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4 No.4 pp.441-456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6.24.4.441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sing Chinese ink technique based on Chi-Yun-Sheng-Tung

Ji Young Kim†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 (coco7@cbnu.ac.kr)
June 14, 2016 July 05, 2016 July 11, 2016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the modern expression of oriental esthetics by analyzing the fashion design with the Chinese ink technique based on the concept of Chi-Yun-Sheng-Tung, which was regarded as the best rule of art creation in oriental history. This study was perform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books and advanced studies, and then, collection analysis was done with photos derived from fashion websites (seoulfashionweek.org, chinafashionweek.org, vogue.com, firstview. com) from 2010 S/S to 2016 S/S. A total of 317 fashion photos of designs created using the Chinese ink technique by Korean designers at Seoul Fashion Week and Chinese designers at China Fashion Week were analyzed. The contemporary fashions created with the Chinese ink technique were characterized by, first, the bold brush strokes and natural spreading effects of Chinese ink, second, the emphasis of empty space by taking essential elements, and third, the coexistence of deep Chinese ink colors with modern primary colors. The formativeness of the contemporary fashions created with Chinese ink technique based on Chi-Yun-Sheng-Tung were as follows: first, temperance, pursuing spiritual and minimal expression, second, empty space, making design elements interact and pursue harmony, third, changeable rhythm, symbolizing the growth and variation revealing the power of life, and fourth, vitality, represented in the rhythmical movement of the brush. This study was based on the oriental esthetics inherent in Chi-Yun-Sheng-Tung, and it attempted to analyze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aim was to show the possibility of modern applications to traditional values, and it can be a meaningful case in design planning based on culture.


기운생동(氣韻生動)의 개념을 통해 본 수묵 기법의 패션 디자인

김 지 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초록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Introduction

    한 집단의 문화에는 공동체의 예술적 역량이 결집 되어 있으며, 미적 감흥과 미의식이 녹아있다. 수묵화 는 붓의 필치와 먹의 농담으로 표현하는 그림으로, 화폭을 가득 채우는 서양의 회화에 비해 여백의 미가 중요하며, 힘 있는 필치에서 표현되는 선비 정신이 중시되는 동양회화의 양식이다(Lee, 2009). 물과 먹으 로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수묵은 동양적 정신에 근거 하며, 동양의 사상과 미학을 표현한다.

    특히 중국에서 예술을 감상하거나 제작하는데 있 어 중요한 가치로 본 ‘기운생동(氣韻生動)’은 글씨나 그림 등의 기품이나 정취가 생생하게 약동함을 뜻하 는 말로 회화의 작풍(作風)에서 최고 이상으로 삼았 던 개념이다. 기운생동은 하나의 사상적 배경에 국한 되어 있지 않고, 유가, 도가의 사상과 깊은 관련을 지 니며, 시공을 초월한 보편성을 지닌다(Kwon, 1997).

    최근 패션 컬렉션에서 동양의 수묵 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이 많이 발표되고 있다. 동양적 정신에 근거한 수묵 기법은 붓과 먹의 쓰임에 따라 표현의 다양성을 보이며, 정적인 표현에서 동적이며 다이내믹한 표현 까지 가능하다. 현대 패션에서는 전통적인 회화적 표 현방법 외에도 한 번의 필선으로 과감하게 선을 그리 거나, 먹을 뿌리고 흘려 우연히 번지는 효과에 의한 추상적인 표현도 자주 활용된다. 세계적인 디자이너 들도 동양 문화권에 대한 관심을 토대로 수묵 기법이 가미된 창의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동양예술사에 있어 예술창작의 최고의 준칙으로 여겨진 기운생동의 개념을 토대로 수묵 기 법의 패션 디자인을 분석하고, 그 조형성을 살펴봄으 로써 작품에 내재된 동양적 미학의 현대적 표현을 살 펴보는 것이다. 기운생동의 개념에 내포되어 있는 동 양미학을 탐구하고, 동양적 미의식을 토대로 현대 패 션디자인을 분석하는 작업은 전통적 가치관의 현대적 적용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문화를 기반으로 한 디자 인 기획 시 참고할 수 있는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포함한 관련 서적을 통하 여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로 컬렉션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2010 S/S부터 2016 S/S까지 패션컬렉션 전문사이트(seoulfashionweek.org, chinafashionweek.org, vogue.com, firstview.com)에서 사진자료를 수집하였 다. 서울패션위크에 참여한 한국 디자이너와 차이나 패션위크에서 참여한 중국계 디자이너가 발표한 수 묵기법의 작품 총 317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과 중국계 디자이너로 한정한 이유는 기운생동의 개념 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함에 있어 동양 문화권을 생 득적으로 경험한 디자이너의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선 별하기 위함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수묵 기법 의 종류와 특성 및 기운생동의 개념에 대해 고찰한 다음, 수묵기법의 패션디자인을 아이템, 색상, 소재, 수묵기법의 표현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론적 고찰에서 살펴 본 기운생동의 개념과 패션디자 인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기운생동의 표현을 선과 형태, 구도, 색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현대 수묵패션의 조형성을 고찰하였다.

    Ⅱ.Theoretical Background

    1.Concept of Chi-Yun-Sheng-Tung and oriental aesthetics

    기운생동이란 남제시대의 사혁(謝赫, 479~502)이 고 화품록(古畵品錄)에서 제시하여 회화 창작과 비평의 준칙이 된 육법(六法) 중 하나로, 주제가 명확하고 형상 이 생동하며 표현이 진실된 것을 의미한다(Jeon, 1996). 즉, 작품 속에 내재된 정신적인 혼이나 생명력, 멋스 러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이다(Table 1). 중국인 들은 우주에 동화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였는데, 기 운생동을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미적 이상을 구현하기 위한 예술적 규범으로 삼았다(Choi, 2015). 기운생동 을 각 단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氣)는 인간과 우주를 원초적 동질성으로 이어주 는 매체로 힘, 만물 생성의 근원 혹은 정신이 밖으로 표 현된 것으로 본다(Kwon, 1997). 오스발트 시렌(Osvald Sirèn)은 기운생동을 “생동적 정신의 공명과 생명의 운동”이라 정의하고, ‘예술가와 우주적인 힘을 결합 하면서 물질적 형식에 생명, 풍격(風格), 의미를 부여하 는 우주적, 정신적인 힘’이라고 하였다(Munro, 1965/ 2002). 영국의 미학자 헤롤드 오스본(Harold Osborne) 은 기가 동양의 모든 예술이론을 설명하는 핵심어라 하였다(Kim, 2003). 이처럼 기는 동양 예술을 이해하 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기는 만물의 에너지이자 정신의 표현이라 할 수 있는데, 예술적 측면에서 볼 때 우주자연의 생명력과 예술가 의 주체적 정신 역량이 하나된 것으로(Lee, S. Y., 2004), 작가의 상상력과 정신세계를 포괄하는 개념이 라 할 수 있다. 중국의 고전 <좌전(左傳)>과 <국어(國 語)>에서는 기를 통해 천지인의 생성과 변화 발전을 해석하여 기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였고, 도가 에서는 기를 천지인과 사물을 이루는 본질재료로, 유 가에서는 기를 사람의 마음과 본성을 닦고 기르는 것 으로 보았다(Rho, 2005).

