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6 No.5 pp.727-743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8.26.5.727

Comparison of bodice prototypes of adolescent male students using 3D virtual simulation program

Su-Joung Cha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ashion & Clothing, Seo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carollain@seowon.ac.kr)
September 7, 2018 October 26, 2018 October 27, 2018

Abstract


In this study, we used the 3D simulation program to create bodice patterns for adolescents boy students and analyze the fitting and air gap through 3D s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bodice pattern method that best suited the body shapes of the adolescents mal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rench E pattern, Japanese N pattern, and Korean industrial L and J patterns. The applied size was the sixth Korean human body size survey data of 2010 Korea. The age range of the subjects was 13-18 years. DC Suite Program Ver. 5.1 was used, and SPSS 23.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hapes of the bodice patterns in the 3D simulation program, the E pattern had two waist darts on the front and one shoulder dart and one waist dart on the back, and the J and L patterns only had one dart on the back. The N pattern had no darts on either the front or back.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pattern, air gap, color distribution, and clothing cross-section, the E pattern was evaluated as the closest to the body, and the N pattern was evaluated as the pattern with the largest allowance. The J pattern was evaluated as the best fit for body shape of the male adolescen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attern system by adding extra ease in setting the center front length.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원형 비교

차수정
서원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조교수

초록


    I. Introduction

    청소년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청소년’은 어른과 어린이의 중간시기로, 흔히 청소년이라고 하면 만 13세에서 만 18세 사이의 사람을 칭한다. 즉, 중학교 1학년에 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이 포함된다(Seo, 2013). 청소년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성인과는 확실히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청소년은 그들 만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또래 집단의 정체성을 표 현하고 다른 집단과는 확실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는 청소년들의 외적 스타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청소 년에게 있어서 스타일이란 자신의 존재가치를 드러내 고, 타인과의 차별성을 구현하는 언어로써 일종의 사 회적 의미를 내포한 상징체계로 파악될 수 있다 (Kung, 2002).

    이는 교복문화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는데, 요즘 교 복은 ‘코르셋 교복’이라는 말로 표현될 정도로 ‘핏’을 과도하게 강조하여 너무 작아져 버린 교복이 유행하 고 있다. 과거에는 헐렁한 스타일의 교복이 일반적이 었으나, 현재에는 라인을 강조하는 스타일이 유행하 면서 교복이 기본적으로 작게 생산되고 있으며, 청소 년 사이의 문화로 인해 작은 교복을 더 작게 줄여 입 고 있다(Yoo & Kim, 2018). 또한, 최근 들어 남성들 사이에서도 ‘몸짱’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면서 남성들 의 다이어트와 몸매 가꾸기가 일반화되고 있으며, 신 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처럼 남성에게 있 어서도 몸매와 패션이 자신의 개성과 자아개념 등을 표출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남성도 여 성과 마찬가지로 자신을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한 의복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맞음새가 우수 한 의복을 개발하기 위한 의복 원형의 필요성 또한 증 대되고 있다.

    의복원형에는 길(bodice), 소매(sleeve), 스커트(skirt), 팬츠(pants) 원형 등이 있다(Im, 2003). 그 중에서도 보디스 원형은 상의의복 패턴을 제작하기 위해 기본 이 되는 원형이다. 청소년 남학생은 몸통의 수직길이 와 앞중심길이, 등길이 등이 증가하여 키에 대한 둘레 항목 중 가슴둘레, 겨드랑둘레의 비율은 증가하고, 허 리둘레 비율은 감소하며(Hyun & Nam, 2009), 어깨뼈 가 커지면서 어깨가 넓어져(as cited in Kim, 2004) 역 삼각형 체형으로 변화하는 등 상반신의 변화가 커지 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청소년 남학생의 체형특성을 고려한 보디스 원형의 개발을 통한 의복의 맞음새 향 상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보디스 원형에 관한 연구로는 교육용 보디스 원형 에 대한 연구(H.-J. Hong, 2015;Oh, 2012), 성인여성 용 보디스 원형 설계(J. U. Hong, 2015;Choi, 2008), 아동의 보디스 원형 설계(Choi, 2004;H. S. Kim, 2009), 남성용 보디스 원형 설계(Kim, 1992;Suh & Chun, 2004;Shin, 2007), 청소년 후기 여성의 보디스 원형(Jeon, 2018), 입체재단과 평면제도법에 의한 보 디스 원형 비교(Lee & Kang, 2004), 한중 성인여성 보 디스 원형 비교(Jin, 2009) 등이 있다. 그러나 청소년 남학생에 대한 보디스 원형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디지털클로딩센 터에서 개발된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DC Suite version 5.1을 사용하여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원형 패턴을 제작하고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맞음새 및 공극률을 분석하여 패턴 간의 차이를 알아봄으로 써 청소년 남학생의 체형에 가장 적합한 보디스 패턴 제도법을 선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 남학생 의 상의 의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Background

