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9 No.2 pp.296-308
DOI :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의 디자인 특성
- 2000~2009년 여성 컬렉션을 중심으로 -

유상, 장정임, 이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The Characteristics of Qipao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 Focused on Women's Collections from 2000 to 2009 -

Younhee Lee, Shang Ryu, Jung Im Ja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Qipao, that Chinese traditional women’s cloth, and analysis the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at. Joining WTO in 2002 and 2008 Beijing Olympic made China get the attention bythe world and get the opportunity that advent of China style. Chinese fashion cultural contents have abundantmeanings in internal or external, therefore characteristics aesthetic of Chinese traditional fashion had much influencein world fashion design. Qipao that has influence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could be used special fashiondesign data for China market. A variety of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es for Qipao’s history and transition processwas studied. Internal and external documents, fashion magazines, internet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to studyfeatures of Qipao. Total 20 seasons fashion collections from 2000S/S to 2009F/W was examined, and selected 22brands that showed Qipao style, after then extracted 418 photos among them. By the seasons, it showed 193 piecesin S/S and 225 pieces in F/W, and was put to practical use in F/W season than S/S. The results are as follows.The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s shown in the Qipao style silhouette, detail, color, material, pattern and theresults obtained by each, were in all respects diversity. In silhouette, including traditional tight silhouettes, 'H'silhouettes, boxy silhouette was such a variety. The five colors traditionally preferred color from the color was moreof a tendency to be gorgeous. Modern reinterpretation of pattern designs by graphic pattern that has emerged. Also,shown in a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 Qipao style leather material in application utilizing the glossy feel ofa plastic material and has emerged feeling.

01(5)_논문 05.pdf1.61MB

Ⅰ. 서 론

 중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한 이후에 경제 회복을 위해서 사회주의 공업화 정치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1950년대는 중국의 전후 경제발전의 황금기로서, 중국 경제가 이전의 침체에서 벗어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한국전쟁, 과도한 경제 정책, 소련과의 갑작스러운 단절과 문화대혁명등의 사건으로 인해 비상시기를 겪었던 중국은 1970년대에 들어 피폐해진 경제 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해 ‘개혁·개방 및 경제 활성화’의 방향으로 급속한 정책 전환을 단행하였다. 1990년대 본격적인 중국의 개방화 정책, 1997년 홍콩의 중국 반환, 그리고 1999년 말 마카오의 반환에 의해 중국의 큰 변화가 시작되었다.1) 2002년 WTO 가입,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2010년 상하이 엑스포와 광저우 동계올림픽의 개최 등은 중국이 세계의 주목을 받게 하였고, 또 다시 중국 패션이 등장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1) 정지숙,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중국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중국 복식의 문화적 내용은 내적으로나 외적으로 모두 풍부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과거 18세기의 쉬느아즈리(Chinoiserie)이라는 개념에서 보듯이 중국 전통복식의 미적 요소가 세계적 복식 디자인 역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세기 이후 과학과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전 세계의 문화와 정보가 시·공간을 초월하여 각국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극적으로 수용과 응용이 가능하게 되면서 타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차이니스 스타일은 현대적 패션 트렌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2) 패션 트렌드에서 다양한 지역과 문화유산을 보여주는 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풍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동양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은 포팔적이고 광범위해져 실생활에 자연스럽게 흡수되었다.

2) 王賈慧, “중국 전통복식 문화가 동아시아 현대 패션 트랜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p. 1.

 21세기로 접어들면서 패션 시장은 이미 “Madein China”부터 “Created in China”로 변화하고자3) 노력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중국의 해’를 지정하여 거대한 시장인 중국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는 등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세계적인 디자이너들과 명품 브랜드들이 중국의 전통과 민속복식을 응용하는 스타일이 다시 유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중국의 전통 여성 복식인 치파오는 여러 나라 디자이너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많은 해외 디자이너들은 일찍부터 치파오를 선호하고 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국내에서도 중국의 대표적 여성 복식인 치파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陳彬, 國際服裝設計作品鑒賞, (上海: 東華出版社, 2008), 머리말.