    운(韻)은 소리의 울림과 관련이 있는데, 사혁은 운 을 자신의 가슴 속에서 우러나오는 것처럼 느껴지는 ‘화면에서 느껴지는 음향’으로 보았다. 운의 쓰임을 알아보면 ‘여운, 운치, 음운, 운율’ 등으로 사용되는 데, 이러한 표현은 자연과 인간, 모든 물리적인 것에 깃들어 있는 에너지와 정신의 리듬감이라 정리할 수 있다(Joo, 2013). 또한 운은 한 개인의 외형과 정신이 합일한 형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정신성의 측면에서 보면 기품을, 자연성의 측면에서는 자연의 섭리를 함 유하는 개념이다(Rho, 2005). Lee, S. Y.(2004)는 운 이란 자연법칙에 일치하는 생명현상으로서 정취미, 조화미, 우아미를 체현해야 한다고 하였다.

    기와 운을 합친 기운이란 어떤 본질적 요소에 잠재 되어 있는 울림, 운율이 담긴 생명성을 의미한다. 운 율 안에는 예술로서 작가에 내재되어 있는 관념, 상 상력을 표출하는 기운이 담겨 있다(Joo, 2013). 기운 생동론을 처음 제기한 사혁의 경우, 기운은 인물의 풍채와 품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상에 내재하는 것 으로 보았고, 그림은 객관적인 대상의 기운을 생동감 있게 그려내야 한다고 하였다(Han, 1995/2012). 그러 나 후대에 이르러 창작 주체에 내재하는 기운도 중시 되었는데, 송대의 곽약허(郭若虛)는 ‘도화견문지(圖畵 見聞志)’에서 “인품이 높으면 기운이 높지 않을 수 없 고, 기운이 높으면 생동이 이르지 않을 수 없다”면서 기운생동이 창작주체의 인품과 기운에 달려 있다고 하였다(Lee, 2011). 이후 기운 범주는 예술영역으로 확장되어 사용되면서‘예술의 수단으로 주조된 사물이 갖고 있는 생명력의 율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 다(Han, 1995/2012).

    생동(生動)은 ‘생기 있게 살아 움직임’을 뜻하며,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 듯한 힘이 있는 것을 말한다. 사혁이 말한 생동은 단순히 형상의 외형적 생생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내적 생명을 내포한다. 사혁은 생과 동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생동을 기 운의 표현양식으로 보았으며, 기운과 생동을 상호보 완의 관계로 보았다(Joo, 2013). 즉, 기운과 생동의 관 계는 기운이 생명의 본질임에 대하여 생동은 주체의 심미적 영향을 포괄하는 능동적 활동이며, 기운은 생 동의 주체로서 의미가 있다(Rho, 2005). 정리하면, 생 동은 생명의 생장, 변화, 발전을 포함하는 개념(Park, 2009)으로, 자연스러운 기운의 효과에 의해 나타나 며, 생명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이라 할 수 있다.

    기운생동의 개념은 인물의 인격적 아름다움을 표 현하고자 한 인물화뿐 아니라, 당대 말기 이후부터 산수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산수화의 영역까지 확 장되어 사용되면서(Rho, 2005) 동양의 미적 가치관을 잘 보여준다. 또한 심미 객체인 천지 만물의 활력을 의미하며, 동시에 심미 주체인 화가의 인품과 기질을 의미하기도 한다(Han, 1995/2012). 기운생동의 개념 은 중국 미학이 ‘쉬지 않고 생성하는(生生不息)’ 천지 자연의 도를 유기적으로 연관시키며, 우주 생명을 표현 하고자 한 동양의 미학을 반영한다(Han, 1995/2012).

    서양에서는 외계의 대상과 이에 대한 사고에 집중 하고, 내적 태도는 예술가의 개인적인 문제로 간주하 였다. 반면, 동양에서는 내면에 주의를 집중하며, 예 술가의 내적 태도나 심적 과정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 다(Munro, 1965/2002). 또한 서양에서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사생을 추구하고, 비례와 균형, 질서 등을 중요한 미적 원리로 생각하였다(Lee, 2011). 과 학적인 초점투시법인 원근법을 중시하며, 대상 속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미를 표현하기 위해 주객대립 의 이원론적 관점을 고수하였다. 반면, 동양에서는 주 객동일성 이념에 기반을 두고 생동하는 기운을 표현 하였다. 유동적 투시법에 따라 여러 시점에서 대상의 본질과 기운을 드러내었고(Lee, 2011), 자연의 조화를 관조하고, 수양을 통해 높은 정신적 경지에 도달하고 자 하였다. 동양의 회화에는 기운생동하는 우아함이 있으며, 역동적인 리듬과 필(筆)의 흔적, 묵과 색의 변 화가 있으며, 화면 속에서 대상물의 관계는 허와 실 의 균형적인 조화를 추구한다(Lee, 1989).

    2.Expressive techniques of Chinese ink painting

    수묵화의 기본 재료인 지(紙), 필(筆), 묵(墨)은 동 양적 사유방식을 표출하는 표현매체로 먹의 농담이 나 먹색, 종이의 흡수성, 운필의 효과 등에 따라 다양 한 표현이 가능하다. 종이는 모필의 유연성과 먹이 번지는 효과를 표현하며, 순간적인 붓의 힘이나 먹의 흔적까지 드러낸다. 붓은 조형의 표현도구로 선적인 미를 표현하며, 대상이 지닌 생명감을 불러일으킨다 (Cho, 2008). 특히 먹은 단순히 흑색을 칠하기 위한 안료가 아니라, 정신성을 표현하는 관념적 재료로 간 주되는데, 화선지에 그려지는 순간 사물의 묘사가 아 니라, 작가의 정신적인 기를 표현한다고 본다. 먹은 사상과 철학을 표현하며, 동양의 정신세계를 가장 잘 표현하는 매체라 할 수 있다(Cho, 2008).