    1. Definition of adolescent and body characteristics

    청소년은 청년과 소년을 통칭하는 용어로 청소년 기본법에서는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을 청소년이 라고 정의하고 있다(Shin et al., 2012). 그러나 청소년 의 보호와 규제를 목적으로 하는 청소년보호법에서는 19세 미만을 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만 13세 에서 18세까지로 2차 성징이 나타나면서부터 성장이 급속화 되는 2차 급속성장기의 성장이 끝나 성인이 되기 전의 연령을 이르는 말이다. 사회, 문화 및 법적 규정에 따라 각각 조금씩 나이의 차이를 나타낸다. 진 화론을 토대로 Hall은 12~25세까지를 청소년기로 구 분하였으며, 심리사회적 이론에서 Erickson은 청소년 기를 12~18세로 정의하였다(as cited in Hong, 2005).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Hurlock은 11~13세를 전청소 년기, 13~17세를 초기 청소년기, 17~21세를 후기 청 소년기로 구분하고 있다(as cited in Hong, 2005). 청 소년은 신체적 성숙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정 서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청소년기에는 급격 한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되면서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 서 정서적으로 심한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청소년기 의 신체적 변화는 신체의 각 부위의 성장 속도가 동일 하지 않아 신체의 모든 부위가 균형적으로 성장하지 는 않으며, 개인별 성장 추이가 달라 자신과 다른 사 람의 신체와 외모를 비교 평가하면서 갑자기 변화하 는 자신의 신체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Cho, Jung, & Yoo, 1997).

    청소년의 신체적 변화를 살펴보면 신장과 체중이 증가하고, 가슴둘레가 커지며, 특히 두드러지는 것은 성적인 성숙이다. 청소년의 성장 급등 시기에 신장은 다리길이보다는 허리가 길어짐으로써 증가하며, 신체 각 부분의 성장은 머리, 손 그리고 발과 같은 신체의 말단부분이 먼저 발달하고 팔, 다리가 성장하게 된다 (Im & Han, 2000). 또, 남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분비로 어깨뼈가 커지면서 어깨 가 넓어지고 여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로 골반이 커지면서 엉덩이가 넓어 지게 된다(Shin et al., 2012). 남녀 체형의 차이는 12, 13세 무렵부터 명확하게 나타나, 여자 청소년은 지방 질이 증가되어 ‘둥근’ 체형으로 바뀌게 되고, 남자 청 소년은 체지방을 잃게 되어 ‘모난’ 외모를 지니게 된 다(Cha, 2005). 또, 청소년의 신체성장은 신체 부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수직적 성장이 먼저 이루어지고, 수평적 성장은 그 이후에 이루어진다 (Jeong & Seo, 2005). 남자 청소년의 신체발달이 여자 보다 늦은 시기에 나타나며, 13세에 신체적 변화가 급 격히 나타나 14세에 최고조에 이르다가 16세가 되면 서서히 낮은 속도로 성장이 나타난다. 체중이 먼저 증 가하고 4~6개월 후에 키가 급격히 자라게 되며, 신장 이 성장한 후 1년이 지나면 근육의 성장이 나타난다 (Choi, 2000).

    Hyun and Nam(2009)에 따르면, 청소년 남학생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슴편평율은 작아지고 허리편평 율과 엉덩이편평율의 경우 13세 이후로 17세까지 편 평율이 감소하다가 18세에 증가하였다. 하반신 높이 를 나타내는 항목에서는 지수값이 점차 감소하였으 며, 길이항목의 경우, 몸통수직길이와 앞중심길이, 등 길이 등은 증가하는 반면, 다리가쪽길이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키에 대한 상반신 길이의 비율이 증가 하고, 하반신 길이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레항목의 경우, 키에 대한 둘레항목 중 가슴둘 레, 겨드랑둘레, 위팔둘레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였 으나, 허리둘레의 비율이 점차 감소하여 역삼각형의 체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어깨너비와 가슴너비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반면, 허리두께와 허리너비의 비율은 15~16세 정도까지 감소하다가 17~18세 사이에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02)는 13~15세의 남자 중학생의 체형을 3개 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 1유형은 하체길이가 길 고 날씬하며 상체가 발달한 체형이고, 제 2유형은 중 간 체격에 비교적 키가 크고 둔부길이가 짧은 체형이 었다. 제 3유형은 키가 비교적 작고 통통한 체형으로 분류되었다. Hong and Seo(2008)는 청소년기 남학생 의 하반신을 3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 1유형은 전 반적으로 큰 체형으로 둘레, 너비, 두께 항목과 앉은 엉덩이오금수평길이가 가장 크며, 높이와 길이항목은 보통인 체형이다. 제 2유형은 보통 체형이며, 둘레, 너 비, 두께 항목이 보통이며 높이와 길이항목은 가장 큰 체형이다. 제 3유형은 가장 작은 체형으로 둘레, 너비, 두께 항목이 가장 작고 엉덩이수직길이, 엉덩이옆길 이, 샅앞뒤길이도 가장 작은 체형이었다. Cha(2018a) 는 13~18세 청소년 남학생의 상반신 체형을 3개의 유 형으로 분류하였다. 제 1유형은 상반신이 넓고 두꺼 우며, 상반신 높이나 길이는 중간 정도이고, 어깨길이 가 짧은 ‘좁은 어깨 사각 체형’이었고, 제 2유형은 상 반신이 마르고 어깨기울기가 완만하며, 상반신 높이 나 길이가 긴 체형으로 ‘완만한 어깨 마르고 긴 체형’ 이었다. 제 3유형은 상반신이 마르고 짧은 편이나 어 깨길이는 길고 어깨가 많이 기울어진 ‘처진 어깨 역삼 각형 마른 체형’이었다.

