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No.3 pp.431-439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3.21.3.431

배기팬츠의 산업패턴 비교·분석 연구 - 20대 초반 남성을 중심으로 -

김민정, 장효천, 박선경
국민대학교 패션디자인과

A comparative analytical study of the industrial patterns of baggy pants - Focused on men in their early twenties -

Sun-Kyung Park, Min-Jung Kim, Hyo-Cheon Jang
Dept. of Fashion Design, Kookmin University, Korea
Received 29 May 2013, revised 14 June 2013, accepted 18 June 2013.

Abstract

This study aims to give practical help to the pattern making of baggy pants produced in large quantity fromindustrial fields. The functionality of crotch part is a key element to decide wear sensation and comfort of pantsas having direct influence on movements of legs in pattern designing of baggy pants. The industrial patterns ofbaggy pants in various styles that are released currently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conducted on them for the thesis. First, samples of men baggy pants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brandsand compared the completion sizes. Secondly, it studied the most appropriate patterns as quantifying the appropriatenessof movements through fitting tests. Finally, the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s of visual images by surveysof professional group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terms of aesthetic attributeamong the three brands, A baggy pants, which had a small size tolerance, were the most appropriate. Meanwhileconcerning the appropriateness of movement, B baggy pants were shown to be the most appropriate. This revealsexplicitly the problem of aesthetic attribute and functionality, which are always in conflict during the pattern design.It is necessary to develop patterns and establish a measurement system that may satisfy both of these factors.

01(10)_김민정, 장효천, 박선경.pdf2.51MB

I. Introduction

 최근 남성복은 전 복종의 캐주얼라이징 트렌드의 영향으로 정장 착용이 감소하는 반면, 캐주얼의류 시장규모가 크게 성장하였다(SDN, 2012). 삼성, SK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타이 문화’가 확산되었고(“Shines ‘No tie’, men accessories, no ties”, 2011), 남성 출근복 스타일의 분석 결과, 이번 시즌 캐주얼 스타일이 약 59.7%까지 증가하였다(SDN, 2012). 특히, Samsung Design Net(SDN)의 보고에 따르면 2000년대 후반 스타일리시 캐주얼이 지속성장하고 남성복 캐주얼 마켓이 형성되어, 현재 스타일리시 및 유니섹스 캐주얼의 감성과 컬쳐가 전체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고 한다(SDN, 2012). 따라서 패션시장에서는 기존 캐주얼보다 디자인 감도가 높고 실루엣과 컬러감을 강조하며, 20대 후반을 타켓으로 하는 스타일리시 캐주얼이 높은 시장성장률로 주목받고 있다(“Stylish Casual Look' COMING”, 2012). 스타일리시 캐주얼브랜드들은 남성과 여성라인의 전문성을 강화하면서 유니섹스 상품구성보다 비즈니스 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는데(“Targeting ‘stylish’ casual office worker”, 2012), 상의에서는 포멀 슈트, 피코트형 재킷, 드롭된 셔츠, 니트 베스트, 퀼팅점퍼 등을, 하의에서는 배기팬츠와 무릎높이의 하프팬츠 등을 트렌드를 리드할 좋은 아이템으로 여긴다(“Kinds of clothing Trends this spring and summer”, 2013).

 배기팬츠의 사전적 의미는 백(자루)처럼 넉넉하고 폭이 넓은 바지로 넓적다리 위가 특히 넓으며, 남자용 옥스퍼드 백스(Oxford bags)에서 온 것이다(Fashion Dictionary, 2002). 배기팬츠는 엉덩이둘레와 밑위길이의 여유분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ChoI, Suh, & Uh, 2009)

