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6 No.1 pp.19-29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8.26.1.019

Sociocultural meanings of flapper look

Yhe Young Lee†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young509@ korea.ac.kr
20180125 20180213 2018021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flapper look in American society during the 1920s. Using the ProQuest database, I searched articles from The New York Times published between 1920 and 1929 for opinions and discussions on the flapper look. Keywords included “clothing,” “dress,” “fashion,” and “flapper,” and advertisements and articles on menswear, leisurewear, and bathing suits were excluded. In the resulting articles, I extracted the following sociocultural meanings: autonomy, activeness, practicality, attractiveness, and extravagance. Meanings were analyzed from the opinions and discussions focusing on skirt length, dresses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exposed the body, heavy make-up, non-constricting underwear, the H-line dress, bobbed hair, hygiene, comfort, and consumption. In sum, the 1920s flapper look represented progressive characteristics such as autonomous and active womanhood and practicality, which match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time. However, the flapper look was commercialized and exploited to make women look attractive and extravagant. Even though American women had access to higher education, more economic power, and suffrage in the 1920s, they we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overcome social conventions and the power of consumerism. Understanding the double-sidedness of flapper look within the social context of the time would enhance the compreh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lifestyles and changing fashion.


플래퍼 룩의 사회 문화적 의미 고찰
- The New York Times 기사를 중심으로 -

이 예 영†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Korea University

    I.Introduction

    옥스포드 사전(Oxford Advanced American Dictionary)에 의하면 플래퍼(flapper) 란 모던한 사고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 즐기기를 좋아하고 유행 패션을 따르는 1920년대의 젊은 여성을 의미한다(Flapper, 2018). 또한 The Fairchild Dictionary of Fashion에서도 플래퍼를 짧은 치마로 된 몸에 붙지 않는 드레스에 짧은 머리를 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 반의 유행패션 추종 여성으로 정의하였다(Calasibetta & Tortora, 2003). 반면 Cho(1984)는 플래퍼를 미국의 신여성으로 지칭하면서 프랑스의 가르손느(garçonne), 이탈리아의 마스끼에따(maschietta), 영국의 스쿨 보 이시 걸(school boyish girl)과 함께1920년대의 숙녀나 소녀를 의미한다고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래 퍼를 기존과 다른 새로운 사고방식과 유행패션을 한 1920년대의 젊은 신여성으로 규정하고, 플래퍼 룩(flapper look)은 1920년대 젊은 신여성이 착용했던 유행 패션이라 정의하겠다. 또한 세계 1차대전 이후 재건 의 시간을 가졌던 유럽과는 달리 눈부신 발전을 경험 한 미국의 플래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플래퍼 룩을 포함한 1920년대 서양 여성 패션에 관 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Cho(1984)는 1920 년대 유행 패션을 가르손느의 복식으로 서술하면서 전 반적인 의복의 특성을 소개하였다. Yoo(1995)는 1920년 대 미국의 여성 복식을 의복, 머리모양과 모자, 신발 및 스타킹, 장신구로 나누어 설명한 후 1920년대 후반 경제공황이 시작될 무렵 여성 복식이 어떻게 변화하 였는지를 서술하였다. Kim and Geum(2011)은 1920년 대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플래퍼 패션의 조형적 특성 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후, 플래퍼 패션의 미의식으로 파격과 혁신의 미의식, 젊음과 관능의 미의식, 자유와 유희의 미의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Chung(2004)은 1920년대와 1960년대 서양 패션의 유사성을 젊음의 숭배, 양성화와 유니섹스화 경향, 단순화, 패션의 혁 신성과 기능성, 짧은 단발머리, 눈을 강조한 화장이라 주장하였다. Bae(2017)는 1920년대 일부 서양 디자이 너들의 작품을 로맨틱 스타일과 모던 스타일로 나누 어 내적 가치와 외적 형식을 비교설명하였다. 그 결과 로맨틱 스타일의 내적 가치로 전쟁 이전 시대에 대한 향수, 전통적 여성성의 억압에 대한 반발 및 사회적 요구, 평범한 여성들과 이상적 모델 간의 괴리, 유럽 의 오트 쿠튀르 문화, 기성 행동 양식 및 가치관의 반 영, 계급적 차별화와 과시적 소비를 제시하였다. 반면 모던 스타일의 내적 가치로는 여성의 사회 진출에 따 른 합리성과 실용성의 추구, 대량 생산 체제와 기술의 발전, 아르 데코와 재즈의 영향, 스포츠 및 레저 열풍 에 따른 기능성 추구, 기성 행동양식 및 가치관으로부 터의 탈피, 성적 자유와 평등 추구를 추출하였다. 또 한 Lee(2008)는 1920년대에 유행한 예술 양식인 아르 데코의 관점에서 유행 패션과 텍스타일을 대표적인 디자이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외의 관련 연 구로는 1920년대 샤넬의 디자인을 입체파의 관점에 서 분석한 연구(Park, 1988)와 1920년대와 1930년대 랑방(Jeanne Lanvin) 작품의 미적 특성을 살펴본 연구 (Lee, 2010)가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모두 1920년대 의 유행 패션 이미지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나 당시 에 발간된 1차 자료인 책, 신문, 잡지 등의 문서 내용 이 아닌 1920년대 패션에 대해 이미 진행된 선행 연 구를 종합하여 여러 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반면 1차 자료를 중심으로 1920년대 패션을 살펴본 연구들은 Van Cleave(2009)의 1920년대 미국의 Smith College 여학생들의 복식 규제에 관한 연구, Standish (2000)의 1910년대부터 1930년대 초까지 페미니즘과 유행복식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연구가 있다. 또한 Hall(1972)은 1920년대 미국의 패션산업의 현황과 프 랑스의 영향을 바탕으로 당시의 유행 스타일을 기술하 고 있으며, Steele(1985)은 1920년대를 포함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모든 유행패션이 여성의 성적 매력에 중점을 두고 변화해 왔음을 강조하였다. Doan (1998) 역시 1920년대 유행 패션이 남성적이라기 보 다는 새로운 여성성의 표현임을 지적하였다. Hannel (2005)의 연구는 Jazz 음악과 춤이 1920년대 유행패 션에 미친 영향을 전반적인 스타일은 물론 장신구와 텍스타일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들은 특정 계층이나 관점에 국한해 1920년대 패 션을 살펴보았거나 유행패션에 대한 단순 기술에 머 물렀다. 또한, Lee(2003)는 1920년부터 1945년까지 미 국 여성 패션에 관한 여러 논쟁들의 변화 과정이 여성 삶의 변화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인체 노출, 여성 성 대 남성성, 사치 대 절약이라는 주제에 국한해 고 찰하였기 때문에 1920년대 패션에 관한 기사들이 담 고 있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의미를 도출하지 못한 한 계점이 있다.

