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ossref logo
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401(Print)
ISSN : 2383-6334(On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3 No.2 pp.242-253
DOI : https://doi.org/10.7741/rjcc.2015.23.2.242

Analysis of cross sections and silhouette in body shape according to girdle worn using 3D body scanner

Ho-Sun Lim, Jongsuk Ch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jschun@yonsei.ac.kr)
January 20, 2015 April 22, 2015 April 22, 2015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se a 3D human body scanner to analyze the cross section of different body parts when a girdle is worn. Two types of girdle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arments: a standard type girdle (Garment A) and a high-waist type girdle (Garment B). Their sizes were 88 (S) and 94 (M). Ten female subjects in their twenties who wear girdles sizes 88 (S) and 94 (M) participated the experiment. Their bodies were scanned three times with the 3D human body scanner, before and after wearing experimental girdl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overlapping the cross sections of the 3D scanned body shape data. The space length was measured from the overlapped cross sections. The results show that human body silhouette are changed after wearing the compression type garments and the amount and place of the body change is different by style of garments. First, the waist girth shape became rounder. Second, there was a definite difference in space amount at abdomen girth between two types of girdle. The abdomen area was pushed toward the front after wearing the standard type girdle (A). The high-waist type girdle (B) pushed abdomen area toward the back. Third, there was clear difference at the hip area after wearing two types of girdle. The hip area pushed toward the front with the standard type girdle (A) and pushed toward the back with the high-waist type girdle (B).


3차원 인체스캐너를 이용한 거들 착용에 따른 인체 형상 단면도와 실루엣 변화 분석

임 호선, 천 종숙*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초록


    I.Introduction

    현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의식의 변화 에 따라 건강하고 균형 잡힌 체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체형에 잘 맞고 체형 보정효과가 높은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파운데이션 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체형보 정에 대한 연구와 제품개발 등이 활발히 이루어지 고 있다.

    또한 여성의 신체 실루엣을 변화시키기 위해 착 용되는 대표적인 파운데이션 의류인 거들의 착용 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었다. 착용감에 대한 연구로는 파운데이션 거들의 착용 실태 및 수용도에 관한 연구(Hwang & Lee, 2008; Park & Han, 2001), 파운데이션 착용감에 대한 피 험자의 주관적 평가 및 전문가 집단의 착의 외관 평가와 의복압 측정을 이용한 착용감 평가에 관한 연구(Kim & Yi, 2001; Nam & Lee, 2002) 등이 있 다. 이외에도 거들 착용에 따른 의복압과 신체치수 변화를 분석하고 거들 사이즈 개선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이루어졌다(Chun & Kim, 2012). 또한 실루 엣의 변화에 대한 연구로는 무아레 사진 촬영을 이 용한 파운데이션의 체형보정효과에 관한 평가 연 구(Park, 2001), 거들의 소재에 따른 의복압의 차이 와 신체 보정 효과에 관한 연구(Park & Chun, 2012) 등이 있다.

    그러나 의복압 및 무아레 사진 촬영을 사용한 연구 방법은 파운데이션 착용에 따른 인체 실루 엣 변화를 분석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최근 의류패션산업 분야에 서 인체치수와 인체형상 측정, 착장 평가 및 의류패 턴설계에 3차원 인체스캐너를 사용하고 있다(Istook & Hwang, 2001; Lim, 2009; Suh & Chun, 2004). 그러나 3차원 인체스캐너 기술을 활용한 파운데 이션 거들의 착장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인체스캐너를 이용 하여 거들 착용 후 나타나는 착의 단면도 형태와 공극량을 분석하여 거들 타입과 사이즈에 따른 인 체 부위별 실루엣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II.Methods

    1.Experimental garment selection

    체형보정속옷 전문브랜드인 V사의 다양한 스타 일의 거들 중 가장 일반적인 스타일인 스탠다드 타 입 거들(실험복 A)과 하이웨스트 타입 거들(실험복 B) 2종류 디자인을 선정하였다(Fig. 1). 거들 사이 즈는 88(S)와 94(M)의 2가지 사이즈로 선정하였다. 호칭 88(S)는 64-88(허리둘레-엉덩이둘레)가 기본 신 체치수였고, 허용 범위 치수는 허리둘레 61~67cm, 엉덩이둘레 83~93cm에 해당되었다. 호칭 94(M)은 70-94(허리둘레-엉덩이둘레)가 기본 신체치수였고, 허용 범위 치수는 허리둘레 67~73cm, 엉덩이둘레 89~99cm에 해당되었다.

