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7 No.3 pp.239-250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9.27.3.239

Recognizing hanbok in youth through text mining

Joonyoung Shim†
Assistant Professor,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eonju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sjy73716@jj.ac.kr)
June 5, 2019 June 24, 2019 June 25, 2019

Abstract


Recently, young people wearing hanbok are highly visible in the palace and in Hanok Village. However, there is much controversy regarding whether the hanbok the young people are wearing is traditional. Young people in Korea are exposed to hanbok through a variety of ways such as school education, games, webtoons, television shows, and movies. In this study, we presented teenagers with illustrations of hanbok to see which they preferred and which if any they recognized as traditional. The study respondents most preferred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but they considered the hanbok from the 20th century to be the traditional style. We next used text mining to analyze the students’ freely written, open-ended responses regarding the hanbok they preferred and the one they considered traditional. The hanbok from the 18th century, the one the teenagers preferred, was a sexy, cool style related to gisaeng that emphasized the waist, whereas the hanbok they believed was traditional, the 20th-century hanbok, was simple, neat, comfortable, and plain. Among the young people’s responses regarding which hanbok was traditional, the text mining extracted the following repeated words related to both the 18th- and 20th-century hanbok: “dramas,” “mass media,” “historical dramas,” and “movies.” For the 18th-century hanbok only, we extracted “webtoons” and “Hanok Village,” and for only the 20th-century hanbok, we extracted “textbooks.”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의 한복 인식

심 준 영†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조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최근 고궁이나 한옥마을 등지에서 사람들이 한복을 입고 거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처럼 관광지에서 한복을 입는 유행 현상은 2013년 10월 문화재청이 전 통계승을 이유로 경복궁을 포함한 4대 궁과 조선왕릉, 종묘에 대해 한복 무료관람 을 시행한 이후 본격화(Kim, 2017)되었다. 젊은이들이 한복을 입고 사진을 찍어 SNS에서 인증하는 문화가 퍼진 것도 이 무렵이다. 그동안 한복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지만(Kim, Kim, & Cho, 2005), 일반인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런데 2000년대 이후 한류 열풍 과 함께 젊은이들의 한복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고 궁 한복 무료관람 사업 등 일반인들이 한복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는 방향으로 정부 주도 사업이 전개 되면서 관광지에서 체험용 대여 한복을 착용하는 젊 은이들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젊은이들의 한복입기에 대해 우려하는 시 선도 있다. 서울시 종로구청에서는 젊은이들이 즐기 는 한복이 크게 훼손되었다는 지적과 함께 2018년 10 월에는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등의 고궁 무료입장 금지를 문화재청에 건의한 바 있다(Yoon, 2018). 기존 에 문화재청의 한복 무료관람 대상에는 전통한복, 개 량한복 그리고 생활한복이 포함되다가, 2017년 1월 1 일부터 개량한복을 제외하고 전통한복과 생활한복으 로 제한되었다(Gyeongbokgung Palace Management Office, 2017). 문화재청의 한복 무료관람 대상에 대한 논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무료관람 대상으로 인정 하는 전통한복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학술적으로 볼 때, 전통한복은 우리 민족의 의식구 조와 기후풍토에 가장 알맞게 정착된 고유의상으로써 한국이라는 특정 지역 안에서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 르기까지 착용해 온 한국의 전통복식을 의미(Oh, 1998)한다. 그리고 생활한복은 전통한복의 기본적인 요소에 현대 생활양식에 맞게 실용성과 현대적인 감 각을 더한 한복(Lee, Lee, & Lee, 2004)이다. 이처럼 학계에서는 전통한복을 특정 시대의 복식 형태로 규 정하지 않고,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전 통복식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비해, 다양한 사람들 이 손쉽게 편집할 수 있는 인터넷 사전인 나무위키 (https://namu.wiki)에서는 ‘한복은 한민족의 전통의상 으로 시대가 흐름으로써 형태가 점차 변했는데 현대 에는 주로 조선 후기 양식과 그 개량형이 전형적인 한 복의 이미지다’(“Hanbok”, n.d.)라고 정리하고 있어, 학계의 정의와 차이가 있다. 젊은이들의 한복입기에 대한 우려 그리고 퓨전 한복의 고궁 무료입장 금지 등 으로 나타나는 한복 관련 논란은 학계에서 바라보는 전통한복의 개념과 일반인들의 전통한복 인식이 다르 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전통한복에 대한 또 다른 논란으로 청소년들이 즐 기는 게임 업체에서 발매된 카드에 사용된 <Fig. 1>의 한복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논란을 들 수 있다. 사건 내용을 살펴보면, 2012년부터 한국에서 서비스가 시 작된 모바일 게임인 확산성 밀리언 아서의 한국판에 서 2013년에 특별 발매된 ‘특이형 어우동’ 카드의 일 러스트레이션에 대한 비판이었는데, 기생인 어우동을 캐릭터화한 점 그리고 지나치게 선정적이고 한복의 디자인을 많이 왜곡했다는 점이 논란의 대상이었다. 당시 일러스트에 표현된 어우동의 한복이 조선시대 한복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복 왜곡 에 대한 공격이 많았고, 작가가 개인 SNS 계정을 폐쇄 하고 게임을 위한 한복을 디자인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논란이 마무리된 바 있다(“Controversy over Hanmilah EuDong illustration”, n.d.).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일러스트에 표현된 한복에 대한 논의는 제대로 이루 어지지 않았다. 이후에도 웹툰이나 만화(Yoon, 2012) 그리고 게임(Kim, 2013) 등에서 여러 가지 스타일의 한복이 디자인에 사용되면서, 청소년들은 다양한 경로 를 통해 한복을 접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학교 교육 과정 중 가정 교과에서 한복에 대해 학습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청소년들이 한복을 접 하고 있고, 전통한복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이 논란 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청소년들이 어떤 한복을 선호 하고, 어떤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인식하는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와 고 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어떤 한복 유형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어떤 한복 유형을 전 통한복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선택의 이 유를 자유 기술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여 청소년들의 한복 인식에 관련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한복 인식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로써 전통한복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적인 자 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Ⅱ. Background

