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9 No.5 pp.1019-1030
DOI :

항공기 승무원의 작업 동작을 반영한 여성용 유니폼 셔츠 패턴 개선 방안

이민지, 천종숙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Women's Uniform Shirts' Pattern Alteration by Applying the Work Postures of Flight Attendants

Jongsuk Chun, Minji L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ttern of flight attendant uniform shirts to provide better comfort fortheir work postures. Flight attendants’ work posture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problems of clothing andmobility during their work. The pattern of the flight attendants’ uniform shirt was altered by applying dynamicwearing ease(DWE). DWE was calculated from four standardized dynamic postures and a static posture. An experimentalgarment was made with the altered postures. The researcher redesigned the pattern of the uniform shirts,which minimizes physical limitations in movements. The fit and mobility of the shirts were evaluated. Results of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ve representative work postures were selected by “clothing stress” and“repetitiveness.” These postures included raised arms, twisting midriff and shoulder postures. Five representativepostures were selected by using the ergonomic posture assessment device index(OWAS). Second, the experimentalgarment was developed by applying DWE across the back and at armhole depth, back length, and side length.Third, the fit and mobility of the experimental garments and the original uniform shirts were compared at the flightworking environment set and 5 dynamic body postures of raising arms. The experimental garments made with analtered pattern provided better fit and mobility than the original sample shirts.

01(11)_논문 11.pdf7.65MB

Ⅰ. 서 론

 직업과 신분이 표현되는 유니폼은 복장 규범이 강한 직장이나 단체에서 착용되는 특수 복장이다. 이 중 항공사 여성 승무원의 유니폼은 기업의 이미지1)를 나타내는 수단2,3)이며, ‘움직이는 CI(Corporate Identity)’로 인식된다.4~6) 항공사의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7) 항공사들은 기업이미지를 높이는 방안으로 유니폼 디자인을 중요시하고 있다.

1) 김재숙, 이희승, “색과 문양의 감성 이미지 효과 -간호사 복을 대상으로-,” 복식문화연구 12권 3호 (2004), p. 379.
2) 배천범, “현대 기업의 C.I.P. 작업 중 유니폼의 연구,” 조형논총 2호 (1982), p. 221.
3) 양리나, “외식기업 종사원의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2호 (2002), p. 133.
4) 이화진, 김윤경, 이경희, “항공사 여승무원 유니폼에 관한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권 9호 (2005), p. 1266.
5) 유영선, “대학 이미지 제고를 위한 유니폼 디자인,” 복식문화연구 14권 2호 (2006), p. 207.
6) 황은경, 정성지, 장남경, “치과위생사 유니폼 착용실태, 만족도,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4권 1호 (2006), p. 94.
7) 이민정, 김현정, 이언영, 이인성, “학교 홍보를 위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7권 5호 (2009), p. 781.

국제 항공 여행은 다른 국가로의 여행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항공사 승무원들의 유니폼 디자인에는 항공사의 소속 국가 이미지를 표현하기도 한다. 특히 아시아 지역의 항공사의 여성 승무원 유니폼에는 전통 복식적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8) 예를 들어 대만의 중화항공사(China Airlines)9)와 샤먼 항공사(China Xiamen Airlines)10)는 중국의 전통복식인 치파오를 재현한 유니폼을 착용하며, 말레이시아 항공(Malaysia Airlines)11)과 싱가폴 항공(Singapore Airlines)12)의 여성 승무원 유니폼은 카바야(kabaya)와 사롱(sarong)이라고 불리는 전통 복식디자인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미를 드러낸 유니폼을 착용한다. 

8) 강지영, “한복을 응용한 항공기 승무원 유니폼 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p. 56.
9) http://www.china-airlines.co.kr/(중화항공)
10) http://www.xiamenair.com.cn/(중국샤먼항공)
11) http://www.malaysiaairlines.com/splash/index.html(말레이시아항공)
12) http://www.singaporeair.com/saa/ko_KR/flights_southkorea.jsp(싱가포르항공)

 우리나라 여승무원 유니폼의 형태는 서양 정장 형태를 사용하고 있으나, 스카프와 같은 액세서리의 문양에 전통적인 미를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1991년부터 2004년까지 착용했던 대한항공(Korean Air) 유니폼은 태극문양을 모티브화하여 스카프에 이용하였으며, 아시아나항공(Asiana Airlines)은 오방색을 모티브하여 스카프나 니트의 네크라인 등에 색동을 삽입함으로써 전통적인 미를 표현하였다.

