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5 No.6 pp.741-756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7.25.6.741

A study on textile design for infant and children’s clothes with the motive of Jeju natural resource persimmon

Sumin Ahn, Eunjou Yi†
Dept. of Clothing & Textil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ejyi@jejunu.ac.kr)
20170920 20171101 20171106

Abstract

The natural resources of Jeju are recognized as the new regional image of that clean island. Reflecting these trends, this study is initiated to develop a textile design with the motive of persimmon, a natural resource of Jeju, and to apply it to infant’s and children’s clothes. Its purpose is to highlight the image of persimmon, a traditional dye, as a regional signature for Jeju. Product development procedure included, understanding the use of persimmon for fashion products, analyzing Infants’ and Children’s designer collections over the last three seasons (focused on 2014S/S, 2015S/S, and 2016S/S), and surveying the Children’s Clothes market for persimmon dyeing in Jeju. The conclusion was that, the natural resources of Jeju are highly valuable, and should be applied to textile design and apparel products for children. Utilizing Jeju persimmon was actively studied, but, the market for the Jeju persimmon natural - dyeing products is extremely limited. Moreover, the apparel products for infants and children represent old-fashioned styles, despite their higher prices. Therefore, us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for each theme was suggested for development of patterns for textile design. Pattern designs were expressed using textured textile screen-printing, embroidery and appliqué for infants’ and children’s clothes. In this study, a total of 10 items were prepared as apparel products for infants and children. All items were designed considering mix-and-match, potential, with each other or with regular mass-market product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highlighting the unique image of Jeju and to help promote fashion culture products.


제주 천연자원 감을 모티브로 한 유·아동복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안 수 민, 이 은 주†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패션의류학과

초록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NO. C0185958

    I.Introduction

    인간의 삶의 터전인 자연은 모든 형태의 근원이며, 인간의 역사는 자연과 상호관 계의 역사(Yum, 2015)라 할 수 있다. 인간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도구를 만들었 고 새로운 재료의 발견과 함께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 연을 디자인의 근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Kim, 2005).

    국토의 3분의 1 이상이 국립공원과 자연보호구역 으로 지정되어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뉴질 랜드는 희귀한 동식물과 뉴질랜드 고유종이 서식하고 있다. 마오리족의 전설 속에 전해 내려오는 거대한 은빛 고사리인 실버펀(Silver Fern)은 뉴질랜드를 상 징하는 자연자원으로 국가를 상징하며 다양한 분야 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 뉴질랜드 정부가 뉴질랜드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시행한 국기교체 프로젝트에서 은빛 고사리 문양을 넣은 국기가 후보로 등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고사리 문양은 뉴질랜드 1달러 동전 도 안에도, 뉴질랜드가 자랑하는 럭비대표팀 올블랙스 (All Blacks)의 유니폼에도 활용하여 세계인들에게 뉴 질랜드의 전통적이고 고유한 상징으로 알리고자 노 력하고 있다(Kim, 2016).

    뉴질랜드와 수려한 자연환경을 지닌 공통점을 가 지고 있는 제주도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등재, 세계 7대자연경관으로 선정되면서 대내외적으로 그 가치 를 인정받게 되었다. 천혜의 자연생태계와 경관이 보 존되어 있고 섬이 가지는 독특한 생활문화가 고스란 히 남아 있어 찾아가고 싶은 관광지로 관심이 집중되 고 있다(An, 2015). 2007년 발족된 제주 올레는 사회 적 이슈가 되었으며 오염되지 않은 자연을 품은 청정 섬, 치유와 힐링의 섬 제주의 새로운 관광상품이 되 었다. 제주의 청정자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는 화장 품을 비롯하여 식품, 의류산업 등에 활용되어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 특 히, 제품의 원료가 갖는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화장품 산업은 청정하고 수려한 제주의 자연환경자원 이미 지를 활용하여 관광과 농업이 주력산업이었던 제주 도의 새로운 지역전략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Kim, 2014). 청정한 자연자원이 제주도의 가장 경쟁력 있 는 지역브랜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캐나다의 메이 플이나 뉴질랜드의 실버펀과 같이 제주도를 상징하 는 자연자원은 떠올리기 어렵다. 귤, 현무암, 푸른 바 다 등이 있지만 이는 단순한 상징물일 뿐 제주도의 고유성이나 전통성을 나타내기엔 부족하다.

