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ntroduction
현대 과학 기술의 혁신성은 기존의 관념적인 틀 을 벗어나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하여 시각적 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기술을 가시화 할 수 있는 창조적 발상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 로지는 패션에 있어서도 과학기술의 혁신적 진보 와 더불어 예술 및 산업분야 등 다양한 영역으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다. 그 중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기술 중 하나인 3D Printing은 전 세계적으로 현대 패러다임의 획기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 며, 이는 패션분야에서도 패션과 과학 기술의 융합 된 테크놀로지라는 개념으로 미(美)의 새로운 기준 을 제시하였다. 3D Printing 패션은 3차원 데이터 기술이 기존의 2D에서 3D로 발전함으로 인하여 3D 패턴으로 의복을 구성하는 입체적인 작업이 가 능한 응용 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진보한 디자인 영역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과학 기술 기반 의 디자인과 미학의 새로운 개념으로서 관심을 받 고 있는 3D Printing은 최근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독창적이고 조형적인 디자인을 위한 영감을 제공 하고, 과학기술이 제반된 패션 미학을 실현시키기 위한 하나의 표현 수단으로써 기술적 활용도를 높 이고 있는 추세이다(Kim et al., 2014).
본 연구와 관련된 최근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3D Printing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3D Printing 국내외 연구 동향(Kim & Kim, 2014)과 3D 프린터의 활용 현황과 응용방안에 관한 연구(Kim et al., 2013)가 이루어졌다. 또한, 3D Printing의 다양한 산업분야 의 개발 연구(Cho, 2012; Choi, 2014; Han, 2013; Oh, 2014; Yoon, 2013)가 있다. 패션 분야에서는 3D Printing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Yang, 2013) 가 이루어졌다. 이처럼 3D Printing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 으나, 아직까지 패션 분야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디자인 동향에 대한 분석 또는 디자인 개발에서의 연구만이 이루어진 부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계미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3D Printing의 원리와 현대 패션에서의 3D Printing 의 활용에 따른 조형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과학 기술 융합의 패션이 제시한 새로운 미(美)의 관점 을 재조명하고 향후 3D Printing을 활용한 패션디자 인의 창조적 발상과 전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자 한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3D Printing 에 관련된 선행 연구 논문, 국·내외 단행본, 인터 넷 및 전문서적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인 연구와 최 근 5년간 국·내외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수합한 3D Printing 기술이 접목된 의상의 이미지 자료를 대상으로 사례연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미지 선정기준은 3D Printing 테크놀로지에 관련된 컬렉션을 검색하여 1차적으로 82장을 추출하였으 며, 패션 디자인 전공 석·박사 8인이 관련 이미지 의 기사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3D Printing 테크 놀로지가 접목된 의상이라고 검증된 자료만을 선 정하는 전문가 집단조사를 통해 2차적으로 총 39장 을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3D Printing 기술의 표현에서 패션디자인의 요소 중 기본적 특징인 실 루엣과 조형을 중심으로 그 밖의 요소들을 다루었 음을 밝힌다.
기계미학을 주요 분석 근거로 제시한 배경은 인 문과 철학을 근간으로 하는 시대부터 자연주의적 성향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기술의 가치체계로 진 보함에 따라(Lee, 1998),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관계 성, 예술의 기능성 등의 현상을 기술 기반의 실용 과 기능이라는 미의 새로운 미래주의적 관점으로 3D Printing 패션현상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한 동향파악 및 기초사례 분석을 통해 과학의 접목을 통한 패션 산업영역 간 융합이라는 발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데에 의의가 있다.
