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ntroduction
최근 소폭 성장하는 의류시장(2013년 29조 4,000 억 원, 2%)과 달리 가방시장이 2011년 1조 4,996억 원 실적에서 2012년 45.6%(2조 1,829억 원), 2013년 9.4%(2조 3,887억 원)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에 따라(Korea Fashion Association, 2013) 가방산업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방의 기원은 고대 시대 이전부터 사람들이 쓰던 사냥자루나 들고 다 니던 휴대용 주머니에서 출발된다(Korea Environment Merchandise Testing Institute, 2005). 가방의 기원이 라 볼 수 있는 주머니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한국 전통 주머니에 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연구 에 포함된 대부분의 주머니들은 두루 주머니, 귀주 머니, 약낭, 향낭 등으로, 사각형 주머니의 한 유형 인 버선본 주머니를 분석에 포함한 연구는 많지 않 다. 특히, 일부 연구들에 포함된 버선본 주머니 숫자 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고 버선본 주머니를 연구의 대상으로 고려하였다.
버선본 주머니는 가족의 버선본을 보관하기 위해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주머니의 한 유형이란 측면에서 버선본 주머니로 지 칭되기도 하지만(예: Lee, 2000; Lee & Hong, 2001) 휴대 기능 보다 보관 기능이 강조되어 버선본집 (Beoseonbongip)으로 불리기도 한다(예: Eom & Pyo, 2003;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04). 본 연구에서는 두 용어를 동일한 의미로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대다수의 버선본집들은 어른 손 바닥 정도의 크기(6~15센티미터)지만, 이것보다 크 고 작은 것들도 있으며, 홍색, 황색, 갈색, 청색, 녹 색, 자색 등과 같이 색상이 다양할 뿐 아니라, 각 색 상 내 색조 또한 다양하다(Hong & Kim, 2013). 특 히, 버선본집 앞면에 있는 삼각형 4귀의 가변적 구 조는 다른 유형의 전통주머니들과는 다른 독창적 특 성이다(Hong & Kim, 2013). 그리고 버선본집의 또 다른 중요한 심미적 특성은 자수문양이다.
한국의 전통자수문양에 관한 연구들 대부분은 자 수문양의 형태, 색채, 상징, 미적 특성을 분석하거나 (Lee & Choy, 2007; Lee & Kim, 2007; Rhee, 2002; Yun & Ha, 2006), 자수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 자인(Eom, 2004; Nam, 2012) 및 패션상품 개발(Lee, 2011)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분석된 자수문양들 대 부분은 생활용품이나 규방공예품(Eom & Pyo, 2003; Kwon & Jang, 2009), 어린이 복식(Kim & Lee, 2006), 활옷(Lee & Kim, 2007)에 활용된 문양들이어서 버 선본 주머니의 자수문양에 대한 지식은 별로 축적된 것이 없다. 예컨대, 한국자수문양의 종류(Eom & Pyo, 2003)와 배색특성(Yun & Ha, 2006)에 관한 기존 연 구들은 소수(10개 내외)의 버선본집만 분석하였거 나, 분석대상의 숫자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서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 존 연구들에서 간과된 다른 버선본집들을 충분히 확보하여 자수문양의 특성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한국전통자수문양은 심미성과 함께 상징성 이 고려되어 사용된다. 즉, 문양의 상징성을 고려하 며 수를 놓기 때문에 용품의 사용자나 사용 용도가 다르면 서로 다른 문양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실 제로 어린이용 버선, 주머니, 토시, 단추, 신발, 댕기 에서는 동물문양과 문자문양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 로 보고되었다(Kim & Lee, 2006). 이러한 연구결과 에 근거할 때, 규방공예품 전체에 대한 포괄적 연구 이외에 각 개별 용품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버선본집에 활용된 자수문양의 종류, 복 합화 유형, 표현양식, 배치방식에 대해 분석함으로 써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상징성과 조형성에 대해 규명하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표현되는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조형미에 대해 탐구한다. 이것은 소수의 버선본집을 분석한 기존 연구들에서 간과된 자수문 양 정보를 새롭게 발견하고, 버선본집은 물론 전통 규방공예품에 대한 기존 지식을 보강/확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 과 달리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여 버선본집 자수문 양에서 주류를 이루는 대표적 문양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한편 부수적으로 활용되었지만 자수문양 에 변화를 부여하여 버선본집의 다양화를 이끄는 문양이 무엇인지를 밝힌다. 이것은 기업이 자수문양 의 산업적 활용을 위해 대표 콘텐츠들을 선정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I.Background
1.The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patterns
한국전통자수문양의 종류는 기관이나 학자들마다 약간씩 다르게 분류되고 있다. 박물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유물분류안의 경우, 모든 종류의 문양을 통 틀어 동물문양, 식물문양, 자연문양, 물상문양, 기하 학적 문양, 문자문양, 인물문양으로 분류하고 있다 (Eom, 2004). Rhee(2002)는 실증적 자료 수집을 통해 한국전통 자수문양들을 크게 6개 유형(동물, 식물, 자 연, 인물, 기하, 문자 문양)으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 에는 박물관 표준유물분류안에 포함된 물상문양이 빠져 있으며, 조류(鳥類), 수류(獸類), 충류(蟲類), 어 류(魚類) 모두가 동물 문양으로 분류되었다. 반면, 다 른 연구자(Lee & Choy, 2007)는 물고기문양을 동물 문양과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동물과 식물 문양을 실제의 동식물과 상상의 동식물 문양으로 구분하는가 하면(Lee & Choy, 2007), 물상 문양을 기하학적 문양과 통합하여 제시하기도 하였 다(Eom & Pyo, 2003; Lee & Choy, 2007).
