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3 pp.454-467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3.45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lim-fit tailored jacket prototype

JaeChul Jeong, SunKyungPark*, MiKyung Uh**
Graduate School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Korea
*Dept. of Fashion Design, Kookmin University, Kore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Hanyang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pak27@kookmin.ac.kr)
March 13, 2015 May 11, 2015 May 12, 2015

Abstract

Reflecting the consumer’s desire to look young, the “down-aging” trend, which blurs the distinctions between age groups, is the latest craze in the fashion market. The popularity of this trend made brand identities similar, resulting in customers becoming more interested in segmented notions of fashion (in terms of the story, design, high-quality material, etc.) regarding the product, and in particular, focus has become oriented to the fitness to the human body. In this sense, the researcher aimed to develop the prototype of a slim-fit tailored jacket that fits the standard somatotypes of women in their 30s well.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lim-fit tailored jackets from existing bran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a subsequent wearability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standard somatotype of women in their 30s. The research patterns were prototype of the developed slim fit tailored jacket are bust size of 3.8 cm, waist of 7 cm, and hip size of 3.8 cm. Then the research patterns were selected to develop the prototype of a properly fitting slim-fit tailored jacket. As outlined above, the development of a slim-fit tailored jacket prototype for the standard somatotypes of women in their 30s was conducted by solving the fitness issues of existing brands in order to produce properly fitting jackets that satisfy consumers.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원형 개발 연구
- 30대 여성 표준체형을 중심으로 -

정 재철, 박 선경*, 어 미경**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국민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Kookmin University

    I.Introduction

    최근 여성들은 실제 나이보다 젊고 어려보이는 다운에이징(down-aging) 패션 트렌드에 열광하고 있다. 이러한 20대부터 50대 여성까지 젊고 날씬해 보이려는 욕구가 반영되어 슬림한 디자인과 인체 에 꼭 맞는 형태의 재킷을 즐겨 착용하게 되었다. 이는 슬림한 디자인의 외형적 형태와 신체적 만족 감이 높은 테일러드 재킷의 패턴이 소비자의 결정 적인 구매행동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맞음새에 대한 요구는 20대 여성 과 달리 30대에 접어들면서 높게 나타나며, 그 이 유는 임신, 출산 등으로 신체의 치수와 프로포션이 변화가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성브랜드에서는 트랜드의 영향은 사이즈별 차이로 맞음새를 해결 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소비자들의 수선요구는 증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30대 여성 표준체형에 적합한 재킷 원형을 개발함으로써 의미가 있다.

    여성복 테일러드 재킷의 맞음새 향상을 위한 지 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20대 여성의 재킷 패턴 설계(Kim, 2004), 중년여성의 체형인지와 의 복선호도를 파악하고, 맞음새와 착용감을 개선시킨 재킷제작(Choi, 2012), 노년 여성을 다섯 체형으로 분류한 후 체형별 재킷 패턴 설계(Lee, 2009)와 같 이 다양한 연령층과 30대 남성 슬림 핏 재킷 원형 패턴설계(Kim, 2015), 테일러드 재킷의 소매산 높 이와 진동깊이에 관한 연구(Hwang, 2013)의 연구 와 같이 남성복이나 부분적인 디테일을 다루고 있 다. 이와 같이 30대 여성 표준체형을 대상으로 한 테일러드 재킷 원형 개발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매우 부족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30대 여성을 타킷으로 브 랜드 패턴을 수집하여 재킷의 맞음새 문제점을 파 악하고 개선하여 소비자들의 맞음새 만족도를 높 인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원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재킷 원형 개발로 보다 유용하고 실질적인 정 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현장과 의류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II.Methods

    1.Collect of slim fit tailored jacket and comparative analysis

    1)Collect of slim fit tailored jacket

    국내 여성복 브랜드 중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 는 4개 브랜드의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을 2014 년 3~6월까지 수집하였다. 수집 기준은 클래식 스타 일의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을 생산하며, 소비자 인지 도가 높은 브랜드를 대상으로 2011~2012년 연매출 150억 원 이상인 브랜드 중 선정하였다. 재킷의 형태 는 6패널의 원버튼 재킷으로 칼라는 테일러드 칼라 와 기본허리다트, 두 장 소매의 55사이즈 패턴이다.