    2.Subjects

    본 연구의 피험자는 20대 여성이었다. 88(S) 사이 즈 착용자로 허리둘레 61~67cm, 엉덩이둘레 83~93cm 에 해당하는 5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였고, 94(M) 사이 즈 착용자로 허리둘레 67~73cm, 엉덩이둘레 89~99cm 에 해당하는 5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여 총 10명을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피험자들은 최근 국민체위조 사 자료의 20대 여성의 표준 기본신체치수의 평균 에 근접한 여성들이었다(Table 1).

    3.3D scanning procedure

    3차원 인체 스캐너는 일본 하마마쮸(Hamamatsu) 사의 Bodyline Scanner(BLS)를 사용하였으며, 3차 원 인체측정용 기본 실험의류(스판 소재의 브라탑 과 브리프)와 2종의 실험용 거들을 각각 착의한 상 태로 스캔하였다. 기본 실험의복 상의(브라탑)는 실 험용 거들을 착용 시에도 상의로 착용하였다. 실험 용 거들 안에는 개인이 평소 착용하는 팬티를 착용 하도록 하였다. 실험용 거들은 스탠다드 타입 거들 (실험복 A)과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들(실험복 B)의 순서로 하였다.

    측정 시 피험자의 자세는 좌우발의 발끝간격을 18cm로 벌리고 몸통과 손목과의 거리가 17~19cm 이 되도록 벌리며 눈은 정면을 향한 상태를 유지하 는 자세였으며, 반복되는 촬영에서 동일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47개의 랜드마크와 62개 인체측정치 항목을 자 동으로 측정하는 자동 인체치수 측정 프로그램인 Bodyline 매니저 프로그램(ver.1.3)을 이용하여 각 부 위별 치수를 측정하였다.

    4.Analysis of cross section

    실험복의 착의에 따른 신체 실루엣의 변화를 비 교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형상 데이터를 obj파일로 저장하고 이를 Body Analyzer 프로그램에서 불러 인체 부위별 단면도를 생성하였다. 단면형상은 허 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의 총 3부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공극량 분석 방법은 선행연구(Cha & Chun, 2011; Choi & Kim, 2004; Kim et al., 2001; Kim et al., 2011; Suh & Park, 2008)에 근거하여 허리둘레, 배 둘레, 엉덩이둘레의 인체에서 실험복 간 공극길이 를 측정하였다.

    인체단면의 공극량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Fig. 2(a), (b)). 인체를 좌우대칭으로 나누는 중심선 상 에서 앞뒤의 최대 두께의 이등분 점 ‘O’점으로 명 명하며 이 점을 지나는 수직선과 수평선을 그린다. 수평선 상의 SR90와 SL90에서 ‘앞뒤 최대두께의 치수/2’ 치수(=▲) 만큼 들어온 점을 ‘P’점과 ‘Q’점으 로 명명한다(Fig. 2(b)). 또한 ‘P’점과 ‘Q’점을 중심 으로 측면의 단면을 30도 간격으로 나누는 계측선 을 긋는다(Fig. 2(b)). 그리고 3차원 측정 형상데이 터의 좌우 발위치를 중심으로 인체의 단면도에 실 험복 착장 단면도를 중합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계 측선(i)부터 인체의 둘레단면도 길이(a)와 실험복 착 장상태의 둘레단면도 길이(b)를 측정한 후 식 (1)을 사 용하여 인체와 실험복 간의 공극량을 산출하였다.

