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2 No.2 pp.326-338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4.22.2.326

An analysis on satisfaction of protective clothing for riot policewomen

Jihyeon Kim†, Hyosook Kim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Graduate School, Kunkook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pinkpanda75@hanmail.net)
March 19, 2014 April 15, 2014 April 16, 2014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protective clothing for riot policewomen. The protective clothing that riot policewomen currently wear are not suitable for them because they are structurally designed for men. A survey was conducted about satisfaction of protective clothing for 190 riot policewomen who work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focused on functionality and comfort of the protective clothing. It examined overall condition of protective clothing and policewomen's satisfaction in terms of safety, activity, fitness, comfort, convenience and design. The first three aspects were examine to measure its functionality and the last three to measure its comfort. Most results show under 3 out of 5 pointin terms of functions and comfort level. In conclusion,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new design which fits better to women according to their body structures and sizes as well as new fabric materials that permeability better are needed.


여자경찰 기동대원들의 경찰보호복에 대한 착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 지현†, 김 효숙
건국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초록


    I.Introduction

    여경기동대란 여자 경찰공무원으로 편성된 기동 부대로, 근무 양식에 따라 정해진 정복 또는 근무 복을 착용한다. 경찰기동대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 위 진압용 보호복은 2009년 이전까지는 방석복(防 石服)이란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2009년도부터 현 재 착용되고 있는 보호복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경찰보호복’이란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착용 되는 경찰보호복(이하 보호복)은 1996년부터 보급 되어 착용되던 방석복(防石服)이 충격보호에 약하 고 내구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개선해서 2009년 부터 보급해서 착용 중에 있다.

    여경기동대는 경찰관기동대 운영규칙(Police Riot control Operating rules , 2009)에 의해 서울지방경 찰청을 비롯하여 지방경찰청 단위에 설치되어 있 고, 우리나라 여경기동대원의 총 인원은 지방을 포 함해서 300여 명이다. 여경기동대의 주요 임무는 집 회∙시위관리, 재난경비, 경호경비, 혼잡경비 등이 주요 임무이며, 생활안전활동 및 각종 범죄단속, 교 통지도단속 등이 지원임무이다. 집회 행사장에서는 질서유지와 시위대의 준법행진을 유도하며, 우선적 으로 여성, 장애인∙노약자∙임산부∙소아동반자 등 의 보호관리∙단속∙체포 등의 임무를 우선 수행 한다. 여경기동대는 1999년 창설된 이후로 각종 대 규모 집회, 시위 현장에서 평화적인 집회, 시위를 유도, 관리하여 신 시위문화가 정착되는 전기를 마 련하였다. 경찰은 여경기동대가 기존의 강압적인 분위기를 부드러운 이미지로 바꾸어, 시위대의 긴 장과 과격성을 순화하여 불법폭력시위를 감소시키 는 성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고(Shin, 2001), 특 히 행진대열을 질서정연하게 안내하고, Police Line 을 들고 서 있는 여경기동대는 평화적 시위문화의 상징으로도 떠오르게 되었다.

    기동대원들은 교육훈련 및 집회시위 관리 시에 는 기동모, 기동복, 기동화를 착용하고, 개인장비(방 석모, 보호복, 방패, 경찰봉, 개인소화기 등)를 지참 하게 되어 있으며, 민생치안 지원 근무 시에는 정모 또는 근무(교통)모, 근무(교통)복, 단화를 착용하고, 수갑, 이격용 분사기, 경찰봉 등을 지참한다(Police Riot control Operating rules , 2009). 기타 근무 시에 는 사복 혹은 해당 임무에 맞는 복장 및 장구∙장 비를 착용한다. 여경 기동대원들이 착용하는 정복, 근무복, 기동복 등은 개인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맞춤복으로 제작되고 지원된다. 그러나 가장 활동 성과 안전성을 요구되는 시위 진압 시 착용하는 보 호복은 남성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게 설계되고 디 자인된 보호복과 동일한 것을 착용하고 있으며, 사 이즈 체계만 다르기 때문에, 신체 구조도 다르고, 시위 진압의 종류와 형태가 다른 여경기동대원들 이 착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여경기동대원들이 착용하고 있는 보호복은 날개형 조끼(vest), 상박보 호대(upper arm protector), 팔보호대(arm protector), 허벅지보호대(thigh protector), 다리보호대(leg protector), 낭심보호대(protective pad)로 구성되어 있 고, 낭심보호대는 조끼 앞쪽에 달려 있고, 나머지는 모두 각각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여경기동대원들 은 시위의 형태나 규모에 따라서 일반 기동복을 착 용하거나, 과격 시위가 예상될 경우 기동복 위에 보 호복을 착용한다.

