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5 No.5 pp.629-647
DOI : https://doi.org/10.29049/rjcc.2017.25.5.629

Tendencies of anti-fashion in Kinfolk magazine

Ahreum Lim, Eunhyuk Yim†
Dept. of Fashion Design, School of Art,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This paper is a part of a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 ehyim@skku.edu
March 9, 2017 October 6, 2017 October 24, 2017

Abstract

As fashion has concentrated increasingly on inner values, it has become more directly connected with human life and society. This study analyzed anti-fashion, a movement that resists mainstream society and culture, which it views as causing inner conflicts such as competition, mammonism, consumerism, and egoism by fixating solely on the pursuit of growth and improvement. The study examined Kinfolk, an independent lifestyle magazine, to determine the essential values and principles that comprise this movement’s refusal of mainstream modern society. The analysis of Kinfolk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Kinfolk lifestyle: essentialism, nature-friendliness, retro sensibilities, socio-ethical awareness, and diversity. Essentialism refers to the pursuit of essence, brevity, innovation based on tradition and slow life. Nature-friendliness involves communion with nature and humanity, animal-friendliness, de-industrialization, de-urbanization, and nomadic behavior. The components of the retro sensibility include nostalgia, and interests in vintage culture, and handcrafts. Diversity encompasses commonplaceness, various subcultures, agelessness, genderlessness,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and new understanding. The analysis identified the tendencies of anti-fashion in Kinfolk magazine as simplicity, naturalism, resistance to novelty, ethics, and inclusiveness. Anti-fashion pursues the essential values of human life that have been lost or forgotten in modern society. It is important to pay constant attention to the values of minority, non-mainstream and indie cultures that represent anti-fashion. It exerts considerable influence and has great potential as an are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style-based paradigms rather than as a single fashion direction.


Kinfolk 매거진에 나타난 안티패션(anti-fashion) 경향

임 아 름, 임 은 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초록


    I.Introduction

    패션은 일반적으로 다수에 의해 채택된 주류패션을 지칭하며, 이는 서로를 동일 시하고 모방하는 공유의 측면을 포함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주류에 대한 동조와 획일성을 거부하고 개별적이며 차별화를 추구하는 집단이 존재한다. 이들은 지배 적인 흐름과 전통, 관념에 대하여 순응하지 않고 반유행을 채택한다. 이렇게 전통 적인 체제나 기존의 관념, 주류에서 벗어나 저항을 패션으로 표출한 것을 안티패션이라고 한다.

    안티패션은 저항과 거부를 표현할 때 주류패션에서 볼 수 없던 개성과 자유분방함으로 인하여 독특하고 새로운 상징적인 요소를 가지며, 이는 주류패션에 영 향을 끼쳐 차용과 흡수를 통해 주류패션으로 종속된 다. 이렇듯, 안티패션은 주류패션에 대항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패션 자체로 동질화되는 양면적 가치(Davis, 1992)를 가지므로, 안티패션과 패션의 관계를 통한 안티패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현대의 패션은 타 분야와의 상호협력과 미디어의 발달을 통하여 그 영역을 확장시키며 인간의 생활 속 으로 자연스럽게 침투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패션을 이전의 과시적 욕구로 대하던 것과는 달리 삶의 방식 과 태도, 가치와 같은 라이프스타일에서 삶의 질을 중 시하는 것으로 패션을 보기 시작하게 되었다(Samsung Design Net, 2014). 이러한 영향으로 패션은 홈, 리빙, 키친과 같은 라이프스타일과 연계되어, 다양하게 융 합된 형태의 상품구성과 매장으로 변화함으로써 더 욱 포괄적인 범주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간의 라이프스타일로 영향을 확대하 는 패션 속에서, 성장과 발전, 속도와 간편함을 중시 하는 현대사회의 지배적인 체제와 관념에 대항하는 안티패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안티패션은 발현 배경과 과정, 주체 세력, 저항의 대상 및 주류화 과정과 이를 통한 스타일 확산에 대 한 연계성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 징적 의미와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안티패션 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는 청년 하위문화에 치우쳐 있 거나 조형적 특징 위주인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안티패션의 개념을 보다 포괄적으 로 파악하고, 유형 및 특성을 통해 저항의 대상으로 부터 발현되는 안티패션과 주류패션과의 관련적 의 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사회의 문 화와 생활양식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매체인 라이 프스타일 매거진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이 추구하는 삶 속에서의 내면적 욕구로 표출된 안티패션의 경향 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의 자의식의 표현으로서의 안 티패션의 역할과 중요성을 발견하고, 안티패션의 차 별성과 상징성을 통하여 주류패션과의 가치의존적인 관계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에서 나타난 안티패션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주류에 대 한 저항을 통하여 인간의 삶의 가치와 본질에 대한 의미를 재조명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구 대상은 현대사회의 주류적 코드인 발전과 성장 에서 드러난 부작용, 폐해에 대한 사회문화적 저항을 표현하는 동시에, 삶 속에 추구하는 가치를 중시하고 기존의 관념에 대하여 새로운 대안과 방향을 제시하 는 잡지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안티패션을 연구주제 로 설정함에 따라 전문적 패션지는 배제하였으며, 주류 의 코드와 형식에 벗어나 차별적인 요소가 존재하는 매거진을 선별한 결과, ‘Kinfolk’, ‘Cereal’, ‘Oh Comely’ ‘Around’의 4개의 후보잡지를 선정하였다. Kinfolk, Cereal, Oh Comely는 해외매거진으로 인디매거진(independent- magazine)의 독특한 특징과 감성을 갖고 있다. 이 매거진들은 Vogue(Mettler, 2014), Huffingtonpost( Losowsky, 2011), New York Magazine(La Force, 2013)과 같은 매체에서 ‘주목하고 있는 인디매거진’ 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젊은 층의 하위문화를 표방 하는 complex(Lockhart, 2013), buzzfeed(Smith, 2014) 와 같은 웹진에서도 소개된 바 있다. Cereal은 전체적 으로 여행 기반의 라이프스타일을 다루고 있으므로, ‘사람’에 대한 내용보다 ‘자연’과의 교감에 큰 비중을 두고 있어 안티패션의 경향을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Oh Comely는 ‘여성’에 편중되어 있어 적합 하지 않았다. Around는 국내 잡지로 힐링, 아웃도어, 여행의 라이프스타일을 다루고 있으나, 한 권에서 다 루는 컨텐츠의 통일감이 부족하며, 다른 매거진과의 차별화를 요하는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못하였다. 신 뢰성을 더하기 위하여 패션관련직에 종사하는 디자 이너 3명, 머천다이저 2명, 포토그래퍼 2명, 총 7명을 통해 자문을 받아 최종 결정된 Kinfolk를 연구매체로 선정하였다. Kinfolk는 일 년에 4번 발행되는 계간지 로, 다양한 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에세이 형식 의 글과 일상적이지만 독특한 미학을 담은 사진과 이 미지, 충분한 여백을 사용한 편집형식, 상업광고를 최 소화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매거진의 전통과 구조에서 벗어나 있어, 안티패션과 근본적 성질을 같이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하였으며, 매 거진 분석을 통한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 로는 안티패션에 관한 사회적 접근과 패션과의 관계 를 다룬 데이비스(Fred Davis)와 윌슨(Elizabeth Wilson) 의 저서 및 패션학자들의 문헌자료를 연구하였다. 또 한 안티패션이 언급된 선행논문과 문헌자료, 인터넷 자료 등을 이용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또한 반(反) 주류 성향으로 시작한 Kinfolk 매거진의 라이프스타 일이 추구하는 삶에서 안티패션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매거진의 글과 이미지 컨텐츠를 분석하여 라이 프스타일 경향을 도출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서 공유되는 안티패션의 경향을 도출하였다.

    연구 범위는 Kinfolk의 발행초본(원서 기준 2011년 7월)부터 2015년 9월 발매된 17권이다. 보통 패션 매 거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미지에 집중된 것에 비 하여, Kinfolk에서는 예술가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 시지, 삶의 노하우와 생각을 글로 표현하고 있고, 그 비중도 매우 크다. 매거진의 특성상, 인간의 삶을 통 해 드러나는 생각, 감정, 태도, 철학과 같은 내용이 근 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미지로만 접근하는 단편적 방법으로 안티패션을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 므로, 라이프스타일이 표현되는 전 권의 경구, 격언, 생 활 속의 팁, 개인적 생각을 담은 에세이, 책에서 발췌 된 내용 등을 포함한 461개의 글을 분석하였다. 또한 글과 함께 제시하고 있는 포토에세이, 사진, 일러스트 레이션을 포함한 1,179개의 이미지를 선별하여 분석 하였다.