 2000년 이후 중국의 패션시장이 글로벌화 되면서 국내에서도 치파오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다. 정지숙4)은 포괄적인 중국풍에 관한 연구에서 치파오에 대한 연구를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6년간의 자료를 수집하여 중국풍 패션과 치파오 특성에 관한 조사 분석하였으며, 왕애령5)은 중국 전통 미학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풍 응용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서양 컬렉션과 중국 컬렉션으로 분류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중국 패션디자인의 미적 특정을 중용의 조화미, 화려한 장식미, 자연적 미, 감춤의 미, 관능의 미, 절충의 미 등으로 분류, 분석하였다. 최연6)의 연구에서는 1920년대~1940년대 민국시기의 상해 지방 치파오의 실물, 사진, 역서 및 문헌을 통하여 조형 특징을 분석하고, 치파오의 미적 가치를 연구하여 치파오의 조형적 특성을 현대미, 전통미, 융합미와 선정미로 분류, 분석하였다. 왕가혜7)는 중국 전통복식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복식의 특징적 요소가 세계 패션 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과 다자이너 컬렉션 작품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중국의 전통 복식인치파오의 고찰을 통해 현대 컬렉션에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 대상이 2000년 이후 5년 미만의 분석대상이었으므로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간 해외 여성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응용 스타일을 조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4) 정지숙, op. cit.
5) 왕애령, “현대 중국풍 패션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 최연, “현대 치파오의 미학적 분석: 1920년대~1940년대의 상해지방 치파오를 중심으로” (흥익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7).
7) 王賈慧, op. cit.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치파오의 역사적 배경과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고, 패션대국으로 급성장하고있는 중국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 여성복인 치파오 스타일을 분석하고, 중국의류시장은 물론, 글로벌화하는 세계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패션계의 중국 복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중국 패션디자인을 위한 전문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치파오에 관한 문헌과 선행 연구를 조사하고,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다. 국내·외의 일반 문헌과 패션 잡지, 인터넷 등을 참고하여 치파오의 유래 및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전통치파오의 구성과 디자인 특성을 형태, 색상, 문양,소재에 따라 정리하였다. 또한 현대 패션에 표현된치파오 디자인의 분석을 위해 2000년 이후 세계 4대 패션 컬렉션인 밀라노, 파리, 런던, 뉴욕 컬렉션에나타난 치파오 디자인 사례를 수집해서 분석하였다.세계 4대 패션 컬렉션은 삼성디자인넷(www.samsungdesign.net)의 2000년 S/S부터 2009년 F/W까지 10년 간, 20시즌의 패션 컬렉션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체 컬렉션 중에 치파오 디자인을 응용하여 발표한 22개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418개의 치파오 스타일 사진을 수집, 분석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치파오의 정의 및 구성

 ‘치파오’라는 용어가 처음 문헌으로 기록된 것은 청나라 때이다. 그러나 그 시기에 기록된 치파오는 지금 우리가 논하고 있는 현대의 치파오와 많은 차이점이 있어서 일부 학자들은 현재의 치파오는 청나라 때의 치파오가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미국에서 현대화된 치파오를 지칭하는 차이니즈 드레스(Chinese Dress)의 유행과 함께 등장한 이름이다. 현재 우리가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치파오는 1920년 이후에 나타난 특징을 갖고 있는데, 상의 오른쪽의 금과 입령(standing collar), 그리고 하의 양쪽에 옆트임이 있는 실루엣이 그것이다.8)

8) 江南, 談雅麗, 符号中國ㆍ旗袍, (當代中國出版社, 2008) 머리말.

 ‘치파오’란 상하가 연결된 원피스 형태(one-piece dress)로서, 반드시 전형적 외관 특징을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갖고 있어야 하는 복식 양식이다. 또한 만다린 드레스(Mandarin Dress), 치포(Chi pao) 및 청삼(Cheongsam) 등 외국 연구 사례 및 영문 번역상 치파오에 대한 표현이 다양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치파오 ’Qi Pao’9)로 통일하여 사용하기로한다. 치파오 구성의 부분 명칭은〈그림 1〉과 같으며, 전통 만주족(滿洲族) 치파오를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9) 卞向陽, “論旗袍的起源,” Journal of Donghua University Vol. 20 No. 4 (2003).

<그림 1> 치파오의 구성 및 부분 명칭. 출처: www.sohu.com

2.치파오의 유래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 복식 포(袍)의 이름으로 잘알려진 이 치파오라는 명칭에는 몇 가지 유래가 있는데, 신빙성 있는 설 중의 하나는 만주족을 이른바 ‘기인’이라고 불렀던 것과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10) “치 Qi”는 청(淸)나라 시대 만주 몽골 행정 구역의 하나로 중국 내지의 현(縣)에 해당하는 개념인데, 누루하치가 후금(後金)을 건립하여 팔기(八旗)11) 제도를 실시하고, 모든 만주족을 치에 거주하게 하면서부터 만족을 소위 ‘치런(旗人)’이라 부르게 된 이후로, 이들이 착용한 장포(長袍)라 하여 치파오라 부르게 된 것이다. 그 후 북경으로 천도한 청조(淸朝)는 만족의 생활방식과 전통습관을 유지시킬 목적으로 우선 청조(淸朝)의 의관제도 정립에 착수하였다. 즉, 한족의 전통적 복식인 포의박대 관포대수 등의 복제를 금하고, 만족의 대표적인 복제인 치파오를 중국의 모든 민족에게 착용토록 한 후, 치파오는 오늘날 중국 민족복을 대표하는 전통복식의 명칭이 되었다.12)

10)
홍나영, 아시아 전통복식, (서울: 교문사, 2004) p. 43.
11) 팔기(八旗)는 팔기병을 말하는데, 청의 태조가 청조의 창업에 공로가 있던 자의 자손을 중심으로 조직한 병제이다.
12) 조우현, 박춘순,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2002), pp. 20-21.

