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8 No.1 pp.30-44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20.28.1.3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ootleg fashion

Sehee Ahn, Yoon Kim*
Master’s Course, Dept. of Fashion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Associate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yoonkim@duksung.ac.kr)
November 28, 2019 January 27, 2020 January 27, 2020

Abstract


Bootleg fashion emerged from the fashion industry after 2010, and has been used across a range of different genres. However, it has yet to be theoretically established; therefore, this study will explain bootleg fashion as a new genre, which will help in the planning and designing of products within domestic fashion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meaning of bootleg fashion as a recently emerged fashion phenomenon that borrows from other brands without permission.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a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 of fashion sites and related materials and empirical research using case analysis. Results of the analysis of both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meaning of bootleg fashion sugges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ᅠ“unauthorized use of symbolic elements,” “disorganization of boundaries between fashion,” “multiplicity through globalization,” and “newness through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 Internal meaning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parody through symbol,” which is seen as “a parody and homage resulting from the unauthorized use of a brand,” while “decomposition through disorganization” is seen as a break-up of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fashions from a mainstreamoriented perspective. A juxtaposition of elements was demonstrated by “playfulness through transformation,” which showed that such fashion cannot coexist with positional transposition. Finally, “spread as a cultural phenomenon” was derived through the diffusion through digital media with DIY culture. As such, bootleg fashion has been reborn as an innovative fashion genre, breaking the taboo of the illegitimate from the past and demonstrating new endeavors.



부틀렉 패션의 특성에 대한 연구

안 세 희, 김 윤*
덕성여자대학교 의상텍스타일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전공 석사과정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부교수

초록


    I. Introduction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거치며 예술가들은 과거 독창성과 고유성을 중시하는 완전히 새로운 창작보다는 이미 존재하던 것들을 채택하여 모방하고 재조합하는 경향을 작품으로 표현하고 있 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는 다원주의를 통해 서구 중심적 사고와 가부장제도 등 기존의 시각에서 탈피 하며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가 와해되고, 예술 과 일상의 간극이 좁아져 기존의 경계를 구분할 수 없 는 문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문화적 현상 속에서 ‘부틀렉(Bootleg)’ 은 패션의 주류 장르 중 하나로 나타나고 있다. 부틀 렉은 상징이나 상표 등을 차용한 여러 아트워크의 의 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단순한 복제 행위로 여겨지지 않고 창의성을 인정받으며 하나의 장르로서 확산되고 있다. 패션에서의 부틀렉은 단순히 하이패션을 모방 하는 기존의 이미테이션 의복과는 구분되며, 이미 존 재하는 상징이나 상표를 다른 맥락에 재배치하여 새 로운 의미 창출을 하고 있어 이에 연구의 중요성이 대 두되고 있다.

    부틀렉 관련 선행연구는 Kim(2012)의 1960~80년 대 해적판 레코드 대중화 과정 연구, Jung(2010)의 팬 자막 관련 연구, J. Y. Han(2014)의 3D 프린터 관련 연구가 있지만, 비패션분야의 연구에 한정되어 있어 패션에서의 부틀렉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 또한 부 틀렉과 관련된 상표 패러디 관련 선행 연구는 Lee (2011)의 상표, 브랜드, 로고 이미지 패러디와 지적재 산권에 관한 연구가 있으나, 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브랜드 상표 패러디 관련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부틀렉의 발생 배경인 포스트모더니즘은 완전히 새로운 창작이 불가능하다고 전제하며, 원본성을 중 시하지 않기 때문에 부틀렉 관련 선행연구로 포스트 모더니즘의 혼성모방, 패러디 등의 방법을 이용한 디 자인 차용 관련 연구를 선택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을 기반으로 한 부틀렉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S. J. Han(2014)의 복식디자인 이미지 차용에 대한 연구와 Shin(2008)의 현대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난 혼성모방 에 대한 연구, Jin(2001)의 패러디를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의 조형성에 대한 연구가 있다. 이외에도 부틀 렉 관련 국외 선행연구로 Raustiala and Springman (2006)의 패션에서의 지적재산권을 다룬 연구가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모방과 디자인적 차용을 이용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어 부틀렉 패션에 대한 학 문적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부틀렉 패션은 단순한 모방을 통한 위조품과는 분리 되어 하나의 패션 장르로서 인정되며 중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틀렉 패션이 모방이나 표절이 아닌 상징의 차용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창출하는 장 르임을 밝히고, 포스트모더니즘을 바탕으로 새로운 패션의 주류인 부틀렉 패션의 특성과 이를 통한 내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틀렉의 개념과 발생 배경을 살펴보고, 부틀렉이 발생하게 된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성을 연구의 기준틀로 하고 부틀렉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음악, 영화, 디자인 분야에서의 부틀렉 사례를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이론적 배경 을 바탕으로 2010년도 이후의 부틀렉 패션의 특성을 도출하고 내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부틀렉 패션의 사례 조사는 2010년 대 이후 발표된 디자이너 컬렉션, 개인 작품, 패션 브 랜드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여 2013년에서 2019년 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틀렉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이후부터 현재 사회문화적으로 통용되는 의미로 자리 잡았다. 연구의 범위를 2010년 이후로 한정한 이 유는 부틀렉 패션은 2010년대 이후 주류 패션의 한 장르로써 활발히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학술지, 서적, 시사지, 패션전문매거진 웹사이 트 등의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고, 부틀렉 패션의 사례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사지인 더가디언(www.theguardian. com), 패션트렌드정보 사이트인 더블유지에스엔(https:// www.wgsn.com), 보그(www.vogue.com), 하입비스트 (hypebeast.com) 등의 패션전문매거진 웹사이트에서 부틀렉 패션(Bootleg fashion), 부틀렉(Bootleg), 부틀렉 문화(Bootleg culture), 가짜 패션(knock off fashion) 등의 키워드로 2019년 8월 23일부터 2019년 9월 27 일까지 이론적 자료와 이미지 자료 검색을 진행하였 다. 이미지 자료의 경우, 패션전문매거진 웹사이트인 보그(www.vogue.com), 브랜드 공식 웹사이트와 인스 타그램 등에서 총 137장의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여 유사한 특징을 가진 자료를 분류한 후 가장 적합한 16 장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 및 사례 선정의 과 정은 신뢰도를 위해 의류학 전공 전문가 3인과 연구 자에 의해 실시되었다.

    Ⅱ. Review of Literature

    1. Concept and background of Bootleg

    부틀렉(Bootleg)의 사전적 의미는 ‘(제작판매가)불 법의, 해적판의’ 혹은 ‘밀주를 제조하다’, ‘저작권을 침해하다’, ‘불법 복제하다’이지만, 현재 사회․문화 적으로 통용되는 부틀렉은 타인의 저작물의 차용을 통한 새로운 창작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부틀렉의 어원은 1919년 미국에서 금주법인 볼스테드(Volstead) 법이 통과되었을 때 다리의 장화(boot of leg)에 주류 를 숨겨 밀수했던 것에서 탄생하였다.