한편, 꽃문양은 식물문양에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 적이지만, 몇몇 연구들은 꽃문양과 식물문양을 따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분석하였다. 예컨대, 보관용품, 침구용품, 장신구용품, 보자기, 골무, 인두판, 진주선 의 자수문양 분석(Eom & Pyo, 2003) 및 어린이 복식 자수문양 분석(Kim & Lee, 2006)에서 꽃문양은 식 물문양과 따로 분리되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어린 이 복식에서는 꽃문양(연꽃, 모란, 매화, 벚꽃, 국화, 장미, 패랭이, 나리꽃)이 동물문양, 자연문양, 길상문 양(호랑이, 물고기, 문자)보다 다양하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자수문양 분류항목은 연구자에 따라 포괄적으로 구분되기도 하고 세분화되기도 하지만 기존 연구들 대부분은 꽃문양을 ‘식물문양’ 범주에 통합하는 분류체계(박물관표준유물분류안)를 따르 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 표준유물분류안인 경우, 자 수문양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 아니라, 전통문양 모두를 포괄하는 분류항목이다. 꽃문양과 식물문양 모두를 ‘식물문양’이란 하나의 범주로 통합하여 자 수문양을 분석하는 경우 몇 가지 문제점이 따를 수 있다. 첫째, 자수문양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꽃문양 에 대한 정보를 상실하게 된다. 둘째, 때에 따라서는 ‘식물문양’ 범주에 꽃문양이 더 많이 포함되었음에 도 불구하고, 독자들에게는 식물문양이 자수문양을 대표하는 문양으로 오해될 소지가 있다. 셋째, 꽃문 양은 많고 식물문양은 적은 경우와 그 반대인 경우 모두에서 동일한 결과가 산출되어 서로 다른 생활 용품에 적용된 자수문양 활용도가 변별력 있게 규 명되지 못하는 오류를 낳을 수 있다. 특히, 앞에 제 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 복식(Kim & Lee, 2006)이나 규방공예품(Eom & Pyo, 2003; Kwon & Jang, 2009) 의 자수문양 분석 결과에서 동물문양보다 식물문양 이 더 많이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꽃문양이 다른 문양들보다 더 많이 관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수문양 분석단위를 세분화하여 버선본집에서 출현빈도가 높고 낮은 문 양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2.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patterns
한국전통자수문양의 미적 가치는 상징성, 조형 성, 다양성, 장식성, 수공성이다(Rhee, 2002). 자수문 양의 상징성에 관한 저서(Im, 1998; Huh, 2006), 단 행본(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04), 논 문(Eom, 2004; Eom & Pyo, 2003; Kang, 2012; Kim, 2001; Kim & Lee, 2006; Lee & Choy, 2007; Lee & Kim, 2007; Rhee, 2002; Rhee & Lee, 2008)에 따르 면, 한국전통자수문양들은 장수/천수/장생(매화, 모 란, 국화, 학, 박쥐, 사슴, 불로초, 해, 구름, 대나무, 소나무, 거북, 십장생), 다남/다수/자손번창(연꽃, 복 숭아, 석류, 불수감, 나비, 난초, 덩굴, 열매), 부부화 합(원앙, 꿩, 오리, 물고기), 부귀(모란, 벌, 富貴多 男), 다복/기쁨/행복(불수감, 산호, 동자, 福, 壽福, 喜, 喜喜), 안녕(봉황), 영생불멸/연속성(물결, 바위, 구름, 해, 달, 톱니돌림, 아자돌림, 지그재그선, 원형, 당초문), 권력/권위/군왕/왕족/(호랑이, 용), 벼슬/귀 공/관직(사슴, 구름), 해탈/사후세계에서의 평안(매 미) 등을 상징한다. 이외에 도교, 불교, 유교 각 종교 에서 특별히 귀하게 여기는 기물 7개와 8개를 도안 화한 칠보문과 팔보문을 비롯하여 기쁘고 좋은 일 에 연관된 인공적 기물을 도안화한 잡보(雜寶) 문양 들에도 행복, 장수, 다복, 다남, 부귀, 벼슬, 학문 성 취, 벽사와 관련된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다(Ha, 1996; Im, 1998; Kim, Kim, & Kim, 2004).
버선본 주머니에는 이름 모를 꽃, 국화, 모란, 연 꽃, 패랭이꽃, 소나무, 난초, 복숭아, 석류, 불로초, 나비, 새, 학, 톱니, 아자돌림 자수문양들이 활용되 었다(Eom & Pyo, 2003,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04). 그러나 자연문양, 물상문양, 어류문 양, 문자문양이 버선본집 자수문양으로 활용되었다 는 보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것은 기존 연구에 포 함된 버선본집 분석대상 숫자가 매우 한정적인데서 기인되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 서 간과된 세부문양들은 물론 세부문양의 상징성을 토대로 버선본집 자수문양을 통해 전달되는 시대적/ 집단적 가치, 의식, 정서가 무엇인지를 도출하고, 이 것이 다른 한국전통자수용품들에 표현된 가치들과 어떻게 유사하고 다른지를 논의하였다.
한편, 한국전통자수문양들은 단독으로 제시되기 도 하지만, 여러 종류의 문양들과 함께 제시되는 경 우도 많다. 자수문양의 복합화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문양 조합을 통해 심미적 완성도를 높이기도 하지 만, 개별 문양이 표방하는 상징적 의미 모두를 함축 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예컨대, 궁중 혼례복 활옷에는 십장생 이외에 봉황, 꽃문양(모란, 연꽃), 문자문양(百年同樂)이 함께 복합되어 백년가 약의 염원이 표현되었다(Lee & Kim, 2007). 그리고 조선시기 규방공예품에는 꽃, 식물, 동물, 자연, 인 물, 문자, 물상, 기하학문양 들 중 2종류, 3종류, 4종 류의 문양들이 복합되거나, 5종류 이상의 문양들이 복합된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 Jang, 2009). 그 러나 조합되는 문양종류의 숫자 말고는 자수문양의 복합화 유형이나 양식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선본집 복합문양의 유 형을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에 따른 조형성 과 조형미를 검토하였다.
한국전통자수문양의 표현양식은 사실적, 도식적, 추상적 양식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예컨대, 조선시 대 자수규방공예품에는 사실적 표현양식이 주로 활 용되었으며, 문양들은 주로 회화적 양식을 토대로 배치된 것으로 보고되었다(Kwon & Jang, 2009). 그 러나 이것은 소수의 버선본 주머니와 함께 다른 종 류의 생활용품들이 모두 포괄된 상태의 결과일 뿐 아니라, 분석대상으로 포함된 버선본 주머니의 수가 매우 소수여서 버선본 주머니 특성으로 일반화하기 에는 무리가 있다. 특히, 자수문양의 표현양식이나 배치특성은 수를 놓는 공간적 크기나 형태의 영향 을 많이 받는다. 버선본집 대부분이 어른 손바닥 정 도로 작다는 점과 버선본집 앞면이 4개로 분리된 삼 각형들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표현양식과 배치특성은 자수 공간이 비 교적 큰 다른 규방공예품들과 그 특성이 다를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분한 숫자의 버선본집 을 확보하고,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표현양식과 배치 방식의 차별성과 조형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III.Research Methods
1.The range of research and research problems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조선시대부터 광복 후 1950 년대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버선본 주머 니에 제한되었다. 분석내용은 자수문양의 명칭/종 류, 복합문양 유형, 표현양식, 배치 방식에 한정되었 다. 그리고 다음의 연구문제에 대한 정성적/정량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버선본 주머니의 조형성, 상징 성, 조형미가 도출되었다.
