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ntroduction
현대 사회는 각 분야마다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 에 대한 뚜렷한 경계가 사라지고, 양성의 경계를 넘 나드는 경향이 대세를 이루면서 남성 패션에도 많 은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이 남성복의 여성화 경 향으로 젊은 남성들은 날씬하고 캐주얼하며 세련 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하여 짧고 타이트한 재킷 과 팬츠는 매우 슬림하고, 여성 팬츠처럼 발목이 드 러나도록 짧게 착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 여진다.
팬츠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으로 하반신 측정치 에 대한 여유량, 허리선의 위치, 허리다트량과 길 이, 실루엣을 결정하는 안다리선과 옆선의 위치, 밑 위길이와 앞뒤샅냄폭, 하지동작에 의해 가장 영향 을 많이 받는 뒤중심경사각도 등이 있다(Choi, Suh & Uh, 2012). 팬츠의 여유량은 수평중합도의 가장 바깥부위들을 연결한 선인 외포둘레, 즉 최소 의복 필요량에 인체 형태나 동작에 적응할 수 있는 기능 량을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하며(Park & Kim, 1997), 여유량이 없는 팬츠를 착용할 경우, 하지부가 받는 구속압은 근육피로와 혈류 순환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Shim & Choi, 1994) 팬츠 패턴 설계 시 적절한 여유량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는 인체에서 가장 움직임이 큰 부위로 특히 밑 위부위는 하지 동작 시 가장 많이 움직이며, 걷기, 뛰기, 버스에 오르기 등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 가 있으며,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가장 많은 신축 과 굴곡이 일어나는 부위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밑위부위의 기능성은 하지의 동작에 직접적인 영 향을 주며, 하의의 착용감과 편안함을 결정한다(Kim, 2008). 샅부위는 팬츠의 면적에 비해 아주 작은 면 적이나, 전체 외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여유분을 설정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하며, 뒤중심경 사각도는 엉덩이둘레와 넙다리둘레에 영향을 미치 기 때문에 동작에 대한 적응이 크게 요구되는 팬츠 의 경우, 뒤중심경사각도가 크고 밑위둘레가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Park & Kim, 1997).
최근 들어 다양한 개성을 가진 남성들을 돋보이 게 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팬츠들이 유행하고 있 는데, 그 중에서 인체의 곡선을 드러내는 슬림 팬 츠의 착용이 증가하고 있어 슬림 팬츠로써의 심미 성과 활동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의복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남성 팬츠 패턴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Paek & Lee(2001)는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의 남성 정 장 주름바지 제도방법을 제시하였고, Yang(2011)은 중년 남성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에서 수집한 원 턱 팬츠 5종을 비교분석한 후, 원턱 팬츠 원형을 제 시하였고, 정장 슬림핏 팬츠의 개발로 중년층의 신 체적 결함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Park (2013)은 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작업복 팬츠 패턴을 제도하여 3차원 가상착의 이미지와 실물 이 미지를 비교하여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Jeong(2011) 은 엉덩이둘레 여유분과 팬츠 형태가 다른 6가지 팬츠를 제작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20대 초반의 남 성을 위한 팬츠는 다른 디자인 요소(턱의 유무)를 달리하여도 엉덩이둘레 여유는 4cm가 적합하다고 밝혔다. 또한 Jeong(2006)은 20대 초반 남성을 대상 으로 신축성 소재의 신장율을 각 신체 부위에 적용 한 밀착 팬츠 패턴 설계방법과 최적 패턴 축소율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의 남성 팬츠 패턴은 대부분 여유분이 있는 원턱 팬츠 패턴 설계에 대한 연구로, 최근 남성 패션의 트렌드를 반영한 남성 슬림 팬츠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한편, 3차원 가상착의 기술이 패션과 접목되면서 의복디자인과 판매는 물론이고, 생산단계에도 가상 착의 시뮬레이션 기술이 도입되었다. 3차원 가상착 의는 2차원의 패턴을 3차원 형상으로 가상에서 재 현하는 것으로 가상착장형상을 투시도와 의복압으 로 시행하여 인체와 의복의 밀착 정도를 시각적으 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샘플을 제작하지 않아도 의복의 여유량과 맞음새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의류기술이 활성화되면서 3D 가 상착의 시스템을 활용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상착의를 활용한 팬츠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성인여성 팬츠(Choi & Do, 2008; Cha & Kang, 2013), 노년여성의 골프웨어 팬츠(Ryu, Choi & Park, 2012), 비만여성 팬츠(Lee, 2010), 복부비만 중년남성의 팬츠(Lim, 2011), 남성용 작업복 팬츠 (Park, 2013) 등이 발표되었으나, 가상착의를 적용한 20대 남성 슬림 팬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슬림핏 스타일이 반영된 팬츠 패 턴을 수집한 후 패턴 간의 제도방법을 비교분석하 고, 3D 가상착의로 슬림 팬츠를 제작하여 의상 착 장 시뮬레이션과 투시도에 의한 외관 평가를 실시 하고, 정자세와 워킹자세의 의복압을 비교분석하여 20대 남성의 슬림 팬츠 패턴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 로 제공하고자 한다.
