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No.5 pp.708-725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3.21.5.708

여성용 스키니 진의 브랜드별 패턴 특성 연구

오설영*, 서동애
한성대학교 의류패션산업전공*, 명지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Characteristics study of women’s skinny jeans patterns by brand

Dong Ae Suh, Seol Young Oh*
Dept. of Design, Myongji University, Korea
Dept. of Apparel Fashion Business, Hansung University, Korea*
Received 22 August 2013, revised 25 September 2013, accepted 26 September 2013.

Abstract

In the 2010s, skinny jeans were trendy, and they became a must-have for young women. The styles, clothingpressure and buying behavior of skinny jeans have been studied, but the patternmaking of skinny jeans has notbeen researched yet. To analyze skinny jeans patterns, we grouped skinny jeans into nine brands. They were sortedinto three groups: special jeans brand, trendy jeans brand, and SPA brand. This study compared skinny jeans' sizingsystems, product dimensions and pattern measurements in three brand groups. The appearance and fit of skinnyjeans were evaluated by random groups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he sizing systems for skinny jeans weredifferent with KS K0051, and they were shown waist girth in inches. The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weredifferent among brand groups. In product dimensions, trendy jeans brands had a shorter crotch length, a lowercrotch depth, a narrower back crotch width, and a longer inseam than the others. The measurements of skinny jeansflat patter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s below; front crotch depth, front crotch height, front crotch length,back crotch extension, gap between back and front crotch depth, back crotch height, back crotch length, and centerback angle. In the sensory survey results, trendy jeans brands were evaluated well in the fit of the waist line, hipline, crotch line, midthigh line, outseam, inseam, side waist line, crotch length and overall fit.

 

08_오설영외.pdf3.82MB

I. Introduction

 텐트용 직물을 이용하여 리바이 스트라우스가 광부들의 작업복으로 제작한 최초의 청바지 이래로 청바지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940년대까지 진은 노동복의 이미지가 남아있었으나, 1950년대 이후 청년문화와 반문화의 상징이 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 유명 디자이너들에게 수용되면서 기존의 상징성에서 벗어나 유행, 에로티시즘, 계층구분 등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Yoon, 2007). 2000년대 이후에는 소비자 취향의 고급화와 럭셔리 패션 열풍의 영향으로 프리미엄 진과 같은 고급 진 브랜드가 등장하였으며, 다양한 염색과 가공법이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형태를 벗어나 여성적이고 섹시한 디자인이 두드러지게 되었으며, 진 패션은 패션 트렌드의 강력한 아이템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Yoo, 2007).

 최근 청바지는 다양한 실루엣으로 여성미를 높이고 있는데, 스키니 진의 경우 착용 시 몸매를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시각적 효과와 유행성이 함께 작용하여 젊은 여성의 선호도가 높다(Na & Lee, 2010). 모델 케이스모스는 스키니 진을 소개한 대표적인 스타일 아이콘으로, 유명 할리우드 스타들이 슬림 핏의 스키니 진을 착용하는 장면이 미디어에 포착되면서 스키니 진은 유행을 선도하는 패션아이템이 되었다. 최근의 스키니 진 유행은 매우 피트한 수퍼 타이트 스키니 진(super-tight skinny jeans) 스타일로 진행되고 있다(Lim, 2011). 한국에서 스키니 진의 대중유행은 2009년으로, 소녀시대가 ‘Gee’ 열풍을 일으켰던 당시 입었던 컬러풀한 원색의 스키니 진은 젊은 세대들의 구매력을 높여, 스키니 진 매출액을 두 배 이상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Lee, 2012).

 이와 같이 인체에 꼭 맞는 스키니 진이 유행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청바지의 맞음새가 중요하게 되었고, 맞음새를 좌우하는 청바지의 소재, 워싱가공 및 패턴설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Uh, Kim, & Suh, 2009). 스키니 진에 대한 선행연구는 스키니 진의 스타일 분석(Yoon, 2007), 스키니 진에 나타난 몸의 이상화(Lim, 2011), 스키니 진착용에 따른 압박감(Kwon, 2012; Na & Lee, 2010), 스키니 진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Ham, Jeong, & Oh, 2012) 등이 있으나, 스키니 진의 패턴 특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스키니 진에 대해 브랜드별로 사이즈 체계를 조사하여 브랜드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스키니 진의 완제품의 치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스키니 진의 패턴 치수를 부위별로 측정하여 패턴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스키니 진의 맞음새를 설문 조사하여 스키니 진 패턴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I. Theoretical Background

1. Characteristics of skinny jeans

 스키니(Skinny)의 어원은 스킨(skin)으로, 스키니 진(Skinny jeans)은 피부처럼 몸에 달라붙는 피트한 진의 한 종류로 밑위가 짧고 타이트한 것이 특징이다(Yoon, 2007). 스키니 진은 전체적으로 다리에 딱 붙고 밑으로 갈수록 바지통이 좁아지는 게 특징이며, 보통 2~4% 이내의 스판덱스가 혼용된 신축성있는 데님을 사용하여 몸에 딱 달라붙게 제작된다(Lim, 2011). 스키니 진의 경우, 몸에 딱 맞게 입기때문에 입는 사람의 체형을 그대로 보여주며, 슬림한 몸매를 돋보이게 하는 것은 물론 다리를 길어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Kweon & Sohn, 2010).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청바지 형태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이 가장 선호하는 청바지는 일자형 바지(61.5%)인데 비해, 여성이 가장 선호하는 청바지는 타이트한 스키니 진(92.3%)으로 나타났다(Lee & Do, 2012). 스키니 진의 열풍은 신체부위 중 다리를 중심으로 하체를 강조하는 패션 트렌드로, 개개인의 체형 특성과 관계없이 젊은 여성층에서 대중적으로 유행하고 있으며, 20대 여성들은 스키니 진이 한국인 체형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52%)하면서도, 스키니 진을 구매(68%)하고 있다(Yoon, 2007).

 시중에서 판매되는 바지는 허리선의 높이가 다양하게 제작되는데(Kwon & Hong, 2009), 최근에는 힙본(Hipbone) 바지의 유행으로 바지의 허리선이 기본 허리선에서 로우 웨이스트(low waist)로 하향되고 있다(Shin & Suh, 2010). 스키니 진은 대부분 허리선이 낮고 밑위길이가 짧은데, 특히 프리미엄진 브랜드들은 밑위가 짧은 로 라이즈 진을 선보이고 있다. 스키니 진의 낮은 허리선은 기존 청바지의 허리선을 수평으로 낮춘 형태가 아니라, 앞판의 허리선이 뒤판의 허리선보다 낮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옆허리선의 기울기가 사선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보인다.