연구문제 1.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명칭과 종류를 규명한다.
연구문제 2.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복합문양 유형 을 규명한다.
연구문제 3.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표현양식 유형 을 규명한다.
연구문제 4.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배치방식 유형 을 규명한다.
2.Data collections
버선본집 자료수집을 위해 1단계로 국내 학술정 보제공 통합 DB 메타 검색(Kiss, Riss, KRPIA, Korea A2Z 등), 대학도서관 소장 서적 DB 검색, 포털사이 트(구글, 네이버, 다음)에서 키워드 검색(버선본집, 버선, 자수, 자수문양, 규방공예, 규방문화, 규방소 품, 침선소품, 침선기법, 침선, 한국전통, 문화상품, 복식, 한국전통주머니, 주머니, 의상, 장신구 등)을 통하여 나타난 서적, 논문, 잡지 및 다양한 웹사이트 에 버선본집 사진들이 제시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2단계로 1차적으로 수집한 서적과 논문들에 제시되 어 있는 버선본집이나 자수문양 관련 출처들을 재 검토하여 버선본집 사진을 확인하였다. 3단계로 포 털사이트(구글, 네이버, 다음)에서 온라인 박물관 사 이트들을 검색, 방문하여 버선본집 사진이 제공되었 는지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버선본집 사진이 확 인된 서적, 박물관 도록, 웹사이트에서 버선본집 유 물의 제작시기, 소장기관, 크기, 소재 혹은 전문가 해설이 제공된 총 151개의 버선본집 유물 사진이 수 집되었다. 수집된 151개 버선본집 사진들 중에서 자 수문양이 없는 것(5점)과 기계자수(6점)를 제외한 총 140점(25개 출처)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유 물사진들의 출처는 <Table 1>>에 제시되었다. 동일한 버선본집 사진들이 여러 출처에 중복되어 나타난 경우, 출처의 연도가 앞선 것이 선정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선정된 분석 대상은 4개 서적(20점), 5 개 박물관 도록(17점), 9개 온라인 박물관 사이트(30 점), 한국문화정보센터 문화포털 사이트(61점), 2개 골동품 전문 경매 사이트(8점), 신문기사(1점), 규방 공예 정보교류 카페 사이트(2점), 개인 블로그 사이 트(1점)를 통해 수집된 총 140점이다. 140개 버선본 집 중 앞면만 보이는 것은 54점, 뒷면만 보이는 것 은 15점, 뒷면과 앞면 일부 보이는 것은 7점(뒷면과 앞면의 1귀가 보이는 것 3점, 뒷면과 앞면의 2귀가 보이는 것 4점), 앞뒷면 모두 보이는 것은 64점(앞뒷 면 2개 각각 제시된 것 58점, 앞면 4귀가 모두 펼쳐 진 것 6점)이다. 경매 사이트(시대, 크기, 소재 혹은 훼손 상태)나 개인 블로그 사이트(개설 연도, 회원 수, 게시된 콘텐츠 내용, 확대 사진)에서 수집된 사 진들(3점)은 사이트 설명 정보들에 근거할 때 신뢰 할 만하다고 판단되었다. 수집된 유물 사진들은 조 선시대 (94점)로 기록된 것이었으며, 그 중 일부는 일제 강점기(2점), 광복 이후(2점)에 제작된 것이고, 42점은 제작 연대 기록이 없는 것이다. 본 논문에 제시된 76개 사진 이미지들 중 10개 이미지(* 표시) 는 선행연구(Hong & Kim, 2013)에 제시된 것이다.
3.Data analysis
1)The method of analysis
자수문양의 명칭은 전통자수문양 디지털 콘텐츠 개발 자료(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04), 화조도(Lee, 2012), 연화도(Jang, 2012), 초충도(Lee & Kim, 2007), 어락도(Rhee, 2002), 민화(Yoon, 2000), 규방공예품(Huh, 2006)에 관한 문헌들과 논문들에 제시된 설명과 형태(사진, 도안)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었다. 문양의 개별 명칭이 결정되면, 박물관 의 통합적인 표준유물분류안과 Rhee(2002)의 분류 체계를 세분화한 11개 범주(꽃문양, 식물문양, 조류 문양, 곤충문양, 어류문양, 동물문양, 자연문양, 물 상문양, 기하학적 문양, 문자문양, 인물문양)들 중의 하나로 분류하여 문양의 종류가 코딩되었다. 본 논 문에서 야생동물(호랑이, 사자, 기린 등)를 의미하는 수류(獸類) 문양은 ‘동물(animal)’이란 용어로 명명 되었다. 식물문양에는 꽃이 없거나 꽃보다 열매가 중심인 식물(예: 대나무, 복숭아, 석류, 소나무, 넝쿨, 열매 등) 만을 포함하여 꽃문양과 구분하였다.
자수문양의 복합화 유형, 표현양식, 배치방식의 분석단위는 한국의 전통복식, 생활용품, 규방공예품 자수문양에 관한 기존 문헌 및 연구들(Eom & Pyo, 2003; Huh, 2006; Kim, 2001; Kim, 2009; Kwon & Jang, 2009; Rhee, 2002)을 참조하여 선정되었다. 복 합문양의 특성은 버선본집 1점에 수놓아진 문양 종 류와 수, 쌍을 이룬 문양 종류와 수, 활용된 전통회 화양식 세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자수문양 표현양식 은 사실적, 도식적, 추상적 양식 측면에서 분석되었 다. 문양 배치 방식은 자수 공간의 크기와 형태가 다 른 버선본집 앞면(삼각형 4면)과 뒷면(사각형 1면) 으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즉, 앞면에서는 삼각형 4귀 문양의 동일성, 유사성, 상이성이 분석되었다. 뒷면에서는 공간 배치 방식(산점형, 충진형, 분할형, 회화형)과 대칭적 배치 방식(상하 대칭, 좌우 대칭, 상하좌우 대칭, 사선대칭, 코너 대칭 구조)이 분석되 었다. 한편, 버선본집에 내포된 상징성은 버선본집 에 활용된 개별 문양의 상징성과 문양 조합에 따른 복합문양의 상징성을 통해 분석되었다. 버선본집 자 수문양의 주류적 특성(대표적 요소)과 부수적 특성 (다양화 요소)은 기술된 분석단위에 따른 세부 항목 의 출현 빈도를 통해 접근되었다. 마지막으로 버선 본집에 내포된 조형미는 자수문양의 종류, 복합화 유형, 표현양식, 대칭방식에 활용된 디자인 원리 및 미의식 측면에서 도출되었다.
