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troduction
현대 사회의 주력 소비자로 떠오르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는 재미있고 즐거운 것을 추구하는 세대이다(Kang, 2018). 사치라는 관념이 아니라 아이러니와 유머에 의해 구매 습관이 움직이는 새로운 소비자 계층이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Rabkin, 2016). 이러한 소비자의 특성에 맞추어 패션 산업에서도 유 희적인 표현이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초 현실주의 예술의 특징적인 표현 기법인 트롱프뢰유 (trompe-l’oeil)도 주목받고 있다. 트롱프뢰유 즉, 눈속 임을 통한 예상치 못한 전환은 의외성으로 인해 재미 를 주는 각성 이론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처음 인 지된 시각적 형태가 기대치 못했던 방식으로 다시 해 석됨으로써 의외성을 나타내며, 그로 인한 새로운 각 성을 통해 재미를 느끼게 하는 것을 뜻한다.
사회의 변화와 미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대 남성 패션은 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방면으로 연 구되고 있는 여성 패션과 비교하면 대다수의 연구가 성 특성 및 그에 따른 남성 패션 아이템의 변화에 치 중되어 있다. 특히, 남성 패션 분야에서 트롱프뢰유 기법에 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트롱프뢰유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창의적인 남성 패션 디자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학위 논문 및 전문서적을 활용한 문 헌연구 및 패션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 다. 우선, 국내․외 트롱프뢰유 관련 문헌 및 선행연 구 자료를 중심으로 트롱프뢰유 기법 전반에 관한 이 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후, 여성 패션을 포함한 다양 한 시각 예술 분야의 서적, 인터넷 자료, 선행연구 등 을 분석하여 트롱프뢰유의 4가지 표현 기법을 도출하 고, 이를 본 연구를 위한 분석 기준으로 마련하였다. 둘째,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트롱프뢰유 기법의 구 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사진 자료 수집은 다음 과 같이 진행되었다. 세계 4대 남성복 컬렉션(뉴욕, 파 리, 밀라노, 런던)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46%가 2005년 봄/여름 이후 컬렉션을 시작하였음을 근거로 하여 이를 남성 패션 도약의 기점으로 설정하 고, 이후 2019년 봄/여름까지 컬렉션을 진행한 총 112 개 브랜드의 컬렉션 사진을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매체로써 패션 전문 웹사이트인 보그(www.vogue.com), 지큐(www.gq-magazine.co.uk) 등을 활용 하였다. 셋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택한 사진 657장의 사진 자료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의류학 전공 전문가 집단(박사 5인, 석사 2인) 을 대상으로 2차 검증을 한 뒤 최종 선택된 471장의 사진 자료를 분석하였다.
Ⅱ. Background
1. Concept and development of trompe l’oeil
트롱프뢰유(trompe-l’oeil)는 ‘속이다’라는 의미의 troper와 ‘눈’이라는 의미의 ‘oel’이 합쳐진 프랑스어 로 ‘눈속임’을 뜻하며(“Trompe-l’oeil”, n.d.), 이는 미 술에서는 세밀한 묘사로 실물을 보는 듯한 착각을 주 는 기법이다(Firstviewkorea, 2008). 트롱프뢰유는 넓 은 의미로는 착각 기법 또는 착시와 같은 뜻으로 사용 되기도 한다(Song, 2008). 착각은 모든 감각에서 인정 되는 반면, 시각에서의 착각만을 특히 주목하여 이를 착시(illusion)라고 따로 부른다(Cho, 2004). 착시는 크 기나 형태, 길이나 거리, 색채나 움직임 등과 같은 하 나나 둘 이상의 시각적 자극 속성에 대해 바르지 못한 지각을 의미하며, 현실에 있는 것이 왜곡되어 다른 것 처럼 보이는 경우를 의미한다(Yoo, 1987).