    즉, 부틀렉의 의미는 1919년 미국에서 금주법이 발 효되었을 때 ‘밀수’의 의미에서 출발하였지만, 이후 지금과 다른 의미인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사용 하는 의미로 변화하였다. 1960~80년대 복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불법적으로 생산, 유통, 판매되는 것을 뜻하는 ‘해적판’의 의미가 기원이다. Rojas(2002)에 따르면 샘플과 레퍼런스는 점점 더 많은 주류 음악, 영화, 텔레비전에 스며들고 있고, 리믹스 문화는 소비 자들에게 강하게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그는 주 변의 세계를 인용하거나, 참조하거나, 샘플링하지 않 는 것이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하 며 부틀렉 문화가 대두된 배경을 설명하였다. 문화 역 사가이자 미디어 학자인 Vaidhyanthan(2001)은 그의 저서 “Copyrights and Copywrongs”에서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창의성의 민주화이며, 저작과 창의성의 과 정에 있어서 신비성이 말살된 결과라고 하였다. 특별 한 계층의 창작자가 있어야 한다는 신화를 허물고, 창 의적 곡선을 평평하게 만들어 우리 모두가 창조적 환 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며, 부틀렉에 불법성이 아닌 창조의 민주화의 기반으로서 정당성을 부여했다. 즉,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거치며 부틀렉 은 자유로운 차용을 통한 재창조로서 사회문화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미술 사조인 팝아트(pop art)는 대중적인 상징을 사 용하여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의 경계를 와해하는 점과 독창성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이후 부틀렉의 특징과 유사점을 갖는다. 미술 사조는 대중 문화 및 패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팝아트를 통 해 대중문화 및 패션에서의 부틀렉을 이해할 수 있다.

    부틀렉은 타인의 저명한 상표의 내용이나 형태를 변형하여 상품 내지 사회 현상을 비평하거나 웃음을 야기하는 상표 패러디를 이용하는데, 상표 패러디의 경우 일부는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상 권리의 침해 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패러디가 상표의 출처표시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표법이 나 부정경쟁방지법의 판단을 받을 수 있는 전제요건 의 결여로 상표권 침해나 희석화를 주장할 수 없다. 부틀렉은 상표법에 저촉되지 않는 동시에 원작에 대 한 ‘표절’ 혹은 ‘무단 도용’과 구분되기 위해서 상품의 출처 표시로 사용되지 않거나, 작가의 패러디 의도와 변형 행위를 통해 원작과의 확실한 구분이 필요하다 고 할 수 있다. 또한 부틀렉이 부정경쟁방지법에 위배 되지 않기 위해서는 원작에 지나치게 부정적인 이미 지를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건들을 충족 할 때 부틀렉은 새로운 창조를 통해 원작과 구별되며, 불법성을 갖지 않는다.

    2. Postmodernism and Bootleg

    포스트모더니즘은 ‘포스트(post)’와 ‘모더니즘(modernism)’ 이라는 용어의 결합으로, 여기서 포스트란 ‘이후’라는 뜻과 ‘벗어남’, ‘초월’이라는 뜻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이란 탈근대주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모더니즘 이후에 나타난 비판 현상을 말한다. 즉, 이성중심의 사고에 회의를 품고 가부장제나 형이상학적 전통에서 벗어나 려는 탈중심주의를 나타낸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탈중 심주의와 함께 상대성과 다원성을 인정한다. <Table 1>

    포스트모더니즘은 재현을 거부하기 위해 전통 혹 은 과거의 형식을 빌려 현재 상황으로 변형시켜 새로 움을 담는 ‘과거의 현존’을 특성으로 한다. 포스트모 더니즘은 예술과 일상생활의 경계를 없애거나 고급예 술과 대중문화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문화의 ‘깊이 없 음’을 즐기며 패러디, 이중코드, 아이러니, 유희성을 새롭게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특징을 종합한 결과, 부틀렉 을 설명할 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상호텍 스트성, 탈현상, 시뮬라크르의 3가지로 정리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Lee(2006)는 비독창성, 몰형식성, 탈중심성, 상호텍스 트성으로 분류했다. Lee, Lee, and Roh(2011)는 포스 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의 기능, 효율, 합리성만을 추 구하는 것에 대한 거부, 다원성, 절충성으로 특징지었 다. M. J. Kim(2013)은 그의 저서 “복식미학”에서 포 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반형식주의, 장식성, 비재현 성, 불확정성, 취미의 차별화, 다원주의로 정리했다. S. H. Kim(2013)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고급과 저급, 불확정성, 역사성, 해체주의, 기술주의로 정리했 다.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특징을 종합한 결과, 부틀렉 을 설명할 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상호텍 스트성, 탈현상, 시뮬라크르의 3가지로 정리하였다.

    1) Intertextuality

    상호텍스트성은 텍스트가 자율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출발하며, 주어진 한 텍스트 가 그 이전에 존재해 있는 다른 텍스트들로부터 어떤 요소를 취해오는 것이다. 독자가 작가의 의도가 내재 된 텍스트를 그대로 파악하는 고정적인 구조주의 체 계를 거부하고, 능동적인 주체로써 독자가 내포하고 있는 개인적인 세계에 존재하는 것들과 관계를 맺으 면서 텍스트의 의미를 찾는,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 간 의 상호관계를 역동적인 탈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다루 고자 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창작 이론에 따르면 작가는 마치 창조자 나 조물주처럼 무에서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다. 그러 나 상호텍스트성 이론에 따르면, 포스트모더니즘 시 대에서는 모든 텍스트는 새로운 창조물이라기보다는 어디까지나 그 이전에 이미 존재해 있던 것을 재결합시 켜 놓은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미 존재하는 재현 의 패러디와 재차용(re-appropriation)을 받아들인다. 상 호텍스트성은 일반적으로 인용(citation), 반복(repetition), 이중구조(double structure), 재구성(redescription)의 특 성을 나타낸다.

    부틀렉은 이미 존재하는 텍스트에서 상징적 요소 를 취해오는 것으로, 이때 작가는 이미 존재하는 것을 인용 혹은 반복, 이중구조,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텍 스트로 재탄생시킨다. 부틀렉은 창작물에서 작가의 의도가 명확하게 개입되기 때문에 능동적인 텍스트로 서 단순한 모방과는 구별된다.