II.Literature Review
1.Principals of 3D printing
3D Printing이란 신속 또는 쾌속 조형 기술로써 산업용 로봇이라 일컫는 3D 프린터에 3차원으로 설계된 도면을 2차원 단면으로 얇게 나누어 분석한 후, 특수한 소재를 층층이 쌓아올려 입체적인 사물 을 만드는 ‘Additive Manufacturing’ 제작 방식을 의 미한다(Hue & Ko, 2013). 즉, 2차원의 형태로 이루 어진 이미지나 도면, 또는 형상을 스캔하여 디지털 화한 후 프린트 기술을 통하여 3차원의 입체물을 제작하는 것이다. 3D Printing 테크놀로지는 1982년 미국의 Charles W. Hull 박사가 현재 3D printer의 제조 원리가 되는 Stereolithography를 발명하는 것 을 시발점으로 하여 1988년 그가 설립한 회사인 3D Systems에서 SLA 250라는 상업용 프린트 장비 를 출시하게 되었다(Choi, 2014). 30년이라는 역사 를 갖고 있는 3D Printing은 입체적인 물건을 정확 하고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미 재료와 제 조비용이 많이 드는 항공이나 자동차 산업 등과 같 은 분야에서 디자인 평가를 위한 시제품(prototype model) 제작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다.
3D Printing은 인쇄 방식에 따라 Subtractive manufacturing와 Addictive manufactur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기존의 전통방식인 커다란 덩어리를 도구로 깎아내어 원하는 모형을 만들어내는 방법 이며, 후자의 경우 Addictive manufacturing는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인쇄 방법으로 공식 명칭 이 되기 전까지 Rapid prototyping으로 불려졌다(Hue & Ko, 2013). Addictive manufacturing은 조형 재료 의 형태와 조형 방식에 의한 분류로 구분된다. 먼 저, 조형 재료의 형태로 구분해 보면, 재료의 형태 가 액체 상태로 장비에 공급되며 주로 레이저빔이 나 강한 자외선으로 재료를 순간 경화시켜 형상을 제작하는 Liquid-based RP systems, 고체 상태의 와 이어 또는 필라멘트 형태의 ABS 플라스틱 재료가 extrusion head로 공급되면 열에 의해 녹아 압축되 는 Solid-based RP system이 있으며, Powder-based RP system은 분말 또는 미세한 플라스틱, 모래 또 는 금속 성분의 가루로 재료성질이 석고 성분인 경 우 프린터 헤드에서 분사되는 교결제에 의해 굳어 지는 시스템과 폴리아미드나 금속 분말의 경우 레 이저로 소결하여 경화되는 시스템이 있다(Hue & Ko, 2013). 대표적인 조형방식은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DLP(Digital Light Processing) 의 4가지 제조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Kim & Kim, 2014).
2.Analytic criteria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ory of 3D Printing fashion from mechanic aesthetics
기계미학(mechanic aesthetic)은 1910년대와 1920 년대를 풍미한 1차 기계시대와 관련된 여러 운동의 공통점을 의미하며, 과학기술 진보에 따른 20세기 의 산업혁명으로 기계문명의 발달이 사회적·경제 적·문화적 영향이 중요하게 나타난 시기의 예술 사조이다. 이는 인간에게 물질적 풍요와 의식변화 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고, 기 술과 다른 분야의 융합을 통한 미래주의(futurism) 에 관한 디자인으로 표출되었다.