    남성과 여성은 기본적으로 신체 구조와 사이즈 가 다르기 때문에, 의복을 제작할 때에는 성별의 특징에 맞게 의복을 설계하고, 사이즈 체계를 나누 어야 한다. 그러나 여경기동대원들이 착용하는 의 복 중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위험으로부터 가장 보호력이 요구되는 보호복을 남성과 동일한 형태 의 것을 착용한다는 것은 여성 착용자에게는 신체 적합성이 매우 떨어지며, 시위 진압 시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현재 국내에는 소방복, 방진복, 환경 미화원복 외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기능복에 대한 연구가 있지만, 여경기동대원들이 착용하는 보호복 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남성 기동대원들 을 위한 보호복의 연구도 현재 착용하는 보호복 이 전 모델인 방석복에 관한 연구(Kim, 2000)만이 있 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경기동대원들 을 대상으로 현재 착용하고 있는 보호복에 대한 착 용실태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개선해야 할 점등을 분석하여 차후 여경기동대원들의 보호복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복에서 요구되는 기능 중 기능성에 해 당하는 안전성, 활동성, 신체적합성의 만족도와 착 의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점을 도출해 본다.

    둘째, 보호복에서 요구되는 기능 중 착용감에 해 당하는 쾌적성, 편리성,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 및 착의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점을 도출해 본다.

    셋째, 일반적 사항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비교해 본다.

    II.Background

    1.Structure of protective clothing

    보호복은 (Fig. 1)과 같이 날개형조끼(vest), 상박 보호대(upper arm protector), 팔보호대(arm protetor), 허벅지 보호대(thigh protector), 다리보호대(leg protector) 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게가 3.8kg 정도이다. 보호복의 소재는 겉감 및 안감용 원단은 100% 방 향족 폴리아마이드계 난연사 직물을 사용하며, 피 부질환, 발암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어서 는 안된다(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TKNPA], 2013). 보호복의 상의(조끼)는 어깨와 옆구리 쪽에 벨크로가 부착되어 있고, 조끼 뒤쪽에서 앞쪽으로 벨크로가 넘어와서 각자의 사이즈에 맞게 여미는 구조이다. 상박보호대는 조끼에 부착되어 있는 어깨 보호대 아래쪽에 벨크로로 연결하고, 상완에도 벨 크로를 둘러서 사이즈를 조절해서 착용한다. 팔보 호대는 상박보호대에 연결해서 고정하고, 하완에 2 개의 벨크로를 둘러서 사이즈를 조절한다. 허벅지 보호대는 조끼 밑단에 연결해서 몸판과 고정한다. 다리보호대는 3개의 벨크로로 종아리 뒤쪽을 감싸 고, 발부분에 2개의 벨크로로 고정하여 활동할 때 최대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모든 보호복의 테두리는 특수 봉제사로 봉제하여 접합에 문제가 없어야 하며, 중요한 부분에는 피스를 이용해서 고 정한다(TKNPA, 2013). 보호복에 사용되는 재료는 (Table 1)과 같다.

    가교발포폴리에틸렌은 보호복 제작 시, 겉감과 안감 사이에 삽입하는 소재이며, 움직임이 많은 곳 에는 절개를 사용하여 움직임이 원활하게 제작하 고, 다리와 몸통, 팔 부분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 호하기 위한 완충재 역할을 한다. 플라스틱 보호대 와 가교발포 폴리에틸렌은 정해진 규격에 의한 인 장강도, 충격강도, 압축강도, 인열강도 등이 요구된 다. 고정벨트로 사용되는 벨크로는 각 아이템을 신 체에 부착하는 역할과 아이템끼리 보호대를 고정하 는 역할을 하며, 방향족 폴리아마이드계 섬유 100% 로 두께 0.3mm 이상, 폭, 5.0cm, 3.0cm(±10)의 사이 즈로 제작된다.

    2.Demanded functions of protective clothing

    우리나라의 경찰장비관리규칙 제 571호(Established principles of standard police equipment , 2009)에는 보 호복을 포함한 경찰장비에 관한 규격 사항을 (Table 2)와 같이 규정하고 있으며, 보호복과 관련된 내용 은 국제 표준화 규격(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2013)에 규정된 내용에 부합 한다. 보호복은 경찰장비규격의 제정원칙에 적합해 야 하고, 시위 진압 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특수 한 기능이 요구되는 의복이기 때문에, 시위 진압의 형태와 강도, 위험물의 종류, 착용자의 신체적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 찰장비 규격과 소방복이나 방진복과 같은 보호기 능복에 관한 선행연구(Choi, 2002; Han, 2009; Kim & Kweon, 2009; Kwon et al., 2012; Moon, 2003)를 참고로 시위 진압 시 착용하는 보호복에서 요구되 는 요소들을 기능적인 측면(안전성, 활동성, 신체적 합성)과 착용감적인 측면(쾌적성, 편리성, 디자인) 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1)Functionality of protective clothing

    보호복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기능에는 안전성, 활동성, 신체적합성이 있다.