    1. Pre-studies on the recognition of hanbok

    일반인이 한복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 한 연구의 출발은 Hwang(1977)이 우리나라 옷에 대 한 현대인의 의식과 착용실태에 대해 알아본 연구에 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Hwang(1977)의 연구에 따르 면, 현대인들은 ‘우리 고유의 옷이니까 입는다’, ‘품위 있고 아름다워서 입는다’, ‘익숙해져서 습관적으로 입 는다’, ‘행사에 필요해서 입는다’ 등을 한복 착용 이유 로 언급하였고, 착용상의 불만족 요인으로는 활동성 의 결여, 갖추어 입기와 옷 손질의 번거로움, 치마 말 기로 인한 가슴의 압박감, 호흡 장애 등을 들었다. 이 를 통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복을 품위 있고 아름다 우며, 행사에 필요한 우리 고유의 옷이지만, 갖추어 입기 어렵고 손질이 번거로우며 가슴에 압박감을 느 끼게 하고, 활동성이 결여된 불편한 옷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한복에 대한 인식은 Choi and Jo(1989) 그리고 Kweon, Choi, and Lee(1998)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는데, 전통한복의 경우 예복용으로 우아하고 품위가 있고 아름다우며, 한국을 대표하는 상징성이 있는 의복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리고 활동 시 불편 하고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이 착용 상의 불 만족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복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를 바탕으로 한복의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 한 연구(Kim, 2010; Kwon & Park, 2006)와 전통한복 의 선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배색에 차이를 두어 착용 자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 (Kang & Choi, 2005; Kang & Lim, 2005) 등이 시도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 진행된 Cho and Kim(2010)의 연구에서도 한복은 여 전히 의례용 복식으로 활동에 불편하다는 인식이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은 한복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1989년 이후 20년간 변함이 없다고 밝 히며, 이는 우리나라 한복산업의 발전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복을 일상 생활복으로 개선하기보다는 우 아하고 아름다운 한민족 고유의 정신문화를 나타내는 고급화되고 차별화된 전통문화의 한 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전통문화의 보급이 우선시되고 그 안에서 한복의 중요성이 강조된 방식으로의 활성화가 필요하 다고 제언하였다.

