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1 pp.131-145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1.131

Development of the zip-up T-shirt design for men’s outdoor clothing in summer

Koh Woon Kim, Yoon Kim*
Visiting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Myongji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Duks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yoonkim@duksung.ac.kr)
January 15, 2020 February 6, 2020 February 8, 2020

Abstract


As the population of consumers of outdoor wear expands,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among consumers in trendy lifestyle outdoor.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designs that are drawn from outdoor wear. This can be limited to traditional mountaineering suits, and designs developed from men’s outdoor zip-up T-shirts, which are highly utilized in everyday life,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developed the design of a summer zip-up T-shirt for men with both functional and aesthetic qualities. Visual images of foreign brands and domestic outdoor-focused T-shirts from the spring/summer seasons of 2013-2019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following modeling elements: silhouettes, details, colors, materials, and prints. In addition, the design concept was derived by analyzing presentations from the global outdoor trade Fairs (2013-2019). To develop a sustainable eco-friendly outdoor summer T-shirt for men, the concept was derived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eco-friendly, sportismexpressed active elements of sports, and an outro-concept of urban town wear as an outdoor lifestyle. Thus, a total of 12 styles of design were developed. High utilization of the outdoor wear T-shirts (which are also popular as lifestyle wear), is an important aspect of building a segmented lineup of the slow-growing outdoor wear market and supports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oretical research on outdoor wear design.



남성용 하절기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 디자인 개발

김 고 운, 김 윤*
명지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객원교수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부교수

초록


    I. Introduction

    경제성장을 기반으로 한 소득수준 및 생활수준의 향상은 보다 나은 삶을 지향하 는 라이프 스타일로의 변화와 건강 및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고조, 여가생활 과 레저문화의 확산 등 소비자의 생활양식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다양한 레저 스포츠 활동의 증가와 아웃도어 스포츠 활동의 적극적인 참여로 아웃도어 시장은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도약하였 다(Lee, Moon, & Chung, 2013). 캠핑(camping)문화 의 발달과 클라이밍(climbing) 등 레포츠 인구확산 및 20․30대로의 소비인구 확장으로 2008~2013년 연평균 성장률 28.9%를 보이던 아웃도어 웨어 시장은 2014 년 이후 성장세가 줄어들고 있다(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18). 약 8조 원으로 추정되는 아 웃도어 웨어 시장규모는 한 복종의 시장규모로는 과 포화 되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으며, 과포화에 따른 경 쟁심화, 확장을 위한 비전 부재, 신규고객 창출의 부 진 등이 시장 침체의 원인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성장 을 위해서는 오리지날 아웃도어 웨어의 세분화된 제 품구성과 라이프 스타일 아웃도어 웨어의 시장개척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Park, 2017).

    시장의 규모와 소비자층의 세분화에 따라 아웃도 어 웨어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주로 아웃도 어 웨어의 패턴 개발,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디자인 선 호조사,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 아웃도어 웨어의 조형 성 및 스타일 분석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아웃 도어 웨어 디자인 개발 연구의 경우, 특정연령에 한정 되거나 대체적으로 재킷이라는 특정 복종을 위주로 한 것이 대부분이며, 대다수 아웃도어 웨어 연구들이 전체적인 아웃도어 활동을 위한 의류보다는 등산이라 는 한정된 활동에 집중하였다. Cho, Son, and Lee(2014) 에 따르면 선호 착장을 분석한 결과 가장 선호도가 높은 아이템으로 집업 티셔츠를 포함한 티셔츠가 도 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zip-up t-shirts)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즌 트렌드를 바탕으로 기능성과 심미성 을 충족하는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의 개발을 제시하 고자 한다. 디자인 개발은 남성용 집업 티셔츠를 대상 으로 하며 하절기 제품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본 연구 에서 디자인 개발을 남성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여성 등산 인구의 비율이 점점 커져가고 있는 추세이나, 여 전히 등산인구의 비율은 남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산 림청이 실시한 ‘2015년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에 따르면 주 1회 이상, 한 달에 1회 이상 산에 가는 남성의 비율은 각각 12.6%, 28.0%로 여성 비율 7.2%, 17.5%에 비하여 높은 수치로 조사되었다(Korea Forest Service, 2015).

    본 연구는 하절기 남성용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 디 자인 개발을 위하여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 행하였다. 이론적 연구는 아웃도어 웨어의 개념 및 특 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적 연구는 하절기를 중심 으로 한 아웃도어 웨어 트렌드의 분석을 위하여 월간 아웃도어, 월간 캠핑, 어패럴 뉴스, 패션채널 등에서 추출한 기사 및 자료를 활용하였다. 아울러 남성용 아 웃도어 집업 티셔츠의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 여 국내외 아웃도어 브랜드의 인터넷 사이트와 온라 인 매장의 2013년 S/S시즌에서 2019년 S/S시즌까지 의 남성용 집업 티셔츠의 시각적 자료를 수집 및 활용 하였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총 12 스타일의 하절기 남성용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 디자인을 개발하였으 며, 이는 아웃도어 웨어 중 다양한 아웃도어 활동 및 레저활동과 함께 각광받고 있는 집업 티셔츠에 대한 이론적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아웃도어 웨어 디자 인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Ⅱ. Background

    1.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outdoor wear

    아웃도어(outdoor)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옥외의, 야외의’라고 정의하며, 아웃도어 활동은 야외에서 즐 기며 스포츠를 하는 것으로 여유롭게 야외에서 여가 를 즐기거나 주어진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일체 의 활동을 포함한다. 아웃도어 스포츠란 야외에서 행 할 수 있는 모든 스포츠 활동을 뜻하며, 아웃도어 제 품이란 야외에서 하는 아웃도어 스포츠 활동 시 입는 옷, 장비 등을 지칭한다. 또한 아웃도어 룩이란 자연 스럽고 소박한 생활을 지향하는 아웃도어 라이프에서 파생한 패션으로 황야 등의 들판에서 사용되는 것을 본래의 목적으로 한 마운틴 파카(mountain parka)나 다운 웨어(down wear), 트레일 팬츠(trail pants), 백 팩 (back pack)이나 디 팩(D pack) 등의 도구류를 일반 생활 반경에 끌어들여 패션으로 맵시 있게 입는 경향 을 가리킨다(Jang, 2012;Kim & Ha, 2012).