    2. Study of bodice prototype

    의복원형이란 인간의 동적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체에 밀착되는 기본 옷을 말하며, 의복 원형은 길(bodice), 소매(sleeve), 스커트(skirt), 팬츠 (pants)의 기본 원형으로 이루어진다(Im, 2003). 보디 스(bodice)는 의복의 허리 위 몸통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로, 보디스 원형은 의복구성을 위한 기본 원형으 로 사용된다. 보디스 원형의 제작은 드레이핑(draping) 과 드래프팅(drafting)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드레 이핑은 인대에서 광목을 사용하여 직접 원형을 만드 는 입체재단법이고, 드래프팅은 단촌식과 장촌식, 그 리고 병용식이 있다(Choi & Nam, 2006).

    보디스 원형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Oh(2012)는 교육용 원형 이형숙식, 강순희식, 어미경식, 문화식 (박혜숙 역), 문화식(조영아 역), 임원자식, ESMOD식 등 9종의 원형 중 착의 평가를 실시하여 우수한 원형 제도법을 선택하여 보디스 원형을 설계하였다. Cha and Kang(2013)은 가상착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화식, 암스트롱식, 우리나라 산업체의 온 앤온식 패턴을 제작하여 패턴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J. U. Hong(2015)은 전은경과 권숙희식, 남윤 자식, 이승렬식 원형을 분석하여 연구원형을 설계한 후 착의실험을 거쳐 최종 보디스 원형을 개발하였다. Choi(2004)는 라사라식, 문화복장학원식, 한국산업인 력공단에서 제시한 패턴 제도 방식을 사용하여 착의 실험을 거쳐 연구원형을 개발하였다. 착의실험을 거 쳐 학령후기 여아의 최종 보디스원형을 개발하였다.

    Shin(2007)은 20대 남성의 보디스 원형을 ESMOD 보디스 원형 제도법을 수정 보완하여 개발하였다. 기 존 ESMOD 보디스 원형과 비교한 결과, 한국 성인 남 성의 보디스 원형은 앞중심길이와 엉덩이길이가 길 고, 어깨길이가 약간 작고 목깊이와 겨드랑파임정도 가 좀 더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Suh and Chun(2004) 은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디스 원형 설계 방법을 연구하였는데, 인체 표면 스캔 데이터를 전개하는 방식에 따라 제도하였다. 20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화복장학원의 남성 재킷 제도 원형과 비교한 결과, 앞품과 앞목너비는 연구원형이 작고, 앞길이, 등길이, 뒤목너비, 뒤목깊이는 비교원형 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문화복장학원의 패턴보다 표면 스캔 방식을 사용하여 맞음새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3D simulation program

    3차원 가상착의 프로그램이란 가상(virtual)의 공간 에서 원부자재의 특성, 2차원적 평면패턴, 재봉의 정 보로부터 3차원 적용대상에 실제처럼 의복이나 제품 을 착용해볼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컴퓨터라는 가 상의 공간 안에서 디자인한 제품을 정확히 분석하고 실물을 제작할 수 있어 업무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시행착오를 줄여 주어 제품개발 비용 감축 등에 효율적인 시스템이다(Sung, 2018). 인터넷 쇼핑몰의 가상착의와 인간공학적인 디자인을 위한 제품 모델링 이 확대되면서 가상 착의 시스템은 샘플 제작과 신속 성, 전자상거래를 통한 의류구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업체 및 학계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3차원 가상착의 프로그램은 이스라엘 Optitex의 3D Runway Designer, Browzwere의 V-Stitcher, 일본의 Technoa의 i-Designer, 한국 클로의 CLO 3D, D&M Technology 의 Narcis, (주)피센의 DC-Suite, 프랑스 Lectra의 3D fit 등이 있다. 3D Runway Designer는 패턴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실시간으로 3차원 의복 으로 제작하여 착의가 가능하다. V-Stitcher는 어패럴 CAD 시스템인 Gerber와 높은 호환성을 가진다. i- Designer는 dxf 파일 형식의 2차원 CAD 데이터를 가 져와 봉제조건 및 직물의 물성을 지정하여 3차원으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CLO 3D는 Yuka Super Alpha, Optitex, Gerber AccuMark, Lectra System, Style Cad, PAD System 등 패턴 캐드와 dxf 파일로 호환이 가능하고 기존의 의류 기업 프로세스에 적용이 용이하다(Jeon, 2018). DCSuite의 경우, 서울대학교 디지털클로딩센터에서 개 발된 프로그램으로 패턴제작이 용이하며, 정교한 시 뮬레이션 및 소재의 물성 재현이 가능하다. 또, 부위 별 공극률 측정 및 의복압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 N. Kim, 2009).

    3차원 가상착의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제착 의와 가상착의를 비교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Yin (2015)은 Optitex, CLO 3D, i-Designer 3개의 가상착 의 프로그램으로 실제착의 상태와 비교한 결과, 외관 유사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맞음새 정도 에 있어서는 조금 나쁜 경우에는 표현이 잘 되지 않았 으나, 매우 나쁜 경우에는 외관으로 잘 표현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미세한 주름에 대한 표현 기능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로 외관 등에 대한 유사도는 높게 나타났다. Cha(2014)는 플레어스커트의 실제와 가상 착의를 비교한 결과, 대체적으로 실제와 가상이 유사한 평가를 얻어 3차원 가상 착의 시뮬레이션의 활용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Ⅲ.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원형 비교 분석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디지털클로딩센터에서 개 발한 (주)피센의 DC Suite version 5.1 program을 사 용하였다. 프로그램 상의 2D창에서 패턴을 설계하고 패턴의 형태 및 치수를 비교하였다. 또, 3D창에서 가 상 착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착상상태 및 맞음새, 여유 량과 공극량 등을 분석하였다.