 우리나라 여승무원의 유니폼 품목은 재킷, 바지, 스커트, 셔츠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2005년에 여성 승무원 유니폼에 바지를 도입하였다.13) 1989년도부터 국제 항공 사업을 시작한 아시아나 항공은 셔츠 대신 니트 셔츠를 착용시키고 있다.14) 니트 셔츠의 채용은 작업 시 승무원들의 상지 활동을 고려하여 편리하게 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여승무원 유니폼의 변화는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을 항공사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동시에 작업복으로의 기능성도 필요함을 인식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13) http://kr.koreanair.com/(대한항공)
14) http://flyasiana.com/index.htm(아시아나항공)

승무원의 유니폼 착용은 승객의 탑승 전 준비단계 부터 승객이 내린 후 기내 확인까지로 구성되며, 업무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승객을 맞이하는 이륙전까지는 정장 재킷을 착용하고, 이륙 후 음료 및 식사 서비스, 기타 업무 처리 지원 시에는 재킷을 벗고 유니폼 셔츠를 착용한 상태에서 업무를 보게된다. 따라서 승무원의 유니폼 셔츠는 작업복의 기능이 강하게 요구되는 옷이라고 할 수 있다. 

 승무원들의 작업 동작 특성은 작업 공간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객실 승무원들의 업무 공간은 주로 통로와 준비공간이다. 통로에서는 몸을 앞으로 향한 상태에서 측면 좌석의 승객에게 물품을 제공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평균 폭이 약 45cm의 좌석이 3열로 배치된 경우 통로에서 서비스 하는 동작은 측면으로 최대 155cm 정도를 커버해야 한다. 좌석 상단에 승객 짐을 보관하는 보관대의 높이는 약 190~207cm이다.15) 따라서 승무원들은 좁은 통로에서 좌, 우, 상측 방향의 공간을 업무 영역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상지, 등, 허리를 비트는 자세를 반복적으로 취하게 된다. 따라서 승무원 셔츠 유니폼은 이러한 동작 범위를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15) 이민지, “업무 동작을 반영한 승무원 유니폼 셔츠 설계 방안”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pp. 35-37.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복으로서의 활동적 기능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항공사 여성 승무원 셔츠 패턴을 개선하고, 패턴 설계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승무원의 객실 업무 중 상의의 동작 기능성에 제한을 주는 대표적인 동작을 추출하고, 표준화된 동적 자세에서의 주요 측정 항목의 체표면길이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활동 여유량으로 활용하는 패턴 설계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활동 기능성 평가 실험을 통해 개선된 패턴으로 제작한 셔츠의 착용 만족도와 동작편이성을 검증하였다.

Ⅱ. 연구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승무원의 기내 업무 수행 동작을 고려한 인간공학적 패턴 설계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3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3가지 실험은 대표동작 추출 실험(실험(1)), 체표면길이 변화 측정(실험(2)), 개발된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의 활동기능성 평가실험(실험(3))으로 수행하였다.

1.대표 작업 동작 선정

 승무원의 작업동작은 장거리 비행 시 비행기 탑승부터 하기 시까지 시간 순서에 따라 95개 동작으로 세분화하였다. 비행 경력 4년 이상인 여성 승무원을 대상으로 기내 규격에 맞추어 취한 작업자세를 정면과 측면에서 촬영한 실험자극물을 사용하였다. 대표동작 선정을 위해 각 동작은 ‘의류 스트레스 지수’(5점)와 ‘반복성 지수’(3점)에 따라 장거리 비행 경력이 4년 이상인 승무원(n=10)이 평가하였다. 의류 스트레스 지수는 업무 시 유니폼 셔츠의 당김이나 흐트러짐의 정도(1점: 매우 당기거나 흐트러짐, 5점: 변화 없음)로 평가하였고, 반복성 지수는 10회 미만 반복되면 1점, 10회 이상 50회 미만 반복되면 2점, 50회 이상 반복되면 3점으로 평가하였다. 95개 동작 중 스트레스 지수가 3.5점이상이며, 반복성 지수가 2점 이상인 자세를 주요 작업 동작으로 선택하였다.