    Ⅱ.Background

    1.Concept of anti-fashion

    안티패션은 다수가 순응하고 동조하여 지배적인 흐 름을 갖는 스타일인 주류패션에 대항하여 개별성과 차별성을 갖는 개념이다. 패션은 사회를 구성하는 요 소이며, 패션의 메커니즘 속에서 동일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다름을 추구하는 차별성이 나타나며, 이 두 성질의 변증법적 과정을 통하여 패션의 프로세스가 성립한다(Kaiser & Looysen, 2010a). 즉, 안티패션은 주류를 거부함으로써 차별성을 갖고 이를 통해 패션 과 협상을 가능하게 하여 패션의 영역을 더욱 다양하 게 하고 패션의 이해를 포괄적이게 하는 것이다. 이 렇게 안티패션과 패션과의 관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 는 안티패션의 개념은 그 범주의 확장을 제한하기 위 해 주류에 대한 저항을 패션으로 표현한 것으로 의미 를 정하기로 한다. 이는 안티패션을 이해함에 있어 혼돈을 주지 않음으로써(Kaiser & Looysen, 2010b), 저항을 통해 가시적으로 나타난 새로움과 차별화된 특징이 궁극적으로 주류패션에 유입되는 과정 속에 안티패션의 상징성과 가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안티패션의 외형은 주류패션에 새롭고 기발한 디자 인 영감과 아이디어로 차용되었다. 이 때 안티패션은 내재된 대항적 잠재성이 상업화되고, 그 특징은 상품 화가 되는 완화(defusion)와 미디어를 통하여 대중에 게 전파되는 확산(diffusion)을 통해 주류로 전환된다 (Muggleton, 2000). 완화와 확산을 통해 주류로 편입 된 안티패션은 그 자체로 하나의 스타일(style)로 인 식된다.

    안티패션으로 수많은 스타일이 생성됨으로써, 패션 은 수용된 스타일을 통하여 더욱 넓은 영역을 갖춤과 동시에, ‘패션’보다는 다양한 ‘스타일’이 인정되는 패 러다임이 강조되어 기존의 주류패션의 영향력을 저 하시키는 이중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또한 미디어의 발달로 안티패션을 주체하는 비주류나 인디문화, 소수 집단들의 결속력을 강하게 하는 커뮤니티의 활성화 되어 타자의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이들의 문화가 수 용되고 인정되는 사회적 인식이 변화됨에 따라 주류 에 대한 기존 관념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이들은 오 히려 과감하게 주류문화와 패션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정체성과 가치관을 전달하고자 한다. 이로써 주류문 화와 비주류문화에 존재했던 주류화 과정의 종속관계 가 붕괴되어 서로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는 현대사 회 속의 포스트모더니즘 영향으로 정형화된 기준과 구분이 무의미해짐으로써, 패션에서 조형적 실체가 해체되고 의미가 재해석되는 것뿐만 아니라, 패션 자 체의 정통적 시스템과 내적 구조에 대한 모호성과 탈 중심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티패션 과 주류패션은 패션의 메커니즘 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하여 끊임없이 재의미화, 재공식화 되고 있다.

    2.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nti-fashion

    본 장에서는 안티패션을 사회학적으로 접근한 데이 비스(Fred Davis)의 저서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1992)’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티패션의 유 형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안티패션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본 결과, 크게 패션에 대한 저항과 사회․문화에 대한 저항으로 구분되어 나타나, 안티패션은 주류패 션과 사회문화적 대항에 대한 관련성과 저항대상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Resistance to fashion

    (1)Practicality

    패션은 유행을 만들어내고 마케팅을 통해 소비시 킴으로써 거대한 경제효과를 거두는 산업으로 성장 하였으나(Finkelstein, 1996/2005), 한편으로는 시즌에 따른 잦은 변화와 꾸미고 치장하는 깊이 없는 일에 집중하므로 천박하고 경박한 것이며(Davis, 1992), 계 획 없는 지출과 낭비를 조장한다는 부정적 관점을 포 함하고 있다. 안티패션은 패션의 비실재적이고 실용 적이지 못한 것에 대항하는데, 이는 시대적으로 지속 적인 움직임이 있었다.

    1899년 베블렌(T. Veblen)이 주장한 과시적 소비 (conspicuous consumption)는 당시 상류계층이 하류 계층과 구별되기 위한 수단으로 패션을 택하여 사회 적 지위와 권력, 부를 드러내고자 했던 욕구를 표출 한 것으로, 베블렌은 이러한 사회가 경제와 미적 가 치에 혼란을 야기한다고 하였다(Svendsen, 2013). 현 대화가 시작된 1900년대 초부터 이전의 과장된 실루 엣이 배제된 기능적이고 단순한 새로운 의복이 나타 났으며, 전위적인 예술집단(avant-garde)은 자신들의 이상향을 표현하는 반유행적인 실험적 의복을 제안 하였다. 단 한 벌 또는 하나의 스타일로 여러 가지 착 장 방식을 제안하는 모듈러(modular) 복식은 실용성 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아이템이다. 이렇게 안티패션 은 가벼운 가치와 낭비를 조장하는 패션을 비경제적 인 현상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항하여 실용적이고 합 리적인 소비와 가치를 중시한다.

    (2)Naturalism for health and fitness

    안티패션은 신체의 자유를 억압하고 자연스럽지 않은 인위적인 것으로 인해 건강을 해치는 것에 대항 한다. 패션은 외향중심적 관념과 사회적 지위를 나타 내는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불편하고 부담이 되더라 도 육체적․정신적 고통을 감수해야 했다. 여성들에 게는 신체를 압박하는 보정 속옷, 하이힐, 스키니진, 활동성이 불편한 미니스커트와 맥시드레스, 계절감보 다는 목적에 의존된 복장, 머리카락에 손상을 주는 드라이, 펌, 염색, 손톱에 손상을 주는 네일케어가 해 당된다. 남성의 경우, 목까지 단추를 채운 셔츠, 목을 죄는 넥타이, 허리의 벨트, 쉽게 더러워지는 화이트셔 츠, 단정함과 신뢰를 주기 위해 재킷의 앞단추를 채 우는 것과 같은 비즈니스 수트에 대한 매뉴얼적 인식 (Davis, 1992)이 그 예가 된다.

    이에 대한 안티패션의 대안은 여행과 스포츠에 대 한 관심의 확대로 제안된 레저웨어(leisure wear)이다 (Davis, 1992). 남성들은 비즈니스 수트에서 벗어나 몸 에 구속이 없는 편안한 의복을 입는 것이 비교적 자 연스러웠으나, 사회적 약자였던 여성들에게는 주류의 사고에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 자체가 기성에 대한 도 전이었다. 1850년 블루머는 그 등장 초기에는 배척되 었으나, 19세기 후반에 새로운 활동에 적합한 운동복, 스포츠웨어로 적용되어 점차 주류에 유입되었다. 1960 년 후반, 신체적 건강의 중요성이 조명되고, 기술의 발 전으로 신소재가 개발되면서 탄성이 좋은 스판덱스 소재의 복식은 신체에 편안함과 자유로움을 주었고, 80년 대까지 피트니스 열풍을 이끌어 스포츠 룩, 피 트니스 웨어로 유행하여 주류로 이동하였다.

    (3)Conservativeness

    안티패션의 보수성은 패션이 갖는 상징적 의도나 시각적 효과를 무효화시켜 새로운 패션을 부정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패션과 관련된 산업, 매체, 여러 기 관들에 대항으로 나타난다(Davis, 1992). 이는 최근 불 거지고 있는 패션의 문제점과 맥락을 같이 한다. 2015년 3월 리 에델쿠르트(Li Edelkoort)는 교육, 제조업, 디 자인, 리테일, 마케팅 분야에서의 폐해로 인해 패션시 스템이 자체적으로 붕괴될 것이라는 ‘안티패션 성명 서(Antifashion Manifesto)’를 발표했다. 패스트패션을 대표하는 자라, H&M, 유니클로와 같은 SPA브랜드 들이 전 세계 패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대량생산 공정에서 야기되는 오염과 물소비, 의류폐 기물로 패션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비난 받아왔다. 이러한 현대패션의 빠른 변화와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을 부정하며, 기존 것을 지키고 유지하려는 안티패 션의 보수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패션의 대안적 성격으로 제시되는 안티패션은 자연과 환경을 의식 하는 에코패션, 슬로우패션, 업사이클링 및 지속가능 패션으로 나타난다. 한편 소비자의 관점에서의 보수 성향은 소비를 거부하는 안티소비(anti-consumption) 이다. 안티소비는 대량생산과 과도한 마케팅에 스트 레스와 거부감을 느껴 소비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상 실하는 것이다. 집단을 이루거나 기간이 길어질 경우, 기업이나 브랜드의 매출이나 이미지가 손상이 되기 때문에 동기와 해결방안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 가 되기도 한다.

    또한 안티패션에 관한 담론으로 패션 자체를 의식 하지 않거나 관심이 없는 ‘무관심(indifference)’이 있 다(Davis, 1992). 정치적, 문화적 좌파 부류인 보헤미 안은 반(反)부르주아 스타일로 물질만능주의를 거부 하여 오래되고 낡은 옷을 아무렇게나 걸치고 다녔으 며, 이는 비트닉과 히피로 이어진다. 현 세대에서의 패션의 무관심은 수퍼리치(super rich)들에게서도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 애 플사의 故스티브 잡스는 단순하고 편안하며 동일한 옷을 고수하여 옷으로 인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패션의 무관심은 일반인에 게도 이어져 옷을 고르는 스트레스와 들이는 시간에서 벗어나기 위해 같은 스타일의 옷을 여러 벌 사서 입 는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패션에 대한 무관심은 패 션과의 단절이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패션을 받아들 이고 있는 것(Simmel, 1957)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패션에 대한 보수적 성향의 안티패션은 21세기에 의 식 성장과 인식의 전환으로 더욱 강하고 분명하게 나 타나고 있다.