    활동성과 기능성을 수반하는 아웃도어 웨어는 야 외활동으로 인한 신체의 땀이나 습기의 배출 및 흡수 조절이 필수적이며, 체온 유지를 위한 기능성 소재와 디자인이 매우 중요시된다. 야외 활동 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단계별로 인체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착장방법을 레이어링 시스템(layering system)이라 하며,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 미들 레이어(middle layer), 인슐레이션 레이어(insulation layer), 소프트 셀 레이어 (soft shell layer), 하드 셀 레이어(hard shell layer)로 구 분이 가능하다(Han & Kim, 2016;Park & Ha, 2017). 베이스 레이어는 신체의 피부에 직접 착용하는 속옷 의 개념으로 흡습․속건 기능을 중요시하며 1st layer 또는 언더웨어라고도 부른다. 우수한 기능성 소재를 사용해 활동이 편하며, 피부에 쓸림과 자극이 없어야 한다. 미들 레이어는 1st layer 위에 착용하는 것으로 기온에 따라 겉옷으로 착용되거나 혹한기에는 보온의 류와 함께 착용하는 등 외부의 온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된다. 티셔츠, 셔츠, 베스트(vest), 팬츠 등이 포함 되며, 투습․속건, 항균․방취, 청량감 등이 요구된다. 인슐레이션 레이어는 2nd layer로 베이스 레이어나 미 들 레이어 위에 착용하며, 안쪽의 옷과 겉옷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보온성을 높인다. 인슐레이션 레 이어는 통기성이 좋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안쪽의 레 이어에서 흡수한 땀을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 이다. 플리스(fleece)나 니트를 사용하며, 상의의 경우 앞부분에 지퍼가 달린 점퍼 스타일과 목 부분에만 지 퍼나 스냅이 달린 집업 넥(zip-up neck) 스타일이 있 다. 소프트 셀 레이어는 야외 활동에 쾌적함을 유지하 도록 돕는 겉옷을 의미하며, 완벽한 방수 기능의 하드 셀 레이어와 대치되는 개념이다. 생활방수기능과 더 불어 방풍, 보온기능을 수행하며, 흡습․속건 성능을 갖추었다. 하드 셀 레이어는 3rd layer로 아웃 레이어 (out layer)라고도 불린다. 야외활동의 극한 상황을 극 복하기 위한 방수․투습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의 마 찰에도 견뎌내는 내구성을 가진다(Choi, 2009;Song, Lee, & Kim, 2003). 한편, 입는 용도 및 수행하는 활동의 강도에 따라 브랜드별로 전문가용은 익스트림(extreme), 서미트(summit), 알파인(alpine) 등으로, 비전문가용은 트래블링(traveling), 컴포트(comfort) 등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국내 아웃도어 웨어의 역사는 등산복에서 시작되 었으며, ‘아웃도어 웨어’라는 명칭이 정착된 것은 1993 년 국립공원 취사금지 해제와 1995년 내셔널 브랜드 의 증가가 그 계기라 할 수 있다(Jang, 2012). 과거 전 문적으로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던 아웃도어 웨어는 주 5일제의 확산 및 여가 시간의 증가에서 비롯한 아웃도어 활동의 가치 상승 에 따라 고정된 이미지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TV 와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예능 및 여행 프로그램을 통 하여 아웃도어의 이미지는 라이프 스타일 웨어 이미 지로의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과 컬러 를 도입하여 일상생활에 착용 가능한 타운웨어로 자 리잡고 있다(Han, 2016). 가격대비 높은 실용성과 활 동성, 디자인성을 겸비하고, 다목적 사용이 가능한 장 점을 가진 아웃도어 웨어는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일 상복과의 경계를 허물고 캐주얼 아웃도어 패션, 어반 (urban) 아웃도어 패션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웃도어 웨어의 착용 연령 범위가 넓어지 고, 소비인구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패션성이 가미된 트렌디한 라이프 스타일 겸용 아웃도어 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스포 츠를 즐기는 젊은 연령층이 증가함에 따라 아웃도어 웨어의 패션성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2. Design characteristics of men’s outdoor zip-up T-shirt

    집업 티셔츠는 지퍼를 이용해 여밀 수 있게 만든 네크라인(neckline)을 가진 티셔츠로 지퍼를 활용하여 착․탈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신체와 의복 사이에 갇힌 열과 습기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주로 액 티브(active)한 활동을 위한 스포츠웨어나 아웃도어 웨어의 주요 아이템이다. 집업 티셔츠는 깃의 형태에 있어 목 부분이 지퍼 여밈으로 되어 지퍼를 끝까지 올 리면 하이넥의 형태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라이프 스타일 웨어로의 확장과 함께 폴로 셔츠 칼라(polo shirts collar)의 부착으로 목 부분에서 일정 길이만 지 퍼 여밈 형식으로 된 것도 있다. 네크라인을 여미는 지퍼의 길이에 따라 풀 집업(full zip-up), 하프 집업 (half zip-up), 쿼터 집업(quater zip-up) 티셔츠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소매의 길이에 따라 롱 슬리브 집업 (long sleeve zip-up), 숏 슬리브 집업(short sleeve zip-up)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국내 선행연구 및 아웃도어 브랜드 사이트는 집업 티셔츠를 포괄하는 상위 개념인 티셔츠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코오롱 스포츠(Kolon Sports)의 온라인 숍의 경우를 대표적인 사례로 살펴보면, 하절 기를 기준으로 남성용 티셔츠 카테고리 내 86 스타일 의 티셔츠 중 쿼터 집업, 하프 집업, 풀 집업을 포함하 는 집업 티셔츠가 47스타일, 후드 집업 티셔츠가 10 스타일로 총 57스타일의 집업 티셔츠가 판매 중이며, 라운드 넥(round neck), 터틀넥(turtle neck), 폴로셔츠, 후드 티셔츠(hood t-shirts)가 각각 14스타일, 7스타일, 6스타일, 2스타일 순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주요 아웃도어 브랜드에서 판매 중인 남성 티셔츠 카테고 리의 아이템별 구성비율을 살펴보면, 집업 티셔츠의 활용 빈도 및 구매빈도가 높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남성용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로 2013년 S/S시즌에서 2019년 F/W 시즌까지의 해외 브랜드 및 국내 남성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의 시각적 자료를 수집하여 실루엣, 디테 일, 컬러, 소재 및 프린트의 조형적 요소를 중심으로 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계절감이 다른 F/W 시 즌의 디자인과 컬러를 살펴본 것은 소재의 활용이나 컬러에 있어서 계절에 따른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전 체적인 연속성이 있는 유행의 흐름 안에서의 하절기 의 패션 트렌드를 좀 더 현실감 있게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아웃도어 브랜드의 경우, 기존의 정통성 을 지닌 전문가용 라인과 여행, 캠핑 등의 레저나 일 상생활에 착용 가능한 비전문가용 라이프 스타일 아 웃도어로 이원화된 마켓의 경향을 반영하여 해외 아 웃도어 브랜드 남성 집업 티셔츠, 국내 아웃도어 브랜 드의 전문가용 남성 집업 티셔츠, 국내 아웃도어 브랜 드의 라이프 스타일 남성 집업 티셔츠 세 가지로 분류 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브랜드는 아크테릭스(Arcteryx), 파타고니아(Patagonia), 몬츄라(Montura), 노스페이스 (The North Face), 블랙야크(Blackyak) 등 총 36개의 국내․외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였고, 936장의 시각적 자료 분석을 통해 브랜드 별로 집업 티셔츠를 수집하 였다.