선택된 주요 작업 동작은 의복구성연구 경력 5년 이상인 연구원들(n=5)이 인간공학적 동작 평가 도구(OWAS)에서 제시한 섬/앉음, 허리 비틈, 팔의 위치와 승무원의 작업자세에서 중요시 하는 시선 높이를 기준으로 5개 집단으로 분류한 후 의류 스트레스 지수와 반복성지수의 곱이 최고치를 나타내는 자세를 각 집단의 대표 작업 동작으로 설정하였다.

2.체표면길이 변화 측정

 승무원의 대표 작업 자세를 분석한 결과, 상지와 등, 허리를 좌우상하로 비트는 자세들이었으므로 셔츠의 진동부위가 당기고 허리가 스커트 밖으로 빠져나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뒤품, 진동깊이, 등길이, 옆선길이에 대한 동작 자세에서의 체표면길이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대표작업자세들은 상체나 어깨를 비트는 동작들이 많았으나 어깨의 비틈 정도나 상체의 중심축이 변형되어 체표면 측정 방법을 표준화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 제안하는 표준화된 동적 자세를 사용하여 체표면 길이 변화율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동적 인체 측정 자세는 NASA16), U.S. Army17)의 선행 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표 2). 뒤품은 정립자세와 팔을 전방으로 90° 올린 자세, 팔을 어깨와 수평으로 하여 주먹을 맞댄 자세에서 각각 측정하였고, 등길이와 진동깊이는 정립자세와 등을 90° 굽힌 자세에서 측정하였다. 옆선길이는 정립자세와 팔을 전방으로 180° 올린자세에서 측정하였다(표 1).

16) Volume Ⅱ: A Handbook of Anthropometric Data, (Yellow Springs: NASA Reference Publication, 1978), p. 29, 51, 69.
17) Charles Clauser, Ilse Tebbetts, Bruce Bradtmiller, John McConville and Claire C. Gordon, Measurer's Handbook: U.S. Army Anthropometric Survey, 1987-1988, (YELLOW SPRINGS:ANTHROPOLOGY RESEARCH PROJECT INC, 1988), p. 165, 175.

<표 1> 체표면길이 변화 측정 항목 및 측정 방법

<표 2> 체표면길이 변화 측정 자세

<표 3> 실험복 제작 소재 특성

 연구 대상 품목이 승무원 유니폼 셔츠이므로 체표면 변화측정 실험의 피험자는 K항공 승무원 입사기준18)에 의거하여 신장 162cm 이상이며, 승무원 유니폼 셔츠 사이즈 8호 착용이 가능한 20대 여성(n=10)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평균 신장은 166.0cm(SD=3.80cm)이었고, 허리둘레는 69.1cm(SD=3.37cm), 가슴둘레는 86.1cm(SD=4.00cm), 체중은 52.2kg(SD=4.54kg)이었다.

18) http://recruit.koreanair.co.kr/(대한항공채용안내)

3.연구 패턴 및 실험복 제작

 연구 대상인 유니폼 셔츠는 국내 A항공의 여승무원 유니폼 셔츠(사이즈 8호)로 뒤중심에 3.6cm 깊이의 맞주름이 있으며, 하이네트라인, 프린세스라인과 요크, 새틴 슬리브의 디자인 요소가 포함된 긴소매 셔츠였다(그림 1). 여 승무원 유니폼의 미적기준을 맞추기 위해 디자인 요소는 원본과 동일하게 유지하였으며, 옆선, 뒤품, 진동깊이, 등길이의 체표면길이 변화량을 감안하여, 활동여유량을 선정하고 배분하여 연구 패턴을 제작하였다. 실험복은 연구대상 셔츠 소재와 유사한 소재로 하여 기존 패턴(A)와 연구 패턴(B)으로 각각 제작하였다.

