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No.5 pp.702-711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4.22.5.702

A study on hand growth of Korean adolescent boys from 14 to 19 years

Hyunsook Kim, Jongsuk Ch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jschun@yonsei.ac.kr)
August 25, 2014 October 17, 2014 October 20, 2014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and size growth of Korean adolescents boys. Subjects were between 14 and 19 years (n=352). We collected the right hand size data of 19 measurements from each subject using 3D hand scanner. The total 26 hand measurements were analyzed including seven calculated measuremen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early, middle and late). Their hand size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hand length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age groups. Adolescent boys hands were sharply grown at age 16 years old. The hand dimensions of middle age group were compared with twenties men (n=21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middle age adolescents' hands were shorter and thicker than twenties men. Subjects were also divided by weight and height. Weight and height was closely related to hand size. The heavier and taller subjects had the thicker hand. Their fingers were longer than others. The adolescent boys and twenties men who were taller than the twenties' average height (173.4cm) were compared. Twenties men's hands were longer and thinner than that of adolescent boy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ale adolescent hands grow short and thick in the adolescent period. Fingers continuously grow up as a long and thin shape after adolescent period.


한국 남자 청소년(14~19세)의 손 치수 성장 경향에 관한 연구

김 현숙, 천 종숙†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초록


    I.Introduction

    청소년들은 아동과 성인의 사이에 있는 존재로 성숙과 성장의 생물학적 변화를 거치면서 성인이 되 며, 유전인자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청소년들의 신 체 성장 특성이 달라진다(Malina et al., 2004; Song et al., 2011). 청소년 시기에 나타나는 신체 성장 특 징은 2차 성징이 이루어지면서 남성과 여성이 뚜렷 하게 구분되고, 성장 급등(growth spurt) 현상이 발 생한다(Kim, 2009; Rice & Dolgin, 2007/2009). 청 소년의 성장 특성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은 청소년의 신체 성숙과 성장 속도는 이전 세대에 비해 빠르게 진행된다고 주장하였다. Shin(2004)은 청소년들이 연 령과 성별에 따라 신체 변화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 다고 주장하였다. 남자 청소년들은 여자 청소년들 에 비해 연령 증가하면서 비만의 정도는 적어지고, 근과 골의 발달과 여윔의 정도는 커지는 경향이 나 타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들의 신체 연구에 있어 연령과 성별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손은 19개의 뼈로 손바닥과 다섯 개의 손가락으 로 이루어진 신체 기관이다. 손바닥뼈와 2~3개로 연결된 손가락뼈 구조는 손가락뼈와 근육을 다양 한 각도로 움직여서 물건을 잡는 동작을 수행하는 데 적합하게 발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은 일상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도구와 장비를 사용하기 위 해 가장 많이 이용되며, 정교한 작업이나 감정 표현 을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Kim & Ki, 2012; Shier et al., 2002; 2004).

    손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성인을 대상 으로 이루어졌으며(Choi & Do, 2013; Choi & Kim, 2004; Kim & Ki, 2012; Kwon & Choi, 2005; Ryu & Suh, 2004), 손 치수 데이터는 장갑 사이즈 체계 와 맞춤 장갑 패턴 개발(Kwon et al., 2009)이나, 장 갑 치수 체계를 새롭게 제시하는 기본 데이터로 사 용되고 있다(Kwon & Choi, 2005; Kwon et al., 2005; Ryu & Suh, 2004). 최근에는 직접 측정보다는 3차 원 형상 정보를 분석하여 남녀 손 치수와 형태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Choi & Do, 2013; Choi & Kim, 2004). 그러나 청소년들을 대상 으로 손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손 및 장갑 관련 KS 규격은 오토바이용 장갑, 작 업용 장갑, 방호 장갑, 의료용 고무 장갑, 가정용 고 무 장갑, 야구 장갑 등 특정 용도의 제품에 관해 규 격화가 되어 있지만,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치수 체계는 나와 있지 않으며, 소재 규격 및 제품 치수 정도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청소년 손과 관련 한 규격은 아직 기준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청 소년들 장갑 및 제품 설계를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손 치수에 관한 자료 축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서는 3D 손 스캐너를 이용하여 14세에서 19세 청소 년들을 대상으로 전기(14~15세), 중기(16~17세), 후 기(18~19세)로 나누어 10대 청소년의 손 치수 변화 를 파악하였다. 또한 손 치수와 체중이나 신장과의 관련성을 통해 남자 청소년들의 손 성장 경향 등을 분석하였다.