    1) Silhouette

    최근 아웃도어의 실루엣은 옆선을 사선으로 절개 하거나 신축성 있는 원단 사용 등을 통해 인체의 곡선 을 강조하는 등 슬림 핏(slim fit)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슬림 핏의 집업 티셔츠는 최적화된 활동성을 가진다. 외부활동 시 몸을 구부리거나 팔을 움직일 때 에 편안함과 활동성을 고려하여 뒷판을 더 길게 제작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형태의 적용은 등산이나 다른 아웃도어 활동 시에도 몸을 숙이거나 팔을 들 때, 등 허리가 노출되는 것을 막아 움직임에 편안함을 부여 한다.

    전문가용 집업 티셔츠는 신체에 밀착하여 활동 시 장애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몸의 윤곽을 강 조하는 형태(Fig. 1)로 나타난다. 라이프 스타일 집업 티셔츠의 경우 전문가용에 비해서는 품의 여유가 있 으나 마찬가지로 슬림한 라인의 실루엣이 대체적으로 보여졌다. 이는 젊은 소비자의 유입에 따라 라인을 강 조하고 슬림 핏이 선호됨에 따라 그 수가 증가한 것으 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소비자층인 중․장년층 역시 건강과 외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건강하고 날씬 한 몸 혹은 날씬해 보이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실루엣이 슬림해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해외 브랜드인 아이스브레이커(Icebreaker) 는 티셔츠의 핏을 레귤러 핏(regular fit), 릴랙스드 핏 (relaxed fit), 슬림 핏(slim fit)으로, 스마트울(smartwool) 은 폼 핏(form fit), 세미-폼 핏(semi-form fit), 릴랙스 드 핏(relaxed fit)으로 구분하였다. 국내의 경우 95, 100 등의 숫자체계 혹은 L, XL 등의 문자체계로 사이 즈가 표기되어 있으며, 핏의 명시작업은 활발히 이루 어지고 있지는 않다.

    소매의 형태를 살펴보면 해외 브랜드의 경우 팔의 움직임이 편한 래글런 슬리브(raglan sleeve)를 많이 활용(Fig. 2)하였으나, 래글런 슬리브를 사용할 경우 동양인들은 어깨가 좁아 보이거나 쳐져 보이는 것 때 문에 국내 브랜드들은 대체적으로 셋 인 슬리브(set-in sleeve)로 구성하고, 국내에서는 가이롭바 혹은 가이루 빠라 칭해지는 3N/5T 커버 스티치(3N/5T cover stitch, 이하 커버 스티치)를 활용하여 래글런 슬리브의 시각 적 효과를 주었다(Fig. 3).

    2) Detail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에 주로 활용되는 디테일은 크 게 절개선(cutting line), 스티치(stitch), 웰딩(welding), 지퍼(zipper) 등이 있다. 절개선은 활동의 용이함과 통 기성의 강화를 위하여 신체의 움직임과 편리성에 적 합하도록 패턴을 구성하는 것으로, 집업 티셔츠의 대 표적인 특징이자 디자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암홀의 절개를 변형하고 통풍에 효과적인 소재를 사용하여 겨드랑이 부분의 착용감을 좋게 하고 통기성을 강화 할 수도 있다(Fig. 4). 절개선의 형태는 브랜드의 아이 덴티티(identity)를 드러내기도 하는데, 국내 브랜드 블랙야크의 경우 브랜드의 로고인 야크(yak)의 형태 를 접목시킨 복잡한 절개라인을 개발하였다(Fig. 5). 국내 브랜드들의 집업 티셔츠들은 해외 브랜드의 디 자인에 비해 절개가 뚜렷하게 많고, 절개에 따른 과감 하고 복잡한 배색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의 양분화에 따라 아웃도어 브랜드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절개를 유지하는 스타일과 함께 라 이프 스타일 아웃도어에서는 기능적인 측면의 최소한 의 절개라인만을 사용하는 심플한 형태를 보인다. 해 외 브랜드의 경우, 단순한 절개의 라이프 스타일 집업 티셔츠와 기능성을 위한 복잡한 절개의 전문가용 집 업 티셔츠로 이원화되는 경향을 보이나, 국내 브랜드에 비해 전반적으로 단순한 절개와 배색으로 표현된다.

    집업 티셔츠에서 주로 활용되는 무시접 봉제인 오 드람프 스티치(feed-off-the-arm stitch)는 4개의 바늘로 봉제를 하기 때문에 포 니들 스티치(4-needle stitch)라 고도 불린다. 원단과 원단 사이의 시접이 정확히 맞닿 는 부분을 봉제하여 편안한 착용감과 활동성을 높여 준다. 집업 티셔츠의 원단의 색상과 어울리는 혹은 대 비되는 컬러의 실로 봉제하여 디자인적인 장식성을 표현하기도 한다(Fig. 6). 두 개의 바늘로 3줄의 실 모 양을 내는 스티치 기법을 추가한 3N/5T 커버 스티치 역시 무시접 봉제 중 하나로 봉제방법은 오드람프 기 법과 동일하나, 오드람프보다 집업 티셔츠에서 장식적 인 기능으로 많이 활용된다. 원단의 색상과 배색으로 스티치를 넣어 사용하거나 컬러로 포인트를 주기도 한다(Fig. 7). 특히 국내 브랜드의 전문가용 집업 티셔 츠는 커버 스티치를 활용하여 스포티함을 강조하며 절개를 통한 심미적 효과를 나타낸다.