    천연염색이 중심인 제주의 섬유패션산업 역시 천 연자원을 활용한다는 관점에서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지역산업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육지와 떨어진 지리적 요인과 척박한 환경에 적 응하기 위해 유래된 제주전통염색인 감염색과 제주 갈옷은 지역고유 토속성과 다양한 기능성으로 주목 받고 있으나 다른 지역인 청도지방의 지역브랜드 정 책에 밀려 제주도만의 특화된 산업으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와 제주도 역시 제주전통 감염색에 대한 발전가능성을 인식하고 갈옷을 제주 10대 상징물로 선정하고, 각종 패션쇼와 축제를 비롯 한 문화행사를 통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 나, 일시적인 홍보에 그칠 뿐 지역의 고유한 상징으 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의 천연자원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제주라는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유 형화 한 디자인 개발이라기보다는 단순히 제주의 자 원을 하나의 컨텐츠로 보고, 이를 디자인 모티브로 만 들어 패턴화한 디자인과 문화상품을 개발하는 연구(Ahn & Jang, 2015; An, 2015; Jang, Hyun, & Kim, 2013; Kim & Hong, 2015; Lee, 2016; Oh, 2010; Song, 2005; Song, 2007)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텍스 타일 디자인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포토샵(Photoshop), 일러스 트레이터(Illustrator) 등의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연자원의 형태를 구상적 또는 기하학적 패 턴으로 만들고, 이를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digital textile printing system)으로 출력하여 소재를 개발하고 컴퓨터 그래픽 기법을 이용한 맵핑이나 실제 제작을 통해 제품으로 발전시켰다.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은 편리성, 다양성, 경제성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 다. 그러나 이렇게 획일적인 연구방법으로 제작된 패 션문화상품 역시 지역의 고유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인식되기보다는 차별성없는 유 사상품들로 받아들여져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패션문화상품시장에는 별다른 영향 을 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스카프, 넥타이, 티셔츠, 가 방 등 패션문화상품의 아이템이 지극히 제한적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감성 과 합리성을 중요시하는 현 소비자들은 단순히 지역 의 여행기념품을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 서 사용가능한 실용적인 제품을 구매하기를 원하므 로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함에 앞서 문화상품을 바라 보는 시각부터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의 천연자원에 대한 이해 를 바탕으로 제주의 전통염색으로 지역의 고유성과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제주감 염색과 갈옷의 소재 인 감을 염색의 재료가 아닌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하 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 함으로써 지역자원의 이미지를 상품에 적용하여 지 역을 상징하는 고유이미지로 부각시키고자 한다. 지 극히 제한적인 아이템을 가진 패션문화상품시장에 유 아동복과 같은 패션제품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변화하 는 소비자들의 감성과 기호에 맞는 상품을 제시하고 패션문화상품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디지 털 텍스타일 프린팅(DTP) 기법에 집중되어 있는 소 재개발분야에 자수, 아플리케 등 창의적인 표현기법 을 제시하여 상품의 고부가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위해 전문서적, 선행연 구자료, 인터넷 전자자료 등을 토대로 제주천연자원 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제주전통 감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토속성을 이해하고 패션제품을 위한 천연자 원 감의 활용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텍스타일 디자인 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제 주의 천연자원인 감을 모티브로 한 유아동복 텍스타 일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현대 유아동 복에 나타난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아동복컬렉션의 대표 정보지인 BAMBINI 2014S/S, 2015S/S, 2016년 S/S 총3권을 이 용하여 2014년 S/S부터 2016년 S/S 컬렉션에서 텍스 타일 기법이 드러난 유아동복을 대상으로 하여 총 50 사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패턴의 종류와 소재, 표현 기법으로 구분하였다. 이중 중복되는 사례들을 정리 하여 총 21사례로 분류하고 여기에 나타난 현대유아 동복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의 천연자원 인 감을 모티브로 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 고 유아동복으로 제품화함으로써 단순히 제주의 갈 염색의 재료로만 여겨지던 감을 지역 고유의 이미지 를 유형화하는 제품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모든 작 업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Photoshop 7.0, Illustrator CS5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계 기로 제주전통갈옷에 대한 진부한 이미지를 개선하 고, 제주 천연자원에 대한 관심 증가와 구체적인 패 션문화상품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Background

    1.Trend of Jeju natural resource

    독특한 생태계를 지닌 제주도는 육상식물 2,000여 종과 800여 종의 해양식물, 그 외에 수백여 종의 토착 미생물이 살고 있다(Jung, 2015). 청정하고 다양한 생 물자원을 근간으로 한 제주도의 지역산업은 관광산 업과 감귤, 수산물 등에 집중된 1차 산업에 집중되어 있었다. 2007년 세계자연유산 등재, 2011년 세계7대 자연경관으로 선정되면서 세계적으로 학술적 가치가 인정되어 천혜의 자연환경에 대한 지역브랜드 인지 도를 높이게 되었다(Ahn & Lee, 2014). 2007년 시작 된 올레길은 환경오염, 자연파괴로 인해 등장한 자연 주의, 친환경, 에코, 그린, 오가닉, 로하스 등 웰빙, 힐 링을 중시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등장에 힘입 어 오염되지 않은 청정섬 제주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 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제품의 원료가 갖는 이미 지를 중요시하는 제주의 화장품 산업은 2003년부터 지역특화산업으로 선정되어 청정하고 수려한 제주의 자연환경자원 이미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역전략 산업, 제주미래의 핵심산업으로 주목 받게 되었다. 제 주 특산종인 제주조릿대, 감귤류, 개우무, 동백, 제주 한란, 비자나무 등 제주도 자생 육상 및 해상식물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Kim, 2014).