트롱프뢰유라는 말은 17세기 바로크(Baroque) 시 대에 생겨났다. 하지만 그 특질은 미술사에서 이미 오 래전부터 존재했다(Lee, 2011). 트롱프뢰유 기법은 기 원전부터 사용되어 왔는데, 고대인들은 집이나 무덤 에 그림을 그려 신화나 설화의 이야기를 일상 속으로 끌어들였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하 는 장식적인 효과도 얻었다. 또한, 최초의 정물화도 트롱프뢰유에서 유래되었는데, 고대 그리스 화가 제 우크시스(Zeuxis)가 트롱프뢰유 기법으로 그린 포도 는 너무나 정교해 진짜 새들이 쪼아 먹기 위해 날아들 었다고 전해지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건물 천장에 하 늘을 그려 보는 사람이 천장이 열려 있는 것처럼 착각 하게 했다. 실존하는 작품 중 미술사에 널리 알려진 트롱프뢰유의 예는 <자고새와 철갑용 장갑(Still-Life with Partridge and Gauntlets)>이다(Fig. 1). 이는 베네 치아 화가 야코포 데 바르바리(Jacopo de Barbari, 1440~1516)가 사진처럼 정교하게 그린 정물화이며, 벽에 사냥물이 걸린 듯한 착시로 사람들을 속이기 위 한 목적으로 그려졌다(Kim, 2017). 즉, 생활에서의 해 학적 유희를 위해 그려진 그림이다.
집안이나 무덤을 장식하던 트롱프뢰유 기법은 점 점 영역을 확대해 고대 그리스 연극 무대의 배경에 막 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가장 발달했던 시기는 17세기 부터 19세기까지다. 트롱프뢰유 기법으로 그려진 여 러 가지 이미지가 뒤섞인 기이한 그림들에 사람들이 열광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세기 사진의 발명으로 사람들의 눈을 속이는 그림들은 비평가들에게 조롱을 사기 시작한다. 그러한 비평가들의 조롱에 맞서기 위 해 트롱프뢰유 기법으로 그려진 작품이 페레 보렐 델 카소(Pere Borrel del Caso)의 ‘비평으로부터의 탈출’ 이다(Fig. 2). 비평가와 화단의 노골적인 무시에 반감 을 품은 델 카소는 도망치는 소년을 통해 악평 때문에 활동을 포기해야 하는 자신의 처지를 나타냈다. 이 작 품에서 액자 틀은 작품세계와 현실 세계의 경계를 의 미하며, 결과론적으로 델 카소의 이 작품은 트롱프뢰 유를 상징하는 작품이 됐다(Park, 2012).
현대에 들어 트롱프뢰유는 일부 초현실주의자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중 마그리 트(Rene Magritte, 1898~1967)는 상상을 현실로 만드 는 독특한 시적 창조 작업을 통해 일상의 물체들을 화 면 속에 기묘하게 병치시키거나, 매력적으로 결합하 는 방법을 통해 관객에게 초현실적 경험을 제공하였 다(Shin, 2010). 창밖의 배경과 캔버스 위의 그림을 묘 하게 일치시킨 ‘인간의 조건(The human condition)’은 현실의 3차원 공간과 캔버스 위 2차원 공간 사이의 모 순에 대한 의문을 관람객들에게 제기한다(Fig. 3). 이 는 외부와 내부 세계, 환상과 현실을 이중적으로 표현 하여 트롱프뢰유의 초현실적이고 풍부한 해석의 가능 성을 보여준다(Shon & Cho, 2002). <Fig. 4>는 여성의 유방이 옷장 속 가운과 혼합되어 관능미를 표현하는 작품이다. 마그리트는 의복 내 감춰진 인체 일부 즉, 보이지 않는 부분을 이미지화시킴으로써 시각적 충격 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트롱프뢰유는 사실적 인 묘사나 그림 속의 그림, 인체의 응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현된다(Milman, 1982). 그림을 처음 볼 때는 이러한 트롱프뢰유 기법이 놀라움으로 다가오나, 관객은 그것을 언제나 사실적으로 받아들이지는 않는 다. 곧 의심과 확신의 감정을 번갈아 갖게 되고, 놀란 관객은 시각적 이미지와 지적 메시지 사이에서 갈팡 질팡한다. 그러나 뇌는 벌써 그것의 의미를 알아차리 고, 그가 본 것을 분석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이미지 와 관객 사이의 이러한 불확실함은 상황을 모호하게 하고 결국 끊임없는 즐거움을 만든다. 즉, 트롱프뢰유 는 감상자가 그들의 앞에 보이는 작품과 현실, 상상의 세계를 넘나들며 감각적 즐거움을 만끽하게 한다.