    수묵의 표현기법은 크게 붓과 먹의 쓰임에 따른 필 묵법(筆墨法)이 있는데, 필묵은 예술형상의 창조와 깊은 연관이 있다. 필법은 선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상이 되는 형태와 구조를 표현하는 것이며, 묵법은 먹의 사용에 있어 농담의 정도와 흑백의 변화를 표현하는 것이다(Lee, 2009). 필묵은 동양 문화권에서 오랜 역 사적 발전과정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동양민족의 심 미적 습관과도 깊은 연계가 있다. 동양화론에서 필묵 은 단순히 조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입체 적 모양, 정신, 기백, 사의(寫意)를 표현할 수 있다(Zhen, 1982/1995). 모든 필이 긴밀하게 연계되고, 먹의 농담 이 생동하면 한 폭의 완벽한 작품이 된다.

    구체적으로 필법을 살펴보면, 붓에 물기를 빼고 소 량의 먹으로 그리는 필법을 건필(健筆) 혹은 갈필법 (渴筆法)이라 하는데, 붓질이 중첩되기 때문에 까슬까 슬한 느낌을 주며 황량하면서 담백한 분위기를 준다. 반대로 붓에 물기를 많이 배게 하여 먹 색깔이 윤기 가 나는 것을 윤필법(潤筆法)이라 하며, 먹이나 안료 에 물을 섞어 점진적인 농담변화가 보이도록 번지듯 칠하는 기법을 선염법(渲染法)이라 한다(Kim, 2012).

    한편, 묵법의 경우, 먹의 진하기와 흐림으로 입체 감을 표현하고, 수묵의 농담을 통해 수많은 색감을 표현할 수 있다. 처음의 먹이 채 마르기 전에 덧칠하 여 먹의 농담 차이를 여러 단계로 나타내는 파묵법 (破墨法), 마른 담묵 위에 차츰 짙은 먹으로 덧칠하여 먹이 층층이 겹친 중후한 느낌을 주는 적묵법(積墨 法), 먹을 쏟거나 뿌리면서 먹의 농담과 수분의 변화 에 따라 다양하게 번지는 자유분방한 효과를 내는 발 묵법(潑墨法) 등이 있다(Kim, 2012).

    수묵의 또 다른 표현기법으로는 대상을 표현하는 방식에 따른 묘법(描法)이 있다(Cho, 2008). 동양화에 서 구체적인 필선을 골(骨)이라고 하는데, 몰골법(沒 骨法)은 필선을 정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윤곽선을 그 리지 않고, 형태나 명암, 색채 등을 직접 그리는 것으 로 먹물이나 물감의 농담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반해 구륵법(鉤勒法)은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 을 색으로 칠하는 기법으로 선의 강약이나 굵기 등으 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Shin, 2009). 또한 색채나 음영을 가하지 않고 철저히 윤곽선만으로 대상을 그 리는 것을 백묘법(白描法)이라 한다(Table 2).

    Ⅲ.Analysis o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of Chinese ink technique

    1.Criteria of analysis

    수묵기법의 자료는 <Table 3>의 항목에 따라 분석 하였다. 수묵기법 디자인의 전체적인 경향을 살펴보 기 위해서 국적, 연도, 시즌, 브랜드를 살펴보았다. 디 자인 분석은 아이템, 실루엣, 컬러, 패턴, 수묵기법으 로 나누었고, 소재 종류는 사진 상으로 정확히 판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아이템은 수묵기법 이 적용된 아이템으로 크게 외투(재킷, 점퍼, 코트), 원피스, 상의(셔츠, 블라우스), 하의(팬츠, 스커트)와 상하의가 함께 사용된 경우를 복합으로 나누었다. 실 루엣은 Han and Kim(2014), Park, Lee, Yeom, Choi, and Park(2006)을 토대로 H, O, X, A 실루엣과 기타 로 구분하였다. 수묵기법의 표현은 소재의 패턴에 나 타나기 때문에 컬러를 크게 소재와 패턴으로 나누어 그 컬러를 살펴보았는데, Han and Kim(2014)을 토대 로 먼셀의 10색상환을 기준으로 하고, 화이트, 그레 이, 블랙의 무채색을 추가하였다. 패턴은 Han and Kim (2014), Park et al.(2006)을 토대로 모티프의 종류에 따라 사실, 양식, 기하, 추상 패턴과 여러 패턴이 복합 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복합으로 보았다. 패턴의 배 열은 Lee, I. S(2004)를 토대로 모티프 하나가 단독으 로 사용된 원 모티프(one-motif), 같은 무늬가 사방 연 속으로 배열된 올 오버형(all-over pattern), 한 방향으 로 배열된 원 웨이형(one-way pattern), 회화형으로 독자적 구성을 지니는 공간 배열(spaced pattern), 기 타로 나누었다. 수묵기법은 Kim(2012), Lee(2009), Shin(2009)의 연구를 토대로 필법은 갈필, 윤필, 선염 과 여러 필법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복합으로, 묵법 은 파묵, 적묵, 발묵과 여러 묵법이 함께 나타난 것을 복합으로, 묘법은 몰골, 구륵, 백묘와 여러 묘법이 함 께 나타나는 것을 복합으로 보았다.

    2.Analysis result

    1)Year and season

    수묵기법의 패션디자인은 2015년(39.4%), 2016년 (17%), 2014년(12.6%)으로 나타나 최근 컬렉션에 출 현빈도가 특히 높게 나타났으며, 매년 꾸준하게 등장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즌별로는 S/S 시즌(68.8%), F/W 시즌(31.2%)으로 S/S 시즌이 더 높게 나타났는 데, 이는 수묵기법이 주로 직물의 표면에 프린트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프린트 물이 많이 등장 하는 S/S 시즌의 출현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2)Brand

    브랜드의 국적은 한국 브랜드가 146점(46.1%), 중 국 브랜드가 171점(53.9%)으로 나타났다(Table 4). 한국 브랜드에서는 총 26개 브랜드에서 수묵기법의 디자인을 선보였는데, 최복호(12.9%), 이상봉(6%), 박춘무의 데무(3.2%), 송자인(3.2%) 등에서 수묵기법 의 디자인을 자주 선보였다. 최복호는 2014 F/W 시 즌에 과감한 붓터치감을 보이는 추상패턴의 수묵패 션을 선보였고, 2015 S/S 시즌에는 기하학적 패턴을 붓으로 그린 패턴의 믹스 앤 매치 시리즈를 보여주었 다. 이상봉은 2011 F/W 컬렉션에서 동양의 산수화 이미지를 번짐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중국 브랜드에서는 총 30개 브랜드에서 수묵기법 이 나타났는데, 그 중 Jason Wu(7.9%), Chantel Gong (4.7%), JIE.SI(4.1%)에서 자주 수묵기법의 디자인을 선보였다. Jason Wu는 선염법이나 몰골법, 갈필법 등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하여 기하학적 무늬나 꽃무늬, 과감한 붓터치 등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Chantel Gong 에서는 2016 S/S에 꽃, 풍경이나 추상적인 선 등 다 양한 모티프를 주제로 갈필, 윤필 등의 필법을 활용 하여 수묵패션을 선보였다.