    2.Origin of Jeju natural resource persimmon

    제주도는 육지와 멀리 떨어진 자연환경적 요인과 정 치적, 문화적 단절된 정책적 영향으로 제주만의 독특 한 고유성을 갖게 되었다(Ahn & Lee, 2014). 제주 토 종감을 이용한 전통염색인 감염색과 전통복인 갈옷 역시 이러한 제주의 기후, 풍토, 생활환경과 역사성, 지 리적 조건에 기인하여 유래된 것이라 할 수 있다(Son, 1989). 감염색이나 갈옷의 유래에 대한 정확한 시기 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단편적인 기록이나 구전을 토 대로 추측되고 있을 뿐이다. 약 700년 전 낚싯줄에 감물을 들인 결과 낚싯줄이 질기고 뻣뻣하게 엉키지 않고 고기도 잘 잡혔다는 전설이 있다고 한다(Ahn & Lee, 2014; Jin, 1969; Kang, 2011; Ko, 2010; Lee, 1991; Yoon, 2004). 화산섬 제주는 식수가 부족하고 자연재 해로 인한 빈곤함 때문에 세탁이 용이하고 질기며 실 용적인 것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기후가 온난하여 도 처에 감나무가 생존해 있었으므로 감즙을 이용하여 경제적인 작업복을 만들어 입게 되었던 것이다. 물에 젖어도 쉽게 마르며 더러움이 잘 타지 않는 작업복은 주업이 목축이나 수산업인 제주사람들에게는 이상적 인 것으로 받아들여져 오랜 전통으로 전해 내려오게 되었다(Son, 1989). 제주의 토종감을 이용한 천연염 색은 감의 수분이 풍부하고 엷은 맛이 강하며, 일조 시간이 가장 긴 7월 중순에서 8월 말 사이에 이루어 지며 염색방법은 다음과 같다. 토종풋감을 따서 으깬 후 천에 골고루 묻힌 다음 주물러 감물을 흠뻑 들이 는데, 이 천을 약 10일 정도 직사광선에 말리면 차차 황토색 빛깔이 짙어지면서 풀 먹인 옷처럼 빳빳해진 다(Yoon, 2004; Ahn & Lee, 2014).

    3.Value of Jeju natural resource persimmon for fashion product

    제주의 천연자원은 패션제품에서도 활용되어 왔는 데, 전통적으로는 풋감을 염료로 사용하는 제주의 감 염색은 갈천과 갈옷이라는 고유어를 생성하면서 제주 전통 문화의 중요한 한 갈래로 자리 잡아 왔다(Jung, 2015; Kim, 2014). 제주도에서는 제주문화상징 99선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8)을 선정 하면서, 특히 감 염색으로 만든 옷, 갈옷을 10대 문화 상징에 포함하였다. 문화상징으로서 갈옷은 감으로 천연 염색을 하였기 때문에 세계적 트렌드인 친환경 웰빙에 부합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환경친화상 품의 영역에 감물이 진출하려면 색채의 차별성을 강 화할 뿐 아니라 다양한 색채를 보강하고, 상품의 디 자인 혁신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 감물 염색한 의류제품은 그 진출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라고 지적 하고 있다(Jeju Research Institute, 2009). 또한 제주의 전통염색인 감 염색은 천연염료의 개발가치 평가(You & Roh, 2006)에서 국내외적으로 경쟁력이 잠재된 개 발가치가 있는 천연염료로서 제안된 바 있다. 이는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분석 결과 에서 천연염색 자원으로서 감의 활용가치가 인정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적 상징성과 잠재된 개발 가치가 인정받는 천연자원 감의 염색은 그 내재 된 가치에 비하여 현재 패션 산업에서는 극복해야 할 한계가 분명히 지적되고 있으므로, 감 염색이 지니는 친환경성과 건강 지향성을 활용한 패션 제품의 체계 적인 개발과 보완을 통하여 잠재적 가치를 충분히 발 현시켜야 할 것이다.

    한편, 1990년대 이후 등장한 에콜로지와 웰빙 트렌 드는 패션 산업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쳐서 에코패션, 그린 패션, 지속가능한 패션, 인체친화성 소재 등의 키워드로 발전과 진화를 거듭하였다. 초반기의 에콜 로지 패션은 주로 자연적인 색채와 천연소재를 기반 으로 표현되었는데, 건강과 자연을 동시에 생각하는 LOHAS와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두면서 환경 오염과 인공물에 대한 폐해로부터 그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어 왔다. 친환경 패션제품 또는 의류제품은 일 반적으로 천연 재료를 활용한 소재나 천연 염색, 기 타 친환경적 요소를 지닌 가공 등을 적용한 제품들이 며(Hong, Lee, & Chu, 2010), 천연섬유나 천연염색 제품, 유기농 섬유제품 등과 같이 제품 원재료의 속 성이 환경지향적인 의류 제품들을 의미한다(Hong & Hwang, 2012). 2000년대 이후에 친환경 패션소재가 가장 두드러지게 사용되어 온 복종은 유아동복 부분 (Park, 2013)으로 오가닉 천연소재와 천연염색 소재 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Kim & Yum, 2013). 또한 로하스 패션디자인의 한가지 표현 기술 로서 천연 염색을 들 수 있는데(Park & Yoo, 2008), 친환경 로하스 패션제품을 위한 가공에 대하여 전문 가와 비전문가 모두 천연염색을 선호한 결과가 보고 된 바 있다(Ha & Park, 2010). 이상의 선행 연구들을 고려할 때에 제주의 천연자원인 감을 활용한 염색은 주된 패션 트렌드인 친환경패션의 자원에 부합하며, 지역의 문화상징 브랜드 가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이템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구체적으로 감물 염색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 보면 항알러지성(Kang, 2011; Lee, 2010), 항균성(Han, 2005; Kang, 2011), 방취성(Han, 2005; Kang, 2011) 등 기능적으로 우수하여 다른 천연염색 재료와의 복 합염을 통해 직물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Cho & Lee, 2015)가 있어 활용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또 한 패션제품의 디자인 요소로서 감 염색 소재의 색채 또한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되어 왔는데, 이에는 일광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발색한 감물 염색 직물의 색채 비교(Byun, 2006)와, 시판되고 있는 감물염색 직 물의 색채 분석(Ko, 2010), 감즙을 분말화하여 감 염 색의 정량화를 시도하고 패션산업에서의 활용성을 위한 PCCS tone 분석에 대한 연구(Lee & Yi, 2013) 가 대표적이다.