 스키니 진은 하체에 달라붙는 맞음새를 통해 다리의 형태를 과시할 뿐만 아니라, 마치 코르셋처럼 물리적으로 다리를 조이고 몸의 형태를 이상화하고 있다(Lim, 2011). 자신의 체형을 보정하거나 유행을 따르기 위해 자신의 신체에 맞지 않고 몸에 꼭 조이는 구속성 의복을 착용하면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스키니 진은 이러한 구속성 의복 중 하나이다(Ham et al., 2012). 스키니 진 착용자 대다수가 인체에 부정적인 생리적 반응과 불쾌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키니 진의 착용빈도가 높을수록 피부계, 근육계, 순환계 질환을 경험하는 빈도가 높았다. 스키니 진을 착용하면 걸을 때 부자연스러우며(52%), 착탈 시 불편하고(27%) 장시간 앉아있을 때 불쾌감(23%)을 경험하였으며, 착용자의 절반 이상이 피트한 의복 착용으로 인해 다리가 붓거나 저림을 느꼈다(Na & Lee, 2010). 몸에 꼭 맞는 형태의 청바지는 신체를 구속하여 착용감을 나쁘게 할 뿐만 아니라, 근육의 활동에도 영향을 미쳐 근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Song & Choo, 2009). 스키니 진을 착용하면 의복압은 증가하고 혈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Kweon, 2012), 지나친 스키니 진은 허벅지의 신경을 자극하여 허벅지가 따끔거리는 증후군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꽉 끼는 청바지의 지속적인 압박은 넙다리감각 이상증이라 불리는 일시적인 신경계의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Lim, 2011).

 소비자들은 날씬해 보이고 다리가 길어 보이는 이유로 스키니 진을 착용하고 있으나, 착용 시 압박감이나 착탈 편리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고, 밑위길이의 개선과 소재의 땀 흡수성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키니 진에 대한 미적 기준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부분의 보완이 필요하다(Kweon & Sohn, 2010).

2. Sizing system and fit of jeans

 국내외 다양한 청바지 전문 브랜드들이 등장하면서 청바지의 고급화와 그에 따른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타이트 핏의 의복아이템은 루즈핏의 의복아이템보다 착용감과 치수적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체형분석과 치수반영이 필요하다(Choi & Do, 2008). 같은 호칭과 스타일로 출시된 제품이라도 청바지의 여유량과 길이에는 차이가 있으며(Na & Lee, 2010), 청바지업체의 사이즈체계는 브랜드별로 각기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기본사이즈가 서로 다르며, 같은 사이즈이지만 적용하는 신체치수가 동일하지 않고, 신체 사이즈별 편차가 일정하지 않다(Jeong & Lee, 2003).

 현행 성인 여성의 의류치수체계 KS K0051에 따르면, 피트성이 필요한 여성용 정장하의는 기본신체치수 중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기본신체치수를 ‘cm’ 단위 없이 ‘-’로 연결하여 70-88, 73-91, 76-94 등의 호칭으로 사용된다.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는 3cm 치수 간격으로 증가하며, 각 신체치수는 표기된 값의 ±1.5cm 범위를 커버한다(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9). 그러나 KS 규격은 의무사항이 아니고 권장사항이기 때문에 브랜드에따라 적용 여부가 다르고, 의류생 산업체에서는 기존 소비자가 익숙한 오래 전 호칭을 여전히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소비자들의 불편이 제기되고 있다(Won, 2012).

 청바지 사이즈 선택 시 남성 소비자의 61.2%가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구매하지만, 여성 소비자는 76.6%가 엉덩이둘레를 사이즈 선택 시 기준으로 삼는데(Lee & Seong, 2003), 이는 여성들이 매력적인 하반신 실루엣을 연출하기 위해서 엉덩이의 핏이 만족스러운 청바지를 구매하기 때문이다(Chun & Suh, 2007). 20대 여성들은 청바지 착용 시 넙다리둘레와 바지길이, 엉덩이주위의 맞음새에 불편을 많이느끼는데, 이는 인체의 실루엣을 드러내는 타이트한 청바지의 유행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몸에 맞는 청바지의 형태에 대한 선호 분석 및 신체 부위별맞음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Lee & Do, 2012).

 기본적으로 청바지 원단은 뻣뻣하기 때문에 앉거나 구부리는 동작 시 밑위길이가 앞으로 당겨져 뒤허리 부분이 뜨거나 많이 내려간다. 여성 소비자들은 유행을 따라 허리선이 낮은 골반길이의 청바지를 많이 구입하고 착용하지만, 이러한 스타일의 청바지 착용 시 뒤허리 부분의 노출에 대해 소비자의 91.1%가 신경을 쓴다(Kim, Kim, & Jeon, 2008).

 밑위길이가 짧아 단추가 배꼽 아래로 내려오는 로 라이즈 진(low rise jeans)의 밑위길이는 평균 5~7인치(12.7~17.8cm)이며, 브랜드에 따라 밑위길이가 3~4인치(7.6~10.2cm)에 불과한 경우도 있다. 브랜드의 이미지나 섹시함 추구 등의 요인으로 청바지의 밑위길이가 점점 짧아지고 있으나, 기능적으로는 밑위가 긴 것이 착용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 밑위길이의 기능성과 심미성은 서로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Lim, 2006). 낮은 허리선의 바지를 제작할 때 바지원형 패턴의 앞, 뒤판에서 허리둘레선을 일률적으로 낮추면, 앞, 뒤 밑위둘레가 부족하게 되어 의자에 앉거나 몸을 숙일 때 뒤판의 허리선이 당겨지면서 뒤허리와 골반부위의 신체 노출이 발생할 수 있다.

 여성들이 청바지 맞음새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기성복 업체들이 이들의 체형에 적합한 패턴을 사용하기 못하기 때문이며, 소비자들의 청바지 맞음새에 대한 기대 수준 또한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용감이 우수하고 적합한 맞음새를 나타내는 청바지의 생산을 위해서는 청바지 패턴설계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Kim & Chun, 2011). 특히 스타일과 착용감에서 소비자에게 만족스러운 스키니 진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로우웨이스트 진에 적합한 허리선높이와 밑위길이에 대한 패턴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3. Pattern drafts of jeans

청바지는 다트가 없고 피트하기 때문에 일반 바지보다 여유량이 적으며, 워싱에 의한 수축률을 감안하여 제도하기 때문에 기존 슬랙스 원형과는 다른 패턴제도법이 필요하다(Jeong & Lee, 2003). 청바지 패턴제도는, 일반 슬랙스 패턴과는 달리 신체 치수에 여유분을 추가하지 않아 타이트한 핏을 만들거나, 앞판 샅냄폭을 뒤판 샅냄폭보다 짧게 하여 앞판 패턴이 뒤판 패턴보다 좁게 만들어 허벅지가 날씬해 보이도록 제작하기도 한다. 또한 활동성과 착용감을 높이고, 엉덩이를 입체적으로 보이기 위해 뒤중심선 기울기를 크게 제작하기도 한다(Kim & Chun, 2011).