 일반적으로 치파오는 만주족 사람들이 입던 장포(長袍)(그림 2)에서 유래됐다고 판단되며, 이는 만주족의 전통복식과 관계가 밀접하다. 만족은 북방에서 생활하는 소수민족으로 어업과 수렵 등을 하며 산천으로 떠돌아다니며 유목생활을 한다. 그들은 사면으로 벌어진 포를 입고 허리에 허리띠를 매었는데, 벗기도 편리하고 따뜻하기도 해서 그들의 생활방식에 매우 적합한 옷이었다. 기인 여성들 또한 포를 입었는데, 포는 그녀들에게 있어서 제일 중요하면서도 보편적인 복식이었기에 기녀들의 포라고도 불렀다. 기녀들은 포안에 습관적으로 바지를 입곤 했으며, 예복 포에는 마제수(馬蹄袖)와 복잡한 장식, 그리고 액세서리를 달았다. 기녀들은 치마를 입지 않았다. 여성들은 보통 아주 성대한 장소에서만 조정복식, 길복(吉服), 행복(行服) 등의 예복포를 입었는데, 평소에는 셔츠에 외투와 같은 편복으로 된 포를 입었다. 남방은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평평하였으며, 옷깃을 풀지 않았다. 단추는 다섯개가 달렸으며, 옷은 발을 덮을 정도까지 길었다. 소매는 덧소매가 있는 것과 덧소매가 없는 것으로 나누고, 옷감은 털실이나 금, 은사로 수놓은 것들이 많았다. 온몸에는 테두리 장식을 했는데, 이것은 늘안에 입었다. 여름철 남방은 홑겹으로 입을 수 있었고, 가을과 겨울에는 가족과 솜을 덧대었다.13)

13) 조우현, 박춘순, op. cit., pp. 22-23.

<그림 2> 청조(淸朝) 만주족(滿洲族) 여성 복식. 출처: www.sohu.com

3.치파오의 시대별 변천

 치파오는 그 명칭이 만들어지기 전부터 만주족이 착용하였던 것으로, 역사적으로 매우 오래된 복식 형태이다. 청대(淸代) 이전 만족의 남녀노소가 모두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장포를 입었다. 만주족의 장포는 단(單)이나 홑겹이나 면(棉) 혹은 가죽등으로 계절에 따라 재질이 달라지고, 청색의 포복(袍服)을 착용하였다. 그 양식은 단령(團領)에 우대금(右大襟) 구반(??)에 착수(窄袖)이고, 좌우 도련에 트임이 있었다. 수구(袖口)에 반원형의 수두(袖頭)를 덧붙여 겨울에는 손등을 보호하기도 하고 활동에 편리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을 예로부터 ‘전수(箭袖)’ 혹은 ‘마제수(馬蹄袖)’라고도 하였다. 그리고 기사(騎射)에 편리하도록 도련에 트임이 있는 포복에 포대(布帶)를 매었다. 이는 유목 기마민족의 특징이었던 마제수와 사면개차로 대변될 수 있다.

 청(淸)나라 수립 후에는 만족이 북경으로 천도하여 중원에 진입하면서 한(漢)문화의 영향을 받게되었다. 생산 활동도 이제는 수렵경제에서 농업경제로 전환되어 승마의 필요성이 없어지게 되었으며, 복식도 한화(漢化)하여 치파오의 재료나 양식등에 변화가 있었다. 우선 트임 부분이 사면 개치에서 좌우 개차로 개변되었고, 마제수가 사라지고넓은 천을 덧대어 위로 접어 올리는 장식용의 서양복 커프스 모양이 되었다.14) 나아가 서양과의 접촉으로 인해 원령이 세운 깃인 입령으로 바뀌었으며, 허리에 매던 요대도 사라졌다(그림 2). 그러나 황제나 황후의 치파오, 귀족의 치파오는 별도로 마제수등의 형식이 예의상의 이유로 남아있었다. 청대 후기에는 서양과 접촉이 점점 많아짐에 따라 만주족여인들이 입었던 장포는 품이 넓어지고,  선이 곧고강해졌으며, 길이가 복사뼈까지 내려왔다.

