings and types of patterns in King Young royal family costum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조 말기 영왕가의 복식유물 총 129점을 중심으로 의복에는 왕의 저고리, 바지, 조끼, 전복, 포(袍), 마고자, 두루마기 등과 왕비의 적의, 원삼, 당의, 저고리, 치마, 왕자의 돌복, 마고자, 사규삼, 저고리, 조끼, 바지, 각종 두루마기와 타래버선 등이 있으며, 장신구에는 의장구 및 수식, 주머니 등이 있는데, 여기에서 보여지는 한국 전통 문양을 고찰하였으며, 전통 문양의 유형 및 특징과 상징적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Animal patterns

한국의 전통 동물문양은 조류문양, 어류문양, 곤충문양과 기타 동물문양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Jin, 2009). 조류문양은 봉황, 오리, 원앙, 닭, 기러기, 백로, 학, 삼족오(三足烏) 등이 있으며, 봉황은 권력을 상징하며, 오색 찬란한 빛을 내며, 성군(聖君)의 태평성대를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다(Kim & Park, 2007). 봉황은 왕비의 복식에 쓰인 문양으로 적의, 폐슬, 하피, 홍원삼, 당의, 치마, 왕자의 부금 복건, 부금 전복, 색동마고자와 장신구인 귀주머니에서 보여진다. 왕비의 적의에 사용된 봉황은 긴꼬리를 늘이고 위로 향하여 나는 날씬한 형태이다.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홍원삼의 단에 보여지는 봉황은 화염에 싸인 보주를 중심으로 한 쌍의 어미봉황과 일곱 마리의 새끼봉황이 날고 있으며, 그 사이에는 구름무늬가 가득하다. 한 쌍의 어미봉황과 일곱 마리의 새끼봉황으로 구성된 구봉문은 자손만당(子孫滿堂)을 의미한다(Kim & Park, 2007). 학은 장수의 상징성과 고상(高尙)을 추구하는데, 이것은 왕의 견직물 바지와 왕자의 부금 별문단 복건, 백색생초 풍차바지에 보이며, 쌍학문 두루주머니에 보여진다. 주머니에 학의 형태는 <Fig.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마리의 학이 정면을 향하여 마주 보며 날아드는 듯한 모습을 수놓았는데, 서로긴 목을 부드럽게 감고 있어 애틋한 정을 느끼게한다(Kim & Park, 2007). 꿩은 왕의 구장복과 <Fig. 3>에서와 같이 왕비의 적의와 폐슬에 보여지는데, 이는 권위를 상징하며, 친애(親愛), 해로(偕老)를 의미한다. 그 밖의 원앙은 항상 짝을 지어 나타나고, 암수 사이가 좋을 뿐 아니라 한쪽이 죽으면 다시 새로운 짝을 만나지 않는다고 하여 부부간의 정조와 애정 또는 백년해로의 상징하며, 두루주머니에서 보여진다(Jin, 2009).

<Fig. 1> Phoenix of Hongwonsam. from NPMK (2010) p.52

<Fig. 2> Crane of a stringed purse. from Kim & Park (2007) p.298

<Fig. 3> Pheasant of ceremonial robe. From NPMK (2010) p.42

  곤충문양으로서는 장수를 상징하는 나비문양이 가장 대표적인데, 이는 행복, 자손 번창을 의미한다. 왕의 옥색소화문사 겹마고자와 조끼에서 보여진다 (Fig. 4).

<Fig. 4> Butterfly of Magoja. from Kim & Park (2007) p.71

  기타 동물문양으로는 용과 박쥐 문양이 보여지 는데, 용은 왕을 상징하고 위엄과 권위를 나타내며, 만물 조화의 능력을 갖춘 영물, 벽사와 수호의 능 력을 갖출 영험한 동물로서 왕의 곤룡포의 보와 구 장복, 왕비의 홍원삼 보, 왕자의 자적도류단용포의 보에 금박으로 화려하게 수놓아졌다(Ahn, 2007). 왕의 곤룡포의 보의 용문양은 <Fig. 5>와 같이 24개 능(菱)으로 윤곽을 두르고 중앙에 오조룡을 금사(金 絲)로 수놓아 메웠으며, 용의 주변에는 구름이 가득 하며, 머리에는 두 개의 뿔이 양쪽으로 기운차게 뻗 었고, 몸체 중간에는 여의주와 화염문을 배치하여 더욱 생동감 있게 표현되었으며, 굵고 가는 금사를 사용하여, 입체감이 뚜렷하고 비늘이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Kim & Park, 2007). 박쥐는 <Fig. 6>과 같이 홍원삼의 단에 원형의 수자를 중심으로 여섯 가지의 형태가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방으로 날고있는 형상은 예로부터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조선시대 말기에 많이 사용되었다(Kim & Park, 2007). 그 밖의 왕의 구장복에서 종묘의 제기 형상을 딴 종이(宗彛)는 신명(神)의 뜻이 내포되어 있는데, <Fig.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랑이는 용맹을 원숭이는 지혜를 나타내며, 호랑이와 원숭이는 효를 나타낸다(Kim & Park, 2007).