    1. Study of subject

    본 연구를 위한 보디스 원형으로 선행연구(Cha & Kang, 2013;Shin, 2007)를 참고하여 교육용으로 사용 되는 프랑스식 E패턴과 문화식 N패턴, 그리고 우리나 라 산업체식 L패턴과 J패턴 등 4개를 선정하였다. 청 소년만을 대상으로 한 보디스 원형 제도법은 따로 없 어서 일반적인 남성용 보디스 원형 제도법을 선정하 였다.

    2. Application size

    본 연구의 적용 치수는 Size Korea의 2010년 제 6 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대상 연령은 13~18세이며, 연구대상 2,317명의 평균치수를 사용하였다. 대상 연령은 선행연구(Cha, 2018a;Choi, 2015;Hong, 2005;Kim, 2016)를 바탕으로 전체 청소 년을 선정하였다. 키 166.79cm, 몸무게 59.81kg, 앞중 심길이 34.60cm, 등길이 40.32cm, 겨드랑앞벽사이길 이 32.92cm, 겨드랑뒤벽사이길이 38.51cm, 목둘레 34.05cm, 가슴둘레 84.53cm, 젖가슴둘레 91.76cm, 허 리둘레 72.66cm로 나타났다(Table 1). 신체치수를 조정 하여 키 167.0cm, 몸무게 60.0kg, 앞중심길이 35.0cm, 등길이 40.0cm, 겨드랑앞벽사이길이 33.0cm, 겨드랑뒤 벽사이길이 38.5cm, 목둘레 34.0cm, 가슴둘레 85.0cm, 젖가슴둘레 92.0cm, 허리둘레 73.0cm를 적용하였다 (Table 1).

    3. Study method and program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디지털클로딩센터의 DC Suite Program version 5.1을 사용하였다. 가상착 의프로그램 상에서 보디스 패턴을 제작한 후, 청소년 남학생의 상반신 신체사이즈를 적용하여 아바타를 제 작하였다. 제작된 보디스를 아바타에 착용하여 가상 착의평가를 통해 패턴 간의 부위별 치수 및 착의상태 (여유량, 공극량 등)를 비교․분석하였다. 가상착의평 가는 2018년 8월 가상착의한 상태를 LCD 43인치 모 니터상에서 의복구성학 전문인 5명으로 구성된 평가 자에게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은 앞면 15항목, 옆면 9항목, 뒷면 15항목, 전체적 외관 1항목, 기타 2 항목 등 총 40항목으로 구성되었다. Likert type의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매우 적합(5점), 적합(4점), 보통(3 점), 부적합(2점), 매우 부적합(1점)으로 각 평가항목 마다 해당점수를 표기하게 하였다.

    4. Virtual model

    디지털 가상 모델 아바타를 제작하기 위하여 DC Suite의 Body에서 제공되는 SS 바디를 불러온 후 Size Korea의 2010년 제 6차 한국인인체치수 조사 데 이터의 13~18세 청소년 남학생의 평균 치수 정보를 입력하였다. 치수 수정 및 보정 과정을 거친 후에 가 상 모델로 사용하였다(Fig. 1, 2; Table 2).

    5. Physical properties

    본 연구에 적용된 소재의 물성은 <Table 3>과 같다.

    6. Data analysis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패턴 형태의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해 패턴의 부위별 치수 및 형태를 비교하였다. 가상착의 후 전문가가 외관 및 색분포도를 통한 맞음 새를 평가하였다. 외관평가 결과는 SPSS 23.0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항목별 기술통계 분석, 유의차 검정, 신뢰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 본 연구 에서는 객관적인 3차원 디지털 형상의 평가를 위해 공극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극량 분석을 위하여 DC Suite에서 공극길이를 측정하였다. 계측부위는 가슴 둘레, 허리둘레를 주요 부위로 선정하였다. 계측각도 는 선행연구(Cha, 2018b)를 참고하였다. Torso 부분은 30°간격으로 앞중심(F), 오른쪽 앞사선(FR0°, FR30°, FR60°), 왼쪽 앞사선(FL0°, FL30°, FL60°), 오른쪽 옆 선(SL60°), 왼쪽 옆선(SL90°), 뒤중심(B), 오른쪽 뒤사 선(BR0°, BR30°, BR60°), 왼쪽 뒤사선(BL0°, BL30°, BL60°)에서 측정하였다(Fig. 3).