 바지 패턴에서 뒤중심선 기울기는 바지의 실루엣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Fig. 1>의 1-①과 같이 뒤중심선의 기울기가 작아 수직선에 가까우면 뒤밑위길이가 짧아져 활동하기 불편하고, <Fig. 1>의 1-③과 같이 뒤중심선의 각도가 커서 수평방향으로 내려가면 뒤밑위길이가 길어져 활동하기 편하다. 따라서 활동성 높은 캐주얼팬츠를 제도할 때는 정장 츠를 제도할 때보다 뒤중심선 기울기를 크게 해야 한다(Lee, 2012). 한편, 허리둘레치수와 엉덩이둘레치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Fig. 1>의 1-③과 같이 뒤중심기울기를 크게 하려면 옆허리점의 위치가 바깥쪽으로이동해야 하므로, 옆솔기선의 기울기가 뒤중심선 기울기와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활동성 있는 팬츠의 경우, 옆솔기선 각도는 뒤중심선 기울기의 각도와 같이 커져 수평방향으로 누운형태가 된다.

<Fig. 1> Jeans pattern drafting methods

 진 팬츠 패턴제도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는데, Nam, Park, Lee, & Choi(2007)는 기본 원형 패턴(Fig. 1의 2)의 뒤엉덩이둘레선을 절개하고, 활동량만큼 추가로 벌려 진 팬츠 패턴(Fig. 1의 3)을 제도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진 팬츠 패턴은 뒤중심선의 경사가 완만하고, 옆선의 형태는 직선에 가까운 특징을 갖으며, 엉덩이둘레와 넙다리 등의 둘레 수가 줄어들어 인체에 타이트하게 피트되며, 밑위길이와 샅냄폭도 줄어든다. 뒤판에 요크가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본 팬츠보다 허리선을 내려 밑위가 짧다(Nam et al., 2007).

 청바지 생산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청바지 패턴설계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항목은 뒤중심선 기울기로 허리에서 밑위부위까지의 착용감을 높이고, 심미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며, 앞뒤 샅냄폭, 앞뒤 밑위길이의 항목 또한 중요했다(Choi & Do, 2008). 바지의 뒤중심선은 대부분의 의복 패턴과는 달리 수직선이 아닌 경사각을 가진 사선으로 제도되어 샅냄폭과 함께 바지의 밑위 형태와 밑위, 허리의 동작기능성에 영향을 미친다(Moon & Jeon, 2011). 여성복 업체의 패턴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뒤중심선 기울기가 바지 패턴설계에서 고려해야할 가장 중요한 요소였으며, 전체 여유량, 밑위 앞뒤길이, 앞뒤 샅냄폭의 길이, 허리선의 위치, 앞뒤 옆선 배분의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한편, 바지 패턴에서 뒤판의 샅냄폭은 의복압을 고려한 동작적응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바지착용 시 밑위에서의 과도한 여유분은 패턴에서 샅냄폭보다는 밑위길이의 영향으로 나타나며, 뒤샅냄폭을 넓히는 것보다는 뒤중심선 각도를 증가시키는것이 동작적응성에 더 큰 효과를 줄 수 있다. 앞뒤밑위길이는 앞밑위선과 뒤밑위선의 배분이 적당해야 앞뒤 솔기선에서 군주름이 생기지 않으며, 이때 밑위의 연장선인 샅냄폭을 함께 고려해 주어야 한다(Shin, Ryu, & Park, 2006). 샅부위의 고양이주름은 앞 샅냄폭이 긴 패턴에서 주로 나타나며, 뒤밑 위당김 현상은 앞샅냄폭이 짧은 경우 뒤샅냄폭이커버해야 하는 부위가 과중되어 엉덩이의 밑위선이 자연스럽게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다(Moon & Jeon, 2011).

 기존 바지 패턴 연구들은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와 같은 둘레항목에 중점을 두고 여유분 설정을 연구해 왔지만, 하체부의 체표면 변화는 엉덩이 뒤중심선과 고관절부위의 후면 피부에서의 세로방향신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엉덩이 뒤중심선의 변화에 따른 밑위앞뒤길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과다한 밑위앞뒤길이 여유분은 외관에 좋지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미적, 기능적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적절한 밑위길이 설정이 필요하다(Park & Lim, 1994).

 스키니 진 착용 시 엉덩이 최대 돌출부위와 무릎부위에서의 의복압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부위에 대한 패턴 및 소재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스키니 진의 의복압과 의복 여유량의 비교에서, 의복압이 높은 부위와 패턴의 여유량 정도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은데, 이는 패턴의 여유량의 대소뿐만 아니라 패턴의 전반적인 형태가 의복 착용 시 의복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Kweon, 2012; Na & Lee, 2010).

 일반적으로 신축성 있는 의류의 패턴을 제도할 때는 기본 패턴에서 소재에 의해 늘어나는 분량을 차감하여 패턴의 여유량을 줄이는 방법으로 설계한다. 그러나 스키니 진은 앞, 뒤 밑위길이, 밑위둘레, 뒤중심선의 기울기 등 골반 부위의 맞음새가 일반 청바지와 다르며, 바지통의 크기 역시 기본청바지의 폭을 소재의 늘어나는 분량을 고려하여 일률적인 치수로 여유분을 줄인 것이 아니라, 유행하는 신체 이미지에 맞게 허벅지, 무릎, 발목 부위가 인체에 밀착된 형태이다. 또한, 청바지가 단순히 실용성과 편안함뿐 아니라, 멋과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착용되고 있으므로 미적인 면과 운동 기능적인 면이 조화되어 움직임이 편하고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Song & Choo, 2009). 따라서 기존 청바지 제도에서 여유분만을 조정한 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스키니 진 패턴 고유의 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III. Methods

1. Selection of jeans brands

 국내 청바지 시장은 국내 고유 브랜드보다는 해외 라이센스 브랜드 및 직수입 브랜드의 비중이 높으며, 글로벌 SPA 브랜드의 확장으로 유행 아이템에 대한 빠른 소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해외 청바지 브랜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직접구매 방식 또한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키니 진의 사이즈와 패턴에 관한 브랜드별 비교를 위해 9개 브랜드의 스키니 진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도 캐주얼 시장분석(Samsungdesignnet, 2012)에서 진 캐주얼 브랜드의 포지셔닝 분류를 참고로 저가 SAP 브랜드, 중가 진캐주얼 브랜드, 고가 진캐주얼 브랜드, 프리미엄 진캐주얼 브랜드 군에서 총 9개의 브랜드를 선정하였다. 9개의 브랜드 중 2개의 SPA 브랜드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브랜드들은 서울 시내 주요 백화점에 입점해 있었으며, 2011년 백화점 매출 순위기준(Min, 2011)으로 상위 매출 1, 2, 3, 4위의 브랜드가 모두 포함되었고, 이들은 모두 고가 진캐주얼 브랜드 포지션에 속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브랜드들을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는데, 청바지 전문 브랜드로 시작하였으며, 다른 아이템의 의류도 생산하지만 현재 청바지를 주력 상품으로 생산하고 있는 진 전문 브랜드(special jeans brand), 유명 디자이너의 라이센스 브랜드로 유행에 민감한 스타일의 청바지를 주로 생산하는 트렌디 진 브랜드(trendy jeans brand), 청바지를 전면에 두는 진 캐주얼 브랜드는 아니지만 스키니 진 청바지 라인을 전개하고 있는 대중적인 SPA 브랜드(SPA brand)로 각각 구분하였다.