<Fig. 5> Dragon of royal robe. from Kim & Park (2007) p.57

<Fig. 6> Bat of Hongwonsam. from Kim & Park (2007) p.121

<Fig. 7> Tiger & monkey of Gujangbok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2013). http://www.cha.go.kr/korea

2) Plant patterns

 식물문양은 우리 선조들이 가장 많이 사용된 문양으로 유물에서도 다양한 식물무늬가 보여진다. 사실적인 식물문양으로는 연화, 국화, 석류, 모란, 난초, 죽, 도류, 분미 문양 등이 있으며, 공상적인 식물문양으로는 불로초, 당초, 보상화 문양 등이 있다(Kim, 2007).

 <Fig.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화문양은 왕비복의 부금화문 도류사 당저고리의 양어깨부분과 앞, 뒷길의 하단에 부금되어져 있다. 그 밖의 영왕비의 남대란 겹치마와 두루주머니, 자수각주머니에서 보여지는데, 연화는 건강, 장수, 불사(不死), 행운, 군자를 상징하며, 진흙탕에서도 피어나는 청백함을 상징하고 있다(Jin, 2009). 연꽃의 이런 속성을 불교와 교리와 연결시켜 초탈, 보리(普提), 정화(淨化) 등 관념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Ahn, 2007). 매, 난, 국, 죽 이 네 가지는 군자의 자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서, 난은 우정과 고아(高雅)를, 죽은 곧은 지조를, 매는 용기와 고결을, 국은 군자의 고귀함을 나타내며, 죽(竹)은 십장생의 하나로 당시 유학자들이 죽의 곧고 질기며 허심탄회한 특성을 신조로 삼아 지(紙)통, 필통, 벼루통 등에 많이 이용하였으며, 부녀자의 비녀나 기타 장신구에도 이 문양이 자주 사용되었다(Ahn, 2007).

<Fig. 8> Lotus of Dangeui. from Kim & Park (2007) p.136

 매화문양은 <Fig. 9>에서 보는바와 같이 왕의 화문저고리와 조끼에 마름모의 능문사이에 정면으로 시문되어 있다. 왕비복의 송화색 대화문 삼회장 당코저고리에 시문되어 있으며, 왕비복의 남대란 치마 아래 스란단에 매화문을 부금하였다. 왕자복의 별문단 복건 정면 상부에 매화문을 부금하였으며, 그 밖의 부금 조끼의 좌우 주머니에 7개씩 매화문을 횡으로 부금하였다. 매화는 오덕(五德)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쾌락·행복·장수·순리(順理)․절개 등을 의미한다(Lim, 1998).

<Fig. 9> Plum blossom of Jeogori. from Kim & Park (2007) p.66

 난초는 <Fig. 10>과 같이 원수문 두루주머니에 금, 은사로 정교하게 수놓아졌으며, 난초를 자손번창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Fig. 10> Orchid of stringed purse. From Kim & Park (2007) p.298

 국화는 겨울이 되어 다른 꽃이 없을 때 피어나서 향기를 발산하고 늦은 서리를 견딘다 하여 길상의 징조 또는 절조의 상징으로 보았다(Lim, 1998). 왕비복의 예복인 길상화문 수복문단 금, 은직금 당의의 겉은 연두색 견사로 바닥을 짜면서 흰색의 견사로 수복자를 엇갈려 배치한 사이에 국화, 석류, 복숭아 등의 일곱 가지 꽃이 시문되어져 있으며(Kim & Park, 2007), 그 밖의 <Fig.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자복의 부금 조끼와 부금 다홍 대화단 전대에 국화문을 규칙적인 형태로 부금하였다.

<Fig. 11> Chrysanthemum of vest. from Kim & Park (2007) p.201

 <Fig.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석류문양은 왕의 마고자, 왕비의 치마, 당의, 예복의 시직품, 왕자의 상복인 자적도류단용포에서 보여진다. 석류문은 열매에 씨가 많아서 자손 번영을 의미하는 뜻에서 복식 문양에서 많이 사용되었다(Jin, 2009).

<Fig. 12> Pomegrante of Magoja. from Kim & Park (2007) p.75

 모란문양은 왕의 전복에 모란을 대각선으로 평직과 사직으로 무늬를 넣었으며, 왕비의 홍원삼, 당저고리, 대란겹치마, 왕자복의 사규삼과 그 안에 받쳐 입던 창의, 두루마기, 그 밖의 장신구인 두루주머니, 귀주머니에서 보여진다. <Fig.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규삼에 사용된 큰 꽃은 마주보게 엇갈리게 사용되었으며, 꽃의 형태가 모란과 유사하여 모본단이라고 한다(Kim & Park, 2007). 모란문은 꽃송이가 크고 탐스러워서 부귀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조선시대의 문양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Jin, 2009). 왕의 구장복에는 <Fig. 14>와 같이 조(藻)와 분미(粉米) 문양을 새겨, 조는 쌀을 수초로 양생시킨다는 것으로 청결과 화미(華美)를 의미하며, 분미(粉米)는 곡물 문양으로 서로 사심이 없다는 뜻을 나타내고, 양민에게 충성을 다한다는 뜻을 상징한다(Kim & Park, 2007).