    Ⅳ. Result and Discussion

    본 연구는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DC Suite version 5.1을 사용하여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패턴 을 제작한 후, 가상 착의를 통해 외관 및 맞음새, 여유 량과 공극량 등의 패턴 간 차이를 비교․분석해보고 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omparison of pattern shape and size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상의 패턴창에서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패턴을 제작하여 그 형태를 비교해 본 결과, E패턴은 앞판에 2개의 허리다트와 뒤판에 1 개의 어깨다트, 1개의 허리다트를 가지고 있고, J패턴 은 앞판에는 다트가 없으며, 뒤판에만 1개의 허리다 트를 가지고 있었다. L패턴은 앞판에는 다트가 없으 며, 뒤판에는 1개의 어깨다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N 패턴은 앞판과 뒤판 모두 다트가 없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Fig. 4).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패턴 제도법을 살펴본 결 과, 가슴둘레 설정에 있어서 N패턴이 가장 여유가 많 았으며, E패턴이 가장 여유량이 적은 몸에 밀착되는 원형임을 알 수 있다. 뒤목너비의 설정에 있어서 E패 턴의 경우에는 목둘레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L패턴과 N패턴은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J패 턴의 경우에는 평균 체형을 기준으로 기준 치수를 적 용하여 패턴을 제작하여 차이를 나타냈다. 뒤목높이 설정에서도 E패턴은 뒤목너비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J패턴, L패턴, N패턴의 경우에는 각각 2.5cm, 2.5cm, 2.0cm 등 치수를 적용하였다. E패턴의 경우, 신체치 수에 따라 뒤목너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다른 패턴의 경우에는 표준 사이즈를 기준으 로 정해진 치수를 대입하여 패턴을 제작하도록 되어 있어 표준 사이즈가 아닐 경우에는 치수의 조정이 필 요하였다. 앞목너비의 설정도 E패턴은 목둘레 치수를 기준으로 하였고, L패턴과 N패턴은 뒤목너비를 기준 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앞품과 뒤품의 설정에 있어서 는 E패턴, J패턴, L패턴은 각각의 신체부위 치수를 기 준으로 하였으나, N패턴은 가슴둘레 치수를 적용하여 계산식을 통해 산출하였다(Table 4).

    패턴치수를 비교한 결과, 먼저 뒤중심길이의 경우, N패턴이 41.75cm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E패턴 40.37cm, J패턴과 L패턴 40.32cm로 N패턴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뒤가슴둘레는 N 패턴이 가장 큰 24.93cm이었으며, 다음이 L패턴 24.50 cm, J패턴 23.60cm, E패턴 21.60cm의 순으로 나타나 E패턴이 가장 신체에 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옆선길이는 E패턴이 20.73cm로 가장 길었으며, N 패턴이 18.19cm, J패턴 17.52cm, L패턴 17.32cm의 순 으로 분석되었다. 뒤허리둘레는 N패턴이 가장 큰 24.93cm이었으며, E패턴이 가장 작은 17.71cm로 나 타났다. 이는 패턴의 형태와도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E패턴은 앞뒤허리다트를 가지고 있어 몸에 밀 착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N패턴의 경우에는 앞 뒤 모두 허리다트가 없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허리둘 레 치수에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어깨길이의 경우에 도 N패턴은 13.43cm, L패턴 13.29cm, J패턴 12.96cm, E패턴 12.41cm로 N패턴의 어깨길이가 가장 길고, E 패턴의 어깨길이가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진 동둘레는 J패턴이 가장 큰 23.85cm이었으며, E패턴이 가장 작은 19.86cm로 나타났다. 앞중심길이는 E패턴 이 34.61cm로 가장 길었으며, J패턴이 31.32cm로 가 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허리둘레도 뒤허리둘레 와 마찬가지로 N패턴의 경우 허리다트가 없어 가장 컸으며, E패턴은 앞에 2개의 다트로 구성되어 가장 작은 치수를 나타냈다. 앞진동둘레는 N패턴 24.37cm, L패턴 23.90cm, J패턴 22.91cm, E패턴 17.37cm의 순 으로 나타나 N패턴이 가장 크고, E패턴이 가장 작았 다. 앞뒤목둘레도 E패턴이 가장 작아 목에 꼭 맞았으 며, L패턴이 가장 큰 목둘레를 가지고 있었다. J패턴 은 20.99cm, N패턴은 20.41cm로 나타났다. 실제 청소 년 남학생의 목밑둘레는 39.78cm로 N패턴이 신체치수 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턴 치수를 비교해 본 결과, N패턴이 가장 여유가 많고, E패턴이 가장 몸 에 밀착되는 패턴임을 알 수 있다(Fig. 5; Table 5).

    2. Evaluation of 3D simulation

    1) Evaluation of appearance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패턴 E, J, L, N식 패턴의 가상착의상태 외관모습은 <Fig. 6>과 같으며, 외관평 가결과는 <Table 6>과 같다.

    3D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상에서 가상착의를 실시 한 후 외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뒤어깨다트의 위치 및 길이에 대한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패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면의 경우, 먼저 앞목둘레의 여유는 4개 패턴 모 두 보통 정도로 평가되었다. 앞가슴부분의 여유는 J패 턴과 L패턴은 보통 정도로, N패턴은 나쁨으로 평가되 었다. E패턴은 보통과 나쁨의 중간 정도로 평가되었 다. 앞허리의 여유에서는 J패턴이 3.4로 가장 높았으 며, E패턴은 1.4, L패턴은 1.8, N패턴은 1.0으로 앞허 리부분의 여유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 진동의 여유는 J패턴과 L패턴은 각각 3.4와 3.2로 평 가되었으며, E패턴은 1.6, N패턴은 1.2로 낮게 평가되 었다. 전체 정면의 여유는 J패턴인 3.6으로 가장 우수 하였으며, N패턴이 1.4로 가장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 났다.