II.Methods
1.Selection of design and patterns
남성 슬림 팬츠 패턴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교 육용은 최근 2년 내에 출간한 남성복 교재에서 슬 림핏에 해당하는 슬림 팬츠 패턴을 선정하였으며, 실무용 패턴은 20대 남성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 에 슬림 팬츠디자인을 제시한 후, 가장 유사한 팬츠 패턴을 제공받았다. 선정한 팬츠 패턴은 교육용 패 턴(Cho, 2014; Kim, 2014; Jeong, 2014; Park et al., 2013) 4종과 실무용 패턴(S-Brand) 1종으로 총 5종 이며, 편의상 5종의 패턴을 A~E 패턴으로 명명하 였으며, 팬츠 디자인은 (Fig. 1)과 같다.
총 5종의 슬림 팬츠 패턴을 Size Korea의 제 6차 인체치수조사 자료에서 제시한 20대 남성의 평균 치수를 사용하여 Yuka의 Pattern CAD system으로 제도하였고, 패턴의 제도 조건을 일치시키기 위하 여 디테일한 디자인과 주머니 제도는 생략하였다. 패턴에 적용한 인체치수는 (Table 1), 팬츠 패턴은 (Fig. 2)와 같다.
2.Evaluations by virtual garment simulation
팬츠의 맞음새와 외관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주) 클로 버츄얼 패션의 3차원 가상 착의 시스템으로 최신 버전인 CLO 3D Modelist ver.1.41을 이용하여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1)Production of virtual avatar
가상착의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남성 기본 avatar 를 불러온 후, (Table 1)의 인체치수를 사용하여 avatar 사이즈 편집메뉴에서 높이, 둘레, 길이 등의 측정치를 적용하여 20대 남성의 가상 모델을 제작 하였다. 가상 모델은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4가지 기본 avatar 체형 중에서 skinny tall 체형을 이용하 였으며, 소재는 프로그램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 는 물성 데이터 중에 Real_Cotton_Cloth_CLO_V1 을 적용하였다.
2)Appearance evaluation
가상착의에 대한 외관평가는 의상착장 시뮬레이 션 및 투시도를 함께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투시도 는 여유분에 대한 시각적인 비교를 위하여 활용하 였으며, 투명도를 0%에서 100%의 범위 중, 최대치 인 100%로 설정하여 인체와 의복 사이의 공극량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였다.
외관평가 항목은 전면, 측면, 후면에 대해 각 부 위의 여유량 및 형태, 위치 등의 적절성 및 전체적 인 외관의 적절성에 관한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 으며, 평가자는 의류학을 전공한 전문가 집단 9인 으로 ‘매우 그렇다(5점)’에서 ‘매우 그렇지 않다(1 점)’까지 5점 Likert Type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 다. 부적절하다고 응답한 항목에 대해서는 구체적 인 답변을 위한 추가 문항을 제시하였다.
3)Analysis on the clothing pressure
가상착의 시뮬레이션에서는 아바타에 의상을 착 장시켰을 때 아바타의 면적이나 부피, 움직임에 따 라 힘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힘의 정도를 색분포 도와 수치(gf/cm2)로 표기하여 의복압 분포를 비교 할 수 있으며, 색상 범위는 변형률로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복압 변형률의 색상범위를 0gf/cm2에 서 500gf/cm2로 설정하였으며, 수치가 0gf/cm2에 가 까울수록 녹색 즉, 여유분이 많음을 의미하고, 500 gf/cm2의 수치에 가까울수록 적색 즉, 여유분이 부 족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색분포도 를 통하여 의복압에 대한 시각적인 비교가 가능하 므로 정자세와 워킹자세의 의복압을 비교분석하였 다. 워킹자세 설정은 CLO 3D Modelist program의 모션 파일을 가상 아바타에게 적용시켜 Runway Animation을 시뮬레이션한 후, Runway 동작 중 가 동범위가 가장 큰 동작을 포착하여 포즈 파일(*.pose) 로 저장하여 활용하였다.