<Fig. 13> Peony of Sakyusam. from Kim & Park (2007) p.180

<Fig. 14> Millet & meal of Gujangbok. from Kim & Park (2007) p.85

 <Fig.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의 옥색 숙고사저고리에 원형 수자문 둘레에 호로박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장수와 자손번창을 의미한다. 불로초는 흔히 약초 중에 영지초를 말하는데, 그 형상이 구름모양을 닮아서 다른 약초와는 다르게 여겨졌다(Lim, 1998). 이 문양은 왕비의 남대란 겹치마와 왕자의 복건과 부금조끼에 부금 되어져 있다. 장신구인 귀주머니, 두루주머니에서 많이 보여지며, <Fig. 16>과 같이 불로초는 화려한 색으로 수놓아져 있는 걸 알 수 있다.

<Fig. 15> Gourd of Sookgosa. from Kim & Park (2007) p.64

<Fig. 16> Granoderma lucidum of brush bag. from NPMK (2010) p.351

 당초문양은 원래 덩쿨이라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실제로 식물의 형태를 본떠서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화시킨 장식 무늬의 한 유형으로(Lim, 1998), 왕자복의 풍차바지와 두루마기, 잔누비저고리와 조끼에 시문되어 있으며, 왕비복에는 삼회장 저고리에서 보여진다. <Fig. 17>과 같이 왕자복의 풍차바지에 시문되어 있는 당초문양은 ‘장춘(長春)’을 기원하는 의미를 상징한다(Lim, 1998). 그 밖의 <Fig.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신구의 자수필낭에 소나무문양이 화려하게 수놓아져 있는데, 이는 추운 겨울에도 그 빛을 잃지 않고 사계절을 통하여 푸르름을 보여 곧은 기개를 상징한다(Ahn, 2007).

<Fig. 17> Rinceau of bongdy. From NPMK (2010) p.138

<Fig. 18> Pine tree of brush bag. from NPMK (2010) p.346

3) Letter patterns

 문자문양의 소재로는 수(壽), 복(福), 만(卍), 희(囍), 녕(寧),아(亞)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문자는 장수, 행운, 기쁨을 상징하며, 복식에 문자문양으로는 수자문, 복자문, 희자문, 아자문, 만자문 등이 많이 쓰였다(Jin, 2009). 수자문은 가장 애호된 문자문이며, <Fig. 19>와 같이 왕의 곤룡포 깃에 장수와 건강을 상징하는 원형의 수자(壽字)무늬가 시문되어 있다.

<Fig. 19> 壽[soo] of royal robe. From Kim & Park (2007) p.55

 왕비의 당저고리 깃에는 壽와 福의 두 글자가 부금되어 있으며, 장수와 만복을 누리라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원형 수자문은 무명장수를 상징하는데, <Fig.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신구의 자수각주머니에 壽자를 붉은 색상으로 수놓아 금박의 장식으로 테두리를 둘러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Fig. 20> 壽[soo] of bag. From NPMK (2010) p.339

 卍는 여왕의 송화색 반회장 당코겹저고리와 연송화색 반회장 당코저고리에 시문되어져 있으며, <Fig. 21>과 같이 왕자의 동절용 남문단조끼에 홍색으로 시문되어 있다. 卍는 길상수복이 모이는 곳이라는 상징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만자를 길게 연결하여 문양으로 이용한다(Kim, 2007).

<Fig. 21> 卍[man] of vest. from Kim & Park (2007) p.204

 囍는 기쁨을 상징하며 일정한 형태로 보여지는데, <Fig. 22>와 같이 필낭과 수저집에 쌍희자를 수 놓아져 있는데, 이는 부부가 서로 즐거움을 나눈다는 의미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두 개가 나란히 붙어있는 모양으로 시문된다(Her, 1995).

<Fig. 22> 囍[hee] of spoon bag. From Kim & Park (2007) p.304

 亞는 뇌문이라고도 불리며 단독 문양보다는 다른 주제 문양을 장식해 주는 것이 특색인데(Ahn, 2007), <Fig. 23>과 같이 자수각주머니에 금색으로 변형된 형태로 수놓아져 있다. 그 밖의 길상어문으로 <Fig. 24>와 같이 왕자의 부금 별문단 복건에 측면 좌측에는 “수복 화풍감우 서일상운(壽福和風甘雨瑞日祥雲)”, 우측에는 “수복 문심개수 물아동춘(壽福門心皆水物我同春)”의 자문(字紋)을 부금하였는데, 이는 이를 착용한 왕손의 무병장수와 부귀, 그리고 다복에 대한 염원을 상징하고 있다(Kim & Park, 2007).