    한복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살펴보는 연구는 2010년 이후 찾아보기 어렵고, 한복과 한옥, 한식을 포함한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가치 인식을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Rhee and Hwang(2017)에 따 르면, 소비자의 전통문화 가치 인식의 개념 구조는 미 적가치, 정신적 가치, 사회적 가치, 역사적 가치, 상징 적 가치, 문화콘텐츠 가치, 웰빙/로하스 가치 등의 7가 지로 나누어졌고, 이를 근거로 소비자의 전통문화가 치 인식의 하위차원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결과, 전통 문화 가치인식은 정서적/미적 가치, 사회적 가치, 역 사적 가치, 상징적 가치, 도구적 가치 등 5가지의 요인 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전통문화 가치 인식에 따라 소 비자 집단을 구분하여 한복을 포함한 전통문화상품의 선호도와 구매경험, 만족도, 장기적 관계지향 등을 살 펴본 연구(Hwang & Rhee, 2019) 등이 있다.

    한복에 대한 인식 연구를 정리해 보면, 2010년까지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에서 한복은 일상생활에서 분 리된 의례용 의복으로 품위 있고 아름답지만, 활동 시 불편하고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다고 인식되고 있었 다. 그리고 최근 연구에서는 한복을 전통문화 속에 포 함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 인식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고 전통문화 자체를 활성 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 Hanbok culture of youth after 2010

    2010년 이후 한복산업에 젊은이들이 유입되면서 새로운 한복 착용 문화가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한복 연구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기존의 한복 인식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공통점이 설문지를 이용하여 선호도와 인식 그리고 구매 실태나 착용 실태 등을 알아보는 양적 연구인데 비해, 2010년 이후에 나타난 젊은이들의 한복 문화에 대한 연구는 사례 중심의 질적 연구가 많다.

    Yoon(2012)은 인터넷상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는 차세대의 한복 소통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대표 적으로 만화와 음악 그리고 놀이를 통해 소통하고 있 다고 밝혔다. 만화는 차세대가 즐기는 인터넷을 기반 으로 하는 웹툰 또는 전자책 형태의 온라인 만화이고, 음악은 각종 드라마나 영화 등에 삽입된 OST를 통해 좋아하는 사극의 경우 팬클럽을 만들어 다양한 활동 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놀이를 통한 소통 에서는 ‘한복 놀이단’과 ‘한복입기 좋은 날’이라는 단 체의 활동을 주목했는데, 이들은 각종 행사에 한복을 입고 참석하고, 소모임에서도 한복을 착용하고 즐기 는 모습을 보여준다. 1020세대의 놀이 문화에 나타난 한복을 좀 더 집중하여 살펴본 Jeong and Lee(2018) 의 연구에서는 ‘한복 체험’ 놀이는 민간, 국가 그리고 미디어 매체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젊은이들의 문 화로 자리 잡았다고 한다. 먼저 전주 지역 청년들에 의해 기획, 제작된 ‘한복 데이’ 축제와 한복 착용 시 고궁에 무료입장하는 문화체육부의 정책 그리고 소셜 미디어로 인한 ‘한복 입고 인증샷 찍기’와 같은 ‘한복 체험’ 놀이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한복 체험’ 놀 이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놀이로 표현된 ‘한복 체험’에 대한 연구와 달리, 한 복 동호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젊은이들의 한복 착용 의미를 살펴본 연구(Joo, 2017)도 있다. Joo(2017)는 기존 전통한복이 행사용으로 착용하는 의례복이라는 드레스코드가 부여된 데 비해, 한복 동호회에 속한 젊 은이들은 일상생활에서 한복을 착용함으로써 다른 사 람과 차별되는 개인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한복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한복을 기존에 입혀 지던 방식과는 다르게 일상적인 옷으로, 기존에 한복 에 부여되던 국가적 전통의 목적과 다르게 자아의 표 현을 위해 한복을 입으며, 전통을 새로운 의미로 실천 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살펴본 결과, 최근 나타난 젊은이들 의 한복 착용은 ‘한복 체험’이라는 놀이의 형태인 경 우와 일상생활에서 전통을 유지하며, 자아를 표현하 는 수단으로 한복을 선택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연구는 차세대 또는 1020세대라는 특정 집단의 행동을 관찰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 다. 이에 한복의 새로운 소비자로 등장한 젊은이들이 한복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설문조사 방식으로 선호 도나 인식을 살펴보는 것보다, 젊은이들에게 자유롭 게 의견을 기술하도록 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한복 인 식의 의미를 찾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Ⅲ. Methods

    1. Questionnaire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한복 인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 해, 그림 자극물과 함께 어떤 한복 유형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어떤 한복 유형이 전통한복이라고 생각하는지 를 선택하도록 하고, 그 이유에 대해 각각 자유 기술식으 로 작성하는 문항을 포함하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2. Selection of stimulus

    자극물 선정에는 3단계의 과정을 거쳤다.