    보호복의 안전성을 위한 충격 흡수 소재로 사용 되는 것은 플라스틱 보호대와 가교발포폴리에틸렌 이다. 경찰보호복규격(TKNPA, 2013)에 따라 플라 스틱 보호대의 인장강도(tensile stress)는 35Mpa 이상이어야 하며, 충격강도(notched izod impact)는 –30°C에서 15KJ/m2 이상, 23°C에서 75KJ/m2 이상 되어야 한다. 가교발포폴리에틸렌의 인장강도는 4kg/cm2 이상이어야 하며, 압축강도 0.5kg/cm 이상 이어야 한다. 보호복의 충격보호와 관련된 연구로 는 태권도 보호구의 안쪽에 주름 방력판을 삽입했 을 때 효과가 있다(Choi, 2009)는 연구와 승마기수 들의 보호 조끼에 체인 구조의 다중 섬유로 된 폴 리에스터 spacer를 사용했을 때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Dlugosch et al., 2013).

    보호복의 활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의복 의 중량, 여유분, 소재, 디자인 등이 있다. 의복의 중량이 클 경우, 몸을 압박하거나 신체에 부담을 주 게 되며, 적절치 못한 여유분량에 의해서도 작업 능 률이 저하될 수 있다. Kim et al.(2012)은 방탄복 설 계 시 여유분을 축소하고, 몸에 밀착시켜 방탄복의 무게를 인체에 고루 분산시키는 것이 주관적 착용 감과 동작용이성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했다. 여경 들이 착용하는 보호복의 무게는 3.8kg 정도이다. 그 외에 보호복과 함께 착장되는 헬멧, 보호봉, 방패 등 을 고려하면 착용자는 6~7kg 이상을 신체에 착장 해야 한다. 이는 평균 신장과 몸무게가 상대적으로 적은 여성에게는 신체적으로 부담이 크며, 장시간 착용 시 피로감을 느끼는 것을 물론이고, 각종 의 류 장해를 유발할 수도 있다.

    보호복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착용자 의 신체구조를 반영한 보호복 설계가 필요하다. 그 러나 여경기동대원들이 착용하고 있는 보호복은 남 자기동대원들이 착용하고 있는 보호복의 디자인과 동일하며, 사이즈 체계만 다르다. 보호복은 시위 진 압 시 외보로부터의 위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는데, 여성의 신체구조에 적합하지 않 은 보호복은 오히려 업무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 니라,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의 신체 특성을 반영한 보호복 개발이 필요하다. 여자 보호복의 사 이즈 스펙은 (Table 3)과 같다.

    2)Comfort of protective clothing

    보호복의 착용감 측면에서 요구되는 기능에는 쾌적성, 편리성, 디자인이 있다.

    보호복의 쾌적성은 보호복에 사용되는 소재와 관련이 있다. 보호복의 충격보호용 소재로 다리에 는 10T, 몸통과 팔에는 8T의 가교발포폴리에틸렌 이 사용된다. 가교발포폴리에틸렌은 충격보호에도 효과적이지만, 내열성 또한 좋은 소재이므로 여름 에 온열쾌적성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보호복에 서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로는 방탄복 안에 환기용 베스트를 착장해서 환기성능을 개선 시키거나(Cheuvron et al., 2008), 개인용 냉각장치 를 방탄복에 부착한 후 생리반응 평가를 실시한 연 구(Gonzalez et al., 2006) 등이 있다.

    보호복의 편리성은 착탈용이성과 세탁관리용이 성에 관한 것이다. 보호복의 착∙탈은 주로 경찰버 스 안에서 이루어진다. 보호복은 29개의 벨크로를 이용해서 보호복과 각 보호대를 착용하는 구조이 므로 신속한 착∙탈이 쉽지 않고, 충격보호를 위한 플라스틱 소재가 보호복에 봉제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차 후 보호복의 개선을 위해서는 보다 용이한 착∙탈 을 위한 구조 개발과 위생상 쾌적하게 착용 할 수 있는 보호복 설계가 필요하다.

    현재 보호복 디자인은 1996년부터 착용되던 대 나무와 양모펠트가 삽입되어 있는 방석복의 형태 에서 2009년에 소재와 구조가 바뀐 디자인이다. 기 존에 사용되던 방석복은 곤색의 조끼와 아대, 각반 으로 구성되었고, 현재 보호복은 검정색의 조끼와 팔보호대, 상완보호대, 다리보호대, 허벅지보호대 로 세분화 되어서 보호복의 구성을 이루고 있다.

    III.Research Method

    1.Data collection and analysis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근무하고 있 는 모든 여경기동대원을 상대로 착용실태 및 만족 도에 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 간은 2013년 12월 4일~12월 20일까지 이루어졌으 며, 총 190부가 배부되었고, 이중 179부가 분석 자 료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에는 Window-SPSS 21.0을 사용하였으 며, 통계기법에 있어서는 보호복의 안전성, 활동성, 쾌적성, 신체적합성, 편리성, 디자인에 관한 질문의 각 문항별로 빈도(%)를 구하였고, 리커트 5점 척도 로 조사한 자료에 대하여는 1점부터 5점까지 점수 를 부여한 후(매우 만족 5점~매우 불만족 1점), 평 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 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 검증 을 위해서 집단 간의 수가 동일하지 않아도 되며, 비교적 보수적인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각 문 항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 α 계수 를 구하였다.