    2) Decomposition

    해체주의에서 니체와 데리다가 추구하는 탈현상은 이원론적인 체제 즉, 존재/부재, 실체/허구, 본질/현 상, 구상/추상 등에서 우위의 개념에 비중을 두는 것 이 아니라, 그 질서를 파괴하고 떨어져 나옴으로써 부재, 허구, 현상, 추상 등을 구체화시키는 작업이다. 탈현상은 탈중심(decentring), 전위(dislocation), 탈구성 (discomposition)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탈중심은 ‘중심주의’와 ‘일원성’의 획일적이고 절 대적인 진리를 인정하는 대신 주체를 해체하고, 그동 안 절대적인 존재로 군림해 온 기존의 체제와 가치관 에 의해 소외되었던 타자의 가치를 인정하며 다양성, 상대성, 복수성과 다중성을 추구하는 열린 사고방식 이다. 전위는 초현실주의의 주요 표현 방법으로, 어떤 물체를 본래 있던 곳에서 떼어냄으로써 고정관념에 도전하여 심리적 충격을 주며 신비로움을 유발해내는 것이다. 탈구성은 기존의 질서를 무시하고 통일성, 전 체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부틀렉은 기존의 중심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 타 자를 인정하는 메시지를 담으며, 어떠한 상징을 본래 있던 곳에서 떼어내 다른 맥락에 배치하는 전위로 나 타나며,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는 점에서 탈현상을 바 탕으로 한다.

    3) Simulacre

    시뮬라크르는 복제물을 다시 복제한 것을 말하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 들어 놓은 인공물로 원본을 넘어선 복제를 가리킨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서 모방은 원본과의 관계에서 단순히 가짜가 아닌, 독자적인 가치를 가진 것으로 원 본성에 대한 논의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이와 반대로 전통적 재현은 재현하는 대상과의 유사성을 기본 전 제로 한다.

    보드리야르는 원본성(authenticity)의 개념이 본질 적으로 무의미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오리지널이 선행하며 이와 유사한 이미지를 재현으로 보는 기존 의 방식과 달리 시뮬라크르는 오리지널/복제, 모델/이 미지 등의 전통적인 이분법을 전복한다. 들뢰즈는 시 뮬라크르를 단순한 복제의 복제물이 아니라, 전혀 다 른 독립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시뮬라크르는 단순히 흉내나 가짜가 아니라 독자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원본을 뛰어넘어 자기정체성과 역동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부틀렉은 현실의 대상을 바탕으로 대상과 흡사한 대체물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원본과 복제본의 이분 법적 구분에서 탈피하며 독창성을 전복시킨다. 따라 서 부틀렉은 독자적인 가치를 갖는 시뮬라시옹의 결 과로서 새로운 창작물이 될 수 있다.

    3. Fashion and Bootleg

    부틀렉 패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디자인 차 용을 이용한 패션의 차이점은 상징과 상표의 차용 여 부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틀렉 의복은 한 상 품을 다른 상품과 구별해주는 요소 중 가시적이고 명 확하게 나타나는 요소인 로고와 상징을 차용한다는 점에서 의복 디자인에서의 차용과 구별된다. <Table 2>

    한편, 부틀렉 패션은 이미테이션 의복에서 시작하 여 사회문화적 흐름에 따라 의미변화를 이루며 발전 하였다. 이미테이션 의복은 그것이 진품과 동일하게 보일 만큼 유사하게 모방하므로 차용을 인정하지 않 으며, 새로운 해석 또한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이미 테이션 의복은 상징, 상표를 차용하는 점에서 부틀렉 과 공통점을 갖지만, 과시소비와 상징소비를 바탕으 로 하며,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부 틀렉 패션과 구분된다.

    상징적 소비란 제품이 가지는 실용성보다 제품의 상징적이고 주관적인 의미를 중요시하여 소비하는 것 을 말한다. Lee(1999)에 따르면, 로고는 자신이 입은 상표를 알아봐 주길 원하는 사람들을 만족시켜주는 가장 손쉬운 자기과시의 수단이다. 과거와 달리 현대 패션에서는 재료상의 차이가 모호해 가격이 잘 드러 나지 않기 때문에 재료 대신 디자이너의 심볼 마크를 통해 높은 가격이 은유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즉, 이미테이션 의복 구매 행동은 명품의 상징을 차용하여 사회적 계층을 과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물 질주의나 과시소비의 한 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물 질주의란 물질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고, 물질을 중시 하는 경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과시소비란 제 품을 통해 자신의 지위나 부를 드러내고자 하는 상 징적 행위중 하나로, 과시 소비의 현상은 어떤 제품 또는 서비스의 소비가 상품의 원래 기능성보다 사회 적 상징을 더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류층의 의복을 소지하지 못하는 여러 계층의 욕구를 이미테 이션 상품 구매를 통해 대리 만족하고, 또한 이를 상 류층의 의복과 동일시 하고자 하는 경향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미테이션 의복과 부틀렉 패션의 과도기적 사례 로 1980년대 흑인 음악의 부흥과 함께 두각을 나타내 었던 대퍼 댄(Dapper Dan)의 의복을 들 수 있다. 대퍼 댄의 의복은 과시소비와 상징소비를 바탕으로 하여 이미테이션 의복의 특징을 갖지만, 상징을 차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부틀렉 의복의 특 성도 갖는다. Kim(2014)에 따르면, 1980년대 초반 대 퍼 댄에 의하여 루이비통(Louis Vuitton), 펜디(Fendi), 구찌(Gucci)등과 같은 유럽 브랜드들을 힙합 스타일로 변환한 옷들이 유행하였다. 흑인들의 문화와 얼반 라 이프를 결합한 스타일로 평가되는 대퍼 댄의 디자인은 일명 하이 엔드 브랜드 코스튬 스타일(high end brand costume style)로 불리우며, 많은 힙합 뮤지션들을 통 해 큰 트렌드를 이끌었다. 흑인들은 빈민가에서 출발 하여 힙합 음악을 통해 사회적․경제적 성공을 이루 었으며, 이를 과시하고자 하는 수단으로 의복을 활용 하였다. 이 과정에서 심볼 마크의 차용을 통해 상징적 으로 부를 과시하는 동시에 자신들의 스타일에 맞는 의복을 착용한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거치며 패션은 사회적 지 위나 부의 과시 욕구만으로 설명할 수 없게 되면서 이 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변모하게 된다. 포스트모더니 즘 시대 이전의 이미테이션 의복은 과시소비와 물질 주의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로 접어들며 디자인의 차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상 징의 차용 또한 자유로워져 이를 이용한 부틀렉 패션 이 대두되었다. 이미테이션 의복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디자인 차용을 이용한 패션을 거쳐 발전한 부 틀렉 패션은 2010년대에 들어서 다시금 주목받게 된 다. 2012년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인 ’에스에스유알 (SSUR)’과 ‘왓어바웃이브스(What about Yves)’ 등에 서 하이 패션 브랜드 로고 패러디 제품을 선보였고, 대중들이 이를 재미있고 신선하게 받아들이면서 부틀 렉 패션이 다시 패션에서 대중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하이 패션에서는 모스키노(Moschino), 뎀나 바잘리아 (Demna Gvasalia)의 발렌시아가(Balenciaga)와 베트 멍(VETEMENTS), 알레산드로 미켈레(Alessandro Michele) 의 구찌(Gucci)를 중심으로 부틀렉이 패션의 주류 장 르로서 자리 잡게 되었다.