    복식사 연구는 연구 대상 기간에 출판된 신문이나 잡지 기사, 정부 보고서, 일기, 유물 등의 1차 자료에 기반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플래퍼 룩과 관련된 국내의 상당수 선행연구들이 해당 연구 주제에 대한 2차 자료인 연구 논문이나 서적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문제점이 있다. 또한 1차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플래퍼 룩에 관한 해외 연구의 경우 1920년 대 유행패션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 문화적 의미를 도 출하였다기 보다는 앞서 언급했듯이 해당 시기의 특 정 관점이나 주제에 국한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 유행 패션인 플래퍼 룩에 대한 1차 자료인 신문 기사를 바탕으로 당시 여성 유행 패 션에 대한 담론을 살펴보고, 이러한 담론들을 통해 플 래퍼 룩이 담고 있는 사회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미 수많은 복식사 서적과 선행 연구에서 플래퍼 룩 이 어떠한 모습이었는지를 소개하였기 때문에 본 연 구에서는 플래퍼 룩의 새로운 조형적 특성을 찾기 보 다는 플래퍼 룩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시각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 문화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플래퍼는 급 속한 사회 변화 속에 기존의 정숙하고 다소곳한 이상 적 여성상에 반하는 생각과 외모를 추구하면서 서양 역사상 최초로 종아리를 노출한 패션을 보여주었다. 획기적인 변화를 보인 1920년대 플래퍼 룩의 사회 문 화적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은 여성 삶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연구문제의 형태로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20년대 여성 유행패션인 플 래퍼 룩에 관한 당시 미국 내의 신문 기사는 어떠한 내용이었는가? 둘째,1920년대 여성 유행패션에 관한 미국 내의 신문 기사 내용을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사 회 문화적 의미는 어떠한 것인가?

    Ⅱ.Background

    1.American women in the 1920s

    미국의 1920년대 여성들은 이전 시대에 비해 학력 이 높았다. 미국에서는 이미 19세기 후반부터 고등학 교를 졸업한 여성의 수가 남성의 수보다 많았다. 이러 한 여성 고학력 현상은 20세기 초에 가속화되어 여대 생의 수가 1920년에 1870년에 비해 25배 이상 증가하 였다. 고학력 여성들은 대학 졸업 후 주로 선생님이나 간호사 등 전통적으로 여성 직업이라 여겨지는 분야 에 진출하여 직장여성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Cahn, 1994; Degler, 1980).

    미국에서 여성의 고학력화와 함께 직장 여성들의 수는 19세기말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1920년에는 여 성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였다. 직장 여성의 비율이 1920년대에는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각종 가전 제품의 대중화로 가사도우미의 비율은 줄고, 회사원 과 판매직 여성의 수는 증가하였다. 또한, 피임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기혼 여성 회사원의 비율도 높아졌다. 이 러한 현상은 1920년대 여성들에게 보다 높은 경제력 과 경제적 독립을 가져왔다(Evans, 1997; Kennedy, 1999; Link & Catton, 1973; Strom, 1992).

    미국은 1차세계대전 이후 잠시 경기침체가 있었으 나 1922년 이후 대공황이 시작되는 1929년까지 대대 적인 경제적 호황을 누렸다. 경제적 호황 속에 사회의 다방면적인 변화가 있었던 이 시대를 “요란한 20년대 (roaring twenties)”라고도 한다. 이 시대에는 기술과 경영 측면에서 획기적인 발전이 있어 저렴한 가격에 대중을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생산되었고, 전반적인 가계 수입의 증가로 소비자들의 구매력도 크게 늘었 다(Hawley, 1992; Link & Catton, 1973). 여성들은 이 전 시대에 비해 경제적 능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 라, 가계의 소비를 담당하는 주요 고객이 되어 각종 제품 광고의 대상이 되었다(Marchand, 1985).

    젊은 여성들은 적극적이고 성에 대해서도 개방적 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1909년 프로이드(Sigmund Freud)의 미국 방문으로 성욕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구이며, 이를 표현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다는 의 식이 확산된 데에서도 일부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젊 은 여성들은 남성들과 성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대화 하였고, 파티에서는 스킨십이 일반화되었으며, 당시 유행했던 재즈 음악에 맞추어 남녀가 몸을 맞대고 선 정적인 춤을 추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Allen, 1957; Evans, 1997; Fass, 1977; Link & Catton, 1973). 뿐만 아니라 노동직 여성들은 남성들이 데이트 비용 을 지불하는 대가로 성적인 즐거움을 제공하기도 하 였다(Peiss, 1986). 또한 Ford사의 Model T로 대표되 는 효율적인 일괄 작업 조립 라인에 의해 대량 생산된 자동차가 서민들에게도 보편화되면서 청소년들 사이 에서 자동차가 데이트 수단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미 국의 1920년대 대표적인 중소도시인 인디아나주의 먼시(Muncie)에서는 지붕이 있는 자동차가 청소년 성 폭력 범죄의 장소로 지목되면서 위험을 우려한 부모 와 청소년 사이에 갈등의 온상이 되기도 하였다. 먼시 에서는 여학생들이 먼저 남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데 이트 신청을 하는 일도 많았다(Lynd & Lynd, 1929). 이 시기 미국 중류층 여성이나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앞서 언급했던 피임 방법이 일반화되면서 임신에 대 한 우려가 줄어들어 성을 쾌락의 수단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피임법의 확산은 가정에서 남녀 사이의 동반 자적인 관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Evans, 1997; Fass, 1977).