    2.Measurement

    설문지는 2013년 11월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예비조사와 선행연구(Kim, 2000; Na et al., 1997; Moon, 2003; Park & Park, 2008; Yi, 1997)를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여 최종 설문지를 작성하였 다. 설문지의 내용은 보호복의 전반적인 만족도(7 문항), 안전성(17문항), 활동성(10문항), 신체적합성 (24문항), 쾌적성(10문항), 편리성(8문항), 디자인(6 문항),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11문항)으로 구성하 여 총 93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안전성, 활동성, 신 체적합성, 쾌적성, 편리성, 디자인에 대해서 만족도 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조사하였으며, 그 외 문항에 는 선다형, 다지선다형, 자유응답형으로 기술하게 하였다.

    IV.Results

    1.Characteristics of subjects

    본 설문조사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 기 지역에 근무 중인 여자경찰기동대원으로서 총 19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2.5세이었으며, 평균 신 장과 몸무게는 164.4cm, 53.7kg이었다. 이는 우리나 라 여성 32~33세의 평균키와 몸무게가 160.3cm, 55.6kg인 자료(제6차 인체치수조사)와 비교해 보면,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응 답자가 기동대에 근무한 평균 기간은 13개월이었 으며, 보호복을 입고 실제 시위 진압을 해 본 경험 은 평균 4.53회, 훈련이나 시위 진압 시 보호복을 착 용하고 있는 시간은 1~3시간(37%), 3~5시간(35%), 5~7시간(20%), 7시간 이상(4.4%)으로 나타났다.

    2.Satisfaction results about functionality of protective clothing

    1)Safety

    보호복의 안전성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 하여 보호복의 구성 아이템(보호복 조끼, 상박보호 대, 팔보호대, 허벅지보호대, 다리보호대가)과 보호 복과 함께 착용하는 방석모(헬멧)와 장갑에 대한 충격 흡수 정도를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해서 조 사하였고, 그 외 질문에는 선다형과 자유 응답형으 로 기술하게 하였다. 신체에 위협을 많이 느낄수록 낮은 점수에 응답토록 하였다. 평균과 표준편차는 (Table 4)와 같고, 문항 간의 신뢰성 분석을 위해 Cronbach α 값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 0.84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보호복의 안전성에 있어 ‘시위 진압 시 신체에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에 대한 평균값은 2.74점으 로 나타났고, ‘매우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에 응답 한 사람은 10.7%,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에 응답 한 사람은 40.2%로 나타나, 응답자의 50.9%가 위험 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2). 이는 1980년 도부터 착용되던 구방석복에 관한 위험도가 87.1%, 그 이후 모델인 1996년도부터 착용되던 신방석복 에 대한 위험도가 54.2%(Kim, 2000)임을 고려하면 시위 진압복에 대한 안전성은 계속 향상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아이템별로 충격 흡수에 대한 만족 도를 살펴보면 장갑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이 가장 낮으며(2.37점), 나머지 아이템들도 모두 2.95점 이 하로 보통에 해당하는 3점 이하로 나타나, 전반적 으로 충격보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장갑에 대한 충격 흡수의 만족도가 낮은 것은 현재 착용하는 장갑은 손을 완전히 덮는 구조 가 아니라, 손가락 길이의 중간 정도까지만 덮고 손끝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끝은 외부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인 것으 로 사료된다. 방석모(헬멧) 착용 시 시야 확보에 대 한 질문에는 평균이 2.15점이며, 69.1%가 ‘시야 확 보가 되지 않는다’에 응답하여 방석모의 시야 확보 에 대한 개선이 매우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그 외 에 시위 진압 시 외부 충격의 종류를 묻는 항목에 는 몸싸움이 78.1%, 물어뜯기 15.7%, 머리채 잡아 뜯기가 3.4%로 나타났다. 이는 여경기동대원들은 주로 여성들을 대상으로 시위 진압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의 시위형태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착용하는 보호복은 상대방이 과격 시위 시, 팔을 물어뜯거나 머리채를 잡아당기 면 그에 대한 적절한 신체 보호를 하기가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여경기동대원들의 시위 진압형태 에 맞는 손과 팔 전체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복의 구조와 소재 개발이 필요하다. ‘보호복에서 없어도 된다고 생각하는 아이템’에 관한 질문에 주관식으 로 응답하게 한 결과, 낭심보호대, 허벅지 보호대, 상박 보호대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고 낭심보호대 는 착용자의 수치심을 유발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반면에 신체보호가 더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질문에 다지선다형으로 응답하게 한 결과, 머리와 안면부 가 각각 22.1%, 목 19.8%, 손 15.3% 순으로 보호가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여경기동대원들은 남자들의 짧은 머리기장과 달리 머리기장이 긴 사람들이 많 기 때문에 방석모 안에 머리카락이 다 숨겨지지 않 는다. 그러므로 과격 시위 시, 시위자들이 머리카락 을 잡아당기거나 안면부를 할퀼 경우, 매우 위험하 다고 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방 석모와 머리의 밀착감을 향상시켜 머리와 안면부 를 보호하고, 머리를 묶어 방석모 안으로 집어넣을 수 있는 여성들의 특성을 반영한 방석모 구조 개발 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2)Activity