2)The procedure of analysis
수집된 버선본집 사진들을 확대하여 버선본집 각 각에 적용된 자수문양의 형태/종류, 복합화 유형, 표 현양식, 배치방식을 관찰하였다. 1단계에서는 버선 본집 사진 관찰 정보를 파워포인트 슬라이드에 기 록하였다. 관찰된 개별 문양의 명칭은 기존의 자수 문양에 관한 자료들(서적, 논문, 박물관 도록, 디지 털 DB 자료 등)을 토대로 교수와 대학원생(박사과 정 1명)이 논의하여 최종 결정되었으며, 의견이 합 의되지 못한 경우에는 ‘이름 모를’ 혹은 ‘확인불가’ 로 기록되었다. 2단계에서는 정량적 분석을 위해 기 록된 정보들을 변수로 구성하고 엑셀파일을 만든 후 통계 프로그램(Spss 18.0)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 였다. 3단계에서는 각 연구문제와 관련된 분석단위 별로 빈도분석(백분율)을 실시하였다.
IV.Research Results
1.The types of embroidery patterns and symbolic meanings
분석대상 140점의 버선본집에서 9종류의 자수문 양(꽃, 식물, 조류, 충류, 어류, 자연, 문자, 물상, 기 하 문양)들이 관찰되었다. 꽃문양들인 경우, <Table 2>>에서 보듯이, 과반수 이상(92점, 65.7%)의 버선본 집에서 문양 명칭이 정확히 식별될 수 없었다. 반면, 이름 모를 꽃문양을 포함해 11종의 세부문양들이 버선본 주머니 자수문양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의 약 1/3~1/4 정도의버선본집에서매화(27.1%), 모란(26.4%), 국화(20.7%) 문양이 관찰되어, 다른 문양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높았다. 나팔꽃(12.9%), 연꽃 (10.7%), 패랭이꽃(7.1%), 도라지꽃(5.7%)을 비롯해 접시꽃, 무궁화 문양도 각각 1점씩 관찰되었다. 특 히 관찰된 문양들 중 6종의 꽃문양들(매화, 나팔꽃, 도라지꽃, 무궁화, 벚꽃, 접시꽃)은 기존 연구들에 서 버선본집 문양으로 보고되지 못했던 것이다.
한편, 식물문양에서도 이름 모를 식물문양을 포함 해 10종의 세부문양들이 관찰되었다. 석류(17.9%), 복숭아(10.7%), 불로초(8.6%) 문양들이 다른 문양들 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많이 관찰되었으며, 소수의 버선본집(10점 미만)에서 소나무(5.7%) 문양을 비롯 해 불수감(fingered citron), 열매, 덩굴(vine), 대나무 (bamboo), 잎사귀 문양들 또한 관찰되었다. 이들 중 4종의 세부문양(대나무, 불수감, 열매, 덩굴 문양)은 기존 연구들에서 간과된 것으로, 버선본집 자수문양 으로 본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되었다. 꽃문양과 식 물문양의 대표적 사례들은 <Table 3>>에 제시되었다.
조류, 충류, 어류와 관련된 문양들은 <Table 4>>, <Table 5>>에 제시되었다. 분석된 140점의 버선본집 에서 이름모를 새를 포함한 새문양(8종), 곤충문양 (3종), 어류문양(3종)이 관찰되었다. 전체 버선본집 의 1/2 정도(71점, 50.7%)에서 새문양이 관찰되었으 며, 곤충 문양이 표현된 버선본집(40점, 28.6%)보다 약 2배 더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학문양(crane, 20.7%) 이 비교적 많이 관찰되었는데, 전체의 약 1/5 정도의 버선본집에서 관찰되었다. 이외에 박쥐(7.9%), 원앙 (6.4%), 봉황(6.4%) 문양들이 소수의 버선본집에서 관찰되었으며, 오리, 제비, 앵무새 문양들은 각 1점의 버선본집에서만 관찰되었다. 한편, 나비문양(27.1%) 버선본집이 학문양(20.7%) 버선본집보다 많았다. 소수의 버선본집에서 매미(cicada), 벌, 물고기, 게, 거북 문양도 관찰되었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보 고되지 못했던 5종의 새문양(봉황, 원앙, 오리, 제비, 앵무새), 2종의 곤충문양(벌, 매미)을 비롯해 어류문 양(물고기, 게, 거북) 또한 버선본집 자수문양으로 활용됨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버선본집 자수문양으로 4종의 자연문양(33점, 23.6%), 2종의 물상문양(9점, 6.4%), 5종의 기하문양 (21점, 15%), 6종의 문자문양(14점, 10%) 또한 관찰 되었다(Table 6, Table 7). 자연문양이 포함된 버선 본집은 전체의 약 1/4 정도를 차지하였지만, 기하 및 물상문양이 포함된 버선본집들은 소수였다. 세부적 으로 살펴보면, 자연문양으로는 바위, 물결, 구름, 해 문양이 관찰되었으며, 기하문양으로는 톱니, 사각 형, 삼각형, 심엽형, 돌림문양이 관찰되었으며, 물상 문양으로는 화분과 산호가 관찰되었다. 문자문양으 로는 복(福), 희(喜), 쌍희(喜喜)와 같은 단독 문자문 양(10점, 7.1%)이 관찰되었으며, 수복(壽福)과 같이 버선본집 앞면에 복수의 문자가 활용되거나, 앞면 (壽富多男)과 뒷면(富貴功名)에 복수의 문자를 활용 한 성문이 자수된 버선본집이 관찰되었다. 한글 문 자(보선집가인) 문양 또한 1점의 버선본집에서 관 찰되었다. <Table 6>>에 제시된 자연문양, 물상문 양, 문자문양은 버선본집 자수문양으로 보고되지 않 았던 것으로, 이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세부문양들이 버선본집 자수문양으로 활용되었음이 새롭게 조명되 었다.