    3)Item and silhouette

    수묵기법이 가장 많이 적용된 아이템은 원피스로 132점(41.6%)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원피스는 아이템 중 점유면적이 가장 커 넓은 공간에 수묵기법 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아이템으로 회화풍의 공간배 열 패턴의 비중이 높았다. 특히 중국 디자이너의 경 우, 원피스가 92점 나타나, 33점 나타난 한국보다 원 피스의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의 경 우 수묵 기법의 패션이 다양한 아이템에 골고루 나타난 반면, 중국은 드레스 위주의 스타일에 집중되었기 때문 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복합(31.2%)이 높게 나타났는 데, 주로 상의의 재킷이나 셔츠, 블라우스 등과 하의의 스커트나 팬츠 등에 같은 모티프가 중복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이 밖에 재킷, 점퍼, 코트 등의 외투 (12.3%), 팬츠, 스커트 등의 하의(8.2%)로 나타났다.

    실루엣은 어깨에서 밑단까지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H 라인(46.7%)과 여성스러운 느낌의 X 라인(25.9%), 자연스럽게 퍼지는 A 라인(16.7%)의 비중이 높게 나타 났다. 전체적으로 디테일이 절제된 단순한 스타일이 주 를 이루며, 몸을 따라 흐르는 자연스러운 실루엣이나 밑단에서 가벼운 여유분이 있는 실루엣이 많이 보였다.

    4)Color and pattern

    수묵기법이 사용된 소재의 컬러를 보면, 특히 색이 선명하게 발현되는 화이트(58%)의 비중이 가장 높았 고, 그레이(16.1%), 블랙(15.1%)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묵 기법이 적용된 패턴의 색상으로는 블랙(48.9%), 그레이(17.7%), 블루(13.2%), 화이트(10.7%) 컬러의 순 으로 나타나, 기본적인 먹 색상을 표현하는 블랙과 그 레이 계열의 비중이 높고 청량감을 주는 블루 계열도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전통 수묵 표현과 동일 하게 화이트 배경에 블랙, 그레이 컬러의 패턴이 보편 적이나, 패턴에서는 블루, 퍼플 등의 컬러도 나타났다. 원단 소재에서는 무채색을 제외하면 레드 컬러가 가 장 많았는데, 대부분 중국 브랜드에서 발표된 것으로 중국의 레드 컬러 선호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수묵 기법 패션의 패턴은 추상(53.3%), 사실(15.8%), 양식(14.8%) 패턴으로 나타나, 구체적인 형상이 없는 추상 패턴의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캘리그래피와 같 은 서체 추상의 형태나 붓의 터치감을 강조한 추상 패턴이 많이 나타났다. 사실 패턴은 풍경이나 식물, 동물 등 자연의 모습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경우가 많 았고, 양식 패턴의 경우 꽃과 식물을 단순화하여 표현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패턴의 배열은 공간배열(51.7%), 올 오버형(25.2%), 원 모티프형(13.9%), 원 웨이형 (8.5%)으로 나타났다. 공간배열은 풍경이나 꽃, 식물 등이 반복 없이 사생풍(寫生風)으로 표현된 경우가 많 았고, 올 오버형은 기하학적 패턴이나 작은 꽃, 잎 모 티프가 전체의 면적을 채우는 스타일로 전개되었다. 원 모티프형은 하나의 단위문 형태로 사이즈가 큰 꽃 이나 단일 모티프가 가슴부위나 밑단 부위 등 일부분 에 배치되고, 다른 부분은 여백으로 나타났다.

    5)Chinese ink technique

    붓의 쓰임은 윤필(38.8%), 갈필(33.1%), 선염(24.9%) 의 순으로 나타났다. 윤필법은 자연스럽게 번지는 꽃 잎이나 과감한 필선의 효과를 준 경우가 많았고, 갈 필법은 빠른 동세로 표현된 경우가 많았고, 추상패턴 이 대담하게 그려지거나, 면을 분할하며 넓은 면적에 사용되어 거친 표면효과를 강조한 경우도 보였다. 선 염법은 주로 그라데이션의 효과와 같이 은은하게 번 져 가는 먹의 흐름을 강조한 경우가 많았다.

    먹의 쓰임은 파묵(40.4%), 발묵(24.6%), 적묵(17.4%) 의 순으로 나타났다. 먹이 채 마르기 전에 덧칠하는 파 묵법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먹을 쏟 거나 뿌려 대담한 표현효과를 주는 발묵법이 나타났다. 적묵법은 꽃이나 풍경의 사실적 묘사에서 많이 나타났 고, 먹이 층층이 겹친 듯한 중후한 느낌으로 나타났다.

    묘사법은 몰골(52.7%), 백묘(16.7%), 복합(14.5%), 구륵(13.9%)의 순으로 나타났다. 물체의 윤곽선 없이 먹물의 농담을 이용하여 그리는 몰골법이 다양한 모 티프에서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선으로 외곽선 만 표현한 백묘법과 여러 묘사법이 한 화면에 같이 나타난 복합기법,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을 채워 넣 는 구륵법이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Table 5).

    Ⅳ.Contemporary fashion design using Chinese ink technique based on Chi-Yun-Sheng-Tung

    1.Expression of Chi-Yun-Sheng-Tung on fashion design of Chinese ink technique

    1)Line and form

    조형요소로서 선은 관람자의 흥미와 시선을 이끌 며, 선의 길이나 굵기, 연속성, 방향 등에 따라 전달하 는 이미지가 달라진다(Ryu, Kim, & Kan, 2006). 수묵 화는 일점일획(一點一劃)의 결합에 의해 성립되며, 그 예술성은 운필(運筆)의 방향, 속도, 압력 등에 의해 표 현된다(Jang, 2007). 기운생동의 이론에 의하면 대상 에 내재된 정신은 많은 경우 필선의 기세와 흐름에서 잘 드러난다.

    수묵기법의 패션 디자인에서 선은 디자인에 생기 와 에너지를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은 형 태를 구성하게 되는데, 단순하고 생략된 형태는 동적 인 느낌을 주며, 기운생동의 원리를 더 효과적으로 드러낸다(Joo, 2013). 물기가 없이 메마른 선은 태고 의 원시적인 힘을 상징하듯 거칠고 자유분방하게 표 현된 경우가 많고, 필선이 두껍고 거침없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대상의 필수 요소만으로 이루어진 생 략적 형태는 비의도적인 움직임으로 즉흥적이며 리 드미컬한 느낌을 주는 사례가 많다. <Fig. 1>은 빠른 필속으로 대담하게 그려진 필치가 다이나믹한 곡률 을 표현하여 기운찬 느낌을 주며, 디자인에 활력을 주 고 있다. <Fig. 2>의 스트라이프 패턴은 반복에 의한 운율의 효과와 함께 굵기의 강약과 자연스러운 번짐 효과로 인해 마치 벨벳 소재와 같은 은은한 광택감의 시각적 착시효과를 준다. 백묘법으로 도안화된 꽃이 표현된 <Fig. 3>은 러프한 스케치 느낌의 빠른 필치로 특징만을 살려 간략하게 표현되어 전체적인 디자인 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이처럼 선과 형태에 있어서 기운생동의 표현은 대 담한 선의 필치와 빠른 필속, 자연스러운 먹의 번짐 효과 등을 통해 나타나며, 시선을 이끄는 디자인의 강조점이 되면서 동시에 전체적인 디자인에 에너지 와 활력을 준다.