    활동성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아 이템별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그 외의 질문에 선다형과 자유응답형으로 기술하게 하였다. (Table 4)에서와 같이 보호복의 무게와 방석모의 무게에 대한 평균은 1.77점과 1.59점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보호복에 대해서 ‘무겁다’와 ‘매우 무 겁다’에 응답한 인원은 85.1%였고, 방석모에 대해 서 ‘무겁다’와 ‘매우 무겁다’에 응답한 인원은 90.0% 로 대부분의 인원이 무게에 대한 신체적 스트레스 를 받고 있어서 무게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Fig. 3). 각 아이템에 대한 활동성에서는 방 석모의 점수가 가장 낮았고(1.55점), 그 외의 아이 템도 모두 2.51점 이하로 전반적으로 활동성이 낮 음을 알 수 있었다. 방석모의 점수가 낮은 이유는 방석모의 사이즈가 선택의 여지없이 모두 한 개의 사이즈이며, 턱밑에서 벨크로를 이용해서 각자의 머리에 맞게 착용하는데, 머리와의 밀착감이 떨어 져 방석모의 무게를 목에서 그대로 전달 받게 되고, 머리의 움직임이 많을 때에는 방석모의 무게 때문 에 머리와 목 부분에 많은 부담감을 주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활동성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온 장갑 (2.51점)은 안전성에서는 가장 만족도가 낮은 항목 이었다. 이는 안전성과 활동성이 상반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렇기 때문에 적절 한 방호성능 수준을 갖추면서 활동성도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정선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 여준다.

    3)Body fitness

    보호복의 각 아이템에 대한 신체적합성을 알아 보기 위해 둘레항목(4문항), 길이항목(5문항), 너비 항목(5문항), 기타(3문항)에 대하여 5점 리커트 척 도를 사용하여 응답하게 하였다(Table 5). 보호복의 각 신체 부위에 대한 만족도 평균은 2.56점으로 보 통 점수에 해당하는 3점보다 낮았고, 다리보호대 길 이(2.46점), 상박보호대 너비(2.46점), 상박보호대 길 이(2.47점), 가슴둘레(2.52점) 순으로 신체적합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보호구는 충격 순간에 신체 부위에 정확하게 놓 여 있어야만 그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Watkins, 1998).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다리보호대의 길이 는 착용자들의 다리길이보다 길어서 무릎 보호대 가 무릎의 위치에 놓이지 못하고, 무릎 높이보다 윗부분에 위치함으로 활동에 방해가 되고 오히려 위험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다리보호대를 착용하 고 활동하다 보면 벨크로를 이용하여 다리에 맞게 여몄음에도 보호대가 다리 뒤쪽으로 돌아가서 이 를 원위치로 돌리기 위한 반복 동작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그 외에 사이즈가 적합하지 않아 가장 불편 한 곳을 묻는 질문에는 머리 33.7%, 종아리 11.6%, 무릎 10.5%, 팔꿈치 8.3%의 순으로 나타나서 방석 모의 사이즈 구분이 필요하며, 종아리와 무릎의 사 이즈는 앞의 결과에서 언급했듯이 다리보호대의 길이와 관련된 사항으로 신체적합성이 매우 떨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즈에 대한 불만사항을 서술형으로 기술하게 한 결과, 조끼는 신체보다 가 슴둘레가 너무 크다는 의견이 많았고, 자신이 어떤 사이즈를 착용하는지 모르는 사람이 74%나 되었 다. 보호복의 조끼는 여성의 가슴형태를 반영하지 못하며, 낭심보호대가 달려 있는 등 여성의 신체구 조를 반영하지 못하는 대표적인 아이템이며,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이 많은 여경의 체형 특성을 고려하 면 현재 보호복의 사이즈는 길이와 둘레면에서 수 정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는 보호복 지급이 각 대 원들의 사이즈에 맞게 지급되는 것이 아니고, 치수 당 정해진 개수를 일괄적으로 배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보호복 배분 시스템에 대한 개선도 요구된다.