    제주의 전통염색인 감물염색을 활용한 섬유패션관 련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들도 활발히 이루어지 고 있다. 창살문양을 이용한 발의 현대적 조성형을 바 탕으로 자연염색인 감물염색으로 문화상품을 제작한 연구(Byun, 2005), 감물염색을 활용한 전통 문화상품 의 개발(Lee, Kim, & Cho, 2007), 감물로 염색한 천 을 이용하여 제주 의료관광을 위한 에코 휴양복 개발 (Choi et al., 2010), 20대 여성을 위한 갈옷 블라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Ko, 2011), 50대 여성을 위한 갈옷 드레스 패턴에 관한 연구(Kang, 2011), 전통 버선본집 의 독창적 요소를 토대로 감물로 염색한 천을 이용하여 의류, 가방, 지갑, 액자 소품 등을 개발한 연구(Hong & Kim, 2013), 감물염색을 포함한 다양한 천연염색 을 이용한 의류제품 개발연구(Park, 2013), 노령인구 의 증가와 패션문화상품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을 인식한 실버세대를 위한 천연염색 침구디자인 연구 (Park & Kim, 2014) 등이 있다. 그러나 천연염색을 비 롯한 친환경 패션제품에서 수요가 급증하는 유아동 복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측면에서는 감을 활용한 사례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염색을 비롯한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제주 천연자원 감을 패션 제품 의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제주지역 천연염색산업이 전국에서 차지 하는 비율은 호남(36.2%)과 영남(29.8%)에 이은 14.9% 를 차지하는데, 제주도의 경제규모가 전국의 1%로 추정되는 사실을 감안하면 매우 큰 비율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주의 천연염색산업에서 감 염색 업 체는 89.1%에 달하고 있다(Jejuian, 2014). 또한 지역 산업에서는 근래에 주요 농산물인 감귤과 해양식물 인 감태, 제주 조릿대, 화산석인 제주송이 등 다양한 천연자원을 활용한 염색이 섬유패션 분야에서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Jung, 2015; Kim, 2014). 최근 지역산업체의 수요에 응하기 위하여 수행한 기술개 발 과제(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15)의 일부로서 유행색에 기반한 감과 감태, 감귤 염색 직물의 색채 분석과 컬 러테마 제안을 목표로 수행된 선행 연구(Ahn, Sarmandakh, & Yi, 2016)가 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Ahn et al., 2016)에서 도출한 천연염색 소재를 기반으로 하여, 친환경 패션소재의 사용이 가장 두드 러지게 요구되는 유아동복을 위한 디자인 모티브에 천연자원 감을 활용함으로써, 제주 천연자원 감의 활 용 범위와 가치를 확대시키고자 한다.

    Ⅲ.Development of Design with Jeju Natural Resource Persimmon Motive

    1.Textile design trend in infant & children’s clothes

    제주천연자원인 감을 모티브로 한 유아동복 텍스타 일 디자인 및 상품개발을 위해 현대유아동복에 나타 난 텍스타일 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은 아동복컬렉션의 대표 정보지인 BAMBINI 2014S/ S, 2015S/S, 2016S/S 총 3권을 이용하여 2014년 S/S 부터 2016년 S/S까지 컬렉션에서 텍스타일 기법이 드 러난 유아동복을 대상으로 총 50사례를 선정하였으 며,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패턴의 종류,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구분하였다. 이중 중복되 는 사례들을 정리하여 총 21사례로 분류하였다. 패턴 의 종류에 따른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전체적으로 나타난 패턴의 종류를 살 펴보면 새, 악어, 얼룩말, 나비, 강아지, 고양이, 해마 등 다양한 동물패턴과 꽃과 과일이 중심이 된 식물패 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Fig. 1>~<Fig. 3>은 새, 악 어, 물고기, 나비 등의 모티브를 사용하여 사실적인 느낌을 살린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으로 표현하였으 며, <Fig. 4>는 해마 모티브를 아동복에 어울리게 캐릭 터화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Fig. 5>는 열대과 일을 모티브로 여름에 어울리는 사실적인 디자인으로 적용하였으며, <Fig. 6>, <Fig. 7>은 딸기, 레몬 등 아이 들이 좋아하는 과일을 단순한 패턴으로 디자인하였 다. 유아동복 컬렉션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모티브 는 <Fig. 8>과 같은 꽃(flower) 패턴이다. 시즌의 트렌 드에 따라 소녀적인 감성으로, 모던한 감성으로, 내추 럴한 감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아이들이 좋아하고 친숙한 패턴들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거나 유아동복의 특성을 반영하여 캐릭터화하 여 패턴 자체를 아동복 디자인의 요소로 반영하여 표 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패턴 하나를 모티브 로 하여 반복하여 디자인하기보다는 <Fig. 4>, <Fig. 6>, <Fig. 8>과 같이 모티브 자체를 하나의 디자인 요 소로 표현한 사례가 많아 이는 유아동복에서 나타나 는 차별화된 결과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Fig. 2>