3.Data analysis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 였다. 외관평가 항목별로 5종 패턴의 평균을 비교 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 과 사후검증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 항목별로 부적절하다고 평가한 이유가 패턴에 따 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 시하였으며, 21개의 평가항목 중 전체 바지외관을 평가한 항목과 나머지 20개 항목 간의 이변량 상관 계수를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III.Results and Discussion
1.Comparisons on ease and pattern-making methods
남성 슬림 팬츠 5종의 패턴 제도 산출식 및 패턴 치수를 비교해 본 결과(Table 2), 바지길이, 밑위길 이, 엉덩이길이, 무릎길이 등 길이항목의 경우, 패 턴 A, C, D, E는 부위별 대표치수인 허리높이나 엉 덩이수직길이 등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나, 패턴 B 는 모든 길이항목을 키 항목을 기준으로 산출한 점 이 가장 뚜렷한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바지길이 치 수는 패턴 B가 가장 길며, 패턴 D가 가장 짧은 것으 로 나타났고, 밑위길이 치수 역시 패턴 B가 가장 길었으며, 가장 짧은 패턴과는 5cm 이상 차이가 나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허리둘레 치수는 모든 패턴이 배꼽수준허리둘레 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남성 팬츠는 패턴 설계 시 여성복과 달리 배꼽수준허리둘레를 사용하기 때문 이며, 이로 인해 남성복의 바지길이는 허리벨트폭 을 포함시켜 설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5종의 패턴 모두 바지길이 설정 기준이 상이하 였기 때문에, 동일 조건하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제 도 산출식 및 완성치수 측정 시에 벨트폭을 제외한 바지길이로 통일하였다. 또한 허리둘레의 전체 여 유량은 A(2cm), B(0cm), C(5.6cm), D(4.4cm), E(2cm) 로, 패턴 C의 허리둘레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패턴 B는 허리둘레의 여유량이 전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엉덩이둘레의 전체 여유량은 A(2cm), B(4cm), C(5cm), D(3cm), E(5cm)로, 패턴 C와 E의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허리들임 분량은 패턴 E가 가장 큰 수치를 적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뒤중심 기울기를 결정하 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뒤허리들임 분량은 패턴 D 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뒤허리올림 분량 역시 패턴 D와 E의 수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 다. 샅냄분의 경우, 패턴 D는 제시된 수치를 적용 하였으나, 나머지 4종의 패턴은 모두 엉덩이둘레를 사용하여 산출한 수치로 제도하였으며, E의 수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부리폭은 패턴 C가 48.6cm로 가장 넓었고, B(46cm), A(44cm), E(41.8cm), D(36.8cm)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넓은 패턴과 좁은 패턴의 치수 차이는 무려 12cm 가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샅앞뒤길이는 패턴 B가 62.6cm로 가 장 길고, E(60.0cm), C(57.2cm), D(56.5cm), A(54.5cm) 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가장 짧은 패턴과는 8cm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Evaluations of virtual garment simulation
1)Appearance evaluation
가상착의 착장 형상과 투시도는 (Fig. 3), 외관평 가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전체 21개 평가항목 중 13개 평가항목, 즉 전면 4개 항목(허리선 위치의 적절성, 허리부위의 여유 량 적절성, 샅앞길이 여유량 적절성, 샅부위에 군주 름은 없는가), 측면 3개 항목(허리선 위치의 적절 성, 허리선 경사의 적절성, 옆솔기선 위치의 적절 성), 후면 4개 항목(허리선 위치의 적절성, 허리부 위의 여유량 적절성, 허리 다트위치의 적절성, 허리 다트선의 자연스러움), 전체 2개 항목(바지부리폭 의 적절성, 전체 바지외관)에서 5종의 팬츠를 평가 한 평균값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면에 대한 평가항목 중, 허리선 위치의 적절성 은 팬츠 A와 D는 높게 평가되었고, B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허리부위 여유량의 적절성은 팬츠 A와 D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았으며, C와 E에 대 한 평가가 가장 낮았다. 샅앞길이 여유량의 적절성 은 팬츠 B, C, D에 대한 평가보다 A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샅부위 군주름에 대한 평가는 팬츠 D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측면에 대한 평가항목 중, 허리선 위치의 적절성 에서는 팬츠 A와 D는 높게 평가되었고, B와 C는 낮게 평가되었다. 허리선 경사의 적절성에서는 팬 츠 C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옆솔기선 위치의 적절성은 팬츠 A, C, E 가 높은 평가를 받 았으며, B와 D가 낮은 평가를 받았다.