    먼저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전통한복의 시대적 배 경은 조선 시대와 현대로 제한하고자 하였다. 학계에 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모든 시대의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받아들이지만, “주로 조선 후기 양식과 그 개량형이 전형적인 한복의 이미지다”라고 언급한 나무 위키의 정리를 참고하여, 조선 시대 한복 과 현대의 개량형 한복을 자극물로 제한하였다.

    시대가 분명하게 제시된 자료를 자극물로 사용하 기 위해 단국대학교 석주선 박물관에서 제작한 무덤 출토 복식 재현 작품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차세 대 한복 소통에 대해 연구한 Yoon(2012)이 제안한 청 소년들의 한복 소통 통로인 만화, 음악, 놀이 중 시각 자료인 만화의 형태에 가까운 일러스트레이션 자료를 자극물로 선택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자극물로 사용 한 일러스트레이터 흑요석의 한복 일러스트레이션은 고증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 가장 전통복식에 대해 깊 이 이해하고 있는 작가로 인정받고 있으며, 최근 그동 안의 한복 일러스트레이션을 한복 자료집으로 출간한 바 있다(Hansmedia, 2019).

    마지막으로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이 무덤 출토 복 식 재현 작품을 대체할 정도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의류학 전공자 3인이 무덤 출토 복식 재현 작품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각각 비교하였다. 그 리고 20세기를 대표하는 한복으로 1971년 이리자의 한복 작품과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비교한 후, <Table 1>과 같이 자극물에 포함시켰다.

    3. Preliminary and main investigation

    본 조사에 앞서, 인터뷰 형식의 예비 조사 과정을 통해 중학교 가정과 교사 3명과 학생 5명에게 자극물 을 제시한 후 가장 전통한복이라고 생각되는 한복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16세기와 17세기의 한복 은 전통한복과 많이 다른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나무 위키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조선 전기보다 조선 후기의 한복과 현대에 개량된 형태의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인식한다는 바와 통하였다. 이 에 16세기와 17세기의 한복은 자극물에서 제외하였 다. 그리고 머리장식과 가채를 드라마에서 본 적이 있 어서 전통한복 선택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어서, 머리 부분은 제외하고 <Fig. 2>와 같이 18세 기, 19세기, 20세기의 한복 그림만 최종 자극물로 사 용하였다.

    본 조사는 2018년 6월 18일부터 7월 7일까지 진행 되었으며, 대상은 전라북도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었다. 회수된 설문지 937부 중 자유 기술식 응답 부분이 불충분한 응답지를 제외한 884부 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4. Analytical method

    기존의 한복 인식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설문지를 이용하고 수치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하는 양적 연구를 이용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에 작성된 한복 인식에 대한 자유 기술식 응답인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 다. 텍스트 마이닝은 자연어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비 정형 또는 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 및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로서 새로 운 정보를 발견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다(Yang & Kim, 2017). 텍스트 마이닝은 일반적으로 정보 추출, 정보 검색 분야와 긴밀하게 관련되는데, 문서 조직화 와 지식 발굴의 혼합기술로서 궁극적으로 대량의 텍 스트를 분류하고, 유용한 텍스트를 선별하며, 각 텍스 트에 대한 요약 정보를 발췌하고, 검색의 정확도를 높 이기 위한 키워드를 발췌하는데 유용하다. 텍스트 마 이닝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구조화된 형태의 문서들이 수집되면 전처리 과정을 거쳐 텍스트 분석 이 가능한 형태로 바꾼다. 전처리 작업은 일반적인 텍 스트 데이터들을 컴퓨터가 처리하기 용이하도록 변환 하는 작업으로, 텍스트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의 성능 을 결정짓는 요소이다. 전처리 과정을 거친 데이터는 정보추출, 범주화, 네트워크 분석 등의 텍스트 분석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물은 시각화되어 도출될 수 있다.