    2)Resistance to socio-culture

    (1)Feminism

    복식은 남녀의 성(性)차와 성역할을 인식하는 표현 수단이었다. 안티패션은 전통적인 성을 표현하는 복 식에 대한 가시적 저항으로 강한 반발과 거부를 표현 했다. 과거 여성들은 남성중심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순응적이고 수동적인 열등한 존재였다. 이러한 여성 의 복식과 스타일은 가문이나 남성들의 부를 대변하 는 일종의 과시의 목적으로 이용되었으므로 사회적 으로 남성에 종속되고 억압된 여성의 모습을 나타냈 다. 현대사회에서의 패션은 여성들을 ‘여성적이게 보 이게 하는’ 의복과 섹슈얼리티를 어필함으로써 성 상 품화를 조장하므로 여성을 더욱 약하고 의존적인 존 재로 만든다고 간주되어, 페미니스트들은 근본적으로 패션에 대한 저항과 거부를 표현하였다. 1960년대 페 미니즘으로 표현된 안티패션은 남성과 사회적으로 동등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여성성을 상징하는 복식 을 거부하고, 남성적 복식을 착용하였다. 이는 이후, 유니섹스, 앤드로지너스 룩 등으로 스타일화 되고 주 류로 편입되어, 더 이상 페미니즘의 입장을 구현시키 는 도구로 사용되지 않았다. 페미니즘의 이론과 사상 은 다각화․세분화되어 안티패션의 저항에 대한 의 미와 시각적 형태가 모호해졌고, 시대의 흐름과 변화, 인식의 전환됨에 따라 저항의 요소로서의 새로운 스 타일의 등장에는 한계가 있었다.

    현재의 페미니즘은 이분법적 성차의 개념을 넘어 여성 사이에 존재하는 특정계급 및 인종, 문화, 성소 수자들의 인권 운동과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극단적 인 시위와 운동 등으로 패션과의 간극을 인정하면서 도 주류패션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이념을 전달하는 등 패션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Counterculture

    반문화를 표현하는 안티패션은 하위문화 집단의 특징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의 상위개념으로, 민족, 인종, 다른 소수 그룹까지 포함하며, 안티패션의 다양 한 형태 중 상징적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다(Davis, 1992). 반문화적 안티패션은 다른 안티패션이 대안을 찾았던 것과는 달리 지배적인 패션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적 헤게모니에 대해 매우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도전하였기 때문에 자신들의 정체성과 주장하는 메세 지를 분명하게 주류패션에 전달할 수 있었고, 그 상 징성과 가치가 주입됨으로써 패션으로 종속되어 상향 전파 과정을 이루게 하였다(Davis, 1992). 또한 안티 패션을 이루는 집단이 주로 청년층이었으므로, 외부 적인 요소에 의한 다양한 경험이 가능했으며, 정체성 확립에 대한 잠재 정도가 컸기 때문에 반문화적 상징 과 의미를 풍부하게 할 수 있었다(Davis, 1992). 현대 패션에서는 다양한 반문화적 요소가 나타나고 이들 이 중첩되어 함께 공존하며, 시각적 특징을 중심의 스타일로 재현되어 주류패션에 빠르게 수용된다. 이 러한 반문화적 정신을 디자인의 영감으로 받아들여 정치와 사회를 향한 메시지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는 대표적인 주류디자이너로 장 폴 고티에, 프란시스 모 스키노,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있다(Davis, 1992).

    (3)Minority group

    안티패션은 소수집단들의 탈동일화를 수용하여 각 각의 주체를 인정함으로써 주류문화와 구별된 정체 성을 표현한다. 안티패션의 탈동일화의 개념은 소수 민족, 소수종교, 게이운동, 여성운동을 포괄한다. 특 히 주류사회에서 평가절하되고 폄하되는 대상인 흑 인, 동성애자 및 성소수자들이 인정되고 수용되는 사 회적 인식이 전환됨으로써, 자신들의 정체성 확립은 새로운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다(Buxbaum, 2005/2011). 실제적으로 이들은 하위문화와는 달리 자신의 ‘근본’ 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항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도 지배적 문화와 지속적인 갈 등 속에 있으며, 이를 타파하기 위한 여러 시도와 움 직임은 계속되고 있다.

    소수집단에서 나타나는 안티패션은 다음과 같다. 종교적 이유로 인해 철저히 구별된 복식을 착용하는 하시딕 유대인, 아미시, 메노파는 지배적 복식에는 관 심 자체가 없으며, 종교로만 연관된 정체성을 복식으 로 표현하였다(Buxbaum, 2005/2011). 인종차별로 사 회적 불평등 속에 소수세력이었던 흑인은 40년대 주 티스, 60년대 흑인민권운동, 70년대 펑크(Funk), 이후 라스타파리안 스타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재확립하 였으며, 흑인들만의 독특한 외관은 주류로 흡수되어 스타일화 되었다.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성을 거부하 고 이분법적 성 체계에 억압 받아온 성소수자들은 자 신의 성과 반대되는 복식을 착용하는 크로스드레싱 을 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사회적으로 드러내지는 않 되 게이 문화권에서는 구분할 수 있는 클론룩(clon look)을 취했다. 클론은 주류문화와 같은 복식을 착용 했기 때문에 안티패션의 힘을 저하시켰고, 현대의 일 반 남성들이 패션과 화장, 그루밍에 큰 관심을 갖게 됨으로써 게이의 안티패션은 더욱 쉽게 주류패션에 동화되었다(Davis, 1992). 이 후 성소수자들의 인권과 평등 운동이 확산되고, 다양성이 인정되는 사회문화 적 흐름 속에 성소수자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이 점차 사라지게 되면서, 지정된 성을 구별적으로 나타 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젠더리스의 복식이 나타났다. 이는 자유로움과 취향의 개념이 보편화 되어 하나의 스타일로 주류화되어 패션에 종속되었다.

    Ⅲ.Analysis of Type of Lifestyle in Kinfolk

    1.Introduction of kinfolk magazine

    Kinfolk는 슬로우 라이프(slow life)를 추구하고, 형 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움과 여유, 일상에서의 소 소한 기쁨과 즐거움 그리고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하는 것을 소중히 여기는 삶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 일 매거진이다. Kinfolk는 특정분야에 속한 에디터가 아닌 작가, 포토그래퍼, 일러스트레이터, 화가, 디자이 너, 건축가, 요리사, 플로리스트 등 각 방면의 예술가 들을 중심으로 일상적 삶에서의 가치 있는 생각, 함께 나누고 싶은 메세지, 생활방식과 태도 등을 에세이 형식의 글과, 감각적이고 독특한 미학을 담은 사진과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다. Kinfolk의 철학은 현대사회 에서의 기계문명 중심, 혁신과 속도 중심, 소비와 물질 중심, 개인주의와 이기주의에 철저히 대항하여 자연 과 교감하고, 삶의 속도를 늦추어 삶의 본질에 집중 하며, 가족과 친구들과의 유대감을 중시하는 것이다.

    Kinfolk가 추구하는 삶이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게 되면서 Kinfolk 매거진은 단행본을 넘어 Kinfolk table, Kinfolk home과 같은 별책이 발매되며 세 분화되고 집중된 컨텐츠를 만들게 되었다. 뿐만 아니 라, Kinfolk는 라이프스타일한 유형, 그 자체로 디자 인 미학이나 스타일을 의미하고, 이를 추종하는 킨포 크族을 만드는 등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렇게 Kinfolk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주목받을 수 있었던 것은 인간의 삶 속에서 잊혀지고 결핍되어 있 던 가장 근본적이며 익숙하고 소중한 것들을 감성적 이고 자연스럽게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Kinfolk는 현대사회 속에서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대상과 그 의 미를 알아야 하며, 그것을 통하여 주어진 시간과 삶 속에 자신과 주변을 돌아보며 즐거움과 행복, 따뜻함 이라는 인간의 기본적 감성에 접근하고 있다.

    2.Types of kinfolk lifestyle

    앞서 고찰한 안티패션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 으로 Kinfolk의 글과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Kinfolk 라이프스타일은 총 20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를 다시 그룹화하여 에센셜리즘, 자연친화, 아날로그 감성, 사 회윤리적 의식 확대, 다양성의 총 5가지 유형으로 도 출되었다. 유형들 중 가장 광범위하고 지속적으로 나 타나는 것은 자연친화였으며, 하위 부류에서도 자기 자신, 가족, 지인들과 공동체 간의 유대감과 같이 사람 들과의 만남과 교제, 소통이 가장 비중 있게 나타났 다. 이를 통해, 비록 Kinfolk 매거진이 구독확산으로 인해 주류 매거진이 됨으로써 초기에 보여졌던 독특 한 아이덴티티가 점차 익숙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작 은 모임을 위한 지침으로 시작했던 Kinfolk의 본질은 바로 ‘사람’에게 있다는 변치 않은 정신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Essentialism