후면에 대한 평가항목 중, 허리선 위치의 적절성 은 팬츠 A, D, E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에 대 한 평가는 가장 낮았다. 또한 허리부위의 여유량 적절성은 팬츠 A, B, D, E에 대한 평가가 높은 반 면, C에 대한 평가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허리다트 위치의 적절성은 팬츠 A, D, E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B와 C에 대한 평가는 낮게 나타났다. 허리 다트선의 자연스러움은 팬츠 C에 대한 평가 가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바지부리폭의 적절성을 평가한 결과 에서는 팬츠 C와 D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 았다. 전체 바지외관에서는 팬츠 A가 4.22로 가장 좋 은 평가를 얻었으며, 팬츠 D와 E(3.22), 팬츠 B(2.56), 팬츠 C(1.89)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외관평가 결과를 정리해 보면, 전체 바지외관은 팬츠 A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팬츠 B는 허리 선 위치와 밑위길이 여유량, 샅뒤부위의 군주름 항 목에서 가강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바지부리폭과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팬츠 C는 허리부위 여유량과 허리선 경 사, 바지부리폭,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팬츠 D는 전면의 밑 위길이와 넙다리부위 여유량, 샅앞부위의 군주름, 후면의 허리다트길이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지만,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는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팬츠 E 는 엉덩이부위와 후면의 넙다리부위 여유량 항목 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바지부리폭과 바 지길이,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는 비교적 좋은 평 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관평가 시 전문가 집단의 평가자들은 5종의 팬츠에 대해 평가 항목별로 5점 척도(1:매우 그렇 지 않다~5:매우 그렇다)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는데, 5점 척도 상에 1 혹은 2에 응답하여 부적절하다고 평가한 경우에는 그 이유를 질문하였다. 그 결과를 교차분석표로 집계하였으며, (Table 4)와 같다. 일 반적으로 교차분석 시 χ2 검정을 통해 두 집단간 상호관계 검증이 가능하지만, 교차분석표에서 기대 빈도가 5이하인 칸(cell)이 전체 칸 중에서 25% 이 상이 되는 경우 χ2 검정을 적용하기 어렵다(Ahn & Lim, 2005). 본 연구의 경우,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집 단의 수가 제한적이었던 관계로 인하여 이러한 상 황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차분석표 는 제시하나, 검정통계량인 χ2 값과 그 값에 따른 집단간 상호관계 검증 결과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외관평가 항목 중 부적절 평가에 대한 결과를 (Table 5)에서 살펴보면, 전면의 경우, 팬츠 B는 허 리선 위치가 높고 D는 넙다리부위 여유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와 E는 허리부위와 엉덩이부 위의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면에서 팬 츠 B는 허리선 위치가 높고, 옆솔기선이 앞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나타났고, C는 허리선 위치가 높고, 허리선 경사가 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츠 D는 옆 솔기선이 앞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나타났고, E는 허리선 경사가 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면의 경우, 팬츠 A는 허리 다트길이가 짧으며, B는 허리선 위치가 높고, 샅뒤길이 여유량이 많고, 허리 다트위치가 중심쪽으로 치우쳤으며, 허리 다 트길이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팬츠 C는 허리부 위 여유량이 많고, 허리 다트위치가 옆선쪽으로 치 우쳤으며, 허리 다트길이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팬 츠 D는 샅뒤길이와 넙다리부위 여유량이 적고, 허 리 다트길이가 짧으며, E는 엉덩이부위와 넙다리부 위의 여유량이 많고, 허리 다트길이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부위의 부적절 평가에서는 팬츠 B, C가 바 지부리폭이 넓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팬츠 D는 바 지부리 폭이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21개의 평가항목 중 전체 바지외관의 적절성을 평가한 항목과 나머지 20개 항목 간의 이변량 상관 계수를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 과는 (Table 5)와 같다. 전면 허리부위 여유량(0.544), 측면 허리선 위치(0.551), 후면 허리선 위치(0.502), 후면 허리부위 여유량(0.566), 후면 허리 다트위치 (0.535) 등 5개 변수의 상관계수 값이 높게 나타남 을 알 수 있는데, 전체 바지외관의 적절성과 특히 상관관계의 정도가 강한 이들 변수들은 모두 허리 와 관련된 평가항목들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 다. 따라서 남성 슬림 팬츠의 전체 바지외관의 적 절성 평가 시 허리와 관련된 평가항목이 특히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한 편, 전면 샅부위 군주름과 넙다리부위 여유량, 측면 옆솔기선 위치, 후면 엉덩이부위 여유량, 샅뒤길이 여유량, 허리 다트길이, 그리고 바지길이의 경우에 는 전체 바지외관의 적합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 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2)Analysis on the clothing pressure
정자세와 워킹자세의 의복압을 색분포도와 수치 (gf/cm2)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Fig. 4)와 같다.