    이 시기에 미국 여성들 사이에서는 음주와 흡연이 크게 유행하였고 이러한 일탈은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었다. 금주령을 피해 대다수의 미국 여성들은 남성 들과 함께 파티와 무도장에서 은밀히 음주를 즐겼을 뿐만 아니라 여성 해방의 상징으로 흡연이 일반화되 기도 하였다(Allen, 1957; Fass, 1977). 광고에서도 여 성들의 담배 소비를 부추기기 위해 사회적으로 명망 높아 보이는 여성들을 지면 광고에 등장시켰다(Marchand, 1985).

    미국 여성들은 1920년 참정권을 획득하였다. 참정 권 획득 후 여성들이 의견을 모아 단결하여 정치에 특 정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남성들의 우려와는 달 리 여성들의 관심사는 분산되었다. 여성의 참정권 운 동을 주도했던 페미니스트들은 플래퍼의 자유롭다 못 해 일탈적인 행위와 외모를 옹호하기 보다는 신랄히 비판했다(Fass, 1977; Hwang, 2005; Ware, 1981).

    이 시기의 적극적인 미국 여성들은 운동을 즐겼다. 적당한 운동은 19세기 후반부터 여성의 건강에 큰 도 움이 된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지나친 경쟁적 운동은 여성의 생식능력을 저하하고, 성욕을 증가시킨다 여 겨 192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저지되었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여성의 스포츠 대회 참여는 거의 없었다. 하 지만 1920년대에 유명 여성 운동 선수들의 등장은 많 은 여성들에게 강도 높은 경쟁적 운동 참여에 대한 욕 구를 불러일으켰고, 학교 교육 시스템 밖에서 다양한 스포츠 대회가 열리고 참여하는 결과를 낳아 건강하고 매력적인 미국 여성상을 완성하게 되었다(Cahn, 1994).

    2.Flapper look

    플래퍼는 미국의 작가 피츠제랄드(F. Scott Fitzgerald) 의 1920년 출간 소설인 낙원의 이쪽(This Side of Paradise)에서 그 구체적인 모습과 성격이 처음 소개 되었다. 피츠제랄드의 플래퍼는 젊고 아름다우면서 자기 주장이 강하고 기존 관습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성적으로도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었 는데, 이것은 플래퍼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정착되었 다(Fitzgerald, 1920; Ress, 2010).

    피츠제랄드가 미국 사회에 플래퍼의 모습을 글로 구체화했다면, 헬드(John Held, Jr.)는 풍자적인 삽화 로 플래퍼를 시각화하였다. 헬드가 그린 베티(Betty Co-Ed)라는 이름의 플래퍼는 주 무대인 Life 잡지 표 지 외에도 Vanity Fair, New Yorker 등의 다양한 잡지 에 등장하였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남녀 공학에 다니는 대학생인 플래퍼 베티는 가늘고 긴 볼륨감 없 는 밋밋한 몸매에 긴 팔다리를 하고, 팔과 종아리를 드러내는 H-실루엣의 드레스에 스타킹을 무릎 위로 말아 올려 신고, 머리는 짧은 단발(bobbed hair)을 하 고 있었다(Fig. 1). 파티를 즐기면서 담배를 피우고 고 함을 지르며 예의가 바르지 않고 다소 폭력적이기까지 한 이기적이고 미성숙하며 아둔한 모습이었지만 여전 히 매력적인 젊은 여성으로 당시의 새로운 여성상을 대변했다(Hwang, 2005). 헬드의 플래퍼 삽화는 현대 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평가되는데, 가늘고 긴 몸매와 뾰족한 발과 발가락은 마천루를 연상케 한다. 또한 큰 특징만 잡은 2차원적이고 단순화된 묘사는 20세기초 기계․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빠른 속도의 상징으로 볼 수 있고, 똑바로 서 있지 않고 사선으로 묘사된 몸 과 팔․다리와 함께 역동적으로 묘사된 스커트는 빠 른 움직임과 변화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Hwang, 2005; Marchand, 1985). 이렇게 글과 잡지에서 묘사 된 거침없고 매력적인 플래퍼의 모습은 당시 유행 패 션을 담고 있기도 했지만, 역으로 이상적 외모로 떠오 르면서 유행패션 스타일의 형성과 소비에도 영향을 주었다.

    플래퍼 룩의 대표적인 특징은 헬드의 삽화에서도 묘사되었듯이 여성의 아워글라스 몸매를 전혀 드러 내지 않는 로웨이스트(low-waist)의 H-실루엣 형태의 원피스 드레스이다. 주류 패션에서 스커트의 길이는 1910년대 중반부터 발목 위로 올라가기 시작해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시점에는 서양 역사상 최초로 종아 리가 노출되어 1920년대 중반에는 무릎까지 올라가 기에 이른다(Richards, 1983; Steele, 1985). 스커트 길 이가 짧아지면서 스타킹에 대한 관심도 증가해 화려 한 색상의 실크나 레이온으로 된 스타킹이 인기를 끌 었다. 헬드의 삽화에서처럼 스타킹을 말아내려 신거 나 앉아서 스커트가 올라갔을 때 화려한 가터(garters) 를 노출시켜 자랑하기도 하였다. 다리 외에도 민 소매로 팔을 노출시키거나 앞뒤의 목선이 깊이 파여 가슴과 등을 노출시키는 일도 많았고, 비치는 소재의 드레스도 유행하였다(Payne, Winakor, & Farrell-Beck, 1992).