    웰딩(welding)은 무봉제 접합기법으로 바느질로 시 접을 결합하는 것이 아닌, 열을 이용한 고온 접착 봉 제 기법으로 아웃도어의 기능성 의류에 주로 활용된 다. 웰딩 기법을 통해 시접과 재봉실이 필요하지 않아 집업 티셔츠의 경량화에 도움을 주며, 시접이 몸에 접 하면서 생기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집 업 티셔츠의 가슴 포켓 등에 사용됨에 따라 옷의 내구 성을 높이는 기능적 효과뿐만 아니라, 형태나 패턴, 필 름의 종류에 따라 장식적인 기능도 지닌다(Fig. 8). 빛 을 반사하는 재귀반사 테이프를 사용한 웰딩 디테일 은 포켓 지퍼의 테두리소매 끝, 목 뒤나 등에 부착되 어 어두운 곳에서의 야외활동 시 안정성을 높이고, 로고 형태로 표현되거나, 다양한 컬러와 무늬의 필름을 이 용하여 디자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Fig. 9).

    3) Color and pattern graphic

    아웃도어 웨어의 컬러는 브랜드마다 차이가 있지 만, 대체로 전문가형 라인은 비비드한 원색을, 비전문 가형 라인은 명도나 채도가 낮은 컬러를 사용한다. 집 업 티셔츠의 경우, 아우터(outer)인 다운(down)이나 재 킷(jacket)에 비하여 색상이 더 화려하고 다양하게 사 용된다. 국내 전문가 라인의 집업 티셔츠에서는 화려 한 색상과 보색 대비 등의 다양한 색상 대비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브랜드 고유의 컬러조합이 발견된다. 해외 브랜드의 경우도 전문가용 집업 셔츠에서 복잡 한 절개와 배색이 나타나거나, 솔리드 컬러 또는 톤온 톤(tone on tone) 배색에 프린트를 매치하는 경우도 있다. 집업 티셔츠에는 브랜드의 로고가 프린트되거 나 패턴화되어 표현되기도 한다(Fig. 10). S/S시즌의 집업 티셔츠는 자수를 활용한 로고나 뒷목 안쪽의 레 이블(lable)이 신체와 직접 접촉하여 불편할 수 있으 므로 대부분 프린트기법을 활용한다. 규칙적이고 기 하학적인 패턴들이 주로 집업 티셔츠의 일부에 장식 성을 위해 배치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과감한 컬러의 배색이나 프린트의 사용도 보인다. 라 이프 스타일 아웃도어 웨어의 경우 의류 전체에 패턴 을 프린트하여 제작하는 등, 패턴물의 사용이 두드러 진다(Fig. 11). 프린트 기법은 절개나 스티치가 표현하 지 못하는 효과를 주기도 하지만, 프린트를 할 경우 원단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촉감이 조금 거칠어지며, 원단의 기능성을 저해할 수 있어 넓은 범위에 적용하 기보다는 약간의 텍스쳐를 가미하거나 장식적인 효과 를 낼 때 주로 활용한다.

    4) Materials

    아웃도어 웨어 소재의 주요 기능성에는 투습방수, 흡한속건, 경량성, 보온성, 신축성, 자외선 차단 등이 있다. 투습방수란 밖에서 들어오는 물기를 막고, 몸에 서 배출되는 땀은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 소재를 뜻하 며, 흡한속건은 땀을 흡수하고 빨리 마르게 하여 쾌적 성을 제공하는 소재를 의미한다. 봄, 여름의 외부활동 중에는 상체에 땀이 많이 나고, 그에 따른 체온변화의 폭이 크다. 그러므로 S/S 시즌 집업 티셔츠의 소재는 통풍 및 통기가 빨라 수분을 흡수하면서도 건조가 빨 라야 한다. 면직물의 경우 타섬유에 비해 땀을 흡수하 는 능력은 탁월하지만, 수분을 빠르게 발산시키지 못 해 원단이 무거워져 건조가 느리고, 그에 따라 저체온 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집업 티셔츠에는 이러한 단 점을 보완한 합성섬유가 주로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미국 인비스타(Invista)의‘ 쿨맥스(Coolmax)’가 널리 사용되며, 국내 브랜드로는 효성의 ‘에어로쿨(Aerocool)’, 코오롱의 ‘쿨론(Coolon)’, 휴비스(Hubis)의 ‘쿨에버 (Coolever)’ 등이 있다. 최근에는 정전기 방지 및 전자 파 차폐, 향균 및 방취효과 등의 기능을 가진 다기능 복합섬유가 집업 티셔츠에 사용되고 있다. 국내의 경 우,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우레탄, 아크릴, 레이온 등의 합성섬유의 사용이 대부분인 반면, 해외 브랜드 중 아이스브레이커나 스마트울의 경우 양모 100% 혹 은 양모에 라이크라(Lycra)나 나일론을 혼방하는 등 양모를 베이스로 하는 소재의 사용도 보인다. 양모의 경우 통기성과 수분관리 기능이 뛰어나며 신체의 수 증기를 빠르게 배출시키고 건조 또한 빠르다.

    2013년 S/S 시즌부터 2019년 F/W 시즌까지의 해 외 및 국내 브랜드 남성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를 실루 엣, 디테일, 컬러, 소재 및 프린트라는 조형적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남성 집업 티셔츠 디자인의 특 징은 <Table 1>과 같다.

    Ⅲ. Development of the Zip-up T-shirt Design for Men’s Outdoor Clothing in Summer

    1. Trend analysis of global outdoor wear fair for design development

    매년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의 기술력과 디자인을 선보이는 박람회가 전 세계에서 개최되고 있다. 독일 뮌헨의 ISPO(International Trade Show for Sports Equipment and Fashion)와 미국 솔트레이크의 아웃도 어 리테일러(Outdoor Retailer), 독일 프리드리히샤펜의 유러피언 아웃도어 트레이드 페어(European Outdoor Trade Fair) 등이 대표적인데, 이들은 일 년에 한 번 혹은 두 번의 박람회를 개최한다. 이와 같은 박람회는 아웃도어 아이템들을 거래하기 위한 전시회로 각 브 랜드 관계자들과 세계 여러 나라의 브랜드 디스트리 뷰터들이 모여 아웃도어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내 년에 나올 아이템들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장이다. 전 세계 아웃도어 브랜드의 변화와 성장, 그리고 혁신 을 확인 가능한 박람회를 통해서 이후 유효하게 영향 을 미칠 주요한 디자인 컨셉 트렌드를 유추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컨셉의 설정을 위하여 2013 년에서 2019년까지의 유명 아웃도어 박람회를 중심 으로 박람회 주관 홈페이지, 신문기사, 삼성디자인넷 및 WGSN의 박람회 리포트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디 자인 트렌드를 예측 및 분석하였다(Table 2).