    패턴의 표현방법에 있어서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텍스타일 디자인에 표현된 패턴의 유형은 사실적인 패턴과 단순화시킨 패턴, 그리고 추상적인 패턴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소재의 종류는 직물 (fabric), 니트, 레이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패턴 의 종류, 소재가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소재의 표현 기법에 따라 독특한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각 사례별로 살펴보면 <Fig. 9>~<Fig. 11>은 사실적인 패턴을 표현하였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 으나 <Fig. 9>는 직물위에 프린팅하는 날염기법을 사 용하였으며 <Fig. 10>은 자카드 직기를 이용하여 무 늬를 만든 자카드 직물이며 <Fig. 11>은 편성물인 니 트로 각기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새로운 느낌으로 표 현하였다. 따라서 이는 동일한 패턴도 직물을 구성하 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Fig. 12>는 허리에 입 체적인 꽃모양의 코사지를 장식하고 스커트부분을 여러 겹의 러플을 겹쳐 꽃잎모양과 같이 형상화하여 표현하였다. <Fig. 13>은 꽃패턴을 단순화하여 컷팅한 소재를 원피스 위에 덧대어 표현하였다. <Fig. 14>는 위에 꽃무늬의 아플리케를 덧대어 입체적으로 표현 하였으며 <Fig. 15>는 단순화된 꽃패턴으로 직조된 레이스에 부분적인 컷팅으로 변형을 주었고 <Fig. 16> 은 사실적인 꽃패턴을 형상화한 기계레이스소재를 이 용하였다. <Fig. 17>은 얇은 소재를 여러 겹으로 겹쳐 꽃모양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비즈로 장식하였 다. <Fig. 18>은 전형적인 자수기법을 이용하여 꽃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Fig. 19>는 비즈, 구슬을 이 용하여 자켓의 테두리부분에 추상적인 꽃패턴을 장 식적으로 표현하였다. <Fig. 20>은 꽃패턴이 조합된 레이스 소재를, <Fig. 21>은 라메 소재에 멜팅기법을 이용하여 꽃패턴을 만든 소재를 다른 소재 위에 겹쳐 표현함으로써 이중적인 소재느낌을 효과적으로 나타 냈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매 시즌 사용되고 꽃 패턴은 아동복에서도 중요한 패턴임을 알 수 있었으 며, 패턴의 모양과 소재, 다양한 표현기법에 의해 창 의적인 디자인으로 전개되어 트렌드에 따라 로맨틱 하게, 때로는 모던하게 새로운 느낌의 소재로 표현되 고 있었다.

    2.Development of design with Jeju natural resource persimmon motive

    1)Planning of design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천연염색의 재료로 인식 되어온 제주전통 감을 디자인모티브로 설정하고 감 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감 염색이 주는 진부하고 칙칙한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천연염색에서 주어지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부합할 수 있는 청정섬 제주의 감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유아의 정서와 로하스 지향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디 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대 유․아동복패션에 나타난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한 자료를 토 대로 유아동복디자인에 적용하였다. 텍스타일 패턴 의 모티브를 하나의 디자인 요소로 보고, 아동복에 적용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천연자원 감을 하나의 모티브로 하여 텍스타일 디자인 패턴으로 단순화하 거나 캐릭터화하고 실크 스크린, 자수, 아플리케 등 공예적인 소재표현을 통해 기존에 천연염색이나 디 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에만 집중되어 있는 천연염색 제품의 한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기농 천연소재의 천연염색을 통해 바이오 기능성 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적용 을 배제하고 실크스크린, 자수, 아플리케 등 최소한 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상적인 이미지를 전달함으 로써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의의를 두었 다. 또한 천연염색제품을 중심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의 제한적 아이템의 확대를 위해 유아동복에 적용하 고자 하였다.

    2)Desig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디자인 모티브 설정을 위한 조형적 접근은 감을 가 로로, 세로로 자른 단면, 위에서 내려다 본 형태, 감꼭 지의 형태, 곶감 말리는 형상 등으로 구분하여 각 테 마에 따른 이미지사진을 선택하고 그 이미지를 기본 으로 패턴화할 수 있는 모티브를 디자인하였다. 모티 브 디자인을 기본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전개 가 능한 Repeat desgin을 개발하였으며, 상품개발을 위 한 컬러웨이를 제시하였다. 모든 작업은 컴퓨터 그래 픽 프로그램인 Adobe Photoshop 7.0, Illustrator CS5 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색상 선정은 선행 연구인 제주의 천연자원의 염색을 활용한 패션색채기획(Ahn et al., 2016)에서 도출한 색상을 기본으로 유아동복 상품에 적용 가능한 색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유아동복의 소재로는 선행연 구(Ahn et al., 2016)에서 제안한 제주산 풋감과 감귤, 감태를 단독 또는 복합염색으로 준비한 천연염색소 재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Ahn et al., 2016)는 지역 산업체의 기술개발 수요에 의하여 진행된 과제(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15)의 결과, 일부로서 천연염재로 풋감 과 감귤, 감태를 선정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제주 풋 감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주의 문화상징으로 대표적인 전통염색 자원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의 모 티브 외에 염색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지역 브랜드 가 치 제고에 도움을 주고자 선정하였다. 감귤은 제주 지 역 최대 생산량의 농산물인데 고품질 유지를 위한 간 벌(솎아내기) 등 농업과정과 가공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이 약 연간 5만 톤에 이르러서 이에 대한 효율 적인 활용이 시급하며(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2014), 감귤 부산물을 이용 한 천연염색 소재의 기능성이 밝혀지고 있다(Im, 2003; Lee, Hong, Yang, & Yi, 2010). 감태는 제주에서 연 간 5,000~6,000톤의 풍부한 자연 생산량을 보이며 효 율적인 활용이 시급한데, 최근 염색 기술을 통하여 감 물 염색의 견뢰도 개선을 위하여 감태 등의 해조류와 의 복합염색을 적용하고 있으므로(Korean Patent No. 10-0933423-0000, 2009), 감귤과 함께 본 연구의 천 연염색 소재로 선정하였다.