2.The mixed types of embroidery patterns
버선본집 140점에서 1종류의 문양이 단독으로 적용된 버선본집은 36점(25.7%)이었으며, 복합문양 버선본집은 <Table 8>>에서 보듯이 총 104점(74.3%) 으로 단독 문양 버선본집보다 약 3배 정도 더 많았 다. 꽃문양이 주로 단독문양(32점, 22.9%)으로 활용 되었으며, 소수이지만 기하문양(2점), 식물문양(1 점), 새문양(1점)이 단독문양으로 활용되었다. 단독 문양 버선본집 사례는 <Table 9>>에 제시되었다. 한 편, 104점의 복합문양 버선본집을 분석한 결과(Table 8), 꽃문양(85점, 81.7%)이 복합문양 조합에 가장 많 이 활용되었고, 그 다음이 식물문양(59점, 56.7%)이 복합문양에 많이 포함되었다. 꽃과 식물 2종류 문양 이 복합문양 버선본집 전체(104점)의 과반수 이상에 서 활용되었다. 조류(54점, 51.9%), 곤충(41점, 39.4%), 자연(28점, 26.9%) 문양들 또한 복합문양 버선본집 전체의 약 1/3~1/4 이상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기 하(18점, 17.3%), 문자(14점, 13.5%), 물상(9점, 8.6%) 문양들이 활용된 버선본집은 많지 않았다. 버선본집 복합문양들을 3가지 측면(조합되는 문양종류의 숫 자, 쌍을 이룬 문양과 숫자, 전통회화 양식의 적용) 에서 유형화하면 다음과 같다.
1)Pattern combination using different kinds of patterns
조합된 문양종류의 숫자에 따라 복합문양 버선본 집들(104점)을 분석한 결과, <Table 8>>과 <Table 9>> 에서 보듯이 2종류 복합문양부터 7종류 복합문양까 지 다양하게 유형화되었다. 특히, 복합문양 전체 104 점 중에서 2종류 복합문양(37점, 35.6%)과 3종류 복 합문양(35점, 33.7%) 버선본집 각각은 전체의 약 1/3 이상을 차지하여 복합문양의 주류(69.3%)를 이루었 다. 4종류 복합문양(24점, 23.1%) 버선본집은 그 다 음 순으로 많이 관찰된 반면, 5종류, 6종류, 7종류 복합문양 버선본집들은 소수였다.
한편, 2~7종류 복합문양 버선본집 모두에서 관찰 된 문양조합은 <Table 8>>에서 보듯이 4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2종류 복합문양 버선본집(37점, 35.6%) 에서는 13개 유형의 문양조합이 관찰되었으며, 꽃/ 곤충(F/I)과 꽃/새(F/B)의 문양조합이 상대적으로 약간 많았다. 2종류 복합문양에서는 꽃문양(29점, 27.9%) 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그 다음이 곤충문양(14 점, 13.5%)이었다. 그러나 2종류 복합문양에서 식물 문양(8점, 7.7%)과 새문양(8점, 7.7%) 활용도는 낮 았다. 3종류 복합문양 버선본집(35점, 33.7%)에 활 용된 문양조합 또한 13개 유형이었으며, 꽃/식물/새 (F/P/B)의 문양조합이 상대적으로 약간 많았다. 3종 류 복합문양에서는 꽃문양(30점, 28.8%), 식물문양(23 점, 22.1%), 새문양(24점, 23.1%) 활용도가 비교적 유사하게 높았다. 반면 곤충문양(7점, 6.7%) 활용도 는 낮았다. 4종류 복합문양에 활용된 문양조합은 11 개 유형이었으며(분류가 애매모호한 2점 제외), 꽃/ 식물/새/곤충(F/P/B/I)의 문양조합이 상대적으로 약 간 많았다. 5종류 이상의 복합문양 버선본집에서는 꽃/식물/곤충/새/자연(F/P/B/I/N) 5종류 문양조합이 상 대적으로 약간 높았다. 5종류 이상의 복합문양들일 수록(조합되는 문양종류의 숫자가 많을수록) 꽃/식 물/새문양이 기본적으로 활용되었다.
2)Pattern combination using paired patterns
버선본집 자수문양에서 쌍을 이룬 문양들은 <Table 10>>에서 보듯이 7종의 조류문양, 2종의 충류문양, 3 종의 어류문양 등 총 12종의 세부문양들이었다(학, 봉황, 원앙, 오리, 박쥐, 앵무새, 새, 나비, 매미, 물고 기, 게, 거북), 이외에 기쁠 희 1쌍(喜喜)과 같이 문자 가 쌍을 이룬 경우도 관찰되었다. 전체 140점에서 쌍 을 이룬 조류, 충류, 어류 문양이 포함된 버선본집은 총 56점이었으며(40%), 쌍을 이룬 문양의 개수는 총 89개로 홀수로 제시된 문양(26개)보다 3배 이상 많 았다. 그리고 쌍의 숫자에 따라 쌍을 이룬 문양들(89 개)을 유형화 하면, 1쌍을 이룬 문양(67개)이 2쌍(18 개)을 이룬 문양보다 3.5배 이상으로 많았다. 세부 문양들 중에서는 쌍을 이룬 학(29개)이 가장 많이 활 용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쌍을 이룬 나비(24개)가 많 이 활용되었다(Table 10). 쌍을 이룬 문양들이 관찰 된 56점(40%)의 버선본집들 중에서 동일종류 문양 들이 쌍으로 제시된 버선본집(37점, 26.4%)이 여러 종 류의 문양들이 쌍을 이룬 복합문양 버선본집(19점, 13.6%)보다 약 2배 정도 더 많았다. 특히, 동일종류 문양이 1쌍으로 제시된 버선본집(22점, 15.7%)이 2쌍 이상으로 제시된 버선본집(11점, 7.9%) 보다 2배 더 많았다. 그리고 동일종류가 1쌍의 문양으로 제시 된 버선본집의 경우, 학 1쌍(10점)과 나비 1쌍(9점)이 자수된 버선본집이 다른 종류가 1쌍으로 제시된 버 선본집보다 약간 많았다. 예컨대, 1쌍을 이룬 원앙, 오리, 새 각각은 1점의 버선본집에서만 관찰되었다. 동일 종류의 문양이 2쌍 이상으로 제시된 버선본집 을 보면, 학 2쌍(7점)이 제시된 버선본집이 나비 2쌍 (2점), 봉황 4쌍(1점), 봉황 5쌍(1점)이 제시된 경우보 다 많았다. 예컨대, <Table 9>>의 꽃/식물/새 복합문양 (F/P/B 조합)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선본집 뒷면에 학 1쌍, 앞면 두 귀에 학 1쌍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봉황 5쌍은 어미 1쌍과 새끼 봉황 4쌍으로 조합되었 다(Table 9).