    Space distance change between body and garment % = bi ai ai × 100
    (1)

    또한 실험복 착의에 따른 신체부위별 단면 형상 변 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Cha & Chun, 2011; Suh & Park, 2008)에 근거하여 식 (2)를 기준으로 신체부위별 편평률을 산출하였다.

    Cross Section Ellipicty(%) = Thickness Width × 100
    (2)

    III.Results and Discussion

    1.Cross section ellipicty analysis

    기본 측정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3D 스캔한 단 면과 실험용 거들 착용한 상태에서 3D 스캔한 부 의별 단면을 중합하여 편평률과 공극량을 분석하 였다. 분석부위는 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이 었다.

    각 신체부위별 단면 편평률의 변화를 비교분석 한 결과, 허리둘레는 실험복 A와 실헙복 B를 착용 했을 때 각각 0.5%와 0.7%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배둘레도 실험복 A에서는 0.3% 증가하고 실험복 B에서는 1.2% 증가하였다. 엉덩이둘레도 실험복 A와 실험복 B에서 모두 0.8% 증가하였다(Table 2). 이와 같이 실험용 거들을 착용하였을 때 편평 률이 미세하게 증가하였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거 들 착용에 따라 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가 모두 조금씩 둥글게 실루엣이 변화하였음을 시사 한다.

    2.Overlapped cross sections analysis

    단면중합도는 허리둘레, 배둘레, 엉덩이둘레 부 위의 인체 단면과 착의 상태의 단면을 구하여 기본 브리프와 실험복(A와 B) 간의 공극량을 계측하였 다. 88(S) 사이즈 피험자들이 기본 브리프, 스탠다 드형 거들(실험복 A), 하이웨이스트형 거들(실험복 B)을 착용하였을 때의 단면을 허리둘레, 배둘레, 엉 덩이둘레별로 나누어 중합하였다(Fig. 3). 또한 94(M) 사이즈 피험자들의 인체 단면도 중합하였다(Fig. 4). 실험데이터는 실험복의 스타일에 따른 공극량 차 이와 사이즈에 따른 공극량 차이를 각각 비교분석 하였다. 공극량 계측부위는 앞중심부위(F), 오른쪽 앞 사선부위(FR0, FR30, FR60), 왼쪽 앞사선부위(FL0, FL30, FL60), 오른쪽 옆선부위(SR90), 왼쪽 옆선부 위(SL90), 뒤중심부위(B), 오른쪽 뒤사선부위(BR0, BR30, BR60), 왼쪽 뒤사선부위(BL0, BL30, BL60) 이었다.

    3.Space distance change after wearing girdle

    공극량은 앞중심부위(F), 오른쪽 앞사선부위(FR0, FR30, FR60), 왼쪽 앞사선부위(FL0, FL30, FL60), 오른쪽 옆선부위(SR90), 왼쪽 옆선부위(SL90), 뒤 중심부위(B), 오른쪽 뒤사선부위(BR0, BR30, BR60), 왼쪽 뒤사선부위(BL0, BL30, BL60)에서 측정하였다.