    Ⅲ.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Meaning of Bootleg Fashion

    1. The characteristics of Bootleg fashion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인 상호텍스트성, 탈현상, 시뮬라크르를 바탕으로 하여 부틀렉 패션의 특성을 상징적 요소의 차용, 하이 패션과 대중 패션의 경계 해체, 문화적 다원주의 표현, 해체․재조합을 통 한 창조의 4가지로 명명하였다. 첫째, 상징적 요소의 차용은 상호텍스트성과 시뮬라크르를 통해 도출되었 다. 둘째, 하이 패션과 대중 패션의 경계 해체는 탈현 상으로부터 정리되었다. 셋째, 문화적 다원주의 표현 은 탈현상으로부터 도출되었다. 넷째, 해체․재조합 을 통한 창조는 상호텍스트성, 탈현상, 시뮬라크르를 통해서 도출되었다.

    1) Unauthorized use of symbolic elements

    부틀렉 패션은 완전히 새로운 창작을 부정하고, 텍 스트간의 연계성을 찾는 상호텍스트성 이론에 따라 이미 존재하는 상징적 요소를 차용하여 표현한다. 또 한 시뮬라크르 이론과 같이 디자이너의 새로운 해석 을 통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상징을 존재하는 것 처럼 만들어 놓은 것으로 부틀렉 패션은 이미테이션 의복과 달리 원본과 복제본의 이분법적 구분에서 탈 피한다.

    상징적 요소 중 상표란 상품의 출처를 나타내기 위 하여 사용하는 모든 표시로 브랜드나 상품에 있어서 로고, 상징, 패키지 디자인 등을 들 수 있다. 부틀렉 패션은 브랜드와 제품 등의 상징의 차용을 통해 디자 이너의 새로운 해석인 메시지를 나타낸다. 부틀렉 패 션은 대중적 상징 요소에 대한 차용을 적극적으로 인 정하며 디자이너의 새로운 해석인 패러디와 오마주로 표현하고, 소비자들은 이러한 의도를 이해하고 해석 한다. 이러한 상징적 요소의 차용은 다음의 2가지 경 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대중문화와 소비주의를 대표하는 상징을 차용한 패러디와 둘째, 특정 문화나 정 치인의 상징을 차용한 오마주의 표현으로 구별된다.

    먼저 부틀렉 패션은 대중문화와 소비주의를 대표 하는 상징을 차용하여 패러디하며 풍자한다. 부틀렉 패션은 타 산업의 상징을 가져옴으로써 일상생활과 창의적으로 연결되며 가시성을 갖는다. 일상적인 상징 들은 동시대의 대중문화를 대변하는데, 부틀렉 패션 은 이를 차용함으로써 해당 상표 자체가 아닌 상표의 상징을 패러디하는 매개적 패러디로 주로 나타난다. 크리스토퍼 섀넌은 유명 담배 상표인 말보로(Marlboro) 의 로고와 패키지 디자인(Fig. 1)을 차용함으로써 담 배라는 중독적이고 백해무익한 공산품을 비판했다. 모 스키노는 금융 기술 서비스 그룹인 마스터카드(Master card)의 로고를 차용하여 소비주의를 풍자했다(Fig. 2). 발렌시아가는 다국적 럭셔리 패션 그룹 케링(Kering) 로고 프린트를 차용하여 ‘명품’의 작품성과 기능성보 다는 명품을 소유한다는 행위에 집착하는 허영과 사 치풍조를 지적했다(Fig. 3). 베트멍은 마이크로소프트사 (Microsoft)의 웹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의 로고를 철자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향정신 성 물질의 일종인 엑스터시(ecstasy)로 대체하여 사용 함으로써 현대사회의 폐단인 인터넷 매체의 의존성과 중독성을 표현했다(Fig. 4).

    이와 동시에 부틀렉 패션에서는 특정 문화와 정치 이념에 대한 오마주 또한 나타난다. 구찌는 <Fig. 5>에 서와 같이 헐리우드의 6대 메이저 스튜디오 중 하나 인 파라마운트 픽쳐스(Paramount Pictures)의 로고를 차용한 로스앤젤레스의 문화를 동경하는 패션을 디자 인하여 헐리우드와 셀러브리티 문화는 구찌의 꾸준한 영감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발렌시아가는 미 국 정치인 버니 샌더스(Bernie Sanders)가 선거에서 사용한 캠페인 로고를 차용했다(Fig. 6). 발렌시아가 의 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 화국 연방의 하나였던 조지아(Georgia) 출생으로, 포 스트 소비에트 시기의 역사적 격동을 겪었다. 이 시기 의 정치적 영향을 받은 뎀나 바잘리아는 미국 상원 의 회에서 유일한 사회주의자인 버니 샌더스의 정치 이 념에 대한 지지를 로고의 차용을 통해 표현했다.

    2) Disorganization of boundaries between fashion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중심에서 탈피하는 탈현상 이론에 따라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가 와해되면서 하이 패션과 대중 패션의 구분 또한 흐려 졌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는 다양성을 추구하며 비주류의 패션에 관심을 갖게 되는데, 이는 소비 목적 의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소비 목 적의 변화는 부틀렉 패션의 주 발생 원인이며, 현대 사회에서 소비의 목적은 ‘부유함’의 과시보다는 ‘개 성’의 표현에 가치를 둔다. 이에 하이 패션은 스트리 트 패션이 갖는 개성적 표현을 위해 스트리트 패션의 상징을 차용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계의 해체 는 나아가 원본성의 개념을 약화시킨다. 이미테이션 상품이 원본 상품을 모방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전복 시켜 원본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즉, 이미테이 션 상품을 원본이 다시 차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패션 간의 경계를 허물고 작업을 보여주는 베트멍 은 스케이트 보딩 잡지 및 스케이트보드 의류 브랜드 인 스래셔(Thrasher)의 상표를 통해 스래셔의 스케이 트보드 문화를 차용하고자 했다(Fig. 7). 젊은 세대들 에게 열광적인 인기를 가지며 하이 패션의 반열에 오 른 베트멍은 하위문화 집단인 스케이트 보더들의 문 화에서 영향을 받아 작품을 선보였다. 베트멍은 스래 셔와 같이 널리 알려진 스케이트 보딩 의류 브랜드의 상징을 컬렉션에서 보여줌으로써 하이 패션과 스트리 트 패션의 경계는 무의미해져 더 이상 하이 패션이 모 방과 과시의 대상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 했다.