<그림 1> 연구 대상 여승무원 셔츠 도식화.

4.활동기능성 평가

 실험복(A)와 (B)에 대한 활동기능성은 착용감에 대한 만족도와 동작 편이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활동기능성 평가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승무원 기내 업무 수행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항공기 객실 승무원(n=10)과 의류학과 전공 석·박사 과정 대학원 연구원들(n=7)로 구성하였으며, 두 집단의 가슴둘레, 허리둘레, 키, 체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표 4).

<표 4> 활동기능성 평가 피험자의 신체 치수 (단위: cm)

 착용감에 대한 만족도는 ‘팔을 180도 앞으로 올리기’동작을 5회 반복한 후 전체적인 품, 소매의 길이, 진동부위의 편안함, 블라우스의 허리 빠짐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동작 편이성은 실험(1)에서 선정한 승무원의 대표 작업 동작(n=5)(표 4) 외에도 정립자세와 상지의 활동기능성을 평가한 선행 연구19)에서 사용한 팔의 각도(전방으로 45°, 90°, 130°, 180°)를 각각 10회씩 반복하게 하여 각 동작에서의 동작 편이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정립자세는 팔을 자연스럽게 내리고 발 앞을 30° 정도 벌리고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로 하였다. 평가 결과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비모수 검정(대응k-표본(s))으로 분석하였다.

19) 임현주, 최혜선, 이경미, 김수아, “항공정비복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지 32권 5호 (2008), p. 683.

Ⅲ. 연구결과

1.대표 작업 동작 선정

 객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승무원들의 작업동작들(n=95) 중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작업 수행 시 신체에 부담을 주는 대표 작업 동작들을 선정하기 위해 스트레스 지수가 3.5점 이상(5점 척도)이고 ‘반복성’이 1점 이상(3점 척도)인 주요 작업 동작(n=35)을 선정한 후 이 동작들을 다시 인간공학적 자세평가도구(OWAS)를 사용하여 평가 기준인 섬/ 앉음, 허리비틈정도, 팔의 위치와 승무원들의 작업에서 중요시 하는 요소인 시선 높이를 기준으로 5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의 대표 작업 동작을 의류 스트레스 지수값과 반복성 지수값을 곱한 값이 가장 큰 동작으로 설정하였다.

 각 집단의 특징과 대표 작업 동작은〈표 5〉와 같다.

<표 5> 주요 작업 동작의 분류 (n=35)

<표 5> 계속

<표 5> 계속

 집단 Ⅰ은 팔을 어깨 높이보다 위로 올리고 시선을 위로 향하여 머리를 젖힌 상태로 작업하는 7개 동작이 포함되었으며 스트레스 지수는 4.3~5.0 이었고 반복성지수는 1.8~2.3이었다. 이 중 대표동작은 ‘천장 짐 보관대에 승객 짐을 올려 넣는 동작’(스트레스 5.0, 반복성 2.3)이었다.

집단 Ⅱ는 정립자세에서 팔을 어깨 아래에서 앞으로 내밀고 시선은 아래를 향한 동작이었다. 스트레스 지수는 4.1이었고, 반복성 지수는 2.1이었으며, ‘통로(Aisle)에서 카트 밀어서 옮기는 동작’이었다. 

집단 Ⅲ은 무릎을 구부려 앉은 자세에서 팔을 어깨 아래로 내밀고 시선은 아래를 향한 8개 동작이 포함되었으며 스트레스 지수는 3.7~4.9이었고, 반복성 지수는 1.8~2.8이었다. 이 중 대표동작은 ‘식판을 회수하여 카트 하단에 넣는 동작’(스트레스 4.9, 반복성 2.8)이었다.

 집단 Ⅳ는 대부분 '3열 승객에게 식판이나 음료를 서비스 하는 동작‘으로 정립자세에서 몸통과 상지를 옆으로 크게 비트는 동작이며, 시선은 옆 아래를 향하는 동작으로 가장 많은 동작(n=15)이 이 집단에 속하였다. 스트레스 지수는 3.7~4.7이었고, 반복성 지수는 2.1~2.8이었다. 이 중 대표동작은 ‘창가 쪽 승객(3열)의 식판을 회수하는 동작’(스트레스 4.5, 반복성 2.8)이었다.