    2)Composition and space

    구도는 그림 요소들 간의 배치와 비율에 의해 결정 되며, 변화와 통일감이 있고, 요소들 간에 조화가 잘 이루어졌을 때 좋은 구도라 평가된다. 동양에서는 제 재의 취함(取)과 버림(舍)을 통하여 구도를 형성하고, 작가의 주관에 따른 생동감 있는 표현을 중요하게 여 긴다(Zhen, 1982/1995).

    의상 디자인에서 구도는 디자인 절개선이나 상하 의 비율, 소재의 패턴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 는데, 수묵기법이 주로 소재의 패턴에서 표현되기 때 문에 여기서는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기운 생동의 표현은 각각의 에너지가 담긴 선, 형태를 한 공간에서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 난다(Joo, 2013). <Fig. 4>는 간략하게 생략된 형태로 중첩하여 겹쳐지는 산등성이의 모습이 선염기법으로 아스라이 표현되었는데, 산 뒤로 또 다른 산이 연결 되면서 드러나지 않은 매우 큰 공간이 있음을 암시하 며, 자연스러운 운율감을 형성한다. 의상 디자인에 있 어 패턴이 놓이는 곳은 시선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데, 특히 <Fig. 5>와 같은 회화풍의 공간배열은 여백 과 함께 열린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더욱 능동적으 로 시선을 이끌며 생동감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움직 임에 의해 나타나는 공간은 보다 드라마틱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데, <Fig. 6>은 발묵법으로 자유롭게 흩 뿌려진 패턴이 펄럭이는 드레스 자락에 배치되어 자 유롭고 동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수묵 기법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기운생 동의 표현은 꼭 필요한 것만 취하는 동양화의 화 면 배치를 활용하거나, 공간배열에 의한 여백을 통 해 생동감을 주는 사례를 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디자이너의 주체적 정신 역량과 함께 에너지를 볼 수 있다.

    3)Color

    색은 언어의 음과 같이 인간이 느끼는 감각을 표현 하며, 정신적, 시각적 현상과 상호 작용하여 심리적 호소력을 전달한다(Kim, Y. J., 2009). 수묵화는 먹과 선으로 색을 추상화하여 우주의 본질을 드러내는 조 형이다. 수묵화에서 먹색은 삼원색을 모두 섞어 만들 어지는 검은색에 가까운 색으로(Choi, 2006), 먹의 단 계에 따른 농담변화가 중요한 표현방법이 된다.

    수묵기법의 현대패션에서는 다양한 단계의 먹색이 사용되었고, 먹의 농담변화에 따라 깊이 있는 표현을 강조한 사례가 많았다(Fig. 7). 흑백의 모노톤은 대상 의 본질을 드러내는 압축된 컬러로 현대적 개념에서 가장 미니멀하고 세련된 색으로 여겨지는데, 농담변 화에 따른 그라데이션은 자연스러우면서 리드미컬한 운율을 형성한다. 반면, 현대패션에서는 먹색뿐 아니 라, 강한 느낌의 원색도 종종 등장하는데, <Fig. 8, 9> 는 빨강, 노랑, 파랑 등의 삼원색과 흑백의 대비가 선 명한 인상을 주며 강렬한 원색이 필선과 먹의 번짐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이처럼 현대패션에 나타난 기운생동의 표현은 심 오한 먹색으로 수묵의 전통적인 미의식과 동양적 내 재미를 추구하거나 혹은 현대적인 감각으로 선명한 원색을 활용하여 강렬한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표현 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2.Formativeness of contemporary fashion with Chinese ink technique based on Chi-Yun-Sheng-Tung

    1)Restrained expression

    동양의 수묵화에서는 본질을 드러내기 위해 필요 없는 것을 제거하고, 필요한 것들을 가능한 압축하여 (Choi, 2006) ‘절제된 표현성’을 보인다. 즉, 형상에 대한 기억을 토대로 작가가 취사선택하며, 정신이 깃 들어 있는 부분은 특별히 공들여 표현하고 나머지 배 경은 생략한다(Zhen, 1982/1995). 전통적인 동양화론 의 “모양을 버리고 그 정신을 취한다”는 유모취신(遺 貌取神)의 정신은 우주의 생명력과 예술가의 정신이 하나가 됨을 의미하는 기운생동을 실현하는 중요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현대 수묵패션에서도 먹의 부드러운 번짐효과를 활 용하여 절제된 이미지를 표현한 사례가 많았다. <Fig. 10>은 부드럽게 번지는 먹빛이 은은한 색채효과를 주 며 유연한 소재감과 함께 어울려 조화를 이루는데, 자연스러운 먹색의 변화는 안정적인 조화를 추구하 는 운(韻)의 개념과 상통한다. <Fig. 11>은 재킷의 단 부분에 먹물이 흩뿌려진 듯한 발묵 표현으로 자유분 방한 에너지를 보여준다. 이상봉의 작품 <Fig. 12>는 산봉우리의 모습을 선염기법으로 단순화하여 절제된 표현을 보였는데, 반복된 형상이 에너지와 정신의 리 듬감을 표현하며, 기운생동의 미학과 일맥상통함을 보 여준다.

    이처럼 단아하면서 절제된 표현은 사물의 본질과 이에 내재된 정신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현대 패션에 서 자주 선보이는 미니멀 패션 경향과도 맥을 같이 하 는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절제된 표현 속에는 디자이 너가 추구하는 상상력과 농축된 에너지가 함유되어 있어 기운생동의 개념을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2)Extensity of space

    대부분의 회화작품에는 비워진 면과 채워진 면이 있다. 꽉 찬 화면은 답답하고 불편한 감정을 주지만, 여백이 생기면 숨통이 트이게 되고, 화면에 생동감이 살아난다. 여백은 시각적인 집중을 유도하여 제재의 내용을 더욱 잘 드러내며, 그림 속의 중요한 형상을 두드러지게 한다(Wang, 1981/2011). 이를 통해 화면 에 대한 완전한 서술을 피하고, 공간의 세계를 무한 함 속에 있게 한다(Cho, 2008).