한편, 쌍을 이룬 서로 다른 종류의 복합문양 버 선본집(18점, 17.3%)이 복합문양 버선본집 전체(104 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1/5 정도이다. 쌍을 이 룬 복합문양(18점)들 중에서 쌍을 이룬 2종류 복합 문양 버선본집(14점)은 전체 복합문양의 13.5%를 차지하며, 쌍을 이룬 3종류 복합문양보다 더 많았다 (Table 11). 쌍을 이룬 2종류의 문양조합 유형은 14 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쌍을 이룬 2종류의 복합문양 에서도 학문양(8점)이 가장 많이 조합되었다. 예컨 대, 뒷면의 학 1쌍과 앞면의 문양 1종류(나비 1쌍, 나비 2쌍, 새 1쌍, 봉황 1쌍, 원앙 2쌍 혹은 새끼 원 앙 2쌍) 각각이 조합되었다. 쌍을 이룬 2종류 복합 문양에서 학문양(8점) 다음으로 활용 빈도가 높은 것은 나비문양(7점)과 박쥐문양(4점)이었다. 쌍을 이 룬 봉황, 원앙, 물고기, 매미, 앵무새, 새, 게 각각은 학, 나비, 박쥐와 조합되었으며, <Table 9>>에 제시된 나비 1쌍과 매미 2쌍(two pairs of cicadas and a pair of butterfly)이 그 예이다. 쌍을 이룬 3종류의 문양들 (3점)과 4종류의 문양들(1점: 학 1쌍, 원앙 1쌍, 나비 1쌍, 박쥐 2쌍)이 조합된 복합문양 버선본집 숫자는 매우 소수이다. 쌍을 이룬 3종류 문양 조합의 예가 <Table 9>>에 제시되었다(a pair of cranes, phoenixes and butterflies). 한편, 쌍을 이룬 새, 곤충, 물고기 문 양들은 상하, 좌우, 사선 구도에서 서로 마주보거나 나란히 배치되었다(Table 9, 13, 14, 16).
3)Pattern combination based on traditional painting styles
복합문양 버선본집(104점)들 중 총 27점(26%) 에서 전통회화 양식에 따른 문양조합이 관찰되었 다. 이것은 쌍을 이룬 서로 다른 종류의 복합문양 버선본집(18점, 17.3%)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약간 높다. 세부적으로 볼 때, 전통회화 양식의 복합문양 은 9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화접도(9점, 8.7%) 양 식에 근거한 문양조합이 화조도(3점), 연화도(2점), 초충도(1점), 어락도(1점), 운학문(2점), 송학문(3 점), 선도화문(3점), 수화문(3점) 양식에 따른 문양 조합보다 약간 많았다. 즉, 전체적으로 볼 때, 전통 회화양식을 띈 자수문양 버선본집들은 소수이지만, 버선본집에 주로 적용된 전통회화 양식은 화접도 양식이었다.
3.The expression and arrangement types of embroidery patterns
1)The expression and arrangement types of patterns on a back face
앞뒷면이 보이는 버선본집(64점)과 뒷면이 보이 는 버선본집(22점) 86점을 분석한 결과, <Table 12>> 에서 보듯이 도식적 표현양식(45점, 52.3%)이 과반 수 이상으로 주류를 이루었고, 그 다음으로 사실적 표현양식(25점, 29.1%)이 많았다. 추상적 표현양식 (16점, 18.6%)의 활용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 고 버선본집 뒷면 자수문양의 공간배치 방식(충진 형, 산점형, 구획적 구성형, 회화형)을 표현양식(사 실적, 도식적, 추상적 표현)과 연관시켜 제시하면 <Table 12>>, <Table 13>>과 같다. 면 분할을 통한 구 획별 문양 배치(42점, 48.8%)가 회화형 배치(23점, 26.7%), 충진형 배치(16점, 18.6%) 각각 보다 약 2~3 배 더 많이 활용되었다. 산점형 배치(5점, 5.8%)가 활용된 버선본집은 매우 소수였다. 특히, 3개 유형 의 표현양식과 4개 유형의 배치방식을 조합한 12개 유형 중에서는 도식적 표현의 자수문양들이 분할된 구획에 구성적으로 배치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24 점, 27.9%). 그리고 구성적 배치의 버선본집들(42점) 대부분에서 대칭적 구조(37점)의 문양 배치가 주로 활용되었다. 대칭적 문양 배치는 7개 유형으로 구분 될 수 있었으며, 각 유형의 사례가 <Table 14>>에 제 시되었다. 좌우대칭(16점)이 상하좌우 대칭(7점), 사 선대칭(5점), 상하대칭(1점), 2코너 유사대칭(1점), 4 코너 유사대칭(4점), 4코너 혼합대칭(3점)에 비해 2~4배 이상 많이 활용되었다.
2)The expression and arrangement types of patterns on a front face
앞뒷면 모두 보이는 버선본집(64점), 앞면이 보이 는 버선본집(54점), 앞면이 일부 보이는 버선본집(7 점) 모두를 포함한 총 125점의 자수문양 표현양식을 분석한 결과, 도식적 표현(82점, 65.6%)이 사실적 표 현(19점, 15.2%)과 추상적 표현(24점, 19.2%)보다 월등히 많았다. 도식적 표현이 앞면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활용된 것은 분리된 4귀 삼각형의 좁은 공간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앞면 4귀가 모두 보이는 버선본집(총 118 점)을 대상으로 앞면 4귀 문양의 동일성, 유사성, 상 이성을 분석한 결과, <Table 15>>에서 보듯이 11개 유형(인지 불가능한 문양 제외)으로 분류되었다. 삼 각형 4귀에서로 다른문양이 배치된버선본집이가장 많았다(43점, 36.4%). 이것은 4귀에 유사한 문양(13 점, 11%)이나 동일한 문양(8점, 6.8%)이 배치된 경 우 보다 많았다. 그리고 마주 보는 2귀에 유사하거 나 동일한 문양이 배치된 버선본집이 많았다(31점, 26.3%). 즉 마주 보는 2귀 한 쌍 각각에 유사 문양 배치(15점), 마주 보는 2귀 한 쌍 각각에 동일 문양 배치(10점), 마주 보는 2귀 한 쌍에는 동일문양, 마 주보는 2귀 한 쌍에는 유사문양 이 배치되었다(6점). 여기서 유사 문양은 문양의 형태나 색상이 아주 조 금 다른 경우를 의미한다. 이외에 마주 보는 2귀 한 쌍의 문양은 상이하지만 나머지 다른 1쌍의 2귀는 유사하거나(14점, 11.9%), 동일하거나(2점), 문양이 없는 버선본집(1점)이 관찰되었다. 버선본집 자수문 양의 배치방식 사례들이 <Table 16>>에 제시되었다.