 집단 Ⅴ는 집단 4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으로 2열 승객에게 서비스하는 동작들로 허리비틈, 팔의 동작 각도가 집단 Ⅳ보다 작은 동작들이었다. 총 4개 동작이 포함되었으며, 스트레스 지수는 3.5~3.7이었고, 반복성 지수는 2.4~2.8이었다. 이 중 대표동작은 ‘창가 쪽 승객(2열)의 식판을 회수하는 동작’(스트레스 3.7, 반복성 2.8)이었다.

2.동적자세에서의 체표면길이 변화

 팔을 올리거나 허리를 굽힌 동작 자세에서 측정한 피험자들의 뒤품, 옆선, 등길이, 진동 깊이의 체표면 길이를 정립자세에서 측정한 체표면 길이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뒤품은 팔을 90° 올린 자세에서 평균 22.6%(7.33cm) 증가하였고, 팔을 구부려 주먹을 맞댄자세에서는 6.36%(2.11cm) 증가하였다. 등을 90° 굽힌 자세에서는 진동깊이가 평균 6.67%(0.93cm) 증가하였고, 등길이는 평균 10.63%(3.72cm) 증가하였다. 팔을 180° 올린 자세에서의 옆선의 체표면 길이가 평균 34.69%(7.13cm) 증가하였다(표 6).

<표 6> 자세에 따른 측정 치수 (단위: cm)

3.연구 패턴의 설계

 실험(1)에서 선정한 대표 작업 동작 특성과 실험(2)에서 측정한 체표면 변화 추이를 반영하여 연구 패턴을 설계하였다. 주요작업들이 허리를 굽히거나(집단 Ⅲ) 옆으로 비트는 동작(집단 Ⅳ, Ⅴ)과 팔을 머리위로 올리거나(집단 Ⅰ) 옆으로 비트는 동작들(집단 Ⅳ, Ⅴ)이므로 등너비와 옆선 길이를 조정하여 유니폼 셔츠의 소매 달림선과 겨드랑이 부위의 당김과 셔츠 허리단이 스커트 위로 빠져 나오는 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림 2> 연구 패턴과 기존 셔츠 패턴의 비교(size 8호).

 따라서 연구 패턴은 기존 승무원 셔츠의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활동 시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하여 실험(1)에서 선정된 그룹 Ⅳ와 Ⅴ에 속하는 팔을 옆아래로 비틀어 움직이는 동작들을 고려하여 겨드랑이 점의 위치를 1.2cm 올려 옆선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요크를 바이어스 방향으로 설계하여 신축성을 갖도록 하였으며, 요크의 어깨점도 앞으로 2cm 이동시켜 어깨와 겨드랑이 부위의 당김 현상을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옆선의 체표면변화 길이는 팔을 180° 올렸을 때에는 34.69%(7.13cm) 증가하였으나 승무원 업무 중 팔을 180° 올리는 자세는 없었으므로, 겨드랑이 점의 위치를 1.2cm만 올려 옆선의 길이 변화를 반영하였다. 옆선 길이 변화에 따라 앞판의 어깨점의 위치도 2cm 아래로 변경시켰다. 팔을 앞으로 내밀거나 비트는 작업에서 등이 당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뒤품의 체표면 변화량(2.11~7.33cm)을 감안하여 뒤 중심선의 맞주름 너비를 3.6cm에서 5.0cm로 증가시키고, 좌·우 겨드랑이점은 각각 0.6cm씩 밖으로 내어 뒤품이 증가하도록 제도하였다. 등길이는 체표면 변화량(3.72cm)을 감안하여 허리선을 절개한 후 허리 옆점을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뒤 허리 중심점을 1.5cm 아래로 회전하여 이동시키고, 단의 뒤 중심점을 0.4cm 내려서 등 길이를 증가시키고 셔츠 뒷단의 너비가 증가하도록 제도하였다. 겨드랑이 점을 1.2cm 올려 몸판 옆선의 길이를 증가시킴에 따라 암홀이 깊어지는 점을 반영해 소매의 길이에 여유분을 주기 위하여 소매 길이는 1.5cm 더 길게 설계하였다. 칼라와 커프스는 기존 패턴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4.실험용 셔츠의 활동 기능성 평가 결과

 항공기 승무원 셔츠를 착용하고 기내에서 작업한 경험을 가진 여승무원들(n=10)과 이러한 경험이 없는 의류학 전공 대학원 석·박사 과정 연구자들(n=7)이 피험자로 참여하여 연구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B)와 기존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A)의 착용 만족도와 동작 편이성을 평가하였다.