    현대 수묵패션에서는 회화풍 구도의 공간 배열에 서 나타나는 기(氣)의 흐름이 공간개념을 열어주며, ‘여백의 공간성’은 기운생동에 의해 확장된 세계관을 반영한다. 기운생동의 개념에서 볼 때, 기는 우주 공 간에 가득 차 있으므로 여백은 비어 있는 것이 아니 라 기로 충만한 공간이다(Choi, 2015). <Fig. 13>은 드 레스 하단의 꽃 한송이 위로 넓게 펼쳐진 흰색의 여 백이 생명의 기운을 강조하며, 풍성한 볼륨감을 드러 내는 역할을 한다. <Fig. 14>의 셔츠에 그려진 풍경화 에서 한쪽 몸판의 빈 여백은 평면의 화면을 공간으로 전이시키며, 시각적인 무게와 균형을 이루게 하여 에 너지와 정신의 리듬감을 전달하며, ‘운’의 개념을 표 현한다. <Fig. 15>는 치파오 형태의 드레스에 밑단과 허리 부분에만 유기적인 곡선 형태의 모티프가 배치 되어 있는데, 상체부분 곡선의 장식선과 조화를 이루 며, 흑백의 대조적인 컬러배색을 통해 음양의 조화를 표현한다.

    현대 수묵패션에서 여백은 보는 이에게 더욱 넓은 상상의 여지를 남겨주며, 강조점을 부각시키는 역할 을 한다. 이처럼 여백의 공간은 실체는 없으나, 모든 조형요소들을 서로 소통시켜 주어 조화로운 아름다 움을 추구하는 기운생동의 개념을 잘 나타낸다.

    3)Inhomogeneous rhythm

    수묵화의 주된 표현 요소인 선은 그림의 가장 중요 한 내용이 된다. 수묵의 선은 작가의 기운과 표현의 지에 따라 굵기와 먹의 농담 등이 변화되며, ‘비균질 의 운율성’을 갖게 된다. Zhen(1982/1995)은 모든 필 이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고, 수묵의 농담 역시 자연 스럽게 생동하면 한 폭의 완전한 작품을 이룰 수 있 다고 하였다. 작가의 기운에 따라 필선에는 율동과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변화가 있는 선은 생동감을 전달하며 기운생동을 표현한다.

    현대 수묵패션에서도 마찬가지로 비균질의 운율성 을 지니는 필선의 활용이 나타난다. <Fig. 16>은 선의 굵기가 일률적이지 않은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자연 스러운 변화와 운율감을 보여준다. 또한 패턴의 전개 에서도 규칙적인 듯 보이나, 실제로는 규칙적이지 않 은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렇듯 반복되지만 변화가 있는 패턴은 자연스러운 비균질의 운율성을 보여준 다. <Fig. 17>은 꽃의 모양과 배열이 일정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며, <Fig. 18>도 선염기법의 굵은 선 아래 비균질적인 수묵기법의 패턴을 배치하여 자연스러운 변화를 보여준다.

    이처럼 수묵패션에서 나타나는 필선의 변화와 비 슷한 듯하지만 변화가 있는 패턴에서 나타나는 ‘비균 질의 운율성’은 인위성을 배제한 자연스러움을 강조 한다. 기운생동의 개념은 반복에 의한 리듬감과 함께 비균질의 운율성에 내재된 변화적 요소에 의해 생장, 변화를 포함하는 생명의 힘을 상징한다.

    4)Liveliness of brush-line

    동양화에서 선의 속도와 필압은 기운을 담는 요소 로 선의 속도가 빠르면 힘차고 경쾌하며 강직한 느낌 을 준다.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차분함을 주나, 단조 로운 느낌을 줄 수 있다(Kim, D. Y., 2009). 필선이 마치 생명력이 있는 듯 살아 움직일 때 기운생동이 넘친다고 평가된다.

    현대 수묵패션에서도 살아 움직이듯 강한 획으로 표현된 ‘필선의 생명성’을 볼 수 있는데, 과감한 붓터 치로 현대적인 추상무늬를 형성한 사례가 많다. <Fig. 19>는 빠르고 강한 붓놀림으로 거침없이 그려진 추상 무늬가 역동적인 느낌을 주며 강렬한 시각효과를 준 다. <Fig. 20>은 필선의 흔적을 확대한 느낌으로 전면 에 배치하여 막 움직임을 시작한 필선의 응축된 에너 지를 보여주며, <Fig. 21>은 빠른 붓놀림과 거칠게 먹 을 쏟은 듯한 패턴으로 강한 에너지와 생명력을 상징 한다.

    현대 수묵패션에서 필선의 생명성은 주로 필압에 의해 나타나는 선의 굵기 변화와 과감한 터치감이 특 징적이다. 특히 리드미컬한 움직임을 보이는 필선은 생동하는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보여주어 기운생동의 개념 중 특히 생기 있게 살아 움직임을 의미하는 생 동의 개념을 잘 나타낸다.

    지금까지 살펴본 기운생동의 개념을 토대로 수묵 기법 패션의 특징과 조형성의 내용을 정리하면 <Fig. 22>와 같다. 기운생동의 개념은 대담한 선과 빠른 필 속, 먹의 자연스러운 번짐과 여백의 공간성, 심오한 먹색과 현대적인 원색 등으로 표현되었는데, 특히 ‘기’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으로 디자인의 모든 요소 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수묵 기법 패션의 조형성 에 있어 절제된 표현성은 주로 선과 형태, 심오한 먹 색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났고, 여백의 공간성과 비균 질의 운율성은 구조와 공간에서, 필선의 생명성은 과 감한 선의 표현에서 주로 나타났다.

    Ⅴ.Conclusion

    사혁이 제시한 기운생동은 그림의 기품이나 정취 가 생생하게 약동함을 뜻하는 개념으로 동양화의 예 술창작과 감상에 있어 최고의 준칙으로 여겨져 왔다. 기운생동의 개념은 인물화뿐 아니라, 다양한 회화 영 역으로 확장되어 사용되면서 심미 객체인 천지 만물 의 활력과 동시에 심미 주체인 화가의 기질을 의미하 며, 우주, 자연의 생명력과 자연의 섭리, 생장과 변화 를 중시한 동양적 미의식을 토대로 한다.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패션위크와 차이나패 션위크에 발표된 한국과 중국 디자이너의 수묵 작품 총 317점을 대상으로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최근 3 년간 특히 출현빈도가 높았고, S/S 시즌에 더 많이 나 타났다. 수묵패션은 점유면적이 큰 원피스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이어 복합, 외투, 하의 순으로 나타났 으며, 실루엣은 H, X, A 순을 보였다. 전통 수묵 표현 과 동일하게 화이트 배경에 블랙, 그레이 컬러 패턴 이 가장 많았고, 패턴에서는 블루, 퍼플 등의 컬러가, 소재에서는 레드 컬러가 사용되었다. 수묵기법에서 필 법은 윤필, 갈필, 선염 순으로, 묵법은 파묵, 발묵, 적묵 순으로, 묘법은 몰골, 백묘, 복합, 구륵 순을 보였다.