    구찌는 그래피티 아티스트 구찌고스트(Gucci ghost) 와 협업하여 모노그램과 프린트를 재해석했다(Fig. 8). 구찌에 대한 자신의 시각으로 뉴욕 거리에 구찌 아트웍을 태그하는 그라피티 아티스트인 구찌고스트 는 명품과 하위문화를 모두 소비하는 젊은 세대들에 게 인기를 끌었다. 구찌고스트는 구찌를 선망하여 자 신의 그래피티 작업에 구찌의 상표를 표현해 왔는데, 구찌는 이러한 상징을 무단으로 차용하는 일종의 부 틀렉 아티스트인 구찌고스트와 협업함으로써 원본성 의 개념을 모호하게 하고, 하이 패션과 대중문화의 무 경계성을 보여주었다.

    3) Multiplicity through globalization

    부틀렉 패션은 탈중심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 간의 차이를 무시하고 일률적인 규격, 규범, 가치관을 통용시키는 세계화에 대해 비판하는 메시지를 표현한 다.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의 차용을 통해 부틀렉 패션 은 해당 국가의 사회․정치․경제적 상황이나 중요 한 역사적 사건을 시사한다. 특히, 비서구권 국가에 집중함으로써 기존의 서구 중심적 사고를 비판하고, 나아가 국적, 인종, 성별 등의 다양성을 수용하자는 메시지를 주로 담는다. 즉,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이후 로 주류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소 외되었던 비주류에 주목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이다.

    베트멍의 디자이너인 뎀나 바잘리아는 앤트워프 왕립예술대학 출신으로, 베트멍은 벨기에 국기의 상 징과 앤트워프라는 타이포그래피를 차용하여 서구 중 심의 미학을 뒤엎은 패션계의 중요한 인물인 ‘앤트워 프 식스(Antwerp six)’에 대한 오마주를 패션으로 표 현했다(Fig. 9). 앤트워프 식스의 패션 디자인은 기존 서구의 패션과 달리 정의나 규정을 거부하고 반미학 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다. 뎀나 바잘리아는 성소수자 에 거의 찬성하지 않는 정책을 가진 매우 정통적인 기 독교 국가인 조지아 출생으로, 조지아의 성소수자들 은 대부분 배척과 괴롭힘을 당한다. 성소수자 커뮤니 티의 상징인 무지개색으로 조지아 국기를 역설적으로 차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비판하는 동시에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Fig. 10). 베트멍은 유럽연합(EU)의 유럽기를 통해 유럽연합이 표창하고 있는 인종, 성별, 국적, 종교 등에 있어서의 차별금지 의 원칙을 지지했다(Fig. 11).

    4) Newness through deconstruction and recombination

    부틀렉 패션은 기존 상표나 완제품의 해체와 재조 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한다. 이는 상호텍스트 성의 특성인 인용, 반복, 이중구조, 재구성의 형식으 로 나타난다.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원본 상표를 원래 의 용도와 위치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탈현상이 나 타난다. 부틀렉 패션은 시뮬라시옹의 단계를 통해 원 본과 전혀 무관해진다.

    해체와 재조합은 물리적 해체의 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원본 상표와 동음이의 어나 각운, 철자의 유사성을 통해 언어유희를 사용하 는 방법이 있다. 또한 글자로만 이루어진 로고뿐만 아 니라 심볼마크의 디자인 변형을 통해 유희적으로 표 현한다. 둘째, 완제품을 물리적으로 해체하고 재조합 하여 조형적․개념적으로 다른 작품으로 탄생시키는 것이다.

    먼저, 동음이의어나 각운, 철자의 유사성을 이용하 는 것이다. 이는 폰트나 디자인을 차용하여 해학적으 로 다른 의미의 단어를 암시하는 언어유희를 사용하 는 방법이 주를 이룬다. 다음으로, 공존할 수 없는 로 고의 병치, 상표의 전위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해 체와 재조합을 통해 부틀렉 패션은 유희성을 갖는다. 구찌는 기존의 철자 ‘Gucci’에서 i를 유사한 발음의 y 로 변경하여 ‘Guccy’라는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재미 요소를 표현했다(Fig. 12). 이는 언어유희적인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구찌의 정식 제품이 맞지만 마치 이미 테이션인 것처럼 가장하여 스스로 자사의 상표를 차 용하고 의도적으로 변형하는 부틀렉 디자인을 선보임 으로써 원본성의 개념을 모호하게 했다. 디젤(Diesel) 또한 부틀렉의 일환으로 이미테이션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철자를 바꾼 로고인 ‘Deisel’을 선보이는 팝업 스토어를 진행했다(Fig. 13). 디젤은 브랜드의 이미테 이션으로 보이기 위한 자체적인 부틀렉 패션을 통해 원본성과 독창성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시사했다.

    1970년대에 스타디움 록의 등장으로 성행한 투어 머천다이즈(tour merchandise)는 주로 뮤지션의 로고 가 새겨진 티셔츠로 판매되었다. 투어 머천다이즈 티 셔츠는 뮤지션이 속해 있던 하위문화의 정체성 표현 이었다. 반면, 부틀렉 패션에서는 투어 머천다이즈 티 셔츠의 본래의 의미는 퇴색되고, 투어 머천다이즈 티 셔츠를 구매하는 문화에 대한 오마주가 나타난다. 마 크 제이콥스는 그런지 컬렉션에서 너바나(Nirvana)의 스마일리 로고를 차용하여, 로큰롤 문화에서 록스타 너바나가 가지는 상징적인 입지와 너바나 투어 머천 다이즈 티셔츠의 하위문화 이미지 차용을 통해 그런 지 스타일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었다(Fig. 14).

    부틀렉 패션은 완제품을 물리적으로 해체․재조합 을 통하여 조형적이고 개념적으로 다른 작품으로 탄 생시키기도 한다. 완성된 제품을 해체하고 재조합하 여 구조를 해체한 후 다른 구조로 바꾸는 과정에서 복 식의 구성을 파괴하고 공존할 수 없는 것들을 병치하 는 형태를 보인다. 니콜 맥로린(Nicole Mclaughlin) 은 호텔의 실내 슬리퍼를 해체해서 경쟁기업의 로고 가 한곳에 존재함으로써 공존할 수 없는 요소를 병치 했는데, 이를 통해 초현실적 재미 요소가 보여진다 (Fig. 15).

    또한 해당 로고와 전혀 관련이 없는 종류의 상품에 로고를 위치시킴으로써 초현실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때 상반되는 요소들끼리의 조합을 한 아이템으로의 구성은 사회적으로 가진 상반되는 상징이 충돌하면서 유희성과 초현실성이 발현된다. 안쿠타 자르카(Ancuta Sarca)는 여성적인 요소인 하이힐과 남성적인 요소인 나이키 운동화를 재활용하여 구성된 신발을 통해 초 현실성을 표현했다(Fig. 16).