 기본팬츠에 비해 엉덩이에서 무릎까지의 여유로 인해 인체에 땀이 많이 발생하는 여름에는 통기성으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고(“Summer style up with a ‘Baggy pants’!”, 2011), 엉덩이와 다리의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살이 찌거나 마른 사람, 다리가 짧은 사람의 신체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아이템이며, 엉덩이가 커 보이지만 종아리로 연결되는 라인이 점차 좁아지며 사선을 형성하므로 다리를 길어 보이게 하기도 한다(“1cm of magic', baggy pants”, 2010). 유행 초기의 배기팬츠는 밑위가 길고 엉덩이둘레의 여유분이 많아 이질감을 주기도 하였으나, 진화를 거듭하면서 현재 다양한 스타일로 생산된다. 인터넷 쇼핑몰의 경우에는 과감한 스타일이 주류를 이루며, 주로 다이마루 소재를 이용하여 트레이닝 웨어로 생산하는 경향이 많다. 최근에는 활동적이고 젊은 이미지로 캐주얼룩 뿐만 아니라, 드레시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룩으로도 착용이 가능한 세미 배기팬츠의 유행으로 더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팬츠는 밑위길이가 낮아 신축성이 없는 소재를 사용하면 고관절의 움직임에 제약을 줄 수 있는 아이템이다. 유니섹스 캐주얼과 진캐주얼의 경우 데님 소재의 배기팬츠가 많으며, 스타일리시 캐주얼의 경우 치노팬츠 스타일의 배기팬츠가 많이 생산된다.

 하지는 인체에서 가장 움직임이 큰 부위로, 특히 밑위부위는 하지 동작 시 가장 많이 움직이며, 걷기, 뛰기, 버스에 오르기 등의 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므로, 밑위부위의 기능성은 하의의 착용감과 편안함을 결정한다(Kim, 2008). Kim(1979), Na(1994), Park(1993)에 의하면 슬랙스는 운동영역이 넓은 고관절, 슬관절의 동작과 피부의 신축에 대한 적응성 여부가 중시된다고 하였다. 20대 남성은 성장이 완료되어 청소년기의 특징에서 성인체형으로 다양하게 전이되는 시기(Yoo & Lee, 1991)로 기성복 착용이 가장 일반적이고(Suh Mi-A의 연구(Yoo & Lee, 재인용, 1991)), 맞음새에 민감하며(Hogge, Baer, & Park의 연구(Yoo & Lee, 재인용, 1991)), 유행에 맞추어 옷을 구매하는 성향이 가장 강한 시기이므로(SDN, 2012) 이들을 위한 배기팬츠는 멋스러울 뿐 아니라, 착용감이 좋고 일상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변화 요인이 많은 배기팬츠는 제도되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팬츠 패턴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전개될 때 패턴 구조 자체의 변화가 큰 아이템(Yoon & Nam, 2009)으로 시중에 다양한 디자인의 배기팬츠가 출시되어 유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배기팬츠의 패턴제도 방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선행연구가 부족한 남성의 배기팬츠의 동작적합성에 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최근 패션시장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는 남성의 캐주얼웨어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다양한 스타일로 출시되고 있는 배기팬츠의 산업패턴을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착의 실험을 통해 동작적합성을 정량화하여 최적의 패턴을 알아보고,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통해 시각적 이미지의 차이를 검증하여 산업현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배기팬츠 패턴 제도에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한다.

II. Research Methodology

1. How to access study methods

국내 캐주얼 브랜드의 배기팬츠는 세미배기스타일로 스키니스타일에 배기의 요소를 접목시킨 디자인이 주류를 이룬다. 이에 반해 인터넷 쇼핑몰의 배기팬츠는 밑위의 길이가 넙다리에서 종아리까지 과감하게 디자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기팬츠의 디자인 중, 뚜렷한 실루엣의 시각적 이미지 비교와 동작적합성 비교를 위하여 밑위의 위치가 넙다리와 무릎사이의 위치에 있는 디자인을 선정하였고, 소재는 신축성이 5% 미만인 배기팬츠를 선택하였다(Fig. 1).

<Fig. 1> Baggy pants.

<Fig. 2> Basic pattern.

 산업패턴은 검색 포털 서비스 조회수와 소비자만족도 조사를 통해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순위를 매겨 놓은 온라인 쇼핑몰 순위 사이트 스타일티켓(http://www.styleticket.co.kr), 스타일차트(http://www.style-chart.com/), 팝클로닷컴(http://popclo.com)에서 20대 남성 쇼핑몰 판매순위 20위권 안에 중복되는 브랜드 중 디자인이 동일한 배기팬츠 산업패턴 5종류를 제공받았다(Fig. 3).

<Fig. 3> 5 Patterns are offered from brand.