    기운생동의 개념에서 본 수묵 기법 패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과 형태에 있어서는 대담한 선 의 필치와 자연스러운 번짐효과, 빠른 필속 등을 통 해 디자인의 강조점을 연출하며, 둘째, 구도와 공간의 측면에서는 꼭 필요한 것만 취하고 여백을 강조한 표 현으로 시선을 유도하며 변화와 생동감을 표현하였 다. 셋째, 색상은 심오한 먹색과 함께 현대적 감각의 원색이 함께 나타나 먹의 번짐 효과를 강조하며 강한 시각적 대비효과를 주었다.

    기운생동의 개념으로 본 수묵 기법 패션의 조형성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된 정신성을 반영한 ‘절제 된 표현성’은 먹의 부드러운 번짐 효과나 간략하게 생략된 모티프로 표현되어 미니멀 패션 경향과 맥을 같이하며, 디자이너의 상상력과 농축된 에너지를 표 현한다. 둘째, ‘여백의 공간성’은 회화형 공간 배열의 디자인에서 나타나며, 조형요소들을 소통시켜 조화로 운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셋째, ‘비균질의 운율성’은 균일하지 않은 선의 사용이나 패턴 전개에서 나타나 며, 반복에 의한 리듬감과 변화적 요소가 특징적이다. 넷째, ‘필선의 생명성’은 리드미컬한 필선의 움직임에 서 나타나며, 과감한 추상 모티프로 표현되어 강한 에너지를 표출하며 생동의 개념을 드러낸다.

    동양예술을 포괄하는 미학적 명제로 여겨지는 기운 생동의 개념을 통하여 동양 예술장르의 본질과 미학 을 이해하고, 현대 수묵패션 디자인을 해석하는 데 적 용해 보았다. 수묵기법의 표현은 현대화된 추상표현 이나 다양한 패턴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동양 미학을 토대로 한 기운생동의 개념은 현대 패션디자 인이 추구하는 창조성과 의미작용의 개방적인 특성으 로 인해 과거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현존하면서 디자 인의 훌륭한 영감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RJCC-24-441_F1.gif

    Chantel Gong 2016 SS.

    From. China Fashion Week. (2015b).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

    RJCC-24-441_F2.gif

    Canezou 2015 FW.

    From. Seoul Fashion Week. (n.d.a).

    http://www.seoulfashionweek.org

    RJCC-24-441_F3.gif

    Tibaeg 2015 SS. From. Seoul

    Fashion Week. (n.d.d).

    http://www.seoulfashionweek.org

    RJCC-24-441_F4.gif

    Lie Sangbong 2011 FW.

    From. Vogue Korea. (2011a).

    http://runway.vogue.co.kr

    RJCC-24-441_F5.gif

    Tibaeg 2015 SS. From.

    Seoul Fashion Week. (n.d.c).

    http://www.seoulfashionweek.org

    RJCC-24-441_F6.gif

    Liu Wei 2012 SS.

    From. China Fashion Week. (2012d).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

    RJCC-24-441_F7.gif

    Shi Jie 2012 SS.

    From. China Fashion Week. (2012a).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

    RJCC-24-441_F8.gif

    Yohanix 2015 SS.

    From. Seoul Fashion Week. (n.d.e).

    http://www.seoulfashionweek.org

    RJCC-24-441_F9.gif

    Demoo 2012 SS.

    From. Vogue Korea. (2011b).

    http://runway.vogue.co.kr

    RJCC-24-441_F10.gif

    Shi Jie 2014 SS.

    From. China Fashion Week. (2013).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

    RJCC-24-441_F11.gif

    Jason Wu 2010 FW.

    From. Vogue. (2010).

    http://www.vogue.com

    RJCC-24-441_F12.gif

    Lie Sangbong 2010 SS.

    From. SDN. (n.d.a).

    http://www.samgsungdesign.net

    RJCC-24-441_F13.gif

    Chuyan 2012 SS.

    From. China Fashion Week. (2012b).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

    RJCC-24-441_F14.gif

    Chen wen 2012 SS.

    From. China Fashion Week. (2012c).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

    RJCC-24-441_F15.gif

    Chantel Gong 2016 SS.

    From. China Fashion Week. (2015b).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

    RJCC-24-441_F16.gif

    Choi Boko 2015 SS.

    From. Vogue Korea. (2014).

    http://runway.vogue.co.kr

    RJCC-24-441_F17.gif

    Jason Wu 2010 FW.

    From. Vogue. (2010).

    http://www.vogue.com

    RJCC-24-441_F18.gif

    Lie Sangbong 2011 FW.

    From. SDN. (n.d.b).

    http://www.samgsungdesign.net

    RJCC-24-441_F19.gif

    Choi Boko 2015 SS.

    From. Vogue Korea. (2014).

    http://runway.vogue.co.kr

    RJCC-24-441_F20.gif

    Soulpot Studio 2016 SS.

    From. Seoul Fashion Week. (n.d.b).

    http://www.seoulfashionweek.org

    RJCC-24-441_F21.gif

    Defan.M 2016 SS.

    From. China Fashion Week. (2015a).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

    RJCC-24-441_F22.gif

    Fashion design using Chinese ink techniques in view of Chi-Yun-Sheng-Tung

    Table

    Concept of Chi-Yun-Sheng-Tung

    Examples of Chinese ink techniques

    Classification for fashion design analysis

    Analyzed brands (n)

    Design analysis of fashion design using Chinese ink technique n(%)