    2013년도부터 2019년도까지의 주요 글로벌 아웃 도어 박람회들을 분석한 내용들을 살펴보면, 아이템 의 경우 요가나 일상생활에서 착용 가능한 캐주얼한 아웃도어 웨어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세련미(stylish)’ 는 유러피언 아웃도어 트레이드 페어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테마로 극한의 환경에서 추위와 더위, 위험과 맞서야 하기에 아웃도어 제품의 안전성과 경 량화, 기능성은 필수적이며, 아웃도어의 기능성은 유 지하면서도 최신 패션 트렌드를 접목한 캐주얼함과 세련미가 아웃도어에 중요한 디자인 테마가 되었다. 캐주얼해진 아웃도어 웨어는 극지탐험가나 고산등반 가 외에도 근교의 산이나 캠핑장, 도심에서도 착용할 수 있는 패션으로 제안되었다. 아웃도어 의류의 무게 와 색상은 지난해에 이어 가볍고 화려했으며 디자인은 더욱 캐주얼해졌다. 파타고니아, 피엘 라벤(Fjall Raven) 등 대부분 브랜드들이 평상복으로도 손색없는 티셔츠 와 팬츠를 다수 선보였다. 밝은 색상과 심플한 디자인 이 주를 이루었으며 지퍼, 포켓 등에 다른 컬러를 사 용하거나 톤온톤의 배색을 보였다.

    ‘경량화(light weight)’를 기반으로 하는 기능성의 강조는 아웃도어 웨어의 주요 이슈로 대표되었는데, 극한 상황에서 필요한 고도의 기술력보다는 일상생활 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한 아이템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원단의 절개와 재단 을 최소화하면서도 인체의 곡선에 맞는 에르고노믹스 (ergonomics) 디자인이 다양하게 등장하였다. 한편, 아 디다스(Adidas)와 같은 스포츠 브랜드의 아웃도어 시장 진출이 가속화 되었으며, 시마노(Shimano), 스캇(Scott), 오르트립(Ortlieb) 등 자전거 전문 브랜드와 펄 이즈미 (Pearl Izumi)를 비롯한 바이크 브랜드들이 박람회에 보다 공격적으로 참여해 오고 있다. 또한 트레일 러닝 (trail running) 라인의 확장이 눈에 띄는데, 위와 같은 트렌드는 스포츠웨어와 아웃도어 웨어 복종 간의 크 로스오버(crossover) 현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기능성 을 기반으로 하는 아웃도어 웨어는 골프, 스키, 사이 클 등의 스포츠 활동 시에 착용되고, 스포츠 브랜드들 은 트레일 러닝, 마운티어링 등의 아웃도어 활동을 위 한 세분화된 스포츠 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소재를 살펴보면 기존의 기능성 소재들의 개발 및 활용과 더불어 천연소재를 사용한 제품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원단업체 도레이(Toray)는 100% 식물 폴 리에스테르 원단을 개발하였다. 나아가 과거 아웃도 어 웨어가 단순히 오가닉(organic)소재를 사용하는 것 으로 환경을 보호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면, 그로 부터 나아가 다양한 활동을 아우르는 아웃도어는 사 회의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지속가능한 아웃도어’ 로 변화하고 있다.

    2013년에서 2019년까지의 유러피언 아웃도어 트 레이드 페어를 분석한 결과, 아웃도어 웨어의 디자인 트렌드의 큰 맥락은 (1) 기능성의 향상, (2) 지속가능 한 친환경 아웃도어, (3) 스포츠와의 크로스오버, (4) 라이프 스타일 아웃도어로 정리 가능하고, 이는 수년 간 세계 아웃도어 시장의 전반적인 트렌드와 맥을 같 이 하며 아웃도어 웨어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아웃도어 웨어의 디자인 및 마켓 트렌드 또한 무겁고 부담스러운 테크니컬을 강조한 디자인 요소에 서 일상생활과 가까운 라이프 스타일형으로 변화하며 본격적인 아웃도어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삼성 패 션디자인 연구소는 아웃도어 웨어의 영역이 확대되고 접근성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기존 소비자뿐 아니라, 신규 소비자의 새로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 으로 예측했다. 브랜드들은 기존 전문가형 아웃도어 웨어 디자인 트렌드인 기능과 절개라인을 중심으로 하며 화려한 배색 컬러를 유지하는 반면, 디스커버리 (Discovery), 빈폴 아웃도어(Beanpole Outdoor), 노스 페이스 화이트라벨(The North Face White Label) 등 의 라이프 스타일형 아웃도어 웨어 브랜드는 단순하 고 경쾌한 이미지를 강조하며, 디자인과 패턴 등의 다 양성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스포츠, 슈즈, 캐주얼 및 키즈(kids) 라인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라이프 스타일 라인의 시장을 적 극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으며, 아웃도어 웨어의 스포츠 화가 트렌드로 부각되었다. 스키 웨어 시장을 비롯하 여 야간 러닝, 트레일 러닝 등 그동안 스포츠로 분류 되었던 시장에 진출함에 따라 스포츠 웨어와의 크로 스오버를 행하고 있으며, 아웃도어 웨어들이 실용성 과 패션성을 부각시키며 기존의 캐주얼 웨어 소비자 를 유입하고 있다. 전문가형 아웃도어 웨어와 차별화 된 캐주얼 아웃도어 웨어로의 영역 확장을 이루면서 세분화된 시장의 형성과 동시에 친근한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이미지로의 전환을 보이며 가족이 함께 입는 패밀리 룩(family look)으로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다.