정자세의 의복압을 살펴보면, 전면의 경우, 허리 부위 의복압은 633~9gf/cm2로 측정되었는데, 그 중 팬츠 D가 633gf/cm2로 의복압이 가장 높아 적색을 띄었고, 팬츠 C는 9gf/cm2로 의복압이 낮아 녹색을 띄었다. 샅앞부위의 의복압은 330~163gf/cm2의 분 포를 보였는데, 팬츠 B가 가장 높아 적색으로 나타 났고, 팬츠 E가 가장 낮아 녹색으로 나타났다. 측면 의 넙다리부위는 149~68gf/cm2의 분포로 팬츠 D가 가장 높았고, E가 가장 낮았다. 후면의 경우, 엉덩 이부위의 의복압은 187~77gf/cm2로 측정되었는데, 그 중 팬츠 D가 가장 높아 붉은색으로 나타났고, 팬츠 C는 낮아 녹색을 띄었다. 정리해 보면, 팬츠 D는 허리, 엉덩이, 넙다리부위의 의복압이 높게 나 타나, 여유량이 적은 팬츠인 반면, 팬츠 C는 전체적 으로 의복압이 낮게 나타나, 여유량이 넉넉한 팬츠 임을 알 수 있었다.
워킹자세의 의복압은 오른발을 앞으로 한 워킹 동작으로 인해 좌, 우 인체부위의 의복압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넙다리부위가 가장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전면과 측면은 넙다 리 우측이 강한 적색으로 나타났으나, 후면은 좌측 넙다리의 의복압이 큰 것으로 나타나, 동작에 따라 압박 정도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워킹자세의 의복압을 살펴보면, 전면의 우측 넙 다리부위는 595~252gf/cm2로 측정되어 팬츠 D가 595gf/cm2로 의복압이 가장 높아 짙은 적색을 띄었 고, 팬츠 C는 252gf/cm2로 의복압이 낮아 노란색을 띄었다. 측면의 넙다리안쪽 부위는 831~469gf/cm2 의 분포로 팬츠 A의 의복압이 가장 높아 적색을 띄 었고, 팬츠 C는 의복압이 낮아 적색이 적게 나타났 다. 후면의 좌측 넙다리부위는 794~315gf/cm2의 범 위에서 의복압이 측정되었는데, 팬츠 A의 의복압 이 가장 높았고, 팬츠 C의 의복압이 가장 낮게 측 정되었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엉덩이둘레 여유 량이 적고 바지폭이 좁았던 팬츠 A와 D의 의복압 은 높게 나타났고,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바지폭 이 모든 팬츠 중 가장 여유량이 많았던 팬츠 C의 의복압은 낮게 나타나, 의복압은 팬츠의 여유량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V.Conclusion
본 연구는 최근 남성 패션의 트렌드인 슬림 팬츠 의 패턴 제도방법을 알아보고, CLO 3D 가상착의 시스템을 적용하여 5종의 슬림 팬츠을 제작한 후, 맞음새와 외관 평가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수집한 팬츠 패턴의 제도 산출식 및 패턴 치 수를 비교한 결과, 길이항목 제도 시 패턴 A, C, D, E는 허리높이나 엉덩이수직길이 등을 이용하여 산 출하였으나, 패턴 B는 모든 길이항목을 키 항목을 기준으로 산출한 점이 가장 뚜렷한 차이점으로 나 타났고, 허리선 설정은 모든 패턴이 배꼽수준허리 둘레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둘레 여유량은 0~5.6cm로 패턴 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패턴 C가 가장 많았고, 패턴 B는 여유량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엉덩이 둘레 여유량도 2~5cm로, 패턴마다 각기 다른 여유 량을 부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패턴 C, E가 많 았으며, 패턴 A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 지길이는 104.2~99.1cm로 패턴 B가 가장 길고, 패턴 D가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고, 바지부리 폭은 48.6~ 36.8cm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패턴 C가 가장 넓었고, 패턴 D가 자장 좁은 것으로 파악되어 패턴 간의 실루엣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외관평가 결과,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 팬츠 A가 가장 좋은 