    Reference

    1. China Fashion Week (2012a) Asahi Kasei China Fashion Designer Award Shi Jie Collection , Retrieved May 12, 2016, from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tpxz_en/2012xz_en/zcfb_en/201202/t20120229_902799.html
    2. China Fashion Week (2012b) CHUYAN S/S 2012 , Retrieved May 26, 2016, from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tpxz_en/2012xz_en/zcfb_en/201202/t20120229_902772.html
    3. China Fashion Week (2012c) SAN DAVID Chen Wen Men’s S/S 2012 , Retrieved May 1, 2016, from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tpxz_en/2012xz_en/zcfb_en/201202/t20120229_902814.html
    4. China Fashion Week (2012d) Toray Liu Wei Collection 2012 , Retrieved May 12, 2016, from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tpxz_en/2012xz_en/zcfb_en/201202/t20120229_902760.html
    5. China Fashion Week (2013) JIE.SI Shi Jie Collection , Retrieved April 12, 2016, from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tpxz_en/2014xz_en/xz1_en/201310/t20131030_1634259.html
    6. China Fashion Week (2015a) Defan.M , Retrieved May 1, 2016, from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tpxz_en/2016/FashionShows/201510/t20151026_2039005.html
    7. China Fashion Week (2015b) Chantel Gong Gong Hangyu , Retrieved April 12, 2016, from http://english.chinafashionweek.org/tpxz_en/2016/FashionShows/201510/t20151031_2043172.html
    8. Cho E-A (2008) A study of fashion design using Indian ink techniqu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9. Choi K J (2015) 한국의 미학 : 서양 , 중국 , 일본 과의 다름을 논하다 [Korean Aesthetics], Misulmunhwa,
    10. Choi K W (2006)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Good Design [The key to make everything look better, good design], Gilbut,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11. Han L D Lee C H (2012) 한권으로 읽는 동양미학: 깊은 뜻은 형상 너머에 있다 [A book of eastern aesthetics], Ehak Publishing Co., Ltd,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12. Han S J , Kim Y Y (2014) 패션디자인 [Fashion design], Gyohakyeongusa,
    13. Jang J C (2007) A study on “Spiritual vitality” of abstract image with li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14. Jeon M O (1996) 사혁의 서육법 기운 생동의 해석 [Shu Liu Fa of He Xie: Interpretation of Chi-Yun-Sheng-Tung] , Moonhakchoonchoo, Vol.17 ; pp.110-122
    15. Joo M K (2013)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research that using the principle of ‘Qiyun shengdong’ on the oriental painting: Centered on the Aesop's f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6. Kim D-Y (2009) A Study on hangeul calligraphy representation analysis from viewpoint of ‘energy and vivid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17. Kim I H (2003) 동양예술이론: 「예술성의 氣」의 관 점에서 본 [Oriental art theory in view of artistic value of Chi], Ahn graphics ltd,
    18. Kim T-Y (2012) A study of fashion art adapting brushwork of oriental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19. Kim Y J (2009) 한국복식미탐구 [Study on aesthetics of Korean costume], Kyungchunsa,
    20. Kwon S H (1997) A Study on the spirit of art in “Qi Yun Sheng Dong” , Journal of Chinese Literature, Vol.15 (1) ; pp.287-324
    21. Lee C H (2011) 중국 화론에 나타난 동양미학 사 상 연구: 神과 氣韻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astern esthetic thoughts appeared in the picture theory of China: Focused on Shin and Qi Yun]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Vol.55 ; pp.215-241
    22. Lee I-S (2004) A study on the sensible expression of flowers in textile design: Focused on flower coll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3. Lee J S (1989) A study on the eastern thoughts of Chi and the theory of elegance in art and litera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24. Lee S Y (2004) A study on modernistic analysis about ‘Kioon’: Centered on the visual of ‘Kio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25. Lee W-R (2009) Study for animation in India ink related to a painting in India ink and culture of publ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26. Munro T Baek K S (2002) 동양미학: 동서 비교미학의 서설적 탐구 [Oriental aesthetics], Youlhwadang Publisher, (Original work published 1965)
    27. Park H W , Lee M S , Yeom H J , Choi K H , Park S J (2006) Contemporary fashion design, Gyomoonsa,
    28. Park J H (2009) 예술적 가치실현으로써의 氣韻論 硏究: 謝赫의 ‘氣韻生動’을 중심으로 [A study on arts throughout the aesthetic universality: centered on Hsieh ho's concept of ‘Qi yun sheng do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9. Rho H C (2005) A study as Ch'i-Yun-Sheug-Tung and spirit of a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30. Ryu S O , Kim K S , Kan H S (2006) 패션디 자인 [Fashion design], Soohaksa,
    31. SDN. (n.d.a)Paris-2010 S/S Lie Sang Bong , Retrieved May 1,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tion/ForWomen/DesignerListImage.asp?DSexChk=1&an=31&ItemIdx=208&Item=Paris&year1=2010&season=ss&Designeridx=4474&Designer=Lie+Sang+Bong&AllSeasonChk=T
    32. SDN. (n.d.b)Paris-2011 F/W Lie Sang Bong , Retrieved May 2,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tion/ForWomen/rDesignerListImage.asp?an=41&ItemIdx=259&Item=Paris&year1=2011&season=fw&Designeridx=6910&Designer=&rYear=2011&rSeason=fw&rItem=&rSex=&rDesigner=Lie+Sang+Bong
    33. Seo J S (2006) 水墨畫 [Ink paintings], Hyungseul,
    34. Seoul Fashion Week. (n.d.a)Canezou 2015 FW , Retrieved May 2, 2016, from http://www.seoulfashionweek.org/designer/2015_FW/CANEZOU
    35. Seoul Fashion Week. (n.d.b)Soulpot Studio 2016 SS , Retrieved April 12, 2016, from http://www.seoulfashionweek.org/designer/2016_SS/SOULPOT_STUDIO
    36. Seoul Fashion Week. (n.d.c)ti:baeg 2015 FW , Retrieved May 26, 2016, from http://www.seoulfashionweek.org/designer/2015_FW/ti:baeg
    37. Seoul Fashion Week. (n.d.d)ti:baeg 2015 SS. , Retrieved May 12, 2016, from http://www.seoulfashionweek.org/designer/2015_SS/ti:baeg
    38. Seoul Fashion Week. (n.d.e)Yohanix 2015 SS , Retrieved May 1, 2016, from http://www.seoulfashionweek.org/designer/2015_SS/YOHANIX
    39. Shin S Y (2009) A study on the formative specialty of Shui-mook as the visual expression in advertisi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Vol.13 ; pp.107-116
    40. Vogue (2010) Fall 2010 Ready-to-Wear Jason Wu , Retrieved May 2, 2016,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0-ready-to-wear/jason-wu#collection
    41. Vogue Korea (2011a) Fall/Winter 2011 Seoul Fashion Week LIE SANGBONG , Retrieved May 1, 2016, from http://runway.vogue.co.kr/2011/04/04/seoul-collection-2011-fw-lie-sangbong/#0
    42. Vogue Korea (2011b) Spring/Summer 2012 Seoul Fashion Week DEMOO PARKCHOON MOO , Retrieved April 12, 2016, from http://runway.vogue.co.kr/2011/10/21/seoul-collection-2012-ss-demoo-parkchoonmoo/#0
    43. Vogue Korea (2014) Spring/Summer 2015 Seoul Fashion Week CHOIBOKO , Retrieved May 2, 2016, from http://runway.vogue.co.kr/2014/10/20/seoul-collection-2015-ss-choiboko/#0
    44. Wang B M Kang K S (2011) 동양화 구도론 [Composition theory of Eastern pictures], Miji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1)
    45. Zhen Z F Kim S C (1995) 동양화의 이해 [Understanding of Eastern paintings], Sikakkwaeoneo, (Original work published 1982)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