14) 包銘新, 中國旗袍, (上海: 文化出版社, 1998), p. 29.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의 성공으로 중국의 마지막 봉건왕조인 청조(淸朝)가 붕괴되었다. 이는 중국 복식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이전까지 이종민족 간의 모순 및 전통의 수호 그리고 계급사회 내에서 존재해 오던 복식 등급이라는 전제 하에 억압되어 왔던 복식문화에 있어 이는 일대해방을 의미하는 것이었다.15) 중화민국(中華民國) 정부가 수립되면서 복식의 제약이 풀리고, 누구나 자유롭게 원하는 대로 의상을 만들어 입을 수 있게되었고 복식의 유행이 생겨났다. 이러한 복식의 대중화·보편화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의상에 있어 서구의 복식양식이 유행하며 전통문화 깊숙이 파고들기 시작하였다.

15) 江南, 談雅麗, op. cit., p. 17.

 1920년대 중기부터 새로운 치파오가 탄생했다. 당시 상해는 유행 패션의 중심으로서 전국 각지보다 훨씬 앞서서 중국 패션의 변화를 좌지우지했다. 상해에서 처음으로 유행되었던 치파오는 소매가 없는 긴 조끼 형식으로 된 것이었다. 여성들은 긴 조끼 안에 “도대수(倒大袖)” 같은 상의를 같이 입었다. 이것은 바로 당시에 유명했던 “마갑치파오(馬甲旗袍)”라고 불렀다. 조끼는 본래 청(淸)나라 때 상해 부녀들이 입단 옷으로서, 그 길이가 짧은 것은 허리까지 오고, 긴 것은 무릎까지 왔다(그림 3). 1920년대 말 치파오는 서양의 짧은 치마의 영향으로 허리부분이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밑단은 무릎 위까지 올라왔으며, 여전히 나팔형의 소매 형식을 취했지만 소매부리는 작아지고 소매 끝에 단 장식은 아주 간단해지거나 완전히 없어졌으며, 색조도 단아하고 매우 간결해져 편리해 보였다.16)

16) 최연, op. cit., p. 15.

<그림 3> 1920년대 마갑(馬夾) 치파오. 출처: 江南, 談雅麗, 符号中国ㆍ旗袍

 1920년대가 치파오의 유행이 시작된 시기이라면, 1930년대는 활발히 유행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치파오는 여성 복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고, 중국 여성 복식의 전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 시기 치파오의 조형은 매우 섬세하고 성숙한 경전으로 여겨질 정도였으며, 후대의 치파오들이 더 이상 초월할 수 없을 정도로 완성도가 있었다. 그러므로 그 이후로 길이와 품, 장식에 있어 약간의 변화만 있었다.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치파오는 차이니즈 드레스(Chinese Dress)라고 불리고 있는데, 이것은 실제로 1930년대의 치파오를 가리키는 것이다. 치파오 문화는 1930년대에 완성되었으며, 이 시기를 치파오의 황금시대라고 할 수 있다.17)

17) 包銘新, op. cit., p. 55.

 그러나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패션 유행을 선도하는 그룹은 평민이었으며, 그들은 소박하고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게 되었다. 의상에 있어서 사람들의 미적 추구는 거의 대부분 혁명사업에 대한 열기로 변화되었다. 치파오가 대표하는 유유자적한 숙녀 형상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속에서 존재할 공간을 상실함으로써 치파오는 쇠퇴기를 맞이하였다. 이 시기의 의상은 단순함과 소박함을 중시하였는데, 남성복은 중산복(中山服), 학생복, 춘추삼(春秋衫), 작업복 스타일의 자켓, 군용코트, 파커 위주였고, 여성복은 원피스 스타일과 레닌복(列寧服)이 유행하였다. 많은 여성들은 앞에서 말한 남성복을 착용하기도 하였다. 색상은 녹색, 남색, 검정색, 회색 등 단조로운 색상이 대부분이었다.18)

18) www.chcan.com(중국 복장 연맹 라인), 2009년 4월 26일 검색.

 1966년부터 1976년까지 계속된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기간에 중국의 전통문화는 말살되었고, 치파오도 수난을 겪었다. 구문화적 색채가 짙은 치파오는 ‘봉건주의의 잔재’, ‘부르주아적 정서’라는 이유로 공격의 대상이 되었으며, 치파오를 입은 여성들이 거리에서 비판을 받았다.19) 중화인민국공화국수립 이후 30여 년의 오랜 세월 동안 냉대를 받았던 치파오는 1980년대 개혁 개방의 조류 속에서도 여전히 과거의 명성을 되찾지는 못하였다. 1980~1990년대는 치파오가 유니폼으로 착용, 출현하면서 광고와 판매 등을 목적으로 홍보 도우미나 연회장이나 호텔 식당 등에 근무하는 여성들이 치파오를 착용하였으나, 색상이 화려하고 트임의 높이가 매우 높고, 제작 기법이 조잡하였다.

19) Ibid., 2009년 3월 19일 검색.