    2)Comparative analysis of collected patterns

    수집한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패턴 4종류를 비 교 분석하기 위한 비교항목은 <Fig. 1>, <Table 1>과 같이 몸판의 20항목, 소매의 6항목으로 총 26항목 의 부위를 비교분석하였다.

    2.Prototype development of slim fit tailored jacket

    1)Subject selection

    피험자 선정은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의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의 자료를 기준으로 30~39세 평균치수의 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키, 가슴둘레, 허 리둘레 , 엉덩이둘레, 겨드랑앞벽사이길이, 겨드랑 뒤벽사이길이, 앞중심길이, 등길이, 어깨사이길이, 어깨경사각등의 항목에 우선순위를 두어 6명을 선 정하여 <Table 2>와 같다.

    2)Making experimenting jackets and evaluation method

    Design of an experimenting jacket

    일반적인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으로 6패널이며, 네크라인은 몸판의 라펠라인 형태만을 사용하여 칼라로 인한 주관적인 평가를 배제하였다. 앞 몸판의 다트는 앞 허리 다트로 주머니 위치까지 내려온 One Button 재킷이다. 소매는 세트인슬리브(set-in sleeve) 형태인 두 장 소매이며, <Fig. 2>와 같이 실험복의 디자인으로 선정하였다.

    Materials of experimenting jackets

    실험복 제작을 위한 소재는 면 100%의 광목으 로 하였으며, 세부적인 실험복 소재의 물성은 다음 의 <Table 3>과 같다.

    Fit satisfaction evaluation of experimenting jacket

    착의 평가는 의복 구성학을 전공한 실무자로 9명 으로 정하고, 실험복이 인체에 편안하게 착장되면 서 슬림하게 보이기 위한 것으로 ‘적합성’의 기준 으로 진행하였다. 외관 착의평가 항목은 Yun(2005), Kim(2009)이 평가한 항목을 참고하여 전면, 후면, 측면, 소매로 구분하여 디자인선과 여유분의 항목 을 32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동작 착의평가 항목은 Kim(2009), Kim(2000)이 평가한 항목을 참고하여 정립시 착용감과 동작 시 착용감으로 구분하여 30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Method evaluating

    평점방식은 리커트(Likert scales) 방식으로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3.Method of analysis

    분석 방법은 브랜드 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 하였으며, 브랜드 별 착장평가 차이의 유의성을 검 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 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Duncan의 사후검 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표준체형 1, 2차 착의평가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외관 착의평가는 독립표본 t-검정을 동작적합성 평가는 Mann-Whitney 의 U검정을 실시하였다.

    III.Result

    1.Comparative analysis of collected patterns

    수집된 4종류의 패턴을 비교 분석하면 <Table 4> 와 같다. 뒷목높이는 A 브랜드 2.6cm로 가장 높았 고, 진동깊이는 A, B, D, C 브랜드 순으로 깊이 차 를 보였다. 등길이는 A, D 브랜드가 30대 평균 등 길이(39.7cm)보다 2.7cm 짧은 길이로 나왔다. 재킷 의 길이와 뒷목너비는 전체적으로 비슷하였으나, 앞목너비는 B, A, D, C 브랜드 순으로 차이를 보였 다. 라펠의 가슴부분에서의 꺾임방법은 A, D 브랜 드는 피쉬다트를, B, C 브랜드는 M·P와 줄임으로 라펠의 꺾임을 자연스럽게 하였다. 어깨사이길이는 A, D 브랜드가 좁고, B, C 브랜드가 넓게 나타났다. 전체 가슴둘레의 여유량은 브랜드의 타깃과 아이 덴티티에 따라 여유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가슴 여유량의 배분을 겨드랑앞벽사이길이는 매우 적게 주고, 겨드랑뒤벽사이길이와 옆품 순으로 여 유량을 배분하였다. 앞면과 뒷면에서의 디자인은 슬림하게 하고, 활동분을 옆품으로 배분하였다. 다 음의 <Fig. 3>은 브랜드별 수집 패턴이고, <Fig. 4>는 수집 패턴의 비교 중합도이다.