    염색 대상인 직물은 Spring/Smmer 아동복 소재로 적합한 60수의 면직물(plan, 197g/m2, 0.20mm)과 유 아용 바디수트, 아동용 티셔츠를 위한 유기농 면편성 물(jersey, 210g/m2, 0.86mm)로서 정련과 표백을 거친 후에 염색하였다. 염료로는 7~8월에 채집한 재래종 풋감의 착즙액과 감귤 미숙과, 제주 해안에서 채취한 감태의 자숙액을 각각 동결건조한 분말을 사용하였으 며, 유아동복의 아이템과 앞에서 개발한 텍스타일 디 자인의 특성에 따라, 이들 염료의 단독 염색 또는 복 합염색 원단을 소재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유아동복 원단 소재의 염색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유아동복을 위한 적용 아이템은 남아를 위한 민소 매 셔츠, 티셔츠, 남방셔츠, 반바지, 여아를 위한 민소 매 셔츠, 캡소매 셔츠, 반바지, 스커트, 원피스, 유아 를 위한 바디슈트이다. 시판되는 천연염색제품은 기 능적으로 우수하나, 디자인 측면에서 진부하다는 보 고들(Hong & Kim, 2013; Park, 2013)을 고려하여 일 반 상품들과 같이 입을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디 자인 기획에 따라 전개된 디자인 전개와 결과물은 <Table 4>와 같다.

    <Table 5>와 <Table 6>의 Design 1과 Design 2는 감을 가로로 자른 단면 형태를 기본 모티브로 디자인 하였다. 감의 단면형태를 단순화하고 패턴화하였다. Design 1의 패턴은 남아용 남방셔츠와 반바지에 적용 하였으며, Design 2의 패턴은 남아용 반발티셔츠와 민 소매 티셔츠에 적용하였다. 아이들과 친숙한 과일인 감을 모티브로 한 패턴을 각 아이템의 여러 위치에 다 양하게 배치하고 질감이 느껴지는 실크스크린과 입 체적인 조형미를 부각시킨 자수기법을 이용하여 감 염색 소재에서 오는 옛스러움에 생동감 있는 이미지 를 더하였다. 또한 4가지 아이템을 서로 믹스하여 입 을 수 있도록 기획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Table 7>의 Design 3은 감을 세로로 자른 단면 형태를 기본 모티 브로 하여 패턴을 디자인하였다. 단순해 보이는 감의 단면에서 씨부분을 페이즐리 문양으로 변형시켰으며 다양한 색을 넣어 화려한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 다. 이러한 패턴은 자수기법을 이용하여 활동적으로 입을 수 있는 여아용 캡소매 티셔츠와 반바지에 적용 하였다. <Tabel 8>의 Design 4는 감을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나타나는 감꼭지의 형태를 기본 모티브로 하여 이를 아동복에 가장 많이 쓰이는 꽃(flower)패턴 에 적용하여 전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패턴은 여아 용 민소매 셔츠와 스커트, 유아용 바디수트에 적용하 였으며, 마찬가지로 재질감이 있는 실크스크린과 입 체감과 수공예느낌의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자수기법 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를 높인 천연염색 제품을 만 들고자 하였다. <Table 9>의 Design 5는 곶감을 만들 기 위해 감을 말리는 형상에서 이미지를 얻어 패턴을 전개하였으며 이러한 패턴과 어울릴 수 있는 여아용 원피스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전체적으로 기획된 아이 템들은 서로 믹스매치(mix-match)하여 입을 수 있도 록 하였으며 천연염색제품뿐만 아니라 일반제품들과 도 입을 수 있도록 실용성을 감안하여 디자인하였다 (Fig. 22).

    Ⅳ.Conclusion

    본 연구는 제주의 천연자원이며 제주전통염색인 갈염색의 재료인 감을 디자인의 모티브로 한 유아동 복 텍스타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만의 독특한 고유성을 지니고 소중한 전통으 로 전해 내려오는 감 염색과 갈옷의 활성화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정책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감 염색을 중심으로 하는 제주의 천연염색산업은 어려 움을 겪고 있다. 제주청정자원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의 새로운 지역전략산업 으로 자리잡은 화장품산업과 비교하면 감 염색의 진 부한 이미지에 대한 선입견과 소재에 대한 근본적인 스토리 부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웰니스와 지속 가능한 패션이 트렌드로 자리잡은 현대 패션산업에 서 제주 천연자원인 감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텍 스타일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패션제품을 위한 천연자원 감을 활용하기 위한 연 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아동복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살펴보면 반복 되는 패턴을 사용하기보다는 패턴 자체를 하나의 모 티브로 보고, 이를 아동복 디자인 요소에 반영함으로 써 다양한 이미지를 드러나게 하였다. 아이들과 친숙 한 다양한 동물패턴, 꽃과 과일이 중심이 된 식물패 턴이 주를 이루었으며 특히, 꽃패턴은 매 시즌 사용 되고 있었으며, 트렌드에 따라 로맨틱하게, 때로는 모 던하게 다양한 소재와 표현기법을 통해 새로운 느낌 의 소재로 표현되고 있었다.