<Fig. 23> 亞[ah] of bag. From NPMK (2010) p.339

<Fig. 24> Lucky letter of Bokkyun. from Kim & Park (2007). p.192

4) Geometric patterns

 기하학적 문양은 인간의 상상력에서 기인되고, 사물의 실제 모습을 파악할 수 없는 무늬의 표현이라는 점에서 추상적 표현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Kim, 2008). 직선에는 수직선, 수평선, 사선, 점선, 파선 등이 있고, 곡선에는 원호, 타원호, 파선, 나선, 포물선 등이 있다. 여러 선들을 공간, 평면에 배열하거나 반복과 조합하여 격자문, 돌림 문양 등의 각종 문양을 전개시키고 있는데, 대개는 자연의 현상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기하문양의 추상성은 자연현상에 대한 두려움과 인간의 불안정한 심리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NFM, 2001). 앞의 <Fig.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의 화문저고리에 연속된 마름모형의 능문이 매화와 시문되어 있으며, <Fig. 25>와 같이 왕자의 부금 조끼에 원형의 문자와 기하문양이 함께 시문되어 있었다. 그 밖의 불(黻)문이 <Fig. 26>과 같이 왕의 구장복 폐슬에서 보여지는데, 이는 서로 간에 사심(私心)이 없고, 충성으로 양기상배(兩己相背)하며 신민(臣民)의 향선(向善)을 상징한다(Kim & Park, 2007).

<Fig. 25> Geometric of vest. from Kim & Park (2007) p.202

<Fig. 26> 黻[bul] of Paeseul. From Kim & Park (2007) p.82

5) Other patterns

 그 밖의 기타 문양에는 구름, 파도, 해, 산, 바위, 화 등이 보여지고 있다. 구름문은 조선왕조시대에 가장 애호되었으며, 많이 응용해 온 것으로 신선사상에 입각한 십장생의 하나로 다른 길상문양과 조화를 이루어가며 다양하게 쓰여 왔다(Ahn, 2007). 구름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도안의 종류가 많고, 다양한 동물문양과 조화되어 배경을 이룰 뿐 아니라, 계급에 따라 구름문을 달리 하기도 한다. 이 문양은 왕복에 달린 흉배나 관복의 흉배 원삼에서 찾아 볼 수 있다. <Fig. 27>과 같이 여왕의 적의를 착용할 때 어깨에 늘이는 장식인 하피에 운문 26개가 부금되었다. 수파문은 도식화된 물결문양으로 유동하는 곡선이 주가 되었으며, 수파문은 흉배 문양이나 왕복(王服) 등 주로 권위를 상징하는 복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Ahn, 2007). <Fig.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비의 자적 직금 대란 홑치마에는 바위와 산의 문양과 함께 화려하게 부금되었다. 물결(潮)이 조정(朝廷)의 조(朝)와 발음이 같은 것에서 조정을 상징하므로 흉배나 관복 등에서 사선, 물거품, 물방울의 삼단 형태로 많이 나타난다(Hong, Shin & Choi, 2004). <Fig. 29>는 화문양으로 불꽃이며 오행(五行)의 하나이고, 덕에 대한 열의와 사랑의 상징이다(Lim, 1998). 해는 남성적인 원리가 해로 형상화되고, 여성적인 원리가 달로 묘사되었다(Lim, 1998). <Fig. 30>에서와 같이 손가방에서 보여지는 해와 구름이 색사로 수놓아져 있으며, 그 밖의 자수필낭에 해 문양이 많이 보여졌다.

<Fig. 27> Cloud of Hapi. from Kim & Park (2007) p.110

<Fig. 28> Nature of Daeran skirt. from Kim & Park (2007) p.144

<Fig. 29> Flame of Pasul. From Kim & Park (2007) p.99

<Fig. 30> Sun of bag. from Kim & Park (2007) p.305

III.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ing Young royal family costum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1. Color characteristic analysis of costume

 색채 분석은 가장 원형에 가까운 보존 상태라는 이유에서 조선왕조 최후의 복식이라 할 수 있는 영왕가의 복식유물 129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한 영왕가 왕실 복식의 정량적 색채 분석을 통해 얻어진 색채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대표 색채 팔레트를 추출하였다.

1) Color and tone analysis

 수집된 총 색채 데이터는 총 888개로 무채색이 97개(10.9%), 유채색이 791개(89%)이며, 무채색 중 백색이 86개(9.7%), 회색이 3개(0.3%), 흑색이 8개(0.9%)로 나타났다. 유채색의 색상분포는 <Fig. 31>과 같이 Y가 196개(22.1%), R이 179개(20.2%), PB가 111개(12.5%), YR이 81개(9.1%), GY가 80개(9.0%),RP가 78개(8.8%)의 순으로 나타났다.

<Fig. 31> The 10 colors distribution chart of costume

 색조 분포는 <Fig. 32>와 같이 v색조가 181개(2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13.4%)>dp(11.5%)>lt(9.0%)>b(8.1%)>s(7.4%)의 순으로 분포되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Fig. 32> The tone distribution chart of costume

 색상/색조 분포도를 살펴보면 <Fig. 33>과 같이 R색상의 v색조가 109개(12.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B색상의 dp색조가 53개(6.0%)로 두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Y색상의 lt색조가 45개(5.1%), p색조가 42개(4.7%), b색조가 36개(4.1%)의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색상 가운데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Y색상에서는 lt>p>b>v>sf의 순으로 밝고 선명한 색채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로 많이 보인 R색상은 v색조가 가장 많이 보여지듯이 채도가 높은 선명하고 화려한 색채가 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많이 보여지는 PB색상에서는 dp색조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v, dk색조의 순으로 나타나 저채도와 고채도가 함께 사용되고, 저명도와 고명도가 나타나고 있었다. 한국의 전통복색은 R, Y, PB색상을 바탕으로 한 오방색 중심의 관념적 색채관에 따른 색채 사용에 기초하고 있듯이(Kim & Lee, 2006), 위의 분석 결과에서도 R, Y, PB색상의 순으로 많은 분포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Fig. 33> The color and tone distribution chart of costume