    많은 여성들이 1920년대 들어서 코르셋을 버리고 슬립 형태의 속옷을 착용하였고, 일부 여성들은 브레 지어 조차도 착용하지 않게 되었다. 많은 여성들이 코 르셋을 착용하지 않게 되자 코르셋 제조업자들은 유 행 실루엣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잡아주는 부 드러운 소재의 코르셋인 거들을 시장에 내놓아 여성 들을 현혹했다(Field, 1999).

    이렇게 여성의 가슴, 허리, 엉덩이로 이어지는 곡선 을 강조하지 않고 납작한 가슴에 길고 밋밋한 몸매를 강조한 드레스와 머리를 짧게 자르고 클로셰(cloche) 라는 작은 모자를 착용한 플래퍼 룩은 미성숙한 소년 의 모습과 같았다. 하지만 1929년이 되면서 여성들 사 이에서는 허리가 들어가고 스커트 길이가 길어진 좀 더 성숙한 스타일의 패션이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차 차 사라지게 되었다(Payne et al., 1992).

    Ⅲ.Research Method

    플래퍼 룩이 미국 사회에 갖는 사회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하여 미국의 일간지인 The New York Times 에서 여성 주류 패션에 관한 기사를 수집하였다. The New York Times는 1920년대에 미국 전역에서 구독되 었고 중립적인 기사로 당시 미국 최고의 일간지로 평 가 받았다(Commager, 1950; Stolberg, 1926/1954). 기 사를 수집하기 위하여 ProQuest의 database에서 clothing, dress, fashion, flapper를 키워드로 The New York Times에 실린 기사를 검색하였다. 기간은 앞서 소개 한 플래퍼 룩이 유행한 1920년에서 1929년까지로 한 정하였다. 여성 패션에 관한 기사 중에서도 광고, 남 성복, 수영복, 레저복에 관한 기사는 모두 제외하였 다. 그 결과 총 106개의 기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기사들은 여성의 daywear나 eveningwear와 관련된 기사들로 유행 스타일에 관한 정보와 함께 당 시 미국 사람들의 유행 패션에 관한 의견이 실려 있었 다. 총 106개의 기사들 중 15개는 유행스타일과 규제 내용만을 다룬 사실의 보도였던 반면, 나머지 91개의 기사는 유행패션의 착용자가 여성들의 의견은 물론 이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을 담고 있었다. 본 연구에 서는 기사의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을 거쳐 91개 의 기사로부터 자율성, 적극성, 실용성, 매력성, 사치 성이라는 다섯 개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각각의 기사는 주요 문장이나 단어를 중심으로 주제 를 도출한 후 관련 내용들을 묶어 최종적인 사회 문화 적 의미의 각 영역을 명명하였다. 각각의 기사는 한 개 이상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들도 있었 다. 자율성은 여성들의 기존 유행으로부터의 해방, 선 택의 자유, 스타일 결정권과 관련된 31개의 기사 내용 에 해당한다. 적극성은 여성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상 징하는 이동성, 활동성, 기존의 규제에 대한 반대운 동, 적극적 관습 타파 등의 관점에 해당하는 기사 35 개에서 찾을 수 있었다. 실용성은 플래퍼 룩이 건강에 좋다는 내용과 함께 편안함, 통기성 등을 언급한 29개 의 기사에서 찾을 수 있었다. 매력성은 지나친 유행 패션 추종과 노출 등을 통해 매력적으로 보이려 했다 거나 남성들의 시선을 끌고자 했던 내용과 관련된 29 개의 기사에서 찾을 수 있었으며, 사치성은 값비싼 의 복 구매, 실크 의상과 스타킹 착용을 통한 경쟁과 문 제점들을 지적한 8개의 기사로부터 도출하였다.

    Ⅳ.Sociocultural Meanings of Flapper Look

    1.Autonomy

    잡지에 실린 삽화를 중심으로 외출복 스커트의 길 이를 측정한 Richards(1983)의 연구에 의하면 1920년 과 1921년에 스커트 길이가 살짝 올라갔다가 다시 1922년과 1923년에는 내려왔으며, 1924년 이후에 다 시 짧아지기 시작해 1927년에 무릎까지 올라갔다. 이 후 1928년 이후에 스커트 길이는 다시 길어졌다. 실제 The New York Times 기사 내용을 보면 1921년 가을 부터 스커트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을 읽을 수 있다. 길어진 여성 스커트의 길이에 반대해 미국 여성은 긴 치마의 노예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는 의견이 등장하 였다(“Feminine rights endangered”, 1921). 또한 1922 년에는 길어진 스커트에 반대하는 시위가 이어졌는 데, 그 중에는 패션의 독재로부터 독립해야 한다는 의 견도 있었다(“Flapper-made freedom”, 1922; “The long and short of it”, 1922; “The tyranny of fashion”, 1922; “The tyranny of style”, 1922). 노예, 자유, 독립 과 같은 용어들은 플래퍼 룩이 여성의 자율성을 의미 했음을 보여주었다.