    디자인개발을 위한 전체적인 방향은 천연염색에서 주어지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부합할 수 있는 청정 섬 제주의 감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유아의 정서와 로하스 지향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상품을 제안하고 자 하였다. 유기농 천연소재의 천연염색을 통해 바이 오 기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텍스타일 디 자인 적용을 배제하고, 자수나 아플리케 등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상적인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모티브 설정을 위 해 감을 가로로, 세로로 자른 단면, 위에서 내려다 본 형태, 감꼭지의 형태, 곶감 말리는 형상 등으로 구분 하여 조형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패턴화할 수 있는 모티브로 디자인하였으며,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전개 가능한 Repeat desgin을 개발하고 상품개발을 위한 컬러웨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Ahn et al., 2016)에서 제 안한 제주산 풋감과 감귤, 감태를 단독 또는 복합염 색으로 준비한 천연염색 소재를 사용하였다. 유아동 복을 위한 적용 아이템은 남아를 위한 민소매 셔츠, 티셔츠, 남방셔츠, 반바지, 여아를 위한 민소매 셔츠, 캡소매 셔츠, 반바지, 스커트, 원피스, 유아를 위한 바 디슈트이며, 전체적으로 기획된 아이템들은 서로 믹 스매치(mix-match)하여 입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천 연염색제품뿐만 아니라 일반제품들과도 입을 수 있 도록 실용성을 감안하여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도의 천연자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 으로 주로 전통염색 소재로만 사용되어온 감을 디자 인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 를 유아동복에 적용함으로써 제주의 전통성을 이어 온 소중한 자원인 제주 토종감에 대한 진부한 이미지 를 개선하고 제주 지역을 상징하는 고유이미지로 부 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아이템에 제한적인 패션문 화상품시장에 천연자원 모티브의 디자인을 활용한 유아동복 제품으로 그 영역을 다양화하고, 획일적인 천연염색제품에 자수, 아플리케 등 창의적인 표현기 법을 제시하여 상품의 고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변 화하는 소비자들의 감성과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패 션문화상품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갈염색을 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유기농 면 이나 기타 다양한 색상의 천연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모티브에 대한 호감도 및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되어 향후 이를 주제로 한 후속 연구를 제 안하고자 한다.

    Figure

    RJCC-25-741_F1.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17.

    RJCC-25-741_F2.gif

    Collezioni Bambini 56. (2015). p. 103.

    RJCC-25-741_F3.gif

    Collezioni Bambini 56. (2015). p. 204.

    RJCC-25-741_F4.gif

    Collezioni Bambini 58. (2016). p. 236.

    RJCC-25-741_F5.gif

    Collezioni Bambini 58. (2016). p. 214.

    RJCC-25-741_F6.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73.

    RJCC-25-741_F7.gif

    Collezioni Bambini 58. (2016). p. 239.

    RJCC-25-741_F8.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73.

    RJCC-25-741_F9.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49.

    RJCC-25-741_F10.gif

    Collezioni Bambini 58. (2016). p. 237.

    RJCC-25-741_F11.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48.

    RJCC-25-741_F12.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30.

    RJCC-25-741_F13.gif

    Collezioni Bambini 56. (2015). p. 17.

    RJCC-25-741_F14.gif

    Collezioni Bambini 58. (2016). p. 217.

    RJCC-25-741_F15.gif

    Collezioni Bambini 58. (2016). p. 224.

    RJCC-25-741_F16.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28.

    RJCC-25-741_F17.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38.

    RJCC-25-741_F18.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34.

    RJCC-25-741_F19.gif

    Collezioni Bambini 54. (2014). p. 248.

    RJCC-25-741_F20.gif

    Collezioni Bambini 56. (2015). p. 230.

    RJCC-25-741_F21.gif

    Collezioni Bambini 58. (2016). p. 240.

    RJCC-25-741_F22.gif

    Coordination of items.

    Photographed by M. S. Choi. (June 10, 2016).

    Table

    Classification of pattern type

    Classification of textile expression method

    Dyeing characteristics of cotton fabrics for infant & children’s clothes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 development

    Development product and textile design for infant & children’s clothes with the motive of persimmon

    Development product and textile design for infant & children’s clothes with the motive of persimmon

    Development product and textile design for infant & children’s clothes with the motive of persimmon

    Development product and textile design for infant & children’s clothes with the motive of persimmon

    Development product and textile design for infant & children s clothes with the motive of persimmon