    3.Satisfaction results about comfort of protective clothing

    1)Clothing comfort

    보호복의 쾌적성에 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 해서 각 아이템의 통풍 정도와 땀 흡수율, 온열쾌적 성에 대해서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였고, 보호복 착용 시 땀이 가장 많이 나는 신체 부위에 대해서 다지선다형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각각의 아이템에 서 통풍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은 조끼(1.87 점)이며, 나머지 아이템도 2.14점 이하로 전반적으 로 통풍에 대해 불만족하였다(Table 6). 통풍은 여름 에 온열쾌적성과 관련이 있고, 이와 관련된 질문에 는 평균 점수가 1.44점으로 본 설문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호복 의 충격보호소재로 가교발포폴리에틸렌이 사용되 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가교발포폴리에틸렌은 발포폴리에틸렌을 가교하여 만든 소재로 가볍고 충 격흡수력이 좋으며, 내열성과 방수성이 뛰어나 욕 실 매트나 스포츠 매트 등에 사용되는 소재이다. 이 런 소재의 특성 때문에 여름에 보호복의 온열쾌적 성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앞에서 안전성과 활동성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호복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소재를 찾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요구되는 성능을 절충하는 방법으로 의복 내 기후를 환기시킬 수 있는 스페이서를 조끼 안에 부착하거나 가교발포폴리에틸렌 소재를 충격보호 가 필요한 부분에만 절충해서 사용한다면 보호복의 온열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2)Convenience

    보호복의 편리성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보기 위 해서 각 아이템의 신속한 착∙탈 용이성과 세탁 용 이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Table 6)과 같이 모 든 항목에서 2.22점 이하의 낮은 착∙탈 용이성을 보였고, 상박보호대와 허벅지보호대, 다리보호대는 착∙탈이 ‘용이하다’와 ‘매우 용이하다’가 빈도분석 에서 한 건도 관찰되지 않았다. 현재 보호복은 다 섯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아이템이 총 29개의 벨크로를 이용하여 몸에 밀착시키고, 서로 연결되게 하는 구조이다. 이는 긴박한 상황에서는 한 아이템씩 신속하게 착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특히 상박보호대의 경우 혼자서 착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이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 리보호대와 허벅지 보호대가 함께 달려있는 바지 형태나, 팔보호대와 상박 보호대의 착용을 용이하 게 하는 토시 형태의 보호구를 제안해 볼 수 있다.

    1년에 세탁을 몇 번이나 하는지에 관한 문항에 는 ‘세탁하지 않는다’가 91.6%, ‘1번 세탁’이 5.6% 로 나타나서 거의 세탁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보호복이 물에 젖거나 땀에 젖었을 경 우, 관리하는 방법에는 ‘거의 건조를 하지 못하고, 그대로 가방에 보관한다’가 63.1%, ‘탈의 후 바로 말리지는 못하지만, 시간 날 때 햇별에 널어 말린 다’가 25.7% 응답하여 대부분 위생적인 보호복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미 제시). 이러한 보호복의 관리는 보호복의 구조와 밀 접한 관련이 있다. 보호복은 충격보호용 플라스틱 보호대와 가교발포폴리에틸렌이 삽입되어 있는 천 (방향족폴리아마이드계 난연사 섬유)이 봉제되어 있 어서 세탁기로 세탁이 불가능하며, 플라스틱과 봉 제되어 있는 천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 에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는 현재 보호복 이 전 모델인 방석복의 내피가 양모 휄트로 되어 있어 서 물에 젖었을 경우,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 점을 보완하긴 했으나, 플라스틱이 천에 봉제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세탁이 용이하지 않다. 따 라서 차후 보호복 설계 시에는 땀이나 이물질로부 터 오염됐을 때 오염된 부분만 세탁을 할 수 있는 외피와 충전재가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 한 다면 피복 위생상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Design

    보호복의 디자인과 색상, 안감 소재에 대한 만족 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한 결과(Table 6), 안감 소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2.30점). 안감 소재(100% 방향족 폴리아마이드계 난연사직 물)에 대한 만족도는 땀 흡수와 관련이 있을 것으 로 예상되는데, (Table 6)의 쾌적성에서 보호복의 땀 흡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결과(1.78점)와 일치 한다. 보호복의 안감 소재에서 요구되는 성능은 방 염성, 인장강도 등 보호기능과 관련된 이화학 성능 을 위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흡습성이나 통풍성과 같은 성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착용자의 착용감 개선을 위해서 기본적인 안전 성능에 흡수 와 통풍까지 좋은 소재로 대체한다면 매우 바람직 할 것이다. 보호복의 색상만족도 평균은 3.13점으 로, 본 설문에서 유일하게 평균이 3점 이상으로 나 타난 항목이었다. 현재 보호복은 검정색이며, 검정 색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65.2%로 나타났다. 표준편 차는 1.07로 비교적 크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여성 들이 색상 선호도가 다양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

    4.The satisfaction differe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areas for improvements

    여경기동대원들의 보호복 개선을 위한 제안점을 찾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 족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장, BMI 지수, 땀을 흘리는 정도, 근무 연한에 따라서는 만족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05 수준에 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난 항목들은 아래와 같다.