    트렌드에 동조하면서도 자신만의 새로운 표현을 원하는 젊은 세대들은 DIY를 통해 완성품을 해체하 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재해석한다. 완성품을 원하는 대로 변형하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창작품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고 유행에 동참함으로써 문화 현상을 창조한다. 젊은 세대들에게 인기를 얻었던 발 렌시아가는 2017년 S/S 컬렉션에서 이케아의 프락타 백(Frakta bag)의 디자인을 오마주한 백을 선보였는 데, 이에 젊은 세대들은 이케아의 프락타 백을 DIY를 통해 원본과 전혀 다르고 유일무이한 물건으로 탄생 시킴으로써 이케아 프락타 백으로 새로운 물건을 만 드는 패러디를 유행시켰다(Fig. 17). 이러한 패러디는 유희성과 새로움이라는 특성을 바탕으로 인기를 끌고 끊임없이 재생산되며 사회관계망 서비스에서 주목을 받았다.

    2. The internal meaning of Bootleg fashion

    부틀렉 패션의 특성에 따른 부틀렉 패션의 내적 의 미를 고찰한 결과 상징을 통한 패러디, 해체를 통한 탈현상, 변용을 통한 유희성, 문화 현상으로서 확산성 으로 정리되었다. 첫째, 상징을 통한 패러디는 상징적 요소의 차용, 하이 패션과 대중 패션의 경계 해체, 문 화적 다원주의 표현, 해체․재조합을 통한 창조에 의 해 도출되었다. 둘째, 해체를 통한 탈현상은 하이 패 션과 대중 패션의 경계 해체, 문화적 다원주의 표현, 해체․재조합을 통한 창조를 통해 연결되었다. 셋째, 변용을 통한 유희성은 상징적 요소의 차용과 해체․ 재조합을 통한 창조를 통해 정리되었다. 넷째, 문화 현상으로서 확산성은 해체․재조합을 통한 창조에 의 해 특징화되었다.

    1) Parody through symbol

    부틀렉 패션에서 상징을 이용하는 것은 타인의 저 명한 상표의 내용이나 형태를 변형하여 상품 내지 사 회 현상을 비평하거나 특정 대상에 대한 경의를 표현 하려는 것이다. 부틀렉 패션에서는 디자이너가 이미 존재하는 상표를 차용하고 재맥락화하여 상표가 표현 하는 상징을 명확하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소비자가 상징적 기호를 소비하여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부틀렉 패션은 대중문화 와 소비주의를 대표하는 상표를 차용하여 패러디한 다. 이는 대중문화의 획일성과 몰개성에 대한 비판과 자본주의와 물신주의에 대한 비판의 메시지를 담는 다. 패션이라는 산업은 그 특성상 과시 소비와 불가분 의 관계에 있는데, 역설적으로 부틀렉 패션은 이러한 소비주의를 패러디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비판하 기도 한다. 또한 특정 문화와 정치인의 상징을 차용하 여 특정 문화와 정치 이념에 대한 오마주를 표현하고, 하이 패션이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의 상징 혹은 이미 테이션 의복을 차용하여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 의 해체를 나타낸다. 또한 국기를 차용하여 기존의 서 구 중심적 사고를 비판하고, 비서구 국가들을 주목하는 메시지를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해체․재조합을 통한 창조에서는 로고와 상징의 해체, 재조합을 통해 원본 성의 개념을 풍자하거나 유희적인 요소로 활용한다.

    2) Decomposition through the disorganization

    부틀렉 패션은 경계의 해체를 통해 중심적 시각에 서 탈피하는 탈현상적 표현을 바탕으로 한다. 다원성 을 중시하는 정치적․사회적 신념을 표현하고, 하이 패션이 스트리트 패션 등의 비주류의 패션의 상징을 차용함으로써 이분법적 구분에서 탈피하게 된다. 부 틀렉 패션의 탈현상은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T.P.O. 에서 탈피하거나 복식의 구성을 파괴하는 형식으로 표현된다.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 출생한 밀레니 얼 세대는 자신의 신념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거리 낌이 없는 세대로 주 소비자층으로 부상하였다. 밀레 니얼 세대를 주축으로 최근 정치적․사회적 신념을 소비 행위로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미닝아웃(meaning out)’ 소비가 두드러지고 있다. 패션 간의 경계의 해체 와 기존의 시각으로부터 탈피를 바탕으로 부틀렉 패 션에서 미닝아웃 소비가 나타났다. 부틀렉 패션은 단 순히 명품의 상표를 차용하여 하이 패션의 위치를 취 함으로써 사회적 위치를 과시하고자 하는 과시소비의 수단이 아닌 자신의 신념을 차별화하여 표현하는 수 단으로 작용하며, 그 내용은 주로 기존의 시각에서 탈 피하여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 다양성에 대한 중시로 나타난다.

    부틀렉 패션은 하이 패션이라는 위치에 타 산업의 대중문화의 로고를 차용하거나, 스트리트 패션의 로 고를 차용하는 등 전혀 다른 맥락에 놓음으로써 기존 의 하이 패션과 대중 패션의 구분이 있었던 T.P.O.에 서 탈피한다. 상표가 존재할 수 없는 위치로 전이되거 나 공존할 수 없는 타상표의 병치를 통해 상표의 T.P.O.를 초월한다. 또한 상표가 나타나는 완제품을 해체하고 재조합함으로써 복식의 일반적인 구성에서 탈피한다.

    3) Playfulness through transformation

    부틀렉 패션은 상표를 차용하여 해체하고 재조합 함으로써 원본과 차별화하며 독자적인 가치가 창출되 는데, 이러한 변용을 통해 유희성을 갖는다. 부틀렉 패션은 패러디와 오마주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이미 해당 상표를 알고 있으며, 변용의 의미를 추측하고 이 해할 수 있을 때만 이러한 유희성이 발현된다.

    부틀렉 패션은 패러디의 과정에서 변용을 통해 표 현하는 방법은 동음이의어, 철자의 유사성 등을 바탕 으로 원 상표의 철자 변용과 폰트의 차용을 통한 언어 유희를 이용하거나 상징 디자인의 변용을 통해 표현 하는 것이 있다. 특히 로고의 철자 변용을 통해 스스 로 부틀렉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 변형은 원본성에 대 한 감각을 상실시킨다. 또한 한 패션 브랜드의 상표가 전혀 다른 스타일의 패션에서 표현되거나, 타산업의 상표가 패션 브랜드에서 표현되거나, 공존할 수 없는 상표가 한 곳에 나타남으로써 현실에 존재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초현실성이 나타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부틀렉 패션은 상표가 나타나는 완제품을 변 형하여 재맥락화시켜 전혀 다른 스타일의 제품으로 탄생되거나, 다른 아이템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미 완성된 상품을 변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완성품의 구 성이 해체되고 재조합되면서 조형적인 형태가 독창적 으로 표현된다. 완제품을 차용하는 이유는 해당 브랜 드의 상표와 제품이 상징하는 의미를 통해 작가가 표 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특 히, 다른 상표의 완제품을 한가지의 아이템으로 조합 하여 만들어낼 때 해당 브랜드들의 상표와 제품이 상 징하는 의미를 조합하여 새로운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으며, 초현실성과 유희성이 나타난다.