    (1)The pursuit of essence

    Kinfolk 라이프스타일이 전달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가치는 삶의 본질과 중심에 있다. 현대 사람들은 경 쟁과열, 물질중심, 휴식과 여유가 없는 각박한 삶 속 에서 피로와 스트레스로 심리적․정신적 갈등을 겪 으며, 친밀한 인간관계와 공동체의 유대감을 느끼기 어렵다. 디지털의 보편화로 편리하지만, 모든 것이 점 점 가볍고 빠르게 지나치게 되어 근본의 의미를 상실 하고 있다. 다양성의 수용으로 많은 것들이 인정됨으 로써 이전보다 더욱 많은 것들이 실존하고 있으나, 정작 인간의 삶 속에는 진정성이 없이 공허하고 허무 하게 살아가고 있다. Kinfolk의 라이프스타일은 이러 한 삶을 부정하며, 인간의 삶 속에 시간과 공간, 경험, 만나는 사람, 심지어 내가 사용하고 있는 사물에까지 근본과 본질에 대하여 느끼고 생각하기를 끊임없이 제안한다. 이러한 본질을 추구하는 정신은 전통과 기 원, 역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유산의 계승과 유지에 대하여 철저한 책임감과 자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2)Brevity

    Kinfolk에서 본질을 추구하는 것은 단순하고 간결 함의 미학을 갖는 것이다. 복잡하지 않고, 화려한 장 식과 부수적인 재료 없이 기본에 충실함을 의미한다. 지인들과의 모임과 식사에서도 형식적이거나 거창한 준비가 아니라, 조촐하고 소박한 분위기와 음식이라 도 서로의 눈을 마주치며 마음을 나누는 시간 자체에 큰 의미를 둔다. 따라서 좀 더 근원적으로 서로의 관 계에 생각하고 유지하는 노력이 가능하다. 작고 소소 한 일상의 기쁨과 행복함, 쉽고 간편한 식사에서의 만족감을 얻는 것 역시 간결함을 중시하는 에센셜리 즘의 자세로 볼 수 있다. 디자인과 인테리어, 건축에 서도 군더더기를 없애고 사물의 정수, 핵심만을 남기 는 작업으로, 진정성, 단순성, 순수성(Han, 2015)을 달 성하는 것으로 여긴다.

    (3)Innovation based on tradition

    Kinfolk는 전통에 기반한 혁신과 변화를 중시하고 있다. 즉, 진정한 혁신은 전통적 관습을 새롭고 흥미 로운 방법으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여긴다. 전통을 고 수하면서 새로움을 더하여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있는 기존의 것에 신선함을 주입하여 더 나은 결과물을 제 공하게 한다. 본질 중심의 오랜 전통을 소중히 지키 고 이를 전수받아 내 자신 혹은 가족들의 전통을 새 롭게 세우는 것, 과거로부터 가장 좋은 것을 취하면 서 자신만의 삶을 새롭게 개척해 나아가는 것, 옛 것 을 통하여 새로운 메세지를 전달 받는 것, 고전적이 면서도 현대적인 매력을 품는 것, 오래된 건물을 허 물지 않고 예전의 방식과 구조를 최대한 보전하고 유 지하는 다양한 퓨전의 형태의 예시에서 전통에 기반 한 혁신과 변화를 볼 수 있다.

    (4)Slow life

    속도전인 현대 사회 속에서 ‘느리게, 더 느리게’를 외치는 것이 Kinfolk가 제안하는 삶이다. 삶의 속도를 늦추고 자신의 내면과 주변을 돌아보며 시간적 여유 를 즐기는 것으로, 더욱 풍요롭고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에게는 휴식과 재충전, 창의적 인 사고를 위하여 ‘나는 누구인가?’, ‘삶의 의미는 무 엇일까?’라는 본질적 질문과 마주하기 위해 개별적인 시간과 여유가 필요하다(King, 2015).

    Kinfolk 라이프스타일에서는 느림과 시간에 대한 중요성은 과정과 이에 따른 시간과 연계되어, 제철음 식 선호, 음식 본연의 맛을 음미하기 위한 여유있는 식사시간, 과정이 긴 발효, 숙성의 슬로우 푸드를 제 안하고, 차(tea)가 우러날 때까지 기다리는 티타임(tea time)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품을 살 때 에는 품질과 내구성, 제품 공정의 과정을 중요시하는 것을 선택하며, 결과보다는 완벽을 위해 노력하는 과 정과 자세를 진정한 아름다움으로 여긴다. 슬로우 라 이프에서는 중요한 것은 드러내고자 하는 표상적인 스타일보다는 깊은 인간적인 사고방식 속에서 발현 되는 삶의 방식인 것이다.

    2)Nature-friendliness

    (1)Communion with nature

    Kinfolk는 도시화, 산업화, 디지털화된 복잡한 현대 사회를 벗어나 자연으로 회귀하여 잃었던 자연성을 되찾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회복하여 삶의 균형과 조화를 제시한다. 도시를 떠나 숲 속으로, 바다로 향 하여 평안과 휴식을 취하고 마음을 정화하거나, 오지 체험을 통해 대자연에 대한 경이로움과 감동을 받으 며, 자연과 깊게 교감한다. 인간은 살아가는 데에 다 양한 접근을 통해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얻게 된다. 인간은 본디 자연에서 왔으며, 자연과 상생하며 공존 하는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자연을 찾고 자연과 교 감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안정적이며 자연으로 부터 평화와 평온한 마음을 갖게 된다는 것을 본능적 으로 알고 있다.

    물리적 이동을 하지 않더라도 햇볕의 따스함, 나뭇 잎이 흩날리는 소리, 바람에 묻어나는 향기, 흙 내음, 바다냄새를 느끼고 구름을 응시하는 것과 같이 자연 에 주의를 기울이고, 계절의 변화를 찬찬히 느끼며 자연과 교감을 할 수 있다. 또한 자연적인 그린 컬러 나 뉴트럴 톤을 즐기고 나무, 돌판, 유기농 직물과 같 은 천연 소재를 선호하며, 여가시간으로 서핑, 낚시, 조깅, 하이킹, 트래킹 등과 같이 자연 속에서 시간을 가지며 자연과 친밀함을 느낄 수 있다.

    (2)Communion with humanity

    Kinfolk 라이프스타일에서 근원적 요소의 하나는 바로 ‘사람’에 집중하는 것이다. 사람들 간에 서로 교 감하며 소통하는 인간적인 친밀감, 유대감을 중요하 게 생각한다. 가족, 친구, 직장 동료, 이웃, 이외의 자 신이 속한 공동체 등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과의 만남 과 관계에 중심을 두고, 의식적이고 형식적인 것이 아 니라 서로 진솔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넉넉하고 여 유 있는 마음을 간직한다. 특히 가족은 모든 일의 우 선순위로 두고, 함께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기 위해 노력한다. 최근에는 혈연의 가족관계를 넘어 서로를 보살펴 주는 사람들의 네트워크가 새로운 가족의 의 미로 정립될 정도(Fullerton, 2015)로 서로에 대해 얼 마나 잘 아는지보다는 서로를 어떻게 대하는지가 중 요한 수준이 되었다. 친구, 직장동료, 이웃 등 타인과 함께 하는 삶은 서로 배려하고 이해하며 지켜야 할 에티켓을 갖추고, 작은 나눔과 마음가짐으로 관계를 끈끈하게 하여 인간적 교감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 편안하고 따뜻한 분위기, 일상에서의 행복을 의미하 는 덴마크의 생활방식인 휴게(hygge), 여유로운 커피 브레이크 피카(fika)는 모두 사람들과 함께 하는 시간 을 소중히 여기는(Grahnat, 2014) 문화의 예가 된다.

    타인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해 제대로 알고 집 중하는 자신과의 진정한 교감도 필요하다. 나를 위한 시간을 독립적으로 갖고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신과의 교감은 타인이나 공동 체와도 더 넓고 깊은 관계를 가능하게 하며, 자신이 주 체가 되는 주도적이고 자애적인 라이프스타일을 갖 게 한다.

    (3)Animal-friendliness

    Kinfolk에서는 사진과 이미지에서 반려견과 반려 묘가 사람들과 함께 빈번하게 등장하여 인간이 동물 을 친구 혹은 가족으로 여기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 은 떠돌이 개, 길 고양이들에 대한 동정심을 갖고 입 양하여 키우고, 근본적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동참 한다. 애완동물뿐만 아니라 직접 기르는 가축들에게도 애정을 갖거나 가축들로부터 얻는 식재료, 모피에 감 사하고 소중하게 생각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4)De-industrialization

    급속도의 성장과 혁신적 기술의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삶은 스마트폰과 디지털기기에 지배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정보를 얻는 대신 쉽게 소비하며 가벼운 가치 태도로 인해 사회적으로 많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 다. 이러한 산업화된 사회를 벗어나는 삶을 즐기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의식과 행동이 필수적이다. 편리 한 삶을 대변하는 전자기기의 유혹을 뿌리치기 어렵 기 때문이다. 칼 오너리(Carl Honoré)는 과학 기술을 분별력 있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전자 기기 이용 시에는 분명한 목적에 의 한 것일 때는 현명하게 사용하고, 직접 얼굴을 보고 소통하거나 고요함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원을 끄는 것 이 삶의 속도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King, 2015). 사람들과 식사나 대화를 할 때는 의식적으로 휴대전화를 멀리하고 외출 시에 일부러 휴대전화를 놓고 나가며, 취침 전 만큼은 노트북과 휴대전화를 침 대에서 가능한 한 멀리 둔다. 벤쿠버의 Faraday Café 는 의도적으로 인터넷 연결과 휴대폰 신호음을 차단 하여, 전자기기가 없는 시공간에서 사람들과 서로 눈 을 마주치고 대화를 할 수 있게 하는 이벤트를 열어 화제를 모았다. 이렇게 일시적으로라도 전자기기와 멀리하는 순간 인간들은 필요와 욕구로부터 자유로 울 수 있으며, 예상하지 못했던 가치와 소중함, 아이 디어와 영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5)De-urbanization

    Kinfolk 라이프스타일은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도 시를 벗어나 도시외곽이나 시골에서 자연과 함께 하는 삶을 제안한다. 비포장도로, 숲길, 길게 늘어선 나무 옆길을 걸으며 파란 하늘과 탁 트인 풍경을 만끽하면 서 자연에 대한 편안함과 포근함을 느끼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채소와 과일을 재배하거나 양봉을 통해 꿀을 수확하고 닭을 키워 신선한 달걀을 얻는 등, 자 연의 소산을 얻는 것을 직접 체험하며 자연이 생명의 본질임을 깨닫는다(English, 2014). 작은 공간을 이용 하여 텃밭을 만들어 과일과 채소를 재배하고 꽃과 나 무를 가꾸는 것도 탈도시화를 실천하는 자연친화적 태도로 볼 수 있다.