 그러나 1990년대에는 치파오의 위치가 다시 상승하여 정식예복으로 각광을 받게 되었으며, 중국디자이너들과 해외 유명 디자이너들에 의해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이 시대의 치파오는 사람들이 일상적인 착용하는 옷이 아니지만, 중국 국내 연예인들이 활동했을 때 치파오 스타일을 많이 선호하였으며 착용하였다.20)

20) 왕탁졸, “1949년 이후 중국 여성복 변화와 디자인 특성-20대 상하이(上海)여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p. 6.

<그림 4> 중국 연예인들의 치파오 스타일. 출처: www.sohu.com

4.치파오의 디자인 특성

 치파오의 실루엣 형태를 살펴보면 전통 만주족(滿洲族) 장포(長袍)는 주로 에이치 실루엣(H-silhouette)이었다. 청(淸)나라 말기 서양 복식 문화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치파오의 서양화에 따라 실루엣도 다양하게 되었다. 1930년대부터 치파오는 몸에 딱 맞게 만들어져 여성들이 날씬하고 섹시하게 보이게끔 하는 타이트 실루엣(tight silhouette)으로 변하였다.

 치파오의 구체적 구성 형태는〈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깃 형태, 여밈/금(襟) 형태, 소매 형태, 매듭단추 등이 있다. 전통 만주족(滿洲族) 여성의 장포(長袍)는 일반적으로 무두 발을 덮을 정도의 긴길이의 포를 입었는데, 이는 청대(淸代) 부녀들이 착용하던 상복으로 초기에는 좀 여유있는 형태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품이 좁고 허리가 꼭 끼고 길이가 긴 치파오가 된다. 그 위에 길이가 짧은 배심을 입으며, 소매의 크기에 따라 대수(大袖), 착수(窄袖)로, 소매 길이에 따라 장수(長袖), 반수(半袖), 무수(無袖)로, 깃 모양에 따라 입령(立領), 무령(無領), 고령(高領)으로 나누어지며, 치파오의 앞단을 여미는 역할을 하는 개금(開襟)은 직금(直襟), 대금(對襟), 비파금(琵琶襟), 쌍금(雙襟) 등으로 나누어진다. 귀족 여성들의 옷은 곤변(滾邊)을 화려하게 부착하여 단처리하고 여러 겹으로 하여 남자의 옷과 구분하였다.21)

21) 周汛, 高春明, 中國歷代服飾, (學林出版社, 1983), p. 263.

 청(淸)나라의 복식은 만주족(滿洲族)과 한(漢)족의 영향으로 혼합된 형태를 이룬다. 복색을 살펴보면 조복(朝服)의 색채는 음양오행설에 의해 중심인 황제만이 금황(金黃)색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친왕(親王)과 군왕(郡王) 이하는 모두 남색 또는 석청색을 사용하였다. 색의 등급은 금황색(金黃色), 자색(紫色), 남색(藍色), 석청색(石靑色)의 순으로 적색(赤色)은 제외되었지만, 건륭 황제(乾隆皇帝)의 상복포가 강색(絳色)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여전히 숭상 받는 색임을 알 수 있다.22)

22) 中華五千年文物集刊, 중국복식 5000, 손경자 역 (서울: 경춘사, 1995), p. 395.

 치파오의 전통 문양은 제작과정에 있어서 기술적 필연성으로 생겨나거나 혹은 정신적인 의미에서 첨가된 것이 있다. 이것이 관습성을 지니게 되면서 길상문(吉祥紋)이 상징이 되었다. 특히 중국 문양에 있어서 그 문양의 성격이 시대적 사상을 반영하며, 길상(吉祥)적인 문양들이 많은 대표적인 나라라고 할 수 있다.23) 중국 복식의 문양은 시대별로 그 종류가 매우 많다. 본 연구에서는 치파오의 문양을 살펴보기 위해 주로 청(淸)나라 시기에 복식의 문양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크게 동물문, 식물문, 기하문, 그리고 기타로 분류하였다. 중국의 동물문양이라고 하면 우선 용(龍)·봉(鳳)·귀(龜)·린(麟)의 사령(四靈)을 들게 된다. 그 중에서 龍은 사령(四靈) 중 제일로 간주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든 동물 중에서도 제일로 간주되었다. 또한 호랑이는 무인의 용맹을 상징하고, 물고기도 동물문의 대표적인 것이다.24)

23) 장문호, 복식미학, (서울: 세운문화사, 1977), p. 147.
24) 野崎誠近, 중국길상도안: 상서로운 도안과 문양의 상징적 의미, 변영섭, 안영길 역 (서울: 藝耕, 1992), p. 15.