    2. Design intent and development

    국내 아웃도어 마켓은 레포츠 활동과 여가 문화의 확산에 따라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시 장의 포화로 경쟁이 심화되고, 아웃도어 웨어 소비자 의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세분화된 소비자의 욕구충 족을 위해서는 기존의 기능성 제안에 국한된 아웃도 어 웨어에서 탈피한 디자인의 개발과 등산, 트레킹, 캠핑 등의 아웃도어 활동 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서도 활용도가 높은 남성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의 디 자인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다소 연구가 미진한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의 디자인 개발을 전개하였다.

    아웃도어 용품 및 의류 해외 박람회의 트렌드 키워 드를 통하여 하절기 아웃도어 웨어 트렌드를 분석하 였다. 또한 국내외 유명 브랜드의 2013~2019년도 집 업 티셔츠 디자인을 실루엣, 디테일, 컬러, 소재 및 프 린트라는 조형적 요소들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디자인 개발에 참고하였다. 앞서 도출한 아웃도어 웨어 트렌 드는 기능성의 향상, 지속가능한 친환경 아웃도어, 스 포츠와의 크로스오버, 라이프스타일 아웃도어로 남성 용 집업 티셔츠 개발을 위한 컨셉은 다음과 같이 지속 가능한 친환경 아웃도어를 표방하는 (1) 에코 프렌들 리(eco friendly), 스포츠의 액티브한 요소가 표현된 (2) 스포티즘(sportism), 라이프 스타일 아웃도어로 도 심형 타운웨어를 컨셉으로 하는 (3) 아웃트로(outro) 의 3가지로 도출하였다. 앞 장에서 언급한 네 가지의 예측 트렌드 중 ‘경량화 기술 및 신소재를 사용한 기 능성의 향상’은 아웃도어 웨어가 필수적으로 지니는 특수성인 기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웃도어 웨어 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보편적인 성질로 간주되어야 하기에 집업 티셔츠 개발에 필요한 컨셉 설정을 위한 디자인 트렌드에서는 제외하였다(Table 3). 각 컨셉에 따라 집업 티셔츠 디자인은 총 12 스타일이 개발되었 으며, 디자인은 Adobe Illustrator CC 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제시하였다.

    3. Summer men’s outdoor zip-up T-shirt design development

    1) Theme I - Eco-friendly

    지속가능한 아웃도어에 대한 지향은 자연친화적 인 컬러와 텍스쳐로 표현된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균질 하지 않은 질감과 비정형의 선은 비대칭적인 절개와 디테일로 표현되며, 어스(earth)톤과 카키(khaki)톤의 컬러 활용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하이킹, 캠핑 등과 같 은 비전문가 위주의 아웃도어 활동에도 착용가능한 집업 티셔츠로 하절기용 숏 슬리브 집업 티셔츠 3 스 타일, 간절기용 롱 슬리브 집업 티셔츠 1 스타일을 디 자인 제안하였다(Table 4).

    디자인 1은 앞판의 비대칭 절개와 카키컬러의 배색 을 활용하여 자연친화적인 컨셉을 표현한 래글런 슬 리브의 하프 집업 티셔츠이다. 옆선의 절개라인이 사 선으로 배치되어 활동성을 높이는 동시에 짙은 색을 배색하여 슬림해 보이는 효과를 주었다. 겨드랑이와 등판에 통풍성이 높은 소재를 배치하여 땀이 잘 발산 되도록 하였다. 디자인 2는 자연에서 관찰 가능한 색 상인 채도가 낮은 블루 컬러배색으로, 절개의 형태 또 한 대칭이 아닌 비정형적인 절개라인을 통해 네크 부 분을 강조하였다. 옆구리와 등에 통풍이 잘되는 메쉬 (mesh) 소재를 사용하였고 베이지(beige) 컬러와 올리 브(olive) 컬러의 커버 스티치 스티치를 적용하였다. 디자인 3은 뒷판의 길이를 길게 하여 몸을 숙이는 야 외활동이나 바이크를 탈 때에 활동성을 부여하도록 제안하였다. 셋 인 슬리브의 쿼터 집업 티셔츠이지만 암홀부분을 소매와 같은 컬러의 메쉬 소재로 배색하 고 오렌지 컬러의 커버 스티치 스티치를 활용하여 통 풍, 통기성과 함께 독특한 라인의 소매 형태를 표현하 였다. 디자인 4는 간절기용 롱 슬리브 집업 티셔츠로 허리부분에 신축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원단을 배치하 여 신체의 쾌적함과 활동성을 증진시켰다. 컬러는 오 렌지 컬러를 액센트 컬러로 배색하였고, 네이비 컬러 에 채도가 높은 라이트 그린 컬러를 커버 스티치로 활 용하여 포인트를 주었다.

    2) Theme II - ‘Sportism’

    스포츠와의 크로스오버 트렌드는 다양한 러닝활동 과 바이크 등의 아웃도어 스포츠를 통해 표현된다. 역 동적이며 활동감 있는 이미지를 반영하여 신축성 있 는 소재와 절개라인의 활용으로 신체에 밀착하여 활 동성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신체의 곡선과 실루엣을 강조하며, 비비드한 색상의 보색 대비 및 포인트 컬러 를 사용하였다. 과감하며 역동적인 스트라이프 패턴 을 프린트로 적용하였고, 메쉬 원단을 사용하거나 메 쉬의 조직감을 프린트로 표현하였다.

    디자인 5는 스포츠 의류 중 한 종류인 바이크 웨어 의 형태를 반영하여 움직임이 큰 활동에도 신체의 노 출을 줄여 편안한 착용감을 주었다. 사선으로 절개된 허리선은 신체에 밀착하여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 으며, 동시에 신체의 실루엣을 강조한다. 과감한 절개 라인과 오렌지 컬러의 보색대비 및 채도가 높은 블루 컬러의 커버 스티치로 액티브한 스포티즘을 표현하였 다. 디자인 6은 러닝 웨어와 스포츠 웨어에서 많이 활 용하는 스트라이프 패턴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으로 허리에는 그라데이션 컬러 스트라이프를 프린트하였 다. 겨드랑이와 암홀부분에 통기성이 높은 소재를 적 용하여 땀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몸의 앞쪽으로 좁게 떨어지는 커버 스티치 스티치를 통해 슬림한 효과를 주었다. 디자인 7은 수중 스포츠 및 레 저 의상 중 하나인 래쉬가드(rashguard)의 형태에서 영감을 얻은 쿼터 집업 티셔츠로 허리에 액티브함을 강조하는 스트라이프 프린트가 사용되었다. 스트라이 프 패턴의 라인들 사이에는 세밀한 메쉬 조직을 프린 트로 표현하여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세련되게 표현하였다. 가슴에는 웰딩포켓을 적용하여 착용자의 편의성을 높였으며, 재귀반사 테 이프를 웰딩으로 사용해 착용감을 높임과 동시에 야 간 활동의 안정성을 강화하였다. 디자인 8 역시 래쉬 가드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으로 화려한 절개와 슬 림한 라인이 특징이다. 앞면에 위치한 풀 스트라이프 패턴에 그라데이션 컬러가 적용되어 세련됨을 강조하 였고, 채도가 높은 스카이 블루 컬러의 메쉬소재는 착 용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포인트 컬러로 사용되 어 오렌지 컬러와 올리브 컬러의 커버 스티치와 함께 액티브함을 배가시켰다. 스포티즘 컨셉의 남성용 아 웃도어 집업 티셔츠 디자인은 <Table 5>와 같다.