    플래퍼 룩은 지역 정부, 종교 기관, 직장, 학교, 법 원 등의 사회 기관을 중심으로 통제를 받았다(Lee, 2003). 여성들이 착용한 새롭고 과감한 패션은 “단순 하고 얌전한(modest)” 의상의 착용으로 전통을 지켜 나가야 한다는 사회적 규제를 불러왔다(“Calls for simple dress”, 1922; “Condemns dress”, 1922; “Low neck”, 1920). 이는 플래퍼 룩이 단순하고 얌전하지 않은 스 타일임을 함축한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의 플래퍼에 대한 규제는 자율적인 여성상에 대한 사회의 거부감 과 두려움을 대변한다. 이러한 억압에 반대해 일부 플 래퍼들은 “나는 자유로운 미국인”으로서 어깨든, 무릎 이든 어느 부위든 노출할 수 있다고 항변하였다(“Flappers resent move”, 1923). 규제에 저항하는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에 대한 결정권이 여성 자신에게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이를 인식하기 시작한 미국 사회는 플래퍼 룩을 규제하는데 전면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 다(“Signed pledge”, 1924; “Woman arrested”, 1921). 이러한 플래퍼들의 자유와 외모 결정권의 주장은 플 래퍼 룩이 담고 있는 자율성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2.Activeness

    스커트의 길이가 1922년 길어졌을 때에 이에 반대 하는 시위에서 스커트가 움직임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등장하였다(“Skirt length problem”, 1922). 즉, 플래퍼의 짧은 스커트는 수동적이고 정적 인 여성이 아닌 움직이는 적극적인 여성을 의미했음 을 알 수 있다. 플래퍼 룩을 통해 노출된 여성의 다리는 여성이 움직이고 활동하는 존재임을 나타낸다(Ewen & Ewen, 1992).

    하지만 당시 여성의 맨 무릎 노출을 비난한 한 목 사는 여성을 연약한 그릇에 비유한 성서 내용을 강조 하면서, 부적당한 노출은 여성의 타고난 정숙성을 파 괴하고 자연에 반하는 행동이라고 주장하였다(“Assails women’s styles”, 1925). 이러한 주장은 여성이 연약 하므로 적극적으로 무엇을 담아내기 보다는 담기기를 바래야 하는 수동적인 존재임을 강조함으로써 당시 플래퍼의 노출이 역으로 능동성과 적극성을 상징함을 드러낸다.

    또한 한 의사는 The New York Times에 기고한 글 에서 플래퍼의 짧은 스커트가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 상과 활동성을 상징한다고 주장하면서 짧은 스커트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여성으로부터 지위를 지키려는 사 람들임을 지적하였다(“Hails the short skirt”, 1921). 이러한 글 역시 플래퍼 룩, 특히 여성의 드러난 다리 가 활동성과 적극성의 상징이었음을 보여준다.

    짧게 자른 플래퍼의 머리 모양인 보브 헤어는 다른 유행 패션과 함께 부적합하다고 치부되어 많은 곳에서 규제와 비난을 받았다(“Giddy teachers taboo”, 1922; “Opposes costly dressing”, 1922; “Protests shorn teachers”, 1922). 모순되게도 기존의 뒤로 모아 올린 머 리 모양은 플래퍼와 같이 바쁘게 일하고 격렬한 재즈 댄스를 즐기는 신여성들이 착용하기에 거추장스럽고 금방 흐트러져 버릴 수 있었으므로 적합하지 않았다 (Hannel, 2005). 따라서 간편한 보브 헤어가 플래퍼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았으므로 이 짧은 머리 모양은 여 성의 활동성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묶지 않고 자유롭게 풀어헤친 짧은 머리는 성적 유혹 을 함축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성에 대해 자유로운 태도를 가졌던 플래퍼의 적극성과 함께 자율성을 상 징했다(Fass, 1977). 당시 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사 고방식의 변화를 상징하는 보브 헤허는 보수적인 이 들의 반감과 규제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3.Practicality

    이 시대의 종아리를 노출하는 스커트 착용을 지지 하는 사람들은 이것이“편안하고 위생적”이라고 옹호 하였다(“Endorses longer dresses”, 1921). 스커트가 1922년에 길어졌을 때에는 이에 반대하여 직장여성 들을 위해 실용성과 편안함을 강조하는 시위가 일어 나기도 했다(“Flapper-made freedom”, 1922). 긴 스커 트가 보행 시 사고의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바닥을 쓸고 다녀 지저분하므로 짧은 스커트가 안전하고 위 생적임을 강조한 것이다. 이 외에도 플래퍼 룩의 장점 으로 경량성, 허리를 압박하지 않는 코르셋 미착용의 자유로움, 통기성, 신체 노출을 통한 일광욕의 효과 등이 거론되었다. 이러한 장점은 여성의 건강에 도움 이 된다고 여겨져 플래퍼 룩의 실용성으로 간주되었 다(“Approves the short skirt”, 1921; “Health in fewer clothes”, 1925; “Osteopath favor”, 1929; “Says scanty attire”, 1926; “Uncorseted, is man’s equal”, 1921; “Want doctors’test”, 1926; “Women’s short skirts”, 1925).

    플래퍼 룩의 실용성은 기능성을 추구했던 당시 샤 넬(Coco Chanel)이나 파투(Jean Patou)와 같은 디자이 너들의 작품과도 맥을 같이 한다. 샤넬은 기존에 남성 복에만 쓰이던 저지(jersey) 소재를 여성복에 도입해 편안함을 도모했고, 어부들의 작업복에서 영감을 얻 어 실용적인 큰 패치 포켓을 여성복에 부착하였다. 또 한 리틀 블랙 드레스와 같은 단순한 디자인으로 여성 의 우아함을 표현하였다. 파투 역시 당시 유행하던 예 술 사조인 아르 데코(art deco)적인 기하학적 무늬와 실루엣을 의상에 도입해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디자인 으로 미국 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Kim et al., 2014).