    II.Research Methods

    1.Data collection

    서울 소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4 세에서 19세 남자 청소년(n=349)을 대상으로 3D 스 캐너(EnHAND System)를 이용하여 남자 청소년들 의 오른손 치수를 자동 측정하였다. 측정 항목은 길이부위 8항목, 둘레부위 3항목, 너비부위 8항목 으로 총 19개 항목이었다. 자동 측정되는 항목 이외 에도 선행연구들(Choi & Kim, 2004; Kwon & Choi, 2005; Kim, 2008; Ryu & Suh, 2004; Yoon, 2003)을 참고하여 손바닥 길이와 6개의 비율항목(손길이 대 비 셋째 손가락 길이, 손둘레 대비 손길이, 둘째 손 가락길이 대비 둘째 손가락너비(아래), 셋째 손가락 길이 대비 셋째 손가락너비(아래), 넷째 손가락길이 대비 넷째 손가락너비(아래), 다섯째 손가락길이 대 비 다섯째 손가락너비(아래))을 추가하여 총 26항 목의 손 치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손바닥 길이는 손길이와 셋째 손가락길이 항목의 차이 값으로 산 출하였다(Table 1).

    2.Data analysis

    청소년들의 손 크기는 연령과 체중, 신장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 대상자들은 연령에 따라 전기(14~15세, n=120), 중기(16~17세, n=115), 후기(18~19세, n=114) 집단으로 나누었다. 각 연령 집단의 평균 체중과 신장은 전기 집단이 56.90kg, 166.06cm, 중기 집단은 63.41kg, 172.40cm, 후기 집단은 62.69kg, 173.77cm이었으며, 체중은 각 연령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신장은 전기 집단에 비해 중기 이후 집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중과 신장을 고려하면 피험자들을 3개 연령 집단으로 나누는 것이 타당하 다고 해석하였다(Table 2).

    연령 요소 외에도 청소년들의 체중과 손의 크기 관계를 분석하였다. 집단 분류 기준은 평균 체중(X = 62.69kg, σ=12.22kg)을 사용하였으며, 체중이 가벼 운 집단(56.58kg 이하, n=116), 중간 집단(56.59~68.80 kg, n=133), 무거운 집단(68.81 이상, n=100)으로 나 누어 분석하였다.

    이외에도 신장과 손의 크기 관계를 분석하였다. SIZE KOREA 6차 자료의 20~29세 남성 평균 신장 (173.4cm)을 기준으로 신장 173.3cm 이하 집단(n=222) 과 173.4cm 이상 집단(n=127)으로 나누어 두 집단 의 손 크기를 비교하였다. 또한 20대 성인 남성의 평균 신장(173.4cm)보다 큰 청소년(n=127)과 20대 성인 남성(n=111)의 손 치수를 비교하였다. 성인 남성 의 손 크기 치수는 본 연구와 동일한 장비(EnHAND 시스템)로 측정한 SIZE KOREA의 20대 남성 자료(n=215)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n=349)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III.Result and Discussion

    1.Growing feature of hands by age

    청소년 남성의 손 성장 경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길이 항목에서 연령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세 집단 간에 뚜렷하게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손길이, 둘째 손가락길 이, 셋째 손가락길이, 다섯째 손가락길이, 첫째 손 가락-손목길이 항목이었다(p≤.001). 둘레 항목에서 는 첫째 손가락둘레(위) 항목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중기 연령(16~17세) 집단이 가장 굵은 것으로 나타났다. 너비 항목은 다섯째 손가락너 비(위) 항목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중 기 연령 집단이 가장 굵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손가락 둘레와 손가락 너비는 14세에 이미 성장 이 거의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며, 그 이후로는 손 의 길이가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청소년 중기 연령 집단은 후기 연령 집단보다 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손길이, 손바닥길이, 둘째 손가락길이, 셋째 손가락 길이, 넷째 손가락길이, 다섯째 손가락길이, 첫째 손가락-손목길이, 첫째 손가락 둘째 손가락 사이길 이, 첫째 손가락둘레(위), 손길이/손둘레 항목이 더 크게 나타났다. 중기 집단은 손둘레 대비 손길이의 비율이 다른 연령 집단 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 는 중기 집단 청소년들의 손이 길이가 긴 형태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손 가락의 너비 대비 길이 비율을 살펴보면 중기 집단 이 가장 크게 나왔다. 이 결과는 중기 청소년 집단 의 손의 형태가 가늘고 긴 형태임을 보여준다. 이러 한 결과는 청소년 전기, 중기, 후기 연령 집단의 손부위는 연령 증가에 따라 길이와 둘레가 비례적으 로 성장하지 않고, 청소년 중기 시기에 길이 방향 으로 급격한 성장이 일어남을 시사한다. 중기 집단 청소년들의 손이 후기 집단 청소년들의 손보다 더 크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남성의 연령에 따 라 손 크기 성장 경향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중기 집단내의 청소년을 연령에 따라 16 세와 17세로 더 자세하게 나누어 두 집단의 손 치 수를 비교하였다(Table 4). 그 결과, 체중, 신장 그 리고 대부분의 손 치수 항목에서 16세와 17세 사이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손바닥 길이, 첫째 손가 락둘레(위) 항목에서만 16세 집단이 17세보다 통계 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평균 차 이는 작은 값이었다(3.2mm, 1.48mm). 이 결과는 청 소년 남성들의 손 치수는 이미 16세에 상당한 크기 로 성장하였음을 시사한다.