2. Measuring methods of skinny jeans products dimensions

 패턴 치수 측정과 외관평가를 위해 9개의 브랜드에서 가장 대표적인 스타일의 스키니 진을 선정하여 구입하였다. 스키니 진은 각 브랜드별로 슈퍼슬림 스키니, 울트라 스트레치 진, 슈퍼 스키니 피트 테이퍼드 진, 베이직 슬림 스키니 진, 제깅스 등 다양한 스타일로 변형되어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에 따른 치수 차이를 배제하기 위해 9개의 브랜드에서 가장 대표적 스타일로 판매되고 있는 기본스키니 진으로 디자인을 통제하였다. 본 연구에서수집한 9개의 스키니 진 제품들은 면 98%, 스판덱스 2%으로 이루어진 데님 원단 제품으로 통제하여 소재의 신축성이 일정하게 통제되도록 하였다.

 제6차 한국인 인체 치수 조사(SizeKorea, 2010)에 따르면 20대 여성의 평균 허리둘레는 70cm, 엉덩이둘레는 91.5cm로 KS K0051 여성용 정장 하의 치수규격으로는 70-91 사이즈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을 위해 구입한 스키니 진의 의류치수는 20대 여성의 평균 허리둘레 치수에 맞게 27인치로 통일하였다.

 수집한 스키니 진의 제품 치수 측정은 선행연구(Rosen, 2004; Shim, Suh, & Yoo, 2005)의 청바지 제품 치수 측정 항목과 부위별 측정 방법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다. 측정항목은 허리둘레(앞, 뒤), 밑위길이(앞, 뒤), 밑위너비(앞, 뒤), 넙다리중간둘레(앞, 뒤), 무릎둘레(앞, 뒤), 바지부리 둘레 (앞, 뒤), 인심, 아웃심의 총 14개 항목이었으며, 청바지를 평평한 바닥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 상태에서 주름이 없도록 펴놓은 후, 각 항목에 대해 줄자로 치수를 측정하였다. 엉덩이둘레선, 넙다리 중간둘레선, 무릎선의 위치 등은 완제품에서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제6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에서 나타난 20대 여성의 평균 신체치수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20대 여성의 엉덩이높이(79.7cm)와 샅높이(72.7cm)의 차이는 평균 7cm이었으며, 샅높이(72.7cm)와 무릎높이(41.4cm)의 차이는 평균 31.3cm이었다. 이를 반영하여 청바지의 샅끝점에서 7cm 올라간 곳에 엉덩이둘레선을, 샅끝점에서 31.3cm 내려간곳에 무릎선을 각각 표시하였다. 엉덩이돌출점 수준과 무릎둘레선 수준의 중간 지점인 넙다리가운데점을 지나는 선인 넙다리중간둘레선은 앞서 표시한 제품의 엉덩이둘레선과 무릎선의 이등분 위치에 표시하였다(Fig. 2).

<Fig. 2> Dimensions of measurements for skinny jeans

 본 연구는 최근 유행 아이템인 스키니 진의 패턴치수를 파악하기 위해 시판 중인 스키니 진에서 직접 평면패턴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산업체패턴을 분석하려면 업체에서 마스터패턴을 제공받아 분석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기업 내부 자료인 마스터패턴을 외부에 공개하기 꺼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마스터패턴의 외부 공개를 응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면 제한된 브랜드만으로 패턴 수집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맞는 조사 대상 브랜드를 선정하고, 해당 브랜드의 제품에서 평면패턴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봉제된 상태의 청바지에서 평면패턴을 추출하기 위해, 선행연구(Armstrong, 2004; Shim et al., 2005)에서 사용한 의류 제품의 패턴 추출 방법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다. 먼저, 평평한 바닥에 청바지를 고정한 후 치수 측정에 필요한 기준선을 라인테이프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세로 기준선인 바지주름선은 앞판과 뒤판의 바지밑단을 각각 이등분하는 수직선으로 설정하였으며, 가로기준선인 밑위선은 바지의 샅끝점을 수평으로 지나는 곳에 표시하였다. 제품 상태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엉덩이둘레선의 위치와 무릎선의 위치는 <Fig. 2>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청바지의 샅끝점에서 7cm 올라간 곳을 엉덩이둘레선으로, 샅끝점에서 31.3cm 내려간곳을 무릎선으로 각각 표시하였다.

 두께가 얇고 이면이 잘 비치는 유산지에 청바지에 표시한 것과 같은 간격으로 가로, 세로 기준선을 그려 놓은 후, 청바지 위에 유산지를 올려놓고, 옷에 주름이 생기지 않게 주의하면서 유산지와 청바지를 시침핀으로 고정하였다. 유산지를 통해 비치는 청바지의 외곽선을 연필로 따라 그려 평면패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면패턴에 대한 세부 측정 항목은 선행연구(Moon & Jeon, 2011; Shin et al., 2006; Shin & Suh, 2010)의 연구를 참고하여 선정하였으며, 앞판 13개 항목, 뒤판 15개 항목에 대해 둘레, 길이, 너비, 각도를 각각 측정하였다(Fig. 3).

<Fig. 3> Dimensions of measurements for skinny jeans’ flat pattern

 측정한 스키니 진의 제품치수와 패턴치수의 브랜드 특성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SPSS 1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브랜드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ANOVA 분석과 Duncan-test 를 사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3. Sensory evaluation for skinny jeans fit

 브랜드 특성에 따른 스키니 진의 부위별 맞음새 외관평가를 실시하였다. 외관평가는 의류학과에 재학 중인 20~30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52명을 대상으 로 2013년 4월 10일~4월 23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외관평가에 사용된 자극물로는 10cm 간격으로 표시된 모눈 격자를 배경으로 피팅모델이 각 브랜드의 스키니 진을 착용하고, 허리선 아래의 앞, 옆, 뒤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외관평가 실험에서 선정한 피팅모델은 진 브랜드에서 전문피팅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20대 여성으로, 신체치수는 신장 170cm, 몸무게 49kg, 젖가슴둘레 79cm, 허리둘레 66.5cm, 엉덩이둘레 91cm이었으며, 평소 착용하는 청바지 사이즈는 27인치였다. 이는 20대 여성의 평균 신체치수와 비교하였을 때 크고 마른 체형에 해당되었다. 기성복은 다양한 체형의 소비자들을 위한 옷이지만, 대부분의 기성복업체들은 평균 신체치수의 보통 체형이 아닌 평균보다 마른 이상체형의 전문피팅모델에게 샘플을 착용시킨 후, 각 브랜드의 특징을 반영하여 의복의 디자인과 실루엣을 수정한다. 스키니 진은 인체에 밀착되어 착용자의 체형이 그대로 드러나는 아이템이기 애문에 각 브랜드에서 의도하는 스키니 진의 실루엣 특성이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전문피팅모델에게 스키니 진을 착용시킨 후 외관을 평가하였다.