    앞중심의 수직정도는 J패턴이 4.6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E패턴, L패턴, N패턴은 각각 3.6, 3.8, 3.2로 우수한 편으로 평가되었다. 앞목둘레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한 평가에서는 J패턴과 N패턴이 3.6으로 높 게 평가되었고, L패턴은 1.8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어깨길이는 J패턴이 4.2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N패턴 이 1.4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앞가슴둘레의 수평에 서는 J패턴과 L패턴이 4.0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 었고, 앞허리둘레의 수평에서는 J패턴이 4.6으로 우수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앞전체의 외관에 대해서는 J패 턴과 L패턴이 높은 평가를 받고, E패턴과 N패턴은 적 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측면의 경우, 옆어깨, 옆가슴, 옆등, 옆허리의 여유 에서 J패턴과 L패턴이 우수하게 평가되었으며, E패턴 과 N패턴은 낮은 평가를 받았다. 전체적인 측면의 여 유에서 J패턴은 4.4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E패턴과 L 패턴은 2.0, N패턴은 1.2로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 다. 어깨선의 위치, 진동깊이의 파임, 진동둘레의 자 연스러움 등에서도 J패턴이 가장 우수하여 어깨선의 위치도 바르고 진동깊이도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 다. 옆솔기선이 바르게 놓여 있는가하는 항목에서는 J패턴이 3.8로 가장 높은 평가를, N패턴이 1.4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측면 가슴둘레선과 허리둘레선 의 수평 항목에서는 대체적으로 4개의 패턴 모두 낮 은 평가를 받아 측면의 가슴둘레선과 허리둘레선이 수평을 이루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옆 전체 외관에 서는 J패턴이 4.0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N패턴 이 1.0으로 매우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다.

    후면의 경우, 뒤목, 뒤어깨, 등부위, 뒤허리의 여유 에서 J패턴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다음이 L패턴, E패턴, N패턴의 순으로 나타났다. 뒤중심선의 수직은 N패턴을 제외하고 대체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 났다. 뒤목밑둘레선의 모양과 뒤가슴둘레선의 수평에 서도 J패턴이 우수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뒤허 리둘레선의 수평에서는 E패턴, J패턴, L패턴 모두 보 통 정도로 평가되어 대체로 다른 항목에 비해 낮은 평 가를 받았다. 뒤전체 외관은 J패턴이 4.2로 매우 우수 하였으며, N패턴이 1.2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면, 측면, 후면의 각 부위별 맞음새에 대한 외관 평가를 실시한 결과, J패턴이 전체적인 맞음새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E패턴과 N패턴은 청소 년 남학생의 체형에 부적합한 패턴으로 평가되었다 (Table 6).

    2) Evaluation of ease

    3차원 가상착의상태의 여유량을 알아보기 위해 색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파란색은 여유량이 많은 상태 를 나타내고, 연두색은 조금 당기는 상태, 빨간색은 여유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여유가 없이 신체 에 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E패턴의 경우, 겨드랑이 아랫부분의 진동둘레와 가 슴둘레부위에 당김현상이 발생하였으며, J패턴은 목 옆부위와 어깨부위에 당김현상이 발생하였다. L패턴 은 어깨가쪽부분에 당김현상이 발생하였으며, N패턴 은 J패턴과 마찬가지로 목옆부분과 견갑골부분에 당 김현상이 발생하였다(Fig. 7).

    3) Evaluation of airgap

    3차원 가상착의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 여 청소년 남학생 보디스 원형의 허리부분과 가슴부 분 공극량을 분석하였다. 가상착의상태 부위별 단면 도는 <Fig. 8>과 같다. 보디스 패턴별 공극량은 <Table 7>과 같다.

    패턴의 부위별 착의 단면도를 살펴보면, 먼저 가슴 둘레의 경우, J패턴과 L패턴이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 지고 신체를 따라 잘 맞는 것을 볼 수 있다. E패턴의 경우에는 신체를 따라 밀착되어 있으며, N패턴의 경 우에는 여유가 많아 신체에서 공간을 두고 의복이 입 혀짐을 알 수 있다. 허리둘레부위의 경우 E패턴은 여 유가 없이 신체에 밀착되고, J패턴은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L패턴과 N패턴의 경우에는 신체 와 많은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뒤부분과 옆부분의 공간이 많았다.

    패턴별 의복의 공극량을 평가한 결과, 가슴둘레부 분은 F지점은 공극량이 .22, .39, .20, .33으로 이 J패 턴이 가장 공극량이 컸으며, L패턴이 가장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FR0와 FL0 부위에서는 N패턴 의 공극량이 컸으며, E패턴이 가슴둘레 부분의 공극 량이 모든 부위에서 대체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 슴둘레부분의 전체적인 공극량을 살펴보면 E패턴 .065, J패턴 .13, L패턴 .14, N패턴 .21로 나타나 N패턴, L패턴, J패턴, E패턴의 순으로 공극량이 큰 것으로 나 타났다. 허리둘레부분은 BL0, B, BR0, Br30, BL30, BR60 등의 부위에서 L패턴과 N패턴의 공극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부위에서 E패턴의 공극량이 .14이하로 적게 나타났다. 허리둘레부분의 전체적인 공극량은 E패턴 .082, J패턴 .19, L패턴 .33, N패턴 .34로 E패턴이 가장 허리둘레를 따라 밀착되었으며, N패턴이 가장 여유가 많은 패턴으로 평가되었다.