    (6)Nomadic behavior

    Kinfolk의 유목적인(nomadic) 라이프스타일은 기 존의 틀에 박힌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어느 한 곳에 국 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즐기는 것을 의미 한다. 현대인들은 여행을 통해 유목적 라이프스타일 을 경험한다. 특히 대자연을 탐험하고 모험하며 자연 의 위대함과 경이로움을 느끼는 여행은 현실에서의 자신의 존재와 삶을 돌아볼 수 있게 한다. 자연과 가 까이하는 여행에서 캠핑은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사 항이 되며, 고전적 방식을 이용한 취사와 취침은 자연 으로부터 도구를 취하고 자연에 맞는 형식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자연과 더욱 친밀해질 수 있게 된다. 자 동차 여행, 캠핑 트레일러를 겸비한 여행은 어디든지 갈 수 있다는 자유로움이 더해진 여행이라고 할 수 있다.

    3)Retro sensibility

    (1)Nostalgia

    Kinfolk에서는 현재를 살아가는 아름다운 감성의 기반을 노스탤지어에 둔다. 노스탤지어의 아날로그 감성의 중심은 그 시절을 추억하는 기억과 제품에 깃 든 소중한 관계와 같은 인간적 순수성에 있다. 더 이 상 존재하지 않은 물건과 용어들을 추억하고, 이제는 접하기 힘든 순수한 감정인 로맨스, 희생정신, 의협심, 정의로움을 다시 되찾으려 한다. 유년시절의 즐겁고 행복했던 기억들을 잊지 않고, 당시를 추억하며 장난 감, 인형, 만화영화, 즐겨 먹었던 요리 등으로 커뮤니 티를 생성하기도 한다. 할머니, 엄마가 해주었던 요리 를 그리워하여 그 맛을 찾아보기 위해 요리를 하고, 과거에 사용했던 즉석사진, LP판과 레코드, 타자기, 손 편지 등 그 당시를 추억하게 하는 물건에 애정을 쏟 아 아날로그 감수성을 끊임없이 유지한다. 이러한 제 품과 감정 소구의 방식들은 현대시대에 새롭게 조명 받게 되면서 ‘복고’나 ‘추억’이라는 이름으로 하나의 스타일로 코드화되어 소비되기도 한다. 이렇듯 현대사 회의 사람들은 끝없이 쏟아지는 새로움과 함께 과거 를 추억하고자 하는 이중적 감성의 삶을 살고 있다.

    (2)Vintage culture

    Kinfolk에서는 낡고 녹슨 것, 갈라진 흠과 같은 시 간의 흔적을 아름다움의 가치로 여긴다. 물려받거나 오래도록 수집해온 물건과 사용해온 제품에 대해 애 정을 갖고 쉽게 버리지 않는다. 구입할 때도 빈티지 소품샵이나 골동품 가게, 중고품 가게를 통해 구입하 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물건은 의미 없이 버리는 것이 아니라 물물교환, 벼룩시장, 기증을 통해 누군가 에게 전달되는 방법을 택하여, 누군가 소중하게 여겼 던 물건으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다. 일부러 재생목 재, 산화된 철재를 사용하고, 최신형 자동차보다는 빈 티지한 올드카를 선호하며, 자연스럽게 구김이 가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추구한다. 이렇게 빈티지의 가 치는 현대의 소비중심 사회를 조금 더 자연스러우면 서도 현명하게 대항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Handcrafts

    직접 손수 만드는 것에는 정성과 시간이 따르게 되 기에 핸드크래프트에는 소중함과 애착이 부여된다. 현대사회에서 사용되는 최첨단 기법을 통해서가 아니 라, 아날로그적 방법을 취하여 소소하지만 일상의 가 치와 편안함을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완전한 새로움 보다는 기존의 기능을 재생하고 활용하는 것에 의미 를 두어, 오래된 것을 허물거나 없애버리지 않고 수 선과 개조를 하는 D.I.Y, 리사이클링(recycling), 업사 이클링(upcycling) 작업을 추구한다.

    4)Socio-ethical awareness

    Kinfolk는 사회의 이슈에 관심을 갖고 윤리와 도덕 성의 고취에 대한 지속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사회 적 의식과 지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현대의 사람들은 범세계적인 이슈와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방안과 대안책 마련에 동참하길 원한다. 매출과 수익이 최대 의 목표인 기업과 영리만을 추구하는 세상을 부정하 고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진실성, 윤리의식을 중요하 게 생각한다. 생산자, 유통업자, 소비자의 관계에서 신 뢰와 존중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각 과정의 투명성 이 중시되고, 빈곤한 지역에서의 인권과 노동력의 보 장에 대한 공정성 및 공정거래에 관심을 갖는다.

    또한 유전자 변형의 곡물이나 알약 하나로 음식섭 취량을 채울 수 있는 방법과 같이 자연의 섭리를 거 스르는 무분별한 과학 발전을 부정하며, 인간의 이기 심으로 생명을 경시하는 풍조에 대항하여 동물 보호 와 동물 복지에 대한 운동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 다. 무분별한 발전과 성장으로 파괴된 환경에 대한 의식적 행동이 고취됨으로써 일회용 제품 사용 최소 화, 재사용, 재생물품 사용 등 일상적 삶의 방식에서 환경에 대한 의식적 행동으로 실천의 움직임을 나타 낸다. 더불어 타인을 배려하고 돌보는 이타적인 사회 의식이 성장하여 빈곤한 지역이나 국가를 직․간접 적으로 도우며, 익명으로 기부와 봉사를 한다. 이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게 되며, 궁극적으로 인간의 근 본적 감정인 행복과 따뜻함을 통해 인간의 삶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5)Diversity

    (1)Commanplaceness

    평범한 것은 지루하거나 재미없는 것이라는 부정 적인 인식이 있다. 그러나 일상적인 평범한 생활은 획 기적이거나 특별하지는 않지만 그것만이 지니고 있는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이 있다. Kinfolk 라이프스타일 에서는 평범함에서 오는 솔직함과 꾸밈없는 아름다 움을 중시한다. 주변에서 매일같이 마주치는 흔한 것 에 숨겨진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느끼고,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부터의 평범함의 가 치를 획득하는 것이다.

    (2)Subculture

    Kinfolk 라이프스타일에서 가장 비중있게 나타나 는 하위문화의 요소는 남성들의 덥수룩하고 긴 수염 과 긴 헤어스타일 그리고 남․여 모두의 타투(tattoo) 이다(Hyun & Jang, 2012). 남성들의 덥수룩한 수염과 긴 머리는 구속되지 않은 자유로움과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보헤미안 정신이 반영된 스타일로 볼 수 있 다. 타투는 전통적 관습과 반항적인 반문화를 드러내 는 동시에 자신을 표현하는 미적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Peters, 2014). 이러한 하위문화 요소들은 기존에 지니고 있던 반사회․반문화적인 요소는 반감되었으 나, 현대사회에 남아있는 제도권과 관습, 편견과 요구 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의지의 표현이 자 하나의 스타일로 나타나고 있다.

    (3)Agelessness

    오랜 시간 동안 젊음은 아름답고 패셔너블하다는 것과 동일 개념처럼 여겨왔다. 하지만 Kinfolk 라이프 스타일에서는 젊음과 패션을 연결하는 경향을 부정 하며, 노화를 세월의 아름다움으로 여긴다. 나이가 든 다는 것은 자연의 섭리이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으로 받아들인다. 흰 머리, 흰 수염, 벗겨진 머리, 선명하고 가득한 주름들은 추하고 흉한 것이 아니라, 삶 그 자 체로 여기며, 연륜과 지혜, 추억과 세월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이다.

    노인들이 젊게 살고자 하고, 젊은이들이 나이든 듯 한 기분을 느끼는 것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다는 측 면에서 연령이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는 것을 의 미한다. 젊은이들은 노인들에게 듣는 경험과 세월이 묻어나는 이야기들로부터 삶의 지혜와 교훈을 깨닫 고, 노인들은 젊은이들을 통해 현세대를 알아감으로 써 연령의 경계를 허문다.