V.Conclusions and Discussion
본 연구에서 분석된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종류, 복합화 유형, 표현양식, 배치방식에 근거하여 버선 본집에 나타난 조형미와 상징성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버선본집에는 9개 범주의 52종의 자수문양 들이 활용되었다. 자수문양 종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꽃문양(11종)이 포함된 버선본집은 전체 버 선본집(140점)의 83.6%(단독문양 버선본집 32점, 복 합문양 버선본집 85점)를 차지하여 버선본집에서 주 류를 이루는 대표 문양임이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 로 식물문양(10종) 버선본집이 42.9%(단독문양 버선 본집 1점, 복합문양 버선본집 59점), 조류문양(8종) 버 선본집이 39.3%(단독 문양 버선본집 1점, 복합문양 버선본집 54점)를 차지하였다. 이외에 곤충문양(3종) 과 자연문양(4종)은 복합문양 버선본집에만 포함되 었으며, 각각 전체의 29.3%(41점), 20%(28점)에서 관찰되었다. 물상문양(2종), 기하문양(5종), 문자문 양(6종), 어류문양(3종)은 소수의 버선본집에서만 활 용되었다. 버선본집의 경우, 꽃문양 외 다른 문양들 은 거의 복합문양에서만 활용되었고, 단독문양으로 활용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버선본집에 나타난 자수문양을 세부적으로 분석 한 결과, 매화, 모란, 국화, 석류, 복숭아, 학, 나비문 양이 상대적으로 많이 관찰되어, 이들 문양이 버선 본집에서 주류를 이루는 대표 문양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보고되지 않았던 28종의 문 양들(매화, 나팔꽃, 도라지꽃, 무궁화, 벚꽃, 접시꽃, 대나무, 불수감, 열매, 덩굴, 봉황, 원앙, 기러기, 제 비, 오리, 거북, 벌, 매미, 물고기, 심엽형, 사각형, 삼 각형 문양, 구름, 바위, 물결, 해, 화분, 산호 문양)은 전체 버선본집의 과반수 이상(53.8%)에서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 문양들은 부수적으로 활용되어 버선 본집 자수문양의 변화와 다양화를 이끌었다. 반면, 기존 연구에서 흉배, 후수, 활옷, 노리개에 활용된 것으로 보고된(Eom & Pyo, 2003) 용, 호랑이, 기린 의 동물문, 당초문, 인물문(동자, 신선), 칠보문과 팔 보문(서각보, 여의두, 가마형 등)은 본 연구의 분석 에 포함된 총 140개 버선본집들에서는 관찰되지 않 았다. 따라서 버선본집에 나타난 자수문양의 종류와 형태를 외면적 측면에서 고려할 때, 권력, 권위의 표 현보다 자연친화적 이미지가 우세하게 드러나는 것 으로 해석된다. 이것은 한국전통자수문양의 미적 특 성은 자연주의로 집약된다는 관점(Eom & Pyo, 2003; Kim, 2001)이 버선본집 생활용품에서도 지지됨을 의미한다. 특히, 버선본집에는 남성들이 산천을 유 람하면서 보게 되는 웅대하고 경외할 만한 산천초 목보다 부녀자들이 내당에서 직접적/간접적으로 경 험한 정겨운 자연물 문양들이 우세하게 드러났다. 따라서 자연에 도전하거나 맞서 대립하기보다 자연 과 합일하는 수용적 자연미(自然美)가 버선본집에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자수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저서(Im, 1998; You, 1989), 단행본(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04), 논문(Eom, 2004; Eom & Pyo, 2003; Kang, 2012; Kim, 2001; Kim & Lee, 2006; Lee & Choy, 2007; Lee & Kim, 2007; Rhee, 2002; Rhee & Lee, 2008)에 따를 때, 버선본집에서 주로 관찰되는 모란(부귀, 번영, 화목, 행복), 매화(장수, 건강, 용 기), 국화(장수, 청춘), 복숭아(다수), 석류(다남), 나 비(부부화합), 학(장수, 관직), 박쥐(장수), 봉황(안 녕, 태평성대), 원앙(부부화합), 물결과 바위(영생불 멸), 톱니돌림과 아자돌림(연속성, 장수), 복(福, 壽 福), 희(喜, 喜喜) 자수문양들은 장수, 자손번창, 다 남(多男), 부부화합, 부(富), 다복(多福)을 상징하는 문양들이다. 그리고 소수이기는 하지만 부수적으로 활용된 불로초, 해, 구름, 대나무, 소나무 등의 문양 (장수), 연꽃, 난초, 덩굴, 열매, 부귀다남 등의 문양 (자손번창, 다남), 새끼 원앙, 오리, 물고기 등의 문 양(부부화합), 불수감과 산호(다복) 및 부귀공명(富 貴功名) 문양들 또한 이러한 상징성을 담고 있다. 따 라서 내면적 측면에서 버선본집에 나타난 자수문양 의 상징성을 고려할 때, 버선본집 자수문양에는 권 력, 권위, 신분의 표현보다 부녀자들이 일상생활 속 에서 갖는 이상적 삶에 대한 현실적 기원(부부화합, 자손번창, 장수, 다복, 부귀공명)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생활용품과 마찬가지로 버선 본집에도 조선시대의 유교와 규방문화를 통해 형성 된 시대적/집단적 가치와 의식이 투영되었음을 의 미한다. 또한 선행연구(Eom & Pyo, 2003)에서 언급 된 한국자수문양의 특성(기원하는 바를 사물에 의 탁하는 주술적 특성, 시대적 삶을 표현하는 생활미 술로서의 특성)이 버선본집 용품에 수놓아진 자수 문양들에서도 지지됨을 시사한다.