    1)Waist

    거들 타입과 측정 위치에 따라 공극량의 차이를 나타냈다.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을 착용하였 을 때 뒤에서는 허리 단면도의 공극량이 총 14.02%가 감소하였으나 앞에서는 총 24.33%가 증가하였다. 그 러나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들(B)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뒤에서 총 4.89% 증가하였고, 앞에서도 총 24.23% 증가하였다. 허리둘레의 후면 부위인 뒤중심부위(B) 에서도 거들의 종류에 따라 공극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냈다.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은 공극량 (–1.95%)이 감소하였으나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 들(실험복 B)은 공극량(8.79%)이 증가하였다(Table 3). 이는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을 착용하였 을 때 뒤에서 감소한 허리둘레가 앞으로 이동하였 으며, 자세의 변화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한다.Fig .5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의 사이즈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88(S)와 94(M) 사이즈에 따른 허리둘레 부위의 공극량 차이를 나타냈다(Table 4).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88(S) 사이즈 착용자들보다 94(M) 사이즈 착 용자들이 거들 착용 후 앞과 뒤 공극량의 변화가 크 게 나타났다. 94(M)는 88(S)에 비해 허리 전면(F, FR0, FR30, FR60, FL0, FL30, FL60)에서 5% 이상의 공 극량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허리 후면(B, BR0, BR30, BL0, BL30)에서 4% 이상의 공극량의 감소를 나타 냈다. 그러나 88(S) 사이즈 착용자들은 거들 착용 후 앞과 뒤 공극량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약간의 증 가를 나타냈다.Fig .6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들(실험복 B)의 사이즈에 따른 허리 단면도 공극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88(S) 와 94(M) 사이즈에 따른 허리둘레 부위의 공극량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이 다르게 나타났다(Fig. 7). 88(S) 사이즈 착용자들이 94(M) 사이즈 착용자들보 다 거들 착용 후 앞과 뒤 공극량의 변화가 크게 나 타났다. 88(S)는 허리 전면(F, FR0, FR30, FL0, FL30, FL60)에서 5% 정도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허리 후 면(BR0, BL30, BL60)에서 3% 정도의 감소를 나타 냈다. 반면 94(M)은 허리 전면(F, FR0, FR30, FR60, FL0, FL60)에서 1% 정도의 적은 공극량 증가와 허 리 후면(BR30, BR60, BL0, BL60) 1% 정도의 적은 공극량 감소를 나타내었다(Table 5).

    2)Abdomen

    배둘레 부위의 공극량도 거들 타입에 따라 뚜렷 한 차이를 나타냈다.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을 착용하였을 때 앞에서는 전반적으로 증가하 였으나 뒤에서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Fig. 8). 그러나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들(B)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앞에서 미약한 감소를 나타냈다(Table 6). 이는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을 착용하였을 때 배가 앞으로 내밀어지는 자세의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하이웨이스트 거들(실 험복 B)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자세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배가 약간 납작해지는 실루엣의 변화가 나 타남을 시사한다.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의 사이즈에 따른 배단면도의 공극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88(S)와 94(M) 사이즈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Table 7). 88(S) 사 이즈 착용자들보다 94(M) 사이즈 착용자들이 거들 착 용 후 앞과 뒤 공극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94(M) 는 배둘레 전면(F, FR0, FR30, FR60, FL0, FL30, FL60)에서 공극량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후면(B, BR0, BR30, BL0, BL30)에서는 공극량이 크게 감소하였 다. 그러나 88(S) 사이즈 착용자들은 거들 착용 후 앞과 뒤 공극량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Fig. 9).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들(실험복 B)의 사이즈에 따른 배단면도의 공극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사이 즈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Fig. 10)(Table 8).

    3)Hip

    엉덩이둘레 부위의 공극량도 거들 타입에 따라 뚜렸한 차이를 나타냈다.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 복 A)을 착용하였을 때 뒤에서는 전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앞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Fig. 11). 그러나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들(B)을 착 용하였을 때에는 앞의 대부분 부위와 뒤의 왼쪽에 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Table 9). 이는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을 착용하였을 때 앞으로 내밀어지는 자세의 변화가 있었을 가능 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하이웨이스트 거들(실험복 B)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전반적으로 엉덩이가 슬 림해지는 실루엣의 변화가 나타남을 시사한다.Table 10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의 사이즈에 따른 엉덩이둘레 단면도의 앞과 뒤 공극량 차이를 비교 한 결과 88(S) 사이즈 착용자들보다 94(M) 사이즈 착용자들이 거들 착용 후 앞과 뒤 공극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Fig. 12). 94(M)는 엉덩이둘레 전면 (F, FR0, FR30, FL0, FL30)에서 공극량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후면(BR0, BR30, BL0, BL30, BL60)에 서는 공극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88(S) 사이 즈 착용자들은 거들 착용 후 일부 구간(FL0, FR0, SL90, BL30, BL60, B)에서만 변화가 크게 나타났 다(Fig. 12).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들(실험복 B)의 사이즈에 따른 엉덩이둘레 단면도의 앞과 뒤 공극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사이즈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Fig. 13). 일부 앞 중심 구간(F, FL0, FR0)에서만 차 이가 나타났다(Table 11).