 전통 식물문은 매화를 비롯하여 대나무, 국화, 연화, 모란 등이었다. 이런 식물문이 소재를 다룬 의장 문양은 회화의 화제에서 그 소재를 옮겨온 것이다. 이러한 그림은 군자의 기상과 비유하여 사군자(四君子)라든가 세한삼우(歲寒三友)라 일컬어졌다. 이러한 화훼(花卉)는 중국 송(宋)나라 때부터 유행이 시작하였다. 매화 그림은 11세기 말 중국의 선승증인 묵매화(墨梅畵)가 그 창시라고 한다.25) 춘한(春寒) 속에 홀로 핀 야매(野梅)의 고고한 자태를 군자(君子)의 고사(高士)의 지조와 절개로 비유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예부터 죽(竹)과 축(祝)이 동음동성(同音同聲)인 것에 착안하여 축수(祝壽)의 의미로서 취죽도(翠竹圖)를 많이 그렸다. 대나무는 군자(君子)에 비유되었으며, 소나무와 매화와 함께 세한 삼우 또는 사군자라 일컬어진다. 또한 대나무는 수명이 길고 사시사철 늘 푸르러서 장수(長壽)를 상징한다.

25) 서향숙,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중국문양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p. 35.

 기하학적 문양이란 평면 기하학에서 얻을 수 있는 도형으로 장식을 목적으로 하나의 질서 속에서 전개시키는 조형 단위를 의미한다. 이는 동물문 또는 식물문과 상반되는 개념으로 동식물 문양이 생물의 자연의 상태를 묘사한 데 비해 기하학은 자연의 현상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26)

26) 임영주, 전통문양자료집, (서울: 미진사, 1998), p. 30.

 전통 치파오 복식에 사용되었던 직물은 종류가 한정적이었으며, 염색 또한 평민들에게는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상류층에서는 다양한 직물과 염색이 사용되어서 화려하고 장식적인 스타일의 옷이 만들어졌다. 우선 전통복식에 사용된 직물은 주로 마와 면, 견 소재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청(淸)나라를 세운 만주족(滿洲族)은 수렵민족이라서 사냥한 짐승의 가죽으로 의복을 만드는 전통으로 청대의 의복에는 가죽이 많이 사용되기도 하였다.27) 20세기초 중국 복식은 서구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치파오의 형태뿐만 아니라 옷감도 많이 변화하였다. 서구에서 수입되는 옷감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서 도시의 신여성들이 선택할 수 있는 의복 재료도 갈수록 다양해졌다.

27) Valery M. Garrett, Traditional Chinese Clothing, (HongKong: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p. 3.

 매듭단추는 전통 치파오의 중요한 구성 형태로 반뉴(盤紐: an oriental macrame button)라고 한다. 주로 옷감으로 만드는데 견사와 동선 등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작하는 단추이다. 단추같이 옷을 여미는 기능적인 면보다 장식적 착용이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 매듭단추는 중국 명대(明代)에서 시작된 것으로, 실용적이나 미관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이전에 띠를 매는 방법으로 옷을 고정시켜주던 구식 수단을 바꾸었는데, 이는 점차 깃을 연결하는 주요한 수단이 되었다. 매듭단추는 모양을 막론하고 제작 방법도 중국 전통 복식의 특별한 표지 중에 하나이다.28) 매듭단추는 치파오의 영구(領口), 여밈, 트임 등의 부분에 사용한다. 제작자의 손안에서 맺기, 뚫기, 툴툴 말기, 두르기, 짜기, 꺼내기 등 다양한 기예를 통해서 규범적인 방법을 통하여 아름다운 매듭단추가 나타난다.

28) 江南, 談雅麗, op. cit., pp. 105-106.

Ⅲ.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디자인 특성

 밀라노(Milan), 파리(Paris), 런던(London), 뉴욕(New York)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을 수집한 결과, 응용 브랜드/디자이너 22개 브랜드 총 418건이 자료로 수집되었다. 연도별로 분포도는〈그림 5〉와 같다. 2003년과 2008년도에 응용되었는데, 2003년 중국의 WTO 가입과 2008년 베이징올림픽의 개최가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라고 생각된다. 시즌별로는 S/S 시즌에 193개, F/W 시즌에 225개로 봄/여름보다 가을/겨울 시즌에 더 많이 응용되었다. 이는 치파오의 구성 특성 중 하나인 입령 칼라 형태의 특성상 겨울 의복인 코트, 재킷 등에 응용하기가 적당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5> 연도별 치파오 디자인의 출현 빈도.

1.실루엣

 수집된 사진 자료를 통하여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실루엣 특성을 살펴보았다. 슬림하거나 타이트한 실루엣(tight silhouette)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전통 만주족(滿洲族) 복식의 에이치 실루엣(H-silhouette)과 박시 실루엣(boxy silhouette)도 볼 수 있었다. 전통 만주족(滿州族) 장포(長袍)의 평면재단이 서양의 입체재단과 자연스럽게 결합된 디자인도 볼 수 있었으며, 아이템을 살펴보면 원피스 형태뿐만 아니라 투피스(two piece)나 쓰리피스(three pieces) 형태도 나타났다(표 1).