    2.Fit satisfaction evaluation for prototype development

    1)The 1st Fit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collected patterns

    수집한 4개 재킷 패턴을 가지고 1차 외관 및 동 작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Table 5>와 같 이 차 1 외관 착의평가는 전면에서 C, D 브랜드가 비교적 높게 나왔으며, 후면에서는 D > C > A, B 순으로 나타났다. 측면에서는 디자인선이 A, C, D 브랜드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여유분은 D > C, A > B 순으로 나타났다. 소매의 디자인선은 B와 D 브랜드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여유분은 A, B, D 브랜드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D 브랜드가 1차 외관 착의평가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 으로 C 브랜드의 평가가 높았고, A 브랜드와 B 브 랜드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1차 동작 착의평가의 결과는 <Table 6>과 같이 동작 시 착용감 평균은 C, B, A, D 브랜드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패턴의 선정은 외관 착의평가에 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D 브랜드를 선정하여 2 차 착의평가를 거쳐 수정, 보완하여 슬림 핏 테일 러드 재킷 원형을 개발하였다. <Fig. 5>는 브랜드별 1차 외관 착의평가 사진이다.

    2)The 2nd fit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collected patterns

    1차 착의평가에 의해 선정된 연구패턴을 수정·보완하여 2차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 외관 착의평가는 전체 평균 4.56으로, 전면 4.64, 후면 4.42, 측면 4.51, 소매 4.66으로 나타나, 모든 부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2차 동작 착의평가도 전체 평균 4.33으로 정립시 착용감 평균은 4.52, 가볍게 걸을 때 평균 4.50, 의 자에 앉아서 글을 쓸 때 평균 4.14, 팔을 옆으로 90 도 들어 올릴 때 평균 4.17로 모두 4점 이상의 좋은 평가를 보였다.

    3)Comparison of the 1st and 2nd appearance evaluation

    외관 착의평가의 1차와 2차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7>과 같이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다(p<.001). 한편, 동작 착의평가의 1차 와 2차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표본수가 작기 때문에 비모수검정 방법 중 하나인 Mann-Whitney의 U 검 정을 실시하여 <Table 8>과 같이 대부분의 항목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6>은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의 선정패턴과 최종 원형의 비교그림으로 1차, 2차 착의평가를 거 쳐 수정·보완된 패턴이다. <Fig. 7>은 1차, 2차 착 의평가를 통해 개발된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착장 사진이다.

    3.Design of slim fit tailored jacket prototype of the standard figure

    1)Prototype formula

    개발된 원형을 이탈리아 세꼴리 제도 방식과 이 승렬 제도방식을 절충하여 원형 설계 시 필요한 제 도식은 <Table 9>와 같다. 원형 설계 시 여유분의 정 확도를 높이기 위해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 레의 여유분계산은 다트량을 제외한 완성(제품)사 이즈에서 인체사이즈를 뺀 수치이다.

    2)Bodice pattern drafting method selected as the final

    차 차 착의평가를 1 , 2 거쳐 최종 연구 원형으로 선 정된 표준체형의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원형은 <Fig. 8>과 같다.