    (4)Genderlessness

    Kinfolk에서 나타나는 성(性)의 구분은 명확히 드 러나 보이지는 않을 정도로 여성과 남성, 게이가 동 시에 나타나고 있다. 성을 구분 짓기 보다는 하나의 독립된 자아로 보고 있는 것이다. 페미니스트적 이데 올로기가 없이 남성의 콧수염을 패러디한 위트있는 여성의 모습, 마초적인 남성, 여성의 취미로 여겨지던 뜨개질을 즐기는 남성, 인터뷰 상에서 자연스럽게 게 이이거나 레즈비언임을 밝히는 등 전통적인 이분법 적 성개념에서 철저히 벗어나, 어떤 성에 구속되지 않은 자유분방한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5)Acceptance of other cultures

    세계화를 통해 자국 이외의 국가에 관심이 고조되 었고, 자국을 떠나 타국가에서 생활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다. 또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세계 여 러 나라의 정보와 문화적 특징, 트렌드, 일상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타국가와 타민족 의 문화를 전보다 익숙하게 받아들이기 되면서, 타국 이나 타민족의 문화 체험을 즐기고, 정신을 수용하여, 이를 삶에 적용하게 되면서 기존에 갖고 있던 관념에 변화를 받고 새로운 영감을 얻게 된다.

    (6)New understanding

    Kinfolk는 기존의 고정관념과 편견에서 벗어나 다 양한 스타일을 존중한다. 언제나 격식을 맞출 필요는 없으며, 기존의 규칙을 깨거나 틀에 박히지 않은 자 유로움은 새로움과 신선함을 가져온다. 이러한 삶의 태도는 현재의 상황과 환경을 이해하고 결과보다는 과정과 의미를 중시한다. 어떠한 것도 완벽할 수 없 기에(Whelan, 2015) 완벽을 추구하는 것은 부질없는 것이라 주장하고, 결점은 최선을 다한 삶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부산물로 여겨 다양성으로 포괄하는 재인 식의 태도를 갖는다. 또한 자신없는 외모나 신체부위 도 있는 그대로 당당히 드러내고, 작업 후 어질러진 것은 보람 있는 시간을 보낸 것(Gentl & Hyers, 2014) 으로 여기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Kinfolk 라 이프는 기존의 인식을 넘어 세상을 다른 각도로 바라 보는 데에 중요함을 강조하며 다양성을 인정하고 있다.

    이상으로 Kinfolk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한 내용 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3.Values of anti-fashion in Kinfolk

    앞서 Kinfolk에서 고찰한 현대사회에 대항한 라이 프스타일 유형 속에서 도출된 안티패션의 가치는 단 순성, 자연성, 새로움에 대한 저항성, 윤리성, 그리고 포용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의 삶 속에 잊혀졌거 나 놓치고 있었던 소중한 가치에 대한 회복과 인간 본연의 순수한 감성, 본질과 같은 인간의 내면에 접 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Simplicity

    형태에 있어서 단순성은 장식을 최소화한 절제된 상태이다. 전체적인 실루엣과 구조가 매우 간결하며, 불필요한 디테일을 제거하여 깨끗하고 간단한 디자 인을 보이는 것이다. Kinfolk에 나타난 안티패션의 단 순성은 에센셜리즘과 그 의미를 함께 한다. 외부적으 로는 장식적으로 표현되고, 내부적으로는 여러 가지 의미와 상징을 갖는 패션의 성향으로 볼 때, 단순화 될수록 본질에 가까워지는 것이며 안티패션의 정수 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순성은 본질 추구의 의미를 가지는 동시에 기본적이며 순수하다. Wilson이 안티패션의 단순성을 댄디의 복식 스타일 의 정수로 보았고, 여성복에서는 샤넬이 재현했다고 본 것처럼(Wilson, 2003), 단순성은 복식의 현대화에 본질적인 요소였다.

    안티패션의 단순성을 나타내는 요소로는 스타일링 을 하지 않은 평범한 착장, 베이직아이템, 화려한 패 턴이 아닌 단색, 간단한 액세서리 등으로 나타난다 (Fig. 1). 단순성은 브랜드의 로고마저도 불필요한 것 으로 여겨, 겉으로 드러나는 것보다 제품의 자체에 집 중하여 컬러나 디자인, 소재와 같은 제품의 본질을 추구한다. 또한 기본과 본질에 충실하여 용도를 다양 하게 하고, 시공간적인 제약이 덜하기 때문에 합리적 이고 실용적인 가치를 갖게 하여 궁극적으로 인간의 편의와 유용성을 근본으로 한다.

    단순성은 유행의 흐름에 구애 받지 않는 클래식함 이나, 성별․나이에 상관없이 착용할 수 있는 보편적 디자인, 전(全)지구적으로 활용 가능한 유니버설 (universal) 디자인의 특성으로도 공존 가능한 개념이 다. 또한 디자인의 단순화는 제조 공정도 간단하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생산 비용 절감으 로 소비자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장식이나 디테일이 최소화된 베이직한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트렌드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상품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불필요한 소비를 차단시키기 때 문에 친환경적이며 윤리적인 측면에 기여할 수 있다.

    2)Naturalism

    디지털화된 라이프스타일은 인간의 삶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였으나, 그 이면에는 무분별한 산업화, 도 시화로 인한 환경파괴와 함께 물신주의, 소비 중심, 이기주의, 소통의 부재, 디지털 중독의 내면적 갈등이 팽배하다. 안티패션은 지금의 주류를 이끄는 사회문 화에 대항하며, 이에 대한 대안책으로 ‘자연’을 제시 하며, 의도적이거나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자연성을 추구한다. Kinfolk의 자연친화의 라이프스타일은 안티패션에 자연성의 의 미를 부여한다. 자연성은 자연 그대로의 성질을 최대 한 유지하고 이를 추구하고자 하는 성질로 나타난다.

    사회적으로 자연과 연계된 개념은 친환경, 자연보 호라는 의미와 연관되어 전 세계적 이슈인 환경파괴 에 대한 해결방안과 대안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패션 계에서도 그린디자인(green design), 에콜로지(ecology), 자연주의(naturalism)와 같은 개념들을 통해 소재, 방 법, 과정 등 다각적 방향으로 친환경과 자연 재현의 의 미로써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는 더욱 보 편적이며, 기능이 융합되어 인간의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에코 패션디자인(Suh, 2014), 디지털과 같 은 하이테크를 융합하여 인간과의 조화로운 삶을 강 조하는 신자연주의(neo-naturalism)(Park & Lee, 2013) 와 같이 기존의 순수한 자연지향적 개념과 현재의 트 렌드가 융합된 새로운 개념의 자연주의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Kinfolk에서 나타난 안티패션의 자연성은 최근의 융합된 개념과 타협하지 않고 자연 상태 본연 의 순수함을 갖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자연성은 미적 추구에 있어서 자연계의 순리적 체계에 대한 존 중이 우선시 되고,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자 연스러움과 편안함을 기본으로 한다(Park, 2005). 그 리하여 인공적이거나 인위적인 과정과 방법을 최대 한 배제하고, 천연소재, 유기농 소재, 천연 염료를 사 용하여 수공의 방법으로 자연 그대로의 성질을 유지 시키고자 한다. 눈에 띄는 화려함이 아닌 자연의 색 을 품고 있는 블루, 그린, 베이지, 브라운, 뉴트럴 톤 이 주를 이루며, 실루엣도 넉넉한 품과 자연스러운 형태로 자유로우며 활동성과 편안함을 준다. Kinfolk 에 나타난 안티패션의 자연성은 그 순수함과 일상에 서의 친숙함을 표현하기 위해 인간의 삶에 필수조건 인 옷과 음식을 나뭇잎, 꽃과 같은 자연소재를 이용 하여 표현하고 있다(Fig. 2).

    3)Resistance to novelty

    패션은 변화와 새로움을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패션 에서는 아름다움에 대한 미학 규범보다는 동시대적인 찰나성 즉, 시간성이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다(Svendsen, 2013). 패션은 유행에 맞추어진 상품을 소비하도 록 조장하며, 소비된 상품이 구매자로부터 상징적 가 치를 잃을 때 또 다른 상품을 만들어낸다. 가능한 빠 른 속도로 기존의 것을 쓸모 없는 것으로 만들고 새 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이 패션의 원칙으로 작용되어 온 것이다(Svendsen, 2013).

    이러한 패션의 성질에 저항하는 것이 안티패션의 나타난 새로움에 대한 저항이다. Kinfolk에서 나타난 새로움에 대한 저항은 패션 제품에 대한 만족이 물질 적이고 외적인 것에서, 내적이며 정신적인 것으로 그 중심이 전이된 것에 기인한다. 새로운 것을 지양하는 사람들은 물질적인 것 이상의 가치와 의미를 자신의 정체성에 투여하여, 기존에 사용해온 것이거나 오래 된 물건에 담긴 애정, 추억, 향수, 관계와 같은 인간 의 감성과 함께해온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러 한 안티패션은 새롭게 구입하기 보다는 현재 소유하 고 있는 의복을 다른 방식으로 활용하거나, 수선이나 변형을 통한 새로움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난다(Fig. 3). 또한 물물교환이나 중고의류를 즐기며, 수공의 방법으로 제품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만족감을 느 낀다.