둘째, 버선본집에는 꽃/식물/새/곤충의 조합과 같 이 하나의 버선본집에 상이한 여러 종류의 문양들 이 복합되는 경우가 많았다(전체 140점의 74.3%). 즉, 복합문양의 버선본집이 단일 종류 문양이 자수된 버선본집보다 약 3배 정도 더 많았다. 특히, 2종류 (예: 꽃/곤충)와 3종류(예: 꽃/식물/새, 꽃)의 문양 조 합은 전체 버선본집의 약 1/3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음양조화와 관련된 꽃, 식물, 새, 곤충 문양들이 복 합문양에 주로 활용되었다. 이것은 버선본집 자수문 양 복합화에도 한국 전통미로 일컬어지는 ‘음양 조 화의 이원론적 결합미’가 표현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전통자수문양에도 한국 전통미가 적용 된다는 관점(Kim, 2009)을 지지한다. 한편, 암수 구 분되는 조류, 곤충, 어류 문양들은 쌍을 이루어 제시 되기도 하는데, 쌍을 이룬 문양들은 전체 버선본집 의 40%를 차지하였다. 동일한 종류의 문양들이 쌍 으로 수놓아진 버선본집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문 양들이 쌍으로 수놓아진 버선본집들 보다 2배 정도 더 많았다. 그리고 1쌍의 문양이 수놓아진 버선본집 들이 2쌍, 3쌍의 문양이 수놓아진 버선본집들 보다 2배 더 많았다. 문양을 쌍으로 제시하는 것은 반복 에 의한 심미적 표현이기도 하지만, 개별 문양이 갖 는 상징적 의미(부부화합, 생명창조, 자손번창, 상 생, 장수, 복, 안녕)의 강화, 확대의 목적적 의도에 근거한 것이기도 하다(Kim, 2009).
한편, 동일하거나 상이한 범주의 개별 문양이나 쌍을 이룬 문양들이 조합되어 복합문양을 형성하는 것 외에 전통회화 양식이 엿보이는 복합문양(화접 도, 화조도, 연화도, 초충도, 운학문, 어락도, 송학문, 선도화문, 수화문) 또한 관찰되었다. 이것은 전체 104점 복합문양의 1/4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화접도 양식의 복합문양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것은 복합 문양들에도 부부화합, 자손번창, 무병장수에 대한 현실적 염원이 상징적으로 표현되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암수 혹은 음양을 상징하는 문양들이 다양한 방식으로(개별적으로, 쌍을 이루어, 회화적으로) 조 합되어 제시되는 복합문양들은 심미적 표현과 상징 적 의미 전달을 동시에 극대화하는 유용한 수단임 을 시사한다. 따라서 부부화합, 자손번창, 불로장생 의 상징미와 음양 조화의 이원적 결합미를 비롯하 여 두 마리씩 쌍을 이루는 완전한 조화미(Eom & Pyo, 2003; Kim, 2009)가 버선본집에 잘 드러나 있 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회화적 양식의 복합문양에 서 두 마리씩 쌍을 이루는 학 문양(Eom, 2004; Eom & Pyo, 2003; Rhee, 2002)이 상하/좌우/사선으로 마 주 보게 배치된 특성은 한국전통자수문양의 미적 특성의 하나인 ‘이분법적 원칙’에 따른 대칭적 균형 미(Eom & Pyo, 2003; Kim, 2009)가 버선본집 자수 문양에도 적용됨을 의미한다. 이외에 자연문양, 기 하문양, 물상문양, 문자문양들은 부수적이긴 하지 만, 적재적소에 활용되어 복합문양의 조형적 완성도 나 구도적 안정감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버선본집 앞뒷면 모두에서 도식적 표현양 식이 주로 활용되었으며, 도식적 표현양식은 사실적 표현양식이나 추상적 표현양식보다 약 2~3배 많이 활용되었다. 그리고 버선본집 앞면에서의 문양 배치 방식은 삼각형 4귀 문양의 유사성과 상이성에 따라 11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버선본집 앞면에 주 로 활용된 대표적 배치방식은 4귀 모두에 다른 문양 이 배치되는 것이었으며, 마주 보는 2귀에 동일하거 나 유사한 문양이 배치되는 방식 또한 많이 활용되 었다. 따라서 버선본집 앞면에서는 삼각형 4개 공간 에 배치된 문양들의 동일성, 유사성, 상이성 조합에 따른 대칭적(2귀의 상하대칭과 좌우대칭) 구도의 균 형미와 대비적 조화미를 엿볼 수 있다. 한편, 버선본 집 뒷면에는 문양을 대칭적으로 배치한 구성적 배 치 방식이 회화형 배치나 충진형 배치보다 2배 더 많이 활용되었다. 이것은 조선시대 규방공예품 자수 문양에는 회화적 배치가 많다는 기존 연구결과(Kwon & Jang, 2009)와 다른 것으로, 버선본집의 작은 공 간적 특성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버선본집 뒷면 에서도 면 분할을 통한 구성적 배치와 상하, 좌우, 코너의 대칭적 구도에서 오는 균형미를 엿볼 수 있 다. 따라서 버선본집 앞뒷면에는 한국 전통미의 특 성인 ‘정돈된 단정미’가 상하 대칭, 좌우 대칭, 사선 대칭, 코너 대칭에 따른 양자의 균형감, 질서감, 안 정감을 통해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자수문양의 체계적 지식 축 적에 공헌하는 것은 물론 산업적 활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분석대상인 버선본집을 충분히 확보하여 기존 연구결과들에서 간과되었던 자수문양의 종류와 복합문양의 유형을 새롭게 확인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정성적 방 법이외에 정량적 방법을 도입하여 자수문양의 종류, 복합화 유형, 표현양식, 배치방식의 각 유형이 전체 버선본집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검토하고, 주류를 이 루는 대표적 유형과 부수적 활용 유형을 검토한 점 도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산업적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한국적 이 미지의 가방, 파우치, 선물함, 문구함 등 보관기능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연 구에서 규명된 세부문양, 복합문양, 표현양식, 문양 배치의 대표적 유형들을 각 제품에 추구되는 상징 적 특성이나 미적 특성에 맞게 제품 텍스타일 디자 인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이외에 본 연구에서 조명 된 자수문양들은 세계인의 기호에 맞춘 현대적 감 각의 나염직물이나 자수직물의 창의적 문양 개발 모티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된 버선본집 자수문양의 배색특성이나 자수기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 리고 사용자나 사용용도가 다른 자수용품들을 대상 으로 개별용품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고유의 자수문 양 특성을 규명하고, 이것이 한국전통자수문양의 보 편적 특성과 어떻게 차별적인지를 조명하는 것도 기존 지식을 수정하거나 보강하는데 유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