    분석에는 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선호하는 한 복 유형과 전통한복 유형을 선택하는 문항은 빈도분 석을 실시하고, 비정형 데이터인 자유 기술식 응답 부 분은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 기 술식 응답은 excel에 입력한 후, 이를 R 프로그램에 활용하기 위해 csv 파일로 변환하였다. 문장 형태로 작성된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R의 KoNLP, tm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 최소 단위로 형태소를 분 리하고, 부사 및 조사를 제거한 후, 비슷한 용어들을 통합하는 전처리 과정을 통해 핵심 단어들을 추출하 였다. 추출된 핵심 단어들은 연구자가 재검토하면서 공통점을 찾아 분류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Ⅳ. Results and Discussion

    1. Response characteristics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학생 453명(51.2%), 여학생 431명(48.8%)이었고, 중학생이 635명(71.8%), 고등학생은 249명(28.2%)이었다.

    2. Preferred hanbok types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한복 유형 선택을 빈도 분석 한 결과, <Table 2>와 같이 533명(61.9%)의 응답자가 18세기 한복을 선택하였고, 20세기 한복을 176명 (20.4%), 19세기 한복은 152명(17.7%)의 응답자가 선 택하였다.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한복으로 선택한 이유를 자 유 기술식으로 작성한 문항을 텍스트 마이닝으로 분 석하여 2회 이상 언급된 단어들을 정리한 결과, <Table 3>과 같았다. 예뻐서, 예쁘다 등 예쁨과 관련된 단어 가 55회 추출되어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단아함, 단 정함, 깔끔함 등 이미지에 관련된 단어가 많이 등장하 였다. 또한 치마(44회), 저고리(26회), 허리(26회) 등 을 이유로 제시한 경우도 많았다.

    선호하는 한복의 선택 이유를 18세기, 19세기, 20 세기 등 시대별로 정리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와 같이 시대별로 추출된 단어에 차이 가 나타났다. 18세기와 19세기 한복을 선택한 응답자 들에게 가장 많이 추출된 단어는 예쁨이라는 단어인 데 비해, 20세기 한복을 선택한 응답자들은 깔끔함과 단아함을 가장 많이 선택 이유로 작성하였다.

    추출된 단어들 중 2개 이상의 시대에서 동시에 추 출되는 단어들을 정리하면 <Fig. 3>과 같다.

    18세기, 19세기, 20세기의 한복을 선호하는 한복으 로 선택한 이유에 모두 등장하는 단어로는 예쁨, 치 마, 저고리, 형태, 화려함, 우아함 등이 있다. 18세기와 19세기 한복을 선호하는 한복으로 선택한 이유에서 등장하는 용어들은 허리, 고급스러움, 디자인, 핏, 모 양, 현대적임, 세련됨, 섹시함, 소매, 스타일 등 현대적 이고 핏이 강조된 디자인을 표현하는 용어가 많이 나 타나는데 비해, 18세기와 20세기의 한복을 선택한 이 유에서 나타나는 용어들은 단아함, 단정함, 깔끔함, 아름다움, 익숙함, 친숙함, 잘록함, 편안함 등 익숙하 고 단정한 이미지를 표현하는 용어가 많이 나타났다. 특정 시대 한복에서만 나타난 단어들은 청소년들이 그 시대의 한복에 대한 인식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18세기 한복을 선택한 응답에서는 라 인, 멋있음, 실용적임, 품위 있음, 심플함, 여성스러움, 자연스러움, 실루엣, 날씬해 보임 등의 단어가 나타난 데 비해, 19세기 한복을 선택한 응답에서는 매력적임, 기생, 라인 등의 단어가 추출되었다. 마지막으로 20세 기 한복에서는 안정적임, 무난함, 단순함, 평범함, 소 박함, 한국적임 등의 단어가 나타났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추출된 단어들을 조합하면, 18세기 한복은 치마와 저고리, 허리가 강조된 형태의 예쁘고, 단아하고, 단정하며 깔끔하고 아름다운 한복 으로 정리할 수 있고, 19세기 한복은 기생과 관련된 섹시하고, 세련되며 예쁜 한복으로 나타났다. 20세기 한복은 단아하고, 단정하며 깔끔하고, 편안한, 무난하 고 평범하며 소박하고 한국적인 한복으로 정리할 수 있다.

    3. Traditional hanbok

    18세기, 19세기, 20세기 한복 중 전통한복이라고 생각되는 한복을 선택하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들의 선택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이, 66.9%의 응 답자들이 20세기에 개량된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선택 하였고, 18세기 한복이 27.5%로 뒤를 이었다. 19세기 한복은 5.6%로 거의 선택되지 않았다.