    새로움과 소비를 연계하였을 때, 소비에 대한 저 항은 안티소비(anti-consumption)이다. 소비는 자신의 물적 욕망을 나타내는 정체감의 표시가 되는 상징성 을 갖기 때문에, 안티소비는 현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반문화 운동이라는 담론이 존재한다(Svendsen, 2013). 소비행동의 극단적 거부 형태인 안티소비는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과 브랜드 입장에는 매출과 수익에 직결되는 문제이며, 사회적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문제에도 접근하는 것이므로, 안티패션의 저 항성에 대한 영향력이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Ethics

    Kinfolk에서의 안티패션의 윤리성은 기업과 소비자 (개인) 윤리 및 지속가능성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Kinfolk에서는 기업이 맹목적인 이익과 이윤추구 에서 벗어나 사회적 책임과 윤리의식을 가져야 한다 고 주장한다. 패션산업은 생산․제조 과정에서 다양 한 협력 업체와의 투명하고 공정하며 정당한 파트너 십의 태도가 요구되며, 지속적인 사회적 이슈인 환경 문제에 관련하여 기획부터 생산, 운송, 유통, 판매의 모든 과정에서 실천의 움직임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다. 겨울철 특수를 위한 동물들의 모피를 얻는 공정 에서의 비인도적인 방법과 생명경시에 대해 경각심 을 갖고, 대체소재 개발 등 더 나은 방법을 지속적으 로 모색하는 것도 기업의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 공익활동이나 기부와 같은 사회 공헌 프로그램들을 적극적으로 기획하고 실천하여, 소비자 에게 긍정적 인식과 신뢰감을 얻는 것도 기업의 책임 임을 강조한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기업의 정신은 순수성이 저해되거나 위선적이지 않는 진실성이 바 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세대의 소비자들은 사회적 의식이 성숙해지면서 수많은 정보와 광고,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 속에서 윤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단순한 소 비보다는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의미있는 소비를 하 길 원한다. 즉, 소비자로서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표 현을 하는 기준을 윤리적 소비에 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소비는 공정무역 인증, RDS(responsible down standard)인증(Textile Exchange, n.d.), 친환경, 지속가 능의 제품에 대해 관심을 갖고 그 의미와 가치를 판 단하여 구매를 한다. 이렇게 사회적 의식이 깨어 있 고 윤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은 제품과 기 업에 대해 투명성과 진정성을 요구하며 소비자로서 의 권리를 재확인하기도 한다. 소비적 측면뿐만이 아 니라 사회나 공동체 안에서의 소속감을 통하여 직접 적으로 동참하고자 하는 자발성과 주체성을 갖는다. 안티패션은 실천적 윤리성을 강조하며, 사회 전반에 서 의식적인 윤리적 행동을 촉구하고, 작더라도 실천 하는 움직임이 모여 큰 변화와 올바른 성장을 가져온 다고 믿는다.

    환경에 대한 위기 의식이 확대됨에 따라 패션계에 서도 지속성의 조화를 강조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 하고 있다(Lee, 1997).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편의 성과 심미성에 치중되어 있던 에콜로지(ecology)개념 보다 제품의 수명주기를 연장하고 순환한다는 개념 으로 사회적․윤리적 측면이 부각된 개념이다(Yoo, 2012). 지속가능성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공통된 윤리적 의미와 사회적인 책임 의식이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상호관계에 신뢰와 존중이 필수적이다. 또한 단순한 도덕적 개념이 아니라, 인간과 환경 사이의 균 형과 조화를 위한 미래지향적 개념으로 인식되기 때 문에 사회적, 윤리적, 환경적으로 가치와 의미를 지니 고 있다(Park, 2008). 스몰트래이드 컴퍼니는 안티패 션의 윤리성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시간이 지날수록 좋 아지고, 수선해서 계속 쓸 수 있으며 물려줄 만한 제 품을 생산하는 것을 모토로 하고 있다(Forneret, 2015) (Fig. 4).

    안티패션의 윤리성은 이 사회의 구성체들 간, 그리 고 인간과 자연의 공존과 상생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올바른 사고와 방법을 통한 더 나은 삶 을 추구하고 있다.

    5)Inclusiveness

    1960년대 이후, 기존의 규범을 완전히 해체하고 탈 중심적이며 다원적 가치를 갖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준과 경계의 붕괴, 다양한 장르의 절충, 이질적인 것에 대한 수용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디지털 기술 의 혁신으로 스마트폰의 대중화, 사물인터넷의 상용 화는 사람들이 이전보다 더 많은 정보를 통해 다양한 문화와 사상, 가치들을 쉽고 편리하게 취하게 하고 있다. 주류의 문화가 존재함에도 비주류나 소수집단 의 이념, 인디문화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적 여 건이 조성된 것이다. Kinfolk에서 나타난 안티패션은 주류의 코드화된 패션 외에 존재하는 다른 패션의 공 존을 통해, 다양성이 인정되고 수용되는 포용성으로 나타난다. 기존의 스타일에 대한 기준과 구분이 허물 어지고 재인식과 재조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획득 하게 되면서, 안티패션의 다양한 출현은 하나의 스타 일로 나타나 이를 모두 포용하는 가치를 갖는다.

    패셔너블한 것에 대한 저항으로 일부러 평범하고 소박하게 입는 스타일인 놈코어(normcore)룩은 애써 치장하고 꾸미지 않더라도 지극히 평범한 것에서 미 적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는 것으로 안티패션의 포용 성의 예가 된다. 모든 경계를 허무는 개념(borderless)은 국가, 민족, 인종, 성(genderless), 시즌(seasonless), 나 이(ageless) 및 복종에까지 확대되었다. 서구 중심사회 에서 타자로서의 아시아, 아프리카의 문화와 패션이 지속적으로 서구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이 되었고, 북 유럽의 경우 특유의 라이프스타일과 소소하지만 실용 성을 추구하는 미학은 세계적으로 트렌드를 주도하기 도 하였다. 실제로 트렌드 이전에 민족 고유의 스타 일은 지속되어왔던 것이며, 이것을 독특하고 차별적 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패션은 이를 적용하여 빠르 게 흡수시킨 것이다.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를 맞이하고 인종, 페미니즘, 성소수자들의 평등과 권리는 크게 신장되어 독립적인 자아, 개별적 존재, 취향의 개념으로 보게 되었으나, 근절되지 않은 편견과 불평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 로 저항운동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더 이 상 과거와 같이 자신들의 욕구와 주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패션에 의지하지 않으며, 이미 모든 유형의 안 티패션은 패션을 통해 스타일화 되었고, 잠재되어 있 던 저항정신도 사라졌다. 오히려 이들은 대범하고 과 감하게 패션을 활용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자신들 의 정체성과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 있다. 패션은 젊 은 층을 위한 것이라는 것은 이제 시대착오적인 생각 이며, 연령에 상관없이 자신이 편하게 입고, 만족할 수 있는 개성과 독특함을 존중하여 그 자체를 하나의 스타일로 인정하는 것이다. 탈연령화를 추구하는 안티 패션은 연령대에 대한 저항이 없어야 하므로, 상대적 으로 캐주얼하고 베이직하며 실용적인 복식이 주를 이룬다.

    현대사회에서 대표적인 하위문화인 스트리트 패션 은 패션블로거와 이들을 사진으로 담아내는 사이트 가 대중의 폭발적 관심과 인기를 끌게 되면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뉴미디어의 발전으로 공유채널의 증가 는 스트리트 패션의 파급력을 확대시켰고, 패션은 이 를 신상품 소개와 마케팅 수단과 같은 상업적인 목적 에 사용하게 되었다. 하위문화는 미디어와 상업적인 이용을 통해 주류로 합병되고 저항성은 완화되는데 (Yim & Kim, 2003), 미디어와 상업적 의도가 개입되 면서 스트리트패션의 고유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개성 과 독특함을 표현하는 본래의 상징성을 상실하고, 주 류패션으로 전환되었다. 실제로 스트리트 패션은 그 저 포토그래퍼들에게 사진 찍히고 관심 받고 이를 통 해 인터넷 스타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로 가득하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패션비평가 Suzy Menkes는 ‘서 커스’라 비판하기도 하였다(Menkes, 2013). Kinfolk 에서 나타나는 하위문화는 보헤미안적 생활태도와 외향(Fig. 5), 그리고 하나의 패션의 취향이 된 타투이 다. 이러한 하위문화 요소들은 ‘현대적’ 방식의 자유 로움과 주류사회에서의 일탈로 인식될 수 있으며, 과 거와는 달리 단순한 취향과 스타일로 재현되는 것으 로 볼 수도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Kinfolk에 나타난 안티패션의 가 치를 Kinfolk 라이프스타일 유형과의 연계하여 도식 화한 표는 <Table 2>와 같다.