    4.Attractiveness

    여성의 직․간접적 인체 노출과 진한 화장, 짧은 머리는 많은 직장에서 규제대상이었다. 일부 규제 이 유는 남성들이 젊은 여성들의 외모에 당황하여 업무 에 집중을 못하거나 사기가 떨어진다고 여겼기 때문 이었다(“Skirts vex office morale”, 1921; “Trenton girls”, 1922). 당시 젊은 여성들은 남성중심적인 직장 에서 여성적이고 매력적인 모습이어야 했지만, 지나 치게 화려하거나 육감적인 모습이어서는 안 되는 존 재였다(Strom, 1992). 하지만 많은 플러퍼들은 낮에 업무가 끝나면 밤에 재즈 단스를 즐기면서 배우자를 찾으러 무도장에 가야 했기 때문에 낮에도 이브닝 드 레스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다(Hannel, 2005). 또한, 많은 직장 여성들은 하류층이나 중하류층으로 경제적 상황이 넉넉치 않았기 때문에 당시 데이웨어와 이브 닝웨어를 구분해 장만할 형편도 되지 않았다(Hopkins, 1921). 따라서 온갖 사회적 규제와 비난에도 불 구하고, 플래퍼는 타인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를 포 기할 수 없었다. 이는 플래퍼 룩을 지지한 발언 중 짧 은 스커트가 솔직하고 건강하면서도 “여성스러움을 잃지 않았다”는 표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Talks fail”, 1929). 즉, 플래퍼 룩의 여러 장점 중 빠질 수 없는 것이 착용자를 여성스럽고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점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당시 미국 여성들 사이에서 실크 드레스와 스 타킹이 크게 유행하였는데, 학교와 직장에서 외모경 쟁이 치열했다(“Calls for simple dress”, 1922; “College girls”, 1921; “Will bar silk dresses”, 1924). 먼시에서 는 여학생들이 같은 옷을 연속으로 이틀 입기를 꺼려 한다거나 실크 드레스를 입지 않았을 경우, 남학생들 이 봐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Lynd & Lynd, 1929). 당시 여성들은 신여성의 자율 성과 적극성을 상징하는 플래퍼 룩을 추구했지만, 여 전히 남의 시선을 의식하였고, 사회적으로 매력적으 로 보이기를 포기할 수 없었다. Van Cleave(2009)의 연구에서도 초기에 플래퍼 룩이 Smith College 여성 들 사이에서 여성의 진보된 삶을 대변한다 여겨져 긍 정적으로 평가되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의미 가 퇴색하였음을 지적하였다. 플래퍼 룩 역시 유지하 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였고, 단지 사회적 동조 욕구 를 채워주는 소비재로 차차 전락하였기 때문에 학생 들 스스로도 규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플래퍼 룩 은 앞서 도출한 자율성, 적극성, 실용성이라는 진보적 인 사회 문화적 의미를 갖기도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서 여성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또 다른 이상적 이 미지로 자리잡았다고 볼 수 있다.

    5.Extravagance

    경제적 호황 속에서 많은 미국 여성들은 경제적 여 유를 경험했고, 이는 유행 패션의 소비로 이어졌다. 한 기사에 의하면 미국 직장 여성들은 수입의 46%를 패션에 지출하여 상당히 사치스러운 의복 소비가 이 루어졌다고 지적했다(“Calls our women”, 1928). 특 히, 앞서 언급한 화려한 실크 드레스와 스타킹의 소비 는 학교와 직장에서 지나친 외모 경쟁을 불러와 학교 나 직장을 그만두는 여성들이 생겨나는 문제가 발생 하였다(Lynd & Lynd, 1922). 실제로 실크에 대한 소 비를 충족시키기 위해 한 달에 두 번씩 일본에서 실크 를 가득 실은 배가 밴쿠버로 들어왔고, 그 물건들은 다시 뉴욕으로 운송되었다(Hall, 1972). 따라서 여러 가 지 폐해를 막기 위해 사치스러운 복장에 대한 다양한 규제가 생겨 실크 드레스나 스타킹, 모피, 구슬 장식 등이 금지되기도 하였다(“Calls for simple dress”, 1922; “College girls”, 1921; “Opposes costly dressing”, 1922; “Will bar silk dresses”, 1924).

    이렇게 사치성을 띠는 플래퍼 룩은 피츠제랄드의 소설이나 헬드의 삽화는 물론 각종 영화에서 그려진 플래퍼의 모습을 따라 하고자 하는 사회적 열풍에서 비롯되었다. 미국의 발달한 기성복 산업은 매체에서 그려진 플래퍼 룩을 소비의 대상으로 잡아 그 어느 때 보다도 풍요로운 삶을 즐기던 미국 여성들을 현혹하 는데 성공하였다. 의류뿐만이 아니라 머리스타일, 액 세서리, 화장품, 몸매 관리를 위한 속옷에 이르는 플 래퍼 룩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분들이 상품화되어 소 비와 사치를 부추겼다(Hwang, 2005).

    Ⅴ.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 미국의 유행패션인 플래 퍼 룩에 관한 The New York Times의 기사를 바탕으로 당시 여성 유행패션에 대한 담론을 살펴보고, 이러한 담론들을 통해 플래퍼 룩이 담고 있는 사회 문화적 의 미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20년대 여성 유행패션인 플래퍼 룩에 관한 당 시 미국 내의 신문 기사는 어떠한 내용이었는가? 둘 째, 1920년대 여성 유행패션에 관한 미국 내의 신문 기사 내용을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사회 문화적 의미는 어떠한 것인가?

    ProQuest에서 clothing, dress, fashion, flapper를 키 워드로 검색하여 관련 내용을 담은 106개의 The New York Times 기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기사는 사실 보도만을 담은 15개의 기사와 당시 유행패션에 대한 플래퍼의 관점과 플래퍼 룩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의 견을 담은 기사 91개로 구성되었다. 내용분석을 거쳐 91개의 기사는 자율성, 적극성, 실용성, 매력성, 사치 성이라는 다섯 개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 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사회 문화적 의미의 내용을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플래퍼 룩이 담은 자율성은 스커트 길이가 길어지 는 유행 경향을 따르는 행위를 노예에 비유하고 이러 한 행위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는 표현과 길어지는 스커트 유행 경향에 역행해 보다 짧은 스커트를 착용 하는 것이 독립하는 것이라는 주장에서 명확히 드러 났다. 또한 플래퍼 룩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 기관에서 강조한 “단순하고 얌전한” 의상은 플래퍼 룩의 이와 는 반대되는 성향을 함축했다. 여러 규제에 맞선 플래 퍼는 자신의 외모 관리에 대한 자유와 결정권을 요구 하였는데, 이 또한 플래퍼 룩이 담고 있는 자율성을 나타낸다고 분석하였다.