2. Types of trompe l’oeil in contemporary fashion
패션은 그 시대의 정치, 사회, 경제, 기술 등 문화의 한 단면을 표출하는 가장 적합한 수단 또는 방법으로 서 인간의 내적 이미지의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과 관 계가 깊다(Hamilton, 1987). 예술 양식의 표현 기법 중 트롱프뢰유는 현대 패션에 독창적인 영감을 제공하 며,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트롱프뢰유는 초현실주 의 패션의 대표적인 표현 특성으로 여겨지는데, 1930 년대 패션의 변화를 주도하였던 엘자 스키아파렐리 (Elsa Schiapalli)가 1927년에 검은색 니트 스웨터에 실제 같은 리본 매듭 패턴을 가미한 일명 트롱프뢰유 (trompe l’oeil) 스웨터를 선보인 이후, 에르메스 (Hermes),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 모스키노 (Moschino) 등 많은 패션 브랜드가 트롱프뢰유 기법 을 디자인에 활용하여 ‘유머로서의 패션’을 제시하고 있다(Fig. 5, 6, 7, and 8).
패션 분야의 선행연구 중 트롱프뢰유와 관련된 내 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hon and Cho(2002)는 인체의 응용, 앞과 뒤, 겉과 안, 미완성의 완성, 디테 일, 조화로 트롱프뢰유의 표현 유형을 분류하였고, Cho(2004)는 인체 노출 효과, 두 벌 착용 효과, 디테 일 효과, 액세서리 효과로 분류하였다. Shin(2010)은 인체 노출의 착시, 위치 전환 및 레이어링에 의한 착 시, 그림에 의한 착시(디테일 효과, 액세서리 효과), 소재의 착시(원단에 다른 소재를 프린트하여 다른 소 재로 착각하게 함)로 분류하였으며, Kim(2010)은 인 체 부위의 전치, 착장 방식에서의 해체, 의복 구조 및 디테일의 재현으로 분류하였다. Kim(2016)은 2010년 이후 현대 패션에 표현된 트롱프뢰유의 유형을 인체 의 응용, 이중적인 이미지(서로 다른 의상 형태를 결 합하여 표현하거나 의상의 위치 전환 착시, 중첩의 착 시 등으로 표현), 의복의 사실적인 표현(실제 디테일 이 없는 의상에 의복의 디테일이나 액세서리를 사실 적으로 표현), 일상물의 이동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연구자들이 제시한 각 각의 표현 유형과 컬렉션 자료들을 종합․분석한 결 과, 공통되는 용어들을 인체 이미지 응용, 의복의 형 태 및 창작 방식 해체, 의복 구조 및 디테일을 재현, 사실적인 이미지 응용 등 총 4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 으며, 본 연구에서는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트롱프 뢰유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이러한 4가지 표현 유 형을 기준으로 분석하고자 한다(Table 1).
Ⅲ. Trompe l’oeil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트롱프뢰유의 4가지 표현 유형, 즉 인체 이미지 응용, 의복의 형태 및 창작 방식 해체, 의복 디테일을 재현, 사실적인 이 미지 응용 등이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사례들을 살 펴보고자 하였다. 컬렉션 자료 분석 결과, 남성 패션 에 트롱프뢰유의 표현 유형은 의복의 형태 및 창작 방 식 해체(41.5%)가 가장 많았고, 의복 디테일의 재현 (24.9%), 사실적인 이미지 응용(19.6%), 인체 이미지 응용(14%)의 순으로 나타났다(Fig. 9).
1. Deconstructing clothing forms or creation methods
의복의 형태 및 창작 방식을 해체함으로써 독특한 조형성을 나타내는 패션은 과거의 친숙한 시각적 경 험과 일반적인 상식에서 벗어난 엉뚱하고 자유로운 방식으로 유머를 발생시킨다. 의복은 필수적 요소인 형태 구성요소와 심미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장 식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 요소를 생략 하거나 옷감을 훼손하는 등의 변형 기법이 활용되는 경우, 전통적인 의복 조형미에서 우선시하는 완전성 의 미와 대립 관계에 놓여 무시되고 소외되었던 불완 전성에 새로운 미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크리지아 로부스텔라(Krizia Robustella)는 프린팅 을 통해 외투를 착용한 것과 같은 레이어링 효과를 주 었고(Fig. 10), 오프 화이트(Off White) 컬렉션에서는 사진이 프린트된 종이가 반투명한 상의 중심을 뚫고 들어간 독특한 디자인을 볼 수 있었다(Fig. 11). 발렌 시아가(Balenciaga) 컬렉션에서는 셔츠가 재킷에 연결 된 디자인을 선보였다(Fig. 12). 현대 남성 패션에서는 변형 기법을 활용하여 두 아이템을 결합하는 효과를 주는 트롱프뢰유도 나타났다. 특히 넥타이는 남성성 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아이템으로 다양한 컬렉션에서 트롱프뢰유의 도구로 활용되는데, 장 폴 고티에 (Jean Paul Gaultier)는 넥타이를 깊게 파인 스웨터와 결합하여 겹쳐 입은 효과를 나타냈고(Fig. 13), 비비안 웨스트우드(Vivienne Westwood)는 실존하는 넥타이 를 간격을 달리한 뒤 셔츠에 단추로 고정하여 움직임 효과를 주었다(Fig. 14).