1)착용 만족도

 연구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B)에 대하여 승무원 집단(n=10)은 의류학 연구자집단(n=7)보다 더 유의적으로 높은 착용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들은 연구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B)가 기존 유니폼의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A)보다 진동둘레가 더 편안하며(p<0.001), 전체적인 여유분이나 소매길이가 적당하고(p<0.01), 팔을 180° 앞으로 올려도 스커트에 넣은 셔츠의 자락이 잘 빠져나오지 않는 것으로 평가하였다(p<0.05). 이에 비하여 승무원 셔츠를 착용해 본 경험이 없는 의류학 연구자 집단(n=7)은 실험복(B)가 실험복(A)에 비하여 셔츠 하단의 빠짐현상(p<0.001)과 전체적인 품(p<0.01)이 개선되었다고 평가하였다(표 7). 기존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A)에 대한 만족도는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7).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유니폼 셔츠를 착용하고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진동둘레나 소매길이에 대한 개선 효과를 더 민감하게 평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작업복의 착용감 평가를 위해서는 작업현장의 작업자가 직접 착의 실험 평가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표 7> 착용 만족도 평가 결과 평균(S.D)

2)동작 편이성

 항공기 객실 업무의 대표 작업 동작으로 선정된 5가지 동작인 ‘천장 짐 보관대에 승객의 짐을 넣는 동작’(Ⅰ), ‘통로(Aisle)에서 카트 밀어서 옮기는 동작’(Ⅱ), ‘카트 하단에 회수한 식판을 넣는 동작’(Ⅲ), ‘창가 쪽 승객(3열)의 식판을 회수하는 동작’(Ⅳ), ‘창가 쪽 승객(2열)의 식판을 회수하는 동작’(Ⅴ)과 상지의 각도를 45°, 90°, 130°, 180°로 유지하는 기본 동작 자세에서의 동작 편이성을 평가한 결과, 두 집단 모두 개선 셔츠 실험복(B)의 동작의 편이성이 더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표 8). 특히 승무원들은 개선 셔츠가 쭈그려 앉아 앞으로 몸을 숙여서 작업하는 동작(Ⅲ)에서 매우 편안하다고 평가하였다(4.5). 정립자세에서는 두 실험복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기존 셔츠에 대한 대표 작업 동작 수행의 동작편이성 평가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해 본 경험이 없는 의류학 연구자 집단의 평가가 승무원 집단보다 약간 더 낮게 나타났다(표 8).

<표 8> 동작 편이성 평가 결과 평균(S.D)