 <Fig. 34>와 같이 R, Y, PB색상에 나타난 분포를 살펴보면 R에서 7.5R>10R의 순으로 높은 분포도를 보였다. Y색상에서는 5Y와 2.5Y의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PB색상에서는 7.5PB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Fig. 34> The R, Y, PB distribution chart of costume

2. Sampling of representative color

 조선왕실 복식 유물 총 129점에서 추출한 888개의 색의 색상과 색조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색과 색조 영역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색을 추출하여 <Fig. 35>와 같이 색채팔레트를 제안하였다.

<Fig. 35> Representative color of Royal family costume

 대표색을 보면 R, Y, PB, RP색상이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Y색상에서 b>lt>p>s의 순으로 다양한 색조영역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다.

IV.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and simulation using the pattern and color of King Young royal family costum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앞에서 고찰한 조선말기 영왕가 복식에 나타난 문양과 복식에 사용된 색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색채 팔레트를 이용하여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색상은 앞의 색채 분석에서 얻어진 대표 색채 팔레트를 토대로 색상 값을 적용하였으며,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Research of expressive technique in modern fashion design using traditional patterns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전통 문양을 어떠한 표현 방법으로 현대화하여 디자인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2004 F/W부터 2011 F/W 4대 컬렉션을 중심으로 총 216점의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현대 패션에 활용된 이미지 자료는 패션 전문지 대표 사이트 www.style.comwww.firstviewkorea.com의 자료를 이용하여 현대 패션디자인에 보여지는 전통 문양의 표현 방법을 살펴보았다. 전통 문양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이너들의 전반적인 특징은 절제된 실루엣에 전통문양의 화려한 색채를 표현하여 고급스러움과 여성스러운 우아함을 나타내거나, 정형화 되지 않은 실루엣에 단순화된 단일패턴의 전통문양을 사용하여 포인트를 주었으며, 여유 있고 풍성한 실루엣에 전면 패턴의 전통문양을 사용하여 화려함과 고급스러움을 표현하였다.

 현대 패션디자인에 사용된 전통 문양의 표현기법으로는 사실적인 프린팅(77.8%)과 자수기법(14.8%), 니트기법(0.5%), 패치워크(3.2%), 누빔기법(3.7%) 등이 보여지는데, 그 중 실용적이며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한 프린트 기법이 가장 많았다. 주로 레디 투웨어(Ready to wear)에서 고급스러우면서 화려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전통 문양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문양의 전개 방법을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모티브의 크기 변화에 의한 반복(Fig. 36)(9.3%), 반사에 의한 좌우 대칭(Fig. 37)(8.3%), 전면 패턴(Fig. 38)(44.0%)과 단일패턴(Fig. 39)(7.9%), 모티브들의 단순 반복(Fig. 40)(22.2%), 반복과 중첩(Fig. 41)(8.3%)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중 전면 패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Fig. 36> Kenzo 07 S/S. from Kenzo (2007) http://www.firstviewkorea.com

<Fig. 37> Leonard 10 F/W. from Leonard (2010) http://www.firstviewkorea.com

<Fig. 38> YSL 04 F/W. from Y니 (2004) http://www.firstviewkorea.com

<Fig. 39> Iceberg 06 F/W from Iceberg (2006) http://www.firstviewkorea.com

<Fig. 40> Mary Katrantzou 11 F/W. from Katranzouberg (2011) http://www. firstviewkorea.com

<Fig. 41> Just Cavalli 06 F/W. from Cavalli (2006) http://www.firstviewkorea.com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적 패션디자인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DTP(Digital Textile Printing)으로 용이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 조선말기 영왕가 복식에 사용된 상징적 문양을 주 모티브와 보조 모티브로 나누어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보여지는 동일한 이미지들의 반복되는 방법을 보완하여 변형, 점진적 반복, 반사, 회전, 중첩 등의 방법을 이용한 모티브 배열의 다양한 응용을 시도하여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2.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and simulation

 텍스타일 디자인은 DTP(Digital Textile Printing)을 이용한 원단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패션디자인 상품으로의 생산이 가능하다(Ha, 2013). 이러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한 후 Photoshop CS3와 Illustrator CS3를 이용하여 의상으로 제작되었을 때의 착장 맵핑을 함께 제시하였다. 착장 맵핑을 위한 현대 패션이미지는 2011년 S/S 트렌드인 우아하며 여성스러운 감성제안과 적절한 볼륨감과 유연성을 건축적인 실루엣의 영향을 받아 클래식하고 세련된 분위기 제안(SDN, 2011)을 반영하여 선정하였으며, 이미지 선정 기준은 전체적인 디자인에서 의복의 성격을 결정짓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Baek, 2007) 실루엣에 기준하여 선정하였다. 풍성하고 볼륨감 있는 실루엣과 몸에 피트되어 우아하면서 슬림한 실루엣, 세련되면서 여성스러움을 강조한 실루엣이 특징인 드레스 이미지 110점을 선정하였다. 그 중 볼륨감 표현과 건축적인 웅장한 실루엣의 엘레강스함을 강조하기 위한 A 라인 실루엣의 풍성함과 웅장함과 볼륨감을 반영한 드레스 (c), (r)와 슬림 앤 시스 실루엣(slim and sheath silhouette)의 피트된 형태의 몸매를 드러내고, 아래로 갈수록 드레스 폭을 좁게 잡아 전체적으로 우아하고 슬림한 느낌의 이브닝 드레스 (l), (y)와 스트레이트 실루엣(Straight shilhouette)으로는 세련되면서 여성스러운 이미지의 원피스 드레스 (f), (i), (o), (u)를 S/S컬렉션 레디 투 웨어를 중심으로 대표 이미지를 선정하여 맵핑하였다(Table 2).