 외관평가를 위한 설문 문항 및 평가 부위 선정은 청바지 외관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Jung & Lee, 2003; Suh, Suk, & Park, 2004; Uh et al., 2009)를 참고하였다. 평가는 제시된 사진에 표시된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밑위둘레, 넙다리중간둘레, 아웃심, 인심, 앞밑위길이, 옆선위치, 옆허리선기울기, 뒤밑위길이, 전체 외관 등 총 11개 항목에 대해 아주 안맞는다(1점)에서 아주 잘 맞는다(5점)의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Fig. 4).

<Fig. 4> Dimensions of sensory evaluation for skinny jeans’ appearance and fit

통계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부위의 외관평가에 대한 브랜드별 평균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ANOVA 분석과 Duncan-test를 사용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IV. Results and Discussion

1. Sizing system analysis of skinny jeans

 9개 청바지 브랜드들의 의류 치수 표기 실태를 조사하였다(Table 1). 조사는 실제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사이즈 라벨과 각 브랜드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이즈 스펙 가이드를 참고하였다.

<Table 1> Waist and hip circumference size charts of skinny jeans (cm)

 판매되고 있는 스키니 진의 사이즈는 호칭 22부터 호칭 32까지 총 11개의 사이즈였으며, 모든 브랜드에서 생산하고 있는 대중적 사이즈는 호칭 25, 26, 27, 28의 4개 사이즈였다. KS K0051에 따르면 피트성이 없는 하의의 경우 ‘허리둘레’의 cm 치수를, 피트성이 있는 하의는 ‘허리둘레-엉덩이둘레’의 cm 치수를 호칭으로 하지만, 조사 브랜드들은 KS 규격과 달리 ‘허리둘레’의 인치 치수로 호칭을 표기하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과거의 55/66 식 치수 표기법에 여전히 더 익숙하며, 정확한 신체 치수를 나열하는 것보다는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사이즈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에(Choe, 2013), 청바지 제조업체들은 현행 KS 의류 치수 규격과는 다르지만, 소비자에게는 익숙하고 편리한 허리둘레의 인치 치수를 관행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대상 브랜드들은 제품 안쪽에 부착되는 케어라벨에 각 호칭에 대응하는 기본 신체치수들을 표시하고 있었다. 케어라벨에 표시된 기본 신체치수는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치수였으며, 단위는 cm를 사용하였다. 이는 KS K0051의 피트성이 있는 하의 치수 표기법을 반영한 것으로, 의류업체들의 관행적인 치수 표기방식인 허리둘레의 인치 표기에 대한 대안으로 케어라벨의 참고치수에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cm 치수를 각각 표시함으로써 KS 규격을 반영하고 있었다.

 동일한 호칭에 대응되는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치수와 편차는 각 브랜드마다 서로 달랐다. 각 호칭에 대해 허리둘레 간격은 2cm, 2.5cm, 3cm, 엉덩이둘레의 간격은 2cm, 2.5cm, 3cm, 4cm로 브랜드마다 다르게 전개되었는데, KS 규격에서 제안하는 기본신체치수 간격인 허리둘레 3cm, 엉덩이둘레 3cm와 차이가 있었다. 특히 동일한 호칭의 청바지에서 허리둘레의 신체치수는 브랜드별로 차이가 적으나, 엉덩이둘레의 신체치수 차이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청바지 호칭 ‘27’에 대응하는 기본신체치수를 살펴보면, 허리둘레의 분포는 67cm, 68cm, 68.5cm, 69cm, 70cm 등으로 평균 68.5cm이었으며, 엉덩이둘레의 분포는 89cm, 92cm, 94cm, 96cm, 97cm, 99.5cm 등으로 평균 94cm이었다. 호칭에 표기된 허리 27인치(68.5cm)와 허리의 신체치수는 각 브랜드별로 ±1.5cm 이내였으나, 호칭 27에 대응하는 엉덩이의 신체치수는 브랜드별로 최소 89cm에서 최대 99.5cm까지 각기 다르게 적용되고 있어 브랜드 간 치수 격차가 컸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총 9개의 브랜드 중 7개의 브랜드가 온라인 쇼핑몰 및 자사 홈페이지에 제품사이즈 스펙을 제공하고 있었는데(Table 1),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중간둘레, 무릎둘레, 바지부리둘레, 앞밑위길이, 뒤밑위길이, 인심, 아웃심 등의 항목이 업체가 제공하는 제품 사이즈 스펙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기본 스타일 청바지에 대한 한 가지 스펙만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단 2개의 브랜드에서만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는 정확한 제품 사이즈 스펙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었다. 브랜드가 다를 경우에는 물론이거니와 같은 브랜드 내에서도 스타일에 따라 청바지가 인체에 밀착되는 정도가 각기 다르므로, 대표 스타일에 대한 하나의 제품 스펙만을 제공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지 못하며, 각 스타일에 대응하는 제품 치수를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의 올바른 사이즈 선택을 돕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2. Products dimensions analysis of skinny jeans

 Rosen(2004)과 Shim et al.(2005)의 청바지 제품치수 측정방법을 참고하여 9개의 스키니 진에서 제품의 부위별 치수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스키니 진의 제품치수가 진 브랜드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Fig. 2, Table 2). 분석결과, 허리둘레(A), 아웃심(M), 인심(N)을 제외한 모든 측정 항목에서 트렌디 진 브랜드의 제품 치수가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수 차이는 앞밑위길이(C), 뒤밑위길이(D), 뒤밑위너비(F), 인심(N) 항목에서 나타났다. 유행을 추구하는 트렌디 진 브랜드의 청바지는 다른 브랜드들보다 앞, 뒤 밑위길이가 짧아 바지 허리선이 낮고, 뒤 밑위너비가 작아 골반 부위가 인체에 밀착되어 엉덩이가 강조되는 타이트한 스타일이며, 인심의 바지길이가 긴 것으로 나타나, 현재 유행하고 있는 스키니 진의 스타일 특성을 유추할 수 있었다.