    이에 한복을 선택한 이유에 대한 자유 기술식 답변 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 20세 기 한복과 18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선택한 응답 을 분석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응답자들의 전통한복 선택 이유에 대해 텍스트 마 이닝을 실시한 결과, 2회 이상 언급된 단어들은 <Table 6>과 같았다. 전통적임(63), 단아함(53), 단정함(35) 등 이미지에 관련된 단어와 함께 드라마(51), 대중매체 (42), 사극(36) 등의 단어가 가장 많이 추출된 단어 10 개 이내에 포함되었다.

    전통한복으로 20세기 한복을 선택한 응답과 18세 기 한복을 선택한 응답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한 결과, <Table 7>과 같다. 응답자들은 공통적으 로 전통적임, 단아함, 드라마, 형태, 대중매체 등을 언 급하며, 20세기 한복과 18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공통적으로 나타난 단어들을 정리하면 <Fig. 4>와 같다.

    20세기의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선택한 응답에서 추출된 단어를 살펴보면, 무난함, 평범함, 단순함, 편 안함, 소박함, 차분함, 보수적임, 수수함, 자연스러움, 고급스러움, 단조로움 등 이미지를 표현하는 단어와 함께 교과서, 고전 등의 단어가 나타났다. 이에 비해 18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선택한 응답에서 추출된 단어들은 한국적임, 예쁨, 한옥마을, 실루엣, 웹툰, 배 래 등이었다.

    추출된 단어를 조합해 보면, 20세기 한복은 전통적 이고, 단아하며, 깔끔하고, 소박하고, 익숙하고, 드라 마나 대중매체, 사극과 영화 그리고 교과서에서 본 한 복으로 정리할 수 있다. 18세기 한복은 전통적이고, 단아하며, 단정하고, 익숙하고 한국적인 한복으로 드 라마와 대중매체, 사극과 영화 그리고 웹툰과 한옥마 을에서 본 한복이다. 특히 드라마나 대중매체, 사극, 영화, 웹툰 그리고 교과서라는 단어는 청소년들이 한 복을 접하는 경로로써 전통한복 인식에 영향을 미쳤 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는 차세대 한복 소통의 수단에 대해 연구한 Yoon(2012)이 언급한 만화나 웹 툰 등이 청소년들이 한복을 접하고 이미지를 형성하 는데 영향을 미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20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인식한 응답에서 교 과서라는 단어가 추출된 점은 상당히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드라마와 대중매체, 사극과 영화 그 리고 교과서나 웹툰 등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단어들 은 모두 청소년들에게 전통한복 이미지를 전달하는 매체가 될 수 있다. 그런데 20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 로 인식하는 응답자에게서 교과서라는 단어가 추출되 었고, 18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인식하는 응답자 에게서는 웹툰이라는 단어가 추출된 결과를 통해, 매 체에 따라 청소년에게 전달하는 한복의 이미지가 다 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8세기 한복을 전통 한복으로 인식하는 응답에서 한옥마을이 언급됨으로 써, 교과서나 대중 매체 등 이외에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는 한옥마을 내의 한복 등이 청소년의 전통한복 인식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Ⅴ.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게임이나 웹툰 그리고 학교 교과과 정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한복을 접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선 시대 한복과 20세기 개량형 한복을 자 극물로 사용하여 청소년들이 어떤 한복 유형을 선호 하는지, 그리고 어떤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선택하는 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가 선호하 는 한복은 18세기 한복이었지만, 전통한복으로 선택 한 것은 20세기 한복이었다. 선호하는 한복과 전통한 복 유형의 선택 이유에 대한 응답을 텍스트 마이닝 기 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단어가 추출되었다. 추출 된 단어들을 조합한 결과, 선호하는 한복의 경우, 18 세기 한복은 치마와 저고리, 허리가 강조된 형태의 예 쁘고, 단아하고 단정하며, 깔끔하고 아름다운 한복, 19세기 한복은 기생과 관련된 섹시하고, 세련되며, 예 쁜 한복, 그리고 20세기 한복은 단아하고, 단정하며 깔끔하고, 편안한, 무난하고 평범하며 소박하고 한국 적인 한복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청소년들이 선택한 전 통한복의 경우, 20세기 한복은 전통적이고, 단아하며, 깔끔하고, 소박하고, 익숙하고, 드라마나 대중매체, 사 극과 영화 그리고 교과서에서 본 한복, 그리고 18세기 한복은 전통적이고, 단아하며, 단정하고, 익숙하고 한 국적인 한복으로 드라마와 대중매체, 사극과 영화 그 리고 웹툰과 한옥마을에서 본 한복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이끌 수 있다.