    IV.Conclusion

    본 연구는 3차원 인체스캐너를 이용하여 거들 착 용 후 나타나는 허리, 배, 엉덩이 부위별 착의 단면 중합도를 분석하여 거들 착용에 따른 인체 실루엣 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변화는 거들의 종류와 사이 즈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들 착용 전과 후의 허리, 배, 엉덩이둘레 의 편평률을 비교분석한 결과, 스탠다드 타입 거들 (실험복 A)와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들(실험복 B) 모 두 허리, 배, 엉덩이둘레가 조금씩 둥글게 변화하였 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거들 타입에 따른 착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가지 타입의 거들 착용 후 허리, 배, 엉 덩이 부위의 공극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허리둘레 는 도리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스탠다드 타 입 거들(실험복 A) 착용 후에 허리, 배, 엉덩이둘레 의 공극량이 앞에서 증가하고 뒤에서 감소하는 경 향을 나타냈다. 이는 거들 착용 후 자세가 앞으로 내미는 자세로 변화하였기 때문으로 해석하였다. 그 러나 하이웨이스트 거들(실험복 B)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자세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배가 약간 납작 해지는 실루엣의 변화를 나타냈다.

    셋째, 사이즈에 따른 착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 여, 두 가지 사이즈 착용자의 거들 착용 후 허리, 배, 엉덩이 부위의 공극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부 위와 거들 타입에 따라 사이즈 집단별 공극량 차이 가 있었다.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은 88(S) 사이즈 집단보다 94(M) 사이즈 집단이 거들 착용 후 허리와 배, 엉덩이둘레의 앞과 뒤 공극량의 차 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전면에서 공극량이 증가하 고 후면에서는 감소하였다. 하이웨이스트 타입 거 들(실험복 B)의 사이즈에 따른 허리 단면도 공극량 차이는 스탠다드 타입 거들(실험복 A)과 다른 결과 를 나타냈다. 88(S) 사이즈 집단이 94(M) 사이즈 집 단보다 거들 착용 후 앞과 뒤 공극량이 허리에서는 크게 나타냈다. 그러나 배와 영덩이 부위에서는 두 사이즈 집단이 모두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88(S) 사이즈 집단은 허리 전면에서 공극량이 증가 하고 허리 후면에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들 타입에 따라 인체 실루엣 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사이즈 에 따라서도 부위별 단면의 형상이나 실루엣의 변 화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들이 거들을 착용하는 목적이 인체 실루엣 을 아름답게 성형하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는 거들 종류와 제품치수에 따른 단면도형 상 변화 및 체형의 변화에 관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제한된 숫 자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이므로 연 구 결과의 일반화에 주의가 필요하다.

    Figure

    RJCC-23-242_F1.gif

    Experimental garments

    RJCC-23-242_F2.gif

    Space length between body and garment

    RJCC-23-242_F3.gif

    Overlapped cross sections of waist, abdomen, and hip: size 88(S)

    RJCC-23-242_F4.gif

    Overlapped cross sections of waist, abdomen, and hip: size 94(M)

    RJCC-23-242_F5.gif

    Space length at waist girth after wearing two types of girdles

    RJCC-23-242_F6.gif

    Space length at waist girth after wearing standard type girdle (A): sizes 88(S) and 94(M)

    RJCC-23-242_F7.gif

    Space length at waist girth after wearing high-waisted type girdle (B): sizes 88(S) and 94(M)

    RJCC-23-242_F8.gif

    Space length at abdomen girth after wearing two types of girdles

    RJCC-23-242_F9.gif

    Space length at abdomen girth after wearing standard type girdle (A): sizes 88(S) and 94(M)