<Table 2> Products dimensions measurements of 27” size skinny jeans (cm)

 캐주얼 청바지의 제품치수를 조사한 Uh and Suh(2007)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일반 청바지의 평균 제품치수는 허리둘레 75.4cm, 엉덩이둘레 91.6cm, 뒤밑위길이 31.8cm, 넙다리중간둘레 54.4cm, 바지부리 45.5cm이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허리둘레 27인치(68.5cm)의 스키니 진에 대한 제품치수와 선행연구에서 측정한 일반청바지의 제품치수를 비교해 보면 스키니 진의 허리둘레(A+B)는 82.44cm로 일반 청바지의 75.4cm보다 7.04cm 크게 나타났으며, 제6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2010)에 나타난 20대 평균 여성의 허리둘레 치수(70cm)나, 배꼽수준 허리둘레(74.8cm)와 비교해 그 차이가 컸다. 이는 스키니 진의 경우, 일반 청바지에 비해 허리선이 훨씬 낮으며, 인체의 배둘레선보다 아래에 걸쳐지며, 그 결과 완제품에서 측정한 허리둘레선의 제품치수가 매우 크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스키니진의 평균 뒤밑위길이(D)는 30.94cm로 일반 청바지 평균보다 0.86cm 짧았으며, 넙다리중간둘레(G+H)는 평균 39.83cm, 바지부리둘레(K+L)는 평균 27cm으로 일반 청바지에 비해 각각 14.57cm, 18.5cm가 작게 나타나, 스키니 진의 바지통이 일반 청바지에 비해 현저히 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3. Comparison of flat pattern shapes by brand groups

 수집된 패턴을 전문 진 브랜드, 트렌디 진 브랜드, SPA 브랜드에 따라 분류하여 패턴 중합도를 제작하고, 패턴 형태의 특성을 그룹별로 분석하였다(Fig. 5).

<Fig. 5> Analysis of flat pattern shapes by brand groups

 진 전문 브랜드는 뒤밑위둘레선의 곡선의 곡률이 크고, 뒤중심선 기울기가 커 착용감과 활동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뒤판 아웃심의 허리에서 엉덩이를 지나 넙다리에 이르는 부분의 곡선은 인체의 굴곡을 반영한 S자형 커브를 이루는 경향이 있었다.

 트렌디 진 브랜드의 경우, 앞판의 밑위길이가 짧으며, 다른 브랜드 군에 비해 앞판의 바지폭이 좁아 착용 시 옆선 라인이 앞면으로 두드러지게 모이게 되어 시각적으로 슬림해 보이는 착시효과를 줄것으로 보였다. 뒤판의 아웃심 중 허리에서 넙다리에 이르는 부분이 인체의 굴곡과는 반대로 오목한 곡선으로 그려져 샅과 넙다리 부위가 타이트하게 조여졌으며, 바지길이와 무릎길이가 다른 브랜드에 비해 긴 경향이 있어 스키니 진의 가늘고 긴 실루엣을 만드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SPA 브랜드의 패턴은 뒤중심선 기울기가 작고 직선에 가까우며, 뒤판의 아웃심 라인이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그려졌다. 바지부리 둘레는 다른 브랜드 군과 비슷하지만 바지 길이와 무릎아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향을 보여 바지통이 슬림하게 보이지 않고 골반과 넙다리 부위가 상대적으로 넓어 보이게 하는 부정적인 시각 효과가 있었다.

 수집한 스키니 진 평면패턴(Fig. 3)에서 부위별 패턴치수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3>, <Table 4>와 같다. 전문 진 브랜드, 트렌디 진 브랜드, SPA 브랜드에 따라 치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진 브랜드 특성별로 세부 패턴의 치수에 차이가 있었다. 앞판 패턴에서는 앞밑위길이(D), 샅높이(J)와 앞밑위둘레(K)가, 뒤판 패턴에서는 샅냄폭(c), 뒤밑위길이와 앞밑위길이의 차이(d-D), 샅높이(j), 뒤밑위길이(k), 뒤중심기울기(o)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able 3> Comparison of pattern measurements by brands; front pants (cm)

<Table 4> Comparison of pattern measurements by brands; back pants (cm)

 <Table 3>에 제시된 앞판 패턴 치수의 브랜드별 차이를 살펴보면, 앞밑위길이(D)는 트렌디 진(13.43 cm)이 가장 짧았으며, 진 전문 브랜드(15.87cm)와 SPA 브랜드(16.17cm)는 차이가 없었다. 앞밑위둘레(K)도 같은 경향을 보여, 트렌디 진 브랜드(13.77 cm)가 진 전문 브랜드(16.57cm)와 SPA 브랜드(16.87 cm)보다 길이가 짧았다. 앞밑위길이가 짧으면 앞허리선이 내려오게 되며, 앞밑위둘레의 치수가 작으면 바지의 앞쪽 샅부위가 인체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므로 트렌디 진 브랜드의 실루엣을 스키니하게 만드는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샅끝점에서 바지부리까지 길이인 샅높이(J) 항목의 경우 트렌디 진 브랜드(79.07cm)가 가장 길었으며, 진 전문브랜드(75.27cm), SPA 브랜드(72.10cm) 순으로 나타났다. 트렌디 진 브랜드의 경우 밑위가 짧은 경향과 샅높이가 긴 경향이 동시에 나타나, 바지 길이에서 골반의 비율이 짧아 보이고, 다리의 비율은 길게 보이도록 착시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Table 4>에서 뒤판 패턴의 차이를 살펴보면, 샅부위의 맞음새 및 활동 여유량과 연관이 많은 샅냄폭(c)은 진 전문(7.33cm), 트렌디 진(6.33cm), SPA 브랜드(6.10cm) 순으로 나타나, 청바지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진 전문 브랜드 패턴이 뒤판 샅부위의 활동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뒤밑 위둘레(k)는 트렌디 진 브랜드가 25.73cm로 가장 짧았으며, 진 전문 브랜드가 27.93cm, SPA 브랜드가 27.04cm로 비슷하였다. 뒤밑위길이(d)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치수 차이가 없어 뒤 허리선의 위치는 각 브랜드 간에 두드러진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이나, 뒤판의 밑위길이(d)와 앞판의 밑위길이(D)의 차이인 앞뒤밑위길이차(d-D)에서는 트렌디 진 브랜드(6.77cm), SPA 브랜드(5.5cm), 진 전문 브랜드(3.76cm) 순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치수 차이가 있었다. 트렌디 진 브랜드는 앞밑위길이(D)가 다른 브랜드보다 짧은 경향이 있었는데, 이때 뒤밑위길이(d)가 함께 짧다면 의자에 앉거나 몸을 숙이는 것과 같이 골반부위의 체표 길이가 증가하는 동작에서 바지의 밑위부분의 의복 여유량이 부족하게 되어 뒤허리선이 당겨 내려가고, 그 결과 골반부분의 신체 노출이 발생하게 되어 착용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앞밑위길이가 짧은 트렌디 진 브랜드들은 충분한 앞뒤밑위 여유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패턴 제도 시 뒤밑위길이와 앞밑위길이의 차이를 크게 설정하여 이를 보완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뒤 밑위길이차(d-D)가 크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바지허리선의 기울기가 커지므로 트렌디 진 브랜드가 측면에서의 허리선 경사가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행연구들(Choi and Do, 2008; Shin et al., 2006)은 청바지 패턴 제도 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뒤중심선 기울기(o)를 선정하였는데, 뒤중심선 기울기가 크면 엉덩이를 입체적으로 만들며, 활동성이 요구되는 바지에 적합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브랜드별 뒤중심선 기울기(o)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 전문 브랜드(16.83°), 트렌디 진 브랜드(13.67°), SPA 브랜드(11.17°) 순으로 기울기가 크게 나타나, 진 전문 브랜드의 스키니 진이 활동성이 가장 높고 입체적인 패턴이며, SPA 브랜드의 스키니 진이 활동성이 적으며 평면적인 패턴으로 분석되었다. 뒤판 샅높이(j)는 트렌디 진 브랜드(77.13cm), 진 전문브랜드(74.50cm), SPA 브랜드(71.03cm) 순으로 길게 나타나 앞판 샅높이(J)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4. Fit evaluations of skinny jeans