    1)The satisfaction difference by age

    전체 응답자 179명 중 나이를 밝히지 않은 두 명 을 제외한 177명의 자료로 ANOVA test를 실시한 결과, 전체 여섯 항목 중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은 보호기능, 디자인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보호기능과 디자 인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이는 동일한 무게라도 20대와 40대가 느끼는 주 관적인 신체적 부담감이 다르며, 연령이 증가할수 록 골격이 약해져서 실제적인 보호기능에 대해 더 민감해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보호복의 디자인은 액션영화나 SF 영화에 나오는 이미지를 연상시키 는데, 이는 젊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이미지와 관련 된 것으로 분석된다.

    2)The satisfaction difference by body weight

    몸무게를 50kg 미만, 50~59kg, 60kg 이상으로 분 류했을 때 안전성과 신체적합성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8). 안전성과 신체적합성은 보 호복의 기능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안전성과 신체적합성의 만족도는 증 가하였다. 앞의 신체 적합성의 결과에서도 살펴보 았듯이, 보호복의 사이즈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크 다는 의견이 많았으므로,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신 체 적합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여경기동대원 들이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이 많음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결과는 당연한 것으로 사료되며 신체적합 성이 높을수록 안전성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보호복의 사이즈 체계를 개발할 때에는 이 같은 여경기동대원들의 신체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 이다.

    3)The satisfaction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a person has a riot control experience or not

    보호복을 착용한 상태로 시위 진압 경험 여부에 따른 보호복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보호기능을 제 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9). 보호기능에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은 보호복의 안전성이 과거보다 많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시위 진압 경험의 유무와 상관없이 비교적 만족하기 때 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안전성은 모든 항목에서 평 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아래 6가지 전체 항목 모두 시위 진압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없는 사람들보다 평균 점수가 낮았는데, 이것은 시위 진 압 현장에서 느끼는 긴박감이나 현장 상황이 보호 복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편리성과 디자인 항목의 평균 점수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보호복의 착∙탈 편 리성과 전체적인 구조, 보호대의 소재와 관련이 있 는 것으로 사료된다. 긴박한 시위 진압 현장에서 빠른 시간 안에 29개의 벨크로를 이용해서 착∙탈 을 해야 하는 구조는 심리적으로 큰 부담감을 줄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점 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부분만을 보호하 되, 보다 간편하게 착∙탈이 가능한 일체형 보호복 을 제안할 수 있다. 디자인 면에서는 먼저 여경기 동대원들의 업무분석이 선행되어야 하고, 활동업무 를 고려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실제 여경기동 대원의 근무 형태를 살펴보면 시위대와 몸싸움을 하거나 단속, 체포 등의 업무를 할 경우도 있지만, 많은 시간을 경찰 버스 안이나 가투대기를 하면서 근무를 할 경우도 있다. 이 때 보호복의 딱딱한 소 재와 큰 부피로 인하여 앉은 자세를 취하기가 매우 불편하며, 앉았을 경우 옆 사람과 쉽게 부딪히며, 소재가 딱딱해서 네크라인이 얼굴까지 올라오고 진동둘레는 겨드랑이를 자극하여 피부를 압박하는 등 신체에 무리를 주게 된다. 이완 관련된 서술형 답변으로는 보호대의 소재가 좀 더 유연했으면 좋 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서는 보다 유연한 소재 사용과 신체에 좀 더 밀착 될 수 있도록 사이즈 개선이 필요하다.

    4)The satisfaction difference depending on how long a person has worn protective clothing

    보호복 1회 착용시간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살 펴본 결과(Table 10), 안전성, 편리성, 디자인 항목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3항목 모두 3시간 이 하 착용자와 7시간 이상 착용자 사이에 만족도 차 이가 있었으며, 착용시간이 길수록 만족도가 낮아 졌다. 안전성과 활동성은 보호복의 기능적인 면으 로 착용시간이 길수록 만족도가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으나, 디자인 항목 또한 착용 시간에 따라서 만족도가 낮아졌다. 여기서 보호복의 디자 인은 전체 구조를 포함하는 질문이며, 이러한 결과 는 착용자가 여성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성으로 판단된다. 응답자들은 7시간 이상 장시간 보호복을 착용하는 경우, 화장실을 가거나 경찰버스 안에서 식사를 할 때에 불편함이 크다고 응답하였다. 이러 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보호복에서 필요 없는 낭심보호대를 생략하고, 각 보호대의 길이항 목에 대한 사이즈의 재검토가 필요하며, 특히 팔꿈 치나 무릎 등 관절 부분의 신체 적합성을 높이는 보호복 설계가 필요하다.