    Ⅴ. Conclusion

    3차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상에서 제작된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패턴의 형태를 비교한 결과, E패턴 은 앞판에 2개의 허리다트와 뒤판에 1개의 어깨다트, 1개의 허리다트를 가지고 있고, J패턴과 L패턴은 뒤 판에만 1개의 다트를 가지고 있었다. N패턴은 앞판과 뒤판 모두 다트가 없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Hong (2013)은 성인남성의 토르소 원형을 개발하였는데, 앞 판 허리다트 1개와 뒤판 어깨다트 1개와 허리다트 1 개를 가진 원형을 개발하였고, No(2015)는 앞판과 뒤 판에 각각 1개의 허리다트를 가진 원형을 개발하였 다. 청소년 남학생의 보디스 패턴 제도법을 살펴본 결 과, 가슴둘레 설정에 있어서 N패턴이 가장 여유가 많 았으며, E패턴이 가장 여유량이 적었다. 뒤목너비의 설정에 있어서 E패턴의 경우에는 목둘레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L패턴과 N패턴은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하 여 설정하였다. 앞목너비의 설정도 E패턴은 목둘레 치 수를 기준으로 하였고, L패턴과 N패턴은 뒤목너비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앞품과 뒤품의 설정에 있 어서는 E패턴, J패턴, L패턴은 각각의 신체부위 치수 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N패턴은 가슴둘레 치수를 적 용하여 계산식을 통해 산출하여 차이를 나타냈다.

    패턴의 정면, 측면, 후면의 각 부위별 맞음새에 대 한 외관 평가를 실시한 결과, J패턴이 전체적인 맞음 새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E패턴과 N패 턴은 청소년 남학생의 체형에 부적합한 패턴으로 평 가되었다. 패턴의 맞음새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 해 색분포도, 착의단면도, 공극량을 살펴본 결과, E패 턴은 가장 신체에 밀착되는 원형으로 평가되었으며, N패턴은 여유량이 가장 많은 패턴으로 평가되었다. 프랑스 14~18세 청소년 남학생의 경우 키가 165cm, 가슴둘레 85.09cm, 허리둘레 78.74cm(French Toast, 2018)로, 우리나라 청소년 남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우 리나라의 경우는 키 166.79cm, 가슴둘레 84.53cm, 허 리둘레 72.66cm로 키는 우리나라 청소년 남학생이 더 크고 가슴둘레와 허리둘레는 프랑스 청소년 남학생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E패턴의 경우, 다른 패턴에 비해서 여유량이 없이 몸에 밀착되는 패턴이 어서 대체적으로 맞음새가 좋지 않게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Shin(2007)은 E패턴을 사용하여 성인 남성의 보디스 원형을 개발하였는데, 한국 성인 남성의 경우 E패턴을 사용하였을 시 패턴에서 앞중심길이와 엉덩 이길이가 부족하였고 어깨길이는 길었다. 또, 목깊이 와 겨드랑파임정도가 부족하여 그 부분에 대한 수정 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 남학생에게 적용 하였을 시 마찬가지로 목둘레와 진동둘레 부위에 당 김현상이 발생하고, 목둘레와 진동둘레 부위에서 낮 은 평가를 받아 이 부분에 대한 수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깨길이는 청소년 남학생의 경우 어깨너비의 성장이 두드러지는 시기이므로(Hyun & Nam, 2009) E패턴 사용 시 어깨길이가 부족하였다. J패턴이 외관평가, 색분포도, 착의단면도, 공극량을 통해 청소년 남학생의 신체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 가되었다. 그러나 앞중심부위가 허리둘레선 부위에서 수평을 이루지 않고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나 앞중심 길이 설정 시 여유분을 더하여 패턴제도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남학생의 체형에 가장 적합 한 패턴제도법을 선정하고자 4개의 패턴을 비교 분석 하였다. 그 중 가장 우수한 패턴으로 J패턴이 선정되 었으나, 청소년 남학생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패 턴 제도법을 수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 는 실제 착의실험을 통한 청소년 남학생용 보디스원 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RJCC-26-727_F1.gif

    Production process of a virtual body

    RJCC-26-727_F2.gif

    Final virtual model

    RJCC-26-727_F3.gif

    Measurement methods of pore space between body and pants (hip parts)

    RJCC-26-727_F4.gif

    Bodice pattern

    RJCC-26-727_F5.gif

    Pattern measurement bodice

    RJCC-26-727_F6.gif

    Wearing simulation

    RJCC-26-727_F7.gif

    Color distribution

    RJCC-26-727_F8.gif

    Cross section

    Table

    Application size of bodice pattern (Unit: cm, kg)

    Size of virtual model

    Physical properties of subject (Unit: %, kgf/cm2)

    Method of bodice pattern drawing (Unit: cm)

    Pattern size (Unit: cm)

    Evaluation of appearance (N=5)

    Airgap (단위: %)