    IV.Conclusion and Suggestion

    3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브랜드의 슬림 핏 테 일러드 재킷 패턴을 수집하여 패턴을 비교 분석하 고, 외관·동작 착의 평가를 거치면서 패턴을 수 정·보완하여 30대 여성 표준체형에 맞음새가 좋 은 슬림 핏 테일러드 재킷 원형을 개발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발된 원형의 여유분은 가슴둘레 3.8cm, 허리둘레 7cm, 엉덩이둘레 3.8cm이다. 이러한 특징 은 트렌드의 반영으로 보다 날씬하고 젊어 보이는 슬림한 피트성을 표현하고자 약간의 여유분을 주 면서 활동성을 보완한 재킷 원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원형의 가슴둘레 여유분 배분은 앞 품 0.6cm, 뒤품 1.8cm, 옆품 1.4cm이다. 이는 앞, 뒤 에서 봤을 때 재킷이 슬림하게 보이도록 앞품의 여 유분을 아주 적게 주었으며, 뒤품과 옆품은 활동성 을 고려하여 앞품보다는 많게 배분하면서 슬림하 고 활동성 있는 재킷 원형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원형의 어깨길이는 11.4cm로 약간 좁게 하여 앞품의 타이트한 피트성을 슬림한 형태 로 만들었다.

    넷째, 개발된 원형은 뒤옆목점이 앞옆목점보다 0.5cm 높은 형태로 만들었다.

    다섯째, 개발된 원형은 앞처짐분이 1.5cm이다. 이는 둘레길이와 재킷길이 비율을 조금 길게 하여 시각적으로 더욱 슬림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30대 여성 표준체형의 슬림 핏 테 일러드 재킷의 맞음새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착의평가를 통해 맞음새가 좋은 재킷 원형을 개발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재킷 패턴 제도 시 원형 을 사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소 비자들의 맞음새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하지 만 표준체형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한계점으로 30 대 여성의 다양한 체형에 맞는 맞음새 요구에는 충 족시킬 없었다. 이에 30대 여성의 다양한 체형 특 징이 반영된 슬림 핏 재킷 패턴 개발의 후속 연구 를 제언하는 바이다.

    Figure

    RJCC-23-454_F1.gif

    Compared areas of collected patterns

    RJCC-23-454_F2.gif

    Design an experimenting jacket

    RJCC-23-454_F3.gif

    The collected patterns of brand

    RJCC-23-454_F4.gif

    Comparison of the collected patterns polymerization degree

    RJCC-23-454_F5.gif

    Image of the 1st appearance evaluation by brand

    RJCC-23-454_F6.gif

    Comparison of the selected patterns and final prototype

    RJCC-23-454_F7.gif

    The images of wearing the resulting slim fit tailored jacket

    RJCC-23-454_F8.gif

    The bodice pattern drafting method

    Table

    Compared areas items of collected patterns

    Body measurements of the subject (Unit: cm, °)

    Source: sizekorea.kats.go.kr

    Material quality of the experimenting jacket

    Comparison of the collected patterns applying measurements (Unit : cm)

    The 1st appearance evaluation

    *p<.05
    **p<.01
    ***p<.001
    Duncan test: a>b>c, ab a b, bc b c

    The 1st moving fitness evaluation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wearabilities for the 1st and 2nd appearance

    ***p<.001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wearabilities for the 1st and 2nd movements

    *p<.05
    **p<.01

    The prototype formula (Unit: cm)

    B(bust), W(waist), H(hip), C(chest), AH(armhole)

    Reference

    1. Choi CS (2012) A study on jacket making accordingto design preference analysis for Koreanbaby-boom generation women ,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 Hwang SH (2013) A study on the armhole depth & sleeve cap height of tailored jacke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3. Istituto Carlo Secoli (2013) Modellistica donna manuale [Modellist women manual], Carlo Secoli,
    4. Kim ES (2000) Comparison of selected jacket pattern draft methods focused on ease allowance and silhouett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Kim HS (2004) Jacket patterns planning of woman in twentie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MO (2009) The patternmaking of men's slimfit jacket -Focusing on men in the 30's ,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MO (2015) Patternmaking of men`s slim-fit jacket sloper in their 30`s , The Society of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Vol.17 (1) ; pp.93-101
    8. (20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 The 6th Korean Human Dimensions Research, ; pp.151-268
    9. Lee SJ (2009) The study on designing the jacket patterns according to the body shapes of the elderly women ,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School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0. Lee SY , Choi YS (2009) Pattern story 3, GiSulgwagamseong,
    11. Yun EY (2005) Basic bodice patterns by somatotype classification based on rhizome structure and purpose-fitting ,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