    청소년 중기 집단의 손 치수가 성장이 완료한 치 수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의 중기 집단 청소 년들의 손 치수와 SIZE KOREA 6차 자료의 20대남성(n=215)의 손 치수를 비교하였다(Table 4). 비 교 결과, 중기 집단 청소년들의 손 치수는 20대 남성 들보다 대체로 작았다(p≤.001). 예외적인 항목은 첫 째 손가락길이(p≤.001)와 첫째 손가락둘레(위)(p≤.01), 첫째 손가락둘레(아래)와 너비 항목들(p≤.001)로 청 소년 중기 집단이 20대 남성보다 더 큰 치수를 나 타냈다. 따라서 중기 집단 청소년들은 전반적으로 20대 남성들에 비해 짧고, 굵은 손가락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손둘레 항목은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 라서 남성들 손 치수 성장은 청소년기 이후 길이 방 향의 성장이 주축을 이루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대 남성들의 평균 신장(173.4cm) 이상으로 성 장한 남자 청소년들의 경우, 손의 성장도 완료된 것 인지 예측하기 위하여 신장 173.4cm 이상인 남자 청 소년들(n=127)과 20대 남성들(n=111)을 대상으로 두 집단의 손 치수를 비교하였다(Table 5). 분석 결 과, 20대 남성들의 손과 손가락 길이는 남자 청소 년들보다 더 길었으나, 손둘레 및 너비 항목에서는 남자 청소년들이 20대 남성들보다 더 굵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기 이후 남성들의 손이 더 길어지는 대신 굵기는 성장을 멈추는 것으로 예측 한 위 결과(Table 3)를 지지하며, 또한 신장은 성인 과 비슷하게 발달하였으나, 손은 아직 성인의 크기 에 미치지 못하였고, 손의 성장이 계속 진행되고 있 는 단계임을 시사한다.

    2.Growing feature of hands by weight and hight

    청소년 남성의 체중에 따른 손 치수 차이를 분석 하기 위해 체중이 가벼운 집단, 중간 집단, 무거운 집단으로 나누어 22개 손 치수 항목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Table 6). 분석 결과, 대부분 항목(n=19)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 남성들의 손 치수는 체중 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손의 너비와 둘레 항목들은 유의수준이 p≤.001로 세 집 단 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남자 청소들의 손의 크기가 신장의 성장과는 어 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20대 남성의 평균 신 장(173.4cm)을 기준으로 청소년 피험자들을 신장이 173.3 cm 이하 집단(n=222)과 173.4cm 이상 집단(n=127)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Table 7). 분석 결과, 다섯째 손 가락너비(위), 손길이/손둘레 비율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신장이 클수록 손의 크기도 전반적 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자 청소년들의 체중과 신장 변화는 손의 크기 변화와 매우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V.Conclusion and Suggestion

    본 연구는 14~19세 남자 청소년들의 손 크기의 성장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령과 체격을 나타내는 체중 및 신장 요인을 중심으로 청 소년 남성의 손 치수 성장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 한 청소년들의 손 성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신 체 성장이 완료된 시기인 20대 청년 남성들의 손 치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청소년들의 손의 크기는 16세를 기점 으로 크게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기 연령(16, 17세) 청소년들의 손의 성장 정도를 성인 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중기 집단 청소년들은 아직 20대 남성의 손의 크기에 비해 손의 두께나 굵기는 굵었으나, 길이는 짧게 나타났다.