2. Selection of pattern

 제공받은 5종류의 패턴 중, 실루엣의 차이를 보이는 3종류의 산업패턴(pattern A, B, C)를 선정하여 연구 비교항목인 외곽 라인과 턱, 다트만 남겨두고 내부 디자인 선은 삭제하였으며, 착의평가에서 명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소재 신축성은 배제시켰다. 업체패턴의 중합도는 <Fig. 4>와 같다.

<Fig. 4> Comparison of pattern silhouette.

3. Selection of study subjects

 외관심미성 평가와 동작기능성 평가를 위하여 피험자 선정은 제6차 한국인 인체 치수 보고서(2010)의 인체 측정치 자료를 바탕으로 20~24세 남성의 신체 자료를 기준으로 표준편차 이내에 포함된 피험자 10명을 선정하였다. 신체치수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Body size of study subject

4. Making pants for testing

 업체별 모델 리스트의 인터뷰 조사를 통해 선정된 배기팬츠의 설계 과정은 다음과 같다.

 A업체 배기팬츠 패턴은 기본원형에서 힙 여유량과 밑위선 위치 선정 후 중심선 각도를 정한다. 이때의 중심각도는 허리둘레량과 턱, 다트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옆선라인 제도 후 부리둘레선을 정한 후 인심라인을 그린다. 제도시 주의점은 넙다리의 활동성을 고려하여 넙다리의 둘레 치수를 정하게 된다.

 B업체 배기팬츠 패턴은 기본원형에서 힙여유량을 정한 후 중심선 각도와 밑위선을 그린다. 다음으로 옆선라인의 실루엣을 정한 후 허리둘레에 맞춰 내부 턱과 다트량을 정한다. 부리둘레선 선정 후 무릎둘레, 넙다리둘레를 확인하고 인심라인을 그린다. 마지막으로 무릎선에서 다리각도를 인심쪽으로 회전시킨다.

 C업체 배기팬츠 패턴은 기본원형에서 밑위선 위쪽의 앞 뒤 중심선을 절개 후 벌려 밑위길이를 늘려준다. 앞뒤중심선을 그린 후 밑위선을 그린다. 옆선라인을 그리고 내부 턱과 다트량을 정한다. 마지막으로 부리와 인심라인을 그린다. <Table 2>는 3개의 산업패턴 사이즈를 비교한 표이다.

<Table 2> Comparison of completed pattern size by brands

 세 브랜드 모두 제도식 순서에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부분적인 여유량과 밑위선의 위치, 다리 각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브랜드별 패턴사이즈를 비교해 보면 바지길이, 배꼽수준허리둘레, 인심길이, 부리둘레는 1~1.5cm의 미비한 차이를 보였으나, 엉덩이둘레 5~12cm, 넙다리둘레 3.3~4cm, 앞뒤밑위길이 3~8.8cm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패턴사이즈는 무릎선을 중심으로 무릎선 위는 A패턴과 B패턴이 유사한 형태이며, 무릎선아래는 A패턴과 C패턴이 유사한 형태이다(Fig. 4).

<Fig. 4> Appearance of three baggy pants

 착의 실험을 위하여 실험복 소재는 머슬린을 사용하였으며, 물성측정은 KS K에 준하여 이루어졌다. 실물 제작의 소재 물리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Fabric characteristics

5. Evaluation of fitting test

 착의 평가는 한국 인체 표준사이즈에 해당하는 20~24세 남자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착의평가하였으며, 착의 평가 항목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7점 리커트 척도를 하였다. 외관 평가는 전면, 후면, 측면을 보고 전체적인 실루엣과 앞·뒤·옆의 부분 실루엣을 묻는 문항으로 실무 경력 7년 이상의 모델 리스트 및 디자이너 29명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량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항목별 패턴간의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검정을 실시하였다.