 평가자들은 기존 승무원 셔츠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A)가 상지를 머리위로 올려 작업하는 동작(Ⅰ), 쭈그리고 앉아서 작업하는 동작(Ⅲ), 3열 좌석의 고객으로부터 식판을 회수하기 위하여 몸통을 비튼 상태에서 팔을 옆으로 뻗는 동작(Ⅳ) 수행 시 매우 불편하다고 하였다(1.1~1.6점). 이는 상지 동작 중 팔을 130°와 180° 위로 올리는 동작에서 경험하는 불편함(1.0~1.9)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 특이한 점은 상지 기본 동작에서 두 집단이 공통적으로 기존 셔츠인 실험복(A)에 대해서는 상지를 높이 올려 상지와 몸통 사이의 각도가 커질수록 불편하다고 하였으나, 개선한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B)에 대해서는 상지와 몸통사이의 각도가 커질수록 편안함의 평가점수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팔을 높이 올리면 불편할 것이라는 기대치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미묘한 패턴 수정의 차이에 대해서도 편안함을 더 크게 느끼는 것이라고 평가된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여승무원의 유니폼 셔츠 디자인을 변경하지 않고 승무원의 기내 작업 시 편안함을 제공하는 유니폼 셔츠 패턴개선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에서는 작업 환경의 이해 및 작업 경험을 가진 피험자를 참여시키기 위하여 객실 승무원을 실험 피험자로 참여시켰으며, 의류의 기능성 개선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견해를 반영하기 위해 의류학 연구자들을 포함시켰다. 또한 패턴 개선을 위해 고려한 대표 동작 선점을 위해 승무원의 기내 작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승무원의 작업 자세는 팔의 동작 범위가 크며, 허리와 어깨 비틈 동작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 패턴은 팔을 올리거나 허리를 굽힌 자세에서 뒤품, 등길이, 옆선 길이가 변화하는지 정도를 파악하여 이를 참고하여 연구 패턴을 제안하였다. 개선된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의 동작 기능성 개선 효과를 검토한 결과, 개선 셔츠는 진동부위, 소매길이, 전체적인 품, 셔츠하단의 빠짐 현상이 개선되었다고 평가되었으며, 특히 과거 경험을 통해 유니폼의 특정 부위의 불편함 정도를 인지하고 있는 집단에서 연구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의 착용 만족도와 활동기능성을 더 민감하게 인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작업복의 기능성 개선 효과를 평가하는 평가단은 정확한 작업 동작과 작업복 착용 경험이 있는 피험자가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니폼 셔츠의 원래 디자인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동적 자세에서 파악한 체표면 변화값을 그대로 적용하지는 않고 어깨선의 위치와 옷감의 올방향, 겨드랑이 점의 위치, 등의 주름분량의 변화를 통해 활동에 필요한 여유량을 반영한 연구 패턴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폼 셔츠의 기능성 개선이라는 연구 목적을 위하여 상체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승무원 업무 특성상 쪼그려 앉기의 동작도 자주 반복되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승무원 작업의 스커트나 바지의 패턴 개선방안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

1.강지영 (2008). “한복을 응용한 항공기 승무원 유니폼 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김재숙, 이희승 (2004). “색과 문양의 감성 이미지 효과 -간호사 복을 대상으로-.” 복식문화연구 12권 3호.
3.배천범 (1982). “현대 기업의 C.I.P. 작업 중 유니폼의 연구.” 조형논총 2호.
4.양리나 (2002). “외식기업 종사원의 유니폼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권 2호.
5.유영선 (2006). “대학 이미지 제고를 위한 유니폼디자인.” 복식문화연구 14권 2호.
6.이민정, 김현정, 이언영, 이인성 (2009). “학교 홍보를 위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7권 5호.
7.이민지 (2008). “업무 동작을 반영한 승무원 유니폼 셔츠 설계 방안.”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이화진, 김윤경, 이경희 (2005). “항공사 여승무원 유니폼에 관한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권 9호.
9.임현주, 최혜선, 이경미, 김수아 (2008). “항공정비복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지 32권 5호.
10.황은경, 정성지, 장남경 (2006). “치과위생사 유니폼 착용실태, 만족도,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복식문화연구 14권 1호.
11.Charles Clauser, Ilse Tebbetts, Bruce Bradtmiller, John McConville and Claire C. Gordon (1988). Measurer's Handbook: U.S. Army Anthropometric Survey, 1987-1988. YELLOW SPRINGS: ANTHROPOLOGY RESEARCH PROJECT INC.
12.Volume Ⅱ: A Handbook of Anthropometric Data (1978). Yellow Springs: NASA Reference Publication.
13.http://kr.koreanair.com/(대한항공)
14.http://recruit.koreanair.co.kr/(대한항공채용안내)
15.http://www.malaysiaairlines.com/splash/index.html(말레이시아항공)
16.http://www.singaporeair.com/saa/ko_KR/flights_southkorea.jsp(싱가포르항공)
17.http://flyasiana.com/index.htm(아시아나항공)
18.http://www.china-airlines.co.kr/(중화항공)
19.http://www.xiamenair.com.cn/(중국샤먼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