<표 1>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실루엣 특성

2.디테일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디테일을 중국 전통 치파오의 깃, 여밈, 소매, 트임 형태에 따라 살펴보았다. 깃, 즉 칼라의 형태는 치파오의 대표적인 상해령(上海領)이나 전통 치파오 칼라 형태에서 변형시켜 나온 수저령(水滴領)과 ‘V’자령(‘V’字領) 디자인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수저령(水滴領)은 여성스렵고 특별한 느낌을 가지고 있어서 치파오 슬림한 실루엣과 잘 어울리기 때문에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되며, ‘V’자령(‘V’字領)은 다양한 전통 치파오 칼라 형태 중에서 현대적인 느낌이 제일 강해서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서 많이 응용되었다(표 2).

<표 2>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깃 형태 특성

 현대 치파오 디자인의 여밈/금(襟) 형태를 살펴보면 전통 치파오의 좌금(左襟)를 기초가 변형된 새로운 여밈 형태가 많이 나타났고, 근·현대 치파오의 대표적인 직금(直襟), 쌍금(雙襟) 형태 등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전통 치파오의 여밈/금(襟) 형태대로 선이나 옷감 문양 등을 변형한 현대적 여밈형태가 많이 나타났는데, 이것이 바로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 나타난 여밈/금(襟) 형태 특성 중에 가장중요한 것이다(표 3).

<표 3>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여밈/금(襟) 형태 특성

 소매의 형태는 근·현대 치파오 소매 형태의 장수(長袖), 중수(中袖), 반수(半袖) 형태뿐만 아니라 현대적 소매 형태가 나타나며, 전통 치파오의 소매 형태 중 대표적인 마제수(馬蹄袖)와 도대수(倒大袖) 형태도 응용되었다. 전통 만주족(滿洲族) 복식의 마제수(馬蹄袖) 형태와 근·현대 치파오의 도대수(倒大袖)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마제수(馬蹄袖)와 도대수(倒大袖)는 전통 치파오 소매 형태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치파오 형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길이와 형태에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응용되고 있었다(표 4).

<표 4>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소매 형태 특성

 또한 시즌과 디자이너들이 자신의 창작의도에 따라 현대 치파오 길이의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밑단과 트임 형태도 트임이 없는 디자인, 양쪽에 옆트임 있는 경우, 그리고 현대적인 느낌의 뒤트임도 볼 수 있었다.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트임은 전통 치파오의 트임 형태와 같이 편한 걸음걸이를 위한 것이 아니고 장식적인 요소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색상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색채는 중국 전통 복식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오방색(五方色)을 사용하였는데, 구체적 컬렉션 사례는〈표 5〉와 같다. 중국 만주족(滿州族) 사람들이 파란색을 선호하기 때문에 청조(淸朝) 치파오에서 파란색 복식을 쉽게 볼 수 있는데, 따라서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색채를 살펴보면 파랑 계열의 색상도 많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빨간색은 중국의 대표적인 색상이라서 차이니즈 레드를 비롯한 빨강 계열도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서 많이 보여졌다. 이 밖에 회색, 남색, 보라색, 연두색 등 현대적 색상도 많이 나타났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 나타난 색채 특징 중 중요한 것 하나는 패션디자이너들이 단순하게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색채의 감정, 이미지도 고려한다는 것이다.

<표 5>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색채 특성

4.소재 및 문양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 나타난 소재는 실크 느낌의 새틴 광택 소재류가 가장 많았고, 모직물, 레이스, 쉬폰, 가죽, 모피와의 혼용디자인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전반적으로 보면 광택이 있는 실크 느낌의 소재를 많이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F/W 시즌에 나타난 치파오 디자인은 털 소재를 응용한 경우도 쉽게 볼 수 있었다. 또한 이질적인 느낌의 소재들이 한 디자인에 동시에 나타난 경우가 많았는데, 이들 통해 특별한 혼합미도 볼 수 있었다. 신소재 느낌의 소재도 치파오 디자인에 사용된 사례도 나타났다(표 6).

<표 6>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소재 특성

 치파오 디자인의 문양을 살펴보면 중국 전통 대표적인 동·식물 문양뿐만 아니라 중국 이미지가 느껴지는 그림이나 경극 얼굴 분장도 사용하였다. 중국 전통 문양을 쓰더라도 단순하게 그냥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현대적으로 변형시켰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 나타난 동물 문양 중에는 용문(龍紋)과 봉황문(鳳凰紋)이 많았으며, 식물 문양 중에는 화문(花紋)과 대나무 많이 사용되었으며, 자수나 비즈의 장식을 혼용하여 화려하게 표현되기도 하였다. 현대적 기하문과 한자(漢字) 문양 등 중국풍 문양도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 많이 사용되며, 현대적인 기법으로 만들어진 동양 이미지의 문양도 응용된 사례가 많았다(표 7).