    Ⅳ.Conclusion

    현대사회의 인간은 사회문화적 요소의 과잉과 혼 재, 재해석과 같은 수많은 관점과 시각이 수용되고 적용되는 시대정신(zeitgeist) 속에 살아간다. 패션 역 시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전형적 관념에서 벗어나 타 문화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며 융합과 분화를 통해 변 화하고 있다. 특히, 패션에 대하여 표상적 의미보다 삶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태도와 생활방식이 중시되 면서 라이프스타일에서 패션의 경향을 알아볼 수 있 는 배경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성장, 발달, 혁신을 강조하는 주류사회에 저항함으로써, 삶의 본질과 가치를 찾기 위한 라이프 스타일을 통해 나타난 안티패션의 경향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안티패션이 라이프스타일에서 어떠한 경 향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매 거진 Kinfolk를 분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에 센셜리즘, 자연친화, 아날로그 감성, 사회윤리적 의식 확대, 다양성으로 나타났다. 에센셜리즘은 본질추구, 간결함, 전통기반의 혁신, 슬로우 라이프를 통합하는 개념이며, 자연친화는 자연, 인간, 동물과의 교감, 탈 산업화, 탈도시화, 노마드의 라이프스타일을 포괄한 다. 아날로그 감성은 노스탤지어, 빈티지, 핸드크래프 트로 나타났고, 사회윤리적 의식이 다방면으로 나타 났으며, 다양성은 평범함, 하위문화, 탈연령화, 탈성별 화, 타문화의 수용, 주변대상에 대한 재조명을 통합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나타난 안티패션의 경향 은 단순성, 자연성, 새로움에 대한 저항성, 윤리성, 포 용성으로 나타났다. 단순성은 불필요한 디테일을 제 거한 절제된 스타일로 본질에 집중하여 내재되어 있 는 의미과 가치를 중시하는 것이고, 자연성은 인위적 인 것을 대항하여 자연의 순수성을 특징으로 하며, 새로움에 대한 저항성은 패션의 변화와 새로움에 저 항하는 개념으로 옛 것과 현재 지닌 것에 더 큰 가치 를 두고, 중고의류, 수공예, 안티소비를 지향한다. 윤 리성은 기업과 소비자의 윤리와 환경에 대한 문제를 지적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도덕적․윤리적 결함에 대 항하는 것이며, 포용성은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다양한 장르의 기준이 붕괴되면서 주류와 비주류의 경계가 와해되어 모든 것이 인정되고 수용됨으로써, 안티패 션의 저항적 성격이 사라지고 그 자체로 스타일화되 어, 독립적이고 다양한 정체성과 취향을 포괄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하위문화를 중심으로 나타난 안티패션은 저항정신 완화되고, 독특한 시각적 특징이 주류패션의 영감으 로 작용한 것에 비하여, Kinfolk 매거진에서 나타난 안티패션은 성숙된 의식과 소신있는 의지를 통해 내 면의 본질과 가치 있는 삶을 자각함으로써 조화와 교 감과 같은 인간적 감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즉,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하여 주류에 대항 하는 안티패션은 잊혀지고 놓치고 있던 소중한 가치 를 회복하고자 하는 표현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안티패션은 패션에 종속되는 기존의 개 념을 역이용하여, 하나의 ‘스타일’로 주체성을 갖게 되고 패션과 가치를 상호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 되었다.

    안티패션으로 나타난 다양한 특징적 요소들이 스 타일화되고, 이러한 스타일의 과잉은 패션이 갖는 주 체적 입장과 영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패션보다 다 양한 스타일의 공존을 인정하는 현대사회의 흐름이 이 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패션이 갖는 단 하나의 지 침이 존재할 수 없고, 여러 가지 스타일링을 통한 다 양한 스타일만이 나타나는 것이다(Polhemus, 2013). 즉, 패션은 안티패션을 흡수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 시키는 동시에 많은 스타일을 양산시킴으로써 고정 된 트렌드나 주류의 영향력이 위축될 수 있는 것이며, 패션보다는 스타일의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가 가능한 것이다.

    안티패션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안티패션과 패션의 관계로 볼 때, 안티패션을 구성하 는 집단은 비주류이지만 언제든지 주류로 편입되어 트렌드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이 있기 때문에, 소수 집 단, 비주류와 같은 작은 가치에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안티패션은 지배적인 인식과 주 류문화 속에서 차별화를 통해 패션의 요소를 더욱 풍 부하게 하며, 안티패션의 스타일화에 대해 의미와 영 역을 계속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안티패 션의 스타일화의 과정과 패션의 주체적 정체성과의 상관관계와 더불어, 안티패션의 잠재성을 일으킬 수 있는 청년층이 주로 이용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나 패션 컨텐츠와 정보를 공유하는 웹사이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RJCC-25-629_f1.gif

    Simplicity

    From. Kinfolk. (2015b). cover page.

    RJCC-25-629_F2.gif

    Naturalism

    Left: From. Kinfolk. (2014b). p. 16.

    Right: From. Kinfolk. (2014c). p. 47.

    RJCC-25-629_F3.gif

    Resistance against novelty

    From. Kinfolk. (2015a). p. 32.

    RJCC-25-629_F4.gif

    Ethics: Smalltradingcomany

    From. Kinfolk. (2015c). p. 119.

    RJCC-25-629_F5.gif

    Inclusiveness: Bohemian Looking

    From. Kinfolk. (2014a). p. 92.

    Table

    Types of Kinfolk lifestyle

    Tendencies of anti-fashion in Kinfolk

    Reference

    1. Buxbaum G. Keum K.S. , Nam H.N. , Park H.S. , Heo J.S. (2011) Icon of fashion: 20th century., Misulmunhwa,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2.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English A. (2014) Hen and eggs. , Kinfolk, Vol.3 ; pp.56
    4. Finkelstein J. Kim D. W. , Kim Y. K. (2005) After a fashion, Chungnyunsa, (Origi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5. Forneret A. (2015) The essential endeavors. , Kinfolk, Vol.16 ; pp.118
    6. Fullerton A. (2015) The families we choose. , Kinfolk, Vol.17 ; pp.22
    7. Gentl & Hyers (2014) The apron recipe. , Kinfolk, Vol.5 ; pp.72
    8. Grahnat H. (2014) Coffee break, Fica. , Kinfolk, Vol.1 ; pp.57
    9. Han J. (2015) The essential endeavors. , Kinfolk, Vol.16 ; pp.110
    10. Hyun M-K. , Jang A-R. (2012) Ugly tattoo makeup depicted contemporary fashion.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Vol.36 ; pp.105-116
    11. Kaiser S.B. , Looysen R. Eicher J. B. , Maynard M. (2010) Berg encyclopedia of world dress and fashion Vol. 3: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Berg, ; pp.160-170a
    12. Kaiser S.B. , Looysen R. Eicher J.B. , Maynard M. (2010) Berg encyclopedia of world dress and fashion Vol. 10: Global Perspectives, Berg, b
    13. Kinfolk (2014) Kinfol, Vol.2 ; pp.92a
    14. Kinfolk (2014) Kinfol, Vol.3 ; pp.16b
    15. Kinfolk (2014) Kinfol, Vol.7 ; pp.47c
    16. Kinfolk (2015) Kinfol, Vol.13 ; pp.32a
    17. Kinfolk (2015) Kinfol, Vol.15b
    18. Kinfolk (2015) Kinfol, Vol.16 ; pp.119c
    19. King G.F. (2015) An interview with Carl HonorA(c). , Kinfolk, Vol.15 ; pp.54-55
    20. La Force (2013) http://nymag.com/shopping/features/indie-magazines-2013-11
    21. Lee B.W. (1997) 환경경영론 [Environmental management theory], Bibong publishing,
    22. Lockhart S. (2013) http://www.complex.com/style/2013/03/30-indie-magazines-you-need-to-know/thvm-rag
    23. Losowsky A. (2011) http://www.huffingtonpost.com/andrew-losowsky/11-amazing-indiemagazines_b_1127493.html
    24. Menkes S. (2013) The circus of fashion., http://www.nytimes.com/2013/02/10/t-magazine/the-circus-of-fashion.html
    25. Mettler L.G. (2014) The great indie magazine explosion: A survey., http://www.vogue.com/1856125/indie-magazine-independent-bookstore-explosion
    26. Muggleton D. (2000) Inside subculture: The postmodern meaning of style., Berg,
    27. Park E.K. (2008) Brand marketing strategy reflecting LOHAS trend.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8 (3) ; pp.23-39
    28. Park K.R. , Lee Y.H. (2013)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neo-naturalism in contemporary women ?(tm)s fashion. ,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1 (5) ; pp.613-628
    29. Park S-J. (2005) A study on make-up tendency of naturalism: Centering around the period since 1990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6 (1) ; pp.115-132
    30. Peters M.N. (2014) Nautical ink. , Kinfolk, Vol.12 ; pp.82
    31. Polhemus T. (2013) Style > fashion > style: The first 100,000 years of the decorated ape. ,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Spring Conference, ; pp.39-40
    32. Samsung Design Net (2014) http://www.samsungdesign.net/Fashion/Report/Content.asp?An=40049
    33. Simmel G. (1957) Fashion. , Am. J. Sociol., Vol.62 (6) ; pp.541-558
    34. Smith P. (2014) http://www.buzzfeed.com/patricksmith/wonderfulindependent-magazines-you-need-to-read-right-no#.glaLj3LqP
    35. Suh H.S. (2014) A study of the formative features and aesthetic values of eco fashion design.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14 (1) ; pp.69-84
    36. Svendsen L. Do S.Y. (2013) Fashion: A philosophy., MID,
    37. Textile Exchange n.d. http://textileexchange.org/tag/rds
    38. Whelan W. (2015) Making a pointe , Kinfolk., Vol.13 ; pp.74
    39. Whelan E. (2003)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Rutgers University Press,
    40. Yim E-H. , Kim M-J. (2003) A study on the subcultural style in the 1990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3 (3) ; pp.13-30
    41. Yoo H.S. (2012) Ethical fashion in the fashion industry: Focusing on the actualization of sustainable fashion.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12 (2) ; pp.39-57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