 스키니 진의 착장 사진을 보고 부위별 맞음새에 대한 외관평가를 설문조사하였다. 스키니 진의 부위별 맞음새 선호도는 옆선의 위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진 브랜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ig. 4, Table 5).

<Table 5> Appearance and fit evaluations of skinny jeans (N=52)

 전체 외관을 포함하여 허리둘레선, 엉덩이둘레선, 넙다리중간둘레선, 밑위둘레선, 아웃심, 인심, 옆 허리선, 앞밑위길이, 뒤밑위길이의 세부 항목에서 트렌디 진 브랜드가 가장 우수한 외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트렌디 진 브랜드들은 유행에 민감하고, 소비자 타켓 연령층이 낮으며, 제품 가격대가 높았다. 또한 다른 브랜드 군에 비해 가장 다양한 핏과 디자인의 스키니 진들이 판매되고 있었다. 스키니 진의 유행경향과 선호 핏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가장 잘 이해한 집단이 트렌디진 브랜드였고, 이것이 소비자 평가 결과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2>~<Table 4>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트렌디 진 브랜드의 스키니 진은 밑위너비가 좁고, 밑위둘레가 짧으며, 측면에서의 허리선 경사가 크고, 바지 길이가 길어 몸에 타이트하게 밀착되고, 슬림한 청바지로 분석되었으며, 이것이 현재 소비자가 선호하는 스키니 진의 맞음새인 것으로 파악된다.

 SPA 브랜드의 스키니 진은 모든 항목에서 가장 낮은 외관 평가를 받았는데, 트렌디 진 브랜드와 전문 진 브랜드의 경우, 전체 상품 구색 중 청바지의 생산과 판매 비중이 높으며, 청바지에 대한 전문도가 높은 진 캐주얼 브랜드들인데 비해, SPA 브랜드는 다품종 생산이 특징으로 전체 상품 구색 중 청바지의 비중이 크지 않으며, 청바지 전문 브랜드에 비해 전문성이나 체형에 맞는 청바지 패턴에 대한 축적된 노하우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2>~<Table 4>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SPA 브랜드 스키니 진은 밑위길이와 밑위너비가 길어 골반부위가 인체에 밀착되지 않고 여유량이 많으며, 바지길이가 짧고 아웃심이 직선 형태를 띄고 있어 바지라인이 슬림하지 않고 넓어 보이며, 뒤중심선 기울기가 적어 엉덩이의 입체적인 실루엣이 부족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소비자가 선호하는 스키니 진의 맞음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밑위길이, 밑위너비, 뒤중심선 기울기, 바지길이 등이며, 인체를 가늘고 길게 보이는 방향으로 패턴을 설계했을 때 소비자들의 선호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V. Conclusion

 본 연구는 스키니 진의 사이즈 체계를 조사하고, 제품과 패턴의 세부 치수를 측정하여 이를 청바지 브랜드 집단별로 비교하였으며,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스키니 진의 맞음새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청바지 브랜드 군을 진 전문 브랜드, 트렌디 진 브랜드, SPA 브랜드의 3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브랜드 군에 속하는 브랜드를 3개씩 선정하여, 총 9개 브랜드에서 스키니 진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브랜드에서 시판되고 있는 스키니 진의 의류치수는 센티미터로 측정한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의 신체치수를 표기하도록 되어 있는 KS K0051 여성복 치수 표기 방식을 따르지 않고, 인치로 측정한 허리둘레의 치수를 호칭으로 표기하는 방식을 관행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각 호칭에 대응하는 신체치수의 간격은 브랜드별로 차이가 컸으며, 허리둘레보다 엉덩이둘레 항목에서 브랜드 간 치수 편차가 크게 나타나, 동일한 호칭의스키니 진 구입 시 브랜드에 따라 엉덩이둘레 부위의 맞음새에는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둘째, 스키니 진의 제품 치수를 측정한 결과, 유행을 추구하는 트렌디 진 브랜드는 다른 브랜드들 보다 앞, 뒤 밑위길이가 짧아 바지 허리선이 낮고, 뒤 밑위너비가 작아 골반 부위가 인체에 밀착되어 엉덩이가 타이트하게 강조되며, 인심의 길이가 길었다. 소비자들에게 각 스타일에 따른 제품 사이즈 스펙을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브랜드들은 9개의 조사 대상 브랜드 중 2개 브랜드에 불과해,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사이즈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확한 제품 사이즈 스펙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청바지 브랜드들의 노력이 더 필요할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스키니 진 부위별 패턴 치수를 측정한 결과, 다음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진 전문 브랜드는 앞뒤밑위길이 차이가 가장 적었으며, 뒤샅냄폭, 뒤밑위길이, 뒤중심선 기울기가 가장 컸다. 트렌디 진 브랜드는 앞밑위길이, 앞밑위둘레, 뒤밑위둘레가 가장 짧고, 앞뒤밑위길이 차이, 샅높이가 가장 길었으며, SPA 브랜드는 앞밑위길이, 앞밑위둘레가 가장 길고, 샅높이, 뒤샅 냄폭, 뒤중심선 기울기가 가장 작았다.

 넷째, 스키니 진의 부위별 맞음새에 관한 외관평가 결과, 전체외관,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 중간둘레, 밑위둘레, 밑위길이, 인심, 아웃심 등의 항목에서 트렌디 진 브랜드의 맞음새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설문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트렌디 진 브랜드의 패턴 특징을 통해 현재 유행하고 있는 스키니 진의 스타일 특성을 유추할 수 있었는데, 트렌디 진은 밑위너비가 좁고, 밑위둘레가 짧으며, 앞뒤 밑위차가 크고, 샅높이가 길어, 바지가 골반부위에서 타이트하게 밀착되고,다리가 가늘고 길어 보이는 특성이 소비자가 선호하는 스키니 진의 패턴 요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인지도와 백화점 입점 여부, 브랜드 매출 순위 등을 기준으로 총 9개의 청바지 브랜드를 선정하고, 브랜드 특성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에 속하는 브랜드 수는 3개씩으로, 표본의 수가 크지 않았다. 국내에 판매되고 있는 청바지 브랜드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사대상 브랜드 수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나, 좀 더 많은 브랜드를 대상으로 분석했다면 대표성 있는 스키니 진 패턴 제도치수를 제시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작용하였다.