<표 7>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문양 특성

Ⅳ. 요약 및 결론

 중국은 1980년대 이후 중국의 개방화 정책, 1997년 홍콩의 중국 반환, 2003년 WTO 가입,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대회의 개최, 2010년 상해 엑스포 등으로 그 비중이 세계 속에서 높아졌고, 중국 전통 복식 문화가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향으로 중국 전통 패션을 모티프로 한 컬렉션에 많이 표현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중국의 치파오는 다양한 전통 모티브와 여성스러운 실루엣 등으로 여러 나라 패션디자이너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컬렉션 사례 분석을 통해 치파오 디자인을 연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 대표적 전통 복식인 ‘치파오(Qipao)’는 중국 마지막 봉건주의 왕조의 통지자인 만주족(滿洲族)이 착용했던 장포(長袍)에서 유래된 것이다. 시간의 흐름과 사회의 발전에 따라 현대의 치파오 형태가 형성되었다. 중국 오래된 역사로부터 전해 내려온 치파오가 전통 문화와 다미족 복식 특징을 융합하였으며, 중국 전통 복식디자인 역사에서 인체미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디자인 특성별 실루엣, 디테일, 색채, 소재, 문양을 정리하여 얻은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변화’라 할 수 있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의 실루엣은 타이트 실루엣(tight silhouette), 에이치 실루엣(H-silhouette)과 박시 실루엣(boxy silhouette)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칼라 형태는 전통 치파오 깃 형태의 입령(立領), 원보령(元寶領)과 근·현대 치파오 깃 형태 중의 수저령(水滴領)과 ‘V’자령(‘V’字領)을 변형시킨 새로운 현대적인 칼라 형태가 많이 나타난 것을 볼 수있다. 전통 치파오의 대표적인 좌금(左襟), 직금(直襟), 쌍금(雙襟) 형태도 현대 치파오 디자인에 나타났고, 전통 치파오의 소매 형태인 마제수(馬蹄袖)와 도대수(倒大袖) 형태가 현대 치파오 디자인의 소매형태에서도 볼 수 있다. 현대 치파오 디자인의 색채는 전통적인 선호하는 오방색(五方色) 색상에서 좀더 화려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문양은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그래픽화 되어진 문양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치파오 스타일의 소재 응용은 광택 느낌을 살린 가죽 소재라든지 비닐 느낌의 소재 등이 등장하였다.

 21세기에 들어와서 패션계뿐만 아니라 중국 정치, 경제나 문화 등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따라서 중국풍이 등장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으며, 2010년 개최된 상해국제 박람회 및 광저우 동계올림픽에서 치파오 스타일의 유니폼은 크게 각광을 받았다. 이와 같이 중국의 패션은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문화와 사상을 패션디자인과 연결 지울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

1.江南, 談雅麗(2008). 符号中國ㆍ旗袍. 當代中國出版社.
2.卞向陽(2003). "論旗袍的起源." Journal of Donghua University. Vol. 20, No. 4.
3.서향숙 (2001).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중국문양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4.野崎誠近(1992). 중국길상도안: 상서로운 도안과 문양의 상징적 의미, 변영섭, 안영길 역. 서울: 藝耕.
5.王賈慧(2007). "중국 전통복식 문화가 동아시아 현대 패션 트랜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왕애령 (2007). "현대 중국풍 패션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왕탁졸 (2008). "1949년 이후 중국 여성복 변화와 디자인 특성-20대 상하이(上海)여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임영주 (1998). 전통문양자료집. 서울: 미진사.
9.장문호 (1977). 복식미학. 서울: 세운문화사.
10.정지숙 (2005).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중국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조우현, 박춘순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12.周汛, 高春明(1983). 中國歷代服飾. 學林出版社.
13.中華五千年文物集刊(1995). 中國服飾5000年. 손경자 역. 서울: 경춘사.
14.陳彬(2008). 國際服裝設計作品鑒賞. 上海: 東華出版社.
15.최연 (2007). "현대 치파오의 미학적 분석: 1920년대~1940년대의 상해지방 치파오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包銘新(1998). 中國旗袍. 上海: 文化出版社.
17.홍나영 (2004). 아시아 전통 복식. 서울: 교문사.
18.“세계 패션업체, 중국으로” (2003년 6월 12일). 매일경제.
19.Garrett, Valery M. (1987). Traditional Chinese Clothing. HongKong: Oxford University Press.
20.http://www.chcan.com(중국복장연맹라인)
21.http://www.samsungdesign.net
22.http://www.sohu.com(소후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