    4) The spread as a cultural phenomenon

    부틀렉 패션은 상징소비와 해체․재조합을 통한 창조를 바탕으로 세대의 문화적 코드의 공감으로 확 산되고자 한다. 부틀렉 패션은 소비자의 상징소비를 겨냥하여 상품 안에 기업의 가치와 문화적 상징을 담 아 제시하는 일종의 문화 융합형 디자인으로, 이러한 상품에 담긴 문화적 의미가 곧 상품 자체가 되기도 하 고 소비자 커뮤니티 형성과 더불어 하나의 문화적 트 렌드가 되기도 한다. 부틀렉 패션의 상징의 차용을 통 해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부틀렉 패션의 주 소비 자인 밀레니얼 세대의 사고와 가치관을 반영한다.

    또한 부틀렉 패션은 복제본의 복제본으로 원본의 핵심 아이디어를 차용하여 인터넷상의 이용자들에 의 해 창의적으로 계속 변형되며 확산하게 되는 점에서 일종의 인터넷 밈을 이용한 패션이라고 할 수 있다. 부틀렉 패션은 DIY를 이용하여 인터넷 밈으로 확산 되었다. 밀레니얼 세대들은 완성품을 해체한 후 DIY 를 통해 다른 작품으로 탄생시키는 유행 현상에 참여 함으로써 트렌드에 동조하고자 하는 동시에 자신의 독창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는 컨버젼스 컬쳐에서 인터넷상의 놀이 문화와 프로슈머가 결합한 것으로 부틀렉 패션은 소비자가 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확 산시키면서 생성된 문화인 인터넷 밈으로 나타난다.

    Ⅳ. Conclusion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이후로 창작의 방식으로 차 용을 사용하는 것이 더이상 비난받지 않는 일이 되었 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부틀렉 패션은 2010년 이후 주류 패션의 한 장르로 자리잡고 있어 부틀렉 패션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에 본 연구는 부틀렉 패션이 모방이나 표절이 아닌 상 징의 차용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창출하는 장르임을 밝히고, 포스트모더니즘을 바탕으로 하여 부틀렉 패 션의 특성과 이를 통한 내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에 목 적이 있다.

    부틀렉 패션의 이론적 설명을 위한 포스트모더니 즘의 특성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상호텍스트성, 탈현 상, 시뮬라크르로 도출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고 찰한 내용에 따라 부틀렉 패션의 특성을 도출한 결과, 상징적 요소의 차용, 하이패션과 대중 패션의 경계해 체, 문화적 다원주의 표현, 해체, 재조합을 통한 창조 로 결과되었다. 첫째, 상징적 요소의 차용은 이미 존 재하는 상징적 요소를 차용하여 표현하며, 상징적 요 소의 차용의 경향은 크게 패러디와 오마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하이패션과 대중 패션의 경계 해체는 문화의 경계가 와해되며, 하이패션은 스트리트 패션 이 갖는 개성적 표현을 위해 스트리트 패션, 혹은 이 미테이션의 상징을 차용하는 것이다. 셋째, 문화적 다 원주의 표현은 주류를 중심으로 하는 시각에서 벗어 나 기존의 소외되었던 비주류에 주목하는 경향이 반 영되어 국기라는 상징을 통해 세계화에 반대하는 메 시지를 표현하는 것이다. 넷째, 해체, 재조합을 통한 창조는 기존 상표나 완제품의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것이다.

    부틀렉 패션의 특성을 고찰하여 도출된 부틀렉 패 션의 내적 의미는 상징을 통한 패러디, 해체를 통한 탈현상, 변용을 통한 유희성, 문화현상으로서 확산성 이다. 첫째, 상징을 통한 패러디는 상표라는 상징을 차용하여 패러디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 는 메시지를 명확하고 쉽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표현 하는 것으로, 상징적 기호를 소비하여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상징 소비를 바탕으로 한다. 둘째, 해체 를 통한 탈현상은 기존의 시각에서 탈피하여 현대사 회에 대한 비판, 다양성을 중시하는 신념을 차별화하 여 표현하는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셋째, 변용을 통한 유희성은 상표를 차용하여 해체하고 재조합함으 로써 유희성이 발현되며, 원본과 차별화되고 독자적 인 가치가 창출되는 것이다. 넷째, 문화현상으로서 확 산성은 기업의 가치와 문화적 상징을 담아 제시하는 일종의 문화 융합형 디자인으로 제시되는 것과 인터 넷 밈으로써 DIY 문화를 통해 세대의 문화적 코드의 공감으로 확산되고자 하는 것이다.

    부틀렉 패션은 단순한 모방이 아닌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는 혁신적인 패션으로 현재 하나의 장르로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틀렉 패션은 상징적 요소를 차용한 패러디를 통해 중심적 시각으 로부터 탈피하는 메시지를 담고, 문화현상으로 확산 되며,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는 유희적이고 혁신적인 패션으로 확립할 수 있다. 본 연 구가 현재 패션의 주류 장르로 자리잡은 부틀렉 패션 의 연구와 산업적 활용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부틀렉 패션의 학술적 정립이 미흡하여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루어졌고, 부틀렉 패션 의 특성과 내적 의미를 분류하는 데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Figure

    RJCC-28-1-30_F1.gif

    Christopher Shannon 2014 F/W From Vogue. (2014a).

    https://www.vogue.com

    RJCC-28-1-30_F2.gif

    Moschino 2015 S/S From Vogue. (2014b).

    https://www.vogue.com

    RJCC-28-1-30_F3.gif

    Balenciaga 2017 F/W From Vogue. (2017a).

    https://www.vogue.com

    RJCC-28-1-30_F4.gif

    Vetements 2020 S/S From Vogue. (2019c).

    https://www.vogue.com

    RJCC-28-1-30_F5.gif

    Gucci 2018 F/W From Vogue. (2018b).

    https://www.vogue.com

    RJCC-28-1-30_F6.gif

    Bernie Sanders’ logo (left) From Bostonglobe. (2019).

    https://www.bostonglobe.com/

    Balenciaga 2017 F/W (right) From Vogue. (2017a).

    https://www.vogue.com

    RJCC-28-1-30_F7.gif

    Skateboard magazine Thrasher logo(left) From Trashermagazine. (n.d.).

    https://www.thrashermagazine.com

    Vetements 2015 F/W (right) From Vogue. (2015).

    https://www.vogue.com

    RJCC-28-1-30_F8.gif

    Gucci 2016 F/W From Visla. (2016).

    https://visla.kr/

    RJCC-28-1-30_F9.gif

    Vetements 2015 F/W From Vogue. (2015)

    https://www.vogue.com

    RJCC-28-1-30_F10.gif

    Vetements 2019 S/S From Vogue. (2018d).