 인체에 밀착되는 스키니 진은 활동성을 위해 스판덱스가 함유된 신축성 있는 소재를 주로 사용하여 제작하며, 본 연구에서는 면 98%, 스판덱스 2%인 데님 원단으로 제작된 스키니 진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제품의 신축성이 일정하도록 통제하였다. 그러나 혼용률 이외에도 직물의 물성에 영을 미치는 요소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스키니 진에 사용된 소재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스판덱스의 혼용률 뿐만 아니라, 직물의 두께, 무게, 밀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 및 워싱 가공 방식 등은 청바지의 치수와 맞음새에 밀접한 영향을 주므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소재의 물성 차이에 따른 스키니 진 패턴 치수에 대한 분석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스키니 진의 착장 외관평가를 실시하여 각 브랜드의 특성에 따른 스키니 진의 외관 맞음새를 분석하였으나, 실제 소비자가 입었을 때의 착용감에 대한 착의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인체에 밀착되는 스키니 진은 일상동작을 저해하거나 장시간 착용 시 불쾌감을 일으킬 수가 있기 때문에 패턴설계 시 착용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스키니 진의 외관평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형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동작적합성과 착용감 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

1.Armstrong, H. J.(2000). Patternmaking for fashion design(4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Choe, H. G.(2013, May 31). What size do you mean? Still 'dress size' Do you fit in the body? You got the clothes fit the body!. Busan Ilbo, Retrieved July 20, 2013, from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30531 000045
3.Choi, J., & Do, W. H.(2008). A study on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fit preferences of boots-cut jean -Focus on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2), 271-283.
4.Chun, J. S., & Suh, M. J.(2007). A study on the consumer's dissatisfaction with jean pants quality and purchasing patter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6), 929-938.
5.Ham, S. J., Jung, H. J., & Oh, K. W.(2012). Female adolescents'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and skinny jeans purchasing behavior: Focus on the effect of appearance-relative behavio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3), 438-447.
6.Jung, S. H., & Lee, J. R.(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eans pattern and grad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9/10), 1048-1059.
7.Kim, H. A., & Chun, J. S.(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t of jean block patterns for women in their 2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2), 136-145.
8.Kim, S. H., Kim, H. S., & Jeon, M. S.(2008). The study on actual condition and comparison of cognition on college women's wearing blue jeans by change of crotch length of hipbone blue jea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6), 1087-1098.
9.Korean Standards Association(2009). KS K 0051: 2009 - Sizing Systems for Female Adult's Garments. Seol: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10.Kweon, S. A.(2012). The effect of the skinny pant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pressur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3), 567-576.
11.Kweon, S. A., & Sohn, B. H.(2010). A study on wearing condition and demanding on improvement in skinny jean of college woman. Proceeding of the 2010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Annual Meeting, 127-128.
12.Kwon, S. H., & Hong, J. U.(2009). Analysis of the waistline and the back waist point of slacks pattern for optimizing the range of mo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4), 61-72.
13.Lee, D. Y.(2012, March 26). K-Pop style①- Four cultural codes. Pressian.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20323 110007
14.Lee, H. C.(2012). 패턴의 정석 [Rules of pattern]. Seoul: Kyomunsa.
15.Lee, J. H., & Do, W. H.(2012). A study on the denim fit and favorite style according to the gende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2), 379-385.
16.Lee, J. S., & Sung, S. K.(2003). Transactions: A survey on the purchase and repair of jean slacks - Targeted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in age group between 18 and 23.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5(2), 153-158.
17.Lim, J. Y.(2006). Status Quo analysis on the wearing practice of blue jeans according to women's ag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8(4), 413- 419.
18.Min, J. H.(2011, May 10), National brand Buckaroo rush... jeans industry change. The Korea Economic Daily. Retrieved August 12, 2013, fr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51084351
19.Moon, J. H., & Jeon, E. K.(2011). Analysis on the design factors for pants pattern - Focused on crotch reg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3), 382-389.
20.Na, Y. J., & Lee, D. W.(2010). Clothing pressure sensation and discomfort experience of skinny jea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4), 655- 665.
21.Nam, Y. J., Park, J. K., Lee, H. S., & Choi, K. M. (2007). Apparel making skirt․pants. Seoul: Kyohakyongusa.
22.Park, J. K., & Rim, W. J.(1994). Study on the ease of the total crotch length of slac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5), 602-614.
23.Rosen, S.(2004). Patternmaking - A comprehensive reference for fashion design.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24.Samsungdesignnet(2012, July 6). The second half of 2012 Casual Fashion Market Analysis. Retrieved April 05, 2013,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25.Shim, B. J., Suh, C. Y., & Yoo, H.(2005). A study on the functionality of engineered jean pants according to pattern analysis and clothing evaluation. Fashion Business, 9(4), 145-160.
26.Shin, D. O., Ryu, S. A., & Park, K. S.(2006). The design of slacks pattern for women in early twent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5), 699-714.
27.Shin, K. Y., & Suh, M. A.(2010). A study on the low waist slacks pattern for the schoolgirl of a tween gener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6), 1165-1178.
28.SizeKorea(2010). 6th Size Korea Project Data. Retrieved August 12, 2013, from http://sizekorea.kats.go. kr/05_application/industry_data.asp?OlapCode=S IZU05 02 &mode=woman
29.Song, Y. E., & Chu, M. S.(2009). The effects of the jean patterns on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limbs during walking.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1(6), 911-917.
30.Suh, C. Y., Suk, E. Y., & Park, S. J.(2004). Comparative study of ready-to-made denim pants according to pattern analysis and appearance evaluation. Korean J. of Human Ecology, 7(3), 5-13.
31.Uh, M. K., & Suh, M. A.(2007). A study on the survey of production condition of jeans in casual brand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4), 702-712.
32.Uh, M. K., Kim, K. A., & Suh, M. A.(2009). The development of jeans pattern by washing finish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4), 535-547.
33.Won, H. Y.(2012, December 13). Different clothes size 55, 66... Create a new standard. Herald Economic. Retrieved July 20, 2013, from http://news.heraldcorp.com/view1.php?ud=20121213000201 &md=20121216004137_AT
34.Yim, E. H.(2011). Idealization of the body in fashion -Focus on skinny jeans as an externalized cors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0), 1215-1227.
35.Yoo, M. J.(2007). A study on wearing behavior, purchase behavior and preference of styling of jean-wear for women in their 20-3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36.Yoon, J. A.(2007). Female college students' jean pants style -With a focus on skinny jea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9(1), 189-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