III. Results and Discussion

1. Aesthetic evaluation of appearance

 브랜드별 외관심미성 평가를 위한 착의 평가 항목은 선행 논문 자료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실루엣, 앞·뒤·옆의 여유량 및 실루엣에 관한 문항으로 총 12문항으로 평가하였다. 실무자 29명에서 설문한 브랜드별 외관심미성 평가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Result of the aesthetic evaluation of baggy pants by brands

 브랜드별 배기팬츠의 외관심미성 평가 결과에서는 ‘발목둘레는 적당한가’ 문항과 ‘뒤 다트위치와 길이는 적당한가’의 문항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1. 전체 여유량을 묻는 문항에서는 A>B>C 순으로 A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엉덩이둘레선의 여유는 적당한가’, ‘넙다리둘레는 적당한가’의 문항에서는 A와 B에 비해 C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2. 앞과 옆의 실루엣에 관한 문항에서는 A>B>C순으로 A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앞 밑위길이, 앞과 옆 실루엣의 외관을 묻는 문항에서도 A와 B에 비해 C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3. 뒤의 실루엣에 관한 문항에서는 A>B>C 순으로 A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뒤 밑위길이, 뒤 실루엣의 외관을 묻는 문항에서는 A와 B에 비해 C가 현저히 낮은 평가를 받았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문가의 외관평가에서는 A>B>C 순으로 A가 가장 적당한 패턴으로 평가되었다. B의 경우 A와 결과는 비슷한 평가를 받았지만, C의 경우는 과도한 여유분량으로 인하여 심미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2. Evaluation of movement functionality

 동작기능성 평가를 위한 착의 평가 항목은 선행논문 자료를 바탕으로 보통걸음걷기, 계단 오르기, 허리90도 굽히기, 의자에 앉기, 책상다리, 쭈그리고 앉기 자세를 비교 평가하였다. 편안함을 묻는 문항은‘허리는 편안한가’, ‘엉덩이는 편안한가’, ‘넙다리는 편안한가’, ‘무릎은 편안한가’, ‘발목은 편안한가’로 총 5문항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브랜드 패턴 3가지로 10명의 피험자를 통해 착의 평가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Evaluation of movement functionality of baggy pants brands

 통계분석 결과, 기본자세, 보통걸음걷기, 허리90도 굽히기를 제외한 나머지 동작항목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1. 보통걸음걷기, 허리 90도 굽히기, 의자에 앉기에서는 B>C>A의 순으로 B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나, 차이는 미비하게 나타났다.

 2. 계단오르기 동작에서는 B>C>A의 순으로 A가 B와 C의 수치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넙다리와 무릎을 많이 움직이는 동작으로 전체적인 여유량이 적은 A가 낮게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3. 책상다리와 쭈그리고 앉기 동작에서는 B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A와 C는 비슷한 점수를 받았다. C는 엉덩이둘레의 여유량은 많으나 무릎둘레와 바지부리 여유량이 A와 B에 비하여 적은 것이 요인으로 분석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B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A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무릎을 접거나 굽히는 동작에서 전체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배기팬츠의 디자인상 무릎에서 부리까지의 여유분이 적고 소재의 신축성이 없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IV. Conclusion and Suggestion

 본 연구는 디자인 변화요인이 많은 남성배기팬츠 설계시 브랜드별 다양한 제도방식을 과학적으로 검증하여 체계화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20~24세 남성을 대상으로 수거한 남성배기팬츠 산업패턴 5종류 중 3종류를 제작 후, 착의 실험을 통해 외관심미성 평가와 동작 기능성 평가를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지길이, 배꼽수준허리둘레, 인심길이, 부리둘레는 미비한 차이를 보였으나,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앞뒤밑위길이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패턴 설계시 활동성을 고려하여 여유량를 추가할 때 개인차가 심한 것으로 보인다.