<Table 2> Textile designs and simulations using the pattern and color of the royal family costumes

<Table 2> Continued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1에서는 주 모티브는 (a)에서와 같이 영친왕비복의 남숙고사 대란겹치마에 부금된 봉황과 보조 모티브 (b)는 영친왕비의 금은직 당저고리의 고름부분에 사용된 도류불수문을 사용하였다. 현대적인 감각에 맞게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해 5가지의 색채 팔레트를 사용하여 주 모티브에 밝은 색을 사용하였으며, 붉은색으로 포인트를 주었으며, 형태의 반복을 이용하여 전면에 구성시켜 규칙성을 표현하였다. 보조 모티브를 전체 화면에 투명도를 주어 차분한 회색이 가미되도록 자연스럽게 배치하여 주 모티브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완성된 디자인을 (c)와 같이 2011 S/S 컬렉션에서 제안된 드레스에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 1을 맵핑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2에서는 (d)와 같이 영왕비의 적의에 사용된 금사로 화려하게 수놓은 용문을 주 모티브로 사용하여 이를 규칙적으로 반복시켜 배열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보조 모티브는 (e)와 같이 영왕의 옥색 숙고사 저고리에 시문된 호로박 문양과 원형수자문을 이용하여 이를 투명도를 주어 바닥 전체에 자연스럽게 배열하였다. 원형수자문에는 색채 팔레트에서 제시된 밝고 선명한 붉은색과 푸른색을 사용하여 포인트를 주었다. 스트레이트 실루엣(Straight silhouette)으로 세련되면서 여성스러운 이미지의 원피스 드레스에 디자인 개발 2를 맵핑하였다(f).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3에서는 (g)와 같이 영왕비의 폐슬에 사용된 꿩을 주 모티브로 전통 색채를 그대로 대입하여 꿩을 서로 마주보게 위아래로 반사시킨 후에 변형을 시켜 생동감이 느껴지도록 배열하였다. 보조 모티브는 화면 전체에 넓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제시된 팔레트의 색상을 대입하고, (h)와 같이 영왕비의 홍원삼에 사용된 박쥐문양을 화면 중심에 마름모꼴로 반복시켜 배열하고, 크기의 변화를 주어 사방으로 퍼져나가도록 사각형으로 반복배열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착장 시뮬레이션은 (i)와 같이 원피스에 맵핑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4에서는 (j)와 같이 영왕의 곤룡포의 보에 사용된 용문양을 주 모티브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화면에 크기 배열하였으며 용문양을 바닥 전체에 (k)와 같이 영왕비의 홍원삼의 단에 사용된 대화문을 투명도를 주어 중첩의 효과를 주어 바닥 전체에 자연스럽게 배열하였으며, 색채팔레트에 사용된 밝고 선명한 R, Y, G색상을 화면위에 선으로 비율을 나누어 재구성하였다. 전체적으로 화려한 느낌을 주었으며 여러 모티브를 사용하였으나, 용문양을 부각시켜 통일성을 주도록 하였다. 이를 (l)과 같이 맵핑하였다. 용문양이 바디의 중심에 오도록 맵핑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붉은색의 색상에 초록색과 노란색의 선에 투명도를 조절하여 포인트를 주었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5에서는 주 모티브를 (m)과 같이 영왕비의 적의에 착용한 후수의 줄무늬에 색채팔레트에서 추출된 상을 대입하여 화면 전체에 배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보조 모티브는 (n)과 같이 홍원삼에서 사용된 대화문을 바닥 전체에 중첩의 효과를 주어 배열하였다. 이를 (o)와 같이 원피스 드레스에 맵핑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6에서는 왕자의 자적 도류단용포에 사용된 용문양 (p)를 주 모티브로 중심에 원안에 용을 넣어 배치시키고, 사방으로 크기의 변화와 투명도를 조절하여 반복 배열하였다. 화면바닥에 사용된 보조 모티브는 (q)와 같이 왕자의 초록 대화단 부금 사규삼에 시문된 모란문양에 투명도를 주고 중첩효과를 더하여 배열하였다. 사용된 색채는 전반적으로 고급스러우면서 세련된 느낌을 위해 톤 다운된 RP를 화면 전체에 사용하고, Y색상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고급스러우면서 우아한 분위기의 A 라인 실루엣의 풍성함과 웅장함과 볼륨감을 줄 수 있는 드레스에 맵핑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7에서는 (s)와 같이 영왕비의 예복에 사용된 용문을 주 모티브로 두 마리의 크기가 다른 용문양을 생동감 있게 변화시켜 반복배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t)와 같이 영왕비의 남모란문 갑사 대란겹치마에 사용된 모란문을 변형시켜 반복 형태로 화면 전체에 재구성하였다.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화면 전체에 사용된 색은 저채도, 저명도로 톤 다운된 색상을 사용하였으며, 주 모티브는 생동감을 주기 위해 그라데이션효과를 주었으며, 선명한 붉은색이 화면의 면분할된 선에 포인트 색으로 사용되었다. 스트레이트 실루엣(Straight silhouette)으로 세련된 이미지의 원피스 드레스에 맵핑하였다(u).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8에서는 (w)와 같이 영왕비의 당저고리에 부금된 불(佛)과 복(福)을 주 모티브로 일정하게 반복하여 전체 화면에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x)와 같이 영왕의 길상화문 수복문단 당저고리에 부금된 수자문, 복자문, 국화, 석류, 복숭아 문양을 바닥 전체에 투명도를 주어 자연스럽게 중첩시켰다. 사용된 색채도 고급스러우면서 우아한 느낌을 주기 위해 명도와 채도가 낮은 GY색상을 전체에 사용하였으며, 노란색으로 주 모티브에 사용하여 액센트를 주었다. 여성적이며 우아한 이미지의 드레스에 (y)와 같이 맵핑하여 제시하였다.