2. Reproducing apparel details
현대 남성 패션에서는 실존하지 않는 의복의 디테 일들을 프린팅이나 자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 여 트롱프뢰유 효과를 주는 경우가 많았다. 드리스 반 노튼(Dries Van Noten)은 ‘해변 위의 살바도르 달리’ 라는 주제로 펼쳐진 컬렉션에서 투우사의 재킷 이미 지를 니트에 자수 기법으로 표현하였는데, 소매 단을 비롯하여 여밈, 견장 등 다양한 디테일들을 섬세하게 재현함으로써 트롱프뢰유 효과를 극대화하였다(Fig. 15). 발렌티노(Valentino)는 재킷 위에 금속 장식으로 의복의 디테일을 섬세하게 표현하였다(Fig. 16). ‘패션 일루전(Fashion Illusion)’이라는 주제에 걸맞게 2009 년 가을/겨울 꼼 데 가르송(Comme des Garçons) 컬렉 션에서는 재킷 위에 벨트와 포켓 등의 이미지가 프린 트되었고(Fig. 17), 모스키노 워모(Moschino Uomo) 컬렉션에서는 프린팅을 통해 의복의 주름과 오염을 표현하였다(Fig. 18).
현대 남성 패션에서는 프린팅이나 편물을 활용하 여 여러 아이템이 결합한 효과를 주는 사례들도 나타 났다. 톰 브라운(Thom Browne)은 보디슈트, 베스트, 재킷을 겹쳐 착용한 것과 같은 디자인을 선보였으며, 밝은 그린 컬러로 포켓, 버튼 등을 표현하여 흰색 의 상과의 대비를 이루었다(Fig. 19). 또한 회색 코트를 평면적으로 표현한 유머러스한 컬렉션을 선보였다 (Fig. 20). 현대 남성 패션에서는 변형 기법을 활용하 여 여러 디테일이 결합한 효과를 주는 트롱프뢰유도 나타났다. 2005년 봄/여름 모스키노 워모(Moschino Uomo) 컬렉션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목둘레선을 함 께 표현한 스웨터로 착장의 아이러니를 나타냈으며 (Fig. 21), 2009년 봄/여름 질 샌더(Jil Sander) 컬렉션 에서는 앞 단의 모양이 불규칙하게 변형된 스웨터를 통해 색채를 활용한 디자이너의 재치 있는 트롱프뢰유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었다(Fig. 22). 변형 기법을 무 늬에 활용하여 트롱프뢰유를 나타낸 사례들도 많았다. 2008년 가을/겨울 모스키노 워모(Moschino Uomo) 컬 렉션의 스웨터는 줄무늬의 변화를 통해 착시의 효과 를 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Fig. 23).
3. Applying realistic patterns
현대 남성 패션에서는 소재나 질감을 속이는 트롱 프뢰유가 많이 나타났으며, 주로 변형 기법이 활용되 었다. 트롱프뢰유 기법의 성공 여부는 무엇보다도 감 상자를 속이는데 성공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결정되므 로 사실적 표현을 추구한다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급속히 발전된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는 경 우 트롱프뢰유 디테일들을 보다 더 사실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질적인 소재의 질감을 프린 트하여 착시를 일으키는 방법이 있는데, 굵은 케이블 니트의 이미지가 재킷과 팬츠의 곳곳에 배치되어 독 특한 질감과 디테일의 효과를 느끼게 해준 2011년 가 을/겨울 미하라야스히로(Miharayasuhiro) 컬렉션이 대 표적인 예이다(Fig. 24). 가공 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 해 새로운 트롱프뢰유 디자인도 등장했는데 2009년 가을/겨울 컬렉션에서 닐 바렛(Neil Barrett)은 가죽 위에 케이블 니트의 느낌을 엠보싱 가공으로 표현함 으로써 착시 효과를 주었다(Fig. 25).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트롱프뢰유를 살펴보면, 주위 환경과 의상이 하나가 되어 시각적으로 어느 부 분이 의상이고, 어느 부분이 주위 환경인지 혼동하게 만드는 일명 ‘조화’의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예로는 군인들이 적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착용하는 위장복이나 넓은 들판에서 동물들에게 발견되지 않고 동물들에게 가까이 가기 위해 입는 사 파리 재킷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복잡한 사회에서 남의 눈에 띄지 않고 뒤로 숨으려고 하는 인간의 본성 을 보여주고 있다(Shon & Cho, 2002). 조화를 위해 반복 기법도 다양한 컬렉션에서 활용되고 있다. ‘반 복’은 원 텍스트와의 차이를 나타내며, 하나의 통합된 새로운 외양을 제시하는 기법이라 할 수 있으며, 현대 남성 패션에서는 다양한 아이템에 같은 프린팅을 반 복하는 사례가 많다.