    플래퍼 룩이 반영한 적극성은 길어진 치마가 움직 임을 방해한다는 비판을 통해 역으로 추정할 수 있었 다. 즉, 짧은 치마가 상징하는 움직임은 바쁜 일상의 플래퍼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성을 대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플래퍼의 노출에 반대하면서 여성 을 수동적인 성격의 연약한 그릇에 비유한 기사에서 도 역으로 몸을 노출하는 플래퍼 룩이 여성의 적극성 을 상징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사회적 비판의 대상 이 되었던 플래퍼의 보브 헤어 역시 활동성과 성에 대한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성향을 대변함을 확인하였다.

    플래퍼 룩의 또 다른 사회 문화적 의미로 실용성을 도출하였다. 플래퍼 룩을 옹호한 사람들은 편안함, 위 생성, 경량성,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운 허리, 통기성, 일광욕 효과 등을 언급하였다. 이는 새로운 사고와 생 활방식을 가진 여성들을 위해 단순한 디자인에 기능 성을 살려 니트 소재를 활용하거나 커다란 포켓을 디 자인해 넣기도 했던 당시 샤넬의 실용적인 패션디자 인과도 맥을 같이 했다.

    플래퍼 룩은 자율성, 적극성, 실용성이라는 진보적 인 의미를 갖고 있기도 했지만,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여성에게 요구되었던 여성적 매력을 발산하는 수단으 로도 작용하였다. 플래퍼 룩은 여성들이 유행에 편승 해 매력적인 모습을 가꾸고 배우자를 찾기 위해 추구 해야 하는 새로운 시대적 이상미로 자리하였다. 이는 플래퍼 룩을 따르려는 여성들의 외모경쟁 과열에서 명백히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플러퍼 룩에서 사치성이라는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당시 유행패션의 사치성, 특히 실 크 드레스와 스타킹의 선호는 학교나 직장에서 외모 경쟁을 불러와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 플래퍼 룩의 사 치성은 각종 매체를 통해 그려진 플래퍼의 모습을 상 품화한 미국 소비 사회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사회 문화적 의미를 통해 플래 퍼 룩이 1920년대 미국 사회에서 여성의 자율성과 적 극성은 물론 기계 기술의 발달과 맥을 같이 하는 실용 성을 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또 다른 의미로 도출된 매력성과 사치성은 플래퍼 룩이 진보 적인 의미 외에 사회 편승적인 의미도 담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당시 미국 여성들이 이전 시대에 비 해 보다 높은 교육을 받고 사회활동을 하면서 경제력 을 가지고 정치적 참여 기회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당면했던 남성중심주의 사회에서의 여러 가지 제한점 과 여성 스스로의 한계와도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The New York Times라는 특정 매체에 국한해 사회 문화적 의미를 도출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추후 1920년대에 미국에서 출판된 다양한 매체 에 실린 플래퍼 룩에 관한 기사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서 도출한 사회 문화적 의미의 타당성을 검증한다면 플래퍼 룩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해석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축적은 현대 여성의 삶 과 패션의 변화와의 관계를 좀더 폭넓게 이해하는데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

    Figure

    RJCC-26-19_F1.gif

    John Held Jr.’s flapper illustration, 1926. From. John Held, Jr. (2018).