    Reference

    1. Cha, S. J. (200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brassiere wearing for girl student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brassiere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 Cha, S. J. (2014). A study on comparing visual images between real and 3D simulation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5(6), 707-722.
    3. Cha, S. J. (2018a). A study on the types of upper body shape of adolescent boy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4(3), 637-650.
    4. Cha, S.-J. (2018b). Comparison of middle-aged women s bodice pattern using 3D data: Focused on the DC Suite progra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3(1), 91-102. doi:
    5. Cha, S. J. , & Kang, Y. K. (2013). Comparison of basic bodice block for adults women by 3D simulation: Focus of the DC Suite Program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2), 63-81. doi:
    6. Cho, B. H. , Jung, O. B. , & Yoo, G. H. (1997). 인간발달: 발달 심리적 접근 [Human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ical approach]. Seoul: Gyomoonsa.
    7. Choi, H. J. , & Nam, Y. J. (2006). 의복구성원리 [Principles of apparel construction].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8. Choi, K. S. (2000).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 adolescence. Seoul: Gyomoonsa.
    9. Choi, S.-Y. (2004). The design of bodice original form for tween generation juvenile. Unpublished master 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10. Choi, S. Y. (201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girls breast growth using 3D body scan data: Focused on the aged from 13 to 18. Unpublished master 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1. Choi, Y.-O. (2008).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nit bodice & sleeve block for the Chinese adult women: Focused on the women in their early 20s in Shanghai. Unpublished master s thesis, Sookmyung Women s University, Seoul, Korea.
    12. French Toast. (n.d.). Size chart: Boys. Retrieved October 10, 2018, from https://www.frenchtoast.com/category/customer+service/size+chart/boys.do
    13. Hong, E. H. (2005). A study on the slacks basic pattern and the lower sizing system for lower garments according to lower body types of adolescent boys. Unpublished master 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4. Hong, E. H. (2013). Development of tight-fit torso patterns according to adult men s somatotype using surface flattening of 3D body scan data: Using a 3D virtual garment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5. Hong, E.-H. , & Seo, M.-A. (2008). A study on the sizing system for lower garments according to lower body typed of adolescent boy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6), 1035-1049.
    16. Hong, H.-J. (2015). Study on basic bodice pattern evaluation for educational purpo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Island, Korea.
    17. Hong, J. U. (2015). Study on basic pattern design and wearing test improvement: Based on analysis of somatotype for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Island, Korea.
    18. Hyun, E. K. , & Nam, Y. J. (2009). A study on changes of body measurements in teenage boys: Focused on ages 13 to 18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6), 58-71.
    19. Im, W. J. (2003). 의복구성학: 설계 및 봉제 [Clothing construction] (Rev. ed.). Seoul: Gyomoonsa.
    20. Im, Y. S. , & Han, S. C. (2000). 청소년 심리의 이해 [Understanding of youth psychology]. Seoul: Hakmunsa.
    21. Jeon, S. Y. (2018). Development of the bodice pattern for late adolescent using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 s University, Seoul, Korea.
    22. Jeong, H.-Y. , & Seo, M.-A. (2005). Somatotype classification of early adolescent girls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3), 329-343.
    23. Jin, C.-A. (2009). A study on the standard bodice block for Korean and Chinese adul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4. Kim, A. N. (2009).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the virtual clothing materials using a digital clothing program. Unpublished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 s University, Seoul, Korea.
    25. Kim, D. K. (2016). Analysis of adolescent girls’ body maturity trend & comparison of the bodice pattern fitness. Unpublished mater 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6. Kim, H. S. (2009). Development of upper garment prototype for girls in late elementary scho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9), 16-25.
    27. Kim, K.-A. (2014). Apparel sizing system based on the body shape classification for early adolescent boy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8. Kim, M. K. (1992). 석고법에 의한 남성복 bodice원형의 피복인간공학적 접근 [Men’s clothing by the gypsum method bodice rounded cloth ergonomic approach]. Unpublished master 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 보고서 [The sixth human body measurement report]. Size Korea, Retrieved August 1, 2018, from http://sizekorea.kr/page/report/2
    30. Kung, S. Y. (2002). 청소년 패션 스타일의 하위문화적 의미 [Subcultural meaning of youth fashion style]. Unpublished master 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1. Lee, K.-M. (2002). A study on sizing system for the school uniforms of middle-school boy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2. Lee, M.-H. , & Kang, J.-H. (2004). A study on comparison of bodice patterns by draping and flat pattern method . The Journal of Living Culture Research, 18, 27-44.
    33. No, Y. M. (2015). Development of torso block for men in their twenties using 3D human body shape dat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4. Oh, S.-Y.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men’s basic clothing pattern for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5. Seo, K. H. (2013). Social welfare dictionary (Rev. ed.). Paju: Edam Books.
    36. Shin, H. J. (2007). Development of original type of men’s wear bod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7. Shin, H. K. , Park, E. J. , Ahn, S. R. , Nam, J. S. , Lee, S. Y. , Im, J. T. , ..., & Han. H. S. (2012). 경찰학사전 [Police dictionary]. Paju: Bubmunsa.
    38. Suh, D.-A. , & Chun, J.-S. (2004). Men’s bodice pattern making method using 3-D body scan data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2), 290-299.
    39. Sung, S. H. (2018). Slacks pattern design and virtual fitting evaluation for elderly men using 3D human body scan dat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nam University, Gyeongsangbuk-do, Korea.
    40. Yin, S.-Y. (2015). A comparison of fit and appearance between real clothing and virtual clothing depending on types of virtual clothing program, body shape and fit sta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41. Yoo, D. G. , & Kim, J. H. (2018, July 30). 헐렁하면찐따, 불편해야 잘 팔려요… ‘코르셋 교복’ 딜레 마 [If you are loose, you should be comfortable with the inconvenience... ‘Corset uniforms’ dilemma]. Seoul Newspaper, Retrieved August 14, 2018, from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730015002&wlog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