현대예술에 있어 기계미학에 근거한 미래지향적 시도는 20세기 초의 미래주의에서부터 시작되었고 기계의 역동성을 찬양하는 미래주의를 근간으로 하 고 있다(Huh & Ro, 2013). 다시 말해서, 기계미학 이란 과학기술에 미적 특성을 더한 것이며, 반복에 대한 대량생산, 효율성, 재료에 대한 고려 등 생산 메커니즘에서의 특성과 외형적 특성으로 분류되며 (Park, 2010), 미래주의의 요소 중 기계미학은 전통 적인 조형상의 표현 문제이전에 정신상황을 기계 과학 문명에 입각한 가치관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Lee, 1998). Jung and Kim(2006)에 따르면 기계미 학은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구조적인 특징을 가진 건축 재료를 표현적 매개체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 다고 하였다. Le Corbusier의 기계미학이론은 건축 의 합리적·기능적 조형을 중시했고, 생산 메커니 즘의 특성과 결합되어 현대 기계 사회에 대한 적합 한 인간적이고 이상적인 환경의 창출로서 해석하 였다(Lee, 2011). 이러한 논리는 인간을 기계수준으 로 축소시키는 수공업적 물질주의를 승화시켜 기 계에 기반을 둔 새로운 예술의 감성을 표현하는 매 개체로써의 현상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로써 기계미학은 전형적인 외관을 따르지 않는 건축을 지향한다는 의미에서 구축주의의 기반이 되며, 기계적 감각이 예술작품의 근원이라는데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계미학은 예 술이 물질성을 초월할 수 있다는 사고, 즉 기계와 기술이 자연을 극복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넘어선 사고와 동일시되며, 기계의 특성에서 간결성과 명 확성, 진실성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학적 규 범을 설명할 수 있다. 기술의 진보에 따라 다양한 미 래주의 디자인이 선보이게 되면서 패션영역에서도 다양한 디자인적 영감과 기술 및 패션의 융합적 측 면에서 기계미학과의 상관성을 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기계미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3D Printing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 하여, 기계미학이론과 미래주의적 요소의 특성에 기반을 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분 석기준을 도출하였다. 인체와 패션, 디자인,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나타난 융합과 내적 의미를 미래주 의 요소를 포함한 기계미학적 관점에서 재고해 보 고 디자인의 표현 특성에서 표출된 미(美)를 찾아 보고자 여러 선행연구(Nobert, 2003; Katsuhiro, 1995; Lee et al., 2013; Huh & Ro, 2013)를 통하여 표현특 성에 대한 분석기준을 토대로 자연의 형상과 기술 적 진화의 대비적 상징을 통한 형이상학적 가치 융 합, 부분적 역동성과 속도기반의 인터랙티브, 건축 적 요소와 우주적 이미지를 활용한 조형적 복합체 의 추상 표현, 인체형상과 상호작용하는 유기적 공 간의 이미지를 통한 구조의 실재화로 분석하였다. 이처럼 3D Printing 테크놀로지의 원리를 바탕으로 기계미학적 관점에서 3D Printing 패션의 조형적 특 성 분석기준을 도출한 것은 <Table 1>과 같다.
III.Expressive Types of 3D Printing Fashion Designs and Analysi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Machine Aesthetics Theory
현대 예술가들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방식에 서 기존의 패션에 사용되는 재료가 아닌 기술에 필 요한 공업적인 재료로 사용한다는 점이 혁신적인 요 소로 작용하면서, 테크놀로지에 적용된 작품들은 공 간적으로 한정된 물질적 존재가 아닌 연장된 공간으 로서 전체적인 환경을 변화시키게 되었다. 현대 패 션에 나타난 3D Printing 패션디자인 사례를 조형방 식에 따라 분류하면 일반적으로 SLA, SLS, FDM 조 형방식, 그 외 원리로 설명할 수 있으며, 앞서 도출한 기계미학이론의 대표적 관점에서 3D Printing 테크놀 로지가 접목된 패션디자인의 표현유형을 범주화하 여 각각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것은 다음과 같다.
1.Integration of metaphysical values through compared symbolization of natural feature and technical evolution
현대 패션에서의 3D Printing 테크놀로지의 활용 에 따른 조형적 특성으로 자연의 형상과 기술적 진 화의 대비 및 상징을 통한 형이상학 가치의 융합적 특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구체적으로 자연물에서 표출되는 근원적 아름다움과 친숙함을 디자인과 발전된 첨단 기술의 활용에 의해 예술로
승화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 형이상학 가치의 융합 을 표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연과 기술 이라는 서로 상반된 요소를 대비와 상징을 통해 관 찰자로 하여금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본질과 근원을 감각적으로 융합되도록 연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관련 디자인 사례는 첫째, SLA 조형방식을 통하 여 적층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중에서 대표적으로 Melinda Looi의 2011 S/S 컬렉션과 Iris Van Herpen 의 2011 S/S 컬렉션을 들 수 있다. Melinda Looi의 컬렉션에서는 새의 날개와 깃털에서 관찰할 수 있 는 역동적인 움직임, 특이한 형상과 패턴을 표현함 으로써(Seow, 2013), 자연물의 구체적 형상 및 움직 임을 묘사하여 자연물의 감성과 기술적 진보 간의 융합적 가치를 표출하였다(Fig. 1~23). 또한 Iris Van Herpen은 실제 꽃잎 등을 여러 겹 포개놓은 것과 같은 복잡하고 기하학적인 디자인을 시각적으로 구현함으로써(Perepelkin, 2013h), 자연과 인공이 가 지고 있는 대비적 가치를 첨단 기술을 통한 형이상 학적 융합으로 표현하였다(Fig. 4).