    Reference

    1. AhnM-H. JangA-R. (2015) Development of textile pattern design and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Jeju Gosari festival. , Design Forum, ; pp.129-144
    2. AhnS-M. SaramandakhB. YiE.J. (2016) Fashion color planning using dyeing with Jeju natural resources.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19 (2) ; pp.55-66
    3. AhnS-M. LeeH-J. (2014) Research and survey Gal-ot product in Jeju.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Vol.16 (4) ; pp.520-531
    4. AnH.J. (2015) Design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applying DTP of Jeju Gotjawal: Focusing on Jeju souvenir shirts.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17 (4) ; pp.145-160
    5. ByunE-M. (2005) A study on bal design utilized dyeing with the liquid of persimmon: Centering around the shape of a latticed window.,
    6. ByunS.J. (2006) Color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fabrics dyed with persimmon juice. , Art J., Vol.7 ; pp.1-22
    7. ChoI.S. LeeJ.S. (2015) Combination dyeing of silk fabrics with hibiscus flowers and persimmon juice extract.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Vol.17 (3) ; pp.476-485
    8. ChoiG. H. KangI. H. YangH. J. LeeM. N. LeeE. J. KoJ. H. HongJ. U. KwonS. H. (2010) A study on pattern grading of eco resort wear for Jeju medical tourism.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13 (4) ; pp.733-740
    9. (2014) Collezioni Bmbini 54: Spring/Summer 2014., Logos Publishing,
    10. (2015) Collezioni Bmbini 56: Spring/Summer 2015., Logos Publishing,
    11. (2016) Collezioni Bmbini 58: Spring/Summer 2016., Logos Publishing,
    12. HaS.Y. ParkJ.O. (2010) Analysis of values and design elements in eco-friendly fashion using an in-depth interview.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4 (10) ; pp.1754-1766
    13. HanY.S. (2005)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ersimmon juice and persimmon juice dyed cotton fabrics.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3 (3) ; pp.119-129
    14. HongB-S. LeeE-J. ChuY-J. (2010)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lues of fashion consumers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Vol.12 (4) ; pp.431-438
    15. HongE.B. HwangC.S. (2012) Perceptions of eco-friendly young-children ?(tm)s wear and selection criteria for young-children ?(tm)s wear and stores: A comparison of eco-friendly and ordinary children ?(tm)s wear purchasers.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0 (6) ; pp.895-911
    16. HongH.S. KimG-E. (2013) Forms, colors and construction of the pattern cases for Korean traditional socks and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6) ; pp.860-876
    17. ImE-S. (2003) Natural dyeing of fabrics with dyebath extracted from citrus pe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18. JangA-R. HyunM-K. KimH-M. (2013) Textile pattern design using Saengbul flower in Seo-cheon flower garden of Jeju myth.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2 (4) ; pp.667-676
    19. (2014) http://naturaldye.tistory.com/entry
    20.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15) 제주 귤, 감 미숙과와 감태를 이용한 친환경 유아동복 개발 [Development of eco-friendly infant & Children’s clothes using Jeju citrus, unripe persimmon, and Ecklonia cava],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21. Jeju Research InstituteJeju Research Institute (2009) 제주문화상징물 99선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f utilization of the selected 99 Jeju culture symbol], Author,
    22.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8) 제주문 화상징 [Jeju Culture Symbol], Jeju Foundationfor Arts & Culture,
    23. JinS.G. (1969) 남국의 세시풍속 [Seasonal custom of southern country], Institute of Jeju Cultural Studies,
    24. JungY. K. (2015) A case study on the cosmetics brand using natural resources in Jeju island: Focus on the storytelling of cosmetic brand named innisfre ,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Vol.13 (3) ; pp.96-104
    25. KangJ-S. (2011) A study on Gal Ot dress pattern: In the case of their 5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26. KimD.K. ChoS.A. (2009) Dyeing method using Gamtae dyes to improve Jeju Galcheon’s color fastness , Korean Patent No. 10-0933423-0000,
    27. KimG-E. HongH.S. (2015)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with the image of the spring flower on Halla mounta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9 (2) ; pp.307-322
    28. KimJ.S. YumH.J. (2013) The characteristic of eco-friendly trend in fabric since 2000.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7 (4) ; pp.75-89
    29. KimS.H. (2005) The design development of cultu ral fashion product: Focused on traditional patchwork clo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0. KimS.W. (2016)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50303
    31. KoJ-H. (2011) A study on galot blouse which is a cultural product of Jeju for women in their twen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32. KoK-R. (2010) A color effects research for strengthening a competition of the traditional dyed clothe ?~Gal-Oht ?(t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Vol.24 (3) ; pp.5-16
    33. LeeA.R. HongJ-U. YangY.A. YiE. (2010) Dyeing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k fabric with extract of unripe Citrus unshiu fruits. , Fibers Polym., Vol.11 (7) ; pp.982-988
    34. LeeA.R. YiE. (2013) Dyeing of cotton fabrics with the persimmon extract powder: Focused on dye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color characteristics.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2 (5) ; pp.461-476
    35. LeeE-J. KimS.K. ChoH-S. (2007)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using persimmon dyeing.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5 (6) ; pp.1053-1062
    36. LeeH-S. (1991) A study on the history and making method of the Cheju Do Gal Ot. , Cheju National University Journal, Vol.33 ; pp.165-174
    37. LeeS-H. (2010) Analysis of anti-allergic activities by extracts from persimmon sap-stained rayon and cotton fabrics. , J. Life Sci., Vol.20 (5) ; pp.794-798
    38. LeeS.M. (2016) A study on the culture tourism souvenir use of basalt tex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39.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2014) Developing of using method on by-product of citrus (Report No. PJ0084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40. OhC.Y. (2010) Research of Jeju pottery products design using basalt imag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s, Vol.6 (2) ; pp.83-103
    41. ParkS.A. KimS.H. (2014) Development of bedding design using natural dying for the elderly people. , Korean Science & Art Forum, Vol.18 ; pp.273-279
    42. ParkS.M. YooY.S. (2008) Characteristics of lohas fashion represented green design in 2000 ?(tm)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2 (2) ; pp.307-318
    43. ParkY-S. (2013) Design development through natural dyeing.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3) ; pp.394-400
    44. SonG.J. (1989) A study of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oGalot ??. , Sejong University Journal, Vol.16 (1) ; pp.9-32
    45. SongM.J. (2007) A study on the interial ceramic wall decoration: Focused on the nature of Jeju isl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46. SongM-Y. (2005) A study on development of Jeju cultural tourism product on motives of Jeju natural resourc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ornaments by using Jeju hallan orchids, rape flowers and the image of basa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47. YoonS.H. (2004)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photograph works for ‘Jeju Galot’: An overview of photography for the shooting of the ‘Mongsangi’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48. YouM.N. RohE.K. (2006) A preliminary study on natural dyeing by the Delphi method (Part III): Developing valuation of natural dy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0 (5) ; pp.733-741
    49. YumM.S. (2015) A study of fashion design utiliz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nimal stripes.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Vol.17 (2) ; pp.178-190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