    첫째, 가장 많은 청소년들이 전통한복이라고 생각 하는 한복 이미지는 20세기에 제작된 개량형 한복이 었다. 전통한복이 반드시 특정 시대, 즉 조선시대와 같은 역사 속에서 착용되었던 의복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조선시대 한복도 분명 전통한복임을 알려 줄 필요가 있다. 전통한복으로 20세기 한복을 선택한 학생들의 응답에서 교과서가 언급된 점과 18세기 한 복을 선택한 학생들의 응답에서는 웹툰이 추출된 점 에서, 청소년들이 한복을 접하는 경로와 내용에 대한 확인과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전통한복으로 선택된 20세기 한복과 18세기 한복에 대한 선택 이유에서 드라마와 영화 등 다양한 매체 관련 단어가 추출된 점에 비추어, 다양한 시대를 배경으로 제작되는 드라마나 영화 등을 통해 한복에 대한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미 청소년들 은 웹툰이나 게임 등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한복을 접하고 있다. 따라서 드라마나 영화 등의 대중 매체와 함께 청소년들이 즐기는 웹툰과 게임 등에서 등장하 는 한복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2013년의 ‘특이형 어우동 카드’의 논 란과 같이 청소년이 주로 접하는 경로에서 발생하는 논란에 대해 명확한 규명과 해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가장 많은 응답자가 20세기 한복을 전통한복 으로 응답한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20세기 한복 유 형이 전형적인 한복 또는 전통한복을 대표하게 되면 서 변형된 한복을 퓨전 한복 또는 스타일 한복 등으로 구분하는 논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극물인 18세기, 19세기, 20세기 한복은 형태가 다르 지만 모두 전통한복이다. 그러나 퓨전한복의 고궁 무 료 입장 논란(Yoon, 2018)에서 볼 수 있듯이, 전통한 복에 대한 구분에는 디자인에 사용된 선뿐만 아니라, 재질과 색상 등도 논의되어야 한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대표적인 퓨전 한복인 체험용 어우동 한복은 실 제 19세기의 한복에 사용된 선과 유사한 선을 사용하 지만, 색과 재질이 달라지면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 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전통한복을 인식하는데 선, 색, 재질 중 어떤 것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 가 있다.