둘째, SLS 조형방식 원리를 이용하여 3D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은 다수로 나타났고 그 사례 는 다음과 같다. 2012년도 Natasha Fagg는 곤충에 서 영감을 얻어 드레스 뒷부분에 입체적으로 레이 어링(layering)하고 자연소재인 울(wool)을 결합함 으로써(Perepelkin, 2013a), 자연형상의 기술적 활용 뿐 아니라 자연과 인공소재의 상반된 믹스매치(mixmatch) 를 특징적으로 표출하였다(Fig. 5, 6). 2013년 도 Frankfurt International Motor Show에서 발표된 의상으로, 꽃, 나무뿌리의 유기적 디자인에 실루엣 센서를 결합하여 연기를 표출하면서 환상적 효과 를 연출하는 디자인을 통해(Martin, 2013), 자연과 기술의 형이상학적 가치를 융합한 조형적 특성이 라 볼 수 있다(Fig. 7). 또한 Victoria's Secret 컬렉션 에서는 눈송이에서 표출되는 기하학적인 구성을 날 개와 왕관의 형상으로 접목하여 인체에 둘러싸는 디자인을 표현함으로써(Prigg, 2013), 자연물과 인 공물간의 대비적 가치를 상징적으로 형상화 하였 다(Fig. 8). 다음은 디자이너 Catherine Wales 컬렉 션 작품으로 분말형태의 나일론(nylon) 소재를 활 용하여 디자인한 것이 특징이며 평화와 조화, 자유 를 상징하는 흰색 비둘기 깃털의 형상을 레이어로 표현하여(Flaherty, 2013), 자연물의 형상을 기술의 섬세함으로 표현하고 있다(Fig. 9). 마지막으로 폴 리아미드(polyamide)를 사용한 2014 S/S 컬렉션의 Quixotic divinity headdress는 물이라는 동적인 액체 형태의 형상을 정적인 오브제로 형상화함으로써 (Galyan, 2013), 자연과 생물적 진화 등에 대한 시각 적 확장을 나타낸 패션과 테크놀로지 융합의 대표 적인 사례라 볼 수 있다(Fig. 10).
2.Partial dynamics and interactive velocity-based
3D Printing 테크놀로지가 접목된 패션의 조형적 특성 중 기계미학의 특성 중 하나인 속도감에서 느 껴지는 미(美)와 시각적 역동성을 추구하는 테크놀 로지를 통하여 나타나는 부분적 역동성과 속도기반 의 인터랙티브적 요소를 찾을 수 있다. 이는 기계적 움직임 또는 움직이는 것과 같은 착각을 주는 역동 적인 형태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움직임과 변화 가 능성의 상호적 의미를 표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관련 디자인 사례로 첫째, SLS 조형방식을 통하 여 선택적 레이저 소결 방식을 활용한 디자인 중 Iris Van Herpen의 2011 S/S Escapism collection을 들 수 있다. 구체적 디자인의 표현으로는 미세한 선들을 출력하여 얽히게 연결한 다음, 마치 모세혈 관이 합쳐져서 움직이는 것과 같은 표현이나(Sandra, 2013), 반복적인 주름을 잡아 과감한 운동성을 표 출한 상의와 금속재질의 미래적 속도감이 느껴지 는 하의와의 조화, 역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으 로 상체를 감싸는 패턴의 복잡한 구성, 반복되는 원의 형태를 여러 번 겹쳐서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 럼 시각적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착각을 주는 표 현 요소 등, 디자이너가 표현하고자 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데칼코마니적인 감각으로 패턴 등을 표현 함으로써(Perepelkim, 2013a),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 방향성과 역동성의 상호적 관계를 표현하고 있 다(Fig. 11~1213). Amelia Agosta의 컬렉션 중에서도 코뿔소 모양의 형태의 상의를 기하학적 형상으로 표현됨을 볼 수 있다(Marmey, 2012)(Fig. 14). 또한 유사한 사례로 Iris Van Herpen의 2011 F/W 컬렉션 에서는 인체의 해부학적인 역동성에 착안하여 디자 인한 드레스와 파도가 굽이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반복적인 큰 주름효과를 통한 움직임의 착시, 미세한 선의 연결로 연속적인 물결모양의 형태를 제 작함으로써(Templeton, 2014), 디자인상에서의 인위 적 속도감을 재현하고 있다(Fig. 15, 16). 뿐만 아니 라, 디자이너 Pin Hinze는 의상 표면의 컬러와 다양 한 재료를 활용함으로써(Park, 2013a), 상의와 하의 를 네오바로크 스타일의 굽이치는 선의 유동적 표현 을 활용하여 방향성과 역동성을 부여하고 적극적인 디지털 이미지 또는 속도감을 부각시킨 디자인을 표 현한 사례가 있다(Fig. 17). Iris Van Herpen의 2011 S/S 컬렉션에서는 피부 톤과 대비되는 색상을 가진 소재를 출력하고 이들을 서로 혼합하여 조화함으로 써, 레이스 조직, 나무의 줄기 표현과 같은 역동적 테크닉으로 표현하였으며(Fig. 18), 플랑드르 고딕성 당에서 표출되는 이미지를 폴리아미드의 원재료에 구리전기도금을 함으로써(Perepelkim, 2013e), 건축 에서 나타나는 유동적 조형을 나무 조각의 복잡한 형상구조로 표현하여 디자인하였다(Fig. 19).
둘째, FDM 조형방식에서 PLA 필라멘트를 재료 로 적층기법의 구현방식을 활용한 2013년 Francis Bitonti 컬렉션을 들 수 있다. 거꾸로 뒤집어 표현한 다는 의미를 가진 Verlan dress라 불리는 디자인은 몇몇 종류의 재질과 다양한 굵기의 선들을 조합한 패턴을 디자인함으로써(JR, 2013), 근육 섬유질 형 상이 마치 몸 밖으로 나와 부분적 결합이 된 것 같 은 역동성과 인체와 의복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표 현하고 있다(Fig. 20).
이와 같이 부분적 역동성과 속도기반의 인터랙 티브를 표현하는 3D Printing의 조형방식은 SLS 조 형방식과 FDM의 원리로 디자인된 사례들로 찾을 수 있으며, 이 가운데 SLS 조형방식은 다양한 소재 를 활용하여 직접적인 레이저 도입을 통한 환상적 이미지 연출과 재료의 반복적 재생 가능성을 목적 으로 하는 조형방식이 디자인의 역동적인 효과를 지향하는 표현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 록 함을 고찰할 수 있다.
3.Abstract expression of formative combinations using architectural components and cosmos images
현대 패션에서의 3D Printing 패션의 조형적 특성 으로 건축적 요소와 우주적 이미지를 활용한 조형적 복합체의 추상 표현으로 그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미래적 요소에서 영감을 얻은 우주적 형체들과 디자인 요소들 사이에서의 추상을 발견하 고, 혁신적 신소재와 첨단 기술의 접목을 통해 미래 적인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구조적, 기술적 측면이 강조된 가상공간 이미지를 디자인하고 건축적 조형 의 복합체에 대한 미를 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관련 디자인 사례는 첫째, SLA 조형방식을 통하 여 적층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중에서 실리콘과 플 렉시글라스를 재료로 활용한 것이 특징이며, Iris Van Herpen의 2015 S/S 컬렉션에서 자연과 예술, 건축이 함께 공간과 공간을 중첩시키는 형태로 공 존을 표현하는 방식의 디자인(Lilangel, 2014), 패션 과 건축적인 요소의 융합을 상징하는 H, A라인의 다양한 형태로 여러 겹을 레이어드한 디자인을 설 명할 수 있다(Fig. 21~23).
둘째, SLS 조형방식 원리를 이용하여 폴리아미 드로 3D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은 Amelia Agosta의 컬렉션에서 찾을 수 있는데, 공예와 테크 놀로지의 융합을 통해 왜곡된 형태의 선을 중첩함 으로써(Angerman, 2011), 우주공간의 궤도와 같은 이미지를 연상시키고, 하드와 소프트 소재의 복합 적 패턴구성을 통하여 조형적 공간을 형성하였다 고 할 수 있다(Fig. 24). Catherine Wages는 딱딱한 느낌의 직선의 구조적 연결을 통해 입체적인 공간 의 창출과 유선의 바디 실루엣을 직선의 건축적 스 케일을 함께 고려하여 디자인함으로써(Howarth, 2013), 우주와 건축의 조형에서 느껴지는 시각적 공간을 표현하였다(Fig. 25). 뿐만 아니라, Victoria's Secret 컬렉션에서는 음표가 그려진 선들의 조합을 구조 적인 프레임의 코르셋과 함께 연결하여 공간적 요소 를 표현하거나(Fig. 26), 유기적 방법으로 얇게 짜인 건축 구조의 복합체를 상징하는 것과 같은 여러 개 의 레이어들로 중첩한 디테일을 표현하였다(Franky, 2013)(Fig. 27).
셋째, FDM 조형방식에서 PLA 필라멘트를 재료 로 적층기법의 구현방식을 활용한 디자인 중 2013 년 Francis Bitonti 컬렉션에서는 유연한 소재를 사 용하여 미세한 선, 삼각형, 도형들 간의 연결로 구 조적인 모형을 표현하여(JR, 2014), 공간의 복합체 를 추상적으로 표현하였다(Fig. 28).
넷째, Polyjet 조형방식은 고강도 복합재료를 사 용하며 서로 다른 물성의 재료를 동시 분사, 조합 해 생성되는 복합구현 방식으로, Noa Ravor의 2014 Graduation fashion show에서는 고대 그리스 조각을 바탕으로 평면, 입체패턴을 교차, 조합하여(Mendoza, 2014a), 우주적 형태와 건축적 요소의 복합적 표현 이라 볼 수 있다(Fig. 29, 30).
이와 같이 건축적 요소와 우주적 이미지를 활용 한 조형적 복합체의 추상 표현에 나타난 3D Printing 의 조형방식의 특징은 다양한 방식의 원리로 이루어 진 사례들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기존의 일반적인 조형방식보다 두 재료가 특정 농도와 구조로 결합해 고유의 기계적 물성을 창출하는 Polyjet 조형방식이 디자인의 건축적인 조형요소와 우주적 이미지를 연 상케 하는 유동적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효과적인 원리 중 하나임을 파악할 수 있다.
4.Substantialized structure thru images of organic space interacted human shape
3D Printing 테크놀로지가 접목된 패션의 조형적 특성은 인위적인 형태의 공간구조를 인체와 유기적 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하여 실재적 형상을 재 현함으로써, 인체형상과 상호작용하는 유기적 공간 의 이미지를 통한 구조의 실재화로 말할 수 있다. 이 는 인간, 공간, 테크놀로지의 융합과 서로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한 조화, 커뮤니케이션을 상징하고 있다.
관련 디자인 사례로 첫째, SLA 조형방식을 통하 여 실리콘으로 적층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중 Iris Van Herpen의 2011 S/S 컬렉션에서는 인체형상의 유연 하고 부드러운 형태의 구조적 공간감을 가진 실루엣 을 효과적 표현하였고(Bodhani, 2014), 제2의 피부라 불리는 유사한 색상의 누드톤 소재를 활용하여 뼈를 형상화한 모형과 소재 사이의 얇은 틈의 공간을 형 성하여 인체를 따라 흐르는 듯한 시각적 실재화를 표현하였다(Fig. 31). 또한 Iris Van Herpen의 2015 S/S 에서는 실리콘, 플렉시글라스 소재로 얼음조각의 단 단한 형태를 가진 물성을 활용하여(Luimstra, 2014), 인체 실루엣을 따라 유기적 공간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부드럽게 연출된 실루엣과 반짝이는 크리스털 의 세밀한 디테일을 표현하였다(Fig. 32).
둘째, SLS 조형방식으로 선택적 레이저 소결방 식을 활용한 디자인 중 ThreeASFOUR 2014 S/S 컬 렉션에서 여러 가지 모양의 입체적 모형들이 연속 적으로 교차하면서 결합된 구조를 유기적으로 연 결함으로써(Perepelkin, 2013f), 인체를 둘러싼 한 덩어리로 인식되어 공간이 확장된 인체형상의 표 현을 나타내었다(Fig. 33, 34). 뿐만 아니라, Bradley Rothernberg의 New York fashion week에서는 열가 소성 폴리우레탄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활용한 유연한 소재의 사용으로(Grunewald, 2014), 인체에 착장이 편안한 감각을 주고 육각형 형태의 세밀한 매쉬(mesh) 구조로 패턴 디자인 효과를 유기적으로 연출함으로써, 웨어러블 테크놀로지에 가장 이상적 인 의상디자인을 표현하였다(Fig. 35).
셋째, FDM 조형방식에서 PLA 필라멘트를 재료 로 적층기법의 구현방식을 활용한 디자인 중 Francis Bitonti 컬렉션에서의 Dita von dress는 인체의 실루 엣에 따라 수천 개의 관절형상을 유기적 형상으로 부분 조립하여(Duann, 2013), 인체형상과 실루엣의 공간감 사이에 조화를 이루었고(Fig. 36), 싱가포르 에 있는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에서 개최 한 3D 프린팅 패션 경연대회에 물방울 모형의 크기 변화의 패턴 의상을 제작하여(Perepelkin, 2014), 인 체형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Fig. 37).
넷째, 고강도 복합재료를 사용한 Polyjet 조형방 식으로는 MIT 교수이자 아티스트인 Nix Oxman의 작품을 손꼽을 수 있는데, 하나의 근육표면을 패턴 으로 제작하여 이를 연속적인 표면 구조로 연결한 다음, 피부형상의 공간 구조를 유기적으로 디자인 함으로써(Green, 2012), 물성 변조가 가능한 갑옷 구조의 코르셋을 제작하였다(Fig. 38). 또한 Objet사 의 Connex를 재료로 활용하여 단단한 재질과 부드 러운 재질을 동시에 교차 사용함으로써(Chalcraft, 2013), 실제 피부와 유사한 텍스츄어의 정교하고 유기적 형상을 재현하여 인체와 의복간의 실제적 공감각을 부여하였다(Fig. 39).
이와 같이 인체형상과 상호작용하는 유기적 공간 의 이미지를 통한 구조의 실재화에 나타난 3D Printing의 조형방식은 다양한 방식의 원리 및 다양한 소재로 접근가능하다는 측면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인체형상과 유사한 실루엣의 재현, 피부 의 텍스츄어를 유사하게 모방 가능한 테크놀로지 를 보여주는 디자인의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5Formative characteristics following expressive types of 3D printing fashion based on machine aesthetics theory
다음은 현대 패션에 나타난 3D Printing 패션디 자인 사례를 조형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기계미학 의 관점에서 3D Printing 테크놀로지가 접목된 패션 디자인의 구체적 표현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융합성, 역동성, 추상성, 실재성의 조형적 특성으로 이를 정리한 것은 <Table 2>와 같다.