    Table

    Reference

    1. AllenF.L. (1957) Only yesterday: An informal history of the nineteen-twenties., Harper & Brothers Publishers,
    2. Approves the short skirt (1921) The New York Times, ; pp.16
    3. Assails women’s styles (1925) The New York Times, ; pp.20
    4. BaeJ. (2017) A comparative study on romantic style and modern style in the 1920s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5. CahnS.K. (1994) Coming on strong: Gender and sexuality in twentieth-century women ?(tm)s sport., Harvard University Press,
    6. CalasibettaC.M. TortoraP. (2003) The Fairchild dictionary of fashion., Fairchild Publications,
    7. Calls for simple dress (1922) The New York Times, ; pp.12
    8. Calls our women most extravagant (1928) The New York Times, ; pp.12
    9. ChoK.H. (1984) The emergence of garçonne and it’s costume in 1920’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8 (3) ; pp.207-218
    10. ChungH-S. (2004) A study on the similarity of fashion in the 1920’s and 1960’s.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2 (2) ; pp.224-238
    11. College girls ban lace hose, high heels (1921) The New York Times, ; pp.19
    12. CommagerH.S. (1950) The American mind: An interpretation of American thought and character since the 1880 ?(tm)s., Yale University Press,
    13. Condemns dress extremes of Chicago school girls (1922) The New York Times, ; pp.17
    14. DeglerC.N. (1980) At odds: Women and the family in America from the revolution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15. DoanL. (1998) Passing fashions: Reading female masculinities in the 1920s. , Fem. Stud., Vol.24 (3) ; pp.663-700
    16. Endorses longer dresses (1921) The New York Times, ; pp.12
    17. EvansS.M. (1997) Born for liberty: A history of women in America., Free Press Paperbacks,
    18. EwenS. EwenE. (1992) Channels of desire: Mass images and the shaping of American consciousnes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 FassP.S. (1977) The damned and the beautiful: American youth in the 1920 ?(tm)s., Oxford University Press,
    20. Feminine rights endangered (1921) The New York Times, ; pp.8
    21. FieldJ. (1999) ‘Fighting the corsetless evil’: Shaping corsets and culture, 1900-1930. , J. Soc. Hist., Vol.33 (2) ; pp.355-384
    22. FitzgeraldF.S. (2010) This side of paradise., Charles Scribner ?(tm)s Sons,
    23. Flapper (2018) In Oxford advanced American dictionary, https://www.oxfordlearnersdictionaries.com/definition/american_english/flapper
    24. Flapper-made freedom (1922) The New York Times, ; pp.12
    25. Flappers resent move for regulation dress (1923) The New York Times, ; pp.7
    26. “Giddy” teachers taboo (1922) The New York Times., ; pp.5
    27. Hails the short skirt (1921) The New York Times, ; pp.9
    28. HallL. (1972) Fashion and style in the twenties: The change. , Historian, Vol.34 (3) ; pp.485-497
    29. HannelS.L. , WeltersL. CunninghamP.A. (2005) Twentieth-century American fashion., Berg, ; pp.57-78
    30. HawleyE.W. (1992) The great war and the search for a modern order: A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and their institutions, Waveland Press Inc, ; pp.1917-1933
    31. Health in fewer clothes (1925) The New York Times., ; pp.13
    32. HopkinsM. A. (1921) What shall the poor girl wear?. , The New Republic, ; pp.377-378
    33. HwangH. (2005) “A dangerous woman,” flapper: A reading on the 1920s’ American culture. , Korean Journal of American History, Vol.22 ; pp.89-118
    34. HeldJ. Jr (2018) In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John-Held-Jr
    35. KennedyD.M. (1999) Freedom from fear: The American people in depression and war, 1929- 1945., Oxford University Press,
    36. KimK-J. GeumK-S. (2011) A study on the aesthetic sense of flapper fash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1 (2) ; pp.1-19
    37. KimM. KwonY. SongS. LeeY. ChoiK. LeeJ. LeeM. (2014) Fashion designers & fashion icon., Gyomoonsa,
    38. LeeJ-M. (2010)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anne Lanvin’s design , Design Forum, Vol.29 ; pp.391-399
    39. LeeK-H. (2008) Fashion and textile design of art deco. , K.I.T. Research Journal., Vol.29 ; pp.193-209
    40. LeeY.-Y. (2003) Controversies about American women’s fashion, 1920-1945: Through the lens of The New York Ti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owa State University,
    41. LinkA.S. CattonW.B. (1973) American epoch: 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since 1900., Alfred A. Knopt, Vol.Vol. 2
    42. Low neck and sleeveless evening gowns to be barred next year at Hood College. (1920) The New York Times., ; pp.1
    43. LyndR.S. LyndH.M. (1929) Middletown: A study in American culture., Harvest Books,
    44. MarchandR. (1985) Advertising the American dream: Making way for modernity, 1920-194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5. Opposes costly dressing (1922) The New York Times, ; pp.12
    46. Osteopaths favor ‘freedom’ in dress (1929) The New York Times., ; pp.19
    47. ParkM.H. (1988) A relationship between Chanel design and cubism in 1920’s. , Journal of Human Environment and Art, Vol.11 ; pp.73-87
    48. PayneB. WinakorG. Farrell-BeckJ. (1992) The history of costume: From ancient Mesopotamia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Harper Collins Publishers Inc.,
    49. PeissK. (1986) Cheap amusement: Working women and leisure in turn-of-the century New York., Temple University Press,
    50. Protests shorn teachers (1922) The New York Times, ; pp.2
    51. RessS. (2010) Finding the flapper: A historiographical look at image and attitude. , HIst. Compass, Vol.8 (1) ; pp.118-128
    52. RichardsL. (1983) The rise and fall of it all: The hemlines and hiplines of the 1920s. , Cloth. Text. Res. J., Vol.2 (1) ; pp.42-48
    53. Says scanty attire makes women hardy (1926) The New York Times, ; pp.3
    54. Signed pledge for modesty in dress asked from 700,000 catholic women (1924) The New York Times, ; pp.1
    55. Skirt length problem (1922) The New York Times, ; pp.10
    56. Skirts vex office morale (1921) The New York Times, ; pp.2
    57. StandishR.A. (2000) What is modish is doomed: Fashion and American feminism from the 1910s to the early 193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58. SteeleV. (1985) Fashion and eroticism: Ideals of feminine beauty from the Victorian era to the jazz age., Oxford University Press,
    59. StolbergB. , FordE.H. EmeryE. (1954) Highlights in the history of the American press: A book of reading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pp.362-376(Original work published 1926)
    60. StromS.H. (1992) Beyond the typewriter: Gender, class, and the origins of modern American office work, 1900-1930.,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61. Talks fail to fix length of skirts (1929) The New York Times, ; pp.36
    62. The long and short of it (1922) The New York Times, ; pp.13
    63. The tyranny of fashion (1922) The New York Times, ; pp.6
    64. The tyranny of style (1922) The New York Times, ; pp.8
    65. Trenton girls yield to ruling on rouge (1922) The New York Times, ; pp.22
    66. Uncorseted, is man’s equal (1921) The New York Times., ; pp.5
    67. Van CleaveK. (2009) Fashioning the college women: Dress, gender, and sexuality at Smith College in the 1920s. , J. Am. Cult., Vol.32 (1) ; pp.4-15
    68. Want doctors’ test for all healers (1926) The New York Times., ; pp.6
    69. WareS. (1981) Beyond suffrage: Women in the New Deal., Harvard University Press,
    70. Will bar silk dresses (1924) The New York Times, ; pp.17
    71. Woman arrested in Zion as modest dress violator (1921) The New York Times, ; pp.16
    72. Women’s short skirts get endorsement (1925) The New York Times., ; pp.4
    73. YooS-K. (1995) A study on American women ?(tm)s costume in 1920 ?(tm)s. , Educ. Rev., Vol.14 (8) ; pp.127-14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