2012년 가을/겨울 모스키노 워모(Moschino Uomo) 컬렉션에서는 벽돌 무늬 이미지를 넣은 색채가 풍부 한 의상을 통해 모스키노만의 유쾌한 장난기를 나타 냈다(Fig. 26). 월터 반 베이렌동크(Walter Van Beirendonck) 컬렉션에서도 두 아이템에 같은 패턴을 사용 함으로써 재킷의 아랫부분과 팬츠가 연결된 것과 같 은 효과를 나타냈다(Fig. 27). 2010년 가을/겨울 알렉 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컬렉션의 경우에는 컬렉션 무대의 패턴까지 의상과 통일시킴으로써 트롱 프뢰유 효과를 극대화하였다(Fig. 28).
4. Applying body images
현대 남성 패션의 사례들을 보면, 트롱프뢰유를 통 한 실재와 허구의 아이러니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감상자에게 시각적 불일치를 인지하게 하여 쾌감을 느끼게 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인체 이미지를 활용 하여 이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진 영상기술의 발달과 컴퓨터의 발전은 사회적으로 몸에 대한 새로 운 시각을 갖게 해주었다(Huh & Geum, 2004). X선 촬영 기술과 망원렌즈의 등장으로 미세한 몸 안의 신 체 단면들, 세포 조직과 뼈, 근육들의 부분 부분을 분 해하고 해체한 사진과 영상들은 몸에 대한 충격적 경 험을 하게 해주었으며, 예술가들의 새로운 소재 및 대 상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패션 분야에서도 예외 없이 몸은 생물학적 의미를 초월하여 인간의 정신적 내면 을 표현하는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트롱프뢰유가 표현된 남성 패션에서는 가슴, 손, 몸 통 등 인체의 부분적 이미지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데(Kim, 1993), 특히 가슴은 의복 속에 감춰진 신체를 의복 위에 표현함으로써 노출과 은폐의 역설적 관계 를 보여 주고, 인체에 대한 도덕적 강박관념에서 해방 된 순수한 감각을 느끼게 한다. 다니엘 플렛쳐(Daniel W. Fletcher)는 여성의 가슴 이미지를 의상에 프린트 함으로써 남성성과 여성성이 혼재하는 이미지를 연출 하였는데, 이러한 디자인은 고정된 성 이미지를 무너 뜨리는 효과를 준다(Fig. 29). 이에 반해 섬세한 근육 의 이미지가 프린트된 티셔츠를 근육질의 남성 모델 에게 착용시키거나(Fig. 30), 가죽조끼에 근육의 형태 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남성성을 더욱 강조하는 작 품들도 있었다(Fig. 31). 찰스 제프리 러버 보이(Charles Jeffrey Lover boy) 컬렉션에서는 엑스레이를 통해 인 체 내부에 위치하는 뼈의 골격을 보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작품과 여성의 가슴이 표현된 니트 웨어로 인체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표출하였다(Fig. 32). 모스키노 워모(Moschino Uomo) 컬렉션에서는 셔츠 와 넥타이 위에 착용한 카디건에 남성의 몸통을 프린 트하여 아이러니로 인한 재미를 느끼게 한다(Fig. 33).