    3) Theme III - ‘Outro’

    일상생활에 착용이 가능한 아웃도어 웨어로 라이 프 스타일형 집업 티셔츠를 디자인하였다. 일상에서 주로 착용하는 캐주얼 웨어에서 영감을 얻은 본 디자 인들은 기능성은 유지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적 요소 를 가미한 형태로 도심에서도 세련되게 착용 가능한 심플한 절개라인에 밝은 컬러의 배색이 사용된다. 숏 슬리브의 쿼터 집업 티셔츠 네 가지 스타일로 전개하 였다.

    디자인 9는 전면에 캐주얼 웨어에서 다양하게 활용 되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허리부분 에 채도가 높은 그린 컬러를 배색하여 경쾌한 느낌을 표현하였다. 통기와 통풍이 좋은 소재로 신체에 지나 치게 밀착되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실루엣으로 디자인 하였다. 디자인 10은 캐주얼한 감각의 절개라인과 배 색을 활용한 쿼터 집업 티셔츠로 왼쪽 가슴부분에 기 하학적 프린트를 배치하여 도시적인 감성을 나타내었 으며, 흡습 속건 기능이 우수한 소재와 여유 있는 실 루엣으로 가벼운 야외활동이나 도심에서의 착용에 적 합하도록 하였다. 디자인 11은 젊고 캐주얼한 감각이 가미된 쿼터 집업 티셔츠로 직선적인 절개와 컬러의 보색이 특징이며, 레드 컬러의 커버 스티치를 포인트 디테일로 활용하였다. 디자인 12는 어깨와 암홀 부분 에 메쉬 소재를 배치하여 땀이 날 때 신체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라임 컬러의 커버 스티치 스티치 로 경쾌한 캐주얼 느낌을 강조하였다. 아우트로 컨셉 의 남성용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 디자인은 <Table 6> 과 같다.

    Ⅳ. Conclusion

    과거 전문적으로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들만이 착 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던 아웃도어 웨어는 라이프 스 타일의 변화와 TV 및 대중 매체를 통한 이미지 변화 에 따라 트렌디한 디자인과 컬러의 다양한 활동성을 지닌 아웃도어 웨어로 정착하였다. 아웃도어 웨어의 착용 연령 범위가 넓어지고, 소비인구가 점점 늘어남 에 따라 전문가용 아웃도어 웨어의 소비와 함께 패션 성을 가지는 트렌디한 라이프 스타일 아웃도어 웨어 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아웃도어 웨 어 소비자의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기존의 등산복에 국한된 아웃도어 웨어에서 탈피한 디자인의 개발과 아웃도어 활동을 포함하여 일상생활에서도 활용도가 높은 남성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의 디자인 개발은 매 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다 소 연구가 미진한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를 연구대상 으로 하여 기능성과 심미성을 충족하는 하절기 남성 용 집업 티셔츠 디자인 개발을 전개하였으며, 이에 대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브랜드 및 국내 남성 아웃도어 집업 티 셔츠의 시각적 자료를 수집하여 실루엣, 디테일, 컬 러, 소재 및 프린트의 조형적 요소를 중심으로 디자인 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실루엣은 전문가용 집업 티셔 츠는 신축성 있는 원단과 사선절개를 활용하여 신체 에 밀착, 활동성을 증진시키는 슬림한 형태로 나타났 으며, 라이프 스타일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의 경우 전 문가용에 비하여 다소 여유로운 핏의 실루엣을 보이 지만, 과거에 비해서는 전반적으로 슬림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의 경우, 래글런 슬리브를 많이 활용하 는 해외 브랜드와는 달리 국내의 경우 셋 인 슬리브를 주로 활용하였으며, 스티치나 배색을 활용하여 래글 런 슬리브의 효과를 주었다. 또한 국내 브랜드가 해외 브랜드보다 복합적인 디테일을 표현하였으며, 컬러의 배색이나 절개에 있어서도 다양한 컬러 및 패턴을 사 용하였다. 소재의 경우, 고기능성 합성섬유가 사용되 었으며 해외의 경우 울 소재를 활용한 집업 티셔츠 개 발도 이루어져 있었다.

    둘째, 주요 글로벌 아웃도어 트레이드 페어의 2013 년에서 2019년까지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아웃도어 웨어 디자인 개발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아웃도어 웨어 트렌드를 도출한 결과, 주요 키워드는 경량화와 에르고노믹스 디자인을 포함하는 기능성의 향상, 친 환경 소재 및 컨셉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친환경 아웃 도어, 바이크, 러닝 등과 같은 스포츠 액티비티 및 스 포츠 웨어와의 크로스오버, 일상생활에 착용가능한 세 련미를 겸비한 라이프 스타일 아웃도어로 분석되었다.

    셋째, 위의 분석 내용들을 토대로 도출한 하절기 남성용 아웃도어 집업 티셔츠 개발을 위한 컨셉은 지 속가능한 친환경 아웃도어를 표방하는 (1) 에코 프렌 들리, 스포츠의 액티브한 요소가 표현된 (2) 스포티 즘, 라이프 스타일 아웃도어로 도심형 타운웨어를 컨 셉으로 하는 (3) 아웃트로의 3가지로, 총 12스타일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아웃도어 웨어 중 라이프 스타일 웨어로도 각광을 받고 있으며 야외활동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집업 티 셔츠는 시장 과포화에 따른 경쟁심화와 신규고객 창 출의 부진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된 아웃도어 웨어 시 장이 세분화된 라인업을 구축하고, 라이프 스타일 아 웃도어 시장을 개척하는데에 중요한 아이템이다. 기 능성과 심미성을 겸비한 남성용 집업 티셔츠 디자인 의 개발을 위해서는 집업 티셔츠의 실루엣, 디테일, 컬러 및 프린트, 소재 등의 디자인적 특성 파악이 필 요하며, 더불어 아웃도어 웨어의 글로벌 트렌드를 반 영해야 한다. 집업 티셔츠에 대한 이론적 연구의 범위 를 확장하는 것은 아웃도어 웨어의 다양한 아이템 디 자인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며, 지속 적인 연구와 디자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기 에 향후 F/W 시즌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개발 및 여성용 집업 티셔츠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하리라고 본다.