    둘째, 20대 남성의 평균 신장(173.4cm)보다 큰 청 소년들과 20대 남성 집단을 대상으로 손 치수를 비 교한 결과, 청소년들의 손가락이 20대 남성에 비해 짧고 굵은 형태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남성 의 손은 청소년기 이전에 굵기 성장이 거의 완료 되며, 청소년기 이후에는 손가락이 점차 가늘고 길 어지는 형태로 변화됨을 시사한다.

    셋째, 남자 청소년들의 손은 체중이 많이 나갈수 록, 키가 클수록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몸무게 가 무거울수록 손가락이 굵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 손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 은 실정에서 남자 청소년들의 손을 대상으로 연구711 - 하여 이들의 손 성장 경향과 형태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남자 청소년들의 손만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한 것이므로 지역적인 한계가 있다.

    Figure

    Table

    Hand measurements in this study

    *Calculated dimensions
    **Thumb length: Distance of 1cm lower point from the top of thumb and distinct point of palm-thumb

    Average weight and height of age groups

    A, B, and C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ing from the Duncan test (A>B>C).
    *p≤.05
    **p≤.01
    ***p≤.001.

    Hand measurements among age groups (Unit: mm)

    A, B, and C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ing from the Duncan test (A>B>C).
    *p≤.05
    **p≤.01
    ***p≤.001.

    Hand measurements between 16 years and 17 years of middle age group and hand measurements between middle age group and twenties group (Unit: mm)

    *p≤.05
    **p≤.01
    ***p≤.001

    Hand measurements between adolescents and twenties over 173.4cm tall (Unit: mm)

    *p≤.05
    **p≤.01
    ***p≤.001

    Hand measurements among weight groups (Unit: mm)

    A, B, and C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ing from the Duncan test (A>B>C).
    *p≤.05
    **p≤.01
    ***p≤.001.

    Hand measurements between height groups (Unit: mm)

    *p≤.05
    **p≤.01
    ***p≤.001

    Reference

    1. Choi E. H , Do W. H (2013) Analysis on hand types of elderly women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Vol.15 (4) ; pp.574-582
    2. Choi H. S , Kim E. K (2004) The database development of 2-D and 3-D hands measurement for improving fitness of gloves -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of hand type and analysis of 3-D hand shape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8 (9/10) ; pp.1300-1311
    3. Kim C. S (2009) Adolescent psychology[청소년심 리학의 이론과 쟁점], Hakjisa,
    4. Kim E. K (2008) Development of the standard size dimensions and reference sizes for improving size suitability of gloves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Vol.10 (6) ; pp.966-978
    5. Kim S. H , Kee S. H (2012)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Korean hand shapes based on anthropometric hand data analysis , Journal of Korean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14 (1) ; pp.75-85
    6. Kwon M. S , Chio I. S (2005)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hand shap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5 (6) ; pp.11-19
    7. Kwon M , Choi I , Chung G , Yang M (2005) A study on establishment of glove size system and hand shap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5 (6) ; pp.24-37
    8. Kwon O , Jung K , You H , Kim H. E (2009) Determination of key dimensions for a glove sizing system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hand dimensions , Applied Ergonomics, Vol.40 (4) ; pp.762-766
    9. Malina R. M , Bouchard C , Bar-or C (2004) Growth, maturation and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
    10. Rice F. P , Dolgin K. G (Jeong Y. S , Shin M. S , Lee S. Y (2009) The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culture, Sigma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11. Ryu K. O , Suh M. A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asurement of Korean adult hand for glove pattern-making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2 (6) ; pp.897-907
    12. Shier D , Butler J , Lewis R Lee W. T , Lee J. E , Park S. H , Lee K. L , Park K. A , Hong S. G (2004) Hole's human anatomy & physiology, Jung Dam Publishing Co,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13. Shin S. K (2004) The change pattern of somatotype aligned on chronological age in boys and girls form 7 to 19 years , Journal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Vol.12 (3) ; pp.37-48
    14. Song J. K , Kang H. J , Jung H. C , Kim H. B , Son W (2011) Tracking of skeletal maturity, body composi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during adolescence ,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19 (4) ; pp.261-270
    15. Yoon H. Y (2003) A study of measurement on the hand for Korean adults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16 (2) ; pp.140-148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