지금까지 살펴본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트롱프 뢰유의 표현 유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able 2). 첫째, 의복의 형태 및 창작 방식의 해체는 프린팅을 통해 레이어링 효과를 주거나, 남성성을 상징하는 대 표적인 아이템인 넥타이를 트롱프뢰유의 도구로 활용 하는 경우, 또는 의복의 형태를 불완전하게 표현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둘째, 실존하지 않는 의복의 디테일 들을 프린팅이나 자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거 나 무늬의 변화를 통해 착시의 효과를 주는 것뿐 아니 라, 변형 기법을 활용하여 여러 디테일이 결합한 효과 를 주는 트롱프뢰유도 나타났다. 셋째, 사실적인 이미 지 응용의 경우, 이질적인 소재의 질감을 프린트하여 착시를 일으키거나 다양한 아이템에 같은 프린팅을 반복하는 사례가 많았다. 넷째, 인체 이미지 응용은 다양한 신체 이미지를 의상에 부분적으로 활용하여 인간의 내면을 표현하거나 남성성을 강조 또는 고정 된 성 이미지를 파괴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트롱프뢰유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분류하여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 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 은 다음과 같다. 트롱프뢰유는 발상의 전환을 통한 의 외성과 환상의 세계를 표현하며, 일상적인 시 지각의 경험과는 달리 재미와 신비로운 시각 경험을 제공한 다. 이는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지각을 전혀 뜻 하지 않은 곳에서 재회하게 하며, 남성 패션 디자인에 서도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트롱프뢰유의 표현 유형 은 4가지로 분류되었다. 이는 가슴이나 몸통, 인체 내 부의 해부학적 표현 등 인체 이미지를 응용한 경우, 의복 디테일, 액세서리를 프린팅이나 자수로 재현한 경우, 의복의 형태나 창작 방식을 해체한 경우, 사실 적인 무늬를 다양한 아이템에 반복하는 경우로 나타 났다. 사실적인 표현을 위해 주로 프린팅(printing)이 나 니팅(knitting)의 방법이 사용되었고, 의복 형태의 착시를 위해 서로 다른 소재나 색상을 사용하거나 비 딩(beading)을 하기도 하였다.
컬렉션 자료 분석 결과, 남성 패션에 트롱프뢰유의 표현 유형은 의복의 형태 및 창작 방식 해체(41.5%) 가 가장 많았고, 의복 디테일을 재현(24.9%), 사실적 인 이미지 응용(19.6%), 인체 이미지 응용(14%)의 순 으로 나타났다. Kim and Ha(2016)는 경제 불안과 환 경오염을 초래하는 기존 가치와 규범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배경 속에서 해체주의 패션이 크게 성장하였다 고 하였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현상의 영향을 받아 남성 패션에서도 트롱프뢰유를 표현하는 데 있어 해 체주의 특성이 뚜렷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트롱프뢰유의 표현 유형을 바탕으로 트롱프뢰유를 이용한 현대 남성 패션 디자인에 담겨 있는 미적 특성 은 초현실성을 기본으로 한 유희성, 해체성, 장식성으 로 분석되었다. 첫째, 현대 남성 패션에 나타난 트롱 프뢰유는 일상적인 규칙의 위반이 모순, 부조화를 통 해 보는 이에게 쾌감, 놀라움, 우월감을 느끼게 해서 결과적으로는 웃음을 자아내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엄숙함, 숭고함 등 고전적인 이상미 이외에 유희를 수 반하는 디자인을 통하여 정신적 긴장을 풀게 하고, 인 간의 순수한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게 한다. 둘째, 착 장 방식의 변형 및 왜곡, 옷의 겉과 안을 뒤바꾸어 착 시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는 해체의 특성을 띠며, 이를 통해 획일화된 복식에서 탈피하여 패션 디자인 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해체적인 표현 방법은 기존의 전통과 규범을 의도적으로 거부하는 실험을 통하여 감상자에게 일상적인 것들을 낯설게 하여 충격을 준다. 셋째, 프린트나 엠보싱, 니팅 등의 방법으로 의복에 다양한 디테일을 표현함으로써 트롱 프뢰유는 디자인의 장식성을 보다 풍부하게 하였다.
트롱프뢰유는 발상의 전환을 통한 의외성과 환상 의 세계를 표현하며, 관객들에게 시 지각의 경험과 달 리 재미와 신비로운 시각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해체 적인 표현을 통해 획일화된 복식에서 탈피하여 패션 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풍부한 장식으로 독창 적인 디자인 감각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트롱프뢰유가 단순한 착시의 개념을 넘어선 조 형예술의 표현 방법으로써 현대 남성 패션에서 폭넓 게 사용되고 있으며, 독창적이고 재치 있는 패션 디자 인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트롱프뢰유뿐만 아니라, 예술의 다양한 표현 방법들이 패션 디자인에 더욱 다양하게 응용되어 창 의적인 디자인의 전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