    Figure

    RJCC-28-1-131_F1.gif

    Eider men’s zip-up T-shirts From Eider. (n.d.).

    http://www.eider.co.kr

    RJCC-28-1-131_F2.gif

    Raglan sleeve From Sunice. (2017).

    http://www.sunice.com

    RJCC-28-1-131_F3.gif

    Set-in sleeve From The North Face. (n.d.a).

    http://www.thenorthfaceko rea.co.kr

    RJCC-28-1-131_F4.gif

    Armhole design variation From Arcteryx. (n.d.).

    http://arcteryx.com

    RJCC-28-1-131_F5.gif

    Brand identity representation From Blackyak. (2017).

    http://www.ssg.com

    RJCC-28-1-131_F6.gif

    4-needle stitch From The North Face. (n.d.b).

    http://www.thenorthfaceko rea.co.kr

    RJCC-28-1-131_F7.gif

    Cover stitch From Helly Hansen. (2016).

    http://hellyhansen.com

    RJCC-28-1-131_F8.gif

    Welding detail From Nepa. (n.d.).

    http://www.nepamall. com

    RJCC-28-1-131_F9.gif

    Welding detail using recursive reflective tape From Montura. (2015).

    http://montura-store.jp

    RJCC-28-1-131_F10.gif

    Pattern graphic using logo From NikeConverse. (2017).

    http://m.blog.naver.com

    RJCC-28-1-131_F11.gif

    All-over pattern graphic From Kolon sports. (2019).

    http://www.kolonsport.com

    Table

    Characteristics of male outdoor zip-up T-shirt design

    Major global outdoor trade show and exhibition

    The trends of outdoor wear design in the summer and concepts for the development of zip-up T-shirt design

    Men’s outdoor zip-up T-shirt for summer with ‘Eco-friendly’ concept

    Men’s outdoor zip-up T-shirt for summer with ‘Sportism’ concept

    Men’s outdoor zip-up T-shirt for summer with ‘Outro’ concept

    Reference

    1. Arcteryx. (n.d.). In Arcteryx men’s shirts & tops. Retrieved March 12, 2018, from https://arcteryx.com/ca/en/c/mens/shirts-and-tops/
    2. Blackyak. (2017, February). In Shinsegae. Retrieved October 2, 2019, from http://department.ssg.com/item/itemView.ssg?itemId=1000028195458&siteNo=6009&salestrNo=1009
    3. Cho, A. L. , Son, Y. J. , & Lee, I. S. (2014). A design development for the outdoor wear for new senior generation.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31, 65-75.
    4. Choi, J. Y. (2009). A study on the down jacket pattern for the outdoor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Eider. (n.d.). In Eider. Retrieved November 10, 2015, from http://www.eider.co.kr/eider/ko/OUTLET/c/EI008000000
    6. Han, H. (2016). Outdoor clothing purchasing tendencies among fashion lifestyle segme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2),
    7. Han, S. , & Kim, Y. (2016).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outdoor wear-Focused on the cold-proof jacke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4(1), 1-12.
    8. Helly Hansen. (2016). In Helly Hansen. Retrieved July 2, 2017, from https://www.hellyhansen.com/en_no/catalogsearch/result/?q=zip%20t
    9. Jang, Y. S. (2012). A study on outdoor wear style analysis and positioning-centered on ready-to-wear collections and global outdoor wear brands since 2007.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I. H. , & Ha, J. S. (2012).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in outdoor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2(1), 93-109.
    11. NikeConverse. (2017, July 16). In Naver blog. Retrieved May 1, 2018, from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ptfashiontown&categoryNo=110&listStyle=style1
    12. Kolon sports. (2019, September). In trust Kolon sports. Retrieved February 10, 2020, from https://www.kolonsport.com/Product/JWTBW19453DMI
    13.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13). Textile & fashion trend report. Retrieved June 5, 2015, from http://www.kofoti.or.kr/OpBoard/View.asp?Code=IPB&Uid=161
    14. Korea Forest Service. (2015). 2015 A survey of the public’s perception of forests. Retrieved June 5, 2017, from https://fla.kr/xbDk
    15. Lee, D. A. , Moon, S. , & Chung, S. H. (2013). Development of a down-alternative outdoor jacket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8), 143-155.
    16. Montura. (2015). In Montura. Retrieved October 2, 2018, from https://montura-store.jp/SHOP/106401/106421/list.html
    17. Nepa. (n.d.). In Nepamall. Retrieved October 2, 2019, from https://img.nepamall.com/resources/image/item/B/7B15402/7B15402_198_01.JPG?RS=0x430
    18. Park, J. S. (2017, September). The outdoor lifestyle is styling. Fashion Channel, Retrieved October 17, 2019, from http://www.fashionchannel.kr/main/news.php?t7able=papernews&query=view&uid=7876
    19. Park, Y. J. , & Ha, J. S. (2017). A study on color utilization of outdoor clothing-Focused on jackets for Korean 20s~4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7(2), 145-167.
    20. Song, B. H. , Lee, H. S , & Kim, Y. K. (2003). Technology of sportswear manufacture. Seoul: Kyohakyungusa.
    21. Sunice. (2017, June). In Sunice. Retrieved March 12, 2018, from https://sunice.c3style.com/Mens-Performance-Apparel/Mens-Layers.aspx2017
    22. The North Face. (n.d.a). In zip T-shirts. Retrieved May 2, 2018, from https://www.thenorthfacekorea.co.kr/category/n/men/tshirts/zip-tshirts
    23. The North Face. (n.d.b). In zip T-shirts. Retrieved May 21, 2017, from https://www.thenorthfacekorea.co.kr/category/n/men/tshirts/zip-tshirts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