V. Conclusion

 각 나라만의 전통에 근거한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통문화에 바탕을 둔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하기 위해 역사성과 사회성을 반영한 조선조 말기 왕실복식에 나타난 문양의 상징적 의미와 특성을 고찰하고, 사용된 색채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특징을 규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의 문양과 색채를 Photoshop CS3와 Illustrator CS3를 이용하여 현대 패션디자인에 적용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왕실 복식에 나타난 문양은 크게 동물, 식물, 문자, 기하학, 기타 문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동물문양에서는 권위를 상징하는 용이나 봉황이 많이 보여지며, 그 밖의 행복을 상징하는 나비와 박쥐, 학이 보여졌으며, 이는 가장 화려한 색채와 입체적으로 표현되었다. 식물문양에는 매화, 당초, 대화, 모란, 대나무, 호로박, 석류 등 가장 다양한 형태가 보여지며 은은하면서 평면적인 표현으로 나타났다. 문자문양에는 수(壽), 복(福), 만(卍), 아(亞) 등이 길상의 의미로 건강, 장수, 부귀, 자손 번창의 기원을 담고 있으며, 보조문양의 형태로 많이 쓰여졌다. 기하학 문양에는 직선이나 곡선의 반복과 조합의 형태의 격자문, 아자 기하문, 마름모 형태의 능문 등이 많이 보여졌다.

 그 밖의 기타 문양에는 구름, 파도, 불 등이 보여지고 있다. 복식의 색채 특성은 Y(24.7%)>R(22.9%)>PB(15.1%)>YR(10.7%)의 순으로 난색의 사용빈도가 높으며, 고명도의 Y색상과 R색상의 빈도가 높았다. 무채색에 있어서는 백색(86.5%)>흑색(11.5%)의 순으로 나타났다. 색조 경향은 v(20.4%)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p(13.4%)>dp(11.5%)>lt(9.0%)>b(8.1%)의 순으로 다양한 영역의 색조가 나타났다. 왕과 왕비의 복식에서 밝고 화려한 색조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R색상에서는 v, dp색조 경향을 보이며, Y색상에서는 lt, p색조의 경향을 보였다. PB색상에서는 dp색조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섬세하고 화려하면서 은은함을 동시에 보이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분석된 문양과 색채를 이용하여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을 현대 패션디자인에 맵핑시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실질적 활용가치가 있는 한국 전통의 문화적 요소를 기반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한국의 전통을 새롭게 현대화하여 재창조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한국 전통문화요소가 가진 조형적 가치에 과학적 기술에 의한 기능성이 더해지면 자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한 다양한 예술적, 상품적 가치로서의 패션디자인 영역을 더욱더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을 활용한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개발함은 물론 다양한 패션디자인과 문화상품으로 적용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Reference