    https://www.vogue.com

    RJCC-28-1-30_F11.gif

    Vetements 2017 F/W (left) From Vogue. (2017).

    https://www.vogue.com

    Vetements 2017 F/W (Right) From Independent. (2017).

    https://www.independent.co.uk/

    RJCC-28-1-30_F12.gif

    Gucci 2018 Resort From Vogue. (2017c).

    https://www.vogue.com

    RJCC-28-1-30_F13.gif

    Disel’s bootleg store ‘Deisel’ From Dirpset. (2018).

    http://dripsetofficial.com

    RJCC-28-1-30_F14.gif

    Nirvana Smiley logo (left) From Amazon. (n.d.).

    https://www.amazon.com/

    Marc Jacobs The redux grunge collection (right) From Marc Jacobs. (2018).

    https://www.marcjacobs.com/

    RJCC-28-1-30_F15.gif

    Nicole Mclaughlin From Instagram. (2019).

    https://www.instagram.com

    RJCC-28-1-30_F16.gif

    Ancuta Sarca From D.it repubblica. (2019).

    https://d.repubblica.it

    RJCC-28-1-30_F17.gif

    Ikea frakta bag DIY From IKEAhackers. (2017).

    https://www.ikeahackers.net/

    Table

    Deriving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Changes and developments of Bootleg fashion

    Reference

    1. Amazon. (n.d.) Nirvana Smiley logo. Retrieved October 24, 2019, from https://www.amazon.com/LPGI-Nirvana-Smiley-Fabric-40-Inch/dp/B003A6SLC0
    2. Bostonglobe. (2019, March 8). Bernie Sanders’ logo. Retrieved October 21, 2019, from https://www.bostonglobe.com/metro/2019/03/08/bernie-sanders-democrat-complicated/EqijixWUCUXz4dOxcMgF1N/story.html
    3. D.it repubblica. (2019, October 3). Ancuta Sarca. Retrieved October 15, 2019, from https://d.repubblica.it/moda/2019/06/26/foto/scarpe_tacco_tendenza_estate_meta_sneakers_meta_slingback_come_riciclare-4463609/1
    4. Dirpset. (2018, April 9). Diesel’s bootleg store ‘Deisel’ from Dirpset. Retrieved October 25, 2019, fromhttp://dripsetofficial.com/single-blog/item/27-bootleg-fashion
    5. Han, J. Y. (2014). Emergence of 3D printer and intellectual property - Based on copyright, design, trademark -. Quarterly Copyright, 27(2), 145-170.
    6. Han, S. J. (2014). A study on the image appropriation in costume designs. Fashion and Knit, 12(2), 1-11.
    7. IKEAhackers. (2017, May 13). Ikea frakta bag DIY. Retrieved October 15, 2019, from https://www.ikeahackers.net/2017/05/no-stopping-blue-bag.html
    8. Independent. (2017, August 10). Vetements 2017 F/W. Retrieved October 15, 2019, from https://www.independent.co.uk/life-style/fashion/vetements-euflag-hoodie-remain-brexit-blue-yellow-paris-guram-denmar-gvaalia-a7886461.html
    9. Instagram. (2019, January 7). Nicole Mclaughlin. Retrieved October 22, 2019, from https://www.instagram.com/p/BsTO1j2lsr2
    10. Jin, K. O. (2001). The formativeness of parody adapted modern fashion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11. Jung, H. J. (2010). A study of fansubs, non-professional subtitling on the internet: With a focus on “sex and the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B. O. (2012). A study on the process of bootleg records popularization in Korea during 1960-80’s. The Research of Performance Art and Culture, (24), 47-78.
    13. Kim, M. J. (2013). 복식미학 패션을 보는 시각과 패 션에 대한 생각 [Fashion aesthetic viewing fashion and fashion thinking]. Kyeongi: Kyomunsa.
    14. Kim, S. H. (2013). A study on the postmodernism characteristics - Expressed through knit design in collections since 2010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2), 39-52.
    15. Kim, Y. (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rep-hop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6. Lee, J. H. , Lee, X. , & Roh, Y. S. (2011). A study on fashion design development through a postmodernistic approach to the mannish lo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1(3), 47-60.
    17. Lee, J. I. (2011). A study on trademark, brand, logo image parody and intellectual law - Focused on trademark law and unfair competition law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3), 652-664.
    18. Lee, M. S. (1999).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logo. Journal of Fashion Business, 3(4), 103-112.
    19. Lee, S. I. , & Park, K. S. (2006). Postmodernism expressions in contemporary hair style in collections (I).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2), 192-205.
    20. Marc Jacobs. (2018). Marc Jacobs the redux grunge collection. Retrieved October 24, 2019, from Marc Jacobs the redux grunge collection. https://www.marcjacobs.com
    21. Raustiala, K. , & Sprigman, C. (2006). The piracy paradox: Innov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In fashion design. Virginia Law Review, 92(8), 1687-1777.
    22. Rojas, P. (2002, August 1). Bootleg culture. Salon, Retrieved December 19, 2019, from https://www.salon.com/2002/08/01/bootlegs
    23. Shin, J. I. (2008). A study on the pastiche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4. Trashermagazine.(n.d.). Skateboard magazine Thrasher logo. Retrieved October 15, 2019, from https://shop.thrashermagazine.com/flame-logo-t-shirt-white.html
    25. Vaidhyanthan, S. (2001). Copyrights and copywrongs. New York: NYU Press.
    26. Visla. (2016, February 26). Gucci 2016 F/W. Retrieved September 27, 2019, from https://visla.kr/news/fashion/34639
    27. Vogue. (2014a, January 8). Christopher Shannon 2014 F/W. Retrieved September 15,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4-menswear/christopher-shannon
    28. Vogue. (2014b, September 19). Moschino 2015 S/S. Retrieved September 2,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5-ready-towear/moschino/slideshow/collection
    29. Vogue. (2015, March 6). Vetements 2015 F/W. Retrieved September 15,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5-ready-to-wear/vetements
    30. Vogue. (2017a, January 18). Balenciaga 2017 F/W. Retrieved September 3,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menswear/balenciaga
    31. Vogue. (2017b, January 25). Vetements 2017 F/W. Retrieved September 15,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7-menswear/vetements
    32. Vogue. (2017c, May 30). Gucci 2018 Resort. Retrieved September 7,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resort-2018/gucci
    33. Vogue. (2018a, February 21). Gucci 2018 F/W. Retrieved September 7,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8-ready-to-wear/gucci
    34. Vogue. (2018b, July 2). Vetements 2019 S/S. Retrieved September 15,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9-ready-to-wear/vetements
    35. Vogue. (2019, June 21). Vetements 2020 S/S. Retrieved September 15, 2019, from https://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20-menswear/vetements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