    V.Conclusion and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여경기동대원들이 시위 진압 시 착용하는 보호복에 관한 착용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여경기동대원들에게 적합한 보호복의 설계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근 무하는 여경기동대원들(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복의 전반적인 만족도면에서 가장 낮 은 점수를 나타낸 항목은 기능적인 측면인 활동성 과 착용감 측면인 온열쾌적성이었다. 활동성 개선 을 위해서는 좀 더 가벼운 충격보호구 소재의 대체 삽입, 꼭 필요한 부분에만 충격보호소재를 삽입하 는 등의 방법과 신속한 착∙탈을 위한 일체형 보호 복의 구조를 제안해 볼 수 있다. 온열쾌적성의 개 선을 위해서는 인체의 발한 부위를 고려한 개구부 가 있는 디자인과, 보다 통풍이 잘 되는 소재 개발 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호복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보 호기능과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졌고, 체중 이 많이 나갈수록 안전성과 신체적합성에 관한 만 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현재 보호복의 방호 범위에 대한 재검토, 전체적인 사이즈체계의 수정 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시위 진압 여부에 따른 만 족도는 시위 진압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안전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보 호복의 착용시간에 따른 만족도는 착용시간이 길 수록 안전성, 활동성,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여경기동대원들을 위한 보호복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착용자 중심의 인체공학적인 보호복 설계를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보호구 에 대한 정확한 사이즈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gure

    RJCC-22-326_F1.gif

    The overall appearance and structure of police protective clothing. From. TKNPA. (2013). Police Protective Clothing Specifications. p.7.

    RJCC-22-326_F2.gif

    Satisfaction about safety of protective clothing (%) n=179.

    RJCC-22-326_F3.gif

    Satisfaction about activity of protective clothing (%) n=179.

    Table

    The materials used in protective clothing

    From TKNPA. (2013). Police Protective Clothing Specifications. p.1

    Established principles of standard police equipment

    From TKNPA. (2009). Established principles of standard police equipment article 571.

    Size of protective clothing for riot policewomen

    From TKNPA. (2013). Police Protective Clothing Specifications. p.5

    Size of protective clothing for riot policewomen

    Body fitness of protective clothing

    Satisfaction about comfort of protective clothing

    The satisfaction difference by age

    *p<.05,
    **p<.01.
    Scheffe test: a>b

    The satisfaction difference by body weight

    *p<.05,
    **p<.01.
    Scheffe test: a>b

    The satisfaction difference by experience of riot control

    *p<0.5,
    **p<.01.
    ***p<.001 by t-test.

    The satisfaction difference by protective clothing wearing time

    *p<.05,
    Scheffe test: a>b

    Reference

    1. Cheuvront S. N , Goodman D. A , Kenefick R. W , Montain S. J , Sawka M. N (2008) Impact of a protective vest and spacer garment on exercise-heat strain ,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102 (5) ; pp.577-583
    2. Choi J. S (2002) A study on the functional development of army's combat uniforms , Unpublished master's these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Choi J. S , Choi H. S , Lee K. M (2003) A study on the functional development of army's combat uniforms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Vol.53 (5) ; pp.141-153
    4. Choi K. D (2009) A resiliency study of selected teakwondo body protectors upon impact , Unpublished master's theses, Keimyung University, Daegu,
    5. Dlugosch S , Hu H , Cha A (2013) Thermal comfort evaluation of equestrian protectors using a sweating manikin ,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31 (4) ; pp.231-243
    6. (2009) Established principles of standard police equipment , Article 571,
    7. Gonzalez. J. A , Berglund L. G , Endrusick T. L , Kolka M. A (2006) Forced ventilation of protective garments for hot industries , DTIC online public technical reports. Retrieved November, 10, 2013, from http://www.dtic.mil/dtic/tr/fulltext/u2/a460047.pdf,
    8. Han S. A (2009) The development of the sizing system for structural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and new coat patterns using 3D motion analysi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3) Protective clothing - General require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0. Kim S. Y , Lee Y. J , Hong K. H (2012)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body armor for wear comfort enhanc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6 (10) ; pp.1050-1057
    11. Kim J. H , Kweon S. Y (2009) The wearing satisfaction and demand of improvement for working uniform in car service firms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ol.18 (2) ; pp.407-418
    12. Kim J. H (2000) A study on responses and evaluation of protective uniforms for riot police , Unpublished master's these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won J. H , Lee J. S , Ha G. E , Kweon S. A (2012) The importance and uncomfort degrees of the firefighters' active uniforms ,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6 (2) ; pp.91-98
    14. Na M. H , Jang K. J , Lee Y. S (1997) Study on the pattern for the clean room garment of the overall type ,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Vol.6 (2) ; pp.121-131
    15. Moon Y. S (2003) The development of a battle dress uniform with improved fuctionality for the Korean police special weapons attack team , Unpublished master's these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Park H. W , Park G. A (2008) The actual wearing condition and preference of the working uniform design in the industrial complex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2 (2) ; pp.134-152
    17. (2009) Police riot control Operating rules , Article 544,
    18. Shin I. B (2001) Policewoman in Korean police , Journal of Kong-Ju Communication Arts College, Vol.8 ; pp.359-376
    19.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13) Police protective clothing specifications,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20. Watkins S. M (1998) Clothing: The portable environment, Ewha Womans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21. Yi C. M (1997)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 in the subjects wearing dustfree garment for semiconductor industrial environments , Unpublished master's theses, Kyungil University, Kyeongsan, Kyungpook,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