    Figure

    RJCC-27-3-239_F1.gif

    Unique type of ‘EuDong’ From HungryApp. (2013). https://www.hungryapp.co.kr

    RJCC-27-3-239_F2.gif

    Final stimulus From Woohnayoung. (2017). https://www.grafolio.com

    RJCC-27-3-239_F3.gif

    Key words extracted at the same time from more than two periods’s hanbok

    RJCC-27-3-239_F4.gif

    Key words extracted at the same time from more than two periods’s hanbok

    Table

    Stimulus select

    Frequency result for preferred hanbok

    Key word appeared more than twice

    Key word appeared more than twice

    Frequency result for traditional hanbok and preferred hanbok

    Key word appeared more than twice

    Key word appeared more than twice

    Reference

    1. Cho, W.-H. , & Kim, M. (2010). Research on consumer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 130-143.
    2. Choi, Y. M. , & Jo, H. S. (1989). 한복의 구매행동 및 구매요인에 관한 분석연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hanbok’s purchasing behavior and purchas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3, 135-150.
    3. Controversy over Hanmilah EuDong illustration. (n.d.). In Namu wiki. Retrieved April 22, 2019, from https://namu.wiki/w/한밀아%20어우동%20일러스 트%20논란
    4. Gyeongbokgung Palace Management Office. (2017). 한복무료관람 가이드 라인 [Hanbok - free entrance guide line]. Retrieved March 20, 2019, from https://www.royalpalace.go.kr/content/guide/guide01_tab07.asp
    5. Hanbok.(n.d.). In Namu wiki. Retrieved March, 4, 2019, from https://namu.wiki/w/한복
    6. Hansmedia. (2019, January 25). 흑요석이 그리는 한 복 이야기 [The hanbok story by Black stones]. Naver Post, Retrieved May 20, 2019, from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689267
    7. HungryApp. (2013). 특이형 어우동 [Unique type EuDong]. Retrieved April 20, 2019, from https://www.hungryapp.co.kr/bbs/pop/pop_arthur.php?num=703
    8. Hwang, B. H. , & Rhee, Y. S. (2019). An effect on a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a value recognition toward traditional cultural: Consumer group comparison based on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al value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4(1), 7-20. doi:10.21326/ksdt.2019.24.1.001
    9. Hwang, C. S. (1977). A study on modern people’s consciousness and wearing practice of Korean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 119-129.
    10. Hwang, E.-S. (2009). Modification of hanbok design appearing in art works of designer Lee RheeZa.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2(2), 43-60.
    11. Jayoung. (2008, January 20). 한복의 시대별 흐름 변 화 [Changes in the periodic flow of hanbok] [Blog Post]. Retrieved March 15, 2019, fromhttp://blog.daum.net/wkdudqkr/1747035
    12. Jeong, H. , & Lee, E. (2018). A case study on the new paradigm of hanbok since 2010.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4), 97-108. doi: 10.16885/jktc.2018.12.21.4.97
    13. Joo, D. (2017). Individual practice of tradition and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ity through the medium of hanbok: A case study of a hanbok club.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41, 199-230. doi:10.35638/kjfs.41.201712.008
    14. Kang, K.-J. , & Choi, S.-K. (2005). The effect of coloration type on the image of Korean dress’s wearer: On the tone-in-tone color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6), 977-989.
    15. Kang, K.-J. , & Lim, J.-Y. (2005). The effect of toneon- tone coloration on the visual image of traditional Korean dres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5), 804-818.
    16. Kim, D. R. (2013, September 17). 섹시 저고리부터 곤룡포까지, 게임 속 한복 [From sexy jeogori to gonryongpo, hanbok in the game]. GameMeca, Retrieved April 28, 2019, from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324831
    17. Kim, M.-J. , Kim, H.-Y. , & Cho, W.-H. (2005). Characteristic and transition of woman’s Saeng-Hwal- Han-Bok after modern Korea.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7(2), 137-158.
    18. Kim, W. K. (2010). A study on reproduction of the traditional baeja and design methods for modern application: Focusing on the winter baeja. Journal of Fashion Design, 10(3), 21-34.
    19. Kim, Y. E. (2017, April 12). ‘#한복스타그램’ 인기 폭발…일상을 바꾼 한복 [#hanbokstargram is in fashion]. The Korea Economic Magazine, Retrieved March 24, 2019, from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popup=0&nid=01&c1=1003&nkey=2017041001115000231&mode=sub_view
    20. Kweon, S. A. , Choi, J. M. , & Lee, E. K. (1998).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wear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nd purchasing facto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7(1), 129-138.
    21. Kwon, S. , & Park, S. (2006). A study on wedding dress design for modern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Journal of Fashion Design, 6(2), 55-75.
    22. Lee, Y.-H. , Lee, S.-J. , & Lee, S.-J.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Saenghwalhanbok design in adult femal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6(1), 23-31.
    23. Oh, W.-J. (1998). A study on the wearing and purchasing behavior of Korean clothes: Form the opinions of the housewives of Cheju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Island, Korea.
    24. Rhee, Y. S. , & Hwang, B. H.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al values: Focused on hanbok, hanok, and Korean food.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54, 91-108. doi:10.21326/ksdt.2017.54.008
    25. Woohnayoung. (2017, May 6). 여성한복 시대별 일러 스트 [Illustration for women’s hanbok]. Grafolio, Retrieved February 20, 2019, from https://www.grafolio.com/works/318345
    26. Yang, J. Y. , & Kim, J. Y. (2017). A study on public perception of wales Millenium Centre architecture using textmining.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12(5), 193-201. doi:10.35216/kisd.2017.12.5.193
    27. Yoon, K. E. (2018, September 12). ‘퓨전한복’ 궁궐 무료입장 폐지 여부 논란 … 찬반 팽팽 [Controversy about fusion Hanbok’s free entrance to palaces]. Yonhap News, Retrieved March 26, 2019,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80912044800004?input=1195m
    28. Yoon, Y.-N. (2012).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with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5(1), 85-95.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