 2. 외관심미성 평가 결과는 전체 여유량을 묻는 문항에서는 B>A>C 순으로 B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엉덩이둘레선의 여유는 적당한가’와 ‘넙다리둘레는 적당한가’의 문항에서는 A와 B에 비해 C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앞·뒤·옆 실루엣에 관한 문항에서는 A>B>C 순으로 A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앞·뒤 밑위길이 및 앞·뒤·옆 실루엣의 외관을 묻는 문항에서도 A와 B에 비해 C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종합해 보면 외관 심미성은 여유량이 적은 실험복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3. 동작기능성 평가 결과, 보통걸음걷기, 허리90도 굽히기, 의자에 앉기에서는 B>C>A의 순으로 B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고, 계단오르기 동작에서는 B>C>A의 순으로 A가 B와 C의 수치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책상다리와 쭈그리고 앉기 동작에서는 B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A와 C는 비슷하게 평가되었다. 동작 범위가 클수록 무릎에서 부리까지의 평가는 낮은 수치로 나타났는데, 이는 신축성이 없는 소재의 특성과 함께 종아리의 근육이 수축·팽창하는 둘레차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디자인에만 치중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심미성의 경우, 세 브랜드 중 여유량이 적은 A배기팬츠가 동작적합성의 경우는 B배기팬츠가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패턴 설계 시 항상 대립되는 디자인과 기능성의 문제점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므로 두 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패턴 개발 및 데이터가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특정 디자인과 신축성이 없는 소재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미적인 부분과 활동적인 부분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패턴 개발이 필요로 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Reference

1.Choi, E. J., Suh, M. A., & Uh, M. K.(2009). Image differences based on changes in hip circumference and crotch length in baggy pants -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8), 912-922.
2.Fashion market analysis at the second half of 2012. (2012, July 06). Samsung design net. Retrieved December 05, 2012,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Hogge, V. E., Baer, M., & Park, J. K.(1998). Clothing for elderly and non-elderly men: A comparison of preferences, perceived availability and fitting problem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6(4), 47-53.
4.Jeong, Y. H.(2006). Pattern development of tight-fitting pants for men using measurements of Size Korea 2004.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5(5), 791-802.
5.Jeong, Y. H.(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terns for pants for men in their early 20s and evaluation of subjective wear sens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3), 312-324.
6.Kim, E. H.(2011, January 14). Shines "No tie", men accessories, no ties. The Hankyoreh. Retrieved December 21, 2012, from http://www.hani.co.kr/arti/economy/consumer/458793.html
7.Kim, J. M.(2005, November 21). 'Stylish Casual Look' COMING. Fashion Insight. Retrieved December 21, 2012, from http://www.fico.kr/main/view.asp?NewsDate=2005-11-21&SectionStr=Fashion&idx=5
8.Kim, K. J.(1979). A study on body measurement for slacks construction - Mainly with women's colles student in Seoul city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7(2), 1-8.
9.Kim, Y. H.(2008). An establishment of crotch ease of men's slacks for lower body men mo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4), 553-561.
10.Lee, G, E.(2010, June 29). '1cm of magic', baggy pants. The Kyunghyang Shinmun. Retrieved November 21, 2012,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6291736565&code=900305
11.Na, K. H.(1994). A study on the body fit of slacks - Focused on method for measuring a crotch leng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Oh, K. C.(2012, December 28). Targeting "stylish" casual office worker. Apparelnews. Retrieved December 28, 2012, from http://www.apparelnews.co.kr/naver/view.php?iid=45156
13.Paek, K. J., & Lee, J. R.(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s formal pants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8), 1524-1535.
14.Park, S. K.(2013). Men's wear pattern design. Seoul: Kyomunsa
15.Park, Y. D.(1993). A study on th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concerning men's ready-made sui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6.Rasara Fashion(2002). The illustrated dictionary of fashion. Rasara Fashion Information.
17.Rise and fall of the youth casual market.(2012. August 20). Samsung design net. Retrieved December 05, 2012,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18.Suh, M. A.(1988). A study on the constructional factor of slacks caused by movement-fit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9.Yoo, S. J., & Lee, S. W.(1991). A study on body form variation of adult males in the twenties for cloth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5(4), 393-403.
20.Yoon, M. K., & Nam, Y. J.(2009). A study on the classifdcation of the women's pants sillouettes by theit pattern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5), 741-751.
21.Yun, E. Y., & Park, S. K.(2011). Bodice patterns of Korea women in their twenties according to body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1(3), 79-98.
22.(2011, June 22). Summer style up with a "Baggy pants"!. SBS News. Retrieved December 21, 2012, from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161610
23.(2013, January 16). Kinds of clothing trends this spring and summer. Apparelnews. Retrieved January 18, 2013, from http://www.apparelnews.co.kr/naver/view.php?iid=45360
24.2012 F/W Men's business wear analysis.(2012, November 14). Samsung design net. Retrieved December 05, 2012, from http://www.samsungdesig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