1.Ahn, M. S.(2007). 한국복식문화사 -우리 옷 이야기 [Cutural history of Korean costume -Our costume story]. Seoul: Yaehaksa.
2.Baek, H. O.(2007). A study of wedding dress design applied by traditional Korean patterns -Focused on lotus flower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3.Botterga Veneta(2010). 10 S/S RTW. Retrieved Jan. 20. 2012, from http://www.style.co.kr/collection/coll_view.asp?f_name=&page=1&p_page=1&me nu_id=01010100&s_type=1&s_code=39&c_code =&d_code=121&v_type=&v_mode=1#
4.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2013). Gujangbok. Retrieved Sep 10, 2012,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Vd kVgwKey=18,00660000,11&queryText=V_KDC D=18
5.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2013). Pattern. Retrieved May 10, 2013,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cid=1631&docId=554721&mobil e&categoryId=1631
6.Ha, S. Y.(2013). Textile design development using relice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as a cultural cont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3), 69.
7.Hong, N. Y., Shin, H. S., & Choi, J. H.(2004). 아시 아 전통복식 [Asia traditional costume]. Seoul: Kyomunsa.
8.Iceberg(2006). 06 F/W RTW. Retrieved Sep. 17 2013,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 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12&City= CD002&Event=EV001&Designer=111
9.Jang, S. K.(1999). Images and preference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ccording to category, interpretation type, composition type, and application obje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10.Jin, D.(2009). A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ostume patterns and creating textile design appli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11.Just Cavalli(2006). 06 F/W RTW Retrieved Sep. 17, 2013,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 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12&City= CD002&Event=EV001&Designer=377
12.Kang, H. W.(1996). Interactive pattern design with image simplif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IST, Daejeon, Korea.
13.Kenzo(2007). 07 S/S RTW. Retrieved Sep. 17 2013,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 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13&City= CD007&Event=EV001&Designer=469
14.Kim, D. E.(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goods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 Focused on digital printing and embossing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Seoul, Korea.
15.Kim, I. K.(2007). A study on the modem accomodation of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dress sty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4), 713-725.
16.Kim, J. H., & Gan, H. S.(2009).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traditional patterns in northeastern Asia: Focusing on the costume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16C~19C centu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9), 1-15.
17.Kim, S. H.(2005). The design development of cultural fashion product: Focused on traditional patchwork clo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8.Kim, S. Y.(2010). Design development for fashioncultural products incorporating traditional lattice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9), 16-25.
19.Kim, Y. I., & Lee, J. H.(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stume colors of Korea, China,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8), 35-44.
20.Kim, Y. S.(1987). 朝鮮朝末期王室服飾 [Royal family costu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oul: National Culture Book.
21.Kim, Y. S., & Park, Y. M. (2007). 조선조왕실복식 –영왕복식중심 [Royal family costume in the Joseon Dynasty-Focusing on the costumes of King Young]. Myoungwon Cultural Foundation.
22.Kim, Y. Y.(2008). A study on Asian look pattern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3.Korea Cutural Heritage Association(1995). 한국의 무늬 [Pattern of Korea]. Seoul: Korea Cutural Heritage Foundation.
24.Lee, M. J., & Choi, H. S.(2007). A study 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with the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3),176-190.
25.Lee, M. S.(2009).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at utilize the traditional Saekdong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2), 101-110.
26.Lee, Y. S., & Lee, J. E.(2011). A study of textile designs with traditional Korean painting of flower and bird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13(1), 113-123.
27.Leonard (2010). 10 F/W RTW. Retrieved Sep. 17 2013,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 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20&City= CD007&Event=EV001&Designer=472
28.Lim, Y. J.(1998). 한국전통문양 1 [Korean traditional pattern](Vol. 1). Seoul: Yaewon.
29.Lim, Y. J.(1998). 한국전통문양 2 [Korean traditional pattern](Vol. 2). Seoul: Yaewon.
30.Lim, Y. J.(1998). 한국전통문양 3 [Korean traditional pattern](Vol. 3). Seoul: Yaewon.
31.McJimsey, H. T.(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Iow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32.Mery Katrantzou(2011). 11 F/W RTW. Retrieved Sep. 17 2013,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PhotoImageViewPop.aspx?Season= SS022&City=CD003&Event=EV001&Designer= 2349
33.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2010). 영친왕일 가복식 [Costumes of King Young royal families]. Seoul: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34.Oh, K. J.(2010).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pattern: Ceramic pattern of Chosun Dynasty. Design Learning Research, 23(1), 205-214.
35.Park, H. R.(2010). Construction of two-dimensional database of Korean traditional sho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1).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6), 796-811.
36.Park, S. C.(2006). A study on the cultural commodities design development with applying to the Korea traditional rock art pattern(I) -With turtle, ship, human's face patterns of Ulsan Ban Gu-Dae rock art as the central fig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6), 33-44.
37.Park, W. M., & Na, J. E.(2002). Design of uniform packages for restaurant by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oti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2), 81-90.
38.Ryu, H. J.(2010).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on pattern feature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dress. Journal of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2), 107-117.
39.Samsungdesignnet(2013). 2011 S/S Pre trend Retrieved Dec. 18. 2011. from http://www.samsungdesign.net/Trend/sfitrends/PreTrend/index.asp?year1=2011&season=ss
40.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2001). 한국의 문양디자인 [Pattern design of Korea].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41.Valentino(2011) 11 S/S RTW. Retrieved Jan. 20. 2012, from http://www.style.co.kr/collection/coll_view.asp?f_name=&page=1&p_page=1&menu_id=01010200&s_type=2&s_code=50&c_code=&d_code=106&v_type=&v_mode=1#
42.Viktor & Rolf(2011) 11 S/S RTW. Retrieved Jan. 20. 2012, from http://www.style.co.kr/collection/coll_view.asp?f_name=&page=1&p_page=2&menu_id=010 10100&s_type=1&s_code=46&c_code=&d_code =111&v_type=&v_mode=1
43.YSL(2004). 04 F/W RTW.Retrieved Sep. 17. 2013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Collection/ PhotoImageViewPop.aspx?Season=SS008&City= CD001&Event=EV001&Designer=294&Cate=C C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