평가를 얻었고, 그 다음은 D와 E, B, C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팬츠 B는 허리선 위치와 밑위길이 여유량, 샅뒤부위의 군주름, 바지부리폭,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팬츠 C는 허리부위 여유량과 허리선 경 사, 바지부리폭,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팬츠 D는 전면의 밑 위길이와 넙다리부위 여유량, 샅앞부위의 군주름, 후면의 허리다트길이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지만,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는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팬츠 E 는 엉덩이부위와 후면의 넙다리부위 여유량 항목 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바지부리폭과 바 지길이, 전체 바지외관 항목에서는 비교적 좋은 평 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관평가 항목 중 부적절 평가에 대한 결과, 팬 츠 B는 허리선 위치가 높고 옆솔기선이 앞쪽으로 치우쳤으며, 샅뒤길이 여유량이 많다고 평가하였 고, 팬츠 C는 허리와 엉덩이부위의 여유량이 많고, 허리선 위치가 높으며, 허리선 경사가 급한 것으로 지각하였다. 팬츠 D는 옆솔기선이 앞쪽으로 치우 쳤고, 샅뒤길이와 넙다리부위 여유량이 적으며, 팬 츠 E는 허리와 엉덩이, 넙다리부위의 여유량이 많 으며, 허리선 경사가 급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바지 부리폭은 팬츠 B, C는 넓고 팬츠 D는 좁은 것으로 지각하였다.
전체 바지외관의 적절성 평가항목과 나머지 항 목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전면 허리부위 여유량, 측면 허리선 위치, 후면 허리선 위치, 후면 허리부 위 여유량, 후면 허리 다트위치 등 5개 변수의 상관 계수 값이 높게 나타나, 허리와 관련된 평가항목들 이 전체 바지외관의 적절성과 특히 상관관계의 정 도가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 성 슬림 팬츠의 외관평가 시 허리와 관련된 평가항 목이 특히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정자세의 의복압 분석결과, 팬츠 D는 허리부 위, 엉덩이부위, 넙다리부위의 의복압이 높게 나타 나, 여유량이 적은 팬츠인 것을 알 수 있었고, C는 전체적으로 의복압이 낮게 나타나 여유량이 넉넉 한 팬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워킹자세의 의복압 분석결과, 전면의 우측 넙다리부위의 의복압은 팬 츠 D가 가장 높았고, C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측 면의 넙다리안쪽부위의 의복압은 팬츠 A가 가장 높았고, C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후면의 좌측 넙다 리부위는 팬츠 A의 의복압이 가장 높았고, 팬츠 C 의 의복압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엉덩이둘레 여유량이 적 고 바지폭이 좁았던 팬츠 A와 D의 의복압은 높게 나타났고,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바지폭이 모든 팬츠 중 가장 여유량이 많았던 팬츠 C의 의복압은 낮게 나타나, 의복압은 팬츠의 여유량에 따라 차이 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 남성을 위한 슬림 팬츠 제 작 시 허리둘레선에서 6~7cm 내려 온 허리선, 허리 둘레 여유량 2~4cm, 엉덩이둘레 여유량 2~3cm, 바 지부리폭 42~44cm 정도를 기준으로 브랜드 특성과 소재를 반영하여 제작하기를 제안한다. 또한 향후 슬림 팬츠의 실제 착의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가 상착의의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남성 팬츠 의 다양한 디자인의 패턴연구를 통하여 심미성과 활동성이 높은 남성 팬츠 패턴의 기초자료로 제공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