IV.Conclusion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패션컬렉션은 일반적인 패 션 컬렉션 의미를 벗어나 첨단 기술과 각종 미디어 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디자이너의 개성 표현과 실험적인 패션의 장으로 연출되고 있으며,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하나의 수단인 동시에 물질적 공간 개념을 해체시키고 빛 이미지를 통해 확장된 가상공간으로까지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계 미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3D Printing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패션디자인에 있어 인간의 감성과 테크놀로지의 표현간의 미적가치를 조명하 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3D Printing 패션의 조형적 특성으로는 융 합성으로써 이는 자연의 형상과 기술적 진화의 대 비 및 상징을 통한 형이상학 가치의 융합으로 설명 할 수 있으며, 자연물에서 표출되는 근원적 아름다 움과 친숙함을 디자인과 발전된 첨단 기술의 활용 에 의해 예술로 승화시킴으로써, 자연과 기술이라는 서로 상반된 요소를 대비와 상징을 통해 관찰자로 하여금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본질과 근원을 감각 적으로 융합되도록 연출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연물의 형상을 기술적 진보와의 융합으로 재창조 한 3D Printing의 조형방식은 SLA, SLS 원리로 디 자인 된 사례들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원리에 서 주로 사용된 SLS 조형방식은 폴리아미드, 나일 론 등의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직접적인 레이저 도입을 통한 환상적 이미지 연출 또는 간편하고 정 확한 모양의 가공을 장점으로 자연의 형상을 효과 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기계미학의 특성 중 하나인 속도감에서 느 껴지는 미(美)와 시각적 역동성을 추구하는 테크놀 로지를 통해, 3D Printing 패션의 조형적 특성으로 역동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는 부분적 역동성과 속도기반의 인터랙티브적 특성을 의미하고 있다. 이는 역동적인 형태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움직임 과 변화 가능성의 상호적 의미를 표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 역동성과 속도기반의 인터랙티브를 표현하는 3D Printing의 조형방식은 SLS. FDM의 원리로 디자인 된 사례들로 찾을 수 있으며, 이 중 주로 사용된 SLS 방식은 재료의 반 복적 재생 가능성을 목적으로 하는 조형방식이 디 자인의 스케일과 역동적 효과를 효과적으로 지향 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건축적 요소와 우주적 이미지를 활용한 조 형적 복합체의 추상표현으로 추상성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미래적 요소에서 영감을 얻은 우주적 형체들과 디자인 요소들 사이에서의 추상을 발견 하고, 혁신적 신소재와 첨단 기술의 접목을 통해 미래적인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구조적, 기술적 측 면이 강조된 가상공간 이미지를 디자인하고 건축 적 조형의 복합체에 대한 미를 추구하고 있다. 이 러한 특성은 다양한 원리로 이루어진 사례들을 찾 을 수 있었으며, 특히 두 재료가 특정 농도와 구조 로 결합해 고유의 기계적 물성을 창출하는 Polyjet 조형방식이 디자인의 건축적 조형요소와 우주적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유동적 이미지를 복합적으 로 표현할 수 있는데 효과적인 원리 중 하나임을 파악할 수 있다.
넷째, 3D Printing 패션의 조형적 특성으로는 재 현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체형상과 상호작용하는 유기적 공간의 이미지를 통한 구조의 실재화로 특 성을 고찰할 수 있다. 이는 인위적인 형태의 공간 구조를 인체와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 인하여 실재적 형상을 재현함으로써, 인간, 공간, 테크놀로지의 융합과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 성은 다양한 조형방식과 소재로 접근가능하다는 측 면이 특징적이라 분석 할 수 있으며, 특히 인체형상 의 구조재현, 피부의 텍스츄어의 실제적 모방 등 테크놀로지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3D Printing 테크놀 로지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함께 다양한 작품들 을 통하여 새로운 기술과 패션의 이미지를 연출하 였고 패션의 다양한 영역을 창조하고 있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는 3D Printing의 보급과 사용자의 범 위에 있어 확대될 필요성이 있으며, 사용재료 특유 의 물성에 의하여 패션디자인 영역으로의 편리한 적용 등 보편적인 사용이 제한적인 부분이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3D Printing 테크놀로지가 미래에는 국한된 원자재가 아닌 무한한 가능성을 주는 방식 과 원리를 지향함으로써, 가까운 시기에 우리 일상 생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측면으로 대 중화될 것이라 예상해본다. 이와 더불어 향후 다양 한 기술을 접목한 의상 디자인 개발과 다양한 분야 와의 학문을 통한 폭넓은 시각에서 심층적인 후속 연구 또한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