    RJCC-23-242_F10.gif

    Space length at abdomen girth after wearing high-waisted type girdle (B): sizes 88(S) and 94(M)

    RJCC-23-242_F11.gif

    Space length at hip girth after wearing two types of girdles

    RJCC-23-242_F12.gif

    Space length at hip girth after wearing standard type girdle (A): sizes 88(S) and 94(M)

    RJCC-23-242_F13.gif

    Space length at hip girth after wearing high-waisted type girdle (B): sizes 88(S) and 94(M)

    Table

    Body measurements of subjects (Unit: cm)

    Cross section ellipicty of experimental garments after wearing girdles (Unit: %)

    Space length at waist girth after wearing two types of girdles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Space length at waist girth after wearing standard type girdle (A): sizes 88(S) and 94(M)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Space length at waist girth after wearing high-waisted type girdle (B): sizes 88(S) and 94(M)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Space length at abdomen girth after wearing two types of girdles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Space length at abdomen girth after wearing standard type girdle (A): sizes 88(S) and 94(M)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Space length at abdomen girth after wearing high-waisted type girdle (B): sizes 88(S) and 94(M)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Space length at hip girth after wearing two types of girdles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Space length at hip girth after wearing standard type girdle (A): sizes 88(S) and 94(M)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Space length at hip girth after wearing high-waisted type girdle (B): sizes 88(S) and 94(M) (Unit: %)

    Figures in parenthesis refer to standard deviation.

    Reference

    1. Cha JE (2011) An ergonomic analysis of women’s bodice patterns in the late 19th cent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 Cha J , Chun J (2011) A study on body silhouette by wearing english women's upper garments of the late 19th century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9 (6) ; pp.1205-1220
    3. Choi Y , Kim H (2004) A comparison of women's basic pattern using 3D scanner: Between the Bunka and the Secoli patterns ,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6 (6) ; pp.749-755
    4. Chun J , Kim O (2012) Distribution of garment pressure and body measurements after wearing a girdle, and suggestions for a girdle sizing system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20 (6) ; pp.799-810
    5. Hwang Y , Lee J (2008) A comparative study of preference and possibility to acceptance about functional warmth smart clothi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0 (6) ; pp.1006-1013
    6. Istook CL , Hwang SJ (2001) 3D body scanning systems with application to the apparel industry ,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5 (2) ; pp.120-132
    7. Kim HK , Kwon SH , Kim SJ , Park EJ , Suh CY , Lee SN , Jeon EK , Cho JM (2001) Clothing ergonomics experimental methodology, Kyomunsa,
    8. Kim J , Yi K (2001) A study on the wearing test of high functional gird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1 (6) ; pp.39-51
    9. Kim MK , Nam YJ , Han HS , Choi YL (2011) Improvement of cross sectional distance measurement method of 3D human bod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3 (6) ; pp.966-971
    10. Lim H (2009) Three dimensional virtual try-on technologies in the achievement and testing of fit for mass custom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11. Nam YJ , Lee JO (2002) A study on feeling of wearing and clothing pressure of custom-made girdles , Journal of the Korean Fiber Society, Vol.39 (4) ; pp.503-513
    12. Park EJ (2001) Effect of body shaping be wearing gird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3 (3) ; pp.235-240
    13. Park EJ , Han EG (2001) Investigation of girdle wear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5 (3) ; pp.49-61
    14. Park JH , Chun J (2012) The change of garment pressure and body measurement by material of women's girdle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31 (3) ; pp.455-461
    15. Suh C (2002)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ymade jacket for women according to pattern size using 3D scanne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6 (3/4) ; pp.390-401
    16. Suh C , Park S (2008) Drafting method of upper bodice pattern using 3-D anthropometric data for elderly wome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2 (5) ; pp.846-858
    17. Suh D , Chun J (2004) Men's bodice pattern making using 3D body scan